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34034A - 고속 공유 제어 채널 시그널링 처리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고속 공유 제어 채널 시그널링 처리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34034A
KR20110034034A KR1020117004562A KR20117004562A KR20110034034A KR 20110034034 A KR20110034034 A KR 20110034034A KR 1020117004562 A KR1020117004562 A KR 1020117004562A KR 20117004562 A KR20117004562 A KR 20117004562A KR 20110034034 A KR20110034034 A KR 201100340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stream
information
signaling
modulation scheme
sc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045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91292B1 (ko
Inventor
위 양
바오쥐앤 궈
앤핑 싱
Original Assignee
다 탕 모바일 커뮤니케이션즈 이큅먼트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 탕 모바일 커뮤니케이션즈 이큅먼트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다 탕 모바일 커뮤니케이션즈 이큅먼트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100340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340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12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12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24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 H04B7/26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 H04B7/2603Arrangements for wireless physical layer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413MIMO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종 고속 공유 제어 채널 시그널링 처리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한다. 이 방법은 다중 입력 다중 출력 더블 데이터 스트림 전송을 진행할 시 소요되는 제어 정보와 디스패치 정보에 근거하여 고속 공유 제어 채널 상의 시그널링 길이를 확정하는 절차; 데이터 스트림이 소요하는 제어 정보와 디스패치 정보를 획득하는 절차; 확정된 시그널링 길이에 따라 획득한 제어 정보와 디스패치 정보에 근거하여 고속 공유 제어 채널 시그널링을 구축하는 절차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고속 공유 제어 채널 시그널링 처리 방법 및 시스템{SIGNALING PROCESS METHOD AND SYSTEM FOR HIGH-SPEED SHARED CONTROL CHANNEL}
본 발명은 통신 기술 영역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는, 일종 고속 공유 제어 채널 시그널링 처리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HSPA(High-Speed packet access, 고속 패킷 액세스)중의 HSDPA(High-Speed downlink packet access, 고속 다운 링크 패킷 액세스) 기술은 TD-SCDMA(Time Division Synchronize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시분할 동기 CDMA시스템; 3GPP조직에 의해 정의 된 3G 네트워크 표준 중의 하나)표준의 무선 부분에서의 증강과 진화로서 다운 링크 데이터의 전송 속도를 현저하게 제고하였다. TDD(Time division duplex, 시분할 복신) HSDPA중에 새로 증가 된 고속 공유 제어 채널 HS-SCCH(High-Speed shared control channel, 고속 공유 제어 채널)은 HS-DSCH(High Speed Downlink Shared Channel, 고속 다운 링크 공유 채널)채널 디코딩에 소요하는 제어 정보와 디스패치 정보를 적재하는 것을 책임지고 1개 HS-SCCH채널은 2개 다운 링크 SF=16의 코드 채널을 점유하고 또한 모두 time slot format#5와 #0을 점유하며 QPSK(Quadrature Phase Shift Keying, 직교 위상 편이 변조)변조를 채용한다. NodeB(기지국)은 여러개 HS-SCCH채널의 정보를 부동한 그룹의 단말에 전송할 수 있는데 만일 HS-SCCH가 확정되지 않으면 단말은 제일 많아 4개 HS-SCCH 채널의 정보를 모니터하여야 한다. 만일 HS-SCCH가 확정되면 단말은 단 1개 HS-SCCH채널의 정보를 모니터 한다. 매개 HS-DSCH TTI(Transmission Time Interval, 전송 시간 간격)에 대해 HS-SCCH는 HS-DSCH와 관련된 표 1에 도시한 바와 같은 다운 링크 시그널링을 휴대한다. 도 1은 또한 기존 규범TS25.222중의 HS-SCCH코딩 흐름도를 도시하였다.
1.28Mcps TDD HSDPA의 HS-SCCH채널이 포함한 시그널링 정보의 약표



TFRI (그후의 HS-PDSCH의 전송 포맷을 지시)
슬롯 코드 채널 분배 (모두 13bit, 그중 8bit는 코드 채널을 지시하는데 사용하고 5bit는 슬롯을 지시하는데 사용) 코드 채널의 분배는 필연적으로 연속적이며 매개 슬롯에 분배되는 코드 채널은 동일하게 start=15, stop=0으로서 SF=1및 그 나머지 경우에 start<stop임을 표명
변조 방식(1bit) 0--QPSK, 1-16-QAM;
전송 블록 크기 (6bits) 색인 값






HARQ정보
HARQ프로세스 식별 HAP(3bit) 값 범위0-7, 즉 1개 전송 채널 위의 병렬 프로세스는 제일 많아 8개
증량 중복 버전 번호 (3bit) r, s(자체 디코딩 능력 소유 여부)
b(16QAM-의 bit재정렬을 영향)를 지시
새로운 데이터 지시 (1bit) 새로운 데이터 인지 아니면 재송신 데이터 인지 지시
HCSN(3bit) 전력 제어 과정 중에서 HS-SCCH의 블록 오류율 BLER을 통계 할 때 소요

H-RNTI
(16bit) 제어 정보가 소속하는 UE를 표식

SS
업링크 동기화 제어 워드 HS-SICH의 업링크 동기화를 유지 하는데 사용

TPC
업링크 전력 제어용 제어 워드 HS-SICH의 폐쇄 루프 전력 제어
그중, 영문 약자의 의미는 각각 아래와 같다.
TFRI은 전송 포맷 자원 지시(Transport Format Resource Indicator)로서 그후의 HS-PDSCH의 전송 포맷을 지시하는데 사용;
QAM는 직교 진폭 변조(Quadrature Amplitude Modulation);
HARQ는 하이브리드 자동 재전송 요청(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HAP는 핸드 셰이크 인증 프로토콜(Handshake Authentication Protocol);
HCSN는 HS-SCCH 순환 시퀀스 번호(HS-SCCH cyclic sequence number);
BLER는 블록 오류율(Block Error Rate);
H-RNTI는 HS-DSCH채널 표식;
UE는 사용자 장비(User Equipment);
SS는 동기화 시프트(Synchronization Shift);
HS-SICH는 고속 공유 정보 채널(High-Speed Shared Information Channel);
TPC는 전송 전력 제어(Transmission Power Control).
도 1은 기존 규범TS25.222중 HS-SCCH의 코딩과 멀티플렉싱 흐름의 약도이다. 도면에 표시한 바와 같이 각 절차는:
멀티플렉싱 절차: HS-SCCH상의 모든 시그널링 정보를 함께 멀티플렉싱 하고;
CRC(Cyclic Redundancy Check, 순환 중복 검사)절차: CRC와 UE ID의 배타적 논리합을 가하여(즉, CRC의 매 비트와 UE ID의 매 비트에 대해 배타적 논리합 운산을 진행) 전송 블록상의 순환 중복 검사를 이용하여 오류 검출 기능을 수행함과 동시에 또한 UE ID를 통해 이 채널 상의 정보가 어느 UE에 소속하는지 표식하며;
그 다음 순차적으로 채널에 대해 코딩을 진행하는 채널 코딩 절차, 레이트 매칭 절차, 인터리빙 절차, 인터리빙한 후의 시퀀스를 2개의 물리 채널 상에 분배하는 물리 채널 분할 절차, 물리 채널이 분할한 출력 비트 스트림을 분배된 대응한 코드 채널 상에 매핑하는 물리 채널 매핑 절차를 수행한다.
이로부터 알수 있다 싶이, 송신하여야 하는 다운 링크 데이터가 존재할 때 Node B는 먼저 HS-SCCH채널 상에서 다운 링크 디스패치와 제어 정보를 송신하고 UE에 대해 후속적인 HS-PDSCH상에 HSDPA데이터가 존재한다고 지시하고 UE는 HS-SCCH채널을 해석하는 것을 통해 전송 블록을 수신하고 상응한 HS-SICH채널을 이용하여 Node B에 ACK/NACK(확인/비 확인)정보와 CQI(Channel Quality Indicator, 채널 품질 지시)정보를 피드백한다.
TDD HSPA+시스템에서 MIMO(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다중 입력 다중 출력) 더블 데이터 스트림 전송을 진행할 시, 한갈래 고속 데이터 스트림이 병렬의 두갈래 저속 데이터 스트림으로 갈라지고 Turbo코딩, 인터리빙, QPSK/16QAM등 변조를 거친다. 두갈래 데이터 스트림은 부동한 코딩율과 부호 매핑을 사용할 수 있으므로 매개 스트림 상에 분배한 정보 비트 개수도 서로 부동하다. 매개 데이터 스트림은 다시 C개 서브 스트림(C는 UE능력에 의해 정의 된 HS-PDSCH의 최대개수)으로 갈라지며 매개 서브 스트림은 다시 스펙트럼 확산, 스크램블링을 거친 후 멀티 안테나를 통해 발사한다.
