KR20110034292A - 디지털 촬영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 - Google Patents

디지털 촬영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34292A
KR20110034292A KR1020090091775A KR20090091775A KR20110034292A KR 20110034292 A KR20110034292 A KR 20110034292A KR 1020090091775 A KR1020090091775 A KR 1020090091775A KR 20090091775 A KR20090091775 A KR 20090091775A KR 20110034292 A KR20110034292 A KR 201100342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display data
display
unit
image fi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917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43604B1 (ko
Inventor
송효원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917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3604B1/ko
Publication of KR201100342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342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36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36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촬영장치, 그 제어방법 및 이를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에 관한 것으로, 피사체를 촬영하여 영상 신호를 생성하는 촬상부와, 생성된 영상 신호에 대응하는 이미지와 상기 이미지와 관련된 이미지 정보를 포함하는 이미지 파일을 생성하는 이미지파일생성부와, 생성된 적어도 하나의 상기 이미지 파일을 저장하는 저장부와,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상기 이미지 파일로부터 제1 표시데이터를 도출하며,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상기 이미지 파일로부터 제2 표시데이터를 도출하는 표시데이터도출부와 상기 제1 표시데이터를 표시하는 제1 표시부와, 상기 제2 표시데이터를 표시하는 제2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를 제공하여, 듀얼 표시부를 통해 촬영되거나 저장된 이미지를 재생하는 데 있어 하나의 표시부만을 구동하여 이미지를 재생하거나 혹은 같은 이미지를 동시에 두 개의 표시부에 재생하는 방식에서 벗어나, 재생 모드의 다양화를 통하여 사용자가 이미지를 보는 데에 좀 더 편리성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디지털 촬영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A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and a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본 발명은 디지털 촬영장치, 그 제어방법 및 이를 실행시키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에 관한 것으로, 복수의 표시부들을 구비하고 있는 디지털 촬영장치, 이를 실행시키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에 관한 것이다.
최근 휴대 단말기의 양면에 듀얼액정표시장치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가 시판되고 있다. 휴대 단말기에 이런 듀얼액정표시장치가 설치됨에 따라, 휴대 단말기의 전,후 방면에 영상 정보 등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고, 사용자 자신을 촬영할 때 촬영될 영상 확인이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단순히 영상 정보 디스플레이 재생 방법에서 나아가 효과적인 이미지 재생 방법에 대한 제안이 부족하다는 문제점을 갖는다.
본 발명은 듀얼 표시부를 통해 촬영되거나 저장된 이미지를 재생하는 데 있어 하나의 표시부만을 구동하여 이미지를 재생하거나 혹은 같은 이미지를 동시에 두 개의 표시부에 재생하는 방식에서 벗어나, 재생 모드의 다양화를 통하여 사용자가 이미지를 보는 데에 좀 더 편리성을 제공하는 디지털 촬영장치, 그 제어방법 및 이를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은 피사체를 촬영하여 영상 신호를 생성하는 촬상부와, 생성된 영상 신호에 대응하는 이미지와 상기 이미지와 관련된 이미지 정보를 포함하는 이미지 파일을 생성하는 이미지파일생성부와, 생성된 적어도 하나의 상기 이미지 파일을 저장하는 저장부와,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상기 이미지 파일로부터 제1 표시데이터를 도출하며,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상기 이미지 파일로부터 제2 표시데이터를 도출하는 표시데이터도출부와 상기 제1 표시데이터를 표시하는 제1 표시부와, 상기 제2 표시데이터를 표시하는 제2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를 제공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디지털 촬영 장치는, 상기 디지털 촬영 장치의 재생 모드에서, 이미지와 함께 이미지 