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27294A - 광 선로 감시 기능을 구비한 중계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수동 광 통신망 시스템 - Google Patents

광 선로 감시 기능을 구비한 중계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수동 광 통신망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27294A
KR20110027294A KR1020090085315A KR20090085315A KR20110027294A KR 20110027294 A KR20110027294 A KR 20110027294A KR 1020090085315 A KR1020090085315 A KR 1020090085315A KR 20090085315 A KR20090085315 A KR 20090085315A KR 20110027294 A KR20110027294 A KR 201100272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signal
optical signal
unit
pro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853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45500B1 (ko
Inventor
윤호성
김종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0900853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45500B1/ko
Publication of KR201100272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272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55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55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0Transmission systems employing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waves, e.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or employing corpuscular radiation, e.g. quantum communication
    • H04B10/07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transmission systems; Arrangements for fault measurement of transmission systems
    • H04B10/075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transmission systems; Arrangements for fault measurement of transmission systems using an in-service signal
    • H04B10/079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transmission systems; Arrangements for fault measurement of transmission systems using an in-service signal using measurements of the data signal
    • H04B10/0797Monitoring line amplifier or line repeater equip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0Transmission systems employing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waves, e.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or employing corpuscular radiation, e.g. quantum communication
    • H04B10/07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transmission systems; Arrangements for fault measurement of transmission systems
    • H04B10/071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transmission systems; Arrangements for fault measurement of transmission systems using a reflected signal, e.g. using optical time domain reflectometers [OTD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0Transmission systems employing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waves, e.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or employing corpuscular radiation, e.g. quantum communication
    • H04B10/25Arrangements specific to fibre transmission
    • H04B10/2581Multimode transmis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0Transmission systems employing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waves, e.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or employing corpuscular radiation, e.g. quantum communication
    • H04B10/29Repeaters
    • H04B10/291Repeaters in which processing or amplification is carried out without conversion of the main signal from optical form
    • H04B10/2912Repeaters in which processing or amplification is carried out without conversion of the main signal from optical form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amplification or processing
    • H04B10/2914Repeaters in which processing or amplification is carried out without conversion of the main signal from optical form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amplification or processing using lumped semiconductor optical amplifiers [SO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14/00Optical multiplex systems
    • H04J14/08Time-division multiplex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Optical Communication Syste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 선로 감시 기능을 구비한 중계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수동 광 통신망 시스템을 개시한다. 본 발명의 중계 장치는 국사(CO)로부터의 하향 데이터 광 신호, 가입자 단말(ONT)로부터의 상향 데이터 광 신호, 광 신호 중계부로부터의 상향 및 하향 데이터 광신호 및 상기 국사와 상기 가입자 단말 사이의 미리 정해진 구간을 감시하기 위한 프로브 광 신호를 미리 결정된 경로에 따라 결합 또는 분기하는 광 결합/분기부; 및 상기 광 결합/분기부로부터 상기 하향 데이터 광 신호와 상기 상향 데이터 광 신호를 입력받아 재생하고, 상기 재생된 상향 및 하향 데이터 광 신호를 상기 광 결합/분기부로 전송하는 광 신호 중계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장거리 광 네트워크에서 통신 서비스를 중단하지 않고 광 선로의 상태를 측정할 수 있고, OLT와 ONT간의 분기율과 전송 거리를 증대시키며, 가입자가 분산된 분산 지역에서 스플리터와 원격지에 위치한 중계 장치 간을 연결하는데 소요되는 광케이블의 양을 보다 절감할 수 있다
Figure P1020090085315
TDM-PON, 중계 장치

Description

광 선로 감시 기능을 구비한 중계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수동 광 통신망 시스템{Repeating apparatus with interface for optical cable inspection and passive optical network system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광 선로 감시 기능을 구비한 중계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수동형 광 통신망에 사용되며, 국사(Central Office, CO)로 부터 멀리 떨어진 지역에 구축된 장거리 광 네트워크에 있어서, 서비스를 중단하지 않고 광 섬유의 감시가 가능하며, 광케이블 소요를 절감시키고, 국사측의 광선로 종단 장치(Optical Line Terminal, OLT)와 가입자측의 광선로 가입자 장치(ONT)간의 신호를 중계하기 위한 TDM-PON 기반의 중계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인터넷 트래픽의 급격한 증가와 방송, 통신 융합 서비스가 가시화되면서 통신망의 고속화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이를 위한 기술들 중에서 PON(Passive Optical Network) 기술은 가입자에게 높은 대역폭을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OSP(OutSide Plant)가 수동소자로만 구성되므로 망의 운용 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다는 장점으로 인하여 도입이 확산되고 있다.
PON 기술은 다중화, 다중접속 방식의 차이에 따라 크게 두 가지로 분류되는 데, 첫 번째는 시분할 다중화 기반의 TDM(time division multiplexing)-PON이며, 두 번째는 파장분할 다중화 기반의 WDM(wavelength division multiplexing)-PON이다. 한편, TDM-PON을 기반으로 하는 B-PON, E-PON, G-PON 등과 같은 광 네트워크 기술 및 TDM-PON을 기반으로 WDM-PON이 결합된 복합 광 네트워크(Hybrid-PON, 즉 WDM/TDM-PON) 기술이 최근에 활발히 논의되고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TDM-PON 시스템에 대한 일 예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TDM-PON 시스템은 TDM-PON OLT(10), RN(Remote Node, 20), TDM-PON OLT(30)을 포함한다.
도 1에 도시된 종래 기술에 따른 TDM-PON은 TDM-PON OLT(국사측의 광선로 종단 장치, 10)와, TDM-PON ONT(광 가입자 장치, 30)와, TDM-PON OLT와 TDM-PON ONT 사이에 광신호 분배를 위한 지역 기지국(Remote Node, 30), 그리고 이들을 연결하는 광 선로 등을 포함한다.
TDM-PON OLT(10)는 TDM-PON MAC&PHY 모듈(12) 및 TDM-PON 광송수신기(TDM-PON TRBMR)(14)를 포함한다. TDM-PON ONT(30)는 광 가입자별의 모듈(32, 34, 38)을 구비하며, 하나의 모듈은 TDM-PON 광송수신기(TDM-PON TRBMT, 35)와 TDM-PON MAC&PHY 모듈(36)을 포함한다.
TDM-PON은 시분할 기법을 이용하여 다수의 가입자측 각각의 TDM-PON ONT(20)가 국사측의 TDM-PON OLT(10)와 광섬유를 공유하는 구조로서, ITU-T에서 표준화된 B-PON과 G-PON, 그리고 IEEE에서 표준화된 E-PON 등이 현재 사용되고 있다. 이하 TDM-PON에서의 신호 전송 방식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하향 신호의 관점에서 설명한다. TDM-PON OLT(10)는 각 TDM-PON ONT(30)로 전송하고자 하는 하향 전송 신호를 브로드캐스트(broadcast)한다. 원격지에 설치된 광 파워를 분기하는 1xN 스플리터(22)는 TDM-PON OLT(10)로부터 수신받은 하향신호를 N개의 가입자 선로로 분배하고, TDM-PON ONT(30)에서 자신에게 내려온 하향신호를 수신해 자신에게 시간 할당된 프레임만을 선택적으로 가입자에게 전송한다.
상향 신호의 관점에서 살펴보면, 각 TDM-PON ONT(30)가 레인징(ranging)과 동적 대역폭 할당(DBA; dynamic bandwidth allocation) 과정 등을 통해 자신만의 전용 시간 슬롯(slot)을 TDM-PON OLT(10)로부터 사전에 할당받은 상태에서, 자신에게 할당된 시간 슬롯이 도래할 때에만 상향신호를 전송하고 자신의 슬롯이 아닐 때에는 TDM-PON 광송수신기(TDM-PON TRBMT, 35)를 완전히 끄게 된다. 이를 지원하기 위해 TDM-PON ONT의 TDM-PON 광송수신기(35)는 버스트 모드 전송 기능이 구비된 광송수신기(TRBMT; transceiver with burst-mode transmitter)로 구현된다.
각각의 TDM-PON ONT(30)로부터 올라온 상향신호는 원격지의 스플리터에서 결합되어 TDM-PON OLT(10)로 전송된다. 이러한 버스트 모드 특성을 갖는 상향신호 수신을 지원하기 위해 TDM-PON OLT(10)의 TDM-PON 광송수신기(12)는 버스트 모드 수신 기능이 구비된 광송수신기(TRBMR; transceiver with burst-mode receiver)로 구현된다.
한편, 일반적으로 TDM-PON OLT(10)에는 1480nm ~ 1500nm 대역의 고정 파장 광원이 사용되며, TDM-PON ONT(30)에는 1260nm ~ 1360nm 대역의 고정 파장 광원이 사용된다. 차세대 TDM-PON을 위한 표준화 기구에서는 상향 파장, 하향 파장을 변경할 가능성과 하향신호를 여러 파장의 광송수신기에 분산 전송하여 대역폭을 증대시키기 위한 방안 등이 논의되고 있다.
