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17500A - 다리식 이동 로봇의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다리식 이동 로봇의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17500A
KR20110017500A KR1020090074986A KR20090074986A KR20110017500A KR 20110017500 A KR20110017500 A KR 20110017500A KR 1020090074986 A KR1020090074986 A KR 1020090074986A KR 20090074986 A KR20090074986 A KR 20090074986A KR 20110017500 A KR20110017500 A KR 201100175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oint
robot
antigravity
friction force
robot jo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749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주형
노경식
권웅
한정헌
박재호
곽호성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749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17500A/ko
Priority to US12/853,879 priority patent/US20110040410A1/en
Publication of KR201100175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750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3/00Controls for manipul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7/00Vehicles characterised by having other propulsion or other ground- engaging means than wheels or endless track, alone or in addition to wheels or endless track
    • B62D57/02Vehicles characterised by having other propulsion or other ground- engaging means than wheels or endless track, alone or in addition to wheels or endless track with ground-engaging propulsion means, e.g. walking members
    • B62D57/032Vehicles characterised by having other propulsion or other ground- engaging means than wheels or endless track, alone or in addition to wheels or endless track with ground-engaging propulsion means, e.g. walking members with alternately or sequentially lifted supporting base and legs; with alternately or sequentially lifted feet or sk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7/00Joi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5/00Manipulators mounted on wheels or on carri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0006Exoskeletons, i.e. resembling a human fig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16Programme contr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16Programme controls
    • B25J9/1628Programme controls characterised by the control loop
    • B25J9/1641Programme controls characterised by the control loop compensation for backlash, friction, compliance, elasticity in the joi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bo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anipulator (AREA)

Abstract

각 관절의 마찰력을 보상하도록 로봇 각 관절의 움직임을 조절하여 로봇의 발바닥이 바닥면에 붙어있게 하고, 로봇 각 관절에 작용하는 중력이 반 중력 방향으로 작용하는 것처럼 각 관절의 움직임을 조절하여 로봇을 직립상태로 유지시킴으로서 로봇이 넘어지지 않고 균형을 잡고 서 있게 한다.

Description

다리식 이동 로봇의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CONTROL DEVICE FOR LEGGED MOBILE ROBOT AND CONTROL METHOD THEREOF}
다리식 로봇이 넘어지지 않고 균형을 유지할 수 있는 다리식 이동 로봇의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직립 보행 로봇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다.
로봇이 보행할 때 거친 평면이나 계단과 같은 경사면, 장애물이 있는 경우, 두발 로봇의 보행은 바퀴달린 로봇에 비해 더 큰 이동도를 가진다. 특히 균형을 잃고 넘어지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로봇의 보행 패턴을 정해줄 때 안정성 측면을 고려해주는 것이 필수적이다.
족형 로봇의 동적 안정성을 보장하기 위하여 ZMP(Zero Moment Point)를 고려한 보행 패턴을 생성하는 연구가 제안되고 있다.
ZMP는 발바닥에서 발생하는 힘으로 인한 모든 모멘트들의 합이 0 이 되는 지점을 의미한다. 즉 ZMP는 로봇의 발과 지면의 접촉면이 이루는 면에서 발과 지면사이의 반작용의 크기가 0 이 되는 점이다. 그리고, ZMP가 발바닥과 지면이 접촉해 있는 지지면 내에 있다면 로봇은 넘어지지 않고 걸을 수 있다.
족형 로봇의 행동 패턴을 생성할 때 움직이는 매 순간마다 ZMP가 항상 발바닥과 지면의 접촉면 내에 있을 때, 로봇은 안정하게 유지된다.
최근의 족형 로봇의 균형을 잡는 방법들은 ZMP가 지지면내에 위치하도록 관절 움직임에 대한 전략을 세우고, 제한 조건식들을 만족시키는 최적화 문제를 푸는 기술이 대부분이다.
이러한 방법들은 최적화 문제를 푸는데 있어서 지역 해(Local Minima)에 빠지거나 연산 시간(Computation Time)이 오래 걸리는 문제 등이 수반된다. 또한, 로봇 모델에 따라 균형 잡는 제어 전략을 설계해야 한다. 이러한 전략은 제어하고자 하는 대상 로봇 시스템에 따라 달라지므로 일반적인 방법으로 정리되기 어렵다.
로봇의 각 관절의 마찰력을 보상하고 로봇 관절의 중력 방향을 반 중력 방향으로 변경하여 로봇의 움직임을 제어함으로서 보다 효과적으로 로봇이 넘어지지 않고 균형을 유지하게 할 수 있는 다리식 이동 로봇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로봇 관절에 설치된 액추에이터를 구동하는 관절부와, 상기 로봇 관절의 기구적인 마찰력을 상쇄시키도록 상기 관절부를 작동시켜 상기 로봇 관절의 마찰력을 보상하고, 상기 로봇 관절에 중력이 반 중력방향으로 작용하는 것처럼 상기 로봇 관절이 움직이도록 상기 관절부를 작동시켜 상기 로봇 관절의 반 중력을 보상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로봇 관절의 마찰력을 보상하는 마찰력 보상부와, 상기 로봇 관절의 반중력을 보상하는 반중력 보상부와, 상기 로봇 관절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관절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마찰력 보상부는 피드포워드 제어를 통해 상기 로봇 관절의 마찰력을 보상한다.
