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13069A - 세탁물 처리기기 - Google Patents

세탁물 처리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13069A
KR20110013069A KR1020090071065A KR20090071065A KR20110013069A KR 20110013069 A KR20110013069 A KR 20110013069A KR 1020090071065 A KR1020090071065 A KR 1020090071065A KR 20090071065 A KR20090071065 A KR 20090071065A KR 20110013069 A KR20110013069 A KR 201100130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wer bearing
upper bearing
bearing coupling
reducing member
coupling portio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710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08672B1 (ko
Inventor
김영종
이혁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710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8672B1/ko
Priority to EP10804742.4A priority patent/EP2459791B1/en
Priority to PCT/KR2010/005004 priority patent/WO2011014029A2/en
Priority to CN201080034114.8A priority patent/CN102471978B/zh
Priority to US13/387,987 priority patent/US9970145B2/en
Publication of KR201100130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30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86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86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0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 D06F37/24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in machines with a receptacle rotating or oscillating about a vertical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06F37/267Tubs specially adapted for mounting thereto components or devices not provided for in preceding subgroups
    • D06F37/269Tubs specially adapted for mounting thereto components or devices not provided for in preceding subgroups for the bearing of the rotary receptacl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30Driving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부베어링부와 하부베어링부의 사이에 배치되는 진동저감부재를 포함한다. 진동저감부재는 굴곡을 형성할 수 있다. 진동저감부재는 상부베어링부와 하부베어링부의 사이에 배치되어 하부베어링부에서 전달되는 진동을 저감시킨다. 진동저감부재는 상부베어링부와 체결되어 고정되는 복수개의 상부베어링결합부들과, 상부베어링결합부들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부베어링결합들을 연결하고, 하부베어링부를 고정하도록 형성되는 복수개의 하부베어링결합부들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세탁물 처리기기{Washing machine}
본 발명은 세탁물 처리기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상부베어링부와 하부베어링부의 사이에 배치되어 진동을 흡수하는 진종저감부재를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기기에 관한 것이다.
세탁물 처리기기는 세탁물의 이물질을 제거하여 처리하는 기기를 말한다. 세탁물 처리기기는 세탁물이 삽입되는 세탁조를 포함한다. 또한, 세탁물 처리기기는 세탁조를 회전시켜 이물질을 제거한다. 이 때, 세탁물 처리기기는 세탁조를 회전시키도록 구동력을 생성하는 구동장치를 포함한다. 구동장치는 전자기력을 생성하는 스테이터와, 전자기력에 의하여 회전하는 로터를 포함한다. 로터는 세탁조와 직결되는 회전축과 체결되어 회전력을 세탁조로 전달한다. 이 때, 로터가 회전하면, 진동에 의하여 세탁조 및 저수조가 진동하게 된다. 따라서 진동에 의하여 외부에 소음이 발생되어 소비자에게 불쾌감을 형성하는 경우가 발생하였다.
본 발명은 하부베어링부로부터 상부베어링부로 전달되는 진동을 저감시키는 세탁물 처리기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부베어링부와, 상기 상부베어링부와 체결되는 하부베어링부와, 상기 상부베어링부와 상기 하부베어링부의 사이에 배치되는 진동저감부재를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기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부베어링부와 하부베어링부의 사이에 배치되어 하부베어링부로부터 상부베어링부로 전달되는 진동을 저감시키는 진동저감부재를 포함한다. 따라서 진동저감부재에 의하여 구동장치의 작동 시 발생하는 소음이 저감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100)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Ⅱ-Ⅱ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세탁물 처리기기(100)는, 캐비닛(110)과, 캐비닛(110) 내부에 배치되어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세탁수를 저장하는 저수조(115)와, 저수조(115) 내측에 배치되어 세탁물이 삽입되는 세탁조(122)와, 세탁조(122)를 회전시키도록 구동력을 생성하는 구동장치(미표기)와, 외부로부터 저수조(115) 및 세탁조(122)에 세탁수를 공급하는 세탁수 공급장치(미표기)와, 저수조(115) 및 세탁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수장치(미표기)를 포함한다. 캐비닛(110)은, 캐비닛 본체(111)와, 캐비닛 본체(111)의 하측에 배치되어 체결되는 베이스(미표기)와, 캐비닛 본체(111)의 상측에 배치되어 캐비닛 본체(111)와 체결되는 커버(123)와, 커 버(123)의 일측에 배치되어 캐비닛 본체(111)와 체결되는 컨트롤패널(126)을 포함한다. 한편, 컨트롤패널(126)에는 사용자로부터 외부신호를 입력받는 입력부(미도시)가 형성된다.
