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20701A - 음란 영상 컨텐츠의 사용을 제어하는 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음란 영상 컨텐츠의 사용을 제어하는 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20701A
KR20110020701A KR1020090110921A KR20090110921A KR20110020701A KR 20110020701 A KR20110020701 A KR 20110020701A KR 1020090110921 A KR1020090110921 A KR 1020090110921A KR 20090110921 A KR20090110921 A KR 20090110921A KR 20110020701 A KR20110020701 A KR 201100207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content
pornography
image content
control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109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승지
박태서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US12/688,162 priority Critical patent/US20110047388A1/en
Publication of KR201100207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2070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Storage Device Security (AREA)

Abstract

외부로부터 제1 디바이스로 영상 컨텐츠를 획득하는 단계와 획득된 영상 컨텐츠를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영상 프레임을 분석하여 음란물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판단 결과, 음란물로 판단된 영상 컨텐츠의 사용을 차단시키는 단계와 차단된 영상 컨텐츠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대표 문제영상을 추출하여 제2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와 제2 디바이스로부터 제어 명령을 수신하는 단계와 수신된 제어 명령에 기초하여 제1 디바이스에서 차단된 영상 컨텐츠의 사용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음란 영상 컨텐츠의 제어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Description

음란 영상 컨텐츠의 사용을 제어하는 방법 및 그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remote parental control}
본 발명은 영상 재생 디바이스에서 음란 영상 컨텐츠를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광대역 인터넷 및 케이블 방송의 보급으로 인해 성인용 음란영상의 유포수단의 확대를 초래하면서 미성년자가 음란물에 조기노출되는 경우가 증가하고 있다. 특히 맞벌이 가정의 증가로 인해 미성년자인 자녀가 혼자 컴퓨터나 TV를 접하는 경우가 늘어나고, PMP, 휴대폰, 넷북 등과 같은 영상 재생이 가능한 모바일 기기가 널리 보급되어 부모의 통제가 미치지 않는 사적 공간에서 자녀의 음란물 시청가능성이 증가하면서 부모에 의한 음란물 통제가 점점 어려워지고 있다.
이에 음란물로부터 자녀를 보호하려는 사회적 요구가 점증하면서 법에 의한 공적 검열이 대두되었지만, 개인의 선택자유권과 충돌하기에 법제화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에 미국의회는 CSVA (Child Safe Viewing Act)를 통과시킴으로써, 종래 등급제에 의존하지 않는 TV, DVR 등 다양한 기기에서 부모의 선택권이 보장되는 기술적인 차단방법에 대한 조사를 FCC (Federal Communications Commission)에 명 령한바 있다.
이와 같은 최근 움직임에 따라 음란물 차단기술에 대한 사회적 요구는 소비자 가전회사로 하여금 음란물 컨텐츠의 차단을 위한 기술적 해법을 도출할 것을 요청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음란물 탐지 기능의 장점인 편의성을 살리면서 단점인 오경보 문제를 최소화하고 음란물 시청에 대한 부모의 즉시 대응을 실현하기 위한 음란물의 제어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아울러, 음란 UCC 영상 등이 무분별하게 배포되어 아동 및 청소년들에게 노출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휴대기기 상에서 음란물을 획득하는 과정에서부터 음란물 자동 탐지 기능을 수행함으로써, 자녀가 음란물을 재생 및 배포하는 행위 자체를 원천적으로 차단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안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디바이스에서 음란 영상 컨텐츠의 사용을 제어하는 방법은, 외부로부터 영상 컨텐츠를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획득된 영상 컨텐츠를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영상 프레임을 분석하여 음란물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판단 결과, 음란물로 판단된 영상 컨텐츠의 사용을 차단시키는 단계와; 상기 차단된 영상 컨텐츠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대표 문제영상을 추출하여 제2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제2 디바이스로부터 제어 명령을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된 제어 명령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디바이스에서 차단된 영상 컨텐츠의 사용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 디바이스에서 음란 영상 컨텐츠의 사용을 제어하는 장치는 외부로부터 상기 제1 디바이스로 영상 컨텐츠를 수신하는 영상 컨텐츠 획득부와; 상기 수신된 영상 컨텐츠를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영상 프레임을 분석하여 음란물 여부를 판단하는 음란 영상 판단부와; 상기 판단 결과, 음란물로 판단된 영상 컨텐츠의 사용을 차단시키는 음란 영상 처리부와; 상기 차단된 영상 컨텐츠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대표 문제영상을 추출하는 음란 영상 샘플 획득부와; 상기 추출된 대표 문제영상을 제2 디바이스로 전송하고, 상기 제2 디바이스로부터 제어 명령을 수신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며, 상기 음란 영상 처리부는 상기 수신된 제어 명령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디바이스에서 차단된 영상 컨텐츠의 사용을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본 발명은 상기 음란 영상 컨텐츠의 사용을 제어하는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란 영상 컨텐츠를 제어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 차트이다.
