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27813A - 다공성 재료에 분말을 주입하는 장치와 방법 - Google Patents

다공성 재료에 분말을 주입하는 장치와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27813A
KR20110027813A KR1020117002169A KR20117002169A KR20110027813A KR 20110027813 A KR20110027813 A KR 20110027813A KR 1020117002169 A KR1020117002169 A KR 1020117002169A KR 20117002169 A KR20117002169 A KR 20117002169A KR 20110027813 A KR20110027813 A KR 201100278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s
electrode
powder
conductive strips
pa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021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14560B1 (ko
Inventor
조리 마르듀엘
Original Assignee
파이브로라인 프랑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이브로라인 프랑스 filed Critical 파이브로라인 프랑스
Publication of KR201100278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278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45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45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5/00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not covered by groups B29B7/00 - B29B13/00
    • B29B15/08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not covered by groups B29B7/00 - B29B13/00 of reinforcements or fillers
    • B29B15/10Coating or impregnating independently of the moulding or shaping step
    • B29B15/12Coating or impregnating independently of the moulding or shaping step of reinforcements of indefinite length

Landscapes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woven Fabrics (AREA)
  • Electrostatic Spraying Apparatus (AREA)
  • Chemical Or Physical Treatment Of Fibers (AREA)
  • Paper (AREA)
  • Catalysts (AREA)
  • Insulation, Fastening Of Motor, Generator Windings (AREA)
  • Insulating Bodies (AREA)
  • Battery Electrode And Active Subsutance (AREA)
  • Glass Compositions (AREA)
  • Fertilizers (AREA)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 Printers Or Recording Devices Using Electromagnetic And Radiation Means (AREA)

Abstract

다공성 재료(2)에 분말(3)을 주입하는 본 발명에 의한 주입장치는 하나 이상의 제 1 유전체 절연 스크린(7)과, 분말(3)이 주입되는 상기 다공성 재료(2)를 위한 통로(8)에 의해 분리되고 교류 전압 발생기(6)에 연결된 후 상기 통로에 교류 전기장을 생성하는 제 1 및 제 2 대면 전극(4, 5; 104, 105)을 포함한다.
적어도 제 1 전극(4, 5)은 2개 이상의 전도 스트립(11)을 포함하고, 전도 스트립 각각은, 상기 제 1 유전체 스크린(7)에 의해 커버되고 전체적으로 제 2 전극(4, 5)을 향한 내측면(14)과 분리 슬롯(12)을 따라 연장하는 종방향 에지(13)를 구비하고, 상기 분리 슬롯(12)에 의해 서로 분리되어 있고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다공성 재료에 분말을 주입하는 장치와 방법{DEVICE AND METHOD FOR IMPREGNATING A POROUS MATERIAL WITH POWDER}
본 발명은 교류 전기장을 사용하는 주입 기술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섬유직물과 같은 다공성 재료에 분말을 주입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섬유 또는 사상(絲狀) 직물에 분말을 주입하는 것은 직물의 섬유 또는 필라멘트에서 이 분말의 후속 융합 또는 어떤 다른 변형에 의해 생성되는 매트릭스를 갖는 합성 재료의 제조에 있어서 하나의 단계가 될 수 있다. 그러므로 합성 재료를 생성하기 위해 섬유 직물에 주입하는 것은 본 발명의 한 가지 응용의 예이다.
본 발명의 다른 다수의 응용을 상상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은 점토-기반 분말을 직물 구조체에 침투시키기 위해 벤토나이트 지오텍스타일(bentonite geotextile)의 제조 시에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응용 예는 다공성 직물에 건조 분말 또는 혼합 분말의 형태로 항균, 난연, 고흡수성, 또는 다른 활성 성분을 병합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응용 예는 용융 전에 섬유 직물에 분말 결합제를 병합한 후 이 결합제를 경화시켜 직물 두께의 적어도 일부에 섬유를 결합시킴으로써 최종 산물인 특히 카펫과 같은 직물 커버가 얻어진다.
국제 특허출원 WO 99/22920은 특히 합성 재료를 생성하기 위해 섬유 또는 사상 직물에 분말을 주입하는 방법을 설명하고 있다. 이 방법을 사용하는 경우, 분말과 섬유 또는 사상 직물은 단일 전압 발생기에 접속된 2개의 전극 사이에 생성되는 교류 전기장을 영향을 받는다. 각 전극은 금속판의 형태를 갖는다. 전극 사이에 전기 아크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 유전체 판이 제공된다. 특히 전극 사이에서 높은 전기장 레벨로 동작할 때 상기 유전체 판은 급속히 노화되어 더 이상 절연 기능을 수행하지 못하고, 따라서 상기 유전체 판의 적어도 하나에 전기 아크를 발생시키는 브레이크다운을 초래하는 상태가 되는 경향이 있다는 것이 발견되었다.
