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18203A - 보호 커버를 갖는 냉장고용 액츄에이터 및 그를 포함하는 냉장고 - Google Patents

보호 커버를 갖는 냉장고용 액츄에이터 및 그를 포함하는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18203A
KR20110018203A KR1020090075878A KR20090075878A KR20110018203A KR 20110018203 A KR20110018203 A KR 20110018203A KR 1020090075878 A KR1020090075878 A KR 1020090075878A KR 20090075878 A KR20090075878 A KR 20090075878A KR 20110018203 A KR20110018203 A KR 201100182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tuator
refrigerator
door
fixed
protective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758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92310B1 (ko
Inventor
정봉건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758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2310B1/ko
Priority to US12/830,641 priority patent/US8434837B2/en
Priority to EP10168760.6A priority patent/EP2284464B1/en
Priority to CN2010102281533A priority patent/CN101949628B/zh
Publication of KR201100182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82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23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23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 F25D25/02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by shelves
    • F25D25/024Slidable shelves
    • F25D25/025Draw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40Sliding drawers; Slides or guides therefor
    • A47B88/453Actuated drawers
    • A47B88/457Actuated drawers operated by electrically-powered actuation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8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5D29/005Mounting of control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400/00General features of, or devices for 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or fo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ther subclass
    • F25D2400/40Refrigerating devices characterised by electrical wi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호 커버를 갖는 냉장고용 액츄에이터 및 그를 포함하는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서, 냉장고의 내측에 장착되며, 전력 공급을 위한 도선 체결부를 갖는 액츄에이터; 상기 액츄에이터의 일측에 고정되며, 상기 도선을 고정하기 위한 걸림부를 갖는 도선 고정편; 및 상기 도선 고정편에 고정되는 제1 고정부와 상기 액츄에이터에 고정되는 제2 고정부를 가지며 상기 도선을 덮는 보호 커버를 포함하는 냉장고용 액츄에이터가 제공된다.
냉장고, 드로워, 구동 모터, 리드선.

Description

보호 커버를 갖는 냉장고용 액츄에이터 및 그를 포함하는 냉장고{ACTUATOR WITH A PROTECTING COVER FOR A REFRIGERATOR AND THE REFRIGERATOR WITH THE SAME}
본 발명은 보호 커버를 갖는 냉장고용 액츄에이터 및 그를 포함하는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자동 인출식 도어를 갖는 냉장고의 액추에이터 및 그를 갖는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냉장고는 냉장고 도어에 의해 차폐되는 저장공간이 구비되고, 그 저장공간에 음식물을 저온 저장하는 가전 기기이다. 이러한 냉장고는 냉동사이클을 순환하는 냉매의 열교환을 통해 발생되는 냉기를 이용하여 저장공간에 저장된 음식물들을 최적상태로 보관할 수 있도록 한다. 최근에는 이러한 냉장고의 기본 기능외에도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키기 위한 다양한 기능이 부가되고 있는데, 자동 인출식 도어도 그러한 기능의 일종이다.
자동 인출식 도어란 종래에 사용자가 직접 개폐하던 도어에 액츄에이터를 추가하여 인력인 아닌 액츄에이터의 구동력을 통해서 도어가 개폐되도록 한 것으로서, 소위 드로워(drawer)라고 불리우는 서랍식 도어에 주로 채용되고 있다. 이는 서랍식 도어의 경우 내용물이 함께 인출되므로 일반적인 냉장고의 도어에 비해서 개폐하는데 더 큰 힘이 요구되기 때문이다.
이러한 드로워를 인출하기 위한 액츄에이터로서는 통상적으로 구동 모터가 사용되는데, 이러한 구동 모터에 전력을 인가하기 위한 도선이 필연적으로 구동 모터와 연결되어야 한다.
