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14452A - 디지털 촬영 장치 및 그에 따른 동영상 촬영 방법 - Google Patents
디지털 촬영 장치 및 그에 따른 동영상 촬영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10014452A KR20110014452A KR1020090072122A KR20090072122A KR20110014452A KR 20110014452 A KR20110014452 A KR 20110014452A KR 1020090072122 A KR1020090072122 A KR 1020090072122A KR 20090072122 A KR20090072122 A KR 20090072122A KR 20110014452 A KR20110014452 A KR 2011001445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ignal
- noise
- zooming
- offset sound
- generated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9—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 H04N9/80—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 H04N9/804—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involving pulse code modulation of the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 H04N9/8042—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involving pulse code modulation of the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involving data reduction
- H04N9/8045—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involving pulse code modulation of the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involving data reduction using predictive coding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H04N5/77—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camera
- H04N5/772—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camera the recording apparatus and the television camera being placed in the same enclosure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67—Camera operation mode switching, e.g. between still and video, sport and normal or high- and low-resolution mo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지털 촬영 장치 및 그에 따른 동영상 촬영 방법 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음성을 포함한 동영상 촬영에 있어서 디지털 촬영 장치 자체의 동작 소음을 제거한 것에 관한 것으로, 디지털 촬영 장치에서 동영상 촬영 모드를 실행하는 단계; 동작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동작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디지털 촬영 장치가 동작하는 단계; 상기 동작 제어 신호에 대응하는 상쇄음을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디지털 촬영 장치의 동작으로 발생하는 소음과 상기 상쇄음을 합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의 동영상 촬영 방법을 제공한다.
촬영 장치
Description
본 발명은 디지털 촬영 장치 및 그에 따른 동영상 촬영 방법 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음성을 포함한 동영상 촬영에 있어서 촬영 장치 자체의 동작 소음을 제거한 것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스틸 카메라(DSC), 디지털 일안 반사식 카메라(DSLR), 디지털 비디오카메라와 같은 디지털 촬영 장치에서는 음성을 포함한 동영상 촬영 기능을 제공한다.
그러나 음성을 포함한 동영상 촬영시 디지털 촬영 장치 자체에서 발생하는 동작 소음이 음성과 동시에 녹음되는 경우 촬영 장치 내부에 포함된 마이크로 인하여 녹음하려고 하는 음성보다 월등히 크게 녹음되어 소음이 큰 문제가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디지털 촬영 장치의 동작 소음이 발생하는 순간 동영상의 음성 녹음을 중지하는 경우에는 필요한 시기에 음성이 녹음되지 않거나, 동영상 재생시 음성이 끊겨서 들리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디지털 촬영 장치 및 그에 따른 동영상 촬영 방법을 제공하는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음성을 포함한 동영상 촬영에 있어서 디지털촬영 장치 자체의 동작 소음을 제거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디지털 촬영 장치에서 영상과 오디오를 포함하는동영상 파일을 생성하는 동영상 촬영 모드를 실행하는 단계; 동작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동작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디지털 촬영 장치가 동작하는 단계; 상기 동작 제어 신호에 대응하는 상쇄음을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디지털 촬영 장치의 동작으로 발생하는 소음과 상기 상쇄음을 합성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동작 제어 신호는 주밍 신호이며, 상기 주밍 신호에 따라 상기 디지털 촬영 장치가 노출 영역을 변경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주밍 신호에 대응하는 상쇄음을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노출 영역을 변경하는 동작으로 발생하는 소음과 상기 상쇄음을 합성하는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동작 제어 신호는 주밍 신호이며, 상기 주밍 신호에 따라 상기 디지털 촬영 장치의 줌 렌즈를 이동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주밍 신호에 대응하는 상쇄음을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줌 렌즈의 이동으로 발생하는 소음과 상기 상쇄음을 합성하는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동작 제어 신호는 포커싱 신호이며, 상기 포커싱 신호에 따라 상기 디지털 촬영 장치에 입력되는 영상의 포커스를 변화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포커싱 신호에 대응하는 상쇄음을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영상의 포커스를 변화하는 동작에 의해 발생하는 소음과 상기 상쇄음을 합성하는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동작 제어 신호는 오토 포커스 실행 신호이며, 상기 오토 포커스 실행 신호에 따라 포커스가 맞은 상태의 초점값을 자동으로 찾는 오토 포커스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오토 포커스 실행 신호에 대응하는 상쇄음을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오토 포커스 동작에 의해 발생하는 소음과 상기 상쇄음을 합성하는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소음은 줌 렌즈 또는 포커스 렌즈의 이동으로 발생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상쇄음과 소음은 파형의 위상이 반대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동작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동작 제어 신호 생성부; 상기 동작 제어 신호 생성부에서 생성된 상기 동작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디지털 촬영 장치를 동작시키는 동작 제어부; 상기 동작 제어 신호 생성부에서 생성된 상기 동작 제어 신호에 대응하는 상쇄음을 추출하는 상쇄음 추출부; 및 상기 동작 제어부에 의한 디지털 촬영 장치의 동작으로 발생하는 소음과 상기 상쇄음을 합성하는 소음 합성부; 를 포함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를 개시한다.
