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19098A - 클로우즈드 캡션(cc) 서비스 정보 표시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클로우즈드 캡션(cc) 서비스 정보 표시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19098A
KR20110019098A KR1020090076677A KR20090076677A KR20110019098A KR 20110019098 A KR20110019098 A KR 20110019098A KR 1020090076677 A KR1020090076677 A KR 1020090076677A KR 20090076677 A KR20090076677 A KR 20090076677A KR 20110019098 A KR20110019098 A KR 201100190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service information
service
display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766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혜림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766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19098A/ko
Publication of KR201100190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909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08Systems for the simultaneous or sequential transmission of more than one television signal, e.g. additional information signals, the signals occupying wholly or partially the same frequency band, e.g. by time divi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4Dis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demultiplexing audio and video streams, extraction of additional data from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Extraction or processing of SI; Disassembling of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 H04N21/4341Demultiplexing of audio and video strea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04N21/472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for requesting additional data associated with the cont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8Data services, e.g. news ticker
    • H04N21/4884Data services, e.g. news ticker for displaying subtit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클로우즈드 캡션(Closed Caption: CC) 서비스 정보를 표시하는 CC 서비스 정보 표시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에서의 CC 서비스 표시장치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수신하는 신호수신부; 상기 수신된 신호를 영상신호와 음성신호로 분리하는 신호분리부; 상기 분리된 영상신호를 처리하여 상기 표시부에서 디스플레이 가능한 영상으로 생성하는 영상처리부; 상기 수신된 신호로부터 CC 서비스 정보를 판독하는 CC정보판독부; 상기 판독된 CC 서비스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상기 저장된 CC 서비스 정보를 상기 표시부에 디스플레이 되도록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로부터 출력된 제어신호에 따라서 상기 CC 서비스 정보를 디코딩하여 상기 영상처리부에서 처리된 영상신호와 결합되어 상기 표시부에 출력되도록 하는 CC정보처리부를 포함하는 클로우즈드 캡션(CC) 서비스 정보 표시장치를 제공한다.
디스플레이, 클로우즈드 캡션(Closed Caption), CC 서비스,

Description

클로우즈드 캡션(CC) 서비스 정보 표시 장치 및 방법{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F CLOSED CAPTION SERVICE INFORMATION}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클로우즈드 캡션(Closed Caption, 이하, CC)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사용자가 다른 서비스의 선택 없이 CC 서비스를 선택할 수 있도록 현재 프로그램에서 미리 CC 서비스 정보를 표시하도록 하는 CC 서비스 정보 표시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청각 장애인을 위해 개발된 초기의 CC는 아날로그 티브이(TV)가 보급되기 시작할 때부터 모든 오디오/비디오(Audio/Video: A/V) 매체에 적용되어 왔다. 미국의 연방통신위원회(FCC: Federal Communications Commission)는 아날로그 TV가 보급되기 시작할 때부터 일정 크기 이상의 화면을 구비한 모든 TV에서 CC를 디코딩하여 화면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기능을 의무적으로 탑재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디지털 TV가 보급되기 시작한 이후에는 보다 강화된 기능의 CC가 개발됨에 따라 이른바 DTVCC가 일정 화면 크기 이상의 모든 디지털 티브이(DTV)에 탑재되도록 강제로 규 정하고 있다. CC 데이터는 영상신호의 소정 영역에 기록된 자막 데이터를 의미하며 CC 서비스는 CC 데이터를 디코딩하여 화면상의 일정 영역에 자막을 표시하도록 하는 서비스를 의미한다. 최근 유아들의 철자교육, 외국인의 영어학습 및 스포츠 중계시 시끄러운 환경에서 정확한 의사전달 등을 위하여 필요하게 되었다. CC 데이터는 오픈 캡션 데이터와 달리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표시여부를 선택할 수 있다.
