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30988A - 정화조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정화조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30988A
KR20110030988A KR1020090088685A KR20090088685A KR20110030988A KR 20110030988 A KR20110030988 A KR 20110030988A KR 1020090088685 A KR1020090088685 A KR 1020090088685A KR 20090088685 A KR20090088685 A KR 20090088685A KR 20110030988 A KR20110030988 A KR 201100309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ylindrical tube
synthetic resin
outer cylindrical
band
resin b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886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10230B1 (ko
Inventor
이근혁
Original Assignee
(주)서원에스엠
이근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서원에스엠, 이근혁 filed Critical (주)서원에스엠
Priority to KR10200900886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10230B1/ko
Publication of KR201100309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309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02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02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3/00Shaping by bending, folding, twisting, straightening or flattening; Apparatus therefor
    • B29C53/56Winding and joining, e.g. winding spirally
    • B29C53/58Winding and joining, e.g. winding spirally helically
    • B29C53/72Winding and joining, e.g. winding spirally helically using external forming su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3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extruded material at extrusion
    • B29C48/07Flat, e.g. panels
    • B29C48/08Flat, e.g. panels flexible, e.g. fil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3/00Lining or sheathing, i.e. applying preformed layers or sheathings of plastics; Apparatus therefor
    • B29C63/02Lining or sheathing, i.e. applying preformed layers or sheathings of plastics; Apparatus therefor using sheet or web-like material
    • B29C63/04Lining or sheathing, i.e. applying preformed layers or sheathings of plastics; Apparatus therefor using sheet or web-like material by folding, winding, bending or the like
    • B29C63/06Lining or sheathing, i.e. applying preformed layers or sheathings of plastics; Apparatus therefor using sheet or web-like material by folding, winding, bending or the like around tubular art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Rigid Pipes And Flexible Pipes (AREA)
  • Extru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정화조 제조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정화조 제조 방법은, 합성수지를 소정 형상의 합성수지밴드로 압출 성형하는, 합성수지밴드 압출 성형 단계; 중공의 원기둥 형상을 갖는 외부 원통몸체와 외부 원통몸체의 둘레 방향을 따라 외부 원통몸체의 표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외부 원통몸체의 강도를 보강하는 강도보강띠를 구비하는 외부 원통관을, 상기 합성수지밴드를 나선 방향으로 권취하여 마련하는, 외부 원통관 마련 단계; 및 외부 원통관의 내측에 별도로 제작된 내부 원통관이 위치하도록 외부 원통관 및 내부 원통관을 설치하는, 원통관 설치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외부 원통관을 압출 성형된 합성수지밴드를 이용하여 제조함으로써 외부 원통관 내부에 내부 원통관이 배치되는 다중 정화 구조의 정화조를 종래 보다 용이하고 효율적으로 제작할 수 있다.
정화조, 원통관, 합성수지, 압출 성형, 이중

Description

정화조 제조 방법{A method for producing a water-purifier tank}
본 발명은, 정화조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외부 원통관 내부에 내부 원통관이 배치되는 다중관 구조의 정화조를 종래 보다 용이하고 효율적으로 제작할 수 있는 정화조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산업의 급속한 발달과 인구 증가 등으로 인해 산업폐수 또는 생활하수 등이 급격하게 늘어나면서 수질 오염이 매우 심각해지고 있는데, 이러한 수질 오염의 주범은 오폐수 내에 함유되어 있는 유기물을 포함하여 질소 및 인과 같은 영양염류 등을 들 수 있다. 특히, 하천이나 호수에 영양염류가 포함된 오폐수의 유입량이 크게 증가되면서 상수원이 오염되고 있는 실정이며, 따라서 오폐수를 정화하는 정화처리기술 개발과 배출 규제에 관한 규정이 요구되고 있다.
오폐수 내에 함유되어 있는 유기물과 질소 및 인과 같은 영양염류의 처리 방법으로는 물리적 처리 방법, 화학적 처리 방법 및 생물학적 처리 방법이 있으며, 최근에는 이러한 처리 방법들 중 생물학적 처리 방법을 이용하여 오폐수를 처리하고 있다.
