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27141A - 휴대폰 케이스 - Google Patents

휴대폰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27141A
KR20110027141A KR1020090085095A KR20090085095A KR20110027141A KR 20110027141 A KR20110027141 A KR 20110027141A KR 1020090085095 A KR1020090085095 A KR 1020090085095A KR 20090085095 A KR20090085095 A KR 20090085095A KR 20110027141 A KR20110027141 A KR 201100271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phone
case
phone case
plate
back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850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98523B1 (ko
Inventor
신기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뉴빛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뉴빛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뉴빛
Priority to KR10200900850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98523B1/ko
Priority to US12/688,169 priority patent/US20110059781A1/en
Publication of KR201100271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271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85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85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88Arrangements for carrying or protecting transceiv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5/00Rigid or semi-rigid luggage
    • A45C5/06Rigid or semi-rigid luggage with outside compartment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5/00Holders or carriers for hand articles; Holders or carriers for use while travelling or camping
    • A45F5/02Fastening articles to the garment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2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5/00Holders or carriers for hand articles; Holders or carriers for use while travelling or camping
    • A45F5/02Fastening articles to the garment
    • A45F2005/025Fastening articles to the garment with a holder or item rotatably connected to the fastening device, e.g. having a rotation axis perpendicular to the garment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F
    • A45F2200/05Holder or carrier for specific articles
    • A45F2200/0516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5/00Holders or carriers for hand articles; Holders or carriers for use while travelling or camping
    • A45F5/02Fastening articles to the garment
    • A45F5/021Fastening articles to the garment to the bel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벨트클립부가 구비된 휴대폰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휴대폰의 배면에 닿도록 형성되는 배면판과, 배면판의 하단에서 연결되어 수납 공간을 형성하는 전면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전면판이 양분되도록 하는 절개홈이 형성되고, 상기 배면판 및 전면판의 내부에 지지부재가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손을 이용하여 손쉽게 휴대폰 케이스로부터 휴대폰을 분리할 수 있게 하며, 휴대폰 케이스의 형태가 그 표면 소재와 큰 관계없이 일정한 형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휴대폰 케이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휴대폰 케이스, 벨트클립, 전면판, 절개홈, 배면판, 지지부재, 고정부, 덮개

Description

휴대폰 케이스 { CELLULAR PHONE CASE }
본 발명은 휴대폰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특히 벨트클립이 구비되어 이를 통해 허리에 고정되어 활동성에 지장을 받지 않고, 안정성을 유지하면서 휴대폰을 수납하는 공간을 가지는 핸드폰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정보 통신 기술의 발달로 휴대폰은 현대인에게 반드시 있어야 할 물품이 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휴대폰이 단순히 전화를 걸고 받는 기능만을 수행하는 것이 아니라 DMB, 카메라 또는 MP3 등이 장착되어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고 있고, 휴대폰을 새로운 첨단 장비의 하나로 인식하거나 패션의 일부분으로 보아 고가임에도 불구하고 자주 교체하는 사람들도 늘고 있다.
현재 사람들이 일반적으로 휴대폰을 소지하고 있는 상황을 보면 손에 들고 다니거나 목이나 손목 등에 걸거나 또는 가방, 핸드백 또는 호주머니 등에 넣어서 다니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휴대폰을 손에 들고다니는 경우 이를 잃어버리거나, 떨어뜨려서 휴대폰에 손상이 가는 경우가 많이 있고 다른 일을 동시에 수행하는데에도 불편함이 많다.
목이나 손목 등에 걸고 다니는 경우에도 외부와 부딪치는 경우가 많이 있고, 들고 다니는 것과 마찬가지로 다른 행동을 하는데 불편함을 주며, 가방 등에 보관하는 경우에는 특히 진동으로 되어 있는 경우 진동을 잘 느낄 수 없어 전화를 못 받는 경우가 있을 수 있고, 가방을 다른 데 두고 일을 처리하는 경우 급한 전화가 왔을 때 신속히 대처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이런 문제들을 위해 클립구조 등을 이용하여 벨트 등에 고정시켜 분실이나 휴대폰에 충격이 가해져 손상을 입는 것을 방지하고, 진동이나 벨소리에 쉽게 대처할 수 있으며 활동성에도 도움을 주는 휴대폰 케이스가 등장하였다.
