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21514A - 루프캐리어용 바 - Google Patents

루프캐리어용 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21514A
KR20110021514A KR1020090079354A KR20090079354A KR20110021514A KR 20110021514 A KR20110021514 A KR 20110021514A KR 1020090079354 A KR1020090079354 A KR 1020090079354A KR 20090079354 A KR20090079354 A KR 20090079354A KR 20110021514 A KR20110021514 A KR 201100215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
roof carrier
cross
strength
rib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793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경태
Original Assignee
박경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경태 filed Critical 박경태
Priority to KR10200900793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21514A/ko
Publication of KR201100215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2151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9/00Supplementary fittings on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e.g. luggage, sports gear or the like
    • B60R9/04Carriers associated with vehicle ro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6Fixed roof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에 장착되는 루프캐리어용 바(bar)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짐을 실을수 있는 크로스바(10)가 없이 사이드바(50)만 장착된
패션 루프랙이다. 도 2는 짐을 실을수 있는 크로스바(10)와 크로스바(10)
바가 작동 되도록 하는 레일바(20), 크로스바(10)와 레일바(20)를 연결하는
크로스바 하우징(30)이 장착된 이동용 루프랙이다. 다목적용 RV카
SUV카에 스키,기타 각종 짐을 싣기 위해서 루프캐리어용 바(bar)를 장착한다
종래의 루프캐리어용 바(bar)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속이빈 중공관형상
이다. 이러한 형태의 루프캐리어용 바(bar)는 각종 재질에 따라 짐을 싣고 강도를 유지하고 외력에 의한 변형을 방지하기 위해서 두께가 두껍다 그로 인해 원재료의 재료비가 많이 들고 루프캐리어용 바(bar)의 무게가 증가해 서 차의 연비가 떨어진다.
본 발명은 루프캐리어용 바(bar)자체의 두께를 줄이고 내측에 리브(rib)를 일체형으로 돌설하고 일체형 돌설리브를 내측에서 지지하는 지지박판을 내측 에 일체형으로 설치하여 하중강도,인장 강도,압축강도,등의 외력에 견디는 일정크기 이상의 강도가 유지되고, 외력에 의한 각종 변형을 방지되고
돌설리브와 지지박판이 2중단열 창문의 기능을 가져 열이 복사,전도되어서 일정한 온도가 유지되어 계절에 따른 변형이 크게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루프캐리어용 바(bar), 리브(rib), 지지박판, 사이드바,크로스바,복층 층상, 복층층상 다면 지지박판, 다층 층상,다층 층상 다면 지지박판