MIMO더블 데이터 스트림 발사를 지원하기 위해서는 HS-SCCH 채널에서 더블 데이터 스트림 데이터를 수신하는데 소요하는 상응 제어 시그널링 정보를 지시하여햐 하며 주요하게 전송 포멧과 HARQ정보를 포함한다. MIMO더블 데이터 스트림 전송시 Node B는 UE에 두갈래 병렬 데이터를 송신하며 즉, 매개 TTI내에서 2개 데이터 블록을 송신하며 매개 데이터 스트림이 경력하는 공간 채널 조건은 부동함으로 응당 두갈래 데이터 스트림에 대해 각각 AMC(Adaptive Modulation and Coding, 적응 변조 및 코딩)를 진행하여 두갈래 데이터 스트림에 대해 각자의 TBS(Transport Block Size, 전송 블록 크기)와 변조 방식을 선택하여야 하지만 기존의 HSDPA HS-SCCH채널 중의 TBS와 변조 방식의 시그널링 비트(표1을 참조)는 단지 단일 데이터 스트림 상의 TBS와 변조 방식을 지시하는데 즉 단지 단일 데이터 스트림 전송의 경우만 지원한다. 또한 두갈래 데이터 스트림은 각자 독립적으로 전송되기 때문에 그들이 각자 사용하는 HARQ프로세스 및 데이터 블록의 재송신과 사용하는 중복 버전 정보는 모두 상호 독립적이지만 기존의 HSDPA HS-SCCH채널도 단지 단일 데이터 스트림 상의 HARQ과 관련된 시그널링만 제공 할 수 있는데 즉 단지 단일 데이터 스트림 전송만 지원한다.
비록 종래기술에서 TDD표준 시스템의 HS-SCCH는 단지 단일 데이터 스트림만 지원 하지만 FDD(Frequency Division Duplex, 주파수 분할 듀플렉스)표준 시스템의 HS-SCCH는 단일 데이터 스트림과 더블 데이터 스트림을 지원할 수 있지만 단일 데이터 스트림과 더블 데이터 스트림의 HS-SCCH시그널링 총 길이는 휴대해야 할 정보 량이 부동함에 따라 부동하기 때문에 이 2개 HS-SCCH시그널링 길이는 부동하다.
이 2개 HS-SCCH시그널링 길이가 부동하고 또 명확한 데이터 스트림 개수 지시 정보가 없을 때 수신단에서 블라인드 디코딩을 사용하여 목전 단일 데이터 스트림을 지원하는지 아니면 더블 데이터 스트림을 지원하는지 구분하여야 하는데 이는 만일 단일 데이터 스트림을 지원하면 단일 데이터 스트림의 펑처링 패턴을 사용하여 디코딩하여야 하며 만일 더블 데이터 스트림의 펑처링 패턴을 사용하여 디코딩하면 필연적으로 오류가 나타나기 때문이다. 때문에 이 방안에서는 블라인드 디코딩 기술 수단의 사용이 필요 되는데 이로 인하여 이 방안의 부족점은 아래와 같다. 즉 HS-SCCH시그널링은 처리상에서 길이가 부동한 부족점이 존재하기 때문에 UE는 블라인드 디코딩 처리 방식하에서 상응하게 디코딩을 두번 진행할 필요가 있는데 이로 인하여 디코딩 효율을 하강시키고 복잡성을 증가하고 UE가 소비하는 전기 에너지를 증가한다.
본 발명은 일종 HS-SCCH시그널링 처리 방법과 시스템을 제공하여 종래 기술 중에서 HS-SCCH시그널링의 처리에 존재하는 부족함으로 인한, UE가 상응하게 디코딩을 두번 진행하여야 하는 문제를 해결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일종 고속 공유 제어 채널 시그널링 처리 방법을 제공하는데 이 방법은
다중 입력 다중 출력MIMO 더블 데이터 스트림 전송을 진행할 시 소요되는 제어 정보와 디스패치 정보에 근거하여 다운 링크 고속 공유 제어 채널 HS-SCCH 상의 시그널링 길이를 확정하는 절차;
데이터 스트림이 소요하는 제어 정보와 디스패치 정보를 획득하는 절차;
확정된 시그널링 길이에 따라 획득한 제어 정보와 디스패치 정보를 휴대한 HS-SCCH 시그널링을 구축하는 절차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이 방법은 구축된 HS-SCCH 시그널링에 대해 코딩을 진행하는 절차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데이터 스트림이 소요하는 제어 정보와 디스패치 정보를 획득하는 절차는 구체적으로
MIMO전송 시의 데이터 스트림이 단일 데이터 스트림 인지 아니면 더블 데이터 스트림 인지 확정하고;
단일 데이터 스트림이라고 확정할 때 당해 단일 데이터 스트림이 소요하는 제어 정보와 디스패치 정보를 획득하고; 더블 데이터 스트림이라고 확정할 때 매개 데이터 스트림이 소요하는 제어 정보와 디스패치 정보를 획득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또 일종 고속 공유 제어 채널 시그널링 처리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이 시스템은
MIMO 더블 데이터 스트림 전송을 진행할 시 소요되는 제어 정보와 디스패치 정보에 근거하여 HS-SCCH 상의 시그널링 길이를 확정하는 길이 확정 모듈;
데이터 스트림이 소요하는 제어 정보와 디스패치 정보를 획득하는 획득 모듈;
상기 시그널링 길이에 따라 획득한 제어 정보와 디스패치 정보에 근거하여 HS-SCCH 시그널링을 구축하는 시그널링 구축 모듈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이 시스템은 상기 구축된 HS-SCCH 시그널링에 대해 코딩을 진행하는 코딩 모듈을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획득 모듈은
MIMO전송 시의 데이터 스트림이 단일 데이터 스트림 인지 아니면 더블 데이터 스트림 인지 확정하는 데이터 스트림 개수 확정 수단;
단일 데이터 스트림이라고 확정할 때 당해 단일 데이터 스트림이 소요하는 제어 정보와 디스패치 정보를 획득하고; 더블 데이터 스트림이라고 확정할 때 매개 데이터 스트림이 소요하는 제어 정보와 디스패치 정보를 획득하는 정보 획득 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유익한 효과로는 아래와 같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우선 HS-SCCH가 MIMO 더블 데이터 스트림 전송 시에 소요하는 제어 정보와 디스패치 정보에 근거하여 HS-SCCH의 시그널링 길이를 확정하고 이 시그널링 길이가 확정된 후에는 단일 데이터 스트림 인지 아니면 더블 데이터 스트림 인지에 상관없이 모두 확정된 시그널링 길이를 표준으로 하여 목전에 MIMO전송 시의 데이터 스트림이 소요하는 제어 정보와 디스패치 정보에 근거하여 HS-SCCH 시그널링을 구축하는데 다시 말해서 목전 단일 데이터 스트림으로 전송하는지 아니면 더블 데이터 스트림으로 전송하는지에 상관없이 구축된 후의 시그널링의 길이는 일치하며 그 다음 구축된, 통일된 길이의 HS-SCCH 시그널링에 대해 코딩한 후 송신한다. 때문에 본 발명의 방안을 실시함에 있어서 당해 채널을 디코딩할 시 블라인드 디코딩을 사용할 필요가 없이 직접 유일한 디코딩 방식을 사용하기만 하면 되며 UE는 디코딩을 두번 진행할 필요가 없어 디코딩 효율이 하강되고 복잡성이 증가되고 UE가 소비하는 전기 에너지를 증가하는 부족점을 극복하였다.
도 1은 기존 규범TS25.222중 HS-SCCH의 코딩과 멀티플렉싱의 흐름 약도이고;
도 2는 본 발명 실시예 중의 상기 HS-SCCH시그널링 처리 방법의 실시 흐름 약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중의 상기 HS-SCCH시그널링 처리 시스템의 구조 약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중의 상기 UE가 MIMO HS-SCCH 시그널링을 수신하는 흐름 약도이다.
아래에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방식에 대해 설명한다.
기존의 HSDPA HS-SCCH는 MIMO 더블 데이터 스트림 전송을 지원할 수 없기 때문에 이 채널 상의 기존 제어 시그널링에 대해 확장과 수정을 진행할 필요가 있는데 예를 들어 HARQ 관련 시그널링과 전송 포멧을 지시하는 시그널링 등을 모두 확장할 필요가 있어 HS-SCCH로 하여금 UE에 MIMO더블 데이터 스트림을 수신하는 HS-PDSCH채널을 제공할 때 소요하는 제어 정보와 디스패치 정보를 제공 할 수 있도록 할수 있는데 그중에는 두갈래 데이터 스트림이 각각 AMC를 진행 할 때 각자 선택한 TBS와 변조 방식, 및 그들이 각자 사용하는 HARQ 프로세스, 재전송 지시와 중복 버전 정보 등을 포함한다. 또한 MIMO동작 모드는 채널 조건의 우열에 의해 단일 데이터 스트림 전송을 사용할 것 인지 아니면 더블 데이터 스트림 전송을 사용할 것 인지 선택하기 때문에 MIMO를 지원하는 HS-SCCH상에서 데이터 스트림 개수를 지시하는 지시 정보를 설계하여 UE로 하여금 정확하게 데이터를 수신하게 한다.
