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13760A - 차량용 다중 프로토콜 변환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용 다중 프로토콜 변환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13760A
KR20110013760A KR1020090071384A KR20090071384A KR20110013760A KR 20110013760 A KR20110013760 A KR 20110013760A KR 1020090071384 A KR1020090071384 A KR 1020090071384A KR 20090071384 A KR20090071384 A KR 20090071384A KR 20110013760 A KR20110013760 A KR 201100137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information
protocol
navigation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713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47144B1 (ko
Inventor
이진영
Original Assignee
(주)아이머큐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이머큐리 filed Critical (주)아이머큐리
Priority to KR10200900713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47144B1/ko
Publication of KR201100137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37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71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71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60K35/6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6Digital input from, or digital output to, record carriers, e.g. RAID, emulated record carriers or networked record carriers
    • G06F3/0601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 G06F3/0628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making use of a particular technique
    • G06F3/0655Vertical data movement, i.e. input-output transfer; data movement between one or more hosts and one or more storage devices
    • G06F3/0661Format or protocol conversion arrangements

Abstract

차량의 내부 또는 차량정보 표시장치 내부에서 이용하는 서로 다른 통신 프로토콜에 따른 정보를 처리하여 연결된 별도의 표시장치에 표시할 수 있도록 한 차량용 다중 프로토콜 변환장치 및 그 방법이 개시된다.
개시된 차량용 다중 프로토콜 변환장치는, 차량에 기 장착된 서로 다른 물리적인 통신 수단들을 이용하는 차량정보 표시장치들과 데이터를 인터페이스하기 위한 데이터 입출력 수단과; 사용자의 차종 선택에 따라 이용할 프로토콜을 변환하며, 상기 변환한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 입출력 수단을 통해 입력된 데이터를 처리한 후 연결된 표시 장치에 대응하는 출력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표시장치에 제공하는 프로토콜 변환수단을 구비한다.
Figure P1020090071384
차량용 프로토콜, 다중 프로토콜, 프로토콜 변환, 차량정보 표시

Description

차량용 다중 프로토콜 변환장치 및 그 방법{Apparatus for processing of multi-protocol using vehicles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차량용 다중 프로토콜 변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각 차량의 내부 또는 차량정보 표시장치 내부에서 이용하는 서로 다른 통신 프로토콜에 따른 통신 정보를 처리하여 연결된 별도의 표시장치에 표시할 수 있도록 한 차량용 다중 프로토콜 변환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정보 표시장치는 운전자에게 차량으로부터 발생하는 각종 정보들을 시각적으로 표현해 주는 기능을 가진다. 이 표시장치가 전달하는 정보는 현재시간/날짜/주변온도 등의 시공간 정보, 에어컨 관련 공조 장치 정보, 라디오/CD플레이어 등의 오디오 장치 정보, 트립 컴퓨터 정보, 각종 차량 경고 정보 등 그 조합이 헤아릴 수 없이 다양하다.
그러한 정보들은 차량의 각종 제어장치들로부터 표준화된 통신버스를 통해 취합되어 표시장치로 전달된다. 차량용 표준 통신 버스에는 LIN(Local Inter-connect Network), CAN(Controller Area Network), GMLAN(General Motors Local Area Network), MOST(Media Oriented Systems Transport) 등이 이용되나 세부 통신 프로토콜은 차량 제조사별로 상이하므로 서로 간의 호환성은 희박하다.
상기 차량정보 표시장치에서는 인가전압에 따른 투과 도의 변화를 이용하여 각종 장치에서 발생하는 여러 가지 전기적인 정보를 시각정보로 변화시켜 전달하는 액정 표시기(LCD; Liquid Crystal Display)를 이용한다. 액정 표시기는 자체 발광을 하지않아 후광(Backlight)이 필요하지만 소비전력이 적고, 비용이 적게 드는 장점이 있다. 기술의 발전으로 다양한 색의 픽셀들로 화상을 표현할 수 있는 박막 트랜지스터-액정표시기(TFT-LCD; 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가 개발되어 다양하게 활용되고도 있지만 가격이 상대적으로 높아 제조 단가를 중시하는 표준 사양의 차량에는 적용되지 않는다. 단, 고급 선택 사양이 적용된 차량의 경우에 한하여 채택된 순정 내비게이션/멀티미디어 장치에 상기 언급한 차량정보 표시 장치의 기능이 통합되어 부착된 TFT-LCD를 통해 정보들을 표시한다.
