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32513A - 조직 재생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조직 재생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32513A
KR20110032513A KR1020090090045A KR20090090045A KR20110032513A KR 20110032513 A KR20110032513 A KR 20110032513A KR 1020090090045 A KR1020090090045 A KR 1020090090045A KR 20090090045 A KR20090090045 A KR 20090090045A KR 20110032513 A KR20110032513 A KR 201100325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rived
cells
composition
growth factor
adipo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900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민
유상재
Original Assignee
김민
유상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민, 유상재 filed Critical 김민
Priority to KR10200900900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32513A/ko
Publication of KR201100325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3251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12Materials from mammals; Compositions comprising non-specified tissues or cells; Compositions comprising non-embryonic stem cells; Genetically modified cells
    • A61K35/14Blood; Artificial bloo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12Materials from mammals; Compositions comprising non-specified tissues or cells; Compositions comprising non-embryonic stem cells; Genetically modified cel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12Materials from mammals; Compositions comprising non-specified tissues or cells; Compositions comprising non-embryonic stem cells; Genetically modified cells
    • A61K35/28Bone marrow; Haematopoietic stem cells; Mesenchymal stem cells of any origin, e.g. adipose-derived stem cel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12Materials from mammals; Compositions comprising non-specified tissues or cells; Compositions comprising non-embryonic stem cells; Genetically modified cells
    • A61K35/35Fat tissue; Adipocytes; Stromal cells; Connective tissu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ell Biology (AREA)
  • Immu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Developmental Biology & Embry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Virology (AREA)
  • Zo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Hemat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혈액 유래 단핵구 및 지방조직 유래 세포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직 재생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자가 혈액 유래 단핵구; 및 지방줄기세포와 중간엽 기질세포(mesenchymal stromal cells)를 포함하는 지방조직 유래 세포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직 재생용 조성물 및 성형용 필러(filler)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자가 세포를 사용하여 조직 이식이 가능하고, 상기 혈액유래 단핵구와 지방조직 유래 세포에 의한 조직 재생 및 신생혈관형성이 유도될 수 있기 때문에, 조직 수복(tissue restoration) 기능에 의한 흉터 개선 및 상처 치유에 유용하다.
지방조직 유래 세포, 단핵구, 흉터, 상처, 조직재생

Description

조직 재생용 조성물{Composition for Regenerating Tissues}
본 발명은 자가 혈액 유래 단핵구; 및 지방줄기세포와 중간엽 기질세포(mesenchymal stromal cells)를 포함하는 지방조직 유래 세포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직 재생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처는 피부 표면의 파괴 유무에 따라, 피부나 점막이 손상되어 내부의 조직이 공기중에 노출된 절상, 열상, 관통상, 찰과상 등의 개방성 상처(open wound), 및 피부나 점막의 파열은 없으나, 둔기로 인한 타박이나 비꼬임, 충격 당겨지거나, 꺾였을 때 발생할 수 있는 패쇄성 상처(closed wound)로 분류될 수 있다.
상처 치유(wound healing) 과정은 세포 내 인자에 의해 섬유아세포, 혈관내피세포(vascular endothelial cells), 케라티노사이트와 같은 외피세포(epidermal cells)가 증식을 개시하고, 상처 부위로 세포가 이동하여, 육아조직형성 (granulation tissue formation), 신생혈관형성 (angiogenesis) 및 재상피화 (reepithelization)의 과정을 거쳐 조직 재생이 이루어진다.
상처 치유효능을 갖는 인자로는 EGF(epithelial growth factor), aFGF(acid fibroblast growth factor), bFGF(basic fibroblast growth factor), TGF(transforming growth factors) 및 IGF(insulin-like growth factors)와 같은 성장인자, 파이브로넥틴(fibronectin), 라미닌(laminin) 및 비트로넥틴(vitronectin)을 포함하는 유착인자(adhesion factor), 레티노이드(retinoid)와 같은 화합물을 들 수 있다 (Thiry et al ., Exp . Cell Res ., 164:1, 1986; McGee et al ., J. Surg . Res., 45:145, 1988; JP Publication No.2-167231; Sporn et al ., Science , 233:532,1986; Travis and Salvesen, Ann . Rev . Biochem ., 52:665, 1983; Ubels et al., Am . J. Ophthalmol ., 95:353, 1983; Kastl et al ., Ann . Ophthal ., 19:175, 1987).
