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26361A - 만화 이미지 컨텐츠를 표시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만화 이미지 컨텐츠를 표시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26361A
KR20110026361A KR1020090084229A KR20090084229A KR20110026361A KR 20110026361 A KR20110026361 A KR 20110026361A KR 1020090084229 A KR1020090084229 A KR 1020090084229A KR 20090084229 A KR20090084229 A KR 20090084229A KR 20110026361 A KR20110026361 A KR 201100263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display
displaying
displayed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842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09151B1 (ko
Inventor
곽경신
Original Assignee
곽경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곽경신 filed Critical 곽경신
Priority to KR10200900842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09151B1/ko
Publication of KR201100263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263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91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91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5/00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 G06F15/02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manually operated with input through keyboard and computation using a built-in program, e.g. pocket calculators
    • G06F15/025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manually operated with input through keyboard and computation using a built-in program, e.g. pocket calculators adapted to a specific application
    • G06F15/0291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manually operated with input through keyboard and computation using a built-in program, e.g. pocket calculators adapted to a specific application for reading, e.g. e-boo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만화 이미지 컨텐츠를 표시하기 위한 것으로서, 만화 이미지 데이터 및 안내(guide) 데이터를 포함하는 파일 셋트를 로딩하는 과정과,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표시 수단에서 표현 가능한 최대 해상도 및 상기 안내 데이터에 의해 지시되는 내용에 따라, 상기 이미지 데이터로부터 추출되는 다수의 부분 이미지들을 표시함으로써 상기 표시 수단을 통해 상기 이미지 데이터를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표시 수단의 크기가 제한되더라도 만화 컨텐츠의 활용도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
만화 컨텐츠(comics contents), 안내 데이터(guide data), 휴대용 단말기, 해상도, 최소 배율

Description

만화 이미지 컨텐츠를 표시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COMICS IMAGE CONTENTS}
본 발명은 만화 이미지 컨텐츠를 표시하기 위한 것으로, 특히, 제한된 크기의 화면을 갖는 장치에서 만화 이미지 컨텐츠를 표시하기 위한 것이다.
현대 사회에서 휴대용 단말기는 편의성과 필요성으로 인해 보급률이 급속히 증가 되어 이제는 현대인의 필수품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그리고 서비스 제공자들은 휴대용 단말기를 통해 음악, 동영상 등의 다양한 엔터테인먼트 기능 및 컨텐츠를 제공하고 있다. 예를 들어, 휴대용 단말기는 이미지 뷰어, 라디오,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MP3(MPEG Audio Layer-3), 게임, 인터넷 서비스, 동영상 기능 등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나열된 다양한 휴대용 단말기의 기능들 중, 이미지 뷰어 기능을 통해 사용자는 만화 이미지를 볼 수 있다. 하지만, 대부분의 만화 이미지의 규격은 출판되는 책의 페이지 형식을 갖는 것이 일반적이므로,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화면에 맞지 않는다. 다시 말해, 상기 만화 이미지의 전체를 표시하기에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화면은 매우 작다. 따라서, 상기 만화 이미지를 재생함에 있어서, 이미지의 확대, 축소 및 스크롤(scroll) 동작이 수반되어야 한다. 이로 인해, 사용자에게 조작의 불편함을 주고, 심지어, 이미지의 일부를 보지 아니하였음을 간과하게 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화면 크기에 최적화되도록 제작된 만화 이미지라 할지라도, 휴대용 단말기들의 화면 크기가 다양하기 때문에, 다양한 화면 크기들에 대응하지 못하여 특정 플랫폼(platform) 또는 특정 제품에 한정적으로 활용 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휴대용 단말기에서의 만화 이미지 재생은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화면 크기로 인하여 만화 컨텐츠 활용에 큰 불편을 초래한다. 따라서, 화면 크기에 무관하게 사용자가 쉽게 만화 이미지를 감상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대안이 제시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용 단말기에서 만화 컨텐츠의 활용도를 극대화시키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휴대용 단말기에서 화면 크기에 무관하게 만화 이미지를 재생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휴대용 단말기에서 다양한 환경 하에 동일한 만화 이미지 파일을 재생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휴대용 단말기에서 만화 이미지 재생 시 자동화된 확대, 축소 및 스크롤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견지에 따르면, 휴대용 단말기의 동작 방법은, 만화 이미지 데이터 및 안내(guide) 데이터를 포함하는 파일 셋트를 로딩하는 과정과,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표시 수단에서 표현 가능한 최대 해상도 및 상기 안내 데이터에 의해 지시되는 내용에 따라, 상기 이미지 데이터로부터 추출되는 다수의 부분 이미지들을 표시함으로써 상기 표시 수단을 통해 상기 이미지 데이터를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2견지에 따르면, 휴대용 단말기 장 치는, 만화 이미지 데이터 및 안내 데이터를 포함하는 파일 셋트를 로딩하고, 표시부에서 표현 가능한 최대 해상도 및 상기 안내 데이터에 의해 지시되는 내용에 따라 상기 이미지 데이터로부터 추출되는 다수의 부분 이미지들을 표시함으로써 상기 표시부를 통해 상기 이미지 데이터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이미지 데이터를 표시하는 상기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휴대용 단말기에서 표시 수단의 크기를 고려하여 미리 정해진 안내(guide) 정보에 따라 만화 이미지를 재생함으로서, 표시 수단의 크기가 제한되더라도 만화 컨텐츠의 활용도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의 참조와 함께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에서 만화 이미지 재생 시 자동화된 확대, 축 소, 화면 전환 및 스크롤(scroll)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기술에 대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상기 만화 이미지는 일반 출판 만화 및 웹 만화와 같이 다수의 컷들 및 컷 내부에 위치한 그림 및 문자들로 구성되는 이미지는 물론, 다수의 장면들로 나누어서 일정 순서에 따라 보도록 만들어진 시각 이미지들을 모두 포함하는 의미이다.
