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15386A - 욕실 조명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욕실 조명장치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15386A
KR20110015386A KR1020100075473A KR20100075473A KR20110015386A KR 20110015386 A KR20110015386 A KR 20110015386A KR 1020100075473 A KR1020100075473 A KR 1020100075473A KR 20100075473 A KR20100075473 A KR 20100075473A KR 20110015386 A KR20110015386 A KR 201100153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d
bathroom
turned
switch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754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25750B1 (ko
Inventor
허승효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알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알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알토
Publication of KR201100153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53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57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57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88Ventilating systems
    • F21V33/0092Ventilating systems with heating or cool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8/00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 F21S8/02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of recess-mounted type, e.g. downligh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F21V23/0442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3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F21W2121/00
    • F21W2131/30Lighting for domestic or personal us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3/00Combination of light sources
    • F21Y2113/10Combination of light sources of different colours
    • F21Y2113/13Combination of light sources of different colours comprising an assembly of point-like light sour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 Ventilation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는 다수의 발광다이오드(LED:Light Emitting Diode)소자가 설치된 LED모듈을 주광원으로 사용하되, 주광원의 가장자리 외측에 다수의 자외선 발광다이오드(Ultraviolet Light Emitting Diode)를 배치하고, 하우징의 상부 내측에는 별도의 환풍기를 설치하여 조명기능은 물론 살균 및 배기 기능을 겸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욕식을 쾌적하게 하고, 위생상태를 획기적으로 개선할 수 있도록 한 새로운 욕실의 조명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은 설계에 따라 정해지는 형상과 크기로 이루어지며, 내부가 비어 있고 상부면과 하부면이 서로 연통되게 개구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하단부 내측을 가로질러 배치된 상태에서 그 양단부가 하우징의 내측 둘레면에 고정되는 제1장착브래킷과; 천장이나 벽면을 구성하는 패널의 가장자리를 받쳐주도록 상기 하우징의 하단부 외측의 가장자리를 따라 고정되게 설치되고, 내측에 하우징의 하단부와 동일선상에 위치되는 수평의 단차면을 갖는 제2장착브래킷과; 빛을 투과할 수 있도록 투명 또는 반투명의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단부가 상기 제1장착브래킷의 중심부에 고정되게 설치되며, 상부로부터 내측으로 수납공간이 형성된 커버와; 상기 커버의 상부로부터 커버 내측의 수납공간내로 끼워진 상태에서 고정설치되며, 회로기판상에 다수개의 일반 LED가 접속·설치된 구조로 이루어지는 LED모듈과; 상기 제2장착브래킷의 단차면을 따라 배치되는 또 다른 회로기판상에서 일정한 간격으로 접속·설치되는 다수개의 UV LED와; 상기 하우징의 상단부와 배기덕트사이에 끼워져 설치된 상태에서 전류의 인가에 따라 구동되면서 하우징의 하단으로부터 실내공기를 흡입하여 배기덕트쪽으로 배출시키는 환풍기와; 상기 LED모듈이 설치되는 회로기판과 UV LED가 설치되는 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스위치조작에 따라 상기 일반 LED가 점등되면 UV LED는 소등되도록 하고, 상기 일반 LED가 소등되면 UV LED는 점등되도록 자동제어하는 제어부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욕실 조명장치 및 그 제어 방법{LIGHTING APPARATUS FOR BATHROOM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본 발명은 욕실(bathroom)의 조명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명장치는 실내의 천장이나 벽면 등에 설치되어 실내공간을 밝히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근래에는 실내장식을 위한 인테리어 소품으로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조명장치는 통상 사각형이나 원형 등 정해진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내부에는 정해진 깊이의 공간부가 형성되고, 별도의 체결수단에 의하여 벽면이나 천장면에 장착되는 케이스본체와, 상기 케이스본체의 내부에 설치되는 소켓(Socket)에 끼워져 접속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스위치의 제어에 따른 전류의 인가여부에 따라 점등제어되는 램프와, 상기 램프의 아랫쪽에 해당되는 케이스본체의 개구부에 결합되어 램프로부터 발광되는 빛을 실내공간으로 투과시키는 커버로 구성된다.