상기 마찰력 보상부는 상기 로봇 관절이 마찰력이 없는 것처럼 움직이도록 상기 로봇 관절의 마찰력을 보상한다.
상기 마찰력 보상부는 제어입력인 목표로 하는 관절 각속도를 입력받고, 상기 입력된 관절 각속도를 근거로 하여 상기 로봇 관절의 마찰력을 추정하고, 상기 추정된 마찰력을 보상하도록 상기 마찰력에 상응하는 보상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보상 신호를 상기 관절부에 제공한다.
상기 반중력 보상부는 피드포워드 제어를 통해 상기 로봇 관절의 반중력을 보상한다.
상기 반중력 보상부는 제어입력인 목표로 하는 관절 각도를 입력받고, 상기 입력된 관절 각도를 근거로 하여 상기 로봇 관절의 반중력을 추정하고, 상기 추정된 반중력을 보상하도록 상기 반중력에 상응하는 보상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보상 신호를 상기 관절부에 제공한다.
상기 관절 제어부는 피드백 제어를 통해 상기 로봇 관절의 움직임을 제어한다.
로봇 관절에 설치된 액추에이터를 구동하는 관절부와, 상기 로봇 관절의 기구적인 마찰력을 상쇄시키도록 상기 관절부를 작동시켜 상기 로봇 관절의 마찰력을 보상하거나, 상기 로봇 관절에 중력이 반 중력방향으로 작용하는 것처럼 상기 로봇 관절이 움직이도록 상기 관절부를 작동시켜 상기 로봇 관절의 반 중력을 보상하는 것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로봇 관절의 마찰력을 피드포워드 제어를 통해 보상하는 마찰력 보상부와, 상기 로봇 관절의 반중력을 상기 피드포워드 제어를 통해 보상하는 반중력 보상부를 포함한다.
상기 마찰력 보상부는 제어입력인 목표로 하는 관절 각속도를 이용하여 상기 로봇 관절의 마찰력을 모델링하고, 상기 모델링된 마찰력에 상응하는 보상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관절부에 제공하고, 상기 반중력 보상부는 제어입력인 목표로 하는 관절 각도를 이용하여 상기 로봇 관절의 반중력을 모델링하고, 상기 모델링된 반중력에 상응하는 보상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관절부에 제공한다.
로봇 관절의 기구적인 마찰력을 상쇄시키도록 로봇 관절을 움직여 상기 로봇 관절의 마찰력을 보상하고,
상기 로봇 관절의 마찰력을 보상함과 함께 상기 로봇 관절에 중력이 반 중력방향으로 작용하는 것처럼 상기 로봇 관절이 움직이도록 상기 로봇 관절을 움직여 상기 로봇 관절의 반 중력을 보상하는 것을 포함한다.
제어입력인 목표로 하는 관절 각속도를 입력받고, 상기 입력된 관절 각속도를 근거로 하여 상기 로봇 관절의 마찰력을 추정하고, 상기 추정된 마찰력을 보상하도록 상기 마찰력에 상응하는 보상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보상 신호에 따라 상기 로봇 관절을 움직인다.
제어입력인 목표로 하는 관절 각도를 입력받고, 상기 입력된 관절 각도를 근거로 하여 상기 로봇 관절의 반중력을 추정하고, 상기 추정된 반중력을 보상하도록 상기 반중력에 상응하는 보상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보상 신호에 따라 상기 로봇 관절을 움직인다.
로봇의 각 관절의 마찰력을 모델링하고, 이를 피드포워드 제어로 보상하여 로봇 관절이 마찰력이 없는 것처럼 동작하도록 로봇 관절의 움직임을 제어하고, 로봇에 작용하는 중력을 모델링하고 이것을 배가한 신호를 피드포워드 제어로 인가하여 중력이 거꾸로 작용하는 것처럼 동작하도록 로봇의 움직임을 제어함으로서 외력이 작용하더라도 로봇이 넘어지지 않고 균형을 잡은 상태를 보다 효과적으로 유지 할 수 있다.
또한, 로봇 시스템 전체의 동역학식을 알지 못하더라도 로봇 관절의 마찰력과 로봇의 중력 모델만 안다면 균형을 잡고 서 있게 할 수 있다.