상처가 회복되는 과정은 초기 창상 발생 후 동화(anabolic) 및 이화(catabolic) 과정이 6주 내지 8주간 균형적으로 일어나며, 이 단계에서는 일반적으로 30% 내지 40%의 정상피부조직을 포함하는 회복 정도를 나타낸다. 상흔은 콜라겐 섬유가 점진적으로 교차 결합을 일으키면서 항장력(tensile strength)이 증가하여 충혈성의 융기된 상태로 형성되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점차 형태가 피부가 유사한 상태로 돌아간다. 상처 치유과정 중 동화 및 이화단계에서 상호 불균형이 발생한 경우에는 콜라겐이 분해되지 못하여 굳어져 흉터가 융기된 형태로 남아있게 되며, 이러한 조직은 융기형 흉터(hypertrophic scar) 또는 켈로이드(keloids)로 분류된다.
상처 치유에 대한 관심과 이에 따른 여러 시술 또는 약물의 개발은 궁극적으 로 흉터 생성을 예방하고자 하는 미용의 목적이 가장 크다. 흉터는 수술적 또는 비수술적 수단을 통하여 치료할 수 있으며, 비수술적 수단은 실리콘 겔, Cordran® 및 Scarguard®과 같은 밀폐 드레싱(occlusive dressings), 압박을 이용한 치료법, 콜라겐 형성을 억제하는 스테로이드(corticosteroid) 치료법 등이 있으며, 수술적 수단으로는 냉동치료, 레이저, 수술적 절제방법 등이 사용되고 있다. 수술에 의한 방법은 일반적으로 25% 내지 100%의 흉터 재발율을 나타내기 때문에, 실효성은 없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 외에 흉터 부위에 국부적으로 인터페론 또는 베라파밀(verapamil), 블리오마이신(bleomycin), 5-FU(5-fluorouracil), 레티놀산(retinoic acid), 이미퀴모드(imiquimod), 테크로리머스(tacrolimus) 또는 보튤리룸 톡신(botulinum toxin)을 주입하는 방법이 있으나, 이러한 방법 또한 치료 효율이 낮고, 흉터 재발율이 높으며, 약물투여에 의한 부작용 때문에 사용이 제한적인 단점이 있다.
최근, 조직 재생효능에 대해 골수 또는 지방조직 유래 다분화성 세포 또는 줄기세포를 조직공학적으로 이용하려는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Bi et al ., J. Am . Soc . Nephrol ., 18(9):2486, 2007; Wagatsuma A, Mol . Cell Biochem . 304(1-2):25, 2007; Song et al ., Int . J. Impot. Res ., 19(4):378, 2007).
일반적으로 다분화성 또는 줄기세포는 일반적으로 골수에서 획득하는 것이 가장 널리 알려져 있으나, 골수채취가 용이하지 않고, 타인의 줄기세포를 이식할 경우 면역 거부반응의 문제가 있기 때문에,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줄기세포의 대체 공급원으로 지방조직이 사용되고 있다 (Zuk et al ., Tissue Eng ., 7:211, 2001; Mizuno et al ., Plast . Reconstr . Surg ., 109:199, 2002; Zuk et al ., Mol . Biol . Cel., 13:4279, 2002).
