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34107A -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34107A
KR20110034107A KR1020090091486A KR20090091486A KR20110034107A KR 20110034107 A KR20110034107 A KR 20110034107A KR 1020090091486 A KR1020090091486 A KR 1020090091486A KR 20090091486 A KR20090091486 A KR 20090091486A KR 20110034107 A KR20110034107 A KR 201100341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indoor
main body
display
air conditio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914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63831B1 (ko
Inventor
황길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914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3831B1/ko
Publication of KR201100341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341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38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38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88Ventilating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2Indication arrangements, e.g. displ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 F24F13/2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for evacuating condensa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ir Filters, Heat-Exchange Apparatuses, And Housings Of Air-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부의 적어도 일부가 전면부에 의하여 차폐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디스차지 그릴부로부터 이격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빛이 더욱 은은하게 외부로 방출될 수 있고, 상기 디스플레이부에서 응축수가 발생되는 현상이 최소화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공기조화기, 실내기, 디스플레이부

Description

공기조화기의 실내기{Indoor unit of air-conditioner}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압축-응축-팽창-증발로 이루어지는 냉매사이클을 수행하여, 실내를 냉난방하는 장치이다.
상기 공기조화기는 냉매와 실내 공기의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실내기 및, 냉매와 실외 공기의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실외기를 포함한다. 상기 실내기에는 냉매와 실내 공기의 열교환을 위한 실내열교환기와, 상기 실내 공기를 송풍시키는 팬과, 상기 팬을 회전시키는 모터가 포함된다. 상기 실외기에는 냉매와 실외 공기의 열교환을 위한 실외열교환기와, 상기 실외 공기를 송풍시키는 팬과, 상기 팬을 회전시키는 모터와, 상기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와, 상기 냉매를 팽창시키는 팽창부와, 상기 냉매의 유동 방향을 변경시키는 사방밸브가 포함된다.
그리고, 실내의 냉방을 수행하는 경우에는 상기 실내열교환기는 증발수단, 상기 실외열교환기는 응축수단이 된다. 실내의 난방을 수행하는 경우에는 상기 실내열교환기는 응축수단, 상기 실외열교환기는 증발수단이 된다. 상기 냉난방 운전의 전환은 상기 사방밸브에 의해 냉매의 유동 방향이 변경됨으로써 수행된다.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부가 더욱 은은한 빛을 방출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부에 응축수가 발생되는 현상이 최소화될 수 있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제안되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에 구비되고, 실내 공기 및 냉매 간의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실내열교환기; 상기 실내 공기를 강제 유동시키기 위한 팬모터어셈블리; 상기 본체의 전면 외관을 형성하는 전면부; 및 상기 본체의 외부로 빛을 방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적어도 일부를 차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에 의하면, 전면 패널 및 전방 프레임 중 적어도 하나가 디스플레이부의 적어도 일부를 차폐하기 때문에,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빛이 더욱 은은하게 방출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보다 상세히, 상기 디스플레이부에서 직접 빛을 방출하는 발광부는, 상기 전면 패널 및 전방 프레임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여 차폐된다. 그리고, 상기 발광부에서 방출되는 빛은 반사부 및 확산부를 거쳐 외부로 전달되기 때문에, 상기 디스플레이의 빛이 더욱 은은하게 방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부에서 응축수가 발생되는 현상이 최소화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보다 상세히,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대적으로 온도가 낮은 디스차지 그릴부 및 집수부와 접촉 면적이 최소화된다. 따라서, 상기 디스차지 그릴부의 하방으로 유동하는 상대적으로 차가운 실내 공기와, 상기 집수부에 집수된 응축수에 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서 응축수가 발생되는 현상이 최소화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 예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을 참조하면, 실내기(1)의 본체(10)는 실내 공간의 공기조화를 위하여 실내에 설치된다. 상기 본체(10)는, 상기 본체(10)의 외관을 형성하는 전방 프레임(2) 및 후방 프레임(3)을 포함한다. 상기 전방 프레임(2)과 후방 프레임(3)이 전후방으로 결합한 상태에서, 상기 전방 프레임(2) 및 후방 프레임(3) 사이에는 후술할 실내열교환기(41) 및 팬(42)과 같은 각종 부품이 설치되기 위한 공간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10)는, 상기 전방 프레임(2)의 전면에 설치되어 상기 본체(10)의 전면 외관을 형성하는 전면 패널(20)과, 상기 후방 프레임(3)의 후면에 설치되어 상기 본체(10)의 후면 외관을 형성하는 후면 패널(30)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전면 패널(20)은, 상기 전방 프레임(2)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10)에는, 상기 실내 공기가 내부로 흡입되기 위한 흡입구(101)와, 상기 실내 공기가 실내로 토출되기 위한 토출구(102)가 형성된다. 보다 상세히, 상기 흡입구(101)는 상기 본체(10)의 상면에 형성되고, 상기 토출구(102)는 상기 본체(10)의 전면 및 저면에 걸쳐 형성된다. 더 구체적으로는, 상기 흡입구(101)는 상기 전방 프레임(2)의 상면에 위치되고, 상기 토출구(102)는 상기 전방 프레임(2)의 하단부와 상기 후방 프레임(3)의 하단부 사이에 위치된다.