또한, 기족의 최적화 문제를 풀어서 균형을 잡는 방법들과 접근 방법이 다르기 때문에 로봇 모델마다 로봇의 균형을 위한 제어전략을 설계해야 하는 등 기존 방법에서의 문제점들이 발생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로봇의 외관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봇(10)은 인간과 마찬가지로 두 개의 다리(11R, 11L)에 의해 직립 이동하는 이족 보행 로봇으로, 몸통(12)과, 몸통(12)의 상부에 두 개의 팔(13R, 13L)과 머리(14)를 구비하며, 두 개의 다리(11R, 11L)와 팔(13R, 13L) 선단에는 각각 발(15R, 15L)과 손(16R, 16L)을 구비한다. 참조부호에서 R과 L은 로봇(10)의 오른쪽(Right)과 왼쪽(Left)을 나타내고, COG는 로봇(10)의 무게 중심 위치를 나타내며, ZMP는 로봇(10)과 바닥의 접촉면에서 롤 방향(roll; 로봇의 보행 진행방향인 x축 방향)과 피치 방향(pitch; 로봇의 좌우 보폭 방향인 y축 방향)의 모멘트가 0이 되는 점을 나타낸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로봇의 주요 관절 구조를 나타내고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의 다리(11R, 11L)는 로봇(10)의 발목, 무릎, 힙에 해당하는 부분이 회전할 수 있도록 발목 관절(17R, 17L), 무릎 관절(18R, 18L), 힙 관절(19R, 19L)을 각각 구비하고, 힙 관절(19R, 19L)은 두 개의 다리(11R, 11L)와 연결되는 몸통(12) 아래의 양 쪽 끝에 위치한다.
각 다리(11R, 11L)의 발목 관절(17R, 17L)은 x축(roll axis;로봇의 보행 진행방향)과 y축(pitch axis;좌우 보폭 방향)으로 움직임이 가능하고, 무릎 관절(18R, 18L)은 y축(pitch axis)으로 움직임이 가능하며, 힙 관절(19R, 19L)은 x축(roll axis)과 y축(pitch axis), z축(yaw axis)으로 움직임이 가능하다.
또한, 두 개의 다리(11R, 11L)에는 힙 관절(19R, 19L)과 무릎 관절(18R, 18L)을 연결하는 상부 링크(20R, 20L)와, 무릎 관절(18R, 18L)과 발목 관절(17R, 17L)을 연결하는 하부 링크(21R, 21L)를 각각 포함하여 각 관절((17R, 17L), (18R, 18L), (19R, 19L), 22)의 움직임에 따라 일정 수준의 자유도를 가지고 보행이 가능하도록 하며, 각 다리(11R, 11L)의 발목에는 힘/토크 측정센서(22R, 22L;Force and Torque sensor;이하 F/T센서라 한다)가 설치되어 발(15R, 15L)로부터 전달되는 힘의 3방향 성분(Fx, Fy, Fz)과 모멘트의 3방향 성분(Mx, My, Mz)을 측정하여 ZMP 정보를 제공한다.
그리고, 두 개의 다리(11R, 11L)와 연결되는 몸통(12)에는 로봇(10)의 허리에 해당하는 부분이 회전할 수 있도록 허리 관절(23)을 구비하며, 허리 관절(23)은 몸통(12) 아래의 양 쪽 끝에 위치한 힙 관절(19R, 19L)을 연결하는 힙 링크(24)의 중심 위치(24G)와 동일 축 선상에 위치한다. 도면에 나타내지는 않았지만, 로봇(10)의 모든 관절((17R, 17L), (18R, 18L), (19R, 19L), 22)은 구동을 위한 액추에이터(예를 들어, 모터와 같은 전동장치)를 각각 포함하고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리식 이동 로봇의 제어장치의 제어블록을 나타내고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리식 이동 로봇의 제어장치는 제어부(40) 이외에 로봇을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을 입력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30)와, 로봇의 각 관절에 설치된 모터 등의 액추에이터를 구동하는 관절부(60)와, 로봇에 설치되어 각 관절에 가해지는 힘 또는 로봇의 자세 정보를 측정하는 센서부(50)를 구비한다.
제어부(4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30)를 통하여 입력된 사용자 명령과 센서부(50)로부터 제공된 정보를 바탕으로 로봇의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40)는 관절 제어부(41)와, 마찰력 보상부(42)와, 반중력 보상부(43)를 구비한다. 관절 제어부(41)는 제어 입력인 로봇 관절에 대한 목표 관절 각도와, 센서부(12)를 통해 입력된 현재 관절 각도를 이용하여 관절부(60)의 움직임을 제어하기 위한 관절신호를 생성하여 관절부(60)에 출력함으로서 관절부(60)의 움직임을 제어한다.
