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13901A -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데이터 전송 시스템, 데이터 전송 단말기 및 방법 - Google Patents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데이터 전송 시스템, 데이터 전송 단말기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13901A
KR20110013901A KR1020090071600A KR20090071600A KR20110013901A KR 20110013901 A KR20110013901 A KR 20110013901A KR 1020090071600 A KR1020090071600 A KR 1020090071600A KR 20090071600 A KR20090071600 A KR 20090071600A KR 20110013901 A KR20110013901 A KR 201100139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data
request
relay
transmi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716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형락
송인상
김영일
김덕환
김철수
박윤권
신제식
이재천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716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13901A/ko
Publication of KR201100139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390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22Site diversity; Macro-diversity
    • H04B7/026Co-operative diversity, e.g. using fixed or mobile stations as rel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413MIMO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4Terminal devices adapted for relaying to or from another terminal or us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시스템 및 방법을 개시한다.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데이터 전송 시스템은 주변의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함으로써, 현재 사용되고 있는 주변의 단말기를 사용하여 MIMO(multi-input multi-output) 환경의 고속 데이터 전송 기술을 구현할 수 있다.
모바일 단말기, MIMO, 데이터 중계, 보상, 중계 허가

Description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데이터 전송 시스템, 데이터 전송 단말기 및 방법{SYSTEM AND DEVICE FOR TRANSMITTING DATA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데이터 전송 시스템, 데이터 전송 단말기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주변의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하여 MIMO 환경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기술과 관련된 것이다.
무선 데이터 전송의 큰 이슈 중 하나는 다수의 무선경로를 이용하여 채널 용량(channel capacity)을 늘임으로써, 고속으로 데이터를 무선 전송하는 것이다. 최근에는 MIMO(multi-input multi-output)의 개념이 소개되면서 이를 이용한 고속 데이터 전송을 하려는 시도가 있었다. 기본적으로 MIMO는 다수의 안테나를 이용한 고속 데이터 전송 기술로서 많은 수의 안테나 배열, 안테나의 실시간 빔 형성(beam forming), 및 실시간 신호처리 기술이 요구되어 구현에 어려운 점이 있다. 더군다나, 모바일 단말기에서의 MIMO 적용은 무선 단말기에서의 안테나 배열, 단말기 크기, 및 비용적인 측면을 고려할 때 더욱 어렵다.
따라서, 모바일 단말기에서, 현재 사용하고 있는 일반적인 단말기를 사용하여 MIMO 환경을 구현하여 고속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기 위한 기술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전송 시스템은, 데이터 전송을 요청받는 전송요청 수신부, 전송 요청 단말기로부터 기설정된 거리 내에 있는 복수의 모바일 단말기를 검색하는 단말기 검색부 및 상기 검색된 복수의 모바일 단말기 중 허가된 하나 이상의 모바일 단말기를 통해 요청 데이터를 상기 전송 요청 단말기로 전송하는 전송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단말기 검색부는, 상기 전송 요청 단말기로부터 기설정된 거리 내에 있는 모바일 단말기의 정보를 추출하는 주변 검색부,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 대해 중계 서비스를 요청하는 서비스 요청부 및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중계 서비스 허가 여부를 수신하는 허가 수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송부는, 상기 허가된 하나 이상의 모바일 단말기를 제1 중계 그룹 및 제2 중계 그룹으로 분류하고, 상기 요청 데이터를 제1 중계 그룹에 1차 전송하고, 상기 1차 전송된 요청 데이터를 상기 제1 중계 그룹으로부터 상기 제2 중계 그룹으로 2차 전송하며, 상기 2차 전송된 데이터를 상기 전송 요청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전송 