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25800A - Multimedia apparatus equipped with a removable control module - Google Patents

Multimedia apparatus equipped with a removable control modu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25800A
KR20110025800A KR1020110007606A KR20110007606A KR20110025800A KR 20110025800 A KR20110025800 A KR 20110025800A KR 1020110007606 A KR1020110007606 A KR 1020110007606A KR 20110007606 A KR20110007606 A KR 20110007606A KR 20110025800 A KR20110025800 A KR 201100258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control module
input
module
multimedi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0760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268722B1 (en
Inventor
이진우
Original Assignee
이진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진우 filed Critical 이진우
Priority to KR10201100076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68722B1/en
Publication of KR201100258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2580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87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872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06F1/169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the I/O peripheral being an integrated pointing device, e.g. trackball in the palm rest area, mini-joystick integrated between keyboard keys, touch pads or touch strip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10Program control for peripheral devices
    • G06F13/102Program control for peripheral devices where the programme performs an interfacing function, e.g. device driv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14Handling requests for interconnection or transfer
    • G06F13/20Handling requests for interconnection or transfer for access to input/output b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Abstract

PURPOSE: A multimedia apparatus equipped with a removable control module is provided to perform a new multimedia function by including a detachable control module which controls an operation depending on a multimedia function. CONSTITUTION: A control module unit(100) includes a connection port and a controller module circuit. The control module circuit unit performs signal or multiple multimedia functions(171) according to the input data inputted through a connection port. A body unit(10) receives the input data and provides the control module unit with the received input data, and includes an input/output circuit unit which receives/outputs output data depending on the multimedia function. A module connector(20) comprises a connection port(271) which connects the control module unit to the input/output circuit unit.

Description

탈착 가능한 제어모듈을 구비하는 멀티미디어 장치{Multimedia apparatus equipped with a removable control module}Multimedia apparatus equipped with a removable control module

본 발명은 멀티미디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단일 또는 복수의 멀티미디어의 기능에 따른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모듈을 탈착할 수 있고, 서로 다른 기능을 가지는 제어모듈들을 상호 교환하여 탈착할 수 있는 탈착 가능한 제어모듈을 구비하는 멀티미디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media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a detachable control module for controlling an operation according to a single or a plurality of multimedia functions, and a detachable control module having different functions. A multimedia device having a possible control module.

통상적으로 커뮤니케이션은 음성언어, 미디어, 인터넷 등과 같은 매체를 통해 이루어진다. 커뮤니케이션의 매체는 하루가 다르게 변화하고 발전하고 있다. 유일하게 음성언어만이 커뮤니케이션 매체였던 시기에서 인터넷을 통한 문자언어 중심으로 인터넷 미디어 시대로 변화하였고, 라디오나 전화, 영상 매체인 TV 등의 미디어 시대로 발전하였다. 그리고 TV의 제한적인 채널 한계성을 뛰어 넘어 케이블 TV가 나타났고, 이동성의 한계성을 뛰어 넘어 DMB가 등장했으며, 음성과 영상을 혼합한 멀티미디어 시대에서 1인 미디어, 유비쿼터스가 도입된 멀티미디어 시대로 접어들었다.In general, communication is performed through media such as voice language, media, and the Internet. The medium of communication is changing and developing every day. From the time when only voice language was the communication medium, it changed from the era of internet media to the language of text language through the internet, and to the age of media such as radio, telephone and TV. Cable TV emerged beyond the limited channel limit of TV, DMB appeared beyond the limit of mobility, and entered the era of multimedia which introduced one-person media and ubiquitous in the era of multimedia mixed with voice and video.

이런 멀티미디어 시대가 도래함에 따라 휴대용 멀티미디어 플레이어(Portable Multimedia Player: PMP), 멀티미디어의 플레이가 가능한 휴대폰 등과 같은 멀티미디어 장치들이 등장하였으며, 이동통신망 및 WIFI와 같은 무선 인터넷망을 통해 언제 어디서나 다양한 멀티미디어를 수신 받아 재생할 수 있고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는 스마트폰과 같은 멀티미디어 장치도 등장하였다.With the advent of the multimedia era, multimedia devices such as portable multimedia player (PMP) and mobile phones capable of playing multimedia have emerged, and receive various multimedia anytime and anywhere through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wireless internet network such as WIFI. Multimedia devices such as smartphones that can play and access the Internet have also emerged.

스마트폰의 등장에 따라 소형, 즉 휴대용 멀티미디어 기기의 수요가 증가하여 휴대용 멀티미디어 기기 시장은 급속도로 팽창하고 있다.With the advent of smart phones, the demand for small, portable multimedia devices has increased, and the portable multimedia device market is rapidly expanding.

이와 같이 시장이 팽창함에 따라 경쟁이 심화되고, 이에 따라 하루가 멀다 싶을 정도로 새로운 기능들이 추가된 멀티미디어 장치들이 출시되고 있다.As the market expands, competition intensifies, and multimedia devices are being introduced with new functions added to the day.

따라서 멀티미디어 장치 사용자들은 제품을 구매한지 얼마 지나지 않아 새로운 기능이 탑재된 새 제품이 출시되므로 사용하고 있는 제품에 대해 빠르게 실증을 느낄 수 있고, 이로 인해 새 제품을 재 구매한다. 다시 말하면, 전자제품의 교체주기가 짧아지는 추세에 있다.As a result, users of multimedia devices are releasing new products with new features shortly after purchasing them, so they can quickly demonstrate the products they are using and buy new products. In other words, the replacement cycle of electronic products is shortening.

