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27012A - Es-chuck carrier and vacuum processing apparatus u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Es-chuck carrier and vacuum processing apparatus us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27012A
KR20110027012A KR1020090084909A KR20090084909A KR20110027012A KR 20110027012 A KR20110027012 A KR 20110027012A KR 1020090084909 A KR1020090084909 A KR 1020090084909A KR 20090084909 A KR20090084909 A KR 20090084909A KR 20110027012 A KR20110027012 A KR 201100270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trate
chucking
electrostatic chuck
unit
vacuum proces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8490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154843B1 (en
Inventor
최유찬
김영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Priority to KR10200900849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54843B1/en
Publication of KR201100270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2701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48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484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8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supporting or gripping
    • H01L21/6831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supporting or gripping using electrostatic chu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9/00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G49/05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ragile or damageable materials or articles
    • B65G49/06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ragile or damageable materials or articles for fragile sheets, e.g. glass
    • B65G49/061Lifting, gripping, or carrying means, for one or more sheets forming independent means of transport, e.g. suction cups, transport fr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9/00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G49/05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ragile or damageable materials or articles
    • B65G49/06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ragile or damageable materials or articles for fragile sheets, e.g. glass
    • B65G49/063Transporting devices for sheet glas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03Apparatus specially adapted to the manufacture of LC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8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supporting or gripping
    • H01L21/6831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supporting or gripping using electrostatic chucks
    • H01L21/6833Details of electrostatic chucks

Abstract

PURPOSE: An electrostatic chuck carrier and a vacuum process device for a substrate using the same are provided to prevent the substrate from falling by rotating a falling prevention guide with a hinge. CONSTITUTION: An absorbing unit(141) adsorbs a substrate with electrostatic force. A falling prevention guide(143) is prepared on one side of the absorbing unit to prevent the substrate absorbed in the absorbing unit from falling. A movement supporting unit(142) is separated from the absorbing unit. The movement support unit is movably installed in a conveyor roller(105). A chucking part(146) is chucked by a chucking unit.

Description

정전척 캐리어 및 정전척 캐리어를 이용한 기판의 진공처리장치{ES-Chuck carrier and vacuum processing apparatus using the same}ES-Chuck carrier and vacuum processing apparatus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정전척 캐리어 및 정전척 캐리어를 이용한 기판의 진공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단순한 구조로써 기판을 흡착하여 이동시킬 수 있으며, 진공 처리 챔버 내에서 공정에 따라 기판을 90도 또는 180도 회전시켜 이동시켜야 하는 경우에도 적용할 수 있고, 외부 전원 공급이 용이하지 않은 진공 처리 챔버들 간의 기판 이동에도 효율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정전척 캐리어 및 정전척 캐리어를 이용한 기판의 진공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ostatic chuck carrier and a vacuum processing apparatus for a substrate using the electrostatic chuck carrier. More specifically, the substrate can be adsorbed and moved in a simple structure, and the substrate is moved in accordance with the process in the vacuum processing chamber. Applicable to the case of moving to 180 degrees or 180 degrees, vacuum processing apparatus of the substrate using the electrostatic chuck carrier and the electrostatic chuck carrier that can be efficiently applied to the substrate movement between the vacuum processing chambers that is not easy to external power supply It is about.

정전척(ESC 척)은 정전기력으로 기판(glass) 등과 같은 파지물(이하, 기판이라 함)을 흡착하여 고정하는 장치이다. 현재, LCD 패널 합착기 또는 진공처리장치의 기판고정장치로 일부 사용되고 있다.An electrostatic chuck (ESC chuck) is a device for adsorbing and fixing a holding material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substrate) such as a glass (glass) by the electrostatic force. At present, it is partly used as the substrate fixing device of the LCD panel bonding machine or the vacuum processing apparatus.

LCD 패널 합착기에 사용되는 정전척의 경우, LCD 패널의 상하면을 합착시키는 작업 시 상부 기판을 하부 기판의 상부면에서 하부 기판을 마주보도록 상부 기판의 합착면 반대쪽을 정전기력으로 흡착하여 지지하고 있다.In the case of the electrostatic chuck used in the LCD panel joining machine, the upper substrate is absorbed and supported by the electrostatic force so that the upper substrate faces the lower substrate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substrate whe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LCD panel are bonded.

이러한 상태에서 상부 기판과 하부 기판을 얼라인한 후, 상부 기판을 하부 기판의 200 ~ 400 마이크로미터 상부에 위치시킨 연후에 정전기력을 제거를 위하여 역 바이어스를 걸어주면 상부 기판이 하부 기판을 향해 자유 낙하하게 되며, 이로 인해 상부 및 하부 기판이 합착된다. 이처럼 종래의 정전척은 공정 진행면의 반대편을 흡착 고정하는 장치로 주로 사용되어 왔다.In this state, after aligning the upper substrate and the lower substrate, after placing the upper substrate 200 to 400 micrometers above the lower substrate and applying a reverse bias to remove the electrostatic force, the upper substrate free fall toward the lower substrate This causes the upper and lower substrates to adhere. As such, the conventional electrostatic chuck has been mainly used as an apparatus for adsorbing and fixing the opposite side of the process running surface.

한편, 기판의 진공처리장치에서 공정을 진행하기 위해서는 기판을 이동시켜야 하는데, 공정 진행면을 접촉시키게 되면 소자층이 파손될 우려가 높다. 때문에 일반적으로는 진공처리장치의 내부에 마련되는 스테이지에 리프트핀을 설치하여 패널을 지지하도록 하고 있다.On the other hand, the substrate must be moved in order to proceed with the process in the vacuum processing apparatus of the substrate, the contact of the process progress surface is likely to damage the device layer. Therefore, in general, lift pins are installed on stages provided inside the vacuum processing apparatus to support the panel.

이에, 트랜스퍼 로봇이 공정 진행면의 반대쪽면을 하부에서 지지하여 진공처리장치의 스테이지로 이동시키면 스테이지에 마련된 리프트핀이 상승하여 기판의 공정 진행면 반대쪽면을 지지한 후, 리프트핀이 하강하여 기판을 스테이지에 안착시키게 되며, 이후 공정을 진행한 후, 역순으로 기판을 반출시키게 된다.Therefore, when the transfer robot supports the opposite side of the process proceeding surface from the lower side and moves to the stage of the vacuum processing apparatus, the lift pin provided on the stage rises to support the opposite side of the process progressing surface of the substrate, and then the lift pin descends to the substrate. It is placed on the stage, and then proceeds to the process, the substrate is carried out in the reverse order.

그런데, 종래기술에 따른 기판의 진공처리장치에 있어서는 기판을 이동시키기 위한 일련의 구조가 다소 복잡할 뿐만 아니라 진공 처리 장치의 진공 처리 챔버 내에서 공정에 따라 기판을 90도 또는 180도 회전시켜, 이동시킬 필요가 있으나, 종래기술로는 기판을 90도 또는 180도 회전시켜 이동시킬 구조 및 방법이 없어 기판 이동에의 공정 효율이 감소되며, 또한 정전척으로의 전원 공급 문제로 인하여 외부 전원 공급이 용이하지 않은 진공 처리 챔버들 간의 기판 이동에 적용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However, in the vacuum processing apparatus of the substrate according to the prior art, a series of structures for moving the substrate is somewhat complicated, and the substrate is rotated by 90 or 180 degrees depending on the process in the vacuum processing chamber of the vacuum processing apparatus. In the prior art, there is no structure and method to move the substrate by rotating the substrate 90 degrees or 180 degrees, which reduces the process efficiency for substrate movement, and also facilitates the external power supply due to the power supply problem to the electrostatic chuck. There is a problem that is difficult to apply to substrate movement between vacuum processing chambers that are not.

본 발명의 목적은, 단순한 구조로써 기판을 흡착하여 이동시킬 수 있으며, 진공 처리 챔버 내에서 공정에 따라 기판을 90도 또는 180도 회전시켜 이동시켜야 하는 경우에도 적용할 수 있고, 외부 전원 공급이 용이하지 않은 진공 처리 챔버들 간의 기판 이동에도 효율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정전척 캐리어 및 정전척 캐리어를 이용한 기판의 진공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oved by adsorbing the substrate in a simple structure, and can be applied even when the substrate must be rotated by 90 or 180 degrees according to the process in the vacuum processing chamber, and external power supply is easy.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electrostatic chuck carrier and a substrate vacuum processing apparatus using an electrostatic chuck carrier which can be efficiently applied to substrate movement between vacuum processing chambers.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정전기력에 의해 기판을 흡착하는 흡착부; 및 상기 흡착부와 연결되고 척킹 유닛에 의해 척킹되는 척킹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척 캐리어에 의해 달성된다.The above obje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dsorption unit for adsorbing the substrate by the electrostatic force; And a chucking part connected to the suction part and chucked by the chucking unit.

여기서, 상기 척킹부는 상기 척킹 유닛의 단부가 부분적으로 수용되게 배치되는 척킹홈부를 구비하는 한 쌍의 척킹 블록일 수 있다.Here, the chucking unit may be a pair of chucking blocks having a chucking groove that is disposed to partially receive the end of the chucking unit.

상기 한 쌍의 척킹 블록과 연결되어 상기 흡착부를 업/다운(up/down) 구동시키는 미세 업/다운 구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fine up / down driving unit connected to the pair of chucking blocks to drive the adsorption unit up / down.

상기 미세 업/다운 구동부는, 상기 흡착부 측으로부터 돌출되는 돌출 블록; 상기 돌출 블록과 연결되고 상기 한 쌍의 척킹 블록 사이에 배치되는 지지대; 상기 한 쌍의 척킹 블록과 상기 돌출 블록 사이에 마련되는 엘엠 가이드; 및 상기 한 쌍의 척킹 블록과 상기 지지대에 각각 연결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ne up / down driving unit may include: a protruding block protruding from the suction unit side; A support connected to the protruding block and disposed between the pair of chucking blocks; An EL guide provided between the pair of chucking blocks and the protruding block; And an elastic member connected to the pair of chucking blocks and the support, respectively.

상기 엘엠 가이드가 마련된 상기 돌출 블록과 상기 한 쌍의 척킹 블록의 면은 상기 지지대를 향해 그 높이가 낮아지도록 테이퍼지게 마련될 수 있다.Surfaces of the protruding block and the pair of chucking blocks provided with the L guide may be provided to be tapered so that their height is lowered toward the support.