시스템은, 상기 허가된 하나 이상의 모바일 단말기에 대해 보상을 실시하는 단말기 보상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전송 단말기는, 기지국에 데이터 전송을 요청하는 전송요청부 및 전송 요청 단말기로부터 기설정된 거리 내에 있는 복수의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데이터 수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전송 단말기는, 데이터 중계 요청에 대응하여 중계 허가 여부를 결정하는 중계 허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계 허가부는, 상기 데이터 중계 요청에 대하여 기설정된 시간 이상 사용자의 입력이 없는 경우, 중계를 허가하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전송 단말기는, 데이터 중계 및 단말기 고유 업무를 함께 수행하도록 관리하는 멀티 태스킹 관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전송 방법은, 데이터 전송을 요청받는 단계, 전송 요청 단말기로부터 기설정된 거리 내에 있는 복수의 모바일 단말기를 검색하는 단계 및 상기 검색된 복수의 모바일 단말기 중 허가된 하나 이상의 모바일 단말기를 통해 요청 데이터를 상기 전송 요청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단말기를 검색하는 단계는, 상기 전송 요청 단말기로부터 기설정된 거리 내에 있는 모바일 단말기의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 대해 중계 서비스를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중계 서비스 허가 여부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허가된 하나 이상의 모바일 단말기를 제1 중계 그룹 및 제2 중계 그룹으로 분류하는 단계, 상기 요청 데이터를 제1 중계 그룹에 1차 전송하는 단계, 상기 1차 전송된 요청 데이터를 상기 제1 중계 그룹으로부터 상기 제2 중계 그룹으로 2차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2차 전송된 데이터를 상기 전송 요청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주변의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하여 MIMO 고속 데이터 전송 환경을 구현하여, 별도의 시스템을 구축하지 않고 고속으로 데이터를 전송함으로써, 고속 데이터 전송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주변의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하여 MIMO 고속 데이터 전송 환경을 구현함으로써, 모바일 단말기의 안테나 배열, 단말기 크기의 제약이 없는 고속 데이터 전송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고속 데이터 전송을 중계하는 주변 단말기에 대해 보상을 실시함으로써, 사용자의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하고, 보상을 통한 사용자 만족도를 높일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이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전송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고하면, 데이터 전송 시스템(100)은 전송요청 수신부(110), 단말기 검색부(120), 및 전송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데이터 전송 시스 템(100)은 모바일 폰의 데이터 송수신을 관리하는 이동통신 기지국일 수 있다.
전송요청 수신부(110)는 데이터를 수신하고자 하는 전송 요청 단말기가 요청한 데이터 전송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를 수신하고자 하는 단말기가 이동통신 기지국에 데이터 전송을 요청하면, 이동통신 기지국에서는 상기 데이터 전송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단말기 검색부(120)는 전송 요청 단말기로부터 기설정된 거리 내에 있는 복수의 모바일 단말기를 검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송 요청 단말기로부터 반경 20m 내에 있는 모바일 단말기들을 모두 검색할 수 있다. 또한, 전송 요청 단말기 주변의 모바일 단말기 검색하기 위해 전송 요청 단말기로부터의 거리뿐만 아니라, 전송 요청 단말기가 위치한 장소, 단말기의 신호강도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주변 단말기를 검색할 수 있다.
이때, 모바일 단말기는 휴대폰, PDA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단말기 검색부(120)는 주변 검색부(121), 서비스 요청부(122), 및 허가 수신부(123)를 포함할 수 있다.
주변 검색부(121)는 전송 요청 단말기로부터 기설정된 거리 내에 있는 모바일 단말기의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송 요청 단말기로부터 10m 내에 있는 모바일 단말기가 10대인 경우, 상기 10대의 단말기에 대한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추출하는 정보는 상기 단말기의 데이터 중계 가능 여부, 신호 강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서비스 요청부(122)는 기설정된 거리 내에 있는 모바일 단말기에 대해 중계 서비스를 요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설정된 거리 내에 있는 모바일 단말기에 대해 MIMO 서비스를 위한 중계기 역할을 요청하여, 상기 모바일 단말기 사용자의 수락 여부 메시지 수신을 대기할 수 있다.
