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26615B1 - Apparatus for outputting a sound signal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outputting a sound signa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26615B1
KR101126615B1 KR1020100007821A KR20100007821A KR101126615B1 KR 101126615 B1 KR101126615 B1 KR 101126615B1 KR 1020100007821 A KR1020100007821 A KR 1020100007821A KR 20100007821 A KR20100007821 A KR 20100007821A KR 101126615 B1 KR101126615 B1 KR 1011266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signal
unit
user terminal
signal output
s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0782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10088088A (en
Inventor
김상신
황여실
Original Assignee
황여실
김상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여실, 김상신 filed Critical 황여실
Priority to KR10201000078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26615B1/en
Publication of KR201100880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8808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66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661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3/00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Abstract

본 발명은 핸드폰과 같은 사용자 단말기에 장착된 상태에서, 다양한 종류의 음향신호를 출력할 수 있는 음향신호 출력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 단말기의 충전 또는 사용자 단말기와 컴퓨터 간의 데이터통신 중계를 위해 사용자 단말기와의 착탈시 다양한 음향신호를 출력할 수 있는, 음향신호 출력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사용자 단말기와 연결되는 연결부; 다양한 종류의 음향신호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디지털 음향신호를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기 위한 음향신호 출력부; 데이터 통신잭 또는 충전잭과 연결되어 데이터 또는 전원을 상기 연결부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및 상기 연결부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와의 탈부착이 감지된 경우 상기 음향신호 출력부를 구동하여 상기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음향신호가 상기 음향신호 출력부를 통해 출력되도록 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ound signal output device capable of outputting various types of sound signals in a state of being mounted on a user terminal such as a mobile phone,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charge a user terminal or relay a data communication between a user terminal and a computer. To provide a sound signal output device that can output a variety of sound signals when attached to and detached from the user terminal. To this end,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nection portion connected to the user terminal; A storage unit for storing various types of sound signals, an audio signal output unit for outputting a digital sound signal stored in the storage unit through a speaker; An interface connected with a data communication jack or a charging jack to transmit data or power to the user terminal through the connection unit; And a controller for driving the sound signal output unit to output the sound signal stored in the storage unit through the sound signal output unit when the attachment / detachment with the user terminal is detected through the connection unit.

Description

음향신호 출력 장치{APPARATUS FOR OUTPUTTING A SOUND SIGNAL}Sound signal output device {APPARATUS FOR OUTPUTTING A SOUND SIGNAL}

본 발명은 신호 출력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핸드폰과 같은 사용자 단말기에 장착된 상태에서, 다양한 종류의 음향신호를 출력할 수 있는 음향신호 출력 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ignal output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sound signal output device capable of outputting various types of sound signals in a state of being mounted in a user terminal such as a mobile phone.

무선통신기술과 단말기 제작 기술의 발달에 따라 핸드폰을 사용하는 사용자의 숫자는 날로 증가하고 있으며, 핸드폰의 종류 및 기능도 다변화하고 있다. With the development of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y and terminal production technology, the number of users using mobile phones is increasing day by day, and the types and functions of mobile phones are also diversifying.

대부분의 핸드폰은 충전지에 충전되어 있는 전원을 이용하고 있으며, 따라서, 일정 시간이 경과되면, 외부충전장치와 연결된 충전잭을 핸드폰에 연결시켜 충전시켜야 한다. Most mobile phones use the power charged in the rechargeable battery. Therefore, after a certain period of time, the mobile phone needs to be charged by connecting a charging jack connected to an external charging device.

한편, 핸드폰은 기종마다 충전을 위한 인터페이스가 서로 다른 형태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충전잭을 이용하여 핸드폰을 충전시키기 위해서는 젠더라는 제품이 이용되고 있다.On the other hand, since a mobile phone has a different interface for charging each model, a product called gender is used to charge a mobile phone using a charging jack which is generally used.

즉, 젠더는 핸드폰과 충전잭을 연결시켜주기 위한 중간매체로서의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사용자는 자신이 원하는 경우 언제든지 충전을 할 수 있도록 젠더를 핸드폰의 연결고리 등에 연결하여 항상 휴대하고 다니고 있다.In other words, the gender performs a function as an intermediate medium for connecting the mobile phone and the charging jack, and the user always carries the gender connected to the connection ring of the mobile phone so that the user can charge at any time.

한편, 자신만의 개성을 살릴 수 있는 다양한 장신구들을 핸드폰의 연결고리에 연결시켜 사용하고 있는 신세대 사용자들에게는, 단순히 충전을 위한 용도만으로 사용되는 젠더를 핸드폰의 연결고리에 항상 연결시켜 휴대하고 다니는 것은, 거추장스럽게 느껴지고 있다. On the other hand, for the new generation of users who use various ornaments that can make use of their own personality by connecting them to their cell phone rings, carrying a gender that is used only for charging is always connected to the cell phone link. , It feels cumbersome.