도 1에 도시된 종래 기술에 따른 TDM-PON에서는 스플리터를 원격지에 설치해 광 파워 분기, 결합 등을 수행하는데, 이는 분기율 증대에 따른 전송 손실을 상당히 증가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으로 인해 현재 상용화된 TDM-PON의 경우 2.5Gb/s의 공유 대역폭에 64 분기 가량으로 대역폭과 분기율이 제한되어 있으며, 이러한 환경에서는 TDM-PON OLT(10)와 TDM-PON ONT(30)간의 신호 전송 거리가 10km ~ 20km로 매우 제한적일 수밖에 없다. 예컨대, 종래 기술에 따른 TDM-PON을 기반으로 하는 제반 시스템에서는 제한된 광 전송 손실 마진이라는 문제로 인해 신호 전송에 관한 분기율과 전송 거리를 동시에 증대시키는데 일정한 한계가 있었다.
근래에는 TDM-PON의 시스템을 기반으로 하는 다양한 IP 기반 서비스가 확대되고, 가입자수도 증가함에 따라 광선로의 장애로 인한 서비스 중단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이 필요하다. 특히 고객 서비스가 진행 중인 상태에서 동시에 광선로를 측정할 수 있는 기술이 필요하나, 중계 장치가 적용된 TDM-PON 망에 적합한 방안은 개시된 바 없다.
본 발명은 국사측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지역에 광 네트워크를 구축하는데 있어 광케이블 소요를 보다 절감하면서도 국사측의 광선로 종단 장치(OLT)와 가입자측의 광선로 가입자 장치(ONT)간의 신호를 중계하며, 광 선로의 상태를 감시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구비한 원격 중계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 달성을 위하여, 본 발명의 수동 광 통신망 중계 장치는 국사(CO)로부터의 하향 데이터 광 신호, 가입자 단말(ONT)로부터의 상향 데이터 광 신호, 광 신호 중계부로부터의 상향 및 하향 데이터 광신호 및 상기 국사와 상기 가입자 단말 사이의 미리 정해진 구간을 감시하기 위한 프로브 광 신호를 미리 결정된 경로에 따라 결합 또는 분기하는 광 결합/분기부; 및
상기 광 결합/분기부로부터 상기 하향 데이터 광 신호와 상기 상향 데이터 광 신호를 입력받아 재생하고, 상기 재생된 상향 및 하향 데이터 광 신호를 상기 광 결합/분기부로 전송하는 광 신호 중계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광 결합/분기부는 하향 데이터 광 신호와 상기 프로브 광 신호를 상기 광 신호 중계부로 전송하고, 상기 광 신호 중계부에서 재생된 상향 데이터 광 신호를 상기 국사로 전송하는 제1 광 커플링부; 및 상기 광 신호 중계부에서 재생되어 상기 제1 광 커플링부로부터 전송된 하향 데이터 광 신호를 상기 가입자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가입자 단말로부터의 상향 데이터 광 신호를 상기 제1 광 커 플링부로 전송하는 가입자측 광 결합/분기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광 신호 중계부는 상기 제1 광 커플링부로부터 상기 하향 데이터 광 신호와 상기 상향 데이터 광 신호 및 상기 프로브 광 신호를 입력 받고, 상기 입력된 신호들을 미리 결정된 경로에 따라 결합 또는 분기하는 제2 광 커플링부; 상기 제2 광 커플링부로부터 전송된 상기 프로브 광 신호를 입력받아 반사시키는 반사부; 상기 제 2 광 커플링부로부터 상기 하향 데이터 광 신호와 상기 상향 데이터 광 신호를 1개의 포트를 통해 입력받아 재생하고, 상기 재생된 하향 및 상향 데이터 광 신호를 상기 제 2 광 커플링부로 전송하는 상기 1-포트 중계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광 신호 중계부는 상기 제1 광 커플링부로부터 상기 하향 데이터 광 신호와 상기 상향 데이터 광 신호 및 상기 프로브 광 신호를 입력 받고, 상기 입력된 신호들을 미리 결정된 경로에 따라 결합 또는 분기하는 제2 광 커플링부; 상기 제2 광 커플링부로부터 전송된 상기 프로브 광 신호를 입력받아 증폭시키며, 상기 증폭된 프로브 광 신호를 상기 제2 광 커플링부로 전송하는 반사형 광 증폭부; 상기 제 2 광 커플링부로부터 상기 하향 데이터 광 신호와 상기 상향 데이터 광 신호를 1개의 포트를 통해 입력받아 재생하고, 상기 재생된 하향 및 상향 데이터 광 신호를 상기 제 2 광 커플링부로 전송하는 상기 1-포트 중계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1광 커플링부는 상기 국사로부터의 하향 데이터 광 신호를 상기 광 신호 중계부측으로 전송하고, 상기 프로브 광 신호를 상기 광 신호 중계부측으 로 전송하는 제1 WDM 커플러; 상기 제2 커플링부로부터 전송되는 재생된 상향 및 하향 데이터 광 신호, 그리고 상기 반사형 광 증폭부로부터 증폭된 프로브 광 신호를 결합/분기하는 제2 WDM 커플러; 상기 가입자측 광 결합/분기부로부터 전송되는 상향 데이터 광 신호와 상기 증폭된 프로브 광 신호가 광 결합/분기부와 상기 가입자 단말 간의 광선로에서 산란 또는 반사됨에 따라 궤환되는 프로브 광 신호를 결합/분기하는 제3 WDM 커플러; 상기 제1 WDM 커플러, 상기 제2 WDM 커플러 및 상기 제3 WDM 커플러와 연결되며, 상기 제1 WDM 커플러로부터의 하향 데이터 광 신호를 상기 제2 WDM 커플러에 전달하고, 상기 제2 WDM 커플러로 부터의 하향 데이터 광 신호를 상기 제3 WDM 커플러로 전달하며, 상기 제3 WDM 커플러로부터의 상향 데이터 광 신호를 상기 제2 WDM 커플러로 전달하는 제4 WDM 커플러; 및 상기 제1 WDM 커플러, 상기 제2 WDM 커플러 및 상기 제3 WDM 커플러로부터 연결되고, 입력되는 광 신호를 미리 결정된 방향으로 순환시키는 광 순환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광 결합/분기부는 상기 하향 데이터 광 신호를 상기 광 신호 중계부로 전송하고, 상기 광 신호 중계부에서 재생된 상향 데이터 광 신호를 상기 국사로 전송하며, 상기 프로브 광 신호를 가입자 단말측으로 전송하는 제1 광 커플링부; 및 상기 제1 광 커플링부로부터 전송되며 상기 광 신호 중계부에서 재생된 하향 데이터 광 신호와 제1 광 커플링부로부터 전송되는 프로브 광 신호를 상기 가입자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프로브 광 신호가 광 결합/분기부와 상기 가입자 단말간의 광선로에서 산란 또는 반사됨에 따라 궤환되는 프로브 광 신호와 상기 가입자 단말로부터의 상향 데이터 광 신호를 상기 제1 광 커플링부로 전송하는 가입자 측 광 결합/분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1 광 커플링부는 상기 국사로부터의 하향 데이터 광 신호를 상기 광 신호 중계부측으로 전송하고, 상기 프로브 광 신호를 하향측으로 전송하는 제1 WDM 커플러; 상기 제1 WDM 커플러로부터 전송된 상기 프로브 광 신호를 상기 가입자측 광 결합/분기부로 전송하며, 상기 가입자측 광 결합/분기부로부터 궤환되는 프로브 광 신호를 상기 제1 WDM 커플러로 전송하는제2 WDM 커플러; 및 상기 제1 WDM 커플러로부터 전송된 하향 데이터 광 신호를 상기 광 신호 중계부로 전송하고, 상기 광 신호 중계부에서 재생된 하향 데이터 광 신호를 상기 제2 WDM 커플러로 전송하는 제3 WDM 커플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프로브 광 신호는 1개의 단일 파장이 아닌 2개의 서로 다른 파장을 가질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프로브 광 신호는 미리 결정된 파장을 가지며 상기 국사와 상기 광 신호 중계부 간의 구간 감시를 위한 제1 프로브 광 신호와, 상기 제1 프로브 광 신호와 서로 다른 파장을 가지며, 상기 국사와 상기 가입자 단말 간의 구간 감시를 위한 제2 프로브 광 신호를 포함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 달성을 위하여, 본 발명의 수동 광 통신망(PON) 시스템은 가입자 단말 측으로 하향 데이터 광 신호를 생성하여 송출하고, 상기 가입자 단말 측으로부터의 상향 데이터 광 신호를 수신하는 광 회선 단말(Optical Line Terminal); 상기 광 회선 단말과 미리 정해진 검측 지점 사이의 구간을 감시하기 위한 프로브 광 신호를 송출하고, 상기 프로브 광신호가 반사됨에 따른 반사 광 신호를 수신하여 광 선로의 상태를 측정하는 광 선로 측정부; 상기 하향 데이터 광 신호, 상기 상향 데이터 광 신호 및 상기 프로브 광 신호를 미리 결정된 경로에 따라 결합 또는 분기하는 광 결합/분기부; 및 상기 광 회선 단말로부터의 하향 데이터 데이터 광 신호와 상기 가입자 단말로부터의 상향 데이터 광 신호를 입력받아 재생하고, 상기 재생된 상향 및 하향 데이터 광 신호를 상기 광 결합/분기부로 전송하는 광 신호 계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광 회선 단말 측에 위치하며, 상기 광 회선 단말과 관련된 상향 및 하향 데이터 광 신호와, 상기 광 선로 측정부와 