지방 조직은 지방 흡입술과 같은 미침습적 기술로 다량 확보할 수 있으며, 이러한 지방 흡입물에는 지방 기질세포 (adipose tissue-derived stromal cells)가 존재하는 데, 상기 세포는 콜라게나아제에 의한 분해 및 차별적 원심분리방법에 의해 분쇄된 인간 지방조직으로부터 쉽게 얻어질 수 있다. 또한 세포 표면 단백질의 발현이 골수 줄기세포와 동일하지는 않으나 유사하기 때문에, 적절한 배양 조건 하에서 지방세포, 연골세포 및 모골세포 등으로 분화될 수 있음이 입증되어 있다 (Erickson et al ., Biochem . Biophys. Res . Commun ., 290:763, 2002; Halvorsen et al ., Tissue Eng ., 7:729, 2001; Wickham et al ., Clin . Orthop . Relat . Res ., 412:196, 2003; Dragoo et al ., J. Bone Joint Surg ., Br ., 85:740, 2003).
지방조직에 존재하는 기질세포는 지방조직 1 g당 8.6 x 104개로 존재하여 줄기세포와는 달리 충분한 양을 얻을 수 있으며, 또한 체외에서 용이하게 배양될 수 있어 대량 공급이 가능하고, 저온 보존이 가능한 장점이 있기 때문에, 다분화능 세포를 이용한 조직 재건(tissue reconstruction)에 이용될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 (US Pat. 6673606).
조직 재건에는 세포의 분화뿐만 아니라, 이를 위한 원활한 신생혈관 형성과정이 필수적이다. 현재 허혈에 대한 치료방법으로 개발된 혈관신생 치료법(Therapeutic Angiogenesis)은 허혈부위 조직에 혈관 발달을 촉진하는 작용을 하 기 때문에, 조직 재건 방법에 응용할 수 있다.
혈관신생 치료법은 혈관신생을 자극하는 VEGF, FGF, HGF 등의 여러 인자의 유전자를 이용하기도 하나, 최근에는 혈관의 신생과정에 관여하는 유전자나 단백질 인자 외에 혈관신생에 관여하는 세포의 공급이 중요하다는 사실이 확인되었으며, 특히 혈관신생에 대한 세포치료 방법은 골수에서 직접 채취한 내피전구세포를 심혈관계 또는 신경계 질환에서의 허혈부위에 투여하거나, 말초혈관에서 채취한 내피전구세포를 허혈 하지 및 심근경색의 증상을 보이는 동물에 이식함으로써 긍정적인 혈관신생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Anklesaria P. et al ., Proc . Natl . Acad . Sci . USA, 84:7681, 1987; Flax J. D. et al ., Nat . Biotechnol. 16:1033, 1998; Kalka C. et al ., Proc . Natl . Acad . Sci . USA , 97:3422, 2000; Lindvall O. et al ., Science , 247:574, 1990; Murohara T. et al., J. Clin . Invest ., 105:1527, 2000; Kawamoto A. et al ., Circulation , 103:634, 2005) .
내피전구세포(endothelial progenitor cell, EPC)는 조직의 허혈이나 VEGF 등 외부로부터 투여된 혈관신생인자에 반응하여 골수에서 순환혈액으로 동원되고 허혈조직으로 회귀하여 혈관신생에 참여하는 세포로서, 골수, 제대혈(umbilical cord blood) 및 말초혈액에서 간편하게 세포를 채취할 수 있으며, 채취된 세포는 자가 이식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골수 및 제대혈은 내피전구세포의 함유량이 2~3%로 우수한 공급원이기는 하나, 채취 시 고통을 줄 수 있으며, 제대혈의 경우에는 쉽게 확보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말초혈액에는 내피전구세포가 혈액으로부터 얻어진 단핵구에 대해 0.2%에 불과하다는 단점이 있으나, 최근 임상에서 진행되 는 세포 치료법의 시술개발 방향이 환자에게 고통을 덜기 위한 비침습성 접근방식의 경향을 고려할 때, 심각한 질환에 적용할 경우가 아니라면, 비교적 편리하게 세포를 확보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Murohara T., TCM , 11:303, 2001).
