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11430U - 마스크팩용 포장지 - Google Patents

마스크팩용 포장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11430U
KR20110011430U KR2020100005840U KR20100005840U KR20110011430U KR 20110011430 U KR20110011430 U KR 20110011430U KR 2020100005840 U KR2020100005840 U KR 2020100005840U KR 20100005840 U KR20100005840 U KR 20100005840U KR 20110011430 U KR20110011430 U KR 2011001143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mask pack
wrapping paper
effect
componen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584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경식
Original Assignee
한국화장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화장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화장품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0000584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11430U/ko
Publication of KR2011001143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1430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28Articles or materials wholly enclosed in composite wrappers, i.e. wrappers formed by associating or interconnecting two or more sheets or blanks
    • B65D75/30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between two opposed sheets or blanks having their margins united, e.g. by pressure-sensitive adhesive, crimping, heat-sealing, or welding
    • B65D75/32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between two opposed sheets or blanks having their margins united, e.g. by pressure-sensitive adhesive, crimping, heat-sealing, or welding one or both sheets or blanks being recessed to accommodate contents
    • B65D75/36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between two opposed sheets or blanks having their margins united, e.g. by pressure-sensitive adhesive, crimping, heat-sealing, or welding one or both sheets or blanks being recessed to accommodate contents one sheet or blank being recessed and the other formed of relatively stiff flat sheet material, e.g. blister packages, the recess or recesses being preformed
    • B65D75/366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between two opposed sheets or blanks having their margins united, e.g. by pressure-sensitive adhesive, crimping, heat-sealing, or welding one or both sheets or blanks being recessed to accommodate contents one sheet or blank being recessed and the other formed of relatively stiff flat sheet material, e.g. blister packages, the recess or recesses being preformed and forming one compar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03/00Decoration means, markings, information elements, contents indicators
    • B65D2203/02Labe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smetics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마스크팩에 포함된 성분의 향기효과를 이미지로 나타내는 마스크팩용 포장지를 개시한다.
이를 위하여 본 고안의 마스크팩용 포장지는 내부에 저장공간을 갖는 포장지, 상기 포장지에 저장되어 있는 마스크팩의 성분으로부터 얻어지는 향기효과를 연상시키는 이미지가 포장용지 표면에 표시되는 이미지 연상부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도안부에는 도안된 전체 이미지를 단어로 함축시켜 표시되는 제시어부, 상기 제시어부와 인접하여 소정의 크기를 가지면서 이미지가 표시되는 이미지부, 상기 이미지부의 테두리에 표시되는 여백부가 형성되어 있다.

Description

마스크팩용 포장지{Wrapping Paper for Mask Pack}
본 고안은 마스크팩용 포장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포장지 내부에 들어있는 내용물 또는 이 내용물로부터 연상되는 효과 또는 효능을 연상시키는 그림, 카드 등을 갖는 마스크팩용 포장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여성들은 얼굴을 피부 미용 및 자신을 아름답게 보이기 위한 방법으로 피부가 거칠어지거나 햇볕에 타서 피부가 거칠어지거나 피로할 때 피부에 영양을 공급하여 얼굴피부를 탄력 있게 가꾸기 위하여 세안 후 얼굴 마사지팩을 사용한다.
이때 피부에 영양을 공급하기 위하여 오이나 감귤 등의 천연재료나 마사지용 크림, 영양 팩, 클린징 팩, 표백 팩 등의 팩제를 바른 상태에서 얼굴에 미용 티슈나 기타 보조 수단을 사용하여 덮어줄 수 있다.
또한 마사지를 손쉽게 하기 위해서는 부직포, 미용필름 등을 일정한 형태로 압축시켜서 마사지할 얼굴 부위에 덮어 씌울 수 있도록 원형이나 얼굴 모양의 여러 가지 종류의 마스크 팩이 시중에 출시되고 있으며, 각 낱개로 포장지에 진공 포장하여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출시되고 있다.
참고로 시판 중인 마스크 팩은 부직포, 종이 등에 피부 노폐물 제거, 주름 제거, 미백 효과 등이 있는 다양한 성분을 함침시켜서 적절한 모양으로 절단하여 포장한 것들이다.
