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18992A - 방송 수신기 및 이를 이용한 화상 통화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방송 수신기 및 이를 이용한 화상 통화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18992A
KR20110018992A KR1020090076510A KR20090076510A KR20110018992A KR 20110018992 A KR20110018992 A KR 20110018992A KR 1020090076510 A KR1020090076510 A KR 1020090076510A KR 20090076510 A KR20090076510 A KR 20090076510A KR 20110018992 A KR20110018992 A KR 201100189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deo
video call
missed
call
record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765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준덕
김정심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765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18992A/ko
Publication of KR201100189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899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 H04N7/141Systems for two-way working between two video terminals, e.g. videophon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4Automatic arrangements for answering calls; Automatic arrangements for recording messages for absent subscribers; Arrangements for recording conversations
    • H04M1/65Recording arrangements for recording a message from the calling party
    • H04M1/656Recording arrangements for recording a message from the calling party for recording convers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3Generation or supply of power specially adapted for television re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8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magnetic recording
    • H04N5/781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magnetic recording on disks or dru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송 수신기 및 이를 이용한 화상 통화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화상 통신이 가능한 네트워크와 연결하는 네트워크 통신부; 대기 모드 상태에서 상기 연결된 네트워크를 통해 화상 통신 시그널링 비트를 검출하는 비디오 텔레포니 검출부; 상기 검출된 화상 통신 시그널링 비트에 의해 화상 통신을 위한 구동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 상기 연결된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된 화상 통화 착신 정보를 화면에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표시된 화상 통화 착신에 대해 일정 시간 동안 통화 요청 신호의 입력을 판단하여 화상 통화 기능을 제공하는 비디오 텔레포니 제어부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TV의 대기 모드 시 화상 전화의 패킷 신호를 검출하여 TV 시스템을 구동시켜 화상통화를 제공하며 사용자가 부재 중일 경우, TV에서 슬립(sleep) 모드로 인식하여 자동 응답 기능을 제공한다.
방송 수신기, 대기 모드, 화상 통화

Description

방송 수신기 및 이를 이용한 화상 통화 제공 방법{Broadcast receiver and method of providing video telephony using thereof}
본 발명은 방송 수신기 및 이를 이용한 화상 통화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방송 수신기의 화상 통화에서 부재 시 자동 응답 기능 및 화상 통화 DVR 녹화를 구현하는 방송 수신기를 이용한 화상 통화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하나의 전자제품에 여러 가지 기능을 부여하여 편리성과 기능성을 향상시킨 기능 복합성 전자 제품들이 개발되고 있다. 특히 네트워크 인프라의 발전과 인터넷 정보화에 힘입어 전자 제품에 인터넷 기능을 부가하는 기술이 보편화 되어,이에 따라 인터넷 접속이 가능한 TV, 냉장고, 전자 렌지 등이 등장하였다.
이러한 기능 복합성 전자 제품 중, TV의 경우 인터넷 접속 기능을 부여하여 TV를 통해 전화 통화 기능 및 화상 입력 기능을 부여하여 화상 통화가 가능한 TV가 소개되고 있다. 이와 같이 TV를 이용하여 화상 통화를 하는 경우, 사용자는 큰 화면에서 화상 통화를 이용할 수 있게 된다.
하지만, TV는 항상 켜져 있는 상태가 아니므로, TV 전원 오프 시 화상 전화 수신이 불가능하며, 혹은 부재중일 경우 자동 응답을 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대기 모듯 상태에서 화상 전화를 수신하는 동작 구현 및 사용자 부재 중일 경우 자동응답 기능을 갖는 방송 수신기 및 이를 이용한 화상 통화 제공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화상 통화를 제공하는 방송 수신기은 화상 통신이 가능한 네트워크와 연결하는 네트워크 통신부; 대기 모드 상태에서 상기 연결된 네트워크를 통해 화상 통신 시그널링 비트를 검출하는 비디오 텔레포니 검출부; 상기 검출된 화상 통신 시그널링 비트에 의해 화상 통신을 위한 구동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 상기 연결된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된 화상 통화 착신 정보를 화면에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표시된 화상 통화 착신에 대해 일정 시간 동안 통화 요청 신호의 입력을 판단하여 화상 통화 기능을 제공하는 비디오 텔레포니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비디오 텔레포니 제어부는 일정 시간 동안 통화 요청 신호의 입력이 없는 경우,상기 네트워크 통신부를 통해 상대방에 화상 통화 저장 요청을 송신하여 상대방으로부터 수신된 화상 통화를 녹화한다.
