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13703A - Dc-dc 컨버터 외장형 디스플레이 모듈의 전원 제어 시스템 - Google Patents

Dc-dc 컨버터 외장형 디스플레이 모듈의 전원 제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13703A
KR20110013703A KR1020090071301A KR20090071301A KR20110013703A KR 20110013703 A KR20110013703 A KR 20110013703A KR 1020090071301 A KR1020090071301 A KR 1020090071301A KR 20090071301 A KR20090071301 A KR 20090071301A KR 20110013703 A KR20110013703 A KR 201100137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verter
display module
control signal
signal
ho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713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84170B1 (ko
Inventor
정호련
Original Assignee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713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84170B1/ko
Priority to US12/708,408 priority patent/US8605072B2/en
Publication of KR201100137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37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41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41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34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 G06F1/325Power saving in peripheral device
    • G06F1/3265Power saving in display de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34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 G06F1/3296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by lowering the supply or operating voltag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10/00Energy efficient computing, e.g. low power processors, power management or thermal management

Abstract

본 발명은 DC-DC 컨버터 외장형 디스플레이 모듈의 전원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영상 데이터에 따라서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모듈과,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외부에 구비되며,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에 전원을 인가하는 DC-DC 컨버터와,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을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어신호를 상기 제어신호용 신호 출력 핀을 통하여 출력하는 호스트와, 상기 제어신호용 신호 출력 핀과 연결되며, 상기 DC-DC 컨버터 및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에 상기 제어신호를 인가하는 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DC-DC 컨버터는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서 상기 전원 인가를 제어하는 DC-DC 컨버터 외장형 디스플레이 모듈의 전원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여 커넥터의 핀을 절감할 수 있게 한다.

Description

DC-DC 컨버터 외장형 디스플레이 모듈의 전원 제어 시스템{Power control system for display module with external DC-DC convertor}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모듈의 전원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DC-DC 컨버터와 디스플레이 모듈이 분리되어 있는 DC-DC 컨버터 외장형 디스플레이 모듈의 전원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핸드폰이나 PMP 등의 기기는 전체 시스템을 제어하는 호스트와 상기 호스트에 연결되어 각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각 부품으로는 기기를 조작하기 위한 버튼이나 영상 데이터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등이 있으며, 호스트는 상기 부품들을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상기 부품들에 전달하기 위하여 커넥터 등으로 연결된다.
이 때, 상기 호스트와 상기 부품들을 연결하는 커넥터는 상기 각 부품들의 제어에 필요한 신호의 개수만큼의 채널을 가지고 있다. 즉, 신호의 개수가 4개이면 4개의 채널을 갖는 케이블이 커넥터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호스트에서 입출력을 위하여 사용할 수 있는 핀의 개수는 제한적이다. 또한 기기의 부피를 줄이기 위하여 커넥터의 채널 수를 감소시키는 것이 바람 직하다. 따라서 각 부품들이 제어신호를 공동으로 사용하는 등, 특정 부품에 사용되는 핀의 개수를 줄이는 것에 대한 연구가 계속되고 있다.
본 발명은 DC-DC 컨버터 외장형 디스플레이 모듈의 전원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커넥터의 핀을 절감할 수 있는 DC-DC 컨버터 외장형 디스플레이 모듈의 전원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영상 데이터에 따라서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모듈과,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외부에 구비되며,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에 전원을 인가하는 DC-DC 컨버터와,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을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어신호를 상기 제어신호용 신호 출력 핀을 통하여 출력하는 호스트와, 상기 제어신호용 신호 출력 핀과 연결되며, 상기 DC-DC 컨버터 및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에 상기 제어신호를 인가하는 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DC-DC 컨버터는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서 상기 전원 인가를 제어하는 DC-DC 컨버터 외장형 디스플레이 모듈의 전원 제어 시스템을 제공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DC-DC 컨버터는 상기 제어신호를 인가받아 상기 DC-DC 컨버터의 On/Off를 제어하는 논리회로를 내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어신호는 영상 데이터의 프레임을 식별하는 프레임 신호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호스트는 상기 프레임 신호의 펄스 주기를 조절하여 상기 DC-DC 컨버터의 On/Off를 제어할 수 있다. 또는 상기 호스트 는 상기 프레임 신호의 펄스 개수를 조절하여 상기 DC-DC 컨버터의 On/Off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은 상기 프레임 신호에 의하여 상기 DC-DC 컨버터가 On 되었을 때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은, 상기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및 상기 제어신호를 인가받아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동하는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은 OLED 패널일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르면, 호스트 및 커넥터의 핀 수를 줄일 수 있어 기기의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도 1 내지 도 4(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C-DC 컨버터 외장형 디스플레이 모듈의 전원 제어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DC-DC 컨버터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은 호스트(10), DC-DC 컨버터(20), 및 디스플레이 모듈(30)을 구비할 수 있다.