특히 최근의 국내의 휴대폰 시장에서 슬림폰과 컬러폰이 주력 제품으로 떠오고 있는 가운데, 그동안 중년 남자들의 전유물로 여겨졌던 허리에 차는 가죽 휴대폰 케이스가 화려하게 변신하면서 젊은 층에 좋은 반응을 얻고 있기 때문에 이러한 물품의 판매량은 최근 급증하고 있으며 이제 휴대폰 케이스는 이제 보조 물품이 아닌 필수품으로 자리 잡고 있다.
그러나 이렇게 벨트에 고정되어 휴대폰을 수납하는 휴대폰 케이스의 경우, 분실의 위험을 막고 활동성 및 안정성도 확보할 수 있지만, 케이스 내부가 휴대폰 두께보다 조금 더 크게 설계되어 휴대폰이 내부에 어느 정도 끼게 되므로, 휴대폰을 인출하고자 하는 경우 손을 사용하여 쉽게 꺼낼 수 없어 오히려 케이스를 분리하여 뒤집은 후, 핸드폰을 인출하는 것이 더 편리한 경우가 많으며, 휴대폰을 다시 수납하고자 하는 경우에도 직접 케이스 내부에 휴대폰을 넣을 때 불편함이 있고, 이러한 과정에서 휴대폰을 떨어뜨리거나 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케이스 자체의 심미성이나 충격 흡수, 안전성 등을 고려하여 어느 정도 단단한 가죽 소재로 제조하는 경우가 보통인데, 이러한 경우 케이스의 외부 형태가 고정되지 않아 휴대폰을 넣고 빼는 데 불편함이 있으며, 강한 변형력이 작용하거나, 사용 시간이 많아질수록 케이스의 형태가 변형되어 사용이 어려워지기도 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폰을 손을 이용하여 손쉽게 휴대폰 케이스로부터 휴대폰을 분리할 수 있도록 하며, 휴대폰 케이스의 형태가 그 표면 소재와 큰 관계없이 일정한 형태를 유지할 수 있는 휴대폰 케이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는, 벨트클립부가 구비된 휴대폰 케이스에 있어서, 일측면에 휴대폰이 밀착되고, 타측면에 상기 벨트클립부가 결합되는 배면판;상기 배면판의 하단에서 연결되어 수납 공간을 형성하는 전면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전면판이 양분되도록 하는 절개홈이 형성되고, 상기 배면판 및 전면판의 내부에 지지부재가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케이스가 제공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첫째, 전면판을 양분하는 절개홈이 형성됨으로써 휴대폰을 인출하는 경우에 손가락을 넣어 휴대폰을 밀어 올려 틈을 만들어 휴대폰을 파지하고 개방부를 통해서 휴대폰을 하나의 동작으로 꺼낼 수 있어 갑작스런 전화나 급한 전화에 대응하기 용이하며, 휴대폰을 넣을 때도 절개홈 사이의 공간을 통해 휴대폰을 손가락으로 받치고 밀어 넣을 수 있어 휴대폰을 떨어뜨릴 염려가 없으며 수납에 있어 용이하다.
둘째, 종래의 휴대폰 케이스의 경우에도 분실의 위험을 막고 활동성 및 안정 성을 갖추고 있지만, 케이스 내부는 휴대폰이 내부에 어느 정도 끼어 있는 상태가 되도록 휴대폰 두께보다 조금 더 크게 설계되므로, 사용 후 휴대폰을 케이스에 다시 수납하고자 하는 경우 개방부에서 휴대폰을 케이스 내부에 넣는 데 어려움이 있었으나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배면판과 전면판의 내부에 단단하고 어느 정도의 탄성을 가지는 지지부재가 개재되고, 배면판의 상단에서 곡면을 이루도록 연장 형성되며, 내부에 개재된 지지부재가 연장 형성되어 핸드폰을 내부에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부를 포함하여, 휴대폰이 케이스 내부에 고정되도록 하면서 휴대폰을 케이스에 다시 수납하려고 할 때, 배면 상단 쪽을 살짝 밀어 쉽게 끼워 넣을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이 제시하는 휴대폰 케이스에는 수납 공간을 형성하고, 형태를 결정하는 배면판과 전면판의 내부에 형태를 유지하는 지지부재가 개재됨으로써, 셋째, 가죽 등의 소재만으로 휴대폰 케이스를 만드는 경우에 발생하는 과도한 변형을 막아주고, 넷째, 기존의 휴대폰 케이스에서 기본 형태를 구성하는 전면판, 배면판 등 구성들을 따로 봉합하는 등의 공정 없이 전면판과 배면판이 이어져 있어 케이스 내부의 수납공간을 쉽게 만들 수 있다.
