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23185A - 휴대폰 무인 자동 동작 장치 - Google Patents

휴대폰 무인 자동 동작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23185A
KR20110023185A KR1020090080847A KR20090080847A KR20110023185A KR 20110023185 A KR20110023185 A KR 20110023185A KR 1020090080847 A KR1020090080847 A KR 1020090080847A KR 20090080847 A KR20090080847 A KR 20090080847A KR 20110023185 A KR20110023185 A KR 201100231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phone
button
sensor
operation device
automatic ope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808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정수
Original Assignee
서정수
광주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최은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정수, 광주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최은화 filed Critical 서정수
Priority to KR10200900808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23185A/ko
Publication of KR201100231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2318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02Specific input/output arrangements not covered by G06F3/01 - G06F3/16
    • G06F3/005Input arrangements through a video camer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H04Q9/02Automatically-operated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42/00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 H04M2242/18Automated outdialling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ultimedia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폰 무인 자동 동작 장치에 관한 것이다.
무인으로 핸드폰 버튼을 미리 프로그램으로 자동으로 버튼을 순서대로 눌러
문자나 사진은 다른 핸드폰 사용자에게 전송할 수 있는 휴대폰 무인 자동 동작 장치이다.
핸드폰, 버튼, 자동통화

Description

휴대폰 무인 자동 동작 장치{Mobile phone Auto Action System}
본 발명은 핸드폰이나 휴대폰 버튼을 프로그램과 핸드폰 버튼을 눌러 핸드폰 기기 동작을 무인으로 사용가능하게 한 발명이다. 예를 들면, 수신 통화에 대한 응답, 예약 시간에 맞춰 자동 문자전송, 핸드폰 카메라 촬영 수행 및 선택된
번호나 메일주소로 전송 등 사람이 휴대폰 사용하는 것처럼 미리 예약 프로그램으로 무인으로 핸드폰 작동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특징의 휴대폰 무인 자동 동작 장치이다.
핸드폰(또는 휴대폰)은 기지국과 통화권 내에서 상대방과 전화통화는 물론, 문자 교환, 사진촬영 및 전송 등을 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우선 핸드폰 사용자는 전화통화를 시도할 경우엔, 먼저 핸드폰을 켜야 하여 켜진 상태를 확인하고 상대방 전화번호를 순서대로 누르게 된다.
이때, 버튼 또는 터치스크린 버튼을 누르고 나서 통화 버튼을 눌러 통화를 시도한다. 또는 상대방에게 문자를 전송하고자 할 경우에도 먼저 핸드폰이 켜져 있는지 확인하고, 만약 꺼져있다면 핸드폰을 켜기 위한 전원 버튼을 길게 눌러 전원을 ON 시키고 난 후, 문자전송화면->문자입력->상대방번호 입력-> 전송 버튼을 순서대로 행하여야 한다.
물론, 핸드폰 사양에 따라서 단축키를 사용할 경우도 있으나, 정해진 순서대로 버튼조작이 필수적이다.
또한, 휴대폰으로 사진을 촬영하는 과정도 필수적으로 핸드폰 버튼 조작이 순서대로 작동시켜 입력을 수행해야만 원하는 사진 촬영 작업을 마치고 상대방에게 전송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핸드폰 조작과정을 자동으로 또는 미리 정해진 프로그램대로 사람이 손가락을 이용하여 수행하게 되는 핸드폰 버튼 누름 행동을 자동으로 대신하여 할 수 있는 기능이 특징인 휴대폰 무인 자동 동작 장치 제공한다.
또한, 외부의 입력에 의해 특정 상대방 사용자에게 문자나 사진촬영 그리고 전송 과정을 사람대신 핸드폰 버튼을 조작하게 할 수 있는 특징의 휴대폰 무인 자동 동작 장치이다.
