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31512A - 한글 문자입력 방법 - Google Patents

한글 문자입력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31512A
KR20110031512A KR1020090088804A KR20090088804A KR20110031512A KR 20110031512 A KR20110031512 A KR 20110031512A KR 1020090088804 A KR1020090088804 A KR 1020090088804A KR 20090088804 A KR20090088804 A KR 20090088804A KR 20110031512 A KR20110031512 A KR 201100315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vowel
key
pressed
key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888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태운
Original Assignee
박태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태운 filed Critical 박태운
Priority to KR10200900888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31512A/ko
Publication of KR201100315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3151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8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riental charac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한글 문자입력 방법
휴대폰, 문자입력

Description

한글 문자입력 방법{ Input method for Korean Text }
본 발명의 해당 분야는 휴대용 소형 디지털기기의 입력장치와 관련된 기술분야로서 한글 문자의 간편한 입력 방법 개발 분야이다.
한글의 경우 다른 어떤 문자보다도 휴대폰이 보편화 되면서 그 입력 방법이 다양해졌다. 그 이유는 자음과 모음의 분리 방법의 다양성과 각각의 자모의 표현 방법의 다양성에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다양한 방법이 존재하는 이유는 가능한 한 키를 눌러 주는 횟수를 줄여주고, 키를 눌러 주기 위해 손가락이 움직이는 거리를 줄여 주어 되도록 사용자가 편리하게 문자입력을 할 수 있는 방안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한글의 모음을 최소한의 키로 대표하고 자음과 모음을 나타낼 수 있는 키의 갯수도 최소한으로 줄여서 사용자의 편리성을 극대화시키기 위한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주요 효과는 한글을 입력함에 있어서, 모음의 입력을 직관적으로 만들 고 또 모음 입력에 필요한 키의 숫자를 최소화하여 한정된 숫자의 키를 가지는 핸드폰 및 모바일 장치의 키패드로 한글의 입력을 최대한 편리하게 하는 것이 본 발명의 과제이다.
본 발명은 지금까지 잘 알려진 한글 문자입력 시스템은 가능한 손가락의 움직임을 줄이기 위해서 모음의 모양과 관계없이 배열되어 사용자의 직관성을 가져오기 힘들었다. 이에 반해 본 발명은 키 움직임을 최소화하기 위해 한글의 자모 중에서 자음을 모든 키의 주된 문자(primary character)로 지정하여 각각의 키를 처음 눌러 주었을 때 입력되도록 하고, 이들 자음이 지정된 키와 별개로 모음 입력을 위해 최소 한 개의 키를 지정하여 이를 모음 입력활성화키로 지정하면 한글 자모를 위한 키의 숫자를 최소화 할 수 있게 된다. 즉 이 모음 입력활성화키를 눌러 준 다음 이미 자음이 지정된 키라 할지라도 모음의 입력이 가능하도록 하여 하나의 키로 자음, 모음 모두를 입력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결구 모음만을 위한 독립적인 키의 숫자가 줄어 들어 전체 키의 숫자가 줄고, 결과적으로 한글자모의 입력을 위한 손가락의 이동거리를 최소화시키는 효과를 가져와서 사용자의 편리성을 더욱 증가시키게 된다.
본 발명의 기본 구성은 모음의 입력을 자음이 지정된 키를 눌러서 입력하도 록 하는 방법으로 하나의 모음 입력활성화키를 지정하여 이 모음 입력활성화키가 눌려지는 경우에만 자음이 지정된 키로 모음 입력이 가능하도록하는 방법이다. 이 모음 입력활성화키(101)를 포함하는 기본 자판구조가 도 1에 나타나 있다. 도 1의 경우는 자음의 배열은 많이 사용되는 'ㅁ', 'ㅇ', 'ㅅ'을 각각 하나의 키에 지정하여 쉽게 입력되도록 한 것으로 각각의 키를 3번까지 눌러 주어 모든 자음이 입력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즉 'ㄲ'의 경우 1번 키를 3번 눌러주면 입력되고, 'ㅂ'과 'ㅍ'의 경우 4번 키를 각각 2번 과 3번 눌러 주어 입력하는 것이다.
