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16312A - 세탁장치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세탁장치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16312A
KR20110016312A KR1020090073958A KR20090073958A KR20110016312A KR 20110016312 A KR20110016312 A KR 20110016312A KR 1020090073958 A KR1020090073958 A KR 1020090073958A KR 20090073958 A KR20090073958 A KR 20090073958A KR 20110016312 A KR20110016312 A KR 201100163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um
laundry
motion
value
was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739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한수
조인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739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16312A/ko
Priority to CN2010101614731A priority patent/CN101876135A/zh
Publication of KR201100163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631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30Driving arrangements 
    • D06F37/304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electric moto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1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measuring specific parameters
    • D06F34/18Condition of the laundry, e.g. nature or weight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02Characteristics of laundry or load
    • D06F2103/04Quantity, e.g. weight or variation of weight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44Current or voltage
    • D06F2103/46Current or voltage of the motor driving the drum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46Drum speed; Actuation of motors, e.g. starting or interrup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Washing Machine And Dry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급수 전 포량판단을 통해 설정되는 실동율을 급수 후 수행되는 포량판단을 통해 최초 설정된 실동율의 검증 및 변경이 가능한 세탁장치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드럼세탁기, 실동율, 기동전류, 유지전류, 기동모션

Description

세탁장치의 제어방법{Controlling Method of Washing Machine}
본 발명은 급수 전 포량판단을 통해 설정되는 실동율을 급수 후 수행되는 포량판단을 통해 최초 설정된 실동율의 검증 및 변경이 가능한 세탁장치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탁장치는 물과 세제의 작용을 통해 세탁물에 뭍어있는 오물을 제거하는 장치이다.
세탁장치는 크게 교반식과 와류식 및 드럼식 세탁장치로 구분된다.
교반식은 세탁조의 중앙에 솟은 세탁봉을 좌우로 회전시켜 세탁하고, 와류식은 세탁조 하부에 형성된 원판모양의 회전날개를 좌우로 회전시켜 수류와 세탁물 간의 마찰력을 이용하여 세탁하며, 드럼식은 드럼의 내부에 물, 세제 및 세탁물을 넣고 드럼을 회전시켜 세탁한다.
드럼식 세탁장치는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의 내부에 세탁수가 수용되는 터브가 장착되고, 터브의 내측에 세탁물이 수용되는 드럼이 구비되며, 터브의 배면에는 상기 드럼을 회전시키기 위한 모터와 샤프트가 구비된다.
상술한 구성을 구비한 드럼식 세탁장치는 터브에 저장된 세탁수와 드럼에 저 장된 세탁물의 마찰력, 세탁수에 저장된 세제의 화학적 작용에 의해 세탁물에 포함된 오물을 제거하게 된다. 따라서, 드럼의 회전방향과 회전속도의 조합은 세탁장치의 세탁성능과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다.
한편, 종래 세탁장치는 급수 전 포량판단을 통해 급수량, 실동율 및 세탁시간을 설정하여 세탁을 진행하는데, 급수 전 포량측정에 오류가 있는 경우 포량에 따른 최적화된 급수량, 실동율 및 세탁시간을 제공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드럼에 투입된 세탁물의 양을 정확히 판단함으로써 포량에 따른 최적의 세탁조건이 설정가능한 세탁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세탁수가 저장되는 터브와, 세탁물이 투입되는 드럼과, 상기 드럼을 정역방향 회전을 가능하게 하는 모터를 포함하는 세탁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터브로 세탁수를 급수하기 전 상기 드럼에 투입된 세탁물의 양을 판단하는 1차 포량판단단계와, 상기 1차 포량판단단계에서 측정된 1차 포량값과 기 설정된 기준포량값을 비교하여 상기 1차 포량값에 따른 실동율을 설정하는 실동율 설정단계와, 상기 터브로 세탁수를 급수하는 급수단계와, 상기 터브로 세탁수를 급수한 후 상기 드럼에 투입된 세탁물의 양을 판단하는 2차 포량판단단계와, 상기 2차 포량판단단계에서 측정된 2차 포량값이 상기 기준포량값과 비교하여 상기 1차 포량값과 상기 2차 포량값이 서로 다른 경우, 상기 실동율 설정단계에서 설정된 실동율을 변경하는 실동율 재 설정단계를 포함하는 세탁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세탁장치의 제어방법은 드럼에 투입된 세탁물의 양을 정확히 판단함으로써 포량에 따른 최적의 세탁조건이 설정가능한 세탁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특별한 정의가 없는 한 본 명세서의 모든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가 이해하는 당해 용어의 일반적 의미와 동일하고, 만약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가 당해 용어의 일반적 의미와 충돌하는 경우에는 본 명세서에 사용된 정의에 따른다. 한편, 이하에 기술될 장치의 구성이나 제어방법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기 위함은 아니며,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하게 사용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1은 본 발명 세탁장치의 제어대상인 세탁장치의 사시도이다.
세탁장치는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110)과,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캐비닛에 의해 지지되는 터브(120)와, 상기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세탁물이 투입되는 드럼(130)과, 상기 드럼에 토크를 인가하여 드럼을 회전시키는 모터(140)와, 사용자가 세탁코스의 선택 및 실행을 가능하게 하는 컨트롤패널(115)을 포함한다.
상기 캐비닛(110)은 본체(111)와, 상기 본체의 전면에 구비되어 결합되는 커버(112)와, 상기 본체의 상부에 결합되는 탑플레이트(116)를 포함한다. 상기 커버(112)는 세탁물의 출입이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개구부(114)와, 상기 개구부를 선 택적으로 개폐하는 도어(11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드럼(130)은 내부에 투입된 세탁물이 세탁되는 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드럼(130)은 상기 모터(140)에서 동력을 제공받아 회전하게 된다. 상기 드럼(130)은 다수의 통공(131)을 구비하므로 상기 터브(120)에 저장된 세탁수는 상기 통공(131)을 통해 상기 드럼(13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고, 상기 드럼 내부의 세탁수는 상기 터브로 유출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드럼이 회전하면 상기 드럼 내부에 투입된 세탁물은 상기 터브에 저장된 세탁수와 마찰하는 과정에서 오물이 제거되게 된다.
상기 컨트롤패널(115)은 사용자가 세탁과 관련한 정보를 입력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세탁과 관련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구성이다. 즉, 사용자와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구성이다.
따라서, 상기 컨트롤패널(115)은 사용자가 제어명령의 입력이 가능한 조작부(117, 118)와, 상기 제어명령에 따른 제어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119)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컨트롤패널은 상기 제어명령에 따라 상기 모터의 동작을 포함하여 세탁장치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세탁장치의 제어방법에 따르면, 드럼이 다양한 형태로 구동될 수 있다. 즉, 일반적인 텀블 구동과 스핀 구동뿐만 아니라 더욱 다양한 형태로 드럼 구동이 이루어진다. 상기 텀블 구동은 일반적인 드럼 세탁기의 세탁이나 헹굼 시 세탁물이 들어 올려진 후 낙하하는 드럼구동모션이며, 상기 스핀 구동은 탈수 시 세탁물이 드럼 내부에 붙어 있는 상태로 계속해서 회전하게 되는 드럼구동모션이다.