여기서 상기 동작 제어 신호는 주밍 신호이며, 상기 주밍 신호를 생성하는 주밍 신호 생성부; 상기 주밍 신호 생성부에서 생성된 주밍 신호에 따라 줌 모터를 구동하여 줌 렌즈를 이동하는 동작을 제어하는 주밍 제어부; 상기 주밍 신호 생성 부에서 생성된 상기 주밍 신호에 대응하는 상쇄음을 추출하는 상쇄음 추출부; 및 상기 주밍 제어부에 의한 줌 동작으로 발생하는 소음과 상기 상쇄음을 합성하는 소음 합성부; 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동작 제어 신호는 포커싱 신호이며, 상기 포커싱 신호를 생성하는 포커싱 신호 생성부; 상기 포커싱 신호 생성부에서 생성된 포커싱 신호에 따라 줌 모터를 구동하여 줌 렌즈를 이동하거나, 포커스 포터를 구동하여 포커스 렌즈를 이동하는 동작을 제어하는 포커싱 제어부; 상기 포커싱 신호 생성부에서 생성된 포커싱 신호에 대응하는 상쇄음을 추출하는 상쇄음 추출부; 및 상기 포커싱 제어부에 의한 포커싱 동작으로 발생하는 소음과 상기 상쇄음을 합성하는 소음 합성부; 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소음은 줌 렌즈 또는 포커스 렌즈의 이동으로 발생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소음의 파형과 상기 상쇄음의 파형은 위상이 반대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상쇄음은 저장부에 미리 저장될 수 있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음성을 포함한 동영상 촬영시, 촬영 장치 자체에서 발생하는 기계적 소음이 녹음되는 것을 실시간으로 방지하고, 음성을 끊김 없이 녹음할 수 있다.
도 1은 디지털 촬영 장치의 앞쪽 및 위쪽 외형을 보여주는 사시도 이다.
셔터-릴리즈 버튼(11)은 스틸 컷 또는 동영상 촬영 모드에서 정해진 시간 동안 CCD(charge coupled deviceL: 이미지 센서)를 빛에 노출시키기 위해 열리고 닫히며, 조리개(미도시)와 연동하여 피사체를 적정하게 노출시켜 CCD에 영상을 기록한다.
셔터-릴리즈 버튼(11)은 촬영자 입력에 의해 영상 또는 동영상 촬영 신호를 생성하거나, 동영상 촬영 중지 신호를 생성한다. 동영상 촬영 모드에서 완전셔터 신호로써의 셔터-릴리즈 버튼(11)이 입력되면, 디지털 촬영 장치는 동영상 촬영 가능 시간동안 촬영을 시작한다. 이 때 셔터-릴리즈 버튼(11)에서 손을 떼어도 동영상 촬영은 계속된다. 동영상 촬영 도중에 완전 셔터 신호로써의 셔터-릴리즈 버튼(11)이 입력되면, 디지털 촬영 장치는 동영상 촬영을 멈춘다.
전원 버튼(13)은 디지털 촬영 장치에 전원을 공급하여 동작시키기 위해 입력된다.
플래시(15)는 어두운 곳에서 촬영할 경우 밝은 빛을 순간적으로 비추어 밝게 해주는 것으로 플래시 모드에는 자동플래시, 강제발광, 발광금지, 적목감소, 슬로우 싱크로 등이 있다.
보조광(17)은 광량이 부족하거나 야간 촬영 시에 디지털 촬영 장치가 자동으로 포커스를 빠르고 정확하게 잡을 수 있도록 피사체에 광을 공급한다.
렌즈부(19)는 피사체로부터의 빛을 광학적으로 처리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디지털 촬영 장치의 뒤쪽 외형을 보여주는 배면도로 서, 광각(와이드)-줌 버튼(21w), 망원(텔레)-줌 버튼(21t), 디스플레이부(23) 및 터치센서 또는 접점식 스위치가 구비된 입력 버튼들(B1~B14)(이하 버튼들(B1~B14)이라 표기함)을 구비한다.
광각-줌 버튼(21w) 또는 망원-줌 버튼(21t)은 입력에 따라 화각이 넓어지거나, 화각이 좁아지는데, 특히, 선택된 노출영역의 크기를 변경시키고자 할 때 입력한다. 광각-줌 버튼(21w)이 입력되면, 줌 아웃(zoom out)되면서 피사체가 멀리 떨어져 보인다. 즉, 화각이 넓어져 넓은 각도의 피사체 촬영에 유리한 상태가 되며, 선택된 노출영역의 크기가 작아진다. 망원-줌 버튼(21t)이 입력되면, 줌 인(zoom in)되면서 피사체가 가깝게 보인다. 즉 화각이 좁아지고 좁은 각도의 피사체 촬영에 유리한 상태가 되며, 선택된 노출영역의 크기가 커진다.
버튼들(B1~B14)은 디스플레이부(23)의 가로 열 및 세로 열에 구비된다. 즉, 버튼들(B1~B14)에는 터치 센서가 구비되어 가로 열의 버튼들(B1~B7) 또는 세로 열의 버튼들(B8~B14)을 터치한 상태에서 상/하/좌/우로 이동하여 주 메뉴 항목 중 임의의 값(예를 들어, 컬러 또는 밝기)을 선택하거나, 주 메뉴 아이콘에 포함된 하위메뉴 아이콘을 활성화 시킬 수 있다.
또한 버튼들(B1~B14)에는 접점식 스위치가 구비되어 있어, 주 메뉴 아이콘 및 하위메뉴 아이콘을 직접 선택하여 해당 기능을 실행시킬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접점식 스위치 입력에 비해 상대적으로 약한 터치만을 요구하지만, 접점식 스위치 입력은 터치 센서 입력에 비해 상대적으로 강한 터치를 요구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촬영 장치의 구성을 보이는 블록도로서, 디 스플레이부(23), 사용자 입력부(31), 촬상부(33), 디지털 신호 처리부(35), 저장부(37) 및 제어부(100)를 포함한다.
