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26180A - Headrest moving device - Google Patents
Headrest moving devic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10026180A KR20110026180A KR1020090083969A KR20090083969A KR20110026180A KR 20110026180 A KR20110026180 A KR 20110026180A KR 1020090083969 A KR1020090083969 A KR 1020090083969A KR 20090083969 A KR20090083969 A KR 20090083969A KR 20110026180 A KR20110026180 A KR 2011002618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oving part
- moving
- ratchet
- headrest
- lock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80—Head-rests
- B60N2/806—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 B60N2/865—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providing a fore-and-aft movement with respect to the occupant's head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38—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hea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헤드레스트 이동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이동부는 제1이동부와, 상기 제1이동부에 대해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이동부를 포함하는 헤드레스트 이동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eadrest moving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headrest moving device including a first moving part and a second moving part installed to be movable in the front-rear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first moving part. .
일반적으로 자동차용 헤드레스트는 평상시에는 탑승자의 머리를 편안하게 받쳐주는 베개의 역할을 하고 사고가 발생하였을 때에는 머리가 급격히 뒤로 젖혀지지 않게 받쳐줌으로써 목 부상 등이 유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시트의 등받이 상단에 설치하여 사용하는 것으로서, 종래의 헤드레스트들 중에는 머리를 받쳐주는 헤드레스트의 위치를 탑승자의 편의에 따라 전후로 이동시켜 그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것이 있었다.In general, headrests for automobiles act as pillows that comfortably support the occupants' heads in normal times, and when the accident occurs, the headrests of the seats are supported to prevent head injuries. As installed and used at the top, some of the conventional headrests were to move the position of the headrest supporting the head back and forth according to the passenger's convenience to adjust the position.
종래의 헤드레스트는 한국등록특허 제59279호, 제510152호, 제592791호, 제577413호, 한국특허출원 제2006-0037364호, 제2006-0039473호, 제2006-0065589호에 제시된 것이 있다.Conventional headrests are those disclosed in Korean Patent Nos. 59279, 510152, 592791, 577413, Korean Patent Application Nos. 2006-0037364, 2006-0039473, and 2006-0065589.
그런데, 종래의 이러한 헤드레스트는 헤드레스트의 위치를 전방으로 이동시켜 줄 때에는 시트에 앉은 탑승자가 한 손 또는 양손을 뒤로 젖혀서 잡아당겨 필요 한 만큼 전진이동시켜 준 다음 놓아주면 그 위치에서 정지되어 있도록 하였으며, 전진되어 있는 헤드레스트를 전방으로 완전히 이동시킨 다음 놓아주어 당기던 힘을 제거하면 내부에 장착된 리턴스프링의 반발력이 작용하여 후방으로 완전히 이동된 후 정지하므로 그 상태에서 다시 필요한 만큼 전방으로 이동시켜 위치를 조절하도록 구성되어 있었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headrests, when the headrest is moved forward, the occupant sitting on the seat pulls one hand or both hands backward and pulls it forward as needed, and then releases the headrest so that it stops at that position. When the headrest is moved forward and then released, the released force is removed, and the repulsive force of the internally mounted return spring is applied to move the rear head completely. It was configured to adjust the position.
따라서, 이러한 헤드레스트는 리턴스프링의 반발력이 헤드레스트를 항상 후방으로 밀어주는 힘으로 작용하고 있기 때문에 위치를 조절할 때에는 리턴스프링의 반발력보다 큰 힘을 주어서 헤드레스트를 잡아당겨야 하므로 조절하는 것이 매우 불편하고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으며, 이런 점에 의해 헤드레스트가 탑승자에게 적합한 위치에 있지 않아도 그대로 두는 경우가 허다하여 평상시에는 머리를 편안하게 받쳐주지 못하게 되었음은 물론 특히 충돌 또는 추돌사고의 발생시에는 탑승자의 머리가 뒤로 급격하게 젖혀지는 것을 방지할 수 없게 되어 심각한 목 부상 등이 유발되는 문제점도 있었다.Therefore, this headrest is very inconvenient to adjust because the repulsive force of the return spring acts as a force that always pushes the headrest backwards. There was a cumbersome problem, and as a result, headrests were often left unattended even if they were not in the proper position for passengers, which prevented them from comfortably supporting their heads. There was also a problem that can not be prevented from being sharply flipped causing serious neck injuries.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차지하는 공간은 최소화하는 동시에 전방이동거리는 최대화할 수 있는 헤드레스트 이동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 and an object thereof is to provide a headrest moving device capable of minimizing occupying space and maximizing forward movement distance.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헤드레스트 이동장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에 대해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부와, 상기 이동부를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견인부와, 상기 이동부의 위치를 로킹시키는 로킹부를 포함하며, 상기 이동부는 제1이동부와, 상기 제1이동부에 대해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이동부를 포함한다.The headrest mov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fixed part, a moving part installed to be movable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fixed part, a traction part for moving the moving part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and A locking part for locking the position of the moving part, wherein the moving part includes a first moving part and a second moving part installed to be movable in the front-rear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first moving part.