한편, 고가의 선택 사양이 포함되지 않은 표준 사양의 차량에서 내비게이션/멀티미디어 장치를 필요로 하는 경우, 대쉬 보드 상단, 전면 유리에 흡착판을 이용하여 고정하는 거치 방식을 이용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장착방식은 순정 사양과 비교하여 저렴한 비용으로 구현할 수 있는 반면, 운전 중 시야를 방해하고 차량 진동 등에 의해 이탈될 시 운전자의 주위를 분산시켜 사고를 유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추돌 등의 기타 사고 발생시에도 단말기 돌출부와 접촉에 의한 부상의 가능성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기존 차량에 부착되어 있는 차량정보 표시 장치를 제거하고, 그 여유 공간을 활용하여 내비게이션/멀티미디어 장치를 장착하 는 매립(Built-In) 방식의 제품이 개발되었으며, 이 방식의 경우, 원래의 차량정보 표시 장치의 기능을 대신하는 차량정보 변환 장치를 반드시 필요로 하게 된다.
상기 차량정보 변환장치 구현을 위한 종래 기술의 하나로, 차량정보 표시장치에 연결된 차량 내부의 CAN 버스의 통신을 모니터링하여 표시정보를 획득하고 영상처리기를 통해 구성된 정보 화면을 내비게이션/멀티미디어 장치에 구비된 CVBS(Color Video, Blank and Sync 또는 Composite Video) 또는 RGB(Red, Green, Blue) 영상 단자로 전송하는 실시 예가 있다.
일반적인 내비게이션/멀티미디어 장치들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CVBS 입력단자를 구비하며 이는 차량용 후방 카메라 또는 DVD 재생기와 같은 외부 영상을 수신하는데 이용된다.
이러한 CVBS 입력을 이용하여 내비게이션/멀티미디어 장치들에서 차량정보를 표시하도록 시스템을 구성할 수 있으나, 차량정보 화면 활성화를 위해서는 운전자의 특정 조작을 필요로 해 운전을 방해하는 요소로 작용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종래 기술 언급 내용에서 차량 내부의 CAN 버스의 통신을 모니터링하여 표시정보를 획득하는 방식은 자동차 생산 회사가 CAN 데이터베이스를 대외비로 엄격히 관리하여 공개하지 않으므로 CAN 기능 구현을 위해 상당한 시간과 노력을 필요로 한다. 이에 더하여 다중 언어가 지원되는 차량 진단과 관련된 경고 표시 등 완벽한 CAN 기능 구현 자체를 거의 불가능하게 하는 경우도 자주 발생한다.
이에 따라 CAN 데이터베이스 역 구축 방법 외에 차량 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한 고찰의 필요성이 제기되어 왔다.
주지한 바와 같은 종래의 기술들은, 차량정보 표시장치가 장착된 차량에서 이용하는 통신 수단과 프로토콜로 일컬어지는 통신규약이 자동차 생산회사별, 차종 별 호환성이 없으므로 차종에 따라 개별적으로 차량정보 표시기능이 포함된 내비게이션/멀티미디어 장치가 개발되어 왔으며, 그 개발을 위해 상당한 비용 및 기간이 소요되고 또한 판매자의 입장에서도 여러 차종에 대응하기 위해 여러 종류의 재고를 보유하여야하므로 유통 관리 비용 증대로 결국 제품의 가격을 상승시키는 문제점을 초래하였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차량정보 표시장치의 구현시 발생하는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각 차량의 내부 또는 차량정보 표시장치 내부에서 이용하는 서로 다른 통신 프로토콜에 따른 통신 정보를 처리하여 연결된 별도의 표시장치에 표시할 수 있도록 한 차량용 다중 프로토콜 변환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차종에 적용되어 각기 상이한 물리적 통신 수단과 프로토콜로 일컬어지는 통신 규약을 이용하는 차량정보 표시장치들로부터 공통의 연결 수단을 통해 수집한 표시 정보들을 미리 정해진 통합 통신 프로토콜과 물리적 통신 수단에 따라 변환하여 별도의 표시 장치 에 표시할 수 있도록 한 차량용 다중 프로토콜 변환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들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다중 프로토콜 변환장치"는,
차량에 기 장착된 서로 다른 물리적인 통신 수단들을 이용하는 차량정보 표시장치들과 데이터를 인터페이스하기 위한 데이터 입출력 수단과;
사용자의 차종 선택에 따라 이용할 프로토콜을 변환하며, 상기 변환한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 입출력 수단을 통해 입력된 데이터를 처리한 후 연결된 표시 장치에 대응하는 출력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표시장치에 제공하는 프로토콜 변환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들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다중 프로토콜 변환방법"은,
스위치 매트릭스 설정치를 인식하여 차종을 구분하는 차종인식과정과;
상기 인식한 차종에 대응하게 초기화를 수행하여 사용할 통신 채널을 활성화하는 통신채널 설정과정과;