상술한 바와 같이 제품의 교체주기가 빨라짐에 따라 사용자가 제품을 빠르게 교체하고 사용할 수 있는 이전 멀티미디어 장치를 사용하지 않게 되므로 국가 및 개인적인 경제 손실을 가져오는 문제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as the replacement cycle of the product is faster, the user does not use the previous multimedia device that can quickly replace and use the product, which causes a problem of national and personal economic loss.

또한, 일반적인 멀티미디어 장치는 주로 하나의 특정 기능만을 하는 싱글 멀티미디어 장치나 복수의 기능이 통합된 복합 멀티미디어 장치로 만들어져 판매되고 있다. 전자의 경우, 사용자가 복수의 기능을 이용하고 싶은 경우 복수개의 싱글 멀티미디어 장치를 구매해야 하므로 구매 가격이 상승하고, 복수의 싱글 멀티미디어 장치를 소지하고 다녀야 하므로 사용자 입장에서 불편하거 이용이 제한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후자의 경우, 복합 멀티미디어 장치는 복수의 기능 적용으로 인해 가격이 비싼데 반해, 사용는 일부 기능만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아 불필요한 많은 구매비용을 들이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In addition, a general multimedia device is mainly sold as a single multimedia device having only one specific function or a composite multimedia device in which a plurality of functions are integrated. In the former case, if a user wants to use a plurality of functions, the purchase price must be increased because the user must purchase a plurality of single multimedia devices, and the user must carry a plurality of single multimedia devices. There is a problem. In the latter case, the complex multimedia device is expensive due to the application of a plurality of functions, but the use of the multi-media device often uses only a few functions, which causes a lot of unnecessary purchase costs.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단일 또는 복수의 멀티미디어의 기능에 따른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모듈을 탈착할 수 있고, 서로 다른 기능을 가지는 제어모듈들을 상호 교환하여 탈착할 수 있는 탈착 가능한 제어모듈을 구비하는 멀티미디어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etachable control module that can detach a control module for controlling an operation according to a function of a single or a plurality of multimedia, and can be detached by exchanging control modules having different function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ultimedia devic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탈착 가능한 제어모듈을 구비하는 멀티미디어 장치는; 접속 포트를 구비하고, 상기 접속 포트를 통해 입력되는 입력데이터에 따라 임의의 단일 또는 복수의 멀티미디어 기능을 수행하는 제어모듈 회로부를 포함하는 제어모듈부와, 입력데이터를 입력받아 상기 제어 모듈부로 제공하고 그에 따른 멀티미디어 기능 수행에 따른 출력 데이터를 입력받아 출력하는 입출력 회로부를 포함하는 본체부와, 상기 제어모듈부가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상기 본체부와 일체로 구성되고, 상기 제어모듈부 삽입 시 제어모듈부의 접속 포트에 접속되어 상기 제어모듈부와 상기 입출력 회로부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입출력 회로부에 연결되는 접속 포트를 구비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모듈 접속부를 포함하는 입출력 모듈부를 포함한다.Multimedia device provided with a removable control modul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A control module unit having a connection port and including a control module circuit unit for performing any single or multiple multimedia functions according to the input data input through the connection port, and receiving the input data and providing the input data to the control module unit; The main body unit including an input and output circuit unit for receiving and outputting the output data according to the multimedia function according to the execution, and the control module unit is integrally configured with the main body to be inserted and fixed, the control module unit when the control module unit is inserted And an input / output module unit including at least one module connection unit connected to a port and having a connection port connected to the input / output circuit unit to electrically connect the control module unit and the input / output circuit unit.

상기 모듈 접속부는 상기 본체부의 후면에 돌출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module connection part may be configured to protrude to the rear of the main body part.

상기 모듈 접속부가 복수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plurality of the module connection por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상기 모듈 접속부는 상기 제어모듈부가 상기 본체부의 일측면에서 내측으로 삽입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module connection par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trol module is configured to be inserted inward from one side of the body portion.

상기 모듈 접속부는 상기 제어모듈부가 삽입되는 개구부에 형성되어 제어모듈부의 삽입 시 제어모듈부의 삽입방향으로 접혀지고 제거 시 상기 개구부를 덮는 덮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module connection part may further include a cover formed in an opening into which the control module part is inserted, folded in the insertion direction of the control module part when the control module part is inserted, and covering the opening when the control module part is inserted.

상기 모듈 접속부는, 상기 본체부의 후면이 상기 제어모듈부가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함몰된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module connection part may be formed in a shape in which a rear surface of the main body part is recessed so that the control module part may be inserted and fixed.

