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11934A - 앵커볼트 - Google Patents

앵커볼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11934A
KR20110011934A KR1020090069416A KR20090069416A KR20110011934A KR 20110011934 A KR20110011934 A KR 20110011934A KR 1020090069416 A KR1020090069416 A KR 1020090069416A KR 20090069416 A KR20090069416 A KR 20090069416A KR 20110011934 A KR20110011934 A KR 201100119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dge pin
anchor bolt
enlarged diameter
diameter portion
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694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길창우
Original Assignee
길창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길창우 filed Critical 길창우
Priority to KR10200900694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11934A/ko
Publication of KR201100119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193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41Connec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embedding in concrete or masonry
    • E04B1/4114Elements with sockets
    • E04B1/4128Elements with sockets receiving adjustable or removal nu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3/00Dowels or other devices fastened in walls or the like by inserting them in holes made therein for that purpose
    • F16B13/04Dowels or other devices fastened in walls or the like by inserting them in holes made therein for that purpose with parts gripping in the hole or behind the reverse side of the wall after inserting from the front
    • F16B13/08Dowels or other devices fastened in walls or the like by inserting them in holes made therein for that purpose with parts gripping in the hole or behind the reverse side of the wall after inserting from the front with separate or non-separate gripping parts moved into their final position in relation to the body of the device without further manual operation
    • F16B13/0841Dowels or other devices fastened in walls or the like by inserting them in holes made therein for that purpose with parts gripping in the hole or behind the reverse side of the wall after inserting from the front with separate or non-separate gripping parts moved into their final position in relation to the body of the device without further manual operation with a deformable sleeve member driven against the abutting surface of the head of the bolt or of a plu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Dowels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앵커볼트는, 쐐기핀(110)의 확경부(112)는 길이에 수직한 방향으로의 단면이 미늘톱니(ratchet) 모양을 하도록 그 외면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단턱부(112a)를 복수개 가지며, 슬리브(120)의 분할편(121)은 확경부(112)의 단턱부(112a)들 사이를 일대일 대응하여 덮도록 상기 미늘톱니의 톱니날의 개수만큼 형성되며, 슬리브(120)가 쐐기핀(110)의 확경부(112)에 끼워질 때 분할편(121)이 단턱부(112a)들 사이에 제대로 위치하도록, 분할편(121)의 최선단의 한쪽 모서리부는 단턱부(112a)에 걸리도록 더 안쪽으로 휘어져 들어간 가이드부(125)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슬리브(120)가 콘크리트 바닥(100)에 겉돌지 않게 고정되고, 쐐기핀(110)도 슬리브(120)와 겉돌지 않게 고정되어 피고정구조체(50)가 콘크리트 바닥에 단단하게 고정 결합된다.
앵커볼트, 쐐기핀, 확경부, 슬리브, 분할편, 미늘톱니, 암나사관

Description

앵커볼트{anchorbolt}
본 발명은 앵커볼트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콘크리트 벽이나 바닥에 손쉽고 견고하게 고정 설치할 수 있는 앵커볼트에 관한 것이다.
콘크리트 바닥 등에 피고정구조체를 설치하기 위하여 앵커볼트가 사용되는데, 앵커볼트를 콘크리트 바닥 등에 단단하게 고정 설치하기 위하여 여러가지 구조들이 제안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앵커볼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앵커볼트는 쐐기핀(10), 슬리브(20), 와셔(30), 및 너트(40)로 구성된다. 쐐기핀(10)은 수나사홈이 형성되어 있는 볼트축(11)과, 볼트축(11)에서 연장되어 점점 직경이 커지도록 테이퍼지는 확경부(12)를 가진다.
슬리브(20)는 쐐기핀(10)의 볼트축(11)에 끼워지며, 쐐기핀(10)의 확경부(12)로 밀려들어 갈수록 확경부(12)에 의해 바깥쪽으로 밀려 벌어지도록 볼트축(11)에 끼워지는 선단은 참조번호 22와 같이 길이방향으로 절개되어 복수개의 분 할편(21)을 가진다. 슬리브(20) 다음에는 쐐기핀(10)의 볼트축(11)에 와셔(30)와 너트(40)가 끼워진다.
