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16334A - 디스플레이 기기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16334A
KR20110016334A KR1020090073988A KR20090073988A KR20110016334A KR 20110016334 A KR20110016334 A KR 20110016334A KR 1020090073988 A KR1020090073988 A KR 1020090073988A KR 20090073988 A KR20090073988 A KR 20090073988A KR 20110016334 A KR20110016334 A KR 201100163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astic member
display
stand
stand body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739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97828B1 (ko
Inventor
기범서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739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7828B1/ko
Publication of KR201100163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63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78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78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01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the housing of computer displays, e.g. of CRT monitors, of flat displ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16M11/06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 F16M11/12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in more than one direction
    • F16M11/125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in more than one direction for tilting and rol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18Heads with mechanism for moving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04Mounting supporting structures on the outside of cas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실시 예는 디스플레이 기기를 제안한다.
본 실시 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기기에는, 영상이 출력되는 디스플레이 본체;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스탠드 바디; 상기 스탠드 바디에 형성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의 회전 중심을 제공하는 힌지 축; 일 부분은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에 결합되고, 다른 일부는 상기 스탠드 바디에 삽입되는 탄성 부재가 포함된다.
디스플레이 기기

Description

디스플레이 기기{Display device}
본 실시 예는 디스플레이 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스플레이 기기는 화상이 표시되는 장치이다. 종래의 데스크탑(desktop)에 사용되는 디스플레이 기기는 사용자의 눈높이에서 틸트되는 방식이었다. 그러나, 최근 노트북(notebook) 사용자가 늘어나면서 노트북에 맞는 플립 힌지 방식의 모니터가 출시되고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일반 데스크탑 사용자 및 노트북 사용자 모두에게 만족될 수 있도록, 일반 틸트 힌지 및 플립 힌지 구조를 함께 사용하는 것이 가능한 디스플레이 기기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본 실시 예의 목적은, 일반적인 틸트 힌지 구조와 플립 힌지 구조를 동시에 구현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기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실시 예의 목적은, 판스프링 구조를 적용하여 손쉽게 디스플레이 본체의 틸팅 각도를 제어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기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기기에는, 영상이 출력되는 디스플레이 본체;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스탠드 바디; 상기 스탠드 바디에 형성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의 회전 중심을 제공하는 힌지 축; 일 부분은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에 결합되고, 다른 일부는 상기 스탠드 바디에 삽입되는 탄성 부재가 포함된다.
제안되는 실시 예에 의하면, 적은 수의 부품을 이용하여 일반 모니터의 틸트 힌지 구조와 플립 힌지 구조를 동시에 구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스탠드 베이스를 제거하는 간단한 조작에 의하여 일반적인 틸트 힌지 구조에서 쉽게 플립 힌지 구조로 전환될 수 있어서 사용자의 편의성을 극대화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 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이 그와 같은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사상을 실시 예를 이루는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및 삭제 등에 의해서 다르게 제안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에 포함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기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기기에서 프런트 캐비닛 및 디스플레이 모듈을 제거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기기(1)에는 디스플레이 본체(2)와,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2)에 결합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2)를 지지하는 스탠드 장치(3)가 포함된다.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2)와 상기 스탠드 장치(3)는 힌지 결합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2)가 상기 스탠드 장치(3)로부터 전방 또는 후방으로 소정 각도 회동 가능하게 구성된다.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2)에는 영상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 모듈(20)과,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20)의 전면 가장자리를 둘러싸서 보호하는 프런트 캐비닛(10)과,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20)의 후면 가장자리를 둘러싸서 보호하는 리어 캐비닛(40)이 포함된다.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20)은 평판형 디스플레이 모듈(flat display module)로서, 외부에서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서 영상을 표시하며, 일례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 이하 PDP) 또는 액정 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이하 LCD)일 수 있다.
상기 프런트 캐비닛(10)은 상기 디스플레이 기기(1)의 전면의 외형을 형성한다. 상기 프런트 캐비닛(10)에는 별도의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를 통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20)에서 출력되는 영상 또는 이미지를 볼 수 있다.
상기 스탠드 장치(3)에는 설치면에 놓이는 베이스(30)와,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2)를 지지하고 상기 베이스(30)에 결합되는 스탠드 바디(60)가 포함된다.
