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15065A - Electric generator for bicycle - Google Patents
Electric generator for bicycl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10015065A KR20110015065A KR1020090072580A KR20090072580A KR20110015065A KR 20110015065 A KR20110015065 A KR 20110015065A KR 1020090072580 A KR1020090072580 A KR 1020090072580A KR 20090072580 A KR20090072580 A KR 20090072580A KR 20110015065 A KR20110015065 A KR 2011001506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icycle
- magnet
- power generation
- mounting member
- generation coil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6/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on cycles;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Circuits therefor
- B62J6/06—Arrangement of lighting dynamos or drives therefor
- B62J6/08—Tyre drive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18—Structural association of electric generators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e.g. with turbines
- H02K7/1807—Rotary generators
- H02K7/1846—Rotary generator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wheels or associated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ermanent Magnet Type Synchronous Machine (AREA)
- Control Of Eletrric Generators (AREA)
- Connection Of Motors, Electrical Generators, Mechanical Devices, And The Like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무저항 자전거의 발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자전거의 바퀴를 구성하는 스포크(Spoke)에 다수개의 자석을 설치하고, 상기 자석과 마주하는 위치에 해당되는 서스펜션 포크(Suspension fork)나 시트스테이(Seat stay) 또는 체인스테이(Chain stay) 같은 프레임상에 발전코일을 설치하여 자전거 바퀴의 회전에 따른 자속(磁束)의 변화에 의하여 발전코일에서 전류가 발생되도록 하고, 이와 같이 발생된 전류는 축전 배터리에 축전되도록 함으로써 자전거에 장착되는 헤드라이트나 방향지시등 또는 자전거 이용자의 휴대형 전자제품의 전원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상의 편의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고, 자전거 바퀴와의 직접적인 접촉없이 바퀴의 회전동작에 따라 발전(發電)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불필요한 소음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한편, 바퀴의 마모에 따른 수명단축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무저항 자전거의 발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enerator of a non-resistive bicycle, and more particularly, a plurality of magnets are installed on spokes that constitute the wheel of a bicycle, and a suspension fork corresponding to a position facing the magnet or the like. By installing the power generation coil on a frame such as a seat stay or chain stay, a current is generated in the power generation coil by a change in magnetic flux due to the rotation of the bicycle wheel, and the current generated as described above. The battery can be used as a headlight, a direction indicator, or a power source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of a bicycle user by allowing the battery to be stored in a battery, thereby greatly improving the convenience of use. Power generation is made according to the rotational motion so that unnecessary noise is not generated. To lock the other hand, to a non-resistance of a bicycle in order to prevent shortening the life of the wear of the wheel power generation equipment.
일반적으로, 자전거는 페달을 회전시킬 때 발생되는 힘을 추진력으로 하여 바퀴를 굴리는 방식으로 이동되도록 고안된 이동수단으로서 19세기초 처음 제작된 이래 현재에 이르도록 세계 여러나라에서 중요한 교통수단의 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스포츠분야와 산업의 일부를 담당하고 있다.In general, a bicycle is a vehicle designed to be moved by rolling a wheel using the force generated when a pedal is rotated, and since bicycles were first manufactured in the early 19th century, they are a part of important transportation in many countries around the world. He is responsible for some of the sports sectors and industries.
이와 같은 자전거는 이동을 위한 일반적인 형태는 물론, 경주용이나 산악용 등의 스포츠에 적합한 형태나 어린이들이 타기에 알맞은 형태 등 다양한 형태로 개발되어 왔으며, 최근에는 화석연료를 사용하면서 다량의 공해물질을 배출하는 자동차에 비하여 전혀 공해물질을 배출하지 않아 환경을 오염시키지 않으며, 도심의 교통체증을 유발하지 않고 이용자의 건강을 증진시키는 등의 여러가지 장점 때문에 레져활동이나 업무활동시의 이동수단으로서 자전거의 이용이 적극 권장되고 있다. Such a bicycle has been developed in various forms, such as a general form for moving, a form suitable for a sport such as a race or a mountain, or a form suitable for children to ride. Recently, a large amount of pollutants are emitted while using fossil fuels. It does not pollute the environment because it does not emit any pollutants compared to automobiles, and it does not cause traffic jams in the city and promotes the health of users. Highly recommended.