종래의 음란물 차단 방법은 영상 컨텐츠에서 색상 및 윤곽정보를 바탕으로 음란물로 판단될 경우에 비밀번호를 입력해야 시청을 허용하는 방식을 취하거나 자녀의 방에 있는 PC의 화면을 거실에 있는 TV에서 PIP화면으로 보여줌으로써 부모가 자녀를 감시할 수 있도록 하는 방식을 취하였다.
그러나, 원격지에서 자녀의 PC 또는 TV를 계속적으로 24시간 모니터링하는 것은 부모 개인의 다른 업무에 쏟는 시간 및 주의를 고려할 때 현실적인 방안이 아니다. 한편, 음란물 탐지기능을 자동화하면 부모가 언제나 모니터링 해야한다는 수고로움은 사라지지만, 동시에 음란물 인식 알고리즘의 특성상 불가피한 오경보(false alarm)의 문제가 발생하게 되고, 오경보 상황에서 디바이스에서 일률적으로 차단 동작이 수행될 때 뷰어(viewer)인 사용자는 디바이스 본연의 기능인 영상 시청을 원활하게 하지 못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반적인 화장품 광고방송을 시청하던 중에 다량의 피부색을 감지한 기기가 이를 음란물로 판단하고 갑자기 화면을 차단하면서 비밀번호를 입력하라는 메시지를 출력하는 경우이다.  이러한 경험이 누적되면 음란물 자동 탐지기능은 그 편익에도 불구하고 정상적인 시청을 거듭 방해함으로써 소비자로부터 외면받을 수 밖에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음란물 탐지기능의 장점인 편의성을 살리면서 단점인 오경보 문제를 최소화하고 음란물 시청에 대한 부모의 즉시 대응을 실현하기 위한 음란물의 제어 방법을 제안한다.
아울러, 특히 소형 휴대기기들의 대부분이 정지영상(예:사진)뿐만 아니라 고화질의 동영상을 획득(capture)하는 디지털 카메라 또는 캠코더 모듈들을 탑재하면서, 종래에 상업적인 목적에 의해 전문적으로 촬영된 음란물뿐만 아니라 일반인이 촬영한 음란물(예:셀프 동영상) 또한 급속도로 증가하고 이들 영상물이 인터넷을 통하여 순식간에 배포되고 있는 점이 이 분야의 새로운 사회적 문제로 지적되고 있 다. 즉, 청소년들의 음란물 노출 문제가 음란물을 시청하는데 그치는 것이 아니라 직접 제작하고 이를 배포하는 등의 문제로 변화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대부분의 음란물 자동 차단 기술은 사용자가 음란물을 재생하는 행위를 차단하는 것에만 초점을 두고 있다. 과거에는 전문가에 의해 상업적인 목적을 가지고 제작된 음란물이 시장에 유통되는 전체 음란물의 대부분을 차지하였고 일반 사용자의 경우에는 이들 음란물을 시청하는데 그쳤기 때문에, 사용자가 음란물을 재생하는 행위를 차단하기만 하면 되었으나, 최근 이러한 전문적으로 제작된 음란물은 전체 음란물 대비 비중이 감소하고 있으며 일반 사용자들이 촬영한 음란물 UCC(User-Created Contents)들이 크게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음란물 UCC들이 휴대기기를 통하여 청소년들 사이에서 무분별하게 배포되고 있는 바, 사용자가 음란물을 직접 제작하여 다른 사용자에게 배포하는 행위를 방지하기 위한 새로운 기술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따른 제1 디바이스의 음란 영상 컨텐츠의 사용을 제어하는 방법은 외부로부터 영상 컨텐츠를 획득하는 단계(110)와 상기 획득된 영상 컨텐츠를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영상 프레임을 분석하여 음란물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120)와 판단 결과, 음란물로 판단된 경우에 영상 컨텐츠의 사용을 차단시키는 단계(130)와 차단된 영상 컨텐츠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대표 문제영상을 추출하여 제2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140)와 제2 디바이스로부터 제어 명령을 수신하는 단계(150)와 수신된 제어 명령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디바이스에서 차단된 영상 컨텐츠의 사용을 제어하는 단계(160)를 포함한다.