사용자가 입력부를 통하여 외부신호를 입력하면, 세탁물 처리기기(100)는 작동한다. 즉, 세탁수공급장치가 외부로부터 세탁수를 세탁조(122) 및 저수조(115)로 유입시킨다. 이 때, 세탁수가 유입되면서 사용자가 삽입한 세제가 용해되어 세탁조(122) 및 저수조(115)로 공급된다. 세탁수가 공급되면, 구동장치는 구동력을 생성하여 세탁조(122)를 회전시킨다. 이 때, 세탁조(122)가 회전하면 세탁조(122) 내부에서 세탁수의 유동에 의하여 세탁물에 힘을 가하게 된다. 따라서 세탁물의 이물질은 세탁물로부터 분리된다. 한편, 세탁물의 이물질을 제거한 후, 세탁조(122) 및 저수조(115)의 세탁수를 외부로 배출한다. 세탁수의 배출이 완료되면, 세탁수공급장치는 외부로부터 세제를 포함하지 않는 세탁수를 유입시켜 세탁물에 흡착된 세제를 세탁수로 용해시킨다. 또한, 구동장치는 세탁조(122)를 회전시켜 세탁물을 헹구는 과정을 반복한다. 세탁물의 헹굼 과정이 완료되면, 구동장치는 세탁조(122)를 회전시켜 세탁물의 세탁수를 외부로 배출한다. 이 때, 배수장치가 작동하여 세탁조(122) 및 저수조(115)의 세탁수를 외부로 배출한다. 세탁물 처리기기(100)는 필요에 따라 상기의 과정을 반복함으로써 세탁물로부터 이물질을 제거한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구동장치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Ⅳ-Ⅳ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구동장치는, 구동력을 생성하는 구동부(170)와, 구동부(170)에 직결되도록 체결되어 세탁조(122)로 구동력을 전달하는 회전축(190)과, 회전축(190)을 지지하도록 형성된 베어링부(175)를 포함한다. 베어링부(175)는, 회전축(190)이 삽입되고 저수조(115)에 체결되는 상부베어링부(174)와, 회전축(190)이 삽입되고 구동부(170)에 체결되는 하부베어링부(173)를 포함한다. 한편, 상부베어링부(174)와 하부베어링부(173) 사이에는 진동저감부재(180)가 삽입되도록 배치된다. 또한, 상부베어링부(174)와 하부베어링부(173) 내측에는 세탁물의 세탁과정과 탈수과정에서 회전방법을 변화시키는 클런치(미표기)가 배치된다. 구동부(170)는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구동부(170)는 모터(17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모터(170)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모터(170)는, 전자기력을 발생시키는 스테이터(172)와, 스테이터(172)에서 발생하는 전자기력에 의하여 회전하는 로터(171)를 포함한다. 스테이터(172)는, 바디부(미표기)와, 바디부의 일측에 복수번 반복하여 감겨서 전자기력을 발생시키는 코일(미표기)을 포함한다. 로터(171)는, 로터바디부(171a)와, 로터바디부(171a)의 일측에 형성되어 로터바디부(171a)로부터 발생되는 열을 외부로 방출하는 블레이드(171b)와, 로터바디부(171a) 일측에 체결되어 전자기력에 의하여 힘을 받도록 형성되는 자성체(171c)를 포함한다. 한편, 로터바디부(171a)에는 회전축(190)과 로터바디부(171a)가 체결되도록 형성되는 커넥터(미표기)를 포함한다. 커넥터에 의하여 회전축(190)은 로터(171)와 체결되고, 로터(171)의 회전에 의하여 회전축(190)이 회전하게 된다.