도 2는 도 1의 앵커볼트의 설치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콘크리트 바닥(100)의 천공홀에 확경부(12)가 밑을 향하도록 쐐기핀(10)을 세워 넣은 후에 쐐기핀(10)의 볼트축(11)에 슬리브(20)를 끼워 넣는다(도 2a). 다음에 원통형의 보조누름부재(200)를 슬리브(20) 상에 올려놓아 슬리브(20)를 확경부(12)쪽으로 밀어 넣는다(도 2b). 그러면, 쐐기핀(10)의 선단에 있는 분할편(21)들은 바깥쪽으로 밀려 벌어지게 되어 슬리브(20)가 천공홀에 압착되게 된다(도 2c). 이후에 쐐기핀(10)의 볼트축(11)에 피고정구조체(50)를 끼워 넣은 후 와셔(30)와 너트(40)로 조여 피고정구조체(50)를 콘크리트 바닥(100)에 고정시킨다(도 2d).
그러나 상술한 종래의 앵커볼트는 슬리브(20)가 천공홀에 완전히 고정되지 않아 겉돌거나, 또한 쐐기핀(10)이 슬리브(20)와 겉도는 단점이 있다. 그러면 피고정구조체(50)가 제대로 고정되지 않는 결과가 초래된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콘크리트 바닥 등에 겉돌지 않게 견고하게 고정 설치되는 앵커볼트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예에 따른 앵커볼트는, 수나사홈이 형성되어 있는 볼트축과, 상기 볼트축에서 연장되어 점점 직경이 커지도록 테이퍼지는 확경부를 가지는 쐐기핀; 상기 쐐기핀의 볼트축에 끼워지며 상기 쐐기핀의 확경부로 밀려들어 갈수록 상기 확경부에 의해 바깥쪽으로 밀려 벌어지도록 상기 볼트축에 끼워지는 선단이 길이방향으로 절개되어 복수개의 분할편을 가지는 슬리브; 상기 슬리브 다음에 상기 쐐기핀의 볼트축에 끼워지는 와셔; 및 상기 와셔 다음에 상기 쐐기핀의 볼트축에 끼워지는 너트; 를 구비하되,
상기 쐐기핀의 확경부는 그 외측면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걸림턱이 복수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슬리브가 상기 쐐기핀의 확경부에 끼워질 때 상기 분할편이 상기 걸림턱에 걸리도록 상기 분할편에 절곡 가이드부가 형성되어 있는 수나사형 앵커볼트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앵커볼트는, 내측에 암나사홈이 형성되어 있는 암나사관과, 상기 암나사관에서 연장되어 점점 직경이 커지도록 테이퍼지는 확경부를 가지는 쐐기핀; 상기 쐐기핀의 암나사관을 둘러싸도록 상기 암나사관에 끼워지며, 상기 쐐기핀의 확경부로 밀려들어 갈수록 상기 확경부에 의해 바깥쪽으로 밀려 벌어지도록 상기 암나사관에 끼워지는 선단이 길이방향으로 절개되어 복수개의 분할편을 가지는 슬리브; 및 상기 쐐기핀의 암나사관에 나사체결되는 고정볼트; 를 구비하되,
상기 쐐기핀의 확경부는 그 외측면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걸림턱이 복수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슬리브가 상기 쐐기핀의 확경부에 끼워질 때 상기 분할편이 상기 걸림턱에 제대로 걸리도록 상기 분할편에 절곡 가이드부가 형성되는 암나사형 앵커볼트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확경부의 걸림턱이 단턱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확경부가 상기 단턱부에 의해 그 원주면이 불연속적이 됨으로써 상기 확경부는 길이에 수직한 방향으로의 단면이 미늘톱니 모양을 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슬리브의 분할편은 상기 확경부의 미늘톱니날을 일대일 대응하여 덮도록 상기 톱니날의 개수만큼 형성되며, 상기 분할편의 절곡 가이드부는 상기 분할편의 한쪽 모서리부가 안쪽으로 절곡되어 이루어진다. 이 때 상기 걸림턱의 단턱 형상은 상기 확경부의 끝단쪽으로 갈수록 점점 더 큰 단차를 가질 수 있다.