호스트(10)는 전체 시스템을 제어하는 부분으로서, 디스플레이 모듈(30)을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한다.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호스트(10)와 연결된 각종 부품들, 예를 들면 핸드폰에 장착된 카메라나 MP3 플레이어 등을 제어하는 제어신호들을 생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30)을 제어하는 제어신호는 영상 데이터의 프레임을 식별하는 프레임 신호(FLM)일 수 있다.
한편, 상기 호스트(10)는 각종 신호의 입출력을 위한 핀을 구비하며, 제어신호용 신호 출력 핀을 통하여 상기 제어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커넥터(미도시)는 일측이 상기 호스트(10)의 제어신호용 신호 출력 핀과 연결되며, 상기 커넥터의 반대편 일측은 DC-DC 컨버터(20) 및 디스플레이 모듈(30)의 신호 입력 핀에 연결된다. 이로 인하여 상기 호스트(10)로부터의 상기 제어신호를 상기 DC-DC 컨버터(20) 및 디스플레이 모듈(30)에 인가할 수 있다. 상기 커넥터는 케이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신호 전달에 필요한 개수 만큼의 채널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호스트(10)에서 디스플레이 모듈(30)에 전달하여야 하는 신호가 5가지인 경우, 상기 커넥터는 5개의 채널을 가질 수 있으며, 상기 각 채널은 상기 호스트(10)와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30)의 신호 입출력 핀에 연결될 것이다.
DC-DC 컨버터(20)는 디스플레이 모듈(30)의 외부에 구비되며,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30)에 전원(ELVDD, ELVSS)을 인가한다.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DC-DC 컨버터(20)는 배터리 등의 전원으로부터 소정의 전압을 인가받으며, 상기 인 가받은 전압을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30)에서 필요로하는 전압(ELVDD, ELVSS)으로 변환하고, 상기 변환된 전압(ELVDD, ELVSS)을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30)에 인가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DC-DC 컨버터(20)는 논리회로(21)를 내장하고 있을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논리회로(21)는 상기 호스트(10)로부터 제어신호를 인가받아 상기 DC-DC 컨버터(20)의 On/Off를 제어한다. 이 때, 상기 제어신호는 종래의 DC-DC 컨버터에 인가되는 EL-ON가 아니라 디스플레이 모듈(30)에 인가되는 프레임 신호(FLM)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기기에서는 호스트가 DC-DC 컨버터를 제어하는 신호로서 EL-ON 신호가 사용되었다. 또한 상기 EL-ON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신호 출력 핀이 호스트에 구비되며, 상기 EL-ON 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신호 입력 핀이 DC-DC 컨버터에 구비되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따른 DC-DC 컨버터(20)는 On/Off의 제어를 위하여, 상기 EL-ON 신호 대신에 상기 호스트(10)가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30)을 제어하기 위하여 생성한 제어신호를 이용한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호스트(10)에서 생성하여야 할 제어신호의 종류 및 신호 출력 핀이 종래기술에 의하는 경우에 비하여 하나씩 감소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논리회로(21)는 상기 제어신호의 파형에 따라서 DC-DC 컨버터(20)의 On/Off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논리회로(21)는 프레임 신호(FLM)의 펄스의 개수 또는 주기 등에 따라서 DC-DC 컨버터(20)의 On/Off를 제어 할 수 있다. 상기 제어신호에 따른 DC-DC 컨버터(20)의 On/Off 제어에 대한 구체적인 실시예는 도 3(a) 내지 도 4(b)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디스플레이 모듈(30)은 외부로부터 입력된 영상 데이터를 사용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부분이다.