모터(170)의 작동을 살펴보면, 사용자가 입력부(미도시)를 통하여 외부신호 를 입력하여 세탁물 처리기기(100)를 작동시킨다. 이 때, 외부신호가 입력되면, 모터(170)에 전류가 인가된다. 전류가 인가되면, 코일에는 전류가 인가되고 코일은 전자기력을 발생시킨다. 전자기력이 발생되면, 전자기력에 의하여 자성체(171c)는 힘을 받게 된다. 이 때, 자성체(171c)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로터바디부(171a)에 체결되므로 로터(171)가 회전하게 된다. 로터(171)가 회전하게 되면, 커넥터에 연결된 회전축(190)도 회전하게 된다. 회전축(190)은 세탁조(122)와 직결되므로 회전축(190)의 회전에 따라 세탁조(122)도 회전하게 된다. 한편, 세탁조(122)가 회전할 때, 클런치는 세탁물 처리기기(100)의 운전상태에 따라 회전방법을 변화시킨다. 즉, 세탁물 처리기기(100)가 세탁과정을 수행할 때는 클런치는 세탁조(122)와 펄세이터(140)가 회전하도록 조작된다. 반면, 세탁물 처리기기(100)가 탈수과정을 수행할 때는 클런치는 세탁조(122)가 고속으로 회전하도록 조작된다. 따라서 세탁물 처리기기(100)는 모터(170)의 회전을 세탁조(122)로 정확하게 전달할 수 있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진동저감부재(180)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진동저감부재(180)는, 상부베어링부(174)와 체결되어 상부베어링부(174)를 고정시키는 복수개의 상부베어링결합부들(181)과, 복수개의 상부베어링결합부들(181)의 사이에 배치되어 복수개의 상부베어링결합부들(181)을 연결하고, 하부베어링부(173)를 고정하도록 형성되는 복수개의 하부베어링결합부들(184)을 포함한다. 또한, 복수개의 상부베어링결합부들(181)은 복수개의 하부베 어링결합부들(184)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각 하부베어링결합부(184)는 하부베어링부(173)와 결합하는 하부베어링체결부(183)와, 하부베어링체결부(183)로부터 양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인접하는 상부베어링결합부들(181)과 연결되는 연결부들(182)을 포함한다. 연결부들(182)은 하부베어링체결부(183)로부터 절곡하여 연장되고, 상부베어링결합부들(181)로부터 절곡되도록 결합한다. 즉, 연결부들(182)은 하부베어링체결부(183)로부터 절곡되어 형성된다. 이 때, 하부베어링체결부(183)와 연결부들(182)은 소정각도를 형성하며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연결부들(182)은 상부베어링결합부들(181)로부터 소정각도를 형성하며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부베어링결합부들(181)은 하부베어링결합부들(184)로부터 절곡되도록 결합할 수 있다.
복수개의 상부베어링결합부들(181)과 복수개의 하부베어링결합부들(184)은 서로 상이한 평면에 형성될 수 있다. 즉, 각 상부베어링결합부(181)와 각 하부베어링결합부(184)는 절곡되도록 체결된다. 상부베어링결합부(181)는 하부베어링결합부(184)와 절곡되도록 체결되므로 서로 상이한 평면에 형성된다. 상부베어링결합부(181)는 하부베어링결합부(184)보다 높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부베어링결합부(181)는 하부베어링결합부(184)보다 낮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부베어링결합부(181)는 동일한 평면에 형성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상부베어링결합부(181)가 하부베어링결합부(184)보다 높은 경우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상부베어링부(174)는 상부베어링결합부들(181)에 체결된다. 또한, 하부베어링부(173)는 하부베어링결합부들(184)에 체결된다. 상부베어링부(174)가 상부베어링 결합부들(181)에 체결되고 하부베어링부(173)가 하부베어링결합부들(184)에 체결되면, 상부베어링부(174)와 하부베어링부(173)는 서로 분리되어 진동저감부재(180)에 체결된다.
