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29566A - 음식물찌꺼기를 이용한 친환경 탄화물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음식물찌꺼기를 이용한 친환경 탄화물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29566A
KR20110029566A KR1020090087304A KR20090087304A KR20110029566A KR 20110029566 A KR20110029566 A KR 20110029566A KR 1020090087304 A KR1020090087304 A KR 1020090087304A KR 20090087304 A KR20090087304 A KR 20090087304A KR 20110029566 A KR20110029566 A KR 201100295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w
food waste
carbide
delivery pipe
compre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873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15234B1 (ko
Inventor
문원호
주동현
Original Assignee
문원호
주동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원호, 주동현 filed Critical 문원호
Priority to KR10200900873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15234B1/ko
Publication of KR201100295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295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52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52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BCENTRIFUGES
    • B04B1/00Centrifuges with rotary bowls provided with solid jackets for separating predominantly liquid mixtures with or without solid particles
    • B04B1/20Centrifuges with rotary bowls provided with solid jackets for separating predominantly liquid mixtures with or without solid particles discharging solid particles from the bowl by a conveying screw coaxial with the bowl axis and rotating relatively to the bow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9/00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 B30B9/02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for squeezing-out liquid from liquid-containing material, e.g. juice from fruits, oil from oil-containing material
    • B30B9/12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for squeezing-out liquid from liquid-containing material, e.g. juice from fruits, oil from oil-containing material using pressing worms or screws co-operating with a permeable casing
    • B30B9/14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for squeezing-out liquid from liquid-containing material, e.g. juice from fruits, oil from oil-containing material using pressing worms or screws co-operating with a permeable casing operating with only one screw or worm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5/00Solid fuels
    • C10L5/40Solid fuels essentially based on materials of non-mineral origin
    • C10L5/46Solid fuels essentially based on materials of non-mineral origin on sewage, house, or town refus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15/00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objects with progressive movement; Machines or apparatus with progressive movement for drying batches of material in compact form
    • F26B15/26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objects with progressive movement; Machines or apparatus with progressive movement for drying batches of material in compact form with movement in a helical path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6Controlling, e.g. regulating, parameters of gas supply
    • F26B21/10Temperature; Pres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3/00Heating arrangements
    • F26B23/04Heating arrangements using electric hea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5/00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not covered by group F26B21/00 or F26B23/00
    • F26B25/005Treatment of dryer exhaust ga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200/00Drying processes and machines for solid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specific requirements of the drying good
    • F26B2200/04Garbag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50/00Technologies for the production of fuel of non-fossil origin
    • Y02E50/10Biofuels, e.g. bio-diese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50/00Technologies for the production of fuel of non-fossil origin
    • Y02E50/30Fuel from waste, e.g. synthetic alcohol or dies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친환경으로 환경오염이 발생되지 않도록 음식물찌꺼기를 탄화물질로 생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환경오염을 최소화 시키면서 환경오염의 원인인 음식물찌꺼기를 처리하고, 음식물찌꺼기를 연료로 사용할 수 있는 탄화재를 생산하여 탄화처리과정에서 악취 발생이나 다이옥신과 같은 오염물질의 배출을 방지하도록 다단계의 정화처리과정 및 급생시킴으로 응축시킬 수 있는 처리 방법을 수행하여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뛰어난 효과가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음식물찌꺼기, 탄화, 친화경, 재활용

Description

음식물찌꺼기를 이용한 친환경 탄화물 제조장치{Apparatus of carbonized material using garbage}
본 발명은 음식물찌꺼기를 이용한 친환경 탄화물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환경오염을 최소화시키면서 환경오염의 원인인 음식물찌꺼기를 처리하고, 음식물찌꺼기를 연료로 사용할 수 있는 탄화물을 생산할 수 있는 탄화물기기에 관한 것이다.
산업사회의 발전과 인구의 증가에 따라 폐기물 및 각종 환경오염물질이 대량으로 발생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막대한 사회적, 경제적 손실을 가져오고 있다.