상기 비디오 텔레포니 제어부는 일정 시간 동안 통화 요청 신호의 입력이 없는 경우, 부재중 영상 메시지를 상기 네트워크 통신부를 통해 전송한다.
상기 비디오 텔레포니 제어부는 일정 시간 동안 통화 요청 신호 입력이 없으면, 슬립(sleep) 모드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사용자의 부재 중 녹화된 상대방의 화상 통화 영상과 이와 관련된 화상 통화 정보를 목록 화하여 저장하는 하드디스크를 포함한다.
상기 네트워크 통신부는 이동통신 망이나 인터넷 망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네트워크 통신부는 저장된 부재중 녹화된 화상 통화 목록을 사용자의 등록된 이메일(e-mail), 모바일 통신 단말기로 전송한다.
상기 비디오 텔레포니 검출부로부터 화상 통신 시그널링 비트가 검출되면, 수신된 화상 통화 착신 정보를 팝업(Pop-up)이나 알람 메시지 형태의 OSD 데이터를 생성하는 OSD 처리부를 포함한다.
화상통화 설정 메뉴와 자동 응답 기능에 따른 부재 중 영상 메시지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한다.
상기 화상통화 설정 메뉴는 자동 응답기능과 대기 모드 시 자동 응답 기능 설정 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방송 수신기에 전원이 인가되거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화상 통화 목록 요청 신호가 입력되면, 부재중 녹화된 화상 통화 목 록을 OSD 방식으로 디스플레이한다.
상기 디스플레이된 부재중 녹화된 화상 통화 목록은 시간 순으로 녹화된 부재 중 화상 통화 영상과 상대방의 전화번호로 발신하는 키를 포함한다.
상기 비디오 텔레포니 제어부는 디스플레이된 부재중 녹화된 화상 통화 목록에서 사용자 요청에 따라 선택된 부재중 녹화 영상을 재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비디오 텔레포니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된 부재중 녹화된 화상 통화 목록에서 사용자 요청에 따라 선택된 부재중 녹화 영상을 삭제 또는 편집한다.
상기 비디오 텔레포니 제어부는 부재 중 상대방으로부터 수신된 화상 통화를 저장하여 부재중 녹화된 화상 통화 목록을 업데이트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방송 수신기의 화상 통화 제공 방법에 있어서, 대기 모드 상태에서 연결된 네트워크를 통해 화상 통신 시그널링 비트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검출된 화상 통신 시그널링 비트에 의해 화상 통신을 위한 구동 전원을 공급하는 단계; 및 상기 연결된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된 화상 통화 착신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일정 시간 동안 통화 요청 신호 입력이 없으면, 슬립(sleep) 모드로 전환한다.
일정 시간 동안 통화 요청 신호 입력이 없으면, 부재중 영상 메시지를 상대방에게 상기 연결된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한다.
일정 시간 동안 통화 요청 신호 입력이 없어 사용자의 부재중으로 판단되면, 상기 연결된 네트워크를 통해 상대방에 화상 통화 저장 요청을 송신하여 상대방으로부터 수신된 화상 통화를 녹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사용자의 부재 중 녹화된 상대방의 화상 통화 영상과 이와 관련된 화상 통화 정보를 목록 화하여 저장한다.
상기 저장된 부재중 녹화된 화상 통화 목록을 사용자의 등록된 이메일(e-mail) 혹은 모바일 통신 단말기로 전송한다.
상기 방송 수신기에 전원이 인가되거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화상 통화 목록 요청 신호가 입력되면, 부재중 녹화된 화상 통화 목록을 OSD 방식으로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디스플레이된 부재중 녹화된 화상 통화 목록은 시간 순으로 녹화된 부재 중 화상 통화 영상과 상대방의 전화번호로 발신하는 키를 포함한다.
