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17697A - 자동제어 절환기기의 절환 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제어 절환기기의 절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17697A
KR20110017697A KR1020090075299A KR20090075299A KR20110017697A KR 20110017697 A KR20110017697 A KR 20110017697A KR 1020090075299 A KR1020090075299 A KR 1020090075299A KR 20090075299 A KR20090075299 A KR 20090075299A KR 20110017697 A KR20110017697 A KR 201100176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ip
links
link
input
switch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752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82216B1 (ko
Inventor
류재구
Original Assignee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752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82216B1/ko
Priority to ES10172620.6T priority patent/ES2609420T3/es
Priority to EP10172620.6A priority patent/EP2284851B1/en
Priority to US12/855,105 priority patent/US8431846B2/en
Priority to JP2010181431A priority patent/JP5209680B2/ja
Priority to CN201010503690.4A priority patent/CN101996788B/zh
Publication of KR201100176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76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22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22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20Interlocking, locking, or latching mechanisms
    • H01H9/26Interlocking, locking, or latching mechanisms for interlocking two or more switch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1/00Air-break switches for high tension without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1/02Details
    • H01H31/04Interlocking mechanis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10Operating or release mechanisms
    • H01H71/12Automatic release mechanisms with or without manual release
    • H01H71/123Automatic release mechanisms with or without manual release using a solid-state trip uni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3/00Protective overload circuit-breaking switches in which excess current opens the contacts by automatic release of mechanical energy stored by previous operation of a hand reset mechanis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3/00Protective switches, e.g. circuit-breaking switches, or protective relays operated by abnormal electrical conditions otherwise than solely by excess curren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1/00Switchgear having carriage withdrawable for isolation
    • H02B11/12Switchgear having carriage withdrawable for isolation with isolation by horizontal withdrawal
    • H02B11/127Withdrawal mechanism
    • H02B11/133Withdrawal mechanism with interlock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00Mechanisms for operating contacts
    • H01H3/32Driving mechanisms, i.e. for transmitting driving force to the contacts
    • H01H2003/323Driving mechanisms, i.e. for transmitting driving force to the contacts the mechanisms being adjustab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300/00Orthogonal indexing scheme relating to 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or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covered by H01H
    • H01H2300/018Application transfer; between utility and emergency power supply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Driving Mechanisms And Operating Circuits Of Arc-Extinguishing High-Tension Switches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제어 절환기기의 절환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복수 개의 ACB 사이에 설치되어 그 복수 개의 ACB가 투입과 트립상태로 상호 전환되도록 하는 절환장치가 모듈화됨에 따라 상기 절환장치의 조립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 전달봉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어 절환장치의 조립과 유지 보수를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조립오차가 발생될 가능성이 적어 투입과 트립동작이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 전달봉에 완충부재가 설치됨에 따라 각 ACB의 투입과 트립동작이 전환될 때 발생되는 충격소음을 줄이고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또, 전달봉이 절곡되게 형성되지 않고 소정의 두께를 가지도록 형성됨에 따라 전달봉이 휘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투입과 트립동작에서의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다.
기중차단기, 절환, 투입, 트립, 모듈

Description

자동제어 절환기기의 절환 장치{TRANSFER DEVICE FOR AUTOMATIC TRANSFER SWITCH}
본 발명은 자동제어 절환기기의 절환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2대의 기중차단기(Air Circuit Breaker : 이하,ACB)가 상호 절환되면서 하나의 기중차단기가 투입이 되면 다른 하나의 기중차단기는 기계적, 전기적으로 투입이 되지 않도록 하여 각종 전기제품이 안정된 전원을 지속적으로 공급받을 수 있도록 하는 자동제어 절환기기의 절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정전이 되지 않아야 하는 병원이나 전화국과 같은 곳에서는 안정된 전원의 공급을 위하여 자동제어 절환기기(Automatic Transfer Switch : 이하, ATS)가 사용된다. 상기 ATS에는 상시 전원용 기중차단기(이하, 제1 ACB)와 비상시 전원용 기중차단기(이하, 제2 ACB)가 함께 내장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ACB와 제2 ACB는 서로 절환되도록 기구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이를 통해, 2개의 ACB중 어느 하나의 ACB에 사고전류가 인가되면 이를 감지하여 투입된 ACB을 트립(Trip)시킴과 동시에 다른 ACB를 투입시켜 서로 전환되도록 하고 있으며, 이러한 ACB의 절환에 의해 안정된 전원을 지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2대의 ACB가 서로 절환되도록 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는 통상 2개의 ACB를 와이어나 얇은 철봉으로 2개의 ACB를 서로 연결하여 상호 인터록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다.