상기 확경부의 걸림턱은 오목홈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때 분할편의 절곡 가이드부는 상기 분할편의 한쪽 또는 양쪽 모서리부가 안쪽으로 절곡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또는 상기 분할편의 절곡 가이드부가 상기 오목홈 형태의 걸림턱에 합치되도록 상기 분할편의 가운데 부분에서 안쪽으로 함몰되어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확경부의 걸림턱은 볼록돌기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때 상기 분할편의 절곡 가이드부는 상기 볼록돌기 형태의 걸림턱에 합치되도록 상기 분할편의 가운데 부분에서 바깥쪽으로 돌기형태로 절곡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쐐기핀의 확경부가 길이에 수직한 방향으로 단면이 다각형 형태를 하여 상기 다각형 형태의 모서리 부분이 상기 확경부의 걸림턱 역할을 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상기 분할편의 절곡 가이드부는 상기 다각형 형태의 모서리 부분에 합치되 도록 상기 분할편의 가운데 부분이 절곡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슬리브가 콘크리트 바닥에 겉돌지 않게 고정되고, 상기 쐐기핀도 상기 슬리브와 겉돌지 않게 고정되어 피고정구조체가 콘크리트 바닥에 단단하게 고정 결합된다. 상기 쐐기핀이 볼트축을 가지는 전자의 경우에는 피고정구조체를 해체시켰을 때에 상기 쐐기핀의 볼트축이 콘크리트 바닥 밖으로 돌출된 상태로 존재하게 되어 외관상 및 안전상 바람직하지 못할 수 있지만, 상기 쐐기핀이 암나사관을 가지는 후자의 경우에는 피고정구조체를 해체시킬 때에 상기 고정볼트를 풀어 함께 제거하면 상기 암나사관을 가지는 쐐기핀과 상기 슬리브가 콘크리트 바닥에 매몰된 상태로 존재하기 때문에 외관상 및 안정상 바람직하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아래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제시된 것일 뿐이며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러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돼서는 안 된다.
[실시예 1: 수나사형 앵커볼트]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앵커볼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앵커볼트는 쐐기핀(110), 슬리브(120), 와 셔(130), 및 너트(1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쐐기핀(110)은 수나사홈이 형성되어 있는 볼트축(111)과, 볼트축(111)에서 연장되어 점점 직경이 커지도록 테이퍼지는 확경부(112)를 가진다.
슬리브(120)는 쐐기핀(110)의 볼트축(111)에 끼워지며 쐐기핀(110)의 확경부(112)로 밀려들어 갈수록 확경부(112)에 의해 바깥쪽으로 밀려 벌어지도록 볼트축(111)에 끼워지는 선단은 참조번호 122로 표시한 바와 같이 길이방향으로 절개되어 복수개의 분할편(121)을 가진다. 슬리브(120) 다음에는 쐐기핀(110)의 볼트축(111)에 와셔(130) 및 너트(140)가 끼워진다.
도 4는 쐐기핀(110)의 확경부(112)의 길이에 수직한 방향으로의 단면형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쐐기핀(110)의 확경부(112)는 길이에 수직한 방향으로의 단면이 미늘톱니(ratchet) 모양을 하도록 그 외면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단턱부(112a)를 복수개 가진다. 단턱부(112a)는 확경부(112) 끝단쪽으로 갈수록 점점 더 큰 단차를 가진다.
도 5는 슬리브(120)의 선단의 단면형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리브(120)의 분할편(121)은 확경부(112)의 단턱부(112a)들 사이를 일대일 대응하여 덮도록 확경부(112)의 미늘톱니의 톱니날의 개수만큼 형성된다. 도 4 및 도 5에서는 4개의 톱니날과 4개의 분할편(121)이 형성되는 경우를 예로 들었다.
슬리브(120)가 쐐기핀(110)의 확경부(112)에 끼워질 때 분할편(121)이 단턱부(112a)들 사이에 제대로 위치하도록, 분할편(121)의 최선단의 한쪽 모서리부는 단턱부(112a)에 걸리도록 더 안쪽으로 휘어져 들어간 절곡 가이드부(125)를 가진다.