다섯째, 휴대폰 케이스를 제조하는데 있어, 안정성을 고려한 단단한 소재를 사용하지 않고도 일정한 형태를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미적인 면에서도 뛰어나고 표면을 다양한 디자인으로 가공하기 쉬우며,
여섯째, 지지부재는 매우 단단한 재료로 만들지만 어느 정도의 탄성을 주어 전체의 형태를 유지하면서도 휴대폰의 수납과 분리에 간편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케이스(1)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서 도시된 휴대폰 케이스(1)의 우측에서 바라본 측단면도이며, 도 3은 도 1에서 도시된 휴대폰 케이스(1)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과 도 2를 함께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케이스 (1)를 살펴보면, 배면판(11) 및 전면판(12)의 내부에 형태 유지를 위한 U 자형의 지지부재(15)가 개재되어 있고, 배면판(11) 및 전면판(12)이 일체로 구성되어 수납 공간을 형성하며, 내부에서 개방부(14)를 통해 휴대폰이 이격되지 않도록 고정시키는 고정부(100)를 구비한다.
또한 휴대폰이 수납된 상태에서 옆으로 빠지지 않게 하고, 휴대폰 케이스(1)의 과도한 변형을 방지하기 위한 좌측판(13a)과 우측판(13b)이 배면판(11)과 전면판(12) 사이의 측면에 접합 되어 있으며, 배면판의 하단에서 연결되어 수납 공간을 형성하는 전면판(12)에는 휴대폰을 케이스의 외부에서 용이하게 손으로 잡아 휴대폰 케이스(1)로부터 분리할 수 있도록 전면판(12)을 양분하는 절개홈(300)이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케이스(1)에는, 전면판(12)의 상단까지 상술한 절개홈(300)이 형성되어, 휴대폰을 꺼내고자 하는 경우 직접 육안으로 확인하지 않고도, 절개홈(300) 사이를 통해 손가락을 사용하여 휴대폰을 밀어 올려 틈을 만들고 휴대폰을 파지하여 개방부(14)를 통해 휴대폰을 한번에 꺼낼 수 있어, 갑작스런 전화나 급한 전화에 대응하기 용이하며, 휴대폰을 수납할 때도 절개홈(300) 사이의 공간을 통해 휴대폰을 손가락으로 받치고 밀어 넣을 수 있어 휴대폰을 떨어뜨릴 염려가 없고 수납이 용이하다.
절개홈(300)의 크기는 손가락을 이용하여 인출 및 수납에 있어 용이하게 하며, 휴대폰의 전면을 가압하여 안전하게 내부 공간에 수납하는 전면판(12)의 기능을 고려하여 성인 남성의 엄지 손가락 두께보다 약간 큰 정도로 형성한다.
휴대폰 케이스(1)의 배면판(10), 전면판(12) 및 좌·우측판(13a, 13b)을 구성하는 소재는, 적당한 두께를 가지고 휴대폰을 수납할 수 있을 만큼의 강도를 가진 가죽, 인조비닐 등 물품을 수납할 수 있는 재질이면 어떤 것이라도 가능하다.
휴대폰 케이스(1)의 배면판(11)과 전면판(12)의 내부에는 지지부재(15)가 개재되어 있는데, 이러한 지지부재(15)는 U 자형의 기본 형태를 가지고, 배면판(11)의 상단부터 전면판(12)의 상단까지 개재되어 있으며, 이를 통해 휴대폰이 수납되는 공간이 배면판(11)과 전면판(12)사이에 형성된다.
지지부재(15)는 변형을 방지하고, 형태를 유지하는 기능이 발휘되면서 구성하는 소재의 탄성, 연성, 재질 특성 등을 충분히 나타내도록 양분된 전면판(12)의 각각의 폭보다는 작은 폭으로 하여 개재된다.