상기 부직포는 섬유의 직포공정을 거치지 않고, 평행 또는 부정방향(不定方向)으로 배열하고 합성수지 접착제로 결합하여 펠트모양으로 만든 것으로 원료 섬유로는 솜, 비스코스 레이온, 나일론 등의 합성섬유가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부직포는 섬유가 얽혀 있어서 종횡의 방향성이 없으며, 자른 가장자리가 풀리는 일도 없기 때문에 여러 가지 용도에 쓰이는데, 마스크 팩의 기제 중 가장 널리 이용되고 있는 재료이다.
마스크 팩에 함침되는 조성물은 기본적으로 피부미용에 도움을 주는 천연오일과 그외 로션 또는 로션 혼합제를 혼합한 혼합젤을 마스크에 일정 두께로 도포하고 건조시킨 후 알부틴 용액이나 콜라겐 용액 등(이하 '화장수'라 칭함)을 넣어 함께 진공 포장된다.
이와 같이 다양한 성분이 함침되어 낱개로 포장되는 마스크 팩은 최종적으로 PP나 PE소재로 제작된 포장지에 가장자리의 실링작업으로서 밀봉 포장처리되고, 사용시 간단히 포장지를 절취한 후 마스크 팩을 꺼내어 얼굴에 부착하여 사용한다.
그러나 상기 포장지에 포장된 마스크 팩에 함침되도록 한 화장수는 여러 종류의 성분이 섞여 진공 포장이 되었더라도 장기간 보관 및 유통기간 중에 화장품 성분간 화학반응이 일어나 부직포 소재인 마스크 팩과의 트러블이 발생하기도 한다. 참고로 화학반응은 성분의 혼합반응 시간이 오래 경과되면 성분자체가 믹싱되지 않고 격리되는 성질로서 피부미용 효과가 떨어지게 된다.
또한 포장시 변질될 수 있기 때문에 아무리 진공 포장이 나중에 이루어지더라도 마스크 팩에 기본적으로 함침된 성분과 화장수의 성분 혼합에 따른 변질이 우려되어 피부 미용을 목적으로 하는 마스크 팩의 함침된 약용효과는 떨어지게 된다.
아울러 마스크 팩은 포장지 내부에 접힌 상태로 내장되며, 포장지에는 상표와 마스크팩에 포함된 성분을 표시하거나 효능 및 효과 또는 제조자 등을 표시하고 있다.
따라서 소비자는 포장지의 표면에 인쇄되어 있는 내용을 보고서 사용하고자 하는 마스크팩을 선택하게 되는데, 마스크팩이 갖는 효과나 효능 부분에 적힌 내용을 자세히 보기보다는 상표나 제조자 등을 보고서 선택하게 되는 경향이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마스크팩에 포함된 성분의 향기효과를 이미지로 나타내는 마스크팩용 포장지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마스크팩용 포장지는 내부에 저장공간을 갖는 포장지, 상기 포장지에 저장되어 있는 마스크팩의 성분으로부터 얻어지는 향기효과를 연상시키는 이미지가 포장용지 표면에 표시되는 이미지 연상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미지 연상부는 상기 마스크팩의 향기효과를 연상시키는 도안부와 상기 마스크팩의 성분, 향기효과, 피부효과가 기재되는 설명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미지 연상부의 설명부에는 상기 마스크팩의 성분, 향기효과, 피부효과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은폐시키는 부착시트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도안부에는 도안된 전체 이미지를 단어로 함축시켜 표시되는 제시어부, 상기 제시어부와 인접하여 소정의 크기를 가지면서 이미지가 표시되는 이미지부, 상기 이미지부의 테두리에 표시되는 여백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사용자에게 마스크팩에 함유된 성분이 갖는 향기효과를 이미지로 암시하여 줌으로써 연상작용을 일으키게 되고, 이미지 연상부를 가짐으로써 타사 제품과의 식별력을 높이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
또 본 고안은 이미지 연상부에 도시된 이미지로부터 얻어지는 향기효과와 이미지 내용을 은폐시켜 줌으로써 사용자의 관심을 유발시킴은 물론 호기심을 갖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마스크팩 포장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마스크팩 포장지에 표시되는 이미지 연상부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마스크팩 포장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마스크팩 포장지에 표시되는 이미지 연상부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마스크팩용 포장지(100)는 내부에 저장공간을 갖는 포장지(110), 상기 포장지(110)에 내장되어 있는 마스크팩의 주요 성분으로부터 얻어지는 향기효과를 연상시키는 이미지가 포장지(110) 표면에 표시되는 이미지 연상부(120)를 포함한다.