그러나,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일반적인 조명장치의 경우 램프로서 형광등이나 백열전구가 주로 사용되는데, 이 경우 상대적으로 전력의 소모가 심하고, 수명이 짧은 반면 조도가 낮다는 문제가 있다.
한편, 최근의 생활형태가 서양식으로 바뀌고 주거시설 또한 아파트와 같은 공동주택형태로 건축되면서 욕실이 실내로 배치되고 있으며, 좁은 공간을 보다 효율적으로 이용하기 위하여 욕실내에 샤워시설이 함께 마련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 같은 욕실이 실내에 배치됨에 따라 그 벽면이나 천장에는 조명장치가 설치되는데, 상기 욕실에 설치되는 조명장치 또한 위에서 기술한 바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져 단순히 어둠을 밝히는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실내에 배치되는 욕실은 사방이 막혀 있는 구조의 특성상 통풍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사용중 발생되는 냄새 등이 제대로 배기되지 않는다는 문제가 있다.
또, 욕실에 마련된 샤워시설이나 세면시설을 이용하여 샤워 또는 세면을 하는 경우에 발생되는 습기가 사용후에도 장시간 그대로 유지되기 때문에 습도가 높은 것은 물론 욕실내부의 온도 또한 외부의 온도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높이 유지되기 때문에 세균이 서식하거나 곰팡이가 발생되면서 위생적으로 매우 불량하다는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실내에 마련되는 욕실에 별도의 배기장치를 설치하는 경우가 있으나, 이 경우 배기장치를 구성하는 환풍기가 외부에 노출되므로 소음이 심하고 외관이 매우 불량하며, 샤워시 습기에 빈번하게 노출되기 때문에 그 수명이 단축된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다수의 발광다이오드(LED:Light Emitting Diode)소자가 설치된 LED모듈을 주광원으로 사용하되, 주광원의 가장자리 외측에 다수의 자외선 발광다이오드(UV LED: Ultraviolet Light Emitting Diode)를 배치하고, 하우징의 상부 내측에는 별도의 환풍기를 설치하여 조명기능은 물론 살균 및 배기 기능을 겸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욕실을 쾌적하게 할 수 있도록 한 새로운 욕실의 조명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욕실내의 위생상태를 획기적으로 개선할 수 있도록 한 새로운 욕실의 조명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설계에 따라 정해지는 형상과 크기로 이루어지며, 내부가 비어 있고 상부면과 하부면이 서로 연통되게 개구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하단부 내측을 가로질러 배치된 상태에서 그 양단부가 하우징의 내측 둘레면에 고정되는 제1장착브래킷과; 천장이나 벽면을 구성하는 패널의 가장자리를 받쳐주도록 상기 하우징의 하단부 외측의 가장자리를 따라 고정되게 설치되고, 내측에 하우징의 하단부와 동일선상에 위치되는 수평의 단차면을 갖는 제2장착브래킷과; 빛을 투과할 수 있도록 투명 또는 반투명의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단부가 상기 제1장착브래킷의 중심부에 고정되게 설치되며, 상부로부터 내측으로 수납공간이 형성된 커버와; 상기 커버의 상부로부터 커버 내측의 수납공간내로 끼워진 상태에서 고정설치되며, 회로기판상에 다수개의 일반 LED가 접속·설치된 구조로 이루어지는 LED모듈과; 상기 제2장착브래킷의 단차면을 따라 배치되는 또 다른 회로기판상에서 일정한 간격으로 접속·설치되는 다수개의 UV LED와; 상기 하우징의 상단부와 배기덕트사이에 끼워져 설치된 상태에서 전류의 인가에 따라 구동되면서 하우징의 하단으로부터 실내공기를 흡입하여 배기덕트쪽으로 배출시키는 환풍기와; 상기 LED모듈이 설치되는 회로기판과 UV LED가 설치되는 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스위치조작에 따라 상기 일반 LED가 점등되면 UV LED는 소등되도록 하고, 상기 일반 LED가 소등되면 UV LED는 점등되도록 자동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1장착브래킷 또는 제2장착브래킷상에는 별도의 인체감지센서가 설치되고, 상기 인체감지센서는 제어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2장착브래킷상에 설치된 UV LED가 점등된 상태에서 인체감지센서로부터 인체감지신호가 출력되면 상기 UV LED는 자동적으로 소등제어되도록 구성된 특징을 갖는다.