본 발명에서의 드럼구동모션은 드럼이 회전하는 RPM 만 아니라 이와 연관되어 드럼 내부에서 세탁물이 유동하는 모션을 의미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다양한 드럼구동모션으로 드럼을 구동하기 위한 드럼의 회전, 특히 드럼의 회전을 발생시키는 모터의 제어방법을 제공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는 다양한 드럼구동모션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2는 본 발명 세탁장치의 제어방법에 활용되는 다양한 드럼구동모션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드럼구동모션은 상기 드럼의 회전방향과 회전속도의 조합을 의미하고, 상기 드럼구동모션에 의해 드럼 내부에 위치하는 세탁물은 낙하방향, 낙하시점이 달라지게 되고 따라서 드럼 내부에서의 세탁물의 유동이 달라지게 된다. 상기 드럼구동모션은 상기 모터를 제어함으로써 구현된다.
세탁물은 상기 드럼의 회전 시 드럼 내주면에 구비된 리프트(135)에 의해 상승하게 되므로, 상기 드럼의 회전속도와 회전방향을 제어함으로써 세탁물에 가해지는 충격을 달리할 수 있게 된다. 즉, 세탁물간의 마찰, 세탁물과 세탁수 간의 마찰, 그리고 세탁물의 낙하 충격 등의 기계력을 달리할 수 있게 된다. 다시 말하면, 세탁을 위해 세탁물을 두드리거나 비비는 정도를 달리할 수 있고, 세탁물의 분산이나 뒤집힘 정도를 달리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다양한 드럼구동모션을 구비한 세탁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하여 세탁물의 종류, 세탁물의 오염정도, 각각의 행정, 각각의 행정을 이루는 세부적인 단계에 따라 드럼구동모션을 달리 하여 최적의 기계력으로 세탁물을 처리할 수 있게 된다. 이로 인해 세탁물의 세탁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일관된 드럼구동모션으로 인하여 과도하게 세탁 시간이 소요되는 것을 방지하여 소요되는 시간을 줄일 수 있게 된다.
한편, 이러한 다양한 드럼구동모션을 구현하기 위하여 상기 모터(140)는 직결식 모터임이 바람직하다. 즉, 모터의 스테이터가 터브(120)이 후방에 고정되고, 모터의 로터가 회전하여 상기 드럼(130)을 직접 구동시키는 형태가 바람직하다. 이는 모터의 회전 방향, 토크 등을 제어함으로써, 시간적인 지연이나 백래시(backlash)를 최대한 방지하여 즉각적으로 드럼구동모션을 제어할 수 있기 때문이다.
반면, 모터의 회전력을 풀리 등을 통하여 회전축에 전달하는 형태에서는 시간적인 지연이나 백래시가 허용되는 형태의 드럼구동모션, 예를 들어 텀블링 구동이나 스핀 구동 등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다양한 드럼구동모션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바람직하지 않게 된다. 모터와 드럼의 구동 방식 형태는 당업자에게 자명한 사항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2의 (a)는 롤링모션(rolling motion)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상기 롤링모션은 상기 모터(140)가 드럼(130)을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되, 상기 드럼 내주면에 있는 세탁물이 드럼의 회전방향 약 90도 미만의 위치에서 드럼의 최저점으로 낙하하 도록 제어되는 모션이다.
즉, 모터(140)가 드럼을 약 40RPM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드럼(130)의 최저점에 위치한 세탁물은 드럼(130)의 회전방향을 따라 소정 높이 상승한 뒤 상기 드럼의 최저점에서 회전방향 약 90도 미만의 위치에서 구르듯이 상기 드럼의 최저점으로 유동하게 된다. 시각적으로는 드럼이 시계방향 회전 시 드럼의 3사분면에서 세탁물들이 지속적으로 구르는 형태가 된다.
세탁물은 상기 롤링모션을 통해 세탁수와의 마찰, 세탁물간의 마찰, 그리고 드럼 내주면과의 마찰을 통해 세탁된다. 그리고 이러한 모션을 통해 세탁물의 뒤집힘이 충분히 발생되어 세탁물을 부드럽게 비벼빠는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여기서, 드럼 RPM은 드럼의 반경과의 관계에서 결정된다. 즉, 드럼의 RPM이 커질수록 드럼 내의 세탁물에는 원심력이 발생된다. 상기 원심력과 중력과의 크기 차이로 인해 드럼 내부에서의 세탁물의 유동이 달라지게 된다. 물론, 드럼의 회전력과 드럼과 세탁물 사이의 마찰력도 고려되어야 한다.
따라서, 롤링모션은 원심력과 마찰력이 중력(1G)보다 적게 발생되도록 드럼의 RPM이 결정된다.
도2의 (b)는 텀블링모션(tumbling motion)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상기 텀블링모션은 상기 모터(140)가 드럼(130)을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되 상기 드럼 내주면에 있는 세탁물이 드럼의 회전방향 약 90도 내지 110도 위치에서 드럼의 최저점으로 낙하하도록 제어되는 모션이다. 상기 텀블링모션은 드럼을 적정한 RPM으로 일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제어만 하면 기계력이 발생되므로 세탁과 헹굼 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드럼구동모션이다.
즉, 드럼(130)에 투입된 세탁물은 모터(140)가 구동되기 전 상기 드럼(130)의 최저점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 모터(140)가 상기 드럼(130)에 토크를 제공하면 상기 드럼(130)은 회전하게 되고, 상기 드럼의 내주면에 구비된 리프트(135)는 드럼 내 최저점에서 소정높이까지 세탁물을 이동시키게 된다. 만약, 상기 모터(140)가 상기 드럼(130)을 약 46RPM정도로 회전시키면 세탁물은 상기 드럼의 최저점에서 회전방향 약 90도 내지 110도 위치에서 드럼의 최저점방향으로 낙하하게 된다.
텀블링모션는 롤링모션에서의 원심력 보다는 큰 원심력이 발생하되, 중력보다는 적게 발생되도록 드럼의 RPM이 결정된다.
시각적으로 텀블링 모션은 드럼이 시계방향 회전 시 드럼의 최저점에서 3사분면으로부터 2사분면의 일부로 이동한 뒤 드럼 내주면에서 벗어나 드럼의 최저점으로 낙하하는 형태가 된다.
