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13170A - 세탁물 처리기기 - Google Patents

세탁물 처리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13170A
KR20110013170A KR1020100017969A KR20100017969A KR20110013170A KR 20110013170 A KR20110013170 A KR 20110013170A KR 1020100017969 A KR1020100017969 A KR 1020100017969A KR 20100017969 A KR20100017969 A KR 20100017969A KR 20110013170 A KR20110013170 A KR 201100131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ad
hinge
frame
inners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179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16169B1 (ko
Inventor
김동윤
김수진
박영배
김동민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US12/846,171 priority Critical patent/US8511115B2/en
Publication of KR201100131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31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61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61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02Rotary receptacles, e.g. drums
    • D06F37/12Rotary receptacles, e.g. drums adapted for rotation or oscillation about a vertical axis
    • D06F37/18Doors or covers; Securing mean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3/00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the receptacle serving both for washing and for centrifugally separating water from the laundry 
    • D06F23/04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the receptacle serving both for washing and for centrifugally separating water from the laundry  and rotating or oscillating about a vertical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06F37/28Doors; Security mean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42Safety arrangements, e.g. for stopping rotation of the receptacle upon opening of the casing do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 D06F39/14Doors or covers; Securing mean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1/00Additional features or accessories of hinges
    • E05D11/08Friction devices between relatively-movable hinge par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7/00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 E05D7/08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for use in suspensions comprising two spigots placed at opposite edges of the wing, especially at the top and the bottom, e.g. trunnions
    • E05D7/082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for use in suspensions comprising two spigots placed at opposite edges of the wing, especially at the top and the bottom, e.g. trunnions the pivot axis of the wing being situated at a considerable distance from the edges of the wing, e.g. for balanced wings
    • E05D7/086Braking devices structurally combined with hing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3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domestic appliances
    • E05Y2900/312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domestic appliances for washing machines or laundry dry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40/00Technologies aiming at improving the efficiency of home appliances, e.g. induction cooking or efficient technologies for refrigerators, freezers or dish wash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는 포 출입홀을 개폐하는 리드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리드 어셈블리는 리드 프레임과, 리드 프레임 내부에 결합되고 힌지부를 갖는 리드 이너를 포함한다. 상기 리드 어셈블리는 조립이 간편하고, 견고한 결합을 유지하여 제품의 신뢰성 및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힌지부에 의해 상기 리드 어셈블리의 개폐가 용이하여, 사용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Description

세탁물 처리기기{Washing machine}
본 발명은 세탁물 처리기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 편의성과 신뢰성 및 안전성이 확보된 리드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탁물 처리기기는 물과 세제 및 기계적인 작용 등을 이용하여, 의복, 침구 등(이하, '포'라 칭함)에 묻은 오염을 떼어내는 세탁기와, 히터에 의해 가열된 건조한 열풍과 기계적인 작용 등을 이용하여 젖은 포를 건조하는 건조기와, 세탁기능과 건조 기능을 겸하는 건조 겸용 세탁기와, 포에 가열된 증기 등을 분사하여 포로 인한 알러지를 방지하는 리프레셔 등을 포함하며, 포에 물리적 작용 및 화학적 작용을 가하여 포를 처리하는 각종 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세탁물 처리기기는 포가 출입되는 포 출입홀의 위치에 따라 구분될 수도 있다. 상기 포 출입홀이 캐비닛의 상면에 형성되고 세탁조의 회전시 생기는 회전수류에 의해 세탁이 이루어지는 탑로드 타입과, 상기 포 출입홀이 캐비닛의 전면에 형성되고 드럼의 회전시 포의 낙차에 의해 세탁이 이루어지는 드럼 타입으로 구분될 수 있따.
상기 탑로드 타입의 세탁물 처리기기는 포 출입홀이 캐비닛의 상면에형성되고, 상기 캐비닛의 상측에는 상기 포 출입홀을 개폐하는 리드 어셈블리가 배치된다.
본 발명은 사용이 편리하고, 신뢰성 및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리드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기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는 캐비닛과, 상기 캐비닛의 개구된 상면에 배치되고, 포 출입홀이 형성된 탑 커버와, 상기 탑 커버에 회동 가능토록 배치되어, 상기 포 출입홀을 개폐하는 리드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리드 어셈블리는 외관을 형성하는 리드 프레임과, 상기 리드 프레임 내부에 결합되고 힌지부를 갖는 리드 이너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리드 프레임은 외관 상측을 형성하고 상기 리드 이너를 지지하는 리드 상부 프레임과, 상기 리드 상부 프레임의 하측에 결합되는 리드 하부 프레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리드 상부 프레임과 상기 리드 하부 프레임은 체결부재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리드 프레임의 내측면에는 상기 리드 이너가 삽입되도록 리드 이너 삽입홈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리드 이너는 복수개가 서로 소정간격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힌지부는 상기 복수의 리드 이너 중 서로 이웃하는 리드 이너에 각각 결합되는 복수의 힌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힌지부는 상기 리드 어셈블리의 개폐시 회동정도를 조절하는 제 1힌지부와, 상기 리드 어셈블리의 개폐시 회전 속도를 조절하여 충격을 완화시키는 제 2힌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 1힌지부는 내부에 유체가 충진되어 유압에 의해 회동 속도를 조절하는 유압 댐퍼를 포함하고, 상기 제 2힌지부는 상기 리드 어셈블리가 개방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리드 프레임의 일변에는 상기 복수의 리드 이너 중 상기 힌지부를 갖는 리드 이너가 적어도 2개 이상이 배치되고, 상기 힌지부를 갖는 각각의 리드 이너는 상기 2개 이상의 리드 이너에 각각 결합된 힌지부의 힌지축이 서로 일렬로 배치되도록 상기 리드 프레임에 체결부재에 의해 각각 체결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리드 