이러한 자연의 정화 능력을 초과한 폐기물이 발생하게 되면서 인간의 건강과 주위환경에 영향을 미치는 폐기물의 관리와 처리가 점차 중요한 문제로 대두되었다. 우리나라도 급속한 경제성장과 이에 따른 소득 증가로 소비수준의 향상이 이루어졌고, 그 결과 시민들이 일상생활에서 배출하는 생활폐기물의 양이 크게 증가하였으며, 증가되는 생활폐기물의 처리를 위해 추가적인 매립장의 확보, 소각장의 건 립이 필요하게 되었다.
식량자원이 부족한 우리나라의 경우 과다한 음식물 쓰레기의 발생은 식량자원의 낭비와 함께 음식문화의 특성상수분함량이 높아 쉽게 부패되어 악취와 오수가 발생되며 매립 시에는 다량의 침출수가 흘러나와 지하수 오염과 같은 2차 환경오염을 유발시키며 침출수를 처리하는데 많은 비용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소각시에도 수분이 많아 소각효율이 떨어지기 때문에 보조연료를 사용해야 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특히 수도권 매립지의 침출수와 악취 문제로 인해 1997년 폐기물관리법에 직매립 금지조치가 설정되었으며, 2005년 1월 1일부터 음식쓰레기의 직매립이 전면 금지되었다. 음식물 쓰레기 재활용률은 1997년 9.7%에서 2000년 45.1%, 2002년 말 약 62%로 계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이중 퇴비화사료화가 전체의 약 85% 정도를 차지하고 있다.
그러나 퇴비화사료화의 경우 처리기간이 길고, 필요한 부지면적이 크고, 재활용 과정에서 악취가 발생하며, 경제성이 떨어지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특히 사료화의 경우에 광우병 파동 이후 반추동물의 동물성 사료 사용 금지조치로 인해 생산된 사료를 퇴비의 원료로 사용하고 있는 상황이다.
음식물 쓰레기와 같이 함수율이 높고 자체 유기물 함량이 높은 폐기물은 탈수효율을 높이면 감량화를 통해 처리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메탄화 또는 열처리 과정을 통해 에너지를 생성할 수 있는 이점이 있기 때문에 이에 대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 왔으나, 현재 많은 문제점이 나타나고 있다.
상기 메탄화의 경우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하는 과정에서 에너지원으로 사용 가능한 메탄가스가 생성되고 처리후 생성되는 슬러지의 생산량이 적으며, 장기간의 처리시간을 통해 슬러지나 폐수내의 병원균을 죽일 수 있지만, 처리시간이 길어 시설비가 높으며, 처리과정에서 악취가 발생해 이에 대한 대비가 필요하며, 메탄화 미생물이 온도, 용존 산소량(dissolved oxygen) 및 수소지수(pH)와 같은 환경조건에 민감하기 때문에 운전이 어려운 단점이 있다.
열처리에 의한 방법은 건조 후 소각 또는 재이용하는 기술이 있는데, 처리의 안정성이 높은 소각의 경우에 소각대상 폐기물의 함수율이 60% 미만이어야 하고, 재이용을 위해서도 함수율이 20% 미만이 되어야 하기 때문에 건조과정이 반드시 필요하지만, 건조공정은 수분을 증발시키기 위한 높은 기화열을 필요로 하게 되고, 이를 위해 400℃ 이상의 외부 열풍에 의존하는 에너지 다소비 공정이며, 특히 건조 과정에서 발생하는 악취문제는 주변 민원의 상당부분을 차지하고 있어 처리시설의 설비 반대를 위한 지역 NIMBY(Not In My Back Yard) 현상의 주요 원인이 되고 있다.