아날로그 TV에서는 수직귀선구간(Vertical Blanking Interval:VBI) 대역의 21 번째 라인의 두 필드(Field1, Field2)에 2바이트(byte) 정보를 엔코딩하는 방법으로 CC 정보를 전송하였으며 신호의 종류에 따라 여러 가지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다. 기존의 CC 서비스의 경우 CC1~CC4, Text1~Text4, Service1~Service6의 14가지 모드가 있다. 예를 들어, 북미의 경우 EIA-608에 의거하여 아날로그 CC에 대해 전송 가능한 서비스에는 CC1~CC4, Text1~Text4가 있는데, CC1과 CC2의 경우 제1언어를 위한 캡션이고, CC3와 CC4의 경우 제2언어를 위한 캡션이다. 특히 CC1이 제1언어를 수용하게 되며 CC2의 경우 CC1과 같은 언어의 캡션일지라도 특정 목적의 캡션, 예컨대 어린이나 노인 등과 같이 글자를 빨리 읽지 못하는 사람들을 위해 쉬운 말로 구성된 캡션으로 사용된다. 또한, CC3가 제2언어를 수용하게 되고, CC4의 경우 CC3과 같은 언어의 캡션일지라도 CC1과 CC2의 관계처럼 특정 목적의 캡션, 예컨대 어린이나 노인들을 위해 쉬운 말로 구성된 캡션으로 사용된다. 북미 TV 방송의 경우 제1언어는 영어, 제2언어는 스페인어이므로 CC1 및 CC2는 영어, CC3 및 CC4는 스페인어라고 할 수 있다. 이때 언급되지 않은 Text1~Text4 및 Service1~Service6는 부가정보 및 서비스 내용이며 실제로 캡션으로 되지 않는다.
그런데, 종래의 이러한 CC 서비스의 경우 상기와 같이 14가지 설정사항을 사용자가 선택해야 하지만 실제 방송프로그램의 경우 이 14가지 서비스 중 현재 어떤 서비스가 실시되고 있는지에 대한 정보가 없기 때문에, 사용자가 원하는 캡션 서비스를 알아보기 위해서는 계속 설정을 변경해 보아야 하거나, 직접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이하 UI)를 빠져 나와서 확인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해당 기술분야에서는 사용자의 편의를 고려해 현재 채널에 해당되는 CC 서비스가 어떤 정보인지를 표시해 줄 필요가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사용자가 다른 서비스의 선택 없이 CC 서비스를 선택할 수 있도록 현재 프로그램에서 미리 CC 서비스 정보를 표시하도록 하는 CC 서비스 정보 표시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표시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서의 클로우즈드 캡션(Closed Caption: CC) 서비스 표시장치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수신하는 신호수신부; 상기 수신된 신호를 영상신호와 음성신호로 분리하는 신호분리부; 상기 분리된 영상신호를 처리하여 상기 표시부에서 디스플레이 가능한 영상으로 생성하는 영상처리부; 상기 수신된 신호로부터 CC 서비스 정보를 판독하는 CC정보판독부; 상기 판독된 CC 서비스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상기 저장된 CC 서비스 정보를 상기 표시부에 디스플레이 되도록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로부터 출력된 제어신호에 따라서 상기 CC 서비스 정보를 디코딩하여 상기 영상처리부에서 처리된 영상신호와 결합되어 상기 표시부에 출력되도록 하는 CC정보처리부를 포함하는 클로우즈드 캡션(CC) 서비스 정보 표시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CC 서비스 정보는 채널안내 OSD 또는 CC 제어 UI에 디스플레이된다.
이때, CC 서비스 정보 표시장치는 상기 채널안내 OSD 또는 CC 제어 UI에 디스플레이되는 CC 서비스 정보를 이용하여 CC 서비스를 선택하도록 키신호를 입력하 기 위한 키입력부를 포함한다.