정보를 표시하는 이미지 정보 표시 모드, 대표 이미지와 함께 복수의 썸네일 이미지들을 표시하는 멀티 이미 지 표시 모드, 제1 이미지와 함께 제2 이미지를 표시하는 싱글 이미지 표시 모드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도록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모드선택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디지털 촬영 장치의 모드선택부를 통해 상기 이미지 정보 표시 모드가 선택되면, 표시데이터도출부는, 어느 하나의 상기 이미지 파일로부터의 이미지를 제1 표시 데이터로서 도출하며, 상기 이미지와 함께 저장된 상기 이미지 파일로부터 제공된 이미지 정보를 제2 표시데이터로서 도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디지털 촬영 장치의 모드선택부를 통해 상기 멀티 이미지 표시 모드가 선택되면, 상기 표시데이터도출부는, 어느 하나의 상기 이미지 파일로부터 대표 이미지를 제1 표시데이터로서 도출하며, 복수의 이미지 파일들 각각으로부터 제공된 복수의 썸네일 이미지들을 제2 표시데이터로서 도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디지털 촬영 장치의 모드선택부를 통해 상기 싱글 이미지 표시 모드가 선택되면, 상기 표시데이터도출부는, 어느 하나의 상기 이미지 파일로부터 제1 이미지를 제1 표시데이터로서 도출하며, 이미지 파일의 저장 순서에 따라, 상기 이미지 파일의 이전 또는 이후 이미지 파일로부터 제공된 제2 이미지를 제2 표시데이터로서 도출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이미지 정보는, 촬영된 상기 영상 신호에 대응하는 이미지에 대한 메타 데이터로서 이미지 파일에 저장되며, 촬영 일시나 촬영 조건 이미지 용 량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이미지 및 이미지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표시데이터를 표시하는 제1 표시부 및 제2 표시부를 구비한 디지털 촬영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디지털 촬영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은 피사체를 촬영하여 영상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와, 생성된 영상 신호에 대응하는 이미지와 상기 이미지와 관련된 이미지 정보를 포함하는 이미지 파일을 생성하는 이미지파일생성단계와, 생성된 적어도 하나의 상기 이미지 파일을 저장하는 단계와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상기 이미지 파일로부터 제1 표시데이터를 도출하며,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상기 이미지 파일로부터 제2 표시데이터를 도출하는 표시데이터도출단계와, 상기 제1 표시데이터를 상기 제1 표시부에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제2 표시데이터를 상기 제2 표시부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방법은, 상기 디지털 촬영 장치의 재생 모드에서, 이미지와 함께 이미지 정보를 표시하는 이미지 정보 표시 모드, 대표 이미지와 함께 복수의 썸네일 이미지들을 표시하는 멀티 이미지 표시 모드, 제1 이미지와 함께 제2 이미지를 표시하는 싱글 이미지 표시 모드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도록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모드선택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모드선택단계에서 상기 이미지 정보 표시 모드가 선택되면, 표시데이터도출단계는, 어느 하나의 상기 이미지 파일로부터의 이미지를 제1 표시 데이터로서 도출하며, 상기 이미지와 함께 저장된 상기 이 미지 파일로부터 제공된 이미지 정보를 제2 표시데이터로서 도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모드선택단계에서 상기 멀티 이미지 표시 모드가 선택되면, 상기 표시데이터도출단계는, 어느 하나의 상기 이미지 파일로부터 대표 이미지를 제1 표시데이터로서 도출하며, 복수의 이미지 파일들 각각으로부터 제공된 복수의 썸네일 이미지들을 제2 표시데이터로서 도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모드선택단계에서 상기 싱글 이미지 표시 모드가 선택되면, 상기 표시데이터도출단계는, 어느 하나의 상기 이미지 파일로부터 제1 이미지를 제1 표시데이터로서 도출하며, 이미지 파일의 저장 순서에 따라, 상기 이미지 파일의 이전 또는 이후 이미지 파일로부터 제공된 제2 이미지를 제2 표시데이터로서 도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이미지 정보는, 촬영된 상기 영상 신호에 대응하는 이미지에 대한 메타 데이터로서 이미지 파일에 저장되며, 촬영 일시나 촬영 조건 이미지 용량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상기와 같은 제어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를 제공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촬영장치, 그 제어방법 및 이를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는, 듀얼 표시부를 통해 촬영되거나 저장된 이미지를 재생하는 데 있어 하나의 표시부만을 구동하여 이미지를 재생하거나 혹은 같은 이미지를 동시에 두 개의 표시부에 재생하는 방식에서 벗어나, 재생 모드의 다양화를 통하여 사용자가 이미지를 보는 데에 좀 더 편리성을 제공한다.