이너는 각각 코너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서로 소정간격 이격되게 배치된 4개의 리드 이너를 포함하고, 상기 리드 프레임의 일변에는 상기 리드 이너가 2개씩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힌지부는 상기 2개의 리드 이너에 각각 배치된 제 1,2힌지부를포함하고, 상기 제 1,2힌지부를 갖는 각각의 리드 이너들은 상기 제 1,2힌지부의 힌지축이 서로 일렬로 배치되도록 상기 리드 프레임에 체결부재에 의해 각각 체결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리드 프레임의 일변에는 상기 복수의 리드 이너 중 상기 힌지부를 갖는 리드 이너가 적어도 2개 이상이 배치되고, 상기 2개 이상의 리드 이너에 각각 결합된 힌지부의 힌지축이 서로 일렬로 배치되도록 상기 힌지부를 갖는 각각의 리드 이너는 상기 리드 프레임에 체결부재에 의해 각각 체결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리드 이너는 각각 코너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서로 소정간격 이격되게 배치된 4개의 리드 이너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리드 프레임은 상기 복수의 리드 이너 중 한 쌍의 리드 이너 사이의 이격공간으로 압입되도록 돌출되어, 상기 한 쌍의 리드 이너를 서로 이격되는 방향으로 밀어 상기 리드 프레임의 내측면에 밀착시키는 틈새 압입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틈새 압입부는 상기 리드 프레임에서 돌출되고, 서로 소정간격 이격되게 형성된 복수의 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리드 프레임의 측면은 상기 힌지부를 감싸도록 확장 형성된 힌지 커버부를 갖는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힌지 커버부는 상기 힌지부의 힌지축이 관통하는 관통홀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힌지부는 상기 리드 이너에 형성된 힌지 수용부에 축방향으로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힌지부는 상기 리드 이너에 삽입되고 힌지축을 감싸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서 돌출되어 상기 리드 이너의 측면에 맞대어지도록 형성된 체결암을 포함하고, 상기 힌지부의 체결암과 상기 리드 이너, 상기 리드 프레임은 서로 맞대어진 후 체결부재에 일체로 체결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힌지부가 결합된 2개의 리드 이너는 각각 상기 리드 프레임에 체결부재에 의해 체결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리드 프레임과 리드 이너는 각각 중앙이 개구되게 형성되고, 개구된 부분에 배치되는 글래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리드 이너에는 상기 글래스가 배치되는 위치를 안내하는 글래스 가이드 리브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리드 이너는 복수개로 이루어지고 상기 글래스는 상기 복수의 리드 이너들을 상기 프레임을 향한 방향으로 밀어내어 고정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리드 프레임에서 상기 탑 커버보다 전방으로 돌출되고, 상기 리드 프레임과 상기 탑 커버와의 사이 공간을 통해 사용자의 손이 삽입되어 잡을 수 있도록 형성된 손잡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는 포 출입홀을 개폐하는 리드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리드 어셈블리는 리드 프레임과, 리드 프레임 내부에 결합되고 힌지부를 갖는 리드 이너를 포함한다. 상기 리드 어셈블리는 조립이 간편하고, 견고한 결합을 유지하여 제품의 신뢰성 및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힌지부에 의해 상기 리드 어셈블리의 개폐가 용이하여, 사용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세탁기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탑 커버와 리드 어셈블리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리드 어셈블리가 열린 상태가 도시된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3에 도시된 리드 어셈블리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리드 어셈블리가 분해된 상태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리드 상부 프레임의 상면이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리드 상부 프레임의 하면이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7에 도시된 리드 이너와 힌지부가 분해된 상태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7에 도시된 리드 이너와 힌지부가 결합된 상태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리드 이너의 하면이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3에 도시된 리드 하부 프레임의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리드 하부 프레임의 하면의 사시도이다.
도 15는 도 3에 도시된 데코 패널의 사시도이다.
도 16은 도 15에 도시된 데코 패널의 하면이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17은 도 3의 B부분이 확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18은 도 17에서 A-A방향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19는 도 7에 도시된 리드 어셈블리의 조립 순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의 실시예로서 탑로드 타입 세탁기(이하, '세탁기'라 칭함)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세탁기의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W)는 캐비닛(10)과, 상기 캐비닛(10)의 상측에 배치되고 포가 출입되는 포 출입홀(211)이 형성된 탑 커버(200)와, 상기 탑 커버(20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포 출입홀(211)을 개폐하는 리드 어셈블리(100)와, 사용자가 상기 세탁기(W)를 조작하기 위한 컨트롤 패널(500)을 포함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캐비닛(10)의 내부에는 지지부재(20)를 통해 매달려 있는 외조(30)가 배치된다. 상기 외조(30)의 내부에는 포가 수용되는 내조(35)가 회전가능하게 배치된다.
상기 지지부재(20)는 상단은 상기 탑 커버(200) 또는 상기 캐비닛(10)의 상측에 결합되고, 하단은 상기 외조(30)의 하부에 결합되는 댐퍼(25)를 포함한다.
상기 내조(35)의 둘레면에는 복수의 수공이 형성되고, 바닥면에는 회전 수류를 형성하기 위한 펄세이터(40)가 배치된다.
상기 외조(30)의 하부에는 상기 내조(35)와 펄세이터(40)를 회전시키는 모터(55)가 배치된다. 상기 모터(55)는 회전축을 통해 상기 내조(35)에 연결되어, 상기 내조(35)를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내조(35)와 상기 펄세이터(40) 사이에는, 상기 모터(55)의 회전력을 상기 내조(35)와 펄세이터(4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전달하기 위한 클러치(미도시)가 배치된다. 상기 클러치(미도시)에 의해, 상기 내조(35)만 회전하거나, 상기 펄세이터(40)만 회전하거나, 상기 내조(35)와 펄세이터(40)가 동시에 회전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탑 커버(200)에는 세제가 수용되는 세제박스(60)가 배치된다.
상기 세탁기(W)는 외부의 수도 등을 통해 공급되는 물을 상기 세제박스로 안내하는 급수호스(75)와, 상기 급수호스(75)를 통과하는 세탁수를 단속하는 급수밸브(미도시)를 더 포함한다.
상기 세탁기(W)는 상기 외조(30)의 하부에 연결되어 상기 외조(30)내의 세탁수를 외부로 안내하는 배수호스(80)와, 상기 외조(30)내의 세탁수를 펌핑하는 배수 펌프(86)와, 상기 배수호스(80)를 통해 유출되는 세탁수를 단속하는 배수밸브(85)를 더 포함한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탑 커버와 리드 어셈블리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리드 어셈블리가 열린 상태가 도시된 측면도이고, 도 5는 도 3의 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리드 어셈블리(100)는 상기 포 출입홀(211)을 개폐하도록 상기 탑 커버(20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리드 어셈블리(100)는 후술하는 힌지부(300)에 의해 상기 탑 커버(20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도 6은 도 3에 도시된 리드 어셈블리의 사시도이며,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리드 어셈블리가 분해된 상태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리드 어셈블리(100)는 외관을 형성하는 리드 프레임(110)과, 상기 리드 프레임(110) 내부에 결합되고 힌지부(300)를 갖는 리드 이너(140)와, 상기 리드 프레임(110)과 리드 이너(140)의 개구된 부분에 배치되는 글래스(150)와, 상기 리드 프레임(110)의 전방에 결합되는 데코 패널(160)을 포함한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리드 프레임(110)은 상측 외관을 형성하는 리드 상부 프레임(120)과, 상기 리드 상부 프레임(120)의 하측에 결합되고 하측 외관을 형성하는 리드 하부 프레임(130)을 포함한다.