또한, 음식물 쓰레기의 성상을 보면 에너지원으로 사용될 수 있는 휘발분 및 고정탄소 함량이 13%로 상당히 높아 연료화 가능성이 상당히 높으며, 1970년대 이후 하수슬러지, 음식물 쓰레기, 농촌 부산물과 같은 폐기물을 연료화ㆍ자원화하기 위한 열분해 처리기술이 개발되어 왔다. 열분해 처리기술은 무산소 또는 저산소 조건에서 유기물에 열을 가할 때 유기물이 에너지로 전환되는 기술로써 흡열반응이기 때문에 에너지 손실량이 적고, 소각과 달리 외부 공기의 주입이 없어 발생되는 악 취 배출량이 적어 대기오염이 적은 장점이 있다.
열분해 처리기술은 폐기물의 수분 함유량에 따라 건식열분해 공정과 습식열분해 공정으로 구분될 수 있다. 건식열분해 공정은 폐기물의 수분을 탈수 및 건조과정을 거쳐 제거시킨 후 열분해 공정을 통해 에너지원으로 회수하는 기술로 에너지 회수시 생성되는 응축수 발생량이 적어 응축수 처리비용이 적게 들고, 운전이 상대적으로 용이한 장점이 있으나 일반적으로 고온의 온도조건에서 대기압 수준의 압력하에서 반응이 진행됨에 따라 에너지 다소비 공정인 건조공정이 필요하고, 건조과정에서 발생되는 다량의 악취가스를 처리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
습식열분해 공정은 탈수 및 건조과정과 같이 별도의 수분제거 과정 없이도 열분해 할 수 있는 기술로서, 에너지 다소비 공정인 건조공정이 필요 없고, 열분해 과정에서 폐기물의 유기물 손실이 매우 적어 처리 후 생성된 고체탄화물의 에너지 함유량이 높은 장점이 있으나 반응온도가 상승함에 따라 물의 포화수증기압 만큼 반응압력도 상승하게 됨에 따라 반응기의 압력이 필요이상으로 상승하게 되어 초기 설계 및 제작비용이 증가하고 열분해 후 생성되는 응축수의 양이 다량인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음식물 쓰레기를 고체 연료로 사용 가능한 고열량의 탄화물로 생성함과 동시에 파쇄하여 수분을 배출하고 남아있는 수분을 압착하여 배출하고, 압축건조된 음식물을 고체 탄화물로 건조하여, 배송관에서 탄화시키도록 가열부를 구성한 탄화실을 구성하고, 이때 악취가 다량 발생되는 고체탄화물을 악취 및 휘발성분을 고체탄화물내에 응축되도록 구성한 음식물 쓰레기를 이용한 탄화 처리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과제 처리 수단은 음식찌꺼기 투입물에 뼈, 길이가 긴 배추잎, 무 등의 크기가 크거나 견고한 물질을 잘게 파쇄하도록 기어식 파쇄날 또는 분쇄날을 구성하여 음식찌꺼기를 압착및 파쇄하여 수분을 짜내는 탈수과정이 되도록 구성한 파쇄및 제1차탈수부; 상기 투입된 음식물찌꺼기를 일정하게 이송하도록 장착된 스크류를 포함한 이송스크류와, 상기 이송스크류에 이송된 원료를 압축하도록 형성된 압축형 스크류부와, 상기 압축된 원료를 압축이송 리딩스크류로 이루어진 회전이송스크류와, 상기 회전이송스크류의 외부면에는 다수개의 천공구가 형성되어 수분을 배출할 수 있는 배럴하우징이 구성되어 2차 탈수가 이루어지고 탈수와 동시에 압축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한 재탈수 및 건조압축 이송스크류; 상기 재탈수 및 건조압축 이송스크류를 거친후 압축된 상태에서 건조된 음식물찌꺼기를 이송하도록 연결된 배송관은 외부공기가 차단된 상태의 고열을 발생한 가열부와 배송관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도록 온도감지센서를 구성한 탄화실을 형성하여 탄화물이 배송관에서 진행되면서 연속적으로 이루어지는 진행형 탄화생성부; 상기 진행형 탄화생성부를 거친 상태의 탄화재의 온도를 급냉화하여 냄새를 응축시키도록 배송관의 외부에는 수냉식 