생물학적 처리 방법이란, 미생물이 존재하는 슬러지(sludge)를 이용하여 오 폐수를 처리하는 방법으로서, 통상적으로 유입된 오폐수를 포기조로 이송하여 포기(aeration)시킨 후 침전조로 이송하여 침전시키되, 침전된 슬러지는 다시 포기조로 반송시키고 상등수는 방류하는 방법이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정화조는, 내부 공간이 다수의 공간으로 구획된 직육면체 형상의 정화조이거나, 또는 전술한 정화조와 마찬가지로 내부 공간이 다수의 구획으로 구획되되 중공의 원통 형상을 가지며 측방으로 지면에 설치되는 정화조 등 여러 종류의 정화조가 있다.
이러한 정화조의 일반적인 구성에 대해 설명하면, 정화조는, 외부로부터 생활 하수와 같은 액체가 유입되는 유입부와, 유입부에 의해 들어온 물의 유량을 조절하여 다음 공간으로 이송시키는 유량 조정조와, 생활 하수와 같은 액체의 정화를 위해 폭기 작업을 실행하는 폭기조와, 폭기조에 의해 정화된 물 중 깨끗한 물은 외부로 배출하고 정화 작업이 더 요구되는 물은 다시 반송시키는 침전조 등을 구비할 수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정화조의 경우, 구조가 복잡하고 이로 인하여 제작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고, 또한 외곽틀이 실질적으로 단일벽(단일관)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내부에 한도 이상의 생활 하수가 가득 차게 되는 경우 생활 하수가 외벽을 계속적으로 외측 방향으로 가압하여 정화조의 기본 형상이 변형될 우려가 있으며 이로 인해 누수 현상 등이 발생될 수 있고, 나아가 단일벽(단일관) 구조에 의해 내부 공간을 효율적으로 구획하기가 어려워 우수한 정화 효율을 구현하기가 쉽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고려하여 외부 원통관 및 내부 원통관이 배치되는 다중관 구조의 정화조를 고려해볼 수 있으나 이 경우에도 종래의 제조 방법에 의하여 정화조를 제조하게 되면 종래에 비하여 제조 방법이 여전히 복잡하게 되므로 다중관 구조 정화조의 효율적인 제조 방법의 개발이 필요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외부 원통관을 압출 성형된 합성수지밴드를 이용하여 제조함으로써 외부 원통관 내부에 내부 원통관이 배치되는 다중 정화 구조의 정화조를 종래 보다 용이하고 효율적으로 제작할 수 있는 정화조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합성수지를 소정 형상의 합성수지밴드로 압출 성형하는, 합성수지밴드 압출 성형 단계; 중공의 원기둥 형상을 갖는 외부 원통몸체와 상기 외부 원통몸체의 둘레 방향을 따라 상기 외부 원통몸체의 표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상기 외부 원통몸체의 강도를 보강하는 강도보강띠를 구비하는 외부 원통관을, 상기 합성수지밴드를 나선 방향으로 권취하여 마련하는, 외부 원통관 마련 단계; 및 상기 외부 원통관의 내측에 별도로 제작된 내부 원통관이 위치하도록 상기 외부 원통관 및 상기 내부 원통관을 설치하는, 원통관 설치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화조 제조 방법에 의해서 달성된다.
상기 강도보강띠와 교차하는 방향인 상기 외부 원통몸체의 높이 방향으로 상 기 외부 원통몸체의 외면에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강성 강화 지지대를 상기 외부 원통관에 결합하는, 지지대 결합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부 원통관 마련 단계에서, 상기 외부 원통관을 형성하는 상기 합성수지밴드는 양측부 영역이 부분적으로 중첩될 수 있도록 나선 방향으로 권취될 수 있다.
