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27068A - 헤딩머신에 의한 이형관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헤딩머신에 의한 이형관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27068A
KR20110027068A KR1020090084992A KR20090084992A KR20110027068A KR 20110027068 A KR20110027068 A KR 20110027068A KR 1020090084992 A KR1020090084992 A KR 1020090084992A KR 20090084992 A KR20090084992 A KR 20090084992A KR 20110027068 A KR20110027068 A KR 201100270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mold
heading machine
pipe
manufactu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849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은교
Original Assignee
송은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은교 filed Critical 송은교
Priority to KR10200900849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27068A/ko
Publication of KR201100270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2706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JFORGING; HAMMERING; PRESSING METAL; RIVETING; FORGE FURNACES
    • B21J13/00Details of machines for forging, pressing, or hammering
    • B21J13/02Dies or mounting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JFORGING; HAMMERING; PRESSING METAL; RIVETING; FORGE FURNACES
    • B21J13/00Details of machines for forging, pressing, or hammering
    • B21J13/08Accessories for handling work or to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JFORGING; HAMMERING; PRESSING METAL; RIVETING; FORGE FURNACES
    • B21J5/00Methods for forging, hammering, or pressing; Special equipment or accessories therefor
    • B21J5/02Die forging; Trimming by making use of special dies ; Punching during forg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JFORGING; HAMMERING; PRESSING METAL; RIVETING; FORGE FURNACES
    • B21J5/00Methods for forging, hammering, or pressing; Special equipment or accessories therefor
    • B21J5/06Methods for forging, hammering, or pressing; Special equipment or accessories therefor for performing particular operations
    • B21J5/12Forming profiles on internal or external su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KMAKING FORGED OR PRESSED METAL PRODUCTS, e.g. HORSE-SHOES, RIVETS, BOLTS OR WHEELS
    • B21K1/00Making machine elements
    • B21K1/14Making machine elements fittings
    • B21K1/16Making machine elements fittings parts of pipe or hose coupl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KMAKING FORGED OR PRESSED METAL PRODUCTS, e.g. HORSE-SHOES, RIVETS, BOLTS OR WHEELS
    • B21K27/00Handling devices, e.g. for feeding, aligning, discharging, Cutting-off means; Arrangement thereof
    • B21K27/06Cutting-off means; Arrangements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xtru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헤딩머신에 의한 이형관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관을 서로 연결시켜주는 이음관으로 사용되는 이형관을 헤딩머신에 의해 성형함으로써, 이형관의 가공시간이 단축되고,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통상의 헤딩머신을 이용하여 관을 성형하는 헤딩머신에 의한 관 제조장치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공급된 관을 절단하고, 이송시키는 작동부와, 상기 작동부에서 절단되어 이송되는 관의 일측을 성형하는 고정금형틀과, 상기 고정금형틀에 고정된 관의 타측부를 성형하도록 수직, 수평 동작을 수행하는 유동금형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형관, 헤딩머신, 니방, 고마

Description

헤딩머신에 의한 이형관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A anomaly pipe making installation and making way by heading machine}
본 발명은 헤딩머신에 의한 이형관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관을 소정의 길이로 절단함과 동시에 절단된 관의 양측부를 가공하여 산업용 기계기구, 전기접속용 단자 및 냉장ㆍ냉동장치의 이음관 등 다양한 분야에 사용되는 이형관을 단시간에 자동으로 많이 생산할 수 있도록 한 헤딩머신에 의한 이형관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강재파이프는 인발을 통해 일정한 단위길이로 생산되고, 이들은 모두 동일한 직경과 형상으로 제조되어 헤딩머신을 이용하여 용도에 따라 강재파이프를 필요한 길이로 절단하고 소정의 형상으로 가공하여 사용하고 있다.
즉, 헤딩머신은 롤에 감겨 있는 강재파이프를 간헐적으로 이송시키면서 일정 길이로 절단 한 후 이 파이프를 왕복금형에 장착하여 전,후 작동하는 타격금형과 파이프를 소정 형상으로 가공하기 위한 성형금형에 의해 볼트나 리벳 등의 기계요소를 제조하는 데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헤딩머신에 대한 출원으로서,예를 들면 국내 등록특허 제064547 호(1993.08.20), 제0196347호(1999.02.19) 등의 공보를 포함한 다수의 기술이 알려져 있다.