즉, 신세대 사용자들에게 있어서 종래의 젠더는 충전을 위해 어쩔 수 없이 소지하고 다녀야 하지만 거추장스러운 존재로 부각되고 있다. In other words, for the new generation of users, the conventional gender is forced to be carried for charging, but it is becoming a cumbersome existence.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 단말기의 충전 또는 사용자 단말기와 컴퓨터 간의 데이터통신 중계를 위해 사용자 단말기와의 착탈시 다양한 음향신호를 출력할 수 있는, 음향신호 출력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to provide a sound signal output device that can output a variety of sound signals when the user terminal is attached or detached for charging the user terminal or data communication between the user terminal and the computer. It is.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사용자 단말기와 연결되는 연결부; 다양한 종류의 음향신호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디지털 음향신호를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기 위한 음향신호 출력부; 데이터 통신잭 또는 충전잭과 연결되어 데이터 또는 전원을 상기 연결부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및 상기 연결부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와의 탈부착이 감지된 경우 상기 음향신호 출력부를 구동하여 상기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음향신호가 상기 음향신호 출력부를 통해 출력되도록 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connected to the user terminal; A storage unit for storing various types of sound signals, an audio signal output unit for outputting a digital sound signal stored in the storage unit through a speaker; An interface connected with a data communication jack or a charging jack to transmit data or power to the user terminal through the connection unit; And a controller for driving the sound signal output unit to output the sound signal stored in the storage unit through the sound signal output unit when the attachment / detachment with the user terminal is detected through the connection unit.

본 발명은 사용자 단말기의 충전 또는 사용자 단말기와 컴퓨터 간의 데이터통신 중계를 위해 사용자 단말기와의 착탈 시 다양한 음향신호를 출력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다양한 즐거움을 줄 수 있다는 우수한 효과를 가지고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xcellent effect of providing a variety of enjoyment to the user by outputting a variety of sound signals when the user terminal is attached to or detached from the user terminal for charging or data communication relay between the user terminal and the computer.

또한, 본 발명은 다양한 종류의 광고음향을 출력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음향신호 출력 장치를 공급하거나, 또는 본 발명에 따른 음향신호 출력 장치를 홍보물로 이용하고자 하는 업체에게 광고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는 우수한 효과를 가지고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by outputting various kinds of advertising sound, it is possible to supply the sound signal outpu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r to provide the advertising effect to companies that want to use the sound signal outpu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a promotional material. Has an excellent effect.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음향신호 출력 장치가 핸드폰 고리에 연결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음향신호 출력 장치를 구성하는 본체와 커버가 분리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음향신호 출력 장치를 이용하는 다양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음향신호 출력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음향신호 출력 장치의 본체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음향신호 출력 장치의 전면을 나타낸 예시도.
1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ound signal output device according to the invention is connected to the mobile phone ring.
2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main body and a cover constituting the sound signal outpu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separated.
3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various states using the sound signal outpu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n audio signal outpu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a main body of an audio signal outpu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front surface of an audio signal outpu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상세히 설명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음향신호 출력 장치가 핸드폰 고리에 연결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이하의 설명 중, 본 발명에 따른 음향신호 출력 장치는, 본체(200)만을 가리키는 것일 수도 있으며, 본체(200)와 커버(100)를 총칭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도 있다.1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ound signal output device according to the invention is connected to the mobile phone ring.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sound signal outpu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dicate only the main body 200 or may be used as a generic term for the main body 200 and the cover 100.

본 발명에 따른 음향신호 출력 장치(900)는 핸드폰, MP3 플레이어, PDA, 노트북 컴퓨터 등과 같이 휴대하고 다니면서 사용자들이 이용할 수 있는 단말기(이하, 간단히 '사용자 단말기'라 함)(800)에 착탈가능하도록 사용되는 것으로서, 사용자가 음향신호 출력 장치(900)를 사용자 단말기(800)에 착탈 시킬 때, 다양한 종류의 음향신호를 출력함으로써, 사용자가 자신만의 개성을 살릴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audio signal output device 9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detachable to a terminal (hereinafter, simply referred to as a 'user terminal') 800 that can be used by users while carrying it, such as a mobile phone, an MP3 player, a PDA, a notebook computer, or the like. As used, when the user attaches or detaches the sound signal output device 900 to the user terminal 800, the user outputs various types of sound signals, thereby enabling the user to utilize his or her personality.

즉, 본 발명은,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기(800)를 충전시키기 위한 목적 또는 사용자 단말기와 컴퓨터(PC) 간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목적 등으로, 본 발명에 따른 음향신호 출력 장치(900)를 사용자 단말기(800)에 장착할 때, 기 저장되어 있는 다양한 종류의 음향신호를 출력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기(800, 도 1에서는 사용자 단말기로 핸드폰이 도시되어 있음)의 고리에 연결된 고리끈에 연결되어, 사용자 단말기(800)와 함께 휴대가 용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ound signal output device 9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the purpose of charging the user terminal 800 or for data transmission between the user terminal and the computer (PC). When mounted to the 800, to output various kinds of pre-stored sound signal, as shown in Figure 1, the ring of the user terminal (800, mobile phone is shown as a user terminal in Figure 1) Is connected to the ring strap connected to, is configured to be easy to carry with the user terminal 800.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음향신호 출력 장치를 구성하는 본체와 커버가 분리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Figure 2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main body and the cover constituting the sound signal outpu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separated.