도 1에 보여지는 자판에는 모음이 지정되어 있지 않은데, 모음을 입력하기 위해서는 모음 입력활성화키(101)인 5번 키를 먼저 눌러준 다음 다른 키를 눌러주면 이들 모음이 각각 입력되는 것인데 이러한 입력 방법이 도 2에 보여지고 있다.도 2(I)는 모음 입력활성화키인 5번 키가 눌려졌을 경우 주위의 2번, 4번, 6번, 8번 키에 원래 지정된 자음 문자 대신에 'ㅗ', 'ㅏ', 'ㅓ', 'ㅜ'가 지정되고 각 모퉁이에 해당하는 1, 3, 7, 9번 키에는 각각 'ㅡ', 'ㅣ', 'ㅡ', 'ㅣ'가 번갈아 지정되어 있는 모음 배열을 보여주고 있다. 모음 활성화키가 눌려졌을 경우 활성화되는 모음 'ㅏ', 'ㅓ', 'ㅗ', 'ㅜ', 'ㅡ', 'ㅣ'의 주변 키 지정 배열은 도 2(I)과 같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사용자 혹은 기기 생산업체에서 임으로 조정하여도 문제가 되지 않는다. 다만 도 2(I)과 같이 지정한 이유는 모음의 순서에 따라 좌->우, 상->하의 순서로 좌측에 'ㅏ'가 우측에 'ㅓ'가 배치되고 상측에 'ㅗ'가 하측에 'ㅜ'가 배열된 의도일 뿐 본 발명의 구성을 제한하지는 않는다. 따라서, 도 2(II), 도 2(III)과 같이 배열하여도 문제가 될 것은 없는 것이다. 심지어는 이들 홀 모음을 모음 입력활성화키의 주변에 십자형태가 아닌 다른 형태로 배열한다고 하여도 문제가 될 것은 없다. 더욱이 홀모음이 아닌 'ㅢ'의 경우도 모음 배열에 삽입되었는데 이는 'ㅡ'와 'ㅣ'를 각각 이어서 입력하여야 하는 불편함을 없애기 위한 방편으로 삽입될 수 있음을 보여주는 하나의 예이다.
이상은 홑모음의 경우 모음 입력활성화키로 입력하는 방식을 설명한 것인데 한글의 경우 도 2에 보여지는 홀모음 이외에 겹모음 'ㅑ', 'ㅕ', 'ㅛ', 'ㅠ'의 입력도 가능하여야 하는데 도 2에 보여지는 모음의 배열에서는 이것이 불가능하므로 다음과 같이 입력활성화키를 이용하여 이들 겹모음을 입력할 수 있다.
겹 모음을 입력하기 위한 첫 번째 방법은 도 3(I)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모음 입력활성화키를 먼저 두 번 눌러 주면 홑 모음이 지정된 키가 겹모음을 입력할 수 있도록 변환되어 겹모음이 입력되도록 하는 방법이다. 겹모음 'ㅑ', 'ㅕ', 'ㅛ', 'ㅠ'와 함께 겹모음은 아니지만 획이 3개 이상 되는 'ㅐ'와 'ㅔ'가 각각 'ㅑ'와 'ㅕ'와 동일한 방향에 위치하고 'ㅒ'과 'ㅖ'가 각각 'ㅏ'와 'ㅓ' 아래쪽으로 위치하여 사용자의 인식을 용이하게 한 배열이다. 도 3(II), 도 3(III)은 입력 가능한 모음으로 가능한 배열을 보여주고 있다. 더 나아가서 모음 입력활성화키를 세번 눌러 주는 경우 추가로 입력 가능한 모음군을 지정하여 배열할 수도 있다. 다만 사용자가 이 많은 경우의 수를 기억하는 것은 오히려 불편함을 초래할 수 있으므로 가능한한 누름 횟수를 줄이고 연관성이 있는 모음만을 배치하고 겹모음의 경우 홑모음의 조합으로 입력하도록 하여 쉽게 모음 입력이 이루어지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테면 도 3(I)에 보이는 바와 같이 'ㅖ'의 경우 모음 입력활성화키를 두 번 누른다음 9번 키를 눌러 주어 입력도 가능하지만, 'ㅕ'(도 2(I)과 도 3(I)을 참고할 경우 : 모음 입력활성화키를 두 번 누른 다음 6번 키를 눌러 준다)와 'ㅣ'(도 2(I)를 참고할 경우 : 모음 입력활성화키를 한 번 누른 다음 3번 키 혹은 9번 키를 눌러 준다)를 차례로 입력할 경우에도 'ㅖ'가 입력 될 수도 있도록 문자입력 오토마타를 구성하면 사용자가 두 가지 방법 중에서 하나를 선택할 수 있고 사용자에 따라 편리한 방법을 선택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즉 초보자에게는 쉽게 인지될 수 있는 'ㅕ'와 'ㅣ'를 연속으로 입력하는 방법이 숙련자에게는 'ㅖ'를 직접 입력하는 방법을 택하여 키 누름횟수와 손가락 이동거리를 최소화 시킬 수 있는 방법을 동시에 제공하는 것이다.
