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12462A - 목발 - Google Patents

목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12462A
KR20110012462A KR1020090070188A KR20090070188A KR20110012462A KR 20110012462 A KR20110012462 A KR 20110012462A KR 1020090070188 A KR1020090070188 A KR 1020090070188A KR 20090070188 A KR20090070188 A KR 20090070188A KR 20110012462 A KR20110012462 A KR 201100124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d
circumferential surface
fixed
contact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701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23435B1 (ko
Inventor
한의선
Original Assignee
한의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의선 filed Critical 한의선
Priority to KR10200900701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23435B1/ko
Publication of KR201100124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24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34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34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61H3/02Crutch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92Specific means for adjusting dimen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2Driving means
    • A61H2201/1253Driving means driven by a human being, e.g. hand drive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0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10Le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목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중공체로 되어 상단부에 어깨 받침구가 형성되는 고정봉과; 상기 고정봉이 삽입되는 원통형의 수용부로부터 고정봉의 축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수평상의 손잡이가 형성되어 고정봉의 외주면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대와; 상기 고정봉의 하단부에 인출가능하게 삽입되어 공지된 고정수단으로 고정되는 하부 길이 조정봉과; 상기 이동대를 고정봉에 밀착 고정시키는 손잡이 고정수단으로 구성되어 간단한 조립 구조에 의하여 생산원가와 생산 작업성을 향상시키고, 무게를 경감하고 간편하게 높이를 조절할 수 있어서 사용자가 보다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목발

Description

목발{crutches}
본 발명은 다리를 다쳤거나 보행이 부자유스러운 사람들의 보행을 돕기 위한 보조수단으로 사용되는 목발에 관한 것으로, 간편하게 높이 조절을 할 수 있게 되면서 안정된 지지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하고, 또한 간단한 조립 구조에 의하여 생산원가와 생산 작업성을 향상시키고, 무게를 경감하여 사용자가 보다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개선된 목발에 관한 것이다.
협장(脇杖)이라고도 불리우는 목발은 겨드랑이에서 지면까지 닿는 긴 지팡이로서 몸을 지탱하며, 하지에 직접 체중이 실리지 않도록 하여 걸을 때 몸의 균형을 최소한 유지하거나 상한 다리를 대신할 수 있는 것이다. 모양은 지팡이 위쪽이 두 갈래로 갈라져 있고, 그 갈라진 중간에 팔을 아래로 내리면 손으로 잡을 수 있는 횡목(橫木)이 가로질러서 설치되어 하지의 운동기능에 장애를 일으키는 뼈·근육·관절·인대의 질환이나 뇌혈관 장애 회복기의 리허빌리테이션 등에 주로 쓰이고, 하지의 안정을 요하는 염증이나 혈관염 등에 사용되어 몸을 지탱하며, 하지에 직접 체중이 실리지 않도록 하여 보행하는 동안 몸의 균형을 최소한 유지되게 하는 보행 보조기구로서 불편한 다리를 대신하게 된다.
이러한 목발은 다양한 형태와 소재를 활용하여 사용자가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배려되는 구조적 개선을 통하여 사용상의 편리성을 고려한 제품들이 소개되고 있다.
종래의 일반적인 형태의 목발은 한 쌍의 로드 사이의 중간 부위에 다수개의 체결공이 형성되어 사용자가 손으로 잡아 힘을 가할 수 있도록 한 손잡이가 적정한 위치에서 나비너트와 같은 체결구로 설치되면서, 상부에는 사용자의 겨드랑이 밑에 위치하게 되는 어깨 받침구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지면에 접촉하는 지지대가 또한 나비너트와 같은 체결구로 고정되는 구조로 되는 것이었다.
이러한 종래의 목발은 체결구가 외부로 돌출됨으로써 보행시 불편함을 초래하게 될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신체적 조건에 맞추어서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구간이 제한적이어서 보관 및 소지하는데 어려움이 있으며, 특히 차량에 탑승할 때에는 매우 불편한 구조로 되어 있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면서 동시에 안정된 보행을 도모하기 위하여 본원 출원인에 의하여 대한민국 특허 제277841호 ‘절첩 가능한 클러치’와, 특허 제520273호 ‘목발’이 제안된 바 있다.