유럽 특허 출원 EP-1 526 214는 분말을 섬유 또는 사상 직물에 침투시키기 위한 전기장을 생성하는 다른 방법을 제안하고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이 전기장은 2개의 전극 튜브 사이에서 생성되며, 각 전극은 석영 또는 임의의 유전체로 만들어진 관 모양 절연체와, 이 절연체의 안쪽 면을 커버하는 전도층을 포함한다. 이와 같은 전극 튜브를 사용하면 큰 규격을 갖는 직물, 특히 2개의 전극 사이에서 이동하면서 연속적으로 처리되는 넓은 스트립을 주입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각 전극 튜브는 아주 고가이고 이것은 유럽 특허 출원 EP-1 526 214에서 제안된 솔루션의 주된 단점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교류 전기장을 사용함으로써 주입 장치의 서비스 수명을 가능하면 경제적으로 적어도 향상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목적은 제 1 유전체 절연 스크린과, 분말이 공급되는 다공성 재료를 위한 통로에 의해 분리되고 또한 교류 전압 발생기에 연결된 후상기 통로 내에 교류 전기장을 생성 가능한 제 1 및 제 2 대면 전극을 적어도 포함하는, 상기 다공성 재료에 분말을 주입하는 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제 1 유전체 스크린은 상기 통로 레벨에서 제 1 및 제 2 전극을 서로 전기적으로 절연한다. 적어도 제 1 전극은 적어도 2개의 전도 스트립을 포함하고, 스트립 각각은 내면이 제 1 유전체 스트린에 의해 커버되고, 전체로, 분리 슬롯을 따라 연장하는 세로방향 에지와 제 2 전극을 향하고 있으며, 상기 스트립들은 분리 슬롯에 의해 서로 분리되고 전기적으로 서로 접속된다.
교류 전기장을 생성하는 상기 전극의 하나 또는 모두가 불연속이고 연속 스트립으로 적절히 분할되면, 스트립의 내면을 커버하는 유전체 스크린은 높은 교류 전기장 값에서의 연장된 동작 후에도 이 유전체 스크린을 통한 브레이크다운이 방생하지 않은 정도로 노화되는 경향이 훨씬 적어진다. 연속 스트립으로 적절히 분할되는 경우 전극의 온도 상승은 모든 연속 스트립과 같은 표면을 커버하는 연속 전극의 경우에서보다 더 적은 것이 관찰되었다. 연속 스트립으로 분할된 전극에서의 더 적은 온도 상승은 유전체 스크린이 왜 내구성이 좋은지를 설명하며, 이것은 상기 장치가 동작할 때 스크린이 받게 되는 열적 스트레스를 감소하기 때문이다.
상기 주입 장치는 제 1 전극의 연속적인 전도 스트립이 존재하는 방향으로 상기 통로를 통해 상기 다공성 재료를 이송하는 유닛을 포함하는 이점이 있다.
제 1 유전체 스크린은 제 1 전극의 전도 스트립을 위한 지지대를 형성하는 이점이 있다.
상기 장치는 제 1 및 제 2 전극을 서로 상기 통로 레벨에서 전기적으로 절연하는 제 2 유전체 스크린을 포함하고, 제 2 전극은 적어도 2개의 전도 스트립을 포함하고, 각 스트립은 내면이 제 2 유전체 스크린에 의해 커버되고, 전체로, 분리 슬롯을 따라 연장하는 세로 방향 에지와 제 1 전극을 향하고 있으며, 상기 스트립들은 이 분리 슬롯에 의해 서로 분리되고 또한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또한 다공성 재료에 분말을 주입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며, 상기 다공성 재료와 분말은 서로 대면하는 제 1 및 제 2 전극에 의해 생성된 교류 전기장에 영향을 받고, 제 1 전극과 제 2 전극 사이에서 양 전극을 서로 전기적으로 절연하는 제 1 유전체 스크린을 적어도 포함한다. 적어도 제 1 전극은 적어도 2개의 전도 스트립을 포함하고, 상기 스트립 각각은 그 내면이 제 1 유전체 스크린에 의해 커버되고, 전체로, 분리 슬롯을 따라 연장하는 세로 방향 에지와 제 2 전극을 향하고 있으며, 상기 스트립들은 이 분리 슬롯에 의해 서로 분리되고 전기적으로 서로 접속된다.