상기 통신채널을 통해 수신된 정보를 상기 차종에 따라 구분한 프레임 메모리 영역에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과정과;
상기 인식한 차종에 대응하는 프로토콜로 변환하여 상기 프레임 메모리 영역에 저장한 데이터를 처리하는 데이터 처리과정과;
상기 처리된 데이터를 연결된 표시장치에 대응하는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연결된 표시장치에 제공하는 데이터 출력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다중 프로토콜 변환 장치 및 그 방법에 의하면, 서로 다른 프로토콜을 구비한 차량정보 표시장치의 신호를 연결된 내비게이션/멀티미디어 장치에 전송하여 차량정보를 표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프로토콜 변환 장치와 내비게이션/멀티미디어 장치들의 공용화를 가능하게 함으로써 시스템 개발 비용 및 시간을 절감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공용화에 의한 2차적인 효과로써 생산자뿐만 아니라 판매자의 입장에서도 여러 차종에 대응하기 위한 불필요한 재고를 최소화할 수 있어, 효율적인 유통 관리를 가능하게 하며, 이로써 제품의 상품성은 높이고 반면에 제품 가격은 낮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팝-업 전환 및 유지 시간 정보를 전송하는 기능은 운전자의 인위적인 조작을 최소화하면서 필수 정보에 대한 표시 전환을 가능하게 하여 차량 주행시 안전성도 도모해주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 음과 같다. 본 발명을 설명하기에 앞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의 기능을 수행하는 차량용 다중 프로토콜 변환장치(200)의 시스템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용 다중 프로토콜 변환장치(200)는 공용 입출력 커넥터(310)와 인터페이스부(320)를 이용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신 프로토콜에 대응하는 입출력 수단을 구비하며, 복수의 차량정보 표시장치들(100a, 100b, ..., 100n)과 공용 입출력 커넥터(310)에 포함된 도선을 통해 연결된다.
또한, 차량용 다중 프로토콜 변환 장치(200)는 차종 인식과 인식된 차종에 따라 프로토콜을 변환하기 위한 부분, 그리고 내비게이션/멀티미디어 장치(400a, 400b, 400c)와 원격 LCD 모니터(500)에 미리 정해진 프로토콜에 따라 변환된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부분을 포함하는 프로토콜 변환수단을 구비한다.
이를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먼저 공용 입출력 커넥터(310)는 차량정보 표시 장치들(100a, 100b, ..., 100n)에 연결되거나 내부에서 이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신 프로토콜에 따른 신호들을 동시에 인터페이스부(320)로 연결하는 단일의 입력 수단의 역할을 한다.
상기 입력된 신호들은 인터페이스부(320)를 통해 제어부(340)에 연결된다.
여기서 인터페이스부(320)는 차량정보 표시 장치들(100a, 100b, ..., 100n) 내부에서 이용되거나 외부에서 직접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신 프로토콜에 따른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물리적인 통신 수단에 대응하는 모든 인터페이싱 수단들을 포함한다.
도 2는 상기 언급된 여러 종류의 통신 프로토콜들과 신호의 검출 방법에 대해서 도시한 것이다.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먼저 상기 언급된 차량정보 표시 장치들(100a, 100b, ..., 100n) 내부에서 이용되는 인터페이싱 수단들로는 I2C(Inter-Integrated Circuit Bus), SPI(Serial Peripheral Interface) 및 8-bits Parallel Bus 등이 포함되며, 외부에서 차량정보 표시 장치들(100a, 100b, ..., 100n)로 직접 연결되는 인터페이싱 수단들로는 UART(Universal Asynchronous Receiver/Transmitter), LIN(Local Inter-connect Network), CAN(Controller Area Network), CGI(CAN Graphic Interface), GMLAN(General Motors Local Area Network), MOST(Media Oriented Systems Transport)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언급된 I2C, SPI 및 8-bits Parallel Bus과 같은 차량정보 표시 장치들(100a, 100b, 100c) 내부에서 이용되는 인터페이싱 수단들은 차량정보 표시장치 내부의 마이크로 프로세서(110)와 액정표시기(120) 사이를 연결하는 표준화된 인터페이싱 수단들로, 차량 내부에서 이용하는 CAN 등의 인터페이싱 수단에 비해 상대적으로 표시 정보의 획득 및 해석이 용이하다.