상기 합성수지밴드 성형 단계에서 성형되는 상기 합성수지밴드는 'T'자 단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합성수지밴드는,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마련되는 메인 밴드몸체; 및 상기 메인 밴드몸체의 일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도록 상기 메인 밴드몸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되 상기 메인 밴드몸체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메인 밴드몸체의 강도를 보강하는 서브 밴드몸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부 원통관 마련 단계는, 회전하는 원통형 몰드의 외면에 압출 성형된 상기 합성수지밴드를 나선 방향으로 권취하는, 권취 단계; 상기 권취 단계에 의해 상호 중첩되는 상기 합성수지밴드의 중첩 부분을 융착시키는, 융착 단계; 및 상기 융착 단계에 의해 융착된 파이프 형상의 모원통관을 소정 크기로 절단하여 단위 크기의 원통관으로 마련하는, 절단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융착 단계는 열을 공급하는 열융착기로부터 상기 합성수지밴드의 중첩 부분에 열을 공급하여 상기 합성수지밴드의 중첩 부분이 열 융착되도록 하는 단계일 수 있다.
상기 융착 단계는 상기 합성수지밴드의 중첩 부분을 따라 접착 밴드를 밴딩 하여 상기 합성수지밴드의 중첩 부분을 융착시키는 단계일 수 있다.
상기 원통관 설치 단계는, 상기 외부 원통관의 내측에 별도로 제작된 내부 원통관이 위치하도록 상기 외부 원통관 및 상기 내부 원통관을 설치하는 단계; 상기 외부 원통관 및 상기 내부 원통관의 상측 및 하측에 각각 상부판 및 하부판이 위치하도록 상기 상부판 및 상기 하부판을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외부 원통관을 압출 성형된 합성수지밴드를 이용하여 제조함으로써 외부 원통관 내부에 내부 원통관이 배치되는 다중 정화 구조의 정화조를 종래 보다 용이하고 효율적으로 제작할 수 있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정화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수직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외부 원통관을 형성하는 합성수지밴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며,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외부 원통관이 제조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정화조(100)는, 중공의 원기둥 형상으로 마련되는 외부 원통관(110)과, 외부 원통관(110)에 비해 상대적으로 소구경 관으로 마련되어 외부 원통관(110)의 내측에 배치되는 내부 원통관(150)과, 외부 원통관(110) 및 내부 원통관(150)의 상측 및 하측에 각각 배치되는 상부판(180) 및 하부판(미도시)을 포함한다.
외부 원통관(11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공의 원기둥 형상을 갖는 외부 원통몸체(111)와, 외부 원통몸체(111)의 둘레 방향을 따라 돌출 형성되어 외부 원통몸체(111)의 강도를 보강하는 강도보강띠(113)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조의 외부 원통관(110)은, 정화조의 외곽틀 제작 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프레스 몰드(press mold)에 의한 압축 성형 또는 사출 성형에 의해 제작되는 것이 아니라, 용이하고 효율적인 제작을 위하여 압출 성형된 합성수지밴드(120, 도 3 참조)가 몰드(103, 도 4 참조) 상에서 나선 방향으로 권취되어 마련된다. 여기서 합성수지밴드(120)란 명칭 그대로 섬유 강화 플라스틱(FRP, Fiber Reinforced Plastic) 또는 폴리에틸렌(Polyethylene)과 같은 종류의 합성수지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의 합성수지밴드(120)는, 그 단면이 'T'자 형상이 되도록 압출 성형에 의해 제작되는데, 이러한 형상으로 인해 종래에 비해 강성을 현저히 강화할 수 있다.
즉, 종래에 사용되는 정화조의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이, 압축 성형 또는 사출 성형 등에 의해 외관 전체가 일체로 형성되어 정화조의 내부에 담긴 물의 수압 이 계속적으로 영향을 끼치는 경우 외측으로 벤딩되기 쉬운데, 본 실시 예의 외부 원통관(110)을 형성하는 합성수지밴드(120)는 'T'자 형상을 가짐으로써 돌출 부분에 의해 편평하게 마련된 부분이 벤딩(bending)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합성수지밴드(120)에 의해 제작되는 외부 원통관(110)의 형상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합성수지밴드(12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마련되는 메인 밴드몸체(121)와, 메인 밴드몸체(121)의 일면에서 메인 밴드몸체(121)의 길이 방향을 따라 돌출되게 형성되어 메인 밴드몸체(121)의 강도를 보강하는 서브 밴드몸체(123)를 포함한다. 여기서 메인 밴드몸체(121)와 서브 밴드몸체(123)는 전술한 바와 같이 압출 성형에 의해 일체로 제작되며, 서브 밴드몸체(123)는 전술한 외부 원통몸체(111)의 외면에 돌출 형성되는 강도보강띠(113)가 된다.