이 방법은 상기 정의된 장치를 사용함으로써 구현되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은 단지 예시로서 주어지는 첨부된 도면에 관련한 아래의 설명에 의해 더욱 잘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주입 장치의 다이어그램으로서, 세로 방향 단면 도시된 섬유 직물에 분말이 주입되는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주입 장치의 한 쌍의 대면 서브어셈블리의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3은 2개의 최대 온도 변화, 즉 도 1에 도시된 장치의 한 전극에서 최대 온도 변화와 종래 기술에 의한 주입 장치의 한 전극에서 최대 온도 변화를 시간의 함수로서 도시하는 그래프이고,
도 4는 도 1과 유사한 다이어그램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제 1 변형으로서 도 2의 것을 대체하는 한 쌍의 대면하는 서브어셈블리를 도시하고,
도 5는 서브어셈블리의 평면도로서, 한 쌍의 서브어셈블리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제 2 변형으로서 도 2에 도시된 2개의 서브어셈블리를 대체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은 주입장치(1)를 도시하고 있으며, 이 장치를 통해 섬유 직물(2)이 화살표(F)의 방향으로 점점 이송되고 상기 섬유 직물(2)에 분말이 주입된다.
주입장치(1)는 한 쌍의 대면 전극을 포함하고, 각 전극은 교류 전압원 또는 발생기(6)의 2 단자 중 하나에 연결되며 하부 전극(4)과 상부 전극(5)을 구성한다. 2개 전극(4, 5) 각각은 유전체 재료로 만들어진, 절연 스크린(7)을 형성하는 플레이트에 의해 지지된다. 스크린(7)은 전극(4, 5)을 전기적으로 서로 절연하기 위해 양자 사이에 위치된다. 양 전극은 그 사이에 다공성 직물(2)을 위한 평평한 통로(8)를 한정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도입 방향(F)으로 통로(8)를 통해 다공성 직물(2)을 이송하는 유닛은 2개의 벨트 컨베이어(9)를 포함하며 이것들은 서로 실질적으로 평행하도록 서로 마주하여 배치된다. 이들 2개의 컨베이어(9)의 각 벨트(10)는 서로 평행하게 동일한 방향(F)으로 통로(8)를 통해 진행한다. 일단 다공성 직물(2)이 이들 벨트에 물리면, 벨트는 통로(8)를 통해 함께 다공성 직물(2)을 도입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이한 두께의 다공성 직물(2)을 이송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컨베이어(9) 사이의 수직 거리는 잘 알려진 방법으로 조절 가능하다.
전극(4, 5) 각각은 불연속적이고 슬롯-형상의, 전도성 재료가 없는 불연속 부분 또는 간극(12)에 의해 서로 분리되는 일련의 연속 전도 스트립(11)을 포함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트립(11)은 통로(8)의 전체 너비에 걸쳐 통로(8)의 좌측으로부터 우측까지 연장하고 진행 방향(F)에 평행하지 않다. 스트립들은 서로 나란히 연장하지만, 단일 전극(4 또는 5)의 전도성 도체(11)는 다양한 형상을 갖는 것이 가능하다. 도 1 및 2의 실시예에서, 스트립들은 직선이고 서로 평행하다. 각 전도 스트립(11)은 2개의 종방향 에지(13)와, 상기 종방향 에지(13)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대향하는 2개의 주면으로서 전체로 통로(8)와 외부면(15)을 향하는 내부면(14)을 포함한다. 각 슬롯(12)은 2개의 연속적인 스트립(11)에 각각 위치하는 2개의 종방향 에지(13)에 의해 구획된다. 각 전도 스트립(11)은 또 다른 전도 스트립(11)과 분리하는 슬롯(12)의 하나와 나란히 연장하는 종방향 에지(13)을 갖는다.
슬롯(12)의 너비, 즉 연속적인 2개의 전도 스트립(11) 사이의 간격(e)은 20 mm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간격(e)은 200 mm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간격은 25 ~ 50 mm 이다.
각 전도 스트립(11)의 너비(l)는 바람직하게는 10 mm ~ 1000 mm 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20 mm ~ 100 mm 이다.
우수한 결과를 생성한 설계에서, 각 전도 스트립(11)은 약 50 mm의 너비(l)를 갖고 슬롯(12)은 약 25 mm의 너비(e)를 가졌다.