도 6은 도 3의 앵커볼트의 설치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콘크리트 바닥(100)의 천공홀에 확경부(112)가 밑을 향하도록 쐐기핀(110)을 세워 넣는 후에 쐐기핀(110)의 볼트축(111)에 슬리브(120)를 끼워 넣는다(도 6a). 다음에 원통형의 보조누름부재(200)를 슬리브(120) 상에 올려놓아 슬리브(120)를 확경부(112) 쪽으로 밀어 넣는다(도 6b). 그러면, 쐐기핀(110)의 선단에 있는 분할편(121)들은 바깥쪽으로 밀려 벌어지게 되어 슬리브(120)가 천공홀에 압착되게 된다(도 6c). 이 때, 확경부(112)가 미늘톱니 형상을 하기 때문에 슬리브(120)의 분할편(121)도 미늘톱니 형상으로 하게 된다. 따라서 슬리브(120)의 분할편(121)이 콘크리트 바닥에 겉돌지 않게 고정되고, 확경부(112)도 분할편(121)과 겉돌지 않게 된다. 이후에 쐐기핀(110)의 볼트축(111)에 피고정구조체(50)를 끼워 넣은 후 와셔(130)와 너트(140)를 조여 피고정구조체(50)를 콘크리트 바닥(100)에 고정시킨다(도 6d).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하면, 슬리브(120)가 콘크리트 바닥에 겉돌지 않게 고정되고, 쐐기핀(110)도 슬리브(120)와 겉돌지 않게 고정되어 피고정구조체(50)가 콘크리트 바닥(100)에 단단하게 고정 결합된다.
[실시예 2]
도 7은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앵커볼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제2실시예의 경우는 제1실시예(도 3)의 경우와 달리 쐐기핀(110)의 확경부(112)가 미늘 톱니 모양을 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확경부(112)는 그 외면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오목홈(112b)을 복수개 가져서 그 단면이 오목홈(112b)이 형성되어 있는 원형태를 한다. 그리고 제1실시예(도 3)의 경우에는 절곡 가이드부(125)가 분할편(121)의 최선단의 한쪽 모서리부에 설치되지만 제2실시예(도 7)의 경우에는 절곡 가이드부(125)가 분할편(121)의 최선단의 한쪽 모서리부 뿐만 아니라 양쪽 모서리부에 설치될 수도 있다.
[실시예 3]
도 8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앵커볼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제3실시예의 경우는 제2실시예(도 7)의 경우와 달리 쐐기핀(110)의 확경부(112)에 걸림턱으로서 오목홈(112b)이 아닌 볼록돌기(112c)가 형성된다. 이 때, 분할편(121)의 절곡 가이드(125c)는 확경부(112)의 볼록돌기(112c)에 합치되도록 분할편(121)의 가운데 부분에서 바깥쪽으로 돌기형태로 절곡되어 이루어진다. 여기서 확경부(112)의 볼록돌기(112c)는 다각형 또는 원형태일 수 있다.
[실시예 4]
도 9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앵커볼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제4실시예의 경우는 제2실시예(도 7)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쐐기핀(110)의 확경부(112)에 걸림턱으로서 오목홈(112b)이 형성되는 경우이며, 대신에 분할편(120)의 절곡 가이드(125b)가 오목홈 형태의 걸림턱(112b)에 합치되도록 분할편(120)의 가운데 부분에서 안쪽으로 함몰되어 이루어지는 것이 다르다.
[실시예 5]
도 10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앵커볼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제5실시예의 경우는 다른 실시예와 달리 쐐기핀(110)의 확경부(112)가 길이에 수직한 방향으로 단면이 다각형 형태를 한다. 따라서 다각형 형태의 모서리(112d)가 기 확경부(112)의 걸림턱 역할을 하며, 다각형 형태의 모서리(112d)에 합치되도록 분할편(121)의 가운데 부분은 가이드(125d)로서 적어도 한군데 이상 절곡된다.
[실시예 6: 암나사형 앵커볼트]
도 11은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앵커볼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쐐기핀(110)이 볼트축(111)을 가지는 제1실시예의 경우와 달리 제2실시예의 경우에는 쐐기핀(210)이 내측에 암나사홈이 형성되어 있는 암나사관(211)을 가진다. 확경부(212)는 암나사관(211)에서 연장되어 점점 직경이 커지도록 테이퍼진다.
슬리브(220)는 쐐기핀(210)의 암나사관(211)을 둘러싸도록 암나사관(211)에 끼워진다. 슬리브(220)는 쐐기핀(210)의 확경부(212)로 밀려들어 갈수록 확경부(212)에 의해 바깥쪽으로 밀려 벌어지도록 암나사관(211)에 끼워지는 선단은 참조번호 222로 표시한 바와 같이 길이방향으로 절개되어 복수개의 분할편(221)을 가진다.