다른 한 방면으로는 코딩 방안에 있어서, 기존 규범 TS25.222중에서 HSDPA HS-SCCH채널 상의 모든 제어 시그널링 정보를 함께 멀티플렉싱한 후 도1에 표시된 바와 같이 컨벌루션 코딩, 레이트 매칭, 인터리빙 및 물리 채널의 분할과 매핑을 진행한다. 하지만 기존의 HS-SCCH채널은 TDD HSPA+중의 MIMO기술을 지원 할 수 없기 때문에 이 채널의 시그널링에 대해 확장과 수정을 진행한 후 상응하게 또 새로운 코딩 방안을 사용하거나 혹은 기존 코딩 방안 기초에서 수정을 진행할 필요가 있으며 그 목적은 UE로 하여금 정확하게 당해 채널로부터 Node B가 송신하려 하는 데이터 스트림의 개수, 사용하는 물리 자원, 및 매개 데이터 스트림 상의 전송 포맷과 HARQ 파라미터 등 제어 정보를 획득하게 한다.
진일보로 TDD시스템에서 MIMO의 HS-SCCH구조와 코딩 방안을 지원할 필요가 있을 때 MIMO는 항상 더블 데이터 스트림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발사하는 것이 아니라 채널 조건이 나쁠 때 데이터의 전송 품질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단일 데이터 스트림에 전환하여 발사할 필요가 있고 채널 조건이 비교적 좋을 때는 또 더블 데이터 스트림에 전환하여 발사하여야 한다. 때문에 MIMO HS-SCCH구조 면에서 설명의 편리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 중에서 MIMO를 지원하는 HS-SCCH를 MIMO HS-SCCH라 하며 그가 포함하는 시그널링 정보는 단일 데이터 스트림도 지원할 수 있어야 하고 또 더블 데이터 스트림도 지원할 수 있어야 한다. 하지만 단일, 더블 데이터 스트림의 MIMO HS-SCCH는 부동한 채널 구조, 시그널링 정보 시퀀스 길이 및 부동한 코딩 방안을 구비한다.
진일보로 기존의 HSDPA HS-SCCH는 MIMO 더블 데이터 스트림 전송을 지원 할 수 없기 때문에 MIMO더블 데이터 스트림 전송시에 소요하는 제어 정보와 디스패치 정보에 휴대할 수 있는 HS-SCCH를 구축 할 필요가 있는데 즉 단일 데이터 스트림에 대한 HS-SCCH를 구축할 필요가 있을 뿐만 아니라 더블 데이터 스트림에 대한 HS-SCCH를 구축할 필요도 있다. 하지만 만일 단지 단일 데이터 스트림과 더블 데이터 스트림이 소요하는 제어 정보와 디스패치 정보에만 근거하여 HS-SCCH를 구축하면 단일 데이터 스트림을 지원하는 HS-SCCH 시그널링 총 길이와 더블 데이터 스트림을 지원하는 HS-SCCH 시그널링 총 길이가 휴대하여야 할 정보양이 부동함에 따라 부동하기 때문에 부동한 레이트를 사용하여 펑처링 패턴을 매칭하여 이런 시그널링의 코딩후의 출력 시퀀스 길이를 2개 SF=16의 코드 채널에 의해 적재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하는데 이때 수신단에서 블라인드 검출을 사용하면 목전에 단일 데이터 스트림을 지원하는지 아니면 더블 데이터 스트림을 지원하는지 구분할 수 있다. 왜냐하면 만일 단일 데이터 스트림을 지원하면 단일 데이터 스트림의 펑처링 패턴을 이용하여 디코딩하여야 하기 때문이고 만일 더블 데이터 스트림의 펑처링 패턴을 이용하여 디코딩하면 필연적으로 오류가 나타나기 때문에 이 방안에서는 블라인드 디코딩의 기술수단을 사용하여야 한다. 실제적으로는 TDD시스템 중에서 MIMO를 지원할 시 MIMO는 항상 더블 데이터 스트림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발사하는 것이 아니라 채널 조건이 나쁠 때는 데이터의 전송 품질을 확보하기 위해 단일 데이터 스트림에 전환하여 발사하여야 하며 채널 조건이 좋아졌을 때는 다시 더블 데이터 스트림에 전환하여 발사 하는데 다시 말해서 단일 데이터 스트림과 더블 데이터 스트림 사이의 전환은 채널 조건에 따라 자기 적응적인 것이기 때문에 블라인드 디코딩의 처리 방식하에서 UE는 상응하게 디코딩을 두번 진행하여야 하는데 이는 디코딩 효율을 하강 시키고 복잡성을 증가하고 UE가 소비하는 전기 에너지를 증가하게 한다.
상기 분석에 근거하여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는 실시 방식을 제공하였다. 이 실시 방식 중에서 상기 기술 문제를 해결하는 사상으로는 아래에 서술하는 바와 같다. 즉 단일 데이터 스트림과 더블 데이터 스트림을 지원하는 2개 HS-SCCH시그널링 총 길이를 동일하게 설계하여 당해 채널을 디코딩할 때 블라인드 디코딩을 사용할 필요가 없이 직접 유일한 디코딩 방식을 사용하기만 하면 되고 그 후 HS-SCCH중의 어느 하나의 시그널링에 근거하여 이 채널이 목전 단일 데이터 스트림 제어 정보를 적재하는지 아니면 더블 데이터 스트림 제어 정보를 적재하는지 지시한다.
이로 하여, 본 발명은 일종 HS-SCCH시그널링 처리 방법을 제공하는데 아래에 이 방법의 구체적인 실시 방식에 대해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HS-SCCH시그널링 처리 방법을 실시하는 흐름 약도이고 도면에 표시된 바와 같이 HS-SCCH 시그널링에 대해 처리를 수행할 시 아래와 같은 절차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절차201. MIMO더블 데이터 스트림 전송을 수행할 시 소요하는 제어 정보와 디스패치 정보에 근거하여 HS-SCCH시그널링 길이를 확정;
절차202. MIMO전송 시의 데이터 스트림이 단일 데이터 스트림 인지 아니면 더블 데이터 스트림 인지 확정;
절차203. 단일 데이터 스트림이라고 확정될 때 이 단일 데이터 스트림이 소요하는 제어 정보와 디스패치 정보를 확정하고; 더블 데이터 스트림이라고 확정될 시 매개 데이터 스트림이 소요하는 제어 정보와 디스패치 정보를 확정;
절차204. 확정된 소요되는 제어 정보와 디스패치 정보에 근거하여 HS-SCCH 시그널링을 구축하고 구축된 HS-SCCH 시그널링의 길이가 확정된 HS-SCCH 시그널링 길이로 되게 한다.
절차204에서 확정된 시그널링 길이에 근거하여 HS-SCCH 시그널링을 구축하는 과정은 확정된 소요되는 제어 정보와 디스패치 정보에 근거하여 구축한 HS-SCCH 시그널링 길이가 확정된 시그널링 길이보다 작을 때 HS-SCCH 시그널링 중에 무효 비트 자리를 확정된 시그널링 길이까지 채워넣는 것을 통해 실현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HS-SCCH 시그널링을 구축한 후 이 HS-SCCH 시그널링 처리 방법은 또 구축된 HS-SCCH 시그널링을 코딩한 후 송신하는 절차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 중, 우선 절차201에서 HS-SCCH가 MIMO 더블 데이터 스트림 전송 시에 소요하는 제어 정보와 디스패치 정보에 근거하여 HS-SCCH의 시그널링 길이를 확정하고 이 길이가 확정된 후에는 단일 데이터 스트림 전송인지 아니면 더블 데이터 스트림 전송인지에 상관없이 모두 이 시그널링 길이에 근거하고 또 목전에 MIMO전송을 진행할 시의 데이터 스트림이 소요하는 제어 정보와 디스패치 정보에 근거하여 HS-SCCH 시그널링을 구축한다. 다시 말해서 목전에 단일 데이터 스트림으로 전송하는지 아니면 더블 데이터 스트림으로 전송하는지에 상관없이 구축된 후의 HS-SCCH 시그널링의 길이는 일치하며 구축된, 통일된 길이의 HS-SCCH 시그널링에 대해 코딩을 진행하여 송신한다. 때문에 이 채널을 디코딩 할 시 블라인드 디코딩을 사용할 필요가 없이 직접 유일한 디코딩 방식을 사용하기만 하면 되기 때문에 UE는 디코딩을 두번 진행할 필요가 없이 디코딩 효율이 하강 되고 복잡성이 증가되고 UE가 소비하는 전기 에너지가 증가되는 부족점을 극복하였다.
아래에 HS-SCCH 시그널링을 구축하는 구체적인 실시 방식에 대해 설명하는데 HS-SCCH 시그널링을 구축하는 원칙은 주요하게 구축 후의 HS-SCCH 시그널링 길이가 일치할 것을 확보하여야 할 뿐만 아니라 HS-SCCH 시그널링 중에 데이터 스트림 전송을 진행하는데 소요하는 제어 정보와 디스패치 정보를 휴대하여야 할 것을 확보하여야 한다.
1.28Mcps TDD HSPA+에서는 표1중에 표시된 기존 HSDPA HS-SCCH채널 구조의 기초에서 확장과 수정을 진행하여 MIMO전송을 지원할 수 있는 새로운 HS-SCCH구조를 얻을 필요가 있다.
본 발명 실시예 중에서 단일 데이터 스트림과 더블 데이터 스트림을 지원하는 2개 HS-SCCH시그널링을 총 길이가 동일하게 설계하는 원칙에 따라 아래에 HSPA+중 HS-SCCH상의 각종 제어 정보의 시퀀스 길이와 표시 방식을 제시한다.