상기 리드 이너(140)는 복수개가 서로 소정간격 이격되게 배치된다. 이하,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리드 이너(140)는 4개로 구성된 것으로 설명한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리드 이너(140)는 적어도 2개 이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4개의 상기 리드 이너(140)는 각각 코너 형상, 즉 'ㄱ'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리드 프레임(110)의 일변에 2개씩 배치된다. 즉, 상기 리드 이너(140)는 전방측에 배치되는 제 1,3리드 이너(141)(143)와, 후방측에 배치되고 상기 힌지부(300)를 갖는 제 2,4리드 이너(142)(144)로 구성된다. 상기 제 2,4리드 이너(142)(144)에는 각각 힌지부(300)가 결합된다.
상기 힌지부(300)는 하나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고, 복수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힌지부(300)는 상기 복수의 리드 이너 중 서로 이웃하는 리드 이너에 각각 결합되는 복수의 힌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힌지부(300)는 제 2리드 이너(142)에 결합되는 제 1힌지부(310)와, 상기 제 4리드 이너(144)에 결합되는 제 2힌지부(320)로 구성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상기 힌지부(300)에 대해서는 뒤에서 더 상세히 설명한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리드 상부 프레임의 상면이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에 도시된 리드 상부 프레임의 하면이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리드 상부 프레임(120)은 중앙부가 개구되게 형성되고, 중앙된 개구부에는 상기 글래스(150)가 배치된다.
상기 리드 상부 프레임(120)은 중앙이 개구된 사각형상의 프레임(121)부와, 상기 프레임부(121)의 전방에서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리드 하부 프레임(130)과 결합되는 결합부(122)를 포함한다.
상기 리드 상부 프레임(120)의 결합부(122)는 상기 프레임부(121)로부터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리드 상부 프레임(120)의 결합부(122)의 상측에는 상기 데코 패널(160)이 결합되고, 하측에는 상기 리드 하부 프레임(130)이 결합된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리드 상부 프레임(130)의 결합부(122)에는 상기 데코 패널(160)에 형성된 후술하는 체결 돌기(161)가 결합되는 체결돌기 결합홀(123)과, 상기 데코 패널(160)에 형성된 후술하는 가이드 돌기(162)가 결합되는 가이드 돌기 결합홀(124)과, 상기 리드 하부 프레임(130)과 나사 등의 체결부재에 의해 체결 고정되는 나사체결홀(125)이 각각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 돌기 결합홀(124)은 상기 데코 패널(160)의 조립 위치를 가이드하도록 상기 가이드 돌기(162)가 상하방향으로 삽입되는 홀이다. 즉, 후술하는 상기 가이드 돌기(162)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 홀이다.
상기 체결돌기 결합홀(123)은 상기 데코 패널(160)이 슬라이딩 체결되도록 상기 체결돌기(161)가 삽입된 후 슬라이딩되어 체결되도록 형성된 홀이다. 후술하는 상기 체결돌기(161)는 'ㄱ'자 형상으로 절곡 형성되고, 상기 체결돌기 결합홀(123)은 상기 체결돌기(161)가 삽입되는 삽입부(123a)와, 상기 삽입부(123a)에서 연장되되 폭이 축소되게 형성되어 상기 체결돌기(161)가 체결되는 체결부(123b)로 구성된다.
상기 리드 상부 프레임(120)의 결합부(122) 상측에 상기 데코 패널(160)이 배치되기 때문에, 상기 데코 패널(160)에 의해 상기 체결돌기 결합홀(123)과 가이드 돌기 결합홀(124), 그리고 나사체결홀(125)이 가려질 수 있다.
상기 프레임부(121)의 좌,우측면과 후면이 상기 리드 하부 프레임(130)과 결합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프레임부(121)의 좌,우측면과 후면이 각각 상기 힌지부(300)가 결합된 상기 리드 하부 프레임(130)과 나사 등의 체결부재에 의해 결합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여기서, 상기 리드 상부 프레임(120)의 프레임부(121)와 상기 힌지부(300)와 리드 이너(140)가 나사에 의해 일체로 체결하는 것도 가능하고, 상기 리드 상부 프레임(120)의 프레임부(121)와 상기 리드 이너(140)만이 나사에 의해 일체로 체결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상기 프레임부(121)의 좌,우측면에는 나사가 결합되는 측면 나사결합홀(121a)이 형성된다. 상기 측면 나사결합홀(121a)은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힌지부(300)에 가까운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측면 나사결합홀(121a)이 생략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프레임부(121)의 후면에는 나사가 결합되는 후면 나사결합홀(121b)이 형성된다. 상기 후면 나사결합홀(121b)은 2개가 형성되고, 각각 상기 힌지부(300)에 가까운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측면 나사결합홀(121a)과 상기 후면 나사결합홀(121b)이 상기 힌지부(300)가 체결되는 부분에 위치함으로써, 상기 힌지부(300)를 효과적으로 지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리드 상부 프레임(120)의 좌,우측면에는 상기 리드 이너(140)와 나사 등의 체결부재에 의해 체결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리드 상부 프레임(120)의 좌,우측면에는 나사 체결홀(121c)이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고, 형성되지 않는 것도 가능하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리드 상부 프레임(120)에는 상기 힌지부(300)를 감싸도록 힌지 커버부(123)가 형성된다.
상기 힌지 커버부(123)는 상기 리드 상부 프레임(120)의 좌,우측면에서 하측을 향해 각각 확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힌지 커버부(123)에는 상기 힌지부(300)의 힌지축이 관통하도록 관통홀(123a)이 형성된다.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리드 상부 프레임(120)의 좌,우측면 내측에는 상기 리드 이너(140)가 안착되도록 리드 이너 삽입홈(120a)이 형성된다. 상기 리드 이너 삽입홈(120a)은 단면이 'ㄷ'자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리드 상부 프레임(120)은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고, 탄성재질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리드 상부 프레임(120)은 강성을 위해 스틸로 이루어진 것으로 한정하여 설명한다.
도 10은 도 7에 도시된 리드 이너와 힌지부가 분해된 상태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7에 도시된 리드 이너와 힌지부가 결합된 상태가 도시된 사시도이며,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리드 이너의 하면이 도시된 사시도이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복수의 리드 이너(140)는 전방측에 배치되는 제 1,3리드 이너(141)(143)와, 후방측에 배치되고 상기 힌지부(300)를 갖는 제 2,4리드 이너(142)(144)로 구성된다.
상기 제 1,2,3,4리드 이너(141)(142)(143)(144)는 각각 'ㄱ'자 형상으로 이루어져, 각각 코너를 이루도록 배치되고, 서로 소정간격 이격되게 배치된다. 상기 제 1,2,3,4리드 이너(141)(142)(143)(144)의 각 끝단이 서로 이격되게 배치됨으로써, 열에 의한 변형이 발생할지라도 리드 이너끼리 부딪히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제 2리드 이너(142)에는 상기 제 1힌지부(310)가 삽입되도록 제 1힌지 수용부(142a)가 형성된다.
