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26074A - 자동차 헤드라이너용 습기 경화형 접착제 조성물 - Google Patents

자동차 헤드라이너용 습기 경화형 접착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26074A
KR20110026074A KR1020090083812A KR20090083812A KR20110026074A KR 20110026074 A KR20110026074 A KR 20110026074A KR 1020090083812 A KR1020090083812 A KR 1020090083812A KR 20090083812 A KR20090083812 A KR 20090083812A KR 20110026074 A KR20110026074 A KR 201100260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moisture
adhesive composition
curable adhesive
par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838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85257B1 (ko
Inventor
이장근
이성호
조선희
Original Assignee
이장근
조선희
이성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장근, 조선희, 이성호 filed Critical 이장근
Priority to KR10200900838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85257B1/ko
Publication of KR201100260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260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52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5257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1/00Features of adhes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J9/00, e.g. additives
    • C09J11/02Non-macromolecular additives
    • C09J11/06Non-macromolecular additives 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2Halogenated hydrocarb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10Esters; Ether-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75/00Adhesives based on polyureas or polyurethanes;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75/04Polyureth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9/00Adhesive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e.g. glue stick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폴리우레탄으로 되는 반응성 접착제 조성물에 가사시간 조정제를 포함함으로써 습도가 높은 조건에서의 작업 시에도 가사시간은 길면서도 경화시간을 단축시킨 자동차 헤드라이너용 습기 경화형 접착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폴리올 35 ~ 45중량부와 4,4'-디페닐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 55 ~ 65중량부, 촉매, 보조촉매로 이루어지는 폴리우레탄 접착제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 100중량%를 기준으로 하여 가사시간 조정제로 벤질클로라이드를 0.005 ~ 0.02중량%의 비율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의 습기 경화형 접착제 조성물에 따르면, 습도가 높은 조건하에서의 작업 시에도 가사시간은 길면서도 경화시간을 단축시킨 접착 성능으로 인하여 작업성과 생산성을 증대시킴과 아울러, 접착강도, 내열성, 내습성 등의 물성이 우수한 효과를 나타낸다.
폴리우레탄, 폴리올, 4,4'-디페닐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 디부틸주석 디라우레이트, DBU의 옥탄산염, 가사시간 조정제, 벤질클로라이드

Description

자동차 헤드라이너용 습기 경화형 접착제 조성물{Humidity-curing type adhesive compositions for auto-headliners}
본 발명은 자동차 헤드라이너용 내장재를 적층하여 접합할 때 습도가 높은 조건에서도 작업이 가능한 습기 경화형 접착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과 폴리올의 선택비율을 조정하여 폴리우레탄을 중합시키되, 촉매, 보조촉매 및 가사시간 조정제를 첨가하여 장시간 저점도를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경화시간은 단축되고 가사시간(可使時間, pot-life)이 연장된 습기 경화형 폴리우레탄 접착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폴리우레탄은 화학적으로 고분자 사슬 내에 우레탄 결합(~NH-COO~)을 갖는 고분자의 총칭으로 2가 이상의 이소시아네이트와 폴리올 등의 활성수소 화합물과의 결합에 의해 합성된다.
폴리우레탄은 사용되는 이소시아네이트와 폴리올의 선택범위가 넓어 연질에서 경질까지, 엘라스토머(elastomer)에서 폼(foam)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제품설계가 가능하며, 인장강도, 인열강도, 신율, 내마모성 등의 기계적 강도가 우수하고 가공성이 좋아 의류용, 신발용, 산업용 바퀴, 경보행용 및 중보행용 바닥재, 육상 트랙을 비롯하여 방수재, 도료, 접착제 등 산업용뿐 아니라 생활용품으로의 응용전개가 넓은 고분자 중 하나이다.
폴리우레탄의 일반적인 성질은 탄성, 강인성에 뛰어나고 인장강도가 크고 내마모성이나 내노화성 및 내유·내용제성이 뛰어나고 저온특성도 뛰어나면서도 가수분해하기 쉽고, 산·알칼리에 비교적 약하고 일부의 수지를 제외하고는 열이나 빛의 작용으로 황변화하는 등의 결점을 갖고 있다.