Description

루프캐리어용 바 {roof carrier bar}
본 발명은 차량에 장착되는 루프캐리어용 바(bar)에 관한 것으로,보다 상세
하게는 루프캐리어용 바(bar)의 내측에 리브(rib)를 일체형으로 돌설하고
일체형 돌설리브를 내측에서 지지하는 지지박판을 내측에 일체형으로 설치하 여 하중강도,인장 강도,압축강도,등의 외력에 견디는 일정크기 이상의 강도 를 유지하고, 외력에 의한 각종 변형을 방지하는 기능으로 구성된 루프캐리 어용 바(bar)이다.또한 루프캐리어용 바(bar)의 내측에 형성된 리브(rib)와 리브(rib)지지박판이 2중단열 창문의 기능을 하여 열이 복사,전도되어서
루프캐리어용 바(bar)가 일정한 온도가 유지되게 함으로써 자동차에 장착
되고 난 뒤 계절에 따른 변형을 방지하는 기능으로 구성된 루프캐리어용 바(bar)이다.
종래의 루프캐리어용 바(bar)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관과 같은 모양 으로 그 안이 비어 있는 형상이다. 이러한 형태의 루프캐리어용 바(bar)는
각종 재질에 따라 짐을 실을 때의 강도를 유지하고 외력에의한 변형을 방지
하기위해서 두께를 두껍게 한다.그로인해 재료비가 많이들고 루프캐리어용
바(bar)의 무게가 증가해서 차의 연비가 떨어진다. 또한 외력에 의해
루프캐리어용 바(bar)가 비틀리고, 휘고,파괴 되기가 쉽다.
루프캐리어용 바(bar)의두께가 얇아 지면서도 일정 크기 이상의 강도가
유지되어 원재료의 재료비가 절감되고 루프캐리어용 바(bar)의 무게가
절감되어 자동차 연비가 향상 되고 , 각종 외력에 견디는 일정크기
이상의 강도가 유지되며, 외력에 의한 각종 변형이 방지되는 구조가
되어야 한다.
루프캐리어용 바(bar)의 내측에 리브(rib)가 일체형으로 돌설하고 일체형 돌설리브가 내측에서 지지 되는 지지 박판을 일체형으로 형성하여 하중
강도,인장 강도,압축강도,등의 외력에 견디는 일정크기 이상의 강도를 유지 하고 외력에 의한 각종 변형이 방지되게 한다.
본 발명에 의해 루프캐리어용 바(bar)는 두께가 얇아 지면서도 일정 크기
이상의 강도가 유지되고 루프캐리어용 바(bar)의 무게가 감소하여 원재료의 비용절감의 효과를 가져올 수 있게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해 자동차의 연비가 향상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루프캐리어용 바(bar)는 내측에 형성된 리브(rib)와
리브(rib) 지지박판이 2중단열 창문의 기능을 가져 열이 복사,전도되어서 루프캐리어용 바(bar)가 일정한 온도가 유지되게 함으로써 계절에 따른
변형이 크게 방지되어 자동차에 장착되고 난 뒤 계절등의 외력에의한
루프캐리어용 바(bar)의 변형이 방지된다.
본 발명에 따른 루프캐리어용 바(bar)의 일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루프캐리어용 바(bar)는 크로스바(10)와 사이드바(50)
레일바(20)를 통칭한다.
도 3은 종래의 루프캐리어용 바(bar)의 단면으로 속이 빈 중공관 형상으로
두께가 두꺼워야만 외력에 의한 하중 강도, 인장 강도,압축 강도,파괴 강도
비틀림 강도, 굽힘 강도 등에 견디고 또 외력에 의한 변형과 계절에 따른
후변형 을 방지할 수 있다.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루프캐리어용 바(bar)의 단면(도 1의 V-V'와 도 2의 W-W단면) 으로 루프캐리어용 바(bar) 자체의 두 께를 줄이고 내측 면에 리브(rib)를 일체형으로 돌설하고 일체형 돌설리브를 내측에서 지지하는 지지박판을 내측에 일체형으로 설치하는 복층 층상을 가 진다 이구조는 H 빔이 계속 연결되 나가는 구조로서 즉 벌집과 같은 구조이 기도 하므로 가장 얇은 두께로 상기 기술한 외력에 따른 각종 강도에 견디고 변형을 최소화할 수 있고 계절에 따른 후 변형을 방지는 구조이다. 또한
루프캐리어용 바(bar)의 내측에 형성된 리브(rib)와 리브(rib)지지박판이
2중단열 창문의 기능을 하여 열이 복사,전도되어서 루프캐리어용 바(bar)가 일정한 온도가 유지되게함으로써 자동차에 장착되고 난 뒤 계절에 따른 변형 을 방지하는 기능을 가지게 하는 구조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 예로서 루프캐리어용 바(bar)의 단면(도 1의 V-V'와 도 2의 W-W단면)으로 루프캐리어용 바(bar)의 복층층상 구조에
지지박판 면이 2개 이상인 복층층상 다면 지지박판 구조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 예로서 루프캐리어용 바(bar)의 단면(도 1의 V-V'와 도 2의 W-W단면)으로 루프캐리어용 바(bar)의 복층층상 구조에
지지박판 층이 2개 이상인 다층층상 구조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 예로서 루프캐리어용 바(bar)의 단면(도 1의 V-V'와 도 2의 W-W단면)으로 루프캐리어용 바(bar)의 다층층상 구조에
지지박판 면이 2개 이상인 다층층상 다면 지지박판 구조이다.
지지 박판의 형상은 원형,삼각형,사각형,다각형,등 모든 폐곡선 형태의
형상이 가능하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 예로서 루프캐리어용 바(bar)의 단면(도 1의
V-V'와 도 2의 W-W단면) 으로 루프캐리어용 바(bar) 자체의 두께를 줄이고
내측 면에 한 개 이상의 리브(rib)를 일체형으로 돌설하고 리브(rib)를 내
측에서 지지하는 지지박판을 내측에 일체형으로 설치하는 복층
층상구조로서, 얇은 두께로도 상기 기술한 외력에 따른 각종 강도에 견디고
변형을 최소화할 수 있고 계절에 따른 후 변형을 방지는 구조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일실시 예로서 루프캐리어용 바(bar)의
단면(도 1의 V-V'와 도 2의 W-W단면) 으로 루프캐리어용 바(bar) 자체의
두께를 얇게 줄이고 내측 면에 한 개 이상의 리브(rib)를 일체형으로 돌설
한다. 상기의 리브(rib)가 하중을 지지하는 강도 보강기능과,비틀림,휨
등의 변형을 방지한다.
현재 다목적용 RV카 ,SUV카에 루프캐리어용 바(bar)가 장착된다.
외력에의한 각종 강도저하와 변형이 방지 되면서 루프캐리어용 바(bar)
의 무게가 감소하면 원재료의 재료비가 낮아져서 자동차의 가격 경쟁력이
높아진다. 고유가 시대에 연비향상으로 기름비용이 줄어든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해 압출용 바에 강도보강과 보온,단열효과가
있는 산업재가 생산되면 비용절감과 파급효과가 크다
도 1은 종래의 고정용의 루프캐리어용 바(bar)가 장착된
패션타입 푸프랙 자동차의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이동용의 루프캐리어용 바(bar)가 장착된 S.S.R타입 푸프랙 자동차의 사시도
도 3은 종래의 루프캐리어용 바(bar)인 크로스바(10)와 사이드바(50)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루프캐리어용 바(bar)인 크로스바(10)와 사이드바(50)의 복층 층상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루프캐리어용 바(bar)인 크로스바(10)와 사이드바(50)의 복층 층상 지지박판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루프캐리어용 바(bar)인 크로스바(10)와 사이드바(50)의 다층 층상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루프캐리어용 바(bar)인 크로스바(10)와 사이드바(50)의 다층 층상 지지박판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루프캐리어용 바(bar)인 크로스바(10)와 사이드바(50)의 리브와 복층 층상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일실시예 로서 루프캐리어용 바(bar)인
크로스바(10)와 사이드바(50)의 리브 단면도