전자의 절첩 가능한 클러치는 사용자의 높이에 맞추어 어깨 받침구와 캡 사이의 거리를 조정할 수 있게 되어, 사용자 신체적 조건에 따라 길이를 적정하게 조정할 수 있어서 사용과 보관이 편리한 장점이 있으나, 길이 조절을 스프링의 탄성 에 의존하게 됨으로써, 스프링의 탄성력이 저하되어 클러치에 하중이 가해지는 경우 고정 상태가 해제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후자의 목발은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단에 어깨 받침구(70)가 구비되는 상부 길이 조정봉(11) 및 이 상부 길이 조정봉(11)이 수직으로 삽입되어지는 것으로 상방향으로 길이 조절이 될 수 있게 감싸는 상부 고정봉(15)으로 이루어지는 제1유닛(10)과; 상기 제1유닛(10)의 하측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평행 배치되는 것으로 상단에는 손잡이(30) 일측이 결합되는 하부고정봉(25)을 구비하며, 상기 손잡이(30)의 타측은 상부 고정봉(15)의 상단부가 일체로 끼움 결합되는 관통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고정봉(25)의 하측으로는 가변적으로 길이 조절을 이루고 끝단부측에 캡(80)이 구비되는 하부 조정봉(24)이 삽입되는 제2유닛(20)과; 상기 제1,2유닛(10,20)을 상호 일체로 연결하는 것으로 일측은 상기 제1유닛(10)의 상부 고정봉(11)의 하단이 일체로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제2유닛(20)의 하부 고정봉(25)이 끼움 결합되는 관통구멍이 형성되는 연결유닛(40)과; 상기 제1유닛(10)상의 손잡이(30) 일측에 구비되며 나사체결구조에 의해 선택적으로 조임력을 생성하여 상기 상부 길이 조정봉(11)이 상기 상부 고정봉(15)에서 연장되거나 축소될 수 있게 하는 제1조임수단(50)과; 상기 제2유닛(20)상의 연결유닛(40)의 일측에 구비되며 나사체결구조에 의해 선택적으로 조임력을 생성하여 상기 하부 길이 조정봉(24)이 상기 하부 고정봉(25)에서 연장되거나 축소될 수 있게 하는 제2조임수단(60)으로 구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목발은 종전의 목발에서 스프링의 탄성력이 저하되는 제품 상의 문제 점을 해결하고, 나사체결 구조에 의하여 상부 길이 조정봉(11)과 하부 길이 조정봉(24)의 길이를 선택적으로 조정할 수 있어서 사용하기가 편리한 특징이 있다. 그러나 상부 고정봉(15)과 하부 고정봉(25)이 나란하게 형성되고, 상부 고정봉(15)과 하부 고정봉(25)의 하단부를 고정시키는 연결유닛(40)의 크가가 커지게 되어 무게가 증가하고 생산 라인에서 조립 공정이 증가하는 단점이 발견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보다 단순화된 구조적 결합을 통하여 생산시의 조립작업이 쉽게 이루어 질 수 있고, 사용시에는 간편한 조작을 통해 상·하부 길이조정봉의 길이 조절이 이루어지도록 하면서 잦은 길이 조절에 따라 작동이 불가능하게 되는 문제점을 해결하여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목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의도하는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특징은 하부 길이 조절봉이 인출 가능하게 고정되는 목발에 있어서, 중공체로 되어 상단부에 어깨 받침구가 형성되는 고정봉과; 상기 고정봉이 삽입되는 원통형의 수용부로부터 고정봉의 축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수평상의 손잡이가 형성되어 고정봉의 외주면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대와; 상기 고정봉의 하단부에 인출가능하게 삽입되어 공지된 고정수단으로 고정되는 하부 길이 조정봉과; 상기 이동대를 고정봉에 밀착 고정시키는 손잡이 고정수단을 포함하는 것이다.
