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17498A - 양성망 부착생물 제거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양성망 부착생물 제거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17498A
KR20110017498A KR1020090074983A KR20090074983A KR20110017498A KR 20110017498 A KR20110017498 A KR 20110017498A KR 1020090074983 A KR1020090074983 A KR 1020090074983A KR 20090074983 A KR20090074983 A KR 20090074983A KR 20110017498 A KR20110017498 A KR 201100174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sitive
water tank
network
water
n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749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15556B1 (ko
Inventor
정승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씨에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씨에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씨에버
Priority to KR10200900749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5556B1/ko
Publication of KR201100174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74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55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55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50Culture of aquatic animals of shellfish
    • A01K61/54Culture of aquatic animals of shellfish of bivalves, e.g. oysters or musse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6Arrangements for heating or lighting in, or attached to, receptacles for live fis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4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 B08B3/06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using perforated drums in which the article or material is plac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4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 B08B3/10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with additional treatment of the liquid or of the object being cleaned, e.g. by heat, by electricity or by vib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4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 B08B3/10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with additional treatment of the liquid or of the object being cleaned, e.g. by heat, by electricity or by vibration
    • B08B3/106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with additional treatment of the liquid or of the object being cleaned, e.g. by heat, by electricity or by vibration by boiling the liq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3/00Devices, e.g. jacks, adapted for uninterrupted lifting of loads
    • B66F3/24Devices, e.g. jacks, adapted for uninterrupted lifting of loads fluid-pressure operate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KMEASURING TEMPERATURE; MEASURING QUANTITY OF HEAT; THERMALLY-SENSITIVE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K7/00Measuring temperature based on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elements directly sensitive to heat ; Power supply therefor, e.g. using thermoelectric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2203/00Details of cleaning machines or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2203/007Heating the liqui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Zoolog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양성망 부착생물 제거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해수(海水)에 잠겨 종패(種貝)를 육성시키는 양성망을 일시적으로 건져 올려 종패에 무해한 온도의 열수에 양성망을 담가 열처리시키는 것으로서, 양성망의 망 표면에 기생하여 내부에 담겨진 종패의 영양분 섭취를 방해하는 따개비 기타 유생(幼生) 등의 부착생물을 제거할 수 있는 양성망 부착생물 제거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종패가 담긴 양성망이 내부로 수용되는 물 탱크와 상기 물 탱크에 채워진 물을 가열하는 히터와 상기 물의 온도를 측정하는 수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양성망 부착생물 제거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CLEANING ATTACHED ORGANISM OF NET}
본 발명은 양성망 부착생물 제거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해수(海水)에 잠겨 종패(種貝)를 육성시키는 양성망을 종패에 무해한 온도의 열수에 담가 열처리하는 것으로서, 양성망의 망 표면에 기생하여 종패의 영양분 섭취를 방해하는 따개비 기타 유생(幼生) 등의 부착생물을 제거할 수 있는 양성망 부착생물 제거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굴(oyster)은 BC 1세기에 나폴리에서 양식되었다는 기록이 남아 있을 정도로 옛날부터 식용으로 이용되어 왔고 '바다의 우유'라 불리울 만큼 인체에 유익한 여러 성분을 풍부하게 함유하고 있다.
현대에 들어서는 이러한 굴의 효능이 과학적으로 밝혀짐에 따라 스테미너식으로 각광받고 회를 먹지 못하는 서양인들에게까지 그 소비가 방대하여 이를 충족시키기 위한 굴 양식이 세계적으로 성행하고 있다.
이러한 굴 양식의 방법으로 기존에는 연승수하식, 투석식과 같은 방법을 이용하고 있으나, 이와 같은 방법은 복수개의 패(貝)가 한 덩어리로 뭉치는 경우가 빈번하고 그에 따른 간섭으로 성장이 더디고 수확 시(侍) 덩어리진 패를 분리하기 위한 별도의 작업을 필요로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최근에는 각각이 독립적으로 성장되는 개체 굴의 종패를 양성망에 담아 갯벌에 마련된 구조물에 장착하여 양식하는 수평망식 양식이 관심을 끌고 있다.
