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20178A - 애플리케이션 다운로드 서비스방법,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비스방법, 및 이를 적용한 사용자 단말기 - Google Patents

애플리케이션 다운로드 서비스방법,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비스방법, 및 이를 적용한 사용자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20178A
KR20110020178A KR1020100076505A KR20100076505A KR20110020178A KR 20110020178 A KR20110020178 A KR 20110020178A KR 1020100076505 A KR1020100076505 A KR 1020100076505A KR 20100076505 A KR20100076505 A KR 20100076505A KR 20110020178 A KR20110020178 A KR 201100201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user terminal
application
user
netw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765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10427B1 (ko
Inventor
이민철
이남걸
장우용
유승동
박세준
문민정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JP2010185100A priority Critical patent/JP5921060B2/ja
Priority to US12/860,091 priority patent/US20110055355A1/en
Priority to PCT/KR2010/005565 priority patent/WO2011021908A2/en
Priority to EP10173581.9A priority patent/EP2288113B1/en
Priority to TW099127895A priority patent/TWI501153B/zh
Priority to CN201010259815.3A priority patent/CN101997908B/zh
Publication of KR201100201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201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04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04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5/00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 G06F15/16Combinations of two or more digital computers each having at least an arithmetic unit, a program unit and a register, e.g. for a simultaneous processing of several programs
    • G06F15/161Computing infrastructure, e.g. computer clusters, blade chassis or hardware partition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5/00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 G06F15/16Combinations of two or more digital computers each having at least an arithmetic unit, a program unit and a register, e.g. for a simultaneous processing of several progra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48Execution paradigms, e.g. implementations of programming paradig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48Execution paradigms, e.g. implementations of programming paradigms
    • G06F9/4494Execution paradigms, e.g. implementations of programming paradigms data drive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애플리케이션 다운로드 서비스방법,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비스방법, 및 이를 적용한 사용자 단말기가 제공된다. 본 애플리케이션 다운로드 서비스방법에 따르면, 서버로 사용자 단말기 정보를 전송하고, 사용자 단말기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된 애플리케이션 리스트를 수신하며, 수신된 애플리케이션 리스트를 화면에 표시하게 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원하는 애플리캐이션을 더욱 쉽고 간단한 방법으로 다운받을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애플리케이션 다운로드 서비스방법,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비스방법, 및 이를 적용한 사용자 단말기{Method for service to download application, method for service to provide application, electronic device applying the same}
본 발명은 애플리케이션 다운로드 서비스방법,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비스방법, 및 이를 적용한 사용자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 단말기가 서버로부터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 다운로드 서비스방법,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비스방법, 및 이를 적용한 사용자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모바일 기기에서 사용되는 애플리케이션을 온라인 상에서 판매하는 애플리케이션 스토어가 일반화되고 있다. 대표적인 예로 애플사의 앱스토어를 들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자신의 모바일 기기를 이용하여 인터넷 상의 애플리케이션 스토어에 접속하여, 인터넷 상거래를 이용하여 비용을 지불한 후에 원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직접 다운로드 받을 수 있게 되었다. 따라서, 사용자는 자신의 모바일 기기를 이용하여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받을 수 있게 되었다.
하지만, 인터넷 상에서 제공되는 애플리케이션 스토어는 방대한 양의 애플리케이션을 판매하고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원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찾는데 오랜 시간을 소비하할 수 밖에 없게 된다. 또한, 사용자는 자신의 기기에 맞는 애플리케이션이 무엇인지 알지 못하는 경우도 발생할 수 있다.
사용자는 쉬운 방법으로 원하는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받을 수 있기를 원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원하는 애플리캐이션을 더욱 쉽고 간단한 방법으로 다운받을 수 있는 방안의 모색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서버로 사용자 단말기 정보를 전송하고, 사용자 단말기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된 애플리케이션 리스트를 수신하며, 수신된 애플리케이션 리스트를 화면에 표시하는 애플리케이션 다운로드 서비스방법,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비스방법, 및 이를 적용한 사용자 단말기를 제공함에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사용자 단말기 정보를 수신하고, 사용자 단말기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된 애플리케이션 리스트를 생성하며, 생성된 애플리케이션 리스트를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비스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로부터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하는 사용자 단말기의 애플리케이션 다운로드 서비스 방법은, 사용자 단말기 정보, 네트워크 정보, 사업자 정보 및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기 정보, 상기 네트워크 정보, 상기 사업자 정보 및 상기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생성된 애플리케이션 리스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애플리케이션 리스트를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 정보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제조사, 모델명, 해상도, CPU 정보, 스토리지 정보, 저장 기능 용량 및 터치스크린 유무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네트워크 정보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상기 서버 간에 연결된 네트워크의 속도에 관한 정보일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사업자 정보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업자가 제공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에 관한 정보일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 정보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구매 이력 및 상기 사용자의 선호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 정보, 상기 네트워크 정보, 상기 사업자 정보 및 상기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포함된 속성들 각각에 대해 우선순위를 설정하여 전송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 정보, 상기 네트워크 정보, 상기 사업자 정보 및 상기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포함된 속성들 각각에 대해 우선순위를 나타내는 플래그를 포함시켜 전송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애플리케이션 리스트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 정보, 상기 네트워크 정보, 상기 사업자 정보 및 상기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포함된 속성별로 화면에 표시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는, 서버로부터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하는 사용자 단말기는, 복수의 네트워크 중 하나를 통해 상기 서버에 접속하기 위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사용자 단말기 정보, 네트워크 정보, 사업자 정보 및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 정보, 상기 네트워크 정보, 상기 사업자 정보 및 상기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생성된 애플리케이션 리스트를 수신하도록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제어하고, 상기 애플리케이션 리스트가 화면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 정보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제조사, 모델명, 해상도, CPU 정보, 스토리지 정보, 저장 기능 용량 및 터치스크린 유무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네트워크 정보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상기 서버 간에 연결된 네트워크의 속도에 관한 정보일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사업자 정보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업자가 제공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에 관한 정보일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 정보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구매 이력 및 상기 사용자의 선호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 정보, 상기 네트워크 정보, 상기 사업자 정보 및 상기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포함된 속성들 각각에 대해 우선순위가 설정되어 전송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 정보, 상기 네트워크 정보, 상기 사업자 정보 및 상기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포함된 속성들 각각에 대해 우선순위를 나타내는 플래그가 포함되어 전송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애플리케이션 리스트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 정보, 상기 네트워크 정보, 상기 사업자 정보 및 상기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포함된 속성별로 화면에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에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서버의 애플리케이션 제공방법은,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기 정보, 네트워크 정보, 사업자 정보 및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기 정보, 네트워크 정보, 사업자 정보 및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기 저장된 애플리케이션들 중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을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된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애플리케이션 리스트를 생성하고, 상기 애플리케이션 리스트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저장된 애플리케이션들 중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실행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을 추출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네트워크 정보를 기초로, 상기 네트워크의 속도에 따라 특정 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을 추출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사업자 정보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업자가 제공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을 추출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정보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의 구매 이력 및 선호도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을 추출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사용자의 구매 이력 및 선호도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저장된 사용자의 구매 이력 및 선호도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캐이션을 추출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추출하는 단계에서 애플리케이션을 추출하기 위한 사용자 단말기 정보에 관한 조건, 네트워크 정보에 관한 조건 및 사업자 정보에 관한 조건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에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서버는, 복수의 네트워크 중 하나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접속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상기 사용자 단말기 정보, 네트워크 정보, 사업자 정보 및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 정보, 상기 네트워크 정보, 상기 사업자 정보 및 상기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저장된 애플리케이션들 중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을 추출하며, 상기 추출된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애플리케이션 리스트를 생성하고, 상기 애플리케이션 리스트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도록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저장된 애플리케이션들 중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실행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을 추출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네트워크 정보를 기초로, 상기 네트워크의 속도에 따라 특정 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을 추출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업자 정보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업자가 제공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을 추출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정보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의 구매 이력 및 선호도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을 추출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사용자의 구매 이력 및 선호도를 저장하는 데이터 베이스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저장된 사용자의 구매 이력 및 선호도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을 추출할 수도 있다.