상기 제 4리드 이너(144)에는 상기 제 2힌지부(320)가 삽입되도록 제 2힌지 수용부(144a)가 형성된다.
상기 제 1,2힌지 수용부(142a)(144a)가 상기 제 2,4리드 이너(142)(144)에 형성된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제 1,2힌지 수용부(142a)(144a)는 상기 제 2,4리드 이너(142)(144)와 상기 리드 하부 프레임(130)의 결합으로 이루어지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상기 제 1,2힌지부(310)(320)는 각각 상기 제1,2힌지 수용부(141a)(142a)에 축방향으로 삽입되어 결합된다.
상기 제 1,2힌지부(310)(320)는 각각 상기 제 2,4리드 이너(142)(144)에 삽입되고 힌지축을 감싸는 힌지 하우징(311)(321)과, 상기 힌지 하우징(311)(321)의 일측에서 돌출되어 상기 제 2,4리드 이너(142)(144)의 측면에 맞대어지도록 형성된 체결암(312)(322)을 포함한다.
상기 제 1,2힌지부(310)(320)의 체결암(312)(322)은 상기 리드 이너(140)와 상기 리드 프레임(110)에 일체로 체결 고정되는 것도 가능하고, 상기 리드 이너(140)에만 체결 고정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제 1,2힌지부(310)(320)는 동일한 기능을 하도록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고, 서로 다른 기능을 갖도록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 1힌지부(310)는 상기 리드 어셈블리(100)의 개폐시 회동정도를 조절하고, 상기 제 2힌지부(320)는 상기 리드 어셈블리(100)의 개폐시 회전속도를 감속시켜 충격을 완화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즉, 상기 제 1힌지부(310)는 내부에 유체가 충진되어 유압에 의해 회동 속도를 조절하는 유압 댐퍼를 포함한다.
상기 제 2힌지부(320)는 상기 리드 어셈블리(100)가 개방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힌지부(300)는 상기에 한정되지 않고, 회전각도 및 회전속도를 제어하는 모든 장치를 포함한다.
도 12를 참조하면, 상기 제 1,2,3,4리드 이너(141)(142)(143)(144)의 하면에는 복수의 리브들이 형성된다.
상기 제 1,2,3,4리드 이너(141)(142)(143)(144)의 하면에는 상기 글래스가(150) 안착되도록 글래스 가이드 리브(140a)가 돌출 형성된다.
상기 글래스 가이드 리브(140a)는 상기 글래스(150)의 조립 위치를 안내한다. 상기 글래스 가이드 리브(140a)는 상기 제 1,2,3,4리드 이너(141)(142)(143)(144)의 하면에서 하향 돌출되는 것도 가능하고, 하향 돌출된 후 일방향으로 절곡되어 'ㄱ'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제 1리드 이너(141)와 상기 제 3리드 이너(143)는 대칭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므로,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상기 제 3리드 이너(143)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상기 제 3리드 이너(143)의 하면에는 강도를 보강하기 위한 제 1보강 리브(143a)가 형성된다. 상기 제 1보강 리브(143a)는 전후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상기 제 1보강 리브(143a)는 복수개가 좌우방향으로 소정간격 이격되게 배치된다. 상기 제 1보강 리브(143a)는 상기 글래스(150)의 결합시 상기 글래스(150)가 상기 제 3리드 이너(143)에 가하는 힘에 의한 상기 제 3리드 이너(143)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 3리드 이너(143)의 하면에는 상기 리드 하부 프레임(130)과 결합되도록 하향 돌출된 이너 하향 리브(143b)와, 상기 리드 하부 프레임(130)과 결합되는 결합홀(143c)이 형성된다.
상기 이너 하향 리브(143b)는 상기 리드 하부 프레임(130)에 형성된 후술하는 이너 하향 리브 결합부(131a,도 13참조)에 결합된다.
상기 결합홀(143c)은 상기 리드 하부 프레임(130)에 형성된 후술하는 프레임 리브(131b, 도 13참조)와 결합된다. 상기 결합홀(143c)은 상기 프레임 리브(131b)가 삽입되는 삽입홀이다. 상기 결합홀(143c)의 일측면에는 상기 프레임 리브(131b)가 삽입된 후 걸림되도록 돌기(143d)가 돌출 형성된다.
상기 제 3리드 이너의 전면에는 전방으로 돌출된 이너 전방향 돌기(143e)가 형성된다. 상기 이너 전방향 돌기(143e)는 복수개가 소정간격 이격되게 배치된다. 상기 이너 전방향 돌기(143e)는 상기 리드 하부 프레임에 형성된 후술하는 전방향 돌기 결합 리브(132d)에 결합된다.
상기 제 2리드 이너(142)와 상기 제 4리드 이너(144)도 역시 대칭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상기 제 2리드 이너(142)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상기 제 2리드 이너(142)의 하면에는 강도를 보강하기 위한 제 2보강 리브(142b)가 형성된다. 상기 제 2보강 리브(142b)는 전후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상기 제 2보강 리브(142b)는 복수개가 좌우방향으로 소정간격 이격되게 배치된다. 상기 제 2보강 리브(142b)는 상기 글래스(150)의 결합시 상기 글래스(150)가 상기 제 2리드 이너(142)에 가하는 힘에 의한 상기 제 2리드 이너(142)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 2리드 이너(142)의 하면에는 상기 리드 하부 프레임(130)에 형성된 후술하는 프레임 리브(131c, 도 13참조)와 결합되는 결합홀(142c)이 형성된다. 상기 결합홀(142c)은 상기 프레임 리브(131b)가 삽입되는 삽입홀이다. 상기 결합홀(142c)의 일측면에는 상기 프레임 리브(131b)가 삽입된 후 걸림되도록 돌기(142d)가 돌출 형성된다.
도 13은 도 3에 도시된 리드 하부 프레임의 사시도이고,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리드 하부 프레임의 하면의 사시도이다.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면, 상기 리드 하부 프레임(130)은 중앙이 개구된 사각형상의 프레임부(131)와, 상기 프레임부(131)의 전방에서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리드 상부 프레임(120)과 결합되는 결합부(132)를 포함한다.
상기 리드 하부 프레임(130)의 결합부(132)는 상기 프레임부(131)로부터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리드 하부 프레임(130)의 결합부(132)에는 잠금장치가 체결되는 잠금장치 체결홀(132a)이 형성된다.
도 13을 참조하면, 상기 리드 하부 프레임(130)의 결합부(132)에는 상기 리드 상부 프레임(120)의 나사 체결홀(125)에 대응되도록 나사 체결홀(132b)이 형성된다.