한편, 자전거에는 야간주행시 주행방향 앞쪽을 밝게 비추기 위한 헤드라이트가 장착되고, 안장(Saddle)의 뒷부분이나 뒷바퀴의 흙받이의 표면에는 후속 자전거 또는 차량과의 안전거리 확보를 위하여 경고등이나 방향지시등이 설치되는 한편, 핸들부에는 경적기가 설치된다.On the other hand, the bicycle is equipped with a headlight to brighten the front of the driving direction when driving at night, and a warning light or a direction indicator is installed on the rear part of the saddle or on the surface of the fender of the rear wheel to secure a safety distance from subsequent bicycles or vehicles. On the other hand, the horn is installed in the handle portion.
또, 최근에는 자전거 이용자 대부분이 타인과의 통화를 위한 휴대용 전화기나 음악이나 라디오를 청취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MP3P 또는 간편하게 사물을 촬영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디지털카메라 같은 각종 휴대형 전자제품을 이용하고 있다. In recent years, most bicycle users have used various portable electronic products such as mobile phones for talking with others, MP3P for listening to music or radio, or digital cameras for easily photographing objects.
이와 같이 자전거에 장착되는 라이트나 경적기 등은 종래의 자전거 발전기로부터 만들어진 전원을 이하여 전원을 공급받아 사용하는 경우가 있으나, 자전거 이용자가 휴대하는 각종 휴대형 전자제품들은 종래 자전거 발전기로부터 만들어진 전원을 전혀 이용할 수 없어 그 이용이 매우 불편하다는 문제가 있다.As such, lights and horns mounted on a bicycle may be supplied with power using a power source made from a conventional bicycle generator, but various portable electronic products carried by a bicycle user may not use power generated from a bicycle generator. There is a problem that the use is very inconvenient because it is not available.
한편, 종래 자전거의 발전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이미지를 다음의 그림 1에 나타내었다. On the other hand, the image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onventional bicycle power generator is shown in Figure 1 below.
그림 1. 종래 자전거 발전장치의 구성도 Figure 1. Schematic diagram of a conventional bicycle generator
상기 그림 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종래 자전거의 발전장치에서는 회전자(자석)의 중심으로부터 연장된 샤프트의 상단이 절연체 하우징의 상부 외측으로 돌출되어 자전거 바퀴의 측면과 접촉되도록 구성되고, 이 상태에서 페달을 밟거나 손으로 페달을 작동하여 바퀴를 회전시키면, 상기 회전자의 자속(磁束)변화에 따라 고정자 코일에서 전류가 발생되며, 이와 같이 발생된 전류는 전선을 통하여 라이트를 구성하는 전구로 인가되어 전구가 점등되는 것이다.As can be seen in Figure 1, in the power generation apparatus of the conventional bicycle, the upper end of the shaft extending from the center of the rotor (magnet) is configured to protrude out of the upper portion of the insulator housing to contact the side of the bicycle wheel, in this state When the wheel is rotated by stepping on the pedal or operating the pedal by hand, a current is generated in the stator coil according to the change of magnetic flux of the rotor, and the generated current is applied to the light bulb constituting the light through the wire. The light bulb turns on.
그러나,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종래 자전거의 발전장치에서는 발전(發電)을 위하여 회전자의 샤프트 상단부와 바퀴의 측면이 밀착된 상태에서 회전되어야 하기 때문에 귀에 거슬리는 마찰소음이 발생되는 것은 물론, 그 마찰저항 때문에 자전거 의 주행속도가 현저하게 떨어진다는 문제가 있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bicycle power generation device made in this way, since the upper end of the shaft and the side of the wheel should be rotated in close contact for power generation, annoying friction noise is generated as well as the frictional resistance of the bicycl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running speed of is significantly reduced.
또, 상기 발전장치를 빈번하게 이용하는 경우 일정 시간이 경과되면 고무재로 이루어진 바퀴의 측면이 마모되면서 회전자의 샤프트 상단과 바퀴의 측면이 긴밀하게 접촉되지 못하고 갭(Gap)이 발생되어 회전자가 제대로 회전되지 못함에 따라 전류의 발생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한다는 문제가 있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using the power generator frequently, when a certain time elapses, the side of the wheel made of rubber material is worn out, and the top of the rotor and the side of the wheel are not in intimate contact, and a gap is generate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generation of the current is not made smoothly because it is not rotated.