한편, 상기 본체(10)에는, 상기 흡입구(101)를 통하여 흡입된 공기를 정화시키는 프리 필터(21)와, 상기 실내 공기와 냉매 간의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상기 실내열교환기(41)와, 상기 실내 공기를 강제 유동시키기 위하여 팬(42) 및 모터(43)를 포함하는 팬모터어셈블리와, 상기 실내기(1)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부품으로 구성되는 컨트롤 박스(44,45)와, 상기 냉매와 열교환된 실내 공기의 토출을 가이드하는 디스차지 그릴부(5)와, 토출되는 실내 공기의 방향을 안내하기 위한 풍향 조절부(52)와, 토출되는 실내 공기의 상항 방향을 안내하기 위한 베인(51)과, 상기 열교환기에 결합되는 집진 필터(48)와, 상기 실내기(1)의 작동 상태를 의미하는 다양한 신호가 출력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6)와, 상기 실내열교환기(41)를 상기 본체(10)에 고정하기 위한 열교환기고정부(46,47)와, 상기 모터(43)를 차폐하기 위한 모터(43) 커버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실내 공기의 유동을 설명하면, 먼저, 상기 흡입구(101)로 흡입된 공기는, 상기 프리 필터(21) 및 집진 필터(48)를 통과하면서 이물질이 걸러지게 된다. 물론, 후술할 흡입그릴(200)도 상기 흡입구(101)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지만, 상기 흡입그릴(200)에서는 상대적으로 큰 이물질이 걸러지고, 상기 프리 필터(21) 및 집진 필터(48)에서는 먼지 등과 같은 상대적으로 작은 이물질이 걸러질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프리 필터(21) 및 집진 필터(48)를 통과한 실내 공기는, 상기 실내열교환기(41)를 통과하면서 상기 냉매와 열교환된다. 그리고, 상기 실내열교환기(41)에서 열교환된 공기는, 상기 팬(42)을 통과한 후 상기 토출구(102)를 통하여 상기 본체(10)의 외부 즉, 실내로 토출된다.
이때, 상기 실내열교환기(41) 및 팬(42)을 통과한 실내 공기를 상기 토출구(102)로 안내하기 위하여, 상기 팬(42)이 위치되는 공간으로부터 상기 토출구(102)까지 연장되는 상기 디스차지 그릴부(5) 및 후방 프레임(3)의 일부분을 토출부라 칭한다. 더 구체적으로는, 상기 토출부에 해당하는 상기 디스차지 그릴부(5)의 일부분을 상측 토출부라고 칭하고, 상기 토출부에 해당하는 후방 프레임(3)의 일부분을 하측 토출부라 칭한다.