따라서, 메인 밴드몸체(121)가 권취되어 외부 원통관(110)으로 제조될 때, 메인 밴드몸체(121)와 일체로 형성되는 서브 밴드몸체(123), 즉 강도보강띠(113) 또한 권취되어 외부 원통몸체(111) 및 내부 원통몸체(151)의 외면으로부터 띠 모양으로 돌출 형성되며, 이로 인해 외부 원통관(110)에 담긴 생활 하수와 같은 액체에 의해 외측 방향으로 수압이 계속적으로 작용할지라도 서브 밴드몸체(123)와 메인 밴드몸체(121)가 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외부 원통관(110)으로 제작되는 정화조(100)의 전체적인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외부 원통관(110)은, 도 4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압출 성형 된 합성수지밴드(120)가 원통형 몰드(103)에 권취되어 제작된다. 즉, 합성수지밴드 공급부(102)로부터 원통형 몰드(103)의 외면으로 압출 성형된 합성수지밴드(120)가 공급되어 일부 영역이 권취되고, 이어서 원통형 몰드(103)가 일방향으로 회전하면서 합성수지밴드(120)는 원통형 몰드(103)에 나선 방향으로 감기게 되는 것이다.
다만, 이때 합성수지밴드(120)의 양측부 영역이 부분적으로 중첩되도록 합성수지밴드(120)는 나선 방향으로 권취되며, 이로 인해 합성수지밴드(120) 사이사이에 틈새가 발생되는 것을 저지할 수 있다.
한편, 합성수지밴드(120)의 중첩 부분(120s, 도 2 참조)으로 누수가 발생되는 것을 저지하기 위해, 합성수지밴드(120)의 중첩 부분(120s)을 융착시키기 위한 융착 과정을 거치게 된다. 다시 말해, 원통형 몰드(103)의 외면에 인접하게 열 융착기(105)가 마련되어 합성수지밴드(120)의 중첩 부분(120s)을 가열하게 되고, 이로 인해 합성수지밴드(120)의 중첩 부분(120s)이 열에 의해 융착되어 합성수지밴드(120)의 중첩 부분(120s)의 완전히 기밀 처리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 예에서는, 합성수지밴드(120)의 중첩 부분(120s)이 열 융착기(105)로부터 제공되는 열에 의해 열 융착된다고 상술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합성수지밴드(120)의 중첩 부분(120s)을 따라 띠 형상의 접착 밴드(미도시)가 접착되어 합성수지밴드(120)의 중첩 부분(120s)을 완전히 기밀 처리할 수도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외부 원통관(110)이 압출 성형에 의해 그 단면이'T'자 형상을 갖는 합성수지밴드(120)에 의해 형성됨으로써, 종래의 일반적인 정화조 들에 비해 우수한 내구성을 구현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압력이 가해지더라도 변형될 우려가 없어 형상 변형에 의한 누수 현상이 발생되는 것을 저지할 수 있다.
또한, 외부 원통관(110)의 내부 공간에 내부 원통관(150)이 마련되는 이중 구조로 인하여, 종래에 비해 외부 원통관(110)의 내벽으로 가해지는 수압의 크기를 작게 할 수 있다. 즉, 외부 원통관(110)과 내부 원통관(150) 사이에 존재하는 생활 하수와 같은 액체는 외부 원통관(110)의 외벽에 영향을 끼치고, 내부 원통관(150) 내부에 있는 생활 하수와 같은 액체는 내부 원통관(150)의 내벽에 영향을 끼치기 때문에 외부 원통관(110)에 가해지는 수압의 크기를 줄일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은 제조 방법으로 외부 원통관(110)을 종래 보다 용이하고 효율적으로 제작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실시 예의 정화조(100)는, 외부 원통관(110) 및 내부 원통관(150) 중 상대적으로 더 큰 크기의 압력을 받는 외부 원통관(110)의 강성을 보다 더 강화하기 위해, 외부 원통관(110)의 외벽에 결합되되 강도보강띠(113)의 가로 방향인 외부 원통몸체(111)의 높이 방향으로 마련되는 강성 강화 지지대(170)를 더 포함한다. 이러한 강성 강화 지지대(170)는, 도 1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 마련되어 외부 원통관(110)의 둘레 방향을 따라 장착될 수 있다.