상기 CC정보판독부에서 판독한 CC 서비스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CC 서비스 정보를 주기적으로 또는 연속적으로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또한, 본 발명은 표시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서의 클로우즈드 캡션(Closed Caption: CC) 서비스 표시방법에 있어서, 신호가 입력되거나 입력되는 신호가 변경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신호에 포함된 영상신호를 처리하여 상기 표시부에서 디스플레이 가능한 영상으로 생성하는 단계; 상기 수신 또는 변경된 신호로부터 CC 서비스 정보를 판독하는 단계; 상기 판독된 CC 서비스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상기 저장된 CC 서비스 정보를 상기 표시부에 디스플레이 되도록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출력된 제어신호에 따라서 상기 CC 서비스 정보를 디코딩하여 상기 처리된 영상신호와 결합되어 상기 표시부에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클로우즈드 캡션(CC) 서비스 정보 표시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CC 서비스 정보는 채널안내 OSD 또는 CC 제어 UI에 디스플레이된다.
상기 저장된 CC 서비스 정보를 주기적으로 또는 연속적으로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영상신호와 결합되어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CC 서비스 선택을 위한 키신호가 입력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키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선택된 CC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해서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사용자가 다른 서비스의 선택 없이 바로 CC 서비스를 선택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에게 편의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CC 서비스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블럭도이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CC 서비스 정보 표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신호수신부(101), 신호분리부(102), 음성처리부(103), 영상처리부(104), 스피커(105), 표시부(106), 키입력부(107), CC정보판독부(108), 메모리부(109), CC정보처리부(110) 및 제어부(11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영상 및 음성신호를 출력하는 장치로서 CC 서비스 정보를 표시하는 기능을 구비한다.
신호수신부(101)는 미도시된 안테나 또는 연결된 셋탑박스(STB)를 통해 수신되는 다수의 디지털 신호 중 시청자에 의해 선택된 채널에 대응되는 영상/음성 신호를 선국하고, 그 선국된 영상/음향 신호를 신호분리부(102)로 출력한다. 신호분 리부(102)는 수신된 영상/음성 신호를 영상신호와 음성신호로 분리한 후 각각 음성 처리부(103) 및 영상처리부(104)로 스위칭한다. 음성처리부(103)는 수신된 음성신호를 프로세싱하여 청취가능한 음성 데이터로 생성한다. 이와 같이 생성된 음성 데이터는 스피커(105)를 통해 출력된다. 또한, 영상처리부(104)는 신호분리부(102)로부터 수신된 영상신호를 프로세싱하여 시청 및 디스플레이 가능한 영상으로 생성한다. 이와 같이 생성된 영상은 표시부(106)를 통해 출력된다. 표시부(106)는 예컨대 디스플레이 패널일 수 있다.
키입력부(107)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지원하는 기능을 선택하기 위하여 다수의 숫자키, 문자키, 명령키 등의 키버튼을 구비하며, 사용자가 원하는 키버튼을 입력하면 해당되는 키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111)로 출력한다. 이러한 키입력부(107)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마련되거나 리모트 컨트롤러로 구현될 수 있다. CC정보판독부(108)는 신호수신부(101)로 입력된 신호에서 CC 서비스 정보를 판독한다. 특히 CC정보판독부(108)는 신호수신부(101)를 통해 처음 새로운 신호가 입력되거나 입력되는 신호가 변경되는 경우에 그 신호에 포함된 CC 서비스 정보를 검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와 같이 검출된 CC 서비스 정보는 제어부(111)가 메모리부(109)에 저장한다. 메모리부(109)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 및 관리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된다. 특히 메모리부(109)는 상기한 바와 같이 제어부(111)의 제어하에 CC 서비스 정보를 저장한다. CC정보처리부(110)는 제어부(111)의 제어신호에 따라서 CC 서비스 정보를 디코딩하여 영상처리부(104)에서 변환된 영상신호와 결합되어 표시부(106)에 출력되도록 한다.