본 발명에서 상기 환풍기는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사용자의 스위치조작에 따라 일반 LED가 점등되면 동시에 구동되고, 일반 LED가 소등되면 동시에 구동이 정지되도록 구성된 특징을 갖는다.
본 발명에서는 조명장치를 구성하는 주 광원인 LED모듈의 외측 가장자리를 따라 UV LED가 설치되고, 이들은 별도의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에서 LED모듈이 점등되면 UV LED는 소등되고, LED모듈이 소등되면 UV LED는 점등되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욕실을 사용한 후 스위치를 "OFF"시키고 나오면 자동적으로 UV LED가 점등되고, 상기 UV LED로부터 조사되는 자외선의 작용에 의하여 욕실 내부의 세균이나 곰팡이균이 살균 및 소독되기 때문에 욕실 내부의 위생상태가 크게 향상된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LED모듈의 점등과 동시에 환풍기가 구동되면서 욕실 내부의 습기나 나쁜 냄새가 흡입된 후 배기덕트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기 때문에 욕실의 내부가 항상 쾌적한 상태로 유지된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욕실의 조명장치를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욕실의 조명장치를 나타내는 결합상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욕실의 조명장치의 결합상태 정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욕실의 조명장치의 작동상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욕실 조명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예 따른 제어부의 동작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의 동작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 본 발명에서는 조명 기능을 수행하는 LED를 일반 LED라 칭하고, 살균 및 멸균 기능을 수행하는 LED를 UV LED라 칭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욕실의 조명장치를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욕실의 조명장치를 나타내는 결합상태 사시도이다.
또,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욕실의 조명장치의 결합상태 정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욕실의 조명장치의 작동상태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욕실의 조명장치(10)는 원통형 또는 다각통상 같이 설계에 따라 정해지는 형상과 크기를 가지며, 내부가 비어 있고 상부면과 하부면이 서로 연통되게 개구된 하우징(12)이 마련된다.
상기 하우징(12)의 하단부 내측에는 별도로 마련되는 제1장착브래킷(14)이 중심부를 가로질러 배치된 상태에서 그 양단부가 하우징(12)의 내측 둘레면에 고정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하우징(12)의 하단부 외측의 가장자리를 따라 천장이나 벽면을 구성하는 패널(16)의 가장자리를 받쳐주기 위한 별도의 제2장착브래킷(20)이 고정설치된다.
상기 제2장착브래킷(20)은 계단형으로 이루어지며, 그 내측에는 하우징(12)의 하단부와 동일선상에 위치되는 수평의 단차면(18)이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1장착브래킷(14)의 중심부에는 빛을 투과할 수 있도록 투명 또는 반투명의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부로부터 내측으로 수납공간(22)이 형성된 커버(24)의 상단부가 고정되게 설치된다.
상기 커버(24)의 상부로부터 커버 내측의 수납공간(22)내로는 회로기판(26)상에 다수개의 일반 LED(30)가 접속·설치되는 구조로 이루어지고, 전류의 인가에 따라 점등되는 LED모듈이 끼워진 상태에서 고정설치된다.
