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33170A - 다기능성 퍼플루오르카본 나노 에멀젼을 이용한 세포 표지 및 영상화 - Google Patents

다기능성 퍼플루오르카본 나노 에멀젼을 이용한 세포 표지 및 영상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33170A
KR20110033170A KR1020110023383A KR20110023383A KR20110033170A KR 20110033170 A KR20110033170 A KR 20110033170A KR 1020110023383 A KR1020110023383 A KR 1020110023383A KR 20110023383 A KR20110023383 A KR 20110023383A KR 20110033170 A KR20110033170 A KR 201100331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rfluoro
imaging
cells
perfluorocarbon
cell labe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233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봉현
임용택
Original Assignee
한국생명공학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생명공학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생명공학연구원
Priority to KR10201100233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33170A/ko
Publication of KR201100331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3317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8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labelled substances
    • G01N33/585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labelled substances with a particulate label, e.g. coloured latex
    • G01N33/587Nanopartic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9/00Preparations for testing in vivo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2NANOTECHNOLOGY
    • B82BNANOSTRUCTURES FORMED BY MANIPULATION OF INDIVIDUAL ATOMS, MOLECULES, OR LIMITED COLLECTIONS OF ATOMS OR MOLECULES AS DISCRETE UNITS;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 B82B3/00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by manipulation of individual atoms or molecules, or limited collections of atoms or molecules as discrete units
    • B82B3/0009Forming specific nanostructur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005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human or animal cel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 G01N33/531Production of immunochemical test materials
    • G01N33/532Production of labelled immunochemica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Hemat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ell Bi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Nano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Pathology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es Containing Antibodies Or Antigens For Use As Internal Diagnostic Ag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기능성 퍼플루오르카본(Perfluorocarbon, PFC) 나노 에멀젼을 이용한 세포 표지(labeling) 및 영상화(imaging)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광학특성 나노입자를 함유하는 퍼플루오르카본(perfluorocarbon) 나노 에멀젼은 광학적 특성 및 19F 자기공명 특성을 모두 갖추어 자기공명화상법(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및 광학 영상화법(Optical imaging, OI)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고, 상기 양자점 나노입자를 함유하는 퍼플루오르카본 나노 에멀젼을 이용한 세포의 표지 및 영상화는 세포 생존력(cell vibillity)에 영향을 주지 않음을 확인함으로써, 다기능적이고 효과적인 세포의 표지 및 영상화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다기능성 퍼플루오르카본 나노 에멀젼을 이용한 세포 표지 및 영상화{Labeling and Imaging of Cells using Multifunctional Perfluorocarbon nano Emulsions}
본 발명은 다중모드 바이오이미징(multimodal bioimaging)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광학특성 나노입자를 함유하는 퍼플루오르카본(Perfluorocarbon, PFC) 나노 에멀젼을 이용한 세포의 라벨링 및 이미징 기술에 관한 것이다.
광학 및 자성특성을 갖는 나노입자를 이용하여 세포를 라벨링하는 연구는 세포 이미징 분야, 세포를 이용한 질병 치료분야 등에서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나노입자를 이용하여 세포를 라벨링하기 위해서는 나노입자를 세포 내로 전달하는 기술이 필수적이다. 나노입자와 세포의 상호작용은 나노입자의 표면성질에 의해 좌우되기 때문에, 나노입자의 표면을 개질하는 기술이 세포 라벨링에 있어서도 매우 중요하다. 일반적으로 기능성 나노입자를 세포 내로 전달하기 위해서는 트랜스펙션(transfection)과 관련이 있는 신호 펩타이드(signaling peptide)를 나노입자 표면에 코팅해 줌으로써, 세포와 나노입자의 상호작용을 유도하는 방법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마크로파지(macrophage)와 같이 대식작용(phagocytosis)이 있는 세포는 나노입자의 표면을 특별하게 변화시키지 않고도, 나노입자와의 상호작용이 매우 큰 반면에, 줄기세포, 자연살해세포와 같은 비대식성(non-phagocytic) 성질을 갖는 세포 내로 나노입자를 전달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이다. 이러한 비대식성 성질을 갖는 세포를 표지화하기 위해서는 전기천공법(electroporation) 또는 뉴클레오펙션(nucleofection) 등과 같은 기계의 도움을 얻어서, 강제적으로 나노입자 또는 유전자 등을 세포 내로 전달하는 기술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줄기세포 및 면역세포를 이용하여 암과 같은 질병을 치료하는 분야에서는 치료용으로 사용되는 세포가 치료부위까지 정확하게 전달되는지와 치료효과 등을 모니터링하기 위해서 이미징 조영제로 라벨링하는 기술이 필수적이다.
성체 줄기세포 중 하나인 조혈줄기세포(hematopoietic stem cell)는 혈액을 구성하는 모든 세포(적혈구, 백혈구, 혈소판 및 림프구)로 분화할 수 있는 세포로서, 주로 골수에 있는 조혈줄기세포로부터 생체의 면역체계를 구성하는 세포로 지속적으로 자가 재생된다. 이들 면역체계를 구성하는 세포들 중 특히, 자연살해세포(natural killer cell, 이하 "NK 세포"라 약칭함)는 비특이적으로 암을 살상할 수 있는 능력이 있다. 이러한 NK 세포의 살해능은 림포카인활성세포(lymphokine activated killer cell, LAK) 및 종양침윤림프구(tumor infiltration lymphocytes, TIL)을 이용하여 고형암(solid tumro) 치료에 이용하거나, 공여자 임파구 주입(donor lymphocyte infusion)을 통한 면역치료법(Itoh K, et al ., J. Immunol ., 36: 3910-3915, 1986; Bordignon C. et al ., Haematologica , 84: 1110-1149, 1999)을 수행함으로써, 골수이식이나 장기 이식시 발생하는 거부반응을 방지하기 위한 새로운 세포치료 요법으로 응용되고 있다. 또한, NK 세포의 분화와 활성의 결함은 유방암(Konjevi G, et al., Breast Cancer Res . Treat ., 66: 255-263, 2001), 흑색암종(Ryuke Y, et al., Melanoma Res ., 13: 349-356, 2003), 폐암(Villegas FR, et al., Lung Cancer , 35: 23-8, 2002) 등 다양한 질병들과 관련되어 있음이 보고되어 이러한 질병들을 치료하기 위해 NK 세포 치료법이 대두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NK 세포 내부로 조영제를 전달하거나 표지화하는 것은 어렵기 때문에 분자영상 조영제를 사용하여 NK 세포를 이미징하거나 표지화하여 치료에 이용되는 것에 대해서는 보고되어 있지 않다(Giovanni Lucignani et al ., Trends Biotechnol ., 24: 410-418, 2006). 최근, HER-2/neu 수용체(receptor)를 발현시킨 유전적으로 변형된 자연살해세포에 리포펙션(lipofection) 및 전기천공법(electroporation)을 사용하여 조영제를 세포 내로 전달하는 방법(Eur Radiol ., 15: 4-13, 2005)과 레트로바이러스 벡터(retroviral vector)를 사용하여 리포터 유전자(reporter gene)의 발현을 통한 간접적 치료 방법(Edinger, M. et al ., Blood , 101: 640-648, 2003)이 소개되고 있으나, 세포의 활성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점이 단점이다.