여기서, 개체 굴이란 여러 개가 하나의 부착기질에 부착되어 성장하지 않고 낱개로 분리되어 독립된 개체로 성장하는 굴을 말하고, 종패란 일반적으로 채묘(採苗)된 굴의 치패(稚貝)가 성장하여 일정 크기 이상으로 커진 것을 말한다.
이와 같은 개체 굴의 종패에 관한 생산 및 양성 시스템은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0591586호의 등록특허공보에 상세히 개재되어 있는바 이를 간략히 살펴보면, 유생수조에 부착기질로서 패각 진주층 분말, 백운석 분말, 석회석 분말 중 어느 한 종류의 분말을 뿌리고, 성숙된 유생을 투입시켜 분말에 채묘시킨 후 일정크기까지 성장시키는 방식을 취한다.
참고로, 이하 본 명세서에서는 '종패'라는 용어를 양성망에 실장될 수 있을 정도의 크기(그 기장이 약 1cm 정도)로 성장된 개체 굴을 지칭하는 것으로 정의한다.
이렇게 종패가 담긴 양성망을 이용하는 수평망식 양식법은 연승수하식 내지 투석식과 달리 복수개의 패(貝)가 간섭없이 낱개로 성장하여 성패(成貝)의 크기가 크고 수확 시 덩어리진 패를 분리할 필요없는 획기적인 양식법이다.
그러나, 이러한 수평망식 양식의 단점은 양성망이 해수에 담겨있는 동안 해수에 포함된 기타 유생 등의 부착생물이 망의 표면에 부착하여 기생하게 된다는 것이다.
따라서, 종패의 먹잇감으로 양성망의 내부로 유입되야 할 해수의 영양분이 망의 표면에서 부착생물에 의해 미리 소비되고, 그에 따라 종패는 충분한 영양분을 섭취하지 못해 왕성한 성장을 이루지 못하는 치명적인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실정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해수로부터 건져진 양성망을 열수(熱水)에 담가 그 열로 부착생물을 폐사시키는 양성망 부착생물 제거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작업자가 화상 등의 상해 없이 양성망을 열수에 담갔다가 배출할 수 있는 양성망 부착생물 제거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열수의 온도를 적정범위로 일정하게 유지시켜 종패까지 폐사되는 것을 방지하는 양성망 부착생물 제거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종패가 담긴 양성망이 잠기는 해수가 채워지는 물탱크와 상기 해수를 가열하는 히터와 상기 가열된 해수의 온도를 측정하는 수온계로 이루어진 열탕부; 상기 양성망 하나 이상이 적층되고 상기 물탱크의 내부로 수용되는 거치부; 및 상기 거치부를 상승 내지 하강시키는 리프팅부를 포함하는 양성망 부착생물 제거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물탱크 내부에서 해수를 순환시키는 순환펌프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수온계는 디지털수온계이고, 상기 디지털수온계에서 측정된 값이 기(旣) 설정된 온도범위를 유지하도록 상기 히터를 온(ON)/오프(OFF) 시키는 온도컨트롤러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온도범위는 70℃ ~ 90℃ 이다.
또한, 상기 리프팅부는 볼스크류(Ball screw) 또는 랙앤드피니언(Rack & Pinion)과 이를 구동시키는 모터 또는 핸들이다.
또한, 상기 리프팅부는 상기 물 탱크의 측벽에 길이방향으로 수직하게 장착된 에어실린더; 및 상기 에어실린더로부터 입출되는 샤프트이다.
또한, 상기 에어실린더에 연결된 에어솔레노이드밸브; 상기 에어솔레노이드밸브를 조작하는 작동컨트롤러; 및 상기 작동컨트롤러에 계측신호를 전달하는 계측수단을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계측수단은 상기 거치부의 하강 및 상승 시간이 설정 가능한 타이머 또는 물탱크 내부의 상단과 하단에 위치한 상하감지센서이다.