이들 헤딩머신의 구조는 기계본체를 가동시키기 위한 구동부와, 이 구동부의 회전력에 의해 소재를 이송시키기 위한 소재공급부와, 이 소재공급부를 통하여 이송되어 온 소재를 일정한 길이로 절단하는 컷팅부와, 상기 소재를 소정 형상으로 가공하기 위한 압출부로 구성되어 있으며, 그 외의 구성부분은 헤딩머신을 정해진 소정 프로그램에 따라 순차적으로 구동시킬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헤딩머신에 있어서, 압축부에 장착되는 금형의 형상 및 구조에 따라 소재의 끝단부를 가공하여 여러 형태의 리벳,볼트 등 그 외의 체결류 부품과 같은 기계요소를 가공하기 위한 것이 대부분이며, 속이 빈 중공(관, 파이프) 소재를 가공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은 거의 알려져 있지 않다.
특히, 냉장ㆍ냉동장치에 사용되는 관을 서로 연결시키는 데 사용되는 이형관의 경우에는 중간부는 직경이 크고 양측부는 직경이 작게 제작된다.
통상적으로, 이형관은 일정 길이로 절단된 관을 롤링에 의해 제작되어지고 있다.
이렇게 종래의 롤링에 의해 이형관을 제작하는 경우에는 가공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가공된 이형관의 표면이 매끄럽지 않고 거칠게 형성되며, 이형관의 제작된 길이가 불일치하게 제작되는 등 제품의 생산성 면에서의 능률 향상을 도모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냉장ㆍ냉동장치의 관을 서로 연결시켜주는 이음관으로 사용되는 이형관을 헤딩머신에 의해 압출작업으로 성형함으로써, 이형관의 가공시간이 단축되고,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헤딩머신을 이용하여 이형관을 성형함으로써, 표면이 매끄럽고 깨끗하게 가공되고, 균일한 크기를 가지는 이형관이 형성되며, 단시간에 많은 양의 이형관을 성형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공급관 이형관의 형성이 모두 자동으로 이루어지게 되어, 불필요한 경비의 지출을 줄임과 동시에 제작원가를 절감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한편, 관의 중앙부를 확장시키고, 확장된 관의 중앙부를 납작하게 형성 후, 절단하여 납작부는 둥근 일측부에는 전선을 연결하여 고정시킴으로써, 전기접속용 단자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통상의 헤딩머신을 이용하여 관을 성형하는 헤딩머신에 의한 관 제조장치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공급된 관을 절단하고, 이송시키는 작동부와, 상기 작동부에서 절단되어 이송되는 관의 일측을 성형하는 고정금형틀과, 상기 고정금형틀에 고정된 관의 타측부가 성형되도록 이동동작을 수행하는 유동금형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작동부는 상기 고정금형틀에 장착되어 관을 절단하는 절단부와, 상기 절단부에서 절단된 관을 이동시키는 이동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절단부는 유동되게 고정금형틀에 장착된 유동부재가 구비되고, 유동부재의 하단에 구비되어 공급된 관을 절단하는 톱날이 구비되며, 톱날을 회전시키는 모터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이동부는 절단부에서 절단된 관을 고정시켜 고정금형틀로 이동시키는 슬라이드봉이 구비되고, 이 슬라이드봉의 상단부에 구비되어 절단된 관을 상부에서 보조로 지지하여 고정금형틀로 이동시키는 슬라이드바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금형틀은 이동부에 형성된 슬라이드봉과 동일선상에 형성되어 관의 일측을 1차 성형하는 제1번니방이 구비되고, 이 제1번니방의 하부 수직 방향에 형성되어 관의 일측을 2차 성형하는 제2번니방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1번니방 및 제2번니방은 고정금형틀에 끼워져 고정되되, 내측에 관의 성형 형상을 가지는 삽입공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공에 끼워지되, 관이 삽입되는 타측부로 돌출되게 지지부재가 구비되며, 상기 지지부재가 끼워지되 삽입공에 끼워진 관을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유동금형틀은 수평 방향으로 왕복동작을 수행하는 왕복금형이 구비되고, 상기 왕복금형에 장착되어 승하강 수단에 의해 수직 방향으로 승하강동 작을 수행하는 승하강금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승하강금형에는 고정금형틀의 제1번니방 및 제2번니방과 대응되게 구비되되, 절단된 관을 제1번니방으로 삽입시키는 제1번고마가 구비되고, 상기 제1번니방에 삽입 고정된 관을 인출하여 제2번니방으로 삽입함과 동시에 관의 타측부를 1차 성형하는 제2번고마가 구비되며, 상기 제2번니방에 삽입된 관을 인출하여 외부로 배출시킴과 동시에 관의 타측부를 2차 성형하는 제3번고마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1번고마는 절단된 관을 제1번니방에 삽입시키는 삽입돌기가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제2번고마 및 제3번고마는 승하강금형에 수용되게 고정되되, 내측에 