상기 디스플레이된 부재중 녹화된 화상 통화 목록에서 사용자 요청에 따라 선택된 부재중 녹화 영상을 재생한다.
상기 디스플레이된 부재중 녹화된 화상 통화 목록에서 사용자 요청에 따라 선택된 부재중 녹화 영상을 삭제 또는 편집한다.
상기 대기 모드에서 화상 통화 자동 응답 기능을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은 TV의 대기 모드 시 화상 전화의 패킷 신호를 검출하여 TV 시스템을 구동시켜 화상통화를 가능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부재 중일 경우, TV에서 슬립(sleep) 모드로 인식하여 자동 응답 기능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목적과 특징 및 장점은 첨부 도면 및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참조함으로써 더욱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화상 통화를 제공하는 방송 수신기의 내부 구성을 간략하게 도시한 블럭도이다.
먼저, 디지털 방송 수신기는 사용자가 특정 채널을 리모컨 등을 이용하여 선택할 경우 그 해당 채널로 변경하는 동작을 수행하며, 지상파, 케이블, 위성 등으로부터 입력되는 디지털 방송 신호를 선국하는 튜너(101)를 통해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복조부(102)를 거치면서 MPEG2 트랜스포트 패킷 형태로 역다중화부(103)에 입력된다. 여기서 상기 트랜스포트 패킷에는 PSI 또는 PSIP 정보가 포함되어 이를 통해 채널 정보를 얻을 수 있으며, 상기 채널 정보에는 채널(프로그램)의 개수, 종류, A/V 데이터 정보 등이 있다.
그리고 VCR과 같은 아날로그 재생 장치로부터 아날로그 신호 입력 단자(111)를 통해 아날로그 영상 신호가 입력되면, A/D 컨버터(112)를 거치면서 디지털 영상 신호로 변환된다. 그리고 디지털 신호 입력 단자(113)는 DVD 플레이어와 같은 재생 기기로부터 디지털 신호를 수신하여 비디오/오디오 디코더(104)로 출력한다.
비디오/오디오 디코더(104)는 입력되는 비디오 및 오디오 신호를 각각의 암호화 방식으로 디코딩한다. 비디오/오디오 디코더(104)를 통해 처리된 방송 신호의 TV 영상은 디스플레이부(105)에 표시되고, 방송 신호의 TV 오디오 신호는 스피커로 출력된다.
본 발명에 따라 방송 수신기를 이용하여 화상통화기능을 구현하는 경우, 사용자의 음성 및 화상을 획득하는 마이크(115)와 카메라(114), 이동통신 망이나 인터넷 망 등 화상 통신이 가능한 네트워크와 연결하는 네트워크 통신부(125)와, 네트워크 통신부(125)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 패킷을 분석하여 화상 통신 시그널링 비트를 검출하는 비디오 텔레포니 검출부(124)와, 검출된 화상 통신 시그널링 비트에 의해 대기 모드 상태에서 전원을 공급하도록 제어하고 본 발명에 따라 비디오 전화 착신 기능 및 화상 전화 영상의 표시 기능을 수행하는 비디오 텔레포니 제어부(122)를 포함한다.
비디오 텔레포니 제어부(122)는 대기 모드 상태에서 검출된 화상 통신 시그널링 비트에 의해 전원 공급부(121)로부터 화상 통신 기능을 수행하는 블럭에 전원이 공급되도록 제어한다.
이때, OSD 처리부(123)는 텔레포니 제어부(122)의 제어에 따라 비디오 텔레포니 검출부(124)로부터 화상 통신 패킷이 검출되면, 수신된 화상 통화 데이터를 바탕으로 화상 통화 수신 정보를 OSD 데이터로 생성하여, 팝업(Pop-up)이나 알람 등의 표시 형태로 디스플레이부(105)에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화상 전화 수신을 알린다.
비디오 텔레포니 제어부(122)는 일정 시간 이상 사용자 인터페이스(도시하지 않음)를 통해 화상 통신 수신을 요청하는 사용자의 입력이 없을 경우(즉, 부재 중으로 판단되는 경우) 슬립(sleep) 모드로 전환하고, 자동 응답 기능에 필요한 블럭만 동작시킨다.