이에, 본 발명자들은 지방줄기세포와 중간엽 기질세포(mesenchymal stromal cells)를 포함하는 지방조직 유래 세포에 의한 조직 재건에 있어서, 혈관내피 전구세포(epithelial progenitor cells) 및/또는 조혈모세포(hematopoetic stem cells)를 유효성분으로 함유를 함유하고 있는 자가 혈액 단핵구를 지방조직 유래 세포와 혼합하여 상처부위에 이식한 결과, 조직 재생이 지방조직 유래 세포만을 사용했을 경우보다 현저히 향상되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자가 혈액 유래 단핵구; 및 지방줄기세포와 중간엽 기질세포(mesenchymal stromal cells)를 포함하는 지방조직 유래 세포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직 재생용 조성물 및 성형용 필러(filler)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자가 혈액 유래 단핵구 및 지방줄기세포와 중간엽 기질세포(mesenchymal stromal cells)를 포함하는 지방조직 유래 세포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직 재생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자가 혈액 유래 단핵구 및 지방줄기세포와 중간엽 기질세포(mesenchymal stromal cells)를 포함하는 지방조직 유래 세포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성형용 필러(filler)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자가 세포를 사용하기 때문에, 조직에 이식이 가능하고, 상기 조성물에 함유된 혈액 유래 단핵구, 지방조직 유래 줄기세포 및 기질세포에 의한 신생혈관형성의 유도가 가능하기 때문에, 조직 수복(wound healing) 및 흉터 개선에 유용하다.
본 발명에서는 혈액 유래 단핵구; 및 지방줄기세포와 중간엽 기질세포(mesenchymal stromal cells)를 포함하는 지방조직 유래 세포를 혼합한 세포 조성물을 상처부위에 1회 이상 주입하여 조직 재생과정을 관찰하였으며, 그 결과 지방조직 유래 세포를 단독으로 사용했을 경우보다 혈액 유래 단핵구를 함께 투여했을 경우, 치유과정이 좀 더 신속하게 이루어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은 일 관점에서,자가 혈액 유래 단핵구; 및 지방줄기세포와 중간엽 기질세포(mesenchymal stromal cells)를 포함하는 지방조직 유래 세포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직 재생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조직 재생'은 물리적 원인에 의해 손상된 조직 또는 상흔이 두드러진 부위를 정상 또는 정상에 가까운 상태로 복귀시키는 작용을 말하며, '조직 치유', '조직 재건' 또는 '조직 수복'과 혼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조직 손상은 개방성 상처 및 폐쇄성 상처를 포함하여, 사고로 인한 상처 및 피부이식으로 생신 상처를 포함하는 인체 또는 동물의 외과적 수술에서 기인된 상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른 관점에서,자가 혈액 유래 단핵구; 및 지방줄기세포와 중간엽 기질세포(mesenchymal stromal cells)를 포함하는 지방조직 유래 세포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성형용 필러(filler)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성형용 필러(filler)'는 나이가 들면서 생기는 주름 부위 혹은 탄력 저하로 처지는 부위, 예를 들면 눈가, 입술 위의 잔주름, 입술 또는 콧망울 형태교정, 깊은 미간주름, 꺼진 턱, 꺼진 이마, 낮은 콧등 등의 피하에 투여하여, 볼륨감을 더함으로써, 미학적 상태를 개선 시키는데 사용하는 수단으로서, 외부적 원인에 의한 함몰 등의 이유로 볼륨감을 필요로 하는 신체부위는 단순한 미적 만족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목적이 아니더라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단핵구(peripheral blood mononuclear cells, PBMC)는 자가 전혈 유래로서 골수, 제대혈, 태반혈, 비장으로부터 얻을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말초혈액에서 분리할 수 있고, 조혈모세포(hematopoetic stem cells) 및 혈관내피전구세포 (epithelial progenitor cells)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지방조직 유래 세포는 자가 지방조직 유래로서, 지방줄기세포와 중간엽 기질세포(mesenchymal stromal cells)를 포함하는 지방조직 유래 세포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혈액 유래 단핵구로부터 유래한 유효성분 외에 림파구 또는 모노사이트와 같은 백혈구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또한 인위적으로 혈관내피 전구세포(epithelial progenitor cells) 및 조혈모세포(hematopoetic stem cells)만을 순수분리하여 함유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지방조직 유래 세포는 분화 또는 미분화 상태인 중간엽 줄기세포 및 중간엽 기질세포를 포함하기 때문에, 세포 분화에 적당한 성장요소를 가할 경우, 상피줄기세포, matrix cells, clonogenic keratinocyte, 피부세포, 지방세포 등으로 분화될 수 있는 다분화능의 특징이 있으며, 자가 지방조직에 대해 콜라게나아제에 의한 분해 및 차별적 원심분리에 의한 분쇄방법 등의 공지된 기술 로 용이하게 얻을 수 있다 (Halvorsen et al ., Tissue Eng . 7(6):729, 2001; Hauner et al ., J. Clin . Invest. 84:1633, 1989; Rodbell et al ., J. Bio . Chem ., 241:130, 1966).