또한, 애플리케이션을 추출하기 위한 사용자 단말기 정보에 관한 조건, 네트워크 정보에 관한 조건 및 사업자 정보에 관한 조건 중 적어도 하나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 정보에 관한 조건, 상기 네트워크 정보에 관한 조건 및 상기 사업자 정보에 관한 조건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서버로 사용자 단말기 정보를 전송하고, 사용자 단말기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된 애플리케이션 리스트를 수신하며, 수신된 애플리케이션 리스트를 화면에 표시하는 애플리케이션 다운로드 서비스방법,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비스방법, 및 이를 적용한 사용자 단말기를 제공할 수 있게 되어, 사용자가 원하는 애플리캐이션을 더욱 쉽고 간단한 방법으로 다운받을 수 있게 된다.
특히, 서버로부터 사용자 단말기에 적합한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리스트를 수신하기 때문에, 사용자는 원하는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받을 때 불필요한 애플리케이션까지 검색해야하는 불편함을 없앨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애플리케이션 다운로드 서비스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흐름도,
도 2a 내지 도 2h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가 카메라인 경우에 지도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받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100)의 구조를 도시한 블럭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델명에 따른 애플리케이션이 표시된 다음 해상도에 따른 애플리케이션이 표시된 화면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전송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애플리케이션 제공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애플리케이션을 필터링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에 대한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그리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에 대한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애플리케이션 다운로드 서비스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흐름도이다.
일단, 사용자 단말기(100)는 인터넷에 연결된다(S110). 사용자 단말기(100)는 유선랜 망을 통해 인터넷에 접속할 수도 있고, 무선랜, 와이브로 등의 무선 망을 통해 인터넷에 접속할 수도 있다.
그 후에, 사용자 단말기(100)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애플리케이션 제공 사이트를 제공하는 서버(105)에 접속한다(S120). 애플리케이션 제공 사이트의 서버(105)에 접속되면, 사용자 단말기(100)는 사용자 단말기 정보를 서버(105)로 전송한다(S130).
여기에서, 사용자 단말기 정보는 사용자 단말기(100)의 스펙 속성을 나타내는 정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단말기 정보는 사용자 단말기(100)의 모델명, 해상도, CPU정보, 스토리지 정보, 저장 가능 용량, 및 터치스크린 유무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사용자 단말기 정보는 사용자 단말기(100)의 메타 데이터들이 될 수도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기(100)는 사용자 단말기 정보들 각각에 대해 우선순위를 설정하여 전송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모델명에 가장 높은 우선순위를 주고자 할 경우, 사용자 단말기(100)는 사용자 단말기 정보에서 모델명 정보에 우선 순위 플래그를 포함시켜 전송할 수 있다. 그러면, 서버(105)는 모델명을 우선적으로 적용하여 사용자 단말기(100)에 적합한 애플리케이션을 추출하게 된다.
이와 같이, 사용자 단말기(100)가 사용자 단말기 정보를 서버(105)로 전송하면, 서버(105)는 인터넷 망을 통해 사용자 단말기 정보를 수신하게 된다(S140). 그리고, 서버(105)는 수신된 사용자 단말기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기(100)에 대한 기기의 종류 또는 기기의 속성을 판단한다(S150).
그리고, 서버(105)는 판단된 기기의 종류 도는 기기의 속성에 기초하여, 저장된 애플리케이션들 중에서 사용자 단말기(100)에 적용 가능한 애플리케이션을 추출한다(S160). 예를 들어, 서버(105)가 사용자 단말기 정보로 모델명을 수신하였다면, 서버(105)는 해당 모델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을 추출한다. 그리고, 서버(105)가 해상도를 사용자 단말기 정보로 수신하였다면, 서버(105)는 수신된 해상도에서 실행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을 추출한다.
그 후에, 서버(105)는 추출된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100)로 전송한다(S170). 그러면, 사용자 단말기(100)는 애플리케이션 정보를 서버(105)로부터 수신하게 된다(S180).
그리고, 사용자 단말기(100)는 수신된 애플리케이션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기(100)에 적합한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화면에 표시하게 된다(S190). 이 때, 사용자 단말기(100)는 사용자 단말기 정보에 포함된 속성 별로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기(100)는 모델명에 적합한 애플리케이션들을 하나의 그룹으로 화면에 표시하고, 해상도에 적합한 애플리케이션들을 하나의 그룹으로 화면에 표시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기(100)는 사용자 단말기 정보의 속성 별로 우선순위를 부여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기(100)는 모델명에 적합한 애플리케이션들을 가장 먼저 화면에 표시하고, 해상도에 적합한 애플리케이션들을 그 다음으로 화면에 표시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사용자 단말기(100)는 서버(105)로부터 자신에게 적합한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목록을 선별적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자신이 원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쉽게 찾아볼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 2a 내지 도 2h를 참고하여, 사용자 단말기(100)가 카메라인 경우에 지도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받는 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도 2a 내지 도 2h는 사용자 단말기(100)가 카메라(200)인 경우에 지도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받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a는 카메라(200)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메인 메뉴가 표시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200)의 메인 메뉴는 '온라인 스토어'라는 항목을 포함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온라인 스토어' 항목은 인터넷 상에서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사이트에 접속하는 기능을 하는 항목이다. 따라서, 사용자가 '온라인 스토어' 항목을 선택하면, 카메라(200)는 인터넷을 통해 애플리케이션 제공 사이트를 제공하는 서버(105)에 접속하게 된다. 그리고, 카메라(200)는 서버로 자신의 사용자 단말기 정보를 전송하게 된다.