이때, 비디오 텔레포니 제어부(122)는 메모리(126)에 저장된 사용자의 부재 중 영상 메시지를 네트워크 통신부(125)를 통해 송신한다. 여기서, 메모리(126)는 화상통화 설정 메뉴와 자동 응답 기능에 따른 부재 중 영상 메시지를 저장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방송 수신기의 화상 통화 설정 메뉴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화상 통화 설정 메뉴가 호출되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 응답 기능(21)과 대기 모드 시 자동 응답 기능(22) 설정을 포함하는 화상 통화 설정 메뉴가 화면상에 디스플레이된다. 여기서, 사용자는 방송 수신기에서 화상 통신의 자동 응답 기능(21)이 사용자의 선호 채널 방송 프로그램이 재생 되거나 방송 수신기의 대기 모드 시에 자동 응답하도록 설정한다.
그리고 사용자가 대기 모드 시 자동 응답 기능(22)을 선택하면, 사용자의 부재 중 영상 메시지 전송 여부와, 화상 통화 저장 요청 시 상대방의 음성 혹은 영상 및 음성 모두를 저장하는 여부 및 부재시 녹화된 저장된 화상 통화 목록을 생성하는 여부를 각각 선택한다. 또한, 부재 중 녹화된 화상 통화 목록 정보를 사용자의 이 메일(e-mail), 핸드폰 등으로 전송하는 기능을 선택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방송 수신기의 화상 통화 설정 시 부재 중 메시지를 나타낸 영상이다.
도 3의 부재중 영상 메시지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설정된 녹화 모드에서 사용자의 음성 및 화상을 획득하는 마이크(115)와 카메라(114)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일정 시간(예를 들면, 2분 정도) 동안 녹화한 내용을 메모리(126)에 저장한다.
비디오 텔레포니 제어부(122)는 상대방으로부터 수신된 화상 통화를 녹화하여 하드 디스크(127)에 저장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비디오 텔레포니 제어부(122)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화상 통화 수신을 요청하는 사용자의 입력이 수신되면, 네트워크를 통해 착신된 상대방으로부터의 음성 및 화상 신호를 수신하여 비디오/오디오 디코더(104)로 출력한다.
또 다른 경우,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비디오 텔레포니 제어부(122)는 일정 시간 동안 화상 통화 수신을 요청하는 사용자의 입력을 판단하여 사용자의 부재 중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대방에 화상 통화 저장 요청을 송신하여 상대방으로부터 수신된 화상 통화를 녹화한다.
하드 디스크(127)는 상대방으로부터 수신된 화상 통화를 녹화하여 저장하고 특히, 부재 중 녹화된 상대방의 화상 통화 영상과 이와 관련된 화상 통화 정보를 목록화하여 저장한다. 비디오 텔레포니 제어부(122)는 방송 수신기에 전원이 인가되거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화상통화 목록 요청 신호가 입력되면, 도 4와 같이 부재중 화상 통화 녹화 목록을 OSD 방식으로 출력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송 프로그램 재생 시 부재중 녹화 목록 을 표시하는 방송 수신기의 화면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방송 수신기(100)는 전원이 인가된 초기 화면에서 혹은, 선택된 방송 채널의 프로그램을 재생하면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화상통화 목록 요청 신호가 입력되면, 부재중 화상 통화 녹화 목록(300)을 디스플레이한다.
부재중 화상 통화 녹화 목록(300)은 시간 순서로 녹화된 부재중 화상 통화 내용(310)을 나열하고, 기 저장된 화상 통화 설정 메뉴에 근거하여 화상통화 상대방의 녹화된 영상 화면(301)과 상대방의 전화번호로 연동시키는 버튼(302)이 구비된다. 디스플레이된 부재중 화상 통화 녹화 목록(300)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요청 신호에 따라 저장된 화상 통화 영상을 실행하여 디스플레이하거나, 확인된 부재중 화상 통화 녹화물을 삭제하여 녹화 목록을 갱신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방송 수신기의 화상 통화 제공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화상 통화를 제공하는 방송 수신기는 대기 모드 상태이다(S501).