관련된 상기 프로브 광 신호 또는 반사 광 신호를 미리 결정된 경로에 따라 결합 또는 분기하는 광 회선 단말측 광 커플링부; 상기 광 회선 단말측 광 커플링부로부터의 하향 데이터 광 신호를 증폭하여 상기 광 결합/분기부 측으로 전송하고, 상기 광 결합/분기부로부터의 상향 데이터 광 신호를 증폭하여 상기 광 회선 단말측 광 커플링부 측으로 전송하는 2-포트 중계부; 및 상기 2-포트 중계부와 상기 광 결합/분기부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2-포트 중계부로부터의 하향 데이터 광 신호와 프로브 광 신호를 상기 광 결합/분기부로 전송하고, 상기 광 결합/분기부로부터의 상향 데이터 광 신호를 상기 2-포트 중계부로 전달하는 광 결합/분기부측 광 커플링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2-포트 중계부는 상기 광 회선 단말측 광 커플링부로부터의 하향 데이터 광 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고, 입력되는 전기적 신호를 광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광 회선 단말측 광 커플링부로 전송하는 제1 광 송수신부; 상기 광 결합/분기부로부터의 상향 데이터 광 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고, 입력되는 전기 적 신호를 광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광 결합/분기부 측으로 전송하는 제2 광 송수신부; 상기 제1 광 송수신부로부터 전송된 전기적 신호에 대한 손실 보상을 수행하여 상기 제2 광 송수신부에 전송하는 하향 신호 재생부; 및 상기 제2 광 송수신부로부터 전송된 전기적 신호에 대한 손실 보상을 수행하여 상기 제1 광 송수신부에 전송하는 상향 신호 재생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광 네트워크에 있어 국사측의 광선로 종단 장치(OLT)와 가입자측의 광선로 가입자 장치(ONT) 사이에 광 신호의 재생과 감시를 위한 장치를 도입함으로써, 통신 서비스를 중단하지 않고 광 선로의 상태를 측정할 수 있고, OLT와 ONT간의 분기율과 전송 거리를 증대시키며, 가입자가 분산된 분산 지역에서 스플리터와 원격지에 위치한 중계 장치 간을 연결하는데 소요되는 광케이블의 양을 보다 절감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과 실시예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광 선로 감시 기능을 구비한 중계 장치와, 이를 포함하는 수동 광 통신망 시스템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 선로 감시 기능을 구비하는 중계 장치를 포함하는 수동 광 통신망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된 수동 광 통신망 시스템은 국사내 장치(100), 광 결합/분기부(200), 광 신호 중계부(300) 및 가입자 단말(400)을 포함한다.
도 2에서 국사 내 장치(100)는 광 회선 단말(OLT, 110), 광 선로 측정부(OTDR, 120), OLT측 광 커플링부(130)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시분할 다중화 기반의 TDM-PON을 기반으로 상하향 통신이 가능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광 선로 측정부(Optical Time Domain Reflectometer, 120)는 광 선로의 접점 손실, 연결 손실 및 손실 발생 지점 등 광 섬유의 특성을 측정하고, 고장 지점을 찾기 위한 장비이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 광 선로 측정부는 광 선로 측정을 위한 프로브 광 신호(probing optical signal)를 송출하고, 프로브 광 신호가 산란 또는 반사됨에 따른 반사 광 신호(reflected optical signal)를 수신한다. 여기에서 측정 가능한 구간은 예를 들어 OLT 광 커플링부(130)로부터 광 신호 중계부(300) 구간, OLT 광 커플링부(130)로부터 가입자측 광 결합/분기부(220)구간, OLT 광 커플링부(130)로부터 가입자 단말(400) 구간 등이 있다.
OLT측 광 커플링부(130)는 광 회선 단말(110)로부터의 하향 데이터 광 신호, 광 선로 측정부(120)로부터의 프로브 광 신호, 가입자 단말(400)로 부터의 상향 데이터 광 신호, 그리고 검측 지점으로 부터의 반사 광 신호를 결합 및 분기한다. OLT 광 커플링부는 예를 들어 WDM 커플러를 이용하여 구현할 수 있다.
광 결합/분기부(200)는 국사로부터의 하향 데이터 광 신호, 가입자 단말로부터의 상향 데이터 광 신호, 프로브 광 신호를 결합 또는 분기시킨다. 광 결합/분기부(200)는 제1 광 커플링부(210)와 가입자측 광 결합/분기부(220)를 포함한다. 제1 광 커플링부(210)는 기본적으로 하향 데이터 광 신호를 광 신호 중계부(300)로 전송하며, 이와 함께 프로브 광 신호를 광 신호 중계부(300) 방향 또는 광 가입자 방 향으로 전송할 수 있다. 광 커플링부의 예로는 단일 또는 복수의 WDM 커플러 또는 광 순환기 등이 있다.
가입자측 광 결합/분기부(220)는 하향 데이터 광 신호를 가입자 단말(400)로 전송하고, 가입자 단말로부터의 상향 데이터 광 신호를 결합하여 제1 광 커플링부로 전송한다. 가입자측 광 결합/분기부(220)는 예를 들어 광 파워를 분배하는 스플리터, 광 신호를 파장별로 다중화하는 파장분할다중화기(AWG) 등이 있다.
광 신호 중계부(300)는 광 결합/분기부(200) 특히, 제1 광 커플링부(210)로부터 전송 받은 상, 하향 데이터 광 신호를 재생하고, 재생된 광 신호를 제1 광 커플링부로 중계한다. 광 신호 중계부는 WDM 커플러, 1-포트 중계부를 포함하며 각각에 대하여는 후술한다.
가입자 단말(400)은 복수의 가입자 마다 서로 다른 단말(410, 420, 430)을 구비하며, 하향 데이터 광 신호를 수신하고 상향 데이터 광 신호를 송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광 선로 감시 기능을 구비하는 중계 장치를 포함하는 수동 광 통신망 시스템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3에 도시된 수동 광 통신망 시스템은 국사내 장치(1100), 광 결합/분기부(1200), 광 신호 중계부(1300) 및 가입자 단말(1400)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는 국사내 장치(1100)와 광 결합/분기부(1200) 사이의 구간 및 광 결합/분기부(1200)와 광 신호 중계부 (1300) 사이의 구간의 광 선로 측정이 필요할 때 적용할 수 있으며, 이 때 광 결합/분기부(1200)와 가입자 단말(1400) 사이의 광 선로는 측정 대상에서 제외된다.
국사내 장치(1100)는 TDM-PON OLT(1110), OTDR(1120) 및 국사측의 WDM 커플 러(1130)을 포함한다. TDM-PON OLT(1110)는 가입자 단말 측으로의 하향 데이터 광 신호를 생성하고, 가입자 단말로부터의 상향 데이터 광 신호를 수신한다. TDM-PON OLT는 데이터 링크 및 신호의 물리적 연결과 관련된 MAC&PHY 모듈(미도시), 광 신호를 생성하는 광원(미도시), 광 신호를 수신하여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광 수신부(미도시) 및 광 가입자에게 전송하고자 하는 전기전 신호를 광 신호로 변환하여 송출하는 광 송신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광 결합 분기부(1200)는 제1 WDM 커플러(1210)와 스플리터(1220)를 포함하며, 광 신호 중계부(1300)는 제2 WDM 커플러(1310), 반사부(1320), 1-포트 중계부(1330)를 포함한다.
제1 WDM 커플러(1210)는 국사측의 WDM 커플러로부터 전송받은 하향 데이터 광 신호(λda)와 프로브 광 신호(λp) 및 스플리터(1220)로부터 전송받은 상향 데이터 광신호(λuT)를 광 신호 중계부(1300) 에 전송한다. 또한 광 신호 중계부(1300)로부터 재생 및 파장 변환된 하향 데이터 광신호(λdT)를 스플리터(1220)로 전송하고, 광신호 중계부(1300)로부터 재생 및 파장 변환된 상향 데이터 광 신호(λua)를 국사내 장치(1100)로 전송한다. 광 신호 중계부(1300)에 포함된 제2 WDM 커플러(1310)는 파장별로 광 신호를 분리하여 프로브 광 신호를 반사부(1320)로 전송하고, 제1 WDM 커플러(1210)로 부터의 하향 데이터 광 신호와 스플리터(1220)로 부터의 상향 데이터 광 신호를 1-포트 중계부(1330)로 전송한다. 반사부(1320)는 제2 WDM 커플러(1310)로 부터 전송된 프로브 광 신호를 입력 받아 반사광을 발생시킨 다. 1-포트 중계부(1330)는 상향 데이터 광 신호와 하향 데이터 광 신호를 입력 받아 재생하고 각각의 파장을 변환하여, 재생된 광 신호를 제2 WDM 커플러측으로 전송한다. 1-포트 중계부에 대하여는 후술한다.