본 발명에 따른 음향신호 출력 장치(900)는, 본체(200)와 커버(100)로 구성되어 있으며, 사용자 단말기(800)의 고리(810)에 연결되어져 있는 고리끈(820)의 연결고리(830)에 커버(100)의 연결고리(110)가 연결되어 있어서,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800)와 함께 본 발명에 따른 음향신호 변환장치(900)를 항상 휴대하고 다닐 수 있다.The sound signal output device 9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200 and a cover 100, and a ring of a ring strap 820 connected to the ring 810 of the user terminal 800 ( Since the connection ring 110 of the cover 100 is connected to the 830, the user can always carry the sound signal conversion device 9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gether with the user terminal 800.

여기서, 사용자 단말기(800)는 핸드폰과 같이, 음성 통화가 가능한 단말기가 될 수 있다. 따라서, 핸드폰 외에도, 사용자가 휴대하고 다니며 음성 통화를 할 수 있는 각종 전자장치들, 예를 들어, 음성 통화가 가능한 PDA, MP3, 노트북 등도 사용자 단말기에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적용되는 사용자 단말기는 반드시 음성 통화를 지원해야 하는 것은 아니다.Here, the user terminal 800 may be a terminal capable of a voice call, such as a mobile phone. Therefore, in addition to a mobile phone, various electronic devices that a user can carry and make a voice call, for example, a PDA, an MP3, a laptop, etc., capable of a voice call, may be included in the user terminal. However, the user terminal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necessarily support a voice call.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음향신호 출력 장치(900)를 사용자 단말기(800)의 고리끈(820)에 연결시킨 상태에서 휴대하고 다니던 사용자는 필요한 경우, 커버(100)와 본체(200)를 분리한 후, 본체(200)의 연결부(210)를 사용자 단말기(800)의 커넥터(840)에 연결시켜 사용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user who carried the sound signal output device 9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nected to the ring strap 820 of the user terminal 800, if necessary, the cover 100 and the main body 200 After the separation, the connection portion 210 of the main body 200 may be connected to the connector 840 of the user terminal 800 to be used.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음향신호 출력 장치는 상기한 바와 같이 본체(200) 및 커버(100)로 분리되어 있으며, 커버(100)는 전체의 외관을 형성하는 커버하우징(120)의 일측에, 연결고리(110)가 형성되어 있는 상태로 구성되어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sound signal output device according to the invention is separated into the main body 200 and the cover 100 as described above, the cover 100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cover housing 120 to form the overall appearance It is comprised in the state in which the ring 110 is formed.

여기서, 상기 연결고리(110)는 사용자 단말기(800)의 연결고리(830)와 나사 결합 방식 또는 후크 결합 방식과 같은 다양한 방법에 의해 체결될 수 있다.Here, the connection ring 110 may be fastened by various methods such as a connection ring 830 of the user terminal 800, a screw coupling method or a hook coupling method.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음향신호 출력 장치를 이용하는 다양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3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various states using the sound signal outpu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800)의 충전 또는 컴퓨터(PC)와 사용자 단말기(800) 간의 데이터 업로드 등을 위해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음향신호 출력 장치(900)의 본체(200)를 커버(100)로부터 분리한 후, 본체(200)의 연결부(210)를 사용자 단말기(800)의 커넥터(840)에 연결시킬 수 있다. 이때, 사용자 단말기(800)는 커넥터(840)를 통해 음향신호 출력 장치(900)가 삽입되었음을 확인하며, 음향신호 출력 장치(900)는 커넥터(840)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게 된다.First, as shown in (a) of FIG. 3, the user may charge the user terminal 800 or upload data between the computer PC and the user terminal 800, and the like. After separating the main body 200 of the cover 100 from the cover 100, the connection portion 210 of the main body 200 may be connected to the connector 840 of the user terminal 800. At this time, the user terminal 800 confirms that the sound signal output device 900 is inserted through the connector 840, and the sound signal output device 900 is supplied with power through the connector 840.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음향신호 출력 장치(900)에서, 본체(200)는 사용자 단말기(800)로부터 전송된 전원에 의해 구동되어, 기 저장되어 있는 음향신호를 스피커를 통해 출력한다. 즉, 본 발명은 사용자가 음향신호 출력 장치(900)를 사용자 단말기(800)에 장착하는 경우, 음향신호 출력 장치(900)에 저장되어 있는 음향신호를 음향신호 출력장치(900)에 탑재되어 있는 스피커를 통해 출력해 줌으로써, 사용자에게 새로운 즐거움을 주기 위한 것을 목적으로 한다. At this time, in the sound signal output device 9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ain body 200 is driven by the power transmitted from the user terminal 800, and outputs the pre-stored sound signal through the speaker. That is, when the user mounts the sound signal output device 900 to the user terminal 800, the sound signal stored in the sound signal output device 900 is mounted on the sound signal output device 900. By outputting through the speaker, it aims to give the user a new pleasure.

여기서,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는 음향신호는 다양한 종류가 될 수 있는바, 이에 대하여는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된다. Here, the sound signal output through the speaker may be of various kinds, which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4.