제어부(111)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 및 기능을 제어한다. 특히 제어부(111)는 CC정보판독부(108)로부터 CC 서비스 정보를 수신하고 이를 메모리부(109)에 저장한다. 이와 동시에 제어부(111)는 메모리부(109)에 저장된 CC 서비스 정보 및 그 CC 서비스 정보를 표시부(106)에 디스플레이되도록 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CC정보처리부(110)로 전송한다. 이로써 CC정보처리부(110)가 이러한 제어신호 및 CC 서비스 정보를 수신하면 그 CC 서비스 정보를 영상처리부(104)에서 변환된 영상신호와 결합되도록 전송하고 표시부(106)를 통해 디스플레이되도록 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CC 서비스 정보는 예를 들어, 채널정보를 나타내는 OSD나 CC 제어 UI(User Interface)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11)는 메모리부(109)에 저장된 CC 서비스 정보를 주기적으로 또는 연속적으로 표시부(106)를 통해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 및 작용에 의해 사용자는 채널정보 OSD나 CC 제어 UI에서 현재 채널에 해당되는 CC 서비스 정보를 간편하고 편리하게 파악하거나 선택할 수 있다.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CC 서비스 정보를 구성하는 패킷의 구조를 보여주는 블럭도이다.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CC 서비스 정보는 패킷의 단위로 구성된다. 도면에서와 같이, 하나의 패킷(200)은 패킷 헤더(210)와 패킷 바디(220)로 구성되고, 패킷 바디(220)는 다시 여러 개의 서비스 블록(230)으로 구성된다. 또한 서비스 블록(230)은 각각 서비스 블록 헤더와 서비스 블록 데이터 로 구성된다. 여기서, 서비스라 함은 어떤 언어인지, 나아가 같은 언어라 하더라도 읽을 수 있는 수준이 어느 정도 인지를 나타낸 것이다. 따라서 한 패킷은 서로 다른 많은 서비스들로 구성될 수 있다.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CC 서비스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현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CC 서비스 정보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채널정보를 나타내는 OSD 안내(30)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이 ODS 안내(30)에는 현재 채널에서 서비스되고 있는 CC 서비스 정보가 표시된다. 또한,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CC 서비스 정보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CC 제어 UI 화면(32)에 디스플레이될 수도 있다. 예컨대 제공될 수 있는 CC 서비스 정보가 다수 개 표시되고 현재 제공되는 CC 서비스 정보에는 음영을 표시함으로써 현재 채널에 제공되는 CC 서비스를 표시하도록 하며, 음영의 이동 및 선택으로 CC 서비스를 선택하도록 할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는 다른 서비스의 선택 없이 프로그램에서 제공되는 현재 채널의 CC 서비스를 선택할 수 있게 되어 사용자의 편의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의 CC 서비스 정보 표시방법을 보이는 흐름도이다.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CC 서비스 정보 표시방법은, 우선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새로운 신호가 입력되거나 입력되고 있는 신호가 변경되었는지를 판단한다(S11). 이와 같이 신호가 입력되거나 또는 신호가 변경되었으면 영상처리부(104)에서 그 해당 신호로부터 영상신호를 분리하여 처리함으로써 표시부(106)에서 디스플레이 가능한 영상신호로 생성한다(S12). 이어 입력된 신호 또는 변경된 신호에 CC 서비스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지를 판단한다(S13). CC 서비스 정보가 포함되어 있으면 이를 읽어들인 후(S14), 메모리부(109)에 저장한다(S15). 계속하여, 저장된 CC 서비스 정보를 표시부(106)에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제어부(111)에서 출력한다(S16). 이 경우 CC정보처리부(110)에서 이 제어신호에 따라 CC 서비스 정보를 디코딩하여 영상처리부(104)에서 처리한 영상신호와 결합되어 표시부(106)에 영상과 함께 디스플레이되도록 한다(S17). 이때, CC 서비스 정보는 채널정보 OSD 안내 또는 CC 제어 UI에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사용자는 다른 서비스의 선택 없이도 현재 채널의 프로그램에서 제공되는 CC 서비스 정보를 쉽고 간편하게 파악할 수 있다.