이 중에서 본 발명에 특별히 유용한 것은 반응성 우레탄계 접착제로서, 저점도에서 극성이 크기 때문에 접착면에의 작용이 좋고 실내온도에서 경화하고 가온에 의해서 경화가 촉진되며, 또한 경화할 때에 가스상의 부생물을 발생하는 일이 없고 경도의 조절도 용이하고 접착변형도 적기 때문에, 액상 상태로 도포된 후 초기의 결합강도를 형성하며, 주위 수분과 접촉시 경화됨으로써 최종의 결합강도를 유지하게 되므로, 특히 접착강도와 내구성, 내열성 및 내습성이 요구되는 자동차 헤드라이너용 접착제 조성물로 사용하게 되는 것이다.
종래에는 용제형 폴리우레탄 접착제 제조 시에 사용된 용제가 휘발하여 불쾌한 냄새를 유발하므로 인체에 유해하고 작업환경에도 악영향을 미치는 문제가 있었으며, 이를 제거하기 위한 건조기가 필수적으로 요구되어 작업환경의 안정성과 단순화를 위한 새로운 폴리우레탄 접착제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대하여 본 출원인이 출원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58441호에 게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촉매와 조촉매를 혼합하여 사용함으로써 촉매의 작용에 의한 경화시간 단축 및 조촉매의 사용에 의해 접착제를 조합하여 사용불능이 되기까지의 시간, 즉 가사시간의 연장이 가능하도록 조성된 자동차 헤드라이너용 습기 경화형 접착제 조성물을 개발하여 경화 후의 결합강도, 내열 및 내습성이 우수한 접착제를 제공하였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여름 날씨는 일일평균기온이 26 ~ 28℃에 습도(이하 '상대습도'와 같은 의미로 사용된다)는 80 ~ 90% 이상까지 오르는 경우가 많고 특히 장마철의 고온다습한 날씨로 인하여 종래의 습기 경화형 폴리우레탄 접착제로 인한 작업 시에 경화시간은 단축되나, 공기 중의 많은 수분량에 의해 폴리우레탄 접착제의 반응성이 증대되어 가사시간이 짧아짐에 따라 접착제의 조기 경화현상이 발생되므로 작업성이 현저히 떨어지고 접착 성능이 약화되는 심각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는 기후변화가 심하거나 작업장의 습도조절 시설이 미비한 국내 뿐 아니라 세계 모든 작업장에서 공통적으로 발생하는 문제점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대기 중의 수증기의 함유량은 공기의 습도용량이 온도에 의하여 결정되기 때문에 현실적인 작업조건에 따라 상대습도는 장소와 시간에 따라 변화가 매우 심한 것이므로, 본 발명과 같은 습기 경화형 접착제로 습도가 높은 조건에서 작업을 하는 경우, 종전보다 단축되는 가사시간으로 인하여 작업성 뿐만 아니라 경화 시의 접착강도, 내열 및 내습성 등의 물성도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건조기(Dry Chamber)나 냉각 공정이 필요 없이 기계적인 도포에 의한 초기 접착력을 발현할 수 있고, 접착제로 인한 냄새나 용제의 휘발이 없어 안전한 작업 환경에서 접착처리를 할 수 있는 고속 경화형 접착제로서, 특히 습도가 높은 조건하에서의 작업 시에도 가사시간 연장이 가능하도록 조성된 자동차 헤드라이너용 습기 경화형 접착제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접착제 조성물은 경화시간이 짧으면서도 경화 시의 강도, 내열성, 내습성 및 안정성이 우수한 자동차 헤드라이너용 습기 경화형 접착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폴리올 35 ~ 45중량부와 4,4'-디페닐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 55 ~ 65중량부, 촉매, 보조촉매로 이루어지는 폴리우레탄 접착제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 100중량%를 기준으로 하여 가사시간 조정제로서 벤질클로라이드(Benzyl chloride, C7H7Cl, C6H5CH2Cl)를 0.005 ~ 0.02중량%의 비율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촉매는 경화시간을 조절하기 위해 디부틸주석 디라우레이트가 0.1 ~ 0.5중량부 첨가되고, 보조촉매는 가사시간을 연장하기 위해 DBU(1,8-Diazabicyclo[5,4,0]undec-7-ene)의 옥탄산염이 0.1 ~ 0.5중량부 첨가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폴리올은 폴리에스테르계 폴리올 또는 폴리에테르계 폴리올로 이루어지는데, 폴리에스테르계 폴리올은 폴리에틸렌아디페이트, 폴리부틸렌아디페이트, 폴리헥실렌아디페이트 및 폴리디에틸렌글리콜아디페이트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1종이며, 폴리에테르계 폴리올은 폴리프로필렌글리콜 및 폴리에틸렌글리콜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1종을 혼합하여 사용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의 자동차 헤드라이너용 습기 경화형 접착제 조성물은 습도가 높은 조건에서의 작업 시에도 경화시간은 단축되고 가사시간이 연장됨으로써 작업성과 생산성을 증대시킴과 아울러, 접착강도, 내열성, 내습성, 치수안정성 등의 접착 성능에 