본 발명의 조성물에 함유된 단핵구 및 지방조직 유래 세포의 일 회 투여량은 1일 당 104 ~ 1010 개의 세포를 함유하도록 할 수 있으며, 단핵구 및 지방조직 유래 세포는 세포를 기준으로 1:100 내지 100:1의 비율로 혼합되어 함유될 수 있으나, 상기의 양은 당해 기술분야에 속하는 전문가에 의해 결정될 수 있으며, 투여자의 상처 범위, 위치 또는 상태를 포함하는 생리학적 요인에 의해서 다양하게 처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단핵구 및 지방조직 유래 세포가 함유된 세포 조성물은 당업계에서 해당 분야의 전문가에 의해 시술할 수 있으며, 조직 재건을 필요로 하는 신체 부위라면 어디나 적용할 수 있다. 투여 경로는 정맥 내 투여, 복강 내 투여, 근육 내 투여, 피하 투여, 또는 국부 투여 등을 포함하는 비경구 투여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피하 투여 또는 국부 투여를 이용하여 투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을 한 번 투여 후에 조직 내에 원활하게 정착하도록 일정기간 무처치로 조직을 방치하고, 그 후에 필요에 따라 조성물을 재투여할 수 있으며, 상기 투여 및 무처치의 과정을 1회 내지 그 이상으로 반복할 수 있으며, 이식 후 무처치로 유지하는 기간은 10일 내지 30일일 수 있으나, 피험자의 상태에 따라 당업자의 전문적인 지식에 의해 횟수와 기간은 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보다 원활한 효능을 유도하기 위하여 EGF(epithelial growth factor), aFGF(acid fibroblast growth factor), bFGF(basic fibroblast growth factor), PDGF(Platelet derivd growth factors), TGF(transforming growth factors), LDGF(Leukocyte-derived growth factor) 및 IGF(insulin-like growth factors)와 같은 성장인자, 파이브로넥틴(fibronectin), 라미닌(laminin) 및 비트로넥틴(vitronectin)을 포함하는 유착인자(adhesion factor), 레티노이드(retinoid) 등의 원활한 조직 재생을 자극할 수 있는 성장인자가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는 생체 적합성 운반체를 추가로 포함하여 조직 내 투여에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운반체는 인간을 포함한 포유동물에 대해 독성, 거부반응 또는 자극성에 의한 부작용이 없는 물질로 구성되어 세포가 이식된 부위로부터 멀리 분산되지 못하도록 포집체 또는 지지체의 역할을 하며, 운반체의 성분 또는 구성비는 이식 시술을 수행하는 당업자가 용이하게 결정할 수 있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자명하다.