퍼플루오르카본(Perfluorocarbon, PFC)은 매우 낮은 점도, 낮은 표면장력, 우수한 퍼짐성, 높은 유동성, 낮은 유전상수(dielectric constant), 높은 증기압(vapor pressure), 높은 압축률(compressibility) 및 높은 기체용해성(gas solubility)을 가졌기 때문에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활발하게 이용되고 있다. 특히, 의학 분야와 관련하여 높은 밀도, 윤활제 성질(antifriction properties) 및 물과 가까운 자화율 값(magnetic susceptibility values)을 가지고 있다. 또한, 많은 용량일지라도 대부분 인체에 무해하며, 적절한 분자량 범위(460 ~ 520 Da) 이내의 순수한 플루오로카본(fluorocarbon)은 무독성이고, 발암, 돌연변이 및 기형 발생을 야기하지 않으며 면역반응도 없다고 알려져 있다. 이상과 같이, 생리적으로 비활성이며 생체적합성 특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이미 액체순환(liquid ventilation), 산소운반(oxygen delivery) 및 영상화 분야에서 활발하게 응용되고 있다(Marie Pierre Krafft, Advanced Drug Delivery Reviews, 47:209, 2001; Gregory M., et al , Current Topics in Developmental Biology, 70:57, 2005).
*기체(gas) 상태의 PFC는 리피드로 코팅된 저밀도 마이크로 버블을 형성함으로써 초음파 조영제로 널리 연구되어 왔으며, 상업화까지 이루어지고 있다. PFC 마이크로 버블은 혈관 내에서 순환(circulation)하는 동안 충분히 안정화되어 있어, 초음파 에너지에 의해 공동현상(cavitation)이 일어나 생활성 물질들(bioactive materials)을 특별한 국소부위에 전달 및 치료하는 목적으로 연구되어 왔다. 주로 심장혈관계의 암 진단 영상화(diagnostic imaging) 및 약물전달로 인한 치료의 개선에 중점을 두어 왔다(Evan C et al , Advanced drug delivery Reviews, 56:1291, 2004).
PFC는 자기공명분광(MR Spectroscopy) 및 영상화를 위한 우수한 재료로, 19F 자기공명(Magnetic Resonance) 이미징 분야에서도 활발히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기존의 1H MRI와 비교하여 19F는 양성자(proton)에 대해 거의 동일한 회전자기비(gyromagnetic ratio)를 가지고, 1/2의 핵 스핀수(spin 1/2 nucleus)를 가지며, 지구에서 자연적으로 존재하는 동위원소의 함량(natural abundance)을 100% 가지며, 인위적 오염원의 영향이 배재된 자연상태 그대로의 환경농도인 배경농도(background concentration)를 가지는 장점을 지닌다.
PFC 에멀젼 나노입자는 MRI 분야에서 외부의 포스포리피드 모노층에 상자성 킬레이트(paramagnetic chelates) 및 회귀성 리간드(homing ligand)들을 결합시켜 MR 분자 이미징(molecular imaging)으로 기능화할 수 있으며, 생활성제(bioactive agent)를 포접한 약물전달체로써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US 2004/0115192 A1; US 6676963B1; US 2003/0086867; US 2003/0215392 A1; US 2004/0248856 A1). MRI에서 원자핵들이 탈위(Dephasing) 과정을 거친 후, 자장방향으로 다시 재배열하게 되는데 이때 원자핵들 주위물질(lattice)에 에너지를 주어 열평형 상태에 도달하게 되는 과정을 T1이라 하며, PFC 에멀젼 나노입자들은 "미립자(particulate)" 또는 "분자 이완성(molecular relaxivity)"으로 반영되는 상기 T1을 강조한 초상자성 조영제(T1-weighted ultraparamagnetic contrast)이다. 극대 이완성(maximum relaxivity)을 가지기 위해서는 모든 상자성 물질들이 외부의 수성상(aqueous phase)에 존재해야 하며, 1.5 T에서 PFC 나노입자 분자 이완성은 친지성 킬레이트(lipophilic chelate)에 의존하여 1,000,000 mMs-1, 더 나아가 2,000,000 mMs-1이다(Flacke et al , Circulation, 104:1280, 2001; Winter et al , Magn . Reson . med., 50:411, 2003).
분자 이미징을 위해 스트렙타비딘-비오틴(Streptavidin-biotin) 상호작용을 통해 비오틴 처리된 나노입자에 샌드위치한 비오틴 리간드, 리간드 및 단일클론 항체의 직접적이고 공유결합을 사용하여 분자 항원결정부위(epitope)를 타켓하여 혈전을 발견하는 피브린 이미징, 암의 신생혈관구조(neovasculature)에 αvβ3 인테그린(integrin)의 희박한 발현을 발견 및 항혈관신생 치료를 위한 암의 혈관신생 및 초기 아테롤성 동맥경화증(atherosclerosis) 이미징 등의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US 5690907; US 2004/0058951 A1; US 2006/0147380 A1).
현재까지 알려진 분자 이미징용 PFC 에멀젼 나노입자는 PFC 에멀젼 자체의 19F의 MR 특성을 이용하는 방법과 PFC 에멀젼 나노입자를 감싸는 리피드 층에 T1 조영제로 사용될 수 있는 가돌리늄(gadolinium, Gd)을 킬레이팅(chealating)할 수 있는 물질을 첨가해 줌으로써, 1H MR용 조영제를 로딩하는 방법으로 사용되어 왔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광학특성 나노입자를 함유하는 퍼플루오르카본 나노 에멀젼은 일반적으로 표지하기가 용이한 대식세포에서부터 표지하기가 용이하지 않은 자연살해세포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종류의 세포를 표지할 수 있고, 표지하는 경우 자연살해세포의 생존력 및 기능에 영향을 주지 않음을 확인함으로써, 자기공명화상법(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및 광학 이미징(Optical imaging, OI)을 동시에 할 수 있는 다기능적인 세포의 표지 및 영상화 기술을 개발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광학특성 나노입자를 함유하는 퍼플루오르카본 나노 에멀젼을 포함하는 세포 표지 및 영상화제, 및 이를 이용한 세포의 표지 및 영상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광학특성 나노입자를 함유하는 퍼플루오르카본(perfluorocarbon) 나노 에멀젼을 포함하는 세포 표지 및 영상화제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광학특성 나노입자를 함유하는 퍼플루오르카본 나노 에멀젼을 포함하는 세포 표지 및 영상화제를 세포에 처리한 후 영상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세포 표지 및 영상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광학특성 나노입자를 함유하는 퍼플루오르카본(perfluorocarbon) 나노 에멀젼은 광학적 특성과 19F 자기공명 특성을 동시에 갖춘, 다중모드 분자영상용 조영제로 사용되어 자기공명화상법(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및 광학 영상화법(Optical imaging, OI)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양자점 나노입자를 함유하는 퍼플루오르카본 나노 에멀젼의 입자는 세포 및 소동물 분자영상을 연구하는 생물학 및 의료분야를 포함한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될 수 있다.
도 1은 광학특성 나노입자를 함유하면서 표면에 지질층(lipid layer)으로 둘러싼 퍼플루오르카본(Perfluorocarbon, PFC) 나노 에멀젼의 제조방법에 대한 모식도이다.
도 2는 톨루엔에 분산되어 있던 광학특성 나노입자(A)가 퍼플루오르카본 층(B)으로 상 전이되는 모습을 나타낸 형광 이미지를 나타내는 그림이다.