관의 성형 형상을 가지는 삽입공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공에 끼워지되, 관이 삽입되는 타측부로 돌출되게 지지부재가 구비되며, 상기 지지부재가 끼워지되 삽입공에 끼워진 관을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이동부의 슬라이드바에 터치돌기가 더 형성되고, 유동금형틀의 왕복금형에 이 터치돌기를 가이드시켜 슬라이드바를 상승시키는 가이드판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통상의 헤딩머신을 이용하여 관을 성형하는 헤딩머신에 의한 관 제조방법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관이 공급되는 단계와,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관을 일정 길이로 절단하는 단계와, 일정 길이로 절단된 관을 고정금형틀의 제1번니방으로 이송시키는 단계와, 제1번고마로 제1번니방에 삽입 시켜 관의 일측부를 1차 성형하는 단계와, 제2번고마로 제1번니방에 삽입 고정된 관을 물고 인출시킴과 동시에 관의 타측부를 1차 성형하고, 다시 제2번니방에 삽입 고정시켜 관의 일측부를 2차 성형하는 단계와, 제2번니방에서 관의 일측부가 2차 성형된 관은 제3번고마에 물려 인출됨과 동시에 관의 타측부를 2차 성형하여 완성된 성형물을 배출시키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관을 서로 연결시켜주는 이음관으로 사용되는 이형관을 헤딩머신에 의해 압출작업으로 성형함으로써, 이형관의 가공시간이 단축되고,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헤딩머신을 이용하여 이형관을 성형함으로써, 표면이 매끄럽고 깨끗하게 가공되고, 균일한 크기를 가지는 이형관이 형성되며, 단시간에 많은 양의 이형관을 성형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공급관 이형관의 형성이 모두 자동으로 이루어지게 되어, 불필요한 경비의 지출을 줄임과 동시에 제작원가를 절감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헤딩머신에 의한 이형관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헤딩머신에 의한 이형관 제조장치를 보인 사시도이 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헤딩머신에 의한 이형관 제조장치를 보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헤딩머신에 의한 이형관 제조장치를 보인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유동금형틀을 보인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고정금형틀을 보인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니방 및 고마를 보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헤딩머신에 의한 이형관 제조장치는 통상의 헤딩머신을 이용하여 관을 성형하는 헤딩머신에 의해 관이 형성되는 제조장치(100)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공급된 관(P)을 절단하고, 이 절단된 관(P)을 이송시키는 작동부(110)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작동부(110)는 통상적으로 롤(미도시)에 감겨 있는 관(P)을 간헐적으로 이송시키기 위한 관공급부(미도시)가 구비되고, 이 관공급부로 공급된 관(P)을 일정한 길이로 절단하는 절단부(120)가 구비된다.
나아가, 상기 절단부(120)는 기계본체(102)에 장착되되, 기계본체(102)에 설치되는 유동부재(122)가 구비되고, 이 유동부재(122)의 하단에 구비되어 롤에 구비된 관(P)이 공급될 때 일정한 길이로 절단하는 톱날(124)이 구비되며, 기계본체(102)의 상단부에는 톱날(124)과 벨트 등 연결수단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이 톱날(124)을 회전시키는 모터(M)가 구비된다.
아울러, 상기 유동부재(122)의 유동 동작을 수행시키는 것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통상적으로 캠(미도시)을 이용하여 유동부재(122)가 유동되도록 하는 것으로, 일예로 유동부재(122)가 기계본체(102)에 체결된 하단부에 캠을 구비하고, 이 캠을 회전시키게 되면 캠이 회전을 하면서 편심된 부분이 유동부재(122)에 접촉시에 캠의 편심된 만큼 유동부재(122)가 유동하게 되어 톱날(124)이 공급되는 관(P)을 절단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절단부(120)의 톱날(124)에 의해 일정길이로 관(P)이 절단될 때 공급되어 절단되는 관(P)을 지지함과 동시에 이송시키는 이동부(130)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이동부(130)는 공급된 관(P)과 동일 선상에 위치되되 기계본체(102)에 장착되어 절단부(120)의 톱날(124)에 의해 관(P)을 절단함과 동시에 절단된 관(P)의 일측부를 지지하는 슬라이드봉(132)이 구비되고, 이 슬라이드봉(132)의 상부로 관을 상부에서 지지하는 슬라이드바(134)가 구비된다.