도 1 및 도 2는 얇은 철봉을 이용하여 2대의 ACB를 인터록하는 종래 장치의 일예를 보인 사시도들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ATS는 각 ACB(1)(2)에 설치되는 프레임(11)(21)들과, 상기 프레임(11)(21)들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각 ACB(1)(2)내에 설치된 투입레버(미도시)에 의해 회전하는 투입링크(12)(22)들과, 상기 각 투입링크(12)(22)의 일측에서 프레임(11)(21)들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각 ACB(1)(2)내에 설치된 트립레버(미도시)를 연동시키는 트립링크(13)(23)들과, 상기 투입링크(12)(22)들과 트립링크(13)(23)들 사이에 연결되어 회전력을 전달하는 전달봉(14)(24)들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상기 투입링크(12)(22)들과 트립링크(13)(23)들은 각각 서로 독립적으로 설치되고, 상기 각 전달봉(14)(24)들은 일체형의 강체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ATS는, 상기 제1 ACB(1)가 투입되면 그 제1 ACB(1)내에 설치된 제1 투입레버(미도시)에 의해 제1 투입링크(12)가 도면상 반시계방향의 회전을 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 제1 전달봉(14)이 상방으로 잡아당겨지면서 도면상 하부에 설치된 제2 ACB(2)의 제2 트립링크(23)가 상방으로 이동을 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2 트립링크(23)에 의해 인터록레버가 함께 상방으로 이동하면서 제2 ACB(2)내에 설치된 제2 트립레버를 밀어 올려 제2 ACB(2)가 트립상태가 된다.
그리고, 투입링크 복귀스프링(미도시)에 의해 제1 투입링크(12)가 복귀하면 당겨져 있던 제1 전달봉(14)이 원위치로 복귀하고 제2 트립링크(23)도 원위치로 복귀하여 제2 ACB(2)의 트립상태가 해제된다.
한편, 상기 제2 ACB(2)가 투입상태가 되고 상기 제1 ACB(1)가 트립상태가 되는 과정은 전술한 경우와 반대로 동일한 하게 진행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인터록 장치는, 상기 각 투입링크(12)(22)들과 트립링크(13)(23)들이 독립적으로 설치됨에 따라 각각의 투입링크(12)(22)와 트립링크(13)(23)를 조립하는 과정이 복잡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상기 전달봉(14)(24)들의 길이는 그 전달봉(14)(24)들을 절단하여 조절하여야 함에 따라 각 투입링크(12)(22)들과 트립링크(13)(23)들 사이에서 각 전달봉(14)924)들의 길이가 정확하게 맞도록 제작하기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조립과정에서 오차가 발생되더라도 이를 조절하기가 어려워 조립불량으로 인한 오동작이 발생될 우려가 있었다.
그리고, 상기 각 ACB(1)(2)가 투입과 트립을 반복하는 과정에서 상기 각 투입링크(12)(22)와 트립링크(13)923)가 회전할 때 각 전달봉(14)(24)으로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하지 못하여 충격소음이 발생되거나 내구성이 약해지는 문제점도 있었다.
그리고, 상기 각 전달봉(14)(24)은 얇은 봉으로 형성되어 강도가 약할 뿐만 아니라 구조적으로 절곡된 부위가 있어 작동시 휘어짐이 발생될 가능성이 많고 이로 인해 오작동이 발생될 소지가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각 ACB의 투입링크들과 트립링크들을 각각 모듈화하여 조립공수를 줄일 수 있는 자동제어 절환기기의 절환 장치를 제공하려는데 있다.