방송 수신기의 대기 모드 상태에서 비디오 텔레포니 검출부(124)는 구동되어연결된 네트워크 통신부(125)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 패킷을 분석한다(S502,S503).
비디오 텔레포니 검출부(124)는 수신되는 데이터 패킷으로부터 화상 통신 시그널링 비트를 검출한다(S504).
비디오 텔레포니 제어부(122)는 대기 모드 상태에서 검출된 화상 통신 시그널링 비트에 의해 전원 공급부(121)로부터 화상 통신 기능을 수행하는 블럭에 전원 이 공급하여 구동시킨다(S505).
이때, OSD 처리부(123)는 수신된 화상 통화 데이터를 바탕으로 화상 통화 수신 정보를 OSD 데이터로 생성한다(S506). 생성된 화상통화 정보를 사용자 인터페이스(UI)를 통해 화면상에 디스플레이하고 알람 신호 등을 출력하여 화상 통화 착신 신호가 수신되었음을 표시한다(S507).
비디오 텔레포니 제어부(122)는 일정시간 동안 사용자 인터페이스(UI)를 통해 통화 요청 신호의 입력을 판단한다(S508). 통화 요청 신호가 입력되면, 비디오 텔레포니 제어부(122)는 착신된 화상 통신 모드를 수행하여 화상 통화을 제공한다(S514).
한편, 일정 시간이 경과 되어 착신된 화상 전화의 통화 요청 신호 입력이 없다면(S509), 비디오 텔레포니 제어부(122)는 방송 수신기의 불필요한 블럭의 전원을 오프시킨다(S510).
그리고, 비디오 텔레포니 제어부(122)는 사용자의 부재 중으로 판단하여 슬립(sleep) 모드로 전환하고, 저장된 부재 중 영상 메시지를 네트워크 통신부(125)를 통해 송신한다(S511).
비디오 텔레포니 제어부(122)는 기 저장된 화상통화 설정에 따라 수신되는 상대방의 화상 통화의 영상 및 음성을 녹화하여 하드디스크(127)에 저장한다 (S512). 이때, 부재 중 녹화된 상대방의 화상 통화 영상과 이와 관련된 화상 통화 정보를 목록화하여 저장한다. 또한, 부재 중 녹화된 화상 통화 목록은 기 저장된 화상통화 설정에 따라 사용자의 이 메일(e-mail), 핸드폰 등으로 전송한다.
부재중 화상 통신 녹화 목록을 업데이트한다(S513).
한편,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terminology)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 내려진 용어들로써 이는 해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상의 본 발명은 상기에 기술된 실시 예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당업자들에 의해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을 가져올 수 있으며, 이는 첨부된 청구항에서 정의되는 본 발명의 취지와 범위에 포함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화상 통화를 제공하는 방송 수신기의 내부 구성을 간략하게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방송 수신기의 화상 통화 설정 메뉴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방송 수신기의 화상 통화 설정 시 부재 중 메시지를 나타낸 영상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송 프로그램 재생 시 부재중 녹화 목록을 표시하는 방송 수신기의 화면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방송 수신기의 화상 통화 제공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 튜너 102. 복조부
103. 역다중화부 104. 비디오/오디오 디코더
105. 디스플레이부 111. 아날로그 신호 입력 단자
112. A/D 컨버터 113. 디지털 신호 입력 단자
114. 카메라 115. 마이크
121. 전원 공급부 122. 비디오 텔레포니 제어부
123. OSD 처리부 124. 비디오 텔레포니 검출부
125. 네트워크 통신부 126. 메모리
127. 하드디스크

Claims (26)

  1. 대기 모드 상태에서 연결된 네트워크를 통해 화상 통신 시그널링 비트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검출된 화상 통신 시그널링 비트에 의해 화상 통신을 위한 구동 전원을 공급하는 단계; 및
    상기 연결된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된 화상 통화 착신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방송 수신기의 화상 통화 제공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일정 시간 동안 통화 요청 신호 입력이 없으면, 슬립(sleep) 모드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수신기의 화상 통화 제공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일정 시간 동안 통화 요청 신호 입력이 없으면, 부재중 영상 메시지를 상대방에게 상기 연결된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수신기의 화상 통화 제공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일정 시간 동안 통화 요청 신호 입력이 없어 사용자의 부재중으로 판단되면, 상기 연결된 네트워크를 통해 상대방에 화상 통화 저장 요청을 송신하여 상대방으로부터 수신된 화상 통화를 녹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송 