또, 상기한 바와 같이 발전장치의 사용에 따라 자전거 바퀴의 측면이 마모되는 경우 바퀴의 수명이 단축되는 것은 물론, 지속적인 발전(發電)이 요구되는 상황이라면 바퀴를 새것으로 교체하여야 하기 때문에 경제적으로도 매우 불리하다는 문제가 있다. 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when the side of the bicycle wheel is worn according to the use of the power generation device, the life of the wheel is shortened, and if the situation requires continuous power generation, the wheel must be replaced with a new one. There is a problem that is very disadvantageous.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자전거 바퀴의 회전에 따른 자속(磁束)의 변화에 따라 발전코일에서 전류가 발생되도록 하고, 이와 같이 발생된 전류는 축전 배터리에 축전되도록 함으로써 자전거에 장착되는 헤드라이트나 방향지시등 또는 자전거 이용자의 휴대형 전자제품의 전원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상의 편의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새로운 무저항 자전거의 발전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such a conventional problem, the object is to generate a current in the power generation coil according to the change of the magnetic flux (속)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bicycle wheel, the current generated in this way is stored in the storage battery It is to provide a new non-resistance bicycle power generation device that can be used as a power source for the headlights, direction indicators, or the portable electronic products of the bicycle users mounted on the bicycle to greatly improve the ease of us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자전거 바퀴와의 직접적인 접촉없이 바퀴의 회전동작에 따라 발전(發電)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불필요한 소음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고, 바퀴의 마모에 따른 수명단축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새로운 무저항 자전거의 발전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new non-resistance that allows generation of power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wheels without direct contact with the bicycle wheels, so that unnecessary noise is not generated and lifespan reduction due to abrasion of the wheels is prevented. It is to provide a generator of the bicycle.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얇은 편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설계에 따라 정해지는 세기의 자력을 갖는 다수개의 자석과; 전면에 상기 자석이 끼워져 고정·장착되는 자석장착홈이 형성되고, 후면의 중심에는 자전거의 바퀴를 구성하는 스포크(Spoke)가 끼워지는 스포크끼움홈이 길이방향 중심선을 따라 절개되어 형성된 볼트부로 이루어지는 자석장착부재와; 상기 자석장착부재상의 후방으로부터 볼트부에 끼워져 나사결합되도록 내주면에 소정 깊이의 나사부가 형성된 고정캡과; 절연체로 이루어진 별도의 하우징내에 감겨져 설치되며, 상기 자석의 설치위 치와 마주하는 서스펜션 포크나 시트스테이 또는 체인스테이의 안쪽면에 별도의 장착브래킷 또는 장착밴드(34a)에 의하여 고정·설치된 사태에서 바퀴의 회전에 따른 자석의 자속(磁束)변화에 의하여 전류를 발생시키는 발전코일과; 상기 자전거를 구성하는 핸들부 또는 기타 프레임체의 소정 위치에 고정·설치되며, 상기 발전코일과 전선에 의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에서 발전코일에서 발생되는 전류를 인가받아 축전하는 축전 배터리와; 상기 축전 배터리의 외측에 형성되어 자전거에 장착되는 전기부품 또는 자전거 탑승자가 휴대한 휴대형 전자제품과의 전기적인 접속을 위한 다수의 접속포트를 포함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plurality of magnets made of a thin flat shape and having a magnetic force of strength determined according to the design; The magnet is fitted to the front of the magnet mounting groove is formed, the magnet mounting groove is formed, the center of the rear of the spoke spoke groove (spoke) is formed of a bolt portion formed by cutting along the longitudinal center line the spoke fitting groove (Spoke) is inserted A mounting member; A fixing cap having a thread portion of a predetermined depth formed on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so as to be screwed into a bolt from a rear side of the magnet mounting member; It is installed in a separate housing made of an insulator, and the wheel is fixed and installed by a separate mounting bracket or mounting
본 발명을 적용하면, 다수개의 자석이 자전거의 바퀴를 구성하는 각각의 스포크에 설치되고, 자석의 설치위치와 마주하는 서스펜션 포크나 시트 스테이 또는 체인스테이의 내면에 발전코일이 설치되도록 구성된 상태에서 자전거 바퀴의 회전에 따라 각각의 자석이 발전코일을 연속적으로 통과하는 과정에서 자석의 자속(磁束)변화에 따라 발전코일에서 교류 전류가 발생되며, 이와 같이 발전코일에서 발생된 교류 전류는 다이오드를 통과하면서 직류 전류로 변환된 후 IC조정기를 통하여 전압이 조정된 상태에서 축전 배터리에 축전되기 때문에 자전거에 장착되는 헤드라이트나 방향지시등 같은 전기제품의 전원으로 매우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magnets are installed in each spoke constituting the wheel of the bicycle, the bicycle in a state in which the power generation coil is install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suspension fork or seat stay or chain stay facing the magnet installation position As each magnet passes through the power generation coil continuously as the wheel rotates, alternating current is generated from the power generation coil according to the magnetic flux change of the magnet. As such, the alternating current generated from the power generation coil passes through the diode. After being converted to DC current, the battery is stored in the battery while the voltage is regulated through the IC regulator, which can be very useful as a power source for electric appliances such as headlights and direction indicators mounted on bicycles.