한편, 본 발명은 사용자가 음향신호 출력 장치(900)를 사용자 단말기에 장착한 상태에서도 휴대하고 다닐 수 있도록, 음향신호 출력 장치(900)를 슬림화하였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사용자 단말기(800)와 연결되는 연결부(210)와, 사용자 단말기(800)를 충전시키기 위한 충전잭과 연결되는 인터페이스(230)가 수직(90°)을 이루도록 구성하였다. 즉, 본 발명은 연결부(210)와 인터페이스(230)가 본체(200)의 하우징(240)에 서로 90°를 이룬 상태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크기가 작고 슬림하게 구성될 수 있으며, 따라서, 사용자는 음향신호 출력 장치(900)를 탈부착할 필요 없이, 항상 사용자 단말기(800)에 장착시킨 상태로 이용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the present invention slimmer the sound signal output device 900 so that the user can carry and carry the sound signal output device 900 in the state mounted on the user terminal. To this end,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such that the connector 210 connected to the user terminal 800 and the interface 230 connected to the charging jack for charging the user terminal 800 form a vertical (90 °). That is,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connection portion 210 and the interface 230 are connected to the housing 240 of the main body 200 at 90 ° to each other, as shown in FIG. It may be configured to be small in size and slim, and thus, the user may always use the state in which the sound signal output device 900 is mounted on the user terminal 800 without being attached or detached.

다음으로,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800)를 충전시키고자 하는 경우, 또는 컴퓨터(PC)와 사용자 단말기(800) 간에 데이터 업로드 등을 실행하고자 하는 경우, 데이터 통신잭(700) 또는 충전잭(700)을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200)의 하우징(240)을 기준으로, 연결부(210)와 90°를 이루고 있는 인터페이스(230)에 삽입시킴으로써, 사용자 단말기(800)를 충전시키거나 또는 사용자 단말기(800)와 컴퓨터 간의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인터페이스(230)는 평상시에는 인터페이스 커버(231)에 의해 덮혀짐으로써, 이물질이 인터페이스(230)에 삽입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Next, when the user wants to charge the user terminal 800, or if the user wants to upload data between the computer (PC) and the user terminal 800, etc., the data communication jack 700 or the charging jack 700 As shown in FIG. 3 (b), the user terminal 800 is inserted into the interface 230 formed at 90 ° with the connection part 210 based on the housing 240 of the main body 200. Charging or data communication between the user terminal 800 and the computer may be performed. Here, the interface 230 is normally covered by the interface cover 231, thereby preventing foreign substances from being inserted into the interface 230.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음향신호 출력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예시도이다.4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n audio signal outpu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기한 바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음향신호 출력 장치(900)는 사용자 단말기(800)와 연결되는 연결부(210), 다양한 종류의 음향신호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290), 저장부(290)에 저장되어 있는 디지털 음향신호를 아날로그 음향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DAC(디지털 아날로그 컨버터)부(292), DAC부(292)로부터 전송된 음향신호를 증폭시켜 스피커를 구동하기 위한 스피커 구동부(AMP)(294), 스피커 구동부(294)에 의해 전송된 음향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296), 연결부(210)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800)와의 탈부착이 감지된 경우 DAC부(292)를 구동하여 음향신호가 스피커(296)를 통해 출력되도록 하기 위한 제어부(250), 데이터 통신잭 또는 충전잭과 연결되어 데이터 또는 전원을 연결부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800)로 전송하기 위한 인터페이스(230), 사용자로부터 각종 제어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사용자 입력부(220) 및 각종 정보를 시각적으로 출력하기 위한 디스플레이(2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In order to perform the above functions, the sound signal output device 9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nnection unit 210 connected to the user terminal 800, a storage unit 290 for storing various types of sound signals, A speaker for driving the speaker by amplifying the sound signal transmitted from the DAC (Digital Analog Converter) unit 292 and the DAC unit 292 for converting the digital sound signal stored in the storage unit 290 into an analog sound signal. DAC unit 292 when detachment with the user terminal 800 is detected through the driver AMP 294, the speaker 296 for outputting the sound signal transmitted by the speaker driver 294, and the connection unit 210. Interface 230 for transmitting data or power to the user terminal 800 through a control unit 250 is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250, a data communication jack or a charging jack to output the sound signal through the speaker 296 , Four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display 260 for visual output to the user input unit 220 and various kinds of information for receiving various control signals from the chair.

연결부(210)는 사용자 단말기(800)의 커넥터(840)와 연결되는 것으로서, 제어부(250)는 연결부(210)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800)와의 탈부착을 인지할 수 있다. 한편, 연결부(210)는 인터페이스(230), 저장부(290), DAC부(292), 스피커 구동부(294), 제어부(250) 등이 장착되어 있는 인쇄회로기판(이하, 간단히 '제어패널'이라 함) 상에서 인터페이스(230)와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The connection unit 210 is connected to the connector 840 of the user terminal 800, the control unit 250 may recognize the attachment and detachment with the user terminal 800 through the connection unit 210. On the other hand, the connection unit 210 is a printed circuit board (hereinafter, simply 'control panel') is equipped with an interface 230, a storage unit 290, a DAC unit 292, a speaker driver 294, a control unit 250, etc.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in the vertical direction with the interface 230 on the.

