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28419A - 한글 문자입력 방법 - Google Patents

한글 문자입력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28419A
KR20110028419A KR1020090086195A KR20090086195A KR20110028419A KR 20110028419 A KR20110028419 A KR 20110028419A KR 1020090086195 A KR1020090086195 A KR 1020090086195A KR 20090086195 A KR20090086195 A KR 20090086195A KR 20110028419 A KR20110028419 A KR 201100284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
vowel
input
keys
pr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861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태운
Original Assignee
박태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태운 filed Critical 박태운
Priority to KR10200900861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28419A/ko
Priority to KR1020147001699A priority patent/KR20140018436A/ko
Priority to US13/391,875 priority patent/US20120149477A1/en
Priority to KR1020147030950A priority patent/KR101560372B1/ko
Priority to KR1020127004777A priority patent/KR101426843B1/ko
Priority to PCT/KR2010/005604 priority patent/WO2011025200A2/ko
Publication of KR201100284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28419A/ko
Priority to US14/208,476 priority patent/US10936086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8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riental charac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한글 문자입력 방법
휴대폰, 문자입력

Description

한글 문자입력 방법{ Input method for Korean Text }
본 발명의 해당 분야는 휴대용 소형 디지털기기의 입력장치와 관련된 기술분야로서 한글 문자의 간편한 입력 방법 개발 분야이다.
한글의 경우 다른 어떤 문자보다도 휴대폰이 보편화 되면서 그 입력 방법이 다양해졌다. 그 이유는 자음과 모음의 분리 방법의 다양성과 각각의 자모의 표현 방법의 다양성에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다양한 방법이 존재하는 이유는 가능한 한 키를 눌러 주는 횟수를 줄여주고, 키를 눌러 주기 위해 손가락이 움직이는 거리를 줄여 주어 되도록 사용자가 편리하게 문자입력을 할 수 있는 방안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한글의 모음을 최소한의 키로 대표하고 자음과 모음을 나타낼 수 있는 키의 갯수도 최소한으로 줄여서 사용자의 편리성을 극대화시키기 위한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주요 효과는 한글을 입력함에 있어서, 모음의 입력을 직관적으로 만들 고 또 모음 입력에 필요한 키의 숫자를 최소화하여 한정된 숫자의 키를 가지는 핸드폰 및 모바일 장치의 키패드로 한글의 입력을 최대한 편리하게 하는 것이 본 발명의 과제이다.
본 발명은 지금까지 잘 알려진 한글 문자입력 시스템은 가능한 손가락의 움직임을 줄이기 위해서 모음의 모양과 관계없이 배열되어 사용자의 직관성을 가져오기 힘들었다. 이에 반해 본 발명은 키 움직임을 최소화하기 위해 한글의 자모 중에서 자음을 모든 키의 주된 문자(primary character)로 지정하여 각각의 키를 처음 눌러 주었을 때 입력되도록 하고, 모음의 경우는 두 개의 문자의 조합으로 입력되도록 하여 한글 자모의 입력을 위해 필요한 전체 키의 숫자를 최소화시켜 손가락의 이동거리를 최소화시키는 효과를 가져오고 그 결과 사용자의 편리성을 증가시키게 된다.