또, 본 발명을 적용하면 자전거 바퀴와의 직접적인 접촉없이 바퀴의 회전동작에 따라 발전(發電)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불필요한 소음이 발생되지 않으면서 원하는 주행속도를 얻을 수 있고, 바퀴의 마모에 따른 수명단축을 방지할 수 있기 때 문에 경제적으로도 매우 유리하다는 잇점이 있다.In addition, when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power generation is made according to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wheels without direct contact with the bicycle wheels, so that a desired driving speed can be obtained without generating unnecessary noise, and the lifespan of the wheels is reduced. This is an economic advantage because it can be prevented.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무저항 발전장치가 설치된 자전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무저항 자전거의 발전장치의 요부 확대 분리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bicycle having a non-resistance gen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nlarged separated perspective view of the main portion of the generator of the non-resistance bik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또,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무저항 발전장치가 자전거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무저항 발전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확대 정단면도이다.3 is a sid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non-resistance power gener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a bicycle, and FIG. 4 is an enlarged front sectional view showing the state in which the non-resistance power gener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또,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무저항 자전거의 발전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확대 평단면도이다.5 is an enlarged plan sectional view showing an operating state of a power generating device for a non-resistive bicy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무저항 자전거의 발전장치(10)에서는 얇은 편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설계에 따라 정해지는 세기의 자력을 갖는 다수개의 자석(12)이 마련된다. Referring to this, in the
본 발명에서 상기 자석(12)들은 각각 별도의 자석장착부재(26)에 의하여 자전거(16)의 바퀴(18)(18')를 구성하는 스포크(16)에 끼워져 고정되게 설치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이를 위하여 상기 자석장착부재(26)는 그 전면에 상기 자석(12)이 끼워져 고정·장착되는 자석장착홈(14)이 형성되고, 후면의 중심에는 설계에 따라 정해진 길이를 갖는 볼트부(24)가 연장형성되는 한편, 상기 볼트부(24)의 길이방향 중심선을 따라 자전거(16)의 바퀴(18)(18')를 구성하는 스포크(Spoke:20)가 끼워지는 스포크 끼움홈(22)이 절개되어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진다.To this end, the
또, 상기 자석장착부재(26)상의 볼트부(24)에는 스포크끼움홈(22)에 끼워진 스포크(20)를 고정하기 위하여 별도의 고정캡(30)이 끼워져 결합되는데, 상기 고정캡(30)의 내주면에는 자석장착부재(26)상의 볼트부(24)에 나사결합되도록 하기 위한 소정 깊이의 나사부(28)가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In addition, the
본 발명에서는 절연체로 이루어진 별도의 하우징(32)이 마련되고, 상기 하우징(32)의 내부에는 바퀴(18)(18')의 회전에 따른 자석(12)의 자속(磁束)변화에 의하여 전류를 발생시키는 발전코일(40)이 감겨져 설치되도록 구성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a
상기 발전코일(40)이 내장된 하우징(32)은 자석(12)의 설치위치와 마주하는 서스펜션 포크(34)나 시트스테이(36) 또는 체인스테이(38)의 안쪽면에 별도의 장착브래킷 또는 장착밴드(34a)에 의하여 고정·설치되도록 구성된다.The
한편, 상기 자전거(16)를 구성하는 핸들부(42) 또는 기타 프레임체(44)의 소정 위치에는 상기 발전코일(40)과 전선에 의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에서 발전코일(40)에서 발생되는 전류를 인가받아 축전하는 축전 배터리(46)가 고정·설치되며, 상기 축전 배터리(46)의 외측에는 자전거(16)에 장착되는 전기부품 또는 자전거 탑승자가 휴대한 휴대형 전자제품을 전기적으로 접속시킬 수 있도록 하는 다수의 접속포트(48)가 설치된다.On the other hand, the current generated in the