본 발명은 휴대폰 무인 자동 동작 장치로서 핸드폰 사용자 대신으로 휴대폰 조작을 위한 버튼을 조작할 수 있는 장치나 수단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휴대폰을 수용하여 고정할 수 있는 몸체에 휴대폰 버튼마다 일정한 압력을 가할 수 있는 수단이나 방법으로 전자석 또는 모터와 기어박스 조합으로
사람의 신체의 일부로 핸드폰 버튼을 누른 형태를 대신해서 프로그램으로 핸드폰 버튼을 정해진 순서대로 조작가능하게 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리고 필요에 따라 외부카메라, 습도센서, 온도센서, 기압센서, 강우량센서, 풍속센서 등의 신호를 입력받아 필요하면 특정 이용자나 사용자 핸드폰에 문자나 사진촬영 정보를 자동 전송할 수 있게 할 수 있는 특징의 본 발명의 휴대폰 무인 자동 동작 장치이다.
인간의 기억에 의해 핸드폰 조작에 필요한 순서 알고리즘 또는 핸드폰 사용 기억이나 경험들을 프로그램화된 제어부가 필요하고 제어부는 전자회로 기판(PCB)으로 제작되며, CPU, MCU, PIC등 능동반도체 소자와 수동소자 조합으로 구성하게 한다.
그리고 핸드폰을 수용하며 고정함과 동시에 상기 프로그램에 의해 실제 핸드폰 버튼을 일정한 압력으로 누르는 버튼 작동부가 핸드폰 버튼 가까이 위치되게 구성되는 몸체가 구비되게 하고 상기 버튼 작동부는 전자석이나 서버모터 등으로 핸드폰 버튼을 일정압력을 가하고 또는 압력을 해제 과정을 반복적으로 할 수 있도록 구성 된다.
즉, 사람 손가락으로 핸드폰 버튼이나 터치스크린을 눌러 핸드폰 사용하는 과정을 기계가 대신하여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필요에 따라 공기압력, 유압실린더로도 할 수 있으나, 과도한 비용과 시스템이 복잡해지므로 전자석이나 서버모터 또는 모터의 회전력을 왕복운동으로 하는 게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휴대폰 무인 자동 동작 장치는 사람의 신체 일부를 이용해서 핸드폰의 전화통화 또는 문자입력과 타인 핸드폰에 전송, 사진촬영 및 이메일이나 타인 핸드폰에 전송, 화상통화 등 여러 가지 핸드폰 기능을 무인으로 동작과정을 수행하면서 필요에 따라 외부의 신호 즉, 압력센서, 음파신호, 수압, 기압, 풍향, 풍속, 습도 등등 센서들의 입력 상황이나 상태에 따라 특정 사용자의 핸드폰 또는
이메일로 전송할 수 있게 된다.
이를 활용하면, 무인으로 문자나 사진촬영 및 사진전송 기능 수행은 물론,
저수지 수위 정보, 하천 수위정보나 상태, 시설재배 하우스 기후나 토양상태 정보
기상정보 등 실시간 또는 특정시간대마다 이메일이나 특정 휴대폰으로 문자나 사진을 전송할 수 있게 할 수 있는 무인으로 저수지, 하천, 정원, 시설재배, 산림, 산불감지, 해안가 등에 부수장비에 기지국형태로 설치되어 이미지 정보를 정송할 수도 있는 유익한 발명인 휴대폰 무인 자동 동작 장치이다.
본 발명은 휴대폰 무인 자동 동작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인간이 휴대하여 상대방과 통화나 문자, 사진, 동영상 등을 이메일이나 특정 상대 핸드폰에게 전송 또는 전화 거는 전반적인 행동들을 무인으로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무인으로 핸드폰이 사람이 하는 과정처럼 동작되게 할 수 있는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휴대폰 자동 조작 장치이다.
이를 위해 핸드폰을 수용하는 몸체와 전자장치 그리고 몸체 일측에서 휴대폰 버튼 부위 또는 터치스크린 입력창 위치마다 핸드폰 키 조작을 위한 물리적인 횡 또는 왕복 기능의 펜이나 압력막대 또는 스타일러스 펜이 구비되게 한다.
그리고 PCB로 구성되며 몸체 내부 일측에 수용되는 전자장치의 제어부에 의해 해당버튼 동작 과정을 수행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내장되며 외부의 전원 필요에 따라 태양전지 그리고 태양전지에 의행 생산된 전력을 충전하는 충전기회로가 추가될 수 있으며, 외부 입력장치와 연결되어 입력장치의 신호에 의해 핸드폰을 무인으로 동작 할 수 있게 되는 특징의 본 발명인 휴대폰 자동 조작 장치이다.