스플리터(1220)는 1-포트 중계부로 부터 재생되어 제1 WDM 커플러를 통해 전송되는 재생된 하향 데이터 광 신호를 가입자 단말(1400)측으로 전송하고, 가입자 단말로 부터의 상향 데이터 광 신호를 제1 WDM 커플러로 전송한다. 제1 WDM 커플러는 1-포트 중계부에서 재생된 상향 데이터 광신호와, 반사부로 부터 반사된 반사 광 신호를 국사측 WDM 커플러로 전송한다.
도 4는 도 3에서 1-포트 중계부(1330)를 나타내는 상세 구성도이다. 도 4에 도시된 1-포트 중계부(1330)는 광 신호 중계부측의 WDM 커플러(1331), 광 송수신부(1332), 하향 신호 재생부(1336) 및 상향 신호 재생부(1337)을 포함한다.
1-포트 중계부의 구성요소인 WDM 커플러(1331)는 제2 WDM 커플러(1310)로부터 상향 또는 하향 데이터 광 신호를 입력 받는다. 입력된 광 신호 중에서 하향 데이터 광 신호는 제1 TDM-PON 광 송수신기(1333)로 전송하고, 상향 데이터 광 신호는 제2 TDM-PON 광 송수신기(1334)로 전송한다.
제1 TDM-PON 광 송수신기(1333)는 수신된 하향 데이터 광 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하향 신호 재생부(1356, SRDN)에 전송한다. 제2 TDM-PON 광 송수신기(1334)는 수신된 상향 데이터 광 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상향 신호 재생부(1357, SRUP)로 전송한다.
하향 신호 재생부(SRDN)는 제1 TDM-PON 광 송수신기로부터 전송된 하향 데이 터 광 신호를 입력받아 잡음을 제거하고 신호의 세기를 증폭시키며, 상향 신호 재생부(SRUP)는 제2 TDM-PON 광 송수신기로 부터 전송된 상향 데이터 광 신호를 입력 받아 잡을을 제거하고 신호의 세기를 증폭시킨다.
도 4에 도시된 1-포트 중계부에서, TDM-PON 광 송수신기의 출력 광원 λua는 통상적인 DFB, FP-LD, 또는 기타 경우에 따라서는 컬러리스 WDM 광원이 사용될 수 있다. λua 와 λda는 임의의 파장을 사용할 수 있고, 경우에 따라 같은 파장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λuT와 λdT는 기존 가입자 단말과의 호환을 위하여 표준 파장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하향 신호 재생부와 상향 신호 재생부는 분리되어 도시되어 있으나 하나의 모듈로 구현하여 제1 TDM-PON 광 송수신기, 제2 TDM-PON 광 송수신기의 각각 입출력 단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하향 신호 재생부와 상향 신호 재생부 각각은 버퍼 등을 이용한 2R 재생 기법, CDR(Clock and Data Recovery) 등을 이용한 3R 재생 기법, 멀티-레이트(multi-rate) CDR 재생 기법 등의 신호 재생 기법을 이용하여 신호 재생을 수행한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1-포트 중계부는 원격적으로 관리(원격 제어, 원격 감시)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이 요구된다. 1-포트 중계부의 원격 관리를 위해, 국사측과 원격 제어 신호를 수신하고, 이에 응답하는 원격 보고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TDM-PON ONT(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WDM 커플러(1331)과 제2 TDM-PON 광 송수신기(1334) 사이에 WDM 커플러를 더 포함시킴으로써 분기되는 신호 를 원격 제어용 TDM-PON ONT에 전송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여기에서, 원격 제어 신호는 예를 들어 국사측에서 1-포트 중계부를 제어하는데 사용되는 신호를 의미한다. 또한, 원격 보고 신호는 1-포트 중계부가 원격 제어신호에 대해 응답하거나 특정 정보, 이벤트를 국사측으로 보내는데 사용되는 신호를 의미한다.
원격 제어를 위해 1-포트 중계부에 내장 가능한 TDM-PON ONT(미도시)는 1-포트 중계부와 국사측간에 원격 제어신호 및 원격 보고신호 송수신을 위한 통신 채널을 형성해, 가입자 측의 TDM-PON ONT에서 사용하는 방식(예; 레인징, DBA 등)을 통해 국사측으로부터 할당 받은 시간 슬롯(time slot)을 사용해 원격 제어신호 수신 및 원격 보고 신호 송신을 수행한다.
도 5a는 도 3에서 국사측의 WDM 커플러와 중계 장치의 제1 WDM 커플러 사이에 위치할 수 있는 2-포트 중계부의 일 구조를 나타낸다. 또한, 도 5a는 이와 함께 OTDR 신호 바이패스 구조를 개시한다. 도 5a의 구조는 2-포트 중계부(1150), 2-포트 중계부의 양측에 위치하는 WDM 커플러(1140, 1160)와 바이패스 광 선로를 포함한다.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브 광 신호, 반사 광 신호는 2-포트 중계부와는 별개의 광 선로를 통해 바이패스된다.
도 5b는 도 5a는 도 3에서 국사측의 WDM 커플러와 중계 장치의 제1 WDM 커플러 사이에 위치할 수 있는 2-포트 중계부의 또 다른 구조를 나타낸다. 도 5b는 바이패스 광 선로에 프로브 광신호 및 프로브 반사광의 증폭을 위한 양 방향 광 증폭기(1170)을 더 포함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도 5a 와 동일하다.
도 5c는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2-포트 중계부에 대한 상세 구조도이다. 도 5c에 도시된 2-포트 중계부(1150)는 제3 TDM-PON 광 송수신부(1151), 하향 신호 재생부(1152), 제4 TDM-PON 광 송수신부(1153) 및 상향 신호 재생부(1154)를 포함한다.
국사측의 WDM 커플러로부터 전송받은 하향 데이터 광 신호는 제3 TDM-PON 광 송수신부를 통해 전기적 신호로 변환된다. 하향 신호 재생부(1152)는 변환된 전기적 신호에 대한 잡음제거 및 증폭을 수행하고, 수행 결과로 얻어지는 전기적 신호를 제4 TDM-PON 광 수신부로 전송한다. 또한, 상향 데이터 광 신호는 제4 TDM-PON 광 송수신부에 입력되어 전기적 신호로 변환되고, 변환된 전기적 신호는 상향 신호 재생부를 통해 재생되어 제3 TDM-PON 광 송수신부로 전송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광 선로 감시 기능을 구비하는 중계 장치를 포함하는 수동 광 통신망 시스템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6에 도시된 수동 광 통신망 시스템은 국사내 장치(2100), 광 결합/분기부(2200), 광 신호 중계부(2300) 및 가입자 단말(2400)을 포함한다. 도 6에 도시된 수동 광 통신망 시스템에서 2200과 2300의 구성을 제외한 나머지 구성은 도 3과 대응되므로 공통된 설명은 이하 생략한다. 본 실시예는 국사내 장치(2100)와 광 결합/분기부(2200) 사이의 구간 및 광 결합/분기부(2200)와 가입자 단말(2400) 사이의 구간의 광 선로 측정이 필요할 때 적용할 수 있으며, 이 때 광 결합/분기부(2200)와 광 신호 중계부 (2300) 사이의 광 선로는 측정 대상에서 제외된다.
광 결합/분기부(2200)는 제1 내지 제4 WDM 커플러와 광 순환기(2220) 및 스 플리터(2260)을 포함한다. 광 신호 결합부(2300)는 WDM 커플러(2310), 반사형 광 증폭부(2320) 및 1-포트 중계부(2330)을 포함한다.
제1 WDM 커플러(2210)는 국사로부터의 하향 데이터 광 신호(λda)와 프로브 광 신호(λp)를 분기한다. 제1 WDM 커플러로부터 분기된 하향 데이터 광 신호는 제4 WDM커플러(2250)을 통해 제2 WDM 커플러(2230)으로 전송되고, 제2 WDM 커플러(2230)는 하향 데이터 광 신호를 광 신호 중계부 측의 WDM 커플러(2310)에 전송한다. 하향 데이터 광 신호는 1-포트 중계부 측의 WDM 커플러(2310)를 통해 1-포트 중계부(2330)로 입력되며, 1-포트 중계부(2330)는 입력된 하향 데이터 광 신호를 재생시키고, 재생된 하향 데이터 광 신호(λdT)를 다시 WDM 커플러(2310) 측으로 출력한다.
