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29537A - 자동세척 컵 - Google Patents

자동세척 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29537A
KR20110029537A KR1020090087249A KR20090087249A KR20110029537A KR 20110029537 A KR20110029537 A KR 20110029537A KR 1020090087249 A KR1020090087249 A KR 1020090087249A KR 20090087249 A KR20090087249 A KR 20090087249A KR 20110029537 A KR20110029537 A KR 201100295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p
paper
cup body
blank
protective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872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휘향
이영선
Original Assignee
김휘향
이영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휘향, 이영선 filed Critical 김휘향
Priority to KR10200900872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29537A/ko
Publication of KR201100295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29537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00Layered products having a non-planar shap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3/00Other table equip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9/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paper or cardboard
    • B32B29/08Corrugated paper or cardboar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39/00Containers; Receptacles
    • B32B2439/02Open contai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everage Vending Machines With Cups, And Gas Or Electricity Vending Machines (AREA)

Abstract

열 절연컵은 컵 본체와 보호커버로 이루어진다. 컵 본체는 측벽과 저벽을 갖는다. 보호커버가 측벽의 전체 외주변 영역을 덮기 위해 컵 본체에 접착되어 있다. 측벽의 상부 단부는 컵 본체의 개방 상부 주변에지를 따라 외측으로 접혀서 플랜지부를 형성한다. 보호커버는 엠보싱된 점들의 도트 무늬를 갖는 엠보싱된 종이시트와 엠보싱된 종이시트에 부착된 종이골 판원지로 이루어진다. 엠보싱된 종이시트에 골판원지를 접착함으로써 제조된 적층구조를 다이 컷팅하여 보호커버의 블랭크를 제조한다. 블랭크는 컵 본체의 측벽에 접착되어 감긴 블랭크의 양 측단부 영역들이 서로 반대로 배열되도록 되어 있다.
자동, 컵