상기 입력센서로 또는 입력장치로는 이미지센서(카메라), 습도, 기압, 수압, 풍향, 풍속, 강우량 등 환경정보를 검지 또는 검출 할 수 있는 센서들을 연결 가능하며 이들의 검지된 정보를 무인으로 핸드폰을 작동시켜 문자나 이메일 또는 전자음성 전송할 수 있는 특징을 갖는다.
더욱 상세하게 첨부된 도면에 의해 설명하면,
먼저, 도1은 본 발명의 휴대폰 무인 자동 동작 장치의 외관사시도이며,
도2는 도1의 단면도이며,
도3은 도1의 측 절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휴대폰 자동 조작 장치(1)는 휴대폰이나 핸드폰(31)을 수용하는 수용공간(19)이 있는 몸체(10)와 몸체(10) 일측에는 몸체(10) 내부에 수용된 핸드폰(31) 버튼들(33)을 작동시킬 수 있는 버튼 작동부(13)가 핸드폰(31) 작동에 필요한 수 그리고 해당 버튼(33) 부근에 스타일러스 펜이나 압력막대(15)가 고정되게 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버튼작동부(13)가 움직일 때, 스타일러스 펜이나 압력막대(15)가 종 이동 또는 상하 왕복운동 가능한 구조로서 핸드폰(31)의 해당 버튼(33)에 일정한 압력을 가할 수 있도록 하게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휴대폰 자동 조작 장치(1)의 몸체(10) 일측 또는 내부 일부분에 PCB(17)가 수용된다.
그리고 몸체(10) 일측에는 외부의 전력이나 외부전원(100)로부터 전기에너지를 공급받는다. 야외이거나 건물 옥상일 경우엔 태양전지(101)로 본 발명의 휴대폰 자동 조작 장치(1)의 외부 전원(100)으로 이용될 수도 있다. 필요에 다라 충전지(미도시)가 몸체(10)내부에 수용되게도 할 수 있다.
도4는 본 발명의 휴대폰 무인 자동 동작 장치의 버튼작동부의 동작 상태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는 도면이다.
버튼작동부(13)는 몸체(10)일측에 고정되되, 핸드폰(31)의 버튼(33) 부분 또는 터치스크린(33) 입력 아이콘 까지 일정길이 연장되어 왕복운동이 가능하여 해당 버튼이나 터치스크린(33)에 압력을 가하여 핸드폰(31)을 동작시킬 수 있게 하는 구조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에는 핸드폰(31)의 전원 또는 통화번튼(33), 부가번튼 이외에도 각각 독립적으로 조작가능하게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움직임이나 작동이 가능하기 위해 상세하게 설명되는 도4는 전자석으로 구성되게 하였다.
동작된 상태로 움직인 버튼작동부(13′)를 설명하면, 전선(75)에 전력이 제어부(25) 또는 상기 PCB(17)로부터 인가되면, 코일에 주위에 자기장에 의한 자력석이 발생하는데 이 자기력을 이용하여 자석에 붙는 금속물질(철, 페라이트 등)로 구성된 금속판(77)이 코일(71)이 있는 자기력에 가까운 곳으로 이동 또는 운동하게 된다.
물론, 상기 전선(75)의 전력 또는 전원이 공급되지 않으면 다시 원래의 위치로 이동할 수 있도록 스프링 등 탄성부재(73)와 고정 연결 설치 또는 구성됨은 당연하다.
따라서 상기 금속판(77)과 고정되고 일정길이 핸드폰(31) 버튼(33) 부근까지 연장되어 금속판(77)의 이동에 따라 핸드폰(31)의 버튼(33)에 일정한 압력을 가하여 핸드폰(31) 버튼(33)이 동작되게 하는 효과를 갖는 특징을 갖는다.
도5는 본 발명의 휴대폰 무인 자동 동작 장치의 버튼 작동부의 또 다른 동작 상태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는 도이다.