하부 길이 조정봉을 고정봉에 인출 가능하게 고정시키는 공지된 고정수단은 고정봉 하단에 일체로 형성되는 하부 연결구의 하단부로부터 상부 길이 조정봉이 삽입되는 공간이 형성되어 상부로 돌출되면서 적어도 2개의 절개홈이 형성되고 외 주면에 수나사가 형성되는 하부 고정편과, 하부 길이 조정봉이 삽입되는 공간을 이루는 내주면에 암나사가 형성되어 상기 하부 고정편의 수나사와 체결되는 하부 고정구로 구성된다.
하부 길이 조정봉을 고정봉에 인출 가능하게 고정시키는 공지된 고정수단은 고정봉의 하단부에 적어도 2개의 절개홈이 형성되면서 외주면에 수나사가 형성되고, 상기 수나사에 하부 고정구가 체결되면서 상기 절개홈이 형성된 부위가 하부길이 조정봉에 밀착될 수있게 되어 고정봉에서 인출된 길이를 조정한 하부길이 조정봉을 고정봉에 고정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손잡이 고정수단은 고정봉의 외주면과 일정한 공간을 유지하는 수용부의 내주면에 삽입되어 이동대가 안착되고, 적어도 2개의 절개홈이 형성되어 고정봉의 외주면에 접촉하며 삽입되는 축공이 형성된 밀착부재와; 상기 밀착부재를 고정봉의 외주면에 밀착시키기 위한 가압수단을 포함한다.
손잡이 고정 수단의 구체적인 구성은 밀착부재를 고정봉의 외주면에 밀착시키기 위한 가압수단으로서, 고정봉이 삽입되는 수용부의 내주면이 아래쪽으로 갈수록 점차 공간이 확장되는 경사면으로 형성되면서 고정봉의 외주면과 일정한 공간을 유지하며 형성되고; 상기 수용부의 내주면에 접촉하도록 삽입되어 고정봉의 외주면이 접촉하도록 삽입되는 축공과 적어도 2개의 절개홈이 형성되면서 상부는 수나사 가 형성되고, 상기 수나사의 하부로부터 단면이 점차 넓어져서 수용부의 경사면에 접촉하는 경사면이 형성되는 밀착부재와; 상기 밀착부재를 고정봉의 외주면에 밀착시키기 위하여 밀착부재의 수나사에 체결되는 상부 고정구를 포함하는 것이다.
손잡이 고정 수단의 구체적인 다른 구성은 밀착부재를 고정봉의 외주면에 밀착시키기 위한 가압수단으로서, 고정봉이 삽입되는 수용부가 형성되면서 고정봉의 외주면과 일정한 공간을 유지하며 형성되고, 상기 수용부의 내주면에 접촉하도록 삽입되어 고정봉의 외주면이 접촉하도록 삽입되는 축공과 적어도 2개의 절개홈이 형성되는 밀착부재와; 상기 밀착 부재의 외주면이 삽입되는 클립부재와; 상기 밀착부재를 고정봉의 외주면에 밀착시키기 위하여 편심 가압부가 형성되어 클립부재에 고정되는 레버를 설치하여, 상기 레버의 편심가압부가 클립부재를 조일 때에 밀착부재가 고정봉에 가압력에 의하여 고정되는 것이다.
손잡이 고정수단의 또 다른 구성은 밀착부재를 고정봉의 외주면에 밀착시키기 위한 가압수단으로서, 고정봉이 삽입되는 수용부가 형성되면서 고정봉의 외주면과 일정한 공간을 유지하며 형성되고, 상기 수용부의 내주면에 접촉하도록 삽입되어 고정봉의 외주면이 접촉하도록 삽입되는 축공과 적어도 2개의 절개홈이 형성되는 밀착부재와; 상기 밀착부재의 외주면이 삽입되는 클립부재와; 상기 밀착부재를 고정봉의 외주면에 밀착시키기 위하여 손잡이에 편심 가압부가 형성되어 클립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어 손잡이의 편심가압부가 클립부재를 조일 때에 밀착부재 가 고정봉에 가압력에 의하여 고정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어깨 받침구가 형성된 고정봉에 손잡이가 형성된 이동대가 축방향으로 슬라이딩하여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사용자의 신체적 조건에 알맞은 위치로 손잡이를 이동시킨 다음 손잡이 고정수단에 의하여 고정됨으로써 손잡이의 위치를 쉽게 조절할 수 있으며, 고정봉으로부터 하부 길이 조정봉이 인출되어 길이를 조절한 다음 하부 고정구를 이용하여 조절된 위치에서 하부 길이 조정봉을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상부 길이 조정봉과 하부 길이 조정봉이 고정봉과 동일한 수직 중심축상에서 결합되어 길이를 임의로 조절할 수 있게 되므로 사용상의 편리성이 보장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종전에 스프링의 탄성력 감쇠로 인한 제품의 신뢰성 저하를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어깨 받침구가 형성되는 고정봉에 하나의 하부 길이 조정봉이 설치되는 간단한 구조에 의하여 제작과 조립이 용이하고, 무게가 경감되어 사용하기에 편리하여 소비자의 제품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이 구체화되는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 다.