또, 상기 제2장착브래킷(20)상의 단차면(18)을 따라 배치되는 또 다른 회로기판(28)상에는 전류의 인가에 따라 점등되는 다수개의 UV LED(34)가 일정한 간격으로 접속·설치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하우징(12)의 상단부와 배기덕트(36)사이에는 전류의 인가에 따라 구동되면서 하우징(12)의 하단을 통하여 실내공기를 흡입하여 배기덕트(36)쪽으로 배출시키는 환풍기(38)가 끼워져 설치되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LED모듈이 설치되는 회로기판(26)과 UV LED(34)가 설치되는 회로기판(28)은 별도의 제어부(4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사용자의 스위치조작에 따라 상기 LED모듈상의 일반 LED(30)가 점등되면 UV LED(34)는 소등되고, 상기 LED모듈상의 일반 LED(30)가 소등되면 UV LED(34)는 점등되도록 자동제어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서 상기 제1장착브래킷(14) 또는 제2장착브래킷(20)상에는 별도의 인체감지센서(42)가 설치되고, 상기 인체감지센서(42)는 제어부(4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2장착브래킷(20)상에 설치된 UV LED(34)가 점등된 상태에서 인체감지센서(42)로부터 인체감지신호가 출력되면 상기 UV LED(34)는 자동적으로 소등제어되도록 구성된다.
또, 상기 환풍기(38) 또한 제어부(4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사용자의 스위치조작에 따라 LED모듈이 점등되면 동시에 구동되고, LED모듈이 소등되면 동시에 구동이 정지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먼저 하우징(12)의 하단부 내측의 중심방향으로는 별도로 마련되는 제1장착브래킷(14)을 가로질러 배치한 상태에서 그 양단을 하우징(12)의 내주면에 고정시키는 한편, 상기 하우징(12)의 하단부 외측의 가장자리를 따라 계단형으로 절곡된 구조를 갖는 제2장착브래킷(20)을 고정시킨다.
그런 다음, 회로기판(26)상에 다수개의 일반 LED(30)가 설치된 구조의 LED모듈을 커버(24)의 상부 외측으로부터 수납공간(22) 내측으로 끼워 삽입한 후 스크류 등의 체결부재를 이용하여 고정설치하고, LED모듈이 설치된 커버(24)의 상단을 제1장착브래킷(14)의 중심부에 고정결합한다.
또, 상기 제2장착브래킷(20)상의 단차면(18)에는 다수개의 UV LED(34)가 설치된 또 다른 회로기판(28)을 설치한 상태에서 상기 LED모듈이 설치된 회로기판(26)과 UV LED(34)가 설치된 또 다른 회로기판(28)을 각각 하우징(12)의 내부 또는 상기 어느 하나의 회로기판(26)(28)상에 배치되는 별도의 제어부(4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접속시킨다.
이와 같이 조립된 조명장치(10)를 천장이나 벽면에 설치하고자 하는 경우 천장이나 벽면을 구성하는 패널(16)의 내측에 하우징(12)이 위치되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하우징(12)의 상단부 내측과 천장이나 벽면의 내부에 마련되는 배기덕트(36) 입구부 내측에 환풍기(38)의 양단을 꼭맞게 끼워 결합하고, 천장이나 벽면을 구성하는 패널(16)의 가장자리를 하우징(12)의 하단부 외측 가장자리를 따라 설치된 제2장착브래킷(20)의 외측 상부에 얹혀지도록 하여 받쳐주면 그 설치가 완료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욕실의 조명장치(10)가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환풍기(38)는 별도의 전원을 공급받아 구동되도록 하거나 상기 제어부(4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구동제어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본 발명의 조명장치(10)가 설치된 욕실의 내부를 밝히기 위하여 스위치(도시되지 않음)를 "ON"상태로 조작하면, 상기 외부 전원의 전류가 상기 제어부(40)를 통하여 LED모듈을 구성하는 회로기판(26)으로 인가되면서 회로기판(26)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게 설치된 각각의 일반 LED(30)가 점등되어 발광된다.
이와 같이 상기 LED모듈을 구성하는 각각의 일반 LED(30)로부터 발생된 빛은 커버(24)을 통하여 욕실 내로 투과되어 조사됨에 따라 욕실이 밝아진다.