도 3은 광학특성 나노입자가 함유된 퍼플루오르카본 나노 에멀젼의 제타포텐셜(Zeta-potential)을 측정한 값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4는 광학특성 나노입자가 함유된 퍼플루오르카본 나노 에멀젼의 전자투과현미경(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TEM) 사진을 나타내는 그림이다.
도 5는 광학특성 나노입자가 함유된 퍼플루오르카본 나노 에멀젼의 초저온 전자투과현미경(Cryo-TEM) 사진을 나타내는 그림이다.
도 6은 광학특성 나노입자가 함유된 퍼플루오르카본 나노 에멀젼의 19F MRI(자기공명화상법(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이미지를 나타내는 그림이다.
도 7은 광학특성 나노입자가 함유된 퍼플루오르카본 나노 에멀젼으로 표지된 자연살해세포의 형광현미경 이미지를 나타내는 그림이다.
도 8은 광학특성 나노입자가 함유된 퍼플루오르카본 나노 에멀젼으로 표지된 자연살해세포의 19F MRI 이미지를 나타내는 그림이다.
도 9는 광학특성 나노입자가 함유된 퍼플루오르카본 나노 에멀젼으로 표지된 마크로파지(macrophage)의 형광 및 19F MRI 이미지를 나타내는 그림이다.
도 10은 광학특성 나노입자가 함유된 퍼플루오르카본 나노 에멀젼으로 표지된 수지상세포의 형광 및 19F MRI 이미지를 나타내는 그림이다.
도 11은 광학특성 나노입자가 함유된 퍼플루오르카본 나노 에멀젼으로 농도별 표지된 자연살해세포의 세포 생존력(cell viability)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광학특성 나노입자를 함유하는 퍼플루오르카본(perfluorocarbon) 나노 에멀젼을 포함하는 세포 표지 및 영상화제를 제공한다.
상기 광학특성 나노입자를 함유하는 퍼플루오르카본 나노 에멀젼은
1) 하이드로카본(hydrocarbon)으로 코팅되어 있는 양자점 나노입자를 퍼플루오르카본으로 코팅시켜 표면개질하는 단계;
2) 상기 단계 1)의 표면개질된 양자점 나노입자를 퍼플루오르카본으로 분산시키는 단계; 및
3) 상기 단계 2)의 액체을 에멀젼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상기 방법에 한정되지 않는다(도 1 및 도 2 참조).
상기 방법에 있어서, 단계 1)의 양자점 나노입자는 주기율표에서 II-VI 또는 III-V 화합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2 이상의 물질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광학특성 나노입자는 단일 코어(Core) 또는 코어 셸(core/shell)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고, CdSe, CdSe/ZnS, CdTe/CdS, CdTe/CdTe, ZnSe/ZnS, ZnTe/ZnSe, PbSe, PbS InAs, InP, InGaP, InGaP/ZnS 및 HgTe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광학특성 나노입자는 양자점 나노입자, 유기형광 다이, 및 금속 나노입자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방법에 있어서, 단계 1)의 표면개질에 사용될 수 있는 퍼플루오르카본은 티올(thiol), 포스핀(phosphine) 및 포스핀 옥사이드(phosphine oxide)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말단기를 갖는 퍼플루오르계(perfluorochemical), 또는 양쪽친매성 플루오리네이티드 하이드로카본(amphiphilic fluorinated hydrocarbon)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퍼플루오리네이티드 알콜 포스페이트 에스테르(perfluorinated alcohol phosphate ester) 및 이의 염, 퍼플루오리네이티드 설폰아마이드 알콜 포스페이트 에스테르(perfluorinated sulfonamide alcohol phosphate ester) 및 이의 염, 퍼플루오리네이티드 알킬 설폰아마이드 알킬렌 4차 암모늄염(perfluorinated alkyl sulfonamide alkylene quaternary ammonium salt), N,N-(더 낮은 알킬로 치환된 카르복실) 퍼플루오리네이티드 알킬 설폰아마이드(N,N-(carboxyl-substituted lower alkyl) perfluorinated alkyl sulfonamide), 및 이들의 혼합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를 사용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퍼플루오리네이티드 알콜 포스페이트 에스테르(perfluorinated alcohol phosphate ester)는 모노(mono) 또는 비스(bis)(1H, 1H, 2H, 2H-퍼플루오로알킬(perfluoroalkyl))포스페이트(phosphate) 유래 디에탄올아민염(diethanolamine salt)의 유리산(free acid)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퍼플루오리네이티드 설폰아마이드 알콜 포스페이트 에스테르(perfluorinated sulfonamide alcohol phosphate ester)는 퍼플루오로-n-옥틸-N-에틸설폰아마이도에틸 포스페이트(perfluoro-n-octyl-N-ethysulfonamidoethyl phosphate), 비스(퍼플루오로-n-옥틸-N-에틸설폰아마이도에틸) 포스페이트(bis(perfluoro-n-octyl-N-ethylsulfonamidoethyl) phosphate), 비스(퍼플루오로-n-옥틸-N-에틸설폰아마이도에틸) 포스페이트(bis(perfluoro-n-octyl-N-ethylsulfonamidoethyl)의 암모늄염, 비스(퍼플루오로데실-N-에틸설폰아마이도에틸) 포스페이트(bis(perfluorodecyl-N-ethylsulfonamidoethyl) phosphate) 및 비스(퍼플루오로헥실-N-에틸설폰아마이도에틸) 포스페이트(bis(perfluorohexy-N-ethylsulfonamidoethyl) phosphate)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방법에 있어서, 단계 2)의 퍼플루오르카본 분자로 코팅된 광학특성 나노입자를 최종적으로 분산시키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퍼플루오르카본은 퍼플루오로트리부틸아민(perfluorotributylamine(FC47)), 퍼플루오로데칼린(perfluorodecalin(PP5)), 퍼플루오로메틸데칼린(perfluoromethyldecalin(PP9)), 퍼플루오로옥틸브로마이드(perfluorooctylbromide), 퍼플루오로테트라하이드로퓨란(perfluorotetrahydrofuran(FC80)), 퍼플루오로에테르(perfluoroether(PID))[(CF3)2 CFOCF2 (CF2)2 CF2 OCF(CF3)2], 퍼플루오로에테르(perfluoroether(PⅡD))[(CF3)2 CFOCF2 (CF2)6 CF2 OCF (CF3)2], 퍼플루오로에테르폴리머(perfluoroetherpolymer(Fomblin Y/01)), 퍼플루오로데칸(perfluorododecane), 퍼플루오로바이사이클로[4.3.0]노난(perfluorobicyclo[4.3.0]nonane), 퍼플루오로트리트리메틸바이사이클로헥산(perfluorotritrimethylbicyclohexane), 퍼플루오로트리프로필아민(perfluorotripropylamine), 퍼플루오로이소프로필사이클로헥산(perfluoroisopropylcyclohexane), 퍼플루오로엔도테트라하이드로다이사이클로펜타디엔(perfluoroendotetrahydrodicyclopentadiene), 퍼플루오로아다만탄( perfluoroadamantane), 퍼플루오로엑소테트라하이드로다이사이클로펜타디엔(perfluoroexotetrahydrodicyclopentadiene), 퍼플루오로바이사이클로[5.3.0]데칸(perfluorbicyclo[5.3.0]decane), 퍼플루오로테트라메틸사이클로헥산(perfluorotetramethylcyclohexane), 퍼플루오로-1-메틸-4-이소프로필사이클로헥산(perfluoro-1-methyl-4-isopropylcyclohexane), 퍼플루오로-n-부틸사이클로헥산(perfluoro-n-butylcyclohexane), 퍼플루오로디메틸바이사이클로[3.3.1.]