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25563A - 세탁기 - Google Patents

세탁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25563A
KR20110025563A KR1020090083687A KR20090083687A KR20110025563A KR 20110025563 A KR20110025563 A KR 20110025563A KR 1020090083687 A KR1020090083687 A KR 1020090083687A KR 20090083687 A KR20090083687 A KR 20090083687A KR 20110025563 A KR20110025563 A KR 201100255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
rear wall
bearing housing
flange
hu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836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44430B1 (ko
Inventor
임희태
민선아
이규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836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4430B1/ko
Priority to CN2010101777813A priority patent/CN101838900B/zh
Publication of KR201100255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255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44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44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30Driv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02Rotary receptacles, e.g. drums
    • D06F37/04Rotary receptacles, e.g. drums adapted for rotation or oscillation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0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 D06F37/206Mounting of mot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0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 D06F37/22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in machines with a receptacle rotating or oscill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06F37/267Tubs specially adapted for mounting thereto components or devices not provided for in preceding subgroups
    • D06F37/269Tubs specially adapted for mounting thereto components or devices not provided for in preceding subgroups for the bearing of the rotary receptac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탁기의 구동부 구조를 개시한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은 세탁수를 저장하는 터브; 상기 터브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세탁물을 수용하는 드럼; 상기 드럼과 연결되는 구동축; 상기 구동축을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베어링; 상기 터브의 후벽의 외면에 장착되며, 상기 구동축과 연결되는 모터; 상기 베어링을 수용하는 허브 및 상기 허브주위에 제공되며 상기 모터의 스테이터와 결합되는 플랜지를 가지며, 상기 터브의 후벽내에 파묻히는 베어링 하우징으로 이루어지는 세탁기를 제공한다.
Figure P1020090083687
세탁기, 구동부

Description

세탁기{WASHING MACHINE}
본 발명은 세탁물을 세탁할 수 있는 세탁기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세탁기를 구동시키는 구동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탁기는 세탁물을 세제와 기계적 마찰을 이용하여 세탁하는 장치이다. 상기 세탁기는 크게 탑 로딩(top-loading) 세탁기와 프론트 로딩(front-loading) 세탁기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세탁기들은 공통적으로 세탁수를 저장하는 터브(즉, 외조) 및 상기 터브내에 위치되며 세탁물을 세탁하도록 구성되는 드럼(즉, 내조)을 갖는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탑 로딩 세탁기에서, 세탁물을 수용하는 드럼은 세탁기의 하우징내에서 세워지며, 이의 상부(top portion)에 입구가 형성된다. 따라서, 세탁물은 하우징의 상부에 형성되며 상기 드럼의 입구와 연통하는 개구부를 통해 상기 드럼내에 넣어진다. 또한, 상기 프론트 로딩 세탁기에서, 세탁물을 수용하는 드럼은 캐비닛내에서 뉘어지며, 이의 입구는 세탁기의 전면과 마주한다. 따라서, 세탁물은 상기 하우징의 전면에 형성되며 상기 드럼의 입구와 연통하는 개구부를 통해 상기 드럼내에 넣어진다. 상기 탑로딩 및 프론트 로딩 세탁기 둘 다에 있어서, 도어가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며, 상기 하우징의 개구부들을 개폐한다.
또한, 상기 세탁기의 구동구조는 크게 간접연결구조와 직접연결구조로 구별될 수 있다. 간접연결구조에 있어서, 세탁물을 수용하는 드럼 및 모터는 각각 풀리를 가지며, 이들 풀리들은 벨트에 의해 간접적으로 연결되며, 이외에도 드럼과 모터를 간접적으로 연결할 수 있는 다양한 메커니즘이 사용가능하다. 한편, 직접연결구조에 있어서, 모터의 회전자(즉, 로터)가 드럼과 직접 연결된다.
상기 프론트 로딩 세탁기는 다른 타입의 세탁기에 비해 컴팩트한 크기를 가지며, 세탁물을 손상시키지 않는다. 또한, 직접연결구조는 상기 간접연결방식과 비교할 때, 모터의 동력을 거의 손실없이 세탁조에 전달할 수 있다. 이러한 장점들로 인해 이러한 장점으로 인해 직접연결구조의 프론트 로딩 세탁기가 최근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다양한 형태의 세탁기들에 있어서, 모터는 프론트 로딩 세탁기의 경우 상기 터브의 후벽부에 배치되며, 탑로딩 세탁기의 경우 상기 터브의 바닥면에 배치된다. 특히, 직접연결구조의 경우, 동력의 효율적인 전달을 위해 터브에 직접 부착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모터는 특히 금속코어를 갖는 스테이터로 인해 상당히 무겁다. 또한, 세탁기의 작동중 상기 모터, 즉 로터는 고속으로 회전하므로, 터브에 많은 진동이 가해진다. 따라서, 상기 터브에 형성된 터브와 모터사이의 결합부는 이러한 모터의 무게와 진동에 의해 파손되기 쉽다. 이러한 이유로, 터브는 충분한 강도 및 강성을 갖는 것이 중요하다.
이외에도, 앞서 언급된 다양한 형태의 세탁기들은 세탁물을 효과적이고 편리 하게 세탁하도록 개발되어 왔으나, 예를 들어 세탁용량의 증가, 제조에 있어서의 생산성 향상 및 소음,진동의 저감과 같은 다양한 측면에서 앞으로도 지속적으로 개선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구조적으로 강화된 터브를 갖는 세탁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제조에 있어서 높은 생산성을 갖는 세탁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전체외형의 증가없이도 세탁용량을 증가시킬 수 있는 세탁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소음 및 진동을 감소시킬 수 있는 세탁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세탁수를 저장하는 터브; 상기 터브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세탁물을 수용하는 드럼; 상기 드럼과 연결되는 구동축; 상기 구동축을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베어링; 상기 터브의 후벽의 외면에 장착되며, 상기 구동축과 연결되는 모터; 상기 베어링을 수용하는 허브 및 상기 허브주위에 제공되며 상기 모터의 스테이터와 결합되는 플랜지를 가지며, 상기 터브의 후벽내에 파묻히는 베어링 하우징으로 이루어지는 세탁기를 제공한다.
상기 베어링 하우징은 상기 터브 후벽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상기 터브 후벽내에 배치된다. 또한, 상기 베어링 하우징은 전체적으로 터브 후벽에 의해 감싸 진다. 또한, 상기 베어링 하우징의 외면은 전체적으로 터브 후벽에 의해 덮힌다.
상기 플랜지는 상기 허브로부터 반경방향 바깥쪽으로 연장된다. 또한, 상기 플랜지는 상기 드럼에 인접하는 허브 끝단부로부터 연장된다. 더 나아가, 상기 플랜지는 상기 드럼에 인접하는 허브의 끝단부로부터 경사지게 연장되는 제 1 연장부를 가지며, 상기 제 1 연장부로부터 상기 허브의 중심축에 대해 수직하게 반경방향 바깥쪽으로 연장되는 제 2 연장부를 갖는다.
상기 베어링 하우징은 상기 플랜지에 제공되는 다수개의 반경방향 리브들 및 원주방향 리브들을 갖는다.
또한, 상기 베어링 하우징은 상기 플랜지에 제공되며, 상기 터브의 후벽을 수용하는 다수개의 챔버를 갖는다.
본 발명에서 베어링 하우징 및 터브 후벽의 설계 및 공정의 개선이 이루어지며, 이에 따라 상기 세탁기의 터브는 구조적으로 강화되며, 생산성이 증가된다. 더 나아가, 설계 및 공정의 개선으로 인해 세탁기의 전체외형의 증가없이도 세탁용량이 증가되며 소음 및 진동이 감소될 수 있다.
이하 상기의 목적을 구체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프론트 로딩 세탁기를 참조하여 설명되나, 실질적인 변형없이도 탑 로딩 세탁기에 적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의 일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의 내부 장치들의 일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탁기는 외형을 형성하는 하우징(10)을 가지며 그 내부에 세탁에 요구되는 각종 부품들이 설치된다. 상기 세탁기의 전방부를 형성하도록 프론트 커버(11)가 상기 하우징(10)의 전방부에 장착된다. 또한, 작동을 지시하기 위해서, 컨트롤 패널(30)이 상기 하우징(10)에 제공된다. 상기 하우징(10)의 전방부, 즉 프론트 커버(11)는 개구부를 가지며, 상기 개구부는 마찬가지로 하우징(10)에 설치되는 도어(20)에 의해 개방 및 폐쇄된다. 상기 도어(20)는 일반적으로 원형 형상을 가지나,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사각형상을 갖도록 제작될 수도 있다. 이러한 사각도어(20)는 사용자가 세탁기의 내부를 보다 잘 볼 수 있게 하며, 세탁기의 외관을 향상시키는데 유리하다. 상기 도어(20)에는 도어 글래스(21)가 설치되며, 사용자는 이러한 도어 글래스(21)에 의해 세탁물의 상태를 확인하기 위해 세탁기 내부를 내부를 들여다 볼 수 있다.