사용자 입력부(31)는 정해진 시간 동안 CCD를 빛에 노출시키기 위해 열리고 닫히는 셔터-릴리즈 버튼(11),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입력하는 전원 버튼(13), 입력에 따라 화각을 넓어지게 하거나, 화각을 좁아지게 하는 광각-줌 버튼(21w) 및 망원-줌 버튼(21t)과, 문자 입력 또는 메뉴 선택 및 실행을 위해 디스플레이부(23) 주변의 가로 및 세로열에 구비된 터치센서 또는 접점식 스위치가 구비된 버튼들(B1~B14), AF(오토 포커스) 모드 입력 버튼(미도시) 등이 있다.
촬상부(33)는 줌 렌즈(33-11)와 이를 구동하는 줌 모터(33-111), 포커스 렌즈(33-12)와 이를 구동하는 포커스 모터(33-121)를 포함하며 경통(33-1), 이미지 센서(33-3), 아날로그디지털컨버터(ADC)(33-4)와 함께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셔터 및 조리개를 포함한다.
셔터(미도시)는 조리개(미도시)와 함께 노광하는 빛의 양을 조절하는 기구이다. 줌 렌즈(33-11) 및 포커스 렌즈(33-12)는 피사체로부터의 빛을 광학적으로 처리한다. 이 때, 조리개는 개폐 정도에 따라 입사되는 빛의 양(광량)을 조절한다. 조리개의 개폐 정도는 디지털 신호 처리부(39)에 의해 제어된다.
줌 렌즈(33-11) 및 포커스 렌즈(33-12)는 그 광축이 이미지 센서(33-3) 수광면의 대략 중심으로부터 연장된 연직선과 일치하는 위치에 마련되어 있다. 포커스 렌즈(33-12)는 광축상을 전후로 직선으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며, 그 이동 위치에 따라서 이미지 센서(33-3)의 수광면 상에 맺히는 화상의 포커스 위치를 바꾼 다. 포커스 렌즈(33-12)는 그 이동 위치가 제어부(100)의 제어 하에 포커스 모터(33-121)를 통해 조절된다.
줌 렌즈(33-11)는 광축상을 전후로 이동이 가능하게 마련되어 이동 위치에 따라 이미지 센서(33-3)의 수광면 상에 맺히는 노출 영역의 크기를 바꾼다. 줌 렌즈(33-11)도 그 이동 위치가 제어부(100)의 제어 하에 줌 모터(33-111)를 통해 조절된다.
이미지 센서(33-3)는 줌 렌즈(33-11) 및 포커스 렌즈(33-12)를 통하여 입력되는 광량을 축적하고, 그 축적된 광량에 따라 줌 렌즈(33-11) 및 포커스 렌즈(33-12)에서 촬상된 영상을 수직 동기신호에 맞추어 출력한다. 디지털 촬영 장치의 영상 획득은 피사체로부터 반사되어 나오는 빛을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시켜 주는 이미지 센서(33-3)에 의해 이루어진다. 이미지 센서(33-3)를 이용하여 컬러 영상을 얻기 위해서는 컬러 필터를 필요로 하며, 대부분 CFA(Color filter array) 라는 필터(미도시)를 채용하고 있다. CFA는 한 픽셀마다 한 가지 컬러를 나타내는 빛만을 통과시키며 규칙적으로 배열된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배열 구조에 따라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지고 있다.
ADC(33-4)는 이미지 센서(33-3)로부터 출력되는 아날로그 영상신호를 디지털 영상신호로 변환한다.
디지털 신호 처리부(35)는 디지털 변환된 RAW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가능하도록 신호처리 한다. 디지털 신호 처리부(35)는 온도변화에 민감한 CCD 필터에서 발생하는 암 전류에 의한 블랙레벨(Black level)을 제거한다. 디지털 신호 처리 부(35)는 인간 시각의 비선형성에 맞추어 정보를 부호화 하는 감마 보정을 수행한다. 디지털 신호 처리부(35)는 감마 보정된 소정 데이터의 RGRG라인 및 GBGB 라인으로 구현된 베이어 패턴을 RGB 라인으로 보간한다. 디지털 신호 처리부(35)는 보간된 RGB 신호를 YUV 신호로 변환하고, 고 대역 필터에 의해 Y 신호를 필터링 하여 영상을 뚜렷하게 처리하는 에지 보상과, 표준 컬러 좌표계를 이용하여 U, V 신호의 컬러 값을 정정하는 컬러 정정을 수행하며, 이들의 노이즈를 제거한다. 디지털 신호 처리부(35)는 노이즈가 제거된 Y, U, V 신호를 압축 및 신호 처리하여 JPEG 파일을 생성하고, 생성된 JPEG 파일은 디스플레이부(23)에 디스플레이 되고, 저장부(37)에 저장된다.
상기 제어부(100)의 제어 동작에 관하여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부(100)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00)는 동작 제어 신호 생성부(101), 동작 제어부(102), 상쇄음 추출부(103), 소음 합성부(104)를 구비할 수 있다.
동작 제어 신호 생성부(101)는 디지털 촬영 장치에서 특정 동작이 일어나게 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 동작 제어 신호는 이미지 촬영시 프리뷰 모드, 재생 모드 등에서 생성될 수도 있고, 동영상 촬영시 생성될 수도 있다. 동작 제어 신호는 사용자가 사용자 입력부(31)를 통하여 생성되게 할 수도 있으며, 디지털 촬 영 장치의 프로그램 또는 알고리즘에 따라 이미지 촬영시, 동영상 촬영시 또는 영상 처리 중 자동으로 생성되게 할 수도 있다.