1) 슬롯 코드 채널 분배
13bits를 채용한다. 기존의 표준과 동일한데 즉, 단일 데이터 스트림 혹은 더블 데이터 스트림 포멧의 HS-SCCH에 상관없이 모두 8bits가 코드 채널을 지시하는데 사용되고 5bits가 슬롯을 지시하는데 사용된다.
2) 변조 방식
제1표식 방식:
64QAM를 지원하지 않을 시 매개 데이터 스트림 상에는 각각 16QAM, QPSK, 무 변조 방식 이 3개 변조 방식이 존재할 수 있는데 즉, 조합한 후에 존재하는 변조 방식은 각각 16QAM-16QAM, QPSK-QPSK, 16QAM-QPSK, QPSK-16QAM, 16QAM-무, QPSK-무 등 6가지 방식이 있다.
3bits를 사용하면 이 6가지 가능한 변조 방식을 표식해 낼수 있다.
제2표식 방식:
64QAM를 지원할 시 매개 데이터 스트림 상에는 각각 16QAM, 64QAM, QPSK, 무 변조 방식 이 4개 변조 방식이 존재할 수 있는데 조합 방식은 64QAM을 지원하지 않는 경우와 동일하다. 또한 64QAM의 변조 방식을 증가하였기 때문에 상응하게 1bit가 증가되고 4bits를 이용하여 표식을 진행한다.
제3표식 방식:
1+1의 비트 설계 방식을 사용할 수 있는데 이 2개 비트는 각각 1개 데이터 스트림을 지시하고 1+1은 실시예에서 이해에 도움되기 위해 정의한 것으로서 단일 데이터 스트림 시 1bit를 사용하고 더블 데이터 스트림 시 2bits를 사용하는 것을 의미하는데 즉, 1개 데이터 스트림은 1개 bit를 사용하여 표식하고 단일 데이터 스트림을 전송할 시에는 1개 bit로 표식을 진행하고 다른 1개 bit자리는 무효 비트를 채우고 더블 데이터 스트림을 전송할 시에는 2개 bits로 각각 1개 데이터 스트림을 표식한다.
MIMO 더블 데이터 스트림 전송을 진행할 시 2개 데이터 스트림은 AMC를 통해 각각 완전히 독립된 레이트 제어를 진행하고 UE단의 검출 출력은 이 2개 데이터 스트림을 분리할 수 있는데 검출 후의 복조 디코딩 과정에서는 이 2개 데이터 스트림에 대해 독립적으로 진행한다. 때문에 MIMO의 더블 데이터 스트림 전송을 지원하기 위해 이 시그널링을 2개 비트로 설치할 수 있는데 그중 매개 비트는 1개 데이터 스트림 상의 변조 방식을 지시하는데 사용한다. 만일 단일 데이터 스트림 전송이면 1bit만 의의가 있고 다른 1bit는 무효다. 구체적인 암시적 지시 방식은 아래와 같을 수 있다.
Xms ,1 Modulation Scheme(변조 모드)
0 QPSK or 64QAM
1 16-QAM
UE가 변조 방식을 확정하는 방법은
만일 Xms ,1=1일 때 당해 데이터 스트림의 변조 방식은 16QAM이고;
만일 Xms ,1=0이면
1. UE는 우선 당해 데이터 스트림 상의 물리 자원 부하 능력과 전송 비트 율을 계산하고;
전송 비트율은 RAN(Radio Access Network,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이 HS-SCCH를 사용하여 분배한 물리 자원과 QPSK가 발사할 수 있는 최대 비트율이고; 물리 자원 부하 능력의 계산은 HS-SCCH 상의 채널화 코드 집합 정보와 슬롯 정보를 이용하여 진행할 수 있는데 전송 비트율은 HS-SCCH상의 TBS에 대응된다.
2. 만일 당해 데이터 스트림 상의 물리 자원 부하 능력에 R를 곱한 후 전송 비트율보다 작고 또한 R의 값 범위가 [0,1]이면 당해 데이터 스트림 변조 방식은 64QAM이고; 전송 비트율과 같거나 클 때 당해 데이터 스트림 변조 방식은 QPSK이다. 당업자들은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R는 시뮬레이션을 통해 획득 할 수 있고 그 값의 범위는 [0,1] 사이에 있으나 R의 값을 획득한 후에는 판단을 진행할 시 R의 값은 고정적인 것으로 [0,1]범위에서 임의로 선택하는 것이 아니 임을 이해할 수 있다. 즉 비록 R의 값의 범위는 [0,1]이지만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는 이 범위내에서 임의로 값을 선택하여 R로 하는 것이 아니라 사전에 시뮬레이션 방식을 통해 R의 값을 확정하고 R의 값 범위가 [0,1]일 때 상기 방법에 따라 판단을 진행한다.
또한, 실시예에서 물리 자원 부하 능력에 R를 곱하여 전송 비트율과 같은 경우가 발생할 때 QPSK이라고 판단되는데 즉 코드율 교차점에서 64QAM에 대해서는 개구간이고 QPSK에 대해서는 페구간이다. 이는 당업자에 대해서는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다.
제4표식 방식: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또한 변조 방식을 모두 생략하는 방법을 채용하여 시그널링을 지시함으로써 시그널링 사용을 절약할 수 있다.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우선 3개 변조 방식 사이의 2개 전환점을 획득하고 전환점이 대응하는 코드율은 각각 C1, C2인데 그중 C1은 QPSK변조 방식과 16QAM 변조 방식 사이의 전환점 코드율에 대응되며 C2는 16QAM변조 방식과 64QAM 변조 방식 사이의 전환점 코드율에 대응된다. 매개 전송 블록에 대해 자원 배치가 주어진 후에는 대응되는 코드율C를 획득할 수 있고 매핑 관계에 근거하여 적합한 변조 방식을 획득할 수 있으며 또한 데이터 스트림 상의 전송 블록의 자원 배치 정보에 근거하여 코드율 C를 획득할 수 있다. 구체적인 실시는 아래와 같을 수 있다. 즉
만일 C<C1이면 QPSK 변조 방식이고;
만일C1=C<C2이면 16QAM 변조 방식이며;
만일 C=C2이면 64QAM 변조 방식인데 구체적으로 실시할 때 전환점 코드율 값은 시뮬레이션을 통해 획득할 수 있다.
제3과 제4표식 방식의 실시에 있어서 다른 표식 방식을 채용하여 단일 데이터 스트림 인지 아니면 더블 데이터 스트림인지 식별할 필요가 있는데 아래와 같은 TBS을 사용하여 판단을 진행할 수 있다.
상기 4가지 표식 방식은 두 가지 류로 나눌 수 있는데 64QAM를 지원하는지 지원하지 않는가에 의해 구별하며 만일 제2, 3, 4 표식 방식이 모두 64QAM를 지원하면 그들은 같은 류에 속하며 어느 류를 채용하는가 하는 것은 표준의 제정과 설비의 지원에 의해 결정되며; 제2, 3, 4표식 방식 중에서는 그중 하나를 선택하여야 한다. 예를 들어 64QAM 변조 방식을 지원하고 전부 생략의 방식을 채용하여 암시적으로 QPSK/16QAM/64QAM 이 3가지 변조 방식을 지시한다.
3) TBS
단일 데이터 스트림일 때 6bits유효 자리+6bits 패딩 자리를 사용할 수 있는데 그중 패딩 자리는 0이고;
더블 데이터 스트림일 때 6+6=12bits을 사용할 수 있으며(매개 스트림은 6bits를 사용);
단일 데이터 스트림과 더블 데이터 스트림의 TBS시그널링 길이를 동일하게 유지하기 위하여 단일 데이터 스트림TBS 시그널링에 6개 비트의 0을 증가하여 총 비트 길이가 12로 되게 한다.
동시에 TBS정보의 이런 설계를 통해 또 데이터 스트림 개수 정보를 휴대하는데 예를 들어:
12개 비트 자리를 사용하여 TBS정보를 휴대하고 MIMO전송의 데이터 스트림이 단일 데이터 스트림일 때 6개 비트 자리에 무효 비트0을 패딩하는데 TBS정보를 휴대한 비트 자리 중 6개 비트 자리에 무효 비트0을 패딩된 상황일 때는 휴대한 데이터 스트림 개수 정보가 단일 데이터 스트림이라는 것을 확정할 수 있다.
4) HAP
단일 데이터 스트림과 더블 데이터 스트림은 모두 3bits를 사용하는데 그중 단일 데이터 스트림일 때 8개 프로세스를 지시하고 더블 데이터 스트림일 때 매개 스트림 상의 8개 프로세스를 2개씩 바인딩하는데 모두 8조의 프로세스가 된다.
진일보로 HAP정보 중에 1bit를 증가할 수도 있는데 이 방안에서 단일 데이터 스트림과 더블 데이터 스트림에 대해 모두 4bits를 채용하며 그중 3bits는 8개 프로세스 혹은 8조의 프로세스를 지시하고 다른 1bit는 첫번째 전송 혹은 재전송 스트림의 개수가 부동한 경우 재전송을 진행 하는 것이 어느 스트림 상의 프로세스 인지 혹은 어느 스트림 상에서 재전송할 것 인지를 지시하는 등 경우에 사용되며 시스템 디스패치의 유연성을 증가한다.