본 발명의 기본 구성은 모음을 두 개 키의 조합으로 입력하는 것이며, 이렇게 조합되어 입력되는 키의 조합에 있어서 처음 눌려지는 키는 고정되어 모음 입력활성화키라 명명하며 이 모음 입력활성화키(101)를 포함하는 기본 자판구조가 도 1에 나타나 있다. 이 경우는 잘 알려진 천지인 문자입력 시스템인데 자음의 배열은 그대로 유지한 채 모음만 본 발명의 구성이 적용된 것이다. 일견 동일한 구조로 보이지만 실제 모음 입력 방법은 상이한 점이 구체적인 실시 예에서 보여질 것이다. (실시예 1)
도 1에 보여지는 자판으로 모음을 입력하기 위해서는 'ㅡ'와 'ㅣ'는 각각 지정된 4번 키와 6번 키를 눌러주면 입력된다. 하지만 이 외의 'ㅏ', 'ㅓ', 'ㅗ', 'ㅜ'는 모음 입력활성화키(101)인 5번 키를 먼저 눌러준 다음 이 키의 주변에 있는 6번, 4번, 2번, 8번 키를 눌러주면 각각의 모음이 입력되는 것인데 이러한 입력 방법이 도 1과 도 2(I)에 보이는 자판 구조에 따른 본 발명의 모음입력 시스템이다. 도 2(I)는 모음 입력활성화키인 5번 키가 눌려졌을 경우 주위의 2번, 4번, 6번, 8번 키에 원래 지정된 자음 문자 대신에 지정되는 모음을 보여주고 있다. 모음 활성화키가 눌려졌을 경우 활성화되는 모음 'ㅏ', 'ㅓ', 'ㅗ', 'ㅜ'의 주변 키에서의 배열은 도 2(I)과 같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사용자 혹은 기기 생산업체에서 임으로 조정하여도 문제가 되지 않는다. 다만 도 2(I)과 같이 지정한 이유는 모음의 모양과 손가락의 움직임간의 연관성을 연결하기 위한 의도일 뿐 본 발명의 구성을 제한하지는 않는다. 따라서, 도 2(II), 도 2(III)과 같이 배열하여도 문제가 될 것은 없는 것이다. 이상은 단 모음의 경우 모음 입력활성화키로 입력하는 방식을 설명한 것이고, 겹모음의 경우 모음 입력활성화키를 이용하여 3가지 방법으로 입력할 수 있다.
그 첫 번째 방법은 모음 입력활성화키를 눌렀을 경우 단모음 외에 겹모음도 함께 모음 입력활성화키 주위의 키에 지정하는 방법이다.(도 4) 겹모음의 경우도 단모음과 같이 그 배열 방법에 제한이 있는 것은 아니며 도 4(I), 도 4(II)와 같이 여러 가지 방법이 가능하다.
겹 모음을 입력하기 위한 두 번째 방법은 첫 번째 방법과 달리 단모음이 지정되는 키에 동일한 모양의 겹 모음을 지정하되 다만 모음 입력활성화키를 먼저 두 번 눌러준 다음에 이들 겹모음이 지정된 주변의 키를 눌러 주어 겹모음이 입력되도록 하는 방법이다. 즉 첫 번째 방법에 비해 키 누름 횟수는 증가하지만 모음의 모양과 손가락의 움직임의 연관성을 유지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져온다. 예를 들어 도 3(I)로 나타내어 지는 자판 구조에서 '야'를 입력하는 경우 키 누름 순서는 0-5-5-6로서 '아'를 입력하기 위한 키 누름순서 0-5-6과 비교하면 첫 번째 5번 키 누름은 모음 입력확장 기능이고 두 번째 5번 키 누름은 단모음 활성화에서 겹모음 활성화 기능을 담당하는 것이다.
그리고 마지막 방법은 겹모음의 경우 단 모음을 입력한 다음 모음 입력활성키를 다시 한 번 더 눌러주는 방법이다. 다만 이 경우에 주의해야 할 점은 'ㅏ'와 'ㅓ'가 지정된 키에 'ㅡ'와 'ㅣ'가 지정되어야 한다는 점이다. 그렇지 않으면 동일한 키 누름 순서에 두 개의 문자가 입력되는 문제가 발생하기 때문이다. 일 예로 도 2(I)의 자판 구조에서 '와'와 '워'를 입력하는 경우의 키 누름 순서를 살펴 보면 다음과 같다.