그리고, 상기 각 투입링크들과 트립링크들 사이에서 전달봉의 길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오동작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자동제어 절환기기의 절환 장치를 제공하려는데도 본 발명의 목적이 있다.
그리고, 상기 각 ACB가 투입과 트립을 반복할 때 발생되는 충격을 전달봉에서 흡수하여 소음을 줄이고 내구성을 높일 수 있는 자동제어 절환기기의 절환 장치를 제공하려는데도 본 발명의 목적이 있다.
그리고, 상기 각 전달봉의 강도를 높여 절환작업시 휘어짐 등으로 인한 오작동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자동제어 절환기기의 절환 장치를 제공하려는데도 본 발명의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복수 개의 기중차단기의 투입동작과 트립동작에 각각 연동되도록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투입링크들과 트립링크들; 및 상기 투입링크들과 트립링크들에 양단이 각각 결합되어 양쪽 기중차단기의 투입동작과 트립동작이 서로 연동되도록 하는 전달봉들;을 포함하고, 상기 전달봉들은 그 양단이 각각의 투입링크들과 트립링크들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전달봉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길이조절부가 각각 구비되는 자동제어 절환기기의 절환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각각의 전달봉들은 쌍으로 된 복수 개의 링크들로 이루어지고, 상기 쌍을 이루는 각 링크들의 일측 끝단은 상기 투입링크들과 트립링크들에 각각 결합되며, 상기 쌍을 이루는 링크들의 타측 끝단은 서로 나사 결합되어 길이가 조절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각각의 전달봉들은 각각 투입측 전달링크와 트립측 전달링크로 이루어지고, 상기 투입측 전달링크와 트립측 전달링크 사이에는 양쪽 전달링크를 너트로 조여 결합할 수 있도록 너트형 길이조절부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각각의 전달봉들은 투입링크들과 트립링크들에 의해 위치가 가변될 때 발생되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완충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복수 개의 기중차단기에는 각각 프레임베이스가 구비되고, 상기 각 프레임베이스의 일측면에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프레임커버들이 결합되며, 상기 각 프레임베이스와 프레임커버 사이에 상기 투입링크와 트립링크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각 프레임베이스의 일측면에는 투입링크가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각 투입링크의 일측에는 상기 전달봉을 이루는 링크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각 투입링크의 타측에는 그 투입링크를 선택적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투입레버가 미끄러지게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각 프레임베이스의 일측면에는 상기 트립링크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프레임베이스의 타측면에는 각 기중차단기의 트립상태를 유지하거 나 해제하기 위한 인터록 레버를 작동시키는 트립레버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트립링크와 트립레버는 서로 연동되도록 상기 프레임베이스를 사이에 두고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자동제어 절환기기의 절환 장치는, 복수 개의 ACB 사이에 설치되어 그 복수 개의 ACB가 투입과 트립상태로 상호 전환되도록 하는 절환장치가 모듈화됨에 따라 상기 절환장치의 조립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 상기 절환장치의 일부를 이루는 전달봉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어 상기 절환장치의 조립과 유지 보수를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조립오차가 발생될 가능성이 적어 그만큼 투입과 트립동작이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 상기 전달봉에 완충부재가 설치됨에 따라 각 ACB의 투입과 트립동작이 전환될 때 발생되는 충격을 흡수하여 충격소음을 줄이고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또, 상기 전달봉이 절곡되게 형성되지 않고 소정의 두께를 가지도록 형성됨에 따라 상기 전달봉이 휘어지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이를 통해 투입과 트립동작에서의 오동작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자동제어 절환기기의 절환 장치를 첨부도면에 도시된 일실시예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제어 절환기기를 보인 정면도이고, 도 4는 도 3에 따른 자동제어 절환기기에서 절환 장치를 분해하여 보인 사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자동제어 절환기기(AST)(100)는, 상하 방향으로 수용공간이 구획된 케이스(101)와, 상기 케이스(101)의 상측 수용공간에 적치되는 상시 전원용 ACB(제1 ACB)(110)와, 상기 케이스(101)의 하측 수용공간에 적치되는 비상시 전원용 ACB(제2 ACB)(120)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101)의 일측 내부공간, 즉 상기 제1 ACB(110)와 제2 ACB(120)의 일측에는 그 양측 ACB(110)(120)를 상호 교대로 투입 또는 트립시키는 절환장치(200)가 설치된다.