도 2 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목발의 제1실시예와 관련된 도면을 나타내고 있다.
이 도면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목발은 고정봉(1), 상기 고정봉(1)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대(2), 상기 고정대(1)에 인출 가능하게 삽입되는 하부 길이 조정봉(3), 상기 고정봉(1)에 이동대(2)를 고정시키기 위한 손잡이 고정수단 및 하부 길이 조정봉을 고정봉에 고정시키기 위한 공지된 고정수단으로 구성된다.
고정봉(1)은 상단부에 어깨 받침구(10)가 일체로 형성되면서, 하부 길이 조정봉(3)이 인출 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공간(11)이 형성되는 중공축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동대(2)는 고정봉(1)이 삽입될 수 있도록 원통형으로 되는 공간이 축방향으로 관통되는 수용부(20)가 형성되면서, 수용부(20)의 한쪽편으로는 고정봉의 축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수평상의 손잡이(21)가 일체로 형성되어 고정봉(1)의 외주면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수용부(20)는 고정봉(1)에 이동대(2)를 고정시키기 위한 손잡이 고정수단과 협력할 수 있도록 상부쪽의 입구로부터 아래쪽으로 갈수록 점차 넓어지는 경사면(22)이 형성되어 있다.
고정봉(1)에 이동대(2)를 고정시키기 위한 손잡이 고정수단은 밀착부재(4)와 상부 고정구(5)를 포함하는 가압수단으로 구성된다.
밀착부재(4)는 이동대(3)에 삽입되는데, 이동대(3)가 안착되는 평면상의 안착부(40)의 중앙으로부터 내부로 고정봉(1)이 삽입되는 공간(41)이 형성되며, 상기 공간(41)을 형성하는 돌출 단면은 상부로 갈수록 점차 좁아지는 단면을 형성하여 수용부(20)의 경사면(22)과 접촉하는 경사면(42)이 형성되며, 수용부(20) 상부로 노출되는 상단부에는 고정구(5)와 체결되는 수나사(43)가 형성된다. 그리고, 경사면(42)과 수나사(43)는 상부 고정구(5)가 수나사(43)에 체결될 때에 고정봉(1)에 밀착될 수 있도록 사방으로 절개홈(44)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밀착부재(4)는 고정봉(1)에 고정되는 밀착력을 고려하여 마찰력이 좋은 합성수지재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부 고정구(5)는 밀착부재(4)에 형성되어 있는 수나사(42)에 체결되는 암나사(50)가 형성되면서, 사용자가 쉽게 회전시킬 수 있도록 외주면에는 다수개의 요입홈(51)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상부 고정구(5)는 암나사(50)가 형성되는 공간을 통하여 고정봉(1)이 삽입되고, 후속적으로 이동대(2)와 함께 고정봉(1)이 삽입되는 밀착부재(4)의 수나사(43)와 체결된다.
이렇게 상부 고정구(5)와 수나사(43)가 긴밀하게 체결될 때에 밀착부재(4)에 는 절개홈(44)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부 고정구(5)가 체결되면서 나사 체결에 따르는 가압력과, 이동대(2)의 수용부(20)에 형성된 경사면(22)과 밀착부재(4)의 경사면(42)이 접촉하면서 가압력이 발생하여 밀착부재(4)가 고정봉(1)에 밀착된다. 따라서 손잡이(21)가 형성된 이동대(2)의 위치를 결정하여 고정할 수 있다.