5) RV(Redundancy Version, 중복 버전)정보
2+2=4bits. TDD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고속 업링크 패킷 액세스)와 유사한 방식을 사용하여 미리 매번 재전송시 사용하는 RV파라미터를 정의하는데 예를 들어 모두 3번 재전송할 때 매번 사용되는 RV를 규범에 정의하고 그 다음 매개 데이터 스트림 상의 2bit RV시그널링에 근거하여 목전의 당해 데이터 스트림 상의 데이터 블록이 몇 번째 전송 인지를 알수 있어 사전의 정의에 근거하여 이번 전송에 사용되는 RV파라미터를 획득한다.
혹은 FDD(Frequency Division Duplex, 주파수 분할 듀플렉스)와 유사한 방식을 채용하여 미리 매번 재전송하는 RV파라미터를 정의하는 것이 아니라 각조의 RV 파라미터에 1개 표기를 할당하며 당해 시그널링이 지시하는 것은 RV파라미터의 표기로서 당해 시그널링을 디코딩하는 것을 통해 표기를 획득하며 이로 인하여 이번 전송에 사용되는 RV파라미터를 획득하지만 표기는 전송 차수를 대표하지는 아니한다.
실시예에서 정의한 2+2란 표기는 단일 데이터 스트림일 때 2bits를 사용하고 더블 데이터 스트림일 때 4bits를 사용하는 것을 가리키며 그중 매 2bits는 1개 데이터 스트림의 RV를 지시한다. 그 의미는 TDD HSUPA 혹은 FDD중의 방식과 같다.
만일 단일 데이터 스트림 전송이면 2bits만 의미가 있고 나머지 2bits는 무효다.
6) HCSN
3bits를 채용하고 기존 기술과 동일 할 수 있는데 이는 데이터 스트림 개수와 상관없기 때문이다.
7) H-RNTI
16bits를 채용하고 기존 기술과 동일 할 수 있는데 이는 데이터 스트림 개수와 상관없기 때문이다.
8) 데이터 스트림의 개수 지시가 0bit이고 다른 시그널링에 의해 암시적으로 지시할 수 있기 때문에 새로 시그널링을 증가하지 않을 수 있는데 이는 상기 TBS등 실시방식을 참조할 수 있다.
SS와 TPC는 기존 기술과 다름이 없어 실시예에서 다시 설명하지 않는다.
상기 HS-SCCH의 구축 실시에서 새로운 시그널링은 총 bits개수가 기존과 일치하게 유지할 필요가 없고 제어 정보와 디스패치 정보를 모두 표시해내기만 하면 된다. 더 좋은 효과를 얻기 위해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 가능한 한 비교적 적은 bit로 더블 데이터 스트림 전송을 지원하여야 하는데 이는 단 상기 한가지 실시방식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HS-SCCH시그널링을 구축하는 2개 원칙을 실현하기만 하면 되는데 즉, 단일 데이터 스트림 전송과 더블 데이터 스트림 전송에 대해 HS-SCCH시그널링 중의 상기 각 부분을 가한 총 비트 개수가 일치할 것을 확보해야 할 뿐만 아니라 또한 HS-SCCH시그널링 중에 데이터 스트림 전송에 소요하는 제어 정보와 디스패치 정보를 휴대할 것을 확보하여야 한다. 이로하여 일반적으로 단일 데이터 스트림의 시그널링의 총 길이는 더블 데이터 스트림 보다 짧기 때문에 이때 패딩 방식을 통해 단일 데이터 스트림의 시그널링 총 길이를 더블 데이터 스트림의 시그널링과 동일하게 증가시킬 필요가 있다.
아래에 구축된 HS-SCCH시그널링의 코딩 송신 과정의 구체 실시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코딩 절차는 기존 방안과 동일 할 수 있으나 시그널링 길이가 부동하기 때문에 코딩 코드율, 레이트 매칭 등 절차의 구체적인 파라미터는 시그널링 길이에 근거하여 설치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 기존 규범 중의 1.28Mcps TDD HSDPA의 HS-SCCH코딩 방안을 사용할 수 있는데 즉, MIMO HS-SCCH채널 상의 모든 시그널링 정보를 함께 멀티플렉싱하고 통일적으로 코딩한다. 실시예에서 단일 데이터 스트림과 더블 데이터 스트림의 총 시그널링 길이가 모두 동일하기 때문에 코딩 시 일종 코딩율만 채용하면 된다. 실시 절차는 도 1을 참조한다.
멀티플렉싱 절차: MIMO HS-SCCH채널 상의 모든 제어 정보 비트를 함께 멀티플렉싱하고;
CRC절차: 16자리 UE ID와 CRC의 배타적 논리합을 가하며;
채널 코딩 절차: 1/3컨벌루션 코드를 이용하여 CRC절차의 출력에 대해 코딩을 진행하며;
레이트 매칭 절차: 삭제한 비트 개수는 약 코딩 후의 총 비트 개수의 1/3이고 2개SF16 코드 채널에 적재할 수 있게 하며;
인터리빙 절차, 물리 채널 분할 절차는 기존 방안대로 실시하면 된다.
물리 채널 매핑 절차: 매핑 후 2개 SF16 코드 채널에 놓는다.
코딩 절차 중의 각 절차의 작용은 주요하게:
CRC와 UE ID의 배타적 논리 합을 가하고 전송 블록상의 순환 중복 검사를 이용하여 오차 검출 기능을 수행함과 동시에 UE ID를 통해 이 채널 상의 정보가 어느 UE에 속하는지 표식할 수 있고;
채널 코딩 절차 중에 사용되는 컨벌루션 코드는 전송 과정 중의 에러 코드를 극복하는데 사용되며;
레이트 매칭 절차 중에서 펑처링 패턴에 따라 코딩 출력의 비트 시퀀스에 대해 적당히 삭제하여 레이트 매칭 후의 비트 시퀀스 길이가 분배된 물리 채널 적재 능력에 적합하게 하여 전송 효율을 제고함과 동시에 삭제한 후 여전히 정확하게 디코딩 할수 있을 것을 확보하여야 하며;
인터리빙 절차의 작용은 돌발적 착오를 극복하기 위해서이며;
물리 채널 분할 절차는 인터리빙 후의 시퀀스를 두단으로 나뉘는데 그 목적은 인터리빙 후의 시퀀스를 2개 물리 채널에 분배하기 위해서이며;
물리 채널 매핑 절차에서는 물리 채널이 분할한 출력 비트 스트림을 대응되게 분배한 코드 채널상에 매핑한다.
동일한 발명 사상에 근거하여 본 발명은 또 일종 고속 공유 제어 채널 시그널링 처리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아래에 도면에 근거하여 본 시스템의 구체적인 실시방식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 실시예의 고속 공유 제어 채널 시그널링 처리 시스템 구조 약도이며 도면에 표시된 바와 같이 이 처리 시스템은
MIMO더블 데이터 스트림 전송을 진행하는데 소요하는 제어 정보와 디스패치 정보에 근거하여 HS-SCHH상의 시그널링 길이를 확정하는 길이 확정 모듈(301);
데이터 스트림이 소요하는 제어 정보와 디스패치 정보를 획득하는 획득 모듈(302);
상기 시그널링 길이에 따라, 그리고 획득한 제어 정보와 디스패치 정보에 근거하여 HS-SCCH시그널링을 구축하는 시그널링 구축 모듈(303)을 포함한다.
진일보로 이 처리 시스템은 또 구축된 HS-SCCH시그널링에 대해 코딩을 진행하는 코딩 모듈(30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진일보로 처리 시스템 중에 또 UE(305)를 더 포함할 수 있는데 UE중에는 제1판단 모듈, 제2판단 모듈, 제3판단 모듈, 제4판단 모듈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술한 판단 모듈은 상응한 시그널링 구축 방식에 근거하여 시그널링이 휴대한 제어 정보와 디스패치 정보를 판단하는데 실시예에서 진일보로 각자 완성하는 기능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 획득 모듈은
MIMO전송 시의 데이터 스트림이 단일 데이터 스트림 인지 아니면 더블 데이터 스트림 인지 확정하는 데이터 스트림 개수 확정 수단;
단일 데이터 스트림이라고 확정될 때 이 단일 데이터 스트림이 소요하는 제어 정보와 디스패치 정보를 획득하고; 더블 데이터 스트림이라고 확정될 때 매개 데이터 스트림이 소요하는 제어 정보와 디스패치 정보를 획득하는 정보 획득 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 시그널링 구축 모듈은 진일보로 시그널링 길이에 따라 HS-SCCH시그널링을 구축함에 있어서 확정된 제어 정보와 디스패치 정보에 근거하여 구축한 HS-SCCH시그널링 길이가 확정된 HS-SCCH시그널링 길이보다 작을 때 HS-SCCH시그널링 중에 무효 비트 자리를 시그널링 길이 만큼 패딩한다.
획득 모듈은 진일보로 데이터 스트림 개수 정보, 슬롯 코드 채널 분배 정보, 변조 방식 정보, TBS정보, HAP정보, RV정보, HCSN정보, H-RNTI정보, 신 데이터 지시 정보 중의 하나 혹은 그 조합을 포함하는 소요되는 제어 정보와 디스패치 정보를 획득한다.