상기 흡착부의 일측에는 상기 흡착부에 흡착되는 상기 기판이 추락되는 것을 방지하는 추락 방지용 가이드가 회동 가능하게 더 마련될 수 있다.One side of the adsorption part may be further provided with a fall prevention guide to prevent the fall of the substrate adsorbed on the adsorption part to be rotatable.

상기 흡착부와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고, 컨베이어 롤러에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이동지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moving support part disposed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adsorption part and movably supported by the conveyor roller.

상기 이동지지부는 상기 이동지지부의 상부 또는 하부에 상기 컨베이어 롤러가 접촉될 수 있도록 플레이트(plate)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상기 이동지지부와 상기 흡착부 사이에 상기 컨베이어 롤러가 배치되는 공간부가 형성될 수 있도록, 상기 흡착부와 상기 이동지지부는 상기 이동지지부의 폭보다 좁은 연결부에 의해 상호 연결될 수 있다.The movable support portion may have a plate shape to allow the conveyor roller to contact the upper or lower portion of the movable support portion, and a space portion in which the conveyor roller is disposed may be formed between the movable support portion and the suction portion. The adsorption part and the moving support part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connecting part narrower than the width of the moving support part.

한편,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정전기력에 의해 기판을 흡착하는 흡착부; 및 상기 흡착부와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고, 컨베이어 롤러에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이동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척 캐리어에 의해서도 달성된다.On the other hand, the above obje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dsorption unit for adsorbing the substrate by the electrostatic force; And a moving support part disposed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suction part and supported by the conveyor roller so as to be movable.

여기서, 상기 이동지지부는 상기 이동지지부의 상부 또는 하부에 상기 컨베이어 롤러가 접촉될 수 있도록 플레이트(plate) 형상을 가질 수 있다.Here, the moving support portion may have a plate shape so that the conveyor roller can contact the upper or lower portion of the moving support portion.

상기 이동지지부와 상기 흡착부 사이에 상기 컨베이어 롤러가 배치되는 공간부가 형성될 수 있도록, 상기 흡착부와 상기 이동지지부는 상기 이동지지부의 폭보다 좁은 연결부에 의해 상호 연결될 수 있다.The suction part and the moving support part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connecting part narrower than the width of the moving support part so that a space part in which the conveyor roller is disposed may be formed between the moving support part and the suction part.

한편,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진공 처리 챔버; 상기 진공 처리 챔버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진공 처리 챔버로 기판을 인입시키는 인입 로드락 챔버; 상기 진공 처리 챔버의 타측에 배치되어 작업이 완료된 기판을 인출시키는 인출 로드락 챔버; 정전기력에 의해 상기 기판을 흡착하고 이송 시 상기 기판을 지지하는 정전척 캐리어; 및 상기 진공 처리 챔버 내에 마련되어 상기 정전척 캐리어가 구름 접촉되어 이동되는 컨베이어 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척 캐리어를 이용한 기판의 진공처리장치에 의해서도 달성된다.On the other hand, the above obje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t least one vacuum processing chamber; An inlet load lock chamber disposed at one side of the vacuum processing chamber to introduce a substrate into the vacuum processing chamber; An extraction load lock chamber disposed on the other side of the vacuum processing chamber to draw out a substrate on which work is completed; An electrostatic chuck carrier which adsorbs the substrate by electrostatic force and supports the substrate during transfer; And a conveyor roller provided in the vacuum processing chamber such that the electrostatic chuck carrier moves in rolling contact with the electrostatic chuck carrier.

여기서, 상기 정전척 캐리어는, 정전기력에 의해 상기 기판을 흡착하는 흡착부; 및 상기 흡착부와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컨베이어 롤러에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이동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electrostatic chuck carrier, the adsorption unit for adsorbing the substrate by the electrostatic force; And a moving support part disposed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adsorption part and movably supported by the conveyor roller.

상기 이동지지부는 상기 이동지지부의 상부 또는 하부에 상기 컨베이어 롤러가 접촉될 수 있도록 플레이트(plate)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상기 이동지지부와 상기 흡착부 사이에 상기 컨베이어 롤러가 배치되는 공간부가 형성될 수 있도록, 상기 흡착부와 상기 이동지지부는 상기 이동지지부의 폭보다 좁은 연결부에 의해 상호 연결될 수 있다.The movable support portion may have a plate shape to allow the conveyor roller to contact the upper or lower portion of the movable support portion, and a space portion in which the conveyor roller is disposed may be formed between the movable support portion and the suction portion. The adsorption part and the moving support part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connecting part narrower than the width of the moving support part.

상기 이동지지부에 연결되며, 척킹 유닛에 의해 척킹되는 척킹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chucking unit may further include a chucking unit connected to the moving support unit and chucked by the chucking unit.

상기 척킹부는 상기 척킹 유닛의 단부가 부분적으로 수용되게 배치되는 척킹홈부를 구비하는 한 쌍의 척킹 블록일 수 있다.The chucking unit may be a pair of chucking blocks including a chucking groove disposed to partially receive an end of the chucking unit.

상기 한 쌍의 척킹 블록과 연결되어 상기 흡착부를 업/다운(up/down) 구동시키는 미세 업/다운 구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fine up / down driving unit connected to the pair of chucking blocks to drive the adsorption unit up / down.

상기 미세 업/다운 구동부는, 상기 흡착부 측으로부터 돌출되는 돌출 블록; 상기 돌출 블록과 연결되고 상기 한 쌍의 척킹 블록 사이에 배치되는 지지대; 상기 한 쌍의 척킹 블록과 상기 돌출 블록 사이에 마련되는 엘엠 가이드; 및 상기 한 쌍의 척킹 블록과 상기 지지대에 각각 연결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ne up / down driving unit may include: a protruding block protruding from the suction unit side; A support connected to the protruding block and disposed between the pair of chucking blocks; An EL guide provided between the pair of chucking blocks and the protruding block; And an elastic member connected to the pair of chucking blocks and the support, respectively.

상기 엘엠 가이드가 마련된 상기 돌출 블록과 상기 한 쌍의 척킹 블록의 면은 상기 지지대를 향해 그 높이가 낮아지도록 테이퍼지게 마련될 수 있다.Surfaces of the protruding block and the pair of chucking blocks provided with the L guide may be provided to be tapered so that their height is lowered toward the support.

상기 흡착부의 일측에는 상기 흡착부에 흡착되는 상기 기판이 추락되는 것을 방지하는 추락 방지용 가이드가 회동 가능하게 더 마련될 수 있다.One side of the adsorption part may be further provided with a fall prevention guide to prevent the fall of the substrate adsorbed on the adsorption part to be rotatable.

한편,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진공 처리 챔버; 상기 진공 처리 챔버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진공 처리 챔버로 기판을 인입시키는 인입 로드락 챔버; 상기 진공 처리 챔버의 타측에 배치되어 작업이 완료된 기판을 인출시키는 인출 로드락 챔버; 정전기력에 의해 상기 기판을 흡착하고 이송 시 상기 기판을 지지하는 정전척 캐리어; 및 상기 인입 로드락 챔버, 상기 인출 로드락 챔버 및 상기 진공 처리 챔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마련되어 상기 정전척 캐리어를 척킹하는 척킹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척 캐리어를 이용한 기판의 진공처리장치에 의해서도 달성된다.On the other hand, the above obje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t least one vacuum processing chamber; An inlet load lock chamber disposed at one side of the vacuum processing chamber to introduce a substrate into the vacuum processing chamber; An extraction load lock chamber disposed on the other side of the vacuum processing chamber to draw out a substrate on which work is completed; An electrostatic chuck carrier which adsorbs the substrate by electrostatic force and supports the substrate during transfer; And a chucking unit provided in at least one of the drawing load lock chamber, the drawing load lock chamber, and the vacuum processing chamber to chuck the electrostatic chuck carrier to the vacuum processing apparatus of the substrate using the electrostatic chuck carrier. Is also achieved.

여기서, 상기 정전척 캐리어는, 정전기력에 의해 상기 기판을 흡착하는 흡착부; 및 상기 흡착부와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컨베이어 롤러에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이동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electrostatic chuck carrier, the adsorption unit for adsorbing the substrate by the electrostatic force; And a moving support part disposed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adsorption part and movably supported by the conveyor roller.

상기 척킹 유닛과 연결되어 상기 정전척 캐리어를 이동시키는 캐리어 이동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carrier moving unit connected to the chucking unit to move the electrostatic chuck carrier.

상기 캐리어 이동 유닛은, 전원공급부; 상기 정전척 캐리어의 이동 궤적을 따라 마련되는 랙; 상기 랙에 맞물려 회전하는 피니언; 및 상기 전원공급부로부터의 전원을 인가받아 상기 피니언을 회전구동시키는 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The carrier moving unit includes a power supply unit; A rack provided along a moving trajectory of the electrostatic chuck carrier; A pinion rotating in engagement with the rack; And a motor configured to receive power from the power supply and generate power for rotating the pinion.

상기 척킹 유닛과 연결되어 상기 정전척 캐리어를 업/다운(up/down) 구동시키는 업/다운 구동 유닛; 및 상기 척킹 유닛과 연결되어 상기 정전척 캐리어를 회전시키는 회전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An up / down driving unit connected to the chucking unit to drive up / down of the electrostatic chuck carrier; And a rotating unit connected to the chucking unit to rotate the electrostatic chuck carrier.

상기 진공 처리 챔버는 단일의 원(one) 챔버이거나 독립된 다수의 독립 챔버일 수 있으며, 상기 기판은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용 기판일 수 있다.The vacuum processing chamber may be a single one chamber or a plurality of independent chambers, and the substrate may be a substrate for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OLED).