한편, 프로브 광 신호(λp)는 제1 WDM 커플러(2210)에서 분기되어 광 순환기(2220)를 통해 제2 WDM 커플러(2230)에 전송된다. 프로브 광 신호는 광 신호 중계부 측의 WDM 커플러(2310)을 통해 분기되어, 반사형 광 증폭부(2320)로 입사된다. 반사형 광 증폭부(2320)는 입사된 프로브 광 신호를 증폭하여 입력 포트로 되돌려 보내며, 반사형 광 증폭기(RSOA:Reflective Semiconductor Optical Amplifeir) 등을 이용하여 구현할 수 있다.
반사형 광 증폭부(2320)에서 재생 또는 증폭된 프로브 광 신호는 광신호 중계부 측의 WDM 커플러(2310)를 거쳐 제2 WDM 커플러(2230)와 광 순환기(2220)를 통해 제3 WDM 커플러(2240)로 전송된 후, 스플리터(2260)를 통해 분할되어 가입자 단 말(2400)로 전송된다.
광 결합/분기부(1200)와 가입자 단말(1400) 사이의 구간에서 산란 또는 반사된 프로브 반사광은 스플리터(2260), 제3 WDM 커플러(2240), 광 순환부(2220), 제1 WDM 커플러(2210)을 통해 OTDR(2120)측으로 전송된다.
가입자 단말(2400)은 상향 데이터 광 신호(λuT)를 생성하여 스플리터(2260)로 전송한다. 스플리터에서 병합된 상향 데이터 광 신호는 제3 WDM 커플러(2240), 제4 WDM 커플러(2250), 제2 WDM 커플러(2230), 광 신호 중계부측의 WDM 커플러(2310)를 통해 1-포트 중계부로 전송된다. 1-포트 중계부는 입사된 상향 데이터 광신호에 대한 잡음 제거 및 신호 증폭 및 파장 변환을 수행하고, 이를 통해 재생된 상향 데이터 광 신호(λua)를 WDM 커플러(2310)로 전송한다. 광 신호 중계부측의 WDM 커플러(2310)로 입사된 상향 데이터 광 신호는 제2 WDM 커플러(2230), 제4 WDM 커플러(2250), 제1 WDM 커플러(2210)를 통해 TDM-PON OLT(2110)측으로 전송된다.
도 7a와 7b는 도 6에서 광 순환부(2220)를 나타내는 세부 구성도이다. 광 순환부(2220)는 예를 들어, 모든 포트의 순환이 가능한 광 순환기를 이용하여 구성된다. 일반적인 광 순환기(optical circulator)의 입력지점을 1, 2, 3이라고 할 때, 예를 들어 입력지점1로부터 입력지점2까지의 회전, 입력지점2로부터 입력 지점3까지의 회전은 가능하지만, 입력 지점3으로부터 입력지점1로의 회전은 불가능하다. 도 7a는 3포트 광 회전기와 4포트 광 회전기를 이용하여 이러한 회전을 가능하게 구성한 예이고, 도 7b는 3포트 광 회전기 3개를 이용하여 회전을 가능하게 구성한 예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광 선로 감시 기능을 구비하는 중계 장치를 포함하는 수동 광 통신망 시스템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8에 도시된 수동 광 통신망 시스템은 국사내 장치(3100), 광 결합/분기부(3200), 광 신호 중계부(3300) 및 가입자 단말(3400)을 포함한다. 도 8에 도시된 수동 광 통신망 시스템은 도 6과 비교할 때, 중계 장치인 광 결합/분기부(3200)와 광 신호 중계부(3300)를 제외하고는 구성이 서로 대응되므로, 이하 공통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는 앞서 도 6과 마찬가지로 국사내 장치(3100)와 광 결합/분기부(3200) 사이의 구간 및 광 결합/분기부(3200)와 가입자 단말(3400) 사이의 구간의 광 선로 측정이 필요할 때 적용할 수 있으며, 이 때 광 결합/분기부(3200)와 광 신호 중계부 (3300) 사이의 광 선로는 측정 대상에서 제외된다.
우선 하향 데이터 광 신호의 경로에 대하여 설명한다. TDM-PON OLT(3110)에서 생성된 하향 데이터 광 신호(λda)는 국사측의 WDM 커플러(3130), 광 결합/분기부(3200) 내의 제1 WDM 커플러(3210), 제3 WDM 커플러(3230)을 통해 광 신호 중계부(3300)로 전송된다.
광 신호 중계부(3300)는 입력된 하향 데이터 광 신호에 대해 잡음 제거, 증폭 및, 파장 변환을 수행하여 재생된 하향 데이터 광 신호(λdT)를 제3 WDM 커플러(3230)로 전송한다. 광 신호 중계부는 예를 들어 1-포트 중계부가 있다. 재생된 하향 데이터 광 신호는 제3 WDM 커플러(3230)과, 제2 WDM 커플러(3220), 스플리 터(3240)를 통해 가입자 단말로 전송된다.
상향 데이터 광 신호의 전송 경로에 대하여 설명한다. 가입자 단말의 TDM-PON ONT는 상향 데이터 광 신호(λuT)를 생성하고, 생성된 상향 데이터 광 신호는 스플리터(3240), 제2 WDM 커플러(3220), 제3 WDM 커플러(3230)을 통해 광 신호 중계부(3300)로 전송된다. 광 신호 중계부는 입력된 상향 데이터 광 신호에 대해 잡음 제거, 증폭 및 파장 변환을 수행하고, 재생된 상향 데이터 광 신호(λua)는 제3 WDM 커플러(3230), 제1 WDM 커플러(3210)을 통해 국사측의 TDM-PON OLT로 전송된다.
한편, 프로브 광 신호(λp)는 OTDR(3120)로부터 생성되며, 제1 WDM 커플러(3210), 제2 WDM 커플러(3220)과 스플리터(3240)을 통해 가입자 단말(3400) 측으로 전송된다. 광 결합/분기부(3200)와 가입자 단말(3400) 사이의 구간에서 산란 또는 반사된 프로브 반사광은 프로브 광 신호의 역 방향 경로를 통해 OTDR(3120)로 다시 전송된다.
도 8의 수동 광 통신망 시스템은 국사로부터 가입자 단말 간의 광 선로 측정을 위한 것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통신망 시스템은 국사측의 WDM 커플러(3130)와 제1 WDM 커플러(3210) 간에 2-포트 중계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광 선로 감시 기능을 구비하는 중계 장치를 포함하는 수동 광 통신망 시스템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9에 도시된 수동 광 통신망 시스템은 국사(4100), 광 결합/분기부(4200), 광 신호 중계 부(4300) 및 가입자 단말(4400)을 포함한다. 도 9에 도시된 수동 광 통신망 시스템은 도 6과 비교할 때, 중계 장치와 OTDR을 제외하고는 구성이 서로 대응되므로, 이하 공통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는 국사내 장치(4100)와 광 결합/분기부(4200) 사이의 구간 및 광 결합/분기부(4200)와 가입자 단말(4400) 사이의 구간 뿐만 아니라 광 결합/분기부(4200)와 광 신호 중계부 (4300) 사이의 구간까지 망에서 사용되는 전 구간의 광 선로 측정이 필요할 때 적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국사측의 OTDR(4120)는 프로브 광 신호(λp)를 출력하지만, 수신되는 반사 광 신호는 2개의 파장(λp, λp2)을 갖는다. 우선 하향 프로브 광 신호는 OTDR(4120)에서 생성되며, 국사측의 WDM 커플러(4130), 제1 WDM 커플러(4210), 제4 WDM 커플러(4250), 제2 WDM 커플러(4230), 광 신호 중계부 측의 WDM 커플러(4310)을 통해 반사형 파장 변환부(4330)에 입사된다. 이 때, 프로브 광신호(λp)는 국사내 장치(4100)와 광 결합/분기부(4200) 사이의 구간과 광 결합/분기부(4200)와 광 신호 중계부(4300) 사이의 구간에서 산란, 반사되어 프로브 반사광(λp)을 발생시키고, 이 반사광은 프로브 광신호(λp) 전달 경로의 역순으로 OTDR(4120)으로 전달된다.
반사형 파장 변환부(4330)는 프로브 광 신호(λp) 에 대한 파장 변환을 수행하고, 이를 통해 파장 변환된 프로브 광 신호(λp2)를 출력한다. 파장 변환된 프로브 광 신호(λp2)는 광 순환부(4220), 제3 WDM 커플러(4240), 스플리터(4260)을 통 해 가입자 단말로 전송된다.
광 결합/분기부(4200)와 가입자 단말(4400) 사이의 구간에서 산란 또는 반사된 프로브 반사광(λp2)은 스플리터(4260), 광 순환부(4220), 제1 WDM 커플러(4210)을 통해 OTDR(4120)로 전송된다.