이와 동시에 상기 제어부(40)의 제어작용에 의하여 환풍기(38)가 구동되면서 욕실 내부에 존재하는 습기나 불쾌한 냄새는 하우징(12)의 하단부 내측으로 흡입된 후 배기덕트(36)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됨에 따라 욕실의 내부가 쾌적한 상태로 유지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사용하다가 사용자가 욕실을 나오면서 스위치를 "OFF"상태로 조작하면, 상기 제어부(40)로부터 회로기판(26) 및 환풍기쪽으로 인가되는 전류가 차단되면서 LED모듈을 구성하는 일반 LED(30)가 소등되고, 환풍기(38)의 구동이 즉시정지되거나 혹은 미리 설정된 시간동안 상기 환풍기(38)가 동작한 후 정지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상기 제어부(40)의 제어작용에 의하여 상기 또 다른 회로기판(28)으로 전류가 인가되면서 하우징(12)의 하단부 외측의 가장자리를 따라 설치된 제2장착브래킷(20)상의 UV LED(34)가 점등되며, 상기 UV LED(34)의 점등시 조사되는 자외선의 작용에 의하여 욕실 내부에 존재하는 세균이나 곰팡이균 등이 살균·소독되는 것이다. 상기 UV LED(34)는 스위치가 "ON" 상태로 조작되면 소등되거나 혹은 미리 설정된 시간동안 점등된 후 소등될 수 있다.
한편,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스위치를 "ON" 상태로 조작하지 않은 채 욕실 문을 열고 들어서는 경우, 상기 제1장착브래킷(14) 또는 제2장착브래킷(20)상에 설치된 인체감지센서(42)가 이를 감지하여 제어부(40)로 인체감지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제어부(40)에서는 UV LED(34)가 설치된 회로기판(28)으로 인가되는 전류를 차단하여 UV LED(34)를 소등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일반 LED(30)는 점등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욕실 조명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욕실 조명장치는 제어부(500)와, 상기 제어부(500)에 연결된 스위치(510), 센서(520), 적어도 하나의 일반 LED(530) 및 UV LED(540), 환풍기(560)를 포함한다. 이외에도 상기 욕실 조명장치에는 타이머(570)가 추가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타이머(570)는 사용자에 의해 조작될 수 있으며, 일반 LED, UV LED 및 환풍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구동 및 정지시키기 위한 시간 설정 용도로 사용된다.
상기 스위치(510)가 사용자에 의해 "ON" 상태로 조작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500)는 "ON" 해당하는 제어신호를 인가받아 일반 LED(530)를 점등시키고 환풍기(560)를 구동시킨다. 상기 "ON"에 해당하는 제어신호가 상기 제어부(500)로 인가되었을 때 상기 UV LED(540)가 점등되어 있는 상태인 경우에는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UV LED(540)를 소등시킨다.
상기 스위치(510)가 사용자에 의해 "OFF" 상태로 조작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500)는 "OFF"에 해당하는 제어신호를 인가받아 일반 LED(530)를 소등시키고 UV LED(540)를 점등시킨다. 상기 "OFF"에 해당하는 제어신호가 상기 제어부(500)로 인가되었을 때 상기 환풍기(560)가 구동중인 경우, 상기 제어부(500)는 미리 설정된 시간이 만료되면 상기 환풍기(560)의 구동을 정지시킨다.
한편, 상기 스위치(510)의 온/오프외에 센서(520)에 의해 발생되는 제어신호도 존재한다. 상기 센서(520)에 의해 발생된 제어신호가 상기 제어부(500)로 인가되면, 상기 제어부(500)는 일반 LED(530)는 점등시키고, UV LED(540)는 소등시킨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예 따른 제어부의 동작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먼저 601단계에서 제어부는 제어신호를 입력받고 603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603단계에서 상기 제어부는 입력된 제어신호를 구분하고 605단계, 607단계, 609단계 중 어느 하나의 단계를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신호의 종류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스위치의 온/오프 신호, 센서에 의해 발생된 감지신호가 있을 수 있다.