본 발명에 따르면, 단순한 구조로써 기판을 흡착하여 이동시킬 수 있으며, 진공 처리 챔버 내에서 공정에 따라 기판을 90도 또는 180도 회전시켜 이동시켜야 하는 경우에도 적용할 수 있고, 외부 전원 공급이 용이하지 않은 진공 처리 챔버들 간의 기판 이동에도 효율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ubstrate can be adsorbed and moved in a simple structure, and can be applied even when the substrate needs to be rotated by 90 or 180 degrees according to the process in the vacuum processing chamber, and external power supply is not easy. It can also be applied efficiently to substrate movement between vacuum processing chambers.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In order to fully understand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rational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objects achieved by the practice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ence should be mad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illustrat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contents described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y explaining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Like reference numerals in the drawings denote like elements.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정전척 캐리어를 이용한 기판의 진공처리장치의 개략적인 평면 구조도이고, 도 2는 도 1의 개략적인 측면 구조도이며, 도 3a는 도 1에 마련된 정전척 캐리어와 척킹 유닛의 배치 구조도이고, 도 3b는 도 3a에 도시된 미세 업/다운 구동부의 확대도이며, 도 4 내지 도 9는 각각 정전척 캐리어를 180도 회전시키는 과정을 단계적으로 도시한 도면들이다.1 is a schematic plan view of a vacuum processing apparatus for a substrate using an electrostatic chuck carri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schematic side view of FIG. 1, and FIG. 3A is an electrostatic chuck provided in FIG. 1. 3B is an enlarged view of the fine up / down driving unit illustrated in FIG. 3A, and FIGS. 4 to 9 are views illustrating the process of rotating the electrostatic chuck carrier 180 degrees in stages, respectively. .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기판의 진공처리장치는, 진공 처리 챔버(110)와, 진공 처리 챔버(110)를 사이에 두고 진공 처리 챔버(110)의 양측에 배치되는 인입 및 인출 로드락 챔버(120,130)와, 정전기력에 의해 기판을 흡착하는 정전척 캐리어(140)와, 정전척 캐리어(140)를 척킹하는 척킹 유닛(160)을 구비한다.As shown in these figures, the vacuum processing apparatus for a substrat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vacuum processing chamber 110 and a drawer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vacuum processing chamber 110 with the vacuum processing chamber 110 interposed therebetween. And a drawing load lock chamber (120, 130), an electrostatic chuck carrier (140) for adsorbing the substrate by electrostatic force, and a chucking unit (160) for chucking the electrostatic chuck carrier (140).

진공 처리 챔버(110)는 기판 상에 다양한 증착막을 처리하는 챔버이다. 본 실시예의 기판은 LCD(Liquid Crystal Display)용 기판, PDP(Plasma Display Panel)용 기판,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용 기판일 수 있으나, 이하의 실시예에서는 OLED용 기판을 기판이라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The vacuum processing chamber 110 is a chamber for processing various deposition films on a substrate. The substrate of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a substrate for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a substrate for a plasma display panel (PDP), or a substrate for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OLED), but in the following embodiments, the OLED substrate will be described as a substrate. Shall be.

참고로, 유기물에 발광다이오드의 음극에 전자를, 양극에 정공을 주입시키면, 각각 전자수송층 및 정공수송층을 거쳐 발광층에서 전자와 정공이 결합하게 되고 이때 발광층 유기분자의 LUMO (lowest unoccupied molecular orbital)와 HOMO (highest occupied molecular orbital) 에너지 차에 해당하는 빛을 발생시킨다. 이 때에 발생되는 빛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display)를 만드는 것이 OLED 이다.For reference, when electrons are injected into the cathode of the light emitting diode and holes are injected into the anode, electrons and holes are combined in the light emitting layer through the electron transport layer and the hole transport layer, respectively. At this time, LUMO (lowest unoccupied molecular orbital) and Generates light corresponding to the difference between the highest occupied molecular orbital (HOMO) energy. OLED is used to make a display using light generated at this time.

LCD용 기판과 비교해보면, LCD용 기판은 자체 발광되지 못하기 때문에 기판 뒤에 백색광을 내는 백라이트를 배치하고 전면에 칼라필터를 배치하여 3원색을 만든 다음에 편광판과 액정을 지나가는 빛의 양을 조절하여 풀(full) 칼라를 구현한 것인데 반해, OLED용 기판은 유기물 자체에서 전자가 낮은 에너지 상태로 떨어지면서 내는 빛의 에너지양을 조절하여(LUMO와 HOMO의 에너지 차) 3원색을 만들고 흘려주는 전류의 양을 조절하여 빛의 세기를 조절함으로써 풀(full) 칼라를 구현한 것이다.Compared with LCD substrates, LCD substrates do not emit light by themselves, so there is a backlight that emits white light behind the substrate, and a color filter on the front to make three primary colors, and then adjust the amount of light passing through the polarizer and liquid crystal. While the full color is realized, the substrate for OLED controls the amount of light emitted by the electrons falling to a low energy state in the organic material itself (energy difference between LUMO and HOMO) to create and flow three primary colors. By adjusting the amount of light to control the intensity of light (full) is achieved.

이처럼 OLED용 기판은 자체 발광이기 때문에 LCD용 기판에 비해 밝은 곳에서도 또렷하고, 모든 방향으로 같은 빛을 내기 때문에 그 방향에 상관없이 같은 색을 얻을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다만, OLED용 기판은 전류의 양으로 밝기를 조절하기 때문에 밝은 빛을 낼 때 전류 소모가 많으므로 아몰퍼스실리콘 TFT가 아닌, 보다 높은 모빌리티(mobility)를 가진 TFT 기판으로 제작되어야 한다.As such, since OLED substrates are self-luminous, they are vivid in brighter places than LCD substrates, and because they emit the same light in all directions, the same color can be obtained regardless of the directions. However, since the OLED substrate adjusts the brightness by the amount of current, current consumption is high when it emits bright light. Therefore, the OLED substrate should be manufactured with a TFT substrate having a higher mobility, not an amorphous silicon TFT.

따라서 OLED용 기판에 대한 증착 공정 역시 LCD용 기판보다는 다양하게 진행되는데, 이러한 증착 공정이 진행되는 장소가 진공 처리 챔버(110)이다. 본 실시예에서 진공 처리 챔버(110)는 단일의 원(one) 챔버로 마련된다. Therefore, the deposition process for the OLED substrate also proceeds more variously than the substrate for the LCD, the place where the deposition process is carried out is the vacuum processing chamber 110. In this embodiment, the vacuum processing chamber 110 is provided as a single one chamber.

인입 로드락 챔버(120)는 진공 처리 챔버(110)의 일측에 배치되어 진공 처리 챔버(110)로 기판을 인입시키는 역할을 하고, 인출 로드락 챔버(130)는 진공 처리 챔버(110)의 타측에 배치되어 작업이 완료된 기판을 인출시키는 역할을 한다. 인입 및 인출 로드락 챔버(120,130) 역시 진공 처리 챔버(110)와 마찬가지로 그 내부는 진공 분위기로 유지된다.The inlet load lock chamber 120 is disposed on one side of the vacuum processing chamber 110 to serve to introduce the substrate into the vacuum processing chamber 110, and the withdrawal load lock chamber 130 is the other side of the vacuum processing chamber 110. Placed in the to serve to pull out the substrate is completed. The inlet and outlet load lock chambers 120 and 130 are also maintained in a vacuum atmosphere in the same manner as the vacuum processing chamber 110.

도 1 및 도 2에서 인입 및 인출 로드락 챔버(120,130)의 외측에 배치되는 구성은 기판을 인입 로드락 챔버(120)로, 인출 로드락 챔버(130)에서 기판을 외측으로 전달하는 로봇을 포함하는 전달 유닛(121,131)들이다.In FIGS. 1 and 2, the configuration disposed outside the inlet and outlet load lock chambers 120 and 130 includes a robot for transferring the substrate to the inlet load lock chamber 120 and the substrate from the outlet load lock chamber 130 to the outside. And delivery units 121 and 131.

한편,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전척 캐리어(140)는 정전기력에 의해 기판을 흡착하는 역할을 하고, 척킹 유닛(160)은 정전척 캐리어(140)를 척킹하는 역할을 한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ure 3a, the electrostatic chuck carrier 140 serves to adsorb the substrate by the electrostatic force, the chucking unit 160 serves to chuck the electrostatic chuck carrier 140.

정전기력에 의해 하나의 기판을 흡착한 정전척 캐리어(140)는, 인라인화(in-line)된 인입 로드락 챔버(120), 진공 처리 챔버(110) 및 인출 로드락 챔버(130)를 따라 연속적으로 이동된다. 즉 정전척 캐리어(140)는 인입 로드락 챔버(120), 진공 처리 챔버(110) 및 인출 로드락 챔버(130) 내부를 각각 통과한다.The electrostatic chuck carrier 140 adsorbing one substrate by the electrostatic force is continuously along the in-line inlet load lock chamber 120, the vacuum processing chamber 110, and the outlet load lock chamber 130. Is moved to. That is, the electrostatic chuck carrier 140 passes through the inlet load lock chamber 120, the vacuum processing chamber 110, and the outlet load lock chamber 130, respectively.

하지만, 정전척 캐리어(140)를 척킹한 척킹 유닛(160), 그리고 척킹 유닛(160)과 연결되는 캐리어 이동 유닛(170), 정전척 캐리어(140)를 업/다운(up/down) 구동시키는 업/다운 구동 유닛(180) 및 정전척 캐리어(140)를 회전시키는 회전 유닛(190)은 인입 로드락 챔버(120), 진공 처리 챔버(110) 및 인출 로드락 챔버(130) 내부 모두에 마련될 필요는 없다. 즉 척킹 유닛(160), 캐리어 이동 유닛(170), 업/다운 구동 유닛(180) 및 회전 유닛(190)은, 인입 로드락 챔버(120), 진공 처리 챔버(110) 및 인출 로드락 챔버(130) 중에서 필요한 위치에만 마련되면 그것으로 충분하다.However, the chucking unit 160 chucking the electrostatic chuck carrier 140, the carrier moving unit 170 connected with the chucking unit 160, and the electrostatic chuck carrier 140 are driven up / down. The rotation unit 190 for rotating the up / down driving unit 180 and the electrostatic chuck carrier 140 is provided in all of the inlet load lock chamber 120, the vacuum processing chamber 110, and the takeout load lock chamber 130. It doesn't have to be. That is, the chucking unit 160, the carrier movement unit 170, the up / down drive unit 180, and the rotation unit 190 may include an inlet load lock chamber 120, a vacuum processing chamber 110, and an outlet load lock chamber ( 130, it is sufficient if it is provided only in the required position.

우선, 도 3a를 참조할 때, 정전척 캐리어(140)는 흡착부(141)와, 흡착부(14) 와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고 컨베이어 롤러(105)에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이동지지부(142)를 구비한다.First, referring to FIG. 3A, the electrostatic chuck carrier 140 is disposed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adsorption unit 141 and the adsorption unit 14, and a moving support unit 142 movably supported by the conveyor roller 105. ).

