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20004A - 선택형 결재처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선택형 결재처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20004A
KR20110020004A KR1020090077659A KR20090077659A KR20110020004A KR 20110020004 A KR20110020004 A KR 20110020004A KR 1020090077659 A KR1020090077659 A KR 1020090077659A KR 20090077659 A KR20090077659 A KR 20090077659A KR 20110020004 A KR20110020004 A KR 201100200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yment
payment means
terminal
transaction
select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776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50221B1 (ko
Inventor
조병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Priority to KR10200900776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50221B1/ko
Publication of KR201100200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200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02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02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22Payment schemes or models
    • G06Q20/227Payment schemes or models characterised in that multiple accounts are available, e.g. to the pay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4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billing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2Aspects of commerce using mobile devices [M-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7Short range or proximity payments by means of M-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42Confirmation, e.g. check or permission by the legal debtor of payment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실시예에 따른 선택형 결재처리 시스템은 복수의 결재수단; 및 상기 복수의 결재수단 중 가장 최근에 사용된 결재수단을 선택하여 결재를 진행하는 단말기;를 포함한다.
결재, 단말기

Description

선택형 결재처리 시스템{Selective Payment Transaction System}
실시예는 선택형 결재처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여러개의 결재수단이 동시에 단말기에 접촉될 경우 단말기는 한 개 이상의 결재수단이 접촉되었음을 인지하고 사용자에게 결재하고자 하는 결재수단을 선택하여 단말기에 접촉하도록 안내한다.
그런데, 많은 사용자가 여러개의 결재수단을 소지하고 있으므로, 단말기에 여러 개의 결재수단을 접촉하는 경우가 많으며 이 경우 사용자가 한장의 결재수단을 손수 꺼내 접촉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또한, 전철이나 버스 등에서 탑승시 결재를 위해 선택한 결재수단을 제대로 기억하지 못하는 경우 하차시 다른 결재수단을 접촉하면 이중으로 결재를 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도 있다.
실시예는 결재수단을 동시에 단말기에 접촉하여 거래를 시도할 경우 사용자가 손수 결재수단을 선택하지 않아도 거래를 수행할 수 있는 선택형 결재처리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실시예에 따른 선택형 결재처리 시스템은 복수의 결재수단; 및 상기 복수의 결재수단 중 가장 최근에 사용된 결재수단을 선택하여 결재를 진행하는 단말기;를 포함한다.
실시예에 따른 선택형 결재처리 시스템은 여러 개의 결재수단을 동시에 단말기에 접촉할 때 결재수단의 이전 사용이력정보를 이용하여 결재수행의 대상을 자동으로 인지하여 처리함으로써 사용자가 결재대상을 선택하여 다시 단말기에 접촉시켜야 하는 불편을 해소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에 따른 선택형 결재처리 시스템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선택형 결재처리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실시예에 따른 선택형 결재처리 시스템은 복수의 결재수단(100) 및 상기 복 수의 결재수단에 중 가장 최근에 사용된 결재수단을 선택하여 결재를 진행하는 단말기(200)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선택형 결재처리 시스템은 여러 개의 결재수단을 동시에 단말기에 접촉할 때 결재수단의 이전 사용이력정보를 이용하여 결재수행의 대상을 자동으로 인지하여 처리함으로써 사용자가 결재대상을 선택하여 다시 단말기에 접촉시켜야 하는 불편을 해소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결재수단(100)은 제1 결재수단(110), 제2 결재수단(120), 제3 결재수단(130) 등 2개 이상의 결재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재수단(100)은 RF 교통카드, 교통카드 겸용 핸드폰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에서 결재수단(100)은 접촉식 교통카드, 하이브리드 교통카드, 