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32693A - 비닐하우스 - Google Patents
비닐하우스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10032693A KR20110032693A KR1020090090317A KR20090090317A KR20110032693A KR 20110032693 A KR20110032693 A KR 20110032693A KR 1020090090317 A KR1020090090317 A KR 1020090090317A KR 20090090317 A KR20090090317 A KR 20090090317A KR 20110032693 A KR20110032693 A KR 2011003269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vinyl
- house
- water
- pipe
- presen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4—Devices or systems for heating, ventilating, regulating temperature, illuminating, or watering, in greenhouses, forcing-frames, or the like
- A01G9/245—Conduits for heating by means of liquids, e.g. used as frame members or for soil heating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4—Greenhouses
- A01G9/1407—Greenhouses of flexible synthetic material
- A01G9/1415—Greenhouses of flexible synthetic material with double or multiple wall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4—Devices or systems for heating, ventilating, regulating temperature, illuminating, or watering, in greenhouses, forcing-frames, or the like
- A01G9/247—Watering arrangement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5—Greenhouse technology, e.g. cooling systems therefo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Greenhouses (AREA)
- Buildings Adapted To Withstand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닐하우스 위로 적재되는 눈을 신속하게 제설하기 위하여 비닐하우스 상면에 온수를 공급하도록 하기 위해 설치한 비닐하우스용 보온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반원형의 철재 파이프를 소정의 간격으로 설치하고 가로방향의 지지대로 견고히 지지되며 외측에는 비닐을 씌우는 비닐하우스에 있어서, 상기 비닐은 파이프의 외측에 두 겹으로 겹쳐져 덮혀지며; 상기 비닐하우스의 중앙부 길이방향으로는 삽입공이 형성되도록 하며; 측면에 분사공이 형성되고 일측 끝단에 온수 가열장치가 결합된 온수 파이프가 상기 삽입공에 삽입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폭설이 내리는 경우 비닐하우스 위의 눈을 치우기 위해 별도의 장비나 인력을 동원하지 않고서도 간단히 비닐하우스 위의 눈을 녹일 수 있으므로, 비닐하우스의 파손을 방지하여 농작물의 피해를 줄일 수 있는 매우 경제적인 발명이다.
비닐하우스, 온수관, 농작물, 폭설, 배출관
Description
본 발명은 비닐하우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겨울에는 비닐하우스 위로 적재되는 눈을 신속하게 제설하여 비닐하우스에 가해지는 하중을 줄여 비닐하우스가 무너지는 것을 방지하고, 비닐하우스 내부의 농작물 피해를 방지하며, 여름에는 비닐하우스 내부의 열을 내려 농작물의 피해를 줄이도록 하는 비닐하우스에 관한 발명이다.
일반적으로 농가의 비닐하우스는 채소, 원예, 과일 등의 작물을 농번기는 물론, 농한기에도 재배하여 농가의 수익을 창출하기 위한 것으로서, 공지된 바와 같이, 반원형의 철재 파이프를 소정의 간격으로 설치하고 가로방향의 지지대로 견고히 지지한 후, 그 외측을 비닐로 씌워주고 고정 끈이나 벤드 등으로 묶어줌으로서 외부의 급격한 기온변화에도 내부의 기온을 항상 소정의 범위 이내로 유지한다.
그러나, 겨울철에 갑자기 폭설이 내리는 경우에는 비닐하우스가 눈의 하중을 이기지 못하고 무너지거나 비닐이 찢어져 손상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였다.
따라서, 비닐하우스 내부의 농작물이 피해를 입게 되고, 농작물의 수급 불균형이 이루어져 생산자는 물론 소비자도 피해를 보게 되고, 이를 복구하기 위한 많 은 인력과 시간이 필요하나 이 또한 여의치가 않은 것이 현실이었다.
또한, 비닐하우스의 내부의 온도는 혹서기인 여름철에는 환기의 곤란으로 고온의 실내온도가 유지되므로, 실내에서 재배하는 채소 및 원예 등의 작물에 피해를 주기도 한다.
