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17134A - 파우더 워시 - Google Patents

파우더 워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17134A
KR20110017134A KR1020090074657A KR20090074657A KR20110017134A KR 20110017134 A KR20110017134 A KR 20110017134A KR 1020090074657 A KR1020090074657 A KR 1020090074657A KR 20090074657 A KR20090074657 A KR 20090074657A KR 20110017134 A KR20110017134 A KR 201100171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formulation
agent
substrate
clea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746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67470B1 (ko
Inventor
송경희
김민주
윤세영
곽상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to KR10200900746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67470B1/ko
Publication of KR201100171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71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74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7470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41Containing particulates characterized by their shape and/or structure
    • A61K8/0254Platelets; Flakes
    • A61K8/0258Layered structure
    • A61K8/0266Characterized by the sequence of lay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10Washing or bathing prepara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부 또는 모발을 세정하는 데 효과적인 개인용 세정 제제인 파우더 워시에 관한 것으로, 서로 다른 액체투과저항성을 갖는 2 종 이상의 수불용성 기재, 온감 또는 냉감을 내는 제제, 및 세정 또는 컨디셔닝 제제를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파우더 워시 제제는, 피부 또는 모발에 온감 또는 냉감을 전달하여 혈액순환 및 모공 축소 등의 이점을 주는 제제로, 건조된 상태로 소비자에게 제공되어 사용 직전에 물을 묻혀 사용하는 것이므로 효능 성분의 안정성을 크게 높일 수 있다.
파우더 워시, 액체투과저항성, 수불용성 기재, 온감, 냉감.

Description

파우더 워시{POWDER WASH}
본 발명은 피부 또는 모발을 세정하는 데 효과적인 개인용 세정 제제인 파우더 워시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피부 또는 모발에 온감 또는 냉감을 전달하여 혈액순환 및 모공 축소 등의 이점을 주는 제제로, 건조 상태로 소비자에게 제공되어 사용시 물을 묻혀 사용하는 세정 제제에 관련된다.
개인용 세정 제제로는 비누, 크림, 로션 및 폼과 같은 다양한 제형이 있다. 이들 세정 제제는 피부 또는 모발을 세정하는 데 있어서 더러움을 제거하는 기본 속성은 잘 유지가 되고 있으나, 최근에는 보다 효율적인 세정이나 기능의 차별적인 요소보다는 포장이나 컨셉 같은 시각적인 차별에 치중하고 있다.