상기 로킹부는 제1래칫 및 제2래칫을 포함하는 래칫과 상기 제1래칫에 치합되는 제1폴과 상기 제2래칫에 치합되는 제2폴을 포함하는 폴과 상기 폴을 복귀시키는 제1스프링을 포함하며, 상기 폴과 상기 래칫 중 하나는 상기 고정부에 연결되고, 나머지 하나는 상기 제1이동부 및 상기 제2이동부에 연결되고, 상기 제1래칫은 상기 제1이동부에 설치되며, 상기 제2래칫은 상기 제2이동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1폴 및 상기 제2폴은 상기 고정부에 설치되며, 상기 제1이동부 및 상기 제2이동부는 파이프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이동부에는 상부에는 상기 제2래칫이 슬라이딩되는 절개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1이동부 및 제2이동부의 외측에는 제1걸림턱 및 제2걸림턱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The locking unit may include a ratchet including a first ratchet and a second ratchet, a pawl including a first pole engaged with the first ratchet and a second pole engaged with the second ratchet, and a first spring for returning the pole. And one of the pawl and the ratchet is connected to the fixing part, the other is connected to the first moving part and the second moving part, and the first ratchet is installed at the first moving part, The second ratchet is installed on the second moving part, the first pole and the second pole are installed on the fixed part, and the first moving part and the second moving part are formed in a pipe shape. The first moving part may include an incision part in which the second ratchet slides, and a first catching jaw and a second catching jaw may be formed outside the first moving part and the second moving part, respectively.
상기 견인부는 일측이 와이어에 연결되고, 일측과 타측 사이가 상기 고정부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링크와, 일측이 상기 제1링크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타측이 상기 이동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링크를 포함할 수 있다.The towing part has one side connected to the wire, a first link betwee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rotatably installed on the fixing part, and one side rotatably installed on the first link, and the other side rotatable to the moving part. It may include a second link that is installed.
상기 견인부는 상기 이동부에 탄성력을 가하는 제2스프링과, 상기 이동부가 걸리는 걸림판이 설치되는 전자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The towing unit may include a second spring for applying an elastic force to the moving unit and a solenoid valve having a locking plate to which the moving unit is engaged.
상기 로킹부의 로킹을 해제하는 해제장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해제장치는 누름부, 상기 누름부를 복귀시키는 제3스프링, 상기 누름부의 누름을 상기 폴에 전달하는 전달부를 포함하며, 상기 전달부는 상기 고정부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설치부와, 상기 누름부와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판부와, 상기 폴을 누르는 해제편을 포함할 수 있다.And a release device for releasing the locking of the locking portion, wherein the release device includes a pressing portion, a third spring for returning the pressing portion, a transfer portion for transferring the pressing of the pressing portion to the pawl, and the transfer portion It may include an installation unit rotatably installed in the government, a plate portion disposed to face the pressing portion, and a release piece for pressing the pawl.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헤드레스트 이동장치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headrest mov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re are the following effects.
이동부는 제1이동부와, 상기 제1이동부에 대해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이동부를 포함하여, 차지하는 공간은 최소화하는 동시에 전방이동거리는 최대화할 수 있다.The moving part includes a first moving part and a second moving part installed to be movable in the front-rear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first moving part, thereby minimizing the space occupied and maximizing the forward moving distance.
로킹부는 제1래칫 및 제2래칫을 포함하는 래칫과 상기 제1래칫에 치합되는 제1폴과 상기 제2래칫에 치합되는 제2폴을 포함하는 폴과 상기 폴을 복귀시키는 제1스프링을 포함하며, 상기 폴과 상기 래칫 중 하나는 상기 고정부에 연결되고, 나머지 하나는 상기 제1이동부 및 상기 제2이동부에 연결되어 상기 제1래칫은 상기 제1이동부에 설치되며, 상기 제2래칫은 상기 제2이동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1폴 및 상기 제2폴은 상기 고정부에 설치되며, 상기 제1이동부 및 상기 제2이동부는 파이프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이동부에는 상부에는 상기 제2래칫이 슬라이딩되는 절개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1이동부 및 제2이동부의 외측에는 제1걸림턱 및 제2걸림턱이 각각 형성되어, 전체적인 구조가 간단해지며, 제1이동부와 제2이동부의 강도도 커지게 된다.The locking portion includes a ratchet including a first ratchet and a second ratchet, a pawl including a first pole engaged with the first ratchet and a second pole engaged with the second ratchet, and a first spring for returning the pole. And one of the pawl and the ratchet is connected to the fixing part, and the other is connected to the first moving part and the second moving part so that the first ratchet is installed at the first moving part. The ratchet is installed on the second moving part, the first pole and the second pole are installed on the fixed part, the first moving part and the second moving part are formed in a pipe shape, and the first moving part. The upper part is formed with an incision to slide the second ratchet in the upper portion, the first engaging jaw and the second engaging jaw are formed on the outside of the first moving part and the second moving part, respectively, simplifying the overall structure, The strength of the first moving part and the second moving part is also increased.