와 : 0 - 5 - 2 - 5 - 6
워 : 0 - 5 - 8 - 5 - 4
만약에 6번 키 혹은 4번 키에 'ㅡ'와 'ㅣ'가 아닌 다른 자음, 예를 들면 ' ㄱ' 이 지정되어 있다면 위의 '와'를 입력하기 위한 키 누름 순서는 '와'외에 '욕' 그리고 '워'를 위한 키 누름 순서는 '육'도 입력할 수 있는 결과가 나오므로 문자입력 오토마타로서 문제가 발생하는 것이다. 도 2(I)에 보여지는대로 이 위치에 'ㅡ' 혹은 'ㅣ'가 지정된 경우에는 5-2-5-6 누름 순서가 'ㅛㅡ'혹은 'ㅛㅣ'라는 문자를 생성할 수는 없으로 단지 'ㅘ'혹은 'ㅝ'만을 생성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이중 입력 가능성을 배제하기 위해서는 'ㅏ'와 'ㅓ'가 지정되는 키에는 'ㅡ'혹은 'ㅣ'를 지정하거나 자음이 아닌 다른 기능을 부여하여 문자입력 오토마타 기능에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다음은 마지막 방법에 의한 한글 모음을 입력하기 위한 키 누름 순서를 나타내고 있다. ( 화살표의 우측에 표시된 번호는 숫자키를 누름 동작을 표시한다.)
'ㅣ' -> 6
'ㅡ' -> 4
'ㅏ' -> 5 - 6
'ㅓ' -> 5 - 4
'ㅗ' -> 5 - 2
'ㅜ' -> 5 - 8
'ㅑ' -> 5 - 6 - 5
'ㅕ' -> 5 - 4 - 5
'ㅛ' -> 5 - 2 - 5
'ㅠ' -> 5 - 8 - 5
'ㅐ' = (ㅏ) + (ㅣ) -> 5 - 6 - 6
'ㅔ' = (ㅏ) + (ㅣ) -> 5 - 4 - 6
'ㅒ' = (ㅑ) + (ㅣ) -> 5 - 6 - 5 - 6
'ㅖ' = (ㅕ) + (ㅣ) -> 5 - 4 - 5 - 6
'ㅚ' = (ㅗ) + (ㅣ) -> 5 - 2 - 6
'ㅘ' = (ㅗ) + (ㅏ) -> 5 - 2 - 5 - 6
'ㅙ' = (ㅗ) + (ㅐ) -> 5 - 2 - 5 - 6 - 6
'ㅟ' = (ㅜ) + (ㅣ) -> 5 - 8 - 6
'ㅝ' = (ㅜ) + (ㅓ) -> 5 - 8 - 5 - 4
'ㅞ' = (ㅜ) + (ㅓ) + (ㅣ) -> 5 - 8 - 5 - 4 - 6
위의 모음 입력을 정리하면 4번 키 혹은 6번 키는 'ㅡ'와 'ㅣ'를 의미하므로 그 자체로 모음입력임을 알 수 있고, 나머지의 경우는 [5 - X] 혹은 [5 - X - 5]로 이어지는 누름 순서는 바로 모음 입력임을 알 수 있다. [5 - X]는 단모음인 'ㅏ', 'ㅓ', 'ㅗ', 'ㅜ'를 나타내고 [5 - X - 5]는 겹모음 'ㅑ', 'ㅕ', 'ㅛ', 'ㅠ'를 나 타낸다. 복모음인 'ㅘ'와 'ㅝ'는 [5 - 2 - 5 - 6]와 [5 - 8 - 5 - 4]로 되는데 이는 [5 - 2 - 5] - 6 와 [5 - 8 - 5] - 4로 분리되어 'ㅛ+ㅣ'와 'ㅠ+ㅡ'로 해석될 수도 있지만 실제 이러한 한글문자는 없으므로 한글 입력 오토마타에서 [5 - X - 5] - Y의 순서로 입력되는 문자는 Y가 4와 6이 아닌 경우에는 Y를 자음에 해당하는 문자 입력 순서로 해석하게 되므로 모음 입력의 원리는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5 - x]는 단모음으로 해석되며 이어서 '5'가 입력되는 [5 - X - 5]경우에는 겹모음으로 해석한다. 다만 [5 - x - 5] 다음에 '4'와 '6'이 이어지는 경우에는 '와'와 '워'로 해석하여 '4'와 '6' 이외의 키가 눌려 질 경우는 [5 - X - 5] 다음에 이어서 눌려지는 키는 자음으로 해석되면 하나의 입력 체계로서 아무런 문제가 없게 되는 것이다. 즉 모음활성화 키의 좌우에 위치하는 키에는 'ㅡ'와 'ㅣ'를 지정하고 모음 활성화키와 조합되는 키로서는 'ㅏ'와 'ㅓ'를 지정하여야 문제가 없게 된다. 만약 'ㅡ'와 'ㅣ'가 지정된 키에 모음 활성화키와 조합되는 모음을 'ㅗ'혹은 'ㅜ'를 지정하면 [5 - ㅌ - 5]로 이어지는 누름 과정의 해석에 문제가 발생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모음 입력활성화 키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ㅡ'와 'ㅣ'가 지정되는 키에 모음 활성화키와 조합되는 모음으로 'ㅗ'와 'ㅜ'를 지정하면 문제가 발생하고 대신 'ㅏ' 혹은 'ㅓ'를 지정하면 아무런 문제가 발생되지 않고 한글 입력 오토마타로서 완벽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원칙이 지켜진다면 본 발명의 모음 입력활성화키의 주변에 위치하는 'ㅡ'와 'ㅣ'를 위한 키의 위치가 어디에 위치하더라도 문제가 되지 않는다. 다만 도 2(I) 혹은 도 2(II)와 같은 십자형태로 배열하는 것은 모음이 가지는 형태와 손가락 움직임의 방향을 일치시키기 위한 방편일 뿐이다.