도 2에는 하우징(10)내부에 설치되는 각종 장치들이 보여진다. 먼저, 터브(30)는 상기 하우징(10) 내부에 세탁수를 저장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터브(30)는 서로 결합되는 전방부(30a)와 후방부(30b)로 이루어질 수 있다. 드럼(40)은 세탁을 위해 세탁물을 수용하며, 상기 터브(30) 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터브(30) 및 드럼(40)은 이의 입구들이 상기 하우징(10)의 전방부를 마주하도록 눕혀진다. 상기 터브 및 드럼(30,40)의 입구들은 앞서 언급된 하우징의 개구부과 연통되며, 이에 따라 일단 도어(20)가 개방되면 사용자는 상기 하우징의 개구부 및 터 브/드럼(30,40)의 입구들을 통해 세탁물을 상기 드럼(40)내에 넣을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의 개구부와 터브(30)사이에는 세탁물 및 세탁수의 누출을 방지하기 위해 개스킷(22)이 제공되며, 진동의 감소 및 세탁물의 균일한 분포를 위해 상기 터브(30)에는 밸런스 웨이트(23)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터브(30)는 재료비를 절감하는 것과 더불어 무게를 줄이기 위해 플라스틱 재질의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드럼(40)은 상기 터브(30)내의 세탁수가 그 내부로 들어오게 하는 다수개의 통공을 갖는다. 추가적으로, 상기 세탁기는 세탁물을 건조하는 기능을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건조기능을 위해, 세탁기는 비록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뜨거운 공기를 발생시키는 히터 및 발생된 뜨거운 공기를 드럼(40)내에 공급하고 순환시키기 위한 덕트 구조 및 팬을 가질 수 있다. 더 나아가 세탁 및 건조성능의 향상을 위해 세탁기는 세탁물에 스팀을 공급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비록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세탁기는 스팀을 생성시키는 가열장치 및 생성된 스팀을 드럼(40)내에 공급하기 위한 노즐 및 다양한 장치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터브(30)에는 구동장치가 설치되며, 상기 드럼(40)은 이러한 구동장치에 의해 세탁물을 세탁하도록 회전된다. 이러한 구동장치에 있어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70)가 터브(30)의 후벽부상 배치된다. 상기 모터(70)은 구동축(41)을 이용하여 드럼(30)을 직접적으로 회전시킨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구동축(41)의 전방끝단은 먼저 드럼(30)의 후벽과 결합된다. 상기 구동축(41)의 전방끝단은 상기 드럼(30)의 후벽과 직접 연결될 수 있다. 그러나, 보다 안정적인 결합 및 동력전달을 위해 상기 구동축(41)의 전방끝단은 먼저 스파이더(42)에 결합되 고, 이러한 스파이터(42)가 드럼(40)의 후벽에 장착된다. 이러한 구동축(41)은 터브(30)의 후벽부를 관통하며,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의 후방 끝단은 터브(30)의 외부에 위치한 모터(70)와 결합된다.
상기 모터(70)는 스테이터(50)과 로터(60)을 포함한다. 먼저, 스테이터(5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터브(30)의 후벽부상에 장착된다. 이러한 스테이터(50)은 이의 바닥부를 보여주는 도 5에 보다 상세하게 도시된다. 정확하게는, 도 3 및 4에 도시된 장착상태를 고려하면, 상기 스테이터(50)은 세워진 상태로 터브후벽에 설치되며, 도시된 바닥부는 터브 후벽과 인접하게 배치된다. 따라서, 실제 어셈블리의 배향에 있어서, 도 5에 도시된 바닥부는 터브(40) 후벽과 마주하는 전방부가 된다. 상기 스테이터(50)는 기본적으로 자계발생을 위해 코어를 갖는다. 도 5의 스테이터의 전체적인 외형(profile)에서 나타나는 바와 같이, 상기 코어는 링 형상의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티스(teeth)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코어는 다양한 형태로 제작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헬리컬 코어로 이루어질 수 있다. 헬리컬 코어는 소정의 형상(즉, 베이스 및 티스)을 갖는 금속 스트립을 나선형으로 감아서 만들어진다. 상기 헬리컬 코어는 소재의 손실을 줄이고 제조공정을 단순화 할 수 있다. 상기 코어의 티스부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코일(52)이 감긴다. 상기 스테이터(50)은 상기 코어를 감싸는 인슐레이터(51)을 가지며, 이러한 인슐레이터(51)는 앞서 설명된 코어에 상당하는 형상을 갖는다.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인슐레이터(51)는 코어의 베이스를 감싸는 베이스부(51a)와 코어의 티스를 감싸는 티스부(51b)를 갖는다. 한편, 앞서 설 명된 바와 같이, 헬리컬 코어는 스트립을 감아서 만들어지므로, 제작중 스트립에 많은 응력이 가해진다. 특히, 코어 베이스부의 내주면상에 많은 응력이 집중되므로, 코어 자체는 이의 내주면상에 형성되며 스테이터를 터브 후벽에 체결시키는 체결부를 갖기 어렵다. 따라서, 상기 코어 대신에 상기 인슐레이터(51)의 내주면, 즉 베이스부(51b)의 내주면상에 체결부(53)가 형성된다. 상기 체결부(53)는 상기 인슐레이터(51)의 일부에 해당한다. 즉, 상기 체결부(53)은 상기 인슐레이터(51)의 내주면으로부터 반경방향 안쪽으로 연장된다. 또한, 적절한 강도를 갖기 위해, 상기 인슐레이터(51)의 내주면의 양끝단에 걸쳐 연장된다. 상기 체결부(53)는 그 내부에 체결부재가 관통하는 체결공(53a)를 가지며, 이러한 체결공(53a)을 보강하기 위해 별도의 관 형태의 보강부재가 상기 체결공(53a)내에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체결부(53) 및 체결부재를 이용하여, 상기 스테이터(50)는 터브(30)의 후벽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로터(6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테이터(50)을 감싸도록 구성되며, 이에 따라 상기 스테이터(50)는 상기 로터(60)의 내부에 배치된다. 즉, 상기 로터(60)는 아우터 로터에 해당하며, 이러한 로터 및 스테이터의 배치로 인해 상기 모터(70)은 아우터 로터 모터에 해당한다. 상기 로터(60)는 이의 중앙부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 프레임(61)와 상기 제 1 프레임(61)로부터 로터의 중심축에 나란하게 연장되는 제 2 프레임(62)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프레임(61)의 중앙부에는 관통공을 갖는 허브(60a)가 형성된다. 상기 제 2 프레임(62)은 상기 스테이터(50)의 티스들에 소정간격으로 이격되며, 이러한 티스들의 끝단면에 나란하게 연장된다. 또한, 상기 제 2 프레임(62)의 내주면상에는 안착부가 형상되며, 영구자석(63)이 상기 스테이터(60)의 티스들을 마주하도록 상기 안착부상에 배치된다. 더 나아가,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프레임(61)은 소정각도로 경사진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 1 프레임(61)은 상기 스테이터(50) 또는 터브(30)을 향해 경사진다. 따라서, 상기 제 1 프레임(61)은 보다 컴팩트해지며, 이에 따라 인접하는 다른 장치들 및 하우징의 벽체과 간섭하지 않는다. 상기 터브(30)가 모터(70)과 함께 경사지게 배치되는 경우에도, 이미 경사지게 형성된 제 1 프레임(61)으로 인해 로터(60)은 인접하는 하우징(10)의 벽을 향해 돌출되지 않는다. 오히려, 상기 터브(30) 및 모터(70)가 경사지게 배치되는 경우, 상기 경사진 제 1 프레임(61)은 소정의 간격을 유지하면서 인접하는 하우징(10)의 벽과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로터(60)는 앞서 설명된 제 1 프레임(61)으로 인해 하우징(10)의 벽과 간섭되지 않는다. 이러한 이유로, 세탁기가 경사진 터브(30), 드럼(40) 및 모터(70)을 갖는 경우에도, 로터(60)와의 간섭을 피하기 위해 하우징(10)을 확장시킬 필요가 없으며, 오히려 하우징(10)의 크기를 축소시킬 수도 있다.
상기 로터(60)는 상기 구동축(41)과 결합하기 위해 커넥터(64)를 이용한다. 상기 커넥터(64)는 먼저 상기 로터의 허브(60a)에는 끼워지며, 체결부재를 이용하여 로터(60) 정확하게는 제 1 프레임(61)과 결합된다. 또한, 상기 구동축(41)의 후방 끝단부는 상기 커넥터(64)내에 삽입되며, 체결부재(64a)를 이용하여 상기 커넥터(64)와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로터(60)은 상기 구동축(41)과 결합된 커넥 터(46)과 다시 결합함으로써 상기 구동축(41)과 결합되며, 이에 따라 회전력을 상기 구동축(41)에 연결된 드럼(40)에 직접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커넥터(64)는 전기 절연물질인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지며, 전기가 로터(60)로부터 구동축(41)을 통해 드럼(40)까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상기 커넥터(64)는 사용자가 감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플라스틱 커넥터(64)는 진동도 어느정도 감쇄시키므로, 상기 커넥터(64)에 의해 고속회전중 발생되는 로터(60)의 진동이 구동축(41)에 전달되지 않는다.
상기 구동축(41)은 상기 모터(70)에 의해 고속으로 회전하며, 동시에 드럼(40) 뿐만 아니라 세탁물 및 세탁수의 무게가 상기 구동축(41)에 주어진다. 따라서, 상기 구동축(41)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베어링(43)이 제공된다. 이와 같은 베어링(43)을 구동축(41)에 제공하기 위해서는 상기 베어링(43)을 지지하고 고정시킬 수 있는 구조가 요구되며, 이러한 목적으로 베어링 하우징(100)이 세탁기에 제공된다. 이와 같은 베어링 하우징(100)은 도 3, 도 4 뿐만 아니라 도 6-9에 상세하게 도시된다. 먼저 도 3은 베어링 하우징과 터브의 어셈블리의 단면을 도시하며, 후술되는 베어링 하우징의 플랜지와 원주방향 리브들을 잘 보여주도록 도 12의 I-I선을 따라 얻어진다. 도 4도 베어링 하우징과 터브의 어셈블리의 단면을 도시하며, 주로 후술되는 반경방향 리브들을 잘 보여주도록 도 12의 II-II선을 따라 얻어진다. 상기 도 3 및 도 4는 이미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터브(30)에 장착되는 구동축(41), 스파이더(42), 스테이터(50), 로터(60)의 단면도 함께 보여준다. 또한, 도 6-9는 상기 베어링 하우징의 사시도들, 평면도, 측면도를 각각 도시한다.