상기 리드 하부 프레임(130)의 결합부(132) 하단에는 상기 데코 패널(160)과 결합되도록 전방으로 돌출된 프레임 전방향 리브(132c)가 형성된다.
상기 프레임 전방향 리브(132c)는 후술하는 데코패널 돌기(163, 도 16참조)와 결합된다.
상기 리드 하부 프레임(130)의 결합부(132)에는 서로 이격된 한 쌍의 리드 이너(140)들 사이의 이격 공간으로 압입되도록 돌출되어, 상기 한 쌍의 리드 이너(140)들을 서로 이격되는 방향으로 밀어내어, 상기 한 쌍의 리드 이너(140)들을 상기 리드 프레임(110)의 내측면에 밀착시키는 틈새 압입부(133)가 형성된다.
상기 틈새 압입부(133)는 상기 리드 하부 프레임(130)의 결합부(132) 상면에서 상향 돌출되고, 서로 소정간격 이격되게 형성된 한 쌍의 리브이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틈새 압입부(133)는 소정의 두께를 갖는 돌출부로 이루어지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이하,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틈새 압입부(133)는 한 쌍의 리브인 것으로 설명한다.
상기 틈새 압입부(133)는 상기 리드 하부 프레임(130)의 결합부(132) 전방에 형성되고, 상기 제 1리드 이너(141)와 상기 제 3리드 이너(143)사이의 이격공간으로 삽입되는 전방 틈새 압입부(133a)와, 상기 리드 하부 프레임(130)의 프레임부(131)의 우측부에 형성되어, 상기 제 1리드 이너(141)와 상기 제 2리드 이너(142)사이의 이격공간으로 삽입되는 우측 틈새 압입부(133b)와, 상기 리드 하부 프레임(130)의 프레임부(131)의 후방에 형성되고 상기 제 2리드 이너(142)와 상기 제 4리드 이너(144)사이의 이격공간으로 삽입되는 후방 틈새 압입부(133c)와, 상기 리드 하부 프레임(130)의 프레임부(131)의 좌측부에 형성되어, 상기 제 4리드 이너(144)와 상기 제 3리드 이너(143)사이의 이격공간으로 삽입되는 좌측 틈새 압입부(미도시)를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제 1리드 이너(141)의 양단은 각각 상기 전방 틈새 압입부(133a)와 상기 우측 틈새 압입부(133b)에 의해 밀리면서, 상기 제 1리드 이너(141)는 상기 리드 상부 프레임(120)의 내부에서 전방 우측 모서리에 밀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3리드 이너(143)의 양단은 각각 상기 전방 틈새 압입부(133a)와 상기 좌측 틈새 압입부(미도시)에 의해 밀리면서, 상기 제 3리드 이너(143)는 상기 리드 상부 프레임(120)의 내부에서 전방 좌측 모서리에 밀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2리드 이너(142)의 양단은 각각 상기 우측 틈새 압입부(133b)와 상기 후방 틈새 압입부(133c)에 의해 밀리면서, 상기 제 2리드 이너(142)는 상기 리드 상부 프레임(120)의 내부에서 후방 우측 모서리에 밀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4리드 이너(144)의 양단은 각각 상기 후방 틈새 압입부(133c)와 상기 좌측 틈새 압입부(미도시)에 의해 밀리면서, 상기 제 4리드 이너(144)는 상기 리드 상부 프레임(120)의 내부에서 후방 좌측 모서리에 밀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리드 하부 프레임(130)에는 상기 이너 하향 리브(143b)와 결합되도록 후술하는 이너 하향 리브 결합부(131a)가 형성된다.
상기 리드 하부 프레임(130)의 상면에는 상기 결합홀(143c)에 삽입되는 프레임 리브(131b)가 돌출 형성된다. 상기 프레임 리브(131b)는 상기 리드 하부 프레임(130)의 좌,우측 모서리와 상기 후측 모서리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 리브(131b)에는 상기 결합홀(143c)에 형성된 상기 돌기(143d)가 결합되도록 돌기홀(131c)이 형성된다.
상기 리드 하부 프레임(130)의 상면에는 상기 이너 전방향 돌기(143e)와 결합되는 전방향 돌기 결합 리브(132d)가 형성된다. 상기 전방향 돌기 결합 리브(132d)는 상기 이너 전방향 돌기(143e)가 전후방향으로 삽입되도록 삽입홀이 형성된다.
도 14를 참조하면, 상기 리드 하부 프레임(130)은 상기 리드 어셈블리(100)의 하면을 이루어 하측 외관을 형성한다.
상기 리드 하부 프레임(130)의 하면에는 사용자가 용이하게 상기 리드 어셈블리를 잡을 수 있도록 손잡이 홈(134)이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사용자가 후술하는 손잡이만을 이용하도록 손잡이 홈이 형성되지 않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상기 리드 하부 프레임(130)의 하면에는 쿠션부(135)가 장착되는 쿠션부 체결홀(136)이 형성된다.
도 15는 도 3에 도시된 데코 패널의 사시도이고, 도 16은 도 15에 도시된 데코 패널의 하면이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상기 데코 패널(160)은 상기 리드 하부 프레임(130)에 결합된 상기 리드 상부 프레임(120)의 전방에 슬라이딩 체결된다. 상기 데코 패널(160)은 상기 리드 상부 프레임(130)의 결합부 형성에 대응되도록 하방향으로 경사지거나 굴곡지게 형성될 수 있다.
도 16을 참조하면, 상기 데코 패널(160)의 하면에는 상기 리드 하부 프레임(130)의 프레임 전방향 리브(132c)와 결합되는 데코패널 돌기(163)가 형성된다. 상기 데코패널 돌기(163)는 상기 프레임 전방향 리브(132c)에 형성된 체결홀에 체결된다.
상기 데코 패널(160)의 하면에는 체결돌기(161)가 복수개 형성된다. 상기 체결 돌기(161)는 'ㄱ'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리드 상부 프레임(120)의 결합부(122)에 형성된 체결 돌기 결합홀(123)에 결합된다.
상기 데코 패널(160)의 하면에는 가이드 돌기(162)가 복수개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 돌기(162)는 상기 리드 상부 프레임(120)의 결합부(122)에 형성된 가이드 돌기 결합홀(124)에 결합되어, 상기 데코 패널(160)의 조립시 위치를 안내한다.
도 17은 도 3의 B부분이 확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18은 도 17에서 A-A방향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17 및 도 18을 참조하면, 상기 리드 어셈블리(100)의 전방은 상기 탑 커버(200)보다 전방으로 돌출되어 손잡이(400)를 형성한다.