또는 냉매를 구현한 냉각장치를 포함한 냄새 및 휘발성 물질을 응축하는 응축부; 상기 응축부를 거친 탄화물을 일정한 크기로 절단하도록 모터가 구성된 회전커터날 또는 공압식 실리더를 구성하여 절단하는 절단부로 아루어져 달성하였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음식물 쓰레기를 가열에 의하여 수분을 제거하여 압축과정을 거쳐 고효율의 탄화물을 생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환경오염의 원인인 음식물 쓰레기를 연료로 사용할 수 있으며 또한 물식물처리이 짧고 오염발생률을 최소화시키는 효과가 있으며, 용도를 다양하게 사용할 수 있으므로 재활용 범위가 넓다. 특히 탄화처리과정에서 악취 발생이나 다이옥신과 같은 오염물질의 배출을 방지하도록 다단계의 정화처리과정 및 급생시킴으로 응축시킬 수 있는 처리 방법을 수행하여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뛰어난 효과가 있으므로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음식물찌꺼기를 이용한 친환경 탄화물 제조장 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한 본 발명은 친환경으로 오염이 발생되지 않는 음식물찌꺼기를 이용한 탄화재생산 장치는 파쇄 및 제1차탈수부(100), 재탈수 및 건조압축 이송스크류(200), 진행형탄화물생성부(300), 냄새 및 휘발성물질 응축부(400), 절단부(500)로 이루어져 배송관을 통하여 계속적으로 탄화물의 생산이 가능한 진행형 구조의 탄화제조장치로 이루어진다.
경제성장과 이에 따른 소득증가로 소비수준의 향상이 이루어졌고, 그 결과 시민들이 일상생활에서 배출하는 생활폐기물의 양이 크게 증가하였으며, 증가되는 생활폐기물의 처리가 어려워 매립 및 소각하게 되어 환경오염을 발생과 비용이 증가되는 문제점을 해결하였다.
파쇄 및 제1차탈수부(100)는 수분함양과 견고한 재질을 처리하기 위해 압착과 파쇄가 강한 기어식 바람직하다. 상기 기어식 파쇄날(100)은 서로 맞물려 회전하도록 구성되며 기어로 서로 맞물려 외부의 모터(미도시함)와 연결되어 구동된다.
가정 및 식당에서 발생되는 음식찌꺼기는 뼈, 길이가 긴 배추잎, 무 등의 크기가 크거나 견고한 물질을 잘게 파쇄하도록 기어식 파쇄날(110) 또는 분쇄날을 구성하여 음식찌꺼기를 압착 및 파쇄하여 수분을 짜내는 탈수과정이 되도록 구성하였다.
수분함양이 많은 부분을 1차적으로 습기를 제거하도록 함으로서 처리과정을 빠르게 진행할 수 있도록 하였다.
재탈수 및 건조압축 이송스크류(200)는 파쇄가 이루어져 균일한 크기로 분쇄 된 음식물 찌꺼기를 스크류에 의해 이송되는 이송스크류(210)를 구성하였다.
상기 이송스크류(210)를 거친 음식물찌꺼기는 압축형스크류(220)를 통과하면서 압착되면서 수분이 배출하도록 이루어진다. 이때, 배럴하우징(230)은 수분이 배출이 되도록 다수의 관통구가 형성되어 탈수가 이루어지도록 구성하였다.
상기 압축된 탄화물 원료를 압축 이송하도록 압축이송 리딩부(240)를 구성하여 나사산의 간격을 작게하여 강하게 이송하여 배송관으로 배출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상기와 같이 이송스크류(210)와 압축형 스크류(220)와 압축이송 리딩부(240)를 한축상에 배열한 회전이송스크류(250)를 구성하여 풀리(250)와 밸트 또는 기어로 맞물려 모터(270)에 연결하여 구동된다.
회전이송스크류(280)의 외부면에는 다수개의 천공구가 형성되어 수분을 배출할 수 있는 배럴하우징(230)이 구성되어 2차 탈수가 이루어지고 탈수와 동시에 압축이 이루어진다.
