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13662A - 미러볼이 구비된 카메라 및 이를 구비한 휴대폰 - Google Patents

미러볼이 구비된 카메라 및 이를 구비한 휴대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13662A
KR20110013662A KR1020090071229A KR20090071229A KR20110013662A KR 20110013662 A KR20110013662 A KR 20110013662A KR 1020090071229 A KR1020090071229 A KR 1020090071229A KR 20090071229 A KR20090071229 A KR 20090071229A KR 20110013662 A KR20110013662 A KR 201100136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rror ball
camera
image
lens
mirr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712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40953B1 (ko
Inventor
김익재
고희동
안상철
황재인
김형곤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900712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40953B1/ko
Publication of KR201100136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36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09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09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5/00Special procedures for taking photographs; Apparatus therefor
    • G03B15/08Trick photography
    • G03B15/12Trick photography using mirro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0/00Camera modules comprising integrated lens units and imaging unit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e.g. mobile phones or vehic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4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camera module assemb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1Combinations with auxiliary equipment, e.g. with clocks or memoranda pad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미러볼이 구비된 카메라 및 이를 구비한 휴대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렌즈가 구비된 본체, 상기 본체에 결합되는 지지대 및 상기 지지대에 결합되는 구 형태의 미러볼(mirror ball)을 포함하는 카메라 및 이를 구비한 휴대폰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에 의하면 여러 차례 영상을 촬영하지 않고도 손쉽게 전방위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카메라, 미러볼, 파노라마, 휴대폰

Description

미러볼이 구비된 카메라 및 이를 구비한 휴대폰 {Camera With Mirror Ball And Mobile Phone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미러볼이 구비된 카메라 및 이를 구비한 휴대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구 형태의 미러볼을 이용하여 상기 미러볼을 중심으로 한 전방위 영상을 손쉽게 획득할 수 있는 카메라 및 이를 구비한 휴대폰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에는 촬영 전용 카메라가 상용화되어 있을 뿐 아니라, 거의 모든 휴대폰에 디지털 카메라가 장착되어 있다. 따라서, 오늘날에는 대부분의 사람들이 디지털 카메라를 이용하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또한, 휴대폰에 장착된 카메라 중에는 해상도가 1000만 화소를 넘는 제품도 있어, 전용 카메라 없이도 휴대폰을 이용하여 언제든지 고화질의 영상을 획득할 수 있는 환경이 되었다.
이처럼 고화질의 카메라가 보편화 됨에 따라 카메라로 촬영한 영상에 다양한 효과를 부가하는 렌더링 기술이 발전하고 있다. 렌더링 기술이란 촬영 영상에 다른 영상 이미지를 중첩하거나 영상의 색상이나 음영 등을 조정함으로써 다양한 효과를 만들어내는 기술을 말한다.
렌더링 기술의 하나로 주변 경관 이미지를 담고 있는 환경맵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처리하는 방법이 이용된다. 상기 환경맵을 이용하면 영상이 실제 환경과는 다른 환경에서 촬영된 듯한 효과를 만들어 낼 수 있다. 예를 들어, 해질 무렵의 이미지 환경맵을 이용해 렌더링 처리하면 영상이 해질 무렵에 촬영된 것과 같은 효과를 낼 수 있으며, 숲 이미지 환경맵을 이용해 렌더링 처리하면 영상이 숲에서 촬영된 것과 같은 효과를 줄 수 있는 것이다.