따라서, 피부 및 모발의 더러움 제거라는 기본 속성을 보다 효율적으로 제공하면서 기능적으로 차별화된 개인용 세정 제제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위와 같은 종래의 개인용 세정 제제의 문제점을 고려하여, 피부 또는 모발에 온감 또는 냉감을 제공하여 감각적인 차별성을 부여하며 나아가 혈액순환 및 모공 축소 등의 효과를 가질 수 있는 제제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세정 제제는 서로 다른 액체투과저항성을 갖는 2 종 이상의 수불용성 기재, 온감 또는 냉감을 내는 제제, 및 세정 또는 컨디셔닝 제제를 포함하는 파우더 워시 제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온감을 내는 제제는 물에 수화되면서 발열 반응을 일으키는 성분으로, 제올라이트, 석회, 탄산칼슘, 수산화나트륨, 염화칼슘 및 수산화칼륨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냉감을 내는 제제는 물에 수화되면서 흡열 반응을 일으키는 성분으로, 알코올, 솔비톨, 에리스리톨 및 수크로오즈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이들 온감 또는 냉감을 내는 제제는 발열 또는 흡열 반응 후 온도 변화 폭이 0.1∼40 ℃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온감 또는 냉감을 내는 제제가 피부에 존재하는 온도 수용체에 작용하는 물질일 수도 있으며, 여기에는 멘톨, 멘톨 유도체 및 캡사이신 등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파우더 워시 제제는, 서로 다른 액체투과저항성을 갖는 수불용성 기재가 각각 모든 면이 밀폐된 구조체로 형성되어, 하나의 구조체가 다른 하나의 구조체 안에 들어가 있는 bag-in-bag 형태의 2중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온감 또는 냉감을 내는 제제가 수불용성 기재로 만들어진 inner bag에 담지되고, 세정 또는 컨디셔닝 제제가 수불용성 기재로 만들어진 outer bag에 담지될 수도 있으며, 반대로 온감 또는 냉감을 내는 제제가 수불용성 기재로 만들어진 outer bag에 담지되고, 세정 또는 컨디셔닝 제제가 수불용성 기재로 만들어진 inner bag에 담지될 수도 있다. 또한, 상대적으로 액체투과저항성이 낮은 기재로 형성된 구조가 바깥쪽에, 액체투과저항성이 높은 기재로 형성된 구조체가 안쪽에 위치하는 2중 구조의 bag-in-bag 형태가 바람직하지만, 반대로 액체투과저항성이 높은 기재로 형성된 구조체가 바깥쪽에, 상대적으로 액체투과저항성이 낮은 기재로 형성된 구조체가 안쪽에 위치하는 2중 구조로 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는, 통상의 개인용 세정 제제가 갖는 문제, 즉 기능적, 감각적 차별화 요소가 적다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피부 또는 모발에 감각적 인지 요소인 온감 또는 냉감을 전달하고자 하였다. 온감 또는 냉감은 혈액순환 및 모공 축소의 효과를 제공할 수 있으며 세정의 기본 속성을 높이는 기능적인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세정 제제는 액체투과저항성이 서로 다른 수불용성 기재와 세정 또는 컨디셔닝 성분을 포함하는데, 수불용성 기재는 세정 성분의 거품 생성을 향상시키고, 세정 및 메이크업 또는 각질 박리의 기능을 증대시키므로, 적은 양의 세정 성분만으로도 세정 및 가벼운 메이크업 혹은 각질 박리의 효과를 볼 수 있을 뿐 아니라, 온감 또는 냉감을 전달하여 감각적 차별성을 제공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에 따른 세정 제제는 일 회 사용을 기본으로 하여, 병이나 튜브 용기 등을 번거롭게 가지고 다닐 필요가 없으므로 편리하다. 물기가 많은 욕실에서 사용하는 샤워 퍼프나 스폰지 같은 보조 도구는 여러 번 반복 사용하는 것으로 인해 비위생적이라는 문제가 있는 반면, 본 발명의 제제는 이와 같은 보조 도구가 필요 없으므로 위생적이며 간편하다. 즉, 본 발명에서는 피부 또는 모발을 세정하는 데 효과적인 제제를 건조된 상태로 소비자에게 제공하므로에 이동이 편리하고, 사용 직전에 물을 묻히는 것이므로 효능 성분의 안정성을 크게 높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세정 제제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개인용 세정 제제는 피부 또는 모발을 세정하는 데 효과적이면서, 온감 또는 냉감을 전달하므로 온도에 따라 피부 상태를 변화시켜 혈액순환을 돕거나 피부에 긴장을 주어 모공을 축소하는 효과 등을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이 온감 또는 냉감을 부여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성분은 물에 수화되면서 일어나는 반응열에 의해 온감 또는 냉감의 효과를 낸다. 