이러한 지지부재(15)는 철판이나 플라스틱 등을 성형하여 제작할 수 있고, 강도가 강하여 파손의 위험이 적으면서 약간의 탄성이 있는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지부재(15)는 외부의 충격에 의해서나, 휴대폰 케이스(15)를 구성하는 소재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강도가 약해져 형태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여 형태를 유 지하도록 해줌으로써 휴대폰 케이스(1)의 기능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도와주고, 휴대폰 케이스(1)를 휴대폰을 내부에 수납한 상태에서 벨트 등에 고정하여 장착한 경우에 휴대폰의 무게 등에 의해 벨트 등이 아래로 쳐지는 것 등을 방지해준다.
휴대폰 케이스(1)에는 휴대폰이 내부에서 바깥쪽으로 잘 빠지지 않도록 고정하는 구조를 구비하는데, 도 1 내지 도 3이 도시하는 실시예에서는 배면판(11)의 상단에서 위쪽으로 연장되어 전면판(12) 방향으로 곡면을 이루도록 형성되며, 상기 연장된 부분의 내부에 지지부재(15)가 연장 형성되어 개방부 (14)를 가림으로써 휴대폰을 내부에 고정시키는 고정부(100)를 구비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지지부재(15)가 내부에 개재된 고정부(100)를 구비함으로써, 휴대폰이 수납된 상태에서 개방부(14)를 폐쇄하는 덮개 등의 특별한 구조 없이도 휴대폰은 안정적으로 수납된다.
그리고 이러한 고정부(100)를 구비한 상태에서 휴대폰을 다시 수납하고자 하는 경우를 살펴보면, 휴대폰 케이스(1)에 휴대폰이 수납된 경우에는 휴대폰이 내부에 꽉 끼게 고정되는 구조이지만, 지지부재(15) 자체가 약간의 탄성을 있을 뿐 아니라 표면을 구성하는 소재도 유연성과 탄성이 있으므로, 휴대폰을 상기 고정부 (100) 부근에서 배면판(11) 쪽으로 살짝 밀어 고정부(100)의 곡면을 따라 용이하게 휴대폰을 수납할 수 있고, 이 과정에서 절개홈(300) 사이로 손을 이용하여 휴대폰 아랫부분을 받치고 수납할 수 있어 휴대폰을 떨어뜨려 기능이 손상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휴대폰을 케이스로부터 꺼내어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도 소재나 지지부재 (15) 자체의 탄성을 이용하여 개방부(14)를 통해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으며, 상술한 바대로 홈(100)을 이용하여 휴대폰을 개방부(14)쪽으로 밀어올린 후, 고정부(100)의 곡면을 이용하여 쉽게 파지하여 떨어뜨릴 염려가 없고, 보조 동작없이 한번에 휴대폰의 인출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휴대폰 케이스(1)가 벨트의 일정 지점에 안정적으로 고정되기 위한 벨트클립부(400)가 구비되어야 하는 바, 도 1 내지 도3에서 도시한 일 실시예에서는 배면판(11)의 후면에 벨트클립부(400)가 위치한다.
벨트클립부(400)는 상기의 절개홈(300)과 마주보는 배면판(11)의 후면에 접합하여 구비되고 약간의 탄성을 가진 강한 강도의 소재를 이용해 벨트에 밀착되어 고정되고 핸드폰의 무게에 의해 아래로 쳐지거나 하지 않도록 하며, 벨트클립부(400)가 휴대폰 케이스(1)에 대해 일정 각도만큼 회전시켜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상술한 바대로 벨트클립부(400)가 회전하여 고정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벨트에 밀착된 휴대폰 케이스(1)를 벨트에 고정한 채, 전·후방으로 기울여 휴대폰을 인출하거나 수납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케이스(2)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에서 도시된 휴대폰 케이스(2)의 우측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며, 도 6는 도 4에서 도시된 휴대폰 케이스(2)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을 함께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케이스(2)에 대해 살펴보면, 도 1에서 도시된 휴대폰 케이스(1)와 마찬가지로 배면판(21)의 상단부터 전면판(22)의 상단까지의 내부에 U 자형의 지지부재(25)가 개재된 상태로 배면판(21), 전면판(22)이 일체로 구성되어 수납 공간을 형성하고, 휴대폰이 수납된 상태에서 옆으로 빠지지 않도록 하기 위한 좌측판(23a)과 우측판(23b)이 배면판(21)과 전면판(22)의 측면에 접합되어 있다.