상기 견인부는 일측이 와이어에 연결되고, 일측과 타측 사이가 상기 고정부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링크와, 일측이 상기 제1링크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타측이 상기 이동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링크를 포함하거나, 상기 견인부는 상기 이동부에 탄성력을 가하는 제2스프링과, 상기 이동부가 걸리는 걸림판이 설치되는 전자밸브를 포함하여, 전체적인 구조가 간단해진다.The towing part has one side connected to the wire, a first link betwee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rotatably installed on the fixing part, and one side rotatably installed on the first link, and the other side rotatable to the moving part. It includes a second link that is installed so as to, or the traction part includes a second spring for applying an elastic force to the moving part, and the solenoid valve is installed, the overall engaging structure is provided.
상기 로킹부의 로킹을 해제하는 해제장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해제장치는 누름부, 상기 누름부를 복귀시키는 제3스프링, 상기 누름부의 누름을 상기 폴에 전달하는 전달부를 포함하며, 상기 전달부는 상기 고정부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설치부와, 상기 누름부와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판부와, 상기 폴을 누르는 해제편을 포함하여, 사용자가 로킹을 용이하게 해제할 수 있다.And a release device for releasing the locking of the locking portion, wherein the release device includes a pressing portion, a third spring for returning the pressing portion, a transfer portion for transferring the pressing of the pressing portion to the pawl, and the transfer portion Including a mounting portion rotatably installed in the government, a plate portion facing the pressing portion, and a release piece for pressing the pawl, the user can easily release the locking.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참고적으로, 이하에서 설명될 본 발명의 구성들 중 종래기술과 동일한 구성 에 대해서는 전술한 종래기술을 참조하기로 하고 별도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For reference, among the configur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described below,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prior art will be referred to the above-described prior art,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 이동장치 전방 분리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 이동장치 후방 분리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헤드레스트 이동장치 전방 결합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의 헤드레스트 이동장치 후방 결합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1의 헤드레스트 이동장치 이동부 전방 이동시 후방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1의 헤드레스트 이동장치 측면도이며, 도 7은 도 1의 헤드레스트 이동장치 이동부 전방 이동시 측면도이고, 도 8은 도 1의 헤드레스트 이동장치 단면도이며, 도 9는 도 1의 헤드레스트 이동장치 이동부 전방 이동시 단면도이고, 도 10은 도 1의 헤드레스트 이동장치 배면도이며, 도 11은 도 1의 헤드레스트 이동장치 해제장치 사용시 배면도이다.1 is a front separation perspective view of the headrest shift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headrest shift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headrest shifter of Figure 1 4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headrest shifter of FIG. 1, FIG. 5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headrest shifter of FIG. 1, and FIG. 6 is a side view of the headrest shifter of FIG. 1. FIG. 7 is a side view of the headrest moving device moving part forward of FIG. 1, FIG. 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headrest moving device moving part of FIG. 1, and FIG. 1 is a rear view of the headrest shifter of FIG. 1, and FIG. 11 is a rear view of the headrest shifter release device of FIG. 1.
도 1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헤드레스트 이동장치는, 고정부(100)와, 상기 고정부(100)에 대해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부(200)와, 상기 이동부(200)를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견인부(600)와, 상기 이동부(200)의 위치를 로킹시키는 로킹부(500)를 포함하며, 상기 이동부(200)는 제1이동부(210)와, 상기 제1이동부(210)에 대해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이동부(220)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ure 1 to 11, the headrest moving device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테이로드(300)는 양측에 수직하게 배치되는 수직봉(310)과 양측의 수직봉(310)을 연결하는 수평봉(320)을 포함한다. As shown in FIG. 4, the
수직봉(310)의 상단에는 인출공(311)이 각각 형성된다.At the top of the
고정부(100)는 헤드레스트 스테이로드(300)의 수평봉(320) 상부에 설치된다.The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100)는 블록형상으로 형성되며, 전후방향으로 가이드공(110)이 관통되어 형성된다.As shown in Figure 1 and 2, the