단계 110에서는 먼저 영상 컨텐츠를 획득한다. 예를 들어, 카메라가 탑재된 핸드폰을 통하여 셀프 영상을 촬영하는 경우를 들 수 있다. 여기서 영상 컨텐츠를 획득하는 제1 디바이스는 디지털 카메라, 핸드폰, 캠코더, 노트북, PMP 등 정지영상/동영상을 촬상할 수 있는 모든 영상관련 CE 제품을 포함한다. 아울러, 이때 영상 컨텐츠를 획득하는 과정은 사용자가 직접 사진을 찍거나, 동영상을 촬영하는 것 이외에 이미 이미지/동영상 파일로 획득된 컨텐츠를 외부의 다른 기기로부터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복사/이동을 한 경우도 포함한다.
다음으로 단계 120에서는 음란물 여부를 판단한다. 이는 영상 컨텐츠의 획득과 동시에 실시간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음란물을 판단하는 알고리즘은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지만, 일 예로서 동영상의 경우에 복수개의 영상 프레임 내에서 움직임이 존재하는 움직임 영역을 검출하고, 영상 프레임 각각에 포함된 픽셀들의 색상값에 기초하여 사람의 피부를 나타내는 것으로 추정되는 피부 추정 영역들을 검출한 후에, 움직임 영역에서 피부 추정 영역들이 차지하는 비율에 기초하여 음란물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동영상에 있어서 음란물 판단 과정을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먼저 영상 컨텐츠를 구성하는 복수개의 영상 프레임들 내에서 움직임이 존재하는 움직임 영역을 검출한다. 이때, 복수개의 영상 프레임들과 그 복수개의 영상 프레임들에 인접한 적어도 하나의 영상 프레임을 이용하여 생성된 차영상(difference image)에 기초하여 움직임 영역이 검출될 수 있다. 예컨대, 영상 프레임들에서 배경은 고정된 채로 사람만이 움직이고 있다면 영상 프레임들에서 그 사람을 포함하는 영역이 움 직임 영역으로 검출될 것이다. 다만, 움직임 영역을 검출하는 방법은 이러한 방법에 한정되지 않고, 움직임 영역을 검출할 수 있는 모든 방법들이 이용될 수 있다.
다음으로 복수개의 영상 프레임들 각각에 포함된 픽셀들의 색상값에 기초하여, 사람의 피부를 나타내는 것으로 추정되는 피부 추정 영역들을 검출한다. 그리고 움직임 영역에서 피부 추정 영역들이 차지하는 비율에 기초하여 복수개의 영상 프레임들 각각이 음란물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이와 같이 영상 프레임의 움직임 영역에서 피부 추정 영역들이 차지하는 비율을 이용하므로, 영상 프레임이 음란물인지 여부를 판단함에 있어 상대적으로 오류를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예컨대, 종래 기술에서는 피부의 노출이 심한 사람이 존재하는 영상 프레임이라고 할지라도, 그 사람이 크게 표시되어 영상 프레임에서 그 사람이 차지하는 비율이 높으면 음란물로 판단하게 되지만, 그 사람이 작게 표시되어 영상 프레임에서 그 사람이 차지하는 비율이 낮으면 음란물로 판단하지 않는 오류가 있었다. 하지만, 영상 프레임의 움직임 영역에서 피부 추정 영역들이 차지하는 비율을 이용하면 사람의 크기가 작아서 영상 프레임의 전체 화면 중 사람이 차지하는 비율이 낮더라도, 영상 프레임의 움직임 영역에서의 피부 추정 영역의 비율이 높으면 음란물로 판단할 수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단계 130에서는 음란물로 판단된 경우에 영상 컨텐츠의 사용을 일단 차단한다. 이때, 차단하는 방법은 영상 컨텐츠를 암호화하거나 또는 FAT, NTFS 등의 파일 시스템(file system)을 통하여 파일 자체를 비활성화시킬 수도 있다.
이후에 단계 140에서는 음란물로 판단된 영상 컨텐츠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대표 문제영상을 추출하여 제2 디바이스로 전송한다. 제2 디바이스는 제1 디바이스를 통제할 수 있는 권한이 있는 디바이스로서 예를 들어 제1 디바이스는 자녀가 영상을 획득하고 시청하는 핸드폰, 카메라, 캠코더, TV, PC, PMP 등이 될 수 있고, 제2 디바이스는 부모가 소지하고 있는 핸드폰, 넷북 등과 같은 통신이 가능한 이동형 단말이 될 수 있다.