휴대폰 케이스(2)에는 휴대폰이 개방부(24)를 통해 바깥쪽으로 잘 빠지지 않도록 내부에 고정되게 하는 구조를 구비하는데, 도 4 내지 도 6이 도시하는 실시예에서는 배면판(21)의 상단에 연결되는 호형의 연결부(210)와, 연결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전면판을 덮을 수 있는 덮개(220)로 이루어지는 덮개부(200)가 구비된다.
또한 도 1과 마찬가지로, 휴대폰이 외부에서 손으로 잡아 개방부(24)를 통해 휴대폰 케이스(2)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도록, 전면판(22)을 양분하여 절개홈(300)을 형성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케이스(2)에는 상술한 홈(300)이 형성되어 있어, 휴대폰을 꺼내고자 하는 경우 덮개(220)를 연 후, 절개홈(300)사이를 통해 손가락을 사용하여 휴대폰을 밀어 올려 틈을 만들어 휴대폰을 파지하여 개방부(24)를 통해 휴대폰을 쉽게 꺼낼 수 있고, 휴대폰을 넣을 때도 홈(300) 사이의 공간을 통해 휴대폰을 손가락으로 받치고 밀어 넣을 수 있어 휴대폰을 떨어뜨릴 염려가 없으며 수납이 용이하다.
상기와 같이 덮개부(200)를 구비함으로써 좌측판(23a)과 우측판(23b)과 함께 휴대폰이 케이스의 내부에 수납된 상태에서 빠지거나 하는 위험을 막을 수 있다.
이러한 덮개부(200)를 구비한 상태에서 휴대폰을 다시 수납하는 경우에, 휴대폰을 개방부(24)에서 연결부(210)쪽으로 밀어넣어 용이하게 휴대폰을 수납할 수 있고, 이 과정에서 홈(300)사이로 손을 이용하여 휴대폰을 받치고 내부에 수납함으로써 휴대폰을 떨어뜨려 기능이 손상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상기의 휴대폰 케이스(2)의 덮개(220)를 전면판(22)에 부착하는 방법으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내부에 삽입되는 지지부재(25)가 자성체로 이루어지고, 덮개(220)에는 형태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기능 및 자석의 기능을 할 수 있는 소재를 개재하여 특별한 조작 없이 자기력을 이용하여 덮개(220)와 전면판(22)에 용이하게 탈착되게 하고 있으며, 그 외에도 덮개(220)와 전면판(22)이 만나는 부분에 벨크로 구조나 똑딱이를 설치하는 등 만나는 부분이 쉽게 탈착 가능한 방법들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도면 1의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휴대폰 케이스(2)의 표면을 이루는 소재는 적당한 두께를 가지고 휴대폰을 수납할 수 있을 만큼의 강도를 가진 가죽, 인조비닐 등 물품을 수납할 수 있는 재질이면 어떤 것이라도 가능하며, 휴대폰 케이스(2)에 내부에는 지지부재(25)가 삽입되어 있는데, 이러한 지지부재(25)는 U 자형의 기본 형태를 가지고, 배면(21)의 상단부터 전면판(22) 상단까지의 내부에 개재되어 있으며 이를 통해 휴대폰이 수납되는 공간이 자연스럽게 일체로서 형성되게 된다.
이러한 지지부재(25)는 철판, 고분자 화합물인 플라스틱 등 강도가 강하면서 약간의 탄성이 있는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휴대폰 케이스(2)를 구성 하는 소재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강도가 약해져 형태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여 휴대폰 케이스(2)의 수납 기능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도와주게 되고, 휴대폰 케이스(2)를 휴대폰을 내부에 수납한 상태에서 벨트에 고정하여 장착한 경우에 휴대폰의 무게 등에 의해 벨트 등이 아래로 쳐지는 것 등을 방지해준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도 도면 1 내지 3에서 도시된 바대로, 휴대폰 케이스(2)가 벨트의 일정 지점에 안정적으로 고정되기 위한 벨트클립부(400)가 배면판(21)의 후면에 구비된다.
벨트클립부(400)는 상기의 절개홈(300)과 마주보는 배면판(21)의 후면에 접합하여 구비되고 약간의 탄성을 가진 강한 강도의 재료를 이용해 벨트에 밀착되어 고정되고, 바람직하게는 벨트클립부(400)를 휴대폰 케이스(2)에 대해 회전하여 고정될 수 있게 하는 각도 조절부를 포함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경우, 벨트클립부(400)는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90˚까지 회전이 가능하게 설계된다.