나아가, 상기 슬라이드봉(132) 및 슬라이드바(134)에 의해 절단되는 관(P)을 잡아줌과 동시에 일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이때, 상기 슬라이드봉(132)과 슬라이드바(134)의 동작은 종래에서와 같이 통상적으로 캠 등을 이용하여 동작하도록 한 것으로, 캠의 동작에 의해 슬라이드봉(132)과 슬라이드바(134)가 유기적으로 작동되도록 하여 절단된 관(P)을 잡아줌과 동시에 이 관(P)을 일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상기 슬라이드바(134)에는 왕복동작을 수행할 때, 즉 절단된 관(P)을 이송 후 복귀시에 슬라이드바(134)가 관(P)에 걸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돌출 형성된 터치돌기(136)가 더 구비된다.
따라서, 공급된 관(P)을 절단시에 이동부(130)의 슬라이드봉(132)과 슬라이드바(134)가 동시에 서로 유기적으로 작동하면서 절단되는 관(P)을 잡아주어 용이 하게 절단됨과 동시에 일방향으로 절단된 관을 이송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작동부(110)에서 절단되어 이송된 관(P)의 일측부를 성형하되, 기계본체(102)에 장착되는 고정금형틀(140)이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고정금형틀(140)은 작동부(110)의 슬라이드봉(132)과 동일선상에 형성되어 이동부(130)에 의해 이송된 관(P)이 삽입 고정되되, 관(P)의 일측부를 1차 성형하는 제1번니방(142)이 구비되고, 이 제1번니방(142)의 하부에 형성되어 관(P)의 일측을 2차 성형하여 완성시키는 제2번니방(144)이 구비된다.
나아가, 상기 제1번니방(142) 및 제2번니방(144)은 고정금형틀(140)에 함몰되게 끼워져 고정되되, 내측에 관(P)을 성형하는 형상과 동일한 형상을 가지는 삽입공(146)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공(146)에 끼워져 관(P)이 삽입되는 타측부로 돌출되는 지지부재(148)가 구비되며, 이 지지부재(148)가 끼워져 삽입공(146)에 위치되어 관(P)을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149)가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작동부(110)에서 절단되어 이송된 관(P)의 일측부가 제1번니방(142)과 제2번니방(144)이 삽입 및 인출되는 과정에서 2차에 걸쳐 성형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금형틀(140)의 타측부에는 서로 대응되게 구비되어 수직동작 및 수평왕복동작을 수행하면서 관(P)의 타측부를 성형하는 유동금형틀(150)이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유동금형틀(150)은 수평으로 왕복운동을 하는 왕복금형(152)이 구비된다.
나아가, 상기 왕복금형(152)에 장착되어 승하강 동작을 수행하는 승하강금형(154)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왕복금형(152) 및 승하강금형(154)의 동작은 종래의 기술인 대한민국특허등록 제64547호 또는 대한민국특허등록 제196347호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금형을 승하강시키는 동일한 구성에 의해 승하강금형이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아울러, 상기 승하강금형(154)에는 고정금형틀(140)의 제1번니방(142) 및 제2번니방(144)과 대응되게 구비되어 절단된 관(P)을 제1번니방(142)에 밀어 삽입시키는 제1번고마(155a)가 구비되고, 제1번니방(155a)에 삽입 고정된 관(P)을 잡아 인출시켜 제2번니방(155b)으로 삽입함과 동시에 관(P)의 타측부를 1차 성형하며, 상기 제2번니방(155b)에 삽입된 관(P)을 인출하여 외부로 배출시킴과 동시에 관(P)의 타측부를 2차 성형하는 제3번고마(155c)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제1번고마(155a)는 절단된 관(P)을 제1번니방(142)에 용이하게 삽입시킬 수 있도록 삽입돌기(156)가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왕복금형(152)의 상단부에는 상기 슬라이드바(134)에 형성된 터치돌기(136)와 대응되도록 상부로 돌출된 가이드판(152a)이 더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왕복금형(152)이 동작을 할 때 터치돌기(136)가 이 가이드판(152a)에 걸려 가이드되면서 제1번니방(142)으로 관(P)을 삽입시킴과 동시에 슬라이드바(134)를 상부로 올려주게 되어 관(P)이 제1번니방(142)에 삽입될 때 방해를 주지 않게 된다.