콤비 교통카드, 비접촉식 교통카드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접촉식 교통카드는 8개의 접점을 통해 정보의 송수신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비접촉시 교통카드는 근접형과 원근형으로 구분될 수 있고, 하이브리드 교통카드는 접촉형IC와 비접촉형IC를 분리하여 내장할 수 있으며, 콤비 교통카드는 접촉형IC와 비접촉형IC을 하나의 IC에 통합하여 내장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 결재수단은 RF 결재수단에 대해 설명하고 있으나 결재수단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에서 단말기(200)는 결재수단을 인식하는 부(미도시), 복수의 결재수단이 인식됐을 때 각각의 결재수단을 선택하는 부(미도시), 결재수단의 사용이력을 읽어 최신거래가 이뤄진 결재수단을 선택하는 부(미도시), 상기 선택된 결재수단이 사용불가일 경우 차후 최근 사용된 다른 결재수단을 택하는 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단말기(200)는 SAM(Security Application Module)(미도시)을 통해 결재수단을 인증하고 거래 프로토콜을 지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결재수단 인증은 카드 블럭에 대한 인증 키와 카드의 인증코드 및 암호화된 카드번호를 복호화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고, 거래 프로토콜 지원은 트랜잭션 코드를 생성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거래 프로토콜 지원은 거래 발생시 교통카드를 인증하고 카드내의 금액 차감을 위한 프로토콜 지원하거나 충전 발생시 교통카드를 인증하고 카드내의 금액 증가를 위한 프로토콜 지원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단말기(200)에서 결재수단 처리과정은 결재수단 읽기, 유효성 체크, 결재수단에 쓰기 후 거래내역 저장 및 전송과정을 거칠 수 있다.
예를 들어, 결재수단 읽기 과정에서는 기본 정보, 잔액, 직전의 환승정보 등을 읽을 수 있다.
또한, 유효성 체크과정에서는 결재수단의 카드번호체크, Prefix(발행사)체크, 유효기간체크(발급일, 만기일), BL(Black List)/PL(Positive List) 체크 등을 진행할 수 있다.
또한, 결재수단 쓰기 과정에서는 잔액, 환승정보 등을 쓸 수 있다.
또한, 거래내역 저장 및 전송과정에서는 결재수단 기본정보, 직전 환승정보, 현 환승정보, 거래금액, 잔액 등을 저장하고 집계 시스템(미도시)으로 전송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선택형 결재처리 시스템은 복수의 결재수단을 소지할 경우 각 결재수단의 사용이력을 검색하여 가장 최근에 사용된 것으로 거래를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다만, 선택된 결재수단의 잔액이 모자라거나 BL(Black List)등의 사유로 인해 거래가 불가능한 경우에는 다음으로 최근 거래가 있었던 결재수단을 선택하여 거래를 수행할 수 있다.
종래기술에 의한 교통단말기 또는 RF 리더기는 여러장의 교통카드를 인식할 경우 한 장의 교통카드만을 접촉해 달라는 알람메시지를 띄우거나 여러장의교통 카드를 나열하여 사용자에게 그 중 하나를 선택하도록 요청한다. 반면 실시예에 따른 선택형 결재처리 시스템은 인식된 복수의 결재수단들의 사용이력을 읽어 거래우선순위를 선택하게 함으로써 사용자가 결재대상을 선택하여 다시 단말기에 접촉시켜야 하는 불편을 해소할 수 있다.
또한, 종래기술에 의한 교통단말기 또는 RF 리더기는 교통카드가 태그되어 인식하는 단계에서는 교통카드의 종류만을 판별하고 이후 거래처리 단계에서 교통카드의 정보를 읽는 반면 실시예에 따른 선택형 결재처리 시스템은 결재수단 인식 단계에서부터 결재수단 내에 저장된 거래이력을 읽어 이중 사용시간 정보를 단말기 내부에 저장하고 이를 기준으로 우선순위를 선정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선택형 결재처리 시스템은 다음과 같이 구현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결재수단(100), 예를 들어 RF 결재수단에는 자체 메모리가 내장 될 수 있으며 해당 메모리에 각종 거래 및 운영 이력을 저장할 수 있다. 상기 결재수단(100)과 통신하는 단말기(200)는 결재수단의 메모리에 저장된 이력을 읽거나 기록할 수 있다.
두개 이상의 복수 결재수단이 존재할 경우 단말기는 결재수단을 한 개씩 선택하여 통신을 시도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단말기에 접촉된 전체 결재수단의 이력을 읽을 수 있다. 단말기는 읽어낸 전체 사용이력을 보고 가장 최근에 사용됐던 결재수단을 판정할 수 있으며 해당 결재수단을 선택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선택형 결재처리 시스템은 다음과 같이 거래가 진행될 수 있다.
우선, 사용자가 복수의 결재수단(100)을 단말기(200)에 접촉시키고, 상기 단말기(200)는 복수의 결재수단(100)이 접촉됐음을 인지한다.
이후, 상기 단말기(200)는 한 개의 결재수단을 선택한 후, 사용이력을 읽어 단말기 내의 메모리에 저장한다.
이후, 상기 선택되어 정보를 읽은 결재수단이 아닌 다른 결재수단을 선택하여 사용이력을 읽어 단말기 내의 메모리에 저장한다.
이러한 사용이력을 읽는 과정을 결재수단의 개수만큼 반복한다.
이후, 모든 결재수단의 사용이력정보를 비교하여 가장 최근에 사용됐던 것을 판정한다.
이후, 상기 결재수단 중 잔액이 모자라거나 BL(Black List) 등의 사유로 인해 거래가 불가능한 결재수단은 제외한다.
이후, 상기 판정된 결재수단을 선택하여 이후 거래를 수행한다.
실시예에 따른 선택형 결재처리 시스템은 여러 개의 결재수단을 동시에 단말기에 접촉할 때 결재수단의 이전 사용이력정보를 이용하여 결재수행의 대상을 자동으로 인지하여 처리함으로써 사용자가 결재대상을 선택하여 다시 단말기에 접촉시켜야 하는 불편을 해소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청구항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범위 안에서 다양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선택형 결재처리 시스템의 개념도.