도 3은 본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기기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4는 스탠드 바디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베이스(30)는 설치면에 놓인다. 상기 베이스(30)는 납작한 평면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 예에서 상기 베이스(30)와 상기 스탠드 바디(60)의 결합 방식에는 제한이 없다. 상기 베이스(30)의 상측에는 상기 스탠드 바디(60)와 결합되기 위한 결합부(31)가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도 3에는 상기 베이스(30)의 상측면에 상기 결합부(31)가 돌출 형성되는 것이 도시되며, 상기 결합부(31)에 상기 스탠드 바디(60)가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스탠드 바디(60)에는 제 1 바디(61)와 제 2 바디(62)가 포함되고, 상기 제 1 바디(61)와 제 2 바디(62)는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일례로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제 1 바디(61)와 제 2 바디(62)가 체결 부재(C1, C2 : 도 8 참조)에 의해 결합된다.
상기 제 1 바디(61)에는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2)의 틸팅 시에 회전축의 기능을 하는 복수의 힌지 축(612)이 형성되는 제 1 헤드부(611)와, 상기 제 1 헤드부(611)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 1 헤드부(611)를 지지하는 제 1 지지부(614)가 포 함된다. 상기 스탠드 바디(60)가 상기 힌지 축(612)을 중심으로 회전 운동하기 위하여 상기 제 1 헤드부(611)는 곡면의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힌지 축(612)은 상기 제 1 바디(61)의 상부 좌측 및 상부 우측에 서로 대칭되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 좌측 및 우측에 형성되는 힌지 축(612)의 중심은 동일 선상에 놓이게 된다. 상기 제 1 바디(61)의 상측에는 탄성 부재(50)가 삽입되기 위한 삽입홀(611a)이 형성된다. 상기 삽입홀(611a)은 상기 복수의 힌지 축(612) 사이에 위치된다.
또한, 상기 제 1 바디(61)의 상부에는 상기 탄성 부재(50)와 간섭되는 간섭부(611b)가 형성된다. 상기 간섭부(611b)는 상기 삽입홀(611a)의 후방에 위치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2)가 틸팅될 때, 상기 탄성 부재(50)와 간섭된다. 즉, 상기 간섭부(611b)는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2)가 틸팅될 때, 상기 탄성 부재(50)에 후방에서 전방으로 힘을 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 1 바디(61)에는 상기 제 2 바디(62)와 체결되기 위한 체결 부재(C1, C2: 도 8 참조)가 체결되는 하나 이상의 체결 보스(613)가 형성된다.
한편, 상기 제 2 바디(62)에는 제 2 헤드부(621)와 상기 제 2 헤드부(621)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 2 헤드부(621)를 지지하는 제 2 지지부(624)가 포함된다. 상기 스탠드 바디(60)가 상기 힌지 축(612)을 중심으로 회전 운동하기 위하여 상기 제 2 헤드부(621)는 원통의 일부를 형성할 수 있도록 곡면으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 2 헤드부(621)에는 상기 스탠드 바디(60)의 회전 운동을 가이드 하기 위한 가이드 돌기(623)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 돌기(623)는 힌지 커 버(80)에 형성된 가이드 부(81)에 삽입된다. 상기 가이드 돌기(623) 및 상기 가이드 부(81)는 상기 스탠드 바디(60)의 회전 운동을 가이드하고 상기 스탠드 바디(60)가 일정 각도 이상 회전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제 2 바디(62)에는 상기 체결 부재(C1, C2 : 도 8 참조)가 관통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체결홀(612)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리어 캐비닛(40)에는 상기 스탠드 장치(3)와 결합되기 위한 결합 유닛(410)과, 틸팅 마찰력을 제공하는 탄성 부재(50)가 결합되는 결합부가 형성된다.
상기 결합 유닛(410)에는 체결 부재(미도시)가 삽입되는 체결 보스(411)와, 상기 스탠드 바디(60)가 관통할 수 있는 관통홀(412)과, 상기 힌지 축(612)이 안착되는 안착부(413)가 형성된다. 상기 관통홀(412)의 좌우 폭의 길이는, 상기 지지부(614, 624)의 좌우 폭의 길이보다는 크고, 상기 헤드부(611, 621)의 좌우 폭의 길이보다는 작다. 따라서, 상기 스탠드 바디(60)가 상기 리어 캐비닛(40)에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따라서, 상기 헤드부(611, 621)는 상기 리어 캐비닛(40)의 내측에 위치되고, 상기 지지부(614, 624)는 상기 리어 캐비닛(40)의 외측에 위치된다.