한편, 상기 실내열교환기(41)는, 압축기(미도시), 실외열교환기(미도시), 팽창부(미도시)와 연결되어 냉매 사이클을 이룬다. 보다 상세히, 냉매의 유동을 설명하면, 상기 압축기에 의하여 고온 고압 상태로 압축된 냉매는 상기 실내열교환 기(41) 또는 실외열교환기를 통과하면서 실내 공기 또는 실외 공기와 열교환하여 저온 고압 상태로 응축된다. 그리고, 상기 실내열교환기(41) 또는 실외열교환기를 통과한 냉매는, 상기 팽창부를 통과하면서 저온 저압 상태로 팽창된다. 상기 팽창부를 통과한 냉매는, 상기 실외열교환기 또는 실내열교환기(41)를 통과하면서 실외 공기 또는 실내 공기와 열교환하여 고온 저압 상태로 증발된 후, 상기 압축기로 다시 유입되어 상기 냉매 사이클이 수행된다.
이때, 상기 냉매는, 상기 공기조화기의 작동 모드에 따라, 상기 실내열교환기(41) 또는 실외열교환기에서 응축 또는 증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공기조화기가 난방 모드로 작동되는 경우에는, 상기 냉매는 상기 실내열교환기(41)를 통과하면서 응축되고 상기 실외열교환기를 통과하면서 증발된다. 그러나, 상기 공기조화기가 냉방 모드로 작동되는 경우에는, 상기 냉매는 상기 실내열교환기(41)를 통과하면서 증발되고 상기 실외열교환기를 통과하면서 응축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에서 디스플레이부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의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의 디스플레이부를 보인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에서 디스플레이부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의 디스플레이부를 보인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의 디스플레이부를 보인 절개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6)는, 상기 실내기(1)의 전 방으로 빛을 방출한다. 보다 상세히, 상기 전방 프레임(2)에는 상기 디스플레이부(6)가 전방으로 노출되기 위한 노출홀(200)이 형성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6)는 상기 노출홀(200)에 인접한 상기 전방 프레임(2)의 후방에 위치된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부(6)는, 빛을 방출하는 발광부(611)와, 상기 발광부(611)의 빛을 받아 다양한 방향으로 빛을 반사시키는 반사부(614)와, 상기 반사부(614)가 고정되는 반사고정부(612)와, 상기 발광부(611)의 작동 제어 및 전원 공급을 위한 전장 부품이 설치되는 전장부(613)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반사부(614)의 전방 즉, 상기 디스플레이부(6)의 전방에는, 상기 발광부(611) 및 반사부(614)로부터 입사되는 빛을 전달 및 확산시키는 확산부(60)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6)의 후방에는, 상기 디스플레이부(6)를 상기 노출홀(200)의 후방에 해당하는 상기 디스차지 그릴부(5)의 일측에 고정하기 위한 디스플레이고정부(62)가 위치된다.
보다 상세히, 상기 발광부(611)는, 예를 들면, LED와 같이 빛을 방출할 수 있는 다양한 장치가 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발광부(611)는 다양한 색을 방출함으로써, 색에 따른 다양한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발광부(611)는 상기 반사부(614)를 향하는 방향으로 빛을 집중적으로 방출하게 된다. 즉, 상기 반사고정부(612)의 양단부 중 적어도 일단부에 위치되어, 상기 반사부(614)를 향한 방향으로 빛을 방출하게 된다. 다른 한편으로는, 상기 디스플레이부(6)가 상기 실내기(1)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발광부(611)는 전방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 즉, 측방으로 빛을 방출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발광 부(611)에서 방출되는 빛이 상기 실내기(1)의 전방으로 직접 입사되는 현상이 최소화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반사부(614)는 상기 발광부(611)의 빛이 다양한 방향으로 반사될 수 있는 물질로 형성된다. 특히, 상기 반사부(614)에는 형광물질이 포함되어 있어, 상기 발광부(611)에서 방출된 빛을 더욱 효과적으로 반사시킬 수 있다. 상기 발광부(611)의 빛이 상기 반사부(614)에서 반사됨으로써, 상기 실내기(1)의 전방을 비롯한 다양한 방향으로 빛이 입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반사고정부(612)는는 상기 발광부(611)의 빛이 방출되는 방향에 위치된다. 따라서, 상기 반사고정부(612)에 고정되는 반사부(614)는 상기 발광부(611)의 빛이 방출되는 방향에 위치되게 되고, 상기 반사부(614)가 상기 발광부(611)의 빛을 더욱 효과적으로 반사시킬 수 있다.