상기 제어모듈부는, 상기 접속 포트를 통해 상기 입출력 모듈부와 연결되어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와, 단일 멀티미디어 또는 복수의 복합 멀티미디어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제어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제어프로그램 수행중에 발생하는 데이터를 일시 저장하는 저장부와, 단일 멀티미디어 또는 복수의 복합 멀티미디어 기능을 수행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멀티미디어 모듈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입력되는 입력데이터에 따른 제어프로그램을 구동하여 상기 멀티미디어 모듈을 제어하여 해당 멀티미디어 기능을 수행하여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 데이터를 입출력 모듈부로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ontrol module unit may be connected to the input / output module unit through the connection port to perform a data communication, a control program for performing a single multimedia or a plurality of complex multimedia functions, and data generated during execution of the control program. A storage unit for temporarily storing the control unit, at least one multimedia module performing a single multimedia or a plurality of complex multimedia functions, and a control program according to the input data input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to control the multimedia module to control the multimedia function. And a control unit for outputting the display data to the input / output module unit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상기 입출력 회로부는, 상기 본체부의 전면에 구비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데이터를 표시하고, 터치된 위치에 대한 좌표 신호를 출력하는 확장 터치스크린과, 적어도 하나 이상의 버튼을 구비하고, 눌린 버튼에 대한 버튼 신호를 출력하는 입력부와, 상기 접속 포트에 접속된 제어모듈부로부터 디스플레이 데이터 수신하여 출력하고, 상기 입력 데이터를 상기 제어모듈부로 송신하는 입출력 통신부와, 상기 입출력 통신부를 통해 수신된 상기 디스플레이 데이터를 상기 확장 터치스크린으로 제공하여 표시시키고, 상기 터치스크린으로부터 입력되는 좌표신호 및 입력부로부터 입력되는 버튼 신호에 대응하는 입력데이터를 상기 입출력 통신부를 통해 송신시키는 입출력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input / output circuit unit includes an extended touch screen provid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main body to display the display data and output a coordinate signal for a touched position, and at least one button, and output a button signal for a pressed button. The input unit, an input / output communication unit which receives and outputs display data from a control module unit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ort, and transmits the input data to the control module unit, and the display data received through the input / output communication unit on the extended touch screen. And an input / output controller configured to display and transmit input data corresponding to the coordinate signal input from the touch screen and the button signal input from the input unit through the input / output communication unit.

상기 모듈 접속부는, 상기 접속포트가 구비되고 상기 본체부의 후면에 상기 제어모듈부가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함몰된 형태로 형성되는 삽입 홈과, 상기 본체부 후면에 평평하도록 상기 삽입 홈을 덮는 덮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module connection part includes an insertion groove provided with the connection port and formed in a recessed shape so that the control module part is inserted into and fix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main body part, and a cover covering the insertion groove so as to be flat on the rear surface of the main body part. It is characterized by including.

상기 입출력 회로부는 상기 제어모듈부의 삽입 시에만 동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input / output circuit part may be operated only when the control module part is inserted.

본 발명의 멀티미디어 장치는 단일 또는 복수의 멀티미디어 기능에 따른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모듈을 탈착할 수 있으므로, 제어모듈만을 교체하여 새로운 멀티미디어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Since the multimedia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remove the control module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according to a single or a plurality of multimedia functions, it is possible to replace only the control module to perform a new multimedia function.

또한, 본 발명의 멀티미디어 장치는 디스플레이 장치, 입력장치 및 오디오 입출력 장치를 구비하는 입출력 모듈부에 디스플레이 장치, 입력장치 및 오디오 입출력 장치 등과 같은 장치들을 구비하지 않으면서 사용자가 원하는 단일 또는 복수의 기능을 지원하는 제어모듈만을 필요에 따라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적은 비용으로도 새로운 멀티미디어 기능들을 사용할 수 있으므로 불필요한 구매비용을 최소화 하고, 사용자의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In addition, the multimedia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ingle or multiple functions desired by a user without including a display device, an input device, and an audio input / output device in an input / output module unit including a display device, an input device, and an audio input / output device. Since only the supporting control module can be replaced and used as needed, the user can use new multimedia functions at a low cost, thereby minimizing unnecessary purchase costs and improving user satisfaction.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탈착 가능한 제어모듈을 가지는 멀티미디어 장치의 전면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탈착 가능한 제어모듈을 가지는 멀티미디어 장치의 후면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탈착 가능한 제어모듈을 가지는 멀티미디어 장치의 측면도 및 평면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탈착 가능한 제어모듈을 가지는 멀티미디어 장치의 측면도 및 평면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탈착 가능한 제어모듈을 가지는 멀티미디어 장치의 측면도 및 평면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탈착 가능한 제어모듈을 가지는 멀티미디어 장치의 전자적인 블록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ront surface of a multimedia apparatus having a detachable control modul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rear surface of a multimedia apparatus having a detachable control modul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ide view and a plan view of a multimedia apparatus having a detachable control modul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side view and a plan view of a multimedia apparatus having a detachable control modul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side view and a plan view of a multimedia apparatus having a detachable control modul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electronic block configuration of a multimedia apparatus having a detachable control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탈착 가능한 제어모듈을 가지는 멀티미디어 장치의 구성 및 동작을 설명한다.Hereinafter, a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a multimedia apparatus having a detachable control module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탈착 가능한 제어모듈을 가지는 멀티미디어 장치의 전면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장치의 후면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장치의 측면도 및 평면도를 나타낸 도면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front of a multimedia device having a removable control modul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back of a multimedia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side view and a plan view of a multimedia apparatus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탈착 가능한 제어모듈을 가지는 멀티미디어 장치는 제어모듈부(100)와 입출력 모듈부(200)를 포함한다.1 to 3, a multimedia apparatus having a detachable control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ntrol module unit 100 and an input / output module unit 200.