상기 안착부(413)의 형상은 상기 헤드부(611, 621)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헤드부(611, 621)의 형상이 원통형이므로, 상기 안착부(413)는 상기 헤드부(611, 621)가 상기 안착부(413)에 안착되어 회전할 수 있도록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힌지 커버(80)는 상기 스탠드 바디(60)의 헤드부(611, 612)를 커버한다. 상기 힌지 커버(80)는 상기 리어 캐비닛(40)의 내측에 결합되어, 사기 스탠드 바디(60)의 틸팅 운동을 가이드 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힌지 커버(80)에 형성된 가이드 부(81)에 상기 가이드 돌기(623)가 삽입되어, 상기 스탠드 바디(60)의 회전 운동을 가이드 한다.
상기 힌지 커버(80)에는 상기 힌지 축(612)과 접촉하여 면 마찰을 일으키는 마찰부(82)가 형성된다. 상기 마찰부(82)는 상기 힌지 축(612)과 접촉되어야 하므로 상기 힌지 축(612)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힌지 축(612)과 마찬가지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대칭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마찰부(82)와 상기 힌지 축(612) 사이에서는 면 접촉에 의한 마찰력이 발생된다. 상기 마찰력은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2)가 후방으로 틸팅되는 경우 틸팅되는 위치를 유지시키는 기능을 한다. 이에 대한 설명은 후술한다.
도 5는 탄성 부재가 스탠드 바디에 삽입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6은 탄성 부재가 리어 캐비닛 및 스탠드 바디에 결합되는 것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리어 캐비닛(40)에는 상기 탄성 부재(50)가 선택적으로 결합될 수 있는 복수의 결합부(420)가 형성된다.
상기 결합부(420)에는, 상기 탄성 부재(50)와 결합되기 위한 복수의 결합 후크(421, 422)와, 상기 탄성 부재(50)에 상기 복수의 결합 후크(421, 422)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탄성 부재(50)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423)가 포함된다.
상기 복수의 결합 후크(421)는 상기 지지부(423)와 일체로 형성되거나, 상기 지지부(423)와 별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결합 후크(421, 422)는 제 1 후크(421)와 제 2 후크(422)가 포함된다.
상기 제 1 후크(421)와 상기 제 2 후크(422)는 좌우 또는 상하 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도 6에는 일례로 상기 제 1 후크(421)와 상기 제 2 후크(422)가 상하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것이 도시된다.
상기 지지부(423)에는 상기 탄성 부재(50)의 상하 및 좌우 움직임이 방지되도록 하기 위한 고정 돌기(424)가 포함된다. 이 때, 상기 지지부(423)의 회전 및 전후 운동은 상기 복수의 결합 후크(421, 422)에 의해서 방지될 수 있다.
상기 탄성 부재(50)는 상기 스탠드 바디(60)에 삽입된다. 일례로,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탄성 부재(50)는 판 스프링이 될 수 있다.
상기 탄성 부재(50)는 상기 리어 캐비닛(40)에 고정되는 고정부(51)와, 상기 고정부(51)에서 경사지게 연장되는 바디부(54)와, 상기 바디부(54)에서 경사지게 연장되는 연장부(55)가 포함된다. 일례로, 상기 연장부(55)는 상기 고정부(51)와 평행하게 연장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51)가 상기 리어 캐비닛(40)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탄성 부재(50)의 일부는 상기 관통홀(611a)을 관통하여 상기 스탠드 바디(60)에 삽입된다. 따라서,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2)가 후방으로 틸팅(tilting) 되는 경우, 상기 탄성 부재(50)는 상기 스탠드 바디(60)에 의해서 변형된다. 상기 탄성 부재(50)의 변형으로 인해 발생되는 복원력에 의해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2)가 지지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51)에는 상기 결합 후크(421, 422)가 삽입되는 결합홀(52)과 상기 고정 돌기(424)가 관통하기 위한 돌기 홀(53)이 형성된다. 상기 고정부(51)는 상기 리어 캐비닛(40)의 내벽에서 적어도 지지부(423)의 만큼은 이격된다.