카메라의 사용자는 주변 환경을 직접 촬영하여 자신만의 독특한 환경맵을 만들어 낼 수도 있다. 이때, 사용자가 촬영한 영상이 카메라를 중심으로 한 전방위 영상 이미지를 담고 있다면 더 다양한 환경맵을 생성해낼 수 있을 것이며, 이를 이용해 더 다양하고 실감나는 렌더링 효과를 만들어 낼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카메라를 중심으로 한 전방위 영상 이미지를 얻기 위한 방법의 하나로서 파노라마 촬영 기법이 이용되고 있다. 파노라마 촬영 기법은 카메라의 뷰(view)를 여러 차례 돌려가며 주변 경관을 찍는 촬영 기법을 말한다. 파노라마 촬영 기법에 의해 촬영된 여러 장의 이미지는 소프트웨어로 정합 처리되어 하나의 파노라마 영상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이러한 파노라마 영상은 넓은 지역에 걸친 경관을 하나의 이미지로 볼 수 있게 해주므로 상술한 바와 같이 렌더링 기술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하지만, 카메라가 한번에 촬영할 수 있는 촬영 범위는 제한적이다. 따라서, 전방위 파노라마 영상을 생성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카메라의 뷰(view)를 여러 차례 돌려가며 매우 많은 영상을 촬영해야 하며, 그만큼 촬영 과정이 불편하다는 문 제점이 있다. 또한, 파노라마 이미지를 생성하기 위해서 여러 장의 영상을 정합하여야 하므로 그 과정이 복잡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카메라의 렌즈 전면에 구비되는 구 형태의 미러볼(mirror ball)을 이용하여 전방위에 걸친 주변 경관에 대한 영상을 손쉽게 획득할 수 있는 카메라 및 이를 구비한 휴대폰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은 렌즈가 구비된 본체, 상기 본체에 결합되는 지지대 및 상기 지지대에 결합되는 구 형태의 미러볼(mirror ball)을 포함하는 카메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지지대가 상기 본체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미러볼의 위치 조정이 가능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미러볼의 위치는 사용 위치 또는 복귀 위치로 조정되며, 상기 사용 위치에서 상기 미러볼은 상기 렌즈의 촬영범위 안에 위치하고, 상기 복귀 위치에서 상기 미러볼은 상기 렌즈의 촬영범위 밖에 위치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사용 위치에서 상기 미러볼은 상기 렌즈의 정면에 위치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몸체에는 상기 미러볼이 수용되는 수용홈이 형성되고, 상기 복귀 위치에서 상기 미러볼은 상기 수용홈에 수용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복귀 위치에서 상기 미러볼은 상기 렌즈의 정면과 수직한 방향에 위치하고, 상기 미러볼의 일부가 상기 몸체 외부로 노출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지지대는 일자형 바(bar) 형태이고, 상기 본체와 상기 미러볼은 하나의 지지대에 의해 연결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지지대는 투명한 아크릴 재질로 만들어질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상기 카메라를 구비하는 휴대폰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또는 이를 구비한 휴대폰을 이용하면 수 차례에 걸쳐 영상을 촬영하지 않고도 손쉽게 전방위에 걸친 주변 경관에 대한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로서 설명되는 것이며, 이것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핵심 구성 및 작용이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휴대폰에 구비된 카메라에 대해서 설명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촬영 전용 카메라 또는 휴대폰 이외의 전자제품에 구비되는 카메라에도 적용가능하다는 것이 먼저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2)가 구비된 휴대폰(1)의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2)는 휴대폰(1)에 결합된다. 카메라(2)의 본체(10)는 휴대폰(1)의 배면에 결합되며, 본체(10)의 전면에는 영상 촬영을 위한 렌즈(20)가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1)과 카메라(2)의 결합 및 작동 관계는 본 명세서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를 벗어나는 것이므로 구체적인 기술은 생략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지지대(40)의 일 단부는 본체(10)에 결합되며, 다른 일 단부는 미러볼(mirror ball)(30)에 결합된다.
미러볼(30)은 매끈한 표면을 가져서 전방위로 빛을 반사시키는 구형 거울이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매끈한 거울 표면을 형성하기 위하여 구형 물체의 표면에 크롬 도금을 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즉, 형태가 구형이고, 매끄런운 표면을 가지는 거울이라면, 본 발명에 채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미러볼(30)을 중심으로 한 전방위 경관에 대한 영상을 획득하기 위해서, 구 형태의 미러볼(30)을 카메라(2)의 렌즈(20) 전면에 배치하고 미러볼(30)을 렌즈(20)로 촬영한다.
완전한 구 형태의 거울은 전방위에서 입사된 빛을 전방위로 반사하는 반사 특성을 가지므로, 구형 거울을 카메라 렌즈로 촬영하면, 거울에 비춰지는 전방위 주변 경관 영상을 한번에 얻을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전방위 영상이라함은 구형 거울 즉, 미러볼(30)을 둘러싼 가시 공간 내에 있는 주변 경관이 하나의 영상에 모두 포함되어 촬영된 영상을 말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구형의 거울인 미러볼(30)을 카레마 렌즈의 정면에 배 치함으로써 미러볼(30)에 투영된 모든 것은 한번의 촬영으로 카메라에 담을 수 있다. 이때, 미러볼(30)의 에지에 투영된 영상은 미러볼(30)의 뒷면 즉, 미러볼(30)을 기준으로 할 때 카메라 렌즈(20) 위치의 반대편 영상이 투영되는 것이다. 이러한 에지에 투영된 영상에는 일정한 왜곡현상이 발생하는데, 이는 후술하는 바와 같은 적절한 처리기법에 의해 처리될 수 있다.