도 18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상기 손잡이(400)를 잡기에 용이하도록 상기 리드 어셈블리(100)의 전방 끝단은 상기 탑 커버(200)보다 전방으로 소정의 거리(d)만큼 돌출되게 배치된다.
상기 손잡이(400)와 상기 탑 커버(200)는 상하방향 및 전후방향으로 이격되어 이격공간(S1,S2)을 형성한다. 상기 이격공간(S1,S2)은 성인의 손이 들어갈 수 있을 정도의 충분한 공간으로 형성된다. 상기 손잡이(400)와 상기 탑 커버(200) 사이에는 상하방향 이격공간(S1)과 전후방향 이격공간(S2)이 형성된다. 사용자의 손은 상기 상하방향 이격공간(S1)와 전후방향 이격공간(S2)으로 차례로 삽입되어 상기 손잡이(400)를 잡고 상기 리드 어셈블리(100)를 들어올리게 된다.
상기 이격공간(S1,S2)은, 상기 탑 커버(200)의 전방에 형성된 단차부(210)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단차부(210)는 상기 탑 커버(200)의 전방이 상기 손잡이(400)와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단차지게 형성된 것이다. 상기 단차부(210)의 각 코너는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손잡이(400)는 상기 리드 하부 프레임(130)과 상기 데코 패널(160)이 결합된 부분의 하단부이다. 상기 손잡이(400)의 하단부는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손잡이(400)의 하단부는 전후방향 두께(t)가 성인 손가락 중 중지의 한 마디 정도의 두께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상기 손잡이(400)의 하단부는 전후방향 두께가 15mm내지 17mm 범위 이내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손잡이(400)의 하단부 두께(t)가 성인 손가락 중 중지의 한 마디 정도의 두께를 가질 경우, 사용자의 손가락이 상기 이격공간(S1,S2)을 통해 삽입이 용이하다.
도 19는 도 7에 도시된 리드 어셈블리의 조립 순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9를 참조하여, 상기 리드 어셈블리의 조립방법 및 조립 순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19a 및 도 1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립자는 상기 리드 상부 프레임(120)을 뒤집어서, 하면이 조립자를 향한 상측에 위치하도록 배치한다.
상기 리드 상부 프레임(120)의 하면에 상기 제 1,2,3,4리드 이너(141)(142)(143)(144)들을 배치한다. 상기 제 1,2,3,4리드 이너(141)(142)(143)(144)들은 각 끝단이 서로 소정간격 이격되게 배치된다. 상기 제 1,2,3,4리드 이너(141)(142)(143)(144)들은 각각 코너 형상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상기 리드 상부 프레임(120)의 각 코너에 배치된다.
상기 제 1,2,3,4리드 이너(141)(142)(143)(144)의 배치가 완료되면, 조립자는 상기 글래스(150)를 조립한다.
도 19c 및 도 19d를 참조하면, 조립자는 상기 글래스(150)를 상기 제 1,2,3,4리드 이너(141)(142)(143)(144) 위에 배치한다. 상기 글래스(150)는 상기 글래스 가이드 리브(140a)에 의해 조립 위치가 안내된다. 상기 글래스(150)를 상기 글래스 가이드 리브(140a)내에 안착시키면서 상기 글래스(150)에 소정의 힘을 가하면, 상기 제 1,2,3,4리드 이너(141)(142)(143)(144)들이 상기 리드 상부 프레임(120)의 네 측면에 각각 밀착되는 방향으로 밀려나게 된다. 상기 제 1,2,3,4리드 이너(141)(142)(143)(144)들은 상기 리드 상부 프레임(120)의 상기 리드 이너 삽입홈(도120a,도 9참조)으로 삽입된 후 밀착된다. 따라서, 상기 제 1,2,3,4리드 이너(141)(142)(143)(144)가 상기 리드 상부 프레임(120)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도 19e 및 도 19f를 참조하면, 상기 제 2리드 이너(142)와 상기 제 4리드 이너(144)에는 각각 상기 제 1,2힌지부(310)(320)을 삽입한다. 상기 제 1힌지부(310)는 상기 제 2리드 이너(142)의 힌지 수용부(142a,도 10참조)에 삽입되고, 상기 제 2힌지부(320)는 상기 제 4리드 이너(144)의 힌지 수용부(144a,도 10참조)에 삽입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리드 상부 프레임(120)에 상기 리드 이너(140)를 조립한 후, 상기 제 1,2힌지부(310)(320)를 조립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제 1,2힌지부(310)(320)를 상기 제 2,4리드 이너(142)(144)에 먼저 결합하여 상기 제 1,2힌지부(310)(320)가 결합된 상기 제 2,4리드 이너(142)(144)를 상기 리드 상부 프레임(120)에 조립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한편, 상기 제 2리드 이너(142)에는 상기 제 1힌지부(310)가 결합되고, 상기 제 4리드 이너(144)에는 상기 제 2힌지부(320)가 결합되기 때문에, 상기 제 1힌지부(310)와 상기 제 2힌지부(320)의 각 힌지축이 서로 일렬로 배치되도록 정렬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상기 각 힌지축이 일렬로 정렬되지 않을 경우, 상기 리드 어셈블리의 개폐시 비틀림 현상등이 생길 수 있다.
상기 제 1힌지부(310)와 상기 제 2힌지부(320)의 각 힌지축이 서로 일렬로 배치되도록 상기 제 1,2힌지부(310)(320)가 결합된 상기 제 2,4리드 이너(142)(144)를 상기 리드 상부 프레임(120)에 나사 등의 체결부재에 의해 체결 고정시킨다. 상기 제 2,4리드 이너(142)(144)를 각각 체결 고정시, 상기 힌지부(310)(320)에 가까운 위치에서 체결 고정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리드 상부 프레임(120)에는 상기 제 2,4리드 이너(142)(144)와 나사 체결되는 측면 나사체결홀(121a)와 후면 나사체결홀(121b)가 각각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 2,4리드 이너(142)(144)를 상기 리드 상부 프레임(120)에 체결 고정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상기 리드 하부 프레임(130)과도 체결 고정하는 것이 물론 가능하다.
상기 글래스(150)와 상기 힌지부(310)(320)의 조립이 완료되면, 조립자는 상기 리드 하부 프레임(130)을 조립한다.
도 19g 및 도 19h를 참조하면, 상기 글래스(150)의 상측에 상기 리드 하부 프레임(130)을 뒤집어서 배치한다. 상기 리드 하부 프레임(130)을 상기 리드 이너(140)에 결합시킨다. 상기 리드 이너(140)에 형성된 상기 이너 하향 리브(143b,도 12참조)가 상기 리드 하부 프레임(130)에 형성된 상기 이너 하향 리브 결합부(131a, 도 13참조)와 결합된다.