상기 바디부(54)는 상기 고정부(51)에서 상기 리어 캐비닛(40)을 향하여 경사지게 연장된다.
이하에서는 상기 탄성 부재(50) 및 스탠드 바디(60)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7은 본 실시 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기기가 일반 틸트 힌지 구조에 의해 틸팅되기 전의 도 6의 A-A를 절개한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실시 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기기가 일반 틸트 힌지 구조에 의해 틸팅된 후의 도 6의 A-A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2)가 일반 틸트 힌지 구조에 의해 틸팅되는 경우, 상기 스탠드 바디(60)는 상기 베이스(30)에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2)의 틸팅 각도는 상기 탄성 부재(50)와 상기 스탠드 바디(60) 사이의 간섭에 의해 유지될 수 있다.
즉,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2)가 후방으로 틸팅되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2)에 결합된 탄성 부재(50)도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2)와 일체로 움직인다.
상기 탄성 부재(50)는 상기 스탠드 바디(60)에 삽입되므로, 상기 탄성 부재(50)의 상기 바디부(54)는 후방으로 움직이게 된다. 상기 바디부(54)는 상기 리어 캐비닛(40)에서 일정 간격 이격된 상기 고정부(51)에서 상기 리어 캐비닛(40) 측으로 절곡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바디부(54)는 상기 제 2 바디(62)의 간섭부(611b)에 접촉되어, 상기 바디부(54)와 상기 간섭부(611b) 사이에 간섭이 발생된다.
따라서, 상기 탄성 부재(50)의 바디부(54)는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2)와 함께 후방으로 틸팅되어, 고정되어 있는 상기 간섭부(611b)와의 간섭에 의해 후방으로 이동되는 것이 방해되므로, 상기 탄성 부재(50)의 바디부(54)가 전방으로 휘게 되는 변형이 일어난다.
상기 탄성 부재(50)에 변형이 일어나면 상기 탄성 부재(50)가 원래의 형상으로 복귀되려는 복원력이 발생된다.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2)가 후방으로 틸팅되면,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2)의 자중과 상기 탄성 부재(50)의 복원력의 평형에 의해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2)의 틸팅 각도가 유지된다.
다만,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2)의 자중과 상기 탄성 부재(50)의 복원력이 동일하지 않은 경우, 상기 힌지 커버(80)의 마찰부(82)와 상기 제 1 바디(61)의 힌지 축(612) 사이의 면 마찰력은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2)의 자중과 상기 복원력 가운데 작은 쪽을 보충해주는 기능을 한다.
일례로,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2)가 후방으로 틸팅 되었을 때, 상기 탄성 부재(50)의 복원력이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2)의 자중보다 크면, 상기 마찰부(82)에서의 면 마찰력은 상기 탄성 부재(50)의 복원력과 반대 방향으로 작용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2)가 전방으로 틸팅되는 것을 방지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2)의 틸팅 위치를 유지시킨다.
만약,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2)의 자중이 큰 경우에는 상기 탄성 부재(50)의 강성(rigidity)을 증가시켜서 사용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탄성 부재(50)로 판 스프링을 사용하는 경우에,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2)의 자중이 크면 상기 판 스프링을 여러 겹 겹쳐서 사용하여 이에 대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2)가 틸팅될 때, 상기 스탠드 바디(60)에 형성된 가이드 돌기(623)가 상기 힌지 커버(80)에 형성되는 가이드부(81)에 삽입되어, 상기 스탠드 바디(60)의 회전이 가이드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 돌기(623)가 상기 가이드부(81)에 삽입되어 움직이는 범위로 상기 스탠드 바디(60)의 회전 각도가 제한된다.
도 9는 본 실시 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기기가 플립 힌지 구조에 의해 틸팅되기 전의 도 6의 A-A를 절개한 단면도이고, 도 10은 본 실시 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기기가 플립 힌지 구조에 의해 틸팅된 후의 도 6의 A-A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한편,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2)를 플립 힌지 구조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상기 베이스(30)는 상기 스탠드 바디(60)에서 분리되어야 한다. 상기 베이스(30)가 분리된 상태에서 상기 스탠드 바디(60)의 하단은 설치면에 접촉된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2)를 후방으로 밀면, 상기 스탠드 바디(60)가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2)를 회전하게 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2)의 각도가 조절된다.