상기 베어링 하우징(100)은 앞서 언급된 도면들에서 모두 잘 나타나는 바와 같이, 베어링 (43)을 수용하는 허브(110)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어링 하우징(100)은 상기 스테이터(50)과 결합되는 플랜지(12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플랜지(120)는 상기 허브(110)의 주위에 제공된다. 상기 허브(110)와 플랜지(120)는 서로 별도의 부재로 형성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허브(110) 및 플랜지(120)의 일체화로 인해 상기 베어링 하우징(100)은 높은 강도 및 강성을 갖게 되며, 이에 고정되는 스테이터(50)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상기 베어링 하우징(100), 즉 허브(110) 및 플랜지(120)는 또한, 상기 터브(30)와 일체화된다. 정확하게는 상기 베어링 하우징(100), 즉 허브(110) 및 플랜지(120)와 터브(30)의 후벽이 일체화된다. 이러한 일체화를 위해 여러가지 방법이 적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인서트 인젝션 몰딩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몰딩에 의한 결합을 위해, 상기 터브(30)는 재료비 절감 및 무게감소를 위해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지며, 금형을 이용하여 성형될 수 있다. 반면, 상기 베어링 하우징(100)은 요구되는 강도 및 강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금속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베어링 하우징(100)은 알류미늄 합금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다이캐스팅에 의해 성형될 수 있다. 상기 인서트 인젝션 몰딩에서, 상기 베어링 하우징(100)은 미리 제작되며, 터브의 금형내에 완성된 베어링 하우징(100)이 삽입된다. 정확하게는, 상기 베어링 하우징(100)은 상기 금형의 후벽부를 형성하기 위한 공간내에 미리 배치된다. 이후, 용해된 플라스틱이 상기 금형내에 주입된다. 따라서, 상기 베어링 하우징(100)과 상기 터브(30)(즉, 터브의 후벽)은 하나의 몸체를 형성한다.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상기 베어링 하우징(100)은 높은 강도 및 강성을 가지므로, 이와 같은 일체화를 통해 상기 터브(30)(즉, 터브후벽)는 구조적으로 강화될 수 있다. 또한, 만일 상기 베어링 하우징(100)이 터브 후벽과 별도로 제작되는 경우, 상기 베어링 하우징(100)을 터브(30)에 장착시키기 위한 추가적인 공정이 요구된다. 그러나,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상기 베어링 하우징(100)이 터브(30)와 일체로 형성되면, 베어링 하우징(100)을 조립하기 위한 공정 및 부재가 필요없다. 따라서, 생산 공정이 단순화되며 조립을 위한 추가적인 부재가 요구되지 않으므로, 생산단가가 저하되며 생산성이 향상된다.
또한 상기 일체화 공정에 의해 상기 베어링 하우징(100)은 상기 터브(30)의 후벽내에 삽입된다. 이러한 삽입된 베어링 하우징(100)는 터브 외부로 노출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3 및 도 4에서 상기 베어링 하우징(100)의 스테이터와 인접하는 표면들은 전체적으로 터브후벽에 의해 덮히지 않고 노출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베어링 하우징(100)을 터브 후벽으로 완전하게 감쌀 필요가 없으므로, 터브(30)를 위한 금형이 단순해질 수 있으며 생산단가가 감소될 수는 있다. 그러나, 이러한 노출된 베어링 하우징(100)은 반복적으로 주어지는 진동 및 하중에 의해 상기 터브(30)로부터 쉽게 분리될 수 있다. 따라서, 도 3 및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어링 하우징(100), 즉, 허브(110) 및 플랜지(120)는 상기 터브(30)의 후벽내에 파묻힌다 (buried). 또한, 상기 베어링 하우징(100), 즉, 허브(110) 및 플랜지(120)는 상기 터브(30)의 후벽내에 내장된다 (built-in or embeded). 즉, 상 기 베어링 하우징(100), 즉, 허브(110) 및 플랜지(120)는 상기 터브 후벽의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상기 후벽내에 배치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베어링 하우징(100), 즉, 허브(110) 및 플랜지(120)는 전체적으로 터브 후벽에 의해 감싸진다. 바꿔 말하면, 상기 베어링 하우징(100), 즉, 허브(110) 및 플랜지(120)의 외면은 전체적으로 터브 후벽에 의해 덮힌다. 다른 한편, 상기 베어링 하우징(100), 즉, 허브(110) 및 플랜지(120)는 상기 터브 후벽의 외면과 내면사이에 배치된다. 다른 한편, 적어도 상기 베어링 하우징(100), 즉, 허브(110) 및 플랜지(120)의 상기 스테이터(50)와 인접하는 표면들은 전체적으로 터브 후벽에 의해 덮힌다. 또 다른 한편, 상기 스테이터(50)과 상기 플랜지(120)사이에는 상기 터브 후벽부가 배치되며, 이러한 후벽부는 상기 플랜지(120)를 덮는다. 마찬가지로, 상기 스테이터(50)와 상기 허브(110)사이에는 상기 터브 후벽부가 배치되며, 이러한 후벽부는 상기 허브(110)를 덮는다.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은 파묻힌 베어링 하우징(100)은 기본적으로 인서트 인젝션 몰딩을 수반하므로, 일차적으로 생산성을 향상시키며 생산단가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터브후벽이 상기 베어링 하우징(100)의 외면의 전체를 덮으므로 상기 베어링 하우징(100)과 터브 후벽사이의 접촉면적이 증가되며, 결합강도도 크게 증가된다. 이러한 증가된 결합강도로 인해 결과적으로 상기 터브 후벽 자체의 강도 및 강성도 실질적으로 향상되는 결과를 가져온다. 따라서, 상기 터브 후벽 및 베어링 하우징(100)은 상기 모터(70), 특히 무거운 스테이터(50)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으며, 반복적으로 주어지는 하중 및 진동에 의해서도 파손되지 않는다.
이러한 베어링 하우징(100)을 관련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허브(110)는 상기 베어링(43)을 그 내부에 수용한다. 또한, 상기 허브(110)는 상기 베어링(43)에 의해 지지되도록 구동축(41)의 일부도 그 내부에 수용한다. 상기 허브(110)는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내부에 일정한 공간을 갖는 실린더 부재로 이루어진다. 상기 허브(110)는 터브 후벽의 중심부에 배치되며, 터브의 중심축을 따라 연장된다. 따라서, 상기 허브(110)는 드럼(40)에 인접하는 제 1 끝단(110a) 및 상기 모터(즉 로터(60) 또는 스테이터(50))에 인접하는 제 2 끝단(110b)을 갖는다. 도 3 및 도 4의 조립된 구성요소들의 실제 배향을 고려할 때, 상기 제 1 끝단(110a) 및 제 2 끝단(110b)은 상기 허브(110)의 전단부 및 후단부에 해당한다. 일반적으로 베어링(43)에 의해 지지되는 구간이 크면, 상기 구동축(41)은 보다 안정적으로 회전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허브(110)은 가능한 한 길게 연장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허브(110)는 상기 터브(30)의 후벽의 내면 또는 내측부으로부터 연장된다. 상기 터브 후벽의 내면 또는 내측부는 도 3 및 4에 도시된 터브의 실제 배향(orientation)을 고려할 때, 상기 터브(30) 후벽의 전면 및 전방부에도 해당한다. 그리고, 상기 허브(110)는 로터(60)와 구동축(41)의 결합부에 다다른다. 상기 허브(110)는 로터(60)와 구동축(41)의 결합부에 인접하게 연장되거나 이러한 결합부까지 연장된다. 즉, 상기 허브(110)는 구동축(41)의 후방 끝단에 인접하게 연장된다. 따라서, 상기 허브(110)는 상당히 큰 길이를 가지며, 상기 구동축(41)의 대부분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도록 감쌀 수 있다. 더 나아가, 상기 허브(110)는 터브(30) 후벽의 내면부터 로터(60)와 구동축(41)의 결합부까지의 큰 길이로 인해 터브(30) 후벽으로부터 소정길이로 돌출된다.
상기 허브(110)내에는 상기 구동축(41)의 보다 안정적 지지를 위해 바람직하게는 다수개의 베어링들이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전방 및 후방 베어링들(43a,43b)이 구동축(41)의 전방 및 후방부들을 지지하도록 상기 허브(110)의 전방 및 후방에 각각 설치된다. 또한, 상기 허브(110)의 내면에는 스텝부들(111)이 형성된다. 상기 베어링들(43a,43b)은 상기 스텝부들(111)에 걸리며, 이에 따라 상기 허브(110)으로부터 분리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허브(110)의 후단부, 즉 제 2 끝단부에는 홈(112)이 형성된다. 상기 홈(112)는 도 3 및 4 뿐만 아니라 도 6, 8에도 잘 도시된다. 상기 홈(112)는 정확하게는 상기 로터(60)와 마주하는 허브(110)의 끝단면에 형성되며, 원주방향으로 연장된다. 이러한 허브(110)의 끝단부의 모서리에서는 외형(profile)이 급격하게 변화되므로, 터브를 형성하는 플라스틱이 몰딩중에 이러한 모서리에 잘 도포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같은이유로, 상기 모서리에 부착된 터브의 일부는 쉽게 분리될 수 있다. 그러나, 몰딩중 용융된 플라스틱은 상기 홈(112)을 채운다. 따라서, 완성된 터브-베어링 하우징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홈(112)는 응고된 플라스틱, 즉 터브의 일부로 채워진다. 이러한 홈(112)에 의해 상기 끝단부의 모서리에서 터브는 상기 허브(110)와 보다 넓은 접촉면을 가지므로 쉽게 분리되지 않으며, 터브(30)와 허브(110)의 결합강도가 보다 증가된다.