상기 절환장치(200)는 제1 ACB(110)와 제2 ACB(120) 사이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모듈화되어 설치된다. 예를 들어,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절환장치는 제1 ACB(110)와 제2 ACB(120)의 일측면에 각각 구비되는 제1 프레임베이스(211) 및 제2 프레임베이스(221)와, 상기 각 프레임베이스(211)(221)의 일측면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각각 결합되는 제1 프레임커버(212) 및 제2 프레임커버(222)와, 상기 각 프레임베이스(211)(221)와 프레임커버(212)(222) 사이에 위치하도록 결합되어 투입동작과 트립동작을 선택적으로 수행하는 제1 투입링크(213) 및 제1 트립링크(214)와, 상기 각 프레임베이스(211)(221)와 프레임커버(212)(222) 사이에 위치하도록 결합되어 상기 제1 투입링크(213)와 제1 트립링크(214)와 반대로 움직이면서 투입동작과 트립동작을 선택적으로 수행하는 제2 투입링크(223) 및 제2 트립링크(224)와, 상기 제1 투입링크(213)와 제1 트립링크(214) 그리고 상기 제2 투입링크(223)와 제2 트립링크(224)에 양단이 각각 결합되어 양쪽 ACB(110)(120)의 투입동작과 트립동작이 연동되도록 하는 제1 전달봉(215) 및 제2 전달봉(225)을 포함한다.
상기 제1 프레임베이스(211)와 제2 프레임베이스(221)는 대략 사각 판넬 모 양으로 형성되고, 그 가장자리 부근에는 상기 각 프레임베이스(211)(221)를 각 ACB(110)(120)의 일측면에 고정하기 위한 체결공(211a)(221a)과 상기 각 투입링크(213)(223)를 결합하기 위한 관통공(211b)(221b)과 상기 각 프레임커버(212)(222)를 고정하기 위한 체결공(211c)(221c) 등이 각각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각 프레임베이스(211)(221)의 중앙부위에는 상기 각 트립링크(214)(224)를 결합하기 위한 관통공(211d)(221d)이 각각 형성되고, 그 트립링크(214)(224)를 결합하기 위한 관통공(211d)(221d)의 일측에는 상기 트립링크(214)(224)와 트립레버(112)(122)가 결합되어 그 트립링크(214)(224)가 트립레버(112)(122)를 회전시키도록 하는 슬라이딩공(211e)(221e)이 형성된다.
상기 제1 프레임커버(212)와 제2 프레임커버(222)는 상기 각 프레임베이스(211)(221)의 외측면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각각 결합된다. 이를 위해, 상기 각 프레임베이스(211)(221)와 프레임커버(212)(222)의 사이에는 간격을 유지하기 위한 복수 개의 핀(216)(226)이 가장자리를 따라 배치되어 각각 볼트(217)(227)로 고정된다. 그리고 그 복수 개의 핀(216)(226) 중에서 일부는 상기 각 프레임베이스(211)(221)를 통과하여 상기 각 ACB(110)(120)의 일측면에 체결 고정된다.