참고로, 정전척에 대해 간략하게 부연한다. 척(Chuck)이란 공정 진행 동안 기판을 잡아주는 장치로서, 크게는 E 척(E-Chuck)과 M 척(M-Chuck)으로 나뉜다. M 척(M-Chuck)은 기구적으로 기판을 가압하기 때문에 기판에 파티클을 발생시킬 수 있고 또한 기판의 에지(edge)를 쓸모없이 만들 수 있다. 하지만, 본 실시예에서 적용 중에 있는 정전척(ES-Chuck)의 개발로 이런 문제점은 사라졌다 할 수 있다.For reference, a brief description of the electrostatic chuck. Chuck (Chuck) is a device that holds the substrate during the process, largely divided into E-Chuck (E-Chuck) and M Chuck (M-Chuck). Since the M-Chuck mechanically presses the substrate, it can generate particles in the substrate and also make the edges of the substrate useless. However, this problem may be eliminated due to the development of the electrostatic chuck (ES-Chuck) being applied in the present embodiment.

본 실시예에서 적용 중에 있는 정전척(ES-Chuck)은 말 그대로 정전력 (Electrostatic Force), 즉 정전기력에 의해 기판을 잡는 방법으로 기존의 M 척(M-Chuck)에서의 문제점을 제거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electrostatic chuck (ES-Chuck) that is being applied eliminates the problem of the existing M-chuck by literally holding the substrate by electrostatic force, that is, electrostatic force.

정전척(ES-Chuck)에는 Uni-polar, Bi-polar, Tri-polar 타입 등이 있다.ES-Chuck includes Uni-polar, Bi-polar and Tri-polar types.

Uni-polar 타입은 척에 (+) 전압만을 인가하고 플라즈마(Plasma) 발생에 의해 접지(Ground)와 연결되어 척킹을 하는데, 척킹 해제(Dechucking)를 하려면 반대의 역바이어스를 걸어주어야 한다. 만약, 반대의 역바이어스를 걸어주지 않으면 전원 공급이 중단되더라도 기판을 수 내지 수십 분 동안 흡착하는 성질이 있다.In the uni-polar type, only the positive voltage is applied to the chuck and the chuck is connected to the ground by the plasma generation. To dechuck, the reverse bias is applied. If the reverse bias is not applied, the substrate may be adsorbed for several to several ten minutes even if the power supply is interrupted.

Bi-polar 타입은 척에 +/- DC 전압이 인가됨으로써 척킹을 위해 인가된 전압의 역바이어스를 걸어주면 척킹 해제가 되는 구조이다. 척 자체만으로 척킹 또는 척킹 해제가 가능하도록 한 것이며, 플라즈마가 필요 없다는 이점이 있다. The bi-polar type is a structure in which chucking is released by applying a reverse bias of the applied voltage for chucking by applying +/- DC voltage to the chuck. Chucking or chucking is possible only by the chuck itself, there is an advantage that no plasma is required.

Tri-polar 타입은 Bi-polar 타입과 비슷한데, 한 가지 다른 것은 플라즈마에서 발생한 DC Self 바이어스(Bias)를 읽어(Reading) +/- 전압을 Vdc 만큼 보상해 줌으로써 기판과 척 사이의 네트 차지(Net charge)를 제로(zero)화 해야 하는 것이다.The Tri-polar type is similar to the Bi-polar type, the other being the net charge between the substrate and the chuck by compensating +/- voltage by Vdc by reading the DC Self Bias generated in the plasma. ) Should be zeroed.

본 실시예의 정전척 캐리어(140)는 정전척(ES-Chuck)의 전술한 타입 중에서 Bi-polar 타입을 적용하고 있으며, 기판을 척킹한 상태에서 전원 공급이 중단되더라도 기판을 수 내지 수십 분 동안 계속 흡착할 수 있는 성질을 이용하여 기판을 이송하는데 적용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이다.The electrostatic chuck carrier 140 of the present embodiment applies a bi-polar type among the above-described types of electrostatic chucks (ES-Chuck), and continues the substrate for several to several ten minutes even when the power supply is stopped while the substrate is chucked. It was developed for application to transfer substrates using adsorptive properties.

도 3a를 참조하여 정전척 캐리어(140)에 대한 각 구성을 살펴본다.Referring to Figure 3a looks at each configuration of the electrostatic chuck carrier 140.

우선, 흡착부(141)는 정전기력에 의해 기판을 흡착하는 부분이다. 흡착부(141)의 일측에는 흡착부(141)에 흡착되는 기판이 추락되는 것을 방지하는 추락 방지용 가이드(143)가 마련된다. 추락 방지용 가이드(143)는 기판의 사이즈를 고려하여 흡착부(141)의 양측에 다수 개 마련될 수 있다.First, the adsorption part 141 is a part which adsorb | sucks a board | substrate by electrostatic force. One side of the adsorption part 141 is provided with a fall prevention guide 143 that prevents the substrate adsorbed by the adsorption part 141 from falling. The fall prevention guide 143 may be provided in plural on both sides of the adsorption part 141 in consideration of the size of the substrate.

추락 방지용 가이드(143)는 기판을 걸어 기판이 추락되지 않도록 하는 수단으로서 절곡부(143a)를 구비한다. 이러한 절곡부(143a)로 인해 기판이 추락되지 않게 되는 이점은 있으나 추락 방지용 가이드(143)가 해당 위치에 고정되게 마련되는 경우라면 절곡부(143a)가 방해물로 작용되기 때문에 기판이 흡착부(141)의 일측에 쉽게 흡착되지 못하는 현상이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경우, 흡착부(141)와 추락 방지용 가이드(143) 사이에 힌지(144)를 더 마련함으로써 추락 방지용 가이드(143)가 흡착부(141)에 대해 회동되도록 하고 있다. 그래야만, 기판은 별다른 방해물 없이 흡착부(141)의 일측에 쉽게 흡착될 수 있고, 추후에 힌지(144)에 의해 추락 방지용 가이드(143)가 회동됨으로써 기판의 추락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The fall prevention guide 143 is provided with the bending part 143a as a means which hangs a board | substrate and prevents a board | substrate from falling.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substrate does not fall due to the bent portion (143a), but if the fall prevention guide 143 is provided to be fixed at the corresponding position because the bent portion (143a) acts as an obstacle, the substrate is the adsorption portion (141) It may not be easily adsorbed on one side of the). Therefore, in this embodiment, the fall prevention guide 143 is rotated with respect to the adsorption part 141 by further providing the hinge 144 between the adsorption part 141 and the fall prevention guide 143. Only then, the substrate can be easily adsorbed to one side of the adsorption unit 141 without any obstacle, and the fall prevention guide 143 is later rotated by the hinge 144 to prevent the substrate from falling.

이동지지부(142)는 정전척 캐리어(140)의 이동을 위해 컨베이어 롤러(105)에 직접 접촉되는 부분이다. 따라서 이동지지부(142)는 평평한 플레이트(plate) 형상을 갖는 것이 유리하지만 V홈 슬롯 형상 혹은 이에 준하는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특히, 본 실시예의 정전척 캐리어(140)는 도 4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방향 혹은 180도 회전된 역방향의 상태로 컨베이어 롤러(105)에 접촉되어 이동될 수 있어야 하므로 이동지지부(142)는 평평한 플레이트 또는 V홈 슬롯 형상을 갖는 것이 유리하다.The moving support part 142 is a part directly contacting the conveyor roller 105 to move the electrostatic chuck carrier 140. Accordingly, the moving support 142 may advantageously have a flat plate shape, but may have a V groove slot shape or a similar shape. In particular, the electrostatic chuck carrier 140 of the present embodiment, as shown in Figures 4 to 9, because it should be able to move in contact with the conveyor roller 105 in a state of being rotated forward or 180 degrees, the support portion 142 It is advantageous to have a flat plate or V-groove slot shape.

이동지지부(142)와 흡착부(141)는 이동지지부(142)의 폭보다 좁은 연결부(145)에 의해 상호 연결된다. 따라서 이동지지부(142)와 흡착부(141) 사이에는 공간부(145a)가 형성되는데, 이 공간부(145a)에는 도 3a처럼 컨베이어 롤러(105)가 배치될 수 있다.The moving support part 142 and the suction part 141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connection part 145 narrower than the width of the moving support part 142. Therefore, a space portion 145a is formed between the moving support portion 142 and the adsorption portion 141, and the conveyor roller 105 may be disposed in the space portion 145a as shown in FIG. 3A.

이동지지부(142)의 일측에는 이동지지부(142)와 연결되되 척킹 유닛(160)이 척킹되는 척킹부(146)가 더 구비된다. 척킹부(146)는 척킹 유닛(160)이 척킹되는 장소를 이루는데, 본 실시예에서 척킹부(146)는 척킹 유닛(160)의 단부가 부분적으로 수용되게 배치되는 척킹홈부(146a)를 구비하는 한 쌍의 척킹 블록(146b,146c)으로 마련된다.One side of the moving support part 142 is further provided with a chucking part 146 connected to the moving support part 142 and the chucking unit 160 is chucked. The chucking unit 146 constitutes a place where the chucking unit 160 is chucked. In this embodiment, the chucking unit 146 includes a chucking groove 146a disposed to partially receive an end of the chucking unit 160. And a pair of chucking blocks 146b and 146c.

도 3a의 경우, 척킹홈부(146a)는 이동지지부(142)로부터 돌출되게 마련되는 한 쌍의 척킹 블록(146b,146c)에 각각 하나씩 마련되고 있으나, 도 4 내지 도 9와 같이 척킹홈부(146a)는 연결부(145)에 마련될 수도 있다. 이는 증착 공정 상황에 따라 정전척 캐리어(140)가 정방향 또는 역방향 모두로 배치되어야 하기 때문이다.In the case of FIG. 3A, the chucking grooves 146a are each provided in a pair of chucking blocks 146b and 146c protruding from the moving support part 142, but as shown in FIGS. May be provided in the connecting portion 145. This is because the electrostatic chuck carrier 140 must be disposed in both forward and reverse directions depending on the deposition process situation.

본 실시예의 경우, 2개 이상, 즉 다수의 척킹 유닛(160)의 단부가 대략 뾰족한 삼각형상을 이루고 있기 때문에 척킹홈부(146a) 역시 그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도시되고 있으나 척킹홈부(146a)의 형상은 도시된 것과는 다를 수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wo or more, that is, the end of the plurality of chucking unit 160 is formed in a substantially pointed triangular shape chucking groove 146a is also shown in a corresponding shape, but the shape of the chucking groove 146a is It may differ from that shown.