상기 포장지(110)는 내부에 저장공간을 가지고 있으며, PP 또는 PE 등과 같은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포장지(110)는 저장공간에 수용되는 마스크팩(도면상 미도시됨)과 마스크팩에 함유된 액체 성분이 외부로 새지 않도록 밀봉되어 있다.
또 포장지(110)에는 상측에 쉽게 찢어지도록 절취부(111)가 형성되어 있으며, 절취부(111)는 포장지(110)가 쉽게 찢어지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이미지 연상부(120)는 포장지(110)에 내장되어 있는 마스크팩의 함유되어 있는 성분으로부터 얻어지는 향기효과(아로마테라피)를 연상시키는 이미지를 포함한다.
이러한 이미지 연상부(120)는 포장지(110) 일면에 표시되며, 이미지 연상부(120)는 마스크팩의 향기효과를 연상시키는 도안부(121)와 상기 마스크팩의 성분, 용도, 효능, 효과를 기재하는 설명부(122)를 더 포함한다.
즉, 이미지 연상부(120)에는 마스크팩에 함유되어 있는 성분으로부터 얻어지는 향기효과에 대응되는 이미지(그림)이 그려져 있는 도안부(121)가 표시되어 있다.
이러한 도안부(121)에는 이미지를 함축적인 단어로 나타낸 제시어부(123)가 표시되어 있고, 제시어부(123) 일측에는 소정의 크기를 갖는 이미지로 된 이미지부(124)가 표시되어 있으며, 상기 이미지부(124)의 테두리에는 여백부(125)가 표시되어 있다.
상기 제시어부(123)에는 도안부(121)에 도시되어 있는 이미지를 가장 함축적으로 나타내는 단어가 기재되어 있고, 이미지부(124)에는 향기효과를 가장 적절하게 나타내는 그림이 도시되어 있으며, 여백부(125)는 이미지부(124) 바깥쪽에 여백을 형성하여 줌으로써 이미지부(124)를 주변으로부터 일정 간격만큼 떨어지게 함으로써 이미지부(124)를 보다 눈에 잘 띄게 함은 물론 이미지부(124)의 이미지가 잘 파악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 이미지 연상부(120)의 설명부(122)에는 마스크팩이 갖는 성분, 효능, 효과 등을 기재하여 줌으로써 사용자에게 마스크팩에 포함된 성분을 알려줌은 물론 이러한 성분이 갖는 효능과 효과를 보다 구체적으로 알려주게 된다.
또한 설명부(122)에는 향기효과를 기재하는 향기효과 기재란(126), 마스크팩이 가지는 피부효과를 기재하는 피부효과 기재란(127), 성분을 기재함과 함께 이미지가 갖는 구체적인 내용을 기재한 이미지 기재란(128)을 더 구비한다.
상기 이미지 기재란(128)은 소비자가 직접 보지 못하도록 은폐시키는 부착시트(129)가 더 구비되며, 부착시트(129)는 포장지(110)에 점착되어 있어 소비자가 그 내용을 볼 수 있도록 떼어낼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이미지 연상부(120)는 포장지(110)의 전면 또는 후면에 인쇄되는 것으로, 도 2의 (a)와 (b)에서와 같이 도안부(121)와 설명부(122)가 같이 인쇄될 수도 있으며, 도안부(121)는 포장지(110)의 전면에 인쇄되고 설명부(122)는 포장지(110)의 후면에 별도로 인쇄되어도 무방하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마스크팩용 포장지(100)는 PE 또는 PP 재질로 이루어져 있고, 그 내부에는 마스크팩이 내장되어 있다.