마찰력 보상부(42)는 제어 입력인 로봇 관절에 대한 목표 관절 각속도를 입력받아 각 관절의 마찰력을 모델링하고, 각 관절의 마찰력에 상응하는 보상 신호를 생성하고, 이 보상 신호를 관절 제어부(41)에 의해 관절부(60)에 출력되는 관절 신호에 부가하는 방식으로 로봇 각 관절의 움직임을 조절함으로서 각 관절의 기구적인 마찰력을 상쇄시키는 방식으로 각 관절의 마찰력을 보상한다. 즉, 마찰력 보상부(42)는 로봇 각 관절이 기구적인 마찰력이 없는 것처럼 작동하게 한다. 이에 따 라, ZMP 위치변화가 최소화되어 로봇의 발바닥이 바닥면에 붙어 있게 된다. 이 때, 로봇 관절의 마찰력을 마찰력 추정기 또는 별도의 가속도센서를 이용하여 검출할 수 있다. 이들 방법은 로봇 관절의 정확한 파라미터를 알고 마찰력에 의한 가속도의 변화를 추정하거나 측정함으로써 마찰력을 추정하게 된다.
반중력 보상부(43)는 제어 입력인 로봇 관절에 대한 목표 관절 각도를 입력받아 각 관절의 반중력을 모델링하고, 각 관절의 반중력에 상응하는 보상 신호를 생성하고, 이 보상 신호를 관절 제어부(41)에 의해 관절부(60)에 출력되는 관절 신호에 부가하는 방식으로 로봇 각 관절의 움직임을 조절함으로서 로봇 각 관절에 있어서 로봇 각 관절에 작용하는 중력이 중력 방향과 반대 방향인 반 중력 방향으로 작용하는 것처럼 동작하도록 만들어 각 관절의 반중력을 보상한다. 즉, 반중력 보상부(43)는 로봇 각 관절에 중력이 거꾸로 작용하는 것처럼 로봇 각 관절의 움직임을 조절하여 로봇이 직립 상태를 유지하게 한다.
상기한 마찰력 보상과 반중력 보상에 의해 로봇은 외력이 들어와도 넘어지지 않고 직립상태를 유지하며 균형을 잡을 수 있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제어부의 구체적인 제어방식을 나타내고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리식 이동 로봇의 제어장치는 일반적인 로봇 관절을 제어하는 방식인 관절 제어부(41)에 의해 수행되는 센서 피드백을 이용한 제어루프를 구비하고, 여기에 두 가지 피드포워드(Feed Forward) 제어루프가 추가되어 구성된다. 두 가지 피드포워드 제어루프는 마찰력 보상부(42)에 의해 수행되는 마찰력 보상을 위한 피드포워드 제어루프와 반중력 보 상부(43)에 의해 수행되는 반중력 보상을 위한 피드포워드 제어루프이다. 이때, 반중력 보상을 위한 피드포워드 제어루프 대신에 피드백 제어루프를 사용하여도 반중력 보상이 가능하다.
마찰력 보상을 위한 피드포워드 제어루프에서 사용되는 로봇 관절의 마찰력은 로봇 관절의 각속도로 표현되는 함수이고, 반중력 보상을 위한 피드포워드 제어루프에 사용되는 관절에 작용하는 중력은 로봇 관절의 각도로 표현되는 함수이다. 이 함수들은 로봇 설계 단계에서 주어진 물리적인 모델링을 기반으로 얻어질 수 있으며, 실험이나 시뮬레이션을 통해 검증할 수 있다.
센서 피드백을 이용한 제어루프에 이용되는 관절 제어부(41)는 비례제어기(Proportional controller ; P 제어기), 비례적분제어기(Proportional Integral controller ; PI 제어기), 비례미분제어기(Proportional Differential controller ; PD 제어기), 비례적분미분제어기(Proportional Integral Differential controller ; PID 제어기)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마찰력 보상을 위한 피드포워드 제어루프는 제어입력인 로봇 관절에 대한 목표 관절 각속도를 입력받아 로봇 관절의 마찰력을 모델링하고, 로봇 관절의 마찰력에 상응하는 보상 신호를 생성하고, 이 보상 신호를 로봇 관절에 제공함으로서 로봇 관절의 마찰력을 보상한다. 이에 따라, 로봇 관절의 기구적인 마찰력이 상쇄되어 로봇 관절이 기구적인 마찰력이 없는 것처럼 작동한다.
반중력 보상을 위한 피드포워드 제어루프는 제어입력인 로봇 관절에 대한 목표 관절 각도를 입력받아 로봇 관절의 반중력을 모델링하고, 로봇 관절의 반중력에 상응하는 보상 신호를 생성하고, 이 보상 신호를 로봇 관절에 제공함으로서 로봇 관절의 반중력을 보상한다. 이에 따라, 로봇 관절이 로봇 관절에 중력이 거꾸로 작용하는 것처럼 움직여 로봇이 직립 상태를 유지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다리식 이동 로봇에서 로봇 각 관절의 마찰력이 ZMP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설명한다.
도 5a 내지 도 5c는 하나의 관절을 가진 다리식 이동 로봇 모델이 직립해 있다가 화살표와 같은 외력이 작용하여 자유 낙하할 때 어떻게 동작하는가를 나타내고 있다. 이 때, 참조부호 A는 로봇 관절의 운동을 진자 운동으로 나타낸 경우의 진자를, 참조부호 B는 진자 축을 나타낸다.