한편, 척킹부(146)를 형성하는 한 쌍의 척킹 블록(146b,146c)에는 한 쌍의 척킹 블록(146b,146c)과 연결되어 정전척 캐리어(140)를 미세하게 상하로 업/다운(up/down) 구동시키는 미세 업/다운 구동부(147)가 더 마련된다. 미세 업/다운 구동부(147)에 의한 정전척 캐리어(140)의 업/다운(up/down) 범위는 대략 수 내지 수십 밀리미터가 된다. 미세 업/다운 구동부(147)는 정전척 캐리어(140)의 이동지지부(142)와 컨베이어 롤러(105) 간의 갭(gap) 조정을 위해 마련된다.Meanwhile, the pair of chucking blocks 146b and 146c forming the chucking unit 146 are connected to the pair of chucking blocks 146b and 146c to finely up / down the electrostatic chuck carrier 140. A fine up / down driving unit 147 for driving down is further provided. The up / down range of the electrostatic chuck carrier 140 by the fine up / down driving unit 147 is approximately several to several tens of millimeters. The fine up / down driving unit 147 is provided for adjusting a gap between the moving support part 142 of the electrostatic chuck carrier 140 and the conveyor roller 105.

이러한 미세 업/다운 구동부(147)는,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지지부(142)로부터 돌출되는 돌출 블록(147a)과, 돌출 블록(147a)과 연결되고 한 쌍의 척킹 블록(146b,146c) 사이에 배치되는 지지대(147b)와, 한 쌍의 척킹 블록(146b,146c)과 돌출 블록(147a) 사이에 마련되는 엘엠 가이드(147c)와, 한 쌍의 척킹 블록(146b,146c)과 지지대(147b)에 각각 연결되는 탄성부재(147d)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3B, the fine up / down driving part 147 is connected to the protruding block 147a protruding from the moving support part 142, the protruding block 147a, and a pair of chucking blocks 146b, A support 147b disposed between the 146c, an LM guide 147c provided between the pair of chucking blocks 146b and 146c and the protruding block 147a, a pair of chucking blocks 146b and 146c, and It includes an elastic member (147d) connected to the support (147b), respectively.

탄성부재(147d)는 코일 스프링으로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엘엠 가이드(147c)가 마련된 돌출 블록(147a)과 한 쌍의 척킹 블록(146b,146c)의 면은 지지대(147b)를 향해 그 높이가 낮아지도록 테이퍼지게 마련된다.The elastic member 147d may be provided as a coil spring. In addition, the surfaces of the protruding block 147a provided with the LM guide 147c and the pair of chucking blocks 146b and 146c are provided to be tapered so that their height is lowered toward the support 147b.

이에, 도 3b에서 척킹 유닛(160)이 점선에서 실선으로 동작되어 그 단부가 척킹홈부(146a)에 삽입되면서 한 쌍의 척킹 블록(146b,146c)을 가압하면, 한 쌍의 척킹 블록(146b,146c) 사이의 탄성부재(147d)가 압착되면서 한 쌍의 척킹 블록(146b,146c)은 엘엠 가이드(147c)를 따라 상호간 좁아지는 형태로 이동되는데, 이때 돌출 블록(147a)과 한 쌍의 척킹 블록(146b,146c)의 사이 면은 테이퍼지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정전척 캐리어(140)는 약간 업(up)될 수 있다. 반대로, 척킹 유닛(160)이 척킹이 해제되면, 다시 탄성부재(147d)가 원상태로 팽창되기 때문에 한 쌍의 척킹 블록(146b,146c)이 벌어지게 되고 이에 따라 정전척 캐리어(140)는 다시 다운(down)될 수 있게 된다.Thus, in FIG. 3B, when the chucking unit 160 is operated from a dotted line to a solid line and the end is inserted into the chucking groove 146a and presses the pair of chucking blocks 146b and 146c, the pair of chucking blocks 146b, As the elastic member 147d between the 146c is compressed, the pair of chucking blocks 146b and 146c move in a narrowing form along the LM guide 147c, wherein the protruding block 147a and the pair of chucking blocks are moved. Since the surface between 146b and 146c is tapered, the electrostatic chuck carrier 140 may be slightly up. On the contrary, when the chucking unit 160 is released from the chucking, the pair of chucking blocks 146b and 146c are opened because the elastic member 147d is inflated again, and thus the electrostatic chuck carrier 140 is down again. can be down.

한편, 인입 로드락 챔버(120), 진공 처리 챔버(110) 및 인출 로드락 챔버(130) 중에서 필요한 위치에 마련될 수 있는 척킹 유닛(160)은 도 3a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판을 흡착한 정전척 캐리어(140)를 그대로 척킹하는(잡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척킹 유닛(160)은 정전척 캐리어(140)를 척킹하는 역할만을 수행하기 때문에, 척킹 유닛(160)이 정전척 캐리어(140)를 척킹한 후, 정전척 캐리어(140)를 이동, 업/다운, 회전시키기 위해서는 캐리어 이동 유닛(170), 업/다운 구동 유닛(180) 및 회전 유닛(190)의 구성들이 더 필요하다. 캐리어 이동 유닛(170), 업/다운 구동 유닛(180) 및 회전 유닛(190)들은 모두가 척킹 유닛(160)과 연결되어 척킹 유닛(160)과 함께 동작되는 구성들이다.Meanwhile, the chucking unit 160, which may be provided at a required position among the inlet load lock chamber 120, the vacuum processing chamber 110, and the outlet load lock chamber 130, may have a substrate as illustrated in FIGS. 3A to 9. It serves to chuck (grab) the electrostatic chuck carrier 140 that has absorbed it as it is. Since the chucking unit 160 only serves to chuck the electrostatic chuck carrier 140, after the chucking unit 160 chucks the electrostatic chuck carrier 140, the chucking unit 140 moves, up / down. Further configuration of the carrier movement unit 170, the up / down drive unit 180, and the rotation unit 190 is required to move down and rotate. The carrier movement unit 170, the up / down drive unit 180, and the rotation unit 190 are all components connected to the chucking unit 160 and operated together with the chucking unit 160.

캐리어 이동 유닛(170)에 대해 살펴보면, 캐리어 이동 유닛(170)은 척킹 유닛(160)과 연결되어 정전척 캐리어(140)를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예의 경우, 캐리어 이동 유닛(170)은 진공 처리 챔버(110) 내에 마련되되 정전척 캐리 어(140)를 순환시키는 순환 구조로 마련될 수 있다. 물론, 이는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이의 사항에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될 필요는 없다.Looking at the carrier movement unit 170, the carrier movement unit 170 is connected to the chucking unit 160 serves to move the electrostatic chuck carrier 140.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carrier movement unit 170 may be provided in the vacuum processing chamber 110, but may have a circulation structure for circulating the electrostatic chuck carrier 140. Of course, this is only one embodiment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need not be limited thereto.

이러한 캐리어 이동 유닛(170)은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공급부(171)와, 정전척 캐리어(140)의 이동 궤적을 따라 마련되는 랙(172)과, 랙(172)에 맞물려 회전하는 피니언(173)과, 전원공급부(171)로부터의 전원을 인가받아 피니언(173)을 회전구동시키는 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174)를 구비한다. 이에, 전원공급부(171)로부터 전원이 모터(174)로 인가되어 모터(174)에 의해 피니언(173)이 회전되면, 피니언(173)은 랙(172)의 이동 궤적, 즉 본 실시예의 경우 도 1과 같이 진공 처리 챔버(110) 내의 순환 이동 궤적을 따라 이동하게 되는데, 이때 척킹 유닛(160)에 의해 정전척 캐리어(140)가 척킹된 상태이므로 기판을 흡착한 정전척 캐리어(140) 역시 진공 처리 챔버(110) 내의 순환 이동 궤적을 따라 이동하면서 정해진 증착 공정을 수행하게 된다.As shown in FIG. 3A, the carrier moving unit 170 rotates in engagement with the power supply unit 171, the rack 172 provided along the moving trajectory of the electrostatic chuck carrier 140, and the rack 172. A pinion 173 and a motor 174 that generates power to rotate the pinion 173 by receiving power from the power supply unit 171. Accordingly, when power is applied from the power supply unit 171 to the motor 174 and the pinion 173 is rotated by the motor 174, the pinion 173 moves along the track 175 of the rack 172, that is, in the present embodiment. As shown in FIG. 1, the electrostatic chuck carrier 140 adsorbs the substrate because the electrostatic chuck carrier 140 is chucked by the chucking unit 160. The deposition process is performed while moving along the circular movement trajectory in the processing chamber 110.

업/다운 구동 유닛(180)은 척킹 유닛(160)과 연결되어 정전척 캐리어(140)를 업/다운(up/down) 구동시키는 역할을 하고, 회전 유닛(190)은 척킹 유닛(160)과 연결되어 정전척 캐리어(140)를 회전시키는 역할을 한다. 업/다운 구동 유닛(180)과 회전 유닛(190)에 대해서는 자세하게 도시하고 있지 않고 있으나, 업/다운 구동 유닛(180)은 실린더나 리니어 모터, 서보모터와 기어박스 조합 등의 구조로, 그리고 회전 유닛(190)은 회전 모터 등의 구조로 쉽게 적용이 가능하다.The up / down driving unit 180 is connected to the chucking unit 160 to drive up / down of the electrostatic chuck carrier 140, and the rotating unit 190 is connected to the chucking unit 160. It is connected to serve to rotate the electrostatic chuck carrier 140. The up / down driving unit 180 and the rotating unit 190 are not shown in detail, but the up / down driving unit 180 has a structure such as a cylinder, a linear motor, a servo motor and a gearbox combination, and rotates. The unit 190 can be easily applied to a structure such as a rotating motor.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실시예의 진공처리장치에 대한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the operation of the vacuum processing apparatus of this embodiment having such a configuration is as follows.

우선, 로봇 등이 구비된 전달 유닛(121)이 작업 대상의 기판을 파지하여 인입 로드락 챔버(120)로 전달한다.First, a transfer unit 121 equipped with a robot or the like grips a substrate of an operation target and transfers the substrate to an incoming load lock chamber 120.

이때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입 로드락 챔버(120) 내에 구비된 컨베이어 롤러(105) 상에 이미 정전척 캐리어(140)가 배치된 상태이다. 정전척 캐리어(140)는 도 4처럼 역방향의 상태로 컨베이어 롤러(105) 상에 배치될 수 있다.In this case, as shown in FIG. 4, the electrostatic chuck carrier 140 is already disposed on the conveyor roller 105 provided in the inlet load lock chamber 120. The electrostatic chuck carrier 140 may be disposed on the conveyor roller 105 in a reverse state as shown in FIG. 4.

