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26670A - 바이오매스 유래 경화성 이중고리 화합물, 무용매형 경화성 조성물 및 이들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바이오매스 유래 경화성 이중고리 화합물, 무용매형 경화성 조성물 및 이들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26670A
KR20110026670A KR1020090084425A KR20090084425A KR20110026670A KR 20110026670 A KR20110026670 A KR 20110026670A KR 1020090084425 A KR1020090084425 A KR 1020090084425A KR 20090084425 A KR20090084425 A KR 20090084425A KR 20110026670 A KR20110026670 A KR 201100266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und
biomass
reaction
derived
cur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844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16532B1 (ko
Inventor
조진구
김백진
김상용
이도훈
이상협
이재성
Original Assignee
한국생산기술연구원
학교법인 선목학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생산기술연구원, 학교법인 선목학원 filed Critical 한국생산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900844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16532B1/ko
Priority to US13/394,896 priority patent/US20120252996A1/en
Priority to PCT/KR2010/002972 priority patent/WO2011030992A1/ko
Publication of KR201100266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266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65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6532B1/ko
Priority to US14/078,667 priority patent/US9422305B2/en
Priority to US15/221,798 priority patent/US9994583B2/en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9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in the condensed system
    • C07D493/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in the condensed system in which the condensed system contains two hetero rings
    • C07D493/08Bridged system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07/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 C07D405/00
    • C07D407/1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 C07D405/00 containing three or more hetero r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045Hydroxy compounds, e.g. alcohols; Salts thereof, e.g. alcoholates
    • A61K31/05Phenols
    • A61K31/06Phenols the aromatic ring being substituted by nitro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00Processes of polymerisation
    • C08F2/46Polymerisation initiated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 C08F2/48Polymerisation initiated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by ultraviolet or visible ligh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59/00Polycondensate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Macromolecules obtained by polymerising compound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using curing agents or catalysts which react with the epoxy groups
    • C08G59/02Polycondensate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 C08G59/04Polycondensate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of polyhydroxy compounds with epihalohydrins or precursors thereof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oxy Resi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바이오매스 유래 경화성 이중고리 화합물, 무용매형 경화성 조성물 및 이들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의한 바이오매스 유래 경화성 화합물은, 이중고리 구조의 기본골격에 하나 또는 두 개의 에폭사이드 관능기가 결합되어 이루어진다.
이중고리, 화합물, 에폭사이드, 무용매형, 경화성, 접착제, 바이오매스

Description

바이오매스 유래 경화성 이중고리 화합물, 무용매형 경화성 조성물 및 이들의 제조방법{BIOMASS-DERIVED CURABLE BICYCLIC COMPOUND, SOLVENT-FREE CURABLE COMPOSITION, AND METHOD OF PREPARING THEREOF}
본 발명은 바이오매스 유래 경화성 이중고리 화합물, 무용매형 경화성 조성물 및 이들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접착용 또는 점착용 소재, 실란트(sealant), 코팅제 등의 원료로서 사용되는 석유자원 유래 물질을 대체하기 위하여 제안되는 것이며, 석유화학 유래 물질 대신 바이오매스(biomass)로부터 유래된 화합물을 이용하여 제조된 경화성 화합물, 무용매형 경화성 조성물 및 이들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접착제를 비롯하여 점착제, 실란트, 코팅제, 도료 등의 접착소재는, 현재 토목, 건축분야로부터 포장, 제본, 자동차, 전자, 정밀, 광학제품, 목공, 합판, 섬유, 피혁 등 각종 산업분야는 물론, 일반 가정용으로 사용되는 등, 그 용도는 실로 광범위해지고 있다. 접착 대상이 되는 소재로서도 목재, 금속, 고무, 플라스틱, 피 혁, 세라믹스 등으로 매우 다양하며, 최근에는 콘크리트에도 적용되고 있다.
이러한 접착제 등은 화학물질의 혼합물 형태로 제조되는 제품으로서, 제조 과정에서 사용되는 유기용매(용제) 및 물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첨가되는 다양한 휘발성 첨가제들로 인해 VOC(휘발성 유기 화합물), 다이옥신 및 환경 호르몬 등 유해한 화학물질을 발생시킨다. 최근에는 국제협약에 의한 환경규제를 통해 이러한 유해물질의 생산 및 사용을 엄격히 제한하고 있으며, 더 나아가 EU 등에서는 이러한 규제를 새로운 무역제재의 수단으로 활용하고 있다. 이러한 추세에 발맞추어, 종래의 용제형 접착제는 수용성, 무용매형, 핫멜트형(hot-melt)형 등으로 대체되어 가고 있다.
나아가, 이러한 접착소재 뿐 아니라, 현재 우리가 사용하고 있는 대부분의 정밀화학소재들은 석유 분리정제공정 (Oil Refinery Process)으로부터 유래된 석유화학제품이나, 국제 유가는 매장량 감소와 BRICs를 중심으로 한 수요급증으로 인해 꾸준히 상승하고 있으며, 온실가스의 배출을 엄격히 규제하는 국제협약이 발효됨에 따라, 앞으로 석유와 같은 비가역 화석자원의 사용은 막대한 환경비용을 초래할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기존의 석유자원 유래 정밀화학제품을 새로운 자원으로부터 얻고자 하는 많은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가장 대표적인 것이 바이오매스(biomass)를 공급원으로 사용하는 것이다 [Ghheda, J. N.; Huber, G. W.; Dumesic, J. A. Angew . Chem . Int . Ed . 2007, 46, 7164-7183, Corma, A.; Iborra, S.; Velty, A. Chem . Rev . 2007, 107, 2411-2502.].
자연계는 광합성 작용을 통해 매년 약 1,700억 톤 정도의 탄수화물을 비롯한 막대한 양의 탄소원을 생산하고 있으며, 인류는 이 중 일부만을 식량, 종이, 가구, 건자재 등으로 사용하고 있다. 따라서 재생과 지속사용이 가능한 바이오매스로부터 제조된 정밀화학제품은 석유화학제품을 대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구체적으로, 기존의 석유자원 유래 경화형 접착소재를 대체하기 위하여 이러한 바이오매스를 이용하여 소정의 접착 또는 점착 특성을 갖는 화합물을 합성하는 연구 역시 필요할 것이다.
그러나, 이처럼 재생 및 지속 사용이 가능한 바이오매스로부터 유래된 경화성 화합물을 사용하는 경우라도, 일반적으로 아크릴레이트계 또는 이소시아네이트계 등의 관능기를 갖는 경화성, 특히 광경화성 접착소재는 라디칼 중합반응을 통해 상온에서 빠른 경화특성을 지니는 반면, 이러한 급격한 경화속도에 의하여 수축현상이 매우 크게 발생하는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이러한 과도한 수축현상으로 말미암아, 접착소재를 사용하는 산업분야, 특히 전자재료 등 정밀한 치수안정성을 요구하는 분야에서는 경화 후 수축률이 작은 소재의 도입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석유화학 공정을 통하여 생산되는 화합물을 대체할 수 있도록 바이오매스 유래 물질로부터 이중고리 화합물을 제조하고, 이를 기본 골격으로 하며, 아울러 경화 수축률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신규 경화성 화합물 및 이를 우수한 수율과 경제적인 합성경로로 제조할 수 있는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이러한 경화성 화합물을 포함하는 친환경적인 무용매 타입의 경화성 조성물을 접착소재 등으로 활용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의한 바이오매스 유래 경화성 화합물은, 올리고머 단량체 구조로서, 이중고리 화합물에 하나 또는 두 개의 에폭사이드 관능기가 결합되어 이루어진다.
즉, 본 발명은, 바이오매스 유래의 물질로부터 이중고리 화합물을 제조하고 이를 기본 골격으로 적용함으로써, 석유자원 유래의 바이사이클로(이중고리) 화합물을 대체할 수 있는 물질을 제공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연계에 가장 널리 분포하고 있고 식량자원과 경작지를 공유하지 않는 목질계 바이오매스의 경우, 약 30 내지 40%의 셀룰로오스 (Cellulose)와 10 내지 20%의 헤미셀룰로오스 (Hemicellulose)를 함유하고 있다. 이 중에서, 아래 반응식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추출된 셀룰로오스를 산촉매 하에서 가수분해 (Hydrolysis)하거나 효소로 처리하는 단당화 공정 (Saccharification)을 거쳐, 6탄당 (Hexose)화합물을 얻을 수 있고, 이러한 6탄당 화합물에 대한 효소공정을 통해 말레익산 (Maleic acid)이 얻어지며, 연속하여 탈수화반응 (Dehydration)을 통해 무수 말레익산 (Maleic anhydride)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추출된 헤밀셀룰로오스를 산촉매 하에서 반응시켜 푸르푸랄 (furfural)을 얻을 수 있고, 연속하여 탈포밀반응 (Deformylation)을 통해 퓨란 (Furan)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최근 UC Berkeley의 Ellman 그룹은 유지작물 바이오매스로부터 바이오디젤을 생산할 때 부산물로 발생하는 글리세롤 (Glycerol)을 아릴릭 알코올 (Allylic alcohol)로 전환하는 공정개발에 성공함으로써 바이오매스 유래 메틸아크릴레이트 (Methyl acrylate) 생산을 가능케 하였다.(Arceo, E.; Marsden, P.; Bergman, R. G.; Ellman, J. A. Chem . Commun . 2009, 3357.)