도 3, 4, 6, 7 및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플랜지(120)는 상기 허 브(110)의 주위에 제공된다. 상기 플랜지(120)는 상기 허브(110)으로부터 반경방향 바깥쪽으로 연장된다. 상기 플랜지(120)는 상기 허브(110)의 외주상에 부분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플랜지(120)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허브(110)의 외주전체에 걸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플랜지(120)에 의해 베어링하우징(100) 뿐만 아니라 터브(30) 후벽의 강도 및 강성이 실질적으로 증가될 수 있다. 상기 플랜지(120)는 또한 상기 모터(70)에 인접하는 허브(110)의 제 2 끝단부(110b) 또는 상기 허브(110)의 중간부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그러나,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상기 허브(110)는 상기 로터(60)와 구동축(41)의 결합부까지 연장되는 큰 길이를 갖는다. 또한, 상기 터브(30)는 상기 플랜지(120)를 덮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 2 끝단부(110b) 또는 중간부에 형성된 플랜지(120)는 상기 터브(30) 후벽의 두께를 불필요하게 증가시키며 터브(30)-모터(70) 어셈블리의 후방부의 부피를 증가시킨다. 이러한 이유로, 상기 플랜지(120)는 상기 드럼(40)에 인접하는 허브(110)의 제 1 끝단부(110a)로부터 연장된다. 이러한 플랜지(120)는 상기 터브(30) 후벽의 두께를 전체적으로 감소시켜 세탁기를 컴팩트하게 만들 수 있다.
또한, 상기 플랜지(120)는 상기 허브(110)의 제 1 끝단부(110a)로부터 어떠한 경사없이, 즉 허브(110)의 중심축에 수직하게 연장될 수 있다. 그러나, 터브(30)는 기본적으로 상기 플랜지(120)를 감싸도록 형성되므로, 도 3 및 도 4의 단면도로부터 예상가능한 바와 같이, 이러한 플랜지(120)는 드럼(40)과 인접하는 터브 후벽(30)의 내면 (즉, 도면상 터브 후벽(30)의 전면)을 전체적으로 드럼(40)쪽 으로 이동시킨다. 따라서, 드럼(40)은 큰 용량을 갖도록 설계되기 어려워진다. 이러한 이유로, 상기 플랜지(120)는 상기 드럼(30)에 인접하는 허브의 끝단부, 즉 제 1 끝단부(110a)로부터 경사지게 연장되는 제 1 연장부(120a)을 갖는다. 이러한 제 1 연장부(120a)는 도시된 바와 같이, 드럼(40)으로부터 멀어지게 상기 모터(70)를 향해 경사진다. 따라서, 이러한 제 1 연장부(120a)는 터브(30)후벽의 두께를 줄이며, 큰 용량을 갖는 드럼(30)의 설계에 유리하다. 또한, 경사진 제 1 연장부(120a)는 플랜지(120)의 단면을 점선으로 표시된 영역(A)로 실제적으로 증가시키는 효과를 가져오므로, 베어링 하우징(100) 및 터브(30)의 강도 및 강성을 증가시킨다. 또한, 경사진 제 1 연장부(120a)는 터브(30)의 후벽을 가로지르므로, 터브(30) 후벽을 더욱 구조적으로 강화시킨다. 한편, 상기 플랜지(120)는 터브(30) 후벽을 강화시키기 위해 반경방향 바깥쪽으로 길게 연장되는 것이 요구된다. 그러나, 상기 플랜지(120)가 전체적으로 경사진 제 1 연장부(120a)만으로 이루어지면, 플랜지(120)의 끝단부에서 상기 플랜지(120)는 실질적으로 큰 높이를 가지게 된다. 이는 앞서 이미 언급된 바와 같이 상기 터브(30)의 두께를 증가시키는 요인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플랜지(120)는 상기 제 1 연장부(120a)로부터 경사없이 반경방향 바깥쪽으로 소정길이로 연장되는 제 2 연장부(120b)를 갖는다. 이러한 제 2 연장부(120b)는 정확하게는 상기 제 1 연장부(120a)로부터 상기 허브(110)의 중심축에 수직하게 반경방향 바깥쪽으로 연장된다. 이러한 제 2 연장부(120b)로 인해 상기 플랜지(120)는 터브(30) 후벽 및 자신의 강도 및 강성 강화에 충분한 크기를 가지며, 동시에 터브 후벽(30)의 크기를 적절하게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2 연장부(120b)는 세탁기를 컴팩트하게 하는데 있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제 1 및 제 2 연장부(120a,b)를 포함하는 플랜지(120)는 터브 후벽(30)의 반경의 2/3에 해당하는 반경을 갖도록 형성된다. 다른 한편, 도 3 및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플랜지(120)는 터브(30) 후벽의 내면(즉, 전면)에서 곡면부(25c)(도 4참조)이 시작되는 지점까지 연장된다. 이러한 크기는 상기 후벽 및 플랜지(120) 자체를 구조적으로 강화시키는데 충분하다. 또한, 상기 제 1 연장부(120a)는 적어도 인접하는 모터(70)를 넘어서, 즉, 상기 로터(60)를 넘어서 연장된다. 즉, 상기 제 1 연장부(120a)의 반경은 상기 모터(70), 즉 로터(60)의 반경보다 크다. 이러한 크기의 제 1 연장부(120a)는 터브 후벽의 두께를 증가시키지 않으며 동일크기의 터브내에서 드럼(40)용량을 증가시키도록 설계하는데 있어 유리하다. 또한, 도 3 및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및 2 연장부 이외에도, 상기 플랜지(120)는 드럼(40)에 인접하는 제 1 면(120c) 및 상기 모터(즉 로터(60) 또는 스테이터(50))에 인접하는 제 2 면(120d)을 갖는다. 도 3 및 도 4의 조립된 구성요소들의 실제 배향을 고려할 때, 상기 제 1 면(120c) 및 제 2 면(120d)은 상기 플랜지(120)의 전면 및 후면에 해당한다. 또한, 상기 플랜지(120)는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개의 통공(120e)를 가질 수 있다. 즉, 상기 베어링 하우징(100)은 상기 플랜지(120)에 형성되는 다수개의 통공(120e)을 포함한다. 이러한 통공(120e)은 몰딩중 용융된 플라스틱을 통과시킨다. 용융된 플라스틱은 상기 통공(120e)을 통해 유동하면서 상기 베어링 하우징(100)의 전체표면에 균일하게 분포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통공(120e)은 터브 후벽과 베어링 하우징(100)의 균일한 접촉을 도와주며, 결합강도를 증가시킨다. 또 한, 몰딩이 완료되면, 상기 통공(120e)은 상기 터브후벽으로 채워진다. 따라서, 이러한 통공(120e)에 의해 터브후벽과 베어링 하우징(100)의 접촉면적은 증가되며, 결합강도도 증가된다.
또한, 상기 베어링 하우징(100)은 상기 플랜지(120)상에 형성되는 체결보스(121)를 갖는다. 상기 체결보스(121)는 상기 스테이터(60)과 결합된다. 상기 체결보스(121)는 도 3, 4 및 도 6, 8에 잘 나타난다. 상기 체결보스(121)는 상기 플랜지(120)로부터 스테이터(50)를 향해 연장된다. 즉, 상기 체결보스(121)는 상기 플랜지(120)로부터 후방부를 향해 연장된다. 이러한 구성을 고려할 때, 상기 체결보스(121)는 상기 모터(70)와 인접하게 상기 플랜지(120)상에 배치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체결보스(121)는 플랜지의 제 1 면(120c)가 아닌 모터와 인접하는 제 2 면(120d)상에 배치된다. 상기 체결보스(121)는 또한 상기 허브(110)의 중심축에 실질적으로 나란하게 연장된다. 상기 베어링 하우징(1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개의 체결보스(121)를 가질 수 있으며, 이들은 상기 허브(110)의 주위에 베어링 하우징(100)의 중심으로부터 동일한 반경을 가지면서 배치된다. 또한, 이들 체결보스들(121)사이의 원주방향 거리들도 서로 동일하다. 따라서, 상기 스테이터(50)은 안정적으로 상기 체결보스들(121)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테이터(50)는 무거운 부재이므로 상기 체결보스들(121)은 스테이터의 안정적인 지지 및 고정을 위해 높은 강도 및 강성을 필요로 한다. 따라서, 상기 체결보스들(121)은 기본적으로 높은 강도 및 강성을 갖는 제 1 연장부(120a)상에 형성된다.
이와 같은 체결보스(121)는 그 내부에 체결공(121a)을 갖는다. 도 4에 잘 도 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테이터(50)의 체결부(53)는 이의 체결공(53a)과 보스의 체결공(121a)이 연통되도록 상기 체결보스들(121)상에 배치된다. 이후, 체결부재(53b)가 상기 체결공(53a)을 관통하여 체결공(121a)에 체결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체결부(53)과 체결보스(121)의 체결에 의해 상기 스테이터(50)는 상기 베어링 하우징(100)의 플랜지(120)(즉, 제 1 연장부(120a))에 결합되며, 동시에 터브(30)의 후벽상에 장착된다.