본 발명은 비닐하우스 위의 눈을 많은 인력을 투입하지 않고서도 효율적으로 제거하여 비닐하우스와 비닐하우스 내부에서 재배되는 농작물을 보호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여름철에는 비닐하우스 내부의 온도을 내려 고온으로 인한 농작물의 피해를 줄이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반원형의 철재파이프가 서로 이격되어 다수 설치되고, 상기 철재파이프의 하부에는 비닐하우스의 종방향으로 지지대가 견고히 지지되며, 상기 철재파이프의 외측에는 비닐을 씌워 구성되는 비닐하우스에 있어서, 상기 비닐은 비닐하우스의 횡방향 좌측 하단에서 우측 하단까지 덮어 바닥비닐을 형성하고, 상기 바닥비닐의 좌측 하단을 절첩하되, 상기 바닥비닐과 중첩되도록 바닥비닐의 우측 하단까지 절첩하여 제1상부비닐을 형성하며, 상기 바닥비닐의 우측 하단을 절첩하되, 상기 제1상부비닐과 중첩되도록 제1상부비닐의 좌측 하단까지 절첩하여 제2상부비닐을 형성하며, 상기 바닥비닐과 제1상부비닐 사이에는 온수 또는 냉수가 분사되는 물분사파이프가 비닐하우스의 종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다수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바닥비닐과 제1상부비닐이 접하는 부분 및 상기 바닥비닐과 제2상부비닐과 접하는 부분에는 물분사파이프의 하측에 위치하며 물을 흡입하는 물흡입파이프가 비닐하우스의 길이방향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상부비닐의 위에서 바닥비닐과 제1상부비닐 및 제2상부비닐이 철재파이프에 가압되도록 가압대를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비닐은 공지와 같이 두 겹으로 중첩되고, 상기 비닐에는 비닐하우스의 횡방향으로 두 겹의 비닐이 서로 융착되도록 융착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비닐하우스 위에 적재되는 눈을 치우기 위해 별도의 장비나 인력을 동원하지 않고서도 쉽게 눈을 녹일 수 있으므로, 눈을 치우기 위한 시간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따라서, 폭설로 인해 비닐하우스가 파손되어 농작물이 피해를 입거나 고온으로 인해 농작물이 피해를 입을 염려가 없는 비닐하우스가 제공된다.
[발명의 구성]
이하,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의 구성을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닐하우스에서 물분사파이프와 물흡입파이프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사시 예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닐하우스에서 바닥비닐을 덮은 상태의 사시 예시도이다.
본 발명은 공지의 비닐하우스와 같이 반원형의 철재파이프(10)가 서로 이격되어 다수 설치된다. 그리고, 비닐하우스(H)의 종방향으로 지지대(20)를 설치하되, 다수의 철재파이프(10)가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고 지지되도록 하기 위해 철재파이프(10)와 철재파이프(10)의 하부를 서로 연결하여 결합된다.
철재파이프(10)의 외측에는 공지와 같은 두 겹으로 중첩되는 비닐(30)을 씌우되,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닐하우스의 횡방향으로 다수의 융착대(35)를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형성하여 두 겹의 비닐(30)이 서로 융착되도록 한다.
철재파이프(10) 위에 씌워지는 비닐(30)은 바닥비닐(31)과 제1상부비닐(32) 및 제2상부비닐(33)로 이루어지며, 바닥비닐(31)과 제1상부비닐(32)의 사이에는 물분사파이프(40)를 비닐하우스의 종방향, 즉, 지지대(20)와 같은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시켜 다수 결합한다. 물분사파이프(40)에는 다수의 분사공(41)이 관통 형성되어 있다.
또한, 바닥비닐(31)과 제1상부비닐(32)이 절첩되어 접하는 부분 및 바닥비닐(31)과 제2상부비닐(33)이 절찹되어 접하는 부분에는 각각 물흡입파이프(50)가 물분사파이프(40)와 동일한 방향으로 형성된다. 물흡입파이프(50)에는 다수의 흡입공 (51)이 관통 형성된다.
그리고,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물분사파이프(40)에는 온수 또는 냉수를 공급하기 위한 물공급장치가 별도 설치되며, 물흡입파이프(50)에는 물을 흡입하여 배출하기 위한 물흡입장치가 별도 설치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닐하우스에서 가압대로 비닐을 철재파이프에 가압한 상태의 정면 예시도이다.
철재파이프(10) 위에 씌워지는 비닐(30)이 바람에 날리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제2상부비닐(33) 위에서 철재파이프(10)와 일체로 가압대(60)를 가압하여 체결한다.