또한, 상기 제2번고마(155b) 및 제3번고마(155c)는 승하강금형(154)에 함몰 되게 수용되어 고정되고, 내측에는 관(P)의 성형 형상과 동일한 형상을 가지는 삽입공(157)이 형성되고, 이 삽입공(157)에 끼워져 관(P)이 삽입되는 타측부로 돌출되게 지지부재(158)가 구비되며, 이 지지부재(158)가 끼워지되 삽입공(157)에 끼워져 관(P)을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159)가 구비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헤딩머신에 의한 이형관 제조장치에 대한 작용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7a 내지 도 7d는 본 발명에 따른 헤딩머신에 의한 이형관 제조장치의 작용관계를 보인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헤딩머신에 의한 이형관 제조장치의 작용관계를 개략적으로 보인 도면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헤딩머신에 의한 이형관 제조장치(100)는 먼저, 롤에 감겨 있는 관을 관공급부로부터 공급된 관(P)을 일정한 길이로 톱날(124)에 의해 절단됨과 동시에 슬라이드봉(132)과 슬라이드바(134)가 잡아주게 되고, 톱날(124)에 의해 절단된 관(P)은 이 슬라이드봉(132)과 슬라이드바(134)에 의해 이송되어 고정금형틀(140)의 제1번니방(142)에 위치된다.
이렇게, 절단된 관(P)이 제1번니방(142)에 위치됨과 동시에 유동금형틀(150)의 왕복금형(152)이 작동을 하게 되어 제1번고마(155a)의 삽입돌기(156)에 의해 밀리면서 제1번니방(142)에 삽입된다.
따라서, 상기 관(P)이 제1번니방(142)에 삽입됨과 동시에 관(P)의 일측부가 1차 성형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상기 관(P)이 제1번고마(155a)의 삽입돌기(156)에 의해 관(P)이 제1번 니방(142)에 삽입될 때 상기 슬라이드봉(132)과 슬라이드바(134)는 관(P)을 파지하고 있는 상태에서 이 파지력이 해지되면서 원상복되게 된다.
이렇게 상기 슬라이드봉(132)과 슬라이드바(134)가 원상복귀된 후 상기 왕복금형(152)은 후퇴하고 승하강금형(154)이 상승하여 제1번니방(142)과 제2번고마(155b)가 수평 선상이되도록 한 후에 왕복금형(152)을 전진시켜 제1번니방(142)에 삽입된 관(P)을 물어 제2번고마(155b)에 삽입 고정시킨 후 후퇴하고, 다시 승하강금형(154)이 하강하여 제2번고마(155b)가 제2번니방(144)과 동일 선상이 되게 위치된다.
이때, 상기 제1번니방(142)에 삽입된 관(P)이 제2번니방(144)에 삽입되기 전에 절단부(120)에서는 외부로부터 공급된 관(P)을 절단한 후 이 절단된 관(P)은 이동부(130)의 동작에 의해 제1번니방(142)에 위치되게 배치시킨다.
이렇게 제1번니방(142)에는 절단된 관(P)이 위치되고, 제2번니방(144)에는 1차 성형된 관(P)이 위치되게 되며, 이 상태에서 왕복금형(152)을 전진시키게 되면 제1번고마(155a)는 제1번니방(142)에 절단된 관(P)을 삽입시키게 되고, 제2번니방(144)에는 제2번고마(155b)에 물려 있는 관(P)이 삽입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유동금형틀(150)의 왕복금형(152)과 승하강금형(154)의 반복적인 동작에 의해 제1번니방(142)에 삽입된 관(P)은 제2번고마(155b)에 삽입되어 제2번니방(144)에 삽입시키고, 제2번니방(144)에 삽입된 관(P)은 제3번고마(155c)에 삽입된 후 외부로 배출된다.
이때, 제1번니방(142) 및 제2번니방(144)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관(P)의 일측 부가 성형이 이루어지고, 제2번고마(155b) 및 제3번고마(155c)에 관(P)이 삽입되는 과정에서 관(P)의 타측부가 성형이 이루어지게 된다.