또한,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셀룰러 전화기(Celluar Phone), 개인 휴대 통신 전화기(PCS : 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복합 무선 단말기(PDA : 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2000(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단말기, 랩탑(lap-top) 컴퓨터 등을 포함하는 의미이다.
본 발명에 따른 만화 이미지를 보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은 콘텐츠인 만화 이미지 데이터(image data)를 포함한 데이터들의 묶음을 이용하여 실시된다. 이하 설명에서, 상기 데이터들의 묶음을 '파일 셋트(set)'라 칭한다. 하나의 파일 셋트는 하나의 페이지에 대응하는 것이 일반적이나, 2 페이지를 양쪽으로 펼쳐서 동시에 보게 작성된 만화 컨텐츠의 경우, 하나의 파일 셋트는 2개의 페이지들에 대응할 수 있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100 페이지 용량의 만화책을 데이터화하는 경우, 100개의 만화 이미지들이 존재하며, 100개의 만화 이미지들 각각을 위한 100개의 파일 셋트들이 존재한다. 또한, 이하 설명에서, 본 발명은 한 권의 만화책의 각 페이지를 위한 다수의 파일 셋트들의 집합을 '파일 패키지'라 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파일 셋트의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파일 셋트(100)는 페이지 단위로 구성되고, 도 1과 같이 4개의 데이터들(110 내지 140)의 묶음으로 이루어진다.
첫 번째 데이터(110)는 재생의 대상이 되는 만화의 이미지로서, '이미지 데이터'라 칭한다. 예를 들어, 상기 이미지 데이터(110)는 jpg 혹은 png의 포맷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이미지 데이터는 사용자가 모든 부분을 볼 수 있을 만큼 충분한 해상도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두 번째 데이터(120)는 만화 이미지의 부분들을 보여주는 순서, 위치, 배율 등을 지시하는 것으로서, '안내(guide) 데이터'라 칭한다. 여기서, 만화 이미지의 부분들은 상위 단위체(upper unit) 및 하위 단위체(lower unit)를 포함하는 계층적(hierarchical) 단위로 정의된다. 예를 들어, 상기 안내 데이터는 상기 단위체들의 위치 및 크기를 지정하는 정보 및 각 단위체의 표시와 관련된 정보를 나타내는 문자열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단위체들의 위치 및 크기를 지정하는 정보는 사각형들을 포함하는 이미지 파일, 또는, 좌표값 및 크기값을 포함하는 데이터로 표현된다. 상기 안내 데이터(120)의 상세한 구성은 이하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세 번째 데이터(130)는 다국어를 지원하기 위하여 상기 이미지 데이터(110)에 오버랩(overlap)되는 레이어(layer) 형태의 이미지로서, '언어 데이터'라 칭한 다. 상기 언어 데이터(130)는 한국어, 영어, 일본어 등 다양한 언어들을 지원하기 위해 다수의 이미지들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네 번째 데이터(140)는 상기 파일 셋트(100)를 관리하기 위한 정보로서, '메타(meta) 데이터'라 칭한다. 예를 들어, 상기 메타 데이터(140)는 상기 파일 셋트(100)의 버전 정보, 제작 날짜, 태그, 기타 분류 데이터 등을 포함한다.
상기 안내 데이터의 상세한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안내 데이터를 위한 단위체의 형태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만화의 하나의 컷(cut)이 하나의 상위 단위체를 구성한다. 하지만, 상기 도 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컷들로 분할되어 있지만 함께 보도록 의도된 컷들의 집합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다수의 컷들의 집합이 하나의 상위 단위체를 구성한다. 상기 하위 단위체는 상기 상위 단위체의 내부를 분할하는 단위이다. 상기 하위 단위체는 상위 단위체 전체가 동시에 표시되지 못하는 경우 수회에 걸쳐 상기 상위 단위체를 표시하기 위해 정의된다. 예를 들어, 상기 하위 단위체는 상기 도 2의 (c) 내지 (f)와 같이 정의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안내 데이터의 문자열 의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문자열은 상위 순서 번호 필드(310), 하위 순서 번호 필드(320), 최소 배율 필드(330) 및 표시 방식 필드(340)를 포함하며, 해당 단위체의 표시 순서, 최소 배율 및 표시 방식을 지시한다. 상기 문자열은 상위 단위체들 및 하위 단위체들 각각에 부여된다. 따라서, 상기 문자열이 상위 단위체에 부여되는 경우, 상기 하위 순서 번호 필드(320)는 생략되거나 또는 사용되지 않음을 나타내는 값으로 설정된다. 또한, 상기 문자열이 하위 단위체에 부여되는 경우, 상기 표시 방식 필드(340)는 생략되거나, 사용되지 않음을 나타내는 값으로 설정되거나, 상기 하위 단위체가 속한 상위 단위체의 표시 방식을 지시하는 값으로 설정된다.