한편, 이러한 자동 인출식 도어를 갖는 냉장고는 수동식 도어를 갖는 냉장고에 비해서 액츄에이터 등의 추가적인 구성요소를 가지므로 장기간 동안 안정적으로 기능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추가된 구성요소가 냉장고의 수명 주기 동안 안정적으로 작동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액츄에이터 자체의 성능 및 신뢰성을 높이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본 출원인의 조사 결과 액츄에이터와 연결되는 도선에 대한 관리도 매우 중요함을 알 수 있었다. 즉, 상기 도선과 관련하여,
1) 액츄에이터로서 사용되는 상기와 같은 구동 모터는 서랍식 도어가 완전히 개방된 경우, 외부로 노출되게 되고, 그에 따라 외부의 이물질 등이 상기 도선의 연결부에 포집될 우려가 있고,
2) 드로워 내부에 수납되는 물품과 간섭되어 도선이 구동 모터와 분리되거나 접촉 불량을 야기할 우려가 있으며,
3) 냉장고의 제조 과정에서 다른 부품과의 간섭 또는 작업자의 부주의로 인해서 상기 도선이 분리될 우려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본 출원인의 문제 인식을 통해 안출된 것으로서, 자동 인출식 도어를 위한 액츄에이터와 연결되는 도선이 외부의 이물질이나 드로워에 수납된 물품 등에 의해 분리되거나 연결이 헐거워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수단을 구비한 액츄에이터 및 그를 채용한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삼고 있 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의하면, 냉장고의 내측에 장착되며, 전력 공급을 위한 도선 체결부를 갖는 액츄에이터; 상기 액츄에이터의 일측에 고정되며, 상기 도선을 고정하기 위한 걸림부를 갖는 도선 고정편; 및 상기 도선 고정편에 고정되는 제1 고정부와 상기 액츄에이터에 고정되는 제2 고정부를 가지며 상기 도선을 덮는 보호 커버를 포함하는 냉장고용 액츄에이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상기 측면은 상기와 같은 문제 인식으로부터 비롯된 것으로서, 액츄에이터 외측으로 노출되는 도선을 덮어서 보호하는 별도의 보호 커버를 액츄에이터에 부가하여 액츄에이터의 신뢰성 및 안정성을 높인 것이다. 아울러, 도선의 일부가 도어의 개폐과정에서 움직이면서 액츄에이터와의 연결부위가 헐거워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도선을 고정하기 위한 도선 고정편을 추가적으로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보호 커버가 상기 도선 고정편과 액츄에이터 사이에서 고정되도록 하여 액츄에이터의 표면에 별도의 고정 구조를 형성하지 않아도 고정이 가능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도선 고정편과 상기 보호 커버는 각각 별개로 형성되는 것이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될 필요는 없고 양자가 일체로 형성되는 경우도 고려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도선 고정편에는 일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부가 추가적으로 형성 되고, 상기 보호 커버의 일단부가 상기 연장부와 끼워져서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연장부는 탄성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보호 커버가 상기 액츄에이터에 고정된 상태에서 탄성 변형되어 상기 보호 커버에 탄성력을 가하도록 하여 양자의 결합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연장부는 상기 액츄에이터의 외측 표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위치하도록 하여, 연장부가 액츄에이터 표면에 접촉하여 탄성 변형량이 제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연장부는 직사각형 단면을 갖는 판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 고정부에는 상기 연장부가 삽입되는 삽입홈을 형성할 수 있다. 물론, 연장부의 단면은 반드시 직사각형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임의의 다각형 또는 원형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선 고정편은 냉장고의 상하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액츄에이터의 상부에 고정되고, 상기 제2 고정부는 상기 액츄에이터의 하부와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액츄에이터의 저면에 상기 제2 고정부와 맞물리는 걸림턱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의하면, 수납공간이 구비되는 냉장고 본체; 상기 수납공간을 개폐하는 도어; 상기 도어가 개폐되는 과정에서 상기 도어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 및 상기 도어를 개폐시키는 액츄에이터를 포함하는 냉장고로서, 상기 액츄에이터는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가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도어는 상기 냉장고 본체로부터 인출 및 인입되는 서랍식 도어 일 수 있으며, '서랍식 도어'란 소위 드로워로 지칭되는 형태의 것을 의미한다.