시그널링 구축 모듈은 진일보로 상기 데이터 스트림에 소요하는 제어 정보와 디스패치 정보가 변조 방식 정보, TBS정보, 데이터 스트림 개수 정보를 포함 할 때 변조 방식 정보 및/혹은 TBS정보를 통해 데이터 스트림 개수 정보를 휴대한다.
상응하게 이 방안에서 UE중의 제1판단 모듈을 통해 그중에 휴대한 데이터 스트림 개수 정보를 식별해 낸다. 제1판단 모듈은 변조 방식 정보 중에 2개 데이터 스트림의 변조 방식을 포함할 때 휴대한 데이터 스트림 개수 정보가 더블 데이터 스트림이라고 확정하며 변조 방식 정보 중에 단 1개 데이터 스트림의 변조 방식만 포함할 때 휴대한 데이터 스트림 개수 정보가 단일 데이터 스트림이라고 확정한다.
시그널링 구축 모듈은 또 진일보로 HS-SCCH시그널링 중에 TBS 정보를 통해 데이터 스트림 개수 정보를 휴대할 때 12개 비트 자리를 사용하여 TBS 정보를 휴대하며 MIMO전송의 데이터 스트림이 단일 데이터 스트림일 때 TBS 정보의 6개 비트 자리에 무효 비트 자리를 패딩한다.
상응하게 이 방안에서, UE중의 제2판단 모듈을 통해 그중에 휴대한 데이터 스트림 개수 정보를 식별해낼 수 있다. 제2판단 모듈은 TBS정보를 휴대한 비트 자리 중 6개 비트 자리에 무효 비트 자리가 패딩되였을 때 휴대한 데이터 스트림 개수 정보가 단일 데이터 스트림이라고 확정하고 그렇지 않으면 휴대한 데이터 스트림 개수 정보가 더블 데이터 스트림이라고 확정한다.
시그널링 구축 모듈은 또 진일보로 HC-SCCH시그널링 중에서 HAP정보를 표식하는 비트 중에 1비트를 증가하는 것을 통해 첫번째 전송과 재전송 데이터 스트림 개수가 부동 할 시 재전송 데이터 스트림 상의 프로세스 혹은 제전송하는 데이터 스트림을 지시한다.
변조 방식 정보의 판단에 관해 UE중의 제3판단 모듈, 혹은 제4판단 모듈을 통해 그중에 휴대한 변조 방식 정보를 식별해낸다.
제3판단 모듈은 상기 변조 방식 정보를 통해 변조 방식을 확정할 시 데이터 스트림의 QPSK변조 방식, 16QAM변조 방식, 64QAM변조 방식 사이의 2개 전환점을 획득하고 전환점이 대응하는 코드율은 각각 C1, C2인데 그중 C1은 QPSK변조 방식과 16QAM 변조 방식 사이의 전환점 코드율에 대응되며 C2는 16QAM변조 방식과 64QAM 변조 방식 사이의 전환점 코드율에 대응된다.
데이터 스트림 상의 전송 블록의 자원 배치 정보에 근거하여 코드율C를 획득하고;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 C, C1, C2를 획득하는데는 선후 제한이 없고 판단을 진행할 시 모두 사용한다.
만일 C<C1이면 당해 데이터 스트림에 대응하는 변조 방식이 QPSK 변조 방식이라고 확정하고;
만일C1=C<C2이면 당해 데이터 스트림에 대응하는 변조 방식이 16QAM 변조 방식이라고 확정하며;
만일 C=C2이면 당해 데이터 스트림에 대응하는 변조 방식이 64QAM 변조 방식이라고 확정한다.
제3판단 모듈은 매개 데이터 스트림 상의 전송 블록에 대해 자원 배치 정보에 근거하여 대응되는 코드율 C를 획득할 수 있고 코드율C과 임계값C1,C2를 비교하면 변조 방식을 확정할 수 있다.
제4판단 모듈은 변조 방식 정보를 통해 변조 방식을 확정할 시 상기 변조 방식 정보를 휴대한 것이 2개 비트 자리이고 매개 비트 자리가 1개 데이터 스트림의 변조 방식을 휴대했다고 확정한다. 어느 데이터 스트림에 대응되는 비트 자리가 1일 때 이 비트 자리에 대응되는 데이터 스트림 변조 방식은 16QAM라고 확정하고 비트 자리의 값이 0일 때 이 비트 자리에 대응하는 데이터 스트림 상의 물리 자원 부하 능력과 전송 비트율를 획득하고 만일 물리 자원 부하 능력에 R를 곱한 후 전송 비트율 보다 작고 또한 R의 범위가 [0,1]이면 이 비트 자리에 대응하는 데이터 스트림 변조 방식이 64QAM이고 만일 물리 자원 부하 능력에 R를 곱한 후 전송 비트율 보다 크고 또한 R의 범위가 [0,1]이면 이 비트 자리에 대응하는 데이터 스트림 변조 방식은 QPSK이다. 마찬가지로 이R값은 사전에 시뮬레이션을 통해 얻을 수 있다.
본 시스템는 고속 공유 제어 채널 시그널링 처리 방법과 기술 문제를 해결하는 기술적 사상이 동일하고 동시에 기술 문제를 해결하는데 사용하는 기술 수단도 상사하기 때문에 본 시스템의 구체적 실시방식은 처리 방법 중의 실시방식을 참조할수 있다.
본 발명을 보다 더 잘 이해하기 위해 아래에 UE단에서 진행하는 HS-SCCH시그널링 디코딩 과정에 대해 설명하여 본 발명을 더욱 완정하게 이해하게 한다.
상기 실시예에서 동일한 시그널링 길이로 시그널링을 구축하고 코딩하여 송신한 후 TDD HSPA+의 다운 링크 수신단에서 UE는 MIMO HS-SCCH에 대해 디코딩 판단을 진행하여 HS-DSCH채널 디코딩에 소요하는 제어 정보와 디스패치 정보를 획득하여야 한다. 수신단의 UE가 MIMO HS-SCCH를 수신하는 처리 방식은 아래와 같다. 즉
고속 공유 제어 채널 시그널링 처리 방법 혹은 고속 공유 제어 채널 시그널링 처리 시스템의 실시를 통해 단일 데이터 스트림과 더블 데이터 스트림의 MIMO HS-SCCH시그널링 비트 시퀀스 길이가 동일하며 다시 말해서 레이트 매칭에 단 한가지 펑처링 패턴만 존재하게 하여 블라인드 디코딩을 사용할 필요가 없이 디코딩을 한번 진행하여 모든 시그널링 정보를 획득하며 UE로 하여금 디코딩을 두번 진행할 필요가 없게 하여 디코딩 효율이 하강 되고 복잡성이 증가되고 UE가 소비하는 전기 에너지를 증가하는 부족점을 극복하였다.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UE는 Node B가 송신하려고 하는 업무 데이터의 데이터 스트림 개수 정보를 획득할 때 TBS을 이용하여 판단을 진행하는데 예를 들어 만일 6bits가 모두 0이면 단일 데이터 스트림의 HS-SCCH시그널링이고 그렇지 않으면 더블 데이터 스트림의 HS-SCCH시그널링이라고 설명된다. 혹은 변조 방식 정보를 사용하여 판단을 진행하는데 예를 들어 제1표식 방식, 제2표식 방식 중에 단일 데이터 스트림과 더블 데이터 스트림 두가지 설계 방식을 포함하고 이로부터 데이터 스트림 개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상술한데 의해 데이터 스트림 개수 정보를 확정하면 기타 다운 링크 시그널링을 획득할 수 있는데 즉, 기타 시그널링 부분의 유효 비트 자리로부터 상응한 시그널링 정보를 획득한다.
도 4는 UE가 MIMO HS-SCCH시그널링을 수신하는 흐름 약도이고 상술한 설명에 의해 도면에 표시된 바와 같이 UE가 MIMO HS-SCCH 시그널링을 수신 할 때 아래와 같은 절차를 통해 실시할 수 있다. 즉
절차401: UE는 MIMO HS-SCCH 시그널링을 수신하고 디코딩 하며;
절차402: 디코딩이 정확한지 판단하고 "예"이면 절차403에 진입하고 "아니오"이면 절차406에 진입하며;
절차403: UE ID검출을 진행하고 이 UE에 속하는지 속하지 않는지 판단하고 "예"이면 절차404에 진입하고 "아니오"이면 절차406에 진입하며;
절차404: TBS정보 혹은 변조 방식 정보에 근거하여 데이터 스트림 개수 정보를 획득하며;
절차405: 데이터 스트림 개수 정보에 근거하여 기타 시그널링의 유효 비트 자리로부터 상응한 제어 정보와 디스패치 정보를 획득하며;
절차406: 수신한 데이터를 버린다.
상술한 설명으로부터 알수 있다 싶이 본 발명 실시예 중에서 MIMO를 지원하는 TDD시스템에서 HS-SCCH시그널링을 구축할 시 단일 데이터 스트림을 지원하는 시그널링 총 길이와 더블 데이터 스트림을 지원하는 시그널링 총 길이를 동일하게 설치하고 수신단이 제어 채널을 디코딩할 때 단 한번만 유일하게 디코딩하는 것으로 데이터 스트림 개수 정보와 기타 제어 정보를 획득 할 수 있다. 구체적인 실시에 있어서 단일 데이터 스트림의 시그널링에 무효 비트 자리를 패딩하는 것을 통해 단일 데이터 스트림의 시그널링 총 길이와 더블 데이터 스트림의 시그널링 총 길이를 동일하게 할 수 있다.
