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17574A - 폰페이지를 이용한 원격 영상감시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폰페이지를 이용한 원격 영상감시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17574A
KR20110017574A KR1020090075099A KR20090075099A KR20110017574A KR 20110017574 A KR20110017574 A KR 20110017574A KR 1020090075099 A KR1020090075099 A KR 1020090075099A KR 20090075099 A KR20090075099 A KR 20090075099A KR 20110017574 A KR20110017574 A KR 201100175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era
phone page
subscriber
mobile terminal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750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경
Original Assignee
이재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재경 filed Critical 이재경
Priority to KR10200900750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17574A/ko
Publication of KR201100175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757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6Remote control of cameras or camera parts, e.g. by remote control devices
    • H04N23/661Transmitting camera control signals through networks, e.g. control via the Intern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16Implementation or adaptation of Internet protocol [IP], of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TCP] or of user datagram protocol [UD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8Interfacing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e.g. adapting the transmission rate of a video stream to network bandwidth; Processing of multiplex strea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58Client or end-user data management, e.g. managing client capabilities, user preferences or demographics, processing of multiple end-users preferences to derive collaborative data
    • H04N21/25808Management of client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58Client or end-user data management, e.g. managing client capabilities, user preferences or demographics, processing of multiple end-users preferences to derive collaborative data
    • H04N21/25866Management of end-user data
    • H04N21/25875Management of end-user data involving end-user authent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3Control signaling related to video distribution between client,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Network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s or between remote clients, e.g. transmitting basic layer and enhancement layers over different transmission paths, setting up a peer-to-peer communication via Internet between remote STB's; Communication protocols; Addressing
    • H04N21/643Communication protocols
    • H04N21/64322I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H04W4/14Short messaging services, e.g. short message services [SMS] or unstructured supplementary service data [USS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losed-Circuit Televis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폰페이지를 이용하여 IP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을 원격의 휴대단말기로 전송하는 영상감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폰페이지를 이용한 원격 영상감시 시스템은, IP 주소를 가지며, 인터넷(80)에 접속 가능한 IP카메라(10); 상기 IP카메라(10)로부터 영상정보를 수신하고, IP카메라(10)에 고유 접속번호를 부여하고 고유 접속번호와 매칭하여 촬영된 영상을 포함한 폰페이지를 구성하는 폰페이지구성모듈(22)을 구비한 통제서버(20); IP카메라(10)로부터 수신된 영상을 압축하고 실시간 전송하는 스트리밍서버(30); 가입자의 회원 정보 및 휴대단말기 정보를 포함한 가입자 정보와 상기 IP카메라(10)의 IP 주소 및 고유 접속번호를 포함한 카메라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하고, 통제서버(20)에서 구축한 폰페이지를 가입자에게 제공하는 관리서버(40); 유선 네트워크와 무선 네트워크를 연동하기 위한 게이트서버(70); 및 상기 게이트서버(70)를 통해 관리서버(40)에서 제공하는 폰페이지를 액세스하는 가입자측 휴대단말기(74)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사용자가 휴대단말기에 고유 접속번호를 입력하는 간단한 방법으로 자신의 폰페이지에 접속하여 영상감시를 실시할 수 있으며, 폰페이지를 능동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사용자 친화적인 서비스 환경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영상감시, 폰페이지, IP카메라, 통제서버, 스트리밍서버, 휴대단말기

Description

폰페이지를 이용한 원격 영상감시 시스템 및 방법{Monitoring system and method for IP camera using phone page}
본 발명은 폰페이지를 이용한 원격 영상감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IP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을 가입자의 휴대단말기에 폰페이지 형식으로 제공하며, 사용자가 간단한 방법으로 자신의 폰페이지에 접속하여 카메라로 촬영된 영상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한 폰페이지를 이용한 원격 영상감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IP(Internet Protocol) 카메라는 네트워크 연결이 가능한 카메라로서, 원격으로 영상을 감시하는 시스템에서 주로 이용되고 있다. 종래 IP카메라를 이용한 영상감시 시스템은 대개 다음과 같이 구성되었다. IP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이 인터넷 또는 로컬 네트워크 등을 통해 관리서버로 전송된다. 관리서버에서는 영상을 수신하여 저장하며, IP카메라를 원격에서 PTZ(Pan-Tilt-Zoom) 제어한다. 만약, 영상을 감시하다가 침입자가 발생하거나 기타 경보상황이 발생하면 관할 경 찰서에 통보하고 가입자에게 알린다. 또한, 가입자가 원격 PC(Personal Computer)로 원격 감시를 요청하면 수신한 영상을 가입자의 원격 PC로 실시간 전송한다.