온감을 내는 성분으로는 제올라이트, 석회, 탄산칼슘, 수산화나트륨, 염화칼슘, 수산화칼륨 등이 있고, 냉감을 내는 성분은 알코올, 솔비톨, 에리스리톨 및 수크로오즈 등이 있다. 이들 성분이 물에 수화되는 반응은 매우 빠르게 진행이 되며, 본 발명의 제제에서는 액체투과저항성이 서로 다른 수불용성 기재를 사용하여 반응의 진행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서는 bag in bag 타입의 2중 구조를 이용하여 바깥쪽의 제 1 수불용성 기재는 액체투과저항성이 낮아 물이 비교적 잘 통과되는 기재를 사용하고, 안쪽의 제 2 수불용성 기재는 제 1 수불용성 기재에 비해 상대적으로 액 체투과저항성이 높은 기재를 사용할 수 있다. 반대로, 바깥쪽의 제 1 수불용성 기재가 액체투과저항성이 높고, 안쪽의 제 2 수불용성 기재가 바깥쪽의 기재에 비해 상대적으로 액체투과저항성이 낮은 기재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기재와 관련하여, 액체투과저항성이란 용어는 압력하에서 직물의 내수투과도, 즉 내수압성을 의미하는 것이며, 본 발명에서는 상대적인 비교를 뜻한다. 통상의 내수압성 측정 방법은 일본공업규격(JIS) L-1092, B(a) 정수압 하에서의 고수압법에 따른다. 즉, 직물의 한쪽 면에 수압을 가하고 직물의 반대쪽 표면으로 물이 누출되는 것을 탐지하는데, 반대쪽 표면의 세 곳에서 물의 누출이 발견되었을 때 가해진 수압을 측정하는 것이다. 내수압성은 일반적으로 직물의 종류, 제조 방식, 밀도, 평량, 코팅 등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세정 제제는 액체투과저항성이 서로 다른 2 가지 이상의 수불용성 기재를 주머니 형태로 만들어 사용할 수 있다. 즉, 제 1 수불용성 기재를 주머니 형태로 만들어 안에 세정 또는 컨디셔닝, 효능 성분을 넣고, 제 2 수불용성 기재를 주머니 형태로 만들어 온감 또는 냉감을 내는 성분을 담지하여 제 1 수불용성 기재 안에 넣어 제조되는 본 발명의 제제는 사용 시 물에 묻혀 사용하게 된다. 또는 반대로, 액체투과저항성이 낮은 제 1 수불용성 기재 안에 온감 또는 냉감을 내는 성분을 넣고, 액체투과저항성이 높은 제 2 수불용성 기재 안에 세정 또는 컨디셔닝, 효능 성분을 넣어 이를 제 1 수불용성 기재 안에 넣을 수도 있다.
수불용성 기재
본 발명에 따른 세정 제제는 액체투과저항성이 서로 다른 수불용성 기재를 선택하여 bag in bag 타입의 2중 구조로 만든 것이다. "수불용성"이라는 용어는, 기재가 물에 용해되거나 침지시 쉽게 분해되지 않음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제제에서 수불용성 기재는 온감 또는 냉감을 내는 성분과 세정 또는 컨디셔닝, 효능 성분을 담는 도구 또는 운반체이다. 본 발명의 세정 제제는 건조 상태로 소비자에게 제공되며 사용시 물을 묻혀 사용하게 되는데, 이들 수불용성 기재는 친수성이 좋아 물에 잘 적셔지고 기계적인 교반시 거품 발생 효과를 제공하므로, 적은 양의 세정 성분으로도 충분한 거품을 만들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세정 제제에서 수불용성 기재로 사용 가능한 물질은 다음과 같은 특성을 만족하여야 한다: (1) 사용하기에 충분한 습윤 강도, (2) 충분한 내마모성, (3) 충분한 다공도, (4) 충분한 두께 및 (5) 적절한 크기.
이러한 기준을 만족하는 적절한 불수용성 기재의 예로는 부직포(nonwoven) 기재, 직조된 기재, 하이드로인탱글된(hydroentangled) 기재, 에어 인탱글된 기재, 천연 스폰지, 합성 스폰지, 중합체 그물 메쉬(netted mesh)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특히, 부직포 기재가 바람직한데, 그 이유는 부직포에 다양한 특성을 부여하기 용이하며 선택의 폭이 넓기 때문이다. 부직포란 용어는 층이 직물로 제조되지 않고 시트, 매트 또는 패드 층으로 형성되는 섬유를 의미한다. 섬유는 랜덤한(랜덤하게 정렬된) 상태이거나 카딩된(주로 한 방향으로 배향되도록 빗질된 것) 것일 수 있다. 부직포 기재는 랜덤 섬유와 카딩된 섬유 층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부직포 기재는 다양한 천연 및 합성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천연이라는 것은 식물, 동물, 곤충에서 얻어진 것이거나 또는 그 부 산물로부터 유도된 것을 의미하고, 합성은 다양한 인조 물질 또는 추가로 변형된 천연 물질로부터 얻어진 것을 의미한다.