수신기의 화상 통화 제공 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부재 중 녹화된 상대방의 화상 통화 영상과 이와 관련된 화상 통화 정보를 목록 화하여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수신기의 화상 통화 제공 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된 부재중 녹화된 화상 통화 목록을 사용자의 등록된 이메일(e-mail) 혹은 모바일 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수신기의 화상 통화 제공 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수신기에 전원이 인가되거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화상 통화 목록 요청 신호가 입력되면, 부재중 녹화된 화상 통화 목록을 OSD 방식으로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송 수신기의 화상 통화 제공 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된 부재중 녹화된 화상 통화 목록은 시간 순으로 녹화된 부재 중 화상 통화 영상과 상대방의 전화번호로 발신하는 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수신기의 화상 통화 제공 방법.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된 부재중 녹화된 화상 통화 목록에서 사용자 요청에 따라 선택된 부재중 녹화 영상을 재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수신기의 화상 통화 제공 방법.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된 부재중 녹화된 화상 통화 목록에서 사용자 요청에 따라 선택된 부재중 녹화 영상을 삭제 또는 편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수신기의 화상 통화 제공 방법.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대기 모드에서 화상 통화 자동 응답 기능을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송 수신기의 화상 통화 제공 방법.
  12. 화상 통신이 가능한 네트워크와 연결하는 네트워크 통신부;
    대기 모드 상태에서 상기 연결된 네트워크를 통해 화상 통신 시그널링 비트 를 검출하는 비디오 텔레포니 검출부;
    상기 검출된 화상 통신 시그널링 비트에 의해 화상 통신을 위한 구동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
    상기 연결된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된 화상 통화 착신 정보를 화면에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표시된 화상 통화 착신에 대해 일정 시간 동안 통화 요청 신호의 입력을 판단하여 화상 통화 기능을 제공하는 비디오 텔레포니 제어부를 포함하는 화상 통화를 제공하는 방송 수신기.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비디오 텔레포니 제어부는 일정 시간 동안 통화 요청 신호의 입력이 없는 경우,상기 네트워크 통신부를 통해 상대방에 화상 통화 저장 요청을 송신하여 상대방으로부터 수신된 화상 통화를 녹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통화를 제공하는 방송 수신기.
  14.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비디오 텔레포니 제어부는 일정 시간 동안 통화 요청 신호의 입력이 없는 경우, 부재중 영상 메시지를 상기 네트워크 통신부를 통해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통화를 제공하는 방송 수신기.
  15.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비디오 텔레포니 제어부는 일정 시간 동안 통화 요청 신호 입력이 없으면, 슬립(sleep) 모드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통화를 제공하는 방송 수신기.
  16. 제 12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부재 중 녹화된 상대방의 화상 통화 영상과 이와 관련된 화상 통화 정보를 목록 화하여 저장하는 하드디스크를 포함하는 화상 통화를 제공하는 방송 수신기.
  17.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통신부는 이동통신 망이나 인터넷 망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통화를 제공하는 방송 수신기.
  18.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통신부는 저장된 부재중 녹화된 화상 통화 목록을 사용자의 등록된 이메일(e-mail), 모바일 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통화를 제공하는 방송 수신기.
  19.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비디오 텔레포니 검출부로부터 화상 통신 시그널링 비트가 검출되면, 수신된 화상 통화 착신 정보를 팝업(Pop-up)이나 알람 메시지 형태의 OSD 데이터를 생성하는 OSD 처리부를 포함하는 화상 통화를 제공하는 방송 수신기.