상기 제2 디바이스로 전송되는 대표 문제영상은 영상 프레임들 중 그 음란도가 소정의 기준치를 넘는 문제 영상들 중에서도 상대적으로 음란도가 큰 영상들이며, 상기 음란도를 측정하는 음란성 척도는 영상 프레임에서 피부 추정 영역들이 차지하는 비율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즉, 실시간 탐지결과 현재 획득한 영상 컨텐츠가 음란물로 판단된 경우에 상기 영상 컨텐츠를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영상 프레임들 중 가장 노출 수위가 높은 한 장 이상의 대표 문제영상을 추출하여 제2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것이다.
따라서, 음란물 판단 알고리즘을 수행하여 일정 기준값 이상의 프레임들이 포함된 영상 컨텐츠를 음란 영상으로 판단하고, 이들 프레임들 중 가장 음란성이 강한 한 장 이상의 대표 문제영상을 뽑아 부모의 디바이스로 전송하게 된다. 상기 대표 문제영상은 이미지 파일을 첨부하여 전송할 수 있는 MMS(Multimedia Message Service) 또는 모바일 이메일 등을 이용할 수 있으며, 기타 이미지 파일 전송이 가능한 어떠한 프로토콜이나 통신채널을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로써 부모는 원격지에서 자녀가 음란물로 의심되는 영상을 획득하는 경우, 대표 문제영상을 수신 받아서 실시간으로 자녀를 모니터링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자녀가 획득한 음란물의 대표 문제영상을 확인한 부모에 의하여 자녀의 영상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방법까지 포함한다.
따라서 단계 150에서는 부모가 가지고 있는 핸드폰, 넷북 등의 제2 디바이스로부터 제어 명령을 수신하고, 단계 160에서는 상기 제어 명령에 기초하여 차단된 영상 컨텐츠의 사용을 제1 디바이스에서 허락하는 등의 제어 동작을 수행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핸드폰에서 음란물을 획득한 자녀와 이를 제어하는 부모 사이에서 일어나는 일련의 동작과정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여 일 실시예의 시나리오를 살펴보면, 먼저 자녀가 음란물로 의심되는 영상 컨텐츠를 핸드폰에 탑재된 카메라로 촬영하는 경우에(210), 시청하고 있는 영상 컨텐츠가 음란물인지 여부를 실시간으로 판단하여(220), 음란물로 판단되면 해당 영상 컨텐츠 파일을 암호화하거나 비활성화시킨다(230). 그런 다음, 부모의 모바일 디바이스로 대표 문제영상이 첨부된 메시지를 송신한다(240).
부모는 원격지에서 이러한 대표 문제영상을 확인하고, 자녀에게 바람직하지 않은 음란물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만약, 부모가 해당 영상이 문제없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자녀의 디바이스로 컨텐츠 사용을 허락하는 제어 명령을 전송한다(250). 이때, 복호화 키 또는 활성화 키와 같은 제어키를 함께 송신한다(260). 자녀가 부모의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제어 명령 및 제어키를 전송받으면, 수신된 제어키를 이용하여 암호화/비활성화 되어 있던 상기 영상 컨텐츠를 다시 복호화/활성화시킨다(270). 아울러, 제어 명령의 내용에 따라 상기 영상 컨텐츠를 다른 기기들(290) 로 재전송하거나 공유할 수 있게 된다(280).
따라서, 본 발명의 기본적인 사상은 음란물 판단 모듈이 설치된 자녀의 디바이스에서 음란물을 획득하였다는 이벤트가 검출되었을 때, 먼저 해당 영상 컨텐츠를 차단(암호화/비활성화)시키고, 현재 영상 컨텐츠에서 추출한 복수의 대표 문제영상들을 첨부한 메시지를 MMS나 이메일로 부모의 휴대폰에 전송하여, 부모에게 음란성에 대한 최종 판단, 대응여부 및 대응방법에 대한 결정을 위임하고, 결정된 대응 조치를 다시 자녀의 디바이스로 전송하여 차단된 컨텐츠의 재생 및 배포를 허용할지를 제어하는 것이다.