한편, 각 상부베어링결합부(181)와 각 하부베어링결합부(184)에는 체결부재가 삽입되도록 체결공이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각 상부베어링결합부(181)의 체결공은 제 1 원주방향을 따라 배열될 수 있다. 또한, 각 하부베어링결합부(184)의 체결공은 제 2 원주방향을 따라 배열될 수 있다. 이 때, 제 1 원주방향과 제 2 원주방향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한편, 복수개의 상부베어링결합부들(181)과 복수개의 하부베어링결합부들(184)은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열될 수 있다. 즉, 각 상부베어링결합부(181)는 각 하부베어링결합부(184)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부베어링결합부(181)는 절곡되어 하부베어링결합부(184)의 일측과 체결된다. 또한, 하부베어링결합부(184)의 타측은 상부베어링결합부(181)와 절곡되어 체결된다. 따라서 상부베어링결합부(181)는 하부베어링결합부(184) 사이에 배치된다.
구동장치의 결합순서를 살펴보면, 조립자는 스테이터(172)와 로터(171)를 체결한다. 조립자는 스테이터(172)를 하부베어링부(173)에 체결한다. 이 때, 스테이터(172)와 하부베어링부(173)는 체결부재(미도시)를 사용하여 체결한다. 한편, 스테이터(172)가 하부베어링부(173)에 체결되면, 조립자는 하부베어링부(173)를 진동저감부재(180)에 체결한다. 즉, 조립자는 하부베어링부(173)를 하부베어링결합부(184)의 체결공에 체결부재를 삽입하여 체결한다. 또한, 조립자는 상부베어링부(174)를 진동저감부재(180)에 체결한다. 즉, 조립자는 상부베어링결합부(181)에 형성된 체결공에 체결부재를 삽입하여 체결한다. 따라서 상부베어링부(174)와 하부베어링부(173)는 진동저감부재(180)에 의하여 연결된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진동저감부재(180)의 진동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7은 도 5에 도시된 진동저감부재(180)의 진동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6 및 도 7을 살펴보면, 진동저감부재(180)가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부베어링부(174)와 하부베어링부(173)와 체결된다. 이 때, 사용자가 외부신호를 입력하여 구동장치가 작동하게 되면, 구동부(170)에 전류가 인가되어 로터(171)가 회전하게 된다. 로터(171)가 회전하게 되면, 로터(171)로부터 진동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로터(171)의 회전에 의하여 회전축(190)이 진동하게 되고, 스테이터(172)도 진동하게 된다. 특히, 스테이터(172)가 진동하는 경우 진동이 하부베어링부(173)를 통하여 상부베어링부(174)로 전달된다. 이 때, 상부베어링부(174)와 하부베어링부(173)의 사이에 형성된 진동저감부재는 진동을 일정부분 흡수하거나 저감시킨다. 즉, 모터(170)가 작동하면, 하부베어링부(173)가 진동하게 된다. 하부베어링부(173)가 진동하는 경우, 진동은 진동저감부재(180)로 전달된다. 전달된 진동은 하부베어링체결부(183)를 통하여 이동하게 된다. 이 때, C'의 방향으로 진동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진동은 진동저감부재(180)에서 C'의 방향으로 진행한다. 한편, 진동저감부재(180)의 타측에 형성되는 하부베어링체결부(183)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부베어링결합부(181)쪽으로 전달되는 진동이 형성된다. 즉, 진동저감부재(180)의 타측에서도 C'방향으로 진동이 발생한다. 이 때, 진동저감부 재(180)의 타측에 형성된 하부베어링체결부(183)에서는 C'의 방향과 반대방향인 C방향으로 반사파가 형성된다. 따라서 C'방향의 진동과 C방향의 진동이 서로 상쇄되어 진동을 저감시킨다.