(실시예 1)
도 2(I)과 도 3(I)로 나타내어 지는 자판 구조에서 '야'를 입력하는 예를 들어 설명하면, 키 누름 순서는 6-5-5-4가 된다. '아'를 입력하기 위한 키 누름순서 6-5-4와 비교하면 첫 번째 5번 키 누름은 홀모음 입력확장 기능이고 두 번째 5번 키 누름은 홑모음 활성화 상태에서 겹모음 활성화상태로의 전이 기능을 담당하는 것이다. 즉 이와 같이 모음 입력활성화 키를 두 번 눌러주어 겹모음 활성화상태에 이르면 홀모음이 지정된 키가 홀 모음 대신에 그에 대응하는 겹모음이 지정되어 이들 키를 눌러주면 홀 모음 대신에 겹모음이 입력되는 것이다. 즉 6-5-5-4 누름 순서의 경우 '야'가 입력되는 방법이다.
[5 - X]는 홑모음인 'ㅏ', 'ㅓ', 'ㅗ', 'ㅜ', 'ㅡ', 'ㅣ'를 나타내고 [5 - 5 - X]는 겹모음 'ㅑ', 'ㅕ', 'ㅛ', 'ㅠ'를 나타낸다.
[5 - X]는(여기서 'X'는 임의의 키로서 'X'가 5번 키가 아닌 경우 [5 - X]가 하나의 모음을 구성하고, 만약 'X'가 5번 키이면 그 다음 키를 확인하여 지정된 모음을 판단하여 입력하게 되는 것이다.) 홑모음으로 해석되며 [5 - 5 - X]경우에는 겹모음으로 해석되므로 오토마타 구성에 있어서 5 번 키는 이어져서 눌려지는 키와 함께 하나의 키로 해석되어 모음 입력을 이루게 된다. 만약 5번 키가 3번 이상 눌려지는 경우 이미 눌려진 2번의 키 누름은 소멸되고 1번의 키 누름으로 해석하면 모음 입력활성화키의 기능은 누르는 횟수에 따라 홀모음->겹모음->홀모음 순서로 순환지정이 가능할 수 있다. 아니면 3번 이상 눌려지는 경우 3번 째 누름은 모음 입력활성상태를 소멸시켜 모음입력을 비활성상태로 전환 시키는데 이용될 수도 있다. 이는 혹시라도 자음을 입력하여야 하는데 사용자가 모음 입력활성화키를 잘못 눌렀을 경우 이를 수정하는 방법으로 모음 입력활성화키를 두 번 더 눌러 주어 자음입력이 가능하게 하는 방법으로 일종의 취소 버튼으로 활용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모음 입력활성화키를 이용하여 모음 입력이 이루어지는 경우 실제 모음 입력활성화키가 눌려질 때 도 4와 같이 화면에 모음 입력활성상태를 표시하는 방법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사용자가 모음 입력활성화키를 눌러 주었을 경우 화면 상에 도 4와 같이 모음 입력 가능한 상태를 포인터(커서)의 배경 색을 투명한 것에서 노란색으로 표시하는 것과 같이 모음입력 활성상태를 구분할 수 있도록하면 다음에 눌러주는 키가 자음을 입력하는 것인지 모음을 입력하는 것인지를 판단할 수 있기 때문이며, 만약에 이와 같은 모음 입력 활성화상태의 표시가 없다면 사용자는 혼란에 빠질 수 있기 때문이다. 특히 도 4에 보여지는 홀모음 입력활성화 상 태(포인터의 배경색을 노랑색으로 설정)와 도 5에 보여지는 겹모음 입력활성화 상태(포인터의 배경색을 붉은색으로 변경)를 도 5와 같이 구분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 한다면 사용자는 더욱 명확한 모음 입력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도 4와 5에서는 포인터의 배경색을 달리하여 입력상태를 구분하였지만 포인터의 모양을 도 4에 보이는 양괄호 묶음 형태에서 사각형 형태로 변경한다든지 하고, 홀모음과 겹모음 입력 가능상태의 구분은 사각형의 갯수가 하나일 때는 홀모음 입력 가능상태를 사각형의 갯수가 두 개일 때는 겹모음 입력 가능상태를 표시하는 등의 방법을 통해 입력상태의 구분을 가능하게도 할 수 있다.