나아가 본 발명은 기(旣) 설정된 온도범위를 유지하는 열수에 종패가 담긴 양성망을 담갔다가 배출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양성망 부착생물 제거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온도범위는 70℃ ~ 90℃ 이다.
또한, 상기 양성망을 상기 열수에 일정시간 동안 담갔다가 배출시킨다.
또한, 상기 일정시간은 1초 ~ 5초이다.
본 발명에 따른 양성망 부착생물 제거 장치 및 방법은 양성망의 표면에 부착된 기타 유생 등의 부착생물을 열수로 폐사시켜 양성망에서 쉽게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즉, 해수에서 건져 올려진 양성망을 그 내부에 실장된 종패에는 무해한 수준의 열수에 담가 그 열로 부착생물을 폐사시켜 손쉽게 제거하고, 이렇게 부착생물이 제거된 양성망을 다시 해수에 담그면 부착생물의 방해없이 종패가 해수로부터 영양분을 수월히 공급받아 보다 나은 환경에서 육성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양성망을 거치부에 얹고 이를 리프팅부로 상하 이동시켜 작업자의 힘든 노동 없이 다량의 양성망을 쉽게 열수에 담갔다가 뺄 수 있고 열수로 인한 작업자의 상해를 방지하여 안전하게 작업을 이룰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열수의 온도를 적정온도로 유지되게 히터를 제어하여 종패는 폐사되지 않고 부착생물만 폐사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양성망이 열수에 잠기는 시간을 일정시간으로 유지시켜 종패가 열수에 오래 노출되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열수와 양성망에 접촉되는 부분은 스테인레스재 내지 방식도료를 도포하여 양성망의 열처리시 녹슨 물이 종패에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해서 본 발명을 상세히 살펴본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양성망 부착생물 제거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양성망 부착생물 제거 장치는 종패(20)의 육성을 위해 해수에 잠긴 양성망(10)의 망 표면에 부착된 따개비 기타 유생 등의 부착생물(30)을 열처리로 제거하기 위한 것으로, 양성망(10)의 열처리를 위한 열수가 저장되는 열탕부(100), 부착생물(30) 제거의 전과정 중에 양성망(10)이 안착되는 거치부(200), 양성망(10)이 열수가 담긴 열탕부(100)에 담겼다가 꺼내지도록 거치부(200)를 상하 이동시키는 리프팅부(300)를 포함한다.
따라서, 해수에 잠겨 있다가 일시적으로 건져 올려진 양성망(10)은 종패(20)가 담긴 채로 거치부(200)에 안착된 후 리프팅부(300)의 작동으로 열탕부(100)에 담겼다가 꺼내져 망 표면에 달라붙은 부착생물을 제거하게 된다.
이때, 상세히 후술하겠지만 열탕부(100)에 저장되는 열수는 종패(20)는 손상되지 않는 적당한 온도를 유지하는바, 종패(20)가 담긴 채로 양성망(10)이 열탕부(100)에 담겨져도 망 표면에 달라붙은 부착생물(30)만 폐사되고 내부에 담겨진 종패(20)는 별다른 손상이 없게 된다.
이와 같은 열탕부(100)와 거치부(200) 및 리프팅부(300)의 상세한 구성을 구분해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관한 양성망 부착생물 제거 장치의 열탕부(100)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관한 양성망 부착생물 제거 장치의 거치부(200) 및 리프팅부(300)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먼저, 열탕부(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탱크(110)와 물탱크(110)의 저부에 마련된 히터(120)를 포함한다.
여기서, 물탱크(110)는 상면이 개구되고 그 내부로 열수(111)의 저장공간이 마련된 일반적인 직육면체 형태일 수 있으나 거치부(200; 도 1 참조)가 수용될 수 있는한 그 어느 형태로도 변형 가능하다.
그리고, 물탱크(110)의 내부에 채워진 열수(111)는 물탱크(110)의 저부 일측면을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된 배수관(130)을 통해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배수관(130)이 마개(미도시) 또는 밸브(미도시)로 열고 닫을 수 있게 구성된다.