있어 탁월한 효과를 나타내므로, 향후 작업성과 장기간 안정성이 요구되는 여러 가지 제품의 제조 시에 사용하기 적합하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와 각 성분의 물성을 상세하게 설명하되,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우선,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헤드라이너용 습기 경화형 접착제 조성물은 폴리올 35 ~ 45중량부와 4,4'-디페닐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 55 ~ 65중량부, 촉매, 보조촉매로 이루어지는 폴리우레탄 접착제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 100중량%를 기준으 로 하여 가사시간 조정제로서 벤질클로라이드를 0.005 ~ 0.02중량%의 비율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폴리올은 35 ~ 45중량부가 첨가되어 4,4'-디페닐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와 반응하여 폴리우레탄을 중합하는데 이용되며, 폴리에틸렌아디페이트, 폴리부틸렌아디페이트, 폴리헥실렌아디페이트 및 폴리디에틸렌글리콜아디페이트로 형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1종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폴리올의 함량이 35중량부 미만일 경우에는 점도가 낮아지고, 45중량부를 초과할 경우에는 점도가 너무 높아 작업효율이 저하된다.
상기 4,4'-디페닐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는 55 ~ 65중량부 사용되는데, 전술한 폴리올과 반응하여 폴리우레탄을 중합하는데 이용되는 것이며, 4,4'-디페닐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의 함량이 55중량부 미만일 경우에는 분자량이 급격히 증가하여 겔화(Gelation)되는 문제가 있다. 반면, 4,4'-디페닐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의 함량이 65중량부를 초과할 경우에는 이소시아네이트(NCO)의 비율이 증가하여 접착제의 점도가 낮아진다.
또한, 상기 촉매의 첨가량은 대략 0.1 ~ 0.5중량부로서, 전술한 바와 같이 중합된 폴리우레탄에 혼합되어 경화시간을 조절하는데 이용되며 디부틸주석 디라우레이트로 이루어진다. 촉매와 더불어 보조촉매는 0.1 ~ 0.5중량부가 첨가되는데, DBU(1,8-Diazabicyclo[5,4,0]undec-7-ene)의 옥탄산염으로 이러한 보조촉매의 첨가로 인해 접착제 조성물의 가사시간이 연장된다.
그러나 상대습도가 80 ~ 90% 이상인 고온다습한 작업장이나 열대지방 또는 일교차가 심한 겨울철의 작업조건 등에서는 이슬점이 낮아 대기 중의 습기가 쉽게 응결되는 것이므로, 이러한 대기상의 조건에 의해 우레탄 중합반응이 촉진되어 상기 보조촉매에 의해서 가사시간을 충분히 연장하기 곤란한 경우가 빈번히 발생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에서는 수많은 실험을 통하여 습도가 높은 조건에서의 작업 시에 폴리우레탄의 중합을 저해함으로써 가사시간이 연장되는, 소위 '가사시간 조정제'를 첨가함으로써 미사용하는 경우에 비해 가사시간이 연장된다는 사실을 발견하게 되어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상기 가사시간 조정제는 접착제 총량을 기준으로 하여 벤질클로라이드를 0.005 ~ 0.02중량%의 비율로 포함함으로써 미사용 시의 가사시간 0.5 ~ 1시간에 비해 사용 시의 가사시간은 3 ~ 4시간으로 약 3 ~ 7배 정도의 접착제가사시간을 유지할 수 있게 되어 작업하기에 충분한 시간을 확보하는 효과가 있고, 아울러 가열롤러에 의해 도포한 후 경화시간이 짧게 되어 경화 시의 접착강도, 내열성 및 내습성이 우수하게 되는 것이며, 소량으로 사용하더라도 습도가 높은 작업 조건에서의 가사시간이 연장되는 효과를 발휘하기에 충분하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본 발명의 습기 경화형 접착제 조성물은 종래의 우레탄계 반응성 접착제와는 달리 에틸렌글리콜 등으로 이루어지는 사슬확장제를 첨가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한데, 사슬확장제는 접착제 조성물에서 중합되는 우레탄의 분자량을 증가시켜 점도를 높이는 역할을 하는바, 상기 사슬확장제는 통상의 반응성 우레탄 접착제 조성물에 약 5 ~ 10중량부 첨가하여 응집강도와 점도를 높임으로써 제품의 접착강도를 증대시킬 수 있다는 것은 당해 기술분야에 종사하는 자에게 이미 잘 알려져 있으나, 본 발명은 습도가 높은 조건에서의 작업 시에 사용하고자 하는 습기 경화형 접착제 조성물은 점도를 낮게 유지하고자 하는 것이므로, 경우에 따라 폴리우레탄 중합 시의 점도 조절 또는 접착성 향상을 위해 필요하다면 그 사용량을 5중량부 미만으로 하여 첨가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전술한 함량으로 이루어진 접착제 조성물은 연갈색으로 90 ~ 95%의 고형분 함량을 나타내고 3000 ~ 5000cps/25℃의 점도를 갖는다.