상기 제1 투입링크(213)는 제1 프레임베이스(211)의 가장자리에 구비된 관통공(211b)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1 투입링크(213)의 일단은 후술할 제1 전달봉(215)의 제1 투입측 전달링크(215a)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제1 투입링크(213)의 타단은 상기 제1 ACB(110)의 투입레버(도 6에 도시)(111)가 미끄러져 회전할 수 있도록 결합홈(213a)이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상기 제1 트립링크(214)는 제2 프레임베이스(221)의 중앙부위에 구비된 관통공(221d)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1 트립링크(214)의 일단은 후술할 제1 전달봉(215)의 제1 트립측 전달링크(215b)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제1 트립링크(214)의 타단은 상기 제2 프레임베이스(221)의 슬라이딩공(221e)을 통과하는 핀(214a)이 결합되고, 그 핀(214a)은 상기 제2 ACB(120)의 트립레버(122)와 미끄러져 회전할 수 있게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제2 ACB(120)의 트립레버(122)는 그 제2 ACB(120)의 트립상태를 유지하거나 해제하기 위한 인터록 레버(도 6에 도시)(123)를 작동시킬 수 있도록 그 제2 ACB(120)의 인터록 레버(123)와 결합된다.
상기 제1 전달봉(215)은 상기 제1 투입링크(213)와 제2 트립링크(214)에 각각 한 쪽 끝단이 결합되는 복수 개의 링크들로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전달봉(215)은 제1 투입측 전달링크(215a)와 제1 트립측 전달링크(215b)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 투입측 전달링크(215a)는 전술한 바와 같이 그 일단이 상기 제1 투립링크(213)에 회전 가능하지만 그 제1 투립링크(213)의 회전방향에 따라 상하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제1 투입측 전달링크(215a)의 타단, 즉 제1 투입링크(213)와 연결되지 않는 다른 쪽 끝단은 상기 제1 트립측 전달링크(215b)의 끝단이 삽입되어 나사 결합될 수 있도록 너트형 길이조절부(215c)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 트립측 전달링크(215b)는 전술한 바와 같이 그 일단이 상기 제1 트립링크(214)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제1 트립측 전달링크(215b)의 타단, 즉 제1 트립링크(214)와 연결되지 않는 다른 쪽 끝단은 상기 제1 투입측 전달링크(215a)의 길이조절부에 삽입되어 나사 결합될 수 있도록 나사산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 트립링크(214)와 결합되는 일단에는 상기 제1 전달봉(215)이 투입되거나 트립될 때 상기 전달봉으로 전달되는 충격을 감쇄시킬 수 있도록 압축코일스프링으로 된 완충부재(215d)(225d)가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제2 투입링크(223)는 제2 프레임베이스(221)에 결합되는 것과 제2 전달봉(225)의 제2 투입측 전달링크(225a)와 결합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그 형상이나 조립위치가 전술한 제1 투입링크(213)와 대체로 동일하다.
그리고, 상기 제2 트립링크(224)는 제1 프레임베이스(211)에 결합되는 것과 제2 전달봉(225)의 제2 트립측 전달링크(225b)와 결합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그 형상이나 조립위치가 전술한 제1 트립링크(214)와 대체로 동일하다.
그리고 상기 제2 전달봉(225)은 전술한 제1 전달봉(215)과 그 조립되는 부재와 위치만 상이할 뿐 그 구성이나 동작원리는 대체로 동일하다.
상기와 같은 본발명에 의한 자동제어 전환기기에서 상기 제1 ACB(110)와 제2 ACB(120)가 서로 투입과 트립이 상호 절환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제1 ACB(110)가 투입되면 도 8의 (a)와 같이 제1 ACB(110)에 연결되어 있는 투입링크 구동레버(111)가 도면상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을 한다. 그러면 상기 제1 투입링크(213)가 도면상 반시계방향의 회전을 하게 되고, 상기 제1 ACB(110)의 제1 투입링크(213)와 제2 ACB(120)의 제1 트립링크(214) 사이에 연결된 제1 전달봉(215)은 상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 제1 전달봉(215)의 이동에 따라 제1 트립링크(214)는 도면상 반시계방향의 회전을 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 제1 트립링크(214)가 회전하면서 제2 ACB(120)의 트립레버(122)를 밀어올리게 되고, 상기 제2 ACB(120)의 트립레버(122)가 위로 올라가면 제2 ACB(120)의 인터록 레버(123)가 작동하여 제2 ACB(120)가 전원이 투입이 되지 않게 된다.