동작 제어부(102)는 상기 동작 제어 신호 생성부(101)에서 생성된 동작 제어 신호에 따라 디지털 촬영 장치를 동작시킨다. 상기 동작 제어 신호 생성부에서 촬상부를 동작하기 위한 동작 제어 신호가 생성되면, 동작 제어부(102)는 동작 실행 신호를 줌 모터부 또는 포커스 모터부로 인가하여 줌 렌즈를 이동하거나, 포커스 렌즈를 이동할 수 있다.
상쇄음 추출부(103)는 상기 동작 제어 신호 생성부(101)에서 생성된 동작 제어 신호에 대응하는 상쇄음을 추출한다. 예를 들어 디지털 촬영 장치로 동영상 촬영시 주밍 동작을 수행하면 줌 렌즈의 이동에 따른 소음 및 줌 모터 소음이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소음은 부품의 종류, 모터의 동작 형태, 경통의 회전방향 등에 의존하므로 디지털 촬영 장치가 양산될 때 이미 결정될 수 있는 값이다. 상기 상쇄음이란 소음을 상쇄할 수 있는 특유한 파형을 가진 주파수를 의미한다. 상쇄음은 저장부 디지털 촬영 장치가 제조될 때 부품 및 동작에 따라 프로그램화하여 미리 저장부(37)에 저장될 수도 있고, 역위상기를 통하여 각 소음에 해당하는 상쇄음을 생성하여 저장부(37) 저장할 수도 있다. 일 예로 저장부(37)에는 각 동작 제어 신호에 대응하는 상쇄음 또는 소음에 대한 정보가 하기 표 1과 같은 테이블의 형태로 저장될 수도 있다.
번호 | 동작 제어 신호 | 상쇄음 정보 | 해당 소음 정보 |
1 | 주밍 신호 | 상쇄음 a | 소음 a |
2 | 포커싱 신호 | 상쇄음 b | 소음 b |
... | ... | ... | ... |
소음 합성부(104)는 상기 디지털 촬영 장치의 동작으로 발생하는 소음과 상기 상쇄음 추출부(103)에서 추출한 상쇄음을 합성한다. 예를 들어 도 7(a)의 파형을 가진 소음과 도 7(b)의 파형을 가진 상쇄음이 있다고 하자. 이 경우 소음 합성부에서 두 파형의 주기를 맞추어 합성하는 경우 소음 파형의 (+)진폭 부분은 상쇄음 파형의 (-)진폭 부분과 합쳐져 상쇄되고, 소음 파형의 (-)진폭부분은 상쇄음 파형의 (+)진폭 부분과 합쳐져 상쇄된다. 결국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음이 제거될 수 있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부(100)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제어부(110)는 도 3에 도시된 제어부(100)와 동작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그에 따라 동작을 제어하며, 상기 동작 제어 신호에 대응하는 상쇄음을 추출하여 소음과 합성하는 점은 유사하나, 동작 제어 신호의 종류 및 그에 따른 동작의 종류가 상이하다. 따라서 본 실시 예에서는 도 3의 실시예와 상이한 점을 위주로 설명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10)는 주밍 신호 생성부(111), 주밍 제어부(112), 상쇄음 추출부(113), 소음 합성부(114)를 구비할 수 있다.
주밍 신호 생성부(111)는 주밍(zooming) 신호를 생성한다. 주밍 신호는 줌-인또는 줌-아웃 동작이 일어나게 하는 제어 신호이며, 사용자가 사용자 입력부(31)의 망원-줌 버튼(21t) 또는 광각-줌 버튼(21w)을 소정 시간 눌러 주밍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입력부(31)에 의하지 않고 이미지 촬영시 또는 동영상 촬영 중에 설정된 프로그램 또는 알고리즘에 의하여 자동으로 주밍 신호가 생성될 수도 있다.
주밍 제어부(112)는 상기 주밍 신호 생성부(111)에서 발생한 주밍 신호에 따라 디지털 촬영 장치의 노출영역이 변경되거나, 줌 렌즈를 이동하는 부분이다. 예를 들어 망원-줌을 실행하기 위한 주밍 신호에 따라, 주밍 제어부(112)에서는 줌 모터를 제어하여 줌 렌즈를 광축의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줌-인한다. 그 결과 사용자가 뷰 파인더 또는 디스플레이(23)에서 볼 때 피사체가 가깝게 다가와 보이게 되며, 디지털 촬영 장치의 노출 영역이 변경된다.
상쇄음 추출부(113)는 상기 주밍 신호에 대응하는 상쇄음을 추출한다. 예를 들어 망원-줌을 실행하기 위한 주밍 신호에 따라 필연적으로 발행하는 줌 렌즈 이동 소음, 줌 모터 소음 등이 있고, 이에 대한 상쇄음은 미리 저장부(37)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상쇄음 추출부(113)는 저장부(37)에 미리 저장된 주밍 신호에 대응하는 상쇄음을 추출한다.
소음 합성부(114)는 디지털 촬영 장치의 동영상 촬영 중 주밍 동작에 의하여 발생하는 소음과 상기 상쇄음 추출부(113)에서 추출한 상쇄음을 합성한다. 예를 들어 주밍 동작에 의하여 줌 렌즈의 이동, 줌 모터의 구동, 경통의 회전 등에 의한 소음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를 제거하기 위하여 상쇄음을 합성한다.
도 6은 도 3에 도시된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부(100)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제어부(120)는 도 3에 도시된 제어부(100)와 비교하여 동작 제어 신호의 종류 및 그에 따른 동작의 종류가 상이하다. 따라서 본 실시 예에서는 도 3의 실시 예와 상이한 점을 위주로 설명한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따른 제어부(120)는 포커싱 신호 생성부(121), 포커싱 제어부(122), 상쇄음 추출부(123), 소음 합성부(124)를 구비할 수 있다.