인터페이스(230)는 데이터 통신잭 또는 충전잭과 연결되는 것으로서, 데이터 통신잭을 통해 연결되어 있는 컴퓨터와 사용자 단말기(800) 간의 데이터통신을 중계하는 기능을 수행할 뿐만 아니라, 충전잭을 통해 연결되어 있는 외부전원공급장치로부터 전송된 전원을 연결부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800)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The interface 230 is connected to a data communication jack or a charging jack, and performs a function of relaying data communication between the computer and the user terminal 800 connected through the data communication jack, and is connected through a charging jack. It may perform a function of transmitting the power transmitted from the external power supply to the user terminal 800 through the connection.

저장부(290)는 다양한 종류의 음향신호를 저장하기 위한 것으로서, 음향신호는 사용자가 선호하는 노래 또는 음악(이하, 간단히 '노래음향'이라 함)이 될 수도 있고, 다양한 종류의 벨소리(이하, 간단히 '벨음향'이라 함)가 될 수도 있고, 사용자가 직접 생성한 음성(이하, 간단히 '녹음음향'이라 함)일 수도 있으며, 음향신호 출력 장치(900)를 판매하거나 또는 음향신호 출력 장치(900)를 홍보 목적의 판촉물로 제공하고자 하는 업체가 자신을 홍보하기 위한 홍보용 음원(이하, 간단히 '광고음향'이라 함)일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한 바와 같은 다양한 종류의 음향신호들은 음향신호 출력 장치(900)가 판매되거나 제공될 때, 미리 저장부에 저장된 것일 수도 있으며, 사용자가 인터페이스(230)를 통해 컴퓨터와 같은 음향신호 제공 매체로부터 다운로드 받은 것일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은 기저장되어 있는 음향신호를 이용할 수도 있으나, 사용자가 다양한 음향신호를 자신의 취향에 맞게 업로드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다양한 음향신호를 출력하는 방법을 다양한 모드로 설정하여 저장부에 저장할 수 있다. The storage unit 290 is for storing various kinds of sound signals, and the sound signal may be a song or music (hereinafter, simply referred to as 'song sound') that the user prefers, and various kinds of ringtones (hereinafter, It may simply be a 'bell sound', or may be a voice directly generated by a user (hereinafter, simply referred to as a 'recording sound'), or may sell an audio signal output device 900 or may output an audio signal output device ( A company that wants to provide 900 as a promotional object may be a promotional sound source (hereinafter, simply referred to as “advertising sound”) for promoting itself. Here, the various types of sound signals as described above may be previously stored in the storage unit when the sound signal output device 900 is sold or provided, and the user may provide a sound signal providing medium such as a computer through the interface 230. It may be downloaded from. 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may use the pre-stored sound signal, but the user can upload and use various sound signals according to their tastes.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tored in the storage unit by setting the method for outputting various sound signals in various modes.

즉, 제1모드는 저장되어 있는 음향신호를 순차적으로 출력하는 방법으로서, 부착시 제1음향신호가 출력되고, 탈착시 제2음향신호가 출력되며, 또 다시 부착시 제3음향신호가 출력되도록 하는 방법이다. 여기서 음향신호의 출력 순서는 저장된 순서가 될 수 있다.That is, the first mode is a method of sequentially outputting the stored sound signals, so that the first sound signal is output when attached, the second sound signal is output when detached, and the third sound signal is output again when attached. That's how. Here, the output order of the sound signal may be a stored order.

제2모드는 저장되어 있는 음향신호를 랜덤하게 출력하는 방법으로서, 탈부착시 제어부가 기 저장되어 있는 음향신호들 중 어느 하나를 랜덤하게 선택하여 출력하는 방법이다.The second mode is a method of randomly outputting stored sound signals, and when detaching and detaching, the control unit randomly selects and outputs any one of the pre-stored sound signals.

제3모드는 제1모드와 같이 순차적으로 음향신호를 출력하되, 사용자가 설정해 놓은 시간이 경과해야 다음 차례의 음향신호가 출력되도록 하는 방법이다.The third mode is a method of outputting sound signals sequentially as in the first mode, but outputting the next sound signal only after a time set by the user.

이 외에도 본 발명은 다양한 모드를 통해 음향신호의 출력방법을 사용자가 선택하도록 할 수 있으며, 선택된 모드에 대한 정보는 저장부에 저장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may allow a user to select a sound signal output method through various modes, and information on the selected mode is stored in the storage unit.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은 모드의 선택은 PC 와 연결된 상태에서 실행되는 프로그램 또는 이하에서 설명될 사용자 입력부(220)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PC에서 실행되는 프로그램에 의한 설정은 일반적으로 적용되는 기능이 적용될 수 있으므로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된다.On the other hand, the selection of the mode as described above may be made through a program executed in the state connected to the PC or the user input unit 220 to be described below. Since the setting by a program running on a PC can be applied to a generally applied function,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DAC부(292), 스피커 구동부(294), 스피커(296)는 저장부(290)에 저장되어 있는 음향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것으로서, 총칭하여 음향신호 출력부라 하며, 현재 음원재생 장치에서 일반적으로 적용되는 기능이 적용될 수 있음으로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된다.The DAC unit 292, the speaker driver 294, and the speaker 296 are used to output sound signals stored in the storage unit 290, collectively referred to as sound signal output units, and are generally applied to current sound source reproducing apparatus. Detailed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since the functions may be applied.