제어모듈부(100)는 도 2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입출력 모듈부(200)에 접속하기 위한 접속 포트(171)를 포함하고, 디스플레이 수단, 입력수단 및 오디오 출력 수단 등을 구비하지 않는 제어모듈 회로부(101)를 포함하여 상기 입출력 모듈부(200)와 연결 시 단일 멀티미디어 기능 또는 복수의 복합 멀티미디어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멀티미디어 기능이란, MP3 플레이어, 동영상 플레이어, 음성녹음, 음성인식, 문자 음성 변환(Text To Speech: TTS), 네비게이션, 인터넷, 카메라 및 이동통신 등의 기능을 포함한다.As shown in FIG. 2, the control module unit 100 includes a connection port 171 for connecting to the input / output module unit 200 and does not include a display unit, an input unit and an audio output unit. 101) includes a single multimedia function or a plurality of complex multimedia functions when connected to the input / output module 200. Here, the multimedia functions include functions such as an MP3 player, a video player, voice recording, voice recognition, text-to-speech (TTS), navigation, internet, camera, and mobile communication.

입출력 모듈부(200)는 본체부(10)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모듈 접속부(20)를 포함하여 상기 제어모듈부(100)가 모듈 접속부(20)에 삽입되어 연결 시 상기 접속된 제어모듈부(100)가 제공하는 단일의 멀티미디어 기능 또는 복수의 멀티미디어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입력 데이터를 상기 제어모듈부(100)로 제공하고, 상기 입력데이터에 대응하여 제어모듈부(100)로부터 수신되는 디스플레이 데이터 및 오디오 데이터 등의 출력데이터를 사용자에게 출력한다.The input / output module unit 200 includes a main body unit 10 and at least one module connection unit 20 so that the control module unit 100 is inserted when the control module unit 100 is inserted into the module connection unit 20 and connected thereto. ) Provides input data input from the user to the control module unit 100 so as to perform a single multimedia function or a plurality of multimedia functions provided by the user, and receives from the control module unit 100 in response to the input data. Output data such as display data and audio data to be output to the user.

구체적으로, 본체부(10)는 전면에 터치스크린(240)이 구비되고, 터치스크린(240) 주변 및 측부에 입력부(230)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본체부(10)는 제어모듈부(100)로부터 출력데이터를 입력받아 출력하고, 입력데이터를 입력받아 제어모듈부(100)로 출력하는 제어모듈 회로부(201)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모듈 회로부(201)의 상세 구성 및 동작은 하기 도 6에서 후술한다.Specifically, the main body 10 may be provided with a touch screen 240 on the front surface, and the input unit 230 may be provided on the periphery and the side of the touch screen 240. The main body 10 includes a control module circuit 201 that receives the output data from the control module unit 100 and outputs the output data, and outputs the input data to the control module unit 100. Detailed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control module circuit unit 201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모듈 접속부(20)는 도 2 및 도 3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본체부(10)의 후면에서 돌출되도록 일체로 구성된다. 모듈 접속부(20)는 제어모듈부(100)가 삽입될 수 있도록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공간으로 제어모듈부(100)를 삽입할 수 있도록 일측부에 개방부(30)가 형성된다. 통상 상기 측부는 상측부가 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상기 모듈 접속부(200)는 제어모듈부(100)를 고정하고, 본체부(10) 내부에 구성된 확장 회로부(201)와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접속 포트(271)가 구성된다. 통상 제어모듈부(100)의 접속 포트(171)는 암 커넥터로 형성되므로, 모듈 접속부(20)에 형성되는 접속 포트(271)는 수 커넥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제어모듈부(100)에 구성된 접속 포트(171)의 위치에 따라 접속 포트(271)의 위치가 결정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제어모듈부(100)에 구성된 접속 포트(171)의 위치에 따라 모듈 접속부(20)에 구성되는 접속 포트(271)는 짧은 케이블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2에서는 제어모듈부(100)의 접속 포트(171)가 하부면에 구성되어 모듈 접속부(20)의 접속 포트(271)가 내측 저면부에 구성된 경우를 나타내었다.The module connection part 2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tegrally configured to protrude from the rear surface of the main body part 10 as shown in FIGS. 2 and 3. The module connection part 20 has a space in which the control module part 100 can be inserted, and an opening 30 is formed in one side to insert the control module part 100 into the space. Typically the side may be an upper side. In addition, the module connection unit 200 includes a connection port 271 for fixing the control module unit 100 and electrically connecting the expansion circuit unit 201 configured in the main body unit 10. In general, since the connection port 171 of the control module unit 100 is formed of a female connector, the connection port 271 formed in the module connection unit 20 may be formed of a male connector. In addition, the position of the connection port 271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connection port 171 configured in the control module unit 100.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connection port 171 configured in the control module unit 100, the connection port 271 configured in the module connection unit 20 may be configured in the form of a short cable. In FIG. 2, the connection port 171 of the control module unit 100 is configured on the lower surface, and the connection port 271 of the module connection unit 20 is configured on the inner bottom surface.