한편, 상기 액츄에이터는 상기 서랍식 도어에 설치될 수도 있고, 상기 냉장고의 본체 내부에 설치되는 경우도 고려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측면들에 의하면, 액츄에이터 외측으로 노출되는 도선을 덮어서 보호하는 별도의 보호 커버 및 보호 커버 외측으로 노출되는 도선을 고정하기 위한 도선 고정편을 포함하고 있고, 이로 인해서 사용 중 또는 조립 과정에서 액츄에이터와 도선과의 연결부위가 헐거워지거나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제품의 신뢰성 및 안정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액츄에이터 및 그를 갖는 냉장고를 첨부도면에 도시된 일실시예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도어 구동용 외에도 도선과 연결되는 액츄에이터를 포함하는 임의의 냉장고에 적용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설명과 이해의 편의를 위해 버텀프리즈 타입의 냉장고에 적용된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의 외형을 보인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바스켓이 탈거된 모습을 보인 사시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장고는 대략 직육면체 형상의 본체에 의해 외형이 형성되고, 내부에는 음식물의 저장을 위한 저장공간이 형성된다. 냉장고 본체(1)의 저장공간은 상하로 구획되어 상부에는 냉장실(미부호)이 형성되는 반면 하부에는 냉동실(2)이 형성된다.
상기 냉장실의 개구된 전면은 좌우 한 쌍의 냉장실도어(3)에 의해 차폐되고, 상기 냉동실(2)의 개구된 전면은 한 개 또는 상하 복수 개의 냉동실도어(4)에 의해 차폐된다.
상기 냉장실도어(3)는 양측이 냉장고본체(1)에 각각 힌지 결합되어 여닫이형 도어로 이루어지고, 상기 냉동실도어(4)는 냉장고본체(1)에 미끄러지게 결합되어 서랍형 도어로 이루어진다. 여기서는, 상기 냉동실도어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상기 냉동실(2)의 내측 벽면에는 상기 냉동실도어(4)를 바스켓(5)과 함께 인출/입하기 위한 레일조립체(100)가 설치되고, 상기 레일조립체(100)의 일측에는 상기 냉동실도어(4)가 바스켓(5)과 함께 자동으로 인출/입되도록 하는 구동유닛(200)이 설치된다.
상기 레일조립체(100)는 상기 냉동실(2)의 내측 벽면에 구비되는 레일하우징(10)에 수용된다. 상기 레일하우징(10)은 냉동실(3)의 좌우 양측 벽면에 각각 구비되고, 상기 냉동실(3)의 전단에서 후단까지 길게 연장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레일하우징(10)은 별도의 스크류와 같은 결합부재에 의해 상기 냉동실(3)의 내측 벽면에 고정되거나 상기 냉동실(3) 벽면에 이미 장착되어 있는 브라켓(미도시)과 결합하여 고정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레일하우징(10)은 서로 마주보는 면이 개구되어 상기 레일조립체(100)의 장착을 위한 채널(11)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레일하우징(10)의 하부에 는 후술할 피니언(220)과 함께 상대운동을 할 수 있도록 구동유닛(200)의 일부를 이루는 랙(210)이 상기 레일하우징(10)의 전단에서 후단까지 길게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레일조립체(100)는 고정레일(110), 제1 이동레일(120) 및 제2 이동레일(130)로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레일(110)과 제1 이동레일(120) 그리고 제2 이동레일(130)은 순차적으로 포개져 내부에 구비된 각각의 베어링(미도시)들에 의해 구름운동 하면서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레일(110)은 상기 레일하우징(10)의 내측에 수용되어 상기 채널(11)의 내측에서 스냅핏(Snap fit)방식으로 고정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레일(110)의 내측에는 상기 고정레일(110)과 상대운동 하면서 전후방으로 이동하는 제1 이동레일(120)이 구비되고, 상기 제1 이동레일(120)의 내측에는 상기 제1 이동레일(120)과 상대운동 하면서 전후방으로 이동하는 제2 이동레일(130)이 구비된다.