상기 재탈수 및 건조압축 이송스크류(200)를 거친후 압축된 상태에서 건조된 음식물찌꺼기를 이송하도록 연결된 배송관(290)은 외부공기가 차단된 상태의 고열을 발생한 가열부인 탄화실(310)을 구성하였다.
탄화실(310)은 공압으로 압축된 탄화 원료가 공급되는 배송관(290)이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배송관의 외부에는 열을 흡수할 수 있도록 흡열판(320)이 다수개 배열되어 용접하여 접합하였다.
배송관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도록 온도감지센서를 구성하여 온도를 측정하 여 내부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구성하여 탄화물이 배송관에서 진행되면서 연속적으로 이루어지는 진행형 탄화생성부(300)를 형성하였다.
상기 탄화실(310)은 저기 히터(330)를 상부와 흡열판의 사이에 각각 배열하여 구성되고, 기름버너 등의 가열수단으로 탄화실에 열을 가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압축된 탄화물의 원료가 배송관을 지나가면서 고열에 의해 탄화물로 변하게 된다. 이때의 배송관으로 연결되어 공기가 차단된 상태의 배송관은 온도가 330~360도의 온도를 유지하도록 내부 온도감지센서를 구성하여 배송관의 외부에는 전기히터, 가스 또는 기름버너로 가열하고, 상기 배송관은 흡열판을 통하여 열을 흡수하도록 구성하였다. 가열부는 외부열을 가하도록 전기히터, 가스 또는 기름버너로 가열하고, 배송관은 열의 흡열이 이루어지도록 흡열판을 다수개 배열되어 부착되도록 이루어지며 열전달이 좋은 알루미늄, 동 등으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 진행형 탄화생성부(300)를 거친 상태의 탄화물의 온도를 급냉화하여 냄새를 응축시키도록 배송관의 외부에는 수냉식 또는 냉매장치를 구현한 냉각장치를 포함한 냄새 및 휘발성 물질을 응축하는 응축부(400)를 구성하였다.
고열의 탄화과정을 거친 탄화물은 냄새 및 휘발성 물질이 발생되어 오염의 원인을 제공하게 되므로 급경하게 온도를 냉각시키도록 하여 냄새 및 휘발성 물질을 응축시키도록 냉각장치를 구성하였다.
상기 냉각장치는 수냉식으로 형성하여 급냉관(440)내를 통과하는 탄화물을 물로 냉각하도록 관내 입구(420)와 출구(430)로 순환하도록 구성하고 배송관의 외 부면에 다수개의 열을 발산할 수 있는 냉각핀(410)을 부착하여 열을 발산하도록 구성하였다.
즉 진행형탄화단계를 거친 상태의 탄화물의 온도를 급냉화하여 냄새 및 휘발성물질을 응축시키도록 배송관의 외부에는 수냉식 또는 냉매장치를 구현한 냉각장치를 구성한 냄새 및 휘발성 물질을 응축하도록 하였다.
냉각장치는 급냉화를 위하여 급내관내에 냉매를 순환하여 냉각이 가능하도록 구성이 가능하다.
상기 응축부(400)에서 응축되어 연속적으로 배출되는 탄화물을 일정한 크기로 절단하도록 절단부(500)를 구성하였다.
상기 절단부는 모터축에 회전날을 구성하여 회전하면서 절단하거나 공압실린더에 절단날을 구성하여 일정한 간격으로 왕복운동하면서 절단하도록 구성하였다.
상기와 같이 절단된 탄화물은 컨베이어밸트로 이송하여 포장하도록 구성하였다.
본 발명의 도 4에 도시한 다른 실시예는 재탈수 및 건조압축 이송스크류(200)는 파쇄가 이루어져 균일한 크기로 분쇄된 음식물 찌꺼기를 스크류에 의해 이송, 압축, 탈수가 이루어지도록 회전이송스크류를 구성하였다.