가압대(60)는 탄성을 가지며 철재파이프(10)가 삽입 밀착 체결되기 위한 체결홈(61)이 형성되고, 소정 크기의 삽입구(62)가 형성된다. 이를 위한 가압대(60)는 일측이 개방되어 삽입구(61)가 형성되는 사각형태이거나 반원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원형으로 되는 철재파이프(10)를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하여 설치하고, 다수의 철재파이프(10)의 하부를 지나도록 지지대(20)를 소정의 간격마다 설치하여 각각의 철재파이프(10)와 결합되도록 고정한다.
비닐(30)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닐하우스(H)의 양측으로 길게 늘어지도록 덮어 씌우고, 비닐하우스(H)의 좌측 하단에서 우측 하단, 즉, 철재파이프(10)와 동일방향으로 씌워 바닥비닐(31)을 형성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닐하우스에서 바닥비닐 위에 물분사파이프와 물흡입파이프를 설치한 상태의 정면 예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닐하우스에서 물분사파이프와 물흡입파이프의 일부 절결 예시도이다.
바닥비닐(31)의 위에는 지지대(20)와 동일한 방향으로 다수의 물분사파이프(40)를 설치하고, 비닐하우스(H)의 양측 하측에는 물흡입파이프(50)를 설치한다.
도 5에서와 같이, 바닥비닐(31)의 일측을 일측 물흡입파이프(50)를 감싸도록 외측으로 절첩하여 바닥비닐(31)의 타측으로 중첩되도록 함으로써 제1상부비닐(32)을 형성하여 물분사파이프(40) 및 물흡입파이프(50)를 덮는다.
도 6에서와 같이, 바닥비닐(31)의 타측 끝단을 타측 물흡입파이프(50)를 감싸도록 외측으로 절첩하여 제1상부비닐(32)과 중첩되도록 덮어 제2상부비닐(33)을 형성한다.
따라서, 겨울철에 눈이 내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비닐하우스(H) 위에 적재되는 경우,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별도의 콤프레셔 등의 물공급장치를 이용하여 물분사파이프(40)에 고압으로 온수를 공급한다.
온수는 물분사파이프(40)의 분사공(41)을 통해 비닐하우스(H) 위로 분사되고, 비닐하우스(H) 위를 흘러내리면서 온수에 의해 비닐하우스(H) 상면에 적재된 눈이 녹아내리게 된다.
그리고, 바닥비닐(31)과 제1상부비닐(32)이 절첩되는 부분 및 바닥비닐(31)과 제2상부비닐(33)이 절첩되는 부분에는 흘러내린 온수가 고이게 되며, 이렇게 흘러내린 온수는 물흡입장치에 의해 물흡입파이프(50)를 통해 흡입한다.
흡입공(51)을 통해 흡입되는 온수는 다시 물분사파이프(40)를 통해 비닐하우스(H) 위에 분사함으로써 온수를 가열하기 위한 에너지 소모를 줄인다.
한편, 여름에는 비닐하우스(H) 내부의 온도가 너무 높아져 작물에 피해를 주게 되는 경우 이를 방지하기 위해 물분사파이프(40)를 통해 비닐하우스(H) 위에 냉수를 분사함으로써 비닐하우스(H) 내부의 온도를 줄이기도 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기재된 청구 범위 내에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닐하우스에서 물분사파이프와 물흡입파이프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사시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닐하우스에서 바닥비닐을 덮은 상태의 사시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닐하우스에서 바닥비닐을 덮은 상태의 정면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닐하우스에서 바닥비닐 위에 물분사파이프와 물흡입파이프를 설치한 상태의 정면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닐하우스에서 바닥비닐의 일측을 절첩하여 제1상부비닐을 형성한 상태의 정면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닐하우스에서 바닥비닐의 타측을 절첩하여 제2상부비닐을 형성한 상태의 정면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닐하우스에서 가압대로 비닐을 철재파이프에 가압한 상태의 정면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닐하우스에서 물분사파이프와 물흡입파이프의 일부 절결 예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닐하우스에서 비닐의 융착대를 도시한 예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 : 철재파이프 20 : 지지대
30 : 비닐 31 : 바닥비닐
32 : 제1상부비닐 33 : 제2상부비닐
40 : 물분사파이프 41 : 분사공
50 : 물흡입파이프 51 : 흡입공
60 : 가압대
Claims (4)
- 반원형의 철재파이프가 서로 이격되어 다수 설치되고, 상기 철재파이프의 하부에는 비닐하우스의 종방향으로 지지대가 견고히 지지되며, 상기 철재파이프의 외측에는 비닐을 씌워 구성되는 비닐하우스에 있어서,상기 비닐은 비닐하우스의 횡방향 좌측 하단에서 우측 하단까지 덮어 바닥비닐을 형성하고,상기 바닥비닐의 좌측 하단을 절첩하되, 상기 바닥비닐과 중첩되도록 바닥비닐의 우측 하단까지 절첩하여 제1상부비닐을 형성하며,상기 바닥비닐의 우측 하단을 절첩하되, 상기 제1상부비닐과 중첩되도록 제1상부비닐의 좌측 하단까지 절첩하여 제2상부비닐을 형성하며,상기 바닥비닐과 제1상부비닐 사이에는 온수 또는 냉수가 분사되는 물분사파이프가 비닐하우스의 종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다수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하우스.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바닥비닐과 제1상부비닐이 접하는 부분 및 상기 바닥비닐과 제2상부비닐과 접하는 부분에는 물분사파이프의 하측에 위치하며 물을 흡입하는 물흡입파이프가 비닐하우스의 길이방향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하우스.