HS-SCCH시그널링을 디코딩할 시 먼저 암시적으로 데이터 스트림 개수 정보를 획득하고 다시 데이터 스트림 개수 정보에 근거하여 기타 시그널링 정보를 획득한다. 데이터 스트림 개수 정보를 암시적으로 지시하는 시그널링은 TBS시그널링 혹은 변조 방식 시그널링 등 일수 있다.
진일보로 HS-SCCH시그널링 상의 변조 방식 정보를 구축할 시 암시적 설계를 사용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이 시그널링을 전부 제거하고 사전 시뮬레이션을 통해 각 변조 방식 사이의 코드율 전환점을 확정한다. 혹은 부분적으로 이 정보를 암시적으로 지시하고 즉, 매개 데이터 스트림에 대해 1bit를 사용한 후 사전 시뮬레이션을 결합하여 그중의 일부 변조 방식 사이의 코드율 전환점을 확정한다.
때문에 본 발명 실시예가 제출한 TDD HSPA+시스템 중 MIMO를 지원하는 HS-SCCH방안에서는 블라인드 검출이 필요없고 수신단이 한번만 디코딩하면 되며 새로 증가한 시그널링으로 데이터 스트림 개수 정보를 지시할 필요가 없이 TBS 혹은 변조 방식 등 시그널링을 통해 암시적으로 획득하여 UE의 수신 디코딩 작업양을 감소하였다. 이로 하여 HSPA+중에서 MIMO기술을 더 잘 지원하여 데이터 전송 속도와 시스템 처리양을 제고한다.
본 분야의 기술 인원은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본 발명에 대해 각종 개변과 변형을 진행할 수 있는 것은 분명한 것이다. 이로 하여 본 발명에 대한 이러한 개변과 변형이 본 발명 청구범위 및 동등 기술의 범위 내에 있을 경우 본 발명은 이러한 개변과 변형을 포함하려 한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301: 길이 확정 모듈 302 : 획득 모듈
303: 시그널링 구축 모듈 304 : 코딩 모듈
305 : UE

Claims (21)

  1. 다중 입력 다중 출력MIMO 더블 데이터 스트림 전송을 진행할 시 소요되는 제어 정보와 디스패치 정보에 근거하여 다운 링크 고속 공유 제어 채널 HS-SCCH 상의 시그널링 길이를 확정하는 절차;
    데이터 스트림이 소요하는 제어 정보와 디스패치 정보를 획득하는 절차;
    확정된 시그널링 길이에 따라 획득한 제어 정보와 디스패치 정보를 휴대하는 HS-SCCH 시그널링을 구축하는 절차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종 고속 공유 제어 채널 시그널링 처리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스트림이 소요하는 제어 정보와 디스패치 정보를 획득하는 절차는 구체적으로
    MIMO전송 시의 데이터 스트림이 단일 데이터 스트림 인지 아니면 더블 데이터 스트림 인지 확정하고;
    단일 데이터 스트림이라고 확정할 때 당해 단일 데이터 스트림이 소요하는 제어 정보와 디스패치 정보를 획득하고; 더블 데이터 스트림이라고 확정할 때 매개 데이터 스트림이 소요하는 제어 정보와 디스패치 정보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속 공유 제어 채널 시그널링 처리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확정된 시그널링 길이에 따라 HS-SCCH 시그널링을 구축하는 절차는 구체적으로
    구축된 획득한 제어 정보와 디스패치 정보를 휴대한 HS-SCCH 시그널링 길이가 상기 확정된 시그널링 길이 보다 작을 때 HS-SCCH 시그널링 중에 무효 비트 자리를 상기 시그널링 길이 까지 패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속 공유 제어 채널 시그널링 처리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스트림이 소요하는 제어 정보과 디스패치 정보는
    데이터 스트림 개수 정보, 슬롯 코드 채널 분배 정보, 변조 방식 정보, 전송 블록 크기 TBS 정보, 핸드 셰이크 인증 프로토콜 HAP 정보, 중복 버전 RV정보, HS-SCCH 순환 시퀀스 번호 HCSN 정보, 고속 다운 링크 공유 채널 표식 H-RNTI정보, 신 데이터 지시 정보 중의 하나 혹은 그 조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속 공유 제어 채널 시그널링 처리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스트림이 소요하는 제어 정보와 디스패치 정보가 변조 방식 정보, TBS정보, 데이터 스트림 개수 정보를 포함할 때
    변조 방식 정보 및/혹은 TBS정보를 통해 데이터 스트림 개수 정보를 휴대하는 절차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속 공유 제어 채널 시그널링 처리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HS-SCCH시그널링 중 변조 방식 정보를 통해 데이터 스트림 개수 정보를 휴대하는 절차는 구체적으로
    MIMO전송 시의 데이터 스트림이 더블 데이터 스트림이라고 확정할 시 변조 방식 정보 중에 2개 데이터 스트림의 변조 방식을 포함하고; MIMO전송 시의 데이터 스트림이 단일 데이터 스트림이라고 확정할 시 변조 방식 정보 중에 단 1개 데이터 스트림의 변조 방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속 공유 제어 채널 시그널링 처리 방법.
  7. 제 5 항에 있어서,
    HS-SCCH시그널링 중 TBS 정보를 통해 데이터 스트림 개수 정보를 휴대하는 절차는 구체적으로
    HS-SCCH시그널링 중에서 12개 비트 자리를 사용하여 TBS 정보를 휴대하고 MIMO전송의 데이터 스트림이 단일 데이터 스트림 일 때 상기 12개 비트 자리 중의 6개 비트 자리에 무효 비트 자리를 패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속 공유 제어 채널 시그널링 처리 방법.
  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스트림이 소요하는 제어 정보와 디스패치 정보가 HAP 정보를 포함할 시 진일보로
    HS-SCCH시그널링 중에서 HAP 정보를 표식하는 비트 중에 1비트를 증가하는 것을 통해 첫번째 전송과 재전송 데이터 스트림 개수가 부동할 시 재전송 데이터 스트림 상의 프로세스 혹은 재전송을 진행하는 데이터 스트림을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속 공유 제어 채널 시그널링 처리 방법.
  9. 제 4 항에 있어서,
    HS-SCCH시그널링 중에서 2개 비트 자리를 사용하여 상기 변조 방식 정보를 휴대하고 매개 비트 자리에 1개 데이터 스트림의 변조 방식 정보를 휴대하고 데이터 스트림 변조 방식이 16QAM이라고 확정될 때 당해 데이터 스트림에 대응하는 비트 자리에 1을 패딩하며 데이터 스트림 변조 방식이 64QAM 혹은 QPSK이라고 확정될 때 당해 데이터 스트림에 대응하는 비트 자리에 0을 패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속 공유 제어 채널 시그널링 처리 방법.
  10. MIMO 더블 데이터 스트림 전송을 진행할 시 소요되는 제어 정보와 디스패치 정보에 근거하여 HS-SCCH 상의 시그널링 길이를 확정하는 길이 확정 모듈;
    데이터 스트림이 소요하는 제어 정보와 디스패치 정보를 획득하는 획득 모듈;
    상기 시그널링 길이에 따라 획득한 제어 정보와 디스패치 정보에 근거하여 HS-SCCH 시그널링을 구축하는 시그널링 구축 모듈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종 고속 공유 제어 채널 시그널링 처리 시스템.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획득 모듈은
    MIMO전송 시의 데이터 스트림이 단일 데이터 스트림 인지 아니면 더블 데이터 스트림 인지 확정하는 데이터 스트림 개수 확정 수단;
    단일 데이터 스트림이라고 확정할 때 당해 단일 데이터 스트림이 소요하는 제어 정보와 디스패치 정보를 획득하고; 더블 데이터 스트림이라고 확정할 때 매개 데이터 스트림이 소요하는 제어 정보와 디스패치 정보를 획득하는 정보 획득 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속 공유 제어 채널 시그널링 처리 시스템.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시그널링 구축 모듈은 진일보로 확정된 시그널링 길이에 따라 HS-SCCH 시그널링을 구축함에 있어서
    획득한 제어 정보와 디스패치 정보에 근거하여 구축한 HS-SCCH 시그널링 길이가 상기 확정된 시그널링 길이 보다 작을 때 HS-SCCH 시그널링 중에 무효 비트 자리를 상기 시그널링 길이 까지 패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속 공유 제어 채널 시그널링 처리 시스템.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획득 모듈은 진일보로
    데이터 스트림 개수 정보, 슬롯 코드 채널 분배 정보, 변조 방식 정보, TBS 정보, HAP 정보, RV정보, HCSN 정보, H-RNTI정보, 신 데이터 지시 정보 중의 하나 혹은 그 조합을 포함하는 소요되는 제어 정보와 디스패치 정보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속 공유 제어 채널 시그널링 처리 시스템.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시그널링 구축 모듈은 진일보로 상기 데이터 스트림이 소요하는 제어 정보와 디스패치 정보가 변조 방식 정보, TBS정보, 데이터 스트림 개수 정보를 포함할 때 변조 방식 정보 및/혹은 TBS정보를 통해 데이터 스트림 개수 정보를 휴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속 공유 제어 채널 시그널링 처리 시스템.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단말 UE를 진일보로 포함하고 당해 단말은
    변조 방식 중에 2개 데이터 스트림의 변조 방식을 포함할 때 휴대한 데이터 스트림 개수 정보가 더블 데이터 스트림이라고 확정하고; 변조 방식 정보 중에 단 1개 데이터 스트림의 변조 방식을 포함할 때 휴대한 데이터 스트림 개수 정보가 단일 데이터 스트림이라고 확정하는 제1판단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속 공유 제어 채널 시그널링 처리 시스템.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시그널링 구축 모듈은 진일보로 HS-SCCH시그널링 중 TBS 정보를 통해 데이터 스트림 개수 정보를 휴대할 때 12개 비트 자리를 사용하여 TBS 정보를 휴대하고 MIMO전송의 데이터 스트림이 단일 데이터 스트림일 때 상기 12개 비트 자리 중의 6개 비트 자리에 무효 비트 자리를 패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속 공유 제어 채널 시그널링 처리 시스템.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은 진일보로
    TBS정보를 휴대한 비트 자리 중 6개 비트 자리에 무효 비트 자리가 패딩 되였을 때 휴대한 데이터 스트림 개수 정보가 단일 데이터 스트림이라고 확정하는 제2판단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속 공유 제어 채널 시그널링 처리 시스템.