물론 본 실시예에 따르면, 구형 거울만을 렌즈의 전면에 배치하여 촬영하는 경우와 달리 미러볼(30)이 지지대(40)에 의해 렌즈(20) 전면에 고정된다. 따라서,촬영시 지지대(40)에 의해 일정한 간섭을 받는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은 지지대(40)에 의한 간섭 효과를 제거하기 위하여, 카메라의 각도를 서로 다르게 하여 두 차례 촬영한다. 이렇게 두 차례 촬영된 영상 이미지를 정합하면 지지대(40)에 의한 간섭 효과가 제거된 전방위 영상 이미지가 얻어진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라 얻어진 전방위 영상 이미지를 나타낸다. 도 3은 도 2의 영상을 전방위 파노라마 영상으로 보정한 영상이며, 도 4는 도 2의 영상을 큐빅 형태의 환경맵으로 보정한 영상이다.
도 2를 참조하면 구 형태의 미러볼(30)을 렌즈로 촬영함으로써 미러볼(30)을 중심으로 한 전방위 경관 영상 이미지가 획득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얻어진 전방위 영상을 와핑(warping) 처리 기법으로 보정하면 도 3과 같은 전방위 파노라마 영상을 얻을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전방위 영상을 적절히 보정하면 도 4와 같은 환경맵을 생성할 수 있으며, 이를 렌더링 처리에 활용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완전한 전방위 영상 이미지를 얻기 위해서 서로 다른 두 각도에서 영상을 촬영하여 정합하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영상을 한차례 촬영하고 소프트웨어를 이용해 지지대(40)에 의한 간섭효과를 제거함으로서 완전한 전방위 영상 이미지를 얻을 수도 있다는 것이 당업자에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지지대(40)에 의한 간섭 효과를 최소로 하기 위해서 한개의 일자형 바(bar) 형태의 지지대(40)를 사용하며, 지지대(40)는 투명한 아크릴 재질로 만들어진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렌즈(20) 전면에 구형의 미러볼(30)를 배치하기 때문에 영상을 두 차례, 바람직하게는 한 차례만 촬영하여도 전방위 주변 경관 영상을 얻을 수 있다. 따라서, 수차례에 걸쳐 주변 경관을 촬영한 뒤, 촬영된 여러 장의 영상을 정합하는 복잡한 과정을 거치지 않고도 손쉽게 파노라마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렌즈(20) 전면에 배치된 미러볼(30)을 이용해 전방위 영상을 획득한다. 하지만, 일반적인 영상을 촬영하고자 할 때에는 미러볼(30)이 렌즈(20)의 전면에 위치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지지대(40)를 본체(1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하여 미러볼(30)의 위치 조정을 가능하게 한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2)의 부분사시도이다. 도 5는 사용 위치에 있는 미러볼(30)을 도시하며, 도 6은 복귀 위치에 있는 미러 볼(30)을 도시한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지지대(40)는 그 일단부가 본체(10)에 힌지연결된다. 힌지연결된 지지대(40)에 의해 미러볼(30)은 사용 위치(도 5 참조) 또는 복귀 위치(도 6 참조)로 이동가능하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러볼(30)은 사용 위치에서 렌즈(20)의 전면에 위치한다. 이러한 사용 위치에서 미러볼(30)은 전체가 렌즈(20)의 촬영 범위 안에 위치한다. 상기 렌즈(20)의 촬영범위란 도 5에 일점쇄선으로 도시된 렌즈의 화각 내의 범위를 말한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 위치에 있을 때는 미러볼(30) 전체가 렌즈(20)에 의해 촬영되어 미러볼(30)의 표면에 비춰진 주변 경관 영상이 획득된다.
바람직하게는 미러볼(30)의 중심이 렌즈(20)의 중심축 상에 위치하여 미러볼(30)이 렌즈(20)의 정면에 위치한다. 이와 같이, 미러볼(30)이 렌즈(20)의 정면에 배치되도록 하면 사용 위치에서 미러볼(30)이 렌즈(20)에 최대한 근접해서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획득되는 영상의 해상도가 그만큼 높아지게 되며, 장치의 크기가 감소된다는 이점이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위 영상이 아닌 일반적인 영상을 촬영할 때에는 미러볼(30)이 복귀 위치에 위치한다. 복귀 위치에서 미러볼(30)은 렌즈(20)의 촬영범위 밖에 위치하여 촬영시 렌즈에 포착되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카메라(2)의 본체(10)에는 복귀 위치에서 미러볼(30)이 수용될 수 있는 수용홈(11)이 형성된다. 수용홈(11)은 렌즈(20)가 위치한 카메 라(2)의 전면에 형성되며, 수용홈(11)에 수용된 미러볼(30)은 렌즈(20)의 정면과 수직한 방향에 위치한다. 이때, 미러볼(30)의 반이 몸체(10) 외부로 노출된다.