또한, 상기 베어링 하우징(100)은 도 3, 4 및 도 6,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플랜지(120)상에 형성되는 원주방향 리브들(122) 및 반경방향 리브들(124)를 갖는다. 또한, 상기 베어링 하우징(100)은 상기 플랜지(120)상에 형성되는 파티션(123)도 가질 수 있다. 상기 리브들(122,124) 및 파티션(123)은 상기 플랜지(120)로부터 모터, 즉 스테이터(50)를 향해 연장된다. 즉, 상기 플랜지(120)로부터 후방부를 향해 연장된다. 이러한 구성을 고려할 때, 상기 리브들(122,124) 및 파티션(123)은 상기 모터(70)와 인접하게 상기 플랜지(120)상에 배치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리브들(122,124) 및 파티션(123)은 모터와 인접하는 제 2 면(120d)상에 배치된다. 또한, 상기 원주방향 리브들(122) 및 파티션(123)은 상기 허브(110)의 중심축에 실질적으로 나란하게 연장된다. 이러한 리브들(122,124) 및 파티션(123)은 기본적으로 베어링 하우징(100) 뿐만 아니라 상기 터브(30)의 후벽의 강도 및 강성을 크게 증가시킬 수 있다.
상기 리브들(122,124) 및 파티션(123)을 관련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원주방향 리브들(122)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 하우징(100)은 도 6 및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허브(110)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 1 원주리브(122a)를 갖는다. 상기 제 1 원주리브(122a)는 상기 허브(110)주위에 원주방향을 따라서 연속적으로 연장된다. 또한, 상기 제 1 원주리브(122a)는 베어링 하우징(100)의 중심에 대해 일정한 반경, 즉 간격을 갖는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 1 원주리브(122a)는 상기 체결보스(121)를 서로 연결시킨다. 따라서, 상기 제 1 원주리브에 의해 상기 체결보스(121)는 구조적으로 강화된다. 또한, 상기 베어링 하우징(100)은 상기 제 1 원주리브(122a)에 인접하게 배치되며, 원주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2 원주리브(122b)를 갖는다. 즉 상기 제 2 원주리브(122b)는 반경방향으로 상기 제 1 원주리브(122a)로부터 소정간격으로 이격된다. 상기 제 2 원주리브(122b)는 베어링 하우징(100)의 중심에 대해 일정한 반경을 가지며, 상기 제 2 원주리브(122b)의 반경은 상기 제 1 원주리브(122a)의 반경보다 크다. 이러한 제 2 원주리브(122b)는 상기 플랜지(120)의 중간부의 강도 및 강성을 강화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베어링 하우징(100)은 상기 플랜지(120)의 반경방향 끝단에 형성되는 파티션(patition)(123)을 갖는다. 상기 파티션(123)은 상기 플랜지(120)의 반경방향 끝단부를 따라 원주방향으로 연장된다. 상기 파티션(123)은 적어도 상기 제 2 원주리브(122b)보다 높게 연장된다. 이러한 파티션(123)은 구조적으로 약한 플랜지(120)의 끝단을 강화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파티션(123)은 몰딩중에 용융된 플라스틱의 유동을 막으며, 이에 따라, 용융된 플라스틱에 상기 플랜지(120)상 에 머물게 한다. 즉, 용융된 플라스틱은 상기 파티션(123) 및 허브(110)사이에 가둬진다. 따라서, 상기 파티션(123)에 의해 상기 베어링 하우징(120), 특히 리브들(122,124)은 플라스틱과 균일하게 접촉하면서 터브후벽을 형성하며, 베어링 하우징과 터브후벽의 결합강도가 강화된다. 한편, 상기 파티션(123)와 플랜지(120)의 끝단이 만나는 모서리에서 베어링 하우징(100)의 외형(profile)이 크게 변화된다. 따라서, 터브 후벽이 이러한 모서리에서 쉽게 분리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상기 베어링 하우징(100)은 상기 파티션(123)으로부터 반경방향 바깥쪽으로 연장되는 보조 플랜지(123a)를 갖는다. 이러한 보조 플랜지(123a)는 실질적으로 상기 플랜지(120), 정확하게는 제 2 연장부(120b)로 부터 연장되는 추가 연장부로도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보조 플랜지(123a)에 의해 상기 모서리에서의 외형변화가 감소되며, 터브 후벽과의 접촉면적이 증가된다. 따라서, 베어링 하우징(100)과 터브 후벽사이의 결합강도는 오히려 강화된다. 또한, 상기 파티션(123)과 상기 보조 플랜지(123a)사이에는 보조 리브(123b)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보조리브(123b)는 상기 파티션(123) 뿐만 아니라 상기 보조플랜지(123a)를 구조적으로 강화한다. 더 나아가, 상기 베어링 하우징(100)은 상기 플랜지(120)의 반경방향 끝단에 형성되는 리세스(123c)를 가질 수 있다. 정확하게는, 상기 리세스(123c)는 상기 파티션(123)의 외주부에 제공된다. 상기 리세스(123c)는 몰딩시 용융된 플라스틱을 수용하며, 이에 따라 완성된 터브-베어링 하우징 어셈블리에 있어서, 터브 후벽의 일부를 수용하게 된다. 이러한 리세스(123c)는 베어링 하우징(100)과 터브 후벽과의 접촉면적을 증가시키므로, 이들의 결합강도도 함께 증가시킨다. 상기 리세스(123c)는 도 시된 바와 같이 인접하는 파티션(123), 보조 플랜지(123a), 보조 리브(123b)에 의해 상대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플랜지(120)의 반경방향 끝단의 일부 또는 상기 파티션(123)의 일부를 잘라냄으로써 형성될 수도 있다. 앞서 설명된 파티션(123), 보조 플랜지(123a), 보조 리브(123b) 및 리세스(123c)에 의해 상기 베어링 하우징(100)의 반경방향 끝단부는 구조적으로 크게 강화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반경방향 리브들(124)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 하우징(100)은 도 6 및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플랜지(120)상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반경리브(124a)를 갖는다. 강도 및 강성의 강화를 위해 바람직하게는 베어링 하우징(120)은 다수개의 제 1 반경리브(124a)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 1 반경리브(124a)는 상기 허브(110)로부터 상기 플랜지(120)의 반경방향 끝단까지 연속적으로 연장된다. 이들 제 1 반경리브들(124a)은 원주방향을 따라서 같은 간격으로 배치된다. 상기 제 1 반경리브(124a)는 도 4, 6, 9에서도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허브(110)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도록 상기 허브(100)와의 연결부에서 상기 플랜지(120)로부터 상기 허브(110)의 후방에 위치된 제 2 끝단(110b)까지 이르는 높이를 갖는다. 만일 상기 제 1 반경리브(124a)가 상기 허브(110)와의 연결부에서의 높이를 전체적으로 유지하는 경우, 상기 터브(30)은 이러한 제 1 반경리브(124a)를 덮기 위해 증가된 두께를 갖게 되며, 터브 및 세탁기의 크기가 증가될 수 있다. 따라서, 터브(30) 후벽의 두께를 증가시키지 않도록 상기 제 1 반경리브(124a)는 도시된 바와 같이, 반경방향을 따라 점차적으로 감소되는 높이를 갖는다. 즉, 제 1 반경리브(124a)의 모터에 인접하는 끝단은 플랜지(120)을 향해 경사진다. 또한, 점 차적으로 감소된 높이는 상기 허브(110)에 인접하는 상기 제 1 반경리브(124a)의 소정의 부위에 형성된다. 이러한 제 1 반경리브(124a)에 의해 터브 후벽의 두께는 증가되지 않고 스테이터(50)는 상기 터브후벽에 보다 가깝게 배치될 수 있으므로, 터브-모터 어셈블리는 보다 컴팩트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어링 하우징(100)은 도 4, 6,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플랜지(120)상에 상기 제 1 반경리브들(124a)사이에 배치되는 제 2 반경리브(124b)를 갖는다. 마찬가지로 베어링 하우징(120)은 이의 구조적 강화를 위해 다수개의 제 2 반경리브(124b)를 가질 수 있다. 이들 제 2 반경리브들(124b)은 원주방향을 따라서 같은 간격으로 배치된다. 상기 제 2 반경리브(124b)는 상기 제 1 반경리브(124a)와 마찬가지로 상기 허브(110)로부터 상기 플랜지(120)의 반경방향 끝단까지 연장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 상기 허브(110)부근에서 상기 제 1 및 제 2 반경리브(124a,124b)사이의 간격이 매우 좁아지므로, 베어링 하우징(100)의 제작이 어려워진다. 이러한 이유로, 상기 제 2 반경리브(124b)는 상기 허브(110)과 연결되지 않는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 2 반경리브(124b)는 상기 허브(110)로부터 소정간격으로 이격된 지점으로부터 상기 플랜지(120)의 반경방향 끝단까지 연장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2 반경리브(124b)는 제 1 원주리브(122a)와 연결되며, 이러한 연결에 의해 상기 제 1 원주리브(122a)와 제 2 반경리브(124b)는 서로 지지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상기 제 2 반경리브(124b)는 체결보스(121)에도 연결되어 상기 체결보스(121)를 지지한다.