각도 조절부를 이용하여 벨트클립부(400)를 회전하여 고정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벨트에 밀착된 휴대폰 케이스(2)를 벨트에 고정한 채, 휴대폰 케이스(1)를 전·후방으로 기울여 휴대폰을 인출하거나 수납할 수 있다.
도 7 (a)는 상술한 본 발명에서의 벨트클립부(400)가 고정되어 있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고, (b)는 벨트클립부(400)가 90˚만큼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고정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의 (a)는 도 1 내지 도 3에서 도시된 휴대폰 케이스(1)의 배면판(11)의 후면에 벨트클립부(400)와 인접하여 젠더나 USB 메모리와 같은 물품을 내부에 수납할 수 있는 포켓(pocket)(11a)이 구비된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b)는 배면판(11)의 전면에 스타일러스펜 등을 수납할 수 있는 홀더(11b)가 구비된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의 (a)는, 도 8과 동일하게, 도 4 내지 도 6에서 도시된 휴대폰 케이스(2)의 배면판(21)의 후면에 벨트클립부(400)와 인접하여 젠더나 USB 메모리와 같은 물품을 내부에 수납할 수 있는 포켓(pocket)(21a)이 구비된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b)는 배면판(21)의 전면에 스타일러스펜 등을 수납할 수 있는 홀더(21b)가 구비된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최근의 생산되는 휴대폰의 경우, 배터리 충전을 할 수 있는 충전기는 동일한 규격으로 생산되지만, 휴대폰의 종류에 따라 다른 젠더를 사용하여 충전기에 연결하여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어서 젠더만을 소지하더라도 충전기는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어 편리하게 휴대폰을 충전할 수 있다.
또한 터치패드 형식 등 신기술을 이용한 휴대폰이 일상화되어가고 있고, DMB 등 첨단 기기의 사용이 증가하면서 스타일러스펜의 효용성도 높아지고 있으며, 업무상의 모든 데이터가 컴퓨터로 처리되고, 그러한 데이터들의 보관이나 활용 등을 위한 USB 메모리의 사용도 급증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의 제품과 같은 경우, 상당히 작아서 주머니나 가방에 넣어서 보관하기 어려울 뿐 아니라 손상이 쉬워 소지가 어렵고, 항상 분실의 위험이 존재하므로 중요한 물품임에도 불구하고 마땅히 따로 수납할 수 있는 공간이 부족하였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 1에서 도시된 일 실시예와 도 2에서 도시된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핸드폰 케이스의 벨트클립부(400) 양 옆의 공간을 활용하여 작은 물품이 수납 가능한 포켓이 구비되고, 수납 공간 윗부분에 스타일러스 펜 등을 고정할 수 있는 홀더가 구비된 실시예가 도 8 및 도 9에서 도시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케이스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서 도시된 휴대폰 케이스의 우측에서 바라본 측단면도,
도 3은 도 1에서 도시된 휴대폰 케이스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케이스의 사시도,
도 5는 도 4에서 도시된 휴대폰 케이스의 우측에서 바라본 측단면도,
도 6은 도 4에서 도시된 휴대폰 케이스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구비되는 벨트클립부가 고정되어 있는 상태와 90˚만큼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고정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의 내부에 물품을 수납할 수 있는 구조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휴대폰 케이스에 구비된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내부에 물품을 수납할 수 있는 구조가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휴대폰 케이스에 구비된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2 : 휴대폰 케이스
11, 21 : 배면판
12, 22 : 전면판
13a, 23a : 좌측판
13b, 23b : 우측판
14, 24 : 개방부
15, 25 : 지지부재
100 : 고정부
200 : 덮개부
210 : 연결부
220 : 덮개
300 : 절개홈
400 : 벨트클립부

Claims (6)

  1. 벨트클립부가 구비된 휴대폰 케이스에 있어서,
    일측면에 휴대폰이 밀착되고, 타측면에 상기 벨트클립부가 결합되는 배면판;
    상기 배면판의 하단에서 연결되어 수납 공간을 형성하는 전면판;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전면판이 양분되도록 하는 절개홈이 형성되고,
    상기 배면판 및 전면판의 내부에 지지부재가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케이스.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클립부는, 상기 배면판에 결합되어 회전가능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케이스.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면판의 상단에서 곡면을 이루도록 연장 형성되고, 내부에 상기 지지부재가 연장 형성되는 고정부;가 더 포함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케이스.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면판의 상단에 연결되는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전면판을 덮을 수 있는 덮개로 이루어지는 덮개부;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케이스.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와 지지부재 간에 자기력이 작용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케이스.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면판에는, 상기 벨트클립부에 인접하여 형성되도록 이루어지는 수납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케이스.