포커싱 신호 생성부(121) 는 포커싱(focusing) 신호를 생성한다. 포커싱 신호는 피사체에 포커스가 맞는 상태의 초점값을 찾는 동작이 일어나게 하는 제어 신호이다. 포커싱 신호는 사용자가 사용자 입력부(31)의 셔터-릴리즈 버튼(11)을 반누름하여 포커싱 신호를 생성할 수도 있고, 동영상 촬영을 시작하기 위하여 셔터-릴리즈 버튼(11)을 완전 누름할 때 포커싱 신호가 생성될 수도 있다. 또한 동영상 촬영 중에 사용자 입력부(31)의 조작에 의하여 포커싱 신호를 발생할 수도 있으며, 오토 포커스와 같이 피사체의 움직임을 자동으로 감지하여 필요시 마다 포커싱 신호가 자동으로 생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피사체로부터 나오는 소리를 감지하여 피사체의 위치를 알아내고 이에 따라 피사체에 포커스가 맞는 초점값을 조정하기 위하여 포커싱 신호를 자동으로 생성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피사체에서 발생하는 적외선 감지하여 피사체의 위치를 알아내고 이에 따른 포커싱 신호를 생성할 수도 있으며 이 밖에도 포커싱 신호를 생성하는 방법에는 제한이 없다.
포커싱 제어부(122)는 상기 포커싱 신호 생성부(121)에서 생성된 포커스 신호에 따라 디지털 촬영 장치를 동작하게 한다. 포커싱 제어부(122)는 포커싱 신호에 따라 촬영 장치에 입력되는 영상의 포커스를 변화시키는 동작을 수행하게 하거나, 포커스가 맞는 상태의 초점값을 자동으로 찾는 동작을 수행하게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포커싱 신호에 따라 줌 모터를 구동하여 줌 렌즈를 이동하거나, 포커스 포터를 구동하여 포커스 렌즈를 이동하는 동작을 제어한다.
상쇄음 추출부(123) 상기 포커싱 신호에 대응하는 상쇄음을 추출한다. 상쇄음은 저장부(37)로부터 추출할 수 있다.
소음 합성부(124)는 상기 디지털 촬영 장치의 포커싱 동작으로부터 발생한 소음에 상쇄음을 합성한다. 예를 들어 상기 소음은 포커싱 동작에 의하여 발생하는 줌 렌즈의 이동, 포커스 렌즈의 이동, 줌 모터의 구동, 포커스 모터의 구동, 경통의 회전 등일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촬영 장치의 동영상 촬영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일 실시예로 오디오가 동시에 녹음되는 동영상 촬영시 줌 동작을 수행할 때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촬영 장치의 동영상 촬영 방법을 알아본다. 후술하는 과정에서는 사용자 입력부(31)에 의하여 주밍 신호가 생성되는 구성을 기재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프로그램에 의하여 자동으로 주밍 신호가 생성될 수도 있다.
S801에 의하면 사용자는 사용자 입력부(31)를 통하여 동영상 촬영 모드를 실행한다. 이 때 음성제거기능 등을 사용하지 않고 음성이 동시에 녹음되는 동영상 촬영 모드를 실행한다.
S802에 의하면 사용자 입력부(31)의 셔터-릴리즈 버튼(11)을 입력하여 음성 녹음 및 동영상 촬영을 실행한다.
동영상 촬영이 진행되는 동안 망원-줌을 실행하고자 하는 경우, S803과 같이 망원-줌 버튼(21t)을 입력한다. 사용자 입력부(31)의 망원-줌 버튼(21t)이 입력됨에 따라 줌-인 되면서 디스플레이(23) 또는 뷰파인더(미도시)에서 볼 때 피사체가 가깝게다가와 보인다.
이와 동시에 디지털 촬영 장치의 촬상부(33)에서 일어나는 동작을 자세히 살펴본다. 이미지 센서(33-3)와 광축상의 연장된 일직선에 위치하는 줌 렌즈(33-11)는 줌 모터(33-111)가 동작하여 고정 렌즈와 이동 렌즈의 간격을 조절하게 된다. 또한 줌 렌즈(33-11)가 이동하면서 렌즈가 포함된 경통이 시계방향 또는 시계반대방향으로 일정한 속도로 회전할 수도 있다. 이러한 줌 동작은 S805와 같이 사용자가 망원-줌 버튼(21t)의 입력을 종료할 때까지 계속된다.
또한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부(100)에서 일어나는 동작을 자세히 살펴본다. 사용자가 사용자 입력부(31)의 망원-줌 버튼(21t)을 입력하면 주밍 신호가 생성되고, 주밍 신호에 대응하는 제1상쇄음이 추출된다. 다음으로 줌 렌즈의 이동, 줌 모터의 구동을 포함하는 줌 동작에 의해 발생하는 제1소음과 제1상쇄음을 합성한다. 도 7을 참조하면, 제1상쇄음은 (a)에 도시된 소음 파형의 역위상에 해당하며, 주기를 맞춰 합성함으로써, 제1소음이 제거되는 특징이 있다.