모듈 접속부(20)는 도 3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제어모듈부(100)의 미 삽입 시 내측 공간부로 먼지가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제어모듈부(100) 삽입 시 길이가 긴 일측부를 기준으로 축회전 하여 내측 공간부로 삽입되고, 멀티미디어 기기 제거 시 상기 일측부를 기준으로 축회전 하여 개방부를 덮는 덮개(24)를 더 포함할 수도 있을 것이다.As shown in FIG. 3, the module connection part 20 is rotated based on one side of a long length when the control module part 100 is inserted in order to prevent dust from entering the inner space part when the control module part 100 is not inserted. It may further include a cover 24 inserted into the inner space, and covers the opening by axially rotating based on the one side when the multimedia device is removed.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제어모듈부용 입출력 확장장치의 측면도 및 평면도를 나타낸 도면이다.4 is a side view and a plan view of an input / output expansion device for a control module unit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제1실시 예에서는 모듈 접속부(20)가 본체부의 후면에 돌출되어 일체로 구성되었으나, 도 4에서는 모듈 접속부(20)가 본체부(10)의 내측에 구성된다. 이 경우에도 상기 모듈 접속부(20)의 개구부(30)를 덮는 덮개(24)를 구성할 수 있을 것이다.Referring to FIG. 4, in the first embodiment, the module connecting portion 20 protrudes to the rear of the main body and is integrally formed. In FIG. 4, the module connecting portion 20 is formed inside the main body 10. Even in this case, the cover 24 covering the opening 30 of the module connection part 20 may be configured.

도 5는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탈착 가능한 제어모듈을 가지는 멀티미디어 장치의 측면도 및 평면도를 나타낸 도면이다.5 is a side view and a plan view of a multimedia apparatus having a detachable control modul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장치의 모듈 접속부(40)는 본체부(10)의 후면에 함몰된 형태로 형성되는 삽입 홈(41)과 상기 삽입 홈(41)을 덮는 덮개(50)를 포함한다. 상기 덮개(50)는 제어모듈부(100)의 삽입 시 제어모듈부(100)의 중량에 의해 접속 포트(271)에 큰 하중이 실릴 수 있으므로 접속 포트(271)에서 제어모듈부(100)가 분리되어 본체부(10)로부터 떨어져 파손될 수 있는 문제점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 덮개 방식 이외에도 제어모듈부(100)를 착탈하기 쉽고 떨어지지 않도록 할 수 있는 다양한 방식들이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The module connection part 40 of the multimedia apparatus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nsertion groove 41 formed in a recessed shape on a rear surface of the main body 10 and a cover 50 covering the insertion groove 41. It includes. The cover 50 has a large load on the connection port 271 due to the weight of the control module unit 100 when the control module unit 100 is inserted, so that the control module unit 100 is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ort 271. It is to prevent the problem that can be separated and broken apart from the body portion (10). However, in addition to the cover method, various methods that can be easily detached and detached from the control module unit 100 may be applied.

상기 삽입 홈(41)에는 다른 실시 예들과 동일하게 접속 포트(271)가 구성된다. 단, 모듈 접속부(40)가 홈 형태로 형성됨에 따라 제어모듈부(100)를 삽입 홈(41)에 삽입하기 쉽고 접속 포트(271)에 접속하기 쉽도록 접속 포트(271)가 대략 90도 회전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In the insertion groove 41, a connection port 271 is configured like other embodiments. However, as the module connection part 40 is formed in a groove shape, the connection port 271 rotates approximately 90 degrees so that the control module part 100 is easily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41 and easily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ort 271. It would be desirable to be configured to do so.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탈착 가능한 제어모듈을 가지는 멀티미디어 장치의 전자적인 블록 구성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멀티미디어 장치의 제어모듈부(100)의 제어모듈 회로부(101) 및 입출력 모듈부(200)의 입출력 회로부(201)의 전자적인 구성 및 동작을 설명한다.6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electronic block of a multimedia apparatus having a detachable control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electronic configurations and operations of the control module circuit unit 101 of the control module unit 100 and the input / output circuit unit 201 of the input / output module unit 200 of the multimedia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6.

제어모듈 회로부(101)는 제어부(110)와 저장부(120)와 통신부(170)와 전원부(180)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멀티미디어 기능 처리부들을 포함한다.The control module circuit unit 101 includes a control unit 110, a storage unit 120, a communication unit 170, a power supply unit 180, and at least one multimedia function processing unit.

제어부(110)는 제어모듈부(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특히 제어부(110)는 본 발명에 따른 입출력 모듈부(200)와 출력 데이터를 통신부(170)를 통해 입출력 회로부(201)로 제공하고, 입출력 회로부(201)로부터 수신되는 입력데이터에 따른 기능을 제어한다.The controller 110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control module unit 100. In particular, the controller 110 provides the input / output module unit 200 and the output dat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input / output circuit unit 201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70, and controls the function according to the input data received from the input / output circuit unit 201. do.

저장부(120)는 제어모듈부(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운영프로그램 등과 같은 제어프로그램을 저장하는 프로그램 영역과, 상기 제어프로그램 수행 중에 발생하는 데이터를 일시 저장하는 임시 영역을 포함한다. 이때, 저장부(120)는 사용자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플래시 메모리 등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The storage unit 120 includes a program area for storing a control program, such as an operating program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control module unit 100, and a temporary area for temporarily storing data generated during the execution of the control program. In this case, the storage unit 120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flash memory capable of storing user data.

통신부(170)는 접속 포트(17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접속 포트(171)와 상기 접속 포트(171)에 물리적으로 접속하는 입출력 회로부(201)의 접속 포트(271)를 통해 입출력 회로부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한다.The communication unit 17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ort 171, and is connected to the input / output circuit unit through a connection port 271 of the input / output circuit unit 201 physically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ort 171 and the connection port 171. Perform data communication.