한편, 본 발명의 수불용성 기재에서 액체투과저항성이 서로 다르다는 것은 직물의 내수투과도, 즉 내수압성이 다르다는 것으로, 이는 예를 들어 부직포의 종류 또는 성질, 또는 두께나 밀도, 기공 특성, 인장 특성, 내마모성, 내수압성 등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온감 또는 냉감을 내는 성분
본 발명에 따른 제제에서 온감 또는 냉감을 내는 성분은 물과 반응 시, 즉 수화 반응시 반응열에 따라 발열 또는 흡열 반응을 일으키는 성분이거나, 또는 피부에 존재하는 온도 수용체에 작용하는 물질을 의미한다. 이들 온감 또는 냉감을 내는 성분은 발열 또는 흡열 반응 후 온도 변화 폭이 0.1∼40 ℃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성분들은 무수히 많으며, 대표적인 예로 제올라이트, 석회, 탄산칼슘, 수산화나트륨, 염화칼슘, 수산화칼륨, 알코올, 솔비톨, 에리스리톨, 수크로오즈, 멘톨, 멘톨 유도체, 캡사이신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성분은 물과의 반응성이 좋아 빠른 시간 내에 급격하게 반응한다는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제는 건조 상태로 소비자에게 제공되며, 소비자는 사용시 물을 묻혀 사용한다. 사용시 온감 또는 냉감을 내는 성분이 담긴 수불용성 기재에 물을 묻히면, 물이 수불용성 기재를 통과하여 온감 또는 냉감을 내는 성분에 이르러 수화반응이 일어나게 되고 발열 또는 흡열 반응에 의한 온도 변화를 가져온다. 특히, 본 발명의 제제에서 온감 또는 냉감을 내는 성분이, 제 1 수불용성 기재보다 상대적으로 액체투과저항성이 낮은, 즉 내수압성이 높은 제 2 수불용성 기재에 담지될 경우에는, 물이 천천히 투과하여 발열 또는 흡열 반응의 속도를 조절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온감 또는 냉감의 효과를 지속적으로 낼 수 있다.
세정 및 컨디셔닝 성분
본 발명에 따른 제제에서 세정 및 컨디셔닝 성분으로는, 광범위한 종류의 세정 및 컨디셔닝 성분을 사용할 수 있다. 먼저 세정제로는, 통상적인 세정제인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양쪽성 계면활성제 및 이들의 혼합으로 이루어진 것들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컨디셔닝 성분 역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광범위한 종류에서 선택할 수 있으며, 오일류, 왁스류, 버터류 등을 포함한 지용성 컨디셔닝제 뿐 아니라 녹말, 변성 녹말, 곡물 가루, 메틸셀룰로오즈, 에틸셀룰로오즈, 하이드록시메틸셀룰로오즈, 양이온 폴리머, 실리콘 폴리머, 폴리쿼터늄 등에서도 선택할 수 있다.