[반응식 1]
Figure 112009055189281-PAT00001
본 발명은 이처럼 무수 말레익산, 퓨란 등의 바이오매스 유래 화합물을 출발물질로 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상기 출발물질은, 최종 생성물인 경화성 화합물 중심에 이중고리를 포함한 구조를 형성할 수 있는 것이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한다.
또한, 이렇게 각각 생성된 무수 말레익산과 퓨란이 Diels-Alder 반응과 연속하여 환원반응을 거치면, 중간체로서 이중고리 구조의 기본 골격과 2개의 알코올 관능기를 갖는 화합물이 얻어진다. 또한 메틸아크릴레이트와 퓨란이 Diels-Alder 반응과 연속된 환원반응을 거치면 이중고리 구조의 기본 골격과 1개의 알코올 관능 기를 갖는 화합물(중간체)이 얻어진다. 본 발명에서는, 이처럼 무수 말레익산 및 퓨란 등의 화합물로부터 생성된 이중고리 구조를 기본골격으로 하며, 상기 중간 생성물과 최종 생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기본 골격을 이루는 이중고리 화합물에 결합되는 에폭사이드(epoxide)는, 고리형 분자의 개환 반응(Ring-opening reaction)으로 인한 분자구조의 자유도 증가와 이를 통한 경화 수축률 감소를 위하여 본 발명에 적용하였다. 즉, 이러한 에폭사이드기를 도입함으로써, 화합물(올리고머 단량체) 내에서 상기 관능기의 개환반응을 유도하고, 이로써 경화소재의 급격한 수축을 방지하여, 경화 수축률이 현저하게 감소된 경화성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접착제용 경화성 조성물을 얻을 수 있다. 에폭사이드 관능기를 갖고 있는 경화소재는 광 경화 시 이온 메커니즘을 따라 진행되기 때문에 라디컬 경화 메커니즘을 따르는 아크릴계, 비닐계, 스티렌계 물질과 비교하여 다소 긴 경화시간이 소요되는 특징이 있으며, 경화가 개환반응에 의하여, 즉 에폭사이드 고리구조가 열리면서 진행되기 때문에 분자구조가 확대되는 효과로 인해 경화수축률이 상대적으로 적은 장점이 있다.
이러한 에폭사이드는, 개환반응으로 생성시킬 수 있는 화합물의 다양성으로 인해 복잡한 유기 화합물의 입체 조절된 합성에 유용한 중간체이다. 예를 들어, α-아미노 알코올은 에폭사이드를 아지드 이온으로 개환시키고, 생성된 α-아지드 알코올을 환원(예, 수소화)시킴으로써 간단하게 수득할 수 있다. 다른 친핵체의 반응은 유사하게 유용한 물질로 전환될 수 있는 기능화된 화합물을 생성시킨다. 루이스산이 첨가되면 에폭사이드 활성화제로 작용할 수 있다. 상기 에폭사이드는, 경화소 재의 관능기로서 접착제, 점착제, 실란트, 코팅제 등에 사용된 예가 있으나, 현재까지 에폭사이드 관능기를 재생자원에서 유래된 이중고리 화합물에 도입하여 경화소재로 활용한 예는 알려져 있지 않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경화소재의 관능기로서 에폭사이드를 재생자원 유래 이중고리 화합물에 도입하여, 석유화학 유래 화학제품을 대체함으로써 석유자원 고갈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수축률을 현저하게 감소시킨 경화소재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바이오매스 유래 경화성 이중고리 화합물은, 하나 또는 두 개의 에폭사이드 관능기가 이중고리 구조에 결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바이오매스 유래 경화성 화합물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는, 아래 화학식 Ⅰ내지 화학식 Ⅴ 중 어느 하나로 표현되는 바와 같이,이중고리 구조를 기본골격으로 하며, 하나 또는 두 개의 에폭사이드 관능기가 결합되어 이루어진다.
[화학식 Ⅰ]
Figure 112009055189281-PAT00002
[화학식 Ⅱ]
Figure 112009055189281-PAT00003
[화학식 Ⅲ]
Figure 112009055189281-PAT00004
[화학식 Ⅳ]
Figure 112009055189281-PAT00005
[화학식 Ⅴ]
Figure 112009055189281-PAT00006
상기 화학식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화학식 Ⅰ 및 화학식 Ⅱ의 화합물은 이중고리를 기본 골격으로 하고, 여기에 에폭사이드 관능기가 두 개 결합된 형태를 가지며, 나머지 화합물은 에폭사이드 관능기가 한 개 결합된 형태를 가진다. 한편,화학식 Ⅰ, Ⅲ, 및 Ⅳ의 화합물은 중심 이중고리 구조에 있어서, 이중결합을 포함하는 반면, 나머지 화학식 Ⅱ 및 화학식 Ⅴ은 단일결합으로만 이루어진 중심 이중고리 골격을 가진다. 또한, 화학식 Ⅳ와 화학식 Ⅴ는 동일한 화합물로서, 각각 엑소(exo) 및 엔도(endo) 형태를 나타낸다.
또한, 상기 화학식 Ⅰ내지 화학식 Ⅴ 중 어느 하나로 표현되는 화합물의 출발물질로는 앞서 합성방법을 설명한 말레익산, 퓨란 및 메틸아크릴레이트를 바람직 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하, 상술한 본 발명에 의한 바이오매스 유래 경화성 이중고리 화합물의 제조방법에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바이오매스 유래 경화성 이중고리 화합물의 제조방법은, 크게 출발물질제조단계와, 중간체 반응단계 및 최종반응단계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이는 출발물질에 따라 상기 제조방법을 두가지 실시형태로 나누어 진다.
즉,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 의한 바이오매스 유래 경화성 이중고리 화합물의 제조방법은, 출발물질로서 무수 말레익산(Maleic anhydride) 및 퓨란을 사용하여, 최종 생성물로서 이중고리를 골격으로, 두 개의 에폭사이드 관능기가 결합된 화합물(화학식 Ⅰ 및 화학식 Ⅱ)을 얻기 위한 제조방법이며, 본 발명의 제2실시형태에 의한 제조방법은, 퓨란 및 메틸아크릴레이트를 출발물질로 사용하여, 이중고리를 골격으로, 하나의 에폭사이드 관능기가 결합된 화합물(화학식 Ⅲ, Ⅳ 및 화학식 Ⅴ)을 얻기 위한 제조방법이다.
이하, 각각의 실시형태에 따른 바이오매스 유래 경화성 이중고리 화합물 제조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제1실시형태
[반응식 2]
Figure 112009055189281-PAT00007
상기 반응식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 의한 바이오매스 유래 경화성 이중고리 화합물의 제조방법은, 탄수화물계 바이오매스(biomass)에서 추출된 셀룰로오스 및 헤미셀룰로오스로부터 각각 무수 말레익산(Maleic anhydride)(1) 및 퓨란(2)을 제조하는 출발물질제조단계(S10); 상기 바이오매스 유래의 무수 말레익산(1) 및 퓨란(2)을 디엘스-알더(Diels-Alder) 반응 및 연속 환원반응에 의하여 반응시킴으로써, 이중고리와 두 개의 알코올 관능기를 포함하는 중간체 화합물(4)을 제조하는 중간체 반응단계(S20); 및 상기 중간체 화합물(4)과 에피클로로히드린(epichlorohydrin)(미도시)을 반응시켜, 이중고리와 두 개의 에폭사이드 관능기를 포함하는 화합물(5, 7)을 제조하는 최종반응단계(S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출발물질제조단계(S10)는, 공지된 무수 말레익산 및 퓨란을 제조하는 방법이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임의의 방법을 사용하여 임의의 종류의 상기 출발물질을 제조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출발물질제조단계(S10)의 일 실시형태로서, 출발물질로서 탄수화물계 바이오매스에서 추출된 셀룰로오스로와 헤미셀룰로오스로부터 얻을 수 있는 무수 말레익산과 퓨란을 제조하는 방법은 상술 한 반응식 1에 나타낸 바와 같다.
중간체 반응단계(S20)는, 상기 무수 말레익산(1) 및 퓨란(2)을 디엘스-알더(Diels-Alder) 반응 및 연속 환원반응에 의하여 반응시킴으로써, 이중고리와 두 개의 알코올 관능기를 포함하는 중간체 화합물(4)을 제조하는 단계이다.