만약, 차량정보 표시장치(100b)가 자체에 스위치 입력부(130)를 가진 경우에는 제어부(340)가 제공하는 GPIO(General Purpose Input/Output) 제어선을 공용 입 출력 커넥터(310)에 배정하여 필요한 스위치 조작을 구현한다.
상기 제어부(340)는 인터페이스부(320)로부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신 프로토콜에 따른 차량정보를 입력받는 것과 동시에 제어부(340)와 연결된 스위치 매트릭스(330)로부터 적용 차종에 대응하는 설정 값을 인식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스위치 매트릭스(330)가 4조의 스위치로 구성되어 있어 2의 4승인 16가지의 조합을 가지는 것으로 표시되어 있으나 실시 예에 따라 스위치를 추가하여 적용 차종의 조합을 제어부(340)와 프레임 메모리(350)의 자원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증가시킬 수 있다.
제어부(340)는 상기 스위치 매트릭스(330)의 설정치에 따라 적용 차종들 또는 그러한 차량에 적용된 차량정보 표시장치들(100a, 100b, ..., 100n) 내부에서 이용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물리적인 통신 수단들 중에서 선택된 차종에 대응하는 하나 또는 다수의 통신 수단 채널을 활성화하고 초기화하며 사용하지 않는 통신수단을 비활성화한다. 여기서 다양한 통신 수단 채널의 활성화와 비활성화는 해당 통신 수단 채널의 인터럽트 가능과 금지를 지시하는 레지스터 설정을 통해 이루어진다. 즉, 사용자는 스위치 매트릭스(330)를 통해 차종을 입력하게 되고, 제어부(340)는 스위치 매트릭스(330)에 설정된 스위치 설정치를 통해 차종을 자동으로 인식하게 되는 것이다.
제어부(340)는 또한 스위치 매트릭스(330)의 설정치를 참조하는 차종에 대응하도록 제어부(340)에 연결된 프레임 메모리(350)의 매핑(Mapping)을 수행한 이후, 차종에 따라 구분된 프레임 메모리 영역에 수신된 정보를 반복적으로 저장한다.
상기 프레임 메모리(350)에 완전한 하나의 프레임에 대한 수신이 이루어지면, 제어부(340)는 해당 채널의 인터럽트를 금지함으로써 수신된 정보의 분석과 전송 과정이 완료될 때까지 추가적인 인터럽트에 의한 프레임 정보의 손상을 방지한다.
제어부(340)는 프레임 메모리 영역에 저장된 정보를 분석하여 이전의 정보와 동일한 정보인지를 판정한다. 만약, 동일한 정보라고 판정될 경우, 인터럽트를 즉시 재허용하고 다음 프레임 정보의 수신을 위해 대기한다. 그러나 이전 정보와 상이한 정보라고 판정될 경우에는 변경된 정보를 포함하는 일부 정보 또는 전체 정보를 UART 송수신기(360), 영상처리부(370)가 제공하는 CVBS/RGB 출력 또는 LVDS 송신기(380) 등 일반적인 내비게이션/멀티미디어 장치(400a, 400b, 400c) 또는 LCD 모니터(500)에서 구비한 입력 수단에 대응하는 물리적 출력 수단을 통해 전송을 수행하며, 전송 완료 후 해당 인터럽트를 재허용한다.
상기의 기능은 동일한 차량정보의 재전송을 제한하여 불필요한 전송에 의한 내비게이션/멀티미디어 장치의 통신 과부하와 그로 인한 동작 장해를 줄이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중요한 특징들 중 하나는 내비게이션/멀티미디어 장치(400a, 400b, 400c)가 쌍방향 통신이 가능한 UART 송수신기를 구비하도록 하며 제어부(340)는 전송된 정보에 대해 별도로 분석을 수행하여 내비게이션/멀티미디어 장치(400a, 400b, 400c) 자체의 표시 화면에서의 차량정보 표시화면으로의 전환 여부를 판단하고, 그러한 전환의 유지 시간을 내비게이션/멀티미디어 장치(400a, 400b, 400c)로 전송하는 과정이다. 이러한 기능은 단말기 원래의 표시 기능인 DMB 시청, 내비게이션 동작, 멀티미디어 구동 모드 등에서 불필요한 화면 전환을 제한하여 운전자의 주의를 끌지 않음으로써 운전자의 방해를 유발하지 않기 위한 매우 중요한 기능이다.