따라서, 상기 텀블링모션은 세탁물이 세탁수와의 마찰 및 낙하에 의해 유발되는 충격력에 의해 세탁될 수 있도록 하므로, 상기 롤링모션에서 기계력 보다 더 큰 기계력으로 세탁 및 헹굼을 수행하게 된다. 그리고, 어느 정도 드럼 내부를 벗어나 낙하하는 모션이므로 엉켜진 세탁물을 분리하고 세탁물을 분산시키는 효과가 있게 된다.
도2 (c)는 스텝모션(step motion)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상기 스텝모션은 상기 모터(140)가 드럼(130)을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되 상기 드럼 내주면에 있는 세탁물이 드럼의 회전방향 최고점(약 180도 위치)에서 드럼의 최저점으로 낙하하도록 제어되는 모션이다.
상기 모터(140)가 상기 드럼(130)을 약 60RPM 이상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세탁물은 원심력에 의해 낙하 없이 회전할 수 있게 되는데, 상기 스텝모션은 세탁물이 원심력에 의해 드럼 내주면에서 낙하하지 않는 속도로 상기 드럼을 회전시킨 후 상기 드럼을 급제동함으로써 세탁물에 충격력을 극대화하는 모션이다.
상기 스텝모션에서 상기 모터(140)는 원심력에 의해 세탁물이 드럼의 외주면에서 낙하하지 않는 속도(약 60RPM 이상)로 상기 드럼을 회전시킨 후 세탁물이 드럼의 최고점(회전방향 180도) 부근에 위치한 경우 역토크를 상기 드럼(130)에 공급하도록 제어된다.
따라서, 세탁물은 상기 드럼(130)의 최저점에서 드럼의 회전방향을 따라 상승한 후 모터(140)의 역토크에 의해 드럼이 정지하는 순간 드럼(130)의 최고점에서 최저점으로 낙하하게 되므로, 상기 스텝모션은 드럼 내부에 있는 세탁물이 최대낙차로 낙하하는 과정에서 유발되는 충격력에 의해 세탁하는 모션이다. 이러한 스텝모션에 의해 발생되는 기계력은 전술한 롤링모션이나 텀블링모션보다 크게 된다.
시각적으로 스텝모션은 드럼이 시계방향 회전 시 드럼의 최저점에서 3사분면으로부터 2사분면을 지나 드럼의 최고점으로 이동한 후 갑자기 드럼 내주면에서 벗어나 드럼의 최저점으로 낙하하는 형태가 된다. 따라서, 스텝모션에서 드럼 내부에서 낙하하는 거리가 가장 크기 때문에 포량이 적은 경우 더욱 효과적으로 기계력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모터(140)는 상기 드럼의 제동을 위해 역상제동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역상제동은 모터가 회전하고 있는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력을 발생시켜 모터를 제동하는 방식이다. 모터가 회전하고 있는 방향과 반대방향의 회전력을 유발하기 위해서 모터에 공급되는 전류의 상(phase)을 역전시킬 수 있으며, 상기 역상제동은 모터의 급제동을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상기 역상제동은 세탁물에 강한 충격을 주는 상기 스텝모션에 가장 적절한 제동방식이 된다.
이후, 상기 모터(140)는 다시 상기 드럼(130)에 토크를 인가하여 드럼의 최저점에 있는 세탁물을 최고점으로 상승시키게 된다. 즉,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토크를 가한 후 순간적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토크를 가하여 급정지시키고, 이후 다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토크를 가하여 스텝모션이 구현된다.
결국, 상기 스텝모션은 드럼의 회전 시에는 통공(131)으로 유입된 세탁수와 세탁물을 마찰시켜 세탁하고, 세탁물이 드럼의 최고점에 위치하면 낙하시켜 충격력에 의해 세탁하는 모션이다.
도2 (d)는 스윙모션(swing motion)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상기 스윙모션은 모터(140)가 상기 드럼(130)을 양방향으로 회전시키되, 드럼의 회전방향 90도 지점을 경과한 뒤 세탁물이 낙하하도록 제어되는 모션이다.
즉, 모터(140)가 드럼(130)을 반시계방향으로 약 40RPM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드럼(130)의 최저점에 위치한 세탁물은 반시계방향으로 소정 높이 상승하게 된다. 이때 상기 모터는 세탁물이 드럼의 반시계방향 90도 지점을 통과한 뒤 드럼의 회전을 정지시킴으로써 세탁물이 드럼의 반시계방향 90도 지점을 경과한 뒤 드럼의 최저점 방향으로 낙하되도록 한다.
이 후, 상기 모터(140)는 드럼(130)을 시계방향으로 약 40RPM으로 회전시켜 낙하하는 세탁물이 드럼의 회전방향을 따라 시계방향으로 소정높이 상승시킨다. 한편, 상기 모터(140)는 세탁물이 드럼의 시계방향 90도 지점을 경과한 뒤 드럼의 회전을 정지시킴으로써 세탁물이 드럼의 시계방향 90도 지점을 경과한 위치에서 드럼의 최저점 방향으로 낙하되도록 한다.
즉, 스윙모션은 드럼의 일방향 회전 및 정지 그리고 역방향 회전 및 정지가 반복되는 모션으로, 시각적으로는 세탁물이 드럼의 3사분면으로부터 2사분면 일부까지 상승하여 부드럽게 낙하한 후 드럼의 4사분면으로부터 1사분면 일부까지 상승하여 부드럽게 낙하함을 반복하는 형태라고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모터(140)의 제동은 발전제동을 이용함으로써 모터(140)에 발생하는 부하를 최소화하고, 모터(140)의 기계적 마모를 최소화하는 동시에, 세탁물에 가해지는 충격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발전제동은 모터에 인가되는 전류를 OFF 시킬 경우 회전관성에 의해 모터가 발전기의 역할을 하게 되는 것을 이용한 제동방식이다. 모터에 인가된 전류를 OFF시키면 모터의 코일에 흐르는 전류의 방향은 전원 OFF전 전류의 방향과 반대가 되므로 모터의 회전을 방해하는 방향으로 힘(플레밍의 오른손 법칙)이 작용하여 모터가 제동된다. 상기 발전제동은 상기 역상제동과 달리 모터를 급제동시키지는 않으나 드럼의 회전방향 전환을 부드럽게 한다.
따라서, 시각적으로 상기 스윙 모션은 드럼의 3사분면과 4사분면에 걸쳐 옆으로 누운 8자 형태로 세탁물이 유동하는 형태가 된다.
도2 (e)는 스크럽모션(scrub motion)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상기 스크럽모션은 모터(140)가 드럼(130)을 양방향으로 회전시키되, 역상제동을 통해 드럼의 회전방향 약 90도 이상의 위치에서 세탁물이 낙하하도록 제어되는 모션이다.
즉, 모터(140)가 드럼(130)을 반시계방향으로 약 60RPM 이상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드럼(130)의 최저점에 위치한 세탁물은 반시계방향으로 소정 높이 상승하게 된다. 이때, 상기 모터는 세탁물이 드럼의 반시계방향 약 90도의 위치를 지난 뒤 드럼에 역토크를 제공하여 상기 드럼의 회전을 일시 정지시키게 된다. 그러면, 드럼의 내주면에 있던 세탁물은 급격히 낙하하게 된다.