또한, 50 ~ 60℃의 온도를 갖는 가열롤러로 도포작업을 시행할 경우 135 ~ 140℃의 온도에서 30 ~ 40초의 경화시간을 나타낸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따른 자동차 헤드라이너용 습기 경화형 접착제 조성물을 실시예를 들어 설명한다.
<실시예 1>
폴리올 45중량부, 4,4'-디페닐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 55중량부, 및 디부틸주석 디라우레이트 촉매와 DBU의 옥탄산염 보조촉매를 각각 0.25중량부 혼합한 다음, 상기 조성물 총량을 기준으로 벤질클로라이드 가사시간 조정제를 0.01중량% 첨가하여 자동차 헤드라이너용 습기 경화형 접착제 조성물을 제조한 후에, 경화시간은 접착제 조성물을 50 ~ 60℃의 온도를 갖는 가열롤러로 자동차 헤드라이너 내장재 패널에 도포한 후에 140℃의 온도로 건조한 상태에서 측정하였고, 가사시간은 접착제 조성물을 실내온도 23℃, 상대습도 90%의 조건에서 겔화(Gelation)가 진행되는 시간까지를 기준으로 측정하였다.
<비교예 1>
폴리올 45중량부, 4,4'-디페닐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 55중량부, 디부틸주석 디라우레이트 촉매 0.25중량부, DBU의 옥탄산염 보조촉매 0.25중량부를 혼합하여 자동차 헤드라이너용 습기 경화형 접착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측정방법은 실시예 1과 동일하게 경화시간 및 가사시간을 측정하였다.
<비교예 2>
폴리올 45중량부, 4,4'-디페닐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 55중량부, 에틸렌글리콜 7.5중량부를 혼합하여 자동차 헤드라이너용 습기 경화형 접착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측정방법은 실시예 1과 동일하게 경화시간 및 가사시간을 측정하였다.
전술한 실시예 1과 비교예 1, 2를 통해 측정된 경화시간 및 가사시간을 아래에 표 1로 나타내었다.
구분 경화시간 가사시간
실시예 1 30 ~ 40초 3 ~ 4시간
비교예 1 1분 미만 1시간 미만
비교예 2 3분 이상 0.5시간 미만
<실시예 2>
폴리우레탄으로 이루어진 기재층을 형성하고, 기재층의 상부면에 글래스울(Glasswool)층을 적층하고, 글래스울 상부면에 폴리우레탄으로 이루어진 핫멜트 필름층을 적층하고, 핫멜트 필름층 상부면에 부직포층을 적층하여 7.5㎜ 두께로 이루어진 자동차용 헤드라이너를 제조하였다.
상기 기재층의 상부면에는 본 발명에 따른 폴리올 45중량부, 4,4'-디페닐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 55중량부, 촉매 및 보조촉매 각각 0.25중량부로 된 접착제 조성물에 가사시간 조정제 0.01중량%를 혼합한 자동차 헤드라이너용 습기 경화형 접착제 조성물을 50g/m2 두께로 도포하여 자동차용 헤드라이너를 제조한 다음, 아래에서 나타낸 실험조건 1 ~ 3을 적용하여 굴곡하중, 굴곡강도, 굴곡탄성율 및 치수변화율을 측정하였다.