도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의 CC 서비스 정보 선택방법을 보이는 흐름도이다.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CC 서비스 정보 선택방법은 앞서 도4에서와 같이 표시부(104)에 CC 서비스 정보가 디스플레이되는 경우 키입력부(107)를 이용하여 원하는 CC 서비스를 선택하도록 한다. 먼저, CC정보처리부(110)에서 CC 서비스 정보를 디코딩하여 영상처리부(104)에서 처리한 영상신호와 결합되어 표시 부(106)에 함께 디스플레이되도록 된 상태(S21)에서, 원하는 CC 서비스를 선택하기 위한 키신호가 입력되었는지를 판단한다(S22). 특정 CC 서비스의 선택을 위한 키신호가 입력되었으면 그 선택된 CC 서비스를 제공한다(S23). 이와 같이 표시부(106)를 통해 채널정보 OSD 안내 또는 CC 제어 UI에 표시되는 CC 서비스 정보를 확인하여 원하는 CC 서비스 모드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에게 편의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CC 서비스 정보 표시방법은 디스플레이 장치로 신호가 입력되거나 신호가 변경되는 경우 그 신호로부터 CC 서비스 정보를 읽어와서 저장하고, 이후에 영상신호와 함께 다양한 방법으로 디스플레이되도록 한다. 이로써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현재 채널에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프로그램에 CC 서비스 정보를 예컨대 채널안내 OSD나 CC 제어 UI에 디스플레이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다른 서비스의 선택 없이 편리하고 간편하게 CC 서비스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에서 대표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CC 서비스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블럭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CC 서비스 정보를 구성하는 패킷의 구조를 보여주는 블럭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CC 서비스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현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의 CC 서비스 정보 표시방법을 보이는 흐름도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의 CC 서비스 정보 선택방법을 보이는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디스플레이 장치 101 : 신호수신부
102: 신호분리부 103 : 음성처리부
104 : 영상처리부 105 : 스피커
106 : 표시부 107 : 키입력부
108 : CC정보판독부 109 : 메모리부
110 : CC정보처리부 111 : 제어부

Claims (8)

  1. 표시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서의 클로우즈드 캡션(Closed Caption: CC) 서비스 표시장치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수신하는 신호수신부;
    상기 수신된 신호를 영상신호와 음성신호로 분리하는 신호분리부;
    상기 분리된 영상신호를 처리하여 상기 표시부에서 디스플레이 가능한 영상으로 생성하는 영상처리부;
    상기 수신된 신호로부터 CC 서비스 정보를 판독하는 CC정보판독부;
    상기 판독된 CC 서비스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상기 저장된 CC 서비스 정보를 상기 표시부에 디스플레이 되도록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로부터 출력된 제어신호에 따라서 상기 CC 서비스 정보를 디코딩하여 상기 영상처리부에서 처리된 영상신호와 결합되어 상기 표시부에 출력되도록 하는 CC정보처리부;
    를 포함하는 클로우즈드 캡션(CC) 서비스 정보 표시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CC 서비스 정보는 채널안내 OSD 또는 CC 제어 UI에 디스플레이되는 클로우즈드 캡션(CC) 서비스 정보 표시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안내 OSD 또는 CC 제어 UI에 디스플레이되는 CC 서비스 정보를 이용하여 CC 서비스를 선택하도록 키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키입력부를 포함하는 클로우즈드 캡션(CC) 서비스 정보 표시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CC정보판독부에서 판독한 CC 서비스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CC 서비스 정보를 주기적으로 또는 연속적으로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클로우즈드 캡션(CC) 서비스 정보 표시장치.