한편, 최근에는 휴대폰(Mobile Phone) 등과 같은 휴대단말기가 널리 보급되고 있으며, 원격 영상감시 시스템은 IP카메라로부터 수신된 영상을 가입자의 휴대단말기로 전송하고 있다. 그런데, 종래 가입자의 휴대단말기로 영상감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은 많은 문제점이 있다.
가장 큰 문제점은 가입자가 휴대단말기를 통해 영상감시를 구현하는 것이 매우 번거롭다는 점이다. 예컨대, 가입자는 영상감시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하여, 우선 휴대단말기를 통해 무선 인터넷에 접속을 시도해야 한다. 무선 인터넷에 접속이 된 후에는, 검색을 통해 관리서버의 홈페이지에 접속해서 가입자 승인을 받아야 한다. 가입자 승인이 완료된 후, 홈페이지 상에서 자신의 IP카메라로부터 제공되는 영상을 찾아야 한다. 가입자는 위와 같이 다수의 단계를 통해 비로소 영상감시 서비스를 받을 수 있으며, 이러한 다수의 단계들은 무선 인터넷 사용요금을 증가시키고 신속한 영상감시를 어렵게 한다.
다른 문제점은 사용자 친화적인 영상감시 서비스가 제공되지 않는다는 점이다. 종래 영상감시 시스템에서는 관리서버가 단지 IP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을 제공할 뿐이어서, 사용자가 휴대단말기를 통해 영상을 지켜보는 것이 수동적일 뿐만 아니라, 단조로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IP카메라의 IP 주소에 대응하여 개별 폰페이지를 구축하고, 사용자가 휴대단말기를 이용하여 전화통화를 시도하는 것과 같은 매우 간단한 방법으로 폰페이지에 접속하여 영상감시 서비스를 제공받도록 함으로써, 영상감시 서비스에 대한 절차를 간소화하고 가입자가 자신의 폰페이지를 직접 꾸미도록 하여 영상감시 서비스의 품질을 향상시킨 새로운 방식의 폰페이지를 이용한 원격 영상감시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폰페이지를 이용한 원격 영상감시 시스템은, IP 주소를 가지며, 인터넷(80)에 접속 가능한 IP카메라(10); 상기 IP카메라(10)로부터 영상정보를 수신하고, IP카메라(10)에 고유 접속번호를 부여하고 고유 접속번호와 매칭하여 촬영된 영상을 포함한 폰페이지를 구성하는 폰페이지구성모듈(22)을 구비한 통제서버(20); IP카메라(10)로부터 수신된 영상을 압축하고 실시간 전송하는 스트리밍서버(30); 가입자의 회원 정보 및 휴대단말기 정보를 포함한 가입자 정보와 상기 IP카메라(10)의 IP 주소 및 고유 접속번호를 포함한 카메라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하고, 통제서버(20)에서 구축한 폰페이지를 가입자에게 제공하는 관리서버(40); 유선 네트워크와 무선 네트워크를 연동하기 위한 게이트서버(70); 및 상기 게이트서버(70)를 통해 관리서버(40)에서 제공하는 폰페이지를 액 세스하는 가입자측 휴대단말기(74)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통제서버(20)는 상기 휴대단말기(74)로부터 고유 접속번호에 대한 접속이 시도되는 경우 가입자 휴대단말기를 확인하여 폰페이지 접속 승인을 결정하는 휴대단말기확인모듈(24)을 더 구비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IP카메라(10) 또는 통제서버(20)에서 촬영된 영상으로부터 움직임을 감지하는 경우 가입자측 휴대단말기(74)에 SMS를 전송하는 SMS서버(50)를 더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폰페이지를 이용한 원격 영상감시 방법은, IP카메라(10)에서 촬영된 영상을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가입자측 휴대단말기(74)로 전송하는 원격 영상감시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IP카메라(10)에 고유 접속번호를 부여하는 단계; (b) 상기 고유 접속번호와 매칭하여 IP카메라(10)로부터 수신된 영상을 