허가 수신부(123)는 기설정된 거리 내에 있는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중계 서비스 허가 여부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모바일 단말기 사용자로부터 중계 서비스를 수락할지 여부에 대한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즉, 상기 모바일 단말기 사용자가 중계 서비스 제공을 수락하는 경우에만 해당 단말기를 MIMO 환경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중계기로 사용할 수 있다.
전송부(130)는 검색된 복수의 모바일 단말기 중 허가된 하나 이상의 모바일 단말기를 통해 요청 데이터를 상기 전송 요청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즉, 전송 요청 단말기로부터 기설정된 거리 내에 있는 단말기들 중 중계 서비스 제공을 허락한 단말기들을 통해 요청 데이터를 상기 전송 요청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주변의 단말기 중 상기 허가된 하나 이상의 모바일 단말기만이 데이터 전송의 중계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데이터 전송은 상기 허가된 하나 이상의 모바일 단말기 및 기지국을 통해 상기 요청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통신 기지국이 직접 전송 요청 단말기로 데이터를 전송하고, 이와 동시에 상기 허가된 하나 이상의 모바일 단말기를 통해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주변의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과정을 도 2 및 도 3을 참고하여 이하에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주변의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고하면, 전송 요청 단말기(230)가 데이터의 전송을 이동통신 기지국(210)에 요청할 수 있다. 데이터 전송을 요청받은 이동통신 기지국(210)은 전송 요청 단말기(230)로부터 일정 거리 내에 있는 모바일 단말기들(221, 222, 223, 224)을 검색할 수 있다. 이후, 이동통신 기지국(210)은 모바일 단말기들(221, 222, 223, 224)에게 MIMO 환경의 고속 데이터 전송을 위한 중계 서비스를 요청하고, 모바일 단말기들(221, 222, 223, 224)은 상기 중계 서비스 요청을 허락 또는 거부할 수 있다. 이동통신 기지국(210)은 상기 중계 서비스 요청을 허락한 각 모바일 단말기(221, 222, 223, 224)로 요청 데이터를 전송하고, 요청 데이터를 수신한 각 모바일 단말기(221, 222, 223, 224)는 전송 요청 단말기(230)로 요청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이동통신 기지국(210)은 요청 데이터를 전송 요청 단말기(230)로 직접 전송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라, 복수의 모바일 단말기 그룹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참고하면, 전송 요청 단말기가 요청한 데이터를 여러 단계에 걸쳐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송 요청 단말기(340)가 이동통신 기지국(310)에 데이터 전송을 요청하면 전송 요청 단말기(340)로부터 일정 거리 내에 있는 모바일 단말기들(321, 322, 323, 324, 331, 332, 333, 334, 335, 336)을 검색할 수 있다. 이후, 이동통신 기지국(310)은 검색된 모바일 단말기들(321, 322, 323, 324, 331, 332, 333, 334, 335, 336)을 제1 중계 그룹(321, 322, 323, 324) 및 제2 중계 그룹(331, 332, 333, 334, 335, 336)으로 나누어 두 단계에 걸쳐 요청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즉, 이동통신 기지국(310)이 요청 데이터를 제1 중계 그룹(321, 322, 323, 324)으로 1차 전송하고, 상기 1차 전송된 요청 데이터를 제1 중계 그룹(321, 322, 323, 324)으로부터 제2 중계 그룹(331, 332, 333, 334, 335, 336)으로 2차 전송한 후, 상기 2차 전송된 데이터를 전송 요청 단말기(34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이동통신 기지국(310)은 요청 데이터를 전송 요청 단말기(340)로 직접 전송할 수 있다.