상기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다양한 표시정보들 중에서 주행관련 경보 정보, A/V기기 모드 변경, 수신 주파수 변경, CD 또는 MP3 곡명 변경 등 반드시 운전자에게 전달해야될 특정 정보들을 선별하여 관리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팝업(Pop-up) 검사합계(Check Sum)를 설정하는 것이다. 각각의 팝업 검사합계들은 개별적인 표시 유지 시간을 가질 수 있으며, 팝업 검사합계의 변경이 제어부(340)에 의해 인지될 경우 미리 설정된 표시 유지 시간 정보와 함께 화면 전환 요구를 미리 결정된 출력 프로토콜에 따라 내비게이션/멀티미디어 장치(400a, 400b, 400c)로 전송한다.
상기 전송 정보를 수신한 내비게이션/멀티미디어 장치(400a, 400b, 400c)는 다중 프로토콜 변환 장치(200)가 지시한 시간만큼 차량정보를 표시한 후 원래 표시하던 화면으로 복귀하게 된다.
본 발명의 중요한 특징들 중 또 다른 하나는 쌍방향 UART 통신을 통해 모든 표시정보를 전송하는 DMB 수신기/내비게이션(400a)에 한하여, 초기화 정보를 전송받지 못하거나 전송받은 정보가 손실되었을 경우 내비게이션/멀티미디어 장치(400a)로부터 필요한 정보의 재전송을 다중 프로토콜 변환 장치(200)로 요청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기능은 Window CE와 같은 복잡한 운영 시스템을 가진 내비게이션/멀티미디어 장치(400a)의 정상적인 시동(Booting)에는 어느 정도의 시간이 소요됨이 일반적인데 반해 차량 ACC 전원이 들어옴과 동시에 시동되는 다중 프로토콜 변환 장치(200)가 차종 등의 초기화 정보를 전송하는 시점(Timing)을 맞추기 어렵기 때문에, 이러한 시점을 동기화하기 위해서는 필수적인 기능이라 할 수 있다.
상기 언급된 역전송 기능은 내비게이션/멀티미디어 장치(400a)의 터치 버튼 조작과 같은 다중 프로토콜 변환 장치(200)의 특정한 작업을 요청하는 데 있어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또한, 쌍방향 UART 통신을 통해 모든 표시정보를 전송하는 내비게이션/멀티미디어 장치(400a)에 있어서 얻어지는 부가적인 효과는 내비게이션/멀티미디어 장치의 운영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GUI(Graphic User Interface)의 일부로 고품질의 정보표시 화면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에서 UART 송수신기(360), 영상 처리부(370), LVCDS송신기(380)는 일반적으로 영상처리장치나 신호처리장치에 필수적으로 구비된 장치로서, 당해 분야에 종사하는 사용자에게는 관용적인 기술 내용이므로, 각각의 장치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중 프로토콜 변환 장치(200)에서 제어부(340)와 주변장치들의 동작 제어에 관련된 일련의 순서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단계 S101에서 제어부(340)는 연결된 스위치 매트릭스(330)를 통해 적용 차종에 대응하는 설정 값을 인식하여 차종을 구분하게 되며, 차종 인식이 이루어지면 단계 S103에서 상기 인식한 차종 정보를 프레임 메모리(350)에 저장하게 된다.
단계 S105에서는 제어부(340)가 상기 단계 S101에서 인식한 적용 차종들 또는 그러한 차량에 적용된 차량정보 표시 장치들(100a, 100b, ..., 100n) 내부에서 이용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물리적인 통신 수단들 중에서 선택된 차종에 대응하는 하나 또는 다수의 통신 수단 채널을 초기화한다.
초기화 완료 후, 단계 S107에서 제어부(340)는 대기 모드로 진입하며, 단계 S109에서 수신 인터럽트를 모니터링한다. 즉, 차량정보 표시장치로부터 신호가 발생하는지를 감시하게 되는 것이다.