사용자 입력부(220)는 상기한 바와 같이, 음향신호 출력 장치(900)의 온오프를 위한 온오프 제어신호 또는 상기한 바와 같은 음향신호의 출력 방법을 설정하기 위한 모드선택 제어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다양한 제어신호들을 하나의 사용자 입력부를 통해 입력받는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이에 대하여는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된다.As described above, the user input unit 220 receives an on-off control signal for turning on or off the sound signal output device 900 or a mode selection control signal for setting an output method of the sound signal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a feature of receiving various control signals as described above through a single user input unit. Thi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5.

디스플레이(260)는 음향신호 출력 장치(900)의 각종 상태 또는 모드 정보를 시각적으로 출력하기 위한 것으로서, 제어부(250)의 제어에 의해 구동된다. 이에 대하여는 도 6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The display 260 is for visually outputting various state or mode information of the sound signal output device 900 and is driven by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250. Thi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6.

제어부(250)는 상기 구성요소들의 기능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마이크로 칩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controller 250 performs a function of controlling the functions of the components, and may be configured as a microchip.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음향신호 출력 장치의 본체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예시도이다.5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a main body of an audio signal outpu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음향신호 출력 장치(900)의 본체(200)는 하우징(240)의 내부에, 저장부(290), DAC부(292), 스피커 구동부(294), 제어부(250) 등이 형성되어 있는 제어패널(280)이 장착되어 있는 것으로서, 이를 위해 하우징(240)은 본체의 전면을 커버하기 위한 전면하우징(241) 및 본체의 배면을 커버하기 위한 배면하우징(242)으로 구성되어 있다. The main body 200 of the audio signal output device 9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torage unit 290, a DAC unit 292, a speaker driver 294, a controller 250, and the like inside the housing 240. The control panel 280 is mounted, the housing 240 is composed of a front housing 241 for covering the front of the main body and a rear housing 242 for covering the rear of the main body.

한편, 본 발명은 연결부(210)와 인터페이스(230)를 제어패널(280) 상에서 수직으로 형성하여 본체(200)의 부피를 슬림화하고 있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210)와 인터페이스(230)는 제어패널(280) 상에서 수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때, 연결부(210)는 배면하우징(242)의 배면에 형성되어 있는 연결부홈을 통해 제어패널(280)에서 돌출되어 하우징(240)의 외부로 돌출되어 있고, 인터페이스(230)는 배면하우징(240)의 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인터페이스홈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어 있으며, 인터페이스(230)는 상기한 바와 같이 인터페이스커버(231)에 의해 덮혀져 있을 수 있다.Meanwhile,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nection part 210 and the interface 230 are formed vertically on the control panel 280 to slim down the volume of the main body 200. As shown in FIG. The 210 and the interface 230 are vertically formed on the control panel 280. In this case, the connection part 210 protrudes from the control panel 280 through the connection part groove formed in the rear surface of the rear housing 242 and protrudes out of the housing 240, and the interface 230 is the rear housing 240.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interface groove formed on the side of the), the interface 230 may be covered by the interface cover 231 as described above.