프로브 광신호(λp1) 및 파장 변환된 프로브 광신호(λp2)로 인하여 발생한 각각의 반사광(λp, λp2)은 OTDR(4120)에서 하나의 광검출기를 통하여 측정되나, 각각의 반사광이 OTDR(4120)에 도달하는 시간 영역이 서로 겹치지 않기 때문에, 통상적인 OTDR에서 문제 없이 측정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프로브 광 신호를 송출하고 반사되는 광 신호를 측정함으로써, 광 중계장치를 적용한 수동형 광 네트워크에서도 광 선로의 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 또한, 광 신호 중계부에서 광 신호 송수신을 위한 포트를 단일 광 포트(1-port)로 구현하고 이 단일 광 포트를 통해 광 신호 중계부와 커플러 사이를 광케이블로 연결함으로써 2개의 포트 구성에 비하여, 설치되는 광케이블의 양을 절감할 수 있다. 특히 선로 구간을 형성하는 광케이블의 설치 비용보다 중계기의 포트에 커넥터를 이용해 광케이블을 연결하는데 소요되는 광케이블의 설치 비용이 통상적으로 많이 드는 점에 비추어보면 단일 광 포트로 구현된 광 신호 중계부의 이점이 크다고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WDM 커플러는 소형 크기의 수동 소자이므로, 경우에 따라서는 스플리터와 동일한 평판 광 회로(PLC; Planar Lightwave Circuit) 상에 통합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그 구현 비용이 절약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WDM 커플러와, 스플리터 각각을 수동소자로 구현함으로써, 별도의 장비/망 점검, 관리 등을 수행하지 않아도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광 신호 중계기에 원격 관리 기능을 구현함으로써, 장비/망 장애(고장), 오류 발생 등에 관리요원의 상주, 출장 등의 번거로움 없이 국사측에서 능동적으로 원격 관리(원격 제어, 원격 감시)를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TDM-PON 시스템에 대한 일 예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 선로 감시 기능을 구비하는 중계 장치를 포함하는 수동 광 통신망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광 선로 감시 기능을 구비하는 중계 장치를 포함하는 수동 광 통신망 시스템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4는 도 3에서 1-포트 중계부(1250)를 나타내는 상세 구성도이다.
도 5a는 도 3에서 국사측의 WDM 커플러와 중계 장치의 제1 WDM 커플러 사이에 위치할 수 있는 2-포트 중계부의 일 구조를 나타낸다.
도 5b는 도 5a는 도 3에서 국사측의 WDM 커플러와 중계 장치의 제1 WDM 커플러 사이에 위치할 수 있는 2-포트 중계부의 또 다른 구조를 나타낸다.
도 5c는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2-포트 중계부에 대한 상세 구조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광 선로 감시 기능을 구비하는 중계 장치를 포함하는 수동 광 통신망 시스템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7a와 7b는 도 6에서 광 순환부(2220)를 나타내는 세부 구성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광 선로 감시 기능을 구비하는 중계 장치를 포함하는 수동 광 통신망 시스템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광 선로 감시 기능을 구비하는 중계 장치를 포함하는 수동 광 통신망 시스템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Claims (24)

  1. 수동 광 통신망(PON)의 중계 장치에 있어서,
    국사(CO)로부터의 하향 데이터 광 신호, 가입자 단말(ONT)로부터의 상향 데이터 광 신호, 광 신호 중계부로부터의 상향 및 하향 데이터 광신호 및 상기 국사와 상기 가입자 단말 사이의 미리 정해진 구간을 감시하기 위한 프로브 광 신호를 미리 결정된 경로에 따라 결합 또는 분기하는 광 결합/분기부; 및
    상기 광 결합/분기부로부터 상기 하향 데이터 광 신호와 상기 상향 데이터 광 신호를 입력받아 재생하고, 상기 재생된 상향 및 하향 데이터 광 신호를 상기 광 결합/분기부로 전송하는 광 신호 중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광 결합/분기부는
    상기 하향 데이터 광 신호와 상기 프로브 광 신호를 상기 광 신호 중계부로 전송하고, 상기 광 신호 중계부에서 재생된 상향 데이터 광 신호를 상기 국사로 전송하는 제1 광 커플링부; 및
    상기 광 신호 중계부에서 재생되어 상기 제1 광 커플링부로부터 전송된 하향 데이터 광 신호를 상기 가입자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가입자 단말로부터의 상향 데이터 광 신호를 상기 제1 광 커플링부로 전송하는 가입자측 광 결합/분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 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광 신호 중계부는 상기 하향 데이터 광 신호와 상기 상향 데이터 광 신호를 1개의 포트를 통해 입력받아 재생하는 1-포트 중계부를 포함하며,
    상기 1-포트 중계부는 상기 제1 광 커플링부와 연결되고, 상기 하향 데이터 광 신호와 상기 상향 데이터 광 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시키고, 전기적 신호를 입력 받아 광 신호를 생성시키는 광 송수신부; 및
    상기 변환된 전기적 신호를 재생시키고, 상기 재생된 전기적 신호를 상기 광송수신부로 전송하는 재생부를 포함하며,
    상기 광송수신부는 상기 재생된 전기적 신호를 광 신호로 변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광 신호 중계부는
    상기 제1 광 커플링부로부터 상기 하향 데이터 광 신호와 상기 상향 데이터 광 신호 및 상기 프로브 광 신호를 입력 받고, 상기 입력된 신호들을 미리 결정된 경로에 따라 결합 또는 분기하는 제2 광 커플링부;
    상기 제2 광 커플링부로부터 전송된 상기 프로브 광 신호를 입력받아 반사시키는 반사부;
    상기 제 2 광 커플링부로부터 상기 하향 데이터 광 신호와 상기 상향 데이터 광 신호를 1개의 포트를 통해 입력받아 재생하고, 상기 재생된 하향 및 상향 데이 터 광 신호를 상기 제 2 광 커플링부로 전송하는 상기 1-포트 중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광 신호 중계부는
    상기 제1 광 커플링부로부터 상기 하향 데이터 광 신호와 상기 상향 데이터 광 신호 및 상기 프로브 광 신호를 입력 받고, 상기 입력된 신호들을 미리 결정된 경로에 따라 결합 또는 분기하는 제2 광 커플링부;
    상기 제2 광 커플링부로부터 전송된 상기 프로브 광 신호를 입력받아 증폭시키며, 상기 증폭된 프로브 광 신호를 상기 제2 광 커플링부로 전송하는 반사형 광 증폭부;
    상기 제 2 광 커플링부로부터 상기 하향 데이터 광 신호와 상기 상향 데이터 광 신호를 1개의 포트를 통해 입력받아 재생하고, 상기 재생된 하향 및 상향 데이터 광 신호를 상기 제 2 광 커플링부로 전송하는 상기 1-포트 중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 장치.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광 결합/분기부는
    상기 하향 데이터 광 신호를 상기 광 신호 중계부로 전송하고, 상기 광 신호 중계부에서 재생된 상향 데이터 광 신호를 상기 국사로 전송하며, 상기 프로브 광 신호를 가입자 단말측으로 전송하는 제1 광 커플링부; 및
    상기 제1 광 커플링부로부터 전송되며 상기 광 신호 중계부에서 재생된 하향 데이터 광 신호와 제1 광 커플링부로부터 전송되는 프로브 광 신호를 상기 가입자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프로브 광 신호가 광 결합/분기부와 상기 가입자 단말간의 광선로에서 산란 또는 반사됨에 따라 궤환되는 프로브 광 신호와 상기 가입자 단말로부터의 상향 데이터 광 신호를 상기 제1 광 커플링부로 전송하는 가입자측 광 결합/분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 장치.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광 커플링부는
    상기 국사로부터의 하향 데이터 광 신호를 상기 광 신호 중계부측으로 전송하고, 상기 프로브 광 신호를 하향측으로 전송하는 제1 WDM 커플러;
    상기 제1 WDM 커플러로부터 전송된 상기 프로브 광 신호를 상기 가입자측 광 결합/분기부로 전송하며, 상기 가입자측 광 결합/분기부로부터 궤환되는 프로브 광 신호를 상기 제1 WDM 커플러로 전송하는제2 WDM 커플러; 및
    상기 제1 WDM 커플러로부터 전송된 하향 데이터 광 신호를 상기 광 신호 중계부로 전송하고, 상기 광 신호 중계부에서 재생된 하향 데이터 광 신호를 상기 제2 WDM 커플러로 전송하는 제3 WDM 커플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 장치.