전원부(180)는 상기 접속 포트(171)를 통해 입출력 회로부(201)의 배터리(280)로부터 제공되는 전원을 인가받아 제어모듈 회로부(101) 내에 필요한 구동전원으로 변환하여 제공한다. 또한 전원부(180)는 상기 배터리(280)로부터 제공되는 전원을 인가받아 입출력 회로부(201)의 전원부(290)로 제공하여 입출력 회로부(201)가 동작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The power supply unit 180 receives power supplied from the battery 280 of the input / output circuit unit 201 through the connection port 171, and converts the power supply into driving power required in the control module circuit unit 101. In addition, the power supply unit 180 may be configured to receive the power supplied from the battery 280 and provide the power supply unit 290 of the input / output circuit unit 201 to operate the input / output circuit unit 201.

기능 처리부는 제어모듈부(100)의 특정 멀티미디어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으로, 센서 모듈(145), GPS 모듈(150), 카메라 모듈(160) 및 DMB 모듈(180) 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function processing unit is configured to perform a specific multimedia function of the control module unit 100, and may be configured by at least one of the sensor module 145, the GPS module 150, the camera module 160, and the DMB module 180. Can be.

입출력 모듈부(200)의 입출력 회로부(201)는 입출력 제어부(210)와 입출력 저장부(220)와 입력부(230)와 터치스크린(240)과 입출력 통신부(270) 및 전원부(290)와 배터리(280)를 포함한다.The input / output circuit unit 201 of the input / output module unit 200 includes an input / output controller 210, an input / output storage unit 220, an input unit 230, a touch screen 240, an input / output communication unit 270, a power supply unit 290, and a battery ( 280).

입출력 제어부(210)는 본 발명의 입출력 회로부(201)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The input / output controller 210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input / output circuit unit 201 of the present invention.

입출력 저장부(220)는 입출력 회로부(201)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제어프로그램 영역과, 상기 제어프로그램 수행 중에 발생하는 데이터를 일시 저장하는 임시 영역과 사용자 데이터를 저장하는 사용자 영역으로 구성된다.The input / output storage unit 220 includes a control program area for storing a control program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input / output circuit unit 201, a temporary area for temporarily storing data generated during execution of the control program, and a user area for storing user data. It consists of.

입력부(230)는 본체부(10)의 확장 터치스크린(240)의 주변 또는/및 측부에 복수의 키 또는 버튼을 구비하며, 사용자에 의해 눌려진 키 또는 버튼에 대응하는 신호를 확장 제어부(210)로 출력한다.The input unit 230 includes a plurality of keys or buttons on the periphery and / or sides of the extended touch screen 240 of the main body 10, and extends a signal corresponding to a key or button pressed by a user. Will output

터치스크린(240)은 상기 확장 제어부(210)의 제어를 받아 확장 통신부(270)를 통해 수신되는 출력데이터인 디스플레이 데이터를 확장 제어부(210)를 통해 수신 받아 표시하고, 사용자가 터치한 화면상의 좌표정보를 확장 제어부(210)로 출력한다.The touch screen 240 receives and displays the display data, which is output data received through the expansion communication unit 270, under the control of the expansion control unit 210 through the expansion control unit 210, and coordinates on the screen touched by the user. The information is output to the expansion control unit 210.

입출력 통신부(27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접속 포트(271)를 통해 제어모듈부(100)의 제어모듈 회로부(101)에 접속하여 제어모듈 회로부(101)로부터 수신되는 출력 데이터를 입출력 제어부(210)로 출력하고, 입출력 제어부(210)의 제어를 받아 상기 터치스크린(240) 및 입력부(230)로부터 입력되는 입력 데이터를 회로부(101)로 송신한다.The input / output communication unit 270 connects to the control module circuit unit 101 of the control module unit 100 through the connection port 271 as described above, and outputs the output data received from the control module circuit unit 101 to the input / output control unit 210. And the input data input from the touch screen 240 and the input unit 230 is transmitted to the circuit unit 101 under the control of the input / output control unit 210.

오디오 처리부(250)는 입출력 제어부(210)로부터 출력 데이터인 오디오 데이터를 입력받아 스피커(SP)를 통해 가청음을 출력하고, 마이크(MIC)를 통해 가청음을 입력받아 오디오 데이터로 변환하여 입출력 제어부(210)로 제공한다.The audio processor 250 receives audio data, which is output data from the input / output controller 210, outputs an audible sound through the speaker SP, receives an audible sound through a microphone MIC, and converts the audible sound into audio data. )

전원부(290)는 배터리(280)로부터 배터리 전원을 인가받아 입출력 회로부(201)의 각 구성들에 필요한 구동전원을 생성하여 제공한다. 그러나 입출력 회로부(201)가 상기 제어모듈부(100)의 삽입 시 동작하도록 하기 위해서 상기 전원부(290)는 상기 배터리(280)의 배터리 전원을 상기 전원부(180)를 통해 입력받도록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The power supply unit 290 receives battery power from the battery 280 to generate and provide driving power for each component of the input / output circuit unit 201. However, in order for the input / output circuit unit 201 to operate when the control module unit 100 is inserted, the power supply unit 290 may be configured to receive the battery power of the battery 280 through the power supply unit 180. .