쐐기핀(210)이 수나사 볼트축(111)이 아닌 암나사관(211)을 가지므로, 너트(140) 대신에 쐐기핀(210)의 암나사관(211)에 나사체결되는 고정볼트(240)가 설치된다. 고정볼트(240)와 슬리브(220) 사이에는 와셔(230)가 설치된다.
쐐기핀(210)의 확경부는 제1실시예(도 3)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길이에 수 직한 방향으로의 단면이 미늘톱니 모양을 하도록 그 외면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단턱부(212a)를 복수개 가진다.
상기 분할편(221)의 최선단의 한쪽 모서리부도, 제1실시예(도 3)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슬리브(220)가 쐐기핀(210)의 확경부(212)에 끼워질 때 단턱부(212a)에 걸려 분할편(221)이 단턱부(212a)들 사이에 제대로 위치하도록, 더 안쪽으로 휘어져 들어간 가이드부(225)를 가진다.
도 12는 도 11의 앵커볼트의 설치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콘크리트 바닥(100)의 천공홀에 확경부(212)가 밑을 향하도록 쐐기핀(210)을 세워 넣는 후에 쐐기핀(210)의 암나사관(211)에 슬리브(220)를 끼워 넣는다(도 12a). 다음에 마개형태의 보조누름부재(300)를 사용하거나 또는 직접적으로 슬리브(220)를 확경부(212) 쪽으로 밀어 넣는다(도 12b). 그러면, 쐐기핀(110)의 선단에 있는 분할편(221)들은 바깥쪽으로 밀려 벌어지게 되어 슬리브(220)가 천공홀에 압착되게 된다(도 12c). 이 때, 도 3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확경부(220)가 미늘톱니 형상을 하기 때문에 슬리브(220)의 분할편(221)도 미늘톱니 형상으로 하게 된다. 따라서 슬리브(220)의 분할편(221)이 콘크리트 바닥에 겉돌지 않게 고정되고, 확경부(212)도 분할편(221)과 겉돌지 않게 된다. 이후에 피고정구조체(50)를 콘크리트 바닥(100)에 올려놓고 고정볼트(240)를 피고정구조체(50)를 관통시켜 쐐기핀(210)의 암나사관(211)에 체결시킴으로써 피고정구조체(50)를 콘크리트 바닥(100)에 고정시킨다(도 12d). 고정볼트(240)와 피고정구조체(50) 사이에 와셔(230)가 개재되면 좋다.
본 발명의 제6실시예의 경우에도 제1실시예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슬리 브(220)가 콘크리트 바닥에 겉돌지 않게 고정되고, 쐐기핀(210)도 슬리브(220)와 겉돌지 않게 고정되어 피고정구조체(50)가 콘크리트 바닥(100)에 단단하게 고정 결합된다.
제1실시예의 경우에는 피고정구조체(50)를 해체시키면 쐐기핀(110)의 볼트축(111)이 콘크리트 바닥(100) 밖으로 돌출된 상태로 존재하게 되어 외관상 및 안전상 바람직하지 못하지만, 제6실시예의 경우에는 피고정구조체(50)를 해체시킬 때에 고정볼트(240)를 풀어 함께 제거하면 쐐기핀(210)과 슬리브(220)가 콘크리트 바닥(100)에 매몰된 상태로 존재하기 때문에 외관상 및 안정상 더 바람직하다.