상기 몸체(10) 일측에 고정되는 버튼작동부(13)는 모터(80)와 기어박스(81)의 조합으로 회전운동을 왕복운동으로 핸드폰(31)의 버튼(33)을 누르게 할 수 있도록 보인 도면이다.
모터(80)가 회전하면 기어박스(81)의 원운동을 회전운동으로 바꿀 수 있도록 하였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모터(80)가 제어부에 의한 프로그램 또는 상기 PCB(17)로부터 전력이나 전원이 인가되면 모터(80)는 회전하게 되면 이때, 기어박스는 일정 기어비 설계에 의해 저속으로 회전하게 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기어박스(81)의 최종 회전 원판을 구비하게 하되 중심점으로부터 일정거리 떨어지게 하여 타공하여 연장되게 스타일러스 펜이나 압력막대(15)를 고정하게 하면 원운동이 왕복운동으로 되어 도 4와 같은 효과인 휴대폰(31)의 버튼(33)을 누를 수 있게 되면서 움직인 모습을 보여주는 버튼작동부(13′)의 상태이다.
즉, 전기를 이용하여 전자석 또는 구동모터의 힘으로 사람이 휴대폰(31)을 조작하는 것처럼 대신하여 휴대폰 버튼을 프로그램으로 순차적 동작 할 수 있게 된다.
도6은 본 발명의 휴대폰 무인 자동 동작 장치의 구성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휴대폰 자동 조작 장치(1)는 전자적으로 다양한 입력기능을 갖는다.
입력기능으로 활용되는 센서(21)들을 나열하면 음파센서(마이크(mic)), 이미지센서(카메라), 온/습도센서, 기압센서, 풍향센서, 풍속센서, 강우량 센서 등 다양한 전자 및 환경 센서들이 연결되어 시스템 또는 프로그램 인터럽트 동작에 이용됨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음파센서(mic)와 같은 경우에는 본 발명의 휴대폰 자동 조작 장치에 휴대폰(31)과 같이 수용되어 전화 수신과정에 의한 진동 또는 벨소리를 휴대폰(31)이 내거나 동작할 때, 이를 검지하여 여기에 대응되게 동작가능하게 할 수 있게 하여, 자동으로 전화를 받고 핸드폰(31)의 수화기에 들리는 음의 단음, 장음에 의한 모스 부호(Morse Code) 형태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도 있게 할 수도 있으며, 다음 동작에 필요한 데이터를 기계적 음성으로 전화 통화 전송하게 할 수 도 있는 특징을 갖는다.
전화가 오면 잠시 후에 해당센서들을 체크하여 문자 전송기능도 수행할 수 있게 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이미지 센서 같은 경우엔 주변을 카메라로 촬영되는 이미지를 수신하여 저장 및 특정 휴대폰 번호나 이미 기록되어 있는 이메일로 전송하게 할 수도 있다.
즉, 다양한 센서들과 연결되어 신호의 입력 및 해당 동작을 수행하게 할 수 있다.
상기의 음파센서(MIC), 이미지센서(카메라), 온/습도센서, 기압센서, 풍향센서, 풍속센서, 강우량 센서 등 다양한 센서(21)들은 각각의 디텍터로 검지 및 감지하거나 신호의 증폭, 필요하다면 A/D 변환 과정을 할 수 있는 디텍터(23)와 전체적으로 신호의 처리 및 제어 하는 제어부(25)로 구성되고, 제어부(25)의 신호에 의해
여러 개의 버튼작동부(13)중 순서적 또는 순차적으로 선택되어지는 버튼작동부(13) 의 전력 또는 전원이 공급되어 버튼작동부(13)가 동작 가능하게 하며,
최종적으로 스타일러스 펜이나 압력막대는 물리적으로 움직여 휴대폰(31)의 버튼(33)을 동작시키게 되는 구조를 보인 일 실시 도이다.
그리고 충전기나 태양전지(101) 등 전원을 공급하는 외부전원(100)으로 구성될 수도 있고 휴대폰(31)에도 전원을 공급할 수도 있다.
외부에 설치되는 경우라면, 태양전지(101)와 충전기 조합으로 본 발명의 휴대폰 자동 조작 장치(1)에 전원 공급뿐만 아니라, 몸체(10)에 수용되는 휴대폰(31)의 전원공급도 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도7은 본 발명의 휴대폰 무인 자동 동작 장치의 일 실시 프로그램의 알고리즘을 보인 도이다.