고정부(100)의 전면에는 가이드공(110)을 둘러싸도록 이동부(200)가 걸리는 걸림턱이 형성되어 있다.The front of the
고정부(100)의 상부에는 가이드공(110)에 연통되도록 절개부(111)가 형성된다.An upper portion of the
또한, 고정부(100)의 상부에는 절개부(111)의 양측에 배치되도록 지지편(140)이 형성된다.In addition, the
지지편(140)은 전후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판(145)과, 제1판(145)의 후방에 연결되며 좌우방향으로 배치되는 제2판(142)과, 제2판(142)의 끝단에 연결되며, 전후방향으로 배치되는 제3판(143)을 포함한다.The
제1판(145) 및 제3판(143)의 상부에는 와이어(420)가 끼워지는 끼움홈이 형성된다.An upper portion of the
이러한 끼움홈(141, 144)은 서로 개방된 부분이 엇갈리도록 형성된다.The
이로 인해 와이어(420)가 안정적으로 끼워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As a result, the
또한, 고정부(100)의 일측에는 와이어가이드(120)가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와이어가이드(120)에는 와이어(420)가 삽입되는 삽입공이 형성된다.In addition, one side of the
와이어어셈블리(400)는 와이어(420)와 와이어(420)를 안내하는 동시에 보호하는 보호튜브(410)와, 와이어(420)의 끝단에 설치되는 걸림돌기(421)와 와이어(420)에 설치되는 스토퍼(422)를 포함한다.The
와이어(420)는 시트의 등받이에 설치되어 충돌시 탑승자의 등판이 등받이를 누르게 되면 와이어(420)는 잡아당겨지게 된다.The
와이어(420)는 보호튜브(410) 내부에 삽입된다.The
이러한 와이어(420)는 한국특허출원 제1020060065589호에 나타나 있으므로 자세한 사항은 생략하기로 한다.Since the
보호튜브(410)는 수직봉(310) 내부에 삽입되며 인출공(311)을 통해 인출된다.The
또한, 인출된 보호튜브(410)는 끼움홈(141, 144)에 끼워져서 위치가 고정된다.In addition, the drawn
이동부(200)는 상기 고정부(100)에 대해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The moving
상기 이동부(200)는 제1이동부(210)와, 상기 제1이동부(210)에 대해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이동부(220)와, 제2이동부(220)에 설치되는 받침판(230)을 포함한다.The moving
제1이동부(210) 및 제2이동부(220)는 단면이 사각형인 파이프형상으로 형성된다.The first moving
제2이동부(220)는 제1이동부(210)의 내부에 삽입된다.The second moving
제1이동부(210) 및 제2이동부(220)의 외측에는 제1걸림턱(213) 및 제2걸림턱(222)이 각각 형성된다.The first catching
제1걸림턱(213)은 제1이동부(210)의 전단과 후단 사이인 중간부분의 양측에 각각 형성되어 있다.The first catching
제2걸림턱(222)은 제2이동부(220)의 후단의 양측에 각각 형성되어 있다.The
제1이동부(210)는 양측에 관통공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Through holes are formed at both sides of the first moving
또한, 제1이동부(210)는 상부에 전후방향을 따라 절개부(212)가 형성되어 있다.In addition, the first moving
제2이동부(220)는 내부에 볼트가 체결될 수 있는 체결부가 형성되어 있다.The second moving
받침판(230)은 사각형의 판형상으로 형성되며, 배면에는 보강용 리브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받침판(230)의 중심부에는 전방에서 후방으로 돌출된 제1설치부(231)가 형성되어 있다.In addition, a
제1설치부(231)에는 볼트가 관통되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다.The first mounting
받침판(230)의 배면에는 제2설치부(232)가 형성되며, 제2설치부(232)는 두개의 돌출편으로 이루어지며, 두개의 돌출편에는 관통공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A second mounting
견인부(600)는 상기 이동부(200)를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킨다.
견인부(600)는 일측이 와이어(420)에 연결되고, 일측(612)과 타측 사이가 상기 고정부(100)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링크(610)와, 일측(621)이 상기 제1링크(610)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타측(622)이 상기 이동부(20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링크(620)를 포함한다.
제1링크(610)는 굴곡지게 형성되며, 굴곡진 부분에 설치부(611)가 형성되어 있다.The
이러한 설치부(611)에 힌지(630)가 삽입되어 제1링크(610)의 일측(612)과 타측 사이가 고정부(100)의 측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The
제1링크(610)의 일측(612)에는 와이어(420)가 설치되는 와이어안내편(613)이 형성된다.One side 612 of the
제1링크(610)의 타측에는 제2링크(620)의 일측(621)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One
제2링크(620)의 타측(622)은 받침판(230)의 제2설치부(232)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The
로킹부(500)는 이동부(200)의 위치를 로킹시킨다. 상세하게, 상기 로킹부(500)는 이동부(200)가 전방으로 이동된 상태에 있을 때 이동부(200)가 후방으로 이동되지 않도록 이동부(200)를 로킹시킨다.The
로킹부(500)는 제1래칫(211) 및 제2래칫(221)을 포함하는 래칫과 상기 제1래칫(211)에 치합되는 제1폴(540a)과 상기 제2래칫(221)에 치합되는 제2폴(540b)을 포함하는 폴과 상기 폴을 복귀시키는 제1스프링(550)을 포함한다.The locking
상기 폴과 상기 래칫 중 하나는 상기 고정부(100)에 연결되고, 나머지 하나는 상기 제1이동부(210) 및 상기 제2이동부(220)에 연결된다.One of the pawl and the ratchet is connected to the fixing
상기 제1래칫(211)은 상기 제1이동부(210)의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제2래칫(221)은 상기 제2이동부(220)의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1폴(540a) 및 상기 제2폴(540b)은 상기 고정부(100)에 설치된다.The
제1래칫(211)은 제1이동부(210)의 전방에만 형성되며, 제2래칫(221)은 제2이 동부(220)의 전방에서 후방까지 형성되어 있다.The
제1래칫(211) 및 제2래칫(221)의 이는 상기 래칫이 상기 폴에 대해 전방으로는 이동가능하되 후방으로는 이동하지 못하도록 형성되어 있다.The teeth of the
제2래칫(221)은 제1이동부(210)의 절개부(212)에 삽입되어 슬라이딩된다.The
제1폴(540a) 및 제2폴(540b)은 고정부(100)의 절개부(111) 상부에 배치되도록 지지편(140)의 제1판(145)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The