단계 S111에서 해당 인터럽트 발생시 차종에 따라 구분된 프레임 메모리 영역에 수신된 정보를 반복적으로 저장한다. 여기서 프레임 메모리(350)는 각각의 차종에 따라 수신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 공간(영역)을 구분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차량정보 표시장치들로부터 정보를 수신하는 도중에, 단계 S113에서는 다양한 표시정보들 중에서 주행관련 경보 정보, A/V기기 모드변경, 수신 주파수 변경, CD 또는 MP3 곡명 변경 등 반드시 운전자에게 전달해야될 특정 정보들을 선별하여, 화면 전환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팝업(Pop-up) 검사합계(Check Sum)에 누적 합산하여 프레임 메모리(350)에 저장하며, 아울러 단계 S115에서는 임시 메인 검사합계도 누적하여 상기 프레임 메모리(350)에 저장한다.
각각의 팝업 검사합계들은 개별적인 표시 유지 시간을 가질 수 있으며 추후 단계 S127에서 팝업 검사합계의 변경이 제어부(340)에 의해 인지될 경우 단계 S129에서 미리 설정된 표시 유지 시간 정보와 함께 화면 전환 요구를 내비게이션/멀티미디어 장치(400a, 400b, 400c)로 전송하도록 요청한다.
한편, 단계 S117에서 프레임 메모리(350)에 완전한 하나의 프레임에 대한 수신이 완료된 것으로 판정되면, 단계 S119에서 제어부(340)는 해당 채널의 인터럽트를 금지함으로써 수신된 정보의 분석과 전송 과정이 완료될 때까지 추가적인 인터럽트에 의한 프레임 정보의 손상을 방지하게 된다.
단계 S121에서 제어부(340)는 프레임 메모리 영역에 저장된 정보를 분석하여 이전의 정보와 동일한 정보인지를 판정한다. 만약, 이전 정보와 동일한 정보라고 판정될 경우, 단계 S123에서 인터럽트를 즉시 재허용하여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대기 모드로 복귀하게 된다. 그러나 이전 정보와 상이한 정보라고 판정될 경우에는 단계 S125 내지 단계 S131에서 변경된 정보를 포함하는 일부 정보 또는 전체 정보를 UART 송수신기(360), 영상처리부(370)가 제공하는 CVBS/RGB 출력 또는 LVDS 송신기(380) 등 일반적인 내비게이션/멀티미디어 장치(400a, 400b, 400c) 또는 LCD 모니터(500)에서 구비한 입력 수단에 대응하는 물리적 출력 수단에 직접 전송 또는 영상처리부(370)로 출력 화면의 갱신을 요청한다.
단계 S133 내지 단계 S137에서는 프로토콜 변환 및 출력 데이터 버퍼링을 수행하고, 표시정보 전송 요청과 팝업 전환 및 유지 시간 정보를 미리 결정된 출력 프로토콜에 따라 쌍방향 UART 통신 채널을 통해 내비게이션/멀티미디어 장치(400a, 400b, 400c)로 순차적으로 전송하고, 아울러 버퍼링한 출력 데이터도 순차적으로 전송한다.
내비게이션/멀티미디어 장치(400a, 400b, 400c)로의 전송이 완료되면 제어부(340)는 단계 S139에서 내비게이션/멀티미디어 장치(400a, 400b, 400c)로부터 재전송 요청이 있었는지를 점검한다. 재전송 요청이 있었을 경우 단계 S141에서 차종 정보를 프레임 메모리에서 참조하여 요청된 재전송 정보의 전송을 요구하여, 재전송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와는 달리 재전송 요구가 없었을 경우 단계 S123에서 즉시 금지되었던 인터럽트를 재허용하고 초기 단계로 복귀하여 다음 프레임의 수신을 대기한다.
내비게이션/멀티미디어 장치(400a)의 터치 버튼 조작에 의한 다중 프로토콜 변환 장치(200)의 특정 작업을 요청에 있어서도 상기 재전송 요청 과정과 동일하게 처리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다중 프로토콜 변환 장치의 시스템 구성도.
도 2는 도 1에서 차량정보 표시장치와 다중 프로토콜 변환장치 간의 물리적인 연결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다중 프로토콜 변환방법을 보인 흐름도.