(실시예 2)
본 발명의 이러한 장점은 언어과학연구소에서 개발된 나랏글의 자음 입력 시스템(특허 10-0291838)에 적용하여 보면 더욱 극명하게 나타난다. 도 4는 특허 10-0291838의 나랏글 입력시스템의 자판배열에서 자음만을 남기고 모음을 삭제한 다음 본 발명의 모음 입력활성키(701)를 적용시킨 경우의 자판을 보여주고 있다. 한 눈에 알 수 있는 점은 나랏글 입력시스템에서 모음 입력에 필요한 (ㅏㅓ), (ㅗㅜ), (ㅣ), (ㅡ) 4개의 키가 3개로 줄어들었음을 알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12개의 키를 모두 사용하는 나랏글 문자입력 시스템에 비해 9개 만의 키를 사용하는 본 발명의 자판배열은 '가획(획추가)'키와 '병서(쌍자음)'키를 4 번과 6번 키에 배열하여 손가락의 움직임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음을 원리적인 면에서 보여 준다. '땅'이라는 문자를 입력하는 키 누름 순서를 예를 들어 본 발명이 적용된 나랏글 문자입력 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7(III)에 보여지는 나랏글 문자입력 시스템의 경우 숫자 키 누름 순서는 다음과 같다.
2 -> * -> # -> 7 -> 6
이 경우 2번 키를 눌러 'ㄴ'을 선택하고 '*'키를 눌러 가획하여 'ㄷ'으로 변환시키고 이어서 병서 키인 '#'를 눌러 겹자음 'ㄸ'을 만든 다음 7번 키를 눌러 'ㅏ'를 입력하고 마지막으로 6번 키를 눌러 'ㅇ'을 입력하여 '땅'을 입력하게 되는 것이다. 총 키 누름 횟수는 5번이고 키 간 거리를 1로 가정할 때 도 7에 보여지는 방식으로 계산한 손가락의 이동거리는 9.63이 된다.
이에 반해 도 7(I)에 보여지는 본 발명의 모음 입력시스템이 적용된 수정 나랏글 문자입력 시스템의 경우 숫자 키 누름 순서는 다음과 같다.