상기 회전이송스크류는 다단으로 이루어져 체결되며, 2개의 스크류(160-1,160-2)로 구성되며, 두개의 스크류는 내접기어(170-2)로 풀리축(180-1)에 외접기어(170-1)와 맞물려 회전되도록 구성되고, 풀리축의 풀리(250)는 모터(270)에 연결된 풀리축(180-2)의 풀리(260)와 밸트(260-1)로 연결되어 구성하거나 기어로 맞물 려 연결되어진다.
두 개 스크류가 회전되어 파쇄된 음식물찌꺼기를 일정하게 이송하도록 장착된 스크류를 포함한 이송스크류(210-1)와, 상기 이송스크류에 이송된 원료를 압축하도록 형성된 압축형 스크류(220-1)와, 상기 압착되는 압축형 스크류(220-1)에 의해 안착된 상태에서 재압축하도록 형성된 역스크류(150)를 포함한 재압축스크류(230-1)와, 상기 재압축된 원료를 압축이송 리딩스크류(240-1)로 조립되어 하나의 축상에 결합된다.
상기 두 개의 스크류(160-1,160-2)의 외부에는 배럴을 구성하여 결합되고 압축스크류(230-1)와, 압축이송 리딩스크류의 배럴부에는 히터(230-1)를 구성하여 음식물찌꺼기의 온도를 60℃~100℃로 유지하여 건조가 빠르게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상기와 같이 구성하여 음식물찌꺼기를 이송스크류(210-1)에서 이송하고, 압축형 스크류(220-1)에서는 압축하여 수분을 짜내도록 이루어지며, 역스크류(150)를 형성하여 재압축되도록 재압축 스크류(230-1)를 구성하고, 재압축된 상태에서 이송되는 압축이송 리딩스크류(240-1)를 구성하였다.
상기와 같이 구성하여 제 2차탈수와 고압으로 압축된 음식물찌꺼기를 배송관 통하여 밀어서 이송시 연속적인 진행이 다음단계로 이루어진다.
진행형 탄화생성부는 고온으로 형성된 탄화실을 구성하여 열을 흡수할 수 있도록 다수개의 흡열판을 구성하여 배송관내를 통과하는 음식물 찌꺼기를 탄화시키도록 구성한 특징이 있다. 이때 탈수 및 건조압축 이송부의 거친후 압축된 상태에서 배송관으로 연결되어 공기가 차단된 상태의 배송관내의 적정온도는 온도가 330~360도의 온도를 유지하도록 내부 온도감지센서를 구성이 바람직하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모양의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음식물찌꺼기를 이용한 친환경 탄화물 제조장치를 도시한 사용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음식물찌꺼기를 이용한 친환경 탄화물 제조장치의 배출물을 정화과정를 도시한 사용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음식물찌꺼기를 이용한 친환경 탄화물 제조장치의 응축부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음식물찌꺼기를 이용한 친환경 탄화물 제조장치를 도시한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호에 대한 상세한 설명 *
100 : 파쇄 및 탈수부 110 : 기어형 파쇄기
200 : 재탈수 및 건조압축 이송부
210 : 이송 스크류 220 : 압축형 스크류
230 : 배럴하우징 240 : 압축이송 리딩부
250 : 풀리 260 : 밸트
270 : 모터 280 : 회전이송 스크류
300 : 진행형 탄화생성부 310 : 탄화실
320 : 흡열판 330 : 히터
340 : 연결플랜지 400 : 냄새 및 휘발성물질 응축부
410 : 냉각핀 420 : 입구
430 : 출구 440 : 급냉관
500 : 절단부