그러면, 도 2b와 같이, 카메라(200)의 디스플레이 화면에는 온라인 스토어에서 제공되는 애플리케이션들의 카테고리가 표시된다. 이때, 표시되는 애플리케이션들의 카테고리는, 카메라(200)에서 사용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들에 대한 카테고리이다.
이 중에서, 사용자가 'Map' 항목을 선택하면, 카메라(200)는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운로드 가능한 맵 애플리케이션들의 리스트를 화면에 표시한다. 도 2c에 도시된 맵 애플리케이션들은,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105)가 카메라(200)의 사용자 단말기 정보를 참고하여 카메라(200)에서 사용되기 적합 것으로 선별한 맵 애플리케이션들이다. 구체적으로,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105)는 카메라(200)의 모델에 적합한 맵 애플리케이션을 추출할 수도 있다. 또한,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105)는 카메라(200)의 해상도에 적합한 맵 애플리케이션을 추출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카메라(200)는 서버(105)로부터 사용에 적합한 애플리케이션의 리스트를 수신하고, 수신된 애플리케이션의 리스트를 도 2c와 같이 화면에 표시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카메라(200)에서 실행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을 쉽게 선택할 수 있게 된다.
도 2c에서 사용자가 'Osaka Map'을 선택하면, 도 2d와 같이 Osaka Map 애플리케이션을 구매할지 여부를 묻는 화면이 표시된다. 사용자가 '예'를 선택하면, 구매 절차가 진행된다. 그리고, 도 2e와 같이 선택된 애플리케이션의 다운로드 절차가 진행된다. 그리고, 다운로드가 완료되면, 도 2f와 같이 다운로드가 완료되었음을 알리는 화면이 표시된다.
이와 같이, 'Osaka Map'을 다운로드한 후에, 사용자가 도 2g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메뉴에서 '네비게이션'을 선택하면, 도 2h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네비게이션에서 'Osaka Map'을 실행시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카메라(200)는 사용자 단말기 정보를 서버(105)로 전송함으로써, 카메라(200)에서 사용되기 적합한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리스트를 수신하여 화면에 표시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카메라(200)를 이용하여 온라인 스토어로부터 기기에 적합한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정보만을 확인하고, 원하는 애플리케이션을 빠르게 찾아 다운로드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사용자 단말기(100)가 카메라(200)인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사용자 단말기(100)는 이외에도 다양한 기기가 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단말기(100)는 휴대폰, 디지털 액자, 및 TV 등이 될 수도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기(100)가 어떤 기기인지에 따라 그에 적합한 애플리케이션도 달라진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기(100)가 휴대폰인 경우, 이에 적합한 애플리케이션은 휴대폰 벨소리, 휴대폰 위젯, 및 컨텐츠 등이 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기(100)가 디지털 액자인 경우, 이에 적합한 애플리케이션은 프리미엄 애플리케이션, 위젯, 유명 작가의 사진 등이 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기(100)가 TV인 경우, 이에 적합한 애플리케이션은 프리미엄 애플리케이션, 동영상 파일 등이 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사용자 단말기(100)의 구조에 대해 도 3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100)의 구조를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기(100)는 기능블럭(310), 디스플레이부(320), 저장부(330), 조작부(340), 통신부(350), 및 제어부(360)를 포함한다.
기능 블럭(310)은 사용자 단말기(100) 본연의 기능을 수행한다. 만약, 사용자 단말기(100)가 MP3 플레이어인 경우 기능 블럭(310)은 MP3 플레이어의 기능을 수행하고, 사용자 단말기(100)가 PMP인 경우 기능 블럭(310)은 PMP의 기능을 수행한다.
디스플레이부(320)는 입력된 영상을 디스플레이하고, GUI를 디스플레이한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부(320)는 도 2a 내지 도 2h에 도시된 화면들(예를 들어, 메인 메뉴, 애플리케이션 리스트 등)을 디스플레이 한다.
저장부(330)는 복수개의 컨텐츠들이 저장된 저장매체이다. 또한, 저장부(330)는 다운로드된 애플리케이션을 저장할 수도 있다. 저장부(330)는 하드 디스크, 비휘발성 메모리 등이 될 수도 있다.
조작부(340)는 특정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사용자의 조작을 입력받는다. 예를 들어, 조작부(340)는 버튼, 휠, 터치스크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350)는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105)와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된다. 그리고, 통신부(350)는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105)로 사용자 단말기 정보를 전송하고,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105)로부터 애플리케이션 리스트를 수신한다. 통신부(350)는 유선 랜 카드 등의 유선 통신 모듈일 수도 있고, 무선랜이나 블루투스 등의 무선 통신 모듈일 수도 있다
제어부(360)는 도 1에 도시된 흐름도의 단계들을 수행하고, 도 2a 내지 도 2h의 과정을 수행함으로써, 사용자 단말기(100)가 서버(105)로부터 기기에 적합한 애플리케이션의 리스트를 표시 할 수 있게 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360)는 애플리케이션 제공서버(105)로 사용자 단말기 정보를 전송하고, 사용자 단말기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된 애플리케이션 리스트를 수신하도록 통신부(350)를 제어한다. 여기에서, 사용자 단말기 정보는 사용자 단말기(100)의 스펙 속성을 나타내는 정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단말기 정보는 사용자 단말기(100)의 모델명, 해상도, CPU정보, 스토리지 정보, 저장 가능 용량, 및 터치스크린 유무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사용자 단말기 정보는 사용자 단말기(100)의 메타 데이터들이 될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360)는 사용자 단말기 정보들 각각에 대해 우선순위를 설정하여 전송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모델명에 가장 높은 우선순위를 주고자 할 경우, 제어부(360)는 사용자 단말기 정보에서 모델명 정보에 우선 순위 플래그를 포함시켜 전송할 수 있다. 그러면, 서버(105)는 모델명을 우선적으로 적용하여 사용자 단말기(100)에 적합한 애플리케이션을 추출하게 된다.