사용자 입력부(220)는 도 2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하우징(241)의 외부면을 감싼 상태로 형성되어 있으며, 사용자 입력부(220)의 돌출부(221)는 전면하우징(241)에 형성된 돌출부홈(241a)을 통해 본체의 내부로 돌출되어 있다. 이때, 사용자 입력부(220)의 돌출부(221)는 본체가 정상적으로 조립된 경우, 제어패널(280)에 형성되어 있는 스위치(281)와 인접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사용자 입력부(220)를 누르게 되면, 돌출부(221)가 스위치(281)를 누르게 되며, 제어부(250)는 스위치(281)가 눌려지는 상태를 파악하여 음향신호 출력 장치(900)의 전원을 온 또는 오프시키거나, 음향신호를 출력하는 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결부(210)가 사용자 단말기(800)와 연결되면 음향신호 출력 장치(900)가 전원을 공급받아 온 상태로 전환된 후, 음향신호를 출력하게 되며, 이 상태에서, 즉, 온 상태에서 기 설정된 시간(예를 들어, 3~5초) 동안 사용자 입력부(220)가 눌려지면, 제어부(250)는 사용자 입력부(220)의 신호를 오프 제어신호로 인식하여 음향신호 출력 장치(900)를 오프시킬 수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오프를 위한 시간보다 긴 시간(예를 들어, 5~10초) 동안 사용자 입력부가 눌려지면, 제어부는 사용자 입력부(220)의 입력신호를 모드선택 제어신호로 인식하여 순차적으로 모드정보를 디스플레이(260)에 표시할 수 있다. 즉, 제어부(250)는 모드선택 제어신호로 판단되는 신호가 입력되면, 기 저장되어 있는 모드의 종류를 순차적으로 일정시간(예를 들어, 3~5초) 동안 디스플레이(260)로 출력할 수 있으며, 특정 모드가 출력되어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 입력부(220)로부터의 신호가 중지되면, 현재 선택되어진 모드를 음향신호 출력 모드로 설정하여 사용자 단말기(800)에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모드 정보 또는 모드번호는 스피커를 통해 출력될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은 하나의 버튼으로 구성된 사용자 입력부(220)를 이용하여 다양한 제어신호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음향신호 출력 장치(900)의 크기를 최소화시키고 있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As shown in FIGS. 2 and 5, the user input unit 220 is formed to surround the outer surface of the front housing 241, and the protrusion 221 of the user input unit 220 is disposed on the front housing 241. It protrudes into the main body through the formed protrusion groove 241a. In this case, the protrusion 221 of the user input unit 220 is configured to be adjacent to the switch 281 formed in the control panel 280 when the main body is normally assembled. Therefore, when the user presses the user input unit 220, the protrusion 221 presses the switch 281, and the controller 250 determines the state in which the switch 281 is pressed to determine the state of the sound signal output device 900. The mode for turning on or off the power or for outputting a sound signal can be selected. For example, when the connection unit 210 is connected to the user terminal 800, the sound signal output device 900 is switched on to receive power, and then outputs a sound signal. In this state, that is, on When the user input unit 220 is pressed for a preset time (for example, 3 to 5 seconds) in the state, the controller 250 recognizes a signal of the user input unit 220 as an off control signal and outputs an acoustic signal output device 900. ) Can be turned off. However, if the user input unit is pressed for a longer time (eg, 5 to 10 seconds) than the time for off as described above, the controller recognizes the input signal of the user input unit 220 as a mode selection control signal and sequentially Mode information may be displayed on the display 260. That is, when a signal determined as a mode selection control signal is input, the controller 250 may sequentially output the types of pre-stored modes to the display 260 for a predetermined time (for example, 3 to 5 seconds). When the signal from the user input unit 220 is stopped while a specific mode is output, the currently selected mode may be set as the sound signal output mode and stored in the user terminal 800. Meanwhile, the mode information or mode number may be output through the speaker. 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has a feature of minimizing the size of the sound signal output device 900 by allowing various control signals to be input using the user input unit 220 composed of one button.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음향신호 출력 장치의 전면을 나타낸 예시도이다.6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front surface of an audio signal outpu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음향신호 출력 장치(900)는 사용자 입력부(220)가 음향신호 출력 장치(900)의 전면하우징(241)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sound signal output device 9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user input unit 220 is formed in the front housing 241 of the sound signal output device 900.

디스플레이(260)는 모드선택 제어신호 입력시, 모드번호 또는 모드에 대한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용도로 이용될 수도 있으며, 저장부(290)에 저장되어 있는 음향신호가 출력될 때, 출력되는 음향신호의 파일정보를 출력하는 용도로 이용될 수도 있다.The display 260 may be used for outputting a mode number or mode information when the mode selection control signal is input, and is output when the sound signal stored in the storage unit 290 is output. It can also be used to print file information.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해 정하여 져야만 할 것이다.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contents describ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specification, but should be defined by the claims.

100 : 커버 200 : 본체
800 : 사용자 단말기 900 : 음향신호 출력 장치
100: cover 200: main body
800: user terminal 900: sound signal output device

Claims (4)