이러한 상태에서 전달 유닛(121)의 로봇이 도 5처럼 역방향으로 배치된 정전척 캐리어(140)의 흡착부(141)로 기판을 전달하면, 기판은 정전척 캐리어(140)의 흡착부(141)에 흡착된다.In this state, when the robot of the transfer unit 121 transfers the substrate to the adsorption unit 141 of the electrostatic chuck carrier 140 disposed in the reverse direction as shown in FIG. 5, the substrate is the adsorption unit 141 of the electrostatic chuck carrier 140. Is adsorbed on.

기판이 흡착부(141)에 흡착되고 나면, 정전척 캐리어(140)에 인접되게 배치되어 있던 척킹 유닛(160)이 동작되어 정전척 캐리어(140)를 척킹한다. 즉 척킹 유닛(160)의 단부가 정전척 캐리어(140)의 척킹홈부(146a)에 삽입됨으로써 전압 인가에 의해 기판을 흡착하고 정전척 캐리어(140)는 척킹 유닛(160)에 의해 척킹된다(도 6 참조). 이 경우는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척킹홈부(146a)는 연결부(145)에 마련된 경우에 해당된다.After the substrate is absorbed by the adsorption unit 141, the chucking unit 160 disposed adjacent to the electrostatic chuck carrier 140 is operated to chuck the electrostatic chuck carrier 140. That is, the end of the chucking unit 160 is inserted into the chucking groove 146a of the electrostatic chuck carrier 140 so as to adsorb the substrate by voltage application and the electrostatic chuck carrier 140 is chucked by the chucking unit 160 (FIG. 6). In this case, as described above, the chucking groove 146a corresponds to the case provided in the connecting portion 145.

척킹 유닛(160)에 의해 정전척 캐리어(140)가 척킹되고 나면, 도 7처럼 업/다운 구동 유닛(180)이 동작되어 척킹 유닛(160)을 업(up)시킨다. 그러면 기판을 흡착한 정전척 캐리어(140)는 척킹 유닛(160)과 함께 업(up)된다. 그런 다음, 도 8처럼 회전 유닛(190)이 동작되어 척킹 유닛(160)을 180도 회전시킨다. 그러면 기판을 흡착한 정전척 캐리어(140)는 척킹 유닛(160)과 함께 180도 회전되며, 이후에 도 9처럼 다시 업/다운 구동 유닛(180)이 동작되어 척킹 유닛(160)을 다운(down)시 킴으로써 기판을 흡착한 정전척 캐리어(140)는 척킹 유닛(160)과 함께 다운(down)되어 컨베이어 롤러(105) 상에 배치될 수 있다.After the electrostatic chuck carrier 140 is chucked by the chucking unit 160, the up / down driving unit 180 is operated as shown in FIG. 7 to up the chucking unit 160. Then, the electrostatic chuck carrier 140 which adsorbs the substrate is up with the chucking unit 160. Then, the rotary unit 190 is operated as shown in FIG. 8 to rotate the chucking unit 160 by 180 degrees. Then, the electrostatic chuck carrier 140 adsorbing the substrate is rotated 180 degrees with the chucking unit 160, and then the up / down driving unit 180 is operated again as shown in FIG. 9 to down the chucking unit 160. The electrostatic chuck carrier 140 adsorbing the substrate may be down with the chucking unit 160 and disposed on the conveyor roller 105.

다음, 척킹 유닛(160)과 연결된 캐리어 이동 유닛(170)이 동작되어 기판을 흡착한 정전척 캐리어(140)를 진공 처리 챔버(110)로 옮긴다. 이때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게이트 밸브(G1)를 지나게 되는데, 이처럼 정전척 캐리어(140)가 게이트 밸브(G1)를 이동할 때 설사 전원 공급이 중단되더라도 정전척 캐리어(140)는 기판을 수 내지 수십 분 동안 흡착할 수 있다.Next, the carrier movement unit 170 connected to the chucking unit 160 is operated to transfer the electrostatic chuck carrier 140, which adsorbs the substrate, to the vacuum processing chamber 110. In this case, as shown in FIG. 1, the gate valve G1 passes through the electrostatic chuck carrier 140 even though the power supply is stopped even when the electrostatic chuck carrier 140 moves the gate valve G1. May be adsorbed for from several tens of minutes.

다시 말해, 게이트 밸브(G1) 영역은 도면으로 보더라도 그 공간이 좁기 때문에 외부의 전원을 공급하는 구조물을 설치하는데 한계가 있을 수 있지만, 본 실시예의 정전척 캐리어(140)는 한번 인가된 정전기력으로 수 내지 수십 분 이상 기판을 흡착할 수 있기 때문에 설사 외부 전원이 인가되지 않더라도 일정 시간동안은 기판을 흡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In other words, the gate valve G1 region may have limitations in installing a structure for supplying external power because the space thereof is narrow in view of the drawings, but the electrostatic chuck carrier 140 of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discharged by the applied electrostatic force once. Since the substrate can be adsorbed for several tens of minutes or more, even if an external power source is not applied, the substrate can be adsorbed for a predetermined time.

정전척 캐리어(140)가 진공 처리 챔버(110) 내에 도달되면, 진공 처리 챔버(110) 내에 구비된 캐리어 이동 유닛(170)이 동작됨에 따라 증착 공정이 진행된다. 즉 전원공급부(171)로부터 전원이 모터(174)로 인가되어 모터(174)에 의해 피니언(173)이 회전되면, 피니언(173)은 랙(172)의 이동 궤적, 즉 도 1과 같이 진공 처리 챔버(110) 내의 순환 이동 궤적을 따라 이동하게 되는데, 이때 척킹 유닛(160)에 의해 정전척 캐리어(140)가 척킹된 상태이므로 기판을 흡착한 정전척 캐리어(140) 역시 진공 처리 챔버(110) 내의 순환 이동 궤적을 따라 이동하면서 정해진 증착 공정을 수행하게 된다.When the electrostatic chuck carrier 140 reaches the vacuum processing chamber 110, a deposition process is performed as the carrier movement unit 170 provided in the vacuum processing chamber 110 is operated. That is, when power is supplied from the power supply unit 171 to the motor 174 and the pinion 173 is rotated by the motor 174, the pinion 173 is vacuumed as shown in FIG. 1. The electrostatic chuck carrier 140, which absorbs the substrate, also absorbs the substrate because the electrostatic chuck carrier 140 is chucked by the chucking unit 160. The predetermined deposition process is performed while moving along the circular movement trajectory within.

증착 공정이 완료되면, 기판을 흡착한 정전척 캐리어(140)는 게이트 밸브(G2)를 지나 인출 로드락 챔버(130)로 이송되고, 로봇 등이 구비된 전달 유닛(131)을 통해 다음 공정으로 반출된다. 이때, 인출 로드락 챔버(130)에서는 도 9에서 도 4의 방향으로 정전척 캐리어(140)를 다시 180도 역방향으로 뒤집는 작업이 수행될 수도 있다.When the deposition process is completed, the electrostatic chuck carrier 140 that has adsorbed the substrate is transferred to the withdrawal load lock chamber 130 through the gate valve G2, and is transferred to the next process through the transfer unit 131 equipped with a robot or the like. It is taken out. In this case, the drawing load lock chamber 130 may also perform the operation of inverting the electrostatic chuck carrier 140 in the direction of 180 degrees again in FIG. 9 to FIG. 4.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단순한 구조로써 기판을 흡착하여 이동시킬 수 있으며, 진공 처리 챔버(110) 내에서 공정에 따라 기판을 90도 또는 180도 회전시켜 이동시켜야 하는 경우에도 적용할 수 있고, 외부 전원 공급이 용이하지 않은 진공 처리 챔버(110)들 간의 기판 이동에도 효율적으로 적용될 수 있게 된다.As such, according to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the substrate may be absorbed and moved by a simple structure, and may be applied even when the substrate needs to be rotated by 90 degrees or 180 degrees according to the process in the vacuum processing chamber 110.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efficiently apply to the movement of the substrate between the vacuum processing chamber 110 is not easy to supply external power.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정전척 캐리어를 이용한 기판의 진공처리장치의 개략적인 평면 구조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개략적인 측면 구조도이다.FIG. 10 is a schematic plan view of a vacuum processing apparatus for a substrate using an electrostatic chuck carrie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1 is a schematic side view of the structure of FIG.

전술한 실시예와 같이, 진공 처리 챔버(110)가 단일의 원(one) 챔버로 마련될 경우, 기판 이송 효율은 좋을 수 있으나 유지 보수 차원, 부품의 설치 차원에서는 다소 불리할 수도 있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vacuum processing chamber 110 is provided as a single one chamber, the substrate transfer efficiency may be good but may be somewhat disadvantageous in terms of maintenance and installation of components.

때문에, 도 10 및 도 11과 같이, 진공 처리 챔버(210a,210b,210c)를 독립된 다수의 독립 챔버(210a,210b,210c)로 마련하는 경우도 있는데, 이러한 환경이라도 본 발명은 충분히 적용이 가능하다.Accordingly, as shown in FIGS. 10 and 11, the vacuum processing chambers 210a, 210b and 210c may be provided as a plurality of independent independent chambers 210a, 210b and 210c, bu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ufficiently applied even in such an environment. Do.

특히, 본 실시예와 같을 경우, 독립 챔버(210a,210b,210c) 사이에는 게이트 밸브(G3,G4)가 더 마련되기 때문에 기판을 흡착한 정전척 캐리어(140)는 게이트 밸 브(G3,G4)를 더 지나야 하는 과정이 있으나, 전술한 바와 같이, 게이트 밸브(G3,G4)를 지날 때 전원 공급이 중단되더라도 정전척 캐리어(140)는 기판을 수 내지 수십 분 동안 흡착할 수 있기 때문에 증착 공정을 수행하는 데에는 아무런 무리가 없다.In particular, in the case of the present embodiment, since the gate valves G3 and G4 are further provided between the independent chambers 210a, 210b and 210c, the electrostatic chuck carrier 140 adsorbing the substrate may be the gate valves G3 and G4. However, as described above, even if the power supply is interrupted when passing through the gate valves G3 and G4, the electrostatic chuck carrier 140 can adsorb the substrate for several to several tens of minutes. There is no crowd in carrying out.

도 12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정전척 캐리어를 이용한 기판의 진공처리장치의 개략적인 평면 구조도이고, 도 13은 도 12의 개략적인 측면 구조도이다.12 is a schematic plan view of a vacuum processing apparatus for a substrate using an electrostatic chuck carrier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3 is a schematic side view of the structure of FIG.