상기 생체 적합성 운반체는 알지네이트, 아가로즈, 피브린, 콜라겐, 젤라틴, 피브로넥틴, 폴리글리콜산(polyglycolic acid), 폴리락타이드산(polylactic acid), 히알우론산(hyaluronic acid), 폴리에틸렌클리콜, 콘드로이탈(chondroital), 덜마탄(dermatan), 폴리사카라이드, 뮤코폴리사카라이드, 하이드로겔, 덱스트란, 아밀로즈, 프로테인, 글리코프로테인 및 그 유도체일 수 있으며, 또는 혈소판 함유 혈청, 농축 혈소판 혼합 조성물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상기 성분들 이외에 윤활제, 습윤제, 유화제, 현탁제, 보존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적합한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및 제제는 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s (19th ed., 1995)에 상세히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피부 및 결합조직(connective tissue)의 범위를 포함한 인대손상, 혈관손상, 압괴손상 등을 포함하는 비개방성 조직손상, 및 환경적 영향 또는 수술적 처치에 의한 개방성 손상에 대해 단독의 요법으로 이용될 수 있으나, 다른 통상적인 약물요법, 드레싱요법 또는 수술요법 등과 함께 이용될 수도 있으며, 상처 회복 후 형성될 수 있는 송곳형 흉터, 상자형 흉터, 반원형 흉터 및 융기형 흉터에 대해, 약물요법 또는 수술요법과 병행하여 실시할 경우 극대화된 효능을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또한, 조직 손상 또는 흉터 제거를 포함하는 조직 재생의 용도 외에 추가로 미세자가지방이식술 등의 성형 필러(filler)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포유류에게 투여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인간에게 투여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요지에 따라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 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1: 지방조직 유래 세포의 제조
환자의 동의에 의해 복부, 허벅지 외 기타부위에 대해 피하지방제거술에서 얻어진 지방조직(클리닉M병원)에 대해 조직부피의 1 ~ 5배의 멸균 생리 식염수를 첨가하여 2회 세척 세정하고, 0.3 ~ 0.5%의 콜라게나아제 제I형이 혼합된 생리 식염수를 조직부피에 대해 1:1로 첨가하여 36 ~ 38에서 30 ~ 60 분간 처리하였다. 효소반응은 자가 혈청을 지방조직 부피의 0.1 ~ 0.3배 첨가하여 정지시켰다. 효소분해된 지방조직을 1,000 ~ 5,000 rpm에서 1 ~ 5분간 원심분리한 후, 10 ~ 40 ml의 멸균 생리식염수를 첨가하여 침전되어 뭉친 세포를 잘 풀어주고 70 ~ 100 필터를 통과시켜 고형성분을 제거하였다. 상기와 동일한 양의 멸균 생리식염수를 첨가하여 원심분리로 세포를 세척함으로써, 지방줄기세포 및 중간엽 기질 세포 (mesenchymal stromal cells)를 포함하는 지방조직 유래 세포를 얻었다.
실시예 2: 자가 말초혈액 단핵구 분리
지방제거술을 받은 환자의 동의에 의하여 상완정맥으로부터 채혈한 말초혈액 25ml을 헤파린이 포함된 50 ml의 원심분리 튜브에 넣은 후, 동량의 Ficoll-Pauqe PLUS(밀도: 20에서 1.076 ~ 1.078 g/ml, Amersham-Pharmacia Biotech, 스웨덴)을 혈액 하단에 층을 이루도록 조심스럽게 분주하고 3,000 rpm, 4에서 20 ~ 30분간 원심분리하여, 밀도차에 의해 분리된 세포층이 형성되도록 하고, 이로부터 파스퇴르 피펫 또는 주사기를 사용하여 단핵구 세포를 포함하는 중간 세포층 수거하여, 말초혈액으로부터 조혈모세포 및 혈관내피전구세포, 혈소판을 포함하는 단핵구를 분리하였다.
실시예 3: 지방유래 세포의 조직 재생능의 확인
실시예 1에서 얻어진 지방유래 세포에 의한 조직 재생능을 검증하기 위하여, 우선 6주령의 암컷 C57BL/6((주)중앙실험동물)의 등 피부를 1~2㎠ 정도 잘라 후, 상기 외과적 처리를 행한지 1일 후에 지방유래 세포를 5 X 104, 1 X 105, 5 X 105, 1 X 106 및 2 X 106의 농도로 상처 주변의 조직에 26G의 주사기를 사용하여 1회 피하주사하였다. 이 때, 각 군별로 5마리의 동물을 배정하였으며, 생리 식염수만을 주사한 동물을 음성대조군으로 조직 재생 상태를 비교하였다. 세포를 주사한 후 50일 동안, 상처 치유 효능을 관찰하고, 3일을 주기로 동물의 상태를 사진으로 기록하였으며, 동일한 시기에 대조군과의 동물 상태를 비교하여 지방 유래 세포에 의한 조직 재생 효능을 판단하였다.