2 -> 4 -> 6 -> 5 -> 4 -> 9 (도 7(I)의 경우)
이 경우 2번 키를 눌러 'ㄴ'을 선택하고 4번 키를 눌러 'ㄷ'으로 변환시키고 병서키인 6번 키를 눌러 'ㄸ'을 변환시키고, 모음 'ㅏ'를 선택하기 위해 5번 키와 6번 키를 연속으로 눌러주어 'ㅏ'를 입력한 다음 9번 키를 눌러 주어 'ㅇ'을 입력하면 '땅'을 입력하게 되는 것이다. 총 키 누름 횟수는 6번이고 키 간 거리를 1로 가정할 때 도 7에 보여지는 방식으로 계산한 손가락의 이동거리는 7.8이 된다. 즉 누름횟수는 한 번 증가하는 대신 손가락 이동거리는 20%정도 감소한다. 이는 도 7에 보여지는 자판 구조에서 단지 9개의 키로서 모든 자모를 입력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게 된다. 이 점이 본 발명의 모음 입력확장키가 가져오는 장점이다. 더욱이 9개의 키만으로 한글 자모를 입력 가능하게 되어 12개의 키를 갖는 자판의 경우 3개의 키에 추가적인 기능을 부가할 수 있으므로 전체적인 면에서 더욱 효율을 증가시키는 결과를 가져오게 된다. 이를 테면 띄어쓰기(space key), 마침표(.) 혹은 물음표(?) 등을 입력하기 위해서 메뉴 키 혹은 이동키를 눌러 주어야 하는 것을 기존의 나랏글에서 획첨가(가획) 혹은 쌍자음(병서)의 기능으로 사용하던 #키, *키 등으로 입력 가능하게 되어 그 편리성은 더욱 증가되는 것이다. 이는 단순히 한글 자모의 입력에 필요한 누름 횟수 및 손가락 이동거리만이 아닌 실제 문장 입력에 필요한 요소로서 비교되어야 할 요소이기 때문이다. 더 나아가서 본 발명이 가져오는 장점은 한글 단어의 입력이 9개의 키로서 가능하기 때문에 자판이 숙지된 후에는 자판을 보지 않고도 쉽게 문자 입력이 가능하게 되어 한 손 조작의 편리성도 함께 가져오게 하는 것이다.
(실시예 3)
본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의 모음 입력활성화키를 천지인 문자입력 시스템에 적용시킨 경우이다. 도 8이 이 경우를 보여 주는 자판 구조이다. 도 8(III)에 보여지는 천지인 자판 구조에서 모음 입력에 필요한 천(ㆍ), 지(ㅡ), 인(ㅣ)에 해당하는 키 가 모두 다른 기능에 활용되어 지금까지 천지인 문자 입력시스템의 문제로 지적되어 온 자음 충돌 문제와 띄어 쓰기(space key)가 키패드의 키에 그 기능이 적용되어 이동키 혹은 메뉴키가 키패드의 중앙에 배치되는 형태여서 사용자의 편리성을 증가시키게 된다. 천지인의 불편 요소인 자음 충돌 문제는 종성에 해당하는 자음이 입력된 후에 '종성'키를 눌러주면 입력 커서가 다음 칸으로 이동하여 동일한 키를 이어서 입력 가능하게 하여주는 기능을 담당한다. 이를테면 천지인 키패드 입력시스템의 '이동키'에 해당하는 것으로 이를 두 번 눌러주면 스페이스(space)키도 담당할 수 있으므로 실질적으로 '이동키'를 자판의 중심에 이동시킨 것과 동일한 결과이다. 예를 들어 '마음에'라는 단어를 입력하기 위해서는
4 - 5 - 4 - 4 - 5 - 7 - 4 - 5 - 6 - 5 - 3
천지인 한글 문자입력 시스템의 경우 키 누름 순서가 다음과 같다.
0 - 1 - 2 - 0 - 3 - 0 - 0 - (이동키) - 0 - 2 - 1 - 1
이 예는 이동키를 제외한 나머지 키를 눌러주는 횟수는 11번으로 동일하지만 두 가지 점에서 이동거리의 차이가 뚜렸할 수 밖에 없음을 극명히 보여준다. 천지인 입력방식에서 이동거리의 증가를 가져오는 큰 요인은 자음 충돌로 인해 이동키를 눌러 주어야 하는 경우이고 또 한 가지는 자음 'ㅇ'과 'ㅁ'을 모음으로부터 가장 먼거리에 있는 '0'번 키에 지정하였기 때문이다. 하지만 본 발명의 경우 자음 충돌 해결을 위한 이동키가 키패드 중심인 6번 키로 위치 이동하였고, 모음을 위한 키가 필요하지 않게 되어 '0'번 키에 지정된 'ㅇ'과 'ㅁ'이 4번 키에 지정되어 결과적으로 모든 키가 자판의 중심과 인접하게 되어 언제든지 다음 키로의 이동이 눈으로 자판을 확인하지 않아도 손가락의 자판 접촉 감각으로 확인이 되므로 입력 속도가 증가할 뿐만 아니라 문자입력이 손의 전체 움직임이 아닌 엄지 손가락 관절 운동만으로 이루어지므로 편리성이 더해지는 것이다. 이 점이 본 발명과 같이 9-key 입력 방법이 가져오는 두드러진 장점이다.