바람직한 세정 성분으로는 대표적인 저자극 세정제인 아미노산계 및 이소티오네이트계 계면활성제를 들 수 있으며, 컨디셔닝제로는 식물성 오일, 탄화수소 오일, 실리콘 오일, 녹말, 양이온 폴리머 등이 바람직하다. 이들 세정 및 컨디셔닝 성분은 내수압성이 낮은, 즉 물에 잘 젖고 물이 잘 투과되는 제 1 수불용성 기재에 담지되므로, 소비자가 사용시 본 제제에 물을 묻히면 쉽게 물이 제 1 수불용성 기재에 스며들어 빠르게 세정 및 컨디셔닝의 효과를 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파우더 워시 제제는 피부 또는 모발에 온감 또는 냉감을 전 달하여 혈액순환 및 모공 축소 등의 이점을 주는 제제로, 건조된 상태로 소비자에게 제공되어 사용 직전에 물을 묻혀 사용하는 것이므로 효능 성분의 안정성을 크게 높일 수 있다. 또한, 액체투과저항성이 서로 다른 2 이상의 수불용성 기재에 온감 또는 냉감을 내는 성분과 세정 또는 컨디셔닝 성분을 각각 담지하여 온감 또는 냉감을 지속적으로 유지하도록 한다. 더욱이, 수불용성 기재는 세정 성분의 거품 생성을 향상시키고, 세정 및 메이크업 또는 각질 박리의 기능을 증대시키므로, 적은 양의 세정 성분만으로도 세정 및 가벼운 메이크업 혹은 각질 박리의 효과를 볼 수 있을 뿐 아니라, 온감 또는 냉감을 전달하여 감각적 차별성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단,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예시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A) 수불용성 기재
제 1 수불용성 기재: 폴리프로필렌(PP), 스판본드와 멜트브로운 혼방(SMMS) 부직포, 평량 15 gsm (gsm: 단위면적당 중량을 나타내는 단위, 일 평방미터당 그램(gram)수)
제 2 수불용성 기재 : 폴리프로필렌(PP), 스판본드와 멜트브로운 혼방(SMMS) 부직포, 평량 20 gsm
(B) 온감 또는 냉감을 내는 성분
제올라이트 4A: 소성화 제올라이트, 1∼3 ㎛ 입자 크기
(C) 세정 및 컨디셔닝 성분
소디움라우로일글루타메이트
콘스타치(옥수수 전분)
메틸셀룰로오즈
제 1 수불용성 기재를 가로×세로가 7×7 ㎠ 크기의 주머니 형태로 재단하여 세정 및 컨디셔닝 성분을 넣고, 제 2 수불용성 기재를 가로×세로 5×5 ㎠ 크기의 주머니 형태로 재단하여 제올라이트 성분을 넣어, 제 1 수불용성 기재로 만든 주머니 안에 넣어 실시예 1의 세정 제제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제 2 수불용성 기재를 제 1 수불용성 기재와 같은 것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실시하여 비교예 1의 세정 제제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2
제 2 수불용성 기재를 사용하지 않고, 제 1 수불용성 기재로 만든 주머니 안에 세정 및 컨디셔닝 성분과 제올라이트 성분을 모두 넣어 비교예 2의 세정 제제를 제조하였다.
효과시험예 1: 온감 지속시간 비교 시험
상기의 실시예 1과 비교예 1 및 2에서 제조한 제제를 동일한 사이즈의 비커에 넣고 25 ℃의 물을 각 10 ㎖씩 넣어 실시예 및 비교예의 샘플들이 충분히 물에 잠기게 한 뒤, 시간 별 온도 변화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다음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1 비교예 1 비교예 2
초기온도(℃) 25 25 25.5
5초 30 31 30
30초 33 30 28
60초 32 29 26
120초 31 27 26
180초 31 25 25
240초 30 25 25
300초 29 25 25
위 표 1의 결과에서 보듯이, 서로 다른 특성의 부직포를 사용한 실시예 1의 제제에서 온감의 지속 시간이 비교예 1이나 비교예 2의 제제에 비해 현저하게 길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실시예 1의 제제에서는, 수화반응 직후 온도가 올라가서 약 300초 동안 온도가 유지되는 반면, 비교예 1의 제제는 수화반응 직후 온도가 올라가지만 약 120초부터 온도가 떨어지기 시작하였다. 이는, 비교예 1의 제제에서는 빠른 속도로 수화반응이 모두 일어나 더 이상 발열 반응을 하지 않음을 의미한다. 제 2 수불용성 기재를 사용하지 않은 비교예 2의 제제에서는, 제 1 및 제 2 수불용성 기재로 같은 것을 사용한 비교예 2의 제제에 비해 반응 속도가 빠른 것처럼 보이지만 크게 유의적인 결과는 아니다.