KR1020090085095A 2009-09-09 2009-09-09 휴대폰 케이스 KR1010985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5095A KR101098523B1 (ko) 2009-09-09 2009-09-09 휴대폰 케이스
US12/688,169 US20110059781A1 (en) 2009-09-09 2010-01-15 Cellular phone holster cas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5095A KR101098523B1 (ko) 2009-09-09 2009-09-09 휴대폰 케이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7141A true KR20110027141A (ko) 2011-03-16
KR101098523B1 KR101098523B1 (ko) 2011-12-26

Family

ID=436481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85095A KR101098523B1 (ko) 2009-09-09 2009-09-09 휴대폰 케이스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10059781A1 (ko)
KR (1) KR10109852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83423A (ko) * 2016-01-08 2017-07-18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클립식 보조배터리
KR102192728B1 (ko) * 2019-10-24 2020-12-17 김인동 핸드폰 간편 휴대 수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292268A1 (en) * 2012-05-01 2013-11-07 Joseph Basmaji Personal Device Case
DE102013004442A1 (de) * 2012-05-30 2013-12-05 Peiker Acustic Gmbh & Co. Kg Mobiltelefonintegrationssystem
US20140252054A1 (en) * 2013-03-06 2014-09-11 Yu Long Zhang Cell Phone Holster
JP6488542B2 (ja) * 2013-12-26 2019-03-27 キヤノンマーケティングジャパン株式会社 ホルダーケース
USD858525S1 (en) * 2016-11-15 2019-09-03 Workaround Gmbh Barcode scanner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3233A (ja) * 1996-07-26 1998-02-10 Marugo Shoten:Kk 所持品携帯ケース
US20060226039A1 (en) * 2005-03-29 2006-10-12 A.G. Findings & Mfg. Co., Inc. Holster for cell phone or device with molded acoustic vents
US7988020B2 (en) * 2005-05-02 2011-08-02 Medonyx Inc. Wearable disinfecting gel dispenser
US7523012B2 (en) * 2007-07-03 2009-04-21 Motorola, Inc.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a handheld electronic devic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83423A (ko) * 2016-01-08 2017-07-18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클립식 보조배터리
KR102192728B1 (ko) * 2019-10-24 2020-12-17 김인동 핸드폰 간편 휴대 수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10059781A1 (en) 2011-03-10
KR101098523B1 (ko) 2011-1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98523B1 (ko) 휴대폰 케이스
JP6576475B2 (ja) 携帯端末機用ホルダー
US9894192B2 (en) Case with interchangeable back plate
US9653934B2 (en) Mobile device case with finger grips
US20130344925A1 (en) Phone case with key slot
US20120021810A1 (en) Cell phone cover with pocket
US20090108800A1 (en) Case battery
KR200457185Y1 (ko) 거치 구조를 갖는 휴대 단말기용 케이스
US11096461B2 (en) Audio and power adapter retention device
US20180063306A1 (en) Cell Phone Case with Reconfigurable Plates
KR200474129Y1 (ko) 휴대폰 보호 케이스
KR20120000390U (ko) 아이패드 외부 수납형 가방
US20140252054A1 (en) Cell Phone Holster
US10666781B1 (en) Ergonomic accessory holder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associated methods
KR101239088B1 (ko) 휴대용 전자기기를 수용하는 케이스 어셈블리
JP3184663U (ja) 携帯端末
KR20100100729A (ko) 밴드형 지갑과 스탠드 기능이 결합 된 휴대용 디지털기기 보호덮개
KR200417498Y1 (ko) 휴대용 전자기기의 홀더
US10349714B2 (en) Handheld electronic device with gripping elements
CN219460514U (zh) 一种放置方便的多功能卡包
KR20080076520A (ko) 휴대폰용 배터리 및 그 배터리를 구비한 휴대폰
KR20120006658U (ko) 받침부가 형성된 휴대폰 케이스
KR200496147Y1 (ko) 케이스용 삽입형 고리
CN210072564U (zh) 一种双接口一体式无线鼠标
CN203194827U (zh) 手持电子产品外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