  8.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광 커플링부는
    상기 국사로부터의 하향 데이터 광 신호를 상기 광 신호 중계부측으로 전송하고, 상기 프로브 광 신호를 상기 광 신호 중계부측으로 전송하는 제1 WDM 커플 러;
    상기 제2 커플링부로부터 전송되는 재생된 상향 및 하향 데이터 광 신호, 그리고 상기 반사형 광 증폭부로부터 증폭된 프로브 광 신호를 결합/분기하는 제2 WDM 커플러;
    상기 가입자측 광 결합/분기부로부터 전송되는 상향 데이터 광 신호와 상기 증폭된 프로브 광 신호가 광 결합/분기부와 상기 가입자 단말 간의 광선로에서 산란 또는 반사됨에 따라 궤환되는 프로브 광 신호를 결합/분기하는 제3 WDM 커플러;
    상기 제1 WDM 커플러, 상기 제2 WDM 커플러 및 상기 제3 WDM 커플러와 연결되며, 상기 제1 WDM 커플러로부터의 하향 데이터 광 신호를 상기 제2 WDM 커플러에 전달하고, 상기 제2 WDM 커플러로 부터의 하향 데이터 광 신호를 상기 제3 WDM 커플러로 전달하며, 상기 제3 WDM 커플러로부터의 상향 데이터 광 신호를 상기 제2 WDM 커플러로 전달하는 제4 WDM 커플러; 및
    상기 제1 WDM 커플러, 상기 제2 WDM 커플러 및 상기 제3 WDM 커플러로부터 연결되고, 입력되는 광 신호를 미리 결정된 방향으로 순환시키는 광 순환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 장치.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광 순환기는 상기 제1WDM 커플러로부터의 프로브 광 신호를 상기 제2 WDM 커플러로 전송하며, 상기 제2 WDM 커플러를 통해 입사된 상기 반사형 광 증폭부에서 증폭된 프로브 광 신호를 상기 제3 WDM 커플러로 전송하고, 상기 프로브 광 신호가 광 결합/분기부와 상기 가입자 단말 간의 광선로에서 산란 또는 반사됨에 따라 궤환되는 프로브 광 신호를 상기 제1 WDM 커플러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 장치.
  10.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브 광 신호는 미리 결정된 파장을 가지며 상기 국사와 상기 광 신호 중계부 간의 구간 감시를 위한 제1 프로브 광 신호와,
    상기 제1 프로브 광 신호와 서로 다른 파장을 가지며, 상기 광 결합 분기부와 상기 가입자 단말 간의 구간 감시를 위한 제2 프로브 광 신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 장치.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광 신호 중계부는
    상기 제1 광 커플링부로부터 상기 하향 데이터 광 신호와 상기 상향 데이터 광 신호와, 상기 제 1 프로브 광 신호 제 2 프로브 광 신호를 입력 받고, 상기 입력된 신호들을 미리 결정에 따라 결합 또는 분기하는 제2 광 커플링부;
    상기 제2 광 커플링부로부터 전송된 상기 제1 프로브 광 신호를 입력받고, 상기 입력된 제1 프로브 광 신호를 파장 변환을 통해 제2 프로브 광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제2 광 커플링부로 전송하는 반사형 파장 변환부;
    상기 제 2 광 커플링부로부터 상기 하향 데이터 광 신호와 상기 상향 데이터 광 신호를 1개의 포트를 통해 입력받아 재생하고, 상기 재생된 하향 및 상향 데이 터 광 신호를 상기 제 2 광 커플링부로 전송하는 상기 1-포트 중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 장치.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광 커플링부는
    상기 국사로부터의 하향 데이터 광 신호와 제1 프로브 광 신호를 상기 광 신호 중계부측으로 전송하는 제1 WDM 커플러;
    상기 제2 커플링부로부터 전송되는 재생된 상향 및 하향 데이터 광 신호, 그리고 상기 반사형 파장 변환부로부터의 제1 프로브 광 신호와 제2 프로브 광 신호를 결합/분기하는 제2 WDM 커플러;
    상기 가입자측 광 결합/분기부로부터 전송되는 상향 데이터 광 신호와 상기 제2 프로브 광 신호가 상기 가입자 단말에 반사됨에 따라 궤환되는 제2 프로브 광 신호를 결합/분기하는 제3 WDM 커플러;
    상기 제1 WDM 커플러, 상기 제2 WDM 커플러 및 상기 제3 WDM 커플러와 연결되며, 상기 제1 WDM, 커플러로부터의 하향 데이터 광 신호와 제1 프로브 광 신호를 상기 제2 WDM 커플러에 전달하고 상기 제2 WDM 커플러로부터의 하향 데이터 광 신호를 상기 제3 WDM 커플러로 전달하며, 상기 제3 WDM 커플러로부터의 상향 데이터 광 신호를 상기 제2 WDM 커플러로 전달하는 제4 WDM 커플러; 및
    상기 제1 WDM 커플러, 상기 제2 WDM 커플러 및 상기 제3 WDM 커플러로부터 연결되고, 입력되는 광 신호를 미리 결정된 방향으로 순환시키는 광 순환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 장치.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광 순환기는 상기 제2WDM 커플러로부터의 제2 프로브 광 신호를 상기 제3 WDM 커플러로 전송하며, 상기 제2 프로브 광 신호의 제2 반사 광 신호를 상기 제1 WDM 커플러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 장치.
  14. 수동 광 통신망(PON) 시스템에 있어서,
    가입자 단말 측으로 하향 데이터 광 신호를 생성하여 송출하고, 상기 가입자 단말 측으로부터의 상향 데이터 광 신호를 수신하는 광 회선 단말(Optical Line Terminal);
    상기 광 회선 단말과 미리 정해진 검측 지점 사이의 구간을 감시하기 위한 프로브 광 신호를 송출하고, 상기 프로브 광신호가 반사됨에 따른 반사 광 신호를 수신하여 광 선로의 상태를 측정하는 광 선로 측정부;
    상기 하향 데이터 광 신호, 상기 상향 데이터 광 신호 및 상기 프로브 광 신호를 미리 결정된 경로에 따라 결합 또는 분기하는 광 결합/분기부; 및
    상기 광 회선 단말로부터의 하향 데이터 데이터 광 신호와 상기 가입자 단말로부터의 상향 데이터 광 신호를 입력받아 재생하고, 상기 재생된 상향 및 하향 데이터 광 신호를 상기 광 결합/분기부로 전송하는 광 신호 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 광 통신망 시스템.
  15.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광 결합/분기부는
    상기 하향 데이터 광 신호와 상기 프로브 광 신호를 상기 광 신호 중계부로 전송하고, 상기 광 신호 중계부에서 재생된 상향 데이터 광 신호를 상기 광 회선 단말로 전송하는 제1 광 커플링부; 및
    상기 광 신호 중계부에서 재생되어 상기 제1 광 커플링부로부터 전송된 하향 데이터 광 신호를 상기 가입자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가입자 단말로부터의 상향 데이터 광 신호를 상기 제1 광 커플링부로 전송하는 가입자측 광 결합/분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 광 통신망 시스템.
  16.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광 신호 중계부는 상기 하향 데이터 광 데이터 신호와 상기 상향 데이터 광 신호를 1개의 포트를 통해 입력받아 재생하는 1-포트 중계부를 포함하며,
    상기 1-포트 중계부는 상기 제1 광 커플링부와 연결되고, 상기 하향 데이터 광 신호와 상기 상향 데이터 광 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시키고, 전기적 신호를 입력 받아 광 신호를 생성시키는 광 송수신부; 및
    상기 변환된 전기적 신호를 재생시키고, 상기 재생된 전기적 신호를 상기 광송수신부로 전송하는 재생부를 포함하며,
    상기 광 송수신부는 상기 재생된 전기적 신호를 광 신호로 변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 광 통신망 시스템.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광 회선 단말 측에 위치하며, 상기 광 회선 단말과 관련된 상향 및 하향 데이터 광 신호와, 상기 광 선로 측정부와 관련된 상기 프로브 광 신호 또는 반사 광 신호를 미리 결정된 경로에 따라 결합 또는 분기하는 광 회선 단말측 광 커플링부;
    상기 광 회선 단말측 광 커플링부로부터의 하향 데이터 광 신호를 증폭하여 상기 광 결합/분기부 측으로 전송하고, 상기 광 결합/분기부로부터의 상향 데이터 광 신호를 증폭하여 상기 광 회선 단말측 광 커플링부 측으로 전송하는 2-포트 중계부; 및
    상기 2-포트 중계부와 상기 광 결합/분기부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2-포트 중계부로부터의 하향 데이터 광 신호와 프로브 광 신호를 상기 광 결합/분기부로 전송하고, 상기 광 결합/분기부로부터의 상향 데이터 광 신호를 상기 2-포트 중계부로 전달하는 광 결합/분기부측 광 커플링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 광 통신망 시스템.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2-포트 중계부와 병렬적으로 위치하며,
    상기 광 회선 단말측 광 커플링부를 통해 입사되는 프로브 광 신호 또는 광 결합/분기부측 광 커플링부를 통해 입사되며 상기 광 선로 측정부로부터의 프로브 광 신호가 반사되어 궤함됨에 따른 프로브 광 신호를 증폭시키는 양방향 증폭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 광 통신망 시스템.