포함하는 폰페이지를 구성하는 단계; (c) 가입자측 휴대단말기(74)로부터 고유 접속번호에 대한 접속 시도를 확인하는 단계; (d) 휴대단말기(74)의 정보를 읽어 가입자를 인증하는 단계; (e) 가입자 인증이 완료되면, 고유 접속번호와 매치되는 폰페이지에 대한 접속을 승인하는 단계; 및 (f) IP카메라(10)로부터 수신된 영상을 상기 폰페이지에 스트리밍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폰페이지를 이용한 원격 영상감시 시스템 및 방법에 따르면, 가입자가 휴대단말기를 통해 고유 접속번호를 입력하는 간단한 절차로 자신의 IP카메라에 부여된 폰페이지에 접속할 수 있어, 휴대단말기를 통해 영상감시 서비스를 제공받는 절차가 매우 간편할 뿐만 아니라 신속한 영상감시 서비스가 가능하고 무선 인터넷 과금을 대폭 절감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휴대단말기를 이용하여 자신의 폰페이지를 직접 꾸미도록 하여 보다 능동적인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으며 폰페이를 통해 광고 등의 부가수익 창출을 기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 및 실시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본 발명은 IP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을 서버에서 저장 및 관리하고, 가입자측 원격단말기 및 휴대단말기에 영상감시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IP카메라에 고유 접속번호를 부여하고 고유 접속번호와 매칭하여 폰페이지를 구축하며, 가입자가 휴대단말기를 이용하여 고유 접속번호를 입력하면 자신의 폰페이지에 접속하여 영상감시를 실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영상감시 절차가 간편하고 폰페이지를 사용자가 능동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함에 특징이 있다. 이하에서 언급되는 실시예는 폰페이지를 구성하고, 가입자측 휴 대단말기에서 폰페이지에 접속하는 과정에 대하여 중점적으로 설명하며, 기타 통상의 원격 영상감시 시스템 및 방법에 대하여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자"라 함은 휴대단말기를 이용하여 영상감시 서비스를 제공받는 자를 의미하며, "가입자"라 함은 영상감시 서비스에 가입하여 회원으로 등재된 사용자를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감시 시스템의 일예를 보인 블록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영상감시 시스템은 IP카메라(10)와, 로컬단말기(16)와, 통제서버(20)와, 스트리밍서버(30)와, 관리서버(40)와, 관리자단말기(42)와, SMS서버(50)와, 원격감시서버(60)와, 원격단말기(62)와, 게이트서버(70)와, 휴대단말기(74)로 구성된다.
상기 IP카메라(10)는 사용자의 댁내 또는 감시를 원하는 영역에 설치된다. IP카메라(10)는 고유 IP 주소를 가지며, LAN(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또는 인터넷(Internet, 80)에 접속 가능한 카메라이다.
IP카메라(10)는 허브(12)를 통해 로컬단말기(16)와 로컬 네트워크를 구성한다. 로컬단말기(16)는 댁내에 설치되거나 공동주택의 중앙감시실에 설치되는 컴퓨터 단말기이며, IP카메라(10)에서 촬영된 영상을 저장하거나 감시하기 위한 단말기이다.
상기 통제서버(20)는 IP카메라(10)로부터 영상을 수신하여 저장 및 관리하고, 홈페이지 및 폰페이지 서비스를 실시하며, IP카메라(10)를 원격 감시하기 위한 서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IP카메라(10)는 라우터(14)를 통해 외부의 네트워크 와 연결되며, 로컬 네트워크 또는 인터넷(80)을 통해 통제서버(20)와 연결된다.