즉, 상기 절단부(120)에서 일정 길이로 절단된 관(P)은 이동부(130)에 의해 고정금형틀(140)의 제1번니방(142)에 위치되고, 제1번니방(142)에 위치된 관(P)은 제1번고마(155a)에 의해 제1번니방(142)에 삽입되어 관(P)의 일측부가 1차 성형이 이루어지고, 제1번니방(142)에 삽입된 관(P)은 제2번고마(155b)에 물리면서 인출되고, 이때 제2번고마(155b)에 물리면서 관(P)의 타측부가 1차 성형이 이루어지게 되며, 제2번고마(155b)에 물린 관(P)은 다시 제2번니방(144)에 삽입되면서 고정되어 관(P)의 일측부가 2차 서형이 이루어지고, 제2번니방(144)에 삽입된 관(P)은 제3번고마(155c)에 물리면서 인출되게 되며, 이때 제3번고마(155c)에 물리는 과정에서 관의 타측부가 2차 성형이 이루어지게 되고, 제3번고마(155b)에 물림과 동시에 이형관이 완성된 제품은 하부로 배출되게 된다.
이와 같이 반복적이고 유기적으로 각 부품들이 동작을 수행하면서 이형관을 생산함으로, 모든 공정이 자동으로 이루어지게 되어 단시간에 많은 양의 이형관을 생산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관(P)의 중앙부를 확장시킨 이형관으로 형성한 후 확장 형성된 중앙부를 납작하게 압착시킨 다음 중앙부를 절단함으로써, 일측 원형부에는 전선을 삽입시킨 후 관(P)의 외측을 가압하여 전선을 고정시켜 전기접속용 단자로 사용할 수도 있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헤딩머신에 의한 이형관 제조방법를 보인 블록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헤딩머신에 의한 이형관 제조방법은 통상의 헤딩머신을 이용하여 관을 성형하는 헤딩머신에 의한 관 제조방법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관을 공급하는 단계와(S100),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관을 일정 길이로 절단하는 단계와(S110), 일정 길이로 절단된 관을 고정금형틀의 제1번니방으로 이송시키는 단계와(S120), 제1번고마로 제1번니방에 삽입 시켜 관의 일측부를 1차 성형하는 단계와(S130), 제2번고마로 제1번니방에 삽입 고정된 관을 물고 인출시킴과 동시에 관의 타측부를 1차 성형하면서 제2번니방에 삽입 고정시키는 단계와(S140), 제2번니방에서 관의 일측부가 2차 성형된 관은 제3번고마에 물려 인출됨과 동시에 관의 타측부를 2차 형성하여 완성된 성형물를 배출시키는 단계(S150)로 이루어진다.
이렇게 이형관의 제조방법은 먼저,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관(P)을 일정 길이로 절단한다.
그리고, 일정 길이로 절단된 관(P)의 양측부를 성형하기 위하여 금형틀로 이동시키게 된다.
여기서, 일정 길이로 절단되어 금형틀로 이송된 관(P)의 일측부가 1차 성형되도록 제1번고마(152)에 의해 제1번니방(142)에 삽입 고정된다.
나아가, 제1번니방(142)에서 일측부가 1차 성형된 관(P)을 인출시킴과 동시에 관(P)의 타측부를 1차 성형하고, 관(P)의 일측부가 2차 성형되도록 제2번니 방(144)으로 삽입고정시키게 된다.
아울러, 제2번니방(144)에 삽입되어 관(P)의 일측부가 2차 성형된 후에는 다시 제3번고마(155c)에 관(P)의 타측부가 물리면서 제2번니방에 삽입된 관(P)의 타측부가 삽입됨과 동시에 관(P)의 타측부가 2차 성형이 이루어면서 제2번니방(144)으로부터 인출되게 된다.
이렇게 제2번니방(144)으로부터 인출되면서 제3번고마(155c)에 물린 관(P)은 양측부가 성형 완료된 완성품이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이와 같이 순차적으로 제1번니방(142)과 제2번고마(155b) 그리고 제2번니방 (144) 및 제3번고마(155c)를 거쳐 이형관의 성형이 완료되는 것으로, 이와 같은 반복적인 동작에 의해 대량의 이형관이 제조가 가능하게 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헤딩머신에 의한 이형관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본 발명은 헤딩머신에 의한 이형관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관을 소정의 길이로 절단함과 동시에 절단된 관의 양측부를 가공하여 산업용 기계기구및 냉동장치의 이음관 등 다양한 분야에 사용되는 이형관을 단 시간에 자동으로 많이 생산할 수 있도록 한 헤딩머신에 의한 이형관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헤딩머신에 의한 이형관 제조장치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헤딩머신에 의한 이형관 제조장치를 보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헤딩머신에 의한 이형관 제조장치를 보인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유동금형틀을 보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고정금형틀을 보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니방 및 고마를 보인 도면.