도 5a는 마찰력이 없는 경우이고, 도 3b는 마찰력이 약하게 작용하는 경우이며, 도 3c는 마찰력이 매우 큰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마찰이 없는 이상적인 기구에 중력이 작용한다고 가정하면 그 기구는 자연스럽게 기구학적 구속조건을 만족하는 궤적을 따라서 자유 낙하하게 된다. 그러나 실제로는 기구적인 마찰력이 관절에 존재하여 기구를 자유 낙하 속도보다 느리게 움직이게 하거나 정지시켜 버리게 된다.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찰력이 없는 경우에는 ZMP의 위치(아래에서 발바닥으로 향한 화살표)가 항상 관절 바로 밑에 존재한다.
하지만,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찰력이 약하게 작용하는 경우에는 ZMP가 이동하기는 하지만 지지면인 발바닥 밖으로 바로 나가지는 않는다.
한편,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찰력이 매우 큰 경우에는 로봇 관절이 큰 마찰력에 의해 움직이지 않았기 때문에 외력의 영향이 발바닥의 한쪽 모서리를 축으로 움직이는 것으로 나타난다. 이 때는 ZMP가 축이 되는 모서리에 위치한다.
도 5a 내지 도 5c에서 알 수 있듯이, 자유 낙하하는 경우에는 마찰력이 작을수록 ZMP의 위치 변화가 작다. ZMP가 지지면 내에 존재하고 위치 변화가 작은 상태가 로봇이 균형을 잘 잡고 있는 상태이므로 마찰력을 보상하면 균형을 잡는데 도움이 된다.
로봇 관절의 마찰력만 보상된다고 해서 로봇이 균형을 잡고 서 있는 것은 아니다. 균형을 잡기 위해서는 직립 상태를 유지하고 있어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직립상태를 유지하려는 제어방법으로 제시한 것이 로봇의 중력 방향이 거꾸로 되도록 로봇 관절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로봇 관절에 중력이 거꾸로 작용하도록 만드는 것을 설명한다.
도 6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로봇 관절에 중력이 중력 방향으로 작용하는 것을 나타내고, 도 6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로봇에 (N-1) 배의 중력이 반 중력 방향으로 작용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자(A)가 중력 방향으로 매달려 있다.
제어를 위한 입력 토크나 외부로부터 작용하는 힘이 없는 상태에서의 이러한 진자(A)의 움직임은 다음의 동역학식으로 나타낼 수 있다.
Figure 112009049634313-PAT00001
----- 식 [1]
여기서,
Figure 112009049634313-PAT00002
는 관절의 n × 1 위치 벡터이며, 행렬
Figure 112009049634313-PAT00003
는 n × n 관성행 렬이고,
Figure 112009049634313-PAT00004
는 구심력과 코리올리스(Coriolis) 힘을 나타내는 n × 1 벡터이고,
Figure 112009049634313-PAT00005
는 n × 1의 중력 벡터이다.
도 6a에 도시된 진자는 중력으로 인해 계속해서 아래쪽을 향해 진자 운동을 하게 된다.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모델을 뒤집어서 중력 방향이 위쪽을 향한다고 가정하면, 계속해서 위쪽을 향해 진자 운동을 하는 모델이 된다. 이렇게 중력 방향을 뒤집어서 위쪽으로 향할 수 있도록 N 배의 중력 벡터(
Figure 112009049634313-PAT00006
)인 입력 토크(
Figure 112009049634313-PAT00007
)를 인가하면 로봇 관절의 동력학식은 다음의 식 [2]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Figure 112009049634313-PAT00008
----- 식 [2]
정리하면, 다음의 식 [3]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Figure 112009049634313-PAT00009
----- 식 [3]
여기서, N은 상수이다.
도 6b와 같이, 로봇 관절이 로봇 관절에 (N-1)배의 중력이 위쪽 방향으로 작용하는 것처럼 동작하도록 로봇 관절의 움직임을 제어한다. 이 때, N이 증가할수록 로봇 관절이 목표치에 빨리 수렴하게 되어 로봇 관절의 흔들림 폭이 적어진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리식 이동 로봇의 제어장치에서 로봇 관 절의 마찰력과 반중력을 보상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도 7을 살펴보면, 제어부(40)는 로봇 관절을 움직이기 위해 제어 입력인 목표로 하는 로봇 관절의 관절각도와 관절각속도를 입력받는다(100).
그리고, 제어부(40)는 로봇 관절의 관절 각속도에 기초하여 로봇 관절의 마찰력을 모델링한다(110). 이 때, 로봇 관절의 관절 각속도를 근거로 하여 마찰력을 추정하고, 이 마찰력을 보상하도록 이 마찰력에 상응하는 보상 신호를 생성한다.