Description

자동세척 컵 {Auto cleaning cup}
본 발명은 자동판매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음료가 담긴 컵이 외측으로 자동배출 되도록,컵을 받쳐주는 받침판이 회전하는 컵 배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판매기는 그 내부에 커피, 차, 그 밖에 다양한 상품을 내장한 것으로, 원하는 상품의 가격에 상당하는 주화나 지폐를 투입구에 넣고 상품을 선택하면, 그 상품이 투출되는 장치이다. 이러한 자동판매기는 캔음료와 같이 완제품을 내장하여 판매하기도 하지만, 물과 원료를 서로 혼합하여 컵에 담아 판매하는 등 다양한 형태가 있다.
이러한 종래의 자동판매기는 혼합장치(8)에서 물과 원료가 상호 혼합이 된 후, 노즐(9)을 통해공급되게 되므로, 혼합장치(8)와 노즐(9)에는 물과 원료가 혼합된 음료의 잔량이 남게 되는데, 이를 장시간 방치할 경우 혼합장치(8) 내에 세균이 번식되거나 설탕 등과 같은 원료의 찌꺼기가 굳게 되어, 위생상 좋지 않은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래의 자동판매기는 컵에 음료의 공급이 완료된 후 사용자가 컵을 꺼낼 때, 외측에서 한 손으로 개폐도어(13)를 열고, 다른 손으로 받침판(11)에 놓인 컵을 꺼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원료가 공급되는 원료 공급노즐과 물이 공급되는 물 공급노즐이 별도로 마련되어, 이들이 소정의 시간차로 공급되어, 컵에 원료와 물이 순차적으로 채워지게 함으로써 내부에 혼합된 음료의 잔량이 남지 않게 되어 위생상태가 개선되는 자동판매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컵이 놓이는 받침판의 구조를 회동 가능하게 하여, 컵에 음료가 채워지면 개구부에 설치된 개폐도어가 자동으로 열리면서, 컵과 함께 받침판이 외측으로 자동 투출되는 자동판매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외부에서 컵을 인출할 수 있도록 개구부가 형성된 컵취출부를 갖는 본체케이스, 상기 본체케이스의 내부에 마련된 물통 및 원료통, 상기 본체케이스 내부에 마련되어 상기 컵취출부로 컵을 공급하는 컵디스펜서, 상기 물통 및 상기 원료통의 물과 원료를 상기 컵취출부에 놓인 컵으로 안내하는 다수의 공급관, 상기 공급관의 단부에 설치된 노즐, 상기 개구부에 설치되어 이를 개폐하는 개폐도어를 구비하는 자동판매기에 있어서,
상기 노즐은 원료가 공급되는 원료 공급노즐과 물이 공급되는 물 공급노즐이 별도로 분리되어 소정거리 이격된 상태로 설치되고, 상기 컵을 지지하면서 이 컵을 상기 원료 공급노즐과 상기 물 공급노즐 쪽으로순차적으로 이송시키고 컵에 음료가 채워진 후에는 컵을 외측으로 자동 투출시킬 수 있도록, 상기 개구부의 하측에 회 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그 상면에 컵이 놓이는 받침판과, 상기 받침판을 회동시키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를 제어하는 하나 이상의 감지센서를 포함하는 컵 배출장치가 구비되며, 상기 개폐도어는 상기 받침판의 회동에 의해 밀려서 열리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판매기는 원료가 공급되는 원료 공급노즐과 물이 공급되는 물 공급노즐이 별도로 분리되어 소정거리 이격된 상태로 설치되고, 컵을 지지하는 받침판은 부채꼴의 형상으로 마련되어 이를 지지하는 회동축을 중심으로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을 하여 외측으로 인출되게 된다. 또한 받침판이 외측으로 나올 때에는 개구부의 개폐도어가 받침판에 밀려 자동으로 열리고, 들어갈 때는 다시 자동으로 닫히게 된다. 따라서, 컵에 원료와 물이 소정의 시간차를 두고 순차적으로 채워지게 됨으로써, 노즐의 주변에 혼합된 음료의 잔량이 남지 않게 되어 위생상태가 개선되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판매기는 원료 공급노즐(29)과, 물 공급노즐(28) 쪽으로 컵을 이송시키면서, 컵에 음료가 채워진 후에는 컵을 외측으로 자동투출 시키는 컵 배출장치(40)가 설치된다. 즉, 컵 배출장치(40)는 컵을 지지하는 받침판이 회동을 하여 외측으로 나오게 되는 구조이다. 도 4와 도 5를 참조하면, 본체케이스(20)의 전면을 개폐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도어부(20a)에는 사용자가 컵을 외측에서 꺼낼 수 있도록 내부공간과 연통된 개구부(31)가 형성되고, 이 개구부(31)에는 이를
개폐하는 개폐도어(32)가 설치되며, 도어부(20a)의 내측면에는 개구부(31)의 하측에 상기 컵 배출장치(40)가 설치된다.
컵 배출장치(40)는 컵을 지지해주는 받침판(41)과, 받침판(41)을 회동시켜주는 구동모터(42), 그리고 구동모터(42)와 받침판(41) 사이에 회전력이 전달되게 하는 복수의 기어(43,44) 및 감지센서(45,46,47) 등으로 구성된다.
받침판(41)은 두 변과 호로 이루어진 부채꼴 형상의 판으로 마련된다. 이러한 받침판(41)은 두 변의 길이가 같은 크기로 마련되고, 호를 이루는 외측단은 두 변이 만나는 모서리부로부터 동일한 반경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또한 받침판(41)은 변의 길이가 개구부(31)의 폭보다 작게 마련되어 개구부(31)를 통해
외측으로 자유롭게 나올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받침판(41)의 두 변이 만나는 모서리부에는 받침판(41)의 면과 수직이 되게 하측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회동축(48)이 마련된다. 이 회동축(48)은 개구부(31)의 하부 일측 모서리부( 개폐도어(32)의 힌지 결합부와 일치되는 쪽)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회동축(48)이 결합되는 부분에는 본체케이스의 도어부(20a)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며 결합공(49a)이 형성된 결합턱(49)이 마련되고, 결합턱의
결합공(49a)에 회동축(48)이 끼워지게 된다. 따라서 받침판(41)은 결합턱(49)에 끼워진 회동축(48)을 중심으로 회동이 되게 된다.
받침판(41)의 하측에는 받침판(41)을 회동시키도록, 정회전과 역회전이 가능한 구동모터(42)가 설치된다. 이 구동모터(42)는 외주부 일측이 도어부(20a)의 내측면에 고정된 지지브라켓(50)에 고정되는데, 이때 구동모터(42)의 회전축은 받침판(41)의 회동축(48)과 축선이 평행을 이루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구동모터의 회전축(42a)에는 회전력을 전달하는 구동기어(43)가 설치되고, 받침판(41)의 모서리부에서 연
장된 회동축(48)의 단부에는 구동기어(43)와 맞물려 회동하는 피동기어(44)가 설치된다. 즉, 구동모터(42)의 회전력은 구동기어(43)와 피동기어(44)를 통해 받침판(41)으로 전해지게 되어 받침판(41)이 회동을 하게 된다.