Claims (4)

  1. 음식찌꺼기 투입물에 뼈, 길이가 긴 배추잎, 무 등의 크기가 크거나 견고한 물질을 잘게 파쇄하도록 기어식 파쇄날 또는 분쇄날을 구성하여 음식찌꺼기를 압착및 파쇄하여 수분을 짜내는 탈수과정이 되도록 구성한 파쇄및 제1차탈수부;
    상기 투입된 음식물찌꺼기를 일정하게 이송하도록 장착된 스크류를 포함한 이송스크류와, 상기 이송스크류에 이송된 원료를 압축하도록 형성된 압축형 스크류부와, 상기 압축된 원료를 압축이송 리딩스크류로 이루어진 회전이송스크류와, 상기 회전이송스크류의 외부면에는 다수개의 천공구가 형성되어 수분을 배출할 수 있는 배럴하우징이 구성되어 2차 탈수가 이루어지고 탈수와 동시에 압축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한 재탈수 및 건조압축 이송스크류;
    상기 재탈수 및 건조압축 이송스크류를 거친후 압축된 상태에서 건조된 음식물찌꺼기를 이송하도록 연결된 배송관은 외부공기가 차단된 상태의 고열을 발생한 가열부와 배송관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도록 온도감지센서를 구성한 탄화실을 형성하여 탄화물이 배송관에서 진행되면서 연속적으로 이루어지는 진행형 탄화생성부;
    상기 진행형 탄화생성부를 거친 상태의 탄화재의 온도를 급냉화하여 냄새를 응축시키도록 배송관의 외부에는 수냉식 또는 냉매를 구현한 냉각장치를 포함한 냄새 및 휘발성 물질을 응축하는 응축부;
    상기 응축부를 거친 탄화물을 일정한 크기로 절단하도록 모터가 구성된 회전 커터날 또는 공압식 실리더를 구성하여 절단하는 절단부;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하는 음식물찌꺼기를 이용한 친환경 탄화물 제조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이송스크류는
    다단으로 이루어진 체결되며, 파쇄된 음식물찌꺼기를 일정하게 이송하도록 장착된 스크류를 포함한 이송스크류와, 상기 이송스크류에 이송된 원료를 압축하도록 형성된 압축형 스크류부와, 상기 압착되는 스크류부에 의해 안착된 상태에서 재압축하도록 형성된 역스크류부와, 압축된 원료를 압축이송 리딩스크류로 한 축상에 결합되어 음식물찌꺼기를 이송스크류에서 이송하고, 압축형 스크류에서는 압축하여 수분을 짜내도록 이루어지며, 역스크류부를 형성하여 재압축되어 재압축된 상태에서 이송되는 리딩스크류를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찌꺼기를 이용한 친환경 탄화물 제조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배럴하우징은
    압축이송 리딩스크류의 배럴의 외부에 온도는 60℃~100℃로 유지하도록 온도감지센서와 히터가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찌꺼기를 이용한 친환경 탄화물 제조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진행형탄화부는
    탈수 및 건조압축 이송단계의 거친후 압축된 상태에서 배송관으로 연결되어 공기가 차단된 상태의 배송관은 온도가 330~360도의 온도를 유지하도록 내부 온도감지센서를 구성하여 배송관의 외부에는 전기히터, 가스 또는 기름버너로 가열하고, 상기 배송관은 열의 흡열이 이루어지도록 흡열판을 다수개 배열되어 부착된 탄화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찌꺼기를 이용한 친환경 탄화물 제조장치.