또한, 제어부(360)는 애플리케이션 리스트가 화면에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부(320)를 제어한다. 그리고, 제어부(360)는 애플리케이션 리스트가 사용자 단말기 정보에 포함된 속성별로 화면에 표시되도록 제어한다.
이와 같이, 사용자 단말기(100)의 제어부(360)는 사용자 단말기 정보를 서버(105)로 전송함으로써, 사용자 단말기(100)에서 사용되기 적합한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리스트를 수신하여 화면에 표시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100)를 이용하여 온라인 스토어로부터 기기에 적합한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정보만을 확인하고, 원하는 애플리케이션을 빠르게 찾아 다운로드할 수 있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델명에 따른 애플리케이션이 표시된 다음 해상도에 따른 애플리케이션이 표시된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기(100)를 통해 애플리케이션 제공 사이트에 접속하면, 사용자 단말기(100)는 도 4와 같이 애플리케이션의 리스트가 표시된 화면을 표시한다.
도 4에서 사용자 단말기(100)는 모델명이 'S500'이고 해상도가 320*200인 것으로 가정하였다. 그러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기(100)는 S500 모델에서 사용될 수 있는 맵 애플리케이션 리스트를 우선적으로 표시하고, 그 다음으로 해상도 320*200에 적용될 수 있는 맵 애플리케이션 리스트를 표시한다. 즉, 사용자 단말기(100)는 모델명에 적합한 애플리케이션이 우선순위가 높도록 설정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우선순위는 사용자가 원하는 대로 조정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사용자는 애플리케이션 제공 사이트에 접속하는 조작만으로, 도 4와 같이 사용자 단말기(100)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애플리케이션의 리스트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전송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애플리케이션 전송 시스템은, CP(Contents Provider)에 의해 제작되어 서버에 저장된 애플리케이션을, 네트워크를 통해, 단말이 수신할 수 있도록 제공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애플리케이션 전송 시스템은, 복수의 단말(100-1, 100-2), 복수의 네트워크(10-1, 10-2) 및 서버(105)로 구성된다.
단말 1(100-1) 및 단말 2(100-2)는 사용자 단말 또는 클라이언트에 해당하며, 네트워크(10-1, 10-2)를 통해 서버(105)에 접속하여, 서버(105)에 저장된 애플리케이션을 수신하며, 이에 따라 사용자 단말을 사용하는 사용자가, 수신된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단말 1(100-1) 및 단말 2(100-2)는 애플리케이션 리스트에 대한 전송을 서버(105)로 전송하고, 서버(105)는 수신된 애플리케이션 리스트 중 일부를 선택하여 선택된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할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단말 1(100-1) 및 단말 2(100-2)는 자신에게 최적화된 애플리케이션 리스트를 제공받기 위해, 자신에 대한 사용자 단말기 정보를 서버(105)로 함께 전송한다.
서버(105)는 CP(Contents Provider)에 의해 제작/생성된 애플리케이션, 컨텐츠, 데이터 등을 저장하며, 단말 1(100-1) 또는 단말 2(100-2)의 요청에 따른 애플리케이션 리스트를 단말 1(100-1) 또는 단말 2(100-2)로 전송한다. 여기서, CP는, 애플리케이션이나 컨텐츠를 제작하거나 생성하는 주체로서, 네트워크(10-1, 10-2)를 통해 제작된 애플리케이션 또는 컨텐츠를 서버(105)로 전송하여, 서버(105)에 저장되도록 한다.
한편, 서버(105)는 전술한 바와 같이, 애플리케이션 리스트에 대한 제공 요청과 함께 단말 1(100-1) 또는 단말 2(100-2)에 대한 사용자 단말기 정보를 수신한다. 이에 따라, 서버(105)는 저장된 애플리케이션들 중 단말 1(100-1) 또는 단말 2(100-2)에 최적화된 애플리케이션들을 추출하여 추출된 애플리케이션들의 리스트를 단말 1(100-1) 또는 단말 2(100-2)로 전달하게 된다.
사용자 단말기 정보란, 단말의 제조사, 모델명, 해상도, CPU 정보, 스토리지 정보, 저장 가능 용량, 터치스크린 유무, 고유번호, 사용자 및 애플리케이션 사용이력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정보를 의미하며, 이를 통해, 서버(105)는 단말에서 실행가능한 애플리케이션 또는 단말에서 실행될 수 있는 것으로 지정된 애플리케이션 등을 추출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서버(105)는 애플리케이션 리스트에 대한 제공 요청이 전달된 네트워크 정보를 판단하며, 판단된 네트워크 정보에 따라 최적화된 애플리케이션들을 추출하여 추출된 애플리케이션들의 리스트를 전달한다.
여기서, 네트워크 정보란, 사용자 단말기 정보가 전송된 네트워크의 속도에 관한 정보가 된다. 즉, 네트워크 정보는 사용자 단말기(100)와 서버(105)가 연결된 네트워크의 속도에 관한 정보를 나타낸다. 애플리케이션들은 다양한 용량을 가지고 있을 수 있기 때문에, 네트워크에서의 데이터 전송속도가 낮은 경우, 용량이 큰 애플리케이션은 전송시 문제가 될 수 있다. 따라서, 서버(105)는 애플리케이션 리스트에 대한 제공 요청이 전달된 네트워크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최적화된 애플리케이션들을 추출하여 추출된 애플리케이션들의 리스트를 전달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단말 1(100-1) 및 단말 2(100-2)가 다양한 네트워크를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을 설명하기 위해, WiFi(10-1) 및 GPRS(10-2)를 예로 들었으나, 이 외의 다른 네트워크를 이용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서버(105)는 CP로부터 제작된 애플리케이션들을 저장하며, 단말로부터 애플리케이션 리스트에 대한 제공 요청이 있는 경우, 사용자 단말기 정보 및 네트워크 정보를 이용하여 저장된 애플리케이션들 중 각 단말마다 최적화된 애플리케이션들에 대한 리스트를 전달한다.