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30)은 디스플레이 패널(31)과 구동부(3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31)은 영상을 표시하는 부분으로, OLED 패널일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LCD 등 다른 종류의 디스플레이 패널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상기 구동부(32)는 상기 호스트(30)로부터 제어신호를 인가받아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31)을 구동한다. 상기 구동부(32)는 주사 구동부와 데이터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서는 상기 구동부(32)에 상기 호스트(10)로부터 프레임 신호(FLM)가 인가되는 것만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설명의 편이를 위한 것으로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상기 호스트(10)로부터 상기 구동부(32)로 프레임 신호(FLM)이외에 영상 데이터, 클럭 신호 등 디스플레이 모듈(30)을 제어하는데 필요한 각종 신호 및 데이터가 인가될 것이다.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30)은 또한 상기 DC-DC 컨버터(20)로부터 구동에 필요한 전원(ELVDD, ELVSS)를 인가받을 수 있다. 상기 DC-DC 컨버터(20)가 상기 호스트(10)로부터의 프레임 신호(FLM)에 의하여 On 되었을 때 상기 전원(ELVDD, ELVSS)가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30)에 인가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30)은 영상을 표시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종래에 사용되던 EL-ON 신호 대신에 프레임 신호(FLM)와 같은 제어신호를 DC-DC 컨버터(20)의 On/Off 제어용 신호로 사용함으로 인하여 호스트(10)의 신호 출력 핀의 개수 및 호스트(10)에서 생성하여야 하는 제어신호를 하나씩 줄일 수 있게 된다.
이하, 프레임 신호를 사용하여 DC-DC 컨버터(20)를 제어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C-DC 컨버터의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a) 및 도 3(b)의 경우, 호스트(10)는 프레임 신호의 펄스 주기를 조절하여 DC-DC 컨버터(20)의 On/Off를 제어하는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3(a)를 참조하면, 호스트(10)가 프레임 신호(FLM)의 펄스 주기를 길게 하여 상기 DC-DC 컨버터(20)의 논리회로(21)에 인가하면, 상기 논리회로(21)는 두 번째 펄스의 상승 엣지(rising edge)에 동기되어 DC-DC 컨버터(20)를 On 시킨다. 이로 인하여 상기 DC-DC 컨버터(20)는 디스플레이 모듈(30)에 ELVDD 및 ELVSS를 인가하게 된다.
한편, 도 3(b)를 참조하면, 호스트(10)가 프레임 신호(FLM)의 펄스 주기를 짧게 하여 상기 DC-DC 컨버터(20)의 논리회로(21)에 인가하면, 상기 논리회로(21)는 두 번째 펄스의 상승 엣지에 동기되어 DC-DC 컨버터(20)를 Off 시킨다. 이로 인하여 상기 DC-DC 컨버터(20)는 디스플레이 모듈(30)에 인가되는 ELVDD 및 ELVSS를 차단한다.
이와 같이, 기존에 사용되던 제어신호인 프레임 신호(FLM)의 펄스 주기를 조절하여 DC-DC 컨버터의 On/Off를 제어함으로 인하여 호스트에서 사용하는 신호 출력 핀의 개수를 줄일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C-DC 컨버터의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a) 및 도 4(b)의 경우, 호스트(10)는 프레임 신호의 펄스 개수를 조절하여 DC-DC 컨버터(20)의 On/Off를 제어하는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4(a)를 참조하면, 호스트(10)가 특정 주기의 프레임 신호(FLM)를 상기 DC-DC 컨버터(20)의 논리회로(21)에 인가하면, 상기 논리회로(21)는 두 번째 펄스의 상승 엣지(rising edge)에 동기되어 DC-DC 컨버터(20)를 On 시킨다. 이로 인하여 상기 DC-DC 컨버터(20)는 디스플레이 모듈(30)에 ELVDD 및 ELVSS를 인가하게 된다.