이와 같은 소음 제거 동작은 S807과 같이 주밍 신호의 입력이 종료될 때까지, 즉 사용자에 의한 망원-줌 버튼(21t)의 입력이 종료될 때까지 지속된다.(S806)
정리하면 광학 3배줌을 설정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망원-줌 버튼을 2초간 눌러 2초 동안 망원-줌 신호가 입력되면, 디지털 촬영 장치에서는 음성데이터가 포함된 동영상을 기록하던 중 망원-줌 신호 입력시점에 해당하는 음성 데이터에 상쇄음을 합성하기 시작하고 망원-줌 신호가 종료되면 상쇄음의 합성을 중지한다. 이후 동영상 파일을 실행하면, 망원-줌을 구현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소음은 상쇄되어 들리지 않게 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동영상 촬영이 진행되는 동안 광각-줌을 실행하고자 하는 경우, S407에 의하여 사용자는 광각-줌 버튼(21w)을 입력한다. 사용자 입력부(31)의 광각-줌 버튼(21w)이 입력됨에 따라 줌-아웃 되면서 피사체가 멀리 떨어져 보인다.
이와 동시에 이미지 센서(33-3)와 광축상의 연장된 일직선에 위치하는 줌 렌즈(33-11)는 줌 모터(33-111)가 동작하여 고정 렌즈와 이동 렌즈의 간격을 조절하게 된다. 이러한 줌 동작은 S809에 의하여 사용자가 광각-줌 버튼(21w)의 입력을 종료할 때까지 계속된다.
S807에 의하여 사용자가 광각-줌 버튼(21w)을 입력하면 다른 종류의 주밍 신호가 생성되고, 제어부(100)는 상기 주밍 신호를 인지하여 알맞은 제2상쇄음을 추출하여 광각-줌 버튼(21w) 입력에 의한 줌 동작으로 발행하는 제2소음과 상기 제2상쇄음을 합성하여 제2소음을 제거한다.
이와 같은 소음 제거 동작은 주밍 신호의 입력이 종료될 때까지, 즉 사용자에 의한 광각-줌 버튼(21w)의 입력이 종료될 때(S809)까지 지속된다. (S810)
S811에 의하여 동영상 촬영은 셔터-릴리즈 버튼(11)을 입력함으로써 완료되며, 사용자는 줌 소음이 제거된 음성이 포함된 동영상 파일을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이 줌 동작을 실행할 때, 줌 모터에서 발생하는 소음, 줌 모터에서 리드 스크류를 회전시킬 때 발생하는 소음, 이동 렌즈가 광축의 방향으로 이동할 때 발생하는 소음, 렌즈가 포함된 경통이 회전하면서 일으키는 소음 등 다양한 종류의 기계 소음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소음은 음성 녹음시 외부에서 유입되는 노이즈와는 별개로 디지털 촬영 장치를 조작할 때 발생하는 소음이므로 시간과 장소에 관계없이 필연적이다. 또한 음성 녹음시 주로 디지털 촬영 장치의 내부에 탑재된 마이크를 사용하데 이 경우 내부 마이크와 쵤상부 소자와의 거리가 근접하므로 소음이 매우 크게 녹음되는 문제가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의하면, 상쇄음을 통하여 실시간으로 소음을 제거함으로써 동영상 촬영시 줌 기능을 사용하더라도 내부 기계 소음이 녹음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무엇보다도 소음을 인지하는 단계가 필요없으므로 실시간으로 소음을 제거하는 효과가 있다. 즉 줌과 같은 동작을 실행하는 신호에 의하여 필연적으로 발생하는 소음에 대처할 수단을 미리 메모리에 저장해 둠으로써 보다 단순한 회로 및 알고리즘으로 소음을 제거하는 장점이 있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촬영 장치의 동영상 촬영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동영상 촬영 방법은 도 8의 동영상 촬영 방법과 비교하여 동작 제어 신호가 포커싱 신호 또는 자 실시예로 음성이 동시에 녹음되는 동영상 촬영시 AF(오토 포커스) 동작을 수행할 때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촬영 장치의 동영상 촬영 방법을 알아본다.
S901에 의하여 사용자는 사용자 입력부(31)를 통하여 동영상 촬영 모드를 실행한다. 이 때 음성제거기능 등을 사용하지 않고 오디오가 동시에 녹음되는 동영상 촬영 모드를 실행한다.
S902에 의하여 사용자 입력부(31)의 완전 셔터로서 셔터-릴리즈 버튼(11)을 입력하여 음성 녹음 및 동영상 촬영을 실행한다. 동시에 상기 셔터-릴리즈 버튼(11)을 반누름 함으로써 포커싱 신호가 발생된다.
촬상부에서는 상기 포커싱 신호에 의하여 제어부에서 줌 모터 및 포커스 모터를 구동하여 줌 렌즈 및 포커스 렌즈의 이동 위치를 조절함으로써 원하는 피사체에 초점을 맞춘다.
S903에 의하여 포커싱 신호가 생성되면, 이에 대응하는 제1상쇄음을 추출하고 포커싱 동작으로 발생하는 제1소음에 상기 제1상쇄음을 피사체에 초점을 맞추는 동작시 발생하는 기계 소음을 제거한다. 이와 같은 동작은 포커스를 맞추는 동작이 종료될 때까지 지속된다. (S904)
S905에 의하면 동영상 촬영 중에 포커스가 맞는 상태의 초점값을 찾기 위하여 포커싱 신호가 생성된다. 예를 들어 매뉴얼 포커스 모드에서 촬영 중에 사용자가 초점을 맞추고자 하는 피사체를 기준으로 셔터-릴리즈 버튼을 반누름하여 자동으로 포커스를 맞춘 다음, 필요시마다 반복적으로 이동한 피사체에 대하여 사용자가 셔터-릴리즈 버튼을 반누름하여 포커스를 맞출 수 있다. 이 때는 셔터-릴리즈 버튼을 반 누름 할 때 포커싱 신호가 생성된다. 또 다른 예로 오토 포커스 모드에서는 피사체의 움직임을 자동으로 감지하여 포커싱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피사체에서 나는 소리 또는 적외선을 감지하여 피사체의 위치를 알아내고 초점을 맞추기 위한 포커싱 신호를 생성할 수 도 있다. 그러나 오토 포커스를 구현하는 방법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디지털 촬영 장치 내부의 프로그램에 따라 다른 방법도 가능하다.