그 결과, 1 X 106개 이상의 지방조직 유래 세포를 주입하였을 경우, 상처부위에 피부가 가장 빠르게 재생되고, 상흔이 가장 작게 형성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4: 단핵구에 의한 조직 재생 촉진능의 확인
조혈모세포 및 혈관 내피전구세포를 포함하는 단핵구에 의한 조직 재생 촉진 능을 확인하기 위하여, 실시예 3과 동일한 동물에 대해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2에서 분리한 단핵구 및 지방조직 유래 세포를 일정 농도로 동물의 상처 주변 조직에 1회 피하주사하였다. 피하주사 후 실시예 1과 동일하게 3일을 주기로 피부조직의 변화를 사진으로 기록하였으며, 약 50일간 상처 치유과정을 관찰하였다.
순번 지방조직 유래 세포 단핵구(세포수)
1 투여군 1 x 104
2 5 x 104
3 1 x 105
4 5 x 105
5 1 X 106
6 2 X 106
7 식염수
8 비투여군 1 x 104
9 5 x 104
10 1 x 105
11 5 x 105
12 1 X 106
13 2 X 106
14 식염수
그 결과, 3일 경과 후부터 상처가 조직재생이 관찰되기 시작하였으며, 지방조직유래 세포만 투여했을 경우보다, 2일 내지 3일 빠르게 완치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완치 후, 지방조직 유래 세포 단독투여보다 상흔도 부위가 현저히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단핵구를 함께 투여함으로써 조직 재생 유도 효과가 향상됨을 확인하였다.
도 1은 자가 혈액 유래 단핵구 및 지방조직 유래 세포를 얻는 과정에 대한 단계도이다.

Claims (10)

  1. 자가 혈액 유래 단핵구; 및 지방줄기세포와 중간엽 기질세포(mesenchymal stromal cells)를 포함하는 지방조직 유래 세포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직 재생용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혈액 유래 단핵구는 자가 전혈 유래이며, 혈관내피 전구세포(epithelial progenitor cells) 및 조혈모세포(hematopoetic stem cells) 중 하나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직 재생용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방줄기세포와 중간엽 기질세포(mesenchymal stromal cells)를 포함하는 지방조직 유래 세포는 자가 지방조직 유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직 재생용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EGF(epithelial growth factor), aFGF(acid fibroblast growth factor), bFGF(basic fibroblast growth factor), PDGF(Platelet derivd growth factors), TGF(transforming growth factors), LDGF(Leukocyte-derived growth factor) IGF(insulin-like growth factors) 및 레티노이드(retinoid)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성장인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직 재생용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파이브로넥틴(fibronectin), 라미닌(laminin) 및 비트로넥틴(vitronectin)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유착인자(adhesion factor)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직 재생용 조성물.
  6. 자가 혈액 유래 단핵구; 및 지방줄기세포와 중간엽 기질세포(mesenchymal stromal cells)를 포함하는 지방조직 유래 세포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성형용 필러(filler) 조성물.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혈액 유래 단핵구는 자가 전혈 유래이며, 조혈모세포(hematopoetic stem cells) 및 혈관내피전구세포(epithelial progenitor cells) 중 하나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용 필러(filler) 조성물.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지방줄기세포와 중간엽 기질세포(mesenchymal stromal cells)를 포함하는 지방조직 유래 세포는 자가 지방조직 유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용 필러(filler) 조성물.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EGF(epithelial growth factor), aFGF(acid fibroblast growth factor), bFGF(basic fibroblast growth factor), PDGF(Platelet derivd growth factors), TGF(transforming growth factors), LDGF(Leukocyte-derived growth factor) IGF(insulin-like growth factors) 및 레티노이드(retinoid)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성장인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용 필러(filler) 조성물.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파이브로넥틴(fibronectin), 라미닌(laminin) 및 비트로넥틴(vitronectin)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유착인자(adhesion factor)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용 필러(filler) 조성물.