강성 강화 지지대(17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도보강띠(113)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외부 원통관(110)의 외벽에 결합되기 때문에, 합성수지밴드(120)의 중첩 부분(120s)에서 변형이 발생되는 것을 확실히 저지할 수 있다.
즉, 강도보강띠(113)는 외부 원통관(110)의 지면에 대해 수평 방향으로의 굽 힘모멘트 강성을 강화하는 것인 반면에, 강성 강화 지지대(170)는, 외부 원통관(110)의 높이 방향으로 마련되어 외부 원통관(110)의 지면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의 굽힘모멘트 강성을 강화하는 것으로서, 이로 인해 본 실시 예의 정화조(100)의 전체적인 내구성을 더욱 강화할 수 있다.
한편, 내부 원통관(15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원통몸체(111)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을 갖도록 마련되는 내부 원통몸체(151)를 포함한다. 이러한 내부 원통관(150)은 외부 원통관(110)과 유사한 방법으로 제작될 수 있다. 즉 내부 원통관(150)에는 외부 원통관(110)의 강도보강띠(113)가 마련되어 있지 않으므로 압출 성형에 의해 그 단면이 일자 형상을 갖는 합성수지밴드(미도시)를 이용하는 점만 제외하고 외부 원통관(110)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작될 수 있는 것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원통몸체(111)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을 갖도록 마련되는 내부 원통몸체(151)를 포함한다. 이러한 내부 원통관(150)은 외부 원통관(110)이 내부에 마련되는데, 이러한 이중 또는 다중 결합 구조에 의해, 생활 하수에 대한 정화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정화조(100)의 내부 공간은 다수의 공간으로 구획되어 어느 공간은 유량 조정조(미도시)로 사용되고, 다른 어느 공간은 폭기조(미도시)로 사용되고, 또한 또 다른 어느 공간은 침전조(미도시) 등으로 사용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런데 단일벽으로 마련되는 종래의 일반적인 정화조의 경우, 내부 공간을 구획하기가 용이하지 않으며 구획하더라도 기밀 처리를 하기가 어려워 공간 사이가 서로 연통될 우려가 있었는데, 본 실시 예의 정화조(100)는 정화조(100) 내부를 외부 원통관(110) 및 내부 원통관(150)에 의해 크게 구획함으로써 필요에 따라 다수의 공간으로 구획하기가 보다 용이하며, 이에 따라 정화조(100) 내부로 들어오는 생활 하수의 정화 효율을 종래에 비해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구성을 갖는 정화조 제조 방법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정화조의 제조 방법의 순서도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외부 원통관의 마련 단계를 세분화한 순서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정화조 제조 방법은, 합성수지를 'T'자 단면 형상을 갖는 합성수지밴드(120)로 압출 성형하는 합성수지밴드 압출 성형 단계(S100)와, 압출 성형된 합성수지밴드(120)를 나선 방향으로 권취하여 원기둥 형상의 외부 원통관(110)으로 마련하는 외부 원통관 마련 단계(S200)와, 외부 원통관(110)의 내측에 별도로 제작된 내부 원통관(150)이 위치하도록 외부 원통관(110) 및 내부 원통관(150)을 설치하는 원통관 설치 단계(S300)를 포함한다.
먼저 합성수지밴드 압출 성형 단계(S100)는, 섬유 강화 플라스틱(FRP, Fiber Reinforced Plastic) 또는 폴리에틸렌(Polyethylene)과 같은 종류의 합성수지를 'T'자 단면 형상을 갖는 합성수지밴드(120, 도 3 참조)로 압출 성형하는 단계이다.