상기 제2 이동레일(130)의 내측면에는 상기 바스켓(5)의 안착을 위한 레일커버(140)가 구비된다. 상기 레일커버(140)는 상기 제2 이동레일(130)의 길이방향으로 대응하는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그 일단은 상기 제2 이동레일(130)에 고정 결합되는 한편 그 타단은 냉동실도어(4)의 내측면에 고정 결합된다.
상기 구동유닛(200)은 레일하우징(10)에 구비되는 랙(210)과, 상기 레일조립체(100)에 결합되고 상기 랙(210)에 맞물려 회전하면서 상기 냉동실도어(4)가 바스켓(5)과 함께 인출/입되도록 하는 피니언(220)과, 상기 피니언(220)에 결합되어 그 피니언(220)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구동 모터(230)로 이루어진다.
상기 랙(21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양쪽 레일하우징(10)에 전후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랙(210)은 상기 레일하우징(10)과 일체로 사출 형성될 수 있으며, 별도의 부품으로 상기 레일하우징(10)에 결합될 수도 있다. 물론 필요에 따라서는 상기 레일하우징(10)과 결합되지 않고 상기 냉동실(3)의 내부에 독립적으로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피니언(220)은 상기 제2 이동레일(130)의 내측 후단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피니언(220)은 상기 레일조립체(100)의 슬라이딩시 상기 랙(210)과 상대운동을 할 수 있도록 상기 랙(210)과 기어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피니언(220)은 좌우 양측에 각각 구비되어 한 개의 구동축(221)에 의해 좌우 양측 피니언(220)의 회전중심이 연결된다.
상기 구동 모터(230)는 정방향 회전과 역방향 회전을 선택적으로 할 수 있는 양방향 회전모터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구동 모터(230)의 회전축은 중간기어(미도시)를 통해 상기 구동축에 결합되고, 상기 구동 모터(230)에 전원을 인가하기 위한 리드선이 케이블 체인(231)에 수용되어 상기 구동 모터(230)를 외부전원에 전기적으로 연결하며, 상기 케이블 체인(231)은 그 중간부위가 상기 레일하우징(10)의 하측, 즉 랙(210)의 하측에 미끄러지게 결합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안전 장치가 구비된 냉장고에서 상기 냉동실도어(10)의 인출/입되는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즉, 상기 냉동실도어(4)를 전방으로 당기게 되면, 상기 냉동실도어(4)가 전방으로 인출되면서 상기 구동 모터(230)가 열림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그러면 상 기 피니언(220)이 랙(210)과 맞물려 열림방향으로 회전을 하면서 상기 냉동실도어(4)가 바스켓(5)과 함께 전방으로 인출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레일조립체(100)는 상기 고정레일(110)과 제1 이동레일(120), 그리고 상기 제1 이동레일(120)과 제2 이동레일(130)이 서로 상대운동을 하면서 슬라이딩되어 전방쪽으로 점차 인출된다. 그러면 상기 냉동실도어(4)가 점차 개방상태가 되고, 상기 바스켓(5)이 최대한 외부로 노출되어 상기 바스켓(5)에 음식물을 넣어 저장하거나 꺼낼 수 있게 된다.
반면, 상기 냉동실도어(4)를 후방으로 밀게 되면, 상기 냉동실도어(4)가 후방으로 인입되면서 상기 구동 모터(230)가 닫힘방향으로 회전을 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 피니언(220)이 랙(210)과 맞물려 닫힘방향으로 회전을 하면서 상기 냉동실도어(4)가 바스켓(5)과 함께 후방으로 인입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레일조립체(100)는 열림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슬라이딩되면서 포개져 상기 냉동실도어(4)가 점차 폐쇄상태가 되고, 상기 바스켓(5)이 냉동실 내부로 완전히 인입되어 상기 바스켓(5)에 수납된 음식물을 냉장 보관할 수 있게 된다.