다음, 상기 제1 ACB(110)가 트립되면 제1 투입링크(213)가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고 제2 ACB(120)의 제1 트립링크(214)도 제1 전달봉(215)에 의해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1 트립링크(214)가 복귀하면 제2 ACB(120)의 트립레버(122)가 원래의 위치로 복귀한다. 그러면 상기 제2 ACB(120)는 인터록에서 해제되고 투입 가능한 상태가 된다.
반면, 도 8의 (b)와 같이, 상기 제2 ACB(120)가 투입되면 전술한 바와 같이 제2 ACB(120)의 투입링크 구동레버(121)가 도면상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을 함과 동시에 제2 투입링크(223)가 도면상 반시계 방향의 회전을 하게 되고, 그러면 상기 제2 ACB(120)의 제2 투입링크(223)와 제1 ACB(110)의 제2 트립링크(224) 사이에 연결된 제2 전달봉(225)은 상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 제2 전달봉(225)의 이동에 따라 제2 트립링크(224)는 도면상 반시계방향의 회전을 하여 제1 ACB(110)의 트립레버(112)를 밀어올리게 된다. 그러면 상기 제1 ACB(110)내에 설치된 트립레버(112)가 작동하여 제1 ACB(120)를 기계적으로 인터록하면서 전기적으로도 투입이 되지 않도록 하여준다.
다음, 상기 제2 ACB(120)가 트립되면 제2 투입링크(224)가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고 제1 ACB(120)의 제2 트립링크(224)도 제2 전달봉(225)에 의해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2 트립링크(224)가 복귀하면 제1 ACB(120)의 트 립레버(112)가 원래의 위치로 복귀한다. 그러면 상기 제1 ACB(120)는 인터록에서 해제되고 투입 가능한 상태가 된다.
이렇게 하여, 복수 개의 ACB 사이에 설치되어 그 복수 개의 ACB가 투입과 트립상태로 상호 전환되도록 하는 절환장치가 모듈화됨에 따라 상기 절환장치의 조립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 상기 절환장치의 일부를 이루는 전달봉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어 상기 절환장치의 조립과 유지 보수를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조립오차가 발생될 가능성이 적어 그만큼 투입과 트립동작이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 상기 전달봉에 완충부재가 설치됨에 따라 각 ACB의 투입과 트립동작이 전환될 때 발생되는 충격을 흡수하여 충격소음을 줄이고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또, 상기 전달봉이 절곡되게 형성되지 않고 소정의 두께를 가지도록 형성됨에 따라 상기 전달봉이 휘어지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이를 통해 투입과 트립동작에서의 오동작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자동제어 절환기기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도 1에서 절환 장치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제어 절환기기를 보인 정면도이고,
도 4는 도 3에 따른 자동제어 절환기기에서 절환 장치를 분해하여 보인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에 따른 절환 장치의 일부를 조립하여 보인 정면도,
도 6 및 도 7은 도 5에 따른 절환 장치에서 링크와 레버의 결합상태를 보인 개략도 및 사시도,
도 8은 도 3에 따른 절환 장치의 동작을 보인 정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120 : ACB 111,121 : 투입레버
112,122 : 트립레버 113,123 : 인터록레버
200 : 절환장치 211,221 : 프레임베이스
212,222 : 프레임커버 213,223 : 투입링크
214,224 : 트립링크 215,225 : 전달봉

Claims (7)

  1. 복수 개의 기중차단기의 투입동작과 트립동작에 각각 연동되도록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투입링크들과 트립링크들; 및
    상기 투입링크들과 트립링크들에 양단이 각각 결합되어 양쪽 기중차단기의 투입동작과 트립동작이 서로 연동되도록 하는 전달봉들;을 포함하고,
    상기 전달봉들은 그 양단이 각각의 투입링크들과 트립링크들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전달봉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길이조절부가 각각 구비되는 자동제어 절환기기의 절환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전달봉들은 쌍으로 된 복수 개의 링크들로 이루어지고, 상기 쌍을 이루는 각 링크들의 일측 끝단은 상기 투입링크들과 트립링크들에 각각 결합되며, 상기 쌍을 이루는 링크들의 타측 끝단은 서로 나사 결합되어 길이가 조절되는 자동제어 절환기기의 절환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전달봉들은 각각 투입측 전달링크와 트립측 전달링크로 이루어지고, 상기 투입측 전달링크와 트립측 전달링크 사이에는 양쪽 전달링크를 너트로 조여 결합할 수 있도록 너트형 길이조절부가 구비되는 자동제어 절환기기의 절환 장치.