본 발명에서 상기 발전코일(40)로부터 축전 배터리(46)로 인가되는 전선상에는 발전코일(40)에서 발생된 교류전류를 직류전류로 바꿔주는 통상의 다이오드(54) 및 발전코일(40)로부터 축전 배터리(46)로 인가되는 전압을 조정하는 IC조정기(56) 가 설치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on the wire applied from the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Th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de as described above is as follows.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먼저 본 발명에 따른 무저항 발전장치(10)의 설치과정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1 to 5, first, the installation process of the resistive
전면에 형성된 자석장착홈(14)의 내부에 자석(12)이 끼워져 장착된 자석장착부재(26)상의 스포크끼움홈(22)에 자전거(16)의 바퀴(18)(18')를 구성하는 각각의 스포크(20)가 끼워지도록 한 다음, 상기 자석장착부재(26)상의 볼트부(24)에 고정캡(30)을 끼워 나사결합하는 방식으로 스포크(20) 마다 자석을 설치한다.The
이 상태에서 내부에 발전코일(40)이 감겨진 상태로 내장된 하우징(32)을 통상의 장착브래킷 또는 장착밴드(34a)로 서스펜션 포크(34)나 시트스테이(36) 또는 체인스테이(38)의 내면에 고정되게 설치한다.In this state, the
이 과정에서는 상기 발전코일(40)의 설치위치는 스포크(20)에 고정설치된 자석과 마주하는 위치에 해당되어야 한다.In this process,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그런 다음, 상기 자전거(16)를 구성하는 핸들부(42) 또는 기타 프레임체(44)의 소정 위치에 별도의 축전 배터리(46)을 설치하고, 상기 발전코일(40)로부터 음극(-)과 양극(+), 두 가닥의 전선을 인출한 후 상기 축전 배터리(46)에 연결시키는 한편, 상기 발전코일(40)로부터 축전 배터리(46)로 향하는 전선상에는 발전코일(40)에서 발생된 교류전류를 직류전류로 바꿔주는 통상의 다이오드(54) 및 발전코일(40)로부터 축전 배터리(46)로 인가되는 전압을 조정하는 IC조정기(56)를 설치하면 본 발명에 따른 무저항 발전장치(10)의 설치가 완료된다.Then, a separate
이 상태에서 자전거 이용자가 안장(50)위에 앉아 페달(52)을 밟아주면서 자전거(16)를 주행시키면 상기 바퀴(18)(18')가 회전됨과 동시에 바퀴(18)(18')를 구성하는 각각의 스포크(20)상에 고정설치된 자석(12)이 회전되고, 상기 자석(10)이 서스텐션 포크(34)나 시트스테이(36) 또는 체인스테이(38)의 마주하는 위치에 설치된 발전코일(40)을 지나칠 때 마다 자속(磁束)의 변화에 의하여 상기 발전코일(40)에서 교류 전류가 발생된다.In this state, when the bicycle user runs on the
이와 같이 발전코일(40)에서 발생된 전류는 전선을 통하여 축전 배터리(46)로 인가되어 축전되는데, 전선을 통하여 인가되는 과정에서 발전코일(40)으로부터 만들어진 교류 전류는 다이오드(54)를 통과하면서 직류 전류로 바뀌게 되고, IC조정기(56)를 통과하면서 전압이 조정된 후 축전 배터리(46)에 축전되는 것이다.In this way, the current generated in the
이 같이 상기 축전 배터리(46)에 전류가 축전된 상태에서 축전 배터리(46)상에 형성된 접속포트(48)에 자전거(16)에 장착되는 헤드라이트나 방향지시등 같은 전기제품을 접속시켜 전원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In this way, the
또, 상기 접속포트(48)에 자전거 이용자가 소지한 휴대형 전자제품을 전기적으로 접속시켜 충전용 전원으로 사용하거나 적절한 어댑터를 매개로 접속시켜 전자제품의 구동전원으로 사용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possessed by the bicycle user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무저항 발전장치가 설치된 자전거의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bicycle equipped with a non-resistive power gener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무저항 자전거의 발전장치의 요부 확대 분리 사시도이다.Figure 2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the main portion of the generator of the non-resistive bicy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무저항 발전장치가 자전거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Figure 3 is a sid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non-resistance power gener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a bicycle.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무저항 발전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확대 정단면도이다.Figure 4 is an enlarged front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resistivity gen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무저항 자전거의 발전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확대 평단면도이다.5 is an enlarged plan sectional view showing an operating state of a power generating device for a non-resistive bicy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