외부 원통관 마련 단계(S200)는, 도 6의 순서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하는 원통형 몰드(103)의 외면에 압출 성형된 합성수지밴드(120)를 나선 모양으로 권 취하는 권취 단계(S210)와, 권취 단계(S210)에 의해 상호 중첩되는 합성수지밴드(120)의 중첩 부분(120s)을 융착시키는 융착 단계(S220)와, 융착 단계(S220)에 의해 융착된 파이프 형상의 모원통관을 소정 크기로 절단하여 단위 크기의 원통관, 즉 외부 원통관(110)으로 마련하는 절단 단계(S230)를 포함한다.
권취 단계(S210)는, 압출 성형에 의해 'T'자 형상의 단면을 갖는 합성수지밴드(120)를 원통형 몰드(103)에 나선 방향으로 권취하는 단계로서, 이때 나선 방향으로 합성수지밴드(120)를 감되 합성수지밴드(120)의 양측부 영역이 부분적으로 중첩되도록 권취하여야 한다.
융착 단계(S220)는, 권취 단계(S210)에서 합성수지밴드(120)가 권취될 때 합성수지밴드(120)가 중첩되는 중첩 부분(120s)이 발생되는데, 이러한 합성수지밴드(120)의 중첩 부분(120s)을 융착시킴으로써 합성수지밴드(120)의 중첩 부분(120s)을 완전히 기밀 처리하는 단계이다.
이러한 융착 단계(S220)에서, 합성수지밴드(120)의 중첩 부분(120s)을 융착하는 방법은 두 가지가 있다. 먼저 첫 번째 방법은, 전술한 바와 같이, 원통형 몰드(103)와 인접한 부분에 마련된 열 융착기(105)를 이용하여 합성수지밴드(120)의 중첩 부분(120s)에 열을 전달함으로써 합성수지밴드(120)의 중첩 부분(120s)을 열 융착시키는 것이다. 그러면, 도 2의 확대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합성수지밴드(120)의 중첩 부분(120s)이 녹은 후 다시 고화되어 합성수지밴드(120)의 중첩 부분(120s)이 완전히 열 융착될 수 있다.
다른 방법은,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합성수지밴드(120)의 중첩 부분(120s)을 따라 접착 밴드(미도시)를 밴딩(banding)한 후 접착하는 것이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나선 방향으로 형성되는 합성수지밴드(120)의 중첩 부분(120s)을 따라 띠 형성의 접착 밴드를 길게 밴딩한 후 접착시킴으로써 합성수지밴드(120)의 중첩 부분(120s)을 융착시키는 것이다.
절단 단계(S230)는, 도 5에 도시된 절단 장치(107)를 이용하여 길게 제작되는 모원통관을 단위 크기의 원통관, 즉 외부 원통관(110) 및 내부 원통관(150)으로 절단하는 단계로서, 이러한 절단 단계(S230)에 의해 외부 원통관(110) 및 내부 원통관(150)이 최종적으로 제작될 수 있다.
한편,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정화조 제조 방법은, 외부 원통관(110)의 강성을 강화하기 위한 단계로서, 외부 원통관(110)의 외면의 둘레 방향을 따라 외부 원통관(110)의 길이 방향과 나란한 방향을 갖는 복수의 강성 강화 지지대(170)를 결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강성 강화 지지대(170)를 결합하는 단계에 의해서, 전술한 바와 같이, 외부 원통관(110)의 내부에 담긴 생활 하수에 의해 외부 원통관(110)의 내벽에 수압이 가해지더라도 외부 원통관(110)의 지면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의 굽힘모멘트 강성을 강화할 수 있다.