전도 스트립(11)은 다양한 방법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각 전도 스트립(11)은 금속화 기법을 사용하여 전극(7) 중 하나에 국부적으로 피착되는 금속 코팅의 형태가 될 수 있다. 각 전도 스트립(11)은 또한 은-전도성 래커와 같은 금속 입자가 강하게 부가된 수지층으로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어느 경우에도, 전도 스트립(11)과 그것들의 지지대 사이에는 공기 간극이 존재하지 않는다. 이와 같은 공기 간극의 부존재는 전기장이 전극 사이에 형성될 때 스크린(7)과 상기 스크린(7)을 지지하는 전도 스트립(11) 사이에 플라즈마가 생성되지 않음을 의미한다. 이것은 노화에 견딜 수 있는 능력에 있어서 유리하다.
전극(4, 5)은 통로(8)의 레벨에서 전극 사이에 교류 전기장을 생성하기 위해 제공된다. 이것을 달성하기 위해, 2개의 전극(4, 5) 중 하나의 전도 스트립(11)은 다른 전극의 전도 스트립(11)에 관련하여 여러 가지 방법으로 정렬될 수 있다. 도 1의 예에서, 하부 전극(4)의 각 전도 스트립(11)은 상부 전극(5)의 전도 스트립(11)을 마주한다.
유전체 스크린(7)은 2개의 전극(4, 5) 사이의 전기 아크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 전극(4, 5)을 서로 전기적으로 절연한다. 이것을 위해, 유전체 스크린은 통로(8)의 양쪽 전극(4, 5a) 사이에 정렬된다. 스크린(7)을 만들기 위해 사용된 유전체 재료는 구체적으로 유리가 될 수 있다.
특히 선택된 응용이 상대적으로 낮은 전기장 레벨의 사용을 허용하는 경우, 스크린(7)으로 2개의 전극(4, 5) 중 하나만을 커버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전극(4, 5) 각각에는 바람직하게는 절연 스크린(7)이 제공된다.
도 1에서, 섬유 직물에는 미리 직물의 상면에 뿌려진 분말(3)이 주입된다. 일반적으로 분말의 분사는 주입이 이루어지는 직물의 전체 표면 위에 실시된다. 그러나, 특정의 경우에는 예컨대 스텐실을 사용하여 국부적으로 분말을 분사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적어도 분말(3)의 일부는 섬유 직물(2)의 상부에 도포될 필요가 없다; 예컨대 하부 컨베이어(9)를 적절히 변경한 후 분말을 그 위에 도포함으로써, 직물이 전극(4, 5)의 사이를 통과하기 전에 섬유 직물(2)의 하부에 도포될 수 있다.
분말(3)은 중합체 입자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 입자들은, 직물(2)의 섬유에 의해 강화되는 합성 물질의 매트릭스를 냉각 후 형성하기 위해, 또한 예컨대 접착 구역의 레벨에서 직물 커버링의 섬유를 접합함으로써 카페트와 같은 직물 커버링의 결합을 보장하기 위해, 용융되며, 상기 접착 구역은 그 두께의 일부에 대해 직물(2)을 포함하는 부분으로 이 부분에서 섬유들은 함께 결합되고 조밀하게 얽혀 있. 분말(3)은 일단 직물(2)의 내부로 주입되면 용융되도록 설계된 중합체 입자가 아닌 풀버런트 재료(pulverant material)일 수 있다. 예를 들면, 분말은 벤토나이트 점토 또는 활성 성분일 수도 있다. 직물(2)의 섬유는 매트의 형태이거나 니들펀칭(needlepunching) 또는 다른 방법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분말(3)이 주입되는 재료는 그것이 다공성이거나 주입 가능한 것이라면 반드시 섬유질일 필요는 없다.
컨베이어(9)는 섬유 직물(2)과 분말(3)을 전극(4, 5) 사이의 통로(8)에 함께 도입하고 그것들을 거의 연속적으로 이송한다. 통로(8)의 레벨에서, 전극(4, 5)에 의해 발생된 교류 전기장에 의해 분말(3)은 섬유 직물(2)에 침투한다. 교류 전기장이므로, 전극(4, 5)에 의해 발생된 전기장은 직물(2) 및/또는 분말(3)의 독특한 특성을 특별히 고려하여 응용에 따라 선택되는 최대값을 갖는다. 0.10 ~ 20 kV/mm의 최대값이 다수의 응용에서 적합한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전극(4, 5)의 전원 공급 전압은 다양한 파형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압 발생기(6)는 정현파 전압, 구형파 전압, 또는 톱니파 전압을 생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전극(4, 5) 사이에서 발생된 전기장의 주파수는 특정 응용에 따라 선택된다. 50 ~ 60 Hz의 주파수가 다양한 응용에서 적합한 것으로 밝혀졌다.