한편, 데이터 전송 시스템(100)은 단말기 보상부(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단말기 보상부(140)는 상기 허가된 하나 이상의 모바일 단말기에 대해 보상을 실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허가된 하나 이상의 모바일 단말기에 보너스 포인트, 온라인 캐쉬, 아이템 등을 제공하여 중계 서비스를 제공한 단말기들에 대해 보상을 실시하여, 단말기 사용자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하고, 단말기 사용자들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전송 단말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고하면, 데이터 전송 단말기(400)는 전송요청부(410) 및 데이터 수신부(42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전송 단말기(400)는 중계 허가부(4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송요청부(410)는 기지국에 데이터 전송을 요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기 사용자가 모바일 단말기를 통해 최신 영화를 전송받고자 하는 경우, 기지국 에 최신 영화를 전송 요청할 수 있다.
데이터 수신부(420)는 전송 요청 단말기로부터 기설정된 거리 내에 있는 복수의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즉, 상기 요청한 데이터를 단지 기지국으로부터만 수신하는 것이 아니라, 주변의 모바일 단말기들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따라서, 주변의 모바일 단말기들을 이용하여 MIMO 환경의 고속 데이터 송수신 기술을 구현할 수 있다.
중계 허가부(430)는 데이터 중계 요청에 대응하여 중계 허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즉, 모바일 단말기가 중계기의 역할을 수행하는 경우, 기지국으로부터 중계 서비스 제공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고, 중계기로의 역할을 수행할 것인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이때, 단말기의 사용자가 단말기의 최초 환경 설정시에 중계 서비스의 허용을 설정할 수 있고, 매 중계 서비스 요청시마다 개별적으로 허용 여부를 결정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데이터 중계 요청에 대하여 기설정된 시간 이상 사용자의 입력이 없는 경우, 중계를 허가하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기의 사용자가 단말기의 최초 환경 설정시에 중계 서비스의 허용을 기본 설정한 경우, 매 중계 서비스 요청시에 기설정된 시간(ex. 5 sec) 이상 단말기 사용자의 별다른 입력이 없다면 중계를 허가하는 것으로 간주할 수 있다.
한편, 데이터 전송 단말기(400)는 멀티 태스킹 관리부(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멀티 태스킹 관리부(140)는 데이터 중계 및 단말기 고유 업무를 함께 수행하도록 관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 전송 단말기(400)는 중계기 역 할을 수행함과 동시에 단말기 고유 업무(ex. 문자 메시지 전송, DMB 시청 등)를 함께 수행하도록 관리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전송 방법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5를 참고하면, 단계(S510)에서는 데이터를 전송 요청하는 전송 요청 단말기로부터 데이터 전송을 요청받을 수 있다.
단계(S520)에서는 상기 전송 요청 단말기로부터 기설정된 거리 내에 있는 복수의 모바일 단말기를 검색할 수 있다. 이때, 기설정된 거리 내에 있는 단말기 중 일정한 신호 강도 이상의 단말기들을 추가적으로 검색할 수 있다. 따라서, 기설정된 거리 이내에 있더라도 신호강도가 낮은 단말기는 사용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단계(S520)는 도 6을 참고하여 이하에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6은 도 5에 도시한 복수의 단말기를 검색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도 6을 참고하면, 단계(S610)에서는 상기 전송 요청 단말기로부터 기설정된 거리 내에 있는 모바일 단말기의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여기서, 모바일 단말기의 정보는 신호강도, 중계기 역할 수행 가능여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단계(S620)에서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 대해 중계 서비스를 요청할 수 있다. 즉, 모바일 단말기의 사용자가 중계 서비스 제공을 원하지 않는 경우, 상기 모바일 단말기는 중계기 역할을 수행할 수 없으므로, 중계 서비스 제공 가능 여부 회신을 요청할 수 있다.