도 5에는 이에 대한 내용을 도시한 것으로서, ⓐWiFi(10-1)를 통한 단말1(100-1)의 어플케이션 리스트 제공 요청에 따라, 서버(105)가 WiFi(10-1)를 통해 애플리케이션1(App1)을 단말 1(100-1)로 전달하고, ⓑWiFi(10-1)를 통한 단말2(100-2)의 어플케이션 리스트 제공 요청에 따라, 서버(105)가 WiFi(10-1)를 통해 애플리케이션2(App2)을 단말 2(100-2)로 전달하며, ⓒGPRS(10-2)를 통한 단말1(100-1)의 어플케이션 리스트 제공 요청에 따라, 서버(105)가 GPRS(10-2)를 통해 애플리케이션3(App3)을 단말 1(100-1)로 전달하고, ⓓGPRS(10-2)를 통한 단말2(100-2)의 어플케이션 리스트 제공 요청에 따라, 서버(105)가 GPRS(10-2)를 통해 애플리케이션4(App4)을 단말 2(100-2)로 전달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애플리케이션 제공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사용자로부터 애플리케이션 리스트에 대한 요청이 입력되면(S610-Y), 사용자 단말기(100)는, 애플리케이션 리스트를 서버(105)에 요청하며 이와 함께 단말에 대한 정보를 서버(105)로 전달한다(S620).
서버(105)는, 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 수신된 사용자 단말기 정보를 분석하고(S630), 이러한 사용자 단말기 정보와 애플리케이션 리스트 요청이 수신된 경로, 즉, 네트워크 정보를 판단한다(S640). 또한, 서버(105)는 분석된 사용자 단말기 정보와 판단된 네트워크 정보를 기초로, 서버(105)에 저장된 전체 애플리케이션들 중 일부를 필터링하며(S650), 필터링된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100)에 전송한다(S660). 여기서, 필터링된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정보란, 필터링된 애플리케이션 리스트를 의미한다.
애플리케이션을 필터링하는 과정에 대해 도 7을 참고하여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7은 애플리케이션을 필터링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 사용자 단말기 정보가 수신되고 네트워크 정보가 판단되면, 서버(105)는 사용자 단말기 정보 및 네트워크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 단말기(100)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들을 추출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기 정보로서 단말의 제조사, 품종 등의 정보가 수신된 경우, 도시된 바와 같이, 서버(105)는 이를 이용해 사용자 단말기(100)의 해상도(710) 등과 같은 사용자 단말기(100)에 관한 구체적인 정보를 추출할 수 있게 된다. 이와 마찬가지로, 서버(105)는 네트워크의 데이터 전송 속도(720)와 같은 네트워크에 관한 구체적인 정보도 추출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구체적 정보들은 서버(105)에 미리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의 해상도(710)와 네트워크의 데이터 전송속도(720)와 같은 구체적 정보를 이용하여, 서버(105)는 저장된 애플리케이션들 중 사용자 단말기(100)로 전송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730)에 대한 리스트를 추출하며, 추출된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리스트를 사용자 단말기(100)로 전송한다.
다시 도 6에 대해 설명하면, 사용자 단말기(100)는 서버(105)로부터 수신된 애플리케이션 리스트를 화면에 표시한다(S270), 이에 따라 사용자 단말기(100)를 사용하는 사용자는 애플리케이션 리스트 중 원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선택할 수 있게 된다.
도 8은 도 5 내지 도 7에서 설명한 사용자 단말기(100)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사용자 단말기(100)는 애플리케이션 실행 모듈(810), 디스플레이(820), 제어부(830), 네트워크 인터페이스(840), 입력부(850) 및 저장부(860)를 구비한다.
애플리케이션 실행 모듈(810)은, 서버(105)로부터 수신된 애플리케이션 리스트에 대한 영상처리를 하여, 애플리케이션 리스트가 화면에 표시되도록 하고, 애플리케이션 리스트 중 하나가 선택되어 서버(105)로부터 수신된 애플리케이션이 사용자 단말기(100)에서 실행되도록 한다. 애플리케이션 실행 모듈(810)은 애플리케이션 리스트 및 애플리케이션이 화면에 표시되도록 하기 위한 신호를 디스플레이(820)로 전달하며,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820)는 애플리케이션 리스트 및 애플리케이션을 화면에 표시한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840)는, 사용자 단말기(100)이 네트워크를 통해 서버(105)와 통신하기 위한 통로 역할을 제공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 단말기(100)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840)를 통해 애플리케이션 리스트 요청, 사용자 단말기 정보 및 애플리케이션 제공 요청을 서버(105)로 전달하고, 서버(105)로부터 애플리케이션 리스트 및 선택된 애플리케이션을 수신한다.
입력부(850)는 마우스, 키보드 등과 연결되어 사용자의 조작을 입력받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된다. 특히, 입력부(850)는 애플리케이션 리스트를 요청하는 사용자의 명령 및 애플리케이션을 요청하는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받아, 이를 제어부(830)로 전달한다.
저장부(860)는, 사용자 단말기(100)의 전반을 동작시키기 위한 프로그램 및 서버(105)로부터 수신되는 각종 정보, 데이터 및 애플리케이션을 저장한다. 이러한 저장부(860)는 하드디스크, 비휘발성 메모리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제어부(830)는 사용자 단말기(100)의 전반을 제어한다. 특히, 제어부(830)는 애플리케이션 리스트 요청, 사용자 단말기 정보 및 애플리케이션 요청이 네트워크 인터페이스(840)를 통해 서버(105)로 전달되고, 서버(105)로부터 수신된 애플리케이션 리스트가 디스플레이(820)에 표시되도록 하며, 서버(105)로부터 수신된 애플리케이션이 사용자 단말기(100)에서 실행되도록 한다.
뿐만 아니라, 제어부(830)는 사용자 단말기(100)에 연결된 복수의 네트워크 중 하나를 선택하여, 선택된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100)과 서버(105)가 통신할 수 있도록 한다.
도 9는 지금까지 설명한 서버(105)에 대한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서버(105)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910), 제어부(920) 및 저장부(930)를 구비한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910)는, 서버(105)가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100)과 통신하기 위한 통로 역할을 제공한다. 이에 따라, 서버(105)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910)를 통해 애플리케이션 리스트 요청, 사용자 단말기 정보 및 애플리케이션 제공 요청을 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 수신하고, 사용자 단말기(100)로 애플리케이션 리스트 및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애플리케이션을 전송한다.
저장부(930)는 서버(105)의 전반을 동작시키기 위한 프로그램 및 CP로부터 수신되는 애플리케이션, 컨텐츠 등의 데이터들을 저장한다. 또한, 저장부(930)는 CP로부터 수신되는 애플리케이션들에 대한 정보로서, 애플리케이션이 실행가능한 사용자 단말기(100)에 관한 정보, 애플리케이션의 용량 등의 정보를 저장한다. 이러한 저장부(930)는 하드디스크, 비휘발성 메모리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제어부(920)는 서버(105)의 전반을 제어한다. 특히, 제어부(920)는 애플리케이션 리스트 요청 및 사용자 단말기 정보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910)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 수신되면, 수신된 사용자 단말기 정보를 분석하여 사용자 단말기(100)의 구체적 정보들을 추출하고, 애플리케이션 리스트 요청 및 사용자 단말기 정보가 수신된 경로인 네트워크에 대한 정보를 판단하여, 이를 기초로 네트워크에 대한 구체적 정보들을 추출한다.