예를 들어, 반응식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먼저 무수 말레익산(1)과 퓨란(2)을 디엘스-알더(Diels-Alder) 반응시켜 퓨란디엘스-알더 무수물(이하, 'FDA-anhydride' 이라 칭한다)(3)을 재결정을 거쳐 합성하였다. 특히 이 화합물은 열역학적으로 안정한 생성물인 엑소(exo) 형태로만 얻어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후, FDA-anhydride(3)를 과량의 LiAlH4로 환원하여 두 개의 알코올 관능기와 중심 이중고리를 갖는 중간체 화합물인 2,3-비스-히드록시메틸-7-옥사바이시클로[2,2,1]헵트-5-엔(2,3-bis-hydroxymethyl-7-oxabicyclo[2,2,1]hept-5-ene, 이하 'FDA-bis-OH'라 칭한다)(4)을 exo 형태로 합성한다.
최종반응단계(S30)는, 상기 중간체 화합물(4)에 에폭사이드 관능기를 도입하기 위한 물질로서, 에피클로로히드린(epichlorohydrin, ECH)을 첨가한 후, 교반하여 반응시켜, 이중고리와 두 개의 에폭사이드 관능기를 포함하는 화합물(5, 7)을 제조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상기 반응단계의 구체적인 일 실시형태로서, 상기 중간체 화합물(4) 및 에피클로로히드린을 포함하는 혼합물을, 수산화나트륨(NaOH) 수용액을 첨가한 2상 용매(bi-phasic solvent system) 내에서 상전이촉매(Phase Transfer Catalyst, PTC)를 촉매로 하여 반응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상전이촉매의 예로는 테트라부틸암모늄 브로마이드, 테트라부틸암모늄 클로라이드, 테트라옥틸암모늄 클로라이드, 테트라부틸암모늄 하이드로겐 설페이트, 메틸트리옥틸암모늄 클로라이드, 헥사데실트리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 헥사데실트리메틸암모늄 브로마이드, 벤질트리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 벤질트리에틸암모늄 클로라이드, 벤질트리메틸암모늄 하이드록사이드, 벤질트리에틸암모늄 하이드록사이드, 벤질트리부틸암모늄 클로라이드, 벤질트리부틸암모늄 브로마이드, 테트라부틸포스포늄 브로마이드, 테트라부틸포스포늄 클로라이드, 트리부틸헥사데실포스포늄 브로마이드, 부틸트리페닐포스포늄 클로라이드, 에틸트리옥틸포스포늄 브로마이드, 테트라페닐포스포늄 브로마이드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 이외에도 사용가능한 상전이촉매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여기서 상기 에피클로로히드린의 당량은 5 내지 20당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15당량의 과량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에피클로로히드린 및 수산화나트륨(NaOH) 수용액의 2상 용매시스템에서, 테트라부틸암모늄 브로마이드(Tetrabutylamonium bromide, TBABr)를 상전이촉매로서 첨가하고, 별도로 중간체 화합물을 소정의 용매에 용해시킨 후, 이를 2상 용매시스템 내에 상기 천천히 적가하여 반응시킴으로써, 화학식 Ⅰ로 표현되는 두 개의 에폭사이드 관능기를 갖는 신규 경화소재 단량체인 2,3-비스((옥시란-2-일메톡시)메틸)-7-옥사바이시클로[2,2,1]헵트-5-엔(2,3-bis((oxiran-2-ylmethoxy)methyl)-7-oxabicyclo[2,2,1]hept-5-ene)(이하, 'FDA-bis- Epoxide(exo)')이라 칭한다)(5)을 exo 형태로 합성할 수 있있다.
나아가, 상기 FDA-bis-Epoxide(exo)(5)를 반응물로서 이용하여, 10% Pd/C를 촉매로 이용한 수첨환원반응을 통하여 FDA-bis-Epoxide(exo)(5)의 2중 고리내의 이중결합이 환원된 형태인 화학식 Ⅱ로 표현되는 2,3-비스((옥시란-2-일메톡시)메틸)-7-옥사바이시클로[2,2,1]헵탄(7)(이하, FDA[Re]-bis-OH(exo)이라 칭한다)을 합성하고자 하였으나, 수율이 매우 낮았고, 또한 반응시간이 길어질수록 부반응이 급속도로 진행함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부반응의 원인을 살펴본 결과, 위의 수첨 환원반응 조건하에서 고리긴장이 극심한 에폭사이드 고리 자체도 고리개환 수소화 반응이 진행되어 알코올 형태로 전환되는 부반응이 진행됨을 문헌조사 및 NMR 분석을 통하여 확인하였다.
따라서 반응의 순서만을 바꿈으로써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었는데, 이는 상기 중간체 반응단계(S20)에서 얻어진 중간체 화합물(4)을 수첨환원반응에 의하여 환원시켜 제2중간체 화합물인 2,3-비스-히드록시메틸-7-옥사바이시클로[2,2,1]헵탄(2,3-bis-hydroxymethyl-7-oxabicyclo[2,2,1]heptane,이하 'FDA[Re]-bis-OH(exo)(6)'이라 칭한다)을 제조하는 수첨환원단계(S21)를 더 포함하고, 최종반응단계(S30)에서는, 제2중간체 화합물(6)과 상기 에피클로로히드린을 반응시키는 방법을 사용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중간체 화합물 FDA-bis-OH(exo)(4)를 수첨환원반응을 통하여 FDA[Re]-bis-OH(exo)(6)으로 전환한 후, 이를 에피클로로히드린과 반응시킴으로써, FDA[Re]-bis-Epoxide(exo)(7)를 70% 이상의 수율로 합성할 수 있었다.
제2실시형태
[반응식 3]
Figure 112009055189281-PAT00008
상기 반응식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형태에 의한 바이오매스 유래 경화성 이중고리 화합물의 제조방법은, 탄수화물계 바이오매스(biomass)에서 추출된 헤미셀룰로오스로부터 퓨란(1)을 제조하는 출발물질제조단계(S100); 상기 퓨란(1)과 메틸아크릴레이트(methyl acrylate)(8)를 디엘스-알더(Diels-Alder) 반응 및 환원반응에 의하여 반응시킴으로써, 하나의 알코올 관능기와 이중고리를 포함하는 중간체 화합물(11,13)을 제조하는 중간체 반응단계(S200); 및 상기 중간 체 화합물(11, 13)과 에피클로로히드린(epichlorohydrin)을 반응시켜, 하나의 에폭사이드 관능기와 이중고리를 포함하는 화합물(12, 14, 16 또는 화학식 Ⅲ, Ⅳ 및 화학식 Ⅴ)을 제조하는 최종반응단계(S3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출발물질제조단계(S100)는, 앞서 제1실시형태의 출발물질과 동일한 퓨란(1)을 제조하는 단계이며, 중간체 반응단계(S200)는 상기 퓨란(1)과 메틸아크릴레이트(methyl acrylate)(8)를 반응시키는 단계이다. 여기서, 메틸아크릴레이트(8)는, 상기 반응식 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바이오디젤 생산공정에서의 부산물로 발생하는 글리세롤로부터 유래된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중간체 반응단계(S200)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출발물질인 메틸 아크릴레이트(8)와 퓨란(1)을 Diels-Alder 반응시킴으로써 에스테르 화합물인 (9) 및 (10) (이하, 각각'FDA-mono-Ester(exo)(9)' 및 'FDA-mono-Ester (endo)(10)'이라 칭한다)으로 전환하고, 이를 이용하여 1개의 관능기를 갖는 이중고리 구조의 중간체 화합물(11) 및 (13)(이하, 각각 'FDA-mono-OH(exo)(11)' 및 'FDA-mono-OH (endo)(13)'이라 칭한다)을 합성하였다. 즉, exo와 endo 형태의 화합물이 혼합된 혼합물이 합성되었다.
이후, 바람직하게는 상기 Diels-Alder 반응 이후 생성된 혼합물을, 각각 엔도(endo)와 엑소(exo) 타입의 화합물로 분리한 후, 각각 분리된 화합물에 대하여 환원반응을 수행하여 각각의 화합물로부터 별도의 최종 생성물을 얻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러한 exo, endo 혼합물은, 예를 들어 플래쉬 컬럼 크로마토그래피((Flash chromatography)을 이용하여, 각각 FDA-mono-Ester (exo)(9) 및 FDA- mono-Ester (endo)(10)으로 분리할 수 있는데, 이로부터 LiAlH4 환원반응을 통해 중간체 화합물 FDA-mono-OH(exo)(11)와 FDA-mono-OH (endo)(13)를 각각 합성할 수 있다.