그리고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원통관 설치 단계(S300)는, 외부 원통관(110)의 내측에 별도로 제작된 내부 원통관(150)이 위치하도록 외부 원통관(110) 및 내부 원통관(150)을 설치하는 단계와, 외부 원통관(110) 및 내부 원통관(150)의 상측 및 하측에 각각 상부판(180) 및 하부판(미도시)이 위치하도록 상부판(180) 및 하부 판을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부판(180) 및 하부판은 각각 열융착, 접착제, 볼트 등의 어느 한 결합방법으로 외부 원통관(110) 및 내부 원통관(150)에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외부 원통관(110)을 압출 성형된 합성수지밴드(120)를 이용하여 제조함으로써 외부 원통관(110)의 전체적인 내구성을 강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외부 원통관(110) 내부에 내부 원통관(150)이 배치되도록 함으로써, 즉 이중관 또는 다중관 구조를 가짐으로써 종래에 비해 생활 하수의 정화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전술한 실시 예에서는, 합성수지밴드가 'T'자 형상의 단면을 갖는 합성수지밴드라고 상술하였으나, 합성수지밴드의 단면 형상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작의 용이성에 따라 다른 형상, 예를 들면 'ㅛ'자 형상의 단면을 갖도록 마련하여도 무방하다 할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 예 또는 변형 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정화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수직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외부 원통관을 형성하는 합성수지밴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외부 원통관이 제조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정화조의 제조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외부 원통관의 마련 단계를 세분화한 순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정화조 110 : 외부 원통관
111 : 외부 원통몸체 113 : 강도보강띠
120 : 합성수지밴드 120s: 중첩 부분
121 : 메인 밴드몸체 123 : 서브 밴드몸체
150 : 내부 원통관 151 : 외부 원통몸체
153 : 내부 강도보강부 170 : 강성 강화 지지대

Claims (9)

  1. 합성수지를 소정 형상의 합성수지밴드로 압출 성형하는, 합성수지밴드 압출 성형 단계;
    중공의 원기둥 형상을 갖는 외부 원통몸체와 상기 외부 원통몸체의 둘레 방향을 따라 상기 외부 원통몸체의 표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상기 외부 원통몸체의 강도를 보강하는 강도보강띠를 구비하는 외부 원통관을, 상기 합성수지밴드를 나선 방향으로 권취하여 마련하는, 외부 원통관 마련 단계; 및
    상기 외부 원통관의 내측에 별도로 제작된 내부 원통관이 위치하도록 상기 외부 원통관 및 상기 내부 원통관을 설치하는, 원통관 설치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화조 제조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강도보강띠와 교차하는 방향인 상기 외부 원통몸체의 높이 방향으로 상기 외부 원통몸체의 외면에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강성 강화 지지대를 상기 외부 원통관에 결합하는, 지지대 결합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화조 제조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원통관 마련 단계에서, 상기 외부 원통관을 형성하는 상기 합성수 지밴드는 양측부 영역이 부분적으로 중첩될 수 있도록 나선 방향으로 권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화조 제조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수지밴드 성형 단계에서 성형되는 상기 합성수지밴드는 'T'자 단면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화조 제조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수지밴드는,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마련되는 메인 밴드몸체; 및
    상기 메인 밴드몸체의 일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도록 상기 메인 밴드몸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되 상기 메인 밴드몸체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메인 밴드몸체의 강도를 보강하는 서브 밴드몸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화조 제조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원통관 마련 단계는,
    회전하는 원통형 몰드의 외면에 압출 성형된 상기 합성수지밴드를 나선 방향으로 권취하는, 권취 단계;
    상기 권취 단계에 의해 상호 중첩되는 상기 합성수지밴드의 중첩 부분을 융 착시키는, 융착 단계; 및
    상기 융착 단계에 의해 융착된 파이프 형상의 모원통관을 소정 크기로 절단하여 단위 크기의 원통관으로 마련하는, 절단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화조 제조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융착 단계는 열을 공급하는 열융착기로부터 상기 합성수지밴드의 중첩 부분에 열을 공급하여 상기 합성수지밴드의 중첩 부분이 열 융착되도록 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화조 제조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융착 단계는 상기 합성수지밴드의 중첩 부분을 따라 접착 밴드를 밴딩하여 상기 합성수지밴드의 중첩 부분을 융착시키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화조 제조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통관 설치 단계는,
    상기 외부 원통관의 내측에 별도로 제작된 내부 원통관이 위치하도록 상기 외부 원통관 및 상기 내부 원통관을 설치하는 단계;
    상기 외부 원통관 및 상기 내부 원통관의 상측 및 하측에 각각 상부판 및 하 부판이 위치하도록 상기 상부판 및 상기 하부판을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화조 제조 방법.