  5. 표시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서의 클로우즈드 캡션(Closed Caption: CC) 서비스 표시방법에 있어서,
    신호가 입력되거나 입력되는 신호가 변경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신호에 포함된 영상신호를 처리하여 상기 표시부에서 디스플레이 가능한 영상으로 생성하는 단계;
    상기 수신 또는 변경된 신호로부터 CC 서비스 정보를 판독하는 단계;
    상기 판독된 CC 서비스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상기 저장된 CC 서비스 정보를 상기 표시부에 디스플레이 되도록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출력된 제어신호에 따라서 상기 CC 서비스 정보를 디코딩하여 상기 처리된 영상신호와 결합되어 상기 표시부에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클로우즈드 캡션(CC) 서비스 정보 표시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CC 서비스 정보는 채널안내 OSD 또는 CC 제어 UI에 디스플레이되는 클로우즈드 캡션(CC) 서비스 정보 표시방법.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된 CC 서비스 정보를 주기적으로 또는 연속적으로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클로우즈드 캡션(CC) 서비스 정보 표시방법.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신호와 결합되어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CC 서비스 선택을 위한 키신호가 입력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키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선택된 CC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클로우즈드 캡션(CC) 서비스 정보 표시방법.
KR1020090076677A 2009-08-19 2009-08-19 클로우즈드 캡션(cc) 서비스 정보 표시 장치 및 방법 KR2011001909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6677A KR20110019098A (ko) 2009-08-19 2009-08-19 클로우즈드 캡션(cc) 서비스 정보 표시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6677A KR20110019098A (ko) 2009-08-19 2009-08-19 클로우즈드 캡션(cc) 서비스 정보 표시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9098A true KR20110019098A (ko) 2011-02-25

Family

ID=437765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6677A KR20110019098A (ko) 2009-08-19 2009-08-19 클로우즈드 캡션(cc) 서비스 정보 표시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1909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796060A (zh) * 2012-11-26 2014-05-14 深圳Tcl新技术有限公司 电视机及其cc模式识别显示方法、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796060A (zh) * 2012-11-26 2014-05-14 深圳Tcl新技术有限公司 电视机及其cc模式识别显示方法、装置
EP2925006A4 (en) * 2012-11-26 2016-06-15 Shenzhen Tcl New Technology TELEVISION, AND CORRESPONDING METHOD AND DEVICE FOR IDENTIFYING CLOSED CAPTION (CC) MODE AND EXECUTING DISPLAY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94677B1 (ko) 디지털 티브이 수신기의 캡션정보 처리장치 및 방법
JP4986438B2 (ja) デジタル放送受信機におけるチャネル切替時の情報出力方法
US7019787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selecting caption language
KR100532997B1 (ko) 디지털 티브이의 클로즈 캡션 운용 장치
US20100225807A1 (en) Closed-Captioning System and Method
KR100727385B1 (ko) 캡션 표시 장치 및 그 방법
KR20010001725A (ko) 자막 그래픽 신호의 디스플레이 제어방법
KR20110019098A (ko) 클로우즈드 캡션(cc) 서비스 정보 표시 장치 및 방법
KR100305320B1 (ko) 음성다중텔레비전에서의음성제어방법
KR20110019096A (ko) 클로우즈드 캡션(cc) 서비스 설정방법
KR100317285B1 (ko) 티브이의 채널탐색장치 및 방법
KR100323680B1 (ko) 티브이의 문자표시장치 및 방법
EP1798971B1 (en) Video process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0726439B1 (ko) 자막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영상처리장치
JP3065128U (ja) 映像出力装置
KR20000041984A (ko) 텔레비전에서의 캡션 자동 디스플레이 방법
KR100282061B1 (ko) 텔레비젼에서의 자막 표시 제어 방법
KR20080062845A (ko)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채널 배너 표시방법
KR19980029613A (ko) 텔레비젼 수상기로 문자방송 시청시 문자정보 자동 인식에 의한 문자크기 설정장치 및 그 방법
KR100725389B1 (ko)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방송 프로그램검색 방법
KR20070050419A (ko) 캡션 표시 장치 및 그 방법
KR20070081583A (ko) 디지털 티브이에서의 음악방송정보 처리 장치 및 방법
KR20020007656A (ko) 티브이의 캡션 표시 제어장치 및 방법
KR20010076433A (ko) 디지털티브이의 캡션 표시장치
KR19990063705A (ko) 디코더 및 디코딩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