이때 상부 고정구(5)를 최대한의 체결 범위까지 체결시킬 때에 수용부(20)가 안착부(40)와 상부 고정구(5) 사이에서 축방향으로 작용하는 체결력에 의하여 고정봉(1)을 향한 밀착력이 발생함과 동시에 이동대(2)가 원주방향으로 회전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어깨 받침구(10)와 손잡이(21)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경우에는 수나사(43)에 긴밀하게 체결되어 있는 상부 고정구(5)를 풀어주면 밀착부재(4)의 공간(41) 내주면이 고정봉(1)의 외주면에 밀착된 상태가 해제되어 미세한 거리를 형성하게 됨으로써 밀착부재(4)와 함께 이동대(2) 및 상부 고정구(5)가 고정축(1)의 축방향으로 이동시켜서 사용자의 신체적 조건에 맞도록 어깨 받침구(10)와 손잡이(21) 사이의 거리를 편리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하부 길이 조정봉(3)을 고정봉(1)에 고정시키기 위한 공지된 고정수단은 하부 길이 조정봉(3)이 인출 가능하게 삽입되는 연결구(6)와 하부 고정구(7)로 구성된다.
연결구(6)는 하부 길이 조정봉(3)이 삽입되어 인출 가능하도록 축방향으로 축공(60)이 형성되고, 하단부에는 하부 길이 조정봉(3)을 고정시키기 위하여 절개홈(61)이 형성된 수나사(62)가 형성되어 고정봉(1)의 하단부에 일체로 고정된다.
하부 고정구(7)의 중앙에는 상기 수나사(62)와 체결되는 암나사가 형성되어, 수나사(62)에 긴밀하게 체결될 때에 절개홈(61)에 의한 탄성으로 수나사(62)가 형성된 돌출단부의 내주면이 하부 길이 조절봉(3)에 밀착되어 하부 길이 조정봉(3)이 사용자의 신체적 조건에 합당하게 인출된 위치에서 유동이 없이 고정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서 고정봉에 이동대를 고정시키기 위한 손잡이 고정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앞서 설명한 실시예에서와 같이 절개홈(44a)이 형성되어 손잡(21a)가 일체로 형성된 수용부(21a)의 상부로 노출되는 밀착부재(4a)의 상단부에 클립 수단을 설치하는 것이다.
상기 클립 수단은 공지된 클립(8), 예를 들면 한쪽편이 개방된 클립부재(80)에 고정축(81)이 설치되고, 상기 고정축(81)에는 편심 가압부(82)가 형성된 레버(83)가 회전 중심축(84)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이다.
이러한 실시예는 도 9의 (가)에서 보는 바와 같이 레버(83)가 회전 중심축(84)을 중심으로 하여 상부로 회전하면 편심 가압부(82)가 클립부재(80)와 접촉하지 않아서 가압하지 않게 되므로 손잡이(21a)가 형성된 이동대(2a)를 고정축(1a)의 축방향으로 이동시켜서 위치를 조절할 수 있게 되며, 도 9의 (나)에서 보는 바와 같이 레버(83)가 회전 중심축(84)을 중심으로 하여 하부로 회전하면 편심 가압 부(82)가 클립부재(80)와 접촉하면서 가압력을 발생시키게 되므로 클립부재(80)가 밀착부재(4a)를 고정축(1a)에 가압하여 선택된 위치에서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에서 고정봉(1)에 이동대(2)를 고정시키기 위한 손잡이 고정수단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앞서 설명한 레버(83)의 기능을 손잡이(21b)에 부여한 것이다.