로봇 관절의 마찰력을 모델링한 후 제어부(40)는 로봇 관절의 마찰력에 상응하는 보상 신호를 피드포워드 제어로 관절부(60)에 제공하여 로봇 관절의 움직임을 제어함으로서 로봇 관절의 마찰력을 보상한다(120). 이에 따라, 로봇 관절의 기구적인 마찰력이 상쇄되어 로봇 관절이 기구적인 마찰력이 없는 것처럼 작동한다. 즉, 로봇 관절이 기구적인 마찰력이 없는 것처럼 작동하기 때문에 ZMP 위치변화가 최소화되어 로봇의 발바닥이 바닥면에 붙어 있게 된다.
로봇 관절의 마찰력을 보상한 후 제어부(40)는 로봇 관절의 관절 각도에 기초하여 로봇 관절의 반중력을 모델링한다(130). 이 때, 로봇 관절의 관절 각도를 근거로 하여 로봇의 반중력을 추정하고, 이 반중력을 보상하도록 이 반중력에 상응하는 보상 신호를 생성한다.
로봇 관절의 반중력을 모델링한 후 제어부(40)는 로봇 관절의 반중력에 상응하는 보상 신호를 피드포워드 제어로 관절부(60)에 제공하여 로봇 관절의 움직임을 제어함으로서 로봇 관절의 반중력을 보상한다(140). 이에 따라, 로봇 관절이 로봇 관절에 중력이 거꾸로 작용하는 것처럼 움직여 로봇이 직립 상태를 유지한다.
이상과 같이 피드포워드 제어를 통해 마찰력을 보상하고 중력이 반대로 작용하는 것처럼 동작하게 하여 ZMP의 변화를 줄이고 직립을 유지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로봇이 넘어지지 않고 균형을 잡을 수 있다.
본 발명은 다리식 이동 로봇이 직립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균형을 잡고 서 있을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을 이용하면 로봇 시스템 전체의 동역학식을 알지 못하더라도 로봇 관절의 마찰력과 중력 모델만 안다면 균형을 잡고 서 있을 수 있다. 또한 기존의 최적화 문제를 풀어서 균형을 잡는 방법들과 접근 방법이 다르기 때문에 기존 방법에서의 문제점들이 발생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리식 이동 로봇의 외관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다리식 이동 로봇의 주요 관절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리식 이동 로봇의 제어장치의 제어블록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제어부의 구체적인 제어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a 내지 도 5c는 로봇 관절에 작용하는 마찰력과 ZMP 위치간의 상관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다리식 이동 로봇에 중력이 중력 방향으로 작용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다리식 이동 로봇에 (N-1) 배의 중력이 반 중력 방향으로 작용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리식 이동 로봇의 제어방법에 대한 제어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 기능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로봇 11R, 11L : 다리
12 : 몸통 15R, 15L : 발
17R, 17L : 발목 관절 18R, 18L : 무릎 관절
19R, 19L : 힙 관절 22R, 22L : F/T센서
30 : 사용자인터페이스부 40 : 제어부
41 : 관절 제어부 42 : 마찰력 보상부
43 : 반중력 보상부 50 : 센서부
60 : 관절부

Claims (14)

  1. 로봇 관절에 설치된 액추에이터를 구동하는 관절부;
    상기 로봇 관절의 기구적인 마찰력을 상쇄시키도록 상기 관절부를 작동시켜 상기 로봇 관절의 마찰력을 보상하고, 상기 로봇 관절에 중력이 반 중력방향으로 작용하는 것처럼 상기 로봇 관절이 움직이도록 상기 관절부를 작동시켜 상기 로봇 관절의 반 중력을 보상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다리식 이동 로봇의 제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로봇 관절의 마찰력을 보상하는 마찰력 보상부와, 상기 로봇 관절의 반중력을 보상하는 반중력 보상부와, 상기 로봇 관절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관절 제어부를 포함하는 다리식 이동 로봇의 제어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력 보상부는 피드포워드 제어를 통해 상기 로봇 관절의 마찰력을 보상하는 다리식 이동 로봇의 제어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력 보상부는 상기 로봇 관절이 마찰력이 없는 것처럼 움직이도록 상기 로봇 관절의 마찰력을 보상하는 다리식 이동 로봇의 제어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력 보상부는 제어입력인 목표로 하는 관절 각속도를 입력받고, 상기 입력된 관절 각속도를 근거로 하여 상기 로봇 관절의 마찰력을 추정하고, 상기 추정된 마찰력을 보상하도록 상기 마찰력에 상응하는 보상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보상 신호를 상기 관절부에 제공하는 다리식 이동 로봇의 제어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반중력 보상부는 피드포워드 제어를 통해 상기 로봇 관절의 반중력을 보상하는 다리식 이동 로봇의 제어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반중력 보상부는 제어입력인 목표로 하는 관절 각도를 입력받고, 상기 입력된 관절 각도를 근거로 하여 상기 로봇 관절의 반중력을 추정하고, 상기 추정된 반중력을 보상하도록 상기 반중력에 상응하는 보상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보상 신호를 상기 관절부에 제공하는 다리식 이동 로봇의 제어장치.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관절 제어부는 피드백 제어를 통해 상기 로봇 관절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다리식 이동 로봇의 제어장치.