예를 들어, 문자열이 '01020301'인 경우, 상기 상위 순서 번호 필드(310)를 구성하는 첫 번째 내지 두 번째 문자인 '01' 및 상기 하위 순서 번호 필드(320)를 구성하는 세 번째 내지 네 번째 문자인 '02'는 은 페이지의 첫 번째 상위 단위체의 하위 단위체들 중 두 번째로 표시해야 할 하위 단위체임을 지시하고, 상기 최소 배율 필드(330)를 구성하는 다섯 번째 내지 여섯 번째 문자인 '03'은 3단계 배율 이상으로 표시해야함을 지시하고, 상기 표시 방식 필드(340)를 구성하는 일곱 번째 내지 여덟 번째 문자인 '01'은 해당 컷을 제1표시 방식에 따라 표시해야함을 의미한다.
상기 문자열에서, 상기 최소 배율 필드(330)는 값의 길이를 최소화하기 위해 인덱스(index)로 표현되며, 인덱스들에 대응되는 실제 배율 값들은 별도의 룩업 테이블(look-up table)에 저장된다. 하지만,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최소 배율 필드(330)는 인덱스가 아닌 실제 배율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여기서, 만화 컨텐츠인 이미지 데이터가 충분히 큰 해상도를 가지기 때문에, 상기 배율은 통상 1 미만의 값으로서 정의된다. 상기 문자열의 전체 길이, 각 필드를 위해 할당되는 문자의 개수 및 매핑(mapping) 방식은 구체적인 실시 예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상기 단위체 및 상기 문자열에 관련하여, 만화 이미지를 표시하는 기본 규칙은 다음과 같다. 첫째, 최소 배율을 만족시키는 범위에서 가능한 많은 연속된 상위 단위체들을 동시에 표시한다. 여기서, 상기 연속된 상위 단위체들은 순서 번호가 연속되는 상위 단위체들을 의미한다. 둘째, 하나의 상위 단위체 전체를 최소 배율을 만족하도록 표시하지 못하는 경우, 상기 상위 단위체의 하위 단위체들을 소정 순서로 표시한다. 셋째, 하위 단위체들을 소정 순서로 표시하는 경우, 지정된 표시 방식에 따른다.
상기 표시 방식은 하나의 상위 단위체를 표시하는 구체적인 순서, 범위, 배율, 화면 전환 기법 등에 대한 정의로서, 사용자에게 있어서 컷의 특성에 따른 최적의 감상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표시 방식은 본 발명의 실시자의 의도에 따라 다양한 내용으로 정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기 <표 1>과 같은 표시 방식들이 정의될 수 있다.
표시방식1 하위 단위체들을 최소 배율을 만족하도록 순서대로 표시.
표시방식2 최소 배율을 무시하고 상위 단위체 전체를 표시한 후 컷의 하위 단위체들을 최소 배율을 만족하도록 순서대로 표시.
표시방식3 하위 단위체들을 최소 배율 내에서 순서대로 표시한 후 최소 배율을 무시하고 컷 전체를 표시
표시방식4 하위 단위체들의 최소 배율들 중 최대값을 만족하도록 첫째 하위 단위체를 표시한 후, 표시 영역을 이동시키며 모든 하위 단위체들을 순차적으로 표시.
표시방식5 최소 배율을 무시하고 상위 단위체 전체를 표시한 후, 하위 단위체들의 최소 배율들 중 최대값을 만족하도록 첫째 하위 단위체를 표시하고, 표시 영역을 이동시키며 모든 하위 단위체들을 순차적으로 표시.
표시방식6 하위 단위체들의 최소 배율 중 최대값을 만족하도록 첫째 하위 단위체를 표시하고, 표시 영역을 이동시키며 모든 하위 단위체들을 순차적으로 표시한 후, 최소 배율을 무시하고 상위 단위체 전체를 표시.
상기 <표 1>과 같은 표시 방식들의 정의의 경우, 표시 방식에 따라 배율, 화면 전환 기법 및 컷 전체의 표시 여부가 결정된다. 이에 더불어, 표지 영역 이동시 이동 속도, 각 하위 단위체에 머무르는 시간 등이 추가적으로 고려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배율, 화면 전환 기법, 컷 전체의 표시 여부 등이 별도의 필드들을 통해 지시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표시 방식은 다수의 필드들의 조합으로서 표현된다.
상술한 데이터들을 이용하여 만화 이미지를 표시하는 구체적인 예는 다음과 같다.
우선,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각 컷의 최소 배율을 만족하되, 화면에 가능한 많은 개수의 연속된 상위 단위체들이 포함되도록 만화 이미지를 표시한다. 예를 들어, 다수의 상위 단위체들이 화면에 포함되는 경우의 예를 살펴보면 도 4와 같다.