한편, 본 발명은 전술한 전형적인 바람직한 실시 예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로 개량, 변경, 대체 또는 부가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임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개량, 변경, 대체 또는 부가에 의한 실시가 이하의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범주에 속하는 것이라면 그 기술사상 역시 본 발명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On the other h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typical preferred embodiment, it can be carried out in various ways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modifications, changes, substitutions or additions in the art Anyone who has this can easily understand it. If such improvement, change, substitution or addition is carried out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the technical spirit should also be regarded as belong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0: 본체부 20, 40: 모듈 접속부
24, 50: 덮개 30: 개구부
100: 제어 모듈부 101: 제어모듈 회로부
110: 제어부 120: 저장부
150:GPS 모듈 160: 카메라 모듈
170: 통신부 171: 접속 포트(암 커넥터)
180: DMB 모듈 200: 입출력 모듈부
201: 입출력 회로부 210: 입출력 제어부
220: 입출력 저장부 230: 입력부
240: 터치스크린 250: 오디오 처리부
251: 스피커 252: 마이크
270: 입출력 통신부 271: 접속 포트(수 커넥터)
280: 배터리
10: main body 20, 40: module connection
24 and 50: cover 30: opening
100: control module unit 101: control module circuit unit
110: control unit 120: storage unit
150: GPS module 160: camera module
170: communication unit 171: connection port (female connector)
180: DMB module 200: input and output module unit
201: input and output circuit unit 210: input and output control unit
220: input and output storage unit 230: input unit
240: touch screen 250: audio processing unit
251: speaker 252: microphone
270: input and output communication unit 271: connection port (male connector)
280: battery

Claims (10)

접속 포트를 구비하고, 상기 접속 포트를 통해 입력되는 입력데이터에 따라 임의의 단일 또는 복수의 멀티미디어 기능을 수행하는 제어모듈 회로부를 포함하는 제어모듈부와,
입력데이터를 입력받아 상기 제어 모듈부로 제공하고 그에 따른 멀티미디어 기능 수행에 따른 출력 데이터를 입력받아 출력하는 입출력 회로부를 포함하는 본체부와, 상기 제어모듈부가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상기 본체부와 일체로 구성되고, 상기 제어모듈부 삽입 시 제어모듈부의 접속 포트에 접속되어 상기 제어모듈부와 상기 입출력 회로부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입출력 회로부에 연결되는 접속 포트를 구비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모듈 접속부를 포함하는 입출력 모듈부를 포함하는 탈착 가능한 제어모듈을 가지는 멀티미디어 장치.
A control module unit having a connection port and including a control module circuit unit performing any single or multiple multimedia functions according to input data input through the connection port;
A main body unit including an input / output circuit unit configured to receive input data to the control module unit and to receive and output output data according to the execution of a multimedia function, and integrally formed with the main body unit to insert and fix the control module unit And at least one module connection part including at least one module connection part connected to a connection port of a control module part when the control module part is inserted, and having a connection port connected to the input / output circuit part to electrically connect the control module part and the input / output circuit part. Multimedia device having a removable control module compris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 접속부는 상기 본체부의 후면에 돌출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착 가능한 제어모듈을 가지는 멀티미디어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module connection unit is a multimedia device having a removable control module,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protrude to the rear of the main bod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 접속부가 복수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착 가능한 제어모듈을 가지는 멀티미디어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Multimedia module having a detachable control module, characterized in that the module connection portion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 접속부는 상기 제어모듈부가 상기 본체부의 일측면에서 내측으로 삽입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착 가능한 제어모듈을 가지는 멀티미디어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module connection unit is a multimedia device having a removable control module,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trol module is configured to be inserted inward from one side of the main body.
제2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 접속부는 상기 제어모듈부가 삽입되는 개구부에 형성되어 제어모듈부의 삽입 시 제어모듈부의 삽입방향으로 접혀지고 제거 시 상기 개구부를 덮는 덮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착 가능한 제어모듈을 가지는 멀티미디어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or 4,
The module connection part is formed in an opening into which the control module part is inserted, the multimedia apparatus having a detachable control module further comprising a cover covering the opening part when the control module part is folded in the insertion direction when the control module part is inserted and removed.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 접속부는,
상기 본체부의 후면이 상기 제어모듈부가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함몰된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착 가능한 제어모듈을 가지는 멀티미디어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module connection portion,
And a rear side of the main body portion is formed in a recessed shape so that the control module portion can be inserted and fix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듈부는,
상기 접속 포트를 통해 상기 입출력 모듈부와 연결되어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와,
단일 멀티미디어 또는 복수의 복합 멀티미디어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제어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제어프로그램 수행중에 발생하는 데이터를 일시 저장하는 저장부와,
단일 멀티미디어 또는 복수의 복합 멀티미디어 기능을 수행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멀티미디어 모듈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입력되는 입력데이터에 따른 제어프로그램을 구동하여 상기 멀티미디어 모듈을 제어하여 해당 멀티미디어 기능을 수행하여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 데이터를 입출력 모듈부로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탈착 가능한 제어모듈을 가지는 멀티미디어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control module unit,
A communication unit connected to the input / output module unit through the connection port to perform data communication;
A storage unit for storing a control program for performing a single multimedia or a plurality of complex multimedia functions, and temporarily storing data generated while executing the control program;
At least one multimedia module performing a single multimedia or a plurality of complex multimedia functions;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multimedia module by driving a control program according to the input data input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to perform the corresponding multimedia function and outputting the display data to the input / output module unit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Multimedia device having a modul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출력 회로부는,
상기 본체부의 전면에 구비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데이터를 표시하고, 터치된 위치에 대한 좌표 신호를 출력하는 확장 터치스크린과,
적어도 하나 이상의 버튼을 구비하고, 눌린 버튼에 대한 버튼 신호를 출력하는 입력부와,
상기 접속 포트에 접속된 제어모듈부로부터 디스플레이 데이터 수신하여 출력하고, 상기 입력 데이터를 상기 제어모듈부로 송신하는 입출력 통신부와,
상기 입출력 통신부를 통해 수신된 상기 디스플레이 데이터를 상기 확장 터치스크린으로 제공하여 표시시키고, 상기 터치스크린으로부터 입력되는 좌표신호 및 입력부로부터 입력되는 버튼 신호에 대응하는 입력데이터를 상기 입출력 통신부를 통해 송신시키는 입출력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착 가능한 제어모듈을 가지는 멀티미디어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input and output circuit unit,
An extended touch screen provid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main body to display the display data and output a coordinate signal for a touched position;
An input unit having at least one button and outputting a button signal for the pressed button;
An input / output communication unit which receives and outputs display data from a control module unit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ort, and transmits the input data to the control module unit;
An input / output for providing the display data received through the input / output communication unit to the extended touch screen for display and transmitting input data corresponding to a coordinate signal input from the touch screen and a button signal input from the input unit through the input / output communication unit; Multimedia device having a detachable control module comprising a control unit.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 접속부는,
상기 접속포트가 구비되고 상기 본체부의 후면에 상기 제어모듈부가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함몰된 형태로 형성되는 삽입 홈과,
상기 본체부 후면에 평평하도록 상기 삽입 홈을 덮는 덮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착 가능한 제어모듈을 가지는 멀티미디어 장치.
The method of claim 6,
The module connection portion,
An insertion groove provided with the connection port and formed in a recessed shape so that the control module unit is inserted into and fixed to a rear surface of the main body unit;
And a cover covering the insertion groove so as to be flat on the rear surface of the main bod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출력 회로부는 상기 제어모듈부의 삽입 시에만 동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착 가능한 제어모듈을 가지는 멀티미디어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nd the input / output circuit part operates only when the control module part is inserted.
KR1020110007606A 2011-01-26 2011-01-26 Multimedia apparatus equipped with a removable control module KR10126872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7606A KR101268722B1 (en) 2011-01-26 2011-01-26 Multimedia apparatus equipped with a removable control modu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7606A KR101268722B1 (en) 2011-01-26 2011-01-26 Multimedia apparatus equipped with a removable control modu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5800A true KR20110025800A (en) 2011-03-11
KR101268722B1 KR101268722B1 (en) 2013-06-04