이렇게 냉동실도어(4)가 전후방으로 이동할 때, 상기 구동 모터(230)는 냉동실도어(4)와 함께 이동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상기 리드선에 장력이 가해지게 되고 이로 인해 리드선이 이탈되거나 리드선이 구동 모터(230)로부터 분리되는 등의 문제가 생길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구동 모터(230)에는 보호 커버가 구비된다.
도 4는 상기 도 3 중 구동 모터(230)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보호 커버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상기 구동 모터(230)에 보호 커버 가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구동 모터(230)의 하측 부분에는 상술한 리드선(20)과 연결되기 위한 모터측 커넥터(232)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모터측 커넥터(232)와 상기 리드선측 커넥터(22)에 의해 서로 체결이 이루어진다. 상기 리드선(230)은 상술한 바와 같이 케이블 체인측으로 연결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구동 모터(230)의 상측에 도선 연결편(240)이 볼트에 의해 구동 모터(230)와 결합된다. 상기 도선 연결편(240)은 상기 구동 모터(230)와는 별개의 물품으로서 상기 구동 모터(230)의 상부 표면과 대략 평행하게 연장되는 연장부(242)를 갖는다. 상기 연장부(242)는 상기 구동 모터(230)의 표면과 소정 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위치되며, 탄성 재질로 이루어져서 외력이 가해지면 탄성 변형을 하게 된다. 아울러, 상기 연장부(242)는 폭이 좁은 직사각형의 단면을 갖도록 형성된다.
한편, 상기 도선 연결편(240)의 볼트 체결부(244)와 인접하여서는 상기 리드선(20)을 고정하기 위한 걸림부로서의 후크(246)가 위치한다. 상기 후크(246)는 상기 리드선(20)이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리드선(20)의 직경보다 작은 내경을 갖도록 형성된다.
상기 리드선(20)을 상기 후크(246) 내에 고정시킨 상태에서, 보호 커버(250)가 리드선(20) 및 상기 두 개의 커넥터(22,232)가 덮이도록 상기 구동 모터(230)의 표면에 결합된다. 상기 보호 커버(250)는 전체적으로 아치와 유사한 형태를 가지며, 양단부는 각각 상기 도선 연결편(240)과 결합되는 제1 고정부(252) 및 상기 구 동 모터(230)의 하단부와 결합되는 제2 고정부(256)로서 기능하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제1 고정부(252)에는 상기 도선 연결편(240)의 연장부(242)가 내부에 삽입되는 삽입홈(254)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2 고정부(256)에는 상기 구동 모터(230)의 저면에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걸림턱(234)과 맞물리게 되는 돌출부(258)가 형성되어 있다. 이로 인해서, 상기 보호 커버(250)는 상기 삽입홈(254)의 내부에 상기 연장부(242)를 먼저 삽입한 상태에서 상기 걸림턱(234)과 상기 돌출부(258)를 맞닿게 하여 구동 모터에 고정된다(도 5 참조).