상기 도 4를 참고하면,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 수단(410)의 표현 가능한 최대 해상도는 400×300이다. 그리고,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1번 상위 단위체(421)의 이미지 데이터 상 해상도 및 최소 배율은 800×800 및 0.25이고, 2번 상위 단위체(422)의 이미지 데이터 상 해상도 및 최소 배율은 200×800 및 0.2이고, 3번 상위 단위체(423)의 이미지 데이터 상 해상도 및 최소 배율은 400×800 및 0.3이다. 따라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상기 1번 상위 단위체(421)의 최소 배율을 만족시키면서 상기 1번 상위 단위체(421)의 전체를 상기 표시 수단(410)을 통해 표시할 수 있는지 검토한다. 상기 표시 수단(410)의 최대 해상도는 400×300이고, 상기 1번 상위 단위체(421)의 최소 배율에 의한 해상도는 200×200이므로,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상기 1번 상위 단위체(421)의 전체를 표시할 수 있음을 판단한다.
다음으로 상기 1번 상위 단위체(421) 전체 및 상기 2번 상위 단위체(422) 전체를 함께 상기 표시 수단(410)을 통해 표시할 수 있는지 검토한다. 이때, 상기 1번 상위 단위체(421) 및 상기 2번 상위 단위체(422)의 최소 배율들을 모두 만족해야 하므로, 가장 큰 최소 배율인 0.25에 의해 산출되는 해상도를 상기 표시 수단(410)의 최대 해상도와 비교한다. 0.25의 배율에 의할 때, 상기 1번 상위 단위체(421)의 해상도는 200×200, 상기 2번 상위 단위체(422)의 해상도는 50×200이므로, (400+50+0.25α)×200의 해상도가 요구된다. 여기서, 상기 α는 단위체들 간의 간격이 차지하는 영역의 가로축 픽셀(pixel) 개수를 의미한다.
요구되는 해상도가 상기 표시 수단(410)의 최대 해상도보다 작음을 판단한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상기 1번 상위 단위체(421), 상기 2번 상위 단위체(422) 및 상기 3번 상위 단위체(423)를 함께 상기 표시 수단(410)을 통해 표시할 수 있는지 검토한다. 이 경우, (400+50+100+0.5α)×200의 해상도가 요구되므로,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최소 배율을 만족하면서 상기 1번 상위 단위체(421), 상기 2번 상위 단위체(422) 및 상기 3번 상위 단위체(423)을 함께 표시할 수 없음을 판단하고, 상기 1번 상위 단위체(421) 및 상기 2번 상위 단위체(422)만을 표시할 것을 결정한다.
이에 따라,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이미지 데이터에서 상기 1번 상위 단위체(421) 및 상기 2번 상위 단위체(422)에 대응되는 영역을 추출한다. 또한,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언어 데이터에서 상기 영역에 대응되는 이미지를 추출한다. 이후,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상기 이미지 데이터 및 상기 언어 데이터에서 추출된 부분 이미지들을 결합하여 표시 이미지를 생성하고, 상기 표시 수단(410)의 표현 가능 최대 해상도를 모두 활용할 수 있도록 상기 표시 이미지의 크기를 조절한다. 상기 표시 이미지의 해상도는 (800+200+α)×800이므로,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상기 표시 이미지를 (800+200+α)·3/8×800·3/8의 해상도로 리사이즈(resize)함으로써 최종적으로 표시할 화면을 구성한다. 그리고,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리사이즈된 표시 이미지를 상기 표시 수단(410)을 통해 표시한다.
만일, 표시 수단의 표현 가능한 최대 해상도가 특정 상위 단위체의 최소 배율에 의한 해상도보다 작아서 상기 특정 상위 단위체의 전체를 표시할 수 없는 경우,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상기 상위 단위체에 속한 하위 단위체들을 순차적으로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수 회에 걸쳐 전체 상위 단위체를 볼 수 있게 한다. 또한,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필요에 따라 예외적으로 최소 배율을 무시하여 상기 최소 배율 이하의 배율로 상위 단위체 전체를 보여준 후, 상기 상위 단위체에 속한 하위 단위체들을 표시할 수 있다. 반대로, 하위 단위체들을 먼저 표시한 후, 최소 배율 이하의 배율로 상위 단위체 전체를 표시하는 동작도 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만화 이미지를 표시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동작 및 구성을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동작 절차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5를 참고하면,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501단계에서 만화 컨텐츠를 포함하는 파일 패키지를 저장한다. 상기 파일 패키지는 다수의 파일 셋트들로 구성되며, 파일 셋트는 이미지 데이터, 안내 데이터, 언어 데이터 및 메타 데이터의 묶음으로 구성된다. 예를 들어,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외부 장치로부터 상기 파일 패키지를 전달 받거나, 인터넷 망 등의 통신 망을 통해 상기 파일 패키지를 다운로드(download)한다.
이후,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503단계로 진행하여 만화 이미지 재생 명령이 발생하는지 확인한다. 즉,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입력 수단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상기 만화 이미지 재생 명령이 입력되는지 판단한다. 상기 만화 이미지 재생 명령의 발생 여부는 특정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의 실행 여부를 통해 판단될 수 있다.
상기 만화 이미지 재생 명령이 발생하면,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505단계로 진행하여 파일 셋트를 로딩한다. 상기 파일 셋트는 상기 파일 패키지에 포함되어 있으며, 재생 순서를 나타내는 일련 번호를 갖는다. 따라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첫번째 파일 셋트를 로딩한다. 단,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사용자가 재생이 시작되는 페이지를 지정할 수 있는 경우,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지정된 페이지에 대응되는 만화 이미지를 포함하는 파일 셋트를 로딩한다.