  20. 제 12항에 있어서,
    화상통화 설정 메뉴와 자동 응답 기능에 따른 부재 중 영상 메시지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하는 화상 통화를 제공하는 방송 수신기.
  21.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통화 설정 메뉴는 자동 응답기능과 대기 모드 시 자동 응답 기능 설정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통화를 제공하는 방송 수신기.
  22.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방송 수신기에 전원이 인가되거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화상 통화 목록 요청 신호가 입력되면, 부재중 녹화된 화상 통화 목록을 OSD 방식으로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통화를 제공하는 방송 수신기.
  23.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된 부재중 녹화된 화상 통화 목록은 시간 순으로 녹화된 부 재 중 화상 통화 영상과 상대방의 전화번호로 발신하는 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통화를 제공하는 방송 수신기.
  24.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비디오 텔레포니 제어부는 디스플레이된 부재중 녹화된 화상 통화 목록에서 사용자 요청에 따라 선택된 부재중 녹화 영상을 재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통화를 제공하는 방송 수신기.
  25. 제 24항에 있어서,
    상기 비디오 텔레포니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된 부재중 녹화된 화상 통화 목록에서 사용자 요청에 따라 선택된 부재중 녹화 영상을 삭제 또는 편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통화를 제공하는 방송 수신기.
  26.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비디오 텔레포니 제어부는 부재 중 상대방으로부터 수신된 화상 통화를 저장하여 부재중 녹화된 화상 통화 목록을 업데이트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통화를 제공하는 방송 수신기.
KR1020090076510A 2009-08-19 2009-08-19 방송 수신기 및 이를 이용한 화상 통화 제공 방법 KR2011001899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6510A KR20110018992A (ko) 2009-08-19 2009-08-19 방송 수신기 및 이를 이용한 화상 통화 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6510A KR20110018992A (ko) 2009-08-19 2009-08-19 방송 수신기 및 이를 이용한 화상 통화 제공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8992A true KR20110018992A (ko) 2011-02-25

Family

ID=437764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6510A KR20110018992A (ko) 2009-08-19 2009-08-19 방송 수신기 및 이를 이용한 화상 통화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1899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92242A1 (ko) * 2012-12-14 2014-06-19 전자부품연구원 대기모드에서 전화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방송수신단말기 및 그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92242A1 (ko) * 2012-12-14 2014-06-19 전자부품연구원 대기모드에서 전화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방송수신단말기 및 그 방법
KR101443251B1 (ko) * 2012-12-14 2014-09-22 전자부품연구원 대기모드에서 전화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방송수신단말기 및 그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09987B1 (ko) 프로그램 녹화 시스템, 통신 단말기, 및 녹화 재생 장치
JP4689613B2 (ja) 通信端末
US7761509B2 (en) Program product and connected device for linking operations between multiple connected devices
US20090262955A1 (en) Electronic device and volume control method of electronic device
US7937729B2 (en) Receiving apparatus
US2014022347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producing contents
JP2005184180A (ja) 携帯端末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テレビ番組視聴システム
JP2007005986A (ja) 携帯通信端末、録画機器、およびデジタルtv視聴システム
JP4838548B2 (ja) 携帯端末
JP2009055099A (ja) コンテンツ視聴システム
KR101014719B1 (ko)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타임 시프트 방법
KR20110018992A (ko) 방송 수신기 및 이를 이용한 화상 통화 제공 방법
JP2010118801A (ja) 受信装置及び受信方法
JP2018148381A (ja) 映像表示装置
JP2008252160A (ja) 放送受信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2007251232A (ja) 電話機能を備えた映像再生装置
JP2008042234A (ja) テレビ放送視聴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2002077323A (ja) 通信制御装置、方法、記録媒体
JP2006157610A (ja) テレビジョン放送受信装置
JP2008010931A (ja) 放送受信用携帯端末装置
KR100524574B1 (ko) 컨텐츠 수신 장치
KR100630101B1 (ko) 휴대단말기에서 다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홈 씨어터 제어방법
JP2008085729A (ja) 映像撮影装置,テレビジョン受像機,映像表示システム
JP2005311459A (ja) 携帯端末、番組再生システム
JP5052591B2 (ja) 携帯端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