이후, 최종반응단계(S300)를 통해, 중간체 화합물 FDA-mono-OH(exo)(11) 및 FDA-mono-OH (endo)(13)를, 상전이촉매를 이용하는 2상 용매조건에서 에피클로로히드린과 반응시킴으로써, 각각 화학식 Ⅲ 및 Ⅳ로 표현되는 FDA-mono-Epoxide(exo)(12)와 FDA-mono-Epoxide (endo)(14)를 합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중간체 반응단계(S200)에 의하여 제조된 중간체 화합물(13)을 수첨환원반응에 의하여 환원시켜 제2중간체 화합물(15)을 제조하는 수첨환원단계(S201)를 더 포함하고, 최종반응단계(S300)에서는 상기 제2중간체 화합물(15)과 에피클로로히드린을 반응시키는 방법을 통해 단일결합만으로 이루어진 이중고리 화합물(16)을 얻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FDA-mono-OH (endo)(13)의 이중고리 구조 내의 이중결합을 수첨환원반응으로 환원하여, 거의 정량적인 수율로 단일 알코올 관능기 및 단일결합 이중고리를 갖는 제2중간체 화합물인 FDA[Re]-mono-OH (endo)(15)를 얻을 수 있고, 이후 에피클로로히드린과의 반응을 통하여 생성물 FDA[Re]-monoEpoxide (endo)(16)을 합성할 수 있다.
무용매형 경화성 조성물의 제조
아울러, 상기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바이오매스 유래 경화성 이중고리 화합물과, 기타 경화성 올리고머 화합물, 광개시제 또는 열개시제 등의 개시제 또는 일반적인 에폭시 수지 조성물에 적용되는 경화제 및 기타 첨가제 등을 첨가 및 혼합하여 경화가능한 접착성 조성물을 제조하는 조성물제조단계를 더 포함하여 수행함으로써, 무용매형 경화성 조성물을 얻을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자외선 경화를 비롯한 광경화를 수행하기 위하여 광개시제를 사용하거나, 일반적인 에폭시 수지 조성물에 적용되는 경화제를 사용한다.
광개시를 수행하는 경우, 본 발명에 의한 바이오매스 유래 경화성 이중고리 화합물은 양이온 중합에 의하여 중합되어 경화되는 성질을 지닌 양이온 경화성(또는 중합성) 화합물이기 때문에, 상기 사용되는 경화 개시제로서는 양이온 광경화 개시제(중합개시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양이온 경화 개시제로서는 광을 조사함으로써 활성화됨으로써 양이온 중합개시물질을 발생시켜, 비교적 저에너지로 상기 화합물을 양이온 중합시킬 수 있는 것이라면 제한 없이 사용 가능하고, 이러한 양이온 경화 개시제로는 이온성 광산발생형의 광양이온 중합개시제를 사용하여도 좋고, 비이온성 광산발생형의 광양이온 중합개시제를 사용하여도 좋다. 또한, 양이온 경화 개시제의 첨가량은 특별히 한정되지는 아니하며, 상기 바이오매스 유래 화합물의 반응성이나 분자량, 혹은 이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경화성 조성물에 부여하려는 점탄성의 정도에 따라서 적절히 설정되면 좋으나, 너무 많으면 경화성 조성물의 반응성이 너무 커져, 광조사에 의한 경화가 빨리 지나치게 진행되므로, 그 후의 작업에 지장을 초래할 수 있고, 또 지나치게 적으면 경화성 조성물의 경화가 충분히 진행되지 않거나 경화속도가 지연되는 일이 있으므로, 전체 경화성 조성물 대비 약 0.1 내지 15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0.2 내지 12.5중량%를 첨가한다.
상기 이온성 광산발생형의 광양이온 중합개시제로서는, 예컨대 아릴디아조늄염, 디아릴할로늄염, 트리아릴술포늄염 등의 방향족 술포늄염, 트리페닐포스포늄염 등의 오늄염류; 철-아렌 착체, 티타노센 착체, 아릴실라놀-알루미늄 착체 등의 유기금속 착체류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비이온성 광산발생형의 광양이온 중합개시제로서는, 예컨대 니트로벤질에스테르, 술폰산 유도체, 인산에스테르, 페놀술폰산 에스테르, 디아조나프토퀴논, N-히드록시이미드술포네이트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을 단독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조성물에는 본 발명에 의한 화합물의 다소 늦은 경화속도를 보완하기 위하여, 아크릴레이트(즉, 아크릴레이트 및/또는 메타크릴레이트) 작용기와 같은 하나 이상의 에틸렌성 불포화기를 갖는 하나 이상의 자유 라디칼 중합성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조성물에 이러한 자유 라디칼 중합성 화합물을 포함하는 경우에는, 광개시제로서, 상술한 양이온 경화 개시제와 더불어, 하나 이상의 자유 라디칼 광개시제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자유 라디칼 광 개시제의 예로는 벤조페논(예컨대, 벤조페논, 알킬-치환된 벤조페논 또는 알콕시-치환된 벤조페논); 벤조인, 예를 들어 벤조인, 벤조인 에테르(예컨대, 벤조인 메틸에테르, 벤조인 에틸 에테르 및 벤조인 아이소프로필 에테르), 벤조인 페닐 에테르 및 벤조인 아세테이트; 아세토페논, 2,2-다이메톡시아세토페논, 4-(페닐티오)아세토페논 및 1,1-다이클로로아세토페논 같은 아세토 페논; 벤질, 벤질 케탈(예컨대, 벤질다이메틸 케탈 및 벤질 다이에틸 케탈); 2-메틸안트라퀴논, 2-에틸안트라퀴논, 2-3급-뷰틸안트라퀴논, 1-클로로안트라퀴논 및 2-아밀안트라퀴논 같은 안트라퀴논; 트라이페닐포스핀; 예를 들어 2,4,6-트라이메틸벤조일다이페닐포스핀 옥사이드 같은 벤조일포스핀 옥사이드; 티오잔톤 및 잔톤, 아크리딘 유도체, 페나젠 유도체, 퀸옥살린 유도체 또는 l-페닐-1,2-프로페인다이온-2-O-벤조일옥심, l-아미노페닐 케톤 또는 l-하이드록시페닐 케톤(예컨대, l-하이드록시사이클로헥실 페닐 케톤, 페닐(1-하이드록시아이소프로필)케톤 및 4-아이소프로필페닐(1-하이드록시아이소프로필)케톤), 또는 트라이아진 화합물, 예컨대 4"'-메틸 티오페닐-1-다이(트라이클로로메틸)-3,5-S-트라이아진, S-트라이아진-2-(스틸벤)-4,6-비스트라이클로로메틸 및 파라메톡시 스타이릴 트라이아진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을 단독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무용매형 경화성 조성물을 제조하는데 있어, 상기 광경화제 대신에 일반적인 에폭시 수지 조성물에 함유되는 경화제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렇게 경화제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광 경화방식 대신에 에폭시 수지 조성물을 사용하는 일반적인 방식으로 경화를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경화제의 종류로는 아민, 산 무수물, 아미드, 또는 페놀 화합물을 들 수 있다. 경화제의 구체적인 예는,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디아미노디페닐메탄, 디에틸렌트리아민, 트리에틸렌테트라아민, 디아미노디페닐술폰, 이소포론디아민, 디시안디아미드, 리놀렌산 이합체 및 에틸렌디아민으로부터 합성된 폴리아미드 수지, 프탈산 무수물, 트리멜리트산 무수물, 피로멜리트산 무수물, 말레산 무수물, 테트라히드로프탈산 무수 물, 메틸테트라히드로프탈산 무수물, 메틸나드산 무수물, 헥사히드로프탈산 무수물, 메틸헥사히드로프탈산 무수물, 페놀 노볼락 및 이들의 변형물, 이미다졸, BF3-아민 착물 및 퀴니딘 유도체를 포함한다. 이들 경화제는 단독으로 또는 2이상 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경화성 조성물에 사용될 수 있는 경화제의 함량은 앞서 광 개시제의 함량에 준하여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한 무용매형 경화성 조성물에는 이 밖에도, 경화 촉진제, 무기 충전제, 이형제 및 안료 등 다양한 첨가제를 적절히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경화 촉진제는, 상기 경화제와 더불어 사용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 사용될 수 있는 경화 촉진제의 구체적인 예로는 2-메틸이미다졸, 2-에틸이미다졸 및 2-에틸-4-메틸-이미다졸과 같은 이미다졸; 2-(디메틸아미노메틸)페놀 및 1,8-디아자-비시클로(5.4.0)-운데칸-7과 같은 삼차아민; 트리페닐포스핀과 같은 포스핀; 및 옥틸산 주석과 같은 금속 화합물을 포함한다. 경화 촉진제는 본 발명에 의한 바이오매스 유래 경화성 화합물 100중량부당 0.01 내지 10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2 내지 5중량부의 함량으로 첨가한다.