(실시예 2)
본 발명의 이러한 장점은 언어과학연구소에서 개발된 나랏글의 자음 입력 시스템(특허 10-0291838)에 적용하여 보면 더욱 극명하게 나타난다. 도 4는 특허 10-0291838의 나랏글 자판을 보여주고 있으나 현재 시판되는 핸드폰에 적용된 자판과 모음의 배열이 아래쪽에 위치한 것이 다른 점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모음 입력활성키(101)를 적용시킨 경우의 자판을 보여주고 있다. 한 눈에 알 수 있는 점은 나랏글 입력시스템에서 모음 입력에 필요한 (ㅏㅓ), (ㅗㅜ), (ㅣ), (ㅡ) 4개의 키가 3개로 줄어들었음을 알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12개의 키를 모두 사용하는 나랏글 문자입력 시스템에 비해 11개 만의 키를 사용하는 본 발명의 자판배열은 손가락의 움직임을 줄일 수 있음을 원리적인 면에서 보여 준다. 하나의 키를 연속으로 눌러 주어 겹자음을 입력하는 천지인 문자입력시스템과 달리 나랏글 문자입력시스템의 경우 겹자음을 만들기 위해서는 병서(자음추가) 키를 눌러 주어야 하는데 본 발명이 적용된 자판 구조에서도 동일하게 병서(자음추가) 키를 눌러 주면 된다. '땅'이라는 문자를 입력하는 키 누름 순서를 예를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에 보여지는 나랏글 문자입력 시스템의 경우 숫자 키 누름 순서는 다음과 같다.
2 -> * -> # -> 7 -> 6
이 경우 2번 키를 눌러 'ㄴ'을 선택하고 '*'키를 눌러 가획하여 'ㄷ'으로 변환시키고 이어서 병서 키인 '#'를 눌러 겹자음 'ㄸ'을 만든 다음 7번 키를 눌러 'ㅏ'를 입력하고 마지막으로 6번 키를 눌러 'ㅇ'을 입력하여 '땅'을 입력하게 되는 것이다. 총 키 누름 횟수는 5번이고 키 간 거리를 1로 가정할 때 도 7에 보여지는 방식으로 계산한 손가락의 이동거리는 9.63이 된다.
도 6에 보여지는 본 발명의 모음 입력시스템이 적용된 경우 숫자 키 누름 순서는 다음과 같다.