즉, 상기한 실시예와 같은 클립(8)을 설치하면서 손잡이(21b)에 편심 가압부(83a)를 형성하여 클립부재(80a)에 회전 중심축(84a)으로 고정하여서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실시예는 도 11의 (가)에서 보는 바와 같이 손잡이(21b)를 상부로 회전시키면 밀착부재(4b)의 가압력이 해제되어
손잡이(21b)가 형성된 이동대(2b)를 고정축(1b)의 축방향으로 이동시켜서 위치를 조절할 수 있게 되며, 도 11의 (나)에서 보는 바와 같이 손잡이(21b)를 회전 중심축(84)을 중심으로 하여 수평한 상태로 회전시키면 편심 가압부(83a)가 클립부재(80a)와 접촉하면서 가압력을 발생시키게 되므로 클립부재(80a)가 밀착부재(4b)를 고정축(1b)에 가압하여 선택된 위치에서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적정한 사례의 실시예를 설명한 것이어서, 본 발명의 적용 범위는 앞서 설명된 실시에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동일 사상 의 범주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나타난 각구성 요소의 형상 및 구조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예를 들어 도 12의 (가)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한 실시예에서는 고정봉(1)의 내주면과 하부 길이 조정봉(3)의 외주면이 원통형인 것으로 도시하여 설명하였으나, (나)에서 보는 바와 같이 외주면에 축방향으로 하나 이상의 평면(P)이 대응하는 다면체로 형성하여 결합하면 원주방향으로의 회전을 방지하면서 더욱 편리하게 손잡이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목발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주요부를 확대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단면도z
도 6은 본 발명의 주요부를 확대한 작동 상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
도 8은 도 7의 일부 확대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작동 상태도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일부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작동 상태도

Claims (5)

  1. 하부 길이 조절봉이 인출 가능하게 고정되는 목발에 있어서, 중공체로 되어 상단부에 어깨 받침구가 형성되는 고정봉과;
    상기 고정봉이 삽입되는 원통형의 수용부로부터 고정봉의 축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수평상의 손잡이가 형성되어 고정봉의 외주면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대;
    상기 고정봉의 하단부에 인출가능하게 삽입되어 공지된 고정수단으로 고정되는 하부 길이 조정봉과;
    상기 이동대를 고정봉에 밀착 고정시키는 손잡이 고정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발.
  2. 제 1 항에 있어서, 손잡이 고정수단이 고정봉의 외주면과 일정한 공간을 유지하는 수용부의 내주면에 삽입되어 이동대가 안착되고, 적어도 2개의 절개홈이 형성되어, 고정봉의 외주면에 접촉하며 삽입되는 축공이 형성된 밀착부재와; 상기 밀착부재를 고정봉의 외주면에 밀착시키기 위한 가압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발.
  3. 제 2 항에 있어서 가압 수단이 고정봉이 삽입되는 수용부의 내주면이 아래쪽으로 갈수록 점차 공간이 확장되는 경사면으로 형성되면서 고정봉의 외주면과 일정한 공간을 유지하며 형성되고; 상기 수용부의 내주면에 접촉하도록 삽입되어 고정봉의 외주면이 접촉하도록 삽입되는 축공과 적어도 2개의 절개홈이 형성되면서 상부는 수나사가 형성되고, 상기 수나사의 하부로부터 단면이 점차 넓어져서 수용부의 경사면에 접촉하는 경사면이 형성되는 밀착부재와; 상기 밀착부재를 고정봉의 외주면에 밀착시키기 위하여 밀착부재의 수나사에 체결되는 상부 고정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발.
  4. 제 2 항에 있어서 가압수단이 고정봉이 삽입되는 수용부가 형성되면서 고정봉의 외주면과 일정한 공간을 유지하며 형성되고, 상기 수용부의 내주면에 접촉하도록 삽입되어 고정봉의 외주면이 접촉하도록 삽입되는 축공과 적어도 2개의 절개홈이 형성되는 밀착부재와; 상기 밀착 부재의 외주면이 삽입되는 클립부재와; 상기 밀착부재를 고정봉의 외주면에 밀착시키기 위하여 편심 가압부가 형성되어 클립부재에 고정되는 레버를 설치하여, 상기 레버의 편심가압부가 클립부재를 조일 때에 밀착부재가 고정봉에 가압력에 의하여 고정되는 것을 포함하는 목발.