상기 파일 셋트를 로딩한 후,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507단계로 진행하여 n번째 상위 단위체 전체를 표시할 수 있는지 검토한다. 여기서, 상기 n은 본 절차의 시작 시 1로 초기화된다. 다시 말해,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상기 505단계에서 로딩된 파일 셋트에 포함된 상위 단위체들 중 n번째 상위 단위체를 최소 배율을 만족하면서 표시할 수 있는지 검토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상기 n번째 상위 단위체에 대응되는 이미지의 실제 해상도 및 상기 최소 배율을 이용하여 상기 최소 배율에 의한 요구 해상도를 산출하고, 상기 요구 해상도 및 표시 수단의 최대 해상도를 비교한다. 비교 결과, 상기 요구 해상도가 상기 표시 수단의 최대 해상도보다 크면,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상기 n번째 상위 단위체 전체를 표시할 수 없다고 판단한다. 반면, 상기 요구 해상도가 상기 표시 수단의 최대 해상도보다 작거나 같으면,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상기 n번째 상위 단위체 전체를 표시할 수 있다고 판단한다.
만일, 상기 n번째 상위 단위체 전체를 표시할 수 없으면,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509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n번째 상위 단위체에 속한 하위 단위체들을 지정된 표시 방식에 따라 순차적으로 표시한다. 예를 들어, 상기 지정된 표시 방식은 상기 <표 1>에 나타난 표시 방식들 중 하나가 될 수 있다.
반면, 상기 n번째 상위 단위체 전체를 표시할 수 있으면,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511단계로 진행하여 n번째 내지 n+k번째 상위 단위체들을 함께 표시할 수 있는지 검토한다. 여기서, 상기 k는 본 절차의 시작 시 1로 초기화된다. 다시 말해,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상기 505단계에서 로딩된 파일 셋트에 포함된 상위 단위체들 중 n번째 내지 n+k번째 상위 단위체들을 최소 배율을 만족하면서 표시할 수 있는지 검토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상기 n번째 내지 상기 n+k번째 상위 단위체들을 모두 포함하는 영역에 대응되는 이미지의 실제 해상도 및 상기 n번째 내지 상기 n+k번째 상위 단위체들 각각의 최소 배율을 이용하여 상기 최소 배율에 의한 요구 해상도를 산출하고, 상기 요구 해상도 및 표시 수단의 최대 해상도를 비교한다. 이때, 상기 n번째 내지 상기 n+k번째 상위 단위체들 각각의 최소 배율들이 상이한 경우,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상기 최소 배율들 중 최대값을 기준으로 요구 해상도를 산출한다. 비교 결과, 상기 요구 해상도가 상기 표시 수단의 최대 해상도보다 크면,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상기 n번째 내지 상기 n+k번째 상위 단위체들을 함께 표시할 수 없다고 판단한다. 반면, 상기 요구 해상도가 상기 표시 수단의 최대 해상도보다 작거나 같으면,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상기 n번째 내지 상기 n+k번째 상위 단위체들을 함께 표시할 수 있다고 판단한다.
만일, 상기 n번째 내지 상기 n+k번째 상위 단위체들을 함께 표시할 수 있으면,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513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k를 1 증가시킨 후, 상기 511단계로 되돌아간다.
반면, 상기 n번째 내지 상기 n+k번째 상위 단위체들을 함께 표시할 수 없으면,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515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n번째 내지 상기 n+k번째 상위 단위체들을 최소 배율을 만족하도록 표시한다. 즉,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이미지 데이터에서 상기 n번째 내지 상기 n+k번째 상위 단위체들을 모두 포함하는 영역에 대응되는 이미지를 추출하고, 언어 데이터에서 상기 영역에 대응되는 이미지를 추출한 후, 상기 이미지 데이터 및 상기 언어 데이터에서 추출된 부분 이미지들을 결합하여 표시 이미지를 생성하고, 상기 표시 수단의 최대 해상도를 모두 활용하도록 상기 표시 이미지를 리사이즈한다. 그리고,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리사이즈된 표시 이미지를 상기 표시 수단을 통해 표시한다.
이어,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517단계로 진행하여 현재 로딩된 파일 셋트에 포함된 모든 상위 단위체들의 표시를 완료하였는지 확인한다. 즉,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상기 현재 로딩된 파일 셋트 중 더 표시해야할 상위 단위체가 남아있는지 확인한다. 만일, 상기 모든 상위 단위체들을 표시하지 않았으면,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519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n을 k만큼 증가시킨 후, 상기 507단계로 되돌아 간다.
반면, 상기 모든 상위 단위체들을 표시하였으면,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상기 n 및 상기 k를 1로 초기화한 후, 다음 페이지에 대응되는 파일 셋트를 로딩한다. 그리고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상기 507단계로 되돌아간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표시부(610), 입력부(620), 저장부(630) 및 제어부(6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표시부(610)는 영상 출력 수단으로서, 상기 제어부(640)로부터 제공되는 영상의 전기적 신호를 시각적으로 표시한다. 예를 들어, 상기 표시부(610)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OLED(Organic Light-Emitting Diode)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표시부(610)는 표현 가능 최대 해상도를 가진다.
상기 입력부(620)는 사용자에 의해 발생하는 입력을 인지하고, 입력에 대응되는 정보를 상기 제어부(640)로 제공한다. 즉, 상기 입력부(620)는 키보드(keyboard), 키패드(keypad), 터치스크린(touch-screen), 터치패드(touch-pad), 마우스(mouse), 특수 기능 버튼 등을 통한 사용자의 입력을 처리한다.