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전달봉들은 투입링크들과 트립링크들에 의해 위치가 가변될 때 발생되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완충부재가 구비되는 자동제어 절환기기의 절환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기중차단기에는 각각 프레임베이스가 구비되고, 상기 각 프레임베이스의 일측면에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프레임커버들이 결합되며, 상기 각 프레임베이스와 프레임커버 사이에 상기 투입링크와 트립링크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자동제어 절환기기의 절환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각 프레임베이스의 일측면에는 투입링크가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각 투입링크의 일측에는 상기 전달봉을 이루는 링크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각 투입링크의 타측에는 그 투입링크를 선택적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투입레버가 미끄러지게 결합되는 자동제어 절환기기의 절환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각 프레임베이스의 일측면에는 상기 트립링크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프레임베이스의 타측면에는 각 기중차단기의 트립상태를 유지하거나 해제하기 위한 인터록 레버를 작동시키는 트립레버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트립링크와 트립레버는 서로 연동되도록 상기 프레임베이스를 사이에 두고 결합되는 자동제어 절환기기의 절환 장치.
KR1020090075299A 2009-08-14 2009-08-14 자동제어 절환기기의 절환 장치 KR1010822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5299A KR101082216B1 (ko) 2009-08-14 2009-08-14 자동제어 절환기기의 절환 장치
ES10172620.6T ES2609420T3 (es) 2009-08-14 2010-08-12 Dispositivo de transferencia para conmutador de transferencia automática
EP10172620.6A EP2284851B1 (en) 2009-08-14 2010-08-12 Transfer device for automatic transfer switch
US12/855,105 US8431846B2 (en) 2009-08-14 2010-08-12 Transfer device for automatic transfer switch
JP2010181431A JP5209680B2 (ja) 2009-08-14 2010-08-13 自動制御切替機器の切替装置
CN201010503690.4A CN101996788B (zh) 2009-08-14 2010-08-16 用于自动转换开关的转换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5299A KR101082216B1 (ko) 2009-08-14 2009-08-14 자동제어 절환기기의 절환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7697A true KR20110017697A (ko) 2011-02-22
KR101082216B1 KR101082216B1 (ko) 2011-11-09

Family

ID=430638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5299A KR101082216B1 (ko) 2009-08-14 2009-08-14 자동제어 절환기기의 절환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431846B2 (ko)
EP (1) EP2284851B1 (ko)
JP (1) JP5209680B2 (ko)
KR (1) KR101082216B1 (ko)
CN (1) CN101996788B (ko)
ES (1) ES2609420T3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681031B (zh) * 2012-08-30 2015-12-09 上海电科电器科技有限公司 转换开关的联锁装置
CN103681025B (zh) * 2012-08-30 2016-06-01 上海电科电器科技有限公司 转换开关电器
US9467006B2 (en) 2013-09-23 2016-10-11 Trippe Manufacturing Company Automatic transfer switch for three-phase applications
CN105788940B (zh) * 2016-04-29 2017-11-03 利辛县江淮扬天汽车有限公司 一种推拉式隔离开关
CN105761963A (zh) * 2016-04-29 2016-07-13 句容华源电器设备有限公司 一种安全隔离开关
CN106298309B (zh) * 2016-10-13 2018-04-17 沈阳斯沃电器有限公司 双旁路自动转换开关
KR101910388B1 (ko) 2017-04-11 2018-10-22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차단기의 인터로크 장치
KR101909017B1 (ko) 2017-05-23 2018-10-18 현대일렉트릭앤에너지시스템(주) 차단기의 인터록 장치
US11239692B2 (en) 2018-07-25 2022-02-01 Wen-Feng Lu Automatic transfer switch utilizing back-to-back mounted molded case circuit breakers or molded case switches to connect a load to a normal power source and a standby power source