또한, 물탱크(110)의 내부에는 거치부(200; 도 1참조)의 상하 이동을 가이드하는 막대형상의 가이드바(140)가 상하방향으로 설치되고, 바람직하게는 물탱크(110)의 길이방향 양측 중앙 내측의 저면에 마련된다.
그 상단은 상기 가이드구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턱(141)이 수평하게 돌출된다.
또한, 물탱크(110)의 이동이 용이하도록 물탱크(110)의 하부에 바퀴(미도시)가 추가될 수 있다.
상기 바퀴(미도시)는 방향전환이 자유로운 캐스터 타입일 수 있으나, 안전을 위해 작업 도중 물탱크(110)의 위치가 고정되도록 바퀴(미도시)의 회전을 방지하는 잠금장치 등이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잠금장치 등은 바퀴의 회전을 단속하기 위한 것으로, 당업자에게 있어 자명할 것이다.
또한, 물탱크(110)의 길이방향 일측벽의 상단에는 소정의 길이로 외향의 측 방으로 돌출된 배출대(150)가 마련된다.
이러한 배출대(150)는 물 빠짐이 수월한 형태, 예컨대 도면에서와 같이 여러 개의 걸림단(151)이 일정간격으로 나란히 배치된 형태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배출대(150)는 물탱크(110)에 영구 고정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장비의 효율적인 수납을 위해 평소에는 하방으로 접혀져 사용 시에만 펼칠 수 있다.
이러한 배출대(150)로 후술하는 바와 같이 열처리된 양성망(10)이 토출되면 그 열이 식혀져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쉽게 양성망을 들어 나를 수 있게 된다.
히터(120)는 '∪'자형의 리턴밴드 타입으로 마련되어 물탱크(110)의 내측 저부에 실장되는 히팅관(121)과 히팅관(121)의 말단에 연결되는 전원공급단(123)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히팅관(121)은 복수개가 물탱크(110)의 내측 저부에 수평으로 나란히 마련되어 물탱크(110)의 수평 단면적에 상응하는 발열영역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지만, 히팅관(121)의 형태가 '∪'자형의 리턴밴드 타입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물탱크(110)의 내측 저부의 수평단면의 영역을 포괄적으로 차지할 수 있는 형태인 것이라면 그 어떤 형태의 변형도 가능하다.
전원공급단(123)은 물탱크(110)의 저부 외측면에 장착되어 외부의 전원장치(미도시)로부터 전기가 공급되는 전원선(125)이 연결된다.
즉, 위에서 언급된 히팅관(121)은 전원공급단(123)으로 공급되는 전기에 의해 가열되는 전열방식의 전기히팅관인 것이다.
이와 같은 히터(120)는 물탱크(110) 내의 열수(111) 온도를 측정하는 디지털 수온계(161)와 연동된 온도콘트롤러(160)에 의해 작동이 제어되며, 온도콘트롤러(160)는 디지털수온계(161)의 측정값에 따라 물탱크(110) 내의 열수(111)가 기(旣) 설정된 온도범위를 유지하도록 전원공급단(123)으로 공급되는 전원을 온(ON)/오프(OFF)시켜 히팅관(121)의 가열을 제어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온도범위는 70℃ ~ 90℃ 이다.
한편, 디지털수온계(161)의 측정값은 별도의 외부표시단말기(미도시)에 표출되어 작업자가 육안으로 열수(111)의 온도를 실시간 파악할 수 있다. 그리고 필요하다면 지침이 표시되는 아날로그수온계(170)가 별도로 장착될 수 있다.
추가로, 물탱크(110) 외측 일면에는 순환펌프(180)가 장착되고 이로부터 상부 및 하부로 연장된 순환관(181)이 물탱크(110)의 내부로 관통된다. 이러한, 순환펌프(180)를 통해 히팅관(121)에 의해 가열된 저부의 해수와 상부의 해수가 섞여 물탱크(110) 내부에 전체적으로 고른 온도의 열수(111)가 분포되게 한다.