이후, 상기 모터(140)는 드럼을 시계방향으로 약 60RPM으로 회전시켜 낙하한 세탁물을 시계방향으로 소정높이 상승시킨다. 상기 모터(140)는 세탁물이 드럼의 시계방향 90도 위치를 지나면 드럼(130)에 역토크를 제공하여 상기 드럼의 회전을 일시정지시키게 된다. 따라서, 드럼의 내주면에 있던 세탁물은 드럼의 시계방향 90도 이상의 위치에서 드럼의 최저점으로 낙하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스크럽모션은 세탁물이 소정높이에서 급격히 낙하하도록 함으로써 세탁물을 세탁하게 된다. 한편, 상기 모터(140)는 상기 드럼의 제동을 위해 역상제동됨이 바람직하다.
드럼의 회전 방향이 급격히 전환되기 때문에 세탁물이 드럼 내주면을 크게 벗어나지 않게 되어 매우 강력하게 비벼빠는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상기 스크럽모션은 3사분면을 지나 2사분면 일부까지 이동한 세탁물이 급격히 낙하하여 다시 4사분면을 지나 1사분면 일부까지 이동한 후 낙하함을 반복하는 형태이다. 따라서 시각적으로는 상승한 세탁물이 드럼 내주면을 따라 하강함을 반복하는 형태라 할 수 있다.
도2 (f)는 필트레이션모션(filtration motion)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상기 필트레이션모션은 세탁물이 원심력에 의해 드럼의 내주면에서 떨어지지 않도록 모터(140)가 드럼(130)을 회전시키고, 상기 드럼의 내부에 세탁수를 분사하는 모션이다.
즉, 상기 필트레이션모션은 세탁물이 펼쳐진 후 드럼의 내주면에 밀착되어 회전하는 동안 세탁수를 드럼의 내부에 분사하므로 세탁수는 원심력에 의해 세탁물, 드럼의 통공(131)을 거쳐 터브(120)로 빠져나가게 된다. 따라서, 상기 필트레이션모션은 세탁물이 세탁수와 접촉하는 표면적을 넓히는 한편, 세탁수가 세탁물을 관통할 수 있도록 하기 때문에 세탁수를 골고루 세탁물에 공급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상기 필트레이션모션에서 드럼에 세탁수를 분사하는 방식은 순환유로(미도시)와 펌프(미도시)를 이용하여 터브에 저장된 세탁수를 순환시켜 분사하는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필트레이션모션은 세탁수를 분사시키지 않고 세탁물이 드럼의 내주면에 밀착되어 회전만 시키도록 진행될 수도 있는데, 이는 포분산을 유도하기 위함으로 포적심 후 세탁과정에서 포분산을 유도하기 위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필트레이션모션은 터브에 저장된 세탁수를 순환시키지 않고 외부의 급수원으로부터 공급되는 깨끗한 세탁수를 분사하는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는데 터브에 저장된 세탁수가 순환되는 경우와 구분하기 위해 스프레이린스모션(Spary Rinse motion)으로 정의한다. 상기 스프레이린스모션은 깨끗한 세탁수를 이용하므로 헹굼이 요구되는 행정에 적합한 모션이다.
도2 (g) 는 스퀴즈모션(squeeze motion)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상기 스퀴즈모션은 세탁물이 원심력에 의해 드럼의 내주면에서 떨어지지 않도록 상기 모터(140)가 드럼(130)을 회전시킨 후 드럼(130)의 회전속도를 낮추어 드럼의 내주면에서 세탁물을 분리하는 동작을 반복하고, 상기 드럼의 회전 중 세탁수를 드럼 내부에 분사하는 모션이다.
즉, 상기 필트레이션모션은 세탁물이 드럼의 내주면에서 떨어지지 않는 속도로 계속회전되나 상기 스퀴즈모션은 상기 드럼의 회전속도를 변화시켜 세탁물을 드럼(130)의 내주면에 밀착 및 분리를 반복시킨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상기 필트레이션모션과 스퀴즈모션 중 상기 드럼(130) 내부에 세탁수를 분사하는 과정은 도1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순환유로 및 펌프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펌프는 터브(120)의 저면과 연통하여 세탁수를 가압하고, 상기 순환유로는 일측이 상기 펌프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드럼의 상부로부터 드럼 내부로 세탁수를 분사시킬 수 있도록 구비돌 수 있다.
다만, 상술한 순환유로 및 펌프는 터브에 저장된 세탁수를 분사하는 경우에 필요한 구성이므로, 캐비닛 외부의 급수원과 연결되는 분사급수유로를 통해 상기 드럼 내부에 세탁수를 분사하는 경우를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즉, 상기 분사급수유로가 일측은 급수원과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터브에 연 결되되 상기 드럼의 내부로 세탁수를 분사할 수 있는 노즐을 구비한다면 필트레이션모션과 스퀴즈모션 중 드럼 내부로 세탁수를 분사할 수 있게 될 것이다.
한편, 상술한 각각의 드럼모션은 기 설정된 시계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드럼을 회전시키기 전 설정된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소정각도 회전시킨 후 드럼모션으로 진입하는 기동모션(일명, Active-i motion)을 포함하도록 제어됨이 바람직하다.
드럼모션을 실행함에 있어서, 드럼모션의 설정속도(설정된 회전수, rpm)로 드럼을 곧바로 회전시키려고 하면, 드럼모션의 초기에 모터로 공급되는 전류값이 급격히 상승하는 전류피크가 발생할 수 있다.
즉, 드럼모션의 개시 전 드럼에는 세탁물이 투입되어 정지된 상태이고, 드럼의 최저점과 회전방향 90도 지점사이에서 모터의 부하가 가장 크기 때문에 해당 드럼모션의 설정속도로 드럼을 회전시키기 위해서는 많은 전류의 공급이 필요하게 되며, 드럼에 투입된 포량이 많은 경우 공급돼야할 전류의 양은 더욱 커진다.
드럼모션의 초기에 전류피크가 발생하면 세탁장치의 안전성에 문제를 야기할 수 있고, 세탁장치의 안전성 확보를 위해 모터의 실동율을 변경하는 제어를 할 경우 세탁성능의 저하가 불가피할 수 있으므로 기동모션 후 드럼모션을 구현하도록 제어하는 것이다.
즉, 드럼모션의 설정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소정각도 회전시킨 뒤 드럼모션의 설정방향으로 드럼을 회전시키는 기동모션은 세탁물이 드럼모션의 설정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동안 얻게 되는 위치에너지를 이용할 수 있으므로 드럼모션의 초기에 요구되는 전류의 크기를 최소화시키고, 드럼모션의 공급되는 전류값의 급격한 상승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드럼에 투입된 포량에 따라 드럼모션의 초기에 공급되는 전류값이 결정되므로 포량에 능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게 된다.