Claims (11)

  1. 차량용 내비게이션/멀티미디어 장치에서 차량정보를 표시할 수 있도록 하는 프로토콜 변환 장치에 있어서,
    차량에 기 장착된 서로 다른 물리적인 통신 수단들을 이용하는 차량정보 표시장치들과 데이터를 인터페이스하기 위한 데이터 입출력 수단과;
    사용자의 차종 선택에 따라 이용할 프로토콜을 변환하며, 상기 변환한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 입출력 수단을 통해 입력된 데이터를 처리한 후 연결된 표시 장치에 대응하는 출력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표시장치에 제공하는 프로토콜 변환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다중 프로토콜 변환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입출력 수단은,
    차량 내부에서 차량정보 표시를 위해 제공하거나, 차량에 장착된 차량정보 표시장치에서 이용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신 수단에 연결되어 차량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독립적인 도선들을 가지는 공용 입출력 커넥터와;
    각각의 물리적 통신 수단들에 대응하기 위한 복수의 인터페이싱 수단들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다중 프로토콜 변환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토콜 변환수단은,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차종 인식을 위한 스위치 설정치를 출력하는 스위치 매트릭스와;
    상기 스위치 매트릭스의 설정 값에 대응하여 프로토콜 변환 작업을 수행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와 연계되며 차종정보와 차종에 따라 구분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레임 정보의 저장 영역을 가진 프레임 메모리와;
    상기 제어부와 연계되어 외부의 내비게이션/멀티미디어 장치로 변환된 표시 정보를 전송하거나, 상기 내비게이션/멀티미디어 장치로부터의 작업 요청을 수신하는 데이터 출력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다중 프로토콜 변환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공용 입출력 커넥터는,
    상기 차량에 장착된 차량정보 표시장치가 자체 스위치 입력부를 구비한 경우, 상기 독립적인 도선들 중 일부를 상기 인터페이싱 수단에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다중 프로토콜 변환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메모리는,
    상기 프로토콜 변환수단을 통한 내비게이션/멀티미디어 장치로의 전송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이전 정보와 신규 정보의 검사합계(Check-Sum)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다중 프로토콜 변환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메모리는,
    상기 프로토콜 변환수단을 통해 전송된 차량정보의 내용 중에서 내비게이션/멀티미디어 장치가 차량정보 표시화면으로 전환하도록 지시해야 하는 선별된 차량 정보의 변경 여부 판정을 위한 과거 및 신규 검사합계(Check-Sum)의 저장 영역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다중 프로토콜 변환장치.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내비게이션/멀티미디어 장치의 차량정보 표시 화면 전환이 요구되는 선별된 차량 정보의 변경시에 화면 전환 요구 및 전환 유지 시간 정보를 상기 내비게이션/멀티미디어 장치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다중 프로토콜 변환장치.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출력수단은,
    상기 내비게이션/멀티미디어 장치로부터 전송되는 재전송 요청 신호를 상기 제어부에 제공하는 UART 송수신기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CVBS 또는 RGB 영상으로 구성되는 차량 정보 화면을 생성하여 상기 내비게이션/멀티미디어 장치에 전송하는 영상 처리부와;
    상기 영상 처리부에서 생성된 영상의 원거리 전송을 위한 저전압 차동 신호(LVDS) 송신기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다중 프로토콜 변환장치.
  9. 적어도 하나 이상의 차종에서 이용되는 서로 상이한 프로토콜들을 변환하여 차량용 내비게이션/멀티미디어 장치에서 차량정보를 표시할 수 있도록 하는 프로토콜 변환방법에 있어서,
    스위치 매트릭스 설정치를 인식하여 차종을 구분하는 차종인식과정과;
    상기 인식한 차종에 대응하게 초기화를 수행하여 사용할 통신 채널을 활성화하는 통신채널 설정과정과;
    상기 통신채널을 통해 수신된 정보를 상기 차종에 따라 구분한 프레임 메모리 영역에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과정과;
    상기 인식한 차종에 대응하는 프로토콜로 변환하여 상기 프레임 메모리 영역에 저장한 데이터를 처리하는 데이터 처리과정과;
    상기 처리된 데이터를 연결된 표시장치에 대응하는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연결된 표시장치에 제공하는 데이터 출력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다중 프로토콜 변환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출력과정은,
    상기 연결된 표시장치의 표시 화면에서 차량정보 표시화면으로의 전환할 지의 여부 정보와 전환 유지 시간 정보를 상기 표시장치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다중 프로토콜 변환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출력과정은,
    상기 표시장치로부터 초기화 정보를 전송받지 못하거나 전송받은 정보가 손실되어 필요한 정보의 재전송이 요청되는 경우, 변환된 프로토콜로 처리한 데이터를 상기 표시장치에 재전송해주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다중 프로토콜 변환방법.