무기 충전제도 본 발명에 의한 무용매형 경화성 조성물에 경우에 따라 혼입될 수 있다. 사용될 수 있는 무기 충전제의 특정 예는 실리카, 알루미나 및 활석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무용매형 경화성 조성물은 실란 커플링제, 스테아르산, 팔미트산, 스테아르산 아연 및 스테아르산 칼슘과 같은 이형제 및 안료를 비롯한 다양한 혼합 첨가제를 함유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이렇게 얻어진 조성물의 구성성분들을 압출기, 혼련기, 롤 등 과 같은 수단에 의하여 충분히 혼합 및 균질화시킴으로써 조성물제조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석유자원 유래의 경화성 소재를 대체할 수 있는 바이오매스 유래의 신규 이중고리 화합물을 기본골격으로 하는 친환경의 차세대 경화성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종래의 라디칼형 경화소재와 비교하여, 경화 시에 발생하는 수축률이 적은 경화소재를 얻을 수 있으며, 이러한 신규 경화소재에 적용되는 화합물을 우수한 효율 및 경제적 합성경로를 통해 제조할 수 있다.
이하, 제조예, 실험예 및 비교예를 참고하여, 본 발명에 의한 바이오매스 유래 경화성 화합물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제조예 1-1 ( FDA - anhydride (3)의 제조)
아르곤 분위기하에서 250 mL 둥근바닥 플라스크에 무수 말레익산 (20 g, 204 mmol), 벤젠 (100 mL), 퓨란 (15 mL, 205 mmol)을 차례로 가하고 상온에서 24시간 교반하여 반응시켰다. 반응이 진행함에 따라 흰색의 결정형태로 생성물이 석출되어 흰색의 slurry가 됨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여과 후 에테르로 세척하고 감압에서 건 조하여 흰색 결정형 파우더 형태의 FDA-anhydride (27.0 g, 160 mmol, 수율 77%)을 얻었다. 이에 대한 lH 및 13C-NMR의 데이터는 아래와 같다.
1H NMR (400 MHz, CDCl3): δ 6.59-6.57 (m, 2H), 5.47-5.44 (m, 2H), 3.19(s, 2H).
13C NMR (100 MHz, CDCl3): δ 170.2, 137.2, 137.1, 82.5, 82.4, 48.9
제조예 1-2 ( FDA - bis - OH ( exo )(4)의 제조)
아르곤 분위기하에서 50mL 둥근바닥플라스크에 LiAlH4 (6.84 g, 180 mmol) 및 무수 THF (150 mL)를 가한 후 교반하였다. 생성된 진회색의 서스펜션을 얼음중탕을 사용하여 냉각한 후, 무수 THF 200 mL에 희석시킨 화합물 FDA-anhydride(3) (20 g, 120 mmol)를 천천히 적가하고, 이후 얼음 중탕을 제거하여 상온에서 24시간 동안 교반하여 반응시켰다. 반응 종결 후 다시 얼음 중탕 하에서 포화 황산나트륨(sodium sulfate) 수용액을 천천히 적가하여 과량 사용된 LiAlH4 를 제거하였다. 이때, 진회색의 서스펜션 상태의 반응액이 흰색의 슬러리 형태로 변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이후 Celite를 깐 필터를 통과시켜 반응액을 여과한 후 충분한 양의 CH2Cl2, 그리고 CH3CN-EtOAc (1:9) 로 차례로 세척하였다. 유기 여과액을 모두 모아 수분제거 (MgSO4) 및 여과, 감압 농축한 후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Flash chromatography)(hexanes: EtOAc = 4:1)로 분리하여 FDA-bisOH(exo)(4)(7.738 g, 50 mmol, 42%)를 반투명 오일상으로 얻었다. 이에 대한 lH 및 13C-NMR의 데이터는 아래와 같다.
1H NMR (400 MHz, CDCl3): δ 6.42-6.38 (m, 2H), 4.69 (s, 2H), 3.90-3.73 (m, 4H), 3.63 (s, 2H), 2.02-1.96 (m, 2H).
13C NMR (100 MHz, CDCl3): δ 136.0, 81.5, 81.4, 63.0, 42.7.
제조예 1-3 ( FDA - bis - Epoxide ( exo ))(5)
100 mL 둥근바닥 플라스크에 에피클로로히드린(ECH)(474.6 mmol, 33.9 g), 50% NaOH 수용액 (32.5 g, 407 mmol), 그리고 테트라부틸암모늄 브로마이드(tetrabutylamomnium bromide)(TBABr) (1.084 g, 3.37 mmol)을 차례로 가하고 격렬히 자력교반 한다. 약 30 mL의 테트라하이드로퓨란(THF)에 희석한 화합물 FDA-bis-OH(exo)(4) (5.28 g, 34 mmol)을 상온에서 천천히 적가 후 상온에서 2시간 격렬히 교반하였다. 이후 반응액을 분액깔대기로 옮기고, 증류수 및 EtOAc 각 200 mL를 가한후 유기층을 2회 세척하고 포화 NaCl수용액으로 세척한 후 MgSO4로 수분을 제거하고, 여과, 감압 농축한 후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 (hexanes: EtOAc = 1:1→1:2)로 분리 하여 연한 황색의 오일로 FDA-bis-Epoxide(exo)(5) (6.24 g, 23.0 mmol, 67%)를 얻었다. 이에 대한 lH 및 13C-NMR의 데이터는 아래와 같다.
1H NMR (400 MHz, CDCl3): δ 6.36 (s, 2H), 4.86 (s, 2H), 3.80-3.72 (m, 2H), 3.67-3.56 (m, 2H), 3.48-3.32 (m, 4H), 3.20-3.13 (m, 2H), 2.84-2.79 (m, 2H), 2.65-2.58 (m, 2H), 1.99-1.90 (m, 2H).
13C NMR (100 MHz, CDCl3): δ 135.7, 80.8, 80.7, 72.4, 71.9, 71.0, 51.0, 50.9, 44.4, 40.1.
제조예 1-4 ( FDA [ Re ]- bis - OH ( exo ))(6)
50 mL 둥근바닥플라스크에 화합물 FDA-bis-OH (exo)(4) (1.56 g, 10 mmol)를 넣고 에틸아세테이트(EtOAc) (30 mL)를 가해 녹였다. 10% Pd-Charcoal 촉매 (0.312 g, 50% H2O 함유, Degussa type, 10 wt%)을 가하고 진공에서 반응플라스크 내부의 공기를 제거하였다. 이후 1기압의 수소압력 하에서 (풍선 사용) 2시간 동안 격렬히 교반하였다. 이후 셀라이트(Celite)를 사용하여 촉매를 여과하여 제거하고, 여액을 감압 농축한 다음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 (EtOAc : CH3CN = 7:1)로 분리하여 반투명 오일상의 FDA[Re]-bis-OH(exo)(6) (1.25 g, 8.0 mmol, 80%)을 얻었다. 이에 대한 lH 및 13C-NMR의 데이터는 아래와 같다.
1H NMR (400 MHz, CDCl3): δ 4.31-4.25 (m, 2H), 3.90-3.76 (m, 2H), 3.72-3.65 (m, 4H), 2.24-2.14 (m, 2H), 1.77-1.69 (m, 2H), 1.58-1.50(m, 2H).
13C NMR (100 MHz, CDCl3): δ 79.8, 62.3, 49.5, 29.8.
제조예 5 ( FDA [ Re ]- bis - Epoxide ( exo )(7))
100 mL 둥근바닥 플라스크에 에피클로로히드린 (1.4 mL), 50% NaOH 수용액 (1.5 g), 그리고 TBABr(100 mg)을 차례로 가하고 격렬히 자력교반 한다. 약 5 mL의 THF에 희석한 화합물 FDA[Re]-bis-OH(exo)(6) (700 mg, 4 mmol)을 상온에서 천천히 적가 후 상온에서 2시간 격렬히 교반하였다. 이후 반응액을 분액깔대기로 옮기고, 증류수 및 EtOAc 각 20 mL를 가한후 유기층을 2회 세척하고 포화 NaCl수용액으로 세척한 후 MgSO4로 수분을 제거하고, 여과, 감압 농축한 후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 (hexanes: EtOAc = 1:1)로 분리 하여 FDA[Re]-bis-Epoxide(exo)(7) (870 mg, 3 mmol, 75%)을 투명한 오일상으로 합성하였다. 이에 대한 lH 및 13C-NMR의 데이터는 아래와 같다.
1H NMR (400 MHz, CDCl3): δ 4.50-4.36 (m, 2H), 3.80-3.66 (m, 2H), 3.54-3.26 (m, 6H), 3.20-3.08 (m, 2H), 2.88-2.74 (m, 2H), 2.66-2.54 (m, 2H), 2.22-2.08 (m, 2H), 1.80-1.65 (m, 2H), 1.58-1.43 (m, 2H).