한편, 상기와 같이 하부베어링부(173)와 상부베어링부(174)가 진동하게 되면, 진동저감부재(180)의 변위가 가변된다. 즉, 진동저감부재(180)의 상부베어링결합부(181)와 하부베어링결합부(184)는 굴곡을 포함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굴곡에 의하여 하부베어링부(173)와 상부베어링부(174)가 진동하는 경우 판 스프링과 동일한 역할을 하게 된다. 즉,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하부베어링부(173)가 진동하는 경우 굴곡이 형성된 부분은 진동방향으로 움직이게 된다. 또한, 상부베어링부(174)가 진동하는 경우에도 굴곡이 형성된 부분은 진동방향으로 움직이게 된다. 따라서 상부베어링부(174)와 하부베어링부(173)가 진동하는 경우 진동이 각각 하부베어링부(173)와 상부베어링부(174)로 전달되지 않는다. 한편, 진동저감부재(180)의 일측은 개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진동저감부재(180)의 일측이 개방되는 경우 상기와 같이 상부베어링부(174)와 하부베어링부(173)가 진동하는 경우 진동에 의하여 진동저감부재(180)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진동저감부재(180)는 하부베어링부(173)와 상부베어링부(174)의 진동에 따라서 변위가 가변하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하부베어링부(173)와 상부베어링부(174)가 진동하는 경우 진동방향으로 진동하게 된다. 또한, 진동저감부재(180)는 상부베어링부(174)및 하부베어링부(173)와 서로 상이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진동저감부재(180)가 상부베어링부(174) 및 하부베어링 부(173)와 동일한 재질을 포함하는 경우, 진동저감부재(180)는 상부베어링부(174) 및 하부베어링부(173)와 공진하여 진동의 강도가 세질 수 있다. 따라서 진동저감부재(180)는 상부베어링부(174) 및 하부베어링부(173)와 상이한 재질을 사용하여 하부베어링부(173)로부터 상부베어링부(174)로 전달되는 진동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진동을 저감시킴으로써 구동장치가 작동할 때, 발생되는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다.
도 8은 도 5에 도시된 상부베어링결합부(181)와 하부베어링결합부(184)의 결합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9는 도 5에 도시된 상부베어링결합부(181)와 하부베어링결합부(184)의 결합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10은 도 5에 도시된 상부베어링결합부(181)와 하부베어링결합부(184)의 결합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상부베어링결합부(181)는 하부베어링결합부(184)로부터 굴곡을 형성하며 결합한다. 이 때, 상부베어링결합부(181)는 하부베어링결합부(184)와 소정각도로 체결될 수 있다. 즉, 하부베어링체결부(183)와 연결부(182)는 소정각도로 체결될 수 있다. 또한, 연결부(182)와 상부베어링결합부(181)는 소정각도로 체결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상부베어링결합부(181)와 하부베어링결합부(184)가 소정각도로 체결되는 경우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상부베어링결합부(181)와 하부베어링결합부(184)는 소정각도로 체결될 수 있 다. 즉, 상부베어링결합부(181)는 하부베어링결합부(184)와 예각(θ3)을 형성하도록 체결될 수 있다. 또한, 상부베어링결합부(181)는 하부베어링결합부(184)와 둔각(θ2)을 형성하도록 체결될 수 있다. 한편, 상부베어링결합부(181)는 하부베어링결합부(184)와 실질적으로 직각(θ1)으로 체결될 수 있다. 상부베어링결합부(181)와 하부베어링결합부(184)가 예각(θ3)을 형성하도록 체결되는 경우, 상부베어링결합부(181)와 연결부(182)도 예각(θ3)을 형성하도록 체결될 수 있다. 또한, 하부베어링결합부(184)와 연결부(182)는 예각(θ3)을 형성하도록 체결될 수 있다. 한편, 상부베어링결합부(181)와 하부베어링결합부(184)가 둔각(θ2)을 형성하도록 체결되는 경우, 상부베어링결합부(181)와 연결부(182)는 둔각(θ2)을 형성하도록 체결될 수 있다. 또한, 하부베어링결합부(184)와 연결부(182)는 둔각(θ2)을 형성하도록 체결될 수 있다. 상부베어링결합부(181)와 하부베어링결합부(184)가 실질적으로 직각(θ1)을 형성하는 경우도 상기와 동일 유사하게 형성된다. 따라서 진동저감부재(180)는 소정각도를 형성하도록 굴곡을 포함하므로 진동을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다.