KR1020090071384A 2009-08-03 2009-08-03 차량용 다중 프로토콜 변환장치 및 그 방법 KR1010471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1384A KR101047144B1 (ko) 2009-08-03 2009-08-03 차량용 다중 프로토콜 변환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1384A KR101047144B1 (ko) 2009-08-03 2009-08-03 차량용 다중 프로토콜 변환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3760A true KR20110013760A (ko) 2011-02-10
KR101047144B1 KR101047144B1 (ko) 2011-07-07

Family

ID=437731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1384A KR101047144B1 (ko) 2009-08-03 2009-08-03 차량용 다중 프로토콜 변환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47144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52504A (ko) * 2013-11-06 2015-05-14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네비게이션과의 상태 공유 정보를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 시스템, 이를 이용한 충전 스테이션 정보 제공 방법, 네비게이션과의 상태 공유 정보를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 시스템을 포함하는 전기 자동차
KR101585856B1 (ko) * 2014-12-30 2016-01-15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차량 내 uart 및 can 통합 통신 방법 및 장치
CN110032908A (zh) * 2019-04-23 2019-07-19 福州符号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支持多种通信协议的条码处理电路及条码识读模组
CN114328356A (zh) * 2022-01-04 2022-04-12 上海雨冉实业有限公司 Gmlan信号与双线can信号的相互转换模块板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6736B1 (ko) 2016-09-01 2018-07-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적응형 연결 서비스 제공 장치 및 그 제어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07863A (ko) * 2000-07-19 2002-01-29 이연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자동차의 고장진단 시스템
KR100860129B1 (ko) * 2007-02-28 2008-09-25 (주)율시스템즈 차량진단 시스템 및 표시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52504A (ko) * 2013-11-06 2015-05-14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네비게이션과의 상태 공유 정보를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 시스템, 이를 이용한 충전 스테이션 정보 제공 방법, 네비게이션과의 상태 공유 정보를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 시스템을 포함하는 전기 자동차
KR101585856B1 (ko) * 2014-12-30 2016-01-15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차량 내 uart 및 can 통합 통신 방법 및 장치
CN110032908A (zh) * 2019-04-23 2019-07-19 福州符号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支持多种通信协议的条码处理电路及条码识读模组
CN114328356A (zh) * 2022-01-04 2022-04-12 上海雨冉实业有限公司 Gmlan信号与双线can信号的相互转换模块板
CN114328356B (zh) * 2022-01-04 2024-01-30 上海雨冉实业有限公司 Gmlan信号与双线can信号的相互转换模块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47144B1 (ko) 2011-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47144B1 (ko) 차량용 다중 프로토콜 변환장치 및 그 방법
EP0928953B1 (en) Display control device and method for a navigation unit
KR20060083301A (ko) 멀티-스크린 시스템 및 그 구현방법
EP1836547A1 (en) Display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EP3627310A1 (en) Display control apparatus
US20190179588A1 (en) Mobile terminal display options for vehicle telltales
US9456338B2 (en) Control apparatus an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1029866B1 (ko) 차량용 오디오 패널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네비게이션 장치 및 그의 변환 방법
CN209921229U (zh) 客车多媒体系统
US10284791B2 (en) Display apparatus, setting method for display apparatus, and display system
CN206938671U (zh) 基于can解析及视频解码的车载智能轨迹盒及车载影像系统
CN112752083A (zh) 联机匹配方法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4253494A (zh) 一种用于列车的大屏显示装置
CN110290333A (zh) 信号发送方法及系统、转接板、存储介质
KR200448093Y1 (ko) 네비게이션 장치
CN113212316B (zh) 车载显示系统
KR101299638B1 (ko) 멀티미디어 시스템 및 멀티미디어 유닛과 오디오 헤드 유닛 간의 인터페이싱 방법
CN212570348U (zh) 一种多屏显示检测装置
CN217486577U (zh) 车载影像显示装置和车辆
US20140289624A1 (en) Multimedia system and method for interfacing between multimedia unit and audio head unit
CN219821356U (zh) 一种车载多屏联动系统
JP5310141B2 (ja) 車両用表示装置
KR100938645B1 (ko) 차량용 내비게이션 시스템
US20210405947A1 (en) Display control apparatus, display apparatus, display control system, and storage medium
KR101479208B1 (ko) 이동통신단말기와 네비게이션 모니터 간의 인터페이스 장치 및 그의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차량 정보 송출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1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