이러한 마스크팩은 피부미용에 도움을 주는 천연오일 또는 혼합젤, 알부틴 용액이나 콜라겐 용액 등의 화장수가 포함되어 있으며, 화장수에 포함되는 성분 중에 향기나는 식물로부터 추출한 순수한 정유(精油, 에센셜 오일)를 함유하고 있다.
상기 화장수에는 향기나는 식물인 레몬, 레몬그라스, 쟈스민, 멜리사, 로즈제라늄, 로즈우드 등이 함유되어 있으며, 레몬 또는 레몬그라스는 기억력과 집중력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쟈스민 또는 멜리사는 우울증, 정신피로, 긴장완화, 스트레스를 완화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로즈제라늄 또는 로즈우드는 여성의 기능을 증진시킴은 물론 생리통, 근육통, 요통, 편두통을 완화시키는 효과를 갖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 티트리와 유칼립투스는 살균, 살충, 항바이러스 효과를 가짐은 물론 원기 회복, 정신안정 및 감기를 예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캐롯씨드, 시트러스 프루트는 기분을 맑게 해주며 자신감 상승, 활력과 혈형을 촉진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렇게 마스크팩은 향기효과를 가지는 성분을 함유하고서 포장지(110)에 진공 포장되어 있으며, 사용자는 포장지(110)의 절취부(111)를 잡고서 찢은 다음 마스크팩을 꺼내어 얼굴 피부에 밀착시켜 사용하게 된다.
이와 같이 사용자는 마스크팩을 꺼내게 되어 사용하기 전에 포장지(110)에 인쇄되어 있는 표면을 보게 되는데, 포장지(110) 일면에는 이미지 연상부(120)를 주시하게 된다.
이러한 이미지 연상부(120)에는 향기효과로부터 얻어지는 효과와 관련된 이미지가 도안부(121)의 이미지부(124)에 그림으로 도시되어 있어 마스크팩을 사용하기 전에 향기효과와 관련된 내용을 이미지를 통해 파악할 수 있게 된다.
또 도안부(121)의 제시어부(123)에는 이미지부(124)에 그려져 있는 이미지를 가장 함축적으로 나타내는 단어가 제시어부(123)에 기재되어 있어 이미지를 파악하는 데 도움을 주게 된다.
또한 여백부(125)는 이미지부(124)의 테두리에 여백이 형성되어 있어 포장지(110)의 다른 부분과 확연히 구분되게 하며 사용자의 시야에 잘 띄게 하며, 설명부(122)에는 마스크팩이 가지는 피부효과를 기재한 피부효과 기재란(127)을 보고서 해당 마스크팩의 효과를 파악하게 된다.
아울러 설명부(122)의 향기효과 기재란(126)에는 마스크팩에 함유된 성분이 갖는 향기효과가 기재되어 있어 소비자가 이를 쉽게 파악되도록 하며, 향기효과 기재란(126)에는 그 내용을 은폐시키는 부착시트(129)가 선택적으로 부착되어 있다.
이러한 부착시트(129)는 불투명으로 되어 있어 향기효과의 내용을 사용자가 직접 파악하지 못하고 간접적으로 파악하도록 유도하게 되며, 사용자의 확인이 이루어지도록 포장지(110) 표면에 점착되어 있다.
또 설명부(122)의 피부효과 기재란(127)에는 마스크팩이 가지는 효과 즉, 여드름 및 지성피부의 수렴효과를 갖는 마스크팩, 피부 불순물 제거 및 피부 진정작용을 갖는 마스크팩, 건성 피부의 보습 강화 및 피부의 탄력을 증진시키는 마스크팩, 피지분비 조절 및 염증을 완화시키는 마스크팩, 브라이트닝 효과와 파부톤 개선 효과를 얻을 수 있는 마스크팩임을 직접 문자로 확인할 수 있도록 내장된 마스크팩의 포장지에 인쇄되어 있다.