13C NMR (100 MHz, CDCl3): δ 79.07, 72.11, 71.76, 70.04, 70.03, 50.94, 50.92, 50.88, 46.36, 44.38, 44.36, 29.53
제조예 2-1 ( FDA - mono - Ester ( exo )(9) 및 FDA - mono - Ester ( endo )(10))
아르곤 분위기하에서 50 mL 둥근바닥 플라스크에 퓨란(1) (24 g, 352 mmol)과 메틸 아클릴레이트(8) (Methylacrylate) (10 g, 116 mmol) 을 차례로 가하고 -20℃의 얼음-소금 중탕을 장치하고 교반하였다. BF3 etherate (1.5 mL)를 시린지로 천천히 적가한후 5 ℃ 이하 (냉장실)에서 10시간 교반하였다. 이후 반응액을 분액깔대기로 옮기고 EtOAc에 희석한 다음, 유기층을 증류수, 5% sodium bicarbonate 수용액, 포화 NaCl 수용액으로 차례로 세척한 후 수분제거 (MgSO4) 및 여과, 감압 농축한 후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 (hexanes: EtOAc = 7:2)로 분리하였다. 나중에 용리(elution) 되는 부분에서 FDA-mono-Ester(exo)(9) (4.41 g, 28 mmol, 24%)를 얻었으며, 먼저 용리되는 부분에서 FDA-mono-Ester(endo)(10) (12.28 g, 79 mmol, 68%)을 각각 연황색의 투명한 오일상(exo:endo비율=3:7)으로 얻었다. 이에 대한 lH 및 13C-NMR의 데이터는 아래와 같다.
FDA - mono - Ester ( exo )(9)
1H NMR (400 MHz, CDCl3): δ 6.36-6.33 (m, 2H), 4.97-4.89 (m, 1H), 3.80- 3.70 (m, 1H), 3.62 (s, 1H), 2.12 (s, 1H), 1.83-1.80 (m, 2H), 1.41-1.39 (m, 2H).
13C NMR (100 MHz, CDCl3): δ 136.4, 80.2, 80.1, 78.2, 78.1, 77.6, 77.2, 76.9, 65.5, 39.8, 28.3.
FDA - mono - Ester ( endo )(10)
1H NMR (400 MHz, CDCl3): δ 6.48-6.42 (m, 1H), 6.26-6.20 (m, 1H), 5.20-514 (m, 1H), 5.06-5.00 (m, 1H), 3.70-3.62 (m, 3H), 3.16-3.10 (m, 1H), 2.16-2.08(m, 1H), 1.64-1.58(m, 1H).
13C NMR (100 MHz, CDCl3): δ 172.9, 137.3, 137.2, 132.8, 132.7, 79.3, 79.2, 79.0, 78.9, 52.0, 51.9, 42.9, 28.7
제조예 2-2 ( FDA - mono - OH ( exo )(11))
아르곤 분위기하에서 50mL 둥근바닥플라스크에 LiAlH4 (456 mg) 및 무수 THF (15 mL)를 가한 후 교반하였다. 생성된 진회색의 서스펜션을 얼음중탕을 사용하여 냉각한 후, 무수 THF 20 mL에 희석시킨 화합물 FDA-mono-Ester(exo)(9) (1.5 g, 9.7 mmol)를 천천히 적가하고, 이후 얼음 중탕을 제거하여 상온에서 24시간 동안 교반하여 반응시켰다. 반응 종결 후 다시 얼음 중탕 하에서 포화 황산나트륨 수용 액을 천천히 적가하여 과량 사용된 LiAlH4 를 제거 하였다. 이때, 진회색의 서스펜션 상태의 반응액이 흰색의 slurry 형태로 변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이후 셀라이트(Celite)를 깐 필터를 통과시켜 반응액을 여과한 후 충분한 양의 CH2Cl2, 그리고 CH3CN-EtOAc (1:9) 로 차례로 세척하였다. 유기 여과액를 모두 모아 수분제거 (MgSO4) 및 여과, 감압 농축한 후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 (EtOAc : CH3CN = 7:1)로 분리하여 FDA-mono-OH(exo)(11) (0.650 g, 5.1 mmol, 52%)을 투명한 오일로 얻었다. 이에 대한 lH 및 13C-NMR의 데이터는 아래와 같다.
1H NMR (400 MHz, CDCl3): δ 6.36-6.33 (m, 2H), 4.97-4.89 (m, 1H), 3.80-3.70 (m, 1H), 3.62 (s, 1H), 2.12 (s, 1H), 1.83-1.80 (m, 2H), 1.41-1.39 (m, 2H).
13C NMR (100 MHz, CDCl3): δ 136.4, 80.2, 80.1, 78.2, 78.1, 77.6, 77.2, 76.9, 65.5, 39.8, 28.3.
제조예 2-3 ( FDA - mono - OH ( endo )(13))
아르곤 분위기하에서 50mL 둥근바닥플라스크에 LiAlH4 (852 mg) 및 무수 THF (30 mL)를 가한 후 교반하였다. 생성된 진회색의 서스펜션을 얼음중탕을 사용하여 냉각한 후, 무수 THF 50 mL에 희석시킨 화합물 FDA-mono-Ester(endo)(10) (3.46 g, 22 mmol)를 천천히 적가하고, 이후 얼음 중탕을 제거하여 상온에서 24시간 동안 교반하여 반응시켰다. 반응 종결 후 다시 얼음 중탕 하에서 포화 황산나트륨(sodium sulfate) 수용액을 천천히 적가하여 과량 사용된 LiAlH4 를 제거하였다. 이때, 진회색의 서스펜션 상태의 반응액이 흰색의 슬러리 형태로 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후 셀라이트를 깐 필터를 통과시켜 반응액을 여과한 후 충분한 양의 CH2Cl2, 그리고 CH3CN-EtOAc (1:9) 로 차례로 세척하였다. 유기 여과액를 모두 모아 수분제거 (MgSO4) 및 여과, 감압 농축한 후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 (hexanes: EtOAc 1:1.2)로 분리하여 FDA-mono-OH(endo)(13) (1.815 g, 14 mmol, 63%)을 투명한 오일로 얻었다. 이에 대한 lH 및 13C-NMR의 데이터는 아래와 같다.
1H NMR (400 MHz, CDCl3): δ 6.14-6.39 (m, 1H), 6.33-6.29 (m, 1H), 5.02-5.01 (m, 1H), 4,94-4.93 (m, 1H), 3.53-3.50 (m, 1H), 3.17-3.12 (m, 2H), 2.47-2.41 (m, 1H), 2.02-1.95 (m, 1H), 0.72-0.68 (m, 1H)
13C NMR (100 MHz, CDCl3): δ 136.6, 132.3, 79.7, 78.6, 65.0, 40.7, 28.0
제조예 2-4 ( FDA - mono - Epoxide ( exo )(12))
100 mL 둥근바닥 플라스크에 에피클로로히드린 (1.5 mL), 50% NaOH 수용액 (1.5 g), 그리고 TBABr(100 mg)을 차례로 가하고 격렬히 자력교반 한다. 약 5 mL의 THF에 희석한 화합물 FDA-mono-OH(exo)(11) (500 mg, 4 mmol)을 상온에서 천천히 적가 후 상온에서 2시간 격렬히 교반하였다. 이후 반응액을 분액깔대기로 옮기고, 증류수 및 EtOAc 각 20 mL를 가한후 유기층을 2회 세척하고 포화 NaCl수용액으로 세척한 후 MgSO4로 수분을 제거하고, 여과, 감압 농축한 후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 (hexanes: EtOAc = 2.7 : 1)로 분리하여 FDA-mono-Epoxide(exo)(12) (420 mg, 2.4 mmol, 60%)을 투명한 오일상으로 합성하였다. 이에 대한 lH 및 13C-NMR의 데이터는 아래와 같다.
1H NMR (400 MHz, CDCl3): δ 6.33-6.32 (m, 2H), 4.93-4.92 (m, 1H), 4.88 (s, 1H), 3.80-3.73 (m, 1H), 3.60-3.52 (m, 1H), 3.49-3.36 (m, 2H), 3.19-3.17 (m, 1H), 2.83-2.81 (m, 1H), 2.65-2.61 (m, 1H), 1.91-1.86 (m, 1H), 1.43-1.37 (m, 1H), 1.27-1.22 (m, 1H).
13C NMR (100 MHz. CDCl3): δ 136.0, 135.1, 79.6, 74.5, 72.2, 71.8, 51.0, 44.5, 38.2, 28.6.