여기서, 통제서버(20)는 폰페이지구성모듈(22)과 휴대단말기확인모듈(24)을 구비한다. 폰페이지구성모듈(22)은 가입자의 IP카메라(10) 각각에 고유 접속번호를 부여한다. 그리고, 고유 접속번호와 매칭하여 가입자별로 폰페이지를 구성한다. 폰페이지는 휴대폰과 같은 휴대단말기(74)에서 볼 수 있는 인터넷사이트로서, 폰페이지구성모듈(22)은 폰페이지 상에 IP카메라(10)로부터 수신된 영상을 포함시킨다.
휴대단말기확인모듈(24)은 휴대단말기(74)로부터 고유 접속번호에 대한 접속 시도가 이루어지면, 휴대단말기(74)의 정보(예컨대, 발신자 전화번호 등과 같은)를 읽어 당해 IP카메라(10)에 대한 가입자인지를 인증하고, 가입자로 확인되면 폰페이지에 대한 접속을 승인하는 수단이다.
상기 스트리밍서버(30)는 통제서버(20)로부터 IP카메라(10)의 영상을 수신하고, 이를 압축하여 실시간 전송하기 위한 서버이다. 예컨대, 통제서버(20)에서 폰페이지를 구축하면, 스트리밍서버(30)는 폰페이지를 통해 IP카메라(10)의 영상을 압축 및 스트리밍하여 가입자측 휴대단말기(74)로 전송한다.
상기 관리서버(40)는 가입자 정보 및 IP카메라(10)의 카메라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하고, 통합 서비스의 제공 및 과금을 위한 서버이다. 예를 들어, 가입자 정보는 가입자의 성명, 주소, 회원 ID, Password 등의 회원 정보와, 가입자의 휴대단말기 전화번호,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무선 IP 등의 휴대단말기 정보를 포함한다. 카메라 정보는 IP카메라(10)의 IP 주소, 통제서버(20)에 의해 IP카메라(10)에 부여된 고유 접속번호, 기타 IP카메라(10)의 상태 및 이력사항 등을 포함한다. 서비스 관리자는 관리자단말기(42)를 이용하여 관리서버(40)에 접속하여, 가입자 정보와 카메라 정보를 등록 및 갱신하며, 가입자별로 영상을 저장 및 관리한다.
상기 원격감시서버(60)는 가입자가 유선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하여 IP카메라(10)의 영상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시스템으로서, 선택적으로 설치된다. 원격감시서버(60)는 가입자의 원격단말기(62)가 유선 네트워크를 통해 통제서버(20)에서 제공하는 홈페이지에 접속하여, 실시간 영상감시 서비스를 제공받도록 하기 위한 서버이다.
상기 게이트서버(70)는 유선 네트워크와 무선 네트워크를 연동하기 위한 서버이다. 게이트서버(70)는 무선 인터넷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가입자측 휴대단말기(74)와 유선 인터넷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통제서버(20) 사이에서 유무선 인터넷 프로토콜을 변환하여, 휴대단말기(74)가 기지국(72)을 경유하여 통제서버(20)에서 제공하는 폰페이지에 접속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휴대단말기(74)는 바람직하게는 휴대폰이지만, 반드시 휴대폰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무선 인터넷 접속을 시도할 수 있는 다른 휴대단말기를 포함한다 할 것이다.
도 2는 회원관리의 예를 보인 흐름도이고, 도 3은 폰페이지를 이용한 영상감시 방법을 예시한 흐름도이고, 도 4는 폰페이지에 영상을 스트리밍하는 예를 보인 흐름도이고, 도 5는 휴대단말기에 SMS를 전송하는 예를 보인 흐름도이다. 도 2 내지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서 폰페이지의 구성 및 휴대단말기(74)에서 폰페이지에 접속하는 과정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2를 참조하면, IP카메라(10) 이용자는 로컬단말기(16) 또는 기타 다른 컴퓨터 단말기를 이용하여 관리서버(40)에 접속하고 회원가입을 신청한다(ST210). 관리서버(40)는 회원가입 요청에 대응하여 가입자 정보와 카메라 정보를 수집하고, 당해 가입자를 회원으로 등록한다(ST220). 가입자는 영상 모니터링 서비스를 요청하고(ST230), 서비스 조건(예컨대, 약관 동의 또는 서비스 요금 납입)을 만족하면, 관리서버(40)는 영상 모니터링 서비스를 승인한다(ST240). 이후, 폰페이지 및 홈페이지를 통한 영상 모니터링 서비스가 개시된다(ST250).