  9. 로봇 관절에 설치된 액추에이터를 구동하는 관절부와,
    상기 로봇 관절의 기구적인 마찰력을 상쇄시키도록 상기 관절부를 작동시켜 상기 로봇 관절의 마찰력을 보상하거나, 상기 로봇 관절에 중력이 반 중력방향으로 작용하는 것처럼 상기 로봇 관절이 움직이도록 상기 관절부를 작동시켜 상기 로봇 관절의 반 중력을 보상하는 것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다리식 이동 로봇의 제어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로봇 관절의 마찰력을 피드포워드 제어를 통해 보상하는 마찰력 보상부와, 상기 로봇 관절의 반중력을 상기 피드포워드 제어를 통해 보상하는 반중력 보상부를 포함하는 다리식 이동 로봇의 제어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력 보상부는 제어입력인 목표로 하는 관절 각속도를 이용하여 상기 로봇 관절의 마찰력을 모델링하고, 상기 모델링된 마찰력에 상응하는 보상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관절부에 제공하고,
    상기 반중력 보상부는 제어입력인 목표로 하는 관절 각도를 이용하여 상기 로봇 관절의 반중력을 모델링하고, 상기 모델링된 반중력에 상응하는 보상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관절부에 제공하는 다리식 이동 로봇의 제어장치.
  12. 로봇 관절의 기구적인 마찰력을 상쇄시키도록 로봇 관절을 움직여 상기 로봇 관절의 마찰력을 보상하고;
    상기 로봇 관절의 마찰력을 보상함과 함께 상기 로봇 관절에 중력이 반 중력방향으로 작용하는 것처럼 상기 로봇 관절이 움직이도록 상기 로봇 관절을 움직여 상기 로봇 관절의 반 중력을 보상하는 것을 포함하는 다리식 이동 로봇의 제어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제어입력인 목표로 하는 관절 각속도를 입력받고, 상기 입력된 관절 각속도를 근거로 하여 상기 로봇 관절의 마찰력을 추정하고, 상기 추정된 마찰력을 보상하도록 상기 마찰력에 상응하는 보상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보상 신호에 따라 상기 로봇 관절을 움직이는 다리식 이동 로봇의 제어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제어입력인 목표로 하는 관절 각도를 입력받고, 상기 입력된 관절 각도를 근거로 하여 상기 로봇 관절의 반중력을 추정하고, 상기 추정된 반중력을 보상하도록 상기 반중력에 상응하는 보상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보상 신호에 따라 상기 로봇 관절을 움직이는 다리식 이동 로봇의 제어방법.
KR1020090074986A 2009-08-14 2009-08-14 다리식 이동 로봇의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10017500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4986A KR20110017500A (ko) 2009-08-14 2009-08-14 다리식 이동 로봇의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12/853,879 US20110040410A1 (en) 2009-08-14 2010-08-10 Apparatus and method controlling legged mobile robo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4986A KR20110017500A (ko) 2009-08-14 2009-08-14 다리식 이동 로봇의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7500A true KR20110017500A (ko) 2011-02-22

Family

ID=435890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4986A KR20110017500A (ko) 2009-08-14 2009-08-14 다리식 이동 로봇의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10040410A1 (ko)
KR (1) KR20110017500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39119A (ko) * 2012-04-02 2014-12-04 애플 인크. 전자 디바이스의 보호
US9104207B2 (en) 2010-12-23 2015-08-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Walking robot and control method thereof
WO2018097419A3 (ko) * 2016-11-22 2018-08-02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이족 보행 로봇의 안정된 보행 제어를 위해 단순화된 로봇의 모델링 방법
US10471610B2 (en) 2015-06-16 2019-11-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Robot arm having weight compensation mechanism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777818B1 (en) * 2010-12-22 2014-07-15 Larry E. Tate, Jr. Training device
US9432492B2 (en) 2013-03-11 2016-08-30 Apple Inc. Drop countermeasures for electronic device
US9505032B2 (en) 2013-03-14 2016-11-29 Apple Inc. Dynamic mass reconfiguration
US9715257B2 (en) 2014-04-18 2017-07-25 Apple Inc. Active screen protection for electronic device
JP6228097B2 (ja) * 2014-10-06 2017-11-08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移動ロボット
CN104634486A (zh) * 2014-12-26 2015-05-20 清华大学 步行机器人脚力测量装置
CN105856218B (zh) * 2016-05-20 2018-01-26 西安电子科技大学 一种基于皮带传动的仿人型平面多关节机器人
CN106737585B (zh) * 2016-12-29 2023-07-14 深圳市优必选科技有限公司 腰部结构及人形机器人
CN108639183B (zh) * 2018-06-07 2021-03-19 重庆邮电大学 一种提高双足机器人平衡性和行走速度的装置及控制方法
CN110244791B (zh) * 2019-07-11 2020-05-15 北京理工大学 一种双足机器人足部力和力矩跟随控制方法
CN112975987B (zh) * 2021-03-25 2022-12-09 江苏集萃复合材料装备研究所有限公司 一种基于动力学模型的骨科手术机器人控制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55064A (en) * 1992-03-04 1994-10-11 Honda Giken Kogyo Kabushiki Kaisha Control system for legged mobile robot