상기 베어링 하우징(100)은 도 3, 4 및 도 8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스테이 터(50)을 수용하는 제 1 리세스(100a)를 갖는다. 즉, 적어도 상기 스테이터(50)의 일부가 이러한 제 1 리세스(100a)내에 삽입된다. 이러한 제 1 리세스(100a)는 반경방향으로 상기 플랜지(120)의 중간부상에 배치된다. 또한, 상기 제 1 리세스(100a)는 원주방향으로도 연장된다. 따라서, 상기 스테이터(60)는 상기 터브후벽으로부터 크게 돌출되지 않으며, 이에 따라 터브-모터 어셈블리가 컴팩트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테이터(50)의 터브 후벽과 인접하는 부위에는 다양한 형태의 돌출부가 존재할 수 있다. 이러한 돌출부는 주로 인슐레이터에 의해 형성되며 스테이터(50)의 설계측면에서 불가피하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베어링 하우징(100)은 도 3, 4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돌출부를 수용하는 제 2 리세스(100b)를 가질 수 있다. 더 나아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테이터(50)은 또한 상기 터브후벽과 인접하는 부위에 다양한 악세서리(55)를 갖는다. 이러한 악세서리(55)는 모터(7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터미널, 로터의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등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베어링 하우징(100)은 도 4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악세서리(55)를 수용하는 제 3 리세스(100c)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인슐레이터의 돌출부 및 악세서리(55)는 상기 제 1 리세스(100a)이 이미 수용되는 스테이터(50)의 터브 후벽의 인접부, 즉 도면상 스테이터(50) 전방부에 위치된다. 따라서, 상기 제 2 및 제 3 리세스(100b,100c)는 이들 돌출부 및 악세서리(55)를 수용할 수 있도록 기본적으로 상기 제 1 리세스(100a)와 연결 또는 연통되며, 도면상 상기 제 1 리세스(100a)로부터 전방을 향해 더 돌출된다. 결과적으로, 상기 제 1 리세스(100a)와 더불어 상기 제 2 및 제 3 리세스(100b,100c)도 실질적으로 상기 스테이터(50)을 수용함으로써 터브-모터 어셈블리, 특히 터브 후벽을 컴팩트하게 하는 것을 보조한다. 상기 제 1-3 리세스(100a,100b.100c)는 상기 원주및 반경방향리브(122,124)의 상기 스테이터(50), 이의 돌출부 및 악세서리(55)에 인접하는 부위의 높이를 낮춤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반경방향 리브(124)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의 스테이터(50)와 인접하는 부위에 형성되는 절개부들(cut-out portion)(124c,124d,124e)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절개부들(124c,124d,124e)은 각각 제 1, 2, 3 리세스(100a,100b,100c)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도 3 및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3 리세스(100c)로 인해 주변의 리브들의 높이가 크게 낮아지므로 상기 제 3 리세스(100c)에서 베어링 하우징(100)의 강도 및 강성이 낮아질 수 있다. 따라서, 강도 및 강성을 보충하기 위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원주리브(122c)가 상기 제 3 리세스(100c)에 인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베어링 하우징(100)은 또한, 상기 플랜지(120)상에 제공되는 다수개의 챔버(125)를 갖는다. 이러한 챔버(125)는 도 6 및 8에 보다 상세하게 나타난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형상을 고려할 때, 상기 챔버들(125)은 도시된 형상을 고려할 때, 리세스가 될 수도 있다. 즉, 상기 챔버들(125)는 부분적으로 개방된 챔버에 해당한다. 상기 챔버들(125)은 상기 모터(70)와 인접하게, 즉 상기 모터(70)을 마주하도록 상기 플랜지(120)상에 배치된다. 정확하게는, 상기 챔버들(125)은 모터와 인접하는 제 2 면(120d)상에 배치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챔버들(125)은 상기 베어링 하우징(100)의 반경방향을 따라서 연속적으로(serially) 배열된다. 또한, 상기 베어링 하우징(100)의 원주방향을 따라서도 연속적으로 배열된다. 이러한 챔버들(125)은 상기 터브 후벽을 수용한다. 즉, 상기 챔버들(125)은 상기 터브 후벽으로 채워진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챔버들(125)의 벽체는 상기 터브 후벽으로 도포된다. 따라서, 상기 챔버들(125)에 의해 터브후벽과 베어링 하우징(100)의 접촉면적은 크게 증가되며, 결합강도도 증가된다. 또한, 상기 챔버들(125)의 형성으로 인해 상기 베어링 하우징(100), 특히 플랜지(120)도 구조적으로 강화되며, 이는 터브 후벽 자체의 강도 및 강성의 증가를 가져온다. 더 나아가,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통공(120e)들은 상기 챔버들(125)에 각각 제공될 수 있으며, 상기 통공(120e)과 챔버들(125)의 상호작용에 의해 터브와 베어링 하우징(100)의 결합강도 및 터브후벽의 강도, 강성이 더욱 증가될 수 있다.
더 나아가, 상기 챔버들(125)은 서로 다른 크기를 갖는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시된 바와 같이, 베어링 하우징(100)의 반경방향으로 연속적으로 배열된 챔버들(125)은 서로 다른 크기를 갖는다. 반면, 베어링 하우징(100)의 원주방형으로 연속적으로 배열된 챔버들(125)은 서로 같은 크기를 갖는다. 또한 상기 챔버들(125)의 크기들은 상기 베어링 하우징(125)의 반경방향을 따라서 점차적으로 증가된다. 즉, 베어링 하우징(100)의 반경방향 바깥쪽에 배치된 챔버(125)는 상기 베어링 하우징의 반경방향 안쪽에 배치된 챔버(125)보다 크게 형성된다. 비록 구동축(41)이 베어링 하우징(100)내에서 베어링(43)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나, 모터(70) 및 구동축(41)의 갑작스러운 회전의 시작이나 회전방향의 변경은 터브후벽에 순간적인 토션을 가하며, 이러한 토션의 반복은 피로파괴를 가져올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토션은 터브후벽의 중심으로부터 반경이 증가함에 따라 함께 증가된다.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반경방향 바깥쪽에 배치된 챔버(125)는 상대적으로 반경방향 안쪽에 배치된 챔버(125)와 비교할 때, 더 큰 크기로 인해, 더 큰 접촉 면적을 갖는다. 따라서, 반경방향 바깥쪽에 배치된 챔버(126)는 상대적으로 반경방향 안쪽에 배치된 챔버(125)보다 큰 베어링하우징(100)과의 결합강도 및 더 큰 강도 및 강성을 갖는다. 따라서, 이와 같은 챔버(125)의 배열은 반경방향을 따라 증가되는 토션에 대해 터브후벽에 충분한 강도 및 강성을 부여한다. 이와 같은 챔버들(125)는 플랜지(120) 정확하게는 상기 플랜지(120)의 제 2 면(120b)를 잘라내어(cut-out) 형성될 수 있다. 다른 한편, 상기 챔버들(125)은 서로 교차되게 배열된 원주방향 및 반경방향 리브들(122,124)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베어링 하우징(100)은 상기 허브(110)에 주위에 배치되는 제 1 챔버들(125a)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어링 하우징(100)은 상기 제 1 챔버들(125a)의 주위에 배치되는 제 2 챔버(125b)와 상기 제 2 챔버(125b) 주위에 배치되는 제 3 챔버들(125c)를 가질 수 있다.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챔버들(125a)은 원주방향으로 따라 연속적으로 배치되며, 서로 같은 크기를 가지며, 상기 제 2 챔버들 및 제 3 챔버들(125b,125c)도 같은 구성을 갖는다. 또한, 상기 제 1-3챔버들(125a,125b,125c)는 반경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배치되며,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상기 챔버들의 크기들은 반경방향을 따라 점차적으로 증가된다. 즉, 상기 상기 제 2 챔버(125b)가 상기 제 1챔버(125a) 보다 크며, 상기 제 3 챔버(125c)가 상기 제 2 챔보(125b)보다 크다. 이러한 챔버들은 앞서 설명된 바 와 같이, 터브후벽에 발생되는 토크에 대해 베어링 하우징(100) 및 터브후벽의 강도 및 강성을 강화시킬 수 있다.
상기 베어링 하우징(100)은 또한, 도 4 및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허브(110)의 주위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리세스(126)을 갖는다. 상기 리세스(126)는 플랜지(120), 보다 정확하게는 플랜지(120)의 제 1 연장부(120a)에 형성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리세스(126)는 상기 드럼(40)과 인접하게 배치된다. 즉, 상기 리세스(126)는 상기 드럼(40)과 인접하는 허브의 제 1 끝단(110a)의 주위에 배치된다. 상기 리세스(126)은 상기 드럼(40)과 인접하는 플랜지(120)의 제 1 면(120d)에 제공된다. 이러한 리세스(126)는 상기 모터(70)을 향해 연장된다. 상기 리세스(126)는 터브 후벽을 수용한다. 즉, 상기 리세스(126)는 터브후벽으로 채워진다. 따라서, 이러한 리세스(126)에 의해 터브후벽과 베어링 하우징(100)의 접촉면적은 증가되며, 결합강도도 증가된다. 더 나아가, 이러한 리세스(126)는 상기 허브(110)의 주위에 배치됨으로써 상기 허브(110)을 지지하며 이를 구조적으로 강화한다. 이러한 목적으로, 상기 베어링 하우징(100)은 도 7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개의 리세스(126)을 가질 수 있다. 이들 리세스들(126)은 상기 허브(110)의 주위에 베어링 하우징(100)의 중심으로부터 동일한 반경을 가지면서 배치된다. 또한, 이들 리세스들(126)사이의 원주방향 거리들도 서로 동일하다. 따라서, 상기 리세스들(126)은 보다 크게 상기 허브(110)의 강도를 강화할 수 있다. 또한,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설계상의 이유로 허브(110)주위에는 많은 반경리브들이 배치될 수 없다. 따라서, 도 4, 6,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어링 하우징(100)은 상기 체 결보스(121)와 허브(110)사이에 제공되는 보조 플랜지(126a)를 갖는다. 즉, 상기 보조 플랜지(126a)은 상기 체결보스(121)와 상기 허브(110)를 연결한다. 이러한 보조 플랜지(126)는 실질적으로 원주방향으로 연장되므로, 설계적인 어려움없이 반경방향 리브들(124)사이에 배치될 수 있으며, 동시에 반경방향 리브들을 대신하여 상기 체결보스(121)을 구조적으로 강화되도록 지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리세스들(126)과 보조 플랜지(126a)는 둘다 허브(110) 주위에 배치되므로 서로 인접한다. 따라서, 상기 보조 플랜지(126a)는 상기 리세스(126)의 바닥부를 형성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즉, 상기 보조 플랜지(126a)는 상기 리세스(126)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일체화로 인해 베어링 하우징(100)의 보다 효율적인 설계가 이루어진다. 따라서, 베어링 하우징(100)의 제조시 공정이 단순화되며, 소재의 사용이 감소된다.