도 7a 내지 도 7d는 본 발명에 따른 헤딩머신에 의한 이형관 제조장치의 작용관계를 보인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헤딩머신에 의한 이형관 제조장치의 작용관계를 개략적으로 보인 도면.
도 9은 본 발명에 따른 헤딩머신에 의한 이형관 제조방법를 보인 블록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이형관 제조장치 110 : 작동부
120 : 절단부 122 : 유동부재
124 : 톱날 130 : 이동부
132 : 슬라이드봉 134 : 슬라이드바
136 : 터치돌기 140 : 고정금형틀
142, 144 : 제1,2번니방 146, 157 : 삽입공
148, 158 : 지지부재 149, 159 : 탄성부재
150 : 유동금형틀 152 : 왕복금형
154 : 승하강금형 155a, 155b, 155c : 제1,2,3번고마
M : 모터 P :관

Claims (12)

  1. 통상의 헤딩머신을 이용하여 관을 성형하는 헤딩머신에 의한 관 제조장치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공급된 관을 절단하고, 이송시키는 작동부와,
    상기 작동부에서 절단되어 이송되는 관의 일측을 성형하는 고정금형틀과,
    상기 고정금형틀에 고정된 관의 타측부가 성형되도록 이동동작을 수행하는 유동금형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딩머신에 의한 이형관 제조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는 상기 고정금형틀에 장착되어 관을 절단하는 절단부와,
    상기 절단부에서 절단된 관을 이동시키는 이동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딩머신에 의한 이형관 제조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부는 유동되게 고정금형틀에 장착된 유동부재가 구비되고, 유동부재의 하단에 구비되어 공급된 관을 절단하는 톱날이 구비되며, 톱날을 회전시키는 모터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딩머신에 의한 이형관 제조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는 절단부에서 절단된 관을 고정시켜 고정금형틀로 이동시키는 슬라이드봉이 구비되고,
    상기 슬라이드봉의 상단부에 구비되어 절단된 관을 상부에서 보조로 지지하여 고정금형틀로 이동시키는 슬라이드바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딩머신에 의한 이형관 제조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금형틀은 이동부에 형성된 슬라이드봉과 동일선상에 형성되어 관의 일측을 1차 성형하는 제1번니방이 구비되고,
    이 제1번니방의 하부 수직 방향에 형성되어 관의 일측을 2차 성형하는 제2번니방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딩머신에 의한 이형관 제조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번니방 및 제2번니방은 고정급형틀에 끼워져 고정되되, 내측에 관의 성형 형상을 가지는 삽입공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공에 끼워지되, 관이 삽입되는 타측부로 돌출되게 지지부재가 구비되며,
    상기 지지부재가 끼워지되 삽입공에 끼워진 관을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딩머신에 의한 이형관 제조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금형틀은 수평 방향으로 왕복동작을 수행하는 왕복금형이 구비되고,
    상기 왕복금형에 장착되어 승하강 수단에 의해 수직 방향으로 승하강동작을 수행하는 승하강금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딩머신에 의한 이형관 제조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승하강금형에는 고정금형틀의 제1번니방 및 제2번니방과 대응되게 구비되되, 절단된 관을 제1번니방으로 삽입시키는 제1번고마가 구비되고,
    상기 제1번니방에 삽입 고정된 관을 인출하여 제2번니방으로 삽입함과 동시에 관의 타측부를 1차 성형하는 제2번고마가 구비되며,
    상기 제2번니방에 삽입된 관을 인출하여 외부로 배출시킴과 동시에 관의 타측부를 2차 성형하는 제3번고마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딩머신에 의한 이형관 제조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번고마는 절단된 관을 제1번니방에 삽입시키는 삽입돌기가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딩머신에 의한 이형관 제조장치.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번고마 및 제3번고마는 승하강금형에 수용되게 고정되되, 내측에 관의 성형 형상을 가지는 삽입공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공에 끼워지되, 관이 삽입되는 타측부로 돌출되게 지지부재가 구비되며,
    상기 지지부재가 끼워지되 삽입공에 끼워진 관을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딩머신에 의한 이형관 제조장치.