본 실시예는, 진공 처리 챔버(310)가 제1 실시예와 같이 단일의 원(one) 챔버로 마련되기는 하되 진공 처리 챔버(310) 내에 전술한 캐리어 이동 유닛(170)이 마련되지 않고, 대신에 컨베이어 롤러(305)가 마련되는 경우에 해당하는데, 이러한 환경일지라도 본 발명은 충분히 적용이 가능한 것이다.In this embodiment, although the vacuum processing chamber 310 is provided as a single one chamber as in the first embodiment, the above-described carrier moving unit 170 is not provided in the vacuum processing chamber 310, and instead, Corresponds to the case where the conveyor roller 305 is provided, even in such an environment, the present invention is sufficiently applicable.

도 14는 본 발명이 제4 실시예에 따른 정전척 캐리어와 척킹 유닛의 배치 구조도이다.14 is a layout diagram of the arrangement of the electrostatic chuck carrier and the chucking unit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 도면을 참조할 때, 캐리어 이동 유닛(170a)은 전술한 실시예의 캐리어 이동 유닛(170)과는 달리 모터(미도시)가 적용된 볼스크루(172a, Ball screw) 타입일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모터는 챔버의 외부에 마련될 수 있으며, 모터의 동작에 의해 볼스크루(172a)가 회전됨에 따라 정전척 캐리어(140)는 볼스크루(172a)의 축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게 된다.Referring to this figure, the carrier moving unit 170a may be a ball screw type 172a to which a motor (not shown) is applied, unlike the carrier moving unit 170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In this case, the motor may be provided outside the chamber, and as the ball screw 172a is rotated by the operation of the motor, the electrostatic chuck carrier 140 may be moved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ball screw 172a.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 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erefore, such modifications or variations will have to be belong to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정전척 캐리어를 이용한 기판의 진공처리장치의 개략적인 평면 구조도이다.1 is a schematic plan view of a vacuum processing apparatus for a substrate using an electrostatic chuck carri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의 개략적인 측면 구조도이다.FIG. 2 is a schematic side view of FIG. 1.

도 3a는 도 1에 마련된 정전척 캐리어와 척킹 유닛의 배치 구조도이다.3A is a layout view of the electrostatic chuck carrier and the chucking unit provided in FIG. 1.

도 3b는 도 3a에 도시된 미세 업/다운 구동부의 확대도이다.3B is an enlarged view of the fine up / down driving unit illustrated in FIG. 3A.

도 4 내지 도 9는 각각 정전척 캐리어를 180도 회전시키는 과정을 단계적으로 도시한 도면들이다.4 to 9 are diagrams illustrating the process of rotating the electrostatic chuck carrier 180 degrees, respectively.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정전척 캐리어를 이용한 기판의 진공처리장치의 개략적인 평면 구조도이다.10 is a schematic plan structure diagram of a vacuum processing apparatus for a substrate using an electrostatic chuck carrie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은 도 10의 개략적인 측면 구조도이다.FIG. 11 is a schematic side view of FIG. 10.

도 12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정전척 캐리어를 이용한 기판의 진공처리장치의 개략적인 평면 구조도이다.12 is a schematic plan view of a vacuum processing apparatus for a substrate using an electrostatic chuck carrier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3은 도 12의 개략적인 측면 구조도이다.FIG. 13 is a schematic side view of FIG. 12.

도 14는 본 발명이 제4 실시예에 따른 정전척 캐리어와 척킹 유닛의 배치 구조도이다.14 is a layout diagram of the arrangement of the electrostatic chuck carrier and the chucking unit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10 : 진공 처리 챔버 120 : 인입 로드락 챔버110: vacuum processing chamber 120: incoming load lock chamber

130 : 인출 로드락 챔버 140 : 정전척 캐리어130: withdrawal load lock chamber 140: electrostatic chuck carrier

141 : 흡착부 142 : 이동지지부141: adsorption portion 142: moving support portion

143 : 추락 방지용 가이드 144 : 힌지143: fall prevention guide 144: hinge

145 : 연결부 146 : 척킹부145: connecting portion 146: chucking portion

160 : 척킹 유닛 170 : 캐리어 이동 유닛160: chucking unit 170: carrier moving unit

180 : 업/다운 구동 유닛 190 : 회전 유닛180: up / down drive unit 190: rotation unit

Claims (26)