상기 전장부(613)는, 상기 발광부(611)가 빛을 방출하기 위하여 필요한 전원의 공급 및 상기 발광부(611)를 통하여 다양한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제어 신호의 전달에 필요한 다양한 전장부품이 구비된다.
상기 확산부(60)는, 상기 본체(10)의 전면을 관통하여 전방으로 노출된다. 보다 상세히, 상기 확산부(60)는 상기 노출홀(200)을 통하여 전방으로 노출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확산부(60)는 상기 발광부(611) 및 반사부(614)로부터 입사되는 빛을 상기 실내기(1)의 전방으로 전달 및 확산시키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디스플레이부(6)에서 방출되는 빛이 상기 확산부(60)를 통하여 상기 실내기(1)의 전방으로 방출되는 것이다. 상기 확산부(60)의 일측에는, 상기 확산부(60)가 상기 디스 플레이고정부(62)에 결합되기 위한 결합부(601)가 구비된다.
한편, 상기 디스플레이부(6) 및 확산부(60)는, 상기 실내기(1)에 설치된 상태에서, 적어도 일부가 상기 본체(10)의 전면부에 의하여 차폐된다. 이때, 상기 전면부는, 상기 본체(10)의 전면 외관을 형성하는 전면 패널(20) 및 전방 프레임(2) 중 적어도 하나가 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전면부는 전방 프레임(2)에 해당한다. 즉, 상기 전방 프레임(2)의 노출홀(200)이 상기 디스플레이부(6) 및 확산부(60)에 비하여 작은 크기로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실내기(1)의 전방에서 볼 때 상기 디스플레이부(6) 및 확산부(60)의 적어도 일부가 차폐되는 것이다.
특히, 상기 실내기(1)의 전방에서 볼 때, 상기 전방 프레임(2)에 의하여 상기 발광부(611)가 차폐된다. 따라서, 상기 발광부(611)에서 방출되는 빛이 상기 실내기(1)의 외부로 직접 입사되지 않고, 상기 반사부(614) 및 확산부(60)를 거쳐 상기 실내기(1)의 외부로 입사될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실내기(1)의 전방에서 볼 때, 상기 디스플레이부(6)의 빛이 더욱 은은하게 방출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의한 실내기(1)에 의하면, 사용자가 상기 디스플레이부(6)에 의한 조명으로 더욱 은은하고 편안한 느낌을 얻을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실내기(1)의 외관이 더욱 미려해 질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한편, 상기 디스차지 그릴부(5)의 상면에는, 상기 실내열교환기(41)에서 발생되는 응축수를 집수하기 위한 집수부(32)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집수부(32)에는 상방으로 돌출되는 격벽(541)이 형성된다.
다른 한편으로는, 상기 디스차지 그릴부(5)는, 상기 본체(10)의 내부 공간을 2개의 공간으로 구획하는 구획부(52)와, 상기 구획부(52)로부터 돌출되는 격벽(541)을 포함한다. 보다 상세히, 상기 구획부(52)는, 상기 본체(10)의 내부 공간을 상기 실내열교환기(41)를 통과하기 전의 실내 공기가 유동하는 제 1 공간(105)과, 상기 실내열교환기(41)를 통과한 후의 실내 공기가 유동하는 제 2 공간(106)으로 구획한다. 그리고, 상기 격벽(541)은 상기 구획부(52)의 일측으로부터 상기 제 1 공간(105)을 향하여 돌출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디스플레이고정부(62)는, 상기 격벽(541)에 고정된다. 이때, 상기 디스플레이고정부(62)가 상기 격벽(541)에 고정된 상태에서 즉, 상기 디스플레이부(6)가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부(6) 및 디스플레이고정부(62)는 상기 구획부(52)로부터 이격된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고정부(62)는, 상기 집수부(32)의 반대 방향에 해당하는 상기 격벽(541)의 일측에 고정된다. 즉, 상기 격벽(541)은 상기 집수부(32)와 상기 디스플레이부(6) 사이에 위치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고정부(62)는, 상기 격벽(541)에 결합되기 위한 결합부(621)를 포함한다. 상기 디스플레이고정부(62)가 상기 격벽(541) 즉, 디스차지 그릴부(5)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결합부(621)를 제외한 상기 디스플레이부(6)의 나머지 부분은 상기 디스차지 그릴부(5)와 이격된다.