같은 역할로 수중팬(미도시) 등이 사용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거치부(200) 및 리프팅부(300)에 관한 설명은 도 3을 토대로 설명하되, 열탕부(100)와의 연결구조를 함께 살피기 위해 도 2를 같이 참고 한다.
거치부(200)는 양성망(10)이 얹혀지는 거치프레임(210), 거치프레임(210)의 각 모서리로부터 상부로 연장된 제1연장부재(220), 제1연장부재(220)와 후술하는 샤프트(320)를 연결하는 제2연장부재(230)를 포함한다.
여기서 거치프레임(210)은 직사각형 테두리 내부에 양성망(10)이 얹혀지는 복수개의 걸림부재(211)가 나란히 배치된다.
또한, 거치프레임(210)에는 가이드바(140)가 관통되는 가이드구(213)가 마련되고, 이로써 거치프레임(210)의 상하 이동이 가이드된다.
한편, 제1 및 제2연장부재(220, 230)는 거치프레임(210)을 후술하는 샤프트(320)에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 흔들림을 방지하기 위해 무게중심을 고려, 적절한 형태를 나타낼 수 있다. 단, 주의할 것은 제1 및 제2연장부재(220, 230)는 거치프레임(210)에 놓인 양성망(10)을 물탱크(110)의 열수(111)에 충분히 담그고 뺄 수 있을 정도여야 한다. 이에 대해서는 당업자에게 있어 자명하다.
다음으로, 리프팅부(300)는 물탱크(110)의 외측벽에 장착된 에어실린더(310)와 에어실린더(310)로부터 수직으로 입출되는 샤프트(320)로 이루어진다.
에어실린더(310)는 물탱크(110)에 하나 이상으로 장착되고, 바람직하게는 물탱크(110)의 길이방향을 가로지르는 두 측벽의 외면에 각각 대응되게 장착된다.
또한, 에어실린더(310)는 후술하는 작동콘트롤러(33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는 에어솔레노이드밸브(미도시)가 마련된다.
이러한 에이실린더(310)의 상단에서 수직 승강하는 샤프트(320)의 상단은 제2연장부재(230)의 양단에 연결된다.
이때, 샤프트(320)는 거치프레임(210)이 물탱크(110) 내부의 열수(111) 위로 충분히 노출될 수 있을 정도의 길이로 에어실린더(310)로부터 상부로 인출되어야 한다. 이와 더불어 에어실린더(310)도 물탱크(110)에 적정한 높이로 장착되어야 한다.
참고로, 샤프트(320)와 에어실린더(310) 대신 볼스크류(Ball screw) 또는 랙 앤드피니언(Rack & Pinion)과 이를 회전시키는 핸들 또는 모터 등으로 구비된 리프팅부(300)의 변형은 당업자에게 있어 자명하다.
이와 같은 리프팅부(300)는 계측수단(미도시)과 연동되는 작동콘트롤러(330)가 연결된다.
이러한, 작동콘트롤러(330)에는 리프팅부(300)의 작동을 작업자가 온(ON) 시킬 수 있는 버튼(331)이 연결되고, 바람직하게는 작업자가 발로 조작이 가능한 풋패달버튼이 연결된다.
이러한 버튼(331)은 같은 기능을 갖는 그 어떤 스위치로 변형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이때, 리프팅부(300)는 작동콘트롤러(330)가 생략된 버튼(331)만으로 작동되어 거치부(200)의 상승 내지 하강이 조작될 수 있으나(이때, 버튼(331)은 온(ON)/오프(OFF) 뿐만 아니라 구동방향 전환스위치까지 겸비한다), 보다 편리하고 일관된 열처리 시간 확보(즉, 매회 양성망(10)이 열수(111)에 동일한 시간동안 잠겼다가 배출되도록)를 위해 작동콘트롤러(330)가 연결된다.