또한, 제어부(920)는 CP로부터 수신되어 저장부(930)에 저장된 애플리케이션들 중 사용자 단말기 정보 및 네트워크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 단말기(100)에 최적화된 애플리케이션들을 필터링하고, 최적화된 애플리케이션들에 대한 리스트를 사용자 단말기(100)로 전송한다.
이에 의해, 서버(105)는 사용자 단말기(100)에 적용가능한 애플리케이션을 선택적으로 제공할 수 있어, 사용자에게 애플리케이션 이용의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이상에서는, 단말1(100-1)과 단말2(100-2)가 네트워크(10-1, 10-2)를 통해 서버(105)와 직접 연결되어 있는 것으로 상정하였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예시적 사항에 불과하다. 따라서, 단말1(100-1)과 단말2(100-2)는 PC와 같은 별도의 매개 장치들을 매개로 하여, 네트워크(10-1, 10-2)를 통해 서버(105)와 연결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단말1(100-1)이 모바일 폰이라고 할 경우, 모바일 폰은 PC와 연결되고, PC에서 사용가능한 네트워크(10-1, 10-2)를 통해 서버(105)로부터 애플리케이션 리스트가 수신되면, 이러한 애플리케이션 리스트 중 선택된 애플리케이션이 PC를 통해 모바일 폰으로 전송되도록 구현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사용자 단말기가 사용자 단말기 정보 및 네트워크 정보를 전송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외에 사업자 정보 또는 사용자 정보를 전송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여기에서, 사업자 정보는 사용자 단말기(100)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업자(즉, 컨텐츠 프로바이더(CP))가 제공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에 관한 정보를 나타낸다. 그리고, 사용자 정보는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기(100)를 이용하여 애플리케이션 서비스를 이용한 내역을 나타내는 정보로써, 사용자의 애플리케이션 구매 이력 및 사용자의 애플리케이션 선호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사용자 단말기(100)는 사용자 단말기 정보, 네트워크 정보, 사업자 정보 및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서버(105)에 전송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사용자 단말기(100)는 사용자 단말기 정보, 네트워크 정보, 사업자 정보 및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포함된 속성들 각각에 대해 우선순위를 설정하여 전송할 수도 있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기(100)는 우선순위 설정을 위해, 사용자 단말기 정보, 상기 네트워크 정보, 상기 사업자 정보 및 상기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포함된 속성들 각각에 대해 우선순위를 나타내는 플래그를 포함시켜 전송할 수도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기(100)는 애플리케이션 리스트를 사용자 단말기 정보, 네트워크 정보, 사업자 정보 및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포함된 속성별로 화면에 표시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기(100)는 사용자 단말기 정보에 대응되는 애플리케이션 리스트만을 화면에 표시할 수도 있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기(100)는 사업자 정보에 대응되는 애플리케이션 리스트와 사용자 정보에 대응되는 애플리케이션 리스트를 별개의 영역에 각각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서버(105)는 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 사용자 단말기 정보, 네트워크 정보, 사업자 정보 및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한다. 그리고, 서버(105)는 사용자 단말기 정보, 네트워크 정보, 사업자 정보 및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기 저장된 애플리케이션들 중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을 추출한다. 그리고, 서버(105)는 추출된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애플리케이션 리스트를 생성하고, 애플리케이션 리스트를 사용자 단말기(100)로 전송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서버(105)는 사용자 단말기 정보, 네트워크 정보, 사업자 정보 및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다음과 같이 각각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을 추출한다.
서버(105)는 사용자 단말기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저장된 애플리케이션들 중 사용자 단말기(100)에서 실행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을 추출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서버(105)는 사용자 단말기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 단말기(100)의 화면 해상도를 인식하고, 사용자 단말기(100)의 화면 해상도에서 실행 가능한 애플리케이션들을 추출하여 애플리케이션 리스트를 생성할 수도 있다.
또한, 서버(105)는 네트워크 정보를 기초로, 네트워크의 속도에 따라 특정 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을 추출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서버(105)는 네트워크 정보에 기초하여 5분 이내에 다운로드할 수 있는 용량의 애플리케이션들을 추출하여 애플리케이션 리스트를 생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서버(105)는 사업자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 단말기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업자가 제공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을 추출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서버(105)는 유튜브에서 제공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들을 추출하여 애플리케이션 리스트를 생성할 수도 있다.
또한, 서버(105)는 사용자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의 구매 이력 및 선호도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을 추출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서버(105)는 사용자가 구매했던 애플리케이션을 제외한 나머지 애플리케이션들을 추출하여 애플리케이션 리스트를 생성할 수도 있다.
이 때, 서버(105)는 사용자의 구매 이력 및 선호도를 사용자 별로 저장할 수도 있다. 그리고, 서버(105)는 사용자가 애플리케이션을 구매하거나 선호도 정보를 입력할 때마다 사용자의 구매 이력 및 선호도 정보를 업데이트하게 된다. 따라서, 서버(105)는 사용자 단말기(100)의 저장된 현재 사용자에 대응되는 구매 이력 및 선호도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을 추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서버(105)는 애플리케이션을 추출하기 위한 사용자 단말기 정보에 관한 조건, 네트워크 정보에 관한 조건 및 사업자 정보에 관한 조건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할 수도 있다.
여기에서, 사용자 단말기 정보에 관한 조건은 서버(105)가 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 수신된 사용자 단말기 정보에 맞는 애플리케이션을 추출하기 위한 서버(105) 내부의 조건을 나타낸다.
그리고, 네트워크 정보에 관한 조건은 서버(105)가 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 수신된 네트워크 정보에 맞는 애플리케이션을 추출하기 위한 서버(105) 내부의 조건을 나타낸다.
또한, 사업자 정보에 관한 조건은 서버(105)가 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 수신된 사업자 정보에 맞는 애플리케이션을 추출하기 위한 서버(105) 내부의 조건을 나타낸다.