KR1020090088685A 2009-09-18 2009-09-18 정화조 제조 방법 KR1011102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8685A KR101110230B1 (ko) 2009-09-18 2009-09-18 정화조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8685A KR101110230B1 (ko) 2009-09-18 2009-09-18 정화조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0988A true KR20110030988A (ko) 2011-03-24
KR101110230B1 KR101110230B1 (ko) 2012-02-15

Family

ID=439363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88685A KR101110230B1 (ko) 2009-09-18 2009-09-18 정화조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1023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6767B1 (ko) * 2014-03-17 2015-02-27 (주) 하나환경 사축 매몰용 저장탱크
KR101525899B1 (ko) * 2014-03-17 2015-06-04 (주) 하나환경 전염성 병원균에 감염된 가축의 살처분용 매몰 탱크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52017B1 (ko) * 1994-07-23 2003-02-05 민병이 배수로관용거푸집제조장치
KR20010085981A (ko) * 2001-04-30 2001-09-07 민병이 배수로관 또는 연결관용 거푸집 제조장치
KR20040051758A (ko) * 2002-12-13 2004-06-19 최선영 대형관체의 제조방법 및 그 장치
UA93924C2 (uk) * 2006-10-04 2011-03-25 Риб Лок Острелиа Пти Лимитед Композитна армована стрічка (варіанти), труба, яка має гелікоїдально змотану композитну стрічку, та спосіб її виготовлення (варіанти)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6767B1 (ko) * 2014-03-17 2015-02-27 (주) 하나환경 사축 매몰용 저장탱크
KR101525899B1 (ko) * 2014-03-17 2015-06-04 (주) 하나환경 전염성 병원균에 감염된 가축의 살처분용 매몰 탱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10230B1 (ko) 2012-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384318A (zh) 增强型聚乙烯缠绕结构壁管材及生产装置及生产方法
KR101110230B1 (ko) 정화조 제조 방법
CN202302370U (zh) 增强型聚乙烯缠绕结构壁管材及生产装置
CN103791173A (zh) 一种带增强内肋和增强钢带的聚乙烯缠绕结构壁管材
KR100458608B1 (ko) 이중벽 하수관의 구조
KR101090286B1 (ko) 합성수지제 프로파일관
KR101160647B1 (ko) 합성수지제 프로파일관
KR101090296B1 (ko) 합성수지제 프로파일관
CN103140708A (zh) 带连接件的合成树脂管及其连接结构
FI90230C (fi) Jätevesikaivo tai useita selkeytysaltaita käsittävä jäteveden pienpuhdistamo
CN108799642A (zh) 一种方形双壁立筋缠绕管
CN212319019U (zh) 一种hdpe内肋增强双高筋复合缠绕管
CN203309384U (zh) 加强型中空壁缠绕管
CN102452539A (zh) 一种卧式复合材料容器
CN205556202U (zh) 污水处理用捆绑填料装置
CN2490388Y (zh) 塑料管
JP2008025226A (ja) コンクリート構造物用防食部材、コンクリート構造物用防食部材の製造方法、及び、コンクリート構造物
KR100364153B1 (ko) 대용량 복합저장탱크의 제조방법
KR200307453Y1 (ko) 보강격벽을 갖는 이중벽 하수관의 구조
CN217559227U (zh) 一种定向弯曲波纹管及具有定向弯曲波纹管的缠绕波纹管
CN214947032U (zh) 埋地用聚乙烯pe复合结构壁管
CN206458924U (zh) 一种高强度玻璃纤维塑料管道
CN214299800U (zh) 一种内胆式玻璃纤维缠绕化粪池
KR200312001Y1 (ko) 이중벽 하수관의 구조
CN201599495U (zh) 双肋增强双壁波纹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