도 3은 폰페이지를 이용한 영상감시 방법을 예시한다. 도 3을 참조하면, 통제서버(20)는 폰페이지 구성을 위해 가입자 IP카메라(10)에 고유 접속번호를 부여한다(ST110). 고유 접속번호는 폰페이지 접속을 위한 번호로서, 전화번화와 같은 일련의 숫자로 구성된 번호조합으로 구성된다. 이하에서는 고유 접속번호를 "12345678"로 예시한다.
다음으로, 통제서버(20)의 폰페이지구성모듈(22)은 고유 접속번호와 매칭하여 IP카메라(10)로부터 수신된 영상을 포함하는 폰페이지를 구성한다(ST120). 폰페이지는 가입자가 무선 인터넷 접속을 통해 IP카메라(10)로 촬영된 영상을 감시하기 위한 전용의 무선 인터넷 페이지이다. 폰페이지는 가입자의 IP카메라(10)별로 구성되며, 폰페이지의 접속 승인을 위해 각각의 폰페이지에는 고유 접속번호가 부여된다.
폰페이지는 가입자별로 배정된 미니폰페이지 형태를 가지며, IP카메라(10)로 촬영된 지난 영상, 실시간 영상 등을 볼 수 있는 창을 구비한다. 또한, 폰페이지는 배경화면 꾸미기, 이미지 업로드, 다이어리, 배너, 방문자 글쓰기 등 다양한 기능을 추가할 수 있다.
가입자가 휴대단말기(74)를 이용하여 자신의 폰페이지에 접속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가입자는 휴대단말기(74)에 자신의 IP카메라(10)에 부여된 고유 접속번호와 특수 기능키를 입력하는 것으로 자신의 폰페이지에 바로 접속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입자가 휴대단말기(74)에서 "12345678#"을 입력하면, 휴대단말기(74)는 상기한 번호조합을 갖는 무선 데이터 패킷을 생성하여 무선 송신한다.
통제서버(20)는 가입자가 고유 접속번호로 무선 인터넷 접속을 시도하는지 판단한다(ST130). 만약, 통제서버에 고유 접속번호를 포함한 무선 데이터가 수신되면, 통제서버(20)는 가입자측 휴대단말기(74)의 정보를 읽어 등록된 가입자인지를 판단한다(ST140).
예를 들어, 통제서버(20)는 "12345678"의 번호 조합을 갖는 무선 데이터를 수신하면, 무선 데이터에 포함된 휴대단말기 정보(예컨대, 발신자 전화번호 또는 휴대단말기의 무선 인터넷 IP 등과 같은)를 읽어들인다. 그리고, 해당 고유 접속번호와 휴대단말기 정보가 매치되는지를 확인한다.
통제서버(20)는 상기 단계(ST140)에서 가입자 휴대단말기임이 확인되면, 해당 휴대단말기(74)에 대하여 폰페이지 접속을 승인한다(ST150). 그리고, 폰페이지에 IP카메라(10)에서 촬영된 영상을 스트리밍한다(ST160).
도 4는 영상 스트리밍 과정을 보여준다. 이를 참조하면, IP카메라(10)에서 촬영된 영상은 통제서버(20)로 전송되고(ST310), 통제서버(20)는 수신된 영상을 스티리밍서버(30)로 중계한다. 이때, 통제서버(20)는 IP카메라(10)에서 촬영된 영상을 원격으로 실시간 감시한다(ST330).
도 3을 참조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가입자가 휴대단말기(74)를 이용하여 자신의 폰페이지에 접속을 시도하면(ST340), 통제서버(20)는 휴대단말기(74)의 정보를 읽어 가입자의 휴대단말기(74)인지 확인한다(ST350). 가입자 휴대단말기(74)임이 확인되면, 통제서버(20)는 당해 휴대단말기(74)에 대해 폰페이지 접속을 승인한다(ST360). 그리고, 스트리밍서버(30)는 IP카메라(10)로부터 수신한 영상을 압축하고 폰페이지 상에 스트리밍한다(ST370).