외부로부터 전원(100)이 인가되면, 상기의 음파센서(MIC), 이미지센서(카메라), 온/습도센서, 기압센서, 풍향센서, 풍속센서, 강우량센서 등의 센서(21)의 개별적으로 입력하는 입력단계(120)와,
다음으로 각 센서(21)들의 센서검출 및 신호를 처리하는 단계(130)와,
처리된 신호를 근거로 하여 내부적으로 비교 또는 판단 및 명령 처리하는 단계(140)와,
핸드폰(31)의 버튼(33)을 구동시킬 수 있도록 버튼 작동부(13)를 제어하는 단계(150)와,
상황에 따라 또는 필요하다면, 해당 센서들의 값을 해독하여 기계음으로 스피커 음파를 통해 휴대폰(31) 송화기에 신호를 발생하게 하는 단계(160)로 구성되는 특징을 갖는다.
인간은 휴대폰으로 상대방과 음성 언어로서 전달하는 것처럼,
미리 기억된 기계화된 음파 신호를 스피커를 동작하여 해당 상대방 사람에게
기계음을 전송 할 수 있는 또 다른 특징을 갖는다.
즉, 본 발명의 휴대폰 무인 자동 동작 장치는, 휴대폰을 고정 및 수용할 수 있는 몸체와, 몸체 일측에는 상기 휴대폰의 버튼들을 동작시킬 수 있는 수단으로 전자석 또는 서보모터로 구성된 왕복운동 가능한 버튼작동부들이 고정되며, 내장된 프로그램과 음파센서 또는 여러 센서들의 정보에 의해 동작되며, 특정 휴대폰 번호에 문자나 통화 또는 특정 이메일 주소로 전송하기 위해 순차적으로 버튼작동부를 제어할 수 있는 프로그램 및 제어부(PCB)로 휴대폰의 버튼을 동작시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는 특징의 휴대폰 무인 자동 동작 장치이며,
음파센서(마이크(mic)), 이미지센서(카메라), 온/습도센서, 기압센서, 풍향센서, 풍속센서, 강우량 센서 등 다양한 전자 및 환경 센서가 선택적 또는 개별적 입력 신호로 이용하여 휴대폰의 송수화 처리 및 프로그램 자동 처리 수단이나 기능의 전자회로와 제어부가 구비되고, 출력신호로 스피커를 통한 음파를 발생시켜 송신 데이터로 활용할 수도 있으며, 프로그램에 의해 휴대폰의 버튼 조작이 가능한 전자석 또는 서보모터로 구성된 왕복운동 가능한 버튼작동부들이 휴대폰의 버튼을
사람의 신체를 대신하여 순차적 자동 동작시켜 무인으로 전송 가능한 특징의
본 발명인 휴대폰 무인 자동 동작 장치이다.
도1은 본 발명의 휴대폰 무인 자동 동작 장치의 외관사시도.
도2는 도1의 단면도.
도3은 도1의 측 절단면도.
도4는 본 발명의 휴대폰 무인 자동 동작 장치의 버튼작동부의 동작 상태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는 도.
도5는 본 발명의 휴대폰 무인 자동 동작 장치의 버튼 작동부의 또 다른 동작 상태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는 도.
도6은 본 발명의 휴대폰 무인 자동 동작 장치의 구성 블록도.
도7은 본 발명의 휴대폰 무인 자동 동작 장치의 일 실시 프로그램의 알고리즘을 보인 도.
*도면에 대한 주요부호의 설명*
1: 휴대폰 무인 자동 동작 장치
10:몸체
13:버튼 작동부
15:스타일러스 펜 또는 압력막대
17:pcb
25:제어부
31:휴대폰
33:휴대폰 버튼

Claims (2)

  1. 휴대폰 무인 자동 동작 장치에 있어서,
    휴대폰을 고정 및 수용할 수 있는 몸체와, 몸체 일측에는 상기 휴대폰의 버튼들을 동작시킬 수 있는 수단으로 전자석 또는 서보모터로 구성된 왕복운동 가능한 버튼작동부들이 고정되며, 내장된 프로그램과 음파센서 또는 여러 센서들의 정보에 의해 동작되며, 특정 휴대폰 번호에 문자나 통화 또는 특정 이메일 주소로 전송하기 위해 순차적으로 버튼작동부를 제어할 수 있는 프로그램 및 제어부(PCB)로 휴대폰의 버튼을 동작시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는 특징의 휴대폰 무인 자동 동작 장치.