도3은 본 발명 기동모션 시 드럼의 회전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상기 기동모션은 관측기동, 오픈루프기동 및 피드백기동으로 구현되는데, 도3 (a)는 기동모션의 개시 전 드럼에 세탁물이 투입된 모습이고, 도3 (b)는 드럼모션이 시계방향으로 설정된 경우 기준각도까지 드럼을 회전시키는 기동(관측기동)을 보여주고 있다.
즉, 드럼모션이 시계방향으로 설정된 경우 관측기동은 드럼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드럼모션이 반시계방향으로 설정된 경우 상기 관측기동은 드럼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될 것이다. 이하에서는 드럼모션의 설정방향이 시계방향인 경우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관측기동 시 드럼은 반시계방향으로 기 설정된 기준각도(제1기준각도) 또는 기 설정된 기준위치(제1기준위치)만큼 회전하게 된다. 상기 "기준각도"는 관측기동 시 모터에 공급되는 전류(이하, "기동전류")를 통해 포량을 감지할 수 있는 유의구간 15 내지 45도 중에서 선택될 수 있고, 도3 (b)는 22.5도가 설정된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관측기동이 종료되면, 본 발명은 세탁물이 가지는 위치에너지를 최대한 활용하기 위해 모터를 제동시킨다. 도3 (c)에 개시된 바와 같이 드럼과 드럼 내부에 투입된 세탁물은 관측기동의 관성에 의해 소정각도 더 회전될 수 있다.
즉, 도3 (c)에 개시된 세탁물의 위치(A)는 관측기동에 의해 세탁물이 가지는 위치에너지의 최대점이고, 이후 진행되는 오픈루프기동 시 세탁물의 위치에너지를 이용하면 오픈루프기동 시 드럼의 회전속도를 증가시키는데 유리한 효과가 있다.
한편, 세탁물이 관측기동을 통해 가질 수 있는 위치에너지의 최대점(A)은 모터에 구비되는 홀센서(Hall Sensor)와 같은 감지장치를 통해 판단할 수 있다.
관측기동이 종료된 뒤 모터는 제동되므로 드럼은 관측기동 시의 회전방향과 동일한 회전방향(반시계방향)으로 관성에 의해 회전할 것이나 세탁물의 위치에너지가 최대가 되는 지점(A)에서 드럼은 세탁물의 자중에 의해 정지 후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될 것이다.
따라서, 상기 홀센서가 드럼의 회전중단 또는 회전방향 전환을 인식하는 시점이 세탁물의 위치에너지가 최대인 지점(A)에 도달한 시점이되며, 이 시점에서 도5 (d)에 도시된 오픈루프기동이 개시된다.
상기 오픈루프기동은 관측기동에서 공급된 기동전류값의 최대값을 이용하여 드럼을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구간으로, 드럼의 최저점(O)과 세탁물의 위치에너지 최대점(A)이 이루는 각도의 두배에 해당하는 각도(시계방향)로 드럼을 회전시키는 구간이다.
즉, 오픈루프기동에 있어서, 드럼의 최저점(O)에서 세탁물의 위치에너지 최대점(A)에 이르는 각도와 상기 오픈루프기동이 종료되는 드럼의 위치(B, 제2기준각도 또는 제2기준위치)가 형성하는 각도는 서로 동일하다. 이는 관측기동에 의해 확보된 위치에너지를 최대한 활용하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오픈루프기동에서 모터에 공급되는 전류값은 상기 관측기동시 공급되었던 기동전류의 최대값(또는 상기 기동전류의 최대값을 소정비율로 증폭시킨 값)으로 공급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오픈루프기동이 모터의 부하가 최대가 되는 구간(O-B구간)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관측기동에 요구되었던 기동전류의 최대값을 모터에 공급함으로써 오픈루프기동에서 드럼의 회전을 용이하게하고, 드럼모션의 설정속도에 필요한 전류로 변환하여 공급(피드백기동)할 때 발생하는 전류피크의 크기를 최소화할 수 있다.
관측기동없이 드럼모션을 구현하는 경우 또는 관측기동 후 드럼모션에 설정된 rpm에 요구되는 전류를 곧바로 모터에 공급하는 경우, 모터로 공급되는 전류값이 급격히 상승하는 전류피크(peak)의 문제가 야기될 수 있고(도5 (a)참고), 이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세탁물이 위치에너지의 최대점(A)에 대응하는 위치(B)를 통과할 때 모터의 부하가 최대가 되어 순간적으로 많은 전류가 요구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기 오픈루프기동은 세탁물의 위치에너지 최대점(A)에 대응하는 위치(B)까지는 상기 관측기동에서 필요했던 기동전류의 최대값으로 드럼을 회전시킴으로써 모터의 부하가 최대가 되는 구간에서 요구되는 전류값의 갑작스런 증가를 방지하게 된다(도5 (b)참고).
상기 오픈루프기동이 완료되면 도3 (e)에 개시된 피드백기동이 개시된다. 상기 피드백기동은 상기 오픈루프기동에서 모터에 공급된 기동전류의 최대값을 드럼모션의 설정속도(설정회전수, rpm)로 드럼을 회전시키는데 필요한 전류값으로 전환하는 단계이다. 상기 피드백기동으로의 전환시점은 상술한 홀센서와 같은 감지장치 를 통해 드럼의 회전각도를 모니터링함으로써 가능하며, 상기 피드백기동을 통해 모터에 공급되는 전류값이 변경되면 기 설정된 드럼모션이 진행되게 된다.
상기 기동모션의 관측기동 시 상기 드럼()을 기준각도까지 회전시키기 위해서 모터에 공급되는 전류는 세탁물의 양에 따라 서로 상이하고, 드럼모션을 유지하기 위해 상기 모터에 공급되는 전류의 크기도 세탁물의 양에 따라 서로 상이하다.
즉, 도4을 참고하여 살펴보면, 세탁물의 양이 증가할 수록 관측기동에서의 기동전류는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고, 드럼모션을 유지하기 위해 공급되는 전류(이하, "유지전류")의 크기는 세탁용량의 절반에 해당하는 세탁물의 양(이하, "하프부하량")에서 가장 크다.
하프(half)부하량에서 유지전류가 가장 많이 공급되는 이유는 세탁물의 양이 세탁용량의 절반에 해당할 경우 드럼내 세탁물의 유동이 가장 심하고, 드럼모션 중 유발되는 세탁물의 유동은 모터의 부하로 작용하므로 드럼모션의 설정속도로 드럼을 회전시키기 위해 필요한 유동전류가 많이 요구되기 때문이다.