제1폴(540a) 및 제2폴(540b)는 전방 하부에 제1래칫(211) 및 제2래칫(221)의 이에 치합되는 발톱(541)이 형성되며, 후방에는 돌출부(542)가 형성된다.The
또한, 제1스프링(550)은 일단이 제1폴(540a) 또는 제2폴(540b)에 설치되며, 타단은 제1판(145)에 설치된다.In addition, one end of the
본 발명의 헤드레스트 이동장치는 로킹부(500)의 로킹을 해제하는 해제장치를 더 포함한다.The headrest mov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release device for releasing the locking of the locking
상기 해제장치는 누름부(510), 상기 누름부(510)를 복귀시키는 제3스프링(520), 상기 누름부(510)의 누름을 상기 폴에 전달하는 전달부(530)를 포함한다.The release device includes a
누름부(510)는 봉형상으로 형성되며, 고정부에 좌우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The
상세하게는, 누름부(510)는 상기 폴의 후방에 배치되도록 제3판(143)에 설치된다.In detail, the
누름부(510)의 외측에는 걸림돌기(513)가 양측에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걸림돌기(513)로 인해 조립이 용이해지며, 누름부(510)가 고정부(100)로부터 이탈되 는 것도 방지할 수 있다.On the outside of the
또한, 누름부(510)의 외측에는 제3스프링(520)을 지지하는 지지판(512)이 설치되어 있다.In addition, a
제3스프링(520)은 고정부(100)의 제3판(143)과 지지판(512) 사이에 배치된다.The
상기 전달부(530)는 상기 고정부(100)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설치부(531)와, 상기 누름부(510)와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판부(533)와, 상기 폴을 누르는 해제편(532)을 포함한다.The
설치부(531)는 상기 폴의 후방에 배치되도록 고정부(100)의 제2판(142)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The
판부(533)는 설치부의 상부에 배치되며 판형상으로 형성된다.The
해제편(532)은 원형상으로 형성되어, 제1폴(540a) 및 제2폴(540b)의 돌출부(542)의 상부에 배치된다.The
나아가, 전달부(530)의 위치를 복귀시키는 제4스프링(534)가 해제편(532)과 고정부(100)에 설치된다.Furthermore, a
이하, 전술한 구성을 갖는 본 실시예의 작용을 설명한다.The operation of this embodiment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below.
후방 충돌이 발생하게 되면 탑승자의 등판이 시트의 등받이를 눌러서 와이어(420)는 잡아당겨진다.When a rear collision occurs, the back of the passenger presses the back of the seat and the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420)가 잡아당겨지면 견인부(600)의 제1링크(610)의 일측(612)은 상부로 이동되게 된다.As shown in FIG. 7, when the
이로 인해, 제1링크(610)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As a result, the
제1링크(61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함으로 인해 제1링크(610)의 타측 및 제2링크(620)의 일측(621)은 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As the
제2링크(620)가 전방으로 이동함에 따라 받침판(230)도 동시에 전방으로 이동한다.As the
받침판(230)이 이동하면 받침판(230)의 배면에 설치되는 제2이동부(220)도 전방으로 이동한다.When the
제2이동부(220)가 전방으로 이동하다가 제2걸림턱(222)이 제1이동부(210)의 제1걸림턱(213)에 걸리게 되면 제1이동부(210)도 제2이동부(220)와 같이 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When the second moving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이동부(210)와 제2이동부(220)는 제1걸림턱(213)이 고정부(100) 가이드공(110)의 내부 걸림턱에 걸릴때까지 전방으로 이동한다.As shown in FIG. 9, the first moving
이와 같이, 제2이동부(220)는 제1이동부(210)에 의해 지지되어 고정부(100)의 전단으로부터 종래보다 더 길게 인출될 수 있다. 즉, 이동부(200)의 내구성은 유지하면서 이동부(200)의 이동거리는 더 커지게 된다. 또한, 이동부(200)가 전방으로 이동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제1이동부(210)와 제2이동부(220)가 고정부(100) 내부에 삽입된 상태로 유지되어 헤드레스트의 부피도 감소시킬 수 있다.As such, the second moving
한편, 제1이동부(210)와 제2이동부(220)가 전방으로 이동할 때에, 제1폴(540a) 및 제2폴(540b)은 제1래칫(211) 및 제2래칫(221)의 전방이동을 허용한다.Meanwhile, when the first moving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이동부(210)와 제2이동부(220)의 전방 이동이 완료된 상태에서는 제1폴(540a) 및 제2폴(540b)의 발톱(541)은 제1래칫(211) 및 제2래칫(221)에 걸려서 외부에서 힘이 가해지더라도 제1이동부(210)와 제2이동부(220)는 후방으로 이동하지 않게 된다.As shown in FIG. 9, in the state where the forward movement of the first moving
이로 인해, 사고 발생시 급격하게 뒤로 젖혀지려는 머리가 전방으로 이동한 받침판(230)에 강하게 부딪쳐도 그 반발력에 의해 받침판(230)이 후방으로 이동하지 않고 그 위치에서 머리가 뒤로 젖혀지지 않도록 받쳐줄 수 있다.Therefore, even when the head to be flipped back suddenly in the event of an accident strongly hits the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부(200)를 원위치로 이동시켜 줄 때에는, 누름부(510)를 누르면 누름부(510)에 의해 전달부(530)의 판부(533)가 눌러진다.As shown in FIG. 10, when the moving
이로 인해, 전달부(530)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해제편(532)은 제1폴(540a) 및 제2폴(540b)의 돌출부(542)를 동시에 누르게 된다.Therefore, the
이로 인해, 제1폴(540a) 및 제2폴(540b)의 발톱(541)은 제1래칫(211) 및 제2래칫(221)의 이로부터 이탈되어, 이동부(200)는 후방으로 이동가능한 상태가 된다.As a result, the toenails 541 of the