예컨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라서, 기존 방식의 이미지 재생 시 이미지 정보를 보고자 할 때, 정보가 이미지와 함께 겹쳐져 나와 이미지의 일부를 가리던 단점을 가지는 것에 반해, 두 개의 표시부를 통해 하나의 표시부에는 이미지만을 다른 하나의 표시부에는 이미지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이미지와 이미지 정보를 동시에 간섭 없이 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라서, 멀티 이미지를 통해 다양한 이미지를 한눈에 보고, 그 중 특정 이미지를 확대해서 보고자 할 경우 화면의 전환 없이 하나의 표시부로는 멀티 이미지를 다른 하나의 표시부로는 선택된 이미지를 크게 보여줌으로써 이미지 찾기 및 감상을 동시에 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라서, 하나의 표시부에서는 원하는 이미지를, 다른 하나의 표시부에서는 원하는 이미지의 이전 또는 이후 이미지를 재생시켜 이어지는 이미지를 미리 감상하거나 또는 서로 반대편에 있는 두 명 이상의 사용자가 동시에 이미지를 감상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본 명세서 및 도면들에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 구성을 가지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한 부호를 부여함으로써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하기의 설명 및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따른 동작을 이해하기 위한 것이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가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는 부분은 생략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 및 도면은 본 발명을 제한하기 위한 목적으로 제공된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범위는 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본 발명을 가장 적절하게 표현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한다.
도 1a은 본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 장치(100)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본 발명을 구현할 수 있는 디지털 촬영 장치(100)는 광학부(110), 광학 구동부(111), 촬상소자(115), 촬상소자 제어부(116), 조작부(120), 프로그램 저장부(130), 버퍼 저장부(140), 데이터 저장부(150), 제1 표시부(165), 제2 표시부(175), 제1 표시 구동부(160), 제2 표시 구동부(170), 및 디지털 신호 처리부(DSP, 180)를 포함할 수 있다.
광학부(110)는 피사체로부터의 입력된 광학 신호를 촬상 소자(115)로 제공한다. 광학부(110)는 초점 거리(focal length)에 따라 화각이 좁아지거나 또는 넓어지도록 제어하는 줌 렌즈 및 피사체의 초점을 맞추는 포커스 렌즈 등 적어도 하나의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광학부(110)는 광량을 조절하는 조리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광학 구동부(111)는 렌즈의 위치, 조리개의 개폐 등을 조절한다. 렌즈의 위치를 이동시켜 초점을 맞출 수 있다. 또한, 조리개의 개폐를 조절하여 광량을 조절할 수 있다. 실시간으로 입력되는 영상 신호에 의해 자동으로 생성되는 제어 신호 또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수동으로 입력되는 제어 신호에 따라 광학 구동부(111)가 광학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광학부(110)를 투과한 광학 신호는 촬상 소자(115)의 수광면에 이르러 피사체의 상을 결상한다. 상기 촬상 소자(115)는 광학 신호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CCD(Charge Coupled Device) 또는 CIS(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Image Sensor)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촬상소자(115)는 촬상소자 제어부(116)에 의해 감도 등이 조절될 수 있다. 촬상소자 제어부(116)는 실시간으로 입력되는 영상 신호에 의해 자동으로 생성되는 제어 신호 또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수동으로 입력되는 제어 신호에 따라 촬상 소자(115)를 제어할 수 있다.
조작부(120)는 사용자 등의 외부로부터의 제어 신호를 입력할 수 있는 곳이다. 상기 조작부(120)는 정해진 시간 동안 촬상 소자(115)를 빛에 노출하여 사진을 촬영하는 셔터-릴리즈 신호를 입력하는 셔터-릴리즈 버튼(122),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입력하는 전원 버튼(121), 입력에 따라 화각을 넓어지게 하거나 화각을 좁아지게 하는 광각-줌 버튼 및 망원-줌 버튼(123)과, 문자 입력 또는 촬영 모드, 재생 모드 등의 모드 선택, 화이트 밸런스 설정 기능 선택, 노출 설정 기능 선택 등의 다양한 기능 버튼들이 있다. 조작부(120)는 상기와 같이 다양한 버튼의 형태를 가 질 수도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키보드, 터치 패드, 터치스크린, 원격 제어기 등과 같이 사용자가 입력할 수 있는 어떠한 형태로 구현되어도 무방하다.
또한, 상기 디지털 촬영 장치(100)는 상기 디지털 카메라를 구동하는 운영 시스템, 응용 시스템 등의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프로그램 저장부(130), 연산 수행 중에 필요한 데이터 또는 결과 데이터들을 임시로 저장하는 버퍼 저장부(140), 영상 신호를 포함하는 이미지 파일을 비롯하여 상기 프로그램에 필요한 다양한 정보들을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부(150)를 포함한다.