한편, 자녀의 디바이스에서 수신된 제어 명령이 권한있는 부모의 디바이스에서 송신된 명령인지를 판단하는 인증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를 상기 시나리오에 적용하여 플로우 차트로 다시 나타내면 도 3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란 영상 컨텐츠를 제어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 차트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음란 영상 컨텐츠를 제어하는 방법은 외부로부터 영상 컨텐츠를 획득하는 단계(310)와 상기 획득된 영상 컨텐츠가 음란물인지 여부를 실시간으로 판단하는 단계(320)와 음란물로 판단된 경우에 영상 컨텐츠를 암호화 또는 비활성화 시키는 단계(330)와 차단된 영상 컨텐츠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대표 문제영상을 추출하여 부모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340)와 부모 디바이스로부터 제어 명령을 수신할 때 발송한 디바이스 권한있는 부모 디바이스가 맞는지 여부를 인증하는 단계(350)와 차단된 영상 컨텐츠의 정상적인 사용을 위해 필요한 복호화 키 또는 활성화 키와 같은 제어키를 수신하는 단계(360)와 상기 수신된 제어키를 이용하여 차단된 영상 컨텐츠를 복호화 또는 활성화하는 단계(370)를 포함함으로써 영상을 정상적으로 시청하거나 다른 기기로 복사/이동할 수 있다.
이때, 영상 컨텐츠의 사용을 제어하는 것은 영상 컨텐츠의 재생, 저장, 복사, 이동, 삭제, 편집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어 동작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영상 컨텐츠의 사용에 있어서 전부 허용, 일부 허용 또는 전부 불가의 제어 정도에 따라 상기 자녀가 영상 컨텐츠의 전부 또는 일부를 사용할 수 있도록 제어 가능하다. 또한, 영상 컨텐츠의 사용이 가능한 시각, 컨텐츠의 길이/시간, 컨텐츠의 용량, 품질(화질/음질), 전송매체의 종류(온라인/오프라인)를 기준으로 자녀가 상기 영상 컨텐츠를 사용하도록 허락할 수도 있다.
일 예를 들어보면, 부모가 해당 영상 컨텐츠를 음란물이라고 판단한 경우에는 제어키를 전송하지 않고, 컨텐츠 파일을 재생하거나 배포하지 못하도록 하는 제어 명령를 전송하여 영상 컨텐츠 전부에 대하여 재생 및 복사/이동이 불가능하도록 디바이스를 제어할 수 있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 탐지 기능에 의해 음란물로 판단된 영상 컨텐츠의 사용을 차단 및 해제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 4(a)는 영상 컨텐츠의 사용을 차단하고 이를 해제할 때, 암호화/복호화의 과정을 거치는 경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b)는 비활성화/활성화의 과정을 거칠때를 나타낸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도 4(a)에서 획득된 영상물이 음란물로 판단된 경우 에(400) 암호화 과정을 거쳐(410) 상기 영상 컨텐츠 파일은 액세스가 불가능하도록 암호화된다(420). 이후, 부모로부터 해당 영상물의 사용을 허락한다는 제어 명령을 수신하면, 복호화 과정을 거치고(430) 상기 영상 컨텐츠는 정상적인 상태로 변환된다.
한편, 도 4(b)에서는 획득한 영상물이 음란물이라고 판단된 경우에(450) 파일 시스템(예:FAT, NTFS)에 기반하여 파일 자체를 비활성화 시킴으로써(460) 사용자에게 보이지 않게 해당 파일을 숨기거나, 파일을 선택할 수 없도록 블록킹(blocking)하여 표시한다(470). 이후, 부모로부터 해당 영상물의 사용을 허락한다는 제어 명령을 수신하면, 활성화 과정을 거쳐(480) 상기 영상 컨텐츠를 다시 정상적인 상태로 변환하여 표시한다(490).
한편 본 발명의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하여 자녀의 디바이스에서 음란물을 획득한 것으로 판단되어 부모의 모바일 디바이스로 문제 영상들을 전송하기에 앞서 자녀의 다바이스에서 경고 메시지를 화면에 출력하는 동작을 부가적으로 수행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자녀가 셀프 영상을 촬영했고 실시간 음란물 판단 모듈(real-time nudity detector)이 상기 영상 컨텐츠를 분석한 후 해당 영상이 음란물이라고 판단했다면, 부모의 휴대폰으로 MMS 메시지를 전송하기 앞서 일정 시간(예: 10초) 전에 자녀의 디바이스의 화면에 "지금 획득한 영상은 음란물로 판단됩니다. 사용을 중단하지 않으면 10초후 부모님께 메시지가 전송됩니다" 라는 경고 메시지를 자막(superscript) 형태로 표시할 수도 있다.