12 : 자석 20 : 스포크12: magnet 20: spoke
26 : 자석장착부재 30 : 고정캡26: magnet mounting member 30: fixed cap
32 : 하우징 34 : 서스펜션 포크(Suspension fork)32
36 : 시트스테이(Seat stay) 38 : 체인스테이(Chain stay)36: Seat stay 38: Chain stay
40 : 발전코일 42 : 핸들부40: power generation coil 42: handle portion
44 : 프레임체 46 : 축전 배터리44: frame 46: storage battery
48 : 접속포트. 48: Connection port.
Claims (1)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72580A KR20110015065A (en) | 2009-08-07 | 2009-08-07 | Electric generator for bicycl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72580A KR20110015065A (en) | 2009-08-07 | 2009-08-07 | Electric generator for bicycl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015065A true KR20110015065A (en) | 2011-02-15 |
Family
ID=437739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0072580A KR20110015065A (en) | 2009-08-07 | 2009-08-07 | Electric generator for bicycl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10015065A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50029B1 (en) * | 2014-08-11 | 2014-10-23 | 강수영 | Bicycle bottle dynamo for providing electricity aid to north korea |
-
2009
- 2009-08-07 KR KR1020090072580A patent/KR20110015065A/en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50029B1 (en) * | 2014-08-11 | 2014-10-23 | 강수영 | Bicycle bottle dynamo for providing electricity aid to north korea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0604203B2 (en) | Green bike | |
US8132945B2 (en) | Lighted bicycle pedal | |
US20080100183A1 (en) | Bicycle electric generator | |
KR20060135495A (en) | Lighting equipment | |
KR20110015065A (en) | Electric generator for bicycle | |
JP2011073638A (en) | Battery assisted bicycle | |
CN203511875U (en) | Electromagnetic-induction-based bicycle brake energy conversion and recovery device | |
WO2015037302A1 (en) | Vehicle lighting control device | |
GB2379804A (en) | Wheel generator for skateboards | |
JP2012182961A (en) | Hub dynamo for bicycle | |
KR101239193B1 (en) | Bicycle bottom bracket capable of power generation | |
US20090010016A1 (en) | Vehicle lighting device | |
JP2001088759A (en) | Hub dynamo for bicycle | |
CN212373569U (en) | Bicycle axle thread anti-damage sleeve | |
CN206743042U (en) | Conversion ratio adjustable bicycle generator | |
CN201276166Y (en) | Bicycle with self-generating front illumination apparatus and rear tail lamp apparatus | |
KR101313641B1 (en) | Power feeding equipment | |
JP4746151B1 (en) | Bicycle lighting system | |
KR101160417B1 (en) | A Bicycle Generating System | |
KR101200046B1 (en) | Bicycle with self-electromagnetic using light device | |
KR20130119724A (en) | Electric generator for bicycle | |
CN213620087U (en) | Two-wheel vehicle structure | |
JP3135452U (en) | Bicycle safety indicator light structure | |
KR100327511B1 (en) | Lighting system of a two-wheeled vehicle having a generator | |
KR200353872Y1 (en) | Electromagnetic generator for vehicl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