FR3105566B1 (fr) * 2019-12-18 2022-04-08 Schneider Electric Ind Sas Système de protection électrique multipolaire et installation électrique comprenant un tel système
CN111725011B (zh) * 2020-06-19 2022-05-27 浙江曙天电器有限公司 双电源自动转换开关
CN112038189B (zh) * 2020-08-19 2022-02-18 苏州飞腾电器有限公司 一种三电源自动转换开关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86242A (en) 1979-09-17 1981-08-25 Westinghouse Electric Corp. Mechanical interlock for low voltage circuit breakers
US4760278A (en) 1987-07-23 1988-07-26 Thomson Robert G Transfer switch
US5288958A (en) * 1992-03-30 1994-02-22 Westinghouse Electric Corp. Lockable remote rotary handle operator for circuit breakers
JP3489859B2 (ja) 1993-12-03 2004-01-26 株式会社勝亦電機製作所 電源切替器
US5929405A (en) 1998-05-07 1999-07-27 Eaton Corporation Interlock for electrical switching apparatus with stored energy closing
CN1143342C (zh) 1998-06-05 2004-03-24 Lg产电株式会社 断路器跳闸连接机构
KR200183457Y1 (ko) * 1999-12-22 2000-05-15 엘지산전주식회사 기중차단기의 기계적 인터록 장치
US6486421B1 (en) 2000-04-27 2002-11-26 Eaton Corporation Mechanical interlock with overtravel compensation for coordinating operation of circuit breaker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284851B1 (en) 2016-10-05
US8431846B2 (en) 2013-04-30
ES2609420T3 (es) 2017-04-20
JP2011040394A (ja) 2011-02-24
KR101082216B1 (ko) 2011-11-09
CN101996788B (zh) 2014-03-19
EP2284851A3 (en) 2012-05-09
JP5209680B2 (ja) 2013-06-12
US20110036695A1 (en) 2011-02-17
EP2284851A2 (en) 2011-02-16
CN101996788A (zh) 2011-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82216B1 (ko) 자동제어 절환기기의 절환 장치
US7361857B2 (en) External operating handle mechanism for mold cased circuit breaker
CA2295262C (en) Circuit breaker switch interlock
CN101841131B (zh) 电开关装置
EP3319189B1 (en) Connecting device for control terminals in withdrawable type circuit breaker
EP2892069B1 (en) Interlocking apparatus of transfer switch
US20160211088A1 (en) Bypass switch
EP3739608B1 (en) Mechanical interlock apparatus, panel assembly and operation assembly for electrical device and electrical device
CN104766768A (zh) 一种断路器用操动机构
EP2500925B1 (en) Rotary control unit for a modular electric switchgear apparatus
CN204558387U (zh) 一种断路器用操动机构
KR101842717B1 (ko) 다수의 단극 스위칭 유닛을 갖고 상기 유닛의 단일 작동 메커니즘을 포함하는 개폐 장치
CN105679614B (zh) 用于远程操作断路器的手柄的装置
CN101562082B (zh) 断路器互锁系统及方法
KR101063832B1 (ko) 전원 절체 개폐기의 전원 절환 구조
EP3561834B1 (en) Charging handle apparatus and circuit interrupter
CN103367062B (zh) 电路断路器的外部解扣装置
KR200468495Y1 (ko) 링 메인 유닛용 주 회로 차단 장치
CN100355004C (zh) 一种用于闸刀开关的操作机构
KR20220017720A (ko) 조작이 간편한 폐쇄형 무정전 자동절환 스위치의 수동식 스위칭레버 전환장치
KR101203775B1 (ko) 차단기의 외부 접점 구동 장치
EP2947673B1 (en) A trip mechanism for a low and medium voltage switching device
KR200455327Y1 (ko) 회로차단기의 샤프트 어셈블리
WO2014077959A1 (en) Electrical switching apparatus employing rotary contact assembly
JP2017216165A (ja) 連動部品及び回路遮断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1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