정전기력에 의해 기판을 흡착하는 흡착부; 및Adsorption unit for adsorbing the substrate by the electrostatic force; And 상기 흡착부와 연결되고 척킹 유닛에 의해 척킹되는 척킹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척 캐리어.And a chucking part connected to the suction part and chucked by the chucking unit.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척킹부는 상기 척킹 유닛의 단부가 부분적으로 수용되게 배치되는 척킹홈부를 구비하는 한 쌍의 척킹 블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척 캐리어.The chucking unit is a pair of chucking block having a chucking groove which is disposed so that the end of the chucking unit is partially received. 제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한 쌍의 척킹 블록과 연결되어 상기 흡착부를 업/다운(up/down) 구동시키는 미세 업/다운 구동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척 캐리어.And a fine up / down driving unit connected to the pair of chucking blocks to drive the adsorption unit up / down. 제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상기 미세 업/다운 구동부는,The fine up / down driving unit, 상기 흡착부 측으로부터 돌출되는 돌출 블록;A protruding block protruding from the suction part side; 상기 돌출 블록과 연결되고 상기 한 쌍의 척킹 블록 사이에 배치되는 지지대;A support connected to the protruding block and disposed between the pair of chucking blocks; 상기 한 쌍의 척킹 블록과 상기 돌출 블록 사이에 마련되는 엘엠 가이드; 및An EL guide provided between the pair of chucking blocks and the protruding block; And 상기 한 쌍의 척킹 블록과 상기 지지대에 각각 연결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척 캐리어.And an elastic member connected to the pair of chucking blocks and the support, respectively. 제4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엘엠 가이드가 마련된 상기 돌출 블록과 상기 한 쌍의 척킹 블록의 면은 상기 지지대를 향해 그 높이가 낮아지도록 테이퍼지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척 캐리어.The protruding block and the pair of chucking blocks provided with the LM guide is tapered toward the support so that the height thereof is lowered.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흡착부의 일측에는 상기 흡착부에 흡착되는 상기 기판이 추락되는 것을 방지하는 추락 방지용 가이드가 회동 가능하게 더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척 캐리어.Electrostatic chuck carrier, characterized in that the fall prevention guide is further provided on one side of the adsorption portion to prevent the fall of the substrate adsorbed on the adsorption portion.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흡착부와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고, 컨베이어 롤러에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이동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척 캐리어.The electrostatic chuck carrier further comprises a moving support part disposed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suction part and movably supported by a conveyor roller. 제7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이동지지부는 상기 이동지지부의 상부 또는 하부에 상기 컨베이어 롤러가 접촉될 수 있도록 플레이트(plate) 형상을 가지며,The movable support portion has a plate shape so that the conveyor roller can contact the upper or lower portion of the movable support portion, 상기 이동지지부와 상기 흡착부 사이에 상기 컨베이어 롤러가 배치되는 공간부가 형성될 수 있도록, 상기 흡착부와 상기 이동지지부는 상기 이동지지부의 폭보다 좁은 연결부에 의해 상호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척 캐리어.The electrostatic chuck carrier, characterized in that the suction portion and the movable support portion are interconnected by a connecting portion narrower than the width of the movable support portion so that a space portion in which the conveyor roller is disposed between the movable support portion and the suction portion can be formed. . 정전기력에 의해 기판을 흡착하는 흡착부; 및Adsorption unit for adsorbing the substrate by the electrostatic force; And 상기 흡착부와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고, 컨베이어 롤러에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이동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척 캐리어.An electrostatic chuck carrier disposed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adsorption part and including a moving support part movably supported by a conveyor roller. 제9항에 있어서,10. The method of claim 9, 상기 이동지지부는 상기 이동지지부의 상부 또는 하부에 상기 컨베이어 롤러가 접촉될 수 있도록 플레이트(plate)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척 캐리어.The moving support portion has an electrostatic chuck carrier, characterized in that the plate (plate) so that the conveyor roller is in contact with the upper or lower portion of the moving support. 제9항에 있어서,10. The method of claim 9, 상기 이동지지부와 상기 흡착부 사이에 상기 컨베이어 롤러가 배치되는 공간부가 형성될 수 있도록, 상기 흡착부와 상기 이동지지부는 상기 이동지지부의 폭보다 좁은 연결부에 의해 상호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척 캐리어.The electrostatic chuck carrier, characterized in that the suction portion and the movable support portion are interconnected by a connecting portion narrower than the width of the movable support portion so that a space portion in which the conveyor roller is disposed between the movable support portion and the suction portion can be formed. . 적어도 하나의 진공 처리 챔버;At least one vacuum processing chamber; 상기 진공 처리 챔버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진공 처리 챔버로 기판을 인입 시키는 인입 로드락 챔버;An inlet load lock chamber disposed at one side of the vacuum processing chamber to introduce a substrate into the vacuum processing chamber; 상기 진공 처리 챔버의 타측에 배치되어 작업이 완료된 기판을 인출시키는 인출 로드락 챔버;An extraction load lock chamber disposed on the other side of the vacuum processing chamber to draw out a substrate on which work is completed; 정전기력에 의해 상기 기판을 흡착하고 이송 시 상기 기판을 지지하는 정전척 캐리어; 및An electrostatic chuck carrier which adsorbs the substrate by electrostatic force and supports the substrate during transfer; And 상기 진공 처리 챔버 내에 마련되어 상기 정전척 캐리어가 구름 접촉되어 이동되는 컨베이어 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척 캐리어를 이용한 기판의 진공처리장치.And a conveyor roller provided in the vacuum processing chamber to move the electrostatic chuck carrier in rolling contact with the electrostatic chuck carrier. 제1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2, 상기 정전척 캐리어는,The electrostatic chuck carrier, 정전기력에 의해 상기 기판을 흡착하는 흡착부; 및An adsorption unit for adsorbing the substrate by an electrostatic force; And 상기 흡착부와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컨베이어 롤러에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이동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척 캐리어를 이용한 기판의 진공처리장치.And a moving support part disposed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suction part and movably supported by the conveyor roller. 제1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3, 상기 이동지지부는 상기 이동지지부의 상부 또는 하부에 상기 컨베이어 롤러가 접촉될 수 있도록 플레이트(plate) 형상을 가지며,The movable support portion has a plate shape so that the conveyor roller can contact the upper or lower portion of the movable support portion, 상기 이동지지부와 상기 흡착부 사이에 상기 컨베이어 롤러가 배치되는 공간 부가 형성될 수 있도록, 상기 흡착부와 상기 이동지지부는 상기 이동지지부의 폭보다 좁은 연결부에 의해 상호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척 캐리어를 이용한 기판의 진공처리장치.The electrostatic chuck carrier, characterized in that the suction portion and the movable support portion are interconnected by a connecting portion narrower than the width of the movable support portion so that the space between the movable support portion and the suction portion is disposed is formed Substrate vacuum processing apparatus using. 제1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3, 상기 이동지지부에 연결되며, 척킹 유닛에 의해 척킹되는 척킹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척 캐리어를 이용한 기판의 진공처리장치.And a chucking part connected to the movable support part and chucked by the chucking unit. 제15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5, 상기 척킹부는 상기 척킹 유닛의 단부가 부분적으로 수용되게 배치되는 척킹홈부를 구비하는 한 쌍의 척킹 블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척 캐리어를 이용한 기판의 진공처리장치.The chucking unit is a vacuum processing apparatus for a substrate using an electrostatic chuck carrier, characterized in that the pair of chucking block having a chucking groove that is disposed so that the end of the chucking unit is partially received. 제16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6, 상기 한 쌍의 척킹 블록과 연결되어 상기 흡착부를 업/다운(up/down) 구동시키는 미세 업/다운 구동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척 캐리어를 이용한 기판의 진공처리장치.And a fine up / down driving unit connected to the pair of chucking blocks to drive the adsorption unit up / down. 제17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7, 상기 미세 업/다운 구동부는,The fine up / down driving unit, 상기 흡착부 측으로부터 돌출되는 돌출 블록;A protruding block protruding from the suction part side; 상기 돌출 블록과 연결되고 상기 한 쌍의 척킹 블록 사이에 배치되는 지지대;A support connected to the protruding block and disposed between the pair of chucking blocks; 상기 한 쌍의 척킹 블록과 상기 돌출 블록 사이에 마련되는 엘엠 가이드; 및An EL guide provided between the pair of chucking blocks and the protruding block; And 상기 한 쌍의 척킹 블록과 상기 지지대에 각각 연결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척 캐리어를 이용한 기판의 진공처리장치.And a pair of elastic members connected to the pair of chucking blocks and the support, respectively. 제17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7, 상기 엘엠 가이드가 마련된 상기 돌출 블록과 상기 한 쌍의 척킹 블록의 면은 상기 지지대를 향해 그 높이가 낮아지도록 테이퍼지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척 캐리어를 이용한 기판의 진공처리장치.Surface of the protruding block and the pair of chucking block provided with the LM guide is tapered toward the support so that the height thereof is lowered, the vacuum processing apparatus of the substrate using the electrostatic chuck carrier. 제1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3, 상기 흡착부의 일측에는 상기 흡착부에 흡착되는 상기 기판이 추락되는 것을 방지하는 추락 방지용 가이드가 회동 가능하게 더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척 캐리어를 이용한 기판의 진공처리장치.One side of the adsorption unit vacuum processing apparatus of the substrate using an electrostatic chuck carrier, characterized in that the fall prevention guide is further provided to prevent the fall of the substrate adsorbed on the adsorption unit. 적어도 하나의 진공 처리 챔버;At least one vacuum processing chamber; 상기 진공 처리 챔버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진공 처리 챔버로 기판을 인입시키는 인입 로드락 챔버;An inlet load lock chamber disposed at one side of the vacuum processing chamber to introduce a substrate into the vacuum processing chamber; 상기 진공 처리 챔버의 타측에 배치되어 작업이 완료된 기판을 인출시키는 인출 로드락 챔버;An extraction load lock chamber disposed on the other side of the vacuum processing chamber to draw out a substrate on which work is completed; 정전기력에 의해 상기 기판을 흡착하고 이송 시 상기 기판을 지지하는 정전척 캐리어; 및An electrostatic chuck carrier which adsorbs the substrate by electrostatic force and supports the substrate during transfer; And 상기 인입 로드락 챔버, 상기 인출 로드락 챔버 및 상기 진공 처리 챔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마련되어 상기 정전척 캐리어를 척킹하는 척킹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척 캐리어를 이용한 기판의 진공처리장치.And a chucking unit provided in at least one of the drawing load lock chamber, the drawing load lock chamber, and the vacuum processing chamber to chuck the electrostatic chuck carrier. 제2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1, 상기 정전척 캐리어는,The electrostatic chuck carrier, 정전기력에 의해 상기 기판을 흡착하는 흡착부; 및An adsorption unit for adsorbing the substrate by an electrostatic force; And 상기 흡착부와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컨베이어 롤러에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이동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척 캐리어를 이용한 기판의 진공처리장치.And a moving support part disposed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suction part and movably supported by the conveyor roller. 제2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1, 상기 척킹 유닛과 연결되어 상기 정전척 캐리어를 이동시키는 캐리어 이동 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척 캐리어를 이용한 기판의 진공처리장치.And a carrier moving unit connected to the chucking unit to move the electrostatic chuck carrier. 제23항에 있어서,24. The method of claim 23, 상기 캐리어 이동 유닛은,The carrier moving unit, 전원공급부;A power supply unit; 상기 정전척 캐리어의 이동 궤적을 따라 마련되는 랙;A rack provided along a moving trajectory of the electrostatic chuck carrier; 상기 랙에 맞물려 회전하는 피니언; 및A pinion rotating in engagement with the rack; And 상기 전원공급부로부터의 전원을 인가받아 상기 피니언을 회전구동시키는 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척 캐리어를 이용한 기판의 진공처리장치.And a motor configured to receive power from the power supply to generate power for rotating the pinion. 제2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1, 상기 척킹 유닛과 연결되어 상기 정전척 캐리어를 업/다운(up/down) 구동시키는 업/다운 구동 유닛; 및An up / down driving unit connected to the chucking unit to drive up / down of the electrostatic chuck carrier; And 상기 척킹 유닛과 연결되어 상기 정전척 캐리어를 회전시키는 회전 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척 캐리어를 이용한 기판의 진공처리장치.And a rotating unit connected to the chucking unit to rotate the electrostatic chuck carrier. 제12항 또는 제2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2 or 21, 상기 진공 처리 챔버는 단일의 원(one) 챔버이거나 독립된 다수의 독립 챔버이며,The vacuum processing chamber is a single one chamber or a plurality of independent chambers, 상기 기판은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용 기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척 캐리어를 이용한 기판의 진공처리장치.The substrate is a vacuum processing apparatus of the substrate using an electrostatic chuck carrier, characterized in that the substrate for 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KR1020090084909A 2009-09-09 2009-09-09 ES-Chuck carrier KR10115484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4909A KR101154843B1 (en) 2009-09-09 2009-09-09 ES-Chuck carri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4909A KR101154843B1 (en) 2009-09-09 2009-09-09 ES-Chuck carrier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07209A Division KR101234020B1 (en) 2012-01-25 2012-01-25 Vacuum processing apparatus using ES-Chuck carri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7012A true KR20110027012A (en) 2011-03-16
KR101154843B1 KR101154843B1 (en) 2012-06-18

Family

ID=439338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84909A KR101154843B1 (en) 2009-09-09 2009-09-09 ES-Chuck carri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54843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12299A (en) * 2015-03-18 2016-09-28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Electrostatic chuck carrier
KR101877339B1 (en) * 2012-12-20 2018-07-11 주식회사 원익아이피에스 Substrate carrier and substrate processing system having the same
CN110817434A (en) * 2019-11-25 2020-02-21 广州市心鉴智控科技有限公司 Watch lens turnover devi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1144B1 (en) 2014-11-27 2016-06-20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An Apparatus for Flipping Electrostatic Chuck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86931B2 (en) * 1995-06-09 2004-11-10 日新電機株式会社 Electrostatic chuck
JP2007207973A (en) * 2006-02-01 2007-08-16 Tokyo Ohka Kogyo Co Ltd Surface treatment method and surface treatment device
JP2008192746A (en) * 2007-02-02 2008-08-21 Toshiba Electronic Engineering Corp Carrying tool of article, apparatus and method for reversing article, and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flat panel display
JP4835535B2 (en) * 2007-08-08 2011-12-14 株式会社ダイフク Plate inspection equipment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7339B1 (en) * 2012-12-20 2018-07-11 주식회사 원익아이피에스 Substrate carrier and substrate processing system having the same
KR20160112299A (en) * 2015-03-18 2016-09-28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Electrostatic chuck carrier
CN110817434A (en) * 2019-11-25 2020-02-21 广州市心鉴智控科技有限公司 Watch lens turnover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54843B1 (en) 2012-06-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54843B1 (en) ES-Chuck carrier
KR20140021832A (en) Substrate transfer module
KR101167078B1 (en) Apparatus for joining of OLED substrate
KR20120128478A (en) Apparatus for transferring substrate
KR20120134368A (en) Substrate chucking and de-chucking apparatus
KR20120012693A (en) Tilt apparatus for a tray
KR100589234B1 (en) Substrate treating apparatus for manufacturing flat panel display devices
KR101234020B1 (en) Vacuum processing apparatus using ES-Chuck carrier
KR101666805B1 (en) Apparatus for rotating substrate
KR101473833B1 (en) Substrate deposition system
KR20140021313A (en) Align module, and method for aligning substrate and mask
KR101407421B1 (en) Substrate deposition system
KR101213103B1 (en) bonding device and fa brication method of Light emitting device using thereof
KR102134438B1 (en) Apparatus for treating substrate, System for treating substrate with the apparatus, and Method for treating substrate
KR101016400B1 (en) Grinding apparatus for glass
KR20230106997A (en) Deposition apparatus having glass supporting unit
KR101436904B1 (en) Deposition system for manufacturing oled
KR101441484B1 (en) Deposition system for manufacturing oled
KR101694195B1 (en) Electrostatic chuck carrier
KR20140021316A (en) Substrate transfer module
KR102662103B1 (en) In-line deposition system having mask chucking mechanism with a magnetic shield
KR20140021831A (en) Substrate transfer module
KR102477944B1 (en) Organic depositon apparatus
KR101436903B1 (en) Deposition system for manufacturing oled
KR20110137078A (en) Vertical type robot for transferring a substrat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1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