즉, 사용자는 마스크팩의 용도 및 효과에 따라 설명부(120)의 피부효과 기재란(127)으로부터 마스크팩의 사용 용도를 파악할 수 있게 되며, 마스크팩의 주요 성분이 갖는 대표적인 향기효과를 쉽게 파악할 수 있게 된다.
100: 마스크팩용 포장지 110: 포장지
111: 절취부
120: 이미지 연상부 121: 도안부
122: 설명부 123: 제시어부
124: 이미지부 125: 여백부
126: 향기효과 기재란 127: 피부효과 기재란
128: 이미지 기재란 129: 부착시트

Claims (4)

  1. 내부에 저장공간을 갖는 포장지,
    상기 포장지에 저장되어 있는 마스크팩의 성분으로부터 얻어지는 향기효과를 연상시키는 이미지가 포장용지 표면에 표시되는 이미지 연상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팩용 포장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연상부는 상기 마스크팩의 향기효과를 연상시키는 도안부와 상기 마스크팩의 성분, 향기효과, 피부효과가 기재되는 설명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팩용 포장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연상부의 설명부에는 상기 마스크팩의 성분, 향기효과, 피부효과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은폐시키는 부착시트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팩용 포장지.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도안부에는 도안된 전체 이미지를 단어로 함축시켜 표시되는 제시어부, 상기 제시어부와 인접하여 소정의 크기를 가지면서 이미지가 표시되는 이미지부, 상기 이미지부의 테두리에 표시되는 여백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팩용 포장지.
KR2020100005840U 2010-06-04 2010-06-04 마스크팩용 포장지 KR20110011430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5840U KR20110011430U (ko) 2010-06-04 2010-06-04 마스크팩용 포장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5840U KR20110011430U (ko) 2010-06-04 2010-06-04 마스크팩용 포장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1430U true KR20110011430U (ko) 2011-12-12

Family

ID=728878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5840U KR20110011430U (ko) 2010-06-04 2010-06-04 마스크팩용 포장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11430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7397B1 (ko) 2018-11-06 2019-10-01 정자영 마스크팩용 포장 용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7397B1 (ko) 2018-11-06 2019-10-01 정자영 마스크팩용 포장 용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55171Y1 (ko) 마스크 팩용 포장대
US20060094598A1 (en) Medium configured to be impregnated with a liquid, and a kit including such a medium
KR200458219Y1 (ko) 롤 마스크 팩
US20140004227A1 (en) Flexible Pouch
EP2114355A2 (en) Cosmetic skin care articles and skin care system
EP2151171A1 (en) Kit for providing on-demand dry, wet or warm wet wipes
JP3193215U (ja) 乾性パックセット及び有機酸乾性パック
KR101113196B1 (ko) 발팩
KR200381099Y1 (ko) 마사지팩용 마스크
KR20160061079A (ko) 마스크 팩 포장 용기 및 마스크 팩 포장 방법
JP2006021034A (ja) 注液含浸包装体
JP2016077836A (ja) 顔の温水浴美容法およびその美容器具
KR200464833Y1 (ko) 피부미용팩
US20140050044A1 (en) Cosmetic raw material capsule for separating and accommodating cosmetic raw materials, and apparatus for producing cosmetics using the capsule
US20120100195A1 (en) Deodorant or antiperspirant impregnated wipes
KR20110011430U (ko) 마스크팩용 포장지
KR960028903A (ko) 미용팩의 제조방법
KR200446536Y1 (ko) 녹차 맛사지팩 함침용기와 이를 포함하는 맛사지셋트
JPWO2010113683A1 (ja) シート状化粧料
KR200408783Y1 (ko) 미용용 핸즈팩
KR200332089Y1 (ko) 마스크 팩용 부직포
US20060110206A1 (en) Combination face scrubber and lotion dispenser
KR102342783B1 (ko) 캐릭터 연출이 가능한 기능성 마스크팩
KR20130130339A (ko) 다기능 마스크 팩
KR20090034471A (ko) 무방부제 물주머니와 함께 포장된 일회용 물수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