한편,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스테이터(50)의 장착은 스테이터와 체결보스의 체결공들(53a,121a)의 정렬을 요구한다. 그러나, 상기 스테이터(50)가 상당히 무거우므로 이러한 정렬작업은 쉽지 않다. 따라서, 세탁기는 상기 체결공들(53a,121a)이 정렬되도록 상기 스테이터(50)를 상기 터브 후벽에 위치시키는 위치결정구조를 갖는다. 상기 위치결정구조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은, 터브후벽에 형성되는 위치결정홈(37)과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스테이터(50)에 제공되는 위치결정 돌출부(54)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위치결정홈(37)은 체결보스(121) 또는 체결공(121a)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으며, 마찬가지로 상기 위치결정돌출부(54)도 체결부(53) 또는 체결공(53a)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스테이터(50) 의 장착시 상기 위치결정돌출부(54)는 상기 위치결정홈(37)에 삽입되며, 이에 따라 상기 스테이터(50)는 체결공들(53a,121a)이 정렬되도록 정확한 위치에 배치된다. 따라서, 체결공들의 정렬 및 스테이터의 장착이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위치결정홈(37)은 터브 대신에 스테이터에 제공될 수 있으며, 마찬가지로 상기 위치결정 돌출부(54)는 스테이터 대신에 터브에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위치결정홈(37)이 플라스틱인 터브후벽에 의해서만 형성되는 경우, 높은 강도 및 강성을 갖지 못한다. 따라서, 상기 위치결정홈(37)이 장착작업중 파손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어링 하우징(100)은 상기 위치결정홈(37)을 지지하는 지지부(121b)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지지부(121b)는 상기 플랜지(120)상에 형성되며, 상기 위치결정홈(37)을 향해 연장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지지부(121b)는 상기 위치결정홈(37)을 형성하는 터브후벽의 보스를 지지한다. 따라서, 상기 지지부(121b)에 의해 상기 위치결정홈(37)은 구조적으로 강화되어 장착작업시 파손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지지부(121b)는 상기 체결보스(121)에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지지부(121b)는 체결보스(121)를 지지하면서 동시에 위치결정홈(37)을 지지할 수 있다. 이러한 다목적의 지지부(121b)는 공정 단순화 및 소재 절감이 이루어지도록 베어링 하우징(100)의 보다 효율적인 설계를 가능하게 한다.
앞서 상세하게 설명된 바와 같이, 상기 베어링 하우징(100)은 허브(110) 및 플랜지(120)이외에도 이들 허브(110) 및 플랜지(120)에 제공되는 다양하는 구조들을 갖는다. 예를 들어, 상기 허브(110)에는 스텝부(111) 및 리세스(112)가 제공된 다. 따라서, 베어링 하우징(100)이 스텝부(111) 및 리세스(112)를 가지며 동시에 상기 허브(110)도 스텝부(111) 및 리세스(112)를 갖는다고 인식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플랜지(120)에는 보스(121), 리브들(123,124), 파티션(123), 및 챔버(125) 및 리세스(126)가 제공되며 마찬가지로 플랜지(120)가 이들 구조들(121-126) 뿐만 아니라 이들에 제공되는 모든 보조(auxuliary)구조들을 갖는다고 인식될 수 있다. 또한,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베어링 하우징(100)은 다이캐스팅 또는 다른 여러가지 방법에 의해 하나의 몸체를 갖도록 제작되므로, 상기 허브(110) 및 플랜지(120) 뿐만 아니라 이들에 제공된 모든 구조들, 즉 앞서 언급된 주요 구조(111,112,121-127) 및 이들의 보조 구조들 (이하 추가 구조들)은 모두 일체로 형성된다. 또한, 같은 이유로, 상기 베어링 하우징(100), 즉 허브(110), 플랜지(120) 및 이들 추가구조들이 상기 터브(30) 보다 상세하게는 터브 후벽과 일체화된다.
더 나아가, 상기 베어링 하우징(100), 즉, 허브(110) 및 플랜지(120) 및 이들의 추가 구조들은 상기 터브(30)의 후벽내에 파묻힌다. 또한, 상기 베어링 하우징(100), 즉, 허브(110) 및 플랜지(120) 및 이들의 추가 구조들은 상기 터브(30)의 후벽내에 내장된다 (built-in or embeded). 바꿔 말하면, 상기 베어링 하우징(100), 즉, 허브(110) 및 플랜지(120) 및 이들의 추가 구조들은 상기 터브 후벽의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상기 후벽내에 배치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베어링 하우징(100), 즉, 허브(110) 및 플랜지(120) 및 이들의 추가 구조들은 허브(110)내에 제외한 스텝(111)제외하고 전체적으로 터브 후벽에 의해 감싸진다. 바꿔 말하면, 상기 베어링 하우징(100), 즉, 허브(110) 및 플랜지(120) 및 이들의 추 가 구조들의 외면은 스텝(111)을 제외하고는 전체적으로 터브 후벽에 의해 덮힌다. 다른 한편, 상기 베어링 하우징(100), 즉, 허브(110) 및 플랜지(120) 및 이들의 추가구조들은 상기 터브 후벽의 외면과 내면사이에 배치된다. 다른 한편, 적어도 상기 베어링 하우징(100), 즉, 허브(110) 및 플랜지(120) 및 추가구조들의 상기 스테이터(50)와 인접하는 표면들은 전체적으로 터브 후벽에 의해 덮힌다. 또 다른 한편, 상기 스테이터(50)과 상기 플랜지(120) (추가구조 포함)사이에는 상기 터브 후벽부가 배치되며, 이러한 후벽부는 상기 플랜지(120) 및 이의 추가구조를 덮는다.
앞서 설명된 베어링 하우징(100)의 개괄적인 특징들은 이의 구성요소들(베어링 하우징(110), 플랜지(120) 및 각종 추가구조들) 각각에 개별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는 것은 관련도면 및 앞서 주어진 관련 설명들로부터 이해가능하다.
도 12와 도 13은 베어링 하우징이 내장된 터브 후벽의 외측부 및 내측부를 보여주는 평면도들이다.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몰딩공정에 의해 상기 터브 후벽은 상기 베어링 하우징(100)을 전체적으로 감싸며, 상기 베어링 하우징(100)의 외면을 전체적으로 덮게 된다. 따라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터브 후벽의 외측부는 상기 베어링 하우징(100)의 형상에 해당하는 형상을 갖게 된다. 즉, 상기 터브 후벽의 외측부는 이러한 외면에 인접하는 베어링 하우징(100)의 부분들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한 외형을 갖는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터브 후벽의 외측부는 상기 베어링 하우징의 체결보스(121), 원주방향리브들(122), 파티션(123) 및 반경방향리브들(124)에 각각 해당하는 보스(31), 원주방향 리브들(32) 및 반경방향 리브들(34) 를 갖는다. 이들 보스(31), 원주방향 리브들(32) 및 반경방향 리브들(34)은 상기 베어링 하우징의 체결보스(121), 원주방향리브들(122), 파티션(123), 및 반경방향리브들(124)에 해당하는 상기 터브후벽의 외면상의 위치들에 각각 제공된다. 즉, 이들 보스(31), 원주방향 리브들(32) 및 반경방향 리브들(34)은 상기 베어링 하우징의 체결보스(121), 원주방향리브들(122), 파티션(123) 및 반경방향리브들(124)의 바로 위에 배치된다. 또한, 상기 보스(31) 및 리브들(32,34)와 마찬가지로, 도 3 및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터브 후벽의 외측부는 베어링 하우징의 제 1-3 리세스들(100a,100b,100c)에 해당하는 제 1-3 리세스(36a,36b,36c)를 갖는다. 또한, 마찬가지로, 제 1-3 리세스(36a,36b,36c)는 베어링 하우징의 제 1-3 리세스들(100a,100b,100c)의 바로 위에 배치된다. 또한, 상기 터브 후벽은 도 3 및 4에도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모터(70)을 감싸는 스커트(33)을 갖는다. 상기 스커트(33)는 상기 모터(70)로부터 소정간격으로 이격되며, 상기 터브 후벽으로부터 상기 모터(70)를 향해 연장된다. 이러한 스커트(33)에 의해 모터(70)로 누출된 세탁수나 이물질이 들어가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상기 터브 후벽의 외측부에는 트랜싯 볼트을 위한 보스(39)가 제공된다. 상기 트랜싯 볼트는 하우징의 벽체를 관통하여 상기 보스(39)에 체결되며 이에따라 상기 터브(30) 및 모터 및 드럼과 같은 터브에 부착된 다른 장치들을 운송중 파손되지 않게 고정한다. 상기 보스(39)는 트랜슬 볼트와 체결되는 체결공을 갖는다. 그러나 이러한 체결공은 작은 직경을 갖기 때문에 몰딩후 체결공 및 보스(39)가 쉽게 변형된다. 따라서, 상기 보스(39)의 체결공은 관통공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관통공인 체결공에 의해 보스(39)는 몰딩 후 바로 냉 각될 수 있으므로 변형이 방지된다.