따라서 자녀와 떨어진 원격지에 있는 부모는 소지하고 있는 휴대폰으로 현재 자녀가 획득한 영상 컨텐츠의 대표 문제영상들을 수신하여 음란물 여부 및 시청통제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아울러, 부모의 디바이스에 의해 자녀의 디바이스를 제어하기 전에 상호 인증을 먼저 수행할 수도 있다. 즉, 제어 명령을 발신한 제2 디바이스가 상기 제1 디바이스에 기 등록된 권한있는 디바이스인지를 상호 인증하는 단계를 더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을 재생중인 자녀의 PMP로 수신된 제어 명령이 사전에 등록된 부모의 핸드폰에서 발신된 명령인지를 발신자 식별번호(sender ID) 또는 상호 약속된 패스워드 등에 근거하여 확인된 경우에만 자녀의 PMP에서 영상 컨텐츠의 사용을 제어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란 영상 컨텐츠를 제어하는 장치를 나타낸 기능 블록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제1 디바이스에서 음란 영상 컨텐츠를 제어하는 장치(500)는 외부로부터 제1 디바이스로 영상 컨텐츠를 수신하는 영상 컨텐츠 획득부(510)와 수신된 영상 컨텐츠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영상 프레임을 분석하여 음란물 여부를 판단하는 음란 영상 판단부(520)와 음란물로 판단된 경우에 영상 컨텐츠의 사용을 차단시키는 음란 영상 처리부(540)와 차단된 영상 컨텐츠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대표 문제영상을 추출하는 음란 영상 샘플 획득부(530)와 이렇게 추출된 대표 문제영상을 제2 디바이스로 전송하고, 제2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영상 컨텐츠에 대한 제어 명령을 수신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550)를 포함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란 영상 컨텐츠를 제어하는 장치를 보다 구체적으로 나타낸 기능 블록도이다.
도 6에서는 제어 장치(500)는 음란 영상 저장부(560)와 음란 영상 조회부(570)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550)는 권한 인증부(551)와 제어키 수신부(55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음란 영상 저장부(560)는 추출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대표 문제영상을 저장하고, 음란 영상 조회부(570)는 저장된 대표 문제영상을 열람할 수 있는 권한있는 사용자에게 상기 대표 문제영상을 조회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일 실시예의 시나리오에서, 획득한 영상 컨텐츠가 음란물로 판단되면 음란물의 대표 문제영상이 첨부된 메시지를 부모의 모바일 디바이스 송신하는데, 때때로 통신망의 기술적 문제 등으로 인하여 MMS 메시지 송수신 및 원격제어가 불가능한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이때, 송신하려던 대표 문제영상을 음란 영상 저장부(560)에 저장할 수 있으며, 이러한 저장 내역은 음란물 시청 히스토리로서 시간순서대로 저장되고, 이후 열람권이 있는 부모가 귀가후 음란 영상 조회부(570)를 통해 자녀의 음란물 시청 기록을 조회하여 확인할 수 있다.
아울러,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550)는 제어 명령을 발신한 제2 디바이스가 제1 디바이스에 기 등록된 권한있는 디바이스인지를 상호 인증하는 권한 인증부(551)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차단된 영상 컨텐츠의 복호화 키 또는 활성화 키를 제2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하는 제어키 수신부(55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설명한 여러 실시예의 음란물 제어 방법에 따르면, 부모가 자녀를 계속 적으로 모니터링하는 부담을 덜어주는 음란물 탐지기술 도입에 따른 오경보(false alarm)에 의한 시청 경험 훼손문제를 해결하고, 음란물 획득시 장소와 상관없이 부모의 즉시 개입 및 대응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피관리자(자녀)가 음란물을 촬영하거나 전송받는 단계에서 자동으로 음란 여부를 탐지함으로써 음란 영상을 재생하거나 다른 이에게 배포하는 행위 자체를 관리자(부모)의 통제하에 원천적으로 금지시킴으로써 최근 급증하고 있는 음란 UCC 사진/동영상의 폐해를 감소시킬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음란물 제어 방법은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작성가능하고,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이용하여 상기 프로그램을 동작시키는 범용 디지털 컴퓨터에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사용된 데이터의 구조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여러 수단을 통하여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마그네틱 저장매체(예를 들면,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디스크 등), 광학적 판독 매체(예를 들면, 시디롬, 디브이디 등)와 같은 저장매체를 포함한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 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란 영상 컨텐츠를 제어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 차트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핸드폰에서 음란물을 획득한 자녀와 이를 제어하는 부모 사이에서 일어나는 일련의 동작과정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란 영상 컨텐츠를 제어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 차트이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 탐지 기능에 의해 음란물로 판단된 영상 컨텐츠의 사용을 차단 및 해제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란 영상 컨텐츠를 제어하는 장치를 나타낸 기능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란 영상 컨텐츠를 제어하는 장치를 보다 구체적으로 나타낸 기능 블록도이다.