본체와;
상기 본체를 수용하기 위한 하우징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본체는 사용자 단말기와 연결되는 연결부;
다양한 종류의 음향신호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디지털 음향신호를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기 위한 음향신호 출력부;
데이터 통신잭 또는 충전잭과의 연결에 의해 상기 연결부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데이터 또는 전원을 전송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상기 연결부 및 상기 인터페이스를 제어하여, 상기 연결부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와의 탈부착이 감지된 경우, 상기 음향신호 출력부를 구동하여 상기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음향신호가 상기 음향신호 출력부를 통해 출력되도록 하기 위한 제어부;
상기 제어부에 제어신호를 부가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부;
상기 사용자 입력부에 의해 입력된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및
상기 연결부, 저장부, 음향신호 출력부, 인터페이스, 사용자 입력부, 디스플레이가 장착되는 제어패널을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제어신호에 의해, 기기 전체가 온ㆍ오프되거나, 상기 음향신호의 출력 방식이 제어되며;
상기 연결부가 상기 인터페이스와 직각(90°)을 이루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신호 출력 장치.
A main body;
A housing for accommodating the body;
The main body is connected to the user terminal;
A storage unit for storing various kinds of sound signals;
A sound signal output unit for outputting a digital sound signal stored in the storage unit through a speaker;
An interface for transmitting data or power to the user terminal through the connection unit by connection with a data communication jack or a charging jack;
The controller controls the connection unit and the interface to drive the sound signal output unit so that the sound signal stored in the storage unit is output through the sound signal output unit when the attachment / detachment with the user terminal is detected. Control unit;
A user input unit for adding a control signal to the control unit;
A display for displaying a state input by the user input unit; And
A control panel on which the connection unit, the storage unit, the sound signal output unit, the interface, the user input unit, and the display are mounted;
The entire apparatus is turned on or off or the output method of the sound signal is controlled by the control signal input through the user input unit;
And the connection part is configured to form a right angle (90 °) with the interfac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신호 출력부는,
상기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디지털 음향신호를 아날로그 음향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디지털 아날로그 변환부(DAC부);
상기 DAC부로부터 전송된 음향신호를 증폭시켜 스피커를 구동하기 위한 스피커 구동부(AMP); 및
상기 스피커 구동부에 의해 전송된 음향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연결부와 사용자 단말기 간의 탈부착을 감지한 경우, 상기 DAC부를 구동시켜, 음향신호가 상기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신호 출력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sound signal output unit,
A digital analog converter (DAC unit) for converting the digital sound signal stored in the storage unit into an analog sound signal;
A speaker driver (AMP) for driving the speaker by amplifying the sound signal transmitted from the DAC unit; And
A speaker for outputting a sound signal transmitted by the speaker driver;
The control unit drives the DAC unit when detecting the detachment between the connection unit and the user terminal, so that the sound signal is output through the speak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신호는,
노래음향, 벨음향, 녹음음향, 또는 광고음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신호 출력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sound signal is,
Sound signal outpu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song sound, ring sound, recording sound, or advertising soun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신호는,
음향신호 제공 매체로부터 다운로드 되어 상기 저장부에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신호 출력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sound signal is,
A sound signal outpu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downloaded from the sound signal providing medium and stored in the storage.
KR1020100007821A 2010-01-28 2010-01-28 Apparatus for outputting a sound signal KR10112661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7821A KR101126615B1 (en) 2010-01-28 2010-01-28 Apparatus for outputting a sound sig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7821A KR101126615B1 (en) 2010-01-28 2010-01-28 Apparatus for outputting a sound signa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8088A KR20110088088A (en) 2011-08-03
KR101126615B1 true KR101126615B1 (en) 2012-03-26

Family

ID=449267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7821A KR101126615B1 (en) 2010-01-28 2010-01-28 Apparatus for outputting a sound signa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26615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86524A1 (en) * 2017-04-07 2018-10-11 주식회사 아이리버 Modular signal conversion apparatus and method
KR20180113880A (en) * 2017-04-07 2018-10-17 주식회사 아이리버 Modularized Signal Converting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99139A (en) * 2004-04-09 2005-10-13 삼성전자주식회사 Versatile portable charger and its control method using mobile terminal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99139A (en) * 2004-04-09 2005-10-13 삼성전자주식회사 Versatile portable charger and its control method using mobile terminal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86524A1 (en) * 2017-04-07 2018-10-11 주식회사 아이리버 Modular signal conversion apparatus and method
KR20180113880A (en) * 2017-04-07 2018-10-17 주식회사 아이리버 Modularized Signal Converting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US10931250B2 (en) * 2017-04-07 2021-02-23 Dreamus Company Modular signal conversion apparatus and method
TWI730107B (en) * 2017-04-07 2021-06-11 南韓商艾利和有限公司 Modularized signal converting apparatus and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with clock synchronizatio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KR102300544B1 (en) * 2017-04-07 2021-09-09 (주)드림어스컴퍼니 Modularized Signal Converting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TWI743127B (en) * 2017-04-07 2021-10-21 南韓商艾利和有限公司 Modularized signal converting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8088A (en) 2011-08-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26287B1 (en) Cellular phone capable of accommodating electronic device
CN101427195B (en) Power management in a portable media delivery system
KR20100082920A (en) Cover for portable terminal
US20060148405A1 (en) Bluetooth audio relay
JP2002027049A (en) Portable telephone set with audio player
KR101126615B1 (en) Apparatus for outputting a sound signal
JP2014508353A (en) Display device that can be combined with mobile terminals
CN202142274U (en)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multi-media interactive speak guide machine
KR101133811B1 (en) Earphone apparatus having display function
KR101002162B1 (en) Digital Multi-Media Wireless Portable Power Amplifier
KR20010091815A (en) A Mobile telecommunication device with the game machine
CN101950155B (en) Multifunctional intelligent alarm clock sounding device
KR200464595Y1 (en) Integrated microphone with support for portable multimedia device
CN101950154B (en) Multifunctional environment stimulation device
KR200400196Y1 (en) Earphone apparatus with memory expansion module using USB port for data linking
CN203368693U (en) Audio player
KR101268722B1 (en) Multimedia apparatus equipped with a removable control module
CN1881412B (en) System and method for displaying music player information via display device
CN203773943U (en) Portable multi-functional Bluetooth-enabled speaker
CN203465529U (en) Multifunctional intelligent watch
CN211442126U (en) Sound box and electric vehicle
KR101419051B1 (en) Moblie phone case
JP2010183799A (en) Portable electronic instrument
KR100585743B1 (en) Mobile phone with removable folder
CN201611565U (en) Automatic guide speaking machine capable of using Bluetooth headse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