상기 저장부(630)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동작 중에 발생하는 임시 데이터, 서비스 제공을 위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동작을 위한 운영 체제 및 기타 마이크로 코드(micro code) 등을 저장한다. 특히, 상기 저장부(630)는 만화 컨텐츠를 포함하는 파일 패키지를 저장한다. 상기 파일 패키지는 다수의 파일 셋트들로 구성되며, 파일 셋트는 이미지 데이터, 안내 데이터, 언어 데이터 및 메타 데이터의 묶음으로 구성된다. 예를 들어, 상기 저장부(630)는 외부 장치로부터 전달된 파일 패키지, 또는, 인터넷 망 등의 통신 망을 통해 다운로드된 파일 패키지를 저장한다. 또한, 상기 저장부(630)는 상기 만화 컨텐츠를 재생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한다.
상기 제어부(640)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전반적인 기능을 제어한다. 즉, 상기 제어부(640)는 상기 입력부(620)를 통해 제공되는 사용자의 입력에 대응되는 정보를 처리하고, 상기 저장부(630)에 대한 데이터 저장 및 로딩을 제어하고,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며, 상기 표시부(610)로 영상 신호를 제공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제어부(640)는 상기 저장부(630)에 저장된 파일 패키지를 이용하여 만화 컨텐츠를 재생한다. 상기 만화 컨텐츠의 재생을 위한 상기 제어부(640)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입력부(620)를 통해 만화 이미지 재생 명령이 발생하면, 상기 제어부(640)는 상기 저장부(630)에 저장된 파일 패키지에 포함된 파일 셋트를 로딩한다. 이후, 상기 제어부(640)는 상기 파일 셋트에 포함된 상위 단위체들 중 첫번째 상위 단위체 전체를 상기 표시부(610)를 통해 표시할 수 있는지 검토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제어부(640)는 상기 첫번째 상위 단위체에 대응되는 이미지의 실제 해상도 및 상기 최소 배율을 이용하여 상기 최소 배율에 의한 요구 해상도를 산출하고, 상기 요구 해상도 및 표시 수단의 최대 해상도를 비교한다. 비교 결과, 상기 요구 해상도가 상기 표시 수단의 최대 해상도보다 크면, 상기 제어부(640)는 상기 첫번째 상위 단위체 전체를 표시할 수 없다고 판단한다. 반면, 상기 요구 해상도가 상기 표시 수단의 최대 해상도보다 작거나 같으면, 상기 제어부(640)는 상기 첫번째 상위 단위체 전체를 표시할 수 있다고 판단한다.
만일, 상기 첫번째 상위 단위체 전체를 표시할 수 없으면, 상기 제어부(640)는 상기 첫번째 상위 단위체에 속한 하위 단위체들을 지정된 표시 방식에 따라 순차적으로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예를 들어, 상기 지정된 표시 방식은 상기 <표 1>에 나타난 표시 방식들 중 하나가 될 수 있다. 반면, 상기 첫번째 상위 단위체 전체를 표시할 수 있으면, 상기 제어부(640)는 상기 첫번째 및 다음 순서의 상위 단위체들을 함께 표시할 수 있는지 검토한다. 상기 다음 순서의 상위 단위체들을 순차적으로 고려하여, 최대 함께 표시할 수 있는 상위 단위체의 범위를 결정한 후, 상기 제어부(640)는 최소 배율을 만족하도록 결정된 범위 내의 상위 단위체들을 함께 표시한다. 즉, 상기 제어부(640)는 이미지 데이터에서 상기 상위 단위체들을 모두 포함하는 영역에 대응되는 이미지를 추출하고, 언어 데이터에서 상기 영역에 대응되는 이미지를 추출한 후, 상기 이미지 데이터 및 상기 언어 데이터에서 추출된 부분 이미지들을 결합하여 표시 이미지를 생성하고, 상기 표시 수단의 최대 해상도를 모두 활용하도록 상기 표시 이미지를 리사이즈한다. 그리고, 상기 표시부(610)는 리사이즈된 표시 이미지를 나타내는 영상 신호를 상기 표시부(610)로 제공한다. 상기 제어부(640)는 파일 셋트에 포함된 상위 단위체들을 모두 표시할 때까지 상술한 동작을 반복하고, 상기 파일 셋트에 포함된 상위 단위체들을 모두 표시한 후, 다음 파일 셋트에 대하여 동일한 동작을 수행한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파일 셋트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안내 데이터를 위한 단위체의 형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안내 데이터의 문자열의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다수의 상위 단위체들이 화면에 표시되는 과정을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동작 절차를 도시하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Claims (14)

  1. 휴대용 단말기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만화 이미지 데이터 및 안내(guide) 데이터를 포함하는 파일 셋트를 로딩하는 과정과,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표시 수단에서 표현 가능한 최대 해상도 및 상기 안내 데이터에 의해 지시되는 내용에 따라, 상기 이미지 데이터로부터 추출되는 다수의 부분 이미지들을 표시함으로써 상기 표시 수단을 통해 상기 이미지 데이터를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데이터는, 표시해야할 단위를 나타내는 상위 단위체 및 하위 단위체를 지시하는 정보, 및, 단위체들 각각의 표시 순서, 최소 배율 및 표시 방식을 지시하는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하위 단위체는 상기 상위 단위체의 내부를 분할하는 단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데이터를 표시하는 과정은,
    표시되는 상위 단위체의 최소 배율을 만족하는 범위에서, 최대한 많은 개수의 연속된 상위 단위체들이 동시에 표시되도록 상기 부분 이미지를 추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데이터를 표시하는 과정은,
    하나의 상위 단위체 전체를 표시할 수 없는 경우, 상기 상위 단위체에 속한 하위 단위체들을 지정된 표시 방식에 따라 순차적으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방식은,
    상기 하위 단위체들을 최소 배율을 만족하도록 순서대로 표시하는 제1방식,
    최소 배율을 무시하고 상기 상위 단위체 전체를 표시한 후, 상기 하위 단위체들을 최소 배율을 만족하도록 순차적으로 표시하는 제2방식,
    상기 하위 단위체들을 최소 배율을 만족하도록 순차적으로 표시한 후, 최소 배율을 무시하고 컷 전체를 표시하는 제3방식,