도 11은 도 4에 도시된 진동저감부재(180)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1을 참조하면, 진동저감부재(280)는, 상부베어링부(174)와 체결되어 상 부베어링부(174)를 고정시키는 복수개의 상부베어링결합부들(281)과, 복수개의 상부베어링결합부들(281)의 사이에 배치되어 복수개의 상부베어링결합부들(281)을 연결하고, 하부베어링부(173)를 고정하도록 형성되는 복수개의 하부베어링결합부들(284)을 포함한다. 또한, 진동저감부재(280)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부베어링결합부(281)와 하부베어링결합부(284)는 서로 상이한 평면에 형성된다. 이 때, 진동저감부재(280)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 또는 유사하게 형성된다. 한편, 각 하부베어링결합부들(284)에는 볼트들이 삽입되는 보스들(286)이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보스들(286)은 하부베어링결합부들(284)로부터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상부베어링결합부들(281)이 형성된 평면까지 형성된다.
진동저감부재(280)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부베어링부(174)와 하부베어링부(173) 사이에 배치된다. 이 때, 상부베어링부(174)는 상부베어링결합부(281)에 체결된다. 또한, 하부베어링부(173)는 하부베어링결합부(284)에 체결된다. 따라서 상부베어링부(174)와 하부베어링부(173)는 서로 상이한 평면에 배치된다. 이 때, 하부베어링결합부(284)에 형성된 보스들(286)에 볼트들이 체결되어 하부베어링부(173)와 진동저감부재(280)의 결합을 견고히 한다. 한편, 보스들(286)은 상기에 한정되지 않고 상부베어링결합부(281)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진동저감부재(280)는 상부베어링부(174)와 하부베어링부(173)를 견고하게 체결할 수 있다. 또한, 진동저감부재(280)는 하부베어링부(173)가 진동할 때, 변위가 변하여 진동을 흡수할 수 있다.
도 12는 도 4에 도시된 진동저감부재(180)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사 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2를 참조하면, 진동저감부재(380)는, 상부베어링부(174)와 체결되어 상부베어링부(174)를 고정시키는 복수개의 상부베어링결합부들(381)과, 복수개의 상부베어링결합부들(381)의 사이에 배치되어 복수개의 상부베어링결합부들(381)을 연결하고, 하부베어링부(173)를 고정하도록 형성되는 복수개의 하부베어링결합부들(384)을 포함한다. 또한, 진동저감부재(380)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하부베어링결합부(384)와 상부베어링결합부(381)는 서로 상이한 평면에 형성된다. 이 때, 진동저감부재(380)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 또는 유사하게 형성된다. 한편, 각 하부베어링결합부(384)에는 볼트들이 삽입되는 보스들(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보스들은 하부베어링결합부들(384)로부터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상부베어링결합부(381)들이 형성된 평면까지 형성된다.