이때, 사용자가 받침판(230)을 후방으로 눌러주게 되면 이동부(200)는 원위치로 이동하게 된다.At this time, when the user pushes the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 이동장치 전방 분리 사시도이고, 도 13은 도 12의 헤드레스트 이동장치 후방 분리 사시도이며, 도 14는 도 12의 헤드레스트 이동장치 전방 결합 사시도이고, 도 15는 도 12의 헤드레스트 이동장치 후방 결합 사시도이며, 도 16은 도 12의 헤드레스트 이동장치 단면도이고, 도 17은 도 12의 헤드레스트 이동장치 이동부 전방 이동시 단면도이다.12 is a front separation perspective view of the headrest mov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3 is a rear separation perspective view of the headrest moving device of FIG. 12, FIG. 14 is a front coupling perspective view of the headrest moving device of FIG. 12, FIG. 15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headrest mover rear coupling of FIG. 12, FIG. 1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headrest mover of FIG. 12, and FIG. 1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headrest mover mover of FIG.
도 12 내지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견인부는 이동부(200')에 탄성력을 가하는 제2스프링(640)과, 이동부(200')가 걸리는 걸림판(651)이 설치되는 전자밸브(650)를 포함한다.12 to 17, the towing unit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전술한 실시예에서와 동일한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Description of the same configuration as in the above embodiment will be omitted.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부(100')의 제1이동부(210')와 제2이동부(220')의 후방에는 걸림판(651)이 걸리는 걸림부(214, 224)가 형성되어 있다.As shown in FIG. 16, behind the first moving
제1이동부(210')의 걸림부(214)는 관통공으로 형성되며, 제2이동부(220')의 걸림부(224)는 홈형상으로 형성된다.The locking
또한, 제2이동부(220')의 내부에는 제2스프링(640)을 지지하는 지지면(225)이 형성되고, 지지면(225)의 중심부에는 지지봉(226)이 형성된다.In addition, a supporting
고정부(100')의 후방에는 제2스프링(640)을 지지하는 커버(150)가 볼팅체결을 통해 설치된다.At the rear of the fixing
커버(150) 전면에는 지지봉(151)이 돌출되어 형성된다.The
또한, 고정부(100')의 후방에는 커버(150)의 하부에 배치되도록 전자밸브(650)가 안착되는 안착홈(113)이 형성된다.In addition, a
나아가, 고정부(100')의 후방에는 안착홈(113)의 양측에 배치되도록 탄성편(114)이 설치된다.Furthermore, an
이러한 탄성편(114)으로 인해 전자밸브(650)의 탈착이 용이해진다.The
또한, 고정부(100')의 후방에는 안착홈(113)에 연통되도록 관통공(112)이 형성된다.In addition, a through
전자밸브(650)의 걸림판(651)은 전자밸브(650)의 작동에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한다.The locking
이러한 전자밸브(650)는 한국특허출원 제10-2007-0020616호에 제시된 것이 있으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Since the
이와 같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 이동장치는, 센서 등으로부터 충돌을 감지하여 충돌신호가 전자밸브(650)로 전달되면 전자밸브(650)는 작동되어 걸림판(651)이 하부로 이동한다.The headrest mov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tects a collision from a sensor or the like, and when a collision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이로 인해,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이동부(210') 및 제2이동부(220')의 걸림이 해제되어 압축되어 있던 제2스프링(640)의 탄성력에 의해 제1이동부(210') 및 제2이동부(220')는 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As a result, as illustrated in FIG. 17, the first moving part is released by the elastic force of the
전술한 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제1이동부(210') 및 제2이동부(220')의 전방이동이 완료된 후에는 로킹부(500)에 의해 외부에서 힘이 가해지더라도 제1이동부(210') 및 제2이동부(220')는 후방으로 이동되지 않게 된다.As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fter the forward movement of the first moving part 210 'and the second moving part 220' is completed, even if a force is applied from the outside by the locking
또한, 이동부(200')를 원위치 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해제장치의 누름부(510)를 누르는 동시에 제2스프링(640)의 탄성력보다 더 큰 힘으로 받침판(230)을 눌러서 제1이동부(210') 및 제2이동부(220')의 걸림부(214, 224)에 전자밸브(650)의 걸림판(651)이 걸리도록 한다.In addition, in order to return the moving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기술분야의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lthough described with reference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various modifications or vari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below Can be carried out.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 이동장치 전방 분리 사시도.1 is a front separation perspective view of the headrest moving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 이동장치 후방 분리사시도.Figure 2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headrest moving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도 1의 헤드레스트 이동장치 전방 결합 사시도.Figure 3 is a front coupling perspective view of the headrest shifter of Figure 1;
도 4는 도 1의 헤드레스트 이동장치 후방 결합 사시도.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headrest shifter rear coupling of Figure 1;
도 5는 도 1의 헤드레스트 이동장치 이동부 전방 이동시 후방 사시도.5 is a rear perspective view when the front movement of the headrest moving device of FIG.