2 -> * -> # -> 5 -> 6 -> 9 (도 6의 경우)
이 경우 2번 키를 눌러 'ㄴ'을 선택하고 * 키를 눌러 'ㄷ'으로 변환시키고 병서키인 # 키를 눌러 'ㄸ'을 변환시키고, 모음 'ㅏ'를 선택하기 위해 5번 키와 6번 키를 연속으로 눌러주어 'ㅏ'를 입력 9번 키를 눌러 주어 'ㅇ'을 입력하면 '땅'을 입력하게 되는 것이다. 총 키 누름 횟수는 6번이고 키 간 거리를 1로 가정할 때 도 7에 보여지는 방식으로 계산한 손가락의 이동거리는 9.4가 된다. 즉 누름횟수는 한 번 증가하였지만 손가락 이동거리는 동일한 수준이어서 장점을 발견하기 어려워지지만 모음 모양과 손가락 이동 방향의 연관성은 사용자가 모음 입력 방식을 직관적으로 이해하는데 도움을 준다. 이러한 사용자의 직관성에 의한 이해의 증 가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모음 입력확장키를 이용하여 'ㅡ'와 'ㅣ'를 확장키와 조합하여 입력할 경우에는 손가락의 이동거리가 획기적으로 줄어들게 되는데 이는 도 5에 보여지는 자판 구조에서 'ㅡ'와 'ㅣ'의 자리에 가획(획추가) 및 병서(쌍자음) 키를 배열하면 단지 9개의 키로서 모든 자모를 입력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게 된다. 이 점이 본 발명의 모음 입력확장키가 가져오는 장점이다. 이러한 자판 배열이 도 8에 보여지고 있다. 도 8의 자판 배열에서 모음 입력활성키(801)를 누르면 모음 'ㅡ', 'ㅗ', 'ㅣ', 'ㅓ', 'ㅏ', 'ㅡ', 'ㅜ', 'ㅣ'이 각각 1, 2, 3, 4, 6, 7, 8, 9번 키에 지정되어(도 8(II)) 모음 입력확장키의 누름 동작에 이어서 이들 키를 눌러 주면 각각의 모음이 입력되는 방법이다. 이렇게 모음이 확장되어 입력이 가능하게 되면 원래 'ㅡ'와 'ㅣ'가 지정되어 있던 4번 키와 6번 키에 가획 키와 병서 키를 지정하여 단지 9개의 키로만 한글의 자모를 입력 가능하게 한다. 겹모음 입력 방법은 위에서 실시예 1에서 설명한 세 가지 방법 중에서 두 번째의 방법을 채택하여 입력할 경우 이러한 자판 구조에서 위에 예를 들었던 '땅'을 입력할 경우 누름 횟수는 6번이고 도 7에 근거한 손가락 이동 거리는 6.4가 되어 30%이상 이동거리가 감소하는 것을 볼 수 있다. 누름 횟수는 20% 증가하지만 이동거리는 30% 이상 감소하여 편리성의 증가를 상대적으로 파악할 수 있게 된다. 또 하나의 예로 '사랑해'라는 글자를 입력할 경우 나랏글 문자입력 시스템으로 입력하는 키 누름 순서는 다음과 같다.
5 - 7 - 3 - 7 - 6 - 6 - * - 7 - 0
누름 횟수는 9번이고 손가락 이동 거리는 도 7에 근거하여 계산한 경우 14.5이다. 이에 반해 도 8의 자판구조를 이용하여 '사랑해'를 입력하는 경우에 키 누름 순서는 다음과 같다.
8 - 5 - 6 - 3 - 5 - 6 - 9 - 9 - 4 - 5 - 6 - 5 - 9
누름 횟수는 13번이고 손가락 이동 거리는 도 7의 계산 방식으로 산출할 경우 13이다. 두 경우 모두 본 발명의 모음 입력확장키를 이용한 경우가 손가락의 이동 거리를 감소시킴을 알 수 있다. 이 상의 예로 본 발명의 모음 입력 방법의 장점을 보여주기 어렵지만, 일반적인 원리 상에서 살펴 보면, 도 4에 보이는 나랏글 자판은 가획 키와 병서키가 아래쪽에 위치하여 필연적으로 손가락의 움직임이 증가하는 요인이 되는데 도 8에 보이는 자판 배열에서는 모음 입력확장키에 의해 'ㅡ'와 'ㅣ'가 조합으로 입력 되게 되므로 가획 키와 병서 키가 자판의 한 가운데로 위치하게 되어 손가락 이동 거리를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게 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더욱이 9개의 키만으로 한글 자모를 입력 가능하게 되어 12개의 키를 갖는 자판의 경우 3개의 키에 추가적인 기능을 부가할 수 있으므로 전체적인 면에서 더욱 효율을 증가시키는 결과를 가져오게 된다. 이를 테면 띄어쓰기(space key), 마침표(.) 혹은 물음표(?) 등을 입력하기 위해서 메뉴 키 혹은 이동키를 눌러 주어야 하는 것을 키패드 상에 있는 #키, *키 등으로 입력 가능하게 되어 그 편리성은 더욱 증가되는 것이다. 이는 단순히 한글 자모의 입력에 필요한 누름 횟수 및 손가락 이동거리만으로 비교할 수 없는 요소이기 때문이다.