이와 같이, 전방위 촬영 모드가 아닐 때의 미러볼(30)은 렌즈(20)와 나란하게 위치하여, 셀프 카메라(self-camera) 촬영시 사용자가 자신의 얼굴을 비추어 볼 수 있는 거울 기능을 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전방위 영상을 촬영하고자 할 때에는 미러볼(30)을 촬영 위치로 이동시키고, 일반적인 영상을 촬영하고자 할 때에는 미러볼(30)을 복귀 위치로 이동시켜 촬영하게 되며, 이러한 미러볼(30)의 위치 조정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이루어진다.
이하,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사용자가 미러볼(30)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는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도 7은 미러볼(30)이 복귀 위치에 위치한 카메라의 부분 사시도이며, 도 8은 미러볼(30)이 사용 위치에 위치한 카메라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지지대(40)의 일단부에는 회전축(400)이 지지대(40)와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회전축(400)의 양 단부는 지지부(700)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회전축(400)의 일 단부 말단에는 대략 "ㄴ" 자 홈이 형성된 캠(500)이 연결된다. 지지대(40)와 회전축(400)이 교차되는 지점에는 스프링(600)이 연결된다.
또한, 카메라의 본체에는 스위치 부재(100)가 형성된다. 스위치 부재(100)의 몸체에는 걸림쇠(200)가 형성되어 있으며, 단부에는 스프링(300)이 결합되어 있다.
도 7에 도시된 복귀 위치에서 스프링(600)은 수축된 상태로 결합된다. 따라서, 아무런 저지 장치가 없다면 스프링(600)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회전축(400)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될 것이다. 그러나,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귀 위치에서 캠(500)의 "ㄴ" 자 홈이 걸림쇠(200)에 걸려 있게 되어, 회전축(400)의 회전이 걸림쇠(200)에 의해 저지된다. 따라서, 미러볼(30)은 수용홈(11) 내부에 즉, 복귀 위치에 고정된다.
만약 전방위 영상 촬영하고자 할 때에는 사용자가 카메라의 본체 외부로 돌출된 스위치 부재(100)를 아래로 눌러 미러볼(30)을 사용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스위치 부재(100)가 아래로 이동하게 되면, 걸림쇠(200)가 아래방향으로 캠(500)에 힘을 가한다. 이에 따라 캠(500)은 시계반대방향으로 조금 회전하게 되고, 걸림쇠(200)가 캠(500)의 "ㄴ" 자 홈 표면을 미끄러지면서 아래로 내려가면서 걸림쇠(200)와 캠(500)의 캠(500)의 걸림 상태가 해소된다. 따라서, 회전축(400)의 회전을 저지하던 힘이 사라지게 되고 스프링(600)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회전축(400)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회전축(400)에 회전에 의해 지지대(40)도 같이 회전하게 되며 미러볼(30)이 사용위치에 놓이게 된다.
반대로 사용 위치에 있는 미러볼(30)을 복귀 위치로 복귀시키고자 할 때에는 사용자가 손으로 미러볼(30)을 눌러 복귀 위치로 이동시키면 된다. 미러볼(30)이 복귀 위치로 이동됨에 따라서, 걸림쇠(200)가 캠(500)의 "ㄴ"자 홈에 다시 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이, 미러볼(30)이 복귀 위치에 고정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미러볼(30)을 사용 위치 또는 복귀 위치로 위치 조정하 기 위하여, 카메라의 몸체에 별도의 스위치 부재(100)가 구비된다. 하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전방위 영상 촬영 모드 선택식 전기적인 장치의 작동에 의해서 미러볼(30)이 자동으로 렌즈(20) 전면에 배치되도록 할 수도 있다는 것이 당업자에게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2)가 구비된 휴대폰(1)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라 얻어진 전방위 영상을 나타낸다.
도 3은 도 2의 영상을 전방위 파노라마 영상으로 보정한 영상이다.
도 4는 도 2의 영상을 큐빅 형태의 환경맵으로 보정한 영상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2)의 부분사시도이다.