또한, 진동저감부재(380)는 하부베어링결합부(384)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인입부(382) 또는 돌출부(382)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부베어링결합부(381)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인입부(382) 또는 돌출부(382)는 굴곡을 형성하며 체결된다. 또한, 상부베어링결합부(381)와 적어도 하나의 인입부(382) 또는 돌출부(382)는 소정각도를 형성하며 체결될 수 있다. 한편, 하부베어링결합부(384)에는 적어도 하나의 인입부(382) 또는 돌출부(382)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 또는 유사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하부베어링결합부(384)는 적어도 하나의 인입부(382) 또는 돌출부(382)와, 적어도 하나의 인입부(382) 또는 돌출부(382)로부터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하부베어링체결부(383)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하부베어링부(173)로부터 형성된 진동이 상부베어링부(174)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진동저감부재(380)는 하부베어링부(173)가 진동할 때, 변위가 변함으로써 진동을 흡수하여 구동장치의 작동시 소음을 효과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Ⅱ-Ⅱ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구동장치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Ⅳ-Ⅳ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진동저감부재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진동저감부재의 진동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7은 도 5에 도시된 진동저감부재의 진동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8은 도 5에 도시된 상부베어링결합부와 하부베어링결합부의 결합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9는 도 5에 도시된 상부베어링결합부와 하부베어링결합부의 결합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10은 도 5에 도시된 상부베어링결합부와 하부베어링결합부의 결합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11은 도 4에 도시된 진동저감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4에 도시된 진동저감부재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략한 설명>
100 : 세탁물 처리기기 171 : 로터
110 : 캐비닛 171a : 로터바디부
111 : 캐비닛 본체 171b : 블레이드
115 : 저수조 171c : 자성체
122 : 세탁조 180 : 진동저감부재
140 : 펄세이터 190 : 회전축
170 : 모터

Claims (21)

  1. 상부베어링부와,
    상기 상부베어링부와 체결되는 하부베어링부와,
    상기 상부베어링부와 상기 하부베어링부의 사이에 배치되는 진동저감부재를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기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진동저감부재는,
    상기 상부베어링부와 체결되어 고정시키는 복수개의 상부베어링결합부들과,
    상기 복수개의 상부베어링결합부들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복수개의 상부베어링결합부들을 연결하고, 상기 하부베어링부를 고정하도록 형성되는 복수개의 하부베어링결합부들을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기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상부베어링결합부들과 상기 복수개의 하부베어링결합부들은 일체로 형성되는 세탁물 처리기기.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각 하부베어링결합부는,
    상기 하부베어링부와 결합하는 하부베어링체결부와,
    상기 하부베어링체결부로부터 양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인접하는 상기 상부베어링결합부들과 연결되는 연결부들을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기기.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들은,
    상기 하부베어링체결부로부터 절곡하여 연장되고,
    상기 상부베어링결합부들로부터 절곡되도록 결합하는 세탁물 처리기기.
  6.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상부베어링결합부들과 상기 복수개의 하부베어링결합부들은 서로 상이한 평면상에 배치되는 세탁물 처리기기.
  7.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각 상부베어링결합부는 상기 각 하부베어링결합부와 소정의 각도를 형성하며 결합하는 세탁물 처리기기.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각 상부베어링결합부는 상기 각 하부베어링결합부와 실질적으로 직각을 형성하며 결합하는 세탁물 처리기기.
  9.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상부베어링결합부들의 체결공들은 제 1 원주방향을 따라 배열되고,
    상기 복수개의 하부베어링결합부들의 체결공들은 제 2 원주방향을 따라 상기 상부베어링결합부들 사이에 배열되는 세탁물 처리기기.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 1 원주방향과 상기 제 2 원주방향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세탁물 처리기기.
  11.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하부베어링결합부들과 상기 복수개의 상부베어링결합부는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열되는 세탁물 처리기기.
  12.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하부베어링결합부들은,
    상기 하부베어링결합부들로부터 상기 상부베어링결합부들과 동일한 평면까지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하부베어링부와 결합하도록 볼트들이 삽입되는 보스들을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기기.
  1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각 하부베어링결합부는,
    상기 하부베어링부와 결합하는 하부베어링체결부와,
    상기 하부베어링체결부 일측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인입부 또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기기.
  1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하부베어링결합부들에 적어도 하나의 슬롯이 형성되어 있는 세탁물 처리기기.
  1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하부베어링결합부들은
    상기 복수개의 상부베어링결합부로부터 절곡을 형성하며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하부베어링부와 볼트체결되어 고정되는 세탁물 처리기기.
  1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진동저감부재는 상기 상부베어링부 및 상기 하부베어링부와 서로 상이한 재질로 형성되는 세탁물 처리기기.
  1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진동저감부재는 상기 상부베어링부와 상기 하부베어링부에 각각 체결되어 상기 하부베어링부로부터 상기 상부베어링부로 전달되는 진동을 저감시키는 세탁물 처리기기.