또한, 상기 리드 이너(140)에 형성된 결합홀(143c, 도 12참조)는 상기 리드 하부 프레임(130)에 형성된 상기 프레임 리브(131b,도 13참조)와 결합된다.
또한, 상기 제 1,3리드 이너(141)(143)에 형성된 상기 이너 전방향 돌기(143e, 도 12참조)는 상기 리드 하부 프레임(130)에 형성된 상기 전방향 돌기 결합 리브(132d)에 결합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 리드 이너(140)와 상기 리드 하부 프레임(130)이 견고하게 조립될 수 있다.
이후, 도 19i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립자는 기조립된 조립물을 뒤집어서, 상기 리드 상부 프레임(120)의 상면이 상측을 향하도록 배치한다.
상기 리드 상부 프레임(120)과 상기 리드 하부 프레임(130)을 나사 등의 체결부재에 의해 체결 고정한다. 나사 등의 체결부재를 상기 리드 상부 프레임(120)의 결합부(122)에 형성된 상기 나사체결홀(125,도 8참조)과 상기 리드 하부 프레임(130)의 결합부(132)에 형성된 나사체결홀(132d,도 13참조)에 체결한다. 따라서, 상기 리드 상부 프레임(120)과 상기 리드 하부 프레임(130)이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이후, 도 19i 및 도 19j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데코 패널(160)을 상기 리드 상부 프레임(120)의 결합부(122)에 결합시킨다.
조립자는 상기 데코패널(160)을 상기 리드 상부 프레임(120)의 결합부(122)에 상측으로 슬라이딩하여 체결할 수 있다.
상기 데코 패널(160)에 형성된 가이드 돌기(162,도 16참조)는 상기 결합부(122)에 형성된 상기 가이드 돌기 결합홀(124,도 8참조)와 결합된다.
상기 데코 패널(160)에 형성된 체결돌기(161,도 16참조)는 상기 결합부(122)에 형성된 상기 체결돌기 결합홀(123,도 8참조)와 결합된다.
상기 데코 패널(160)을 슬라이딩 이동시킨 후 체결하기 때문에, 상기 데코 패널(160)의 결합이 용이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캐비닛 100: 리드 어셈블리
110: 리드 프레임 120: 리드 상부 프레임
130: 리드 하부 프레임 140: 리드 이너
150: 글래스 160: 데코 패널
200: 탑 커버 300: 힌지부
310: 제 1힌지부 320: 제 2힌지부
400: 손잡이 500: 컨트롤 패널

Claims (22)

  1. 캐비닛과;
    상기 캐비닛의 개구된 상면에 배치되고, 포 출입홀이 형성된 탑 커버와;
    상기 탑 커버에 회동 가능토록 배치되어, 상기 포 출입홀을 개폐하는 리드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리드 어셈블리는 외관을 형성하는 리드 프레임과, 상기 리드 프레임 내부에 결합되고 힌지부를 갖는 리드 이너를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기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리드 프레임은 외관 상측을 형성하고 상기 리드 이너를 지지하는 리드 상부 프레임과, 상기 리드 상부 프레임의 하측에 결합되는 리드 하부 프레임을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기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리드 상부 프레임과 상기 리드 하부 프레임은 체결부재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결합되는 세탁물 처리기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리드 프레임의 내측면에는 상기 리드 이너가 삽입되도록 리드 이너 삽입홈이 형성된 세탁물 처리기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리드 이너는 복수개가 서로 소정간격 이격되게 배치되는 세탁물 처리기기.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힌지부는,
    상기 복수의 리드 이너 중 서로 이웃하는 리드 이너에 각각 결합되는 복수의 힌지부를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기기.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힌지부는,
    상기 리드 어셈블리의 개폐시 회동정도를 조절하는 제 1힌지부와, 상기 리드 어셈블리의 개폐시 회전 속도를 조절하여 충격을 완화시키는 제 2힌지부를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기기.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 1힌지부는 내부에 유체가 충진되어 유압에 의해 회동 속도를 조절하는 유압 댐퍼를 포함하고,
    상기 제 2힌지부는 상기 리드 어셈블리가 개방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기기.
  9.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리드 프레임의 일변에는,
    상기 복수의 리드 이너 중 상기 힌지부를 갖는 리드 이너가 적어도 2개 이상이 배치되고,
    상기 힌지부를 갖는 각각의 리드 이너는 상기 2개 이상의 리드 이너에 각각 결합된 힌지부의 힌지축이 서로 일렬로 배치되도록 상기 리드 프레임에 체결부재에 의해 각각 체결 고정되는 세탁물 처리기기.
  10.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리드 이너는 각각 코너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서로 소정간격 이격되게 배치된 4개의 리드 이너를 포함하고,
    상기 리드 프레임의 일변에는 상기 리드 이너가 2개씩 배치되는 세탁물 처리기기.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힌지부는 상기 2개의 리드 이너에 각각 배치된 제 1,2힌지부를포함하고,
    상기 제 1,2힌지부를 갖는 각각의 리드 이너들은 상기 제 1,2힌지부의 힌지축이 서로 일렬로 배치되도록 상기 리드 프레임에 체결부재에 의해 각각 체결 고정되는 세탁물 처리기기.
  12.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리드 프레임은,
    상기 복수의 리드 이너 중 한 쌍의 리드 이너 사이의 이격공간으로 압입되도록 돌출되어, 상기 한 쌍의 리드 이너를 서로 이격되는 방향으로 밀어 상기 리드 프레임의 내측면에 밀착시키는 틈새 압입부를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기기.
  13.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틈새 압입부는 상기 리드 프레임에서 돌출되고, 서로 소정간격 이격되게 형성된 복수의 리브를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기기.
  1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리드 프레임의 측면은 상기 힌지부를 감싸도록 확장 형성된 힌지 커버부를 갖는 세탁물 처리기기.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힌지 커버부는,
    상기 힌지부의 힌지축이 관통하는 관통홀이 형성된 세탁물 처리기기.
  1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힌지부는,
    상기 리드 이너에 형성된 힌지 수용부에 축방향으로 삽입되어 결합되는 세탁물 처리기기.
  1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힌지부는,
    상기 리드 이너에 삽입되고 힌지축을 감싸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서 돌출되어 상기 리드 이너의 측면에 맞대어지도록 형성된 체결암을 포함하고,
    상기 힌지부의 체결암과 상기 리드 이너, 상기 리드 프레임은 서로 맞대어진 후 체결부재에 일체로 체결 고정되는 세탁물 처리기기.
  1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힌지부가 결합된 2개의 리드 이너는 각각 상기 리드 프레임에 체결부재에 의해 체결 고정되는 세탁물 처리기기.
  1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리드 프레임과 리드 이너는 각각 중앙이 개구되게 형성되고,
    개구된 부분에 배치되는 글래스를 더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기기.