  2. 휴대폰 무인 자동 동작 장치에 있어서,
    음파센서(마이크(mic)), 이미지센서(카메라), 온/습도센서, 기압센서, 풍향센서, 풍속센서, 강우량 센서 등 다양한 전자 및 환경 센서가 선택적 또는 개별적 입력 신호로 이용하여 휴대폰의 송수화 처리 및 프로그램 자동 처리 수단이나 기능의 전자회로와 제어부가 구비되고, 출력신호로 스피커를 통한 음파를 발생시켜 송신 데이터로 활용할 수도 있으며, 프로그램에 의해 휴대폰의 버튼 조작이 가능한 전자석 또는 서보모터로 구성된 왕복운동 가능한 버튼작동부들이 휴대폰의 버튼을
    사람의 신체를 대신하여 순차적 자동 동작시켜 무인으로 전송 가능한 특징의
    본 발명인 휴대폰 무인 자동 동작 장치.
KR1020090080847A 2009-08-31 2009-08-31 휴대폰 무인 자동 동작 장치 KR2011002318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0847A KR20110023185A (ko) 2009-08-31 2009-08-31 휴대폰 무인 자동 동작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0847A KR20110023185A (ko) 2009-08-31 2009-08-31 휴대폰 무인 자동 동작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3185A true KR20110023185A (ko) 2011-03-08

Family

ID=439313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80847A KR20110023185A (ko) 2009-08-31 2009-08-31 휴대폰 무인 자동 동작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2318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212572A (zh) * 2018-08-31 2019-01-15 百度在线网络技术(北京)有限公司 定位漂移检测方法、装置、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212572A (zh) * 2018-08-31 2019-01-15 百度在线网络技术(北京)有限公司 定位漂移检测方法、装置、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09212572B (zh) * 2018-08-31 2021-05-04 百度在线网络技术(北京)有限公司 定位漂移检测方法、装置、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608861B (zh) 电子设备控制方法及装置
KR101737191B1 (ko) 스마트 단말기 제어방법, 장치, 프로그램 및 기록매체
CN102823145A (zh) 用于确定交互模式的方法和设备
KR20120043865A (ko) 이동통신 단말의 위치정보를 활용한 로봇 인터랙션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방법 및 장치
CN104837154B (zh) 无线访问接入点的控制方法及装置
CN102025828B (zh) 终端及其控制方法
JPWO2018155116A1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CN106027108A (zh) 一种室内定位方法、装置及穿戴设备和移动终端
US20100265062A1 (en) Environmental monitoring system and monitoring method using the same
CN202168160U (zh) 具有实时远程音画同步功能的智能门铃
CN109129484A (zh) 机器人控制方法、装置及存储介质
US9813546B2 (en)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electronic apparatus
KR101514394B1 (ko) 무선 와이파이를 이용한 외부 도어벨 장치 및 방문자 확인 시스템과 그 방법
CN102420940A (zh) 一种具有摄像功能终端及其摄像头变焦方法
JP2012029242A (ja) インターホンシステム
KR20110023185A (ko) 휴대폰 무인 자동 동작 장치
CN114520002A (zh) 一种处理语音的方法及电子设备
JP5345625B2 (ja) データ通信システム
CN209545261U (zh) 一种电子设备和终端
CN101557505A (zh) 3g远程监控系统及监控方法
CN108234764A (zh) 终端的显示方法、装置及终端
CN106200515A (zh) 智能控制方法及装置
CN106851387B (zh) 输出多媒体信息的方法及装置
KR20110028674A (ko) 무인 핸즈프리 자동 동작 장치
KR101066339B1 (ko) 원격 감시 기능을 가진 유무선 단말기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