이 때, 상기 연장부(242)는 탄성 변형되면서 보호 커버(250)의 탈부착을 용이하게 할 뿐만 아니라, 체결이 이루어진 후에는 보호 커버(250)에 탄성력을 가하여 보호 커버(250)가 안정적으로 구동 모터(230)에 고정될 수 있도록 기능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안전 장치가 구비된 버텀프리저 타입의 냉장고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따른 냉장고에서 냉동실도어를 개방하여 바스켓을 분리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요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 중 구동 모터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예에서 보호 커버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구동 모터에 보호 커버가 체결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Claims (10)

  1. 냉장고의 내측에 장착되며, 전력 공급을 위한 도선 체결부를 갖는 액츄에이터;
    상기 액츄에이터의 일측에 고정되며, 상기 도선을 고정하기 위한 걸림부를 갖는 도선 고정편; 및
    상기 도선 고정편에 고정되는 제1 고정부와 상기 액츄에이터에 고정되는 제2 고정부를 가지며 상기 도선을 덮는 보호 커버를 포함하는 냉장고용 액츄에이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선 고정편에는 일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부가 추가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보호 커버의 일단부가 상기 연장부와 끼워져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액츄에이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는 탄성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보호 커버가 상기 액츄에이터에 고정된 상태에서 탄성 변형되어 상기 보호 커버에 탄성력을 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액츄에이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는 상기 액츄에이터의 외측 표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액츄에이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는 직사각형 단면을 갖는 판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 고정부에는 상기 연장부가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액츄에이터.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도선 고정편은 냉장고의 상하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액츄에이터의 상부에 고정되고, 상기 제2 고정부는 상기 액츄에이터의 하부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액츄에이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액츄에이터의 저면에는 상기 제2 고정부와 맞물리는 걸림턱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액츄에이터.
  8. 수납공간이 구비되는 냉장고 본체;
    상기 수납공간을 개폐하는 도어;
    상기 도어가 개폐되는 과정에서 상기 도어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 및
    상기 도어를 개폐시키는 액츄에이터를 포함하는 냉장고로서,
    상기 액츄에이터는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상기 냉장고 본체로부터 인출 및 인입되는 서랍식 도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액츄에이터는 상기 서랍식 도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KR1020090075878A 2009-07-08 2009-08-17 보호 커버를 갖는 냉장고용 액츄에이터 및 그를 포함하는 냉장고 KR1015923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5878A KR101592310B1 (ko) 2009-08-17 2009-08-17 보호 커버를 갖는 냉장고용 액츄에이터 및 그를 포함하는 냉장고
US12/830,641 US8434837B2 (en) 2009-07-08 2010-07-06 Refrigerator
EP10168760.6A EP2284464B1 (en) 2009-07-08 2010-07-07 Refrigerator
CN2010102281533A CN101949628B (zh) 2009-07-08 2010-07-08 冰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5878A KR101592310B1 (ko) 2009-08-17 2009-08-17 보호 커버를 갖는 냉장고용 액츄에이터 및 그를 포함하는 냉장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8203A true KR20110018203A (ko) 2011-02-23
KR101592310B1 KR101592310B1 (ko) 2016-02-05

Family

ID=437759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5878A KR101592310B1 (ko) 2009-07-08 2009-08-17 보호 커버를 갖는 냉장고용 액츄에이터 및 그를 포함하는 냉장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92310B1 (ko)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4045567A1 (de) * 2004-09-17 2006-04-06 Küster Automotive Door Systems GmbH Verstellvorrichtung zum Verstellen, insbesondere zum translatorischen Verschieben, eines Möbelteil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92310B1 (ko) 2016-0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20856B2 (en) Refrigerator
US8434837B2 (en) Refrigerator
US8376481B2 (en) Refrigerator and rail assembly of refrigerator and refrigerator door alignment method
KR101356827B1 (ko) 냉장고 및 냉장고 조립방법
KR20130071919A (ko) 자동감김장치를 이용한 자동인출식 도어 및 이를 구비한 냉장고
KR20100106686A (ko) 냉장고 및 냉장고의 레일 어셈블리
US10139154B2 (en) Refrigerator
CN109780806B (zh) 具有滑轨走线机构的冰箱
KR102131006B1 (ko) 냉장고
KR20130030111A (ko) 냉장고
KR101592310B1 (ko) 보호 커버를 갖는 냉장고용 액츄에이터 및 그를 포함하는 냉장고
KR101624555B1 (ko) 냉장고의 댐핑 장치
KR101698079B1 (ko) 냉장고
KR101741072B1 (ko) 냉장고의 안전 장치
KR20110010409A (ko) 케이블 체인 및 이를 구비한 냉장고
KR20110010411A (ko) 냉장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