아울러, 상기 디지털 촬영 장치(100)는 이의 동작 상태 또는 상기 디지털 촬영 장치(100)에서 촬영한 이미지 정보를 표시하도록 제1 표시부(165) 및 제2 표시부(175)를 포함한다. 제1 표시부(165) 및 제2 표시부(175)는 시각적인 정보 및/또는 청각적인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시각적인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상기 제1 표시부(165) 및 제2 표시부(175)는 예를 들면, 액정표시장치(LCD),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동시에 제1 표시부(165) 및 제2 표시부(175)는 터치스크린일 수 있다. 이런 경우에는 제1 표시부(165) 및 제2 표시부(175)는 조작부(120)와 더불어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로서 동작한다. 제1 표시 구동부(160) 및 제2 표시 구동부(170)는 제1 표시부(165) 및 제2 표시부(175)에 각각 구동 신호를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디지털 촬영 장치(100)는 입력되는 영상 신호를 처리하고, 이에 따라 또는 외부 입력 신호에 따라 각 구성부들을 제어하는 디지털 신호 처리 부(180)를 포함한다.
도 1b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 장치(100a)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디지털 촬영 장치(100a)는, 촬상부(115a), 이미지파일생성부(182), 표시데이터도출부(186), 제1 표시부(165a), 및 제2 표시부(175a)를 구비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디지털 촬영 장치(100a)는 모드선택부(184), 제1 표시구동부(160a), 및 제2 표시구동부(170a)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b를 참조하면, 디지털 촬영장치의 촬상부(115a)를 통해 입수된 데이터는 이미지뿐 아니라 이미지에 대한 촬영 시간 및 촬영 조건 등에 대한 추가 정보를 갖는다. 이미지파일생성부(182)는 이런 이미지 및 이미지 정보를 포함하는 이미지 파일을 생성한다. 이미지 정보는 이미지에 대한 촬영 시간 및 촬영 조건 등에 대한 추가 정보를 갖고, 이미지 파일 내에 메타 데이터(metadata)로서 저장된다. 메타데이터란 데이터를 위한 데이터이다. 어떤 데이터 즉 구조화된 정보를 분석, 분류하고 부가적 정보를 추가하기 위해 그 데이터 뒤에 함께 따라가는 정보를 말한다. 이를테면, 디지털 촬영장치에서는 사진을 찍어 기록할 때마다 디지털 촬영장치 자체의 정보와 촬영 당시의 시간, 노출, 플래시 사용 여부, 해상도, 사진 크기 등의 사진 정보를 화상 데이터와 같이 저장하게 되어 있다. 이러한 데이터를 분석하여 이용하면 그 뒤에 사진을 적절하게 정리하거나 다시 가공할 때에 아주 유용하게 쓸 수 있는 정보가 된다. 최근에는 GPS 기능을 사용하여 위치 정보까지 사진의 메타데이터에 입력할 수 있게 되었는데, 이를 이용하면 사진이 어디에서 촬영되었는지를 쉽게 알 수 있고, 이로써 다시 다른 지역 정보를 검색하거나 같은 지역에서 찍은 다른 사진을 검색하게 하는 검색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표시데이터도출부(186)는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상기 이미지 파일로부터 제1 표시데이터를 도출하며,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상기 이미지 파일로부터 제2 표시데이터를 도출할 수 있다. 표시데이터도출부(186)의 제어하에, 제1 표시 구동부(160) 및 제2 표시 구동부(170)는 제1 표시부(165) 및 제2 표시부(175)에 각각 구동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모드선택부(184)는 디지털 촬영 장치(100a)에서 이미지 재생 모드로 전환시, 이미지와 함께 이미지 정보(예컨대, 촬영 일시나 촬영 조건, 이미지 용량과 같은 정보 데이터)를 표시하는 이미지 정보 표시 모드, 대표 이미지와 함께 복수의 썸네일 이미지들을 표시하는 멀티 이미지 표시 모드, 제1 이미지와 함께 제2 이미지를 표시하는 싱글 이미지 표시 모드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도록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모드 선택은 사용자가 디폴트로 사전에 설정해 놓을 수도 있다는 점을 유의하여야 한다.