이상의 실시예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지금까지 잘 알려진 두 가지 대표적인 문자입력 방식인 천지인 문자입력 방식과 나랏글 문자입력 방식과 비교하여 보았을 때 손가락의 이동거리를 감소시키는 결과를 가져 오고 있으며, 더욱이 9개의 키만만으로도 한글 자모를 입력 가능하게 하여 추가적인 기능을 키패드의 키에 적용시켜 문자 입력의 편리성을 더욱 증가시키게 된다. 본 발명의 구성은 모음 입력의 방법만을 변경시키는 것이어서 모음의 입력 방향에 있어서 손가락 움직임 방향과 모음 모양의 유사성이 모음 입력에 대한 직관적인 이해를 증가시켜 사용자의 적응이 용이하며 지금까지의 어떤 문장 입력 방법에도 적용될 수 있는 장점을 가지며 대개의 경우 자판 숙지는 자음의 배열에 대한 이해가 주된 요인이므로 본 발명의 모음 입력 방법을 적용하더라도 새로운 방법에 대한 이해에 많은 노력이 필요하지 않게 되는 또 하나의 장점을 가져오게 된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도 1은 본 발명의 모음 입력활성화키를 갖는 한글 모음입력 시스템을 적용한 자판 구조를 보여 준다.
도 2는 본 발명의 모음 입력활성화키가 눌려졌을 경우 지정되는 모음 배열을 보여준다.
도 3은 본 발명의 모음 입력활성화키가 두 번 눌려졌을 경우 지정되는 겹모 음 배열을 보여준다.
도 4는 본 발명의 모음 입력활성화키가 눌려졌을 경우 지정되는 모음 입력활성화 상태를 화면상에 표시하는 방법으로 '아'가 입력되는 과정에서 (I)은 'ㅇ'이 입력된 상태, (II)는 모음 입력활성화키가 눌려진 상태, (III)은 모음 'ㅏ'가 입력되어 모음 입력활성화상태가 소멸된 상태를 각각 보여준다.
도 5는 본 발명의 모음 입력활성화키가 두 번 눌려졌을 경우 지정되는 겹모음 입력활성화 상태를 화면상에 표시하는 방법으로 '야'가 입력되는 과정에서 (I)은 'ㅇ'이 입력된 상태, (II)는 모음 입력활성화키가 눌려진 상태로 홑모음 입력 가능상태, (III)은 모음 입력활성화키가 다시 한 번 더 눌려진 상태로 겹모음 입력 가능상태 (IV)은 모음 'ㅑ'가 입력되어 모음 입력활성화상태가 소멸된 상태를 각각 보여준다.
도 6은 자판배열에 있어서 각 키의 중심간의 거리를 1로 가정하였을 때 손가락 움직임 거리를 계산하는 방식을 보여 준다.
도 7은 나랏글 입력시스템 자판에 본 발명의 모음 입력확장키가 적용된 자판 구조(I)와 확장키(801 - 자판에서 5번 키에 해당)를 눌러 주었을 때 홀 모음 'ㅏ', 'ㅓ', 'ㅗ', 'ㅜ', 'ㅡ', 'ㅣ'가 지정되는 키의 위치(II)와 나랏글 자판(III)을 보여 준다.
도 8은 천지인 문자 입력시스템 자판에 본 발명의 모음 입력확장키가 적용된 자판 구조(I)와 모음 입력활성화키(801 - 자판에서 5번 키에 해당)를 눌러 주었을 때 홑모음 'ㅏ', 'ㅓ', 'ㅗ', 'ㅜ', 'ㅡ', 'ㅣ'가 지정되는 키의 위치를 보여 주며 참고로 천지인 문자입력 자판이 도 8(III)에 보여지고 있다.