제조예 2-5 ( FDA [ Re ]- mono - OH ( endo )(15))
50 mL 둥근바닥플라스크에 화합물 FDA-mono-OH (endo)(13) (600 mg, 4.76 mmol)를 넣고 EtOAc (10 mL)을 가해 녹였다. 10% Pd-Charcoal 촉매 (120 mg, 50% H2O 함유, Degussa type, 10 wt%)을 가하고 진공에서 반응플라스크 내부의 공기를 제거하였다. 이후 1기압의 수소압력 하에서 (풍선 사용) 2시간 동안 격렬히 교반하였다. 이후 셀라이트를 사용하여 촉매를 여과하여 제거하고, 여액을 감압 농축한 다음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 (EtOAc : hexanes = 1:1.2)로 분리하여 반투명한 오일형태의 FDA[Re]-mono-OH(endo)(15) (595 mg, 4.64 mmol, 97%)를 얻었다. 이에 대한 lH 및 13C-NMR의 데이터는 아래와 같다.
1H NMR (400 MHz, CDCl3): δ 4.60-4.53 (m, 2H), 3.81-3.75 (m, 1H), 3.59-3.52 (m, 1H), 2.41-2.34 (m, 1H), 1.96-1.88 (m, 1H), 1.84-1.78 (m, 2H), 1.75-1.70 (m, 1H), 1.68-1.62 (m, 1H), 1.41-1.34 (m, 1H), 0.97-0.92 (m, 1H).
13C NMR (100 MHz, CDCl3): δ 78.4, 77.1, 64.4, 44.5, 34.6, 30.8, 24.4.
제조예 2-6 ( FDA - mono - Epoxide ( endo )(14))
100 mL 둥근바닥 플라스크에 에피클로로히드린 (1.5 mL), 50% NaOH 수용액 (1.5 g), 그리고 TBABr(100 mg)을 차례로 가하고 격렬히 자력교반 한다. 약 5 mL의 THF에 희석한 화합물 FDA-mono-OH(endo)(13)(630 mg, 5 mmol)을 상온에서 천천히 적가 후 상온에서 2시간 격렬히 교반하였다. 이후 반응액을 분액 깔대기로 옮기고, 증류수 및 EtOAc 각 20 mL를 가한후 유기층을 2회 세척하고 포화 NaCl수용액으로 세척한 후 MgSO4로 수분을 제거하고, 여과, 감압 농축한 후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 (hexanes: EtOAc = 2.7 : 1)로 분리하여 FDA-mono-Epoxide(endo)(14) (367 mg, 2 mmol, 40%)을 투명한 오일상으로 합성하였다. 이에 대한 lH 및 13C-NMR의 데이터는 아래와 같다.
1H NMR (400 MHz, CDCl3): δ 6.38 (dd, J = 5.8, 1.2 Hz, 1H), 6.27 (t, J = 5.4 Hz, 1H), 5.01 (d, J = 2.4 Hz, 1H), 4.93 (d, J = 4.8 Hz, 1H), 3.78-3.66 (m, 2H), 3.48-3.25 (m, 2H), 3.16-3.00 (m, 2H), 2.80 (t, J = 4.6 Hz, 1H), 2.62-2.46 (m, 2H), 2.04-1.95 (m, 1H), 0.70 (dd, J = 11.2, 4.0 Hz, 1H).
13C NMR (100 MHz, CDCl3): δ 136.5, 132.5, 79.7, 78.4, 74.2, 71.9, 51.0, 44.2, 38.0, 28.1.
제조예 2-7 ( FDA [ Re ]- mono - Epoxide ( endo )(16))
100 mL 둥근바닥 플라스크에 에피클로로히드린 (1.5 mL), 50% NaOH 수용액 (1.2 g), 그리고 TBABr(100 mg)을 차례로 가하고 격렬히 자력교반 한다. 약 5 mL의 THF에 희석한 화합물 FDA[Re]-mono-OH(endo)(15) (500 mg, 2.7 mmol)을 상온에서 천천히 적가 후 상온에서 2시간 격렬히 교반하였다. 이후 반응액을 분액깔대기로 옮기고, 증류수 및 EtOAc 각 20 mL를 가한후 유기층을 2회 세척하고 포화 NaCl수용액으로 세척한 후 MgSO4로 수분을 제거하고, 여과, 감압 농축한 후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 (hexanes: EtOAc = 2.7:1)로 분리하여 FDA[Re]-mono-Epoxide(endo)(16) (295 mg, 1.6 mmol, 60%)을 투명한 오일상으로 합성하였다. 이에 대한 lH 및 13C-NMR의 데이터는 아래와 같다.
1H NMR (400 MHz, CDCl3): δ 4.53-4.50 (m, 2H), 3.79-3.70 (m, 1H), 3.65-3.54 (m, 1H), 3.47-3.30 (m, 2H), 3.14 (s, 1H), 2.80-2.74 (m, 1H), 2.60-2.59 (m, 1H), 2.43-2.42 (m, 1H) 1.91-1.83 (m, 1H), 1.75-1.61 (m, 3H), 1.36-1.34 (m, 1H), 0.94-0.90 (m, 1H).
13C NMR (100 MHz, CDCl3): δ 78.5, 77.6, 77.3, 76.9, 73.1, 71.9, 51.1, 51.1, 44.2, 41.8, 34.6, 30.7, 24.4.
실험예 ( 광경화 수축율 측정)
광경화수축율은 선형가변 미분변환기(Linear Variable Differential Transformer(LVDT) transducer)와 UV Spot curing 장비를 이용하였다. 이는 UV-Spot curing 장비로 광경화를 시키면서 이때 발생되는 수축율을 비접촉식 선형가변 미분변환기를 이용하여 선형 변형을 측정하는 원리로 경화수축율을 평가하는 방법이다. 수축율 측정기는 R&B사의 Linometer System인 RB308 LinometerTM 를 사용하였으며, UV-Spot curing 장비는 Ushio사의 SP-7을 사용하였다. 전자기장을 이용하여 거리를 측정할 수 있는 비접촉식 선형 변위 센서 위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스테인리스 디스크를 올려놓은 뒤, 스테인리스 디스크 위에 일정한 두께 혹은 일정량의 시료를 로딩한 뒤 수지 위를 슬라이드 글라스로 덮은 뒤에 고정시킨다. 슬라이드 글라스에서 일정 높이에 광원을 고정시킨 후, UV를 조사시킴과 동시에 센서를 작동시키면 스테인리스 디스크가 슬라이드 글라스 방향으로 상승하며, 센서와 스테인리스 디스크 간격이 멀어지게 되는데 이 간격을 기록하여 수축정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는 아래 표에 나타낸 바와 같다.
표 1. 재생자원에서 유래된 에폭사이드 관능기를 갖는 이중고리 구조로 이루어진 경화소재 화합물의 광경화 수축율
제조예 시료명 경화수축률(%)
제조예 2-4 FDA-mono-Epoxide (exo)(12)
8.9%
제조예 2-6 FDA-mono-Epoxide (endo)(14)
10.9%
제조예 1-3 FDA-bis-Epoxide (exo)(5)
8.2%
본 발명의 제조예에 의한 바이오매스 유래 경화성 화합물은, 상기 표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경화수축률이 8 내지 10%로서, 일반적으로 약 10% 안팎의 경화수축률을 보이는 아크릴계 광경화소재에 비해 동등하거나 우수한 성능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바이오매스 유래 이중고리 경화성 화합물은 석유자원 유래의 경화성 화합물을 대체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전자재료 분야 등의 정밀한 치수안정성을 요구하는 분야에 적용되기 적합한 것으로 판단된다.
이상, 본 발명의 제조예 및 비교예를 중심으로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기 제조예 및 비교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내에서 용이하게 변환 또는 삭제 가능한 범위까지 포함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가능한 다양한 변형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청구 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본다.

Claims (10)

  1. 아래 화학식 Ⅰ내지 화학식 Ⅴ 중 어느 하나로 표현되는 바와 같이,이중고리 구조를 기본 골격으로 하며, 하나 또는 두 개의 에폭사이드 관능기가 결합되어 이루어진 바이오매스 유래 경화성 이중고리 화합물.
    [화학식 Ⅰ]
    Figure 112009055189281-PAT00009
    [화학식 Ⅱ]
    Figure 112009055189281-PAT00010
    [화학식 Ⅲ]
    Figure 112009055189281-PAT00011
    [화학식 Ⅳ]
    Figure 112009055189281-PAT00012
    [화학식 Ⅴ]
    Figure 112009055189281-PAT00013
  2. 제1항에 의한 화합물 및
    개시제 또는 경화제를 포함하는 무용매형 경화성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개시제는 양이온 경화 개시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용매형 경화성 조성물.
  4. 탄수화물계 바이오매스(biomass)에서 추출된 셀룰로오스 및 헤미셀룰로오스로부터 각각 무수 말레익산(Maleic anhydride) 및 퓨란을 제조하는 출발물질제조단계;
    상기 바이오매스 유래의 무수 말레익산 및 퓨란을 디엘스-알더(Diels-Alder) 반응 및 연속 환원반응에 의하여 반응시킴으로써, 이중고리와 두 개의 알코올 관능기를 포함하는 중간체 화합물을 제조하는 중간체 반응단계; 및
    상기 중간체 화합물과 에피클로로히드린(epichlorohydrin)을 반응시켜, 이중고리와 두 개의 에폭사이드 관능기를 포함하는 화합물을 제조하는 최종반응단계를 포함하는 바이오매스 유래 경화성 이중고리 화합물의 제조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체 반응단계는, 상기 생성된 중간체 화합물을 수첨환원반응에 의하여 환원시켜 제2중간체 화합물을 제조하는 수첨환원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최종반응단계는, 상기 제2중간체 화합물과 상기 에피클로로히드린을 반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오매스 유래 경화성 이중고리 화합물의 제조방법.