계측수단(미도시)은 기(旣) 설정된 거치프레임(210)이 하강하는 시간, 상승하는 시간에 따라 계측신호를 발생시키는 타이머이거나 거치프레임(210)이 끝까지 하강된 지점의 물탱크(110) 하단과 끝까지 상승된 지점의 물탱크(110) 상단에 장착되어 그에 따라 계측신호를 발생시키는 상하감지센서일 수 있다.
따라서, 작동콘트롤러(330)는 계측수단(미도시)으로부터 발생된 계측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에어솔레노이드밸브(미도시)를 조작하여 에어실린더(310)의 구동을 제어한다.
이때, 계측수단(미도시)으로 상기 타이머와 상하감지센서가 함께 구비되어 거치프레임(210)이 필요에 따라 열수(111)에서 일정시간 대기하다 상승하도록 구비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이와 같은 계측수단(미도시)과 연동되는 작동콘트롤러(330)의 제어에 의해 양성망(10)이 안착된 거치프레임(210)은 열수(111)에 매회 동일한 시간동안 담겨졌다 배출되어 일관된 열처리 시간을 확보하게 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열처리 시간은 1 ~ 5 초이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양성망 부착생물 제거 장치의 열탕부(100), 거치부(200) 및 리프팅부(300) 중 해수와 접촉되는 부분은 스테인레스재로 이루어지거나 무해한 내열성 코팅재가 도포된다.
이를 통해, 해수와의 접촉으로 구성요소가 부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관한 양성망 부착생물 제거 장치를 이용하여 양성망에 부착된 부착생물을 제거하는 방법을 도면을 참고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에 관한 양성망 부착생물 제거 장치의 거치부(200)가 하강한 상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관한 양성망 부착생물 제거 장치의 거치부(200)에서 양성망(10)이 토출되는 상태도이다.
우선, 양성망(10)은 바다 또는 양식장 수조의 해수로 부터 건져올려진 것이고 양성망(10)의 내부에는 종패(20)가 담겨있고 망의 표면에는 해수로부터 달라 붙게된 기타 유생의 치패와 같은 부착생물(30)이 기생하고 있다.
다시 도 1을 참고하면, 양성망(10)이 거치부(200)에 수용되기 위해 거치프레임(210)은 물탱크(110) 상단까지(가이드구(213)가 이탈방지턱(141)에 맞닿을 정도로) 상승한 상태에서 시작된다.
이때, 물탱크(110)의 내부에 채워진 해수는 기 설정된 온도범위의 열수(111)로 가열된 상태이다.
상기 온도범위는 양성망(10)에 담긴 종패(20)에는 손상을 입히지 않으면서 양성망(10)의 망 주변에 부착된 부착생물(30)은 폐사시킬 수 있는 정도의 고온으로서 그 범위는 70℃ ~ 90℃ 인 것이 바람직하다.
물탱크(110)에 채워진 해수가 적정 온도범위를 유지하도록 디지털수온계(161)와 연동된 온도콘트롤러(160)는 실시간으로 히터(120)의 작동을 제어하여 전원을 온(ON)/오프(OFF) 한다.
또한,물탱크(110) 내부는 순환펌프(180)의 작동으로 해수가 고르게 섞여 전체적으로 고른 온도의 열수(111)가 분포된다.
이와 별도로, 거치프레임(210)에는 양성망(10)이 올려진다.
이때, 작업 효율을 높이기 위해 다량의 양성망(10)을 적층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그런 다음, 작업자가 버튼(331)을 눌러 에어실린더(310)를 작동시키면 샤프트(320)가 하방으로 하강하기 시작하고 이에 따라 거치프레임(210)은 물탱크(110)의 내부로 하강하여 양성망(10)이 도 4와 같이 열수(111)에 잠긴다.
그런 다음, 계측수단(미도시)으로부터 거치프레임(210)이 다시 상승되야할 시점의 계측신호가 발생되면 작동콘트롤러(330)는 그 신혼에 따라 에어솔레노이드밸브(미도시)를 조작하여 에어실린더(310)의 작동방향을 상방으로 전환시킨다.