  1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진동저감부재는 일측이 개방되도록 형성되는 세탁물 처리기기.
  1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진동저감부재는 상기 하부베어링부가 진동할 때, 변위가 가변되는 세탁물 처리기기.
  2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진동저감부재는 상기 상부베어링부 및 상기 하부베어링부와 각각 체결되어 상기 상부베어링부와 상기 하부베어링부를 소정간격 이격시키는 세탁물 처리기기.
  2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진동저감부재는 상기 상부베어링부 및 상기 하부베어링부의 진동으로 인한 소음을 저감시키는 세탁물 처리기기.
KR1020090071065A 2009-07-31 2009-07-31 세탁물 처리기기 KR1017086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1065A KR101708672B1 (ko) 2009-07-31 2009-07-31 세탁물 처리기기
EP10804742.4A EP2459791B1 (en) 2009-07-31 2010-07-29 A fabric treating machine
PCT/KR2010/005004 WO2011014029A2 (en) 2009-07-31 2010-07-29 A fabric treating machine
CN201080034114.8A CN102471978B (zh) 2009-07-31 2010-07-29 织物处理机
US13/387,987 US9970145B2 (en) 2009-07-31 2010-07-29 Fabric treating machi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1065A KR101708672B1 (ko) 2009-07-31 2009-07-31 세탁물 처리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3069A true KR20110013069A (ko) 2011-02-09
KR101708672B1 KR101708672B1 (ko) 2017-02-21

Family

ID=437728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1065A KR101708672B1 (ko) 2009-07-31 2009-07-31 세탁물 처리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867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72288A (ja) * 1997-03-31 1998-10-1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ドラム式洗濯機
KR20030050285A (ko) * 2001-12-18 2003-06-25 엘지전자 주식회사 드럼세탁기의 모터 장착 구조
US20060125150A1 (en) * 2002-11-06 2006-06-15 Bsh Bosch Und Siemens Plastic receptacle for domestic washing machines
KR20090046745A (ko) * 2006-05-12 2009-05-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인서트된 베어링하우징을 구비한 세탁기용 터브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72288A (ja) * 1997-03-31 1998-10-1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ドラム式洗濯機
KR20030050285A (ko) * 2001-12-18 2003-06-25 엘지전자 주식회사 드럼세탁기의 모터 장착 구조
US20060125150A1 (en) * 2002-11-06 2006-06-15 Bsh Bosch Und Siemens Plastic receptacle for domestic washing machines
KR20090046745A (ko) * 2006-05-12 2009-05-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인서트된 베어링하우징을 구비한 세탁기용 터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08672B1 (ko) 2017-0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72318B1 (ko) 세탁기
EP2115205A1 (en) Washing machine
KR101482104B1 (ko) 세탁물 처리기기
KR102541409B1 (ko) 세탁기
EP3342917A1 (en) Laundry machine
US20060059955A1 (en) Washing machine
KR20110013069A (ko) 세탁물 처리기기
KR20110013068A (ko) 세탁물 처리기기
WO2012114741A1 (ja) ドラム式洗濯機
JP2004141632A (ja) 洗濯機の振動吸収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洗濯機
KR101424731B1 (ko) 세탁물 처리기기
WO2015071962A1 (ja) 洗濯機
KR100274260B1 (ko) 진동 저감 구조의 모터를 갖는 드럼세탁기
KR100662139B1 (ko) 세탁기
JP7317672B2 (ja) 洗濯機
US9970145B2 (en) Fabric treating machine
JP2006006970A (ja) ドラム式洗濯機
KR100379466B1 (ko) 진동식 세탁기
JP2011234882A (ja) 洗濯機
KR101133624B1 (ko) 세탁물 처리기기
KR100802545B1 (ko) 모터 고정장치를 갖는 세탁기
KR200165378Y1 (ko) 세탁기
KR100776263B1 (ko) 드럼 세탁기
JP2011234883A (ja) 洗濯機
SU1721143A1 (ru) Стиральна машин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