다만,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2)를 플립 힌지 구조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상기 스탠드 바디(60)가 베이스(30)에 고정되어 있지 않고, 상기 스탠드 바디(60)가 상 기 디스플레이 본체(2)에 대해 회전될 수 있다.
이 경우,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2)가 후방으로 틸팅되기 전이라도, 상기 스탠드 바디(60)가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2)를 지지하기 위해서는 상기 상기 스탠드 바디(60)가 어느 정도 회전되어야 하므로, 상기 간섭부(611b)가 상기 바디부(54)에 전방으로 힘을 가하여 상기 바디부(54)가 전방으로 휘게 되어, 상기 고정부(51)와 상기 바디부(54)는 실질적으로 절곡 상태가 펴진 상태가 될 수 있다.
즉, 상기 탄성 부재(50)가 원래 상태로 돌아가려는 복원력과, 상기 간섭부(611b)가 상기 탄성 부재(50)에 전방으로 가하는 힘이 평형을 이루어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2)의 틸팅 상태가 유지된다.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2)가 후방으로 틸팅되면(도 10 참조), 상기 스탠드 바디(60)는 틸팅되기 전보다 더 회전되어 상기 간섭부(611b)가 전방으로 더 이동된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2)가 후방으로 틸팅되면, 상기 바디부(54)도 후방으로 이동되어 상기 간섭부(611b)에 간섭된다. 상기 바디부(54)가 상기 간섭부(611b)에 의해 간섭되면, 상기 바디부(54)는 틸팅되기 전보다 더 전방으로 휘게 된다. 일례로, 도 10에는 상기 바디부(54)가 상기 간섭부(611b)에 의해 전방으로 힘을 받아서 상기 고정부(51)보다 전방으로 휘어지는 것이 도시된다.
한편, 상기 탄성 부재(50)의 하단부에 형성되는 상기 연장부(55)는 틸팅되기 전에는 상기 바디부(54)의 전방으로 절곡된다. 다만,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2)가 후방으로 틸팅되면, 상기 힌지 커버(80)의 내측면과 간섭을 일으켜서 상기 연장 부(55)가 후방으로 휘게 된다.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연장부(55)는 상기 바디부(54)와 평행된 것이 도시된다.
이 경우에도 상기 탄성 부재(50)의 바디부(54)가 상기 간섭부(611a)와 간섭되고, 상기 탄성 부재(50)의 변형에 의한 복원력과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2)의 자중과의 평형에 의해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2)와 지면 사이의 각도가 유지된다는 점은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2)가 일반 틸트 구조로 사용되는 경우와 같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2)의 자중과 상기 복원력이 동일하지 않은 경우, 상기 힌지 커버(80)와 상기 스탠드 바디(60) 사이의 마찰력이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2)의 자중과 상기 복원력 가운데 작은 쪽을 보충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2)의 각도가 유지된다.
도 1은 본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기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기기에서 프런트 캐비닛 및 디스플레이 모듈을 제거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기기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스탠드 바디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탄성 부재가 스탠드 바디에 삽입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탄성 부재가 리어 캐비닛 및 스탠드 바디에 결합되는 것을 확대한 도면.
도 7은 본 실시 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기기가 일반 틸트 힌지 구조에 의해 틸팅되기 전의 도 6의 A-A를 절개한 단면도.
도 8은 본 실시 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기기가 일반 틸트 힌지 구조에 의해 틸팅된 후의 도 6의 A-A를 절개한 단면도.
도 9는 본 실시 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기기가 플립 힌지 구조에 의해 틸팅되기 전의 도 6의 A-A를 절개한 단면도.
도 10은 본 실시 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기기가 플립 힌지 구조에 의해 틸팅된 후의 도 6의 A-A를 절개한 단면도.