(실시예 3)
이상에서 모음 입력확장키의 사용 방법에 대해서 살펴 보았는데 이 번 실시예에서는 모음 입력확장키와 조합을 이루는 키가 눌려지는 순서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한다. 위에 열거한 예에서는 모음 입력확장키가 조합을 이루는 키보다 먼저 눌려져야 하였는데 반해 본 실시예에서는 모음 입력확장키가 나중에 눌려지는 경우를 살펴 보고자 한다. 즉 본 실시예의 경우에 모든 모음은 모음 입력확장키로 마무리 되고 이어지는 키 입력은 새로운 자음키의 입력으로 해석되는 것이다. 이를테면 도 8의 자판 구조에서 '가'를 입력하기 위해서는 누름 순서가 다음과 같다.
1 - 6 - 5
겹모음의 경우 실시예 2에서 보여 준 겹모음 입력 방법 2번 째 예를 들어 모음 입력확장키를 먼저 눌러주는 경우와 이번 실시예의 나중에 눌러주는 경우를 비교하면 '야'를 입력하려는 경우 모음 입력확장키를 나중에 눌러 주는 경우 그 순서는 다음과 같다.
9 - 6 - 5 - 5
모음 입력확장키를 나중에 눌러 주는 것의 장점은 모음 입력의 끝을 알기 쉽게 하는 방법이며 반면에 모음 입력확장키를 조합되는 키보다 먼저 눌러주는 경우는 모음 시작을 알기 쉽게 하기 위함이다. 그 편리성은 사용자의 취향에 맞추면 될 것이며 본 발명의 구성상 차이를 두고자 함이 아니다.
(실시예 4)
본 실시예에서는 실시예 3에서 보여 준 모음 입력확장키가 단모음 모두('ㅏ', ' ㅓ', 'ㅗ', 'ㅜ', 'ㅡ', 'ㅣ')를 확장시켜 입력하는 방법을 천지인 문자입력 시스템에 적용시킨 경우이다. 도 9가 이 경우를 보여 주는 자판 구조이다. 도 2에 보여지는 천지인 자판 구조에서 모음 입력에 필요한 천(ㆍ), 지(ㅡ), 인(ㅣ)에 해당하는 키가 모두 다른 기능에 활용되어 지금까지 천지인 문자 입력시스템의 문제로 지적되어 온 자음 충돌 문제와 띄어 쓰기(space key)가 키패드의 키에 그 기능이 적용되어 이동키 혹은 메뉴키를 사용할 필요가 없어지게 되는 것이어서 사용자의 편리성을 증가시키게 된다. '사랑해'라는 문자를 입력하는 경우 도 9의 자판 구조와 모음 입력확장키(901)의 기능을 이용하고 겹모음 입력은 실시예 2의 두 번째 방법을 따르면 키 누름 순서는 다음과 같다.
8 - 5 - 6 - 2 - 2 - 5 - 6 - 4 - 8 - 8 - 5 - 6 - 5 - 3
천지인 한글 문자입력 시스템의 경우 키 누름 순서가 다음과 같다.
8 - 1 - 2 - 5 - 5 - 1 - 2 - 0 - 8 - 8 - 1 - 2 - 1
천지인 문자입력 시스템의 경우 13번의 누름 횟수와 15.9의 이동거리를 가지는 데 반해 도 9의 자판 구조에서는 14번의 누름 횟수와 12.2의 이동거리를 가진다. 즉 누름 횟수는 10% 증가하는데 반해 이동거리는 30% 감소하는 사용자의 편리성을 가져온다.