605단계에서 상기 제어부는 일반 LED를 점등시키고, 환풍기를 구동시킨다. 607단계에서 상기 제어부는 일반 LED를 소등시키고, UV LED는 점등시키는 한편 환풍기의 구동을 정지시킨다. 609단계에서 상기 제어부는 일반 LED를 점등시키고, UV LED를 소등시킨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의 동작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먼저 701단계에서 제어부는 제어신호를 입력받고 703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703단계에서 상기 제어부는 입력된 제어신호가 스위치 온 신호일 경우, 705단계로 진행하여 일반 LED는 점등시키고, 환풍기를 구동시킨다. 반면에 스위치 온 신호가 아닐 경우, 707단계에서 상기 제어부는 입력된 제어신호가 스위치 오프 신호인지 판별한다. 판별 결과, 스위치 오프 신호가 아닌 경우 상기 제어부는 709단계에서 일반 LED를 점등시키고, UV LED를 소등시킨다. 즉, 상기 709단계에서의 제어신호는 센서에 의해 감지된 제어신호가 될 수 있다.
한편, 상기 707단계에서 스위치 오프 신호 경우, 711단계에서 상기 제어부는 UV LED를 점등, 일반 LED를 소등시키고 713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713단계에서 상기 제어부는 미리 설정된 시간이 만료된 경우, 715단계에서 UV LED를 소등시키고, 환풍기의 구동도 정지시킨다. 반면에 미리 설정된 시간이 만료되지 않은 경우, 717단계에서 상기 제어부는 UV LED의 점등을 유지하고, 환풍기의 구동 역시 유지시킨다.
한편, UV LED의 기술이 발전하는 속도에 맞추어 상기 UV LED의 점등시간은 적절하게 조정가능하다. 또한, 욕실의 층고에 상응하게 상기 UV LED의 광량 조절 또한 조정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에서는 조명장치(10)가 욕실에 설치되는 경우를 예로서 설명하였으나, 실내의 드레스룸과 같이 상대적으로 밀폐정도가 심한 실내에도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12 : 하우징 14 : 제1장착브래킷
18 : 단차면 20 : 제2장착브래킷
24 : 커버 26,28 : 회로기판
30 : 일반 LED 32 : LED모듈
34 : UV LED 36 : 배기덕트
38 : 환풍기 40 : 제어부
42 : 인체감지센서

Claims (8)

  1. 설계에 따라 정해지는 형상과 크기로 이루어지며, 내부가 비어 있고 상부면과 하부면이 서로 연통되게 개구된 하우징(12)과;
    상기 하우징(12)의 하단부 내측을 가로질러 배치된 상태에서 그 양단부가 하우징(12)의 내측 둘레면에 고정되는 제1장착브래킷(14)과;
    천장이나 벽면을 구성하는 패널(16)의 가장자리를 받쳐주도록 상기 하우징(12)의 하단부 외측의 가장자리를 따라 고정되게 설치되고, 내측에 하우징(12)의 하단부와 동일선상에 위치되는 수평의 단차면(18)을 갖는 제2장착브래킷(20)과;
    빛을 투과할 수 있도록 투명 또는 반투명의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단부가 상기 제1장착브래킷(14)의 중심부에 고정되게 설치되며, 상부로부터 내측으로 수납공간(22)이 형성된 커버(24)와;
    상기 커버(24)의 상부로부터 커버 내측의 수납공간(22)내로 끼워진 상태에서 고정설치되며, 회로기판(26)상에 다수개의 일반 LED(30)가 접속·설치된 구조로 이루어지는 전류의 인가에 따라 점등되는 LED모듈과;
    상기 제2장착브래킷(20)상의 단차면(18)을 따라 배치되는 또 다른 회로기판(28)상에서 일정한 간격으로 접속·설치된 상태에서 전류의 인가에 따라 점등되는 다수개의 UV LED(34)와;
    상기 하우징(12)의 상단부와 배기덕트(36)사이에 끼워져 설치된 상태에서 전류의 인가에 따라 구동되면서 하우징(12)의 하단을 통하여 실내공기를 흡입하여 배기덕트(36)쪽으로 배출시키는 환풍기(38)와;
    상기 LED모듈이 설치되는 회로기판(26) 및 UV LED(34)가 설치되는 회로기판(28)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스위치조작에 따라 상기 일반 LED(30)가 점등되면 UV LED(34)는 소등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일반 LED(30)가 소등되면 UV LED(34)는 점등되도록 자동제어하는 제어부(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욕실의 조명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장착브래킷(14) 또는 제2장착브래킷(20)상에는 별도의 인체감지센서(42)가 설치되고;
    상기 인체감지센서(42)는 제어부(4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2장착브래킷(20)상에 설치된 UV LED(34)가 점등된 상태에서 인체감지센서(42)로부터 인체감지신호가 출력되면 상기 UV LED(34)는 자동적으로 소등제어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욕실의 조명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환풍기(38)는 제어부(4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사용자의 스위치조작에 따라 일반 LED(30)가 점등되면 동시에 구동되고, 일반 LED(30)가 소등되면 동시에 구동이 정지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욕실의 조명장치.