단계(S630)에서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중계 서비스 허가 여부를 수신할 수 있다. 즉, 중계 서비스 제공 가능 여부를 상기 모바일 단말기 각각으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다시 도 5를 참고하면, 단계(S530)에서는 상기 검색된 복수의 모바일 단말기 중 허가된 하나 이상의 모바일 단말기를 통해 요청 데이터를 상기 전송 요청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즉, 상기 중계 서비스 제공을 수락한 하나 이상의 모바일 단말기를 통해 MIMO 환경을 구현하여 고속으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도 7은 도 5에 도시한 요청 데이터를 전송 요청 단말기로 전송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도 7을 참고하면, 단계(S710)에서는 상기 허가된 하나 이상의 모바일 단말기를 제1 중계 그룹 및 제2 중계 그룹으로 분류할 수 있다. 즉, 여러 단계의 멀티 입력 및 멀티 출력을 거쳐 요청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상기 허가된 하나 이상의 모바일 단말기를 복수의 그룹으로 분류할 수 있다.
단계(S720)에서는 상기 요청 데이터를 제1 중계 그룹에 1차 전송할 수 있다.
단계(S730)에서는 상기 1차 전송된 요청 데이터를 상기 제1 중계 그룹으로부터 상기 제2 중계 그룹으로 2차 전송할 수 있다.
단계(S740)에서는 상기 2차 전송된 데이터를 상기 전송 요청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여러 단계의 멀티 입력 및 멀티 출력을 거쳐 데이터를 전송함으로써, 데이터 전송의 효율을 더욱 높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주변의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하여 MIMO 고속 데이터 전송 환경을 구현함으로써, 추가 비용으로 별도의 시스템을 구현하지 않고도 고속으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주변의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하여 MIMO 고속 데이터 전송 환경을 구현함으로써, 모바일 단말기의 안테나 배열, 단말기 크기의 제약없이 고속으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고속 데이터 전송을 중계하는 단말기에 대해 보상을 실시함으로써, 사용자의 참여를 유도하고, 사용자 만족도를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전송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 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파악되어야 하고,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는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전송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주변의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라, 복수의 모바일 단말기 그룹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전송 단말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전송 방법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한 복수의 단말기를 검색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도 7은 도 5에 도시한 요청 데이터를 전송 요청 단말기로 전송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Claims (14)

  1. 데이터 전송을 요청받는 전송요청 수신부;
    전송 요청 단말기로부터 기설정된 거리 내에 있는 복수의 모바일 단말기를 검색하는 단말기 검색부; 및
    상기 검색된 복수의 모바일 단말기 중 허가된 하나 이상의 모바일 단말기를 통해 요청 데이터를 상기 전송 요청 단말기로 전송하는 전송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검색부는,
    상기 전송 요청 단말기로부터 기설정된 거리 내에 있는 모바일 단말기의 정보를 추출하는 주변 검색부;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 대해 중계 서비스를 요청하는 서비스 요청부; 및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중계 서비스 허가 여부를 수신하는 허가 수신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부는,
    상기 허가된 하나 이상의 모바일 단말기 및 기지국을 통해 상기 요청 데이 터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부는,
    상기 허가된 하나 이상의 모바일 단말기를 제1 중계 그룹 및 제2 중계 그룹으로 분류하고,
    상기 요청 데이터를 제1 중계 그룹에 1차 전송하고, 상기 1차 전송된 요청 데이터를 상기 제1 중계 그룹으로부터 상기 제2 중계 그룹으로 2차 전송하며, 상기 2차 전송된 데이터를 상기 전송 요청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허가된 하나 이상의 모바일 단말기에 대해 보상을 실시하는 단말기 보상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시스템.
  6. 기지국에 데이터 전송을 요청하는 전송요청부; 및
    전송 요청 단말기로부터 기설정된 거리 내에 있는 복수의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데이터 수신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단말기.
  7. 제6항에 있어서,
    데이터 중계 요청에 대응하여 중계 허가 여부를 결정하는 중계 허가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 허가부는,
    상기 데이터 중계 요청에 대하여 기설정된 시간 이상 사용자의 입력이 없는 경우, 중계를 허가하는 것으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시스템.