Claims (3)

  1. 복수의 결재수단; 및
    상기 복수의 결재수단 중 가장 최근에 사용된 결재수단을 선택하여 결재를 진행하는 단말기;를 포함하는 선택형 결재처리 시스템.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
    상기 복수의 결재수단이 인식됐을 때 상기 복수의 결재수단에 대해 각각 사용이력을 읽어 가장 최근에 사용된 결재수단을 선택하는 선택형 결재처리 시스템.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장 최근 사용된 결재수단으로 선택된 결재수단이 사용불가일 경우 차후의 최근에 사용된 거래수단을 선택하는 선택형 결재처리 시스템.
KR1020090077659A 2009-08-21 2009-08-21 선택형 결재처리 시스템 KR1011502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7659A KR101150221B1 (ko) 2009-08-21 2009-08-21 선택형 결재처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7659A KR101150221B1 (ko) 2009-08-21 2009-08-21 선택형 결재처리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0004A true KR20110020004A (ko) 2011-03-02
KR101150221B1 KR101150221B1 (ko) 2012-06-12

Family

ID=439294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7659A KR101150221B1 (ko) 2009-08-21 2009-08-21 선택형 결재처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50221B1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6996B1 (ko) * 2003-01-24 2005-03-16 강동구 뽕잎 및 막걸리가 함유된 면 및 면 제조방법
KR20040075626A (ko) * 2003-02-22 2004-08-30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우선권 카드 및 복수의 비접촉식 카드 중에서 특정 카드에우선 순위를 부여하는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50221B1 (ko) 2012-06-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33123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nducting contactless payments using a mobile device and a magstripe payment card
US7128274B2 (en) Secure credit card with near field communications
EP2204782A1 (en) Transaction method with e-payment card and e-payment card
CN101467158A (zh) 对基于电话的支付工具进行激活的系统和方法
CN1904923A (zh) 用于实现空中圈存的方法及其设备
CN102611551A (zh) 物理认证方法、装置及动态口令牌
US20230017281A1 (en) Dynamic application selection based on contextual data
KR20110053783A (ko) 서명정보 입력부를 구비한 스마트 카드 및 사용자 인증방법
US11315122B2 (en) Authentication method for e-wallet carrier
US9978056B2 (en) Smart card having multiple payment instruments
US20200320527A1 (en) Method for digital currency transaction with authorization of multiple private keys
CN109214801A (zh) 一种电子支付确认方法、装置和存储介质
JP5028231B2 (ja) 取引認証方法
CN101303755A (zh) 电子移动装置及电子交易方法
KR101150221B1 (ko) 선택형 결재처리 시스템
CN105162782A (zh) 一种用户生物特征存储方法、装置及终端
AU2016341183B2 (en) A method performed by an electronic device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a reader with improved self-testing
JP5944891B2 (ja) ローカル端末と複数の携帯機器との間で通信する携帯通信機器、システムおよび方法
CN1321389C (zh) 支付交易的系统及方法
JP5838713B2 (ja) Icチップ、uim、icチップにおける処理方法、icチップ用処理プログラム、及び携帯端末
CN107086919B (zh) 交易签名方法及系统
CN112150140A (zh) 资源配置方法、装置及系统
CN101140665B (zh) 无线通信系统、车辆单元、路边单元以及服务器
KR102502339B1 (ko) Nfc를 이용한 카드데이터 기반의 가상보안코드 생성을 위한 단말기, 카드 장치 및 그 방법
JP6845888B2 (ja) 電子財布媒体の認証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1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