만족스런 주입은 섬유 직물(2)과 분말(3)이 충분한 시간 동안 교류 전기장에 노출된 후에만 달성된다. 이것은 해당 응용과 다른 프로세스 파라미터에 종속한다. 그것은 실험적으로 용이하게 결정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이 시간은 1초보다 더 길다.
전극(4, 5)의 하나에서 최대 온도를 기록하기 위해 적외선 카메라가 사용되었으며 스트립(11)의 너비(l)와 스트립(11) 사이의 간격(e)은 각각 50 mm와 25 mm였다. 장치(1)를 기동한 후 냉각하지 않고 시간에 따른 이 최대 온도의 변화가 도 3에 곡선(C1)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3에서, 곡선(C2)은 전극을 전혀 냉각하지 않은 상태로 전극의 레벨에서 적외선 카메라에 의해 측정된 최대 온도의 변화를 나타낸다. 이 곡선은 전술한 특허 출원 WO 99/22920에 개시된 종래 기술에 따른 전극에 필적하는 연속적인 전극을 사용하여 얻어졌으며, 다른 모든 조건은 동일하다. 더욱 상세하게는, 최대 온도의 곡선(C2)을 도시하기 위해 사용된 이들 연속 전극 각각은 스트립(11) 하나의 길이와 거의 같은 너비를 갖는 직사각형 모양을 갖는다.
곡선(C1, C2)의 비교에 의하면, 다른 모든 조건이 동일할 때 불연속 전극(4, 5)은 연속 전극보다 훨씬 적게 가열된다. 동시에, 전극(4, 5)과 관련된 절연 스크린(7)은 연속 전극과 관련된 유사한 절연 스크린보다 훨씬 더 우수한 내구성을 갖는 것으로 밝혀졌다, 구체적으로, 도 1에 도시된 장치가 여러 시간 동안 사용된 후에 스크린(7)에서 브레이크다운이 관찰되지 않았다. 이것은 곡선(C2)을 도시하기 위해 사용된 측정이 얻어진 주입장치가 동일한 조건하에서 여러 시간 동안 연속적으로 사용된 후의 경우는 아니었다.
불연속 전극(4, 5)의 사용은 다른 이점도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들 이점 중 하나는 특히 분말(3)의 전기 전도성이 증가하는 경우 더욱 균일한 주입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분말(3)은 종래 기술에 의한 연속 전극 사이에서 집중된다. 이들 집중은 전극에 수직인 방향으로 퍼지고 섬유 직물의 이송을 따른다. 이와 같은 분말 집중은 장치(1)를 사용하여 주입이 수행되는 경우에는 일어나지 않았다.
전극(4, 5)을 사용하여 주입이 실시되는 경우에 더욱 효율적인 주입이 또한 관찰되었다. 이러한 개선된 효율은 전극(4, 5)이 불연속이므로 도입 방향(F)과 평행한 방향에서 몇 개의 급격한 전기장 변화가 존재한다는 사실에 의해 설명된다. 전극(4, 5)을 사용하여 달성된 개선된 주입 효율은 전극(4, 5) 각각이 갖는 횡 에지의 수에 의해 설명될 수도 있다. 전극의 에지에서 발생된 전기장은 더 강하며; 이것은 "에지 효과"라고 불린다. 전극(4, 5)이 사용되는 경우, 섬유 직물(2)과 분말(3)은 통로(8)을 따라 이송되면서 다중 에지 효과를 받게 된다.
본 발명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하부 전극의 각 전도 스트립(11)은 상부 전극(5)의 전도 스트립(11)과 마주할 필요는 없다. 이것은 예컨대 도 4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제 1 변형으로서 한 쌍의 대향하는 전극(104, 105)을 보여주는 경우이다. 이들 전극(104, 105)은 전극(4, 5)에 상당하고 장치(1)에서 그것들을 대체할 수 있다. 전극 각각은 일련의 전도 스트립(111)을 포함한다. 전극(104)의 전도 스트립(111)과 전극(105)의 전도 스트립(111)은 이송 방향(F)에 평행하게 서로에 대해 오프셋되어 엇갈리게 배치된다. 명백히, 전극들은 서로에 대해 더 적게 오프셋될 수 있다. 또한, 전극의 전도 스트립 하나는 다른 전극의 전도 스트립과 부분적으로 마주하고 상기 다른 전극의 2개의 연속적인 전도 스트립을 분리하는 슬롯과 부분적으로 마주한다.