또한,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터브 후벽의 내측부도 앞서 설명된 것과 같은 이유로 상기 베어링 하우징(100)의 형상에 해당하는 형상을 갖게 된다. 즉, 상기 터브 후벽의 내면들도 이러한 내면에 인접하는 베어링 하우징(100)의 부분들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한 외형을 갖는다.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체결보스(121), 리브들(122,124) 및 파티션(123)들과 같은 돌출되는 구성요소들은 모두 상기 모터(70)에 인접하게 상기 플랜지의 제 2 면(120d)상에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터브 후벽의 내측부 인접하는 베어링 하우징(100)의 부분들은 실질적으로 평활하게 형성된다. 즉, 상기 베어링 하우징(100)에서 플랜지의 제 1 면(120d), 즉 전방면이 상기 터브 후벽의 내면과 마주하며 평활하다. 따라서, 상기 터브 후벽의 내면도 평활하게 형성된다. 즉, 상기 터브 후벽의 내측부 및 내면은 실질적으로 큰 돌출부나 리세스들을 포함하지 않는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터브후벽의 내측부는 상기 베어링 하우징의 제 1 연장부(120a)에 해당하는 제 1 연장부(35a)와 제 2 연장부(120b)에 해당하는 제 2 연장부(35b)를 갖는다. 또한, 상기 터브 후벽의 내측부는 상기 후벽과 측벽의 내측부들을 연결하는 곡면부(35c)를 갖는다. 상기 드럼(40)은 작동중 고속으로 회전하며, 이에 따라 상기 터브 후벽의 내면과 드럼(40)의 후벽사이에는 강한 공기 유동이 발생된다. 만일 상기 터브 후벽의 내면이 실질적으로 큰 돌출부 및 오목부를 갖는 경우, 이러한 강한 공기유동에 의해 소음이 크게 발생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터브 후벽의 내면이 전체적으로 평활하게 형성되므로, 이러한 공기유동에 의한 소음은 발생되지 않는다. 따라서, 세탁기의 작동중 소음이 크게 감소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터브 후벽의 내측부 및 내면은 평활하므로, 상기 드럼(40)과 간섭할 수 있는 돌출부를 갖지 않는다. 따라서, 같은 크기의 터브(30)에서도 이러한 평활한 터브 후벽 내면 및 내측부 의해 상기 드럼(40)의 크기는 보다 크게 설계될 수 있다. 더 나아가, 이미 앞서 반복적으로 설명된 바와 같이, 다양한 설계 개선에 의해 상기 터브 후벽부는 컴팩트하게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터브(30)는 같은 크기의 하우징내에서도 보다 크게 설계될 수 있으며, 상기 드럼(40)도 마찬가지로 크게 설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컴팩트한 터브 후벽부 및 평활한 터브후벽의 내면 및 내측부로 인해 상기 드럼(40)은 실질적으로 커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세탁기의 크기(즉 체적)의 증가 없이도 세탁기의 세탁용량은 커질 수 있다. 이러한 설계적 개선은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생산비용을 감소시킨다. 더 나아가 이러한 개선은 실질적인 가격의 증가없이 보다 큰 세탁용량을 갖는 세탁기를 가능하게 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실질적인 이익을 제공한다.
상기에서 몇몇의 실시예가 설명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본 발명이 이의 취지 및 범주에서 벗어남없이 다른 여러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따라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닌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며, 첨부된 청구항 및 이의 동등범위내의 모든 실시예는 본 발명의 범주내에 포함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의 일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는 세탁기의 내부 장치들의 일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터브-베어링 하우징 어셈블리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4는 터브-베어링 하우징 어셈블리를 나타내는 추가 단면도;
도 5는 스테이터의 바닥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 및 도 7은 베어링하우징의 후방부 및 전방부를 보여주는 사시도들;
도 8은 베어링 하우징의 후방부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9는 베어링 하우징을 나타내는 측면도;
도 10은 베어링 하우징을 나타내는 부분 사시도;
도 11은 터브-베어링 하우징 어셈블리를 나타내는 부분 사시도;
도 12는 터브-베어링 하우징 어셈블리의 외측부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13은 터브-베어링 하우징 어셈블리의 내측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Claims (10)

  1. 세탁수를 저장하는 터브;
    상기 터브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세탁물을 수용하는 드럼;
    상기 드럼과 연결되는 구동축;
    상기 구동축을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베어링;
    상기 터브의 후벽의 외면에 장착되며, 상기 구동축과 연결되는 모터;
    상기 베어링을 수용하는 허브 및 상기 허브주위에 제공되며 상기 모터의 스테이터와 결합되는 플랜지를 가지며, 상기 터브의 후벽내에 파묻히는 베어링 하우징으로 이루어지는 세탁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 하우징은 상기 터브 후벽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상기 터브 후벽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 하우징은 전체적으로 터브 후벽에 의해 감싸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 하우징의 외면은 전체적으로 터브 후벽에 의해 덮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는 상기 허브로부터 반경방향 바깥쪽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는 상기 드럼에 인접하는 허브 끝단부로부터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는 상기 드럼에 인접하는 허브의 끝단부로부터 경사지게 연장되는 제 1 연장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는 상기 제 1 연장부로부터 상기 허브의 중심축에 대해 수직하게 반경방향 바깥쪽으로 연장되는 제 2 연장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 하우징은 상기 플랜지에 제공되는 다수개의 반경방향 리브들 및 원주방향 리브들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 하우징은 상기 플랜지에 제공되며, 상기 터브의 후벽을 수용하는 다수개의 챔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KR1020090083687A 2009-09-04 2009-09-04 세탁기 KR1016444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3687A KR101644430B1 (ko) 2009-09-04 2009-09-04 세탁기
CN2010101777813A CN101838900B (zh) 2009-09-04 2010-05-09 洗衣机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3687A KR101644430B1 (ko) 2009-09-04 2009-09-04 세탁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5563A true KR20110025563A (ko) 2011-03-10
KR101644430B1 KR101644430B1 (ko) 2016-08-01

Family

ID=427425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83687A KR101644430B1 (ko) 2009-09-04 2009-09-04 세탁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644430B1 (ko)
CN (1) CN101838900B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34196A1 (ko) * 2015-08-26 2017-03-02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
WO2019107905A1 (ko) * 2017-11-29 2019-06-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
EP3613886A1 (en) * 2018-08-23 2020-02-26 LG Electronics Inc. -1- Laundry apparatu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0666B1 (ko) * 2005-03-11 2006-08-09 삼성전자주식회사 드럼세탁기
KR20090046073A (ko) * 2007-11-05 2009-05-11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베어링 하우징 및 이를 구비하는 세탁기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7218B1 (ko) * 1999-10-19 2006-08-31 엘지전자 주식회사 드럼세탁기의 구동부 구조
KR101053579B1 (ko) * 2004-01-09 2011-08-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드럼세탁기의 구동부 구조
KR20060027678A (ko) * 2004-09-23 2006-03-28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
KR101022222B1 (ko) * 2004-11-17 2011-03-17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0666B1 (ko) * 2005-03-11 2006-08-09 삼성전자주식회사 드럼세탁기
KR20090046073A (ko) * 2007-11-05 2009-05-11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베어링 하우징 및 이를 구비하는 세탁기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34196A1 (ko) * 2015-08-26 2017-03-02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
KR20170024820A (ko) * 2015-08-26 2017-03-08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
US20180258577A1 (en) * 2015-08-26 2018-09-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Laundry machine
US11174585B2 (en) 2015-08-26 2021-11-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Laundry machine
US11098434B2 (en) 2017-11-29 2021-08-24 Lg Electronics Inc. Washing machine
KR20190063145A (ko) * 2017-11-29 2019-06-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
WO2019107905A1 (ko) * 2017-11-29 2019-06-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
EP3613886A1 (en) * 2018-08-23 2020-02-26 LG Electronics Inc. -1- Laundry apparatus
WO2020040500A1 (en) * 2018-08-23 2020-02-27 Lg Electronics Inc. Laundry apparatus
CN110857503A (zh) * 2018-08-23 2020-03-03 Lg电子株式会社 洗衣设备
KR20200022691A (ko) * 2018-08-23 2020-03-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장치
CN110857503B (zh) * 2018-08-23 2021-10-12 Lg电子株式会社 洗衣设备
US11168429B2 (en) 2018-08-23 2021-11-09 Lg Electronics Inc. Laundry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44430B1 (ko) 2016-08-01
CN101838900A (zh) 2010-09-22
CN101838900B (zh) 2011-09-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61127B1 (ko) 인서트된 베어링하우징을 구비한 세탁기용 터브
US9206540B2 (en) Washing machine
KR101297998B1 (ko) 베어링 하우징 및 이를 구비하는 세탁기
US7380424B2 (en) Drum type washing machine
KR101008649B1 (ko) 베어링하우징을 구비한 세탁기용 터브
US8276408B2 (en) Tub having structurally strengthened rear wall and washing machine with the same therein
AU2004237865B2 (en) Drum type washer
US7114355B2 (en) Drum type washing machine having a driving unit
JP4150740B2 (ja) 洗濯機
KR20110113365A (ko) 세탁기용 모터와 이를 갖는 세탁기
KR101644430B1 (ko) 세탁기
KR20120045887A (ko) 세탁기
KR101008648B1 (ko) 드럼세탁기
KR100777304B1 (ko) 드럼세탁기
KR20080040338A (ko) 드럼 세탁기
KR101208497B1 (ko) 드럼세탁기의 구동부 구조
KR101154984B1 (ko) 드럼세탁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