즉, 세탁물의 양이 하프부하량을 초과하면 드럼 내부에서 세탁물이 유동할 수 있는 공간이 줄게되므로 세탁물의 유동에 의해 유발되는 부하가 적고, 그 결과 하프부하량일 때 요구되는 유지전류보다 작은 유지전류로 드럼모션을 구동할 수 있다. 또한, 세탁물의 양이 하프부하량 미만인 경우에는 드럼 내부에서 세탁물의 유동이 심하기는 하나 세탁물의 양이 적어 드럼 내 세탁물의 유동으로 발생하는 모터부하가 유지전류값을 상승시킬만큼 크지 않다.
따라서, 세탁물의 양에 따라 관측기동 시 기준각도까지 드럼이 회전할 때 요 구되는 기동전류값에 관한 데이터를 실험적으로 확보한다면 기동모션을 통해 세탁물의 양을 판단할 수 있게 되고, 실험을 통해 세탁물의 양에 따른 유지전류값 데이터를 확보한다면 드럼모션을 통한 세탁물의 양을 판단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동일 포량에 대한 기동전류값과 유지전류값의 크기를 통해 하프부하와 최대부하를 판단하는데 이용할 수도 있다. 즉, 하프부하의 경우 기동전류는 기준전류보다 작으나 유지전류는 기준전류보다 크고, 최대부하의 경우 기동전류는 기준전류보다 크나 유지전류는 기준전류보다 작은 특징을 통해 하프부하와 최대부하를 구분할 수도 있다.
하프부하와 최대부하를 구분하는 것은 하프부하를 기준으로 실동율이나 세탁시간이 구분되는 세탁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 매우 의미있는 구분이다.
예를들어, 포량값이 하프부하 이하인 경우 제2실동율, 제2세탁시간 및 제2드럼모션으로 세탁기가 제어되고, 포량값이 하프부하를 초과하는 경우 제1실동율, 제1세탁시간 및 제1세탁모션으로 세탁기를 제어하는 경우를 가정해보자.
통상 포량단단을 위한 단계는 급수 전 진행되므로 젖은 세탁물(이하, "습포")의 경우 수분을 함유하고 있기 때문에 세탁장치는 실제 드럼에 투입된 세탁물의 양보다 많은 양이 세탁물에 투입된 것으로 판단할 가능성이 존재한다. 따라서, 하프부하에 해당하여 제2실동율로 세탁이 진행되어야 함에도 세탁물에 함유된 수분에 의해 하프부하 이상인 것으로 세탁장치가 오판할 경우 제1실동율에 근거하여 세탁이 진행될 것이므로 에너지효율의 측면이나 세탁시간의 측면에서 최적화된 세탁이 진행되지 못한다.
그러나, 기동전류값이나 유지전류값을 급수 후 측정하여 포량을 판단하면 습포의 경우에도 하프부하인지 여부를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게 되므로 하프부하를 기준으로 실동율 등을 변경하는 경우 포량에 따른 최적화된 세탁을 가능하게 한다.
도6은 본 발명 세탁장치의 제어방법을 보여주는 절차도이다.
본 발명 세탁장치의 제어방법은 급수 전 드럼에 투입된 세탁물의 양(포량)을 판단하는 1차 포량판단단계(S10)와, 포량에 따라 실동율을 설정하는 실동율 설정단계(S30)와, 터브에 세탁수를 공급하는 급수단계(S40, S40')와, 1차 포량판단에 의해 설정된 실동율로 세탁이 진행되는 초기 세탁단계(S50, S50')와, 세탁수의 급수 후 포량을 재측정하는 정밀포량 감지단계(S60)와, 정밀포량 감지단계(S60)의 결과에 따라 실동율을 변경하는 실동율 재설정단계(S70)와, 재설정된 실동율에 따라 세탁이 진행되는 후 세탁단계(S80)를 포함한다.
드럼에 세탁물이 투입된 뒤 세탁이 개시되면, 드럼(130)에 투입된 포량을 판단하는 1차 포량판단단계(S10)가 진행된다. 상기 1차 포량판단단계(S10)는 드럼(130)을 소정각도 회전시키는데 걸리는 시간을 이용하거나, 상기 드럼(130)을 소정시간 회전시킨 후 여력회전하는 시간을 이용하는 방식과 같이 다양한 방식을 통해 진행될 수 있다.
상기 1차 포량판단단계(S10)에 의해 포량이 측정되면, 측정된 1차 포량값이 기 설정된 기준포량값보다 큰지 여부를 판단하는 포량비교단계(S20)가 진행된다. 상기 포량비교단계(S20)에서 측정된 1차 포량값이 기준포량값보다 큰 경우에는 기 설정된 제1실동율이 설정(S31)되고, 측정된 1차 포량값이 기준포량값 이하인 경우 에는 제2 실동율이 설정(S33)되는 실동율 설정단계(S30)가 진행된다.
한편, 상기 실동율 설정단계(S30)는 포량에 근거한 세탁시간 설정단계 또는 드럼모션 설정단계로 대체될 수도 있고, 상기 세탁시간, 실동율 및 드럼모션이 모두 설정되는 단계로 대체될 수도 있다. 즉, 상기 실동율 설정단계(S30)는 포량에 근거하여 세탁 시 요구되는 데이터 설정단계의 일례이므로 포량에 근거하여 판단되는 다양한 데이터가 설정되는 단계로 치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드럼모션 설정단계의 의미는 도2에 개시된 각 모션이 조합되어 세탁코스의 드럼모션을 구비하되, 포량에 따라 해당 세탁코스의 모션조합이 서로 다른 경우 측정된 포량에 대응하는 드럼모션이 설정됨을 의미한다.
예를들면, 기준포량값 이하에서 세탁코스의 드럼모션은 스텝모션, 텀블링모션, 롤링모션의 조합(제1드럼모션)이고, 기준포량값 보다 크면 세탁코스의 드럼모션은 텀블링모션, 필트레이션모션의 조합(제2드럼모션)인 경우 측정된 포량에 따라 제1드럼모션 내지 제2드럼모션이 설정됨을 의미한다.
포량에 근거하여 실동율이 설정되고 나면, 드럼에 투입된 포량의 세탁에 필요한 세탁수가 터브로 급수되는 급수단계(S40, S40')가 진행된다.
상기 급수단계(S40, S40')는 급수를 통해 세탁물을 적시는 포적심과 급수 시 세탁물에 공급되는 세제를 용해시킬 수 있도록 진행되는 것이 세탁효율의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따라서, 제2실동율이 설정된 경우, 상기 급수단계(S40')는 스텝모션과 스크럽모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도록 드럼을 제어하여 빠른 세제용해를 유도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포적심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필트레이션모션을 포함할 수 있고, 급수단계의 진행 중 포가 엉키는 것을 풀어주기 위해 텀블링모션 내지 롤링모션을 더 포함하도록 드럼을 제어할 수 있다.