또한, 전극 중 하나의 전도 스트립(11, 111)은 다른 전극의 전도 스트립(11, 111)과 평행하지 않은 방향을 가리킬 수 있다.
대향하는 전극의 전도 스트립은 다른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전도 스트립은 반드시 직선일 필요는 없으며; 이것은 도 5에 도시된 전도 스트립(211)의 경우이다. 이들 전도 스트립(2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제 2 변형에 의한 주입 장치의 2개의 대향하는 전극의 하나를 형성한다. 이것들은 전도 스트립(11, 111)과 같은 기능을 수행하지만, 전도 스트립을 서로 분리하는 물결 모양을 갖는다. 각 전도 스트립(211)은 도 5에 도시된 것 외의 추정할 수 있는 형상, 예컨대 구형파 또는 톱니파 모양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싱글 주입 장치(1)의 전도 스트립(11, 111, 211)은 모두 동일한 너비(l)를 가질 필요는 없다. 예를 들면, 넓은 도전성 스트립(11, 111, 211)은 더 좁은 전도 스트립(11, 111, 211)이 교대로 사용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2개의 대면하는 전극 중 하나의 전도 스트립(11, 111, 211)은 대면하는 다른 전극의 전도 스트립(11, 111, 211)과 같은 너비를 가질 필요가 없다. 더 일반적으로 말하자면, 2개의 대면하는 전극의 전도 스트립은 동일한 형상을 가질 필요가 없다.
또한, 전도 스트립(11, 111, 211)의 적어도 하나는 일정한 너비(l)를 가질 필요가 없다. 예를 들면, 스트립은 그것의 한 단부를 향해 더 좁아지는 사다리꼴 모양을 가질 수 있다.

Claims (6)

  1. 다공성 재료(2)에 분말(3)을 주입하는 장치에 있어서,
    제 1 유전체 절연 스크린(7), 및
    상기 분말(3)이 주입되는 상기 다공성 재료(2)를 위한 통로(8)에 의해 분리되고 교류 전압 발생기(6)에 연결된 후 상기 통로에 교류 전기장을 생성하는 제 1 및 제 2 대면 전극(4, 5; 104, 105)을 적어도 포함하고,
    상기 제 1 유전체 스크린(7)은 상기 통로(8)의 레벨에서 상기 제 1 전극과 제 2 전극(4, 5; 104, 105)을 서로 전기적으로 절연하고,
    적어도 상기 제 1 전극(4, 5; 104, 105)은 2개 이상의 전도 스트립(11; 111; 211)을 포함하고,
    상기 전도 스트립(11; 111; 211) 각각은, 상기 제 1 유전체 스크린(7)에 의해 커버되고 전체적으로 제 2 전극(4, 5; 104, 105)을 향한 내측면(14)과 분리 슬롯(12; 212)을 따라 연장하는 종방향 에지(13)를 구비하고,
    상기 전도 스트립들은 상기 분리 슬롯(12)에 의해 서로 분리되어 있고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입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다공성 재료(2)를 상기 통로(8)를 통해 공급 방향(F)으로 이송하는 구동장치(9)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구동장치 내부에는 제 1 전극(4, 5; 104, 105)의 연속하는 전도 스트립(11; 111; 211)이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입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유전체 스크린(7)은 제 1 전극(4, 5; 104, 105)의 전도 스트립(11; 111; 211)을 위한 지지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입 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통로(8)의 레벨에서 제 1 및 제 2 전극(4, 5; 104, 105)을 서로 전기적으로 절연하는 제 2 유전체 스크린(7)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전극은 2개 이상의 전도 스트립(11; 111; 211)을 포함하고,
    상기 전도 스트립 각각은, 상기 제 2 유전체 스크린(7)에 의해 커버되고 전체적으로 제 1 전극(4, 5; 104, 105)을 향한 내측면(14)과 분리 슬롯(12; 212)을 따라 연장하는 종방향 에지(13)를 구비하고,
    상기 전도 스트립들은 상기 분리 슬롯(12)에 의해 서로 분리되어 있고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입 장치.