한편, 도 4(b)를 참조하면, 호스트(10)가 도 4(a)에서의 주기와 동일한 주기의 프레임 신호(FLM)를 상기 DC-DC 컨버터(20)의 논리회로(21)에 인가하면, 상기 논리회로(21)는 세 번째 펄스의 상승 엣지에 동기되어 DC-DC 컨버터(20)를 Off 시킨다. 이로 인하여 상기 DC-DC 컨버터(20)는 디스플레이 모듈(30)에 인가되는 ELVDD 및 ELVSS를 차단한다.
이와 같이, 기존에 사용되던 제어신호인 프레임 신호(FLM)의 펄스 개수를 조절하여 DC-DC 컨버터의 On/Off를 제어함으로 인하여 호스트에서 사용하는 신호 출력 핀의 개수를 줄일 수 있게 된다.
상기 도 3(a) 내지 도 4(b)에서 설명한 프레임 신호(FLM)의 펄스 주기 및 펄스 개수는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논리회로(21)에서 상기 호스트(10)로부터 인가받은 신호가 DC-DC 컨버터(20)를 On 시키는 제어신호인지 혹은 Off 시키는 제어신호인지 구별가능하다면 다양하게 변경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상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도면은 단지 본 발명의 예시적인 것으로서,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따라서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 져야만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C-DC 컨버터 외장형 디스플레이 모듈의 전원 제어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C-DC 컨버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C-DC 컨버터의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DC-DC 컨버터의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Claims (8)

  1. 영상 데이터에 따라서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외부에 구비되며,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에 전원을 인가하는 DC-DC 컨버터;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을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어신호를 상기 제어신호용 신호 출력 핀을 통하여 출력하는 호스트; 및
    상기 제어신호용 신호 출력 핀과 연결되며, 상기 DC-DC 컨버터 및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에 상기 제어신호를 인가하는 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DC-DC 컨버터는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서 상기 전원 인가를 제어하는 DC-DC 컨버터 외장형 디스플레이 모듈의 전원 제어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DC-DC 컨버터는 상기 제어신호를 인가받아 상기 DC-DC 컨버터의 On/Off를 제어하는 논리회로를 내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C-DC 컨버터 외장형 디스플레이 모듈의 전원 제어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신호는 영상 데이터의 프레임을 식별하는 프레임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DC-DC 컨버터 외장형 디스플레이 모듈의 전원 제어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호스트는 상기 프레임 신호의 펄스 주기를 조절하여 상기 DC-DC 컨버터의 On/Off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C-DC 컨버터 외장형 디스플레이 모듈의 전원 제어 시스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호스트는 상기 프레임 신호의 펄스 개수를 조절하여 상기 DC-DC 컨버터의 On/Off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C-DC 컨버터 외장형 디스플레이 모듈의 전원 제어 시스템.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은 상기 프레임 신호에 의하여 상기 DC-DC 컨버터가 On 되었을 때 영상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C-DC 컨버터 외장형 디스플레이 모듈의 전원 제어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은,
    상기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및
    상기 제어신호를 인가받아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동하는 구동부를 포함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C-DC 컨버터 외장형 디스플레이 모듈의 전원 제어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은 OLED 패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DC-DC 컨버터 외장형 디스플레이 모듈의 전원 제어 시스템.