노난(perfluorodimethylbicyclo[3.3.1.]nonane), 퍼플루오로-1-메틸 아다만탄(perfluoro-1-methyl adamantane), 퍼플루오로-1-메틸-4-t-부틸사이클로헥산(perfluoro-1-methyl-4-t butylcyclohexane), 퍼플루오로데카하이드로아센압탄(perfluorodecahydroacenapthane), 퍼플루오로트리메틸바이사이클로[3.3.1]노난(perfluorotrimethylbicyclo[3.3.1]nonane), 퍼플루오로-1-메틸 아다만탄(perfluoro-1-methyl adamantane), 퍼플루오로-1-메틸-4-t-부틸사이클로헥센(perfluoro-1-methyl-4-t butylcyclohexene), 퍼플루오로데카하이드로아센압텐(perfluorodecahydroacenaphthene), 퍼플루오로트리메틸바이사이클로[3.3.1.]노난(perfluorotrimethylbicyclo[3.3.1.]nonane), 퍼플루오로-눈데칸(perfluoro-nundecane), 퍼플루오로테트라데카하이드로페난트렌(perfluorotetradecahydrophenanthrene), 퍼플루오로-1,3,5,7-테트라메틸아다만탄(perfluoro-1,3,5,7-tetramethyladamantane), 퍼플루오로도데카하이드로플루오렌(perfluorododecahydrofluorene), 퍼플루오로-1-3-다이메틸아다만탄(perfluoro-1-3-dimethyladamantane), 퍼플루오로-n-옥틸사이클로헥산(perfluoro-n-octylcyclohexane), 퍼플루오로-7-메틸 바이사이클로[4.3.0]노난(perfluoro-7-methyl bicyclo[4.3.0]nonane), 퍼플루오로-p-다이이소프로필사이클로헥산(perfluoro-p-diisopropylcyclohexane), 퍼플루오로-m-다이이소프로필사이클로헥산(perfluoro-m-diisopropylcyclohexane), 퍼플루오로-4-메틸옥타하이드로퀴놀리다이진(perfluoro-4-methyloctahydroquinolidizine), 퍼플루오로-N-메틸데카하이드로퀴놀린(perfluoro-N-methyldecahydroquinoline), F-메틸-1-옥사데칼린(F-methyl-1-oxadecalin), 퍼플루오로옥타하이드로퀴놀리다이진(perfluorooctahydroquinolidizine), 퍼플루오로 5,6-다이하이드로-5-데센(perfluoro 5,6-dihydro-5-decene), 퍼플루오로-4,5-다이하이드로-4-옥텐(perfluoro-4,5-dihydro-4-octene), 퍼플루오로다이클로로옥탄(perfluorodichlorooctane), 퍼플루오로비스클로로옥탄 에테르(perfluorobischlorobutyl ether), 퍼플루오로옥탄(perfluorooctane), 퍼플루오로다이클로로옥탄(perfluorodichlorooctane), 퍼플루오로-n-옥틸 브로마이드(perfluoro-n-octyl bromide), 퍼플루오로헵탄(perfluoroheptane), 퍼플루오로데칸(perfluorodecane), 퍼플루오로사이클로헥산(perfluorocyclohexane), 퍼플루오로모르폴린(perfluoromorpholine), 퍼플루오로트리프로필아민(perfluorotripropylamine), 퍼플루오로트리부틸아민(perfluortributylamine), 퍼플루오로다이메틸사이클로헥산(perfluorodimethylcyclohexane), 퍼플루오로트리메틸사이클로헥산(perfluorotrimethylcyclohexane), 퍼플루오로다이사이클로헥실 에테르(perfluorodicyclohexyl ether), 퍼플루오로-n-부틸테트라하이드로퓨란(perfluoro-n-butyltetrahydrofiuran), 및 이들 화합물들과 구조적으로 유사한 화합물들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방법에 있어서, 단계 3)의 에멀젼화는 균질기(homogenizer), 초음파 분해(sonication) 및 고전단력(high shear force)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광학특성 나노입자를 함유하는 퍼플루오르 나노 에멀젼은 지질/계면활성제를 사용하여 외부 층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퍼플루오르카본 나노 에멀젼을 코팅하는 외층을 구비하는 지질은 천연 또는 합성 포스포리피드(natural or synthetic phospholipid), 지방산(fatty acids), 콜레스테롤(cholesterols), 라이소리피드(lysolipids), 스핑고미엘린(sphingomyelins), 토코페롤(tocopherols), 글루콜리피드(glucolipid), 스테아릴아르나인(stearylarnines), 카디오리핀(cardiolipins), 플라스마로전(plasmalogens), 에테르 또는 에스테르와 연결된 지방산을 포함한 리피드(lipid with ether or ester linked fatty acids), 및 중합 리피드(polymerized lipids)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퍼플루오르카본 나노 에멀젼을 코팅하는 외층을 구비하는 계면활성제는 음이온성(anionic) 계면활성제, 양이온성(cationic) 계면활성제, 비이온성(nonionic) 계면활성제 및 양쪽성(amphoteric) 계면활성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계면활성제는 상업적으로 이용되고 있는 음이온성(anionic) 계면활성제, 양이온성(cationic) 계면활성제, 비이온성(nonionic) 계면활성제 및 양쪽성(amphoteric) 계면활성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Pluronic F-68, HamposylTM L30, sodium dodecyl sulfate, Aerosol 413, Aerosol 200, LipoproteolTM LCO, StandapolTM LCO, StandapolTM SH 135, FizulTM 10-127, CyclopolTM SBFA 30, DeriphatTM 170, LonzaineTM JS, NiranolTM C2N-SF, AmphotergeTM W2, AmphotergeTM 2WAS, PluronicTM F-68, PluronicTM F-127, BrijTM 35, TritonTM X-100, BrijTM 52, SpanTM 20, GenerolTM 122 ES, TritonTM N-42, TritonTM N-101, TritonTM X-405, TweenTM 80, TweenTM 85 및 BrijTM 56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광학특성 나노입자를 함유하는 퍼플루오르카본 나노 에멀젼은 양이온성 리피드들(Cationic lipids)들을 이용하여 앱타머(aptamers) 또는 핵산(nucleic acid)을 나노입자 표면에 부착 또는 포접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양이온성 리피드는 N-[1-(2,3-디올레오일옥시)프로필]-N,N,N-트리메틸암오늄(N-[1-(2,3-dioleoyloxy)propyl]-N,N,N-trimethylammonium chloride, DOTMA), 1,2-디올레오일옥시-3-(트리메틸암모니오)프로판(1,2-dioleoyloxy-3-(trimethylammonio)propane, DOTAP), 1,2-디올레오일-3-(4'-트리메틸-암모니오)부탄오일-sn-글리세롤(1,2-dioleoyl-3-(4'-trimethyl-ammonio)butanoyl-sn-glycerol, DOTB), 1,2-디아실-3-디메틸암모늄-프로판(1,2-diacyl-3-dimethylammonium-propane, DAP), 1,2-디아실-3-트리메틸암모늄-프로판(1,2-diacyl-3-trimethylammonium-propane, TAP), 1,2-디아실-sn-글리세롤-3-에틸 포스포콜린(1,2-diacyl-sn-glycerol-3-ethyl phosphocholine), 3β-(N', N'-디메틸아미노에탄)-카르바몰콜레스테롤-HCL(3β-(N', N'-dimethylaminoethane)-carbamolcholestrol-HCl), DC-콜레스테롤(DC-Cholesterol), 디메틸디옥타데실암모늄 브로마이드(dimethyldioctadecylammonium bromide, DDAB)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세포 표지 및 영상화가 적용될 수 있는 세포는 암 세포, 줄기세포, B 세포, T 세포, 자연살해세포, 수지상 세포 및 대식세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대식세포, 수지상세포 및 자연살해 세포가 더욱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대식작용이 있는 세포와 대식작용이 없는 세포가 모두 가능하다.