결론적으로, 제 1 수불용성 기재와 함께, 상대적으로 내수압성이 높은 제 2 수불용성 기재를 사용한 실시예 1의 제제가 그렇지 않은 비교예 1 및 2 의 제제에 비해 온감 지속시간이 길다고 할 수 있다. 이는, 두 종류의 수불용성 기재의 내수압성의 차이에 의해 온감을 내는 성분에 물이 닿아 반응하는 과정에서 침투하는 물의 양과 시간을 조절할 수 있어 급격한 발열 반응을 막고 지속적으로 천천히 반응시키는 것이 가능함을 의미한다.
효과시험예 2: 온감 센서리 테스트
위에서 제조한 실시예 1과 비교예 1의 제제를 가지고 성인남녀 20명에서 센서리 테스트를 실시하여, 온감의 정도와 시간 그리고 만족도를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 시험자의 왼쪽과 오른쪽 팔에 흐르는 물을 묻힌 후 동일한 사이즈의 실시예 1과 비교예 1의 제제를 각각의 팔에 올려놓고 10회 상하 움직임을 반복하여, 온감을 느끼는 시점부터 끝나는 시점까지의 시간을 측정하고 감각적으로 온감의 세기 정도를 만족도 항목으로 조사하였다. 그 결과는 표 2에 나타낸다.
실시예 1 비교예 1
지속시간 70초 30초
만족도 18명(90%) 11명(55%)
표 2의 결과에서 보듯이, outer bag과 inner bag을 동일한 수불용성 기재를 사용한 비교예 1의 제제에 비해, 실시예 1의 제제가 센서리 상 온감이 더 오래 만족스럽게 지속됨을 알 수 있다.

Claims (11)

  1. 서로 다른 액체투과저항성을 갖는 2 종 이상의 수불용성 기재, 온감 또는 냉감을 내는 제제, 및 세정 또는 컨디셔닝 제제를 포함하는 파우더 워시 제제.
  2. 제 1 항에 있어서, 온감을 내는 제제는 물에 수화되면서 발열 반응을 일으키는 성분이고, 냉감을 내는 제제는 물에 수화되면서 흡열 반응을 일으키는 성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제.
  3. 제 2 항에 있어서, 온감 또는 냉감을 내는 제제는 발열 또는 흡열 반응 후 온도 변화 폭이 0.1∼4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온감을 내는 제제는 제올라이트, 석회, 탄산칼슘, 수산화나트륨, 염화칼슘 및 수산화칼륨으로부터 선택되는 1 종 이상이고, 냉감을 내는 제제는 알코올, 솔비톨, 에리스리톨 및 수크로오즈로부터 선택되는 1 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온감 또는 냉감을 내는 제제가 피부에 존재하는 온도 수용체에 작용하는 물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제.
  6. 제 5 항에 있어서, 피부에 존재하는 온도 수용체에 작용하여 온감 또는 냉감을 내는 물질이 멘톨, 멘톨 유도체 및 캡사이신으로부터 선택되는 1 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서로 다른 액체투과저항성을 갖는 수불용성 기재가 각각 모든 면이 밀폐된 구조체로 형성되어, 하나의 구조체가 다른 하나의 구조체 안에 들어가 있는 bag-in-bag 형태의 2중 구조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제.
  8. 제 7 항에 있어서, 액체투과저항성이 낮은 기재로 형성된 구조체가 바깥쪽에, 액체투과저항성이 높은 기재로 형성된 구조체가 안쪽에 위치하는 2중 구조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제.
  9. 제 7 항에 있어서, 액체투과저항성이 높은 기재로 형성된 구조체가 바깥쪽에, 액체투과저항성이 낮은 기재로 형성된 구조체가 안쪽에 위치하는 2중 구조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제.