  4. 욕실의 조명장치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일반 LED 및 UV LED와,
    사용자에 의해 온/오프 동작하고, 동작된 온/오프 신호에 상응하는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는 스위치와,
    움직임을 감지하여 이에 상응하는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는 센서와,
    욕실의 실내공기를 흡입하여 욕실 외로 배출시키는 환풍기와,
    상기 스위치 및 센서에 의해 발생된 제어신호를 인가받아 상기 일반 LED, UV LED 및 환풍기의 점등/소등 및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스위치 온 신호일 경우 상기 일반 LED를 점등시키고 환풍기를 구동시키며, 스위치 오프 신호일 경우 상기 UV LED를 점등시키고 일반 LED를 소등시키며, 센서에 의해 발생된 제어신호일 경우 일반 LED를 점등시키고, UV LED를 소등시키는 욕실의 조명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며, 상기 일반 LED, UV LED 및 환풍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점등/소등 및 구동 여부를 시간 제어하는 타이머를 더 포함하는 욕실의 조명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스위치 오프 신호에 상응하는 제어 동작을 완료한 후, 상기 타이머에 의해 설정된 시간이 만료되면 상기 UV LED를 소등시키고, 환풍기 구동을 정지시키는 욕실의 조명장치.
  7. 욕실의 조명제어 방법에 있어서,
    제어신호가 발생되면, 발생된 제어신호의 종류를 판별하는 과정과,
    판별된 제어신호가 스위치 온 신호일 경우 일반 LED를 점등시키고 환풍기를 구동시키는 과정과,
    판별된 제어신호가 스위치 오프 신호일 경우 UV LED를 점등시키고 일반 LED를 소등시키는 과정과,
    판별된 제어신호가 센서에 의해 발생된 제어신호일 경우 일반 LED를 점등시키고, UV LED를 소등시키는 과정을 포함하는 욕실의 조명제어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판별된 제어신호가 스위치 오프 신호이고, 미리 설정된 시간이 만료되면 점등되어 있던 상기 UV LED를 소등시키고, 구동중인 환풍기의 동작을 정지시키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욕실의 조명제어 방법.
KR1020100075473A 2009-08-07 2010-08-05 욕실 조명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112575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2632 2009-08-07
KR20090072632 2009-08-0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5386A true KR20110015386A (ko) 2011-02-15
KR101125750B1 KR101125750B1 (ko) 2012-03-27

Family

ID=435447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75473A KR101125750B1 (ko) 2009-08-07 2010-08-05 욕실 조명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125750B1 (ko)
WO (1) WO2011016679A2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9298B1 (ko) * 2011-08-02 2013-06-26 (주) 희림종합건축사사무소 무접점 전환스위치가 장착된 욕실등 및 그 제어방법
KR200483295Y1 (ko) * 2016-12-28 2017-04-25 강현웅 샤워부스용 기능성 조명기구 및 이를 구비한 샤워부스
KR20180068235A (ko) * 2016-12-13 2018-06-21 주식회사 씨엔텍 적외선조명제어기
KR102304922B1 (ko) * 2021-01-13 2021-09-27 주식회사 정길 살균 기능을 가지는 조명등 장치
KR20210124015A (ko) * 2020-04-03 2021-10-14 주식회사 커니스 안티 바이러스 센서등 모듈
WO2022025310A1 (ko) * 2020-07-29 2022-02-03 주식회사 비케이테크놀로지 광 방출 장치