상기 자연살해세포로는 조혈모세포, 혈액, 비장(spleen) 및 간 등에서 분리한 자연살해세포, 또는 이들로부터 유전적으로 변형시킨 자연살해세포 등을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광학특성 나노입자를 함유하는 퍼플루오르카본 나노 에멀젼은 광학적 특성 및 19F 자기공명 특성을 모두 갖추어 자기공명화상법(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및 광학 영상화법(Optical imaging, OI)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자들은 광학특성 나노입자를 함유하는 퍼플루오르 나노 에멀젼의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전기적 특성 및 형태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전기영동광산란계(Electrophoretic light scattering)를 이용하여 제타전위(zeta potential)값을 측정한 결과,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약 22.2 mv를 나타내었고(도 3 참조), 전자현미경 및 19F MRI를 이용하여 형태관찰을 한 결과, 도 4 내지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일정한 크기 및 형태를 나타내었다(도 4, 도 5 및 도 6 참조).
또한, 본 발명자들은 광학특성 나노입자를 함유하는 퍼플루오르카본 나노 에멀젼이 자기공명 영상화(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및 광학 영상화(Optical imaging, OI)를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대식세포, 수지상세포 및 자연살해세포를 각각 델타비젼(Deltavision) RT 이미지 시스템 및 4.5 T MRI 스캔너(Scanner)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6 내지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대식세포, 수지상세포 및 자연살해세포는 광학특성 나노입자를 함유하는 퍼플루오르카본 나노 에멀젼에 의해 표지되었음을 확인하였다(도 6 내지 도 9 참조). 따라서 본 발명의 광학특성 나노입자를 함유하는 퍼플루오르카본 나노 에멀젼은 자기공명 영상화(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및 광학 영상화(Optical imaging, OI)를 동시에 수행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자들은 광학특성 나노입자를 함유하는 퍼플루오르카본 나노 에멀젼을 이용한 자연살해세포의 표지화가 자연살해세포의 생존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자연살해세포에 광학특성 나노입자를 함유하는 퍼플루오르카본 나노 에멀젼을 처리하여 배양한 후 PI 염색법을 이용하여 세포 생존력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도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에멀젼을 처리하지 않은 대조군과 비교하여 세포 생존력의 유의적인 차이가 없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광학특성 나노입자를 함유하는 퍼플루오르카본 나노 에멀젼은 세포의 세포 생존력에 영향을 미치지 않음을 알 수 있다(도 11 참조).
아울러, 본 발명은 광학특성 나노입자를 함유하는 퍼플루오르카본 나노 에멀젼을 포함하는 자연살해세포 표지 및 영상화제를 세포에 처리한 후 영상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세포 표지 및 영상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세포 표지 및 영상화가 적용될 수 있는 세포는 암 세포, 줄기세포, B 세포, T 세포, 자연살해세포, 수지상 세포 및 대식세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대식세포, 수지상세포 및 자연살해 세포가 더욱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대식작용이 있는 세포와 대식작용이 없는 세포가 모두 가능하다.
상기 자연살해세포로는 조혈모세포, 혈액, 비장(spleen) 및 간 등에서 분리한 자연살해세포, 또는 이들로부터 유전적으로 변형시킨 자연살해세포 등을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나노 에멀젼을 상기 세포에 처리한 후 3시간 내지 24시간 동안 인큐베이션(incubation)함으로써, 세포 내부로 본 발명의 나노에멀젼이 전달되어 세포를 표지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세포 표지 및 영상화는 광학특성 나노입자를 함유하는 퍼플루오르카본 나노 에멀젼에 세포와 특이적으로 반응하는 바이오물질을 고정화하여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세포 표지 및 영상화 방법은 세포 표지 및 영상화제를 단독으로, 또는 화학적 형질감염 촉진을 병행하여, 또는 기계적 형질감염 촉진을 병행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화학적 형질감염은 양이온화제(cationic agent)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기계적 형질감염은 전기천공법(electroporation) 또는 자전천공법(magnetoporation)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서, 하기 실시예들은 여러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는 않는다.
< 실시예 1> 퍼플루오르 카본을 이용한 광학특성 나노입자의 표면개질
본 발명자들은 광학특성 나노입자(CdSe/ZnS[520 nm], InGaP/ZnS[670 nm] 1.4 mg/ml in toluene)(Evident Tech Co, USA) 50 μl를 메탄올에 첨가시켜 전체 부피가 8 ml가 되게 하였다. 여기에 4 ml의 퍼플루오르 카본을 첨가시켜 층 분리가 되면 1H, 1H, 2H, 2H-퍼플루오로데카네티올(Perfluorodecanethiol)(ALDRICH, USA) 0.5 ml를 천천히 적하시켰다. 층이 분리된 용액을 강하게 교반시켜 양자점이 퍼플루오르 카본 층과 퍼플루오르 카본 및 메탄올의 중간층인 두 층으로 이동할 때까지 교반시켰다(도 2). 반응이 끝나면 상층액(메탄올 층)은 버리고, 여기에 다시 과량의 메탄올 용액의 첨가 및 혼합 하에 미반응 1H, 1H, 2H, 2H-퍼플루오로데카네티올(Perfluorodecanethiol)을 제거시켰다. 이 과정을 3번 반복하였다.
< 실시예 2> 광학특성 나노입자를 함유하는 퍼플루오르카본 나노 에멀젼 제조
본 발명자들은 우선, 상기 <실시예 1>의 광학특성 나노입자를 함유하는 액체 퍼플루오르 카본을 둘러싼 지질층(lipid layer)을 형성하는 2.0 w/v 계면활성제 혼합물(Surfactant commixture)을 제조하였다. 상기 계면활성제 혼합물은 64 몰(mol)% 레시틴(sigma chemical Co., USA), 35 몰(mol)% 콜레스테롤(sigma chemical Co., USA) 및 1 몰(mol)% DPPE-PEG 2000(Avanti Polar Lipids Inc., Alabaster, AL, USA)을 사용하였다. 상기 제조된 계면활성제 혼합물은 클로로포름에 용해시킨 후 감압장치 아래서 용매를 증발시킨 다음, 50℃ 진공오븐에서 하루 동안 건조시켜 얇은 지질막을 형성시켰다. 상기 지질막에 멸균한 3차 증류수를 넣은 후 초음파로 분산시켜 리포좀 현탁액을 제조하였다.