본 발명의 원격 영상감시 시스템은 위와 같은 폰페이지 서비스 이외에도 모션 디텍팅을 수행하여 침입자 발생을 가입자 휴대단말기에 단문 메시지로 전송할 수 있으며, 이러한 SMS(Short Message Service)를 받은 가입자는 휴대단말기(74)를 이용하여 즉시 자신의 폰페이지에 접속하여 영상감시를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서 SMS 서비스를 제공하는 예를 보여준다. 도 5를 참조하면, IP카메라(10)는 촬영된 영상을 통제서버(20)로 전송한다(ST410). 통제서버(20)는 IP카메라(10)에서 촬영된 영상을 실시간 감시한다(ST420). 이때, 통제서버(20)는 IP카메라(10)에서 촬영된 영상으로부터 모션 디텍팅(ST430)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서, 통상 알려진 마크 감지를 통해 영상으로부터 마크 부분의 움직임이 발생했는지를 감지하고, 마크의 움직임이 기준치를 넘어서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모션 디텍팅(motion detecting)을 수행한다. 한편, 모션 디텍팅은 통제서버(20) 가 아닌 IP카메라(10)에서 자체적으로 수행될 수도 있다.
만약, 모션이 발생하면(ST440), 통제서버(20)는 SMS서버(50)에 SMS 이벤트 발생을 통지한다(ST450). 그리고, SMS서버(50)는 가입자의 휴대단말기(74)에 침입자 발생을 알리는 경고 문자메시지를 전송한다(ST460).
한편, 본 실시예에서 상세하게 언급하지는 않았지만, 통제서버(20)는 실시간 영상감시 또는 모션 디텍팅을 통해 침입자 발생을 감지하면, 관할 경찰서에 이를 통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통제서버(20) 또는 관리서버(40)는 IP카메라(10)에서 촬영된 영상을 저장하는 서비스를 추가로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감시 시스템의 일예를 보인 블록도
도 2는 회원관리의 예를 보인 흐름도
도 3은 폰페이지를 이용한 영상감시 방법을 예시한 흐름도
도 4는 폰페이지에 영상을 스트리밍하는 예를 보인 흐름도
도 5는 휴대단말기에 SMS를 전송하는 예를 보인 흐름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IP카메라 12 : 허브
14 : 라우터 16 : 로컬단말기
20 : 통제서버 22 : 폰페이지구성모듈
24 : 휴대단말기확인모듈 30 : 스트리밍서버
40 : 관리서버 42 : 관리자단말기
50 : SMS서버 60 : 원격감시서버
62 : 원격단말기 70 : 게이트서버
72 : 기지국 74 : 휴대단말기
80 : 인터넷

Claims (4)

  1. IP 주소를 가지며, 인터넷(80)에 접속 가능한 IP카메라(10);
    상기 IP카메라(10)로부터 영상정보를 수신하고, IP카메라(10)에 고유 접속번호를 부여하고 고유 접속번호와 매칭하여 촬영된 영상을 포함한 폰페이지를 구성하는 폰페이지구성모듈(22)을 구비한 통제서버(20);
    IP카메라(10)로부터 수신된 영상을 압축하고 실시간 전송하는 스트리밍서버(30);
    가입자의 회원 정보 및 휴대단말기 정보를 포함한 가입자 정보와 상기 IP카메라(10)의 IP 주소 및 고유 접속번호를 포함한 카메라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하고, 통제서버(20)에서 구축한 폰페이지를 가입자에게 제공하는 관리서버(40);
    유선 네트워크와 무선 네트워크를 연동하기 위한 게이트서버(70); 및
    상기 게이트서버(70)를 통해 관리서버(40)에서 제공하는 폰페이지를 액세스하는 가입자측 휴대단말기(74)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폰페이지를 이용한 원격 영상감시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통제서버(20)는 상기 휴대단말기(74)로부터 고유 접속번호에 대한 접속이 시도되는 경우 가입자 휴대단말기를 확인하여 폰페이지 접속 승인을 결정하는 휴대단말기확인모듈(24)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폰페이지를 이용한 원격 영상감시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IP카메라(10) 또는 통제서버(20)에서 촬영된 영상으로부터 움직임을 감지하는 경우 가입자측 휴대단말기(74)에 SMS를 전송하는 SMS서버(5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폰페이지를 이용한 원격 영상감시 시스템.