다만, 상기 1차 포량판단단계(S10)에서 측정된 포량이 기준포량값 이상인 경우(제1실동율이 설정된 경우), 상기 급수단계(S40)는 스텝모션, 스크럽모션 및 롤링모션은 제외시켜 진행될 수 있다. 상기 스텝모션 및 스크럽모션은 드럼 내부에서 세탁물이 낙하하면서 유발되는 충격을 이용하는 모션이므로 포량이 많은 경우에는 의도한 효과를 완전히 구현하기 어렵기 때문이고, 상기 롤링모션의 경우에도 포량이 많은 경우에는 세탁물이 드럼의 내주면을 구르듯이 움직이는 효과를 완전히 구현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상기 급수단계(S40, 40')가 종료되면, 설정된 실동율에 따라 드럼을 구동하는 초기세탁단계(S50, S50')가 진행되며, 제1실동율이 설정된 경우의 초기 세탁단계에 대해 먼저 설명한다.
상기 초기 세탁단계(S50)는 후술할 후 세탁단계(S80)와 더불어 세탁물에서 오물을 제거하기 위한 드럼모션을 포함하는 단계이다.
상기 초기 세탁단계(S50)가 드럼모션을 포함하므로, 상기 초기 세탁단계(S50)는 도3에 개시된 기동모션으로 드럼을 제어하는 기동모션단계(S51)와, 상기 기동모션단계에 이어 도2에 개시된 바와 같은 모션을 가지도록 드럼이 구동되는 드럼모션단계(S52)와, 상기 기동모션단계(S51)에서 모터에 공급되는 기동전류값 또는 상기 드럼모션단계(S52)에서 모터에 공급되는 유지전류값을 측정하는 2차 포량판단단계(S53)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기동모션단계(S51)는 도3에 개시된 바와 같이 관측기동, 오픈루프기동 및 피드백기동으로 드럼을 제어하는 단계이고, 상기 드럼모션단계(S52)는 도2에 개시된 모션으로 드럼이 구동하는 단계이며, 상기 기동모션단계(S51)와 드럼모션단계(S52)를 통해 드럼에 투입된 세탁물에서 오물이 제거되게 된다.
다만, 상기 초기 세탁단계(S50)는 후술할 후 세탁단계(S80)의 선행단계로 구비시키되, 상기 기동모션단계와 드럼모션단계가 동시에 진행되도록 구비되면 충분하다. 즉, 상기 초기 세탁단계(S50)를 후 세탁단계(S80)에 필요한 온수제공을 위해 터브에 급수된 세탁수를 가열하는 히팅단계로 구비시키되, 상기 히팅단계 중 상기 기동모션단계(S51) 내지 드럼모션단계(S52)가 동시에 진행되도록 구비시켜도 무방하다. 한편, 상기 드럼모션단계(S52)는 유지전류값을 측정가능한 한 도2에 개시된 모션 이외의 모션으로 진행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2차 포량판단단계(S53)는 기동모션의 관측기동 중 기동전류값(또는 기동전류의 평균값, 기동전류의 최대값)을 측정하는 기동전류 측정단계(S531)로 구비될 수도 있고, 상기 드럼모션단계(S52)의 유지전류값(또는 유지전류의 평균값, 유지전류의 최대값)을 측정하는 유지전류 측정단계(S533)로 구비될 수도 있으며, 상기 기동전류 측정단계(S531)와 유지전류 측정단계(S533)의 조합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먼저, 기동전류 측정단계(S531) 또는 유지전류 측정단계(S533)만으로 상기 2차 포량판단단계(S53)가 구비된다면, 상기 기동전류 측정단계(S531)에서 측정된 기동전류값 또는 상기 유지전류 측정단계(S533)에서 측정된 유지전류값은 실험적으로 얻어지는 포량에 따른 기동전류값 데이터, 포량에 따른 유지전류값 데이터를 통해 2차 포량값으로 인식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기동전류 측정단계(S531)와 유지전류 측정단계(S533)를 모두 포함하는 경우, 상기 2차 포량판단단계(S53)는 기동전류값과 유지전류값 중 어느 하나를 통해 2차 포량값을 판단한 뒤 다른 하나를 통해 판단된 2차 포량값을 검증할 수 있게 되므로 보다 정확한 2차 포량값을 판단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초기 세탁단계(S50)를 통해 2차 포량판단단계(S53)가 완료되면 정밀포량 판단단계(S60)가 이어지는데, 상기 정밀포량 판단단계(S60)는 상기 2차 포량판단단계(S53)에서 측정된 2차 포량값과 기준포량값에 대한 전류값을 비교하게 된다.
즉, 상기 2차 포량판단단계(S53)가 기동전류 측정단계(S531)로 구비되는 경우, 정밀포량 판단단계(S60)는 상기 기동전류 측정단계(S531)에서 측정된 2차 포량값과 상기 포량비교단계(S20)의 기준포량값에 대한 기동전류값(U1, 도4참고)을 비교하여 진행된다.
상기 2차 포량판단단계(S53)가 유지전류 측정단계(S533)로 구비되는 경우, 상기 정밀포량 판단단계(S60)는 유지전류측정단계(S533)에서 측정된 2차 포량값과 포량비교단계(S20)의 기준포량값에 대한 유지전류값(U2, 도4참고)을 비교하여 진행된다.
"기준포량값에 대한 기동전류값"(이하, "기준 기동전류값")과 "기준포량값에 대한 유지전류값"(이하, "기준 유지전류값")은 상기 상기 포량비교단계(S10)에서 비교대상이된 "기준포량값"을 급수 후 기동모션에 요구되는 전류값과 드럼모션에 요구되는 전류값을 각각 의미한다.
먼저, 기동전류값과 기준 기동전류값을 비교하여 정밀포량 판단단계(S60)가 진행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면, 상기 기동전류 측정단계(S531)를 통해 측정된 2차 포량값이 상기 기준 기동전류값보다 크면 상기 1차 포량판단단계(S10)에서 측정된 포량이 정확하므로 실동율 설정단계(S30)에서 설정된 제1실동율로 후 세탁단계(S80)가 이어지게 된다.
그러나, 2차 포량값이 기준 기동전류값 이하이면 상기 1차 포량판단단계(S10)에서 측정된 포량이 정확하지 않으므로 실동율 재 설정단계(S70)를 거친 후 후 세탁단계(S80)가 이어진다.
한편, 유지전류값과 기준 유지전류값을 비교하여 정밀포량 판단단계(S60)가 진행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면, 상기 유지전류 측정단계(S533)를 통해 측정된 2차 포량값이 상기 기준 유지전류값보다 크면 상기 1차 포량판단단계(S10)에서 측정된 포량이 정확하므로 실동율 설정단계(S30)에서 설정된 제1실동율로 후 세탁단계(S80)가 이어지게 된다.