  5. 제 1 전극과 제 2 전극 사이에서 다공성 재료(2)에 분말(3)을 주입하는 방법에 있어서,
    다공성 재료(2)와 분말(3)은 제 1 및 제 2 대면 전극(4, 5; 104, 105)에 의해 생성된 교류 전기장의 영향을 받고, 적어도 제 1 유전체 스크린(7)은 상기 제 1 및 제 2 전극(4, 5; 104, 105)을 서로 전기적으로 절연시키며,
    상기 제 1 전극(4, 5; 104, 105)은 2개 이상의 전도 스트립(11; 111; 211)을 포함하고,
    상기 전도 스트립 각각은, 상기 제 1 유전체 스크린(7)에 의해 커버되고 전체적으로 제 2 전극(4, 5; 104, 105)을 향한 내측면(14)과 분리 슬롯(12; 212)을 따라 연장하는 종방향 에지(13)를 구비하고,
    상기 전도 스트립들은 상기 분리 슬롯(12)에 의해 서로 분리되어 있고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입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의한 장치를 사용하여 실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입 방법.
KR1020117002169A 2008-07-02 2009-06-19 다공성 재료에 분말을 주입하는 장치와 방법 KR10161456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0854503A FR2933327B1 (fr) 2008-07-02 2008-07-02 Installation et procede d'impregnation d'un materiau poreux par de la poudre
FR0854503 2008-07-0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7813A true KR20110027813A (ko) 2011-03-16
KR101614560B1 KR101614560B1 (ko) 2016-04-21

Family

ID=403168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02169A KR101614560B1 (ko) 2008-07-02 2009-06-19 다공성 재료에 분말을 주입하는 장치와 방법

Country Status (16)

Country Link
US (1) US8967079B2 (ko)
EP (1) EP2331309B1 (ko)
JP (1) JP5386581B2 (ko)
KR (1) KR101614560B1 (ko)
CN (1) CN102083599B (ko)
AT (1) ATE554904T1 (ko)
BR (1) BRPI0914572B1 (ko)
CA (1) CA2728961C (ko)
DK (1) DK2331309T3 (ko)
ES (1) ES2382270T3 (ko)
FR (1) FR2933327B1 (ko)
IL (1) IL210365A0 (ko)
PL (1) PL2331309T3 (ko)
PT (1) PT2331309E (ko)
RU (1) RU2486055C2 (ko)
WO (1) WO201000104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993573B1 (fr) 2012-07-20 2016-02-26 Biomerieux Sa Procede d'isolement de microorganismes sur un milieu de culture et dispositif associe
FR3010931B1 (fr) 2013-09-26 2015-09-25 Fibroline France Installation et procede d'impregnation par transfert d'une poudre dans un support poreux
FR3016169B1 (fr) * 2014-01-09 2017-12-15 Biomerieux Sa Procede de detection, identification et enumeration de micro-organismes dans un support poreux impregne a sec par un milieu reactionnel deshydrate
FR3029445B1 (fr) * 2014-12-09 2017-09-29 Fibroline France Installation d'impregnation d'un support poreux comprenant des electrodes revetues optimisees
WO2016177960A1 (fr) * 2015-05-04 2016-11-10 Fibroline Panneau pour l'habillage et/ou l'insonorisation d'une paroi d'un vehicule et procede de realisation associe
EP3150756A1 (de) * 2015-10-01 2017-04-05 LANXESS Deutschland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faser-matrix-halbzeugs
US10375984B2 (en) 2016-07-18 2019-08-13 R.J. Reynolds Tobacco Company Nonwoven composite smokeless tobacco product
FR3065735B1 (fr) 2017-04-26 2020-11-20 Biomerieux Sa Dispositif de culture microbiologique comprenant un feuillet d'hydrogel polysaccharidique deshydrate
FR3074046B1 (fr) 2017-11-30 2020-11-20 Biomerieux Sa Dispositifs de detection et/ou d'identification d'infections microbiologiques, pour dispositifs medicaux non-implantables
FR3074047B1 (fr) 2017-11-30 2019-12-20 Biomerieux Dispositifs medicaux non-implantables integrant un dispositif de detection et/ou d'identification d'infections microbiologiques
DE102018101321B3 (de) 2018-01-22 2018-12-20 Adler Pelzer Holding Gmbh Dilour-Teppich mit erhöhten Gebrauchswert-Eigenschaften
FR3114261B1 (fr) 2020-09-21 2022-08-12 Fibroline Installation d’impregnation de poudre d’au moins un support a traiter de type fil et/ou ruban
WO2023118841A2 (en) 2021-12-22 2023-06-29 Thirty Holdings Limited Powder composition
WO2023118839A1 (en) 2021-12-22 2023-06-29 Thirty Holdings Limited Powder composition
FR3141090A1 (fr) 2022-10-19 2024-04-26 Fibroline Installation d’impregnation d’un materiau poreux par de la poudre
GB202215521D0 (en) 2022-10-20 2022-12-07 Thirty Holdings Ltd Wound dressings