KR1020090071301A 2009-08-03 2009-08-03 Dc-dc 컨버터 외장형 디스플레이 모듈의 전원 제어 시스템 KR1010841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1301A KR101084170B1 (ko) 2009-08-03 2009-08-03 Dc-dc 컨버터 외장형 디스플레이 모듈의 전원 제어 시스템
US12/708,408 US8605072B2 (en) 2009-08-03 2010-02-18 Power control system for display module including external DC-DC convert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1301A KR101084170B1 (ko) 2009-08-03 2009-08-03 Dc-dc 컨버터 외장형 디스플레이 모듈의 전원 제어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3703A true KR20110013703A (ko) 2011-02-10
KR101084170B1 KR101084170B1 (ko) 2011-11-17

Family

ID=435265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1301A KR101084170B1 (ko) 2009-08-03 2009-08-03 Dc-dc 컨버터 외장형 디스플레이 모듈의 전원 제어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605072B2 (ko)
KR (1) KR10108417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19586A (ko) * 2013-04-01 2014-10-1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817429B2 (en) * 2010-11-23 2014-08-26 Samsung Display Co., Ltd. Power converter, display device including power converter, system including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driving display device
KR101254263B1 (ko) 2010-11-23 2013-04-1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전원 변환기, 직류-직류 변환기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표시 장치를 포함하는 시스템 및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KR101860739B1 (ko) 2011-05-18 2018-05-2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전원 변환기,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구동 전압 제어 방법
CN103632630B (zh) * 2012-08-24 2016-04-13 群康科技(深圳)有限公司 显示器及其显示画面的更新方法
TWI497482B (zh) * 2012-08-24 2015-08-21 Innocom Tech Shenzhen Co Ltd 顯示器及其顯示畫面的更新方法
KR102518922B1 (ko) * 2016-01-21 2023-04-0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48275B1 (ko) * 2000-07-28 2002-08-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유기 el 구동 제어회로
KR100452721B1 (ko) 2002-01-24 2004-10-14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2005181951A (ja) * 2003-11-25 2005-07-07 Tohoku Pioneer Corp 自発光表示モジュールおよび同モジュールにおける欠陥状態の検証方法
KR100731726B1 (ko) * 2004-12-10 2007-06-2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Ocb모드를 갖는 액정 표시 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
JP2006220851A (ja) * 2005-02-09 2006-08-24 Tohoku Pioneer Corp 発光表示パネルの駆動装置および駆動方法
TWI349259B (en) * 2006-05-23 2011-09-21 Au Optronics Corp A panel module and power saving method thereof
TWM314869U (en) * 2006-11-27 2007-07-01 Innolux Display Corp Power supply circuit for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ing same
KR20080064674A (ko) 2007-01-05 2008-07-09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영상표시장치의 자동 전원제어방법
WO2009017156A1 (ja) * 2007-07-30 2009-02-05 Kyocera Corporation 画像表示装置、画像表示装置の制御方法、画像表示装置の調整システム
KR100889690B1 (ko) * 2007-08-28 2009-03-19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Dc―dc 컨버터 및 이를 이용한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19586A (ko) * 2013-04-01 2014-10-1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605072B2 (en) 2013-12-10
KR101084170B1 (ko) 2011-11-17
US20110025667A1 (en) 2011-0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84170B1 (ko) Dc-dc 컨버터 외장형 디스플레이 모듈의 전원 제어 시스템
KR101840186B1 (ko) 액정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KR102586777B1 (ko) 데이터 구동부 및 그의 구동방법
US9396695B2 (en) Source driver and method for driving display device
CN104978919B (zh) 显示设备及其驱动方法
KR101957489B1 (ko) 액정표시장치의 전원 공급 장치와 그 방법
CN109493824B (zh) 源极驱动器、显示装置及其驱动方法
KR101337897B1 (ko) 표시장치의 구동 제어회로
US20110193830A1 (en) Display apparatus
US10522107B2 (en) Data driver and method of driving the data driver
KR102091197B1 (ko) 발광다이오드 어레이 구동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액정표시장치
KR102522115B1 (ko) 게이트구동회로, 레벨시프터 및 표시장치
KR20110139106A (ko) 액정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US10192515B2 (en) Display device and data driver
TW200629207A (en) Liquid crystal display and driving method thereof
US9153159B2 (en) Display driving circuit and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the same
KR102057873B1 (ko) 데이터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20120056017A (ko) 다채널 반도체 장치 및 이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
KR20150078981A (ko) 평판 표시 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
US10964285B2 (en) Driver chip of a display panel with high resolution display
US20100231271A1 (en) Circuit for driving a display panel using a driving capacitor
KR100933452B1 (ko) 액정표시장치의 구동장치 및 구동방법
KR102066135B1 (ko) 액정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102148489B1 (ko) 표시장치의 전원 공급 장치
KR101622641B1 (ko) 액정 표시장치의 구동장치와 그 구동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3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