상기 디스플레이고정부(62)가 상기 구획부(52)와 이격되고, 상기 결합부(621)를 제외한 상기 디스플레이고정부(62)의 나머지 부분이 상기 디스차지 그릴부(5)와 이격되기 때문에, 상기 제 2 공간(106)을 통하여 유동하는 실내 공기에 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6)에 응축수가 발생되는 현상이 최소화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상기 실내기(1)가 냉방 모드로 작동 중에, 상기 제 1 공간(105)의 실내 공기는, 상기 제 2 공간(106)의 실내 공기에 비하여 낮은 온도를 가진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부(6)는 상기 제 1 공간(105)에 노출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제 2 공간(106)을 유동하는 실내 공기에 의하여 상기 디스차지 그릴부(5)가 냉각되고, 상기 디스차지 그릴부(5)와 접촉되는 상기 디스플레이고정부(62) 및 디스플레이부(6)도 함께 냉각되어, 상기 디스플레이부(6)에 응축수가 발생될 염려가 있다.
다른 한편으로는, 상기 집수부(32)에 집수되는 응축수는 제 1 공간(105)의 실내 공기에 비하여 낮은 온도를 가진다. 따라서, 상기 집수부(32)에 집수된 응축수에 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6)가 냉각되어 상기 디스플레이부(6)에 응축수가 발생될 염려가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의한 실내기(1)에 의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6) 및 디스플레이고정부(62)가 상기 디스차지 그릴부(5)와 이격되기 때문에 즉, 접촉면적이 최소화되기 때문에, 상기 응축수가 발생되는 현상이 최소화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부(6)가 상기 디스플레이고정부(62)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부(6)와 디스플레이고정부(62) 사이에는 상기 디스플레이부(6)에 응축수가 발생되는 현상을 최소화하기 위한 단열공간이 형성된다. 보다 상세히, 상기 디스플레이부(6)와 디스플레이고정부(62) 사이에 상기 단열공간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디스플레이부(6)가 상기 디스플레이고정부(62)에 의하여 냉각되는 것이 최소화될 수 있으므로, 상기 디스플레이부(6)에 응축수가 발생되는 현상이 더욱 최소화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첨부한 특허청구범위에 기초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의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의 디스플레이부를 보인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에서 디스플레이부의 분해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의 디스플레이부를 보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의 디스플레이부를 보인 절개사시도.

Claims (10)

  1.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에 구비되고, 실내 공기 및 냉매 간의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실내열교환기;
    상기 실내 공기를 강제 유동시키기 위한 팬모터어셈블리;
    상기 본체의 전면 외관을 형성하는 전면부; 및
    상기 본체의 외부로 빛을 방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적어도 일부를 차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빛을 방출하는 발광부; 및
    상기 발광부의 빛을 받아 다양한 방향으로 반사시키는 반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전방에서 볼 때, 상기 전면부가 상기 발광부를 차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부는 형광물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 및 반사부로부터 입사되는 빛을 전달 및 확산시키는 확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확산부는, 상기 본체의 전면을 관통하여 전방으로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부는, 상기 본체의 외관을 형성하는 전면 프레임 및, 상기 전면 프레임의 전방에 위치되는 전면패널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상기 본체에 고정하기 위한 디스플레이고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상기 본체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부와 상 기 디스플레이고정부 사이에는 응축수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차지 그릴부는,
    상기 본체의 내부 공간을 상기 제 1 공간 및 제 2 공간을 구획하는 구획부; 및
    상기 구획부로부터 상기 제 1 공간을 향하여 돌출되는 격벽을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격벽에 결합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상기 격벽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구획부로부터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차지 그릴부는 상기 실내열교환기에서 발생되는 응축수를 집수하기 위한 집수부를 포함하고,