  5. 제 2 항에 있어서, 가압수단이 고정봉이 삽입되는 수용부가 형성되면서 고정 봉의 외주면과 일정한 공간을 유지하며 형성되고, 상기 수용부의 내주면에 접촉하도록 삽입되어 고정봉의 외주면이 접촉하도록 삽입되는 축공과 적어도 2개의 절개홈이 형성되는 밀착부재와; 상기 밀착부재의 외주면이 삽입되는 클립부재와; 상기 밀착부재를 고정봉의 외주면에 밀착시키기 위하여 손잡이에 편심 가압부가 형성되어 클립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어 손잡이의 편심 가압부가 클립부재를 조일 때에 밀착부재가 고정봉에 가압력에 의하여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발.
KR1020090070188A 2009-07-30 2009-07-30 목발 KR1011234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0188A KR101123435B1 (ko) 2009-07-30 2009-07-30 목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0188A KR101123435B1 (ko) 2009-07-30 2009-07-30 목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2462A true KR20110012462A (ko) 2011-02-09
KR101123435B1 KR101123435B1 (ko) 2012-03-23

Family

ID=437723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0188A KR101123435B1 (ko) 2009-07-30 2009-07-30 목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23435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688495A (zh) * 2015-03-21 2015-06-10 王长柱 腋、手杖
WO2021015476A1 (ko) * 2019-07-25 2021-01-28 김영태 목발
JP2021083732A (ja) * 2019-11-28 2021-06-03 聖侑企業股▲ふん▼有限公司 パイプ体とグリップの組立構造
KR20240059189A (ko) 2022-10-27 2024-05-07 정세희 환경 친화적 목발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37705A (ko) 1999-10-19 2001-05-15 이대영 길이 조절이 자유로운 지팡이 겸용 목발
JP3957473B2 (ja) * 2001-05-14 2007-08-15 有限会社フジ薬品 グリップ高さ調整機能付き松葉杖
KR20060116633A (ko) 2005-05-11 2006-11-15 신재화 길이 가변형 목발
KR20080006174U (ko) * 2007-06-08 2008-12-11 유민수 길이 조절 가능한 구조개선된 목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688495A (zh) * 2015-03-21 2015-06-10 王长柱 腋、手杖
WO2021015476A1 (ko) * 2019-07-25 2021-01-28 김영태 목발
JP2021083732A (ja) * 2019-11-28 2021-06-03 聖侑企業股▲ふん▼有限公司 パイプ体とグリップの組立構造
KR20240059189A (ko) 2022-10-27 2024-05-07 정세희 환경 친화적 목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23435B1 (ko) 2012-03-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10220161A1 (en) Independently Adjusting, Multi-Legged Walking Cane
US8215325B2 (en) Calf, ankle, foot, or leg rest for cane and cane with device attached
US20060254632A1 (en) Walking cane assembly
US20080041432A1 (en) Walking cane assembly
US6990990B2 (en) Walker with support handle
US5304109A (en) Inflatable support
KR101123435B1 (ko) 목발
US20180021202A1 (en) Biomechanical and ergonomical adjustable crutch
US2740465A (en) Foldable lounge chair
US10368647B2 (en) Backrest for a seating device
US9233047B2 (en) Independently adjusting multi-legged modular walker/cane assembly
KR20120067609A (ko)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낚시 좌대용 다리기구
KR101574338B1 (ko) 낚시용 파라솔 각도조절장치
CN104337671A (zh) 一种折叠式拐杖
JP2006334185A (ja) 松葉杖と腰掛とキャリアを兼ねた杖
CN106805530B (zh) 组合式折叠桌椅及其使用方法
KR102136834B1 (ko) 보조받침대가 부가된 안마기
KR200408358Y1 (ko) 목발의 높이조절장치
JP5956852B2 (ja) 杖支持具
CN203618905U (zh) 一种登山拐杖
KR20040046634A (ko) 책, 걸상용 지지다리의 높이조절구조
KR200468125Y1 (ko) 절첩식 보조의자 겸용 목발
US552956A (en) Pocket-stool
TWI804418B (zh) 椅杖
JP2019195391A (ja) 折り畳み杖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