  10. 제 7 항에 있어서, 온감 또는 냉감을 내는 제제가 수불용성 기재로 만들어진 inner bag에 담지되어 있고, 세정 또는 컨디셔닝 제제가 수불용성 기재로 만들어진 outer bag에 담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제.
  11. 제 7 항에 있어서, 온감 또는 냉감을 내는 제제가 수불용성 기재로 만들어진 outer bag에 담지되어 있고, 세정 또는 컨디셔닝 제제가 수불용성 기재로 만들어진 inner bag에 담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제.
KR1020090074657A 2009-08-13 2009-08-13 파우더 워시 KR1015674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4657A KR101567470B1 (ko) 2009-08-13 2009-08-13 파우더 워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4657A KR101567470B1 (ko) 2009-08-13 2009-08-13 파우더 워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7134A true KR20110017134A (ko) 2011-02-21
KR101567470B1 KR101567470B1 (ko) 2015-11-12

Family

ID=437752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4657A KR101567470B1 (ko) 2009-08-13 2009-08-13 파우더 워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6747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2546B1 (ko) * 2013-10-22 2015-03-13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온열 또는 냉감의 효과를 갖는 주머니 타입 클렌저
KR102579266B1 (ko) 2023-06-16 2023-09-19 (주)에스엠에코랩 파우더형 세안 화장료 전구 조성물, 파우더형 세안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37665A (ja) 1999-07-29 2001-02-13 Hiroko Kumamaru 洗濯用粉石鹸袋
JP4452226B2 (ja) 2005-09-22 2010-04-21 株式会社リブドゥコーポレーション ケアセット
JP2008127284A (ja) 2006-11-16 2008-06-05 Mami Okamura 携帯用口内洗浄剤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2546B1 (ko) * 2013-10-22 2015-03-13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온열 또는 냉감의 효과를 갖는 주머니 타입 클렌저
KR102579266B1 (ko) 2023-06-16 2023-09-19 (주)에스엠에코랩 파우더형 세안 화장료 전구 조성물, 파우더형 세안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67470B1 (ko) 2015-1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52442B1 (ko) 세제를 함유한 부직포 티슈 및 그 제조방법
ES2364332T3 (es) Textil hidroenmarañado e implemento de limpieza personal.
JP4014214B2 (ja) 使い捨て食器ケア及び硬質表面洗浄ワイプ
KR102397067B1 (ko) 인쇄된 질감을 갖는 세정 용품
EP3010387B1 (en) Laminate cleaning implement
JP4210213B2 (ja) 化粧用発泡性クレンジングピロー
US20150297494A1 (en) Filaments and Fibrous Structures Employing Same
KR20070045966A (ko) 비등성 세정 제품
CN101495019A (zh) 用于皮肤或毛发的清洁制品
JP2003505484A (ja) パーソナルケア物品
RU2012101316A (ru) Продукты из нетканых материалов с улучшенными свойствами переноса
US20100227138A1 (en) Multiple Layer Absorbent Substrate and Method of Formation
JP2006505372A (ja) 拭き取り物品(wipingarticles)及びそれらの使用
CN104661575A (zh) 个人护理清洁用品
CA2600073C (en) Product for the targeted release of two-compartment active substances
JP2008533252A (ja) 活性物質の標的化放出のための製品
US20080095828A1 (en) Cleaning substrates with combinational actives
KR20110017134A (ko) 파우더 워시
KR20050067132A (ko) 어플리케이터 및 왁스상을 포함하는 건조 제품
MXPA06012408A (es) Articulo generador de espuma.
MXPA06003372A (es) Metodo para producir una estructura laminar efervescente.
CA2884591A1 (en) Cleansing textile device especially for makeup removal
KR100513615B1 (ko) 인체 세정용 지지체
KR101502546B1 (ko) 온열 또는 냉감의 효과를 갖는 주머니 타입 클렌저
JPS60245700A (ja) ワイピング用物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