이상의 실시예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지금까지 잘 알려진 두 가지 대표적인 문자입력 방식인 천지인 문자입력 방식과 나랏글 문자입력 방식과 비교하여 보았을 때 손가락의 이동거리를 획기적으로 감소시키는 결과를 가져 오고 있으며, 더욱이 9개의 키만만으로도 한글 자모를 입력 가능하게 하여 추가적인 기능을 키패드의 키 에 적용시켜 문자 입력의 편리성을 더욱 증가시키게 된다. 본 발명의 구성은 모음 입력의 방법만을 변경시키는 것이어서 모음의 입력 방향에 있어서 손가락 움직임 방향과 모음 모양의 유사성이 모음 입력에 대한 직관적인 이해를 증가시켜 사용자의 적응이 용이하며 지금까지의 어떤 문장 입력 방법에도 적용될 수 있는 장점을 가지며 대개의 경우 자판 숙지는 자음의 배열에 대한 이해가 주된 요인이므로 본 발명의 모음 입력 방법을 적용하더라도 새로운 방법에 대한 이해에 많은 노력이 필요하지 않게 되는 또 하나의 장점을 가져오게 된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도 1은 12개의 키를 갖는 천지인 한글 문자입력 자판구조에 본 발명의 모음 입력 시스템을 적용한 자판 구조를 보여 준다.
도 2는 천지인 한글 문자입력 자판 구조를 보여준다.
도 3은 본 발명의 모음 입력 시스템이 적용된 도 1의 자판의 경우 확장키(자판에서 5번 키에 해당)를 눌러 주었을 때 홀 모음 'ㅏ', 'ㅓ', 'ㅗ', 'ㅜ'의 입력을 위해 조합되는 키의 위치의 종류를 3가지 보여준다.
도 4는 본 발명의 모음 입력 시스템이 적용된 도 1의 자판의 경우 확장키(자판에서 5번 키에 해당)를 눌러 주었을 때 홀 모음 'ㅏ', 'ㅓ', 'ㅗ', 'ㅜ' 및 겹모음 'ㅑ', 'ㅕ', 'ㅛ', 'ㅠ'의 입력을 위해 조합되는 키의 위치의 종류를 2가지 보 여준다.
도 5는 언어과학연구소에서 개발한 나랏글 한글입력 자판을 보여준다.
도 6은 나랏글 입력시스템에 본 발명의 모음입력 시스템을 적용한 자판 구조를 보여준다.
도 7은 도 6에서 손가락이 이동한 거리를 계산하는 방식을 보여 준다.
도 8은 나랏글 입력시스템 자판에 본 발명의 모음 입력확장키가 적용된 자판 구조(I)와 확장키(801 - 자판에서 5번 키에 해당)를 눌러 주었을 때 'ㅏ', 'ㅓ', 'ㅗ', 'ㅜ', 'ㅡ', 'ㅣ'의 입력을 위해 조합되는 키의 위치를 보여 준다.
도 9은 천지인 한글 문자 입력시스템 자판에 본 발명의 모음 입력확장키가 적용된 자판와 확장키(901 - 자판에서 5번 키에 해)를 눌러 주었을 때 'ㅏ', 'ㅓ', 'ㅗ', 'ㅜ', 'ㅡ', 'ㅣ'의 입력을 위해 조합되는 키의 위치를 보여 준다.