서버(105)는 상술한 바와 같이 애플리케이션을 추출하기 위한 내부 조건을 변경할 수 있으며, 변경된 조건에 적합한 애플리케이션을 추출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기(100)는 사용자 단말기 정보, 네트워크 정보, 사업자 정보 및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서버(105)에 전송할 수도 있다. 그리고, 서버(105)는 사용자 단말기 정보, 네트워크 정보, 사업자 정보 및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기의 요청에 적합한 애플리케이션 리스트를 생성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 단말기(100)는 서버(105)로부터 사용자 단말기(100)에 적합한 애플리케이션 리스트를 수신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설명한 사용자 단말기(100)는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할 수 있는 사용자 단말기라면 어느 것이라도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기(100)는 MP3 플레이어, PMP, 휴대폰, PDA 등이 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00 : 사용자 단말기 105 : 서버
810 : 애플리케이션 실행 모듈 820 : 디스플레이
830 : 제어부 840 :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850 : 입력부 860 : 저장부
910 :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920 : 제어부
930 : 저장부

Claims (30)

  1. 서버로부터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하는 사용자 단말기의 애플리케이션 다운로드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기 정보, 네트워크 정보, 사업자 정보 및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기 정보, 상기 네트워크 정보, 상기 사업자 정보 및 상기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생성된 애플리케이션 리스트를 수신하는 단계;및
    상기 애플리케이션 리스트를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애플리케이션 다운로드 서비스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 정보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제조사, 모델명, 해상도, CPU 정보, 스토리지 정보, 저장 기능 용량 및 터치스크린 유무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플리케이션 다운로드 서비스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정보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상기 서버 간에 연결된 네트워크의 속도에 관한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플리케이션 다운로드 서비스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업자 정보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업자가 제공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에 관한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플리케이션 다운로드 서비스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정보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구매 이력 및 상기 사용자의 선호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플리케이션 다운로드 서비스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 정보, 상기 네트워크 정보, 상기 사업자 정보 및 상기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포함된 속성들 각각에 대해 우선순위를 설정하여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플리케이션 다운로드 서비스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 정보, 상기 네트워크 정보, 상기 사업자 정보 및 상기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포함된 속성들 각각에 대해 우선순위를 나타내는 플래그를 포함시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플리케이션 다운로드 서비스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애플리케이션 리스트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 정보, 상기 네트워크 정보, 상기 사업자 정보 및 상기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포함된 속성별로 화면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플리케이션 다운로드 서비스 방법.
  9. 서버로부터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하는 사용자 단말기에 있어서,
    복수의 네트워크 중 하나를 통해 상기 서버에 접속하기 위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사용자 단말기 정보, 네트워크 정보, 사업자 정보 및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 정보, 상기 네트워크 정보, 상기 사업자 정보 및 상기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생성된 애플리케이션 리스트를 수신하도록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제어하고, 상기 애플리케이션 리스트가 화면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 정보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제조사, 모델명, 해상도, CPU 정보, 스토리지 정보, 저장 기능 용량 및 터치스크린 유무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기.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정보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상기 서버 간에 연결된 네트워크의 속도에 관한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기.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사업자 정보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업자가 제공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에 관한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기.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정보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구매 이력 및 상기 사용자의 선호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기.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 정보, 상기 네트워크 정보, 상기 사업자 정보 및 상기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포함된 속성들 각각에 대해 우선순위가 설정되어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 정보, 상기 네트워크 정보, 상기 사업자 정보 및 상기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포함된 속성들 각각에 대해 우선순위를 나타내는 플래그가 포함되어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기.
  16.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애플리케이션 리스트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 정보, 상기 네트워크 정보, 상기 사업자 정보 및 상기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포함된 속성별로 화면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기.
  17. 사용자 단말기에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서버의 애플리케이션 제공방법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기 정보, 네트워크 정보, 사업자 정보 및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기 정보, 네트워크 정보, 사업자 정보 및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기 저장된 애플리케이션들 중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을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된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애플리케이션 리스트를 생성하고, 상기 애플리케이션 리스트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애플리케이션 제공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저장된 애플리케이션들 중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실행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을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플리케이션 제공방법.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네트워크 정보를 기초로, 상기 네트워크의 속도에 따라 특정 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을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플리케이션 제공방법.
  2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사업자 정보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업자가 제공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을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플리케이션 제공방법.
  21.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정보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의 구매 이력 및 선호도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을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플리케이션 제공방법.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구매 이력 및 선호도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저장된 사용자의 구매 이력 및 선호도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캐이션을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플리케이션 제공방법.
  23.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하는 단계에서 애플리케이션을 추출하기 위한 사용자 단말기 정보에 관한 조건, 네트워크 정보에 관한 조건 및 사업자 정보에 관한 조건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플리케이션 제공방법.