Claims (7)

  1. 한글 문자 입력시스템에 있어서 제한된 키를 가지는 자판구조에서 각각의 키로 입력 가능한 문자로 자음을 우선적으로 지정하여 이들 키를 눌러 주었을 때 자 음이 입력되고, 모음 입력을 위해서는 어떠한 자소도 지정되지 않은 키를 모음 입력활성화키로 지정하여 이 활성화키를 누른 다음 이 활성화 이외의 키를 누를 경우 이미 지정된 자음 혹은 모음 이외의 또 다른 모음을 입력 가능하도록 하는 문자입력 방식
  2. 청구항 1에서 모음 입력 활성키를 눌러 준 다음 이어서 이 활성화 키 이외의 키를 눌러 주는 경우 홑모음'ㅏ', 'ㅓ', 'ㅗ', 'ㅜ', 'ㅡ', 'ㅣ'의 입력이 가능한 문자입력 방식
  3. 청구항 2에서 홑모음 'ㅏ', 'ㅓ', 'ㅗ', 'ㅜ', 'ㅡ', 'ㅣ'외에 'ㅢ'의 입력도 이루어지게 하는 문자입력 방식
  4. 청구항 1에서 모음 입력활성화키를 눌러 주는 경우 화면상에 모음 입력 활성화상태를 표시하는 방법
  5. 청구항 1에서 모음 입력활성화키를 연속해서 누르는 경우 첫 번째 누름이 이루어지 면 1군의 모음 입력이 가능하여 지고, 두 번째 누름이 이루어지면 제 2군의 모음의 입력이 가능하도록 하는 방법으로, 누름 횟수에 따라 입력 가능한 모음군을 달리하는 문자입력 방식
  6. 청구항 5에서 총 n개의 모음군을 지정하고 누름횟수가 n번을 초과하는 경우 다시 제 1군의 모음군을 입력 가능하도록 하는 방법
  7. 청구항 5에서 모음 입력활성화키가 연속으로 n 번을 초과하여 눌려지는 경우 모음 입력상태가 활성상태에서 비활성상태로 전환하는 문자입력 방식
KR1020090088804A 2009-09-21 2009-09-21 한글 문자입력 방법 KR2011003151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8804A KR20110031512A (ko) 2009-09-21 2009-09-21 한글 문자입력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8804A KR20110031512A (ko) 2009-09-21 2009-09-21 한글 문자입력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1512A true KR20110031512A (ko) 2011-03-29

Family

ID=439364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88804A KR20110031512A (ko) 2009-09-21 2009-09-21 한글 문자입력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31512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10291940A1 (en) Data entry system
JP2013515295A (ja) データ入力システムおよびその方法
CN102103454A (zh) 实时预测用户输入的人机界面
MX2011001722A (es) Sistema mejorado de introducción de datos.
KR101285413B1 (ko)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터치 방식의 문자 입력 방법
KR101039284B1 (ko) 터치식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
KR20050048758A (ko) 터치스크린 또는 터치패드의 가상 버튼을 이용한 문자입력장치 및 그 방법
KR20100039650A (ko) 터치 스크린을 이용한 한글 입력방법 및 그 장치
CN102841752A (zh) 一种人机交互设备的字符输入方法和装置
KR20110088310A (ko) 하날글 문자입력 방법
KR20120083293A (ko) 확장키를 이용한 정보입력시스템 및 정보입력방법
KR102332178B1 (ko) 장애인을 위한 단축 키보드 시스템 및 이의 사용 방법
KR20120097921A (ko) 확장키를 이용한 정보입력시스템 및 정보입력방법
KR102207067B1 (ko) 홀로그램 기반의 문자 인식 방법 및 그 장치
KR20220005417A (ko) 한글 간이 키보드 시스템
KR20110031512A (ko) 한글 문자입력 방법
KR20110034084A (ko) 한글 문자입력 방법
US20100164876A1 (en) Data input device
JP4258712B2 (ja) 電子機器に対する文字入力方法及びその装置
KR20110047394A (ko) 한글 하늘글 문자입력 방법
KR20110047809A (ko) 하날글 문자입력 방법
KR20110047376A (ko) 한글 문자입력 방법
WO2009020295A1 (en) Alphabet input system for mobile terminal
KR20110042144A (ko) 한글 문자입력 방법
KR20110027162A (ko) 터치스크린 상에서 가상키보드를 이용한 한글 문자입력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