따라서, 샤프트(320)는 에어실린더(310)로부터 인출되어 상방으로 신장되고 이를 따라 거치프레임(210)이 상방으로 상승하여 도 5와 같이 열수(111)로부터 노출된다.
이에 따라 열수(111)에 잠겼던 양성망(10)의 표면에 부착된 부착생물은 고열로 폐사되고 종패(20)는 별다른 손상없이 종전의 상태를 유지한다.
또한, 매회 동일한 시간동안 양성망(10)이 열수(111)에 담겼다 배출되어 일관된 시간동안의 열처리가 이루어져 종패(20)의 안전이 확보된다.
이렇게 열수(111)에 잠겼다가 노출된 양성망(10)은 작업자에 의해 거치프레임(210)에서 배출대(150)로 밀려지고, 그 위에서 다소 식혀진 양성망(10)은 작업자에 의해 운반되어 다시 바다 또는 양식장의 해수에 잠기게 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지나지 않는바, 다양한 변형이 있을 수 있다. 하지만, 이들 변형이 본 발명의 기술사상에 포함된다면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있다 해야 할 것이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하의 특허청구범위를 통해 당업자에게 쉽게 파악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양성망 부착생물 제거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관한 양성망 부착생물 제거 장치의 열탕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관한 양성망 부착생물 제거 장치의 거치부 및 리프팅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관한 양성망 부착생물 제거 장치의 거치부가 하강한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에 관한 양성망 부착생물 제거 장치의 거치부에서 양성망이 토출되는 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양성망 20: 종패
30: 부착생물 100: 열탕부
110: 물탱크 111: 열수
120: 히터 121: 히팅관
123: 전원공급단 125: 전원선
130: 배수관 140: 가이드바
141: 이탈방지턱 150: 배출대
151: 걸림단 160: 온도콘트롤러
161: 디지털수온계 170: 아날로그수온계
180: 순환펌프 181: 순환관
200: 거치부 210: 거치프레임
211: 걸림부재 220: 제1연장부재
230: 제2연장부재 213: 가이드구
300: 리프팅부 310: 에어실린더
320: 샤프트 330: 작동콘트롤러
331: 버튼

Claims (12)

  1. 종패가 담긴 양성망이 잠기는 해수가 채워지는 물탱크와 상기 해수를 가열하는 히터와 상기 가열된 해수의 온도를 측정하는 수온계로 이루어진 열탕부;
    상기 양성망 하나 이상이 적층되고 상기 물탱크의 내부로 수용되는 거치부; 및
    상기 거치부를 상승 내지 하강시키는 리프팅부를 포함하는 양성망 부착생물 제거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물탱크 내부에서 해수를 순환시키는 순환펌프를 더 포함하는 양성망 부착생물 제거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온계는 디지털수온계이고, 상기 디지털수온계에서 측정된 값이 기(旣) 설정된 온도범위를 유지하도록 상기 히터를 온(ON)/오프(OFF) 시키는 온도컨트롤러를 더 포함하는 양성망 부착생물 제거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온도범위는 70℃ ~ 90℃ 인 양성망 부착생물 제거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리프팅부는
    볼스크류(Ball screw) 또는 랙앤드피니언(Rack & Pinion)과 이를 구동시키는 모터 또는 핸들인 양성망 부착생물 제거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리프팅부는
    상기 물 탱크의 측벽에 길이방향으로 수직하게 장착된 에어실린더; 및
    상기 에어실린더로부터 입출되는 샤프트인 양성망 부착생물 제거 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에어실린더에 연결된 에어솔레노이드밸브;
    상기 에어솔레노이드밸브를 조작하는 작동컨트롤러; 및
    상기 작동컨트롤러에 계측신호를 전달하는 계측수단을 더 포함하는 양성망 부착생물 제거 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계측수단은
    상기 거치부의 하강 및 상승 시간이 설정 가능한 타이머 또는 물탱크 내부의 상단과 하단에 위치한 상하감지센서인 양성망 부착생물 제거 장치.