모드선택부(184)를 통해 상기 이미지 정보 표시 모드가 선택되면, 표시데이터도출부(186)는, 어느 하나의 상기 이미지 파일로부터의 이미지를 제1 표시 데이터로서 도출하며, 상기 이미지와 함께 저장된 상기 이미지 파일로부터 제공된 이미지 정보(촬영 일시 및 조건, 용량 등의 정보 데이터)를 제2 표시데이터로서 도출할 수 있다. 즉 이미지 정보 표시 모드는, 사용자가 사진이 표시된 표시부와 다른 표시부를 이용하여 상기 사진에 대한 이미지 정보를 열람할 수 있어, 이미지 정보에 의하여 상기 사진을 가리지 않고 상기 사진에 대한 부가 정보를 열람할 수 있는 기 능을 제공한다.
모드선택부(184)를 통해 상기 멀티 이미지 표시 모드가 선택되면, 표시데이터도출부(186)는, 어느 하나의 상기 이미지 파일로부터 대표 이미지를 제1 표시데이터로서 도출하며, 복수의 이미지 파일들 각각으로부터 제공된 복수의 썸네일(thumnail) 이미지들을 제2 표시데이터로서 도출할 수 있다. 썸네일 이미지란, 이미지의 전체 윤곽을 가진 미리보기 기능을 가지는 간단하고 적은 이미지를 뜻한다. 이와 같이, 멀티 이미지 표시 모드는 제1 표시부에는 선택 이미지가, 제2 표시부에는 화면 분할(예컨대 4, 9, 16 분할 등)을 갖는 멀티 이미지가 재생되게 되어 한 화면으로는 이미지를 자세히 볼 수 있고 다른 화면으로는 많이 이미지를 한꺼번에 볼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에게 편리성을 제공한다.
모드선택부(184)를 통해 싱글 이미지 표시 모드가 선택되면, 표시데이터도출부(186)는, 어느 하나의 상기 이미지 파일로부터 제1 이미지를 제1 표시데이터로서 도출하며, 이미지 파일의 저장 순서에 따라, 상기 이미지 파일의 이전 또는 이후 이미지 파일로부터 제공된 제2 이미지를 제2 표시데이터로서 도출할 수 있다. 즉, 싱글 이미지 표시 모드는 하나의 표시부에는 보고자 하는 이미지가 재생되고 다른 하나의 표시부에는 현재 재생중인 이미지의 앞 또는 뒤의 이미지가 재생되어 연속되는 이미지를 미리 볼 수 있고 혹은 서로 다른 방향의 사용자가 함께 사진을 재생시켜 가며 볼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도 2a 및 도 2b는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장치(100)의 정면 사시도 및 배면 사시도이다. 디지털 촬영장치(100)의 정면 사시도 및 배면 사 시도에서, 피사체를 찍는 촬영 수단이 설치되고, 촬영수단에서 입수한 영상신호를 전방과 후방에 화면을 표시할 수 있는 제1 표시부(165) 및 제2 표시부(175)가 제시된다. 조작부(120)는, 예를 들면 디지털 촬영장치(100)에 설치된 전원버튼(121), 셔터 릴리즈 버튼(122), 줌 버튼(123) 등을 포함하며, 사용자에 의한 조작에 기초하여 조작신호를 DSP(180) 등에 전송한다.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표시부(160)는 렌즈 경통(109)이 배치된 면의 반대 면에 배치되고, 제2 표시부(170)는 렌즈 경통(109)이 배치된 면과 같은 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1 표시부(160)는 렌즈 경통(109)이 배치된 면과 같은 면에 배치되고, 제2 표시부(170)는 렌즈 경통(109)이 배치된 면과 반대 면에 배치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장치의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원하는 이미지 재생을 위해 이미지 재생 모드를 선택하면(단계 310), 이미지만 표시할 것인지 아니면 이미지와 함께 이미지 정보를 함께 표기할 것인지를 묻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한다(단계 320).
사용자가 이미지와 함께 이미지에 대한 정보를 함께 보기를 선택하면, 이미지 정보 표시 모드로 진입하여, 제1 표시부에는 해당 이미지를 표시하고, 제2 표시부에는 그 이미지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여, 이미지와 이미지 정보를 서로 간섭 없이 동시에 볼 수 있게 한다(단계 330).