암나사형 앵커볼트로서 제1실시예의 경우가 변형된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나머지 수나사형 앵커볼트(제2실시예 내지 제5실시예)의 경우도 상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암나사형 앵커볼트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앵커볼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도 1의 앵커볼트의 설치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앵커볼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쐐기핀(110)의 확경부(112)의 길이에 수직한 방향으로의 단면형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슬리브(120)의 선단의 단면형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도 3의 앵커볼트의 설치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앵커볼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앵커볼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앵커볼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앵커볼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앵커볼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2는 도 11의 앵커볼트의 설치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참조번호의 설명>
10, 110, 210: 쐐기핀 11, 111: 볼트축
12, 112, 212: 확경부 20, 120, 220: 슬리브
30, 130, 230: 와셔 40, 140: 너트
50: 피고정구조체 100: 콘크리트 바닥
112a, 212a: 단턱부 121, 221: 분할편
122, 222: 절개부 211: 암나사관

Claims (20)

  1. 수나사홈이 형성되어 있는 볼트축과, 상기 볼트축에서 연장되어 점점 직경이 커지도록 테이퍼지는 확경부를 가지는 쐐기핀;
    상기 쐐기핀의 볼트축에 끼워지며 상기 쐐기핀의 확경부로 밀려들어 갈수록 상기 확경부에 의해 바깥쪽으로 밀려 벌어지도록 상기 볼트축에 끼워지는 선단이 길이방향으로 절개되어 복수개의 분할편을 가지는 슬리브;
    상기 슬리브 다음에 상기 쐐기핀의 볼트축에 끼워지는 와셔; 및
    상기 와셔 다음에 상기 쐐기핀의 볼트축에 끼워지는 너트; 를 구비하되,
    상기 쐐기핀의 확경부는 그 외측면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걸림턱이 복수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슬리브가 상기 쐐기핀의 확경부에 끼워질 때 상기 분할편이 상기 걸림턱에 걸리도록 상기 분할편에 절곡 가이드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앵커볼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확경부의 걸림턱이 단턱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확경부가 상기 단턱부에 의해 그 원주면이 불연속적이 됨으로써 상기 확경부는 길이에 수직한 방향으로의 단면이 미늘톱니 모양을 하며, 상기 슬리브의 분할편은 상기 확경부의 미늘톱니날을 일대일 대응하여 덮도록 상기 톱니날의 개수만큼 형성되며, 상기 분할편의 절곡 가이드부는 상기 분할편의 한쪽 모서리부가 안쪽으로 절곡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앵커볼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턱의 단턱 형상은 상기 확경부의 끝단쪽으로 갈수록 점점 더 큰 단차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앵커볼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확경부의 걸림턱이 오목홈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앵커볼트.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편의 절곡 가이드부가 상기 분할편의 한쪽 모서리부가 안쪽으로 절곡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앵커볼트.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편의 절곡 가이드부가 상기 분할편의 양쪽 모서리부가 안쪽으로 절곡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앵커볼트.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확경부의 걸림턱이 볼록돌기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앵커볼트.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편의 절곡 가이드부가 상기 볼록돌기 형태의 걸림턱에 합치되도록 상기 분할편의 가운데 부분에서 바깥쪽으로 돌기형태로 절곡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앵커볼트.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편의 절곡 가이드부가 상기 오목홈 형태의 걸림턱에 합치되도록 상기 분할편의 가운데 부분에서 안쪽으로 함몰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앵커볼트.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쐐기핀의 확경부가 길이에 수직한 방향으로 단면이 다각형 형태를 하여 상기 다각형 형태의 모서리 부분이 상기 확경부의 걸림턱 역할을 하며, 상기 분할편의 절곡 가이드부는 상기 다각형 형태의 모서리 부분에 합치되도록 상기 분할편의 가운데 부분이 절곡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앵커볼트.
  11. 내측에 암나사홈이 형성되어 있는 암나사관과, 상기 암나사관에서 연장되어 점점 직경이 커지도록 테이퍼지는 확경부를 가지는 쐐기핀;
    상기 쐐기핀의 암나사관을 둘러싸도록 상기 암나사관에 끼워지며, 상기 쐐기핀의 확경부로 밀려들어 갈수록 상기 확경부에 의해 바깥쪽으로 밀려 벌어지도록 상기 암나사관에 끼워지는 선단이 길이방향으로 절개되어 복수개의 분할편을 가지는 슬리브; 및
    상기 쐐기핀의 암나사관에 나사체결되는 고정볼트; 를 구비하되,
    상기 쐐기핀의 확경부는 그 외측면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걸림턱이 복수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슬리브가 상기 쐐기핀의 확경부에 끼워질 때 상기 분할편이 상기 걸림턱에 제대로 걸리도록 상기 분할편에 절곡 가이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 징으로 하는 앵커볼트.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확경부의 걸림턱이 단턱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확경부가 상기 단턱부에 의해 그 원주면이 불연속적이 됨으로써 상기 확경부는 길이에 수직한 방향으로의 단면이 미늘톱니 모양을 하며, 상기 슬리브의 분할편은 상기 확경부의 미늘톱니날을 일대일 대응하여 덮도록 상기 톱니날의 개수만큼 형성되며, 상기 분할편의 절곡 가이드부는 상기 분할편의 한쪽 모서리부가 안쪽으로 절곡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앵커볼트.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턱의 단턱 형상은 상기 확경부의 끝단쪽으로 갈수록 점점 더 큰 단차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앵커볼트.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확경부의 걸림턱이 오목홈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앵커볼트.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편의 절곡 가이드부가 상기 분할편의 한쪽 모서리부가 안쪽으로 절곡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앵커볼트.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편의 절곡 가이드부가 상기 분할편의 양쪽 모서리부가 안쪽으로 절곡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앵커볼트.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확경부의 걸림턱이 볼록돌기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앵커볼트.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편의 절곡 가이드부가 상기 볼록돌기 형태의 걸림턱에 합치되도록 상기 분할편의 가운데 부분에서 바깥쪽으로 돌기형태로 절곡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앵커볼트.