-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상기 제2상부비닐의 위에서 바닥비닐과 제1상부비닐 및 제2상부비닐이 철재파이프에 가압되도록 가압대를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하우스.
- 제 3항에 있어서,상기 비닐은 공지와 같이 두 겹으로 중첩되고, 상기 비닐에는 비닐하우스의 횡방향으로 두 겹의 비닐이 서로 융착되도록 융착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하우스.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90317A KR20110032693A (ko) | 2009-09-22 | 2009-09-22 | 비닐하우스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90317A KR20110032693A (ko) | 2009-09-22 | 2009-09-22 | 비닐하우스 |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30010290U Division KR20140001147U (ko) | 2013-12-11 | 2013-12-11 | 비닐하우스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032693A true KR20110032693A (ko) | 2011-03-30 |
Family
ID=439374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0090317A KR20110032693A (ko) | 2009-09-22 | 2009-09-22 | 비닐하우스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10032693A (ko) |
-
2009
- 2009-09-22 KR KR1020090090317A patent/KR20110032693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057472B1 (ko) | 순환식 수막난방장치 | |
KR20110032693A (ko) | 비닐하우스 | |
KR200383922Y1 (ko) | 텐트 하우스의 단열 구조 | |
KR101495859B1 (ko) | 비닐하우스의 골조 연결구조 | |
KR20140001147U (ko) | 비닐하우스 | |
KR20100003299U (ko) | 수지 코팅된 비닐하우스 파이프 고정구 | |
JP2003184238A (ja) | 緑化屋根 | |
KR101031071B1 (ko) | 비닐하우스용 비닐 고정패드 | |
KR20070087332A (ko) | 비닐하우스용 보온장치 | |
KR200344762Y1 (ko) | 비닐하우스의 제설 및 냉각용 분수호스 | |
KR20120100546A (ko) | 비닐하우스용 제설장치 | |
KR20110095836A (ko) | 옥외 시설물 | |
KR101824317B1 (ko) | 끝이 말리는 비닐 하우스 | |
KR200430816Y1 (ko) | 보온 공기팩 및 이를 이용한 하우스 개폐장치 | |
WO2015163760A1 (en) | Assembly of substrate and wire rack | |
KR200458943Y1 (ko) | 비닐하우스의 수막재배용 용수호스 걸이대 | |
KR101289247B1 (ko) | 비닐하우스용 보온 단열재 | |
KR100803965B1 (ko) | 결속용 날개비닐이 형성된 비닐하우스용 비닐 및 이를이용한 비닐하우스의 설치 방법 | |
KR20100090841A (ko) | 비닐하우스용 살수호스 및 그 제조방법 | |
US20080179239A1 (en) | Thermally protected water filtration system and method of installing same | |
JP3179473U (ja) | 遮熱断熱材 | |
KR20150073511A (ko) | 치마부용 보온덮개 및 이를 이용한 비닐하우스 | |
CN210275344U (zh) | 一种保温棚 | |
KR20170100195A (ko) | 비닐하우스의 치마 및 그 제조방법 | |
KR20230167574A (ko) | 비닐하우스의 눈 녹인 탄소난방필름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WICV | Withdrawal of application forming a basis of a converted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