상기 몇 개의 도면에 있어서 대응하는 도면 번호는 대응하는 부분을 가리킨다. 도면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나타내고 있지만, 도면이 축척에 따라 도시된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을 보다 잘 나타내고 설명하기 위해 어떤 특징부는 과장되어 있을 수 있다.

Claims (20)

  1. 제1 디바이스에서 음란 영상 컨텐츠의 사용을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영상 컨텐츠를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획득된 영상 컨텐츠를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영상 프레임을 분석하여 음란물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판단 결과, 음란물로 판단된 영상 컨텐츠의 사용을 차단시키는 단계와;
    상기 차단된 영상 컨텐츠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대표 문제영상을 추출하여 제2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제2 디바이스로부터 제어 명령을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된 제어 명령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디바이스에서 차단된 영상 컨텐츠의 사용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란물 제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컨텐츠의 사용을 차단시키는 단계는,
    상기 영상 컨텐츠를 암호화하거나 제1 디바이스의 파일 시스템에 기반하여 상기 영상 컨텐츠의 파일을 비활성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란물 제어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디바이스로부터 제어 명령을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차단된 영상 컨텐츠의 복호화 키 또는 활성화 키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란물 제어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컨텐츠의 사용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영상 컨텐츠의 재생, 저장, 복사, 이동, 삭제, 편집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어 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란물 제어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컨텐츠의 사용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영상 컨텐츠의 사용에 있어서 전부 허용, 일부 허용 또는 전부 불가의 제어 정도에 따라 상기 영상 컨텐츠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란물 제어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컨텐츠의 사용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컨텐츠의 사용이 가능한 시각, 컨텐츠의 길이/시간, 컨텐츠의 용량, 품질, 전송매체의 종류를 기준으로 상기 영상 컨텐츠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란물 제어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된 대표 문제영상은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영상 프레임 중 음란도가 소정의 기준치를 초과하는 문제영상들 중에서 상기 음란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영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음란도는 상기 영상 프레임에서 픽셀들의 색상값에 기초한 사람의 피부를 나타내는 것으로 추정되는 피부 추정 영역들이 차지하는 비율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값임을 특징으로 하는 음란물 제어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대표 문제영상을 추출하여 제2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대표 문제영상의 이미지 파일을 첨부하여 전송할 수 있는 MMS(Multimedia Message Service) 또는 모바일 이메일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란물 제어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디바이스로부터 제어 명령을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제어 명령을 발신한 제2 디바이스가 상기 제1 디바이스에 기 등록된 권한있는 디바이스인지를 상호 인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란물 제어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대표 문제영상을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저장된 대표 문제영상을 열람할 수 있는 권한있는 사용자에게 상기 대표 문제영상의 조회를 허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란물 제어 방법.