  9. 기(旣) 설정된 온도범위를 유지하는 열수에 종패가 담긴 양성망을 담갔다가 배출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양성망 부착생물 제거 방법.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온도범위는 70℃ ~ 90℃ 인 양성망 부착생물 제거 방법.
  11.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양성망을 상기 열수에 일정시간 동안 담갔다가 배출시키는 양성망 부착 생물 제거 방법.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일정시간은 1초 ~ 5초인 양성망 부착생물 제거 방법.
KR1020090074983A 2009-08-14 2009-08-14 양성망 부착생물 제거 장치 및 방법 KR1012155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4983A KR101215556B1 (ko) 2009-08-14 2009-08-14 양성망 부착생물 제거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4983A KR101215556B1 (ko) 2009-08-14 2009-08-14 양성망 부착생물 제거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7498A true KR20110017498A (ko) 2011-02-22
KR101215556B1 KR101215556B1 (ko) 2012-12-26

Family

ID=437754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4983A KR101215556B1 (ko) 2009-08-14 2009-08-14 양성망 부착생물 제거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1555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920277A (zh) * 2015-06-11 2015-09-23 广西玉林市鑫坚种养有限公司 一种鱼苗繁育多层保温池塘结构
CN105883692A (zh) * 2016-06-13 2016-08-24 广东精铟海洋工程股份有限公司 一种具有引水管保护结构的海水提升系统
CN108746472A (zh) * 2018-08-07 2018-11-06 浙江德立坤链传动有限公司 一种浸泡式链条上油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1155B1 (ko) * 2020-09-15 2021-08-18 김낙현 가리비 채취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920277A (zh) * 2015-06-11 2015-09-23 广西玉林市鑫坚种养有限公司 一种鱼苗繁育多层保温池塘结构
CN105883692A (zh) * 2016-06-13 2016-08-24 广东精铟海洋工程股份有限公司 一种具有引水管保护结构的海水提升系统
CN105883692B (zh) * 2016-06-13 2017-07-25 广东精铟海洋工程股份有限公司 一种具有引水管保护结构的海水提升系统
CN108746472A (zh) * 2018-08-07 2018-11-06 浙江德立坤链传动有限公司 一种浸泡式链条上油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15556B1 (ko) 2012-1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150195B (zh) 一种凡纳滨对虾幼体的孵育方法
JP2017503525A5 (ko)
KR101215556B1 (ko) 양성망 부착생물 제거 장치 및 방법
JP6209804B2 (ja) ウナギ仔魚の飼育方法及び飼育装置並びに飼育用の容器
KR102084308B1 (ko) 김 실내 양식 시스템
CN107148901A (zh) 一种由新型种植绳构成的种植系统
TWI610619B (zh) 水產養殖裝置
JP2006271355A (ja) 観賞魚水槽を有する観葉植物の水耕栽培
KR101512032B1 (ko) 새싹 재배기
CN110786282B (zh) 一种水产养殖多功能喂食装置
JP3957733B2 (ja) 種籾の温湯消毒装置
CN203985620U (zh) 一种宽体金线蛭养殖装置
CN107646766B (zh) 一种青虾的工厂化高效育苗方法
CN207969559U (zh) 一种恒温水产品养殖池
KR100835370B1 (ko) 태교 음악을 이용한 현미 발아장치
CN109105323A (zh) 一种提高小龙虾苗种运输成活率的方法
CN206909463U (zh) 一种多功能养鱼缸
CN206658841U (zh) 稻田养鱼田间鱼苗消毒设备
CN206851626U (zh) 一种湿生水生植物培养箱
CN209105991U (zh) 一种养虫回型槽
KR100197967B1 (ko) 콩나물의 자동재배 시스템
JP3885191B2 (ja) 種籾の温湯消毒装置
CN107372279B (zh) 斑节对虾亲虾的单桶培育系统
TWM546093U (zh) 水產養殖裝置
CN215602654U (zh) 小龙虾苗种培育车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9

Year of fee payment: 7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