전술한 측정은 항온항습기 및 UTM(Universal Testing Machine) 장비를 이용하여 5회에 걸쳐 측정하고, 측정된 결과 값의 평균치를 아래 표 2에 나타내었다.
- 실험조건 ① : 23℃의 온도와 90%의 상대습도 상태에서 24시간 방치한 후에 측정
- 실험조건 ② : 80℃의 온도와 90%의 상대습도 상태에서 24시간 방치하고, 23℃의 온도와 60%의 상대습도 상태에서 1시간 방치한 후에 측정
- 실험조건 ③ : 50℃의 온도와 90%의 상대습도 상태에서 24시간 방치하고, 23℃의 온도와 90%의 상대습도 상태에서 1시간 방치한 후에 측정
<비교예 3>
폴리우레탄으로 이루어진 기재층을 형성하고, 기재층의 상부면에 글래스울(GLASSWOOL)층을 적층하고, 글래스울 상부면에 폴리우레탄으로 이루어진 핫멜트 필름층을 적층하고, 핫멜트 필름층 상부면에 부직포층을 적층하여 두께 7.5mm의 자동차용 헤드라이너용 내장재를 제조하였다.
전술한 기재층의 상부면에 종래에 비교예 2에서 사용한 습기 경화형 접착제 조성물과 동일한 접착제를 50g/m2의 두께로 도포하여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구분 물리적 성질 측정방향 실시예 2 비교예 3

실험조건 ①
굴곡하중(㎏f/5㎝) 세로 2.21 2.09
가로 2.09 2.01
굴곡강도(㎏f/5㎝) 세로 12.31 11.59
가로 12.21 10.93

실험조건 ②
굴곡하중(㎏f/5㎝) 세로 2.33 2.09
가로 2.11 2.08
굴곡강도(㎏f/5㎝) 세로 12.59 12.31
가로 12.03 11.25

실험조건 ③
굴곡하중(㎏f/5㎝) 세로 2.34 2.11
가로 2.16 2.01
굴곡강도(㎏f/5㎝) 세로 13.44 12.02
가로 12.26 10.68
실험조건 ① 굴곡탄성률(㎏f/㎠) 세로 1281 1362
가로 1323 1395
실험조건 ② 굴곡탄성률(㎏f/㎠) 세로 1295 1379
가로 1318 1423
실험조건 ③ 굴곡탄성률(㎏f/㎠) 세로 1285 1373
가로 1341 1444
실험조건 ① 치수변화율(%) 세로 변화 없음 -2(수축)
가로 변화 없음 -2(수축)
실험조건 ② 치수변화율(%) 세로 변화 없음 -3(수축)
가로 변화 없음 -3(수축)
실험조건 ③ 치수변화율(%) 세로 변화 없음 -5(수축)
가로 변화 없음 -5(수축)
위의 표 1에 나타난 것처럼 실시예 1과 비교예 1, 2를 통해서 알 수 있듯이 촉매로 디부틸주석 디라우레이트(Dibuthyltin dilaurate), 보조촉매로 DBU(1,8-Diazabicyclo[5,4,0]undec-7-ene)의 옥탄산염 및 가사시간 조정제로 벤질클로라이드가 함유된 자동차 헤드라이너 습기 경화형 접착제 조성물은 습도가 높은 작업조건(90%의 상대습도)에서도 가사시간이 충분히 길면서 도포 후에 140℃의 온도에서 40초 이하의 짧은 경화시간을 나타내기 때문에 우수한 작업 효율성과 안정성을 갖게 된다.
또한, 위의 표 2에서도 실시예 2와 비교예 3을 통해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자동차 헤드라이너용 습기 경화형 접착제 조성물을 사용하여 제조된 자동차용 헤드라이너는 굴곡강도가 향상되고 굴곡탄성율은 낮아지는 것을 알 수 있으며, 또한 접착제가 경화됨에 따른 치수변화율도 개선되기 때문에 접착강도, 내열성, 내습성 등의 물성에 있어서도 탁월한 효과를 발휘하게 되는 것이다.
위와 같은 측정결과는 본 발명에 따른 접착제 조성물에 있어 각 구성성분이 한정하고 있는 전 조성범위에 있어 동등한 수준을 나타내었다.