EP1418026A1 (en) * 1995-09-11 2004-05-12 Kabushiki Kaisha Yaskawa Denki Control apparatus for robot
EP0965416B1 (en) * 1996-12-19 2005-12-07 Honda Giken Kogyo Kabushiki Kaisha Attitude controller of legged moving robot
EP2362285B1 (en) * 1997-09-19 2015-03-25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Robotic apparatus
US6472839B1 (en) * 1999-04-05 2002-10-29 Sony Corporation Robot, servo circuit, actuator, robot control method, and actuator control method
US7035716B2 (en) * 2001-01-29 2006-04-25 The Acrobot Company Limited Active-constraint robots
US7135003B2 (en) * 2001-06-29 2006-11-14 Honda Giken Kogyo Kabushiki Kaisha Feedback estimation of joint forces and joint moments
US7390309B2 (en) * 2002-09-23 2008-06-24 Honda Motor Co., Ltd. Human assist system using gravity compensation control system and method using multiple feasibility parameters
EP1652634B1 (en) * 2003-07-29 2011-12-28 Panasonic Corporation Robot arm control method and control device
JP4800037B2 (ja) * 2004-02-06 2011-10-26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移動ロボットの歩容生成装置
JP4559803B2 (ja) * 2004-09-14 2010-10-13 敏男 福田 関節角の受動変化を利用して歩行するロボットとその制御方法
US7313463B2 (en) * 2005-03-31 2007-12-25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Biomimetic motion and balance controllers for use in prosthetics, orthotics and robotics
US7355364B2 (en) * 2005-09-29 2008-04-08 Honda Motor Co., Ltd. Motor and controller inversion: commanding torque to position-controlled robots
JP4641252B2 (ja) * 2005-12-12 2011-03-02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脚式移動ロボットの歩容生成装置
US8924021B2 (en) * 2006-04-27 2014-12-30 Honda Motor Co., Ltd. Control of robots from human motion descriptors
KR100958114B1 (ko) * 2007-12-17 2010-05-18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인간형 로봇의 보행 안정화 및 자세 제어 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104207B2 (en) 2010-12-23 2015-08-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Walking robot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40139119A (ko) * 2012-04-02 2014-12-04 애플 인크. 전자 디바이스의 보호
US10471610B2 (en) 2015-06-16 2019-11-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Robot arm having weight compensation mechanism
WO2018097419A3 (ko) * 2016-11-22 2018-08-02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이족 보행 로봇의 안정된 보행 제어를 위해 단순화된 로봇의 모델링 방법
US11253993B2 (en) 2016-11-22 2022-02-22 Korea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Method for modeling robot simplified for stable walking control of bipedal robo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10040410A1 (en) 2011-0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17500A (ko) 다리식 이동 로봇의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20071599A (ko) 보행 로봇 및 그 제어 방법
KR101985790B1 (ko) 보행 로봇 및 그 제어 방법
JP4181113B2 (ja) 脚式移動ロボットの自己姿勢推定装置
JP5221688B2 (ja) 脚式移動ロボットの歩容生成装置
JP4800037B2 (ja) 移動ロボットの歩容生成装置
KR101209097B1 (ko) 다리식 이동 로봇의 보용생성장치 및 제어장치
KR101131775B1 (ko) 다리식 이동 로봇의 제어장치
EP1825967B1 (en) Gait generator of legged mobile robot
JP4225968B2 (ja) 脚式移動ロボットの制御装置
KR20110084630A (ko) 인간형 로봇 및 그 보행 제어방법
US9079624B2 (en) Walking robot and method of controlling balance thereof
KR20110084632A (ko) 로봇의 보행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0515277B1 (ko) 2각 보행식 이동 장치, 그 보행 제어 장치 및 보행 제어방법
KR20100086355A (ko) 로봇의 보행 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20110084631A (ko) 인간형 로봇 및 그 보행 제어방법
KR20110082394A (ko) 보행 로봇 및 그 제어 방법
KR20100078248A (ko) 보행 로봇 및 그 제어방법
KR101766755B1 (ko) 보행 로봇 및 그 제어방법
JP5639342B2 (ja) ロボット及びその歩行制御方法
KR20120071020A (ko) 보행 로봇 및 그 제어 방법
JP5268107B2 (ja) 多脚歩行式移動装置のハイブリッド制御装置及び手法
JP5232120B2 (ja) 移動体の制御装置
JP4237130B2 (ja) 脚式移動ロボットの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