그러나, 2차 포량값이 기준 유지전류값 이하이면 상기 1차 포량판단단계(S10)에서 측정된 포량이 정확하지 않으므로 실동율 재 설정단계(S70)를 거친 후 후 세탁단계(S80)가 이어지게 된다.
도6에 개시된 바와 같이 1차 포량값이 기준포량값 보다 크면 제1실동율로 설정하고, 기준포량값 이하이면 제2실동율로 세탁하는 세탁장치의 경우, 상기 실동률 재 설정단계(S70)는 제1실동율에서 제2실동율로 변경하는 단계가 될 것이다.
다만,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포량을 구간별로 나누고, 각 구간별 포량에 대응하는 실동율로 제어되는 세탁장치라면 상기 실동율 재 설정단계(S70)는 포량에 해당하는 실동율로 변경하여 설정하는 단계가 될 것이다.
한편, 상기 실동율 재 설정단계(S70)는 상기 실동율 설정단계(S30)와 마찬가지로 세탁시간 재 설정단계 또는 드럼모션 재 설정단계로 대체될 수도 있고, 상기 세탁시간, 실동율 및 드럼모션이 모두 재 설정되는 단계로 대체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포량비교단계(S20)에서 1차 포량값이 기준포량값 이하인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포량비교단계(S20)에서 1차 포량값이 기준포량값 이하인 경우 제2실동율이 설정되고, 이후 제1 실동율이 설정된 경우와 마찬가지로 급수단계, 초기세탁단계, 정밀포량 판단단계(미도시), 실동율 재 설정단계(미도시) 및 후세탁단계(S80')가 진행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실동율이 설정된 경우와 구별되는 특징은 급수단계(S40')의 드럼모션이 제1실동율이 설정된 경우와 다르다는 점이고, 그 이유는 상술한 바 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제1실동율과 제2실동율 만으로 구분되어 제어되는 세탁장치의 경우, 제2실동율이 설정된 경우에는 급수단계(S40')와 초기세탁단계(S50') 후 곧바로 후 세탁단계(S80')에 이어지도록 제어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1차 포량판단(S10)에서 기준포량값 이하의 세탁물이 투입된 것으로 판단된 이상(소량부하로 인식한 이상), 습포가 투입되어 포량판단에 오류가 있다고 하더라도 잘못된 실동율로 세탁장치를 제어하는 불합리한 문제가 발생하지 않기 때문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을 것인바 상술한 실시예에 그 권리범위가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변형된 실시예가 본 발명 특허청구범위의 구성요소를 포함하고 있다면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도1은 세탁장치의 사시도이다.
도2는 본 발명 세탁장치의 제어방법에 활용되는 드럼모션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3은 기동모션의 개념도이다.
도4는 포량에 따른 기동전류 및 유지전류의 경향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5는 기동모션을 구비한 드럼모션과 기동모션이 구비되지 않은 드럼모션의 전류피크를 비교한 그래프이다.
도6은 본 발명 세탁장치의 제어방법의 절차도이다.

Claims (5)

  1. 세탁수가 저장되는 터브와, 세탁물이 투입되는 드럼과, 상기 드럼을 정역방향 회전을 가능하게 하는 모터를 포함하는 세탁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터브로 세탁수를 급수하기 전 상기 드럼에 투입된 세탁물의 양을 판단하는 1차 포량판단단계;
    상기 1차 포량판단단계에서 측정된 1차 포량값과 기 설정된 기준포량값을 비교하여 상기 1차 포량값에 따른 실동율을 설정하는 실동율 설정단계;
    상기 터브로 세탁수를 급수하는 급수단계;
    상기 터브로 세탁수를 급수한 후 상기 드럼에 투입된 세탁물의 양을 판단하는 2차 포량판단단계;
    상기 2차 포량판단단계에서 측정된 2차 포량값이 상기 기준포량값과 비교하여 상기 1차 포량값과 상기 2차 포량값이 서로 다른 경우, 상기 실동율 설정단계에서 설정된 실동율을 변경하는 실동율 재 설정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의 제어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2차 포량판단단계는
    상기 드럼을 기 설정된 제1방향으로 기 설정된 기준위치까지 회전시킬 때 측정되는 기동전류값을 통해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의 제어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2차 포량값과 기준포량값을 비교하는 단계는
    상기 2차 포량값과 상기 기준포량값의 급수 후 기동전류값과 비교됨으로써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의 제어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2차 포량판단단계는
    상기 드럼을 기 설정된 방향으로 기 설정된 회전속도로 회전시키는데 요구되는 유지전류값을 통해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의 제어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2차 포량값과 기준포량값을 비교하는 단계는
    상기 2차 포량값과 상기 기준포량값의 급수 후 유지전류값과 비교됨으로써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의 제어방법.
KR1020090073958A 2009-08-11 2009-08-11 세탁장치의 제어방법 KR20110016312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3958A KR20110016312A (ko) 2009-08-11 2009-08-11 세탁장치의 제어방법
CN2010101614731A CN101876135A (zh) 2009-08-11 2010-04-08 洗衣装置的控制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3958A KR20110016312A (ko) 2009-08-11 2009-08-11 세탁장치의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6312A true KR20110016312A (ko) 2011-02-17

Family

ID=430188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3958A KR20110016312A (ko) 2009-08-11 2009-08-11 세탁장치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10016312A (ko)
CN (1) CN101876135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488983A (zh) * 2022-01-25 2022-05-13 龙岩市天宏计算机技术有限公司 一种氰化亚金钾生产监控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876135A (zh) 2010-1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25046B1 (ko) 세탁장치의 제어방법
KR102196184B1 (ko)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US9896795B2 (en) Method of controlling drum type washing machine
KR101674936B1 (ko) 세탁장치의 제어방법
US9909246B2 (en) Washing method
KR102650103B1 (ko)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632210B1 (ko) 세탁장치의 제어방법
KR20110016226A (ko) 세탁장치의 제어방법
KR101634179B1 (ko) 세탁장치의 제어방법
KR20110016326A (ko) 세탁장치의 제어방법
KR20130091101A (ko) 세탁장치의 제어방법
KR20110048352A (ko) 세탁 방법 및 세탁기
KR20110029459A (ko) 세탁 방법 및 세탁기
KR20110022294A (ko) 세탁장치의 제어방법
KR101155001B1 (ko) 세탁장치의 제어방법
KR101651126B1 (ko) 세탁장치의 제어방법
KR102487868B1 (ko)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10022363A (ko) 세탁장치의 제어방법
KR20160119045A (ko) 세탁 방법 및 세탁기
KR101155007B1 (ko) 세탁장치의 제어방법
KR101638901B1 (ko) 세탁장치의 제어방법
KR101092460B1 (ko) 세탁장치의 제어방법
KR20110016313A (ko) 세탁장치의 제어방법
KR20110048345A (ko) 세탁 방법 및 세탁기
KR20110016312A (ko) 세탁장치의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