  19.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2-포트 중계부는
    상기 광 회선 단말측 광 커플링부로부터의 하향 데이터 광 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고, 입력되는 전기적 신호를 광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광 회선 단말측 광 커플링부로 전송하는 제1 광 송수신부;
    상기 광 결합/분기부로부터의 상향 데이터 광 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고, 입력되는 전기적 신호를 광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광 결합/분기부 측으로 전송하는 제2 광 송수신부;
    상기 제1 광 송수신부로부터 전송된 전기적 신호에 대한 잡음 제거와 손실 보상을 수행하여 상기 제2 광 송수신부에 전송하는 하향 신호 재생부; 및
    상기 제2 광 송수신부로부터 전송된 전기적 신호에 대한 잡음 제거와 손실 보상을 수행하여 상기 제1 광 송수신부에 전송하는 상향 신호 재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형 광 통신망 시스템.
  20.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광 신호 중계부는
    상기 제1 광 커플링부로부터 상기 하향 데이터 광 신호와 상기 상향 데이터 광 신호 및 상기 프로브 광 신호를 입력 받고, 상기 입력된 신호들을 미리 결정된 경로에 따라 결합 또는 분기하는 제2 광 커플링부;
    상기 제2 광 커플링부로부터 전송된 상기 프로브 광 신호를 입력받아 반사시 키는 반사부; 및
    상기 광 회선 단말로부터의 하향 데이터 광 신호와 상기 가입자 단말로부터의 상향 데이터 광 신호를 1개의 포트를 통해 입력 받아 재생하여 재생된 하향 및 상향 데이터 광 신호를 생성하는 1-포트 중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 광 통신망 시스템.
  21.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광 신호 중계부는
    상기 제1 광 커플링부로부터 상기 하향 데이터 광 신호와 상기 상향 데이터 광 신호 및 상기 프로브 광 신호를 입력 받고, 상기 입력된 광 신호들을 미리 결정된 경로에 따라 결합 또는 분기하는 제2 광 커플링부;
    상기 제2 광 커플링부로부터 전송된 상기 프로브 광 신호를 입력받아 증폭시키며, 상기 증폭된 프로브 광 신호를 상기 제2 광 커플링부로 전송하는 반사형 광 증폭부;
    상기 제 2 광 커플링부로부터 상기 하향 데이터 광 신호와 상기 상향 데이터 광 신호를 1개의 포트를 통해 입력받아 재생하고, 상기 재생된 하향 및 상향 데이터 광 신호를 상기 제 2 광 커플링부로 전송하는 상기 1-포트 중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 광 통신망 시스템.
  22.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광 결합/분기부는
    상기 하향 데이터 광 데이터 광 신호를 상기 광 신호 중계기로 전송하고,
    상기 광 신호 중계부에서 재생된 상향 데이터 광 신호를 상기 광 회선 단말로 전송하며, 상기 프로브 광 신호를 상기 가입자 단말측으로 전송하는 제1 광 커플링부; 및
    상기 제1 광 커플링부로부터 전송되며 상기 광 신호 중계부에서 재생된 하향 데이터 광 신호와 제1 광 커플링부로부터 전송되는 프로브 광 신호를 상기 가입자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프로브 광 신호가 광 결합/분기부와 상기 가입자 단말간의 광선로에서 산란 또는 반사됨에 따라 궤환되는 프로브 광 신호와 상기 가입자 단말로부터의 상향 데이터 광 신호를 상기 제1 광 커플링부로 전송하는 가입자측 광 결합/분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 광 통신망 시스템.
  23.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브 광 신호는 미리 결정된 파장을 가지며 상기 광 회선 단말과 상기 광 신호 중계부 간의 구간 감시를 위한 제1 프로브 광 신호와,
    상기 제1 프로브 광 신호와 서로 다른 파장을 가지며, 상기 광 결합/분기부와 상기 가입자 단말 간의 구간 감시를 위한 제2 프로브 광 신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 광 통신망 시스템.
  24. 제23 항에 있어서, 상기 광 신호 중계부는
    상기 제1 광 커플링부로부터 상기 하향 데이터 광 신호와 상기 상향 데이터 광 신호와, 상기 제 1 프로브 광 신호 및 제 2 프로브 광 신호를 입력 받고, 상기 입력된 신호들을 미리 결정된 경로에 따라 결합 또는 분기하는 제2 광 커플링부;
    상기 제2 광 커플링부로부터 전송된 상기 제1 프로브 광 신호를 입력받고, 상기 입력된 제1 프로브 광 신호를 파장 변환을 통해 제2 프로브 광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제2 광 커플링부로 전송는 반사형 파장 변환부; 및
    상기 제 2 광 커플링부로부터 상기 하향 데이터 광 신호와 상기 상향 데이터 광 신호를 1개의 포트를 통해 입력받아 재생하고, 상기 재생된 하향 및 상향 데이터 광 신호를 상기 제 2 광 커플링부로 전송하는 상기 1-포트 중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 광 통신망 시스템.
KR1020090085315A 2009-09-10 2009-09-10 광 선로 감시 기능을 구비한 중계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수동 광 통신망 시스템 KR1011455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5315A KR101145500B1 (ko) 2009-09-10 2009-09-10 광 선로 감시 기능을 구비한 중계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수동 광 통신망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5315A KR101145500B1 (ko) 2009-09-10 2009-09-10 광 선로 감시 기능을 구비한 중계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수동 광 통신망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7294A true KR20110027294A (ko) 2011-03-16
KR101145500B1 KR101145500B1 (ko) 2012-05-16

Family

ID=439341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85315A KR101145500B1 (ko) 2009-09-10 2009-09-10 광 선로 감시 기능을 구비한 중계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수동 광 통신망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4550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18699A (ko) * 2018-04-10 2019-10-21 (주)노티스 광학적 시간 영역 반사 측정기를 이용한 광선로 원거리 노드 식별 시스템 및 그에 사용되는 원거리 노드 모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270526B2 (en) 2016-11-07 2019-04-23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Apparatus and method for monitoring status of terminal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9886B1 (ko) * 2008-03-19 2010-03-25 주식회사 케이티 Tdm-pon 기반의 원격 중계 장치 및 그 시스템
KR20100045146A (ko) * 2008-10-23 2010-05-03 주식회사 케이티 Tdm-pon 기반의 단일 광 포트를 구비한 원격 중계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18699A (ko) * 2018-04-10 2019-10-21 (주)노티스 광학적 시간 영역 반사 측정기를 이용한 광선로 원거리 노드 식별 시스템 및 그에 사용되는 원거리 노드 모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45500B1 (ko) 2012-05-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71676B1 (ko) 수동형 광 가입자 망에서 장애 검출 방법 및 검출 장치, 및그 검출 장치를 구비한 수동형 광 가입자 망
TWI406526B (zh) 用於光網路監控及錯誤檢測之光信號切換模組
CN101197638B (zh) 混合型无源光网络系统
US9020349B2 (en) Arrangement at a remote node, a remote node, a central office and respective methods therein for supervision of a wavelength division multiplexed passive optical network
US9410866B2 (en) Device for monitoring an optical fibre
JP2004112763A (ja) 波長分割多重方式手動型光加入者網システム(wavelengthdivisionmultiplexing−passiveopticalnetwork)
JP2008517529A (ja) ファイバの使用、距離、および帯域の改善を伴うトランク保護を提供する電気通信事業者クラスのwdmpon用のシステムおよび装置
KR20060038784A (ko) 루프백 형 파장분할다중방식의 수동형 광 네트워크의 장애관리 장치 및 방법
CN102821330A (zh) 一种不影响业务进行otdr测试的wdm-pon系统
Maier Survivability techniques for NG-PONs and FiWi access networks
RU2563801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риема оптического входного сигнала и передачи оптического выходного сигнала
CN101682458A (zh) 使用无源dpsk解调的光pon网络
KR101145500B1 (ko) 광 선로 감시 기능을 구비한 중계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수동 광 통신망 시스템
KR100594902B1 (ko) 링 타입 광 전송 시스템
US20050259988A1 (en) Bi-directional optical access network
JP2007535237A (ja) 波長分割多重化方式の受動光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CN103916206A (zh) 具有互保护机制的双wdm-pon网络体系结构和方法
MacHale et al. 10Gb/s bidirectional transmission in a 116km reach hybrid DWDM-TDM PON
KR100594900B1 (ko) 다중링 구조 파장 분할 다중화 방식 수동 광 네트워크시스템
TWI472171B (zh) Detection Method and Device for Lightning Mode Modulus FP Laser Spurious Wave Multiplication Passive Optical Network Loop Break
KR100628927B1 (ko) 파장 분할 다중화 방식 수동 광 네트워크 시스템의 신호손실 보상장치
JP5978174B2 (ja) 中継器
US20080075461A1 (en) Wavelength Division Multiplexing Passive Optical Network System Adopted Dual Central Office
KR20090100083A (ko) Tdm-pon 기반의 원격 중계 장치 및 그 시스템
KR20100045146A (ko) Tdm-pon 기반의 단일 광 포트를 구비한 원격 중계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2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