Claims (11)

  1. 영상이 출력되는 디스플레이 본체;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스탠드 바디;
    상기 스탠드 바디에 형성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의 회전 중심을 제공하는 힌지 축;
    일 부분은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에 결합되고, 다른 일부는 상기 스탠드 바디에 삽입되는 탄성 부재가 포함되는 디스플레이 기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에는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에 고정되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에서 경사지게 연장되는 바디부; 및
    상기 바디부에서 경사지게 연장되는 연장부가 포함되는 디스플레이 기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는 상기 고정부와 평행하게 연장되는 디스플레이 기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는 판 스프링인 디스플레이 기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판 스프링은 복수 개가 겹쳐진 상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에 결합되는 디스플레이 기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탠드 바디에는 상기 탄성 부재가 삽입되는 관통홀과,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가 틸팅될 때, 상기 탄성 부재와 간섭되는 간섭부가 형성되는 디스플레이 기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에는 상기 탄성 부재가 선택적으로 결합될 수 있는 복수의 결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에는, 상기 탄성 부재와 결합되기 위한 복수의 결합 후크와,
    상기 탄성 부재에 상기 복수의 결합 후크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탄성 부재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가 포함되는 디스플레이 기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에는 상기 탄성 부재의 상하 및 좌우 움직임이 방지되도록 하기 위한 고정 돌기가 포함되는 디스플레이 기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 축을 커버하고, 상기 스탠드 바디의 일부분과 마찰을 일으키는 힌지 커버가 더 포함되는 디스플레이 기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스탠드 바디의 헤드부에는 가이드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힌지 커버에는 상기 가이드 돌기가 삽입되는 가이드 부가 형성되는 디스플레이 기기.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탠드 바디를 지지하는 베이스가 더 포함되는 디스플레이 기기.
KR1020090073988A 2009-08-11 2009-08-11 디스플레이 기기 KR1015978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3988A KR101597828B1 (ko) 2009-08-11 2009-08-11 디스플레이 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3988A KR101597828B1 (ko) 2009-08-11 2009-08-11 디스플레이 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6334A true KR20110016334A (ko) 2011-02-17
KR101597828B1 KR101597828B1 (ko) 2016-02-25

Family

ID=437747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3988A KR101597828B1 (ko) 2009-08-11 2009-08-11 디스플레이 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9782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2825Y1 (ko) * 1999-12-15 2000-05-15 알파테크주식회사 차량 거치대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용 무선수신장치
KR20040084027A (ko) * 2003-03-26 2004-10-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 표시기기의 스탠드구조
KR20040089200A (ko) * 2003-04-11 2004-10-21 나은기술 주식회사 디스플레이기기의 거치장치와 힌지어셈블리
KR20090013348A (ko) * 2007-08-01 2009-02-05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 및 이를 갖춘 디스플레이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2825Y1 (ko) * 1999-12-15 2000-05-15 알파테크주식회사 차량 거치대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용 무선수신장치
KR20040084027A (ko) * 2003-03-26 2004-10-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 표시기기의 스탠드구조
KR20040089200A (ko) * 2003-04-11 2004-10-21 나은기술 주식회사 디스플레이기기의 거치장치와 힌지어셈블리
KR20090013348A (ko) * 2007-08-01 2009-02-05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 및 이를 갖춘 디스플레이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97828B1 (ko) 2016-0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65552B1 (ko) 스탠드 및 이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
US7447007B2 (en) Portable computer
JP6807007B1 (ja) 電子機器
KR102214298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20110138943A (ko) 서포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가지는 컴퓨터 디바이스
KR19980034366A (ko) 액정디스플레이장치의 스탠드구조
US20100046166A1 (en) Information processing unit
KR20110016334A (ko) 디스플레이 기기
KR101428051B1 (ko) 듀얼 모니터
US20110050541A1 (en) Dual display device
CN111142614B (zh) 一种电子设备
KR20110111673A (ko) 디스플레이 기기
KR101598629B1 (ko) 디스플레이 기기
KR20100138010A (ko) 디스플레이 기기
KR20130065979A (ko) 디스플레이 장치
JP3125333U (ja) 携帯ゲーム機用スタンド装置
JP4709312B2 (ja) 電子機器
CN220603920U (zh) 用于笔记本电脑的扩展屏
JP3229910U (ja) ノートパソコン用外付けモニター
KR101415811B1 (ko) 입력유닛 수납이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
JP5341162B2 (ja) 3次元映像表示装置
KR20100125879A (ko) 디스플레이 기기
KR101558592B1 (ko) 디스플레이 기기
KR101525167B1 (ko)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
KR101459761B1 (ko) 듀얼 모니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