  4. IP카메라(10)에서 촬영된 영상을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가입자측 휴대단말기(74)로 전송하는 원격 영상감시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IP카메라(10)에 고유 접속번호를 부여하는 단계;
    (b) 상기 고유 접속번호와 매칭하여 IP카메라(10)로부터 수신된 영상을 포함하는 폰페이지를 구성하는 단계;
    (c) 가입자측 휴대단말기(74)로부터 고유 접속번호에 대한 접속 시도를 확인하는 단계;
    (d) 휴대단말기(74)의 정보를 읽어 가입자를 인증하는 단계;
    (e) 가입자 인증이 완료되면, 고유 접속번호와 매치되는 폰페이지에 대한 접속을 승인하는 단계; 및
    (f) IP카메라(10)로부터 수신된 영상을 상기 폰페이지에 스트리밍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폰페이지를 이용한 원격 영상감시 방법.
KR1020090075099A 2009-08-14 2009-08-14 폰페이지를 이용한 원격 영상감시 시스템 및 방법 KR2011001757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5099A KR20110017574A (ko) 2009-08-14 2009-08-14 폰페이지를 이용한 원격 영상감시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5099A KR20110017574A (ko) 2009-08-14 2009-08-14 폰페이지를 이용한 원격 영상감시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7574A true KR20110017574A (ko) 2011-02-22

Family

ID=437755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5099A KR20110017574A (ko) 2009-08-14 2009-08-14 폰페이지를 이용한 원격 영상감시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1757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0884B1 (ko) * 2011-05-02 2013-01-15 (주)스마트모션 스마트폰을 이용한 멀티 관제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0884B1 (ko) * 2011-05-02 2013-01-15 (주)스마트모션 스마트폰을 이용한 멀티 관제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90265747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web based self serviced video monitoring and security features for systems comprising ip video terminals and servers
KR100859917B1 (ko) 화상 축적 서버, 그 사용 방법, 및 원격 감시 시스템
US20100013918A1 (en) Viewing system
US20120257615A1 (en) Self-Contained Security System Including Voice and Video Calls Via the Internet
JP2006048174A (ja) ホーム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
JP2004013871A (ja) 防犯システム
KR20130003886A (ko) 보안 서비스 서버 및 스마트 보안 방법
KR100805255B1 (ko) 감시 카메라를 이용한 감시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02101407A (ja) 画像蓄積サーバおよびその方法、画像蓄積サーバを用いた遠隔監視システム、撮像装置
JP2002368888A (ja) ドアフォン装置
JP4441796B2 (ja) コインランドリー管理システム
KR100647819B1 (ko) 화상 전화기를 이용한 홈 모니터링 시스템
JP2004341565A (ja) インターネット利用による警備システム
KR20110017574A (ko) 폰페이지를 이용한 원격 영상감시 시스템 및 방법
JP2008112402A (ja) 地域監視システム
JP2007328490A (ja) 不審者通知システム
KR20190127101A (ko) 클라우드 기반 보안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CN101720477A (zh) 基于互联网的保安服务提供方法
JP4240218B2 (ja) 監視システム、監視通報装置および監視システムにおける通信方法
JP4978125B2 (ja) 通信制御装置、及び、通信制御方法
KR101458365B1 (ko) 영상기기 보이스 알람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JP2006115374A (ja) 遠隔見守りシステム
CN110458980B (zh) 云端式门禁管理系统
CN102882911B (zh) 一种移动监控远距保全系统及其方法
TW201305972A (zh) 具多媒體訊息服務之保全監控系統及其多媒體訊息收發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