KR1020090087304A 2009-09-16 2009-09-16 음식물찌꺼기를 이용한 친환경 탄화물 제조장치 KR1013152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7304A KR101315234B1 (ko) 2009-09-16 2009-09-16 음식물찌꺼기를 이용한 친환경 탄화물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7304A KR101315234B1 (ko) 2009-09-16 2009-09-16 음식물찌꺼기를 이용한 친환경 탄화물 제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9566A true KR20110029566A (ko) 2011-03-23
KR101315234B1 KR101315234B1 (ko) 2013-10-16

Family

ID=439354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87304A KR101315234B1 (ko) 2009-09-16 2009-09-16 음식물찌꺼기를 이용한 친환경 탄화물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1523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5522B1 (ko) * 2012-09-19 2013-10-08 주식회사 유니바이오 커피박을 이용한 저흡수성 연료용 분탄 및 그 제조방법
KR101366336B1 (ko) * 2013-05-06 2014-03-12 진산피앤씨 주식회사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2262779B1 (ko) * 2020-12-08 2021-06-11 성안이엔티주식회사 폐합성수지와 가연성 폐기물의 연속투입은 물론 열분해된 부산물을 연속적으로 배출하고 미세먼지와 폐수의 배출이 없이 고품질 오일을 생성하는 열분해 유화 방법 및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185688B (zh) * 2017-06-20 2019-04-19 北京安康科创节能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低能耗热矿破碎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88473A (ja) 2000-04-05 2001-10-16 Shigeru Aoki 生ごみ連続炭化装置
JP3693910B2 (ja) 2000-11-17 2005-09-14 株式会社プランテック 有機性廃棄物からの炭化生成物の製造方法
KR100486389B1 (ko) 2004-04-14 2005-04-29 김수옥 음식물 쓰레기 탄화식 처리장치
KR100856677B1 (ko) 2007-12-18 2008-09-04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음식물쓰레기의 처리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5522B1 (ko) * 2012-09-19 2013-10-08 주식회사 유니바이오 커피박을 이용한 저흡수성 연료용 분탄 및 그 제조방법
KR101366336B1 (ko) * 2013-05-06 2014-03-12 진산피앤씨 주식회사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2262779B1 (ko) * 2020-12-08 2021-06-11 성안이엔티주식회사 폐합성수지와 가연성 폐기물의 연속투입은 물론 열분해된 부산물을 연속적으로 배출하고 미세먼지와 폐수의 배출이 없이 고품질 오일을 생성하는 열분해 유화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15234B1 (ko) 2013-10-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01051587A1 (fr) Dispositif de distillation seche/de reduction de volume pour dechets
KR101315234B1 (ko) 음식물찌꺼기를 이용한 친환경 탄화물 제조장치
WO2016091169A1 (zh) 一种处理有机垃圾的方法和装置
KR101112581B1 (ko) 슬러지 또는 폐기물 처리 시스템
JP2007075807A (ja) 有機物の連続再資源化装置及び排水処理装置
KR100613935B1 (ko) 음식물 쓰레기의 대체연료화 처리방법
KR100903572B1 (ko) 폐열 회수를 이용한 유기성 폐기물의 건조 및 탄화장치
RU2447045C1 (ru) Способ и установка для утилизации птичьего помета
KR200420688Y1 (ko) 유기성 건조폐기물의 재활용 시스템
KR101152613B1 (ko) 바이패스 라인이 구비된 슬러지 또는 폐기물 처리 시스템
CN109028079B (zh) 一种生物质废物热解气化及其余热梯级利用的系统
KR101853881B1 (ko) 무폐수, 무악취의 음식물쓰레기 처리방법 및 그 처리시스템
KR101051093B1 (ko) 상압에서 유중증발기술을 이용한 고함수 유기성 슬러지 건조장치
KR100856677B1 (ko) 음식물쓰레기의 처리장치
KR20130034558A (ko) 음식물쓰레기를 이용한 고형화 보조연료의 제조방법
JP2002167209A (ja) 活性炭製造装置とその製造方法及び活性炭製造システム
KR101315206B1 (ko) 친환경으로 재오염이 발생되지 않는 음식물찌꺼기를 이용한 탄화물 생산방법
KR20110026058A (ko) 중공축을 이용한 음식물 쓰레기 및 유기성 슬러지의 건조 또는 탄화 장치
CN114891548A (zh) 一种厨余垃圾制备生物燃料的方法
KR100800025B1 (ko) 음식물 쓰레기의 습식탄화장치 및 이를 이용한 습식탄화처리방법
KR100903573B1 (ko) 저장탱크 내 침출수를 처리하기 위한 혼합분쇄장치를 갖는유기성 폐기물 탄화설비
CN110564431A (zh) 一种湿垃圾脱水热解方法及系统
KR101135122B1 (ko) 전기 탈수와 마이크로파 및 열풍을 이용한 하수슬러지 처리장치 및 방법
CN211771073U (zh) 一种湿垃圾脱水热解系统
KR20200061150A (ko) 유기성 폐기물의 밀폐형 순환 건조화 방법 및 건조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