도 7은 미러볼(30)이 복귀 위치에 위치한 카메라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8은 미러볼(30)이 사용 위치에 위치한 카메라의 부분 사시도이다.

Claims (9)

  1. 렌즈가 구비된 본체;
    상기 본체에 결합되는 지지대; 및
    상기 지지대에 결합되는 구 형태의 미러볼(mirror ball)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가 상기 본체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미러볼의 위치 조정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미러볼의 위치는 사용 위치 또는 복귀 위치로 조정되며,
    상기 사용 위치에서 상기 미러볼은 상기 렌즈의 촬영범위 안에 위치하고,
    상기 복귀 위치에서 상기 미러볼은 상기 렌즈의 촬영범위 밖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 위치에서 상기 미러볼은 상기 렌즈의 정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에는 상기 미러볼이 수용되는 수용홈이 형성되고,
    상기 복귀 위치에서 상기 미러볼은 상기 수용홈에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복귀 위치에서 상기 미러볼은 상기 렌즈의 정면과 수직한 방향에 위치하고, 상기 미러볼의 일부가 상기 몸체 외부에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는 일자형 바(bar) 형태이고,
    상기 본체와 상기 미러볼은 하나의 지지대에 의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는 투명한 아크릴 재질로 만들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항의 카메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KR1020090071229A 2009-08-03 2009-08-03 미러볼이 구비된 카메라 및 이를 구비한 휴대폰 KR1010409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1229A KR101040953B1 (ko) 2009-08-03 2009-08-03 미러볼이 구비된 카메라 및 이를 구비한 휴대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1229A KR101040953B1 (ko) 2009-08-03 2009-08-03 미러볼이 구비된 카메라 및 이를 구비한 휴대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3662A true KR20110013662A (ko) 2011-02-10
KR101040953B1 KR101040953B1 (ko) 2011-06-16

Family

ID=437731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1229A KR101040953B1 (ko) 2009-08-03 2009-08-03 미러볼이 구비된 카메라 및 이를 구비한 휴대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4095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2832U (ko) * 2016-02-01 2017-08-09 이근성 망원렌즈가 구비된 휴대폰 케이스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55453A (ko) 2022-10-20 2024-04-29 김지미 필름 교환형 미러볼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23687A (ko) * 2003-09-02 2005-03-10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미러를 이용한 카메라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KR20060093434A (ko) * 2005-02-21 2006-08-25 삼성전자주식회사 피사체 촬영 범위가 확장된 카메라 렌즈를 구비한 휴대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2832U (ko) * 2016-02-01 2017-08-09 이근성 망원렌즈가 구비된 휴대폰 케이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40953B1 (ko) 2011-06-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375848B (en) Portable electron apparatus having an image capture unit
US9055220B1 (en) Enabling the integration of a three hundred and sixty degree panoramic camera within a mobile device case
US9521321B1 (en) Enabling manually triggered multiple field of view image capture within a surround image mode for multi-lens mobile devices
KR100803504B1 (ko) 듀얼 카메라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US20080064437A1 (en) Mobile Communication Device Having Stereoscopic Imagemaking Capability
TWI609225B (zh) Image capturing method and device
JP2004260676A (ja) 折畳式カメラ装置および折畳式携帯電話機
US10616503B2 (en) Communication apparatus and optical device thereof
CN105705992B (zh) 成像装置
KR101040953B1 (ko) 미러볼이 구비된 카메라 및 이를 구비한 휴대폰
WO2017121047A1 (zh) 一种摄像头及设有摄像头的终端
JP2001330915A (ja) 立体画像撮影方法及び撮影補助具
KR101456550B1 (ko) 물체 전방위 촬영 3차원 실물화상기
CN208609085U (zh) 摄像头模组和电子设备
JP2010141485A (ja) 撮像装置
US9124789B2 (en) Image sensing module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same
US8279327B2 (en) Dual camera apparatus
CN101354526B (zh) 具有相机模组的便携式电子装置
KR101469361B1 (ko) 초광각 파노라마 영상 촬영 장치
CN216981994U (zh) 具有可旋转vr拍摄功能的手持摄像设备
CN110971790A (zh) 一种图像采集装置及图像采集方法
US10698300B2 (en) Apparatus for mobile phone photography
TWI309752B (en) Image capturing device with an omni view mode and a pan-tilt view mode
JP2006251228A (ja) 複眼撮影装置
TW382067B (en) Surrounding imaging device employing rotatory plane reflector and fixed curved surface reflec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8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