40% v/v 광학특성 나노입자를 함유하는 퍼플루오르 카본, 1.7% w/v 글리세린(Sigma-Aldrich, USA), 2.0% w/v 상기 제조된 계면활성제 혼합물, 나머지는 멸균한 증류수를 넣은 후 30초 동안 균질기(homogenizer)(Power Gen 1000, Fisher Scientific, USA)로 혼합하였다. 상기 혼합액을 M-110S 미세유체역학 유화제(Microfluidics emulsifier)(Microfluidics, USA)를 사용하여 2000 PSI, 4분 동안 에멀젼을 공정하였다(도 1). 광학특성 나노입자를 함유하는 퍼플루오르카본 나노 에멀젼을 바이알(vial)에 넣고 봉입한 후 4℃에 보관하였다.
< 실시예 3> 광학특성 나노입자를 함유하는 퍼플루오르카본 나노 에멀젼의 특성화
본 발명자들은 광학특성 나노입자를 함유하는 퍼플루오르카본 나노 에멀젼의 나노입자의 표면 전기적 특성을 알기 위해, 전기영동광산란계(Electrophoretic light scattering)(ELS 8000, Otsuka Electronics)를 이용하여 제타전위(zeta potential)값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타전위값은 약 22.2 mv를 나타내었다(도 3).
또한, 본 발명자들은 광학특성 나노입자를 함유하는 퍼플루오르카본 나노 에멀젼의 나노입자를 1% 포스포텅스틱산(phosphotungstic acid)으로 염색을 한 후 폼바(Formvar)가 코팅된 그리드에 놓은 후 200 kV 범위 방출 투과형 전자현미경(Field Emission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e)(JEM-2100F, JEOL, LTD.)을 이용하여 형태관찰을 하였다(도 4). 또한, 광학특성 나노입자를 함유하는 퍼플루오르카본 나노 에멀젼을 카본(carbon)이 코팅된 그리드(grid) 위에 얇은 막으로 형성하였다. 상기 그리드를 에탄올에 담근 후 액체 질소에 저장하였다. 냉동된 샘플을 GATAN model 630 cryotransfer에 옮긴 후, 즉시 120 kV에서 Multiscan 600W CCD camera(Gatan, Inc., Warrendale, PA)로 이미지를 얻었다(도 5). 아울러, 광학특성 나노입자를 함유하는 퍼플루오르카본 나노 에멀젼의 19F MRI 영상은 4.5 T MRI Scanner(Bruker, Germany)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도 6). 그 결과, 도 4 내지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일정한 크기 및 형태를 나타내었다.
< 실시예 4> 세포의 라벨링 분석
본 발명자들은 자연살해세포를 1 X 105/웰의 농도로 12.5% 우태아 혈청 및 12.5% 마 혈청을 함유하는 α-MEM 완전배지를 사용하여 48-웰 플레이트(Falcon, USA)에 접종하였다. 상기세포에 0.5 ~ 2% 농도의 광학특성 나노입자를 함유하는 퍼플루오르카본 나노 에멀젼을 처리한 후, 37℃, 5% CO2에서 20시간 동안 배양한 후, 세포를 회수하여 1 X PBS로 두 번 세척하였다. 4 % 파라포름알데히드(paraform aldehyde)로 실온에서 20분간 고정시킨 후, 1 X PBS로 두 번 세척하였고, 1% BSA로 실온에서 30분간 블라킹(blocking)하였다. FITC(Fluorescein isothiocyanate)가 표지된 CD56 항체(ebioscience, San Diego, CA)로 염색하고, DAPI(4,6-diamidino-2-phenylindoledichydrochloride)(Sigma)로 10분간 염색한 후, 1 X PBS로 세척하였다. 사이토스피닝(Cytospining)하여 슬라이드글라스에 세포를 부착시킨 후, 형광 마운팅 배지(fluorescent mounting medium(Sigma Co., USA))를 처리하여 커버 슬립(cover slip)을 덮고 형광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형광이미지는 필터 세트(DAPI, FITC, RD-TR-PE)가 장착되어 있는 델타비젼(Deltavision) RT 이미지 시스템을 이용하여 얻었다(도 7). 광학특성 나노입자를 함유하는 PFC 나노 에멀젼으로 라벨링된 세포의 19F MRI 영상은 4.5 T MRI Scanner(Bruker, Germany)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도 8). 그 결과, 도 7 및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자연살해세포는 광학특성 나노입자를 함유하는 퍼플루오르카본 나노 에멀젼에 의해 라벨링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마크로파지(Macrophage) 및 수지상세포(dendritic cells)도 상기 퍼플루오르카본 나노 에멀젼을 이용하여 같은 방식으로 쉽게 라벨링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도 9 및 도 10).
< 실시예 5> 세포 생존력 분석
본 발명자들은 광학특성 나노입자를 함유하는 퍼플루오르카본 나노 에멀젼으로 라벨링 된 세포의 생존력을 PI(propidium iodide) 염색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자연살해세포를 1 X 105/웰의 농도로 12.5% 우태아 혈청 및 12.5% 말 혈청을 함유하는 α-MEM 완전배지를 사용하여 48-웰 플레이트(Falcon, USA)에 접종하였다. 상기세포에 0.5 ~ 2% 농도의 광학특성 나노입자를 함유하는 퍼플루오르카본 나노 에멀젼을 처리한 후, 37℃, 5% CO2에서 20시간 동안 배양한 후, 세포를 회수하여 1 X PBS로 두 번 세척하였다. 2 ug/ml PI(Sigma Co., USA)를 첨가한 후, 빛이 차단된 조건하에서 15분간 배양하였다. 1 X PBS로 세척한 후, FACS(fluorescence activated cell sorter)(Becton Dickinson, Mountain View, CA)를 이용하여 PI 염색정도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도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에멀젼을 처리하지 않은 대조군과 비교하여 세포 생존력의 유의적인 차이가 없음을 확인하였다(도 11).

Claims (22)

  1. 광학특성 나노입자를 함유하는 퍼플루오르카본(perfluorocarbon) 나노 에멀젼을 포함하는 세포 표지 및 영상화제.
  2. 제 1항에 있어서, 광학특성 나노입자는 표면개질용 퍼플루오르카본으로 표면이 개질되고, 퍼플루오르카본 연속상에 분상상인 지질 리포좀에 포집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포 표지 및 영상화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특성 나노입자는 주기율표에서 II-VI 또는 III-V 화합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2 이상의 물질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포 표지 및 영상화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특성 나노입자는 단일 코어(Core) 또는 코어 셸(core/shell)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포 표지 및 영상화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특성 나노입자는 양자점, 유기형광다이 및 금속 나노입자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포 표지 및 영상화제.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개질용 퍼플루오르카본은 탄소로 구성된 주 사슬에 1개 이상의 플루오르(F) 관능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포 표지 및 영상화제.
  7.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개질용 퍼플루오르카본은 티올(thiol), 포스핀(phosphine) 및 포스핀 옥사이드(phosphine oxide)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말단기를 갖는 퍼플루오르계(perfluorochemical), 또는 양쪽친매성 플루오리네이티드 하이드로카본(amphiphilic fluorinated hydrocarbon)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포 표지 및 영상화제.