Claims (4)

  1. 한글 문자 입력시스템에 있어서 제한된 키를 가지는 자판구조에서 모음 입력을 두 개의 키의 조합으로 입력가능하도록 하는 방법으로 이들 모음 입력에 공통으로 쓰이는 키를 모음 입력확장키라 명명하고 이 키와 이 키의 주변 키를 이어서 눌러 줄 경우 단 모음, 'ㅏ', 'ㅓ', 'ㅗ', 'ㅜ'가 입력되도록 하는 방식
  2. 청구항 1에서 모음 확장키를 눌러 줄 경우 주변의 키가 단 모음 'ㅏ', 'ㅓ', 'ㅗ', 'ㅜ', 'ㅡ', 'ㅣ'의 입력을 위한 조합키로 지정되는 방법
  3. 청구항 1에서 모음 확장키를 눌러 줄 경우 주변의 키가 단 모음 'ㅏ', 'ㅓ', 'ㅗ', 'ㅜ' 및 겹모음 'ㅑ', 'ㅕ', 'ㅛ', 'ㅠ'의 입력을 위한 조합키로 지정되는 방법
  4. 청구항 1내지 청구항 2에서 겹모음을 입력하기 위해 모음 입력확장키를 두 번 연속으로 눌러 주거나, 모음 입력확장키와 조합을 이루는 다른 키를 눌러 준 다음 다시 모음 입력 확장키를 눌러주어 입력시켜 주는 방법
KR1020090086195A 2009-08-23 2009-09-12 한글 문자입력 방법 KR20110028419A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6195A KR20110028419A (ko) 2009-09-12 2009-09-12 한글 문자입력 방법
KR1020147001699A KR20140018436A (ko) 2009-08-23 2010-08-23 단어예측을 통한 정보입력시스템 및 정보입력방법
US13/391,875 US20120149477A1 (en) 2009-08-23 2010-08-23 Information input system and method using extension key
KR1020147030950A KR101560372B1 (ko) 2009-08-23 2010-08-23 단어예측을 통한 정보입력시스템 및 정보입력방법
KR1020127004777A KR101426843B1 (ko) 2009-08-23 2010-08-23 확장키를 이용한 정보입력시스템 및 정보입력방법
PCT/KR2010/005604 WO2011025200A2 (ko) 2009-08-23 2010-08-23 확장키를 이용한 정보입력시스템 및 정보입력방법
US14/208,476 US10936086B2 (en) 2009-08-23 2014-03-13 System for inputting information by utilizing extension key and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6195A KR20110028419A (ko) 2009-09-12 2009-09-12 한글 문자입력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8419A true KR20110028419A (ko) 2011-03-18

Family

ID=439347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86195A KR20110028419A (ko) 2009-08-23 2009-09-12 한글 문자입력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28419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36903B1 (ko) 한글을 이용한 다언어 문자 입출력 장치
KR100894382B1 (ko) 한글 입력방법 및 한글 키보드
KR20110088310A (ko) 하날글 문자입력 방법
JP5599909B2 (ja) 日本語入力システム
KR20110028419A (ko) 한글 문자입력 방법
KR100517029B1 (ko) 한국어 자모 입력방법
KR101249329B1 (ko) 키조합 방식의 자판 및 이를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
CN106095126A (zh) 虚拟键盘的生成方法和输入梵语的方法及系统
KR101271352B1 (ko) 5버튼 키보드
CN104268131B (zh) 用于加速中文输入中的候选选择的方法
KR100432267B1 (ko) 간편한 한글자판
JP4258712B2 (ja) 電子機器に対する文字入力方法及びその装置
KR100981866B1 (ko) 자음버튼 눌러짐과 [ㅡ]버튼 또는 [ㅣ]버튼의 두번 연속눌러짐에 의한 한국어 입력 방법 및 그 장치
KR20070000648U (ko) 한글 입력방법 및 한글 키보드
KR100680579B1 (ko) 키패드에서의 알파벳 입력장치 및 그 방법
KR100971280B1 (ko) 변환키를 이용한 한글 입력 장치 및 그 방법
KR20110027162A (ko) 터치스크린 상에서 가상키보드를 이용한 한글 문자입력 방법
KR101637128B1 (ko) 자음의 입력과 [ㅡ] 또는 [ㅣ] 중 하나의 버튼 2번 누름에 의한 키패드에서의 한국어 글자 입력방법 및 그 장치
KR100946452B1 (ko) 키패드에서의 중국어 병음을 포함한 로마알파벳 입력 방법 및 그 장치
KR101464642B1 (ko) 한글 입력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휴대 단말기
JP4500353B2 (ja) 文字入力装置
KR101402478B1 (ko) 문자 입력 방법
JP2006023950A (ja) 母音キーを定位置に配置せず其々の子音キーを取り囲むように配列した事により実現されるローマ字入力方式に準じる文字入力方法およびキー配置。
KR20190051903A (ko) 키패드에서의 수학 연산자 입력 방법 및 그 장치
KR20050103591A (ko) 휴대통신기기용 한글입력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