  6. 탄수화물계 바이오매스(biomass)에서 추출된 헤미셀룰로오스로부터 퓨란을 제조하는 출발물질제조단계;
    상기 퓨란과 메틸아크릴레이트(methyl acrylate)를 디엘스-알더(Diels-Alder) 반응 및 환원반응에 의하여 반응시킴으로써, 하나의 알코올 관능기와 이중고리를 포함하는 중간체 화합물을 제조하는 중간체 반응단계; 및
    상기 중간체 화합물과 에피클로로히드린(epichlorohydrin)을 반응시켜, 하나의 에폭사이드 관능기와 이중고리를 포함하는 화합물을 제조하는 최종반응단계를 포함하는 바이오매스 유래 경화성 이중고리 화합물의 제조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체 반응단계는,
    상기 디엘스-알더(Diels-Alder) 반응 이후 생성된 혼합물을, 각각 엔도(endo)와 엑소(exo) 타입의 화합물로 분리한 후, 각각 분리된 화합물에 대하여 환원반응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오매스 유래 경화성 이중고리 화합물의 제조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체 반응단계는, 상기 생성된 중간체 화합물을 수첨환원반응에 의하여 환원시켜 제2중간체 화합물을 제조하는 수첨환원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최종반응단계는, 상기 제2중간체 화합물과 상기 에피클로로히드린을 반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오매스 유래 경화성 이중고리 화합물의 제조방법.
  9. 제4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최종반응단계는, 상기 중간체 화합물 또는 제2중간체 화합물 및 에피클로로히드린을 포함하는 혼합물을,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을 첨가한 2상 용매(bi-phasic solvent system) 내에서 상전이촉매(Phase Transfer Catalyst, PTC)를 촉매로 하여 반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오매스 유래 경화성 이중고리 화합물의 제조방법.
  10. 제4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의하여 제조된 바이오매스 유래 경화성 이중고리 화합물과, 양이온 경화 개시제 또는 경화제를 혼합하여 경화가능한 접착성 조성물을 제조하는 조성물제조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용매형 경화성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20090084425A 2009-09-08 2009-09-08 바이오매스 유래 경화성 이중고리 화합물, 무용매형 경화성 조성물 및 이들의 제조방법 KR1011165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4425A KR101116532B1 (ko) 2009-09-08 2009-09-08 바이오매스 유래 경화성 이중고리 화합물, 무용매형 경화성 조성물 및 이들의 제조방법
US13/394,896 US20120252996A1 (en) 2009-09-08 2010-05-05 Curable Bicyclic Compound Derived from Biomass, Solvent-Free Curable Composition, and Method for Preparing Same
PCT/KR2010/002972 WO2011030992A1 (ko) 2009-09-08 2010-05-11 바이오매스 유래 경화성 이중고리 화합물, 무용매형 경화성 조성물 및 이들의 제조방법
US14/078,667 US9422305B2 (en) 2009-09-08 2013-11-13 Method for preparing curable bicyclic compound derived from biomass
US15/221,798 US9994583B2 (en) 2009-09-08 2016-07-28 Method for preparing curable bicyclic compound derived from biomas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4425A KR101116532B1 (ko) 2009-09-08 2009-09-08 바이오매스 유래 경화성 이중고리 화합물, 무용매형 경화성 조성물 및 이들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6670A true KR20110026670A (ko) 2011-03-16
KR101116532B1 KR101116532B1 (ko) 2012-02-28

Family

ID=437326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84425A KR101116532B1 (ko) 2009-09-08 2009-09-08 바이오매스 유래 경화성 이중고리 화합물, 무용매형 경화성 조성물 및 이들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3) US20120252996A1 (ko)
KR (1) KR101116532B1 (ko)
WO (1) WO2011030992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0302B1 (ko) * 2011-04-08 2013-09-23 한국생산기술연구원 바이오매스 유래 퓨란계 광경화성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무용매형 광경화성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4103884A1 (de) * 2014-03-21 2015-09-24 Endress + Hauser Flowtec Ag Ultraschallwandler und Ultraschall-Durchflussmessgerät
CN117222709A (zh) * 2021-05-31 2023-12-12 Dic株式会社 酞菁化合物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88280A (en) * 1987-03-19 1988-11-29 National Starch And Chemical Corporation Polysaccharide derivatives containing aldehyde groups on an aromatic ring, their preparation from the corresponding acetals and use in paper
JP2728106B2 (ja) * 1991-09-05 1998-03-18 インターナショナル・ビジネス・マシーンズ・コーポレイション 電子パッケージングにおける除去可能なデバイス保護のための開裂性ジエポキシド
US6825315B2 (en) * 2001-12-21 2004-11-30 Sandia Corporation Method of making thermally removable adhesives
JP2006193629A (ja) 2005-01-14 2006-07-27 Yokohama Rubber Co Ltd:The 硬化性組成物およびその硬化物
US8039543B2 (en) * 2007-09-04 2011-10-18 General Electric Company Composition comprising a coupling agent and a cycloolefin, the coupling agent comprising a reaction product of an epoxy-substituted cycloolefin and an aromatic amin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0302B1 (ko) * 2011-04-08 2013-09-23 한국생산기술연구원 바이오매스 유래 퓨란계 광경화성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무용매형 광경화성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20252996A1 (en) 2012-10-04
KR101116532B1 (ko) 2012-02-28
US20160333025A1 (en) 2016-11-17
US20140066637A1 (en) 2014-03-06
WO2011030992A1 (ko) 2011-03-17
US9994583B2 (en) 2018-06-12
US9422305B2 (en) 2016-08-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16450B1 (ko) 바이오매스 유래 경화성 화합물, 무용매형 경화성 조성물 및 이들의 제조방법
EP0022073B1 (de) Diglycidyläther von di-sekundären Alkoholen, ihre Herstellung und Verwendung
Zhou et al. Facile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of urushiol analogues from tung oil via ultraviolet photocatalysis
KR101116532B1 (ko) 바이오매스 유래 경화성 이중고리 화합물, 무용매형 경화성 조성물 및 이들의 제조방법
Yoshimura et al. Total synthesis of (+)-lasonolide A
KR20160024938A (ko) 테트라하이드로푸란-2,5-디카브알데하이드(디포르밀-테트라하이드로푸란, dfthf) 및 이의 제조 방법
US11667669B2 (en) Epoxy-(meth)acrylate monomers and polymers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the same
US6015914A (en) Compound having oxetanyl group, process for producing same, and curing composition
EP0466596B1 (en) Lactone-modified alicyclic composition, and an epoxidized composition thereof
US5198509A (en) Lactone-modified alicyclic composition and an epoxidized composition thereof
JP5312827B2 (ja) 脂環エポキシ基含有ビニルエーテル化合物、及び重合性組成物
KR101113548B1 (ko) 바이오매스 유래 경화성 화합물 및 이를 이용한 무용매형 경화성 조성물
US6066746A (en) Radiation curing of dihydrofuran derivatives
KR101310302B1 (ko) 바이오매스 유래 퓨란계 광경화성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무용매형 광경화성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Yoshikawa et al. Synthesis of the LMN-ring fragment of the Caribbean ciguatoxin C-CTX-1
Hu Structure-Property Relationships of Furanyl Thermosetting Polymer Materials Derived from Biobased Feedstocks
Takano et al. A double Diels-Alder reaction of a C2-symmetric bis-dienophile: A new enantioselective approach to natural loganin
JP3307260B2 (ja) オキセタニル基を有する化合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WO2014034628A1 (ja) 脂環式エポキシ化合物及びその製造方法
Chu Novel Bio-based Thermosets with Superior Performance Characteristics
Ishibashi et al. Improved procedure for the enantiometric synthesis of 1-Hydroxy/acetoxy-2, 6-diaryl-3, 7-dioxabicyclo [3.3. 0] octane Lignans: Total Syntheses of (+)-Paulownin,(+)-Phrymarin I and (+)-Phrymarin II
US5914410A (en) Intermediates for annonaceous acetogenins
WO2022261739A1 (en) Furanic diglycidyl ethers and esters and use thereof to prepare epoxy resins
KR101833446B1 (ko) 비스퓨란 유도체 화합물, 그를 포함하는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JPS61106568A (ja) ヒドロキシ基含有環状アセタ−ル化合物およびその製造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31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