  18.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시그널링 구축 모듈은 진일보로 HS-SCCH시그널링 중에서 HAP 정보를 표식하는 비트 중에 1비트를 증가하는 것을 통해 첫번째 전송과 재전송 데이터 스트림 개수가 부동할 시 재전송 데이터 스트림 상의 프로세스 혹은 재전송을 진행하는 데이터 스트림을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속 공유 제어 채널 시그널링 처리 시스템.
  19.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은 진일보로
    상기 변조 방식 정보를 통해 변조 방식을 확정할 시 데이터 스트림의 QPSK변조 방식, 16QAM변조 방식, 64QAM변조 방식 사이의 2개 전환점을 획득하고 전환점이 대응하는 코드율은 각각 C1, C2이며 그중 C1은 QPSK변조 방식과 16QAM 변조 방식 사이의 전환점 코드율에 대응되며 C2는 16QAM변조 방식과 64QAM 변조 방식 사이의 전환점 코드율에 대응되며 데이터 스트림 상의 전송 블록의 자원 배치 정보에 근거하여 코드율C를 획득하며
    만일 C<C1이면 당해 데이터 스트림에 대응하는 변조 방식이 QPSK 변조 방식이라고 확정하고;
    만일C1=C<C2이면 당해 데이터 스트림에 대응하는 변조 방식이 16QAM 변조 방식이라고 확정하며;
    만일 C=C2이면 당해 데이터 스트림에 대응하는 변조 방식이 64QAM 변조 방식이라고 확정하는 제3판단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속 공유 제어 채널 시그널링 처리 시스템.
  20.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시그널링 구축 모듈은 진일보로 HS-SCCH시그널링 중에서 2개 비트 자리를 사용하여 변조 방식 정보를 휴대할 시 매개 비트 자리에 1개 데이터 스트림의 변조 방식 정보를 휴대하고 당해 비트 자리에 대응하는 데이터 스트림 변조 방식이 16QAM 일 때 당해 비트 자리에 1을 패딩하며 당해 비트 자리에 대응하는 데이터 스트림 변조 방식이 64QAM 혹은 QPSK 일 때 당해 비트 자리에 0을 패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속 공유 제어 채널 시그널링 처리 시스템.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은 진일보로
    변조 방식 정보를 통해 변조 방식을 확정할 시 HS-SCCH 시그널링 중 상기 변조 방식 정보를 휴대한 것이 2개 비트 자리이고 매개 비트 자리가 1개 데이터 스트림의 변조 방식을 휴대한다고 확정하고 비트 자리에 패딩 된 것이 1일 때 당해 비트 자리에 대응되는 데이터 스트림 변조 방식은 16QAM이고 비트 자리에 패딩 된 것이 0일 때 당해 비트 자리에 대응하는 데이터 스트림 상의 물리 자원 부하 능력과 전송 비트율을 획득하고 만일 물리 자원 부하 능력에 R를 곱한 후 전송 비트율 보다 작으면 당해 비트 자리에 대응하는 데이터 스트림 변조 방식은 64QAM이고 만일 물리 자원 부하 능력에 R를 곱한 후 전송 비트율보다 크면 당해 비트 자리에 대응하는 데이터 스트림 변조 방식은 QPSK이며 상기 R는 사전 시뮬레이션을 통해 획득되는 제4판단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속 공유 제어 채널 시그널링 처리 시스템.

KR1020117004562A 2008-08-01 2009-08-03 고속 공유 제어 채널 시그널링 처리 방법 및 시스템 KR10129129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0810117585.X 2008-08-01
CN200810117585XA CN101640900B (zh) 2008-08-01 2008-08-01 高速共享控制信道信令处理方法及系统
PCT/CN2009/000868 WO2010012160A1 (zh) 2008-08-01 2009-08-03 高速共享控制信道信令处理方法及系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4034A true KR20110034034A (ko) 2011-04-04
KR101291292B1 KR101291292B1 (ko) 2013-07-30

Family

ID=416099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04562A KR101291292B1 (ko) 2008-08-01 2009-08-03 고속 공유 제어 채널 시그널링 처리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1291292B1 (ko)
CN (1) CN101640900B (ko)
WO (1) WO201001216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301291B2 (en) * 2012-09-28 2016-03-29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Methods of processing enhanced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information including differentiating between sets of physical resource block pairs, and related network nodes and user equipments
CN106817371B (zh) * 2017-01-20 2020-06-30 深圳市欧瑞博科技股份有限公司 射频设备控制方法、终端、射频主机和射频设备控制系统
CN106850786B (zh) * 2017-01-20 2020-09-01 深圳市欧瑞博科技股份有限公司 射频设备控制方法、服务器、射频主机和射频设备控制系统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0576772C (zh) * 2002-12-27 2009-12-30 Nxp股份有限公司 具有智能天线的移动终端及其方法
DE102004038834B4 (de) * 2004-08-10 2006-11-02 Siemens Ag Verfahren zum Erzeugen von Präambel- und Signalisierungsstrukturen in einem MIMO-OFDM-Übertragungssystem
ES2640220T3 (es) * 2005-04-26 2017-11-02 Core Wireless Licensing S.à.r.l. Asignación fija de HS-DSCH o E-DCH para VoIP (o HS-DSCH sin HS-SCCH/E-DCH sin E-DPCCH)
US20070165576A1 (en) * 2005-12-29 2007-07-19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imo control channel with shared channelization codes
EP1998484B1 (en) 2006-03-20 2019-01-02 Fujitsu Limited Base station and its mimo-ofdm communication method
CN101150343B (zh) * 2006-09-20 2011-08-24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mimo移动通信方法及系统
CN101207426A (zh) * 2006-12-20 2008-06-25 华为技术有限公司 多输入多输出的传输方法、系统及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91292B1 (ko) 2013-07-30
CN101640900A (zh) 2010-02-03
CN101640900B (zh) 2011-08-03
WO2010012160A1 (zh) 2010-0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6362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nding signaling information via channel IDS
KR101313353B1 (ko) 다수의 다운링크 캐리어 동작을 위한 제어 채널 피드백
KR100754552B1 (ko) 고속 순방향 패킷 접속 방식을 사용하는 통신 시스템에서고속 공통 제어 채널 송수신 장치 및 방법
KR100715204B1 (ko) 광대역 무선통신시스템에서 고속 공통 제어 채널 통신 장치및 방법
US2018014647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uplink control inform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02282819B (zh) 多载波无线通信系统发送上行链路控制信息的方法和装置
KR100438432B1 (ko) 부호분할다중접속 이동통신시스템에서 제어 데이터 전송방법
EP1903735B1 (en) A multicarrier hsdpa traffic transmission channel coding method and the coding apparatus thereof
KR101073738B1 (ko) 제어 채널 전송 방법, 기지국 및 단말기
JP2014150587A (ja) マルチセルhsdpaを支援する移動通信システムのためのチャネル品質認識子伝送電力制御方法及び装置
KR101291464B1 (ko) 일종 고속 패킷 액세스 진화 시스템의 mimo 전송 방법 및 설비
US9414375B2 (en) Base station and method for transmitting control information to a user equipment (UE)
US20120307754A1 (en)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Carrier Information in Multi-Carrier System
KR101291292B1 (ko) 고속 공유 제어 채널 시그널링 처리 방법 및 시스템
CN101388691A (zh) 一种功率控制的方法和装置
CN104272607A (zh) 高速分组接入系统中的改进的控制信道
KR20040022135A (ko) 고속 순방향 패킷 접속방식을 적용하는 부호분할다중접속통신시스템에서 채널 품질 식별 정보 전송장치 및 방법
KR20030001649A (ko) 부호분할다중접속 이동통신시스템에서 단말장치에게수신할 신호가 있는지 여부를 알려주는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5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