KR1020090090045A 2009-09-23 2009-09-23 조직 재생용 조성물 KR2011003251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0045A KR20110032513A (ko) 2009-09-23 2009-09-23 조직 재생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0045A KR20110032513A (ko) 2009-09-23 2009-09-23 조직 재생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2513A true KR20110032513A (ko) 2011-03-30

Family

ID=439372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0045A KR20110032513A (ko) 2009-09-23 2009-09-23 조직 재생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32513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5596B1 (ko) * 2014-07-16 2014-11-27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후기내피전구세포와 혈관성장인자를 함유하는 주입식 마이크로젤 제조방법
WO2021071001A1 (ko) * 2019-10-08 2021-04-15 주식회사 로킷헬스케어 당뇨병성 족부병증 환자 맞춤형 피부 재생 시트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당뇨병성 족부병증 환자 맞춤형 피부 재생 시트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5596B1 (ko) * 2014-07-16 2014-11-27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후기내피전구세포와 혈관성장인자를 함유하는 주입식 마이크로젤 제조방법
WO2021071001A1 (ko) * 2019-10-08 2021-04-15 주식회사 로킷헬스케어 당뇨병성 족부병증 환자 맞춤형 피부 재생 시트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당뇨병성 족부병증 환자 맞춤형 피부 재생 시트
CN112955193A (zh) * 2019-10-08 2021-06-11 罗基医疗保健公司 糖尿病足病患者定制型皮肤再生片的制造方法及利用其制造的糖尿病足病患者定制型皮肤再生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aqsood et al. Adult mesenchymal stem cells and their exosomes: Sources, characteristics, and application in regenerative medicine
US20230405180A1 (en) Mesenchymal stem cell-hydrogel-biodegradable or mesenchymal stem cell-hydrogel-undegradable support composition for skin regeneration or wound healing
CA2592840C (en) Adipose-derived stem cells for tissue regeneration and wound healing
Cervelli et al. Application of enhanced stromal vascular fraction and fat grafting mixed with PRP in post-traumatic lower extremity ulcers
Sclafani et al. Platelet-rich fibrin matrix for facial plastic surgery
EP2991692B1 (en) Skin substitutes and methods for hair follicle neogenesis
WO2014126931A1 (en) Stable platelet- rich-plasma compositions and methods of use
US20210230546A1 (en) Methods for isolation of platelets
US20130251670A1 (en) Treatment of Macular Edema Utilizing Stem Cell and Conditioned Media Thereof
WO2018065092A1 (en) Compositions comprising adjustable concentrations of growth factors derived from blood serum and clot hypoxia-conditioned medium and methods of their production
US20210198626A1 (en)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cell culture
KR20100097574A (ko) 발모 유도 세포 조성물
Monteiro et al. Biologic strategies for intra-articular treatment and cartilage repair
Schneider et al. Adipose-derived stem cells applied in skin diseases, wound healing and skin defects: a review
Rhee et al. Allogeneic dermal fibroblasts improve tendon-to-bone healing in a rabbit model of chronic rotator cuff tear compared with platelet-rich plasma
Hao et al. Research progress of adipose-derived stem cells in the treatment of chronic wounds
KR20110032513A (ko) 조직 재생용 조성물
Sawa Current status of myocardial regeneration therapy
Han Cell Therapy
Ferrari et al. Evidence-Based and Clinical Experimentation on Cell Therapy
US10456422B2 (en) Surgical wound healing composition and method of applying the same
Wang et al. Recent advances in the adjunctive management of diabetic foot ulcer: Focus on noninvasive technologies
Sobajima et al. Adipose-derived stem cells: Use in clinical medicine
Farabi et al. The Potential Role of Stem Cells in Wound Healing: A Systematic Review
Garg et al. Stem Cells and Regenerative Strategies for Wound Healing: Therapeutic and Clinical Implica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