  8.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개질용 퍼플루오르카본은 퍼플루오리네이티드 알콜 포스페이트 에스테르(perfluorinated alcohol phosphate ester) 및 이의 염, 퍼플루오리네이티드 설폰아마이드 알콜 포스페이트 에스테르(perfluorinated sulfonamide alcohol phosphate ester) 및 이의 염, 퍼플루오리네이티드 알킬 설폰아마이드 알킬렌 4차 암모늄염(perfluorinated alkyl sulfonamide alkylene quaternary ammonium salt), N,N-(더 낮은 알킬로 치환된 카르복실) 퍼플루오리네이티드 알킬 설폰아마이드(N,N-(carboxyl-substituted lower alkyl) perfluorinated alkyl sulfonamide), 및 이들의 혼합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세포 표지 및 영상화제.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퍼플루오리네이티드 알콜 포스페이트 에스테르(perfluorinated alcohol phosphate ester)는 모노(mono) 또는 비스(bis) (1H, 1H, 2H, 2H-퍼플루오로알킬(perfluoroalkyl))포스페이트(phosphate) 유래 디에탄올아민염(diethanolamine salt)의 유리산(free acid)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포 표지 및 영상화제.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퍼플루오리네이티드 설폰아마이드 알콜 포스페이트 에스테르(perfluorinated sulfonamide alcohol phosphate ester)는 퍼플루오로-n-옥틸-N-에틸설폰아마이도에틸 포스페이트(perfluoro-n-octyl-N-ethysulfonamidoethyl phosphate), 비스(퍼플루오로-n-옥틸-N-에틸설폰아마이도에틸) 포스페이트(bis(perfluoro-n-octyl-N-ethylsulfonamidoethyl) phosphate), 비스(퍼플루오로-n-옥틸-N-에틸설폰아마이도에틸) 포스페이트(bis(perfluoro-n-octyl-N-ethylsulfonamidoethyl)의 암모늄염, 비스(퍼플루오로데실-N-에틸설폰아마이도에틸) 포스페이트(bis(perfluorodecyl-N-ethylsulfonamidoethyl) phosphate) 및 비스(퍼플루오로헥실-N-에틸설폰아마이도에틸) 포스페이트(bis(perfluorohexy-N-ethylsulfonamidoethyl) phosphate)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포 표지 및 영상화제.
  11.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퍼플루오르카본 연속상의 퍼플루오르카본은 퍼플루오로트리부틸아민(perfluorotributylamine(FC47)), 퍼플루오로데칼린(perfluorodecalin(PP5)), 퍼플루오로메틸데칼린(perfluoromethyldecalin(PP9)), 퍼플루오로옥틸브로마이드(perfluorooctylbromide), 퍼플루오로테트라하이드로퓨란(perfluorotetrahydrofuran(FC80)), 퍼플루오로에테르(perfluoroether(PID))[(CF3)2 CFOCF2 (CF2)2 CF2 OCF(CF3)2], 퍼플루오로에테르(perfluoroether(PⅡD))[(CF3)2 CFOCF2 (CF2)6 CF2 OCF (CF3)2], 퍼플루오로에테르폴리머(perfluoroetherpolymer(Fomblin Y/01)), 퍼플루오로데칸(perfluorododecane), 퍼플루오로바이사이클로[4.3.0]노난(perfluorobicyclo[4.3.0]nonane), 퍼플루오로트리트리메틸바이사이클로헥산(perfluorotritrimethylbicyclohexane), 퍼플루오로트리프로필아민(perfluorotripropylamine), 퍼플루오로이소프로필사이클로헥산(perfluoroisopropylcyclohexane), 퍼플루오로엔도테트라하이드로다이사이클로펜타디엔(perfluoroendotetrahydrodicyclopentadiene), 퍼플루오로아다만탄( perfluoroadamantane), 퍼플루오로엑소테트라하이드로다이사이클로펜타디엔(perfluoroexotetrahydrodicyclopentadiene), 퍼플루오로바이사이클로[5.3.0]데칸(perfluorbicyclo[5.3.0]decane), 퍼플루오로테트라메틸사이클로헥산(perfluorotetramethylcyclohexane), 퍼플루오로-1-메틸-4-이소프로필사이클로헥산(perfluoro-1-methyl-4-isopropylcyclohexane), 퍼플루오로-n-부틸사이클로헥산(perfluoro-n-butylcyclohexane), 퍼플루오로디메틸바이사이클로[3.3.1.]노난(perfluorodimethylbicyclo[3.3.1.]nonane), 퍼플루오로-1-메틸 아다만탄(perfluoro-1-methyl adamantane), 퍼플루오로-1-메틸-4-t-부틸사이클로헥산(perfluoro-1-methyl-4-t butylcyclohexane), 퍼플루오로데카하이드로아센압탄(perfluorodecahydroacenapthane), 퍼플루오로트리메틸바이사이클로[3.3.1]노난(perfluorotrimethylbicyclo[3.3.1]nonane), 퍼플루오로-1-메틸 아다만탄(perfluoro-1-methyl adamantane), 퍼플루오로-1-메틸-4-t-부틸사이클로헥센(perfluoro-1-methyl-4-t butylcyclohexene), 퍼플루오로데카하이드로아센압텐(perfluorodecahydroacenaphthene), 퍼플루오로트리메틸바이사이클로[3.3.1.]노난(perfluorotrimethylbicyclo[3.3.1.]nonane), 퍼플루오로-눈데칸(perfluoro-nundecane), 퍼플루오로테트라데카하이드로페난트렌(perfluorotetradecahydrophenanthrene), 퍼플루오로-1,3,5,7-테트라메틸아다만탄(perfluoro-1,3,5,7-tetramethyladamantane), 퍼플루오로도데카하이드로플루오렌(perfluorododecahydrofluorene), 퍼플루오로-1-3-다이메틸아다만탄(perfluoro-1-3-dimethyladamantane), 퍼플루오로-n-옥틸사이클로헥산(perfluoro-n-octylcyclohexane), 퍼플루오로-7-메틸 바이사이클로[4.3.0]노난(perfluoro-7-methyl bicyclo[4.3.0]nonane), 퍼플루오로-p-다이이소프로필사이클로헥산(perfluoro-p-diisopropylcyclohexane), 퍼플루오로-m-다이이소프로필사이클로헥산(perfluoro-m-diisopropylcyclohexane), 퍼플루오로-4-메틸옥타하이드로퀴놀리다이진(perfluoro-4-methyloctahydroquinolidizine), 퍼플루오로-N-메틸데카하이드로퀴놀린(perfluoro-N-methyldecahydroquinoline), F-메틸-1-옥사데칼린(F-methyl-1-oxadecalin), 퍼플루오로옥타하이드로퀴놀리다이진(perfluorooctahydroquinolidizine), 퍼플루오로 5,6-다이하이드로-5-데센(perfluoro 5,6-dihydro-5-decene), 퍼플루오로-4,5-다이하이드로-4-옥텐(perfluoro-4,5-dihydro-4-octene), 퍼플루오로다이클로로옥탄(perfluorodichlorooctane), 퍼플루오로비스클로로옥탄 에테르(perfluorobischlorobutyl ether), 퍼플루오로옥탄(perfluorooctane), 퍼플루오로다이클로로옥탄(perfluorodichlorooctane), 퍼플루오로-n-옥틸 브로마이드(perfluoro-n-octyl bromide), 퍼플루오로헵탄(perfluoroheptane), 퍼플루오로데칸(perfluorodecane), 퍼플루오로사이클로헥산(perfluorocyclohexane), 퍼플루오로모르폴린(perfluoromorpholine), 퍼플루오로트리프로필아민(perfluorotripropylamine), 퍼플루오로트리부틸아민(perfluortributylamine), 퍼플루오로다이메틸사이클로헥산(perfluorodimethylcyclohexane), 퍼플루오로트리메틸사이클로헥산(perfluorotrimethylcyclohexane), 퍼플루오로다이사이클로헥실 에스테르(perfluorodicyclohexyl ether), 퍼플루오로-n-부틸테트라하이드로퓨란(perfluoro-n-butyltetrahydrofiuran), 및 이들 화합물들과 구조적으로 유사한 화합물들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포 표지 및 영상화제.