    상기 격벽은 상기 집수부와 상기 디스플레이부 사이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은, 상기 디스플레이고정부가 결합되기 위하여 상기 격벽으로부터 돌출되는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고정부가 상기 결합부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고정부는 상기 결합부를 제외한 상기 격벽의 나머지 부분과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20090091486A 2009-09-28 2009-09-28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16638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1486A KR101663831B1 (ko) 2009-09-28 2009-09-28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1486A KR101663831B1 (ko) 2009-09-28 2009-09-28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4107A true KR20110034107A (ko) 2011-04-05
KR101663831B1 KR101663831B1 (ko) 2016-10-07

Family

ID=440427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1486A KR101663831B1 (ko) 2009-09-28 2009-09-28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63831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016665A (zh) * 2016-06-20 2016-10-12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空调面板及具有其的空调装置
WO2021134901A1 (zh) * 2019-12-31 2021-07-08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显示组件和窗式空调器
CN114183914A (zh) * 2021-12-10 2022-03-15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空调屏幕的除凝露方法及装置
US11313574B2 (en) 2019-12-31 2022-04-26 Gd Midea Air-Conditioning Equipment Co., Ltd. Display assembly and window air conditione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04299A (ja) * 1995-06-20 2000-11-02 Toshiba Kyaria Kk 空気調和機の室内ユニット
JP2005249326A (ja) * 2004-03-05 2005-09-1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空気調和機
KR20050113368A (ko) * 2004-05-27 2005-12-02 키타지마 시게마사 면발광(面發光)유니트(Unit)
KR20090076092A (ko) * 2008-01-07 2009-07-13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04299A (ja) * 1995-06-20 2000-11-02 Toshiba Kyaria Kk 空気調和機の室内ユニット
JP2005249326A (ja) * 2004-03-05 2005-09-1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空気調和機
KR20050113368A (ko) * 2004-05-27 2005-12-02 키타지마 시게마사 면발광(面發光)유니트(Unit)
KR20090076092A (ko) * 2008-01-07 2009-07-13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016665A (zh) * 2016-06-20 2016-10-12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空调面板及具有其的空调装置
WO2021134901A1 (zh) * 2019-12-31 2021-07-08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显示组件和窗式空调器
US11313574B2 (en) 2019-12-31 2022-04-26 Gd Midea Air-Conditioning Equipment Co., Ltd. Display assembly and window air conditioner
CN114183914A (zh) * 2021-12-10 2022-03-15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空调屏幕的除凝露方法及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63831B1 (ko) 2016-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0093684A (ko) 공기조화기용 벽 매입형 실외기
KR20110034107A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1123315B1 (ko) 일체형 공기조화기
CN101769567A (zh) 分体式变频空调室外机
KR20040092471A (ko) 전면 흡토출 방식의 공기조화기용 실외기 및 이를 이용한실외기 설치 시스템
EP3385627B1 (en) Outdoor unit
KR20050019444A (ko) 공기조화기
CN112555981A (zh) 空调机组
JP5803974B2 (ja) 化粧パネル及びそれを備えた空気調和機の室内ユニット
CN219976623U (zh) 空调器及烟机空调组合机
WO2023276597A1 (ja) 換気装置、および換気装置の組み立て方法
CN219656192U (zh) 一种冷暖型厨房空调
CN215637559U (zh) 空调器
CN217635966U (zh) 一种壳体组件及除湿机
CN219913258U (zh) 窗式空调器
CN216131977U (zh) 空调装置
CN219607230U (zh) 空调器
KR100350439B1 (ko) 에어컨디셔너의 실외기용 전장품 고정장치
JP6648770B2 (ja) 発光ユニットおよび空気調和装置
KR20110034106A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CN111442424A (zh) 一种除湿机
CN107003018B (zh) 室外机
KR200213719Y1 (ko) 분리형 에어컨의 실내기
CN1979021A (zh) 空调器室内机进风电机电源线的固定装置
KR101010454B1 (ko)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