Claims (8)

  1. 폴리올 35 ~ 45중량부와 4,4'-디페닐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 55 ~ 65중량부, 촉매 및 보조촉매로 이루어지는 폴리우레탄 접착제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 100중량%를 기준으로 하여 가사시간 조정제로서 벤질클로라이드를 0.005 ~ 0.02중량%의 비율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헤드라이너용 습기 경화형 접착제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촉매는 디부틸주석 디라우레이트(Dibuthyltin dilaurate) 0.1 ~ 0.5중량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헤드라이너용 습기 경화형 접착제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촉매는 DBU(1,8-Diazabicyclo[5,4,0]undec-7-ene)의 옥탄산염 0.1 ~ 0.5중량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헤드라이너용 습기 경화형 접착제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은 폴리에스테르계 폴리올 또는 폴리에테르계 폴리올로 이루어지 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헤드라이너용 습기 경화형 접착제 조성물.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스테르계 폴리올은 폴리에틸렌아디페이트, 폴리부틸렌아디페이트, 폴리헥실렌아디페이트 및 폴리디에틸렌글리콜아디페이트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1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헤드라이너용 습기 경화형 접착제 조성물.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테르계 폴리올은 폴리프로필렌글리콜 및 폴리에틸렌글리콜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1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헤드라이너용 습기 경화형 접착제 조성물.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우레탄 접착제는 에틸렌글리콜로 이루어지는 사슬확장제를 5중량부 미만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헤드라이너용 습기 경화형 접착제 조성물.
  8.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우레탄 접착제는 90 ~ 95%의 고형분 함량과 3000 ~ 5000cps/25℃의 점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헤드라이너용 습기 경화형 접착제 조성물.
KR1020090083812A 2009-09-07 2009-09-07 자동차 헤드라이너용 습기 경화형 접착제 조성물 KR1010852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3812A KR101085257B1 (ko) 2009-09-07 2009-09-07 자동차 헤드라이너용 습기 경화형 접착제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3812A KR101085257B1 (ko) 2009-09-07 2009-09-07 자동차 헤드라이너용 습기 경화형 접착제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6074A true KR20110026074A (ko) 2011-03-15
KR101085257B1 KR101085257B1 (ko) 2011-11-22

Family

ID=439332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83812A KR101085257B1 (ko) 2009-09-07 2009-09-07 자동차 헤드라이너용 습기 경화형 접착제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85257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85257B1 (ko) 2011-1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37667B2 (en) Reactive polyurethane compositions with a low residual monomer content
KR101142754B1 (ko) 자동차 헤드라이너용 습기 경화형 접착제 조성물
JP6978430B2 (ja) シラン含有高弾性ウレタン接着剤
US11078391B2 (en) Urethane adhesive composition
KR101514107B1 (ko) 우레탄프레폴리머
JP6336381B2 (ja) 迅速な走行可能時間を提供する車輌窓装着において有用な接着剤
JP5717849B2 (ja) 接着剤および封止剤中での可塑剤としての2−エチルヘキシル−メチル−テレフタレート
US9102854B2 (en) Polyurethane sealant compositions having high filler levels
KR101188321B1 (ko) 친환경 탄성접착제용 습기경화형 폴리우레탄 수지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RU2719440C2 (ru) Гидрофобные полиолы
KR101929831B1 (ko) 하이브리드 실란트 조성물
JP2016525167A (ja) イソシアネートプレポリマー組成物及び該組成物から製造した架橋ポリウレタン
RU2666430C2 (ru) Гидрофобные многоатомные спирты для применения в герметизирующем составе
CN113891902A (zh) 可交联组合物的制备方法
KR20120052977A (ko) 우수한 보관 안정성을 갖는 이소시아네이트 기-함유 예비중합체
KR101085257B1 (ko) 자동차 헤드라이너용 습기 경화형 접착제 조성물
JP5551340B2 (ja) 2液速硬化型のウレタン樹脂組成物
KR20180016516A (ko) 접착제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KR101164209B1 (ko) 신발 안창 부품용 수성 접착제 조성물
KR100917781B1 (ko) 자동차 헤드라이너용 습기 경화형 접착제 조성물
JP2016141776A (ja) 接着剤組成物
JP4721036B2 (ja) 無溶剤型1液湿気硬化性ポリウレタン樹脂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てなる接着剤
JP2008111026A (ja) ウレタン接着剤組成物
US11845830B2 (en) Method for producing a composition comprising a polyurethane with NCO end groups
JP2003129023A (ja) 1液反応型ポリウレタン樹脂系接着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3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