Family

ID=439331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07606A KR101268722B1 (en) 2011-01-26 2011-01-26 Multimedia apparatus equipped with a removable control modu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68722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2419B1 (en) * 2013-04-18 2014-02-24 주식회사 엣지아이앤디 The display device with detachable personal computer module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70092A (en) * 2008-12-17 2010-06-25 정관선 Mobile telecommunication device embodying method using the navigation apparatus
KR20100009920U (en) * 2010-09-20 2010-10-08 박상현 Smart Phone Installableor Detachable Portable Touchscreen Terminal Using Smart Phone as a Hos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2419B1 (en) * 2013-04-18 2014-02-24 주식회사 엣지아이앤디 The display device with detachable personal computer modu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68722B1 (en) 2013-06-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387427B (en) Personal media device, assembly method and integrated sub-audible sound output system
KR100862345B1 (en) Portable electronic system
KR101143230B1 (en) Terminal device
CN105514726B (en) Phone jack component and mobile terminal
KR20080097567A (en) Multimedia system by using external connection apparatus and external connection apparatus therefor
US20080285213A1 (en) Keyboard With Media Device Docking Station
JP2007129342A (en) Mobile phone with personal computer function
US20140016258A1 (en) Display apparatus capable of attaching portable terminal
KR101391904B1 (en) Wireless speaker capable of wireless communication via wifi
EP3697099A1 (en) Device and method for visually displaying speaker's voice in 360-degree video
KR101268722B1 (en) Multimedia apparatus equipped with a removable control module
KR101126615B1 (en) Apparatus for outputting a sound signal
KR20110028603A (en) I/o expansion apparatus for compact multimedia devices
TWM627991U (en) Portable monitor and peripherals hub system
US20130063662A1 (en) Computer assisted device and television receiver
KR101511271B1 (en) Mobile terminal including expansion module and operation control method thereof
KR200416009Y1 (en) External type folder speaker
KR20130073651A (en) Docking device and terminal guide device
KR20140003908A (en) Dual rotating-enabled apparatus for combining portable devices
CN202340298U (en) Digital card inserting speaker provided with remote controller
CN106020500A (en) Projection keyboard
KR20120124610A (en) Display apparatus for smartphone and rechargible smartphone navigation system having the same
KR20120060092A (en) Supporting device of mobile device and touch input signal processing method of the same
KR20090061538A (en) Mobile display unit designed to connect with a cellular phone
KR101392924B1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providing user interface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