  9. 제6항에 있어서,
    데이터 중계 및 단말기 고유 업무를 함께 수행하도록 관리하는 멀티 태스킹 관리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시스템.
  10. 데이터 전송을 요청받는 단계;
    전송 요청 단말기로부터 기설정된 거리 내에 있는 복수의 모바일 단말기를 검색하는 단계; 및
    상기 검색된 복수의 모바일 단말기 중 허가된 하나 이상의 모바일 단말기를 통해 요청 데이터를 상기 전송 요청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를 검색하는 단계는,
    상기 전송 요청 단말기로부터 기설정된 거리 내에 있는 모바일 단말기의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 대해 중계 서비스를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중계 서비스 허가 여부를 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허가된 하나 이상의 모바일 단말기를 제1 중계 그룹 및 제2 중계 그룹으로 분류하는 단계;
    상기 요청 데이터를 제1 중계 그룹에 1차 전송하는 단계;
    상기 1차 전송된 요청 데이터를 상기 제1 중계 그룹으로부터 상기 제2 중계 그룹으로 2차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2차 전송된 데이터를 상기 전송 요청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허가된 하나 이상의 모바일 단말기에 대해 보상을 실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14. 제10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0090071600A 2009-08-04 2009-08-04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데이터 전송 시스템, 데이터 전송 단말기 및 방법 KR2011001390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1600A KR20110013901A (ko) 2009-08-04 2009-08-04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데이터 전송 시스템, 데이터 전송 단말기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1600A KR20110013901A (ko) 2009-08-04 2009-08-04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데이터 전송 시스템, 데이터 전송 단말기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3901A true KR20110013901A (ko) 2011-02-10

Family

ID=437733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1600A KR20110013901A (ko) 2009-08-04 2009-08-04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데이터 전송 시스템, 데이터 전송 단말기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1390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60780A (ko) 2015-11-25 2017-06-02 주식회사 케이티 기회적 연결성을 제공하는 데이터 백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데이터 전송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60780A (ko) 2015-11-25 2017-06-02 주식회사 케이티 기회적 연결성을 제공하는 데이터 백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데이터 전송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aza et al. An UAV-assisted VANET architecture for intelligent transportation system in smart cities
JP5191830B2 (ja) 無線基地局、無線通信端末、無線通信システム
US8792825B2 (en) Terminal apparatus and communication method,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non-transitory storing medium storing program, an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JP5078778B2 (ja) 無線基地局、無線通信端末、及び無線通信システム
US9681367B2 (en) White space utilization
US20140155054A1 (en) Backhaul link for distributed antenna system
CN102067680A (zh) 用户发起的优选毫微微蜂窝式基站的移动学习
US10341805B2 (en) Method of displaying contents by using device identifier of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WO2014041092A1 (en) Creating and using access zones for delivering content
KR20150019863A (ko) 무선 통신에 기반한 데이터 송수신 방법 및 장치
CN111405637B (zh) 通信方法及装置
US20230107956A1 (en) Digital map truth maintenance
CN106664296A (zh) 无缝对等互联网连接
JPWO2014027403A1 (ja) 周波数通知装置、無線装置、管理装置、および方法
US10541745B2 (en) System and method for network controlled geofencing
US9001662B2 (en) Control method, control device, and communication system
KR20110013901A (ko)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데이터 전송 시스템, 데이터 전송 단말기 및 방법
US20140018121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electing d2d communication mode depending on signal interference
JP6109591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基地局、中継端末及び携帯端末
KR20120042499A (ko) 위치정보를 이용한 부가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20200047919A (ko) 캐싱 네트워크를 이용한 콘텐츠 캐싱 방법 및 시스템
EP3209056B1 (en) Network side device in communication system an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1591566B1 (ko) 위치 추적 방법 및 장치
JP2019061336A (ja) 通信装置及び通信プログラム
JP6606808B2 (ja) 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無線通信端末、通信方法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