사용자가 이미지만 보길 원하는 경우, 다시 멀티 이미지 표시를 원하는지에 관한 선택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단계 340). 이때 멀티 이미지 표 시 모드로 설정하면 제1 표시부에는 선택(대표) 이미지를 표시하고, 제2 표시부에는 화면 분할을 갖는 멀티 이미지가 재생되게 하여, 한 화면으로는 이미지를 자세히 볼 수 있고 다른 화면으로는 많이 이미지를 한꺼번에 볼 수 있게 한다(단계 350).
사용자가 멀티 이미지 표시를 원치 않는 경우, 싱글 이미지 표시 모드로 진입하게 되고, 이때 제1 표시부에는 보고자 하는 이미지가 재생되고 제2 표시부에는 현재 재생중인 이미지의 앞 또는 뒤의 이미지가 재생되어 연속되는 이미지를 미리 볼 수 있고 혹은 서로 다른 방향의 사용자가 함께 사진을 재생시켜 가며 볼 수 있다(단계 360).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상기와 같은 제어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를 제공한다.
한편, 본 발명은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매체에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코드를 저장하여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판독될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저장 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코드는, 상기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매체로부터 디지털 신호 처리부(180)에 의하여 독출되어 실행될 때,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촬영 장치 제어 방법을 구현하는 단계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코드는 다양한 프로그래밍 언어들로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 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들에 의하여 용이하게 프로그래밍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반송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본 발명을 구현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상기 개시된 실시 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청구된 발명 및 청구된 발명과 균등한 발명들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a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장치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b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 장치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장치의 정면 사시도이다.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장치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장치의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Claims (12)

  1. 피사체를 촬영하여 영상 신호를 생성하는 촬상부;
    생성된 영상 신호에 대응하는 이미지와 상기 이미지와 관련된 이미지 정보를 포함하는 이미지 파일을 생성하는 이미지파일생성부;
    생성된 적어도 하나의 상기 이미지 파일을 저장하는 저장부;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상기 이미지 파일로부터 제1 표시데이터를 도출하며,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상기 이미지 파일로부터 제2 표시데이터를 도출하는 표시데이터도출부;
    상기 제1 표시데이터를 표시하는 제1 표시부; 및
    상기 제2 표시데이터를 표시하는 제2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촬영 장치는,
    상기 디지털 촬영 장치의 재생 모드에서,
    이미지와 함께 이미지 정보를 표시하는 이미지 정보 표시 모드, 대표 이미지와 함께 복수의 썸네일 이미지들을 표시하는 멀티 이미지 표시 모드, 제1 이미지와 함께 제2 이미지를 표시하는 싱글 이미지 표시 모드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도록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모드선택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정보 표시 모드가 선택되면,
    표시데이터도출부는, 어느 하나의 상기 이미지 파일로부터의 이미지를 제1 표시 데이터로서 도출하며, 상기 이미지와 함께 저장된 상기 이미지 파일로부터 제공된 이미지 정보를 제2 표시데이터로서 도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 이미지 표시 모드가 선택되면,
    상기 표시데이터도출부는, 어느 하나의 상기 이미지 파일로부터 대표 이미지를 제1 표시데이터로서 도출하며, 복수의 이미지 파일들 각각으로부터 제공된 복수의 썸네일 이미지들을 제2 표시데이터로서 도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싱글 이미지 표시 모드가 선택되면,
    상기 표시데이터도출부는, 어느 하나의 상기 이미지 파일로부터 제1 이미지를 제1 표시데이터로서 도출하며, 이미지 파일의 저장 순서에 따라, 상기 이미지 파일의 이전 또는 이후 이미지 파일로부터 제공된 제2 이미지를 제2 표시데이터로 서 도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정보는,
    촬영된 상기 영상 신호에 대응하는 이미지에 대한 메타 데이터로서 이미지 파일에 저장되며,
    촬영 일시나 촬영 조건 이미지 용량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
  7. 이미지 및 이미지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표시데이터를 표시하는 제1 표시부 및 제2 표시부를 구비한 디지털 촬영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피사체를 촬영하여 영상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생성된 영상 신호에 대응하는 이미지와 상기 이미지와 관련된 이미지 정보를 포함하는 이미지 파일을 생성하는 이미지파일생성단계;
    생성된 적어도 하나의 상기 이미지 파일을 저장하는 단계;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상기 이미지 파일로부터 제1 표시데이터를 도출하며,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상기 이미지 파일로부터 제2 표시데이터를 도출하는 표시데이터도출단계;