  20. 청구항 19에 있어서,
    상기 리드 이너에는,
    상기 글래스가 배치되는 위치를 안내하는 글래스 가이드 리브가 돌출형성된 세탁물 처리기기.
  21. 청구항 20에 있어서,
    상기 리드 이너는 복수개로 이루어지고,
    상기 글래스는 상기 복수의 리드 이너들을 상기 프레임을 향한 방향으로 밀어내어 고정시키는 세탁물 처리기기.
  2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리드 프레임에서 상기 탑 커버보다 전방으로 돌출되고, 상기 리드 프레임과 상기 탑 커버와의 사이 공간을 통해 사용자의 손이 삽입되어 잡을 수 있도록 형성된 손잡이를 더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기기.
KR1020100017969A 2009-07-31 2010-02-26 세탁물 처리기기 KR1017161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2/846,171 US8511115B2 (en) 2009-07-31 2010-07-29 Washing machi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1058 2009-07-31
KR20090071056 2009-07-31
KR1020090071056 2009-07-31
KR20090071058 2009-07-3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3170A true KR20110013170A (ko) 2011-02-09
KR101716169B1 KR101716169B1 (ko) 2017-03-27

Family

ID=43772957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9902A KR20110013137A (ko) 2009-07-31 2009-10-20 세탁물 처리기기
KR1020100017969A KR101716169B1 (ko) 2009-07-31 2010-02-26 세탁물 처리기기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9902A KR20110013137A (ko) 2009-07-31 2009-10-20 세탁물 처리기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511115B2 (ko)
KR (2) KR20110013137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2013245561B2 (en) 2012-10-25 2016-05-26 Lg Electronics Inc. Laundry treatment machine with lid hinge having cam members
AU2013245560B2 (en) * 2012-10-25 2016-01-07 Lg Electronics Inc. Laundry treatment machine
KR20150005060A (ko) * 2013-07-04 2015-01-14 동부대우전자 주식회사 세탁기
USD758033S1 (en) * 2014-08-19 2016-05-31 Whirlpool Corporation Topload washing appliance
USD759912S1 (en) * 2014-08-19 2016-06-21 Whirlpool Corporation Topload washing appliance
USD797387S1 (en) * 2014-08-19 2017-09-12 Whirlpool Corporation Topload washing appliance
USD774713S1 (en) 2014-08-19 2016-12-20 Whirlpool Corporation Topload washing appliance
US9777420B2 (en) * 2015-01-05 2017-10-03 Haier Us Appliance Solutions, Inc. Washing machine appliance lid assembly
USD822924S1 (en) 2015-09-18 2018-07-10 Whirlpool Corporation Washing machine
USD833091S1 (en) 2016-03-09 2018-11-06 Whirlpool Corporation Dryer
USD847444S1 (en) 2016-03-09 2019-04-30 Whirlpool Corporation Washing machine
CN107304514B (zh) * 2016-04-21 2023-11-14 佛山市顺德海尔电器有限公司 一种洗衣机上盖及洗衣机
US10246922B2 (en) 2017-03-20 2019-04-02 Haier Us Appliance Solutions, Inc. Dampener for an appliance
USD942715S1 (en) 2018-10-08 2022-02-01 Whirlpool Corporation Fabric care appliance
CN111485781B (zh) * 2019-01-28 2021-11-23 无锡小天鹅电器有限公司 悬停装置、门盖组件及洗衣机
US11162201B2 (en) 2019-04-15 2021-11-02 Whirlpool Corporation Lid assembly for a laundry appliance
CA193582S (en) * 2019-09-24 2021-12-03 Lg Electronics Inc Control panel for washing machine
US11866970B2 (en) 2020-12-07 2024-01-09 Whirlpool Corporation Fabric treatment machine hinge spacer
US11939717B2 (en) 2021-04-22 2024-03-26 Haier Us Appliance Solutions, Inc. Hinge assembly for an applianc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82927B1 (en) * 1999-03-31 2001-09-04 Maytag Corporation Washing machine assembly
KR20020030620A (ko) * 2000-10-19 2002-04-25 구자홍 경사형 도어를 갖는 세탁기의 도어 힌지어셈블리
KR20030055957A (ko) * 2001-12-27 2003-07-04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세탁기의 도어
US20040231370A1 (en) * 2003-04-10 2004-11-25 Maytag Corporation Washing machine lid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118167A (en) * 1959-10-28 1964-01-21 John N Morris Door checking appliance
US4785643A (en) * 1986-12-08 1988-11-22 Whirlpool Corporation Basket access for automatic washer
US4787121A (en) * 1987-10-16 1988-11-29 Speed Queen Company Hinge with stop
KR101126912B1 (ko) * 2004-07-19 2012-03-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 리드의 힌지 보강 구조
KR20060039185A (ko) * 2004-11-02 2006-05-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의 도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82927B1 (en) * 1999-03-31 2001-09-04 Maytag Corporation Washing machine assembly
KR20020030620A (ko) * 2000-10-19 2002-04-25 구자홍 경사형 도어를 갖는 세탁기의 도어 힌지어셈블리
KR20030055957A (ko) * 2001-12-27 2003-07-04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세탁기의 도어
US20040231370A1 (en) * 2003-04-10 2004-11-25 Maytag Corporation Washing machine li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511115B2 (en) 2013-08-20
KR20110013137A (ko) 2011-02-09
US20110089793A1 (en) 2011-04-21
KR101716169B1 (ko) 2017-03-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13170A (ko) 세탁물 처리기기
KR20110013136A (ko) 세탁물 처리기기
KR102433866B1 (ko) 세탁기
KR102627713B1 (ko) 세탁기
US8151603B2 (en) Door for washing machine
US20080053159A1 (en) Laundry machine
KR20090115005A (ko) 드럼세탁기의 도어
EP3339488B1 (en) Washing machine
KR102466277B1 (ko) 세탁기
KR101443636B1 (ko) 드럼세탁기의 도어
KR101708634B1 (ko) 세탁물 처리기기
KR102643352B1 (ko) 의류처리장치
US20100005839A1 (en) Washing machine
KR20150079332A (ko) 의류처리장치 및 그 조립방법
KR101739405B1 (ko) 세탁물 처리기기
KR20110013140A (ko) 세탁물 처리기기
KR101234038B1 (ko) 드럼세탁기의 도어
KR102274509B1 (ko) 드럼세탁기 이중도어
KR20140052718A (ko) 세탁물 처리기기
KR20110013133A (ko) 세탁물 처리기기
KR101898496B1 (ko) 세탁장치
KR20130123542A (ko) 드럼세탁기용 도어
KR20110013139A (ko) 세탁물 처리기기
KR20120105754A (ko) 세탁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