  11. 제1 디바이스에서 음란 영상 컨텐츠의 사용을 제어하는 장치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상기 제1 디바이스로 영상 컨텐츠를 수신하는 영상 컨텐츠 획득부와;
    상기 수신된 영상 컨텐츠를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영상 프레임을 분석하여 음란물 여부를 판단하는 음란 영상 판단부와;
    상기 판단 결과, 음란물로 판단된 영상 컨텐츠의 사용을 차단시키는 음란 영상 처리부와;
    상기 차단된 영상 컨텐츠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대표 문제영상을 추출하는 음란 영상 샘플 획득부와;
    상기 추출된 대표 문제영상을 제2 디바이스로 전송하고, 상기 제2 디바이스로부터 제어 명령을 수신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며,
    상기 음란 영상 처리부는 상기 수신된 제어 명령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디바이스에서 차단된 영상 컨텐츠의 사용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란물 제어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음란 영상 처리부는,
    상기 영상 컨텐츠를 암호화하거나 제1 디바이스의 파일 시스템에 기반하여 상기 영상 컨텐츠의 파일을 비활성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란물 제어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차단된 영상 컨텐츠의 복호화 키 또는 활성화 키를 수신하는 제어키 수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란물 제어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음란 영상 처리부는,
    상기 영상 컨텐츠의 재생, 저장, 복사, 이동, 삭제, 편집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어 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란물 제어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음란 영상 처리부는,
    상기 영상 컨텐츠의 사용에 있어서 전부 허용, 일부 허용 또는 전부 불가의 제어 정도에 따라 상기 영상 컨텐츠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란물 제어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음란 영상 처리부는,
    상기 컨텐츠의 사용이 가능한 시각, 컨텐츠의 길이/시간, 컨텐츠의 용량, 품질, 전송매체의 종류를 기준으로 상기 영상 컨텐츠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란물 제어 장치.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된 대표 문제영상은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영상 프레임 중 음란도가 소정의 기준치를 초과하는 문제영상들 중에서 상기 음란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영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음란도는 상기 영상 프레임에서 픽셀들의 색상값에 기초한 사람의 피부를 나타내는 것으로 추정되는 피부 추정 영역들이 차지하는 비율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값임을 특징으로 하는 음란물 제어 장치.
  18.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대표 문제영상의 이미지 파일을 첨부하여 전송할 수 있는 MMS(Multimedia Message Service) 또는 모바일 이메일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란물 제어 장치.
  19.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제어 명령을 발신한 제2 디바이스가 상기 제1 디바이스에 기 등록된 권한있는 디바이스인지를 상호 인증하는 권한 인증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란물 제어 장치.
  20.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대표 문제영상을 저장하는 음란 영상 저장부와;
    상기 저장된 대표 문제영상을 열람할 수 있는 권한있는 사용자에게 상기 대표 문제영상을 조회할 수 있도록 하는 음란 영상 조회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란물 제어 장치.
KR1020090110921A 2009-08-24 2009-11-17 음란 영상 컨텐츠의 사용을 제어하는 방법 및 그 장치 KR2011002070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2/688,162 US20110047388A1 (en) 2009-08-24 2010-01-15 Method and apparatus for remotely controlling access to pornographic content of an imag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8174 2009-08-24
KR20090078174 2009-08-2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0701A true KR20110020701A (ko) 2011-03-03

Family

ID=439298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10921A KR20110020701A (ko) 2009-08-24 2009-11-17 음란 영상 컨텐츠의 사용을 제어하는 방법 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2070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19889A (ko) * 2012-04-24 2013-11-01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디바이스에서 정보 콘텐츠 확인을 위한 방법 및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19889A (ko) * 2012-04-24 2013-11-01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디바이스에서 정보 콘텐츠 확인을 위한 방법 및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1004738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motely controlling access to pornographic content of an image
US1115572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dacting video for compression and identification of releasing party
US9565459B2 (en) Real-time DVR polling system
US9288451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image processing method
JP4197048B2 (ja) 監視カメラシステム、撮影装置および映像表示装置
TWI517685B (zh) 跨多種電視輸入源之動態內容分級管理
KR20130067530A (ko) 영상 보안 전송 장치 및 방법과 그 수신 장치 및 방법
US20110145574A1 (en) Security management server and image data managing method thereof
US11372960B2 (en) Steganographic access controls
TW201338513A (zh) 視頻播放控制系統、控制方法及視頻監控系統與方法
KR20170061937A (ko) 영상 공유 방법
US2020041313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ent Control Based on the Number of Viewers
KR20120042314A (ko) 얼굴 영상 정보에 기초하여 콘텐츠를 추천하는 시스템 및 방법
Wang et al. {CamShield}: Securing Smart Cameras through Physical Replication and Isolation
KR20110020701A (ko) 음란 영상 컨텐츠의 사용을 제어하는 방법 및 그 장치
US10740624B2 (en) Method for monitoring consumption of content
CN113038089B (zh) 智能识别的动态自解码处理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09905762B (zh) 图像处理装置及其控制方法
JP2017158080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プログラム、及び情報処理システム
US20140317651A1 (en) Electronic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US20180048940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using a home security system to alert a user about a media event
Carpentieri et al. Privacy-preserving Secure Media Streaming for Multi-user Smart Environments
US20230276081A1 (en) System and method of altering real time audio and video streams
KR100726138B1 (ko) 감시카메라의 오동작 감지 및 영상 암호 시스템 및 그방법
US20110113464A1 (en) Set-top box an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improving monitoring quality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