Claims (1)

  1. 종이측벽과 종이저벽을 갖는 컵 본체와 이 컵 본체의 측벽을 덮기 위해 부착된 종이보호커버로 이루어지며, 상기 보호커버는 엠보싱된 종이시트와 이 엠보싱된 종이시트에 접착된 종이골판원지로 구성되는 열절연컵의 제조방법으로서, 상기 엠보싱된 종이시트의 제1원료시트와 상기 골판원지의 제2원료시트를 제1접착제로 서로 접착하는 단계, 제1원료 및 제2원표시트의 접착된 구조를 다이-컷팅하여 상기 보호커버의블랭크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골판원지가 외측으로 위치되도록 상기 블랭크를 감고 이어서 상기 보호커버로서 감긴 블랭크를 컵 본체의 측벽에 제2접착제로 접착하는 단계들로 이루어지는 열절연컵의 제조방법.
KR1020090087249A 2009-09-15 2009-09-15 자동세척 컵 KR2011002953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7249A KR20110029537A (ko) 2009-09-15 2009-09-15 자동세척 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7249A KR20110029537A (ko) 2009-09-15 2009-09-15 자동세척 컵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9537A true KR20110029537A (ko) 2011-03-23

Family

ID=439354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87249A KR20110029537A (ko) 2009-09-15 2009-09-15 자동세척 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2953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921546A (zh) * 2015-06-03 2015-09-23 苏州佳亿达电器有限公司 一种可称重电热水杯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921546A (zh) * 2015-06-03 2015-09-23 苏州佳亿达电器有限公司 一种可称重电热水杯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477182A (zh) 自助雪糕机
US8973782B2 (en) Apparatus for dispensing elongated articles
EP1450318A2 (en) Automatic coin-operated machine for the production and on-demand dispensing of ice cream
KR102136419B1 (ko) 컵 디스펜서
KR20110029537A (ko) 자동세척 컵
KR20110009678U (ko) 회전식 자판기
CN214157035U (zh) 现磨饮品机
KR200424391Y1 (ko) 컵 자동 배출기
KR100292340B1 (ko) 자동판매기
CN211609284U (zh) 一种饮水机
RU2580482C2 (ru) Автомат для продажи напитков
CN207690204U (zh) 一种新型纸巾发放机
KR101018810B1 (ko) 물품 자동공급기의 카트리지형 단위포장체 공급모듈 및 그를 사용한 녹차용 벤딩머신
JPH01142894A (ja) 食品自動販売機の扉開閉機構
GB2474743A (en) Automated cotton candy machine
JP2009151441A (ja) 飲料製造装置
CN218729184U (zh) 一种自动售卖设备的出料机构
JP2009149316A (ja) 飲料製造装置
KR200251442Y1 (ko) 건강식품 인출용 자동판매기
KR100222437B1 (ko) 자동판매기용 스틱투출장치
JP5070826B2 (ja) カップ式自動販売機
KR200276031Y1 (ko) 자동판매기
WO2022135892A1 (en) System for dispensing individual portions of beverages precursor
KR100274438B1 (ko) 복합자동판매기
KR200158592Y1 (ko) 자동판매기용 컵디스펜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