KR102439200B1 (ko) * 2021-10-29 2022-09-02 고려대학교 세종산학협력단 살균일체형조명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3528B1 (ko) * 2015-09-10 2017-03-08 오병서 환기구를 겸한 등기구
GB2566542B (en) * 2017-09-19 2020-01-15 Sleep Safe Systems Ltd A Modular lighting fixture
KR102309853B1 (ko) * 2020-12-07 2021-10-06 이팔봉 다용도 led 조명 관리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82094B2 (ja) * 2002-05-28 2008-04-30 松下電工株式会社 照明装置
KR200358941Y1 (ko) 2004-05-25 2004-08-11 김영수 매립형 조명등
KR20060006565A (ko) * 2004-07-16 2006-01-19 주식회사 청광조명 조명기구
KR200374666Y1 (ko) 2004-09-08 2005-02-02 (주)엔바이오존 광촉매와 음이온을 이용한 실내 공기정화 조명기구
KR200393268Y1 (ko) * 2005-03-28 2005-08-22 양원동 엘 이디 다용도 살균 건조함
KR200400220Y1 (ko) * 2005-07-20 2005-11-03 추건국 살균 기능을 가진 조명장치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9298B1 (ko) * 2011-08-02 2013-06-26 (주) 희림종합건축사사무소 무접점 전환스위치가 장착된 욕실등 및 그 제어방법
KR20180068235A (ko) * 2016-12-13 2018-06-21 주식회사 씨엔텍 적외선조명제어기
KR200483295Y1 (ko) * 2016-12-28 2017-04-25 강현웅 샤워부스용 기능성 조명기구 및 이를 구비한 샤워부스
KR20210124015A (ko) * 2020-04-03 2021-10-14 주식회사 커니스 안티 바이러스 센서등 모듈
WO2022025310A1 (ko) * 2020-07-29 2022-02-03 주식회사 비케이테크놀로지 광 방출 장치
KR20220015293A (ko) * 2020-07-29 2022-02-08 주식회사 비케이테크놀로지 광 방출 장치
KR102304922B1 (ko) * 2021-01-13 2021-09-27 주식회사 정길 살균 기능을 가지는 조명등 장치
KR102439200B1 (ko) * 2021-10-29 2022-09-02 고려대학교 세종산학협력단 살균일체형조명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1016679A2 (en) 2011-02-10
KR101125750B1 (ko) 2012-03-27
WO2011016679A3 (en) 2011-05-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25750B1 (ko) 욕실 조명장치 및 그 제어 방법
JP6495642B2 (ja) イオン発生機
KR101868383B1 (ko) 환경 감지 기능을 갖는 엘이디 조명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2022314B1 (ko) 화장실용 살균겸용 조명장치
JP4684140B2 (ja) 照光装置
KR20190130722A (ko) Usb충전식 자외선엘이디 살균장치
JP3160820U (ja) 照明兼用オゾン発生器
JP2004022195A (ja) 空間快適化照明装置及び空間快適化制御システム
JP6748964B2 (ja) 照明器具
KR100682476B1 (ko) 자외선 살균램프가 일체로 구성된 센서등
JP4827575B2 (ja) 照明器具
JP6857843B2 (ja) 電気機器
KR101857182B1 (ko) 싱크대 살균기
KR200382161Y1 (ko) 발광다이오드형 자외선 및 오존 램프를 이용한 살균 진공청소기
CN108506825B (zh) 照明器具
KR20120074746A (ko) 조명 및 살균 기능을 갖는 공기 흡배기 장치
KR200394702Y1 (ko) 자외선 살균램프가 일체로 구성된 센서등
KR20160093832A (ko) 실내 살균기능을 갖는 조명등 장치
KR20140136779A (ko) 조명과 음향이 발생되는 탈취장치
JP2007186874A (ja) 面材ユニット及びその面材ユニットを備えた建物
KR20130037885A (ko) 수납장의 습기 방지장치
JP5035186B2 (ja) 掃除用照明装置
KR20220018694A (ko) 조명등장치
KR200415244Y1 (ko) 현관등 공기 살균 탈취기
KR20200121462A (ko) 욕실용 환풍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8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