  11.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의 슬라이드바에 터치돌기가 더 형성되고, 유동금형틀의 왕복금형에 이 터치돌기를 가이드시켜 슬라이드바를 상승시키는 가이드판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딩머신에 의한 이형관 제조장치.
  12. 통상의 헤딩머신을 이용하여 관을 성형하는 헤딩머신에 의한 관 제조방법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관이 공급되는 단계와,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관을 일정 길이로 절단하는 단계와,
    일정 길이로 절단된 관을 고정금형틀의 제1번니방으로 이송시키는 단계와,
    제1번고마로 제1번니방에 삽입 시켜 관의 일측부를 1차 성형하는 단계와,
    제2번고마로 제1번니방에 삽입 고정된 관을 물고 인출시킴과 동시에 관의 타 측부를 1차 성형하고, 다시 제2번니방에 삽입 고정시켜 관의 일측부를 2차 성형하는 단계와,
    제2번니방에서 관의 일측부가 2차 성형된 관은 제3번고마에 물려 인출됨과 동시에 관의 타측부를 2차 성형하여 완성된 성형물를 배출시키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딩머신에 의한 이형관 제조방법.
KR1020090084992A 2009-09-09 2009-09-09 헤딩머신에 의한 이형관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KR2011002706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4992A KR20110027068A (ko) 2009-09-09 2009-09-09 헤딩머신에 의한 이형관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4992A KR20110027068A (ko) 2009-09-09 2009-09-09 헤딩머신에 의한 이형관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7068A true KR20110027068A (ko) 2011-03-16

Family

ID=439339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84992A KR20110027068A (ko) 2009-09-09 2009-09-09 헤딩머신에 의한 이형관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27068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9477B1 (ko) * 2015-08-24 2017-01-02 이승구 스위치용 핀 성형장치
KR102467804B1 (ko) * 2021-07-27 2022-11-16 주식회사 한화 탄체 제조용 점진 성형장치 및 이를 이용한 탄체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9477B1 (ko) * 2015-08-24 2017-01-02 이승구 스위치용 핀 성형장치
KR102467804B1 (ko) * 2021-07-27 2022-11-16 주식회사 한화 탄체 제조용 점진 성형장치 및 이를 이용한 탄체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13812B1 (ko) 낚시바늘 제조기의 단조성형장치
KR20130044424A (ko) 스크레치를 없애고 제조 공수를 절감시킨 장식 체인 제조기 및 이를 이용한 장식체인의 제조 방법
CN109562433A (zh) 一种多工位管材缩口设备
CN111453328A (zh) 一种pvc管件生产制造自动化码垛机
CN102364765B (zh) 自动冲压装置
CN218079862U (zh) 一种流水线式异形管模压成型装置
CN210305223U (zh) 一种弯管机及管件加工设备
KR100738027B1 (ko) 인서트 자동 삽입장치
KR20110027068A (ko) 헤딩머신에 의한 이형관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KR20130063289A (ko) 수평형 자동 범핑 가공머신
CN101905276B (zh) 一种用于滚丝机的自动送料装置
KR100830411B1 (ko) 거푸집용 세퍼타이 제조장치
KR101774337B1 (ko) 이중 금형을 이용한 금속기와 제조장치
CN109092927B (zh) 一种ec接管或电子膨胀阀接管的制造方法
KR101080655B1 (ko) 낚시바늘 제조기에 있어서 단조를 위한 낚시바늘 공급장치
CN109079520B (zh) 一种ec接管或电子膨胀阀接管的制造设备
CN204934315U (zh) 一种支架自动冲孔装置
CN202192373U (zh) 用于双界面焊接封装机的ic卡焊接装置
KR20100108133A (ko) 터미널 접속단자의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KR200480449Y1 (ko) 이동수단이 구비된 거푸집용 세파타이 제조 장치
CN202172202U (zh) 自动冲压装置
KR200373597Y1 (ko) 인서트 자동 삽입장치
CN102319832A (zh) 蒸发器散热片自动上料排片装置的工作方法
CN218693303U (zh) 冲压机用簧片传输工装
CN219403191U (zh) 一种管材加工处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