도 6은 도 1의 헤드레스트 이동장치 측면도.Figure 6 is a side view of the headrest shifter of Figure 1;
도 7은 도 1의 헤드레스트 이동장치 이동부 전방 이동시 측면도.FIG. 7 is a side view of the headrest moving device moving unit in front of FIG. 1;
도 8은 도 1의 헤드레스트 이동장치 단면도.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headrest moving device of FIG.
도 9는 도 1의 헤드레스트 이동장치 이동부 전방 이동시 단면도.9 is a cross-sectional view when the front movement of the headrest moving device of FIG.
도 10은 도 1의 헤드레스트 이동장치 배면도.10 is a rear view of the headrest shifter of FIG. 1;
도 11은 도 1의 헤드레스트 이동장치 해제장치 사용시 배면도.11 is a rear view when using the headrest shifter release device of FIG.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 이동장치 전방 분리 사시도.12 is a front separation perspective view of the headrest mov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3은 도 12의 헤드레스트 이동장치 후방 분리 사시도.Figure 13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headrest shifter of Figure 12;
도 14는 도 12의 헤드레스트 이동장치 전방 결합 사시도.14 is a front coupling perspective view of the headrest shifter of FIG. 12;
도 15는 도 12의 헤드레스트 이동장치 후방 결합 사시도.Figure 15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headrest moving device rear coupling of Figure 12;
도 16은 도 12의 헤드레스트 이동장치 단면도.1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headrest moving device of FIG.
도 17은 도 12의 헤드레스트 이동장치 이동부 전방 이동시 단면도.FIG. 1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headrest moving device moving unit in front of FIG. 12.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Descrip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 **
100 : 고정부 110 : 가이드공100: fixed part 110: guide ball
111 : 절개부 112 : 관통공111: incision 112: through hole
113 : 안착홈 114 : 탄성편113: seating groove 114: elastic piece
120 : 와이어가이드 140 : 지지편120: wire guide 140: support piece
150 : 커버 151 : 지지봉150: cover 151: support rod
200 : 이동부200: moving part
210 : 제1이동부 211 : 제1래칫210: first moving part 211: first ratchet
212 : 절개부 213 : 제1걸림턱212: incision 213: first locking jaw
220 : 제2이동부 221 : 제2래칫220: second moving part 221: second ratchet
230 : 받침판 300 : 스테이로드230: base plate 300: stay rod
310 : 수직봉 311 : 인출공310: vertical rod 311: drawing hole
320 : 수평봉 400 : 와이어어셈블리320: horizontal bar 400: wire assembly
410 : 보호튜브 420 : 와이어410: protective tube 420: wire
421 : 걸림돌기 422 : 스토퍼421: jamming protrusion 422: stopper
500 : 로킹부 510 : 누름부500: locking part 510: pressing part
520 : 제3스프링 530 : 전달부520: third spring 530: transmission unit
540a : 제1폴 540b : 제2폴540a:
550 : 제1스프링 600 : 견인부550: first spring 600: towing unit
610 : 제1링크 611 : 설치부610: first link 611: mounting portion
612 : 일측 613 : 와이어안내편612: one side 613: wire guide
620 : 제2링크 621 : 일측620: second link 621: one side
622 : 타측 640 : 제2스프링622: the other side 640: the second spring
650 : 전자밸브 651 : 걸림판650: solenoid valve 651: locking plate
Claims (5)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83969A KR101081926B1 (en) | 2009-09-07 | 2009-09-07 | Headrest Moving Devic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83969A KR101081926B1 (en) | 2009-09-07 | 2009-09-07 | Headrest Moving Devic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026180A true KR20110026180A (en) | 2011-03-15 |
KR101081926B1 KR101081926B1 (en) | 2011-11-09 |
Family
ID=439333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0083969A KR101081926B1 (en) | 2009-09-07 | 2009-09-07 | Headrest Moving Devic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081926B1 (en) |
Cited B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2717735A (en) * | 2012-06-28 | 2012-10-10 | 上海延锋江森座椅有限公司 | Compensation type movement mechanism |
KR101231013B1 (en) * | 2011-09-02 | 2013-02-07 | 주식회사 우보테크 | Headrest |
KR101275085B1 (en) * | 2011-07-12 | 2013-06-17 | 주식회사 우보테크 | Headrest Moving Device |
KR101358653B1 (en) * | 2012-12-03 | 2014-02-05 | 대원산업 주식회사 | Sliding headrest |