포커싱 신호가 생성되면 이에 따라 피사체에 맞는 초점값을 찾는 촬상부의 동작이 실행되고, 이와 동시에 포커싱 신호에 따라 제2상쇄음을 추출 및 제2소음에 합성하는 과정이 포커싱 동작이 종료할 때까지 수행된다.(S906)
S907에 의하여 동영상 촬영은 완전 셔터로서 셔터-릴리즈 버튼(11)을 입력함으로써 완료되며, 동작 소음이 제거된 음성이 포함된 동영상 파일을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이 디지털 촬영 장치의 고유한 기계음을 메모리에 미리 저장하였다가 동영상 촬영 시에 이용함으로써 복잡한 노이즈 제거 기능 대신 실시간 노이즈 제거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 다른 실시 예로 음성이 동시에 녹음되는 동영상 촬영시 OIS(광학식 손떨림 보정; optical image stabilization) 동작을 수행할 때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촬영 장치의 동영상 촬영 방법을 알아본다.
본 실시 예는 앞서 살펴 본 두가지 실시 예와 유사하나, 동영상 촬영 중에 디지털 촬영 장치에서 손떨림 보정을 수행하는 동작 및 소음 제거가 사용자 입력부의 조작에 의하여 발생한 제어 신호에 의한 것이 아닌 점이 상이하다.
동영상 촬영 중 손떨림 감지 센서에 의하여 손떨림이 감지되면, 손떨림 보정부에서 알고리즘에 의하여 움직임을 추정 및 계산하여 손떨림 보정 소자를 동작시켜 손떨림을 상쇄한다.
이 때 손떨림 보정 소자의 동작에 의한 소음이 발생할 수 있는데, 손떨림 감지 센서에 의하여 손떨림이 감지되고, 손떨림 보정부를 제어하기 위한 동작 제어 신호가 발생되면, 이에 대응하는 상쇄음을 추출하고 소음에 상쇄음을 합성하여 소음을 제거한다. 이와 같은 동작은 동영상 촬영 중 OIS 동작이 실행될 때마다 일어나며, 완전 셔터로서 셔터-릴리즈 버튼(11)이 입력되어 동영상 촬영이 끝날 때까지 수행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실시예 외의 많은 실시예들이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 내에 존재한다.
도 1은 디지털 촬영 장치의 앞쪽 및 위쪽 외형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디지털 촬영 장치의 뒤쪽 외형을 보여주는 배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촬영 장치의 내부의 구성을 보이는 블록도.
도 4 내지 도 6은 도 3의 디지털 촬영 장치에 포함된 제어부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블록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촬영 장치의 소음 제거 방법.
도 8 내지 9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촬영 장치의 동영상 촬영 방법의 일 실시예을 나타낸 흐름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셔터-릴리즈 버튼 13 : 전원 버튼
23 : 디스플레이부 31 : 사용자 입력부
Claims (13)
- 디지털 촬영 장치에서 동영상 촬영 모드를 실행하는 단계;동작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상기 동작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디지털 촬영 장치가 동작하는 단계;상기 동작 제어 신호에 대응하는 상쇄음을 추출하는 단계; 및상기 디지털 촬영 장치의 동작으로 발생하는 소음과 상기 상쇄음을 합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의 동영상 촬영 방법.
- 제1항에 있어서상기 동작 제어 신호는 주밍 신호이며,상기 주밍 신호에 따라 상기 디지털 촬영 장치가 노출 영역을 변경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상기 주밍 신호에 대응하는 상쇄음을 추출하는 단계; 및상기 노출 영역을 변경하는 동작으로 발생하는 소음과 상기 상쇄음을 합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의 동영상 촬영 방법.
- 제1항에 있어서상기 동작 제어 신호는 주밍 신호이며,상기 주밍 신호에 따라 상기 디지털 촬영 장치의 줌 렌즈를 이동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상기 주밍 신호에 대응하는 상쇄음을 추출하는 단계; 및상기 줌 렌즈의 이동으로 발생하는 소음과 상기 상쇄음을 합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의 동영상 촬영 방법.
- 제1항에 있어서상기 동작 제어 신호는 포커싱 신호이며,상기 포커싱 신호에 따라 상기 디지털 촬영 장치에 입력되는 영상의 포커스를 변화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상기 포커싱 신호에 대응하는 상쇄음을 추출하는 단계; 및상기 영상의 포커스를 변화하는 동작에 의해 발생하는 소음과 상기 상쇄음을 합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의 동영상 촬영 방법.
- 제1항에 있어서상기 동작 제어 신호는 AF 실행 신호이며,상기 AF 실행 신호에 따라 AF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상기 AF 실행 신호에 대응하는 상쇄음을 추출하는 단계; 및상기 AF 동작에 의해 발생하는 소음과 상기 상쇄음을 합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의 동영상 촬영 방법.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소음은 줌 렌즈 또는 포커스 렌즈의 이동으로 발생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의 동영상 촬영 방법.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상쇄음과 소음은 파형의 위상이 반대인 디지털 촬영 장치의 동영상 촬영 방법.