Claims (6)

  1. 중공관 형상으로 형성되며, 내측면에 다수개의 리브(Rib)가 종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프캐리어용 바(Bar)
  2. 제 1 항에 있어서,
    압출방식으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프캐리어용 바(Bar)
  3. 중공관 형상으로 형성되며, 중공관의 횡단면에 다수개의 홈이 종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프캐리어용 바(Bar)
  4. 제 3 항에 있어서,
    압출방식으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프캐리어용 바(Bar)
  5. 복수개의 구멍이 형성된 중공관 형상으로 형성되며, 중공관의 횡단면에 다수개의 홈이 종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프캐리어용 바(Bar)
  6. 제 5 항에 있어서,
    압출방식으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프캐리어용 바(Bar)
KR1020090079354A 2009-08-26 2009-08-26 루프캐리어용 바 KR2011002151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9354A KR20110021514A (ko) 2009-08-26 2009-08-26 루프캐리어용 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9354A KR20110021514A (ko) 2009-08-26 2009-08-26 루프캐리어용 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1514A true KR20110021514A (ko) 2011-03-04

Family

ID=439303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9354A KR20110021514A (ko) 2009-08-26 2009-08-26 루프캐리어용 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21514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40178633A1 (en) Composite Material and Structural Components of a Motor Vehicle
EP3090923B1 (en) Sill structure for a motor vehicle
US9452724B2 (en) Bumper beam
US20080315630A1 (en) Motor Vehicle With a Body Having a Floor Structure and at Least One Reinforcing Element for Reinforcing the Floor Structure
CN102481954A (zh) 混合加强件结构
US10407010B2 (en) Cellular structures with eight-sided cells
US9731474B2 (en) Panel with core layer
JPWO2015129110A1 (ja) 自動車の車体構造および車体フロアの製造方法
CN101643087A (zh) 具有底板加强件的汽车车身
EP3003836B1 (en) Sandwich element and a load floor made as such an element
KR20110021514A (ko) 루프캐리어용 바
SE514166C2 (sv) Byggelement inrättat att bilda åtminstone en del av ett hölje hos ett rälsgående fordons vagnskorg
EP2718203B1 (de) Frachtboden, frachtcontainer,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frachtbodens
US9308848B2 (en) Backrest part for a seat, in particular a vehicle seat
JP2020142764A (ja) 自動車のバンパー補強材
JP2004175228A (ja) 車両フロントアンダーランプロテクタ
JP5357786B2 (ja) 構造部材用アルミニウム合金押出形材
JP4774862B2 (ja) キャブマウント構造
JP7420626B2 (ja) 保冷車
JP4104530B2 (ja) ドアビーム
JP2019043459A (ja) フロアパネルのエネルギー吸収構造
CN216761926U (zh) 新能源物流车和车厢
JP4734129B2 (ja) 衝突特性に優れた自動車用強度部材
KR200437059Y1 (ko) 루프캐리어용 바
JP4866394B2 (ja) 対人保護エネルギー吸収部材用アルミニウム合金押出中空形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