  12.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질 리포좀은 지질/계면활성제(lipid/surfactant)를 이용하여 외층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포 표지 및 영상화제.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질은 합성 포스포리피드(natural or synthetic phospholipid), 지방산(fatty acids), 콜레스테롤(cholesterols), 라이소리피드(lysolipids), 스핑고미엘린(sphingomyelins), 토코페롤(tocopherols), 글루콜리피드(glucolipid), 스테아릴아르나인(stearylarnines), 카디오리핀(cardiolipins), 플라스마로전(plasmalogens), 에테르 또는 에스터와 연결된 지방산을 포함한 리피드(lipid with ether or ester linked fatty acids), 및 중합 리피드(polymerized lipids)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포 표지 및 영상화제.
  14.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계면활성제는 음이온성(anionic) 계면활성제, 양이온성(cationic) 계면활성제, 비이온성(nonionic) 계면활성제 및 양쪽성(amphoteric) 계면활성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포 표지 및 영상화제.
  1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세포는 암 세포, 줄기세포, B 세포, T 세포, 자연살해세포, 수지상 세포 및 대식세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포 표지 및 영상화제.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자연살해세포는 조혈모세포, 혈액, 비장(spleen) 및 간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에서 분리되는 것, 또는 이를 유전적으로 변형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포 표지 및 영상화제.
  1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자연살해세포 표지 및 영상화제는 자기공명화상법(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및 광학 영상화법(Optical imaging, OI)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포 표지 및 영상화제.
  18. 제 1항의 세포 표지 및 영상화제를 세포에 처리한 후 영상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세포 표지 및 영상화 방법.
  19. 제 18항에 있어서, 세포 표지 및 영상화 방법은 상기 세포 표지 및 영상화제를 단독으로, 또는 화학적 형질감염 촉진을 병행하여, 또는 기계적 형질감염 촉진을 병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포 표지 및 영상화 방법.
  20.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적 형질감염은 양이온화제(cationic agent)를 추가로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포 표지 및 영상화 방법.
  21.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기계적 형질감염은 전기천공법(electroporation) 또는 자전천공법(magnetoporation)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포 표지 및 영상화 방법.
  22.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세포 표지 및 영상화는 광학특성 나노입자를 함유하는 퍼플루오르카본 나노 에멀젼에 세포와 특이적으로 반응하는 바이오물질을 고정화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포 표지 및 영상화 방법.
KR1020110023383A 2011-03-16 2011-03-16 다기능성 퍼플루오르카본 나노 에멀젼을 이용한 세포 표지 및 영상화 KR2011003317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3383A KR20110033170A (ko) 2011-03-16 2011-03-16 다기능성 퍼플루오르카본 나노 에멀젼을 이용한 세포 표지 및 영상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3383A KR20110033170A (ko) 2011-03-16 2011-03-16 다기능성 퍼플루오르카본 나노 에멀젼을 이용한 세포 표지 및 영상화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35673A Division KR101031049B1 (ko) 2008-04-17 2008-04-17 다기능성 퍼플루오르카본 나노 에멀젼을 이용한 세포 표지및 영상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3170A true KR20110033170A (ko) 2011-03-30

Family

ID=439377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3383A KR20110033170A (ko) 2011-03-16 2011-03-16 다기능성 퍼플루오르카본 나노 에멀젼을 이용한 세포 표지 및 영상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33170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74694A1 (ko) * 2014-05-15 2015-11-19 한국생명공학연구원 루신 지퍼 쌍을 이용한 암 진단 및 치료용 조성물
KR20160064053A (ko) * 2016-05-18 2016-06-07 한국생명공학연구원 루신 지퍼 쌍을 이용한 암 진단 및 치료용 조성물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74694A1 (ko) * 2014-05-15 2015-11-19 한국생명공학연구원 루신 지퍼 쌍을 이용한 암 진단 및 치료용 조성물
KR20150131611A (ko) * 2014-05-15 2015-11-25 한국생명공학연구원 루신 지퍼 쌍을 이용한 암 진단 및 치료용 조성물
KR20160064053A (ko) * 2016-05-18 2016-06-07 한국생명공학연구원 루신 지퍼 쌍을 이용한 암 진단 및 치료용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34762B2 (en) Perfluorocarbon nano-emulsion containing quantum dot nanoparticles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Van Tilborg et al. Annexin A5-functionalized bimodal lipid-based contrast agents for the detection of apoptosis
KR101005561B1 (ko) 광학특성 나노입자 및 퍼플루오로카본으로 구성된 나노에멀젼을 이용한 다중모드 조영 방법
KR101031049B1 (ko) 다기능성 퍼플루오르카본 나노 에멀젼을 이용한 세포 표지및 영상화
Rammohan et al. Nanodiamond–gadolinium (III) aggregates for tracking cancer growth in vivo at high field
Lee et al. Water-dispersible ferrimagnetic iron oxide nanocubes with extremely high r 2 relaxivity for highly sensitive in vivo MRI of tumors
Hultman et al. Magnetic resonance imaging of major histocompatibility class II expression in the renal medulla using immunotargeted superparamagnetic iron oxide nanoparticles
US7235227B2 (en) Paramagnetic particles that provide improved relaxivity
JP5019883B2 (ja) 核磁気共鳴技術のための細胞標識
CA2693678C (en)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producing cellular labels for nuclear magnetic resonance techniques
Lamanna et al. Endowing carbon nanotubes with superparamagnetic properties: applications for cell labeling, MRI cell tracking and magnetic manipulations
Briley-Saebo et al. High-relaxivity gadolinium-modified high-density lipoproteins as magnetic resonance imaging contrast agents
Lee et al. Oxygen sensing with perfluorocarbon-loaded ultraporous mesostructured silica nanoparticles
Bye et al. Nitroxide-loaded hexosomes provide MRI contrast in vivo
Martina et al. The in vitro kinetics of the interactions between PEG-ylated magnetic-fluid-loaded liposomes and macrophages
Bae et al. Bimodal perfluorocarbon nanoemulsions for nasopharyngeal carcinoma targeting
Henning et al. Cell labeling with the positive MR contrast agent Gadofluorine M
US8003078B2 (en) Targeted MR imaging agents
Rui et al. Recombinant high-density lipoprotein nanoparticles containing gadolinium-labeled cholesterol for morphologic and functional magnetic resonance imaging of the liver
Toyota et al. Giant vesicles containing superparamagnetic iron oxide as biodegradable cell-tracking MRI probes
KR20110033170A (ko) 다기능성 퍼플루오르카본 나노 에멀젼을 이용한 세포 표지 및 영상화
Perez et al. Click-ready Perfluorocarbon Nanoemulsion for 19F MRI and Multimodal cellular detection
Bona et al. Multibranched-Based Fluorinated Materials: Tailor-Made Design of 19F-MRI Probes
Di Gregorio et al. Supramolecular adducts between macrocyclic Gd (III) complexes and polyaromatic systems: A route to enhance the relaxivity through the formation of hydrophobic interactions
Ferrauto et al. Detection of U-87 tumor cells by RGD-functionalized/Gd-containing giant unilamellar vesicles in magnetization transfer contrast magnetic resonance imag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WITB Written withdrawal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