KR101383094B1 (en) * | 2013-02-20 | 2014-04-08 | 주식회사 우보테크 | Headrest moving device |
KR101468006B1 (en) * | 2014-06-02 | 2014-12-02 | 서천(주) | Unit for adjusting horizontality position and headrest for vehicles seat and vehicles having the same |
KR101693480B1 (en) | 2015-12-21 | 2017-01-06 | 주식회사 서연씨엔에프 | Position control structure for headrest |
US10308153B2 (en) | 2014-07-11 | 2019-06-04 | Woobo Tech Co., Ltd. | Headrest moving device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510152B1 (en) | 2003-04-14 | 2005-08-26 | 주식회사 우보테크 | Headrest for cars |
KR200417425Y1 (en) | 2006-03-09 | 2006-05-26 | 다이모스(주) | Apparatus for moving straight line of headrest |
-
2009
- 2009-09-07 KR KR1020090083969A patent/KR101081926B1/en active IP Right Grant
Cited By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75085B1 (en) * | 2011-07-12 | 2013-06-17 | 주식회사 우보테크 | Headrest Moving Device |
KR101231013B1 (en) * | 2011-09-02 | 2013-02-07 | 주식회사 우보테크 | Headrest |
CN102717735A (en) * | 2012-06-28 | 2012-10-10 | 上海延锋江森座椅有限公司 | Compensation type movement mechanism |
KR101358653B1 (en) * | 2012-12-03 | 2014-02-05 | 대원산업 주식회사 | Sliding headrest |
KR101383094B1 (en) * | 2013-02-20 | 2014-04-08 | 주식회사 우보테크 | Headrest moving device |
WO2014129798A1 (en) * | 2013-02-20 | 2014-08-28 | Woobo Tech Co., Ltd. | Headrest moving device |
US9403458B2 (en) | 2013-02-20 | 2016-08-02 | Woobo Tech Co., Ltd. | Headrest moving device |
KR101468006B1 (en) * | 2014-06-02 | 2014-12-02 | 서천(주) | Unit for adjusting horizontality position and headrest for vehicles seat and vehicles having the same |
US10308153B2 (en) | 2014-07-11 | 2019-06-04 | Woobo Tech Co., Ltd. | Headrest moving device |
KR101693480B1 (en) | 2015-12-21 | 2017-01-06 | 주식회사 서연씨엔에프 | Position control structure for headrest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081926B1 (en) | 2011-11-0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081926B1 (en) | Headrest Moving Device | |
CA2473484C (en) | A neck rest for the seat of an automobile | |
US6623073B2 (en) | Head restraint for a vehicle seat | |
JP5648146B2 (en) | Lock system | |
US7484808B2 (en) | Vision improving system for a head restraint | |
US20130302626A1 (en) | Longitudinally adjustable vehicle seat | |
CN105667352B (en) | Separable incidence adjustable type automotive seat | |
AU2015327753B2 (en) | Head and neck rest | |
CN102555858A (en) | Seat structure | |
KR101053865B1 (en) | Headrest shifter | |
JP5710831B1 (en) | Headrest tilting device and headrest | |
KR101144870B1 (en) | Apparatus for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 of car headrests | |
JP7103586B2 (en) | Vehicle armrest device | |
KR101168714B1 (en) | Apparatus for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 of car headrests | |
KR101108272B1 (en) | Headrest Moving Device | |
JP2001163101A (en) | Head rest structure for vehicle seat | |
KR100842327B1 (en) | Structure for active head rest of car | |
JP5601907B2 (en) | Seat unlock lever device | |
US8182015B2 (en) | Rear vehicle seat release and carrying handle | |
CN108297747B (en) | Safety seat for children passengers of motor vehicle | |
JPH06211075A (en) | Seat device for automobile | |
EP1990235A1 (en) | Motor-vehicle seat with a headrest provided with an anti-whiplash device | |
KR100395162B1 (en) | Angle Arbitration Apparatus for Head rest of Automobile | |
KR100366578B1 (en) | Device for locking a jump seat to vehicle body | |
KR100823200B1 (en) | Apparatus for adjusting a tilting angle of a head rest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919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1017 Year of fee payment: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1002 Year of fee payment: 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