- 동작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동작 제어 신호 생성부;상기 동작 제어 신호 생성부에서 생성된 상기 동작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디지털 촬영 장치를 동작시키는 동작 제어부;상기 동작 제어 신호 생성부에서 생성된 상기 동작 제어 신호에 대응하는 상쇄음을 추출하는 상쇄음 추출부; 및상기 동작 제어부에 의한 디지털 촬영 장치의 동작으로 발생하는 소음과 상기 상쇄음을 합성하는 소음 합성부;를 포함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
- 제8항에 있어서상기 동작 제어 신호는 주밍 신호이며,상기 주밍 신호를 생성하는 주밍 신호 생성부;상기 주밍 신호 생성부에서 생성된 주밍 신호에 따라 줌 모터를 구동하여 줌 렌즈를 이동하는 동작을 제어하는 주밍 제어부;상기 주밍 신호 생성부에서 생성된 상기 주밍 신호에 대응하는 상쇄음을 추출하는 상쇄음 추출부; 및상기 주밍 제어부에 의한 줌 동작으로 발생하는 소음과 상기 상쇄음을 합성하는 소음 합성부;를 포함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
- 제8항에 있어서상기 동작 제어 신호는 포커싱 신호이며,상기 포커싱 신호를 생성하는 포커싱 신호 생성부;상기 포커싱 신호 생성부에서 생성된 포커싱 신호에 따라 줌 모터를 구동하여 줌 렌즈를 이동하거나, 포커스 포터를 구동하여 포커스 렌즈를 이동하는 동작을 제어하는 포커싱 제어부;상기 포커싱 신호 생성부에서 생성된 포커싱 신호에 대응하는 상쇄음을 추출하는 상쇄음 추출부; 및상기 포커싱 제어부에 의한 포커싱 동작으로 발생하는 소음과 상기 상쇄음 을 합성하는 소음 합성부;를 포함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
- 제8항에 있어서상기 소음은 줌 렌즈 또는 포커스 렌즈의 이동으로 발생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
- 제8항에 있어서상기 소음의 파형과 상기 상쇄음의 파형은 위상이 반대인 디지털 촬영 장치.
- 제8항에 있어서상기 상쇄음은 저장부에 저장된 디지털 촬영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72122A KR20110014452A (ko) | 2009-08-05 | 2009-08-05 | 디지털 촬영 장치 및 그에 따른 동영상 촬영 방법 |
US12/850,780 US20110032390A1 (en) | 2009-08-05 | 2010-08-05 |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and moving picture capturing method performed by the sam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72122A KR20110014452A (ko) | 2009-08-05 | 2009-08-05 | 디지털 촬영 장치 및 그에 따른 동영상 촬영 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014452A true KR20110014452A (ko) | 2011-02-11 |
Family
ID=435345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0072122A KR20110014452A (ko) | 2009-08-05 | 2009-08-05 | 디지털 촬영 장치 및 그에 따른 동영상 촬영 방법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US (1) | US20110032390A1 (ko) |
KR (1) | KR20110014452A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5594133B2 (ja) * | 2010-12-28 | 2014-09-24 | ソニー株式会社 | 音声信号処理装置、音声信号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
EP2512119A1 (en) * | 2011-04-13 | 2012-10-17 |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 Camera sound elimination |
KR20150070596A (ko) | 2013-12-17 | 2015-06-25 | 삼성전기주식회사 | 광학식 손떨림 보정 장치의 소음 제거를 위한 장치 및 방법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5132986A (ja) * | 1991-11-15 | 1993-05-28 | Inax Corp | 便器の消音方法 |
US20040032509A1 (en) * | 2002-08-15 | 2004-02-19 | Owens James W. | Camera having audio noise attenuation capability |
-
2009
- 2009-08-05 KR KR1020090072122A patent/KR20110014452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2010
- 2010-08-05 US US12/850,780 patent/US20110032390A1/en not_active Abandone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20110032390A1 (en) | 2011-02-1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6453124B2 (en) | Digital camera | |
JP4657960B2 (ja) | 撮像方法および装置 | |
US8300135B2 (en) |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 |
KR20090067910A (ko) |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에서 영상의 배경흐림 효과 처리장치 및 방법 | |
KR20090113076A (ko) | 디지털 영상 처리기에서 브라케팅 촬영 장치 및 방법 | |
KR20090120314A (ko) |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에서 영상의 배경흐림 효과 처리장치 및 방법 | |
JP2011048341A (ja) | 撮像装置 | |
KR20100013705A (ko) |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이를 실행시키기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 매체 | |
JP2013008004A (ja) | 撮像装置 | |
KR20090052677A (ko) | 포커스 조정 장치 및 방법 | |
JP2006349744A (ja) | 撮像装置 | |
KR20110014452A (ko) | 디지털 촬영 장치 및 그에 따른 동영상 촬영 방법 | |
JP2007225897A (ja) | 合焦位置決定装置及び方法 | |
JP2006276683A (ja) | 撮像装置及びプログラム | |
KR20090067913A (ko) | 영상 트리밍 장치 및 방법 | |
JP7129864B2 (ja) | 撮像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 |
JP2017169188A (ja) | 撮像装置 | |
KR101369752B1 (ko) |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
JP5430314B2 (ja) | 撮像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 |
KR101396335B1 (ko) | 얼굴 인식 장치 및 방법 | |
KR101436836B1 (ko) | 디지털 영상 처리기에서 포커스 오차 보정 장치 및 방법 | |
KR101436324B1 (ko) | 동영상으로부터 정지영상을 검출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 |
JP2008064980A (ja) | 光学装置、光学装置の制御方法 | |
KR101373018B1 (ko) | 디지털 영상 처리기에서 저광량 시의 손떨림 방지 장치 및방법 | |
KR20090104429A (ko) | 디지털 영상 처리기에서 얼굴인식을 이용한 촬영구도 제공장치 및 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