GB202215758D0 (en) 2022-10-25 2022-12-07 Thirty Holdings Ltd Implantable medical devices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E488310A (ko) *
US2328577A (en) * 1940-01-12 1943-09-07 Behr Manning Corp Process and apparatus for grading and for coating with comminuted material
US2473251A (en) * 1945-05-29 1949-06-14 Gen Electric High-frequency dielectric heating apparatus
US5374949A (en) * 1989-11-29 1994-12-20 Kyocera Corporation Image forming apparatus
RU2010701C1 (ru) * 1991-11-21 1994-04-15 Бакулин Виктор Николаевич Способ пропитки и сушки капиллярно-пористых материалов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JP3197438B2 (ja) * 1994-11-04 2001-08-13 シャープ株式会社 カラー画像形成装置
EP0914916A1 (fr) * 1997-11-04 1999-05-12 Materials Technics Société Anonyme Holding Procédé pour produire un matériau composite
WO2002002245A2 (en) * 2000-06-29 2002-01-10 Johnson & Johnson Consumer Companies, Inc. Electrostatic impregnation of powders on substrates
US20030148684A1 (en) * 2002-01-30 2003-08-07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ethod for hydrophilizing materials using charged particles
EP1526214A1 (fr) * 2003-10-21 2005-04-27 Materials Technics Holding Société Anonyme Procede et dispositif d'impregnation d'un reseau fibreux par de la poudre utilisant un champ electrostatique alternatif
EP1525969A1 (fr) * 2003-10-21 2005-04-27 Materials Technics Holding Procédé et dispositif pour le mélange, la dispersion et/ou l'homogeneisation de matière poudreuse
FR2899146B1 (fr) * 2006-03-28 2008-05-16 Materials Technics Holding Sa Procede pour la realisation d'un semi-produit composite renforce et estampable
FR2917430B1 (fr) * 2007-06-12 2011-04-01 Fibroline France Procede de fabrication d'un revetement de sol et revetement de so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PI0914572A2 (pt) 2015-12-15
FR2933327B1 (fr) 2010-08-20
CN102083599A (zh) 2011-06-01
FR2933327A1 (fr) 2010-01-08
PL2331309T3 (pl) 2012-09-28
BRPI0914572B1 (pt) 2019-02-26
CA2728961A1 (fr) 2010-01-07
JP5386581B2 (ja) 2014-01-15
DK2331309T3 (da) 2012-06-04
PT2331309E (pt) 2012-05-25
ATE554904T1 (de) 2012-05-15
US8967079B2 (en) 2015-03-03
EP2331309B1 (fr) 2012-04-25
RU2011103545A (ru) 2012-08-10
JP2011526659A (ja) 2011-10-13
EP2331309A1 (fr) 2011-06-15
IL210365A0 (en) 2011-03-31
US20110097505A1 (en) 2011-04-28
KR101614560B1 (ko) 2016-04-21
ES2382270T3 (es) 2012-06-06
WO2010001043A1 (fr) 2010-01-07
CA2728961C (fr) 2016-02-16
RU2486055C2 (ru) 2013-06-27
CN102083599B (zh) 2013-1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14560B1 (ko) 다공성 재료에 분말을 주입하는 장치와 방법
JP5302182B2 (ja) スタンピング可能な強化複合材の半製品を生産する方法
CN100415983C (zh) 使用经受ac电场的电极用粉末浸透纤维状,丝状和/或多孔网状结构的方法
EP0288956B1 (en) Oriented chopped fiber mats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making same
KR101289997B1 (ko) 향상된 섬유 하전 장치
EP0014552A1 (e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the corona discharge treatment of webs
US2385873A (en) Method of forming web material
IL46879A (en) Method for the manufacture of an electret fibrous filter
CN107206633B (zh) 用于浸渍包括优化的涂覆电极的多孔介质的设备
WO2008098526A2 (en) Method and device for production of a layer of nanoparticles or a layer of nanofibres from solutions or melts of polymers
EP0311198A2 (en) Apparatus for the surface treatment of synthetic fibers or yarns
CA1141129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orientation and deposition of lignocellulosic material in the manufacture of pressed comminuted products having directional properties
EP0369032A1 (en) Electret material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KR20120131378A (ko) 이온분사 부직포 제조 장치 및 제조 방법
CN100359087C (zh) 等离子体处理设备和方法
KR20230079098A (ko) 적어도 하나의 원사 및/또는 리본형 피처리 기재의 분말 함침을 위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