  24. 사용자 단말기에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서버에 있어서,
    복수의 네트워크 중 하나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접속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상기 사용자 단말기 정보, 네트워크 정보, 사업자 정보 및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 정보, 상기 네트워크 정보, 상기 사업자 정보 및 상기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저장된 애플리케이션들 중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을 추출하며, 상기 추출된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애플리케이션 리스트를 생성하고, 상기 애플리케이션 리스트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도록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서버.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저장된 애플리케이션들 중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실행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을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26.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네트워크 정보를 기초로, 상기 네트워크의 속도에 따라 특정 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을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27.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업자 정보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업자가 제공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을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28.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정보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의 구매 이력 및 선호도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을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구매 이력 및 선호도를 저장하는 데이터 베이스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저장된 사용자의 구매 이력 및 선호도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을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30. 제24항에 있어서,
    애플리케이션을 추출하기 위한 사용자 단말기 정보에 관한 조건, 네트워크 정보에 관한 조건 및 사업자 정보에 관한 조건 중 적어도 하나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 정보에 관한 조건, 상기 네트워크 정보에 관한 조건 및 상기 사업자 정보에 관한 조건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KR1020100076505A 2009-08-21 2010-08-09 애플리케이션 다운로드 서비스방법,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비스방법, 및 이를 적용한 사용자 단말기 KR1017104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0185100A JP5921060B2 (ja) 2009-08-21 2010-08-20 アプリケーションダウンロードサービス方法、アプリケーション提供サービス方法、及びこれを適用したユーザ端末機
US12/860,091 US20110055355A1 (en) 2009-08-21 2010-08-20 Application downloading method, application providing method, user terminal using the same
PCT/KR2010/005565 WO2011021908A2 (en) 2009-08-21 2010-08-20 Application downloading method, application providing method, user terminal using the same
EP10173581.9A EP2288113B1 (en) 2009-08-21 2010-08-20 Apparatuses for downloading applications via application lists
TW099127895A TWI501153B (zh) 2009-08-21 2010-08-20 應用程式下載方法,應用程式提供方法以及使用上述方法之使用者終端裝置
CN201010259815.3A CN101997908B (zh) 2009-08-21 2010-08-23 应用程序下载方法、应用程序提供方法、用其的用户终端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90077555 2009-08-21
KR1020090077555 2009-08-21
KR20090086206 2009-09-13
KR1020090086206 2009-09-1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0178A true KR20110020178A (ko) 2011-03-02
KR101710427B1 KR101710427B1 (ko) 2017-02-28

Family

ID=439295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76505A KR101710427B1 (ko) 2009-08-21 2010-08-09 애플리케이션 다운로드 서비스방법,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비스방법, 및 이를 적용한 사용자 단말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710427B1 (ko)
TW (1) TWI501153B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12693A (ko) * 2011-07-26 2013-02-05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무선 애플리케이션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20140010402A (ko) * 2011-03-21 2014-01-24 마이크로소프트 코포레이션 애플리케이션 저장 애플리케이션의 필터링 및 프로모션
KR101491878B1 (ko) * 2011-08-31 2015-02-09 라인 가부시키가이샤 사용자 단말에서 취득한 정보를 기반으로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의 순위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101539625B1 (ko) * 2013-05-23 2015-07-28 에스피테크놀러지 주식회사 모바일 마켓 플랫폼 제공 서버 및 시스템
US9489686B2 (en) 2011-08-31 2016-11-08 Line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based on use information obtained from a user terminal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477977B (zh) * 2012-12-19 2015-03-21 Htc Corp 可攜式裝置操作方法、系統與網路伺服器
CN105740005A (zh) * 2014-12-12 2016-07-06 上海科泰世纪科技有限公司 应用程序拼装方法和系统
CN105740004A (zh) * 2014-12-12 2016-07-06 上海科泰世纪科技有限公司 应用程序安装方法和系统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04035A (ko) * 2002-07-01 2004-01-13 콸콤 인코포레이티드 애플리케이션 서버상의 애플리케이션 카탈로그를무선장치에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US20070106984A1 (en) * 2005-11-09 2007-05-10 Microsoft Corporation Application suite installer with automatic detection of content and configurable options
KR20080030899A (ko) * 2006-10-02 2008-04-07 엘지전자 주식회사 맞춤형 방송 신호 수신기 및 방송 수신 방법
JP2008242888A (ja) * 2007-03-28 2008-10-0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コンテンツ配信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MXPA05003360A (es) * 2002-10-18 2005-06-22 Sony Ericsson Mobile Comm Ab Metodo y dispositivo para descargar configuraciones para una aplicacion.
US7676802B2 (en) * 2003-07-23 2010-03-09 Nokia Corporation System, and associated method, for downloading an application
US20080172606A1 (en) * 2006-12-27 2008-07-17 Generate, Inc. System and Method for Related Information Search and Presentation from User Interface Content
US8543925B2 (en) * 2007-05-25 2013-09-24 Microsoft Corporation Contextually aware client application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04035A (ko) * 2002-07-01 2004-01-13 콸콤 인코포레이티드 애플리케이션 서버상의 애플리케이션 카탈로그를무선장치에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US20070106984A1 (en) * 2005-11-09 2007-05-10 Microsoft Corporation Application suite installer with automatic detection of content and configurable options
KR20080030899A (ko) * 2006-10-02 2008-04-07 엘지전자 주식회사 맞춤형 방송 신호 수신기 및 방송 수신 방법
JP2008242888A (ja) * 2007-03-28 2008-10-0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コンテンツ配信システム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10402A (ko) * 2011-03-21 2014-01-24 마이크로소프트 코포레이션 애플리케이션 저장 애플리케이션의 필터링 및 프로모션
KR20130012693A (ko) * 2011-07-26 2013-02-05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무선 애플리케이션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1491878B1 (ko) * 2011-08-31 2015-02-09 라인 가부시키가이샤 사용자 단말에서 취득한 정보를 기반으로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의 순위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US9489686B2 (en) 2011-08-31 2016-11-08 Line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based on use information obtained from a user terminal
KR101539625B1 (ko) * 2013-05-23 2015-07-28 에스피테크놀러지 주식회사 모바일 마켓 플랫폼 제공 서버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501153B (zh) 2015-09-21
TW201115464A (en) 2011-05-01
KR101710427B1 (ko) 2017-0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921060B2 (ja) アプリケーションダウンロードサービス方法、アプリケーション提供サービス方法、及びこれを適用したユーザ端末機
US20220006763A1 (en) Conversion of text relating to media content and media extension apps
KR101710427B1 (ko) 애플리케이션 다운로드 서비스방법,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비스방법, 및 이를 적용한 사용자 단말기
US20220103612A1 (en) Application Recommendation Method, Device, and System
US10554599B2 (en) Conversion of detected URL in text message
TWI679873B (zh) 訊息擴充應用程式商店
US9686354B2 (en) Shared data transmitting method, server, and system
JP2018198066A (ja) ユーザ機器デバイスをコンテンツ消費材料で自動構成す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20090203364A1 (en) System for and Method of Providing Information
KR20050009713A (ko) 통신 단말기를 사용해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사용자인터페이스
KR20120089000A (ko) 디지털 디바이스에서 어플리케이션 자동 인스톨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JP2009532775A (ja) 電子コンテンツ配信で使用されるフィルアップ(fill−up)操作
KR102009182B1 (ko) 앱 다운로드 시스템, 스마트 테이블 및 이를 이용한 앱 설치 방법
US20070130211A1 (en) System and method for downloading contents to mobile terminal
KR20180007483A (ko) 단말 Native UI를 사용하는 동적 UI 배포 시스템 및 방법
KR20130082798A (ko) 공간 마켓 위젯 제공 방법, 그리고 이를 구현한 마켓 서버와 사용자 단말
JP2018013895A (ja) 店舗情報管理装置、店舗情報管理方法及び店舗情報管理システム
KR20110063089A (ko) 결제 버튼 제공 방법
KR101418038B1 (ko) 웹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177764B1 (ko) 단말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1437428B1 (ko) 클라우드 서비스 중계 장치 및 방법
JP6637562B2 (ja) 店舗情報管理装置、店舗情報管理方法及び店舗情報管理システム
US20160034174A1 (en) System and method for single-touch engagement with social media and other sites
US20130266928A1 (en) Bandwidth-aware obtaining of demonstration experience content
US20130268376A1 (en) Service-based demonstration experience configur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3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