    상기 하위 단위체들의 최소 배율들 중 최대값을 만족하도록 첫째 하위 단위체를 표시한 후, 표시 영역을 이동시키며 모든 하위 단위체들을 순차적으로 표시하는 제4방식,
    최소 배율을 무시하고 상기 상위 단위체 전체를 표시한 후, 상기 하위 단위체들의 최소 배율들 중 최대값을 만족하도록 첫째 하위 단위체를 표시하고, 표시 영역을 이동시키며 모든 하위 단위체들을 순차적으로 표시하는 제5방식, 및
    상기 하위 단위체들의 최소 배율 중 최대값을 만족하도록 첫째 하위 단위체를 표시하고, 표시 영역을 이동시키며 모든 하위 단위체들을 순차적으로 표시한 후, 최소 배율을 무시하고 상기 상위 단위체 전체를 표시하는 제6방식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파일 셋트는, 상기 이미지 데이터, 상기 안내 데이터, 만화 이미지에 포함되는 문자들을 포함하는 언어 데이터 및 상기 파일 셋트에 대한 버전 정보, 제작 날짜, 태그 및 분류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메타(meta) 데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데이터를 표시하는 과정은,
    상기 이미지 데이터로부터 추출되는 부분 이미지 및 상기 언어 데이터로부터 추출되는 부분 이미지를 결합함으로써 표시 이미지를 생성하는 과정과,
    상기 표시 이미지를 상기 최대 해상도에 따라 리사이즈(resize)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휴대용 단말기 장치에 있어서,
    만화 이미지 데이터 및 안내(guide) 데이터를 포함하는 파일 셋트를 로딩하고, 표시부에서 표현 가능한 최대 해상도 및 상기 안내 데이터에 의해 지시되는 내용에 따라 상기 이미지 데이터로부터 추출되는 다수의 부분 이미지들을 표시함으로써 상기 표시부를 통해 상기 이미지 데이터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이미지 데이터를 표시하는 상기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데이터는, 표시해야할 단위를 나타내는 상위 단위체 및 하위 단위체를 지시하는 정보, 및, 단위체들 각각의 표시 순서, 최소 배율 및 표시 방식을 지시하는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하위 단위체는 상기 상위 단위체의 내부를 분할하는 단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표시되는 상위 단위체의 최소 배율을 만족하는 범위에서, 최대한 많은 개수의 연속된 상위 단위체들이 동시에 표시되도록 상기 부분 이미지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하나의 상위 단위체 전체를 표시할 수 없는 경우, 상기 상위 단위체에 속한 하위 단위체들을 지정된 표시 방식에 따라 순차적으로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방식은,
    상기 하위 단위체들을 최소 배율을 만족하도록 순서대로 표시하는 제1방식,
    최소 배율을 무시하고 상기 상위 단위체 전체를 표시한 후, 상기 하위 단위체들을 최소 배율을 만족하도록 순차적으로 표시하는 제2방식,
    상기 하위 단위체들을 최소 배율을 만족하도록 순차적으로 표시한 후, 최소 배율을 무시하고 컷 전체를 표시하는 제3방식,
    상기 하위 단위체들의 최소 배율들 중 최대값을 만족하도록 첫째 하위 단위체를 표시한 후, 표시 영역을 이동시키며 모든 하위 단위체들을 순차적으로 표시하는 제4방식,
    최소 배율을 무시하고 상기 상위 단위체 전체를 표시한 후, 상기 하위 단위체들의 최소 배율들 중 최대값을 만족하도록 첫째 하위 단위체를 표시하고, 표시 영역을 이동시키며 모든 하위 단위체들을 순차적으로 표시하는 제5방식, 및
    상기 하위 단위체들의 최소 배율 중 최대값을 만족하도록 첫째 하위 단위체를 표시하고, 표시 영역을 이동시키며 모든 하위 단위체들을 순차적으로 표시한 후, 최소 배율을 무시하고 상기 상위 단위체 전체를 표시하는 제6방식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파일 셋트는, 상기 이미지 데이터, 상기 안내 데이터, 만화 이미지에 포함되는 문자들을 포함하는 언어 데이터 및 상기 파일 셋트에 대한 버전 정보, 제작 날짜, 태그 및 분류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메타(meta) 데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미지 데이터로부터 추출되는 부분 이미지 및 상기 언어 데이터로부터 추출되는 부분 이미지를 결합함으로써 표시 이미지를 생성하고, 상기 표시 이미지를 상기 최대 해상도에 따라 리사이즈(resize)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KR1020090084229A 2009-09-07 2009-09-07 만화 이미지 컨텐츠를 표시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11091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4229A KR101109151B1 (ko) 2009-09-07 2009-09-07 만화 이미지 컨텐츠를 표시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4229A KR101109151B1 (ko) 2009-09-07 2009-09-07 만화 이미지 컨텐츠를 표시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6361A true KR20110026361A (ko) 2011-03-15
KR101109151B1 KR101109151B1 (ko) 2012-03-13

Family

ID=439334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84229A KR101109151B1 (ko) 2009-09-07 2009-09-07 만화 이미지 컨텐츠를 표시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09151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05716A1 (ko) * 2012-01-10 2013-07-18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이미지 제공 시스템, 이를 위한 장치 및 이미지 제공 방법
KR101616671B1 (ko) * 2015-02-03 2016-04-28 네이버 주식회사 인터넷 만화 컨텐츠의 유통을 위한 방법과 시스템 및 기록 매체
WO2018101787A1 (ko) * 2016-12-02 2018-06-07 주식회사 애니웨이 네트워크를 이용한 만화제작 서비스 제공방법 및 만화서비스 제공서버
KR102427651B1 (ko) * 2021-12-10 2022-07-29 강대훈 스크롤 타입 만화 편집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만화 편집 방법