  19.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편의 절곡 가이드부가 상기 오목홈 형태의 걸림턱에 합치되도록 상기 분할편의 가운데 부분에서 안쪽으로 함몰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앵커볼트.
  20.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쐐기핀의 확경부가 길이에 수직한 방향으로 단면이 다각형 형태를 하여 상기 다각형 형태의 모서리 부분이 상기 확경부의 걸림턱 역할을 하며, 상기 분할편의 절곡 가이드부는 상기 다각형 형태의 모서리 부분에 합치되도록 상기 분할편의 가운데 부분이 절곡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앵커볼트.
KR1020090069416A 2009-07-29 2009-07-29 앵커볼트 KR2011001193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9416A KR20110011934A (ko) 2009-07-29 2009-07-29 앵커볼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9416A KR20110011934A (ko) 2009-07-29 2009-07-29 앵커볼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1934A true KR20110011934A (ko) 2011-02-09

Family

ID=437719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69416A KR20110011934A (ko) 2009-07-29 2009-07-29 앵커볼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1193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46092A (ko) * 2014-06-20 2015-12-31 주식회사 만도 임피던스 저감을 위한 피씨비와 섀시간의 그라운드 결합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46092A (ko) * 2014-06-20 2015-12-31 주식회사 만도 임피던스 저감을 위한 피씨비와 섀시간의 그라운드 결합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67929B1 (ko) 앵커 볼트
US20100003074A1 (en) Connecting structure of steel bar
JP2007192272A (ja) 鉄筋係止具
KR20120133972A (ko) 철근 연결 장치
KR101404938B1 (ko) 펀칭작업이 필요없는 개선된 세트 앵커볼트
KR20100127119A (ko) 셋트 앙카볼트 및 이를 이용한 트러스 시공방법
KR20110011934A (ko) 앵커볼트
KR20100115070A (ko) 와이어 정착용 앵커볼트
KR102393584B1 (ko) 보강지지대가 구비된 외벽 고정용 앵커
JP2009161938A (ja) ねじ締め機構及びこのねじ締め機構を用いた建築用仮組金具
KR20110046071A (ko) 세트 앵커볼트
KR102130526B1 (ko) 거푸집용 선시공 타입 볼트 어셈블리
KR20160008803A (ko) 앵커볼트 조립체
KR20110008780A (ko) 너트조임에 의해 고정가능한 앵커볼트
KR20090006046A (ko) 가설물고정용 볼트
KR102310554B1 (ko) 분리형 앵커 볼트 조립체
KR20100097932A (ko) 이중나사 커플링 유닛
KR20170002262A (ko) 고정안정성 증대용 결합면을 갖는 고정구 세트
JP2010203097A (ja) 壁面ボルト固定部材とその取り付け工法
KR101582258B1 (ko) 세트 앵커 볼트
KR20030073767A (ko) 볼트와 너트로 된 체결부재
KR20150103491A (ko) 슬리브의 길이를 크게 줄인 개량형 세트 앵커볼트
JP2005232750A (ja) コンクリート構造体の補強器具
JP2004132049A (ja) 配管設置用嵌入部材および配管設置方法
KR20180023269A (ko) 앵커 볼트의 캡 탈락 방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