    상기 제1 표시데이터를 상기 제1 표시부에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표시데이터를 상기 제2 표시부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는,
    상기 디지털 촬영 장치의 재생 모드에서,
    이미지와 함께 이미지 정보를 표시하는 이미지 정보 표시 모드, 대표 이미지와 함께 복수의 썸네일 이미지들을 표시하는 멀티 이미지 표시 모드, 제1 이미지와 함께 제2 이미지를 표시하는 싱글 이미지 표시 모드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도록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모드선택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정보 표시 모드가 선택되면,
    표시데이터도출단계는, 어느 하나의 상기 이미지 파일로부터의 이미지를 제1 표시 데이터로서 도출하며, 상기 이미지와 함께 저장된 상기 이미지 파일로부터 제공된 이미지 정보를 제2 표시데이터로서 도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 이미지 표시 모드가 선택되면,
    상기 표시데이터도출단계는, 어느 하나의 상기 이미지 파일로부터 대표 이미지를 제1 표시데이터로서 도출하며, 복수의 이미지 파일들 각각으로부터 제공된 복 수의 썸네일 이미지들을 제2 표시데이터로서 도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싱글 이미지 표시 모드가 선택되면,
    상기 표시데이터도출단계는, 어느 하나의 상기 이미지 파일로부터 제1 이미지를 제1 표시데이터로서 도출하며, 이미지 파일의 저장 순서에 따라, 상기 이미지 파일의 이전 또는 이후 이미지 파일로부터 제공된 제2 이미지를 제2 표시데이터로서 도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정보는,
    촬영된 상기 영상 신호에 대응하는 이미지에 대한 메타 데이터로서 이미지 파일에 저장되며,
    촬영 일시나 촬영 조건 이미지 용량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KR1020090091775A 2009-09-28 2009-09-28 디지털 촬영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 KR1016436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1775A KR101643604B1 (ko) 2009-09-28 2009-09-28 디지털 촬영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1775A KR101643604B1 (ko) 2009-09-28 2009-09-28 디지털 촬영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4292A true KR20110034292A (ko) 2011-04-05
KR101643604B1 KR101643604B1 (ko) 2016-07-29

Family

ID=440429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1775A KR101643604B1 (ko) 2009-09-28 2009-09-28 디지털 촬영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3604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10290A (ja) * 2004-10-04 2005-04-21 Nikon Corp 画像ファイル編集装置
JP2008085490A (ja) * 2006-09-26 2008-04-10 Sky Kk カメラ付き携帯機器及びカメラ付き携帯機器のための画像表示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10290A (ja) * 2004-10-04 2005-04-21 Nikon Corp 画像ファイル編集装置
JP2008085490A (ja) * 2006-09-26 2008-04-10 Sky Kk カメラ付き携帯機器及びカメラ付き携帯機器のための画像表示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43604B1 (ko) 2016-07-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468956B2 (ja) 連続画像を記録するカメラ
TWI283537B (en) Electronic camera apparatus and operation guide
KR101739379B1 (ko) 디지털 촬영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1737086B1 (ko) 디지털 촬영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1626002B1 (ko) 디지털 촬영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매체
KR20150032165A (ko) 결합하는 동영상의 동영상 선별 장치, 동영상 선별 방법 및 기억 매체
KR20110020518A (ko) 오토 포커싱을 이용한 흔들린 영상 판단 방법 및 장치
JP3955540B2 (ja) 画像処理装置
KR20100018335A (ko) 썸네일 표시 제어 방법 및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디지털촬영 장치
US2010016631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a digital image including a face detection finction
KR20100101390A (ko) 디지털 촬영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매체
KR20100093955A (ko) 디지털 영상신호 처리장치에서 이미지확대표시방법
KR101436325B1 (ko) 동영상 대표 이미지 설정 방법 및 장치
JP2011172092A (ja) 撮像装置、画像再生方法、画像再生プログラム、画像再生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および画像再生装置
KR101643604B1 (ko) 디지털 촬영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
CN103167238B (zh) 用于再现图像的方法和设备
JP5555103B2 (ja) 画像記録装置、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4312299A (ja) デジタルカメラ
JP2019205208A (ja) 電子機器
JP2018067968A (ja) 電子機器およびプログラム
JP2009200836A (ja) 撮像記録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5278059A (ja) 撮像装置
JP2015216671A (ja) 電子機器およびプログラム
KR20110075368A (ko) 디지털 촬영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JP2017121001A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