WO2023128671A1 (ko) * 2021-12-30 2023-07-06 김정태 디지털 만화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WO2023146363A1 (ko) * 2022-01-28 2023-08-03 김정태 디지털 만화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23767B1 (ko) * 2016-01-27 2018-01-31 한국과학기술원 사용자 요구 및 환경 맞춤형 콘텐츠 제공을 위한 메타 정보를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파일 구조 및 그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9745B1 (ko) * 2004-09-24 2007-02-07 (주)넥스큐브 모바일 단말기에 의한 만화 애니메이션 구현방법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05716A1 (ko) * 2012-01-10 2013-07-18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이미지 제공 시스템, 이를 위한 장치 및 이미지 제공 방법
US9401007B2 (en) 2012-01-10 2016-07-26 Sk Planet Co., Ltd. Image providing system, apparatus for same, and image providing method
KR101616671B1 (ko) * 2015-02-03 2016-04-28 네이버 주식회사 인터넷 만화 컨텐츠의 유통을 위한 방법과 시스템 및 기록 매체
WO2016125997A1 (ko) * 2015-02-03 2016-08-11 네이버 주식회사 인터넷 만화 컨텐츠의 유통을 위한 방법과 시스템 및 기록 매체
US10715842B2 (en) 2015-02-03 2020-07-14 Naver Webtoon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distributing internet cartoon content, and recording medium
WO2018101787A1 (ko) * 2016-12-02 2018-06-07 주식회사 애니웨이 네트워크를 이용한 만화제작 서비스 제공방법 및 만화서비스 제공서버
KR102427651B1 (ko) * 2021-12-10 2022-07-29 강대훈 스크롤 타입 만화 편집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만화 편집 방법
WO2023128671A1 (ko) * 2021-12-30 2023-07-06 김정태 디지털 만화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WO2023146363A1 (ko) * 2022-01-28 2023-08-03 김정태 디지털 만화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09151B1 (ko) 2012-03-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09151B1 (ko) 만화 이미지 컨텐츠를 표시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US8375332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multimedia contents to accommodate a user&#39;s preference using limited buttons of a device
US8745515B2 (en) Presentation of large pages on small displays
US20110209080A1 (en) Display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for using the same
US20130151974A1 (en) Outline view
US20100115434A1 (en) User interface generator, information terminal, user interface generation control program, storage medium, and user interface generation method
EP1914640A1 (en) Multiple screen size render-engine
KR101753141B1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컨텐츠 표시방법
US2011016181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video chapter utilization in video player ui
US2007027943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document image, and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US20150088669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responsive user interface and electronic device-readable recording medium therefor
KR20080091864A (ko) 작은 디스플레이 창에서 큰 객체들의 개선된 표현법
WO2006067620A2 (en) Indicating related content outside a display area
US9401007B2 (en) Image providing system, apparatus for same, and image providing method
US20090313574A1 (en) Mobile document viewer
US20080177724A1 (en) Method and System for Indicating Links in a Document
KR101746052B1 (ko) 휴대단말에서 전자책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US20060107205A1 (en) Determining a main content area of a page
JP2023551670A (ja) ページ切替表示方法、装置、記憶媒体及び電子機器
JP2007114402A (ja) 表示処理装置
EP2330822A1 (en) Moving image reproduction device and moving image reproduction method
JP2003108284A (ja) 画像コンテンツ配信システム及び画像表示装置
KR20090106692A (ko) 탐색화면 제공 장치 및 방법
JP2005310059A (ja) コンテンツ再生装置、携帯電話、コンテンツ再生方法、コンテンツ再生プログラム、およびコンテンツ再生プログラムを記